KR101924227B1 - Method for constructing flooring and flooring constructed thereby - Google Patents

Method for constructing flooring and flooring constructed thereb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4227B1
KR101924227B1 KR1020180045399A KR20180045399A KR101924227B1 KR 101924227 B1 KR101924227 B1 KR 101924227B1 KR 1020180045399 A KR1020180045399 A KR 1020180045399A KR 20180045399 A KR20180045399 A KR 20180045399A KR 101924227 B1 KR101924227 B1 KR 101924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flooring
projection
methyl methacrylat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53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진수
Original Assignee
(주)펜테크
김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펜테크, 김진수 filed Critical (주)펜테크
Priority to KR1020180045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422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4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422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4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eventing slipperiness or protecting against influences of the wea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 E01C23/08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roughening or patterning; for removing the surface down to a predetermined depth high spots or material bonded to the surface, e.g. markings; for maintaining earth roads, clay courts or like surfaces by means of surface working tools, e.g. scarifiers, levelling blades
    • E01C23/082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roughening or patterning; for removing the surface down to a predetermined depth high spots or material bonded to the surface, e.g. markings; for maintaining earth roads, clay courts or like surfaces by means of surface working tools, e.g. scarifiers, levelling blades using non-powered too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7/0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 E01C7/0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 E01C7/35Toppings or surface dressings; Methods of mixing, impregnating, or spreading them
    • E01C7/356Toppings or surface dressings; Methods of mixing, impregnating, or spreading them with exclusively synthetic resin as a binder; Aggregate, fillers or other additives for application on or in the surface of toppings having exclusively synthetic resin as bin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constructing flooring comprises the following steps of: (a) cleaning a floor surface; (b) applying reactive methyl methacrylate resin to the floor surface to be formed to be flooring; and (c) forming a floor protrusion on an upper surface of the flooring with a roller.

Description

바닥재 시공 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되는 바닥재{METHOD FOR CONSTRUCTING FLOORING AND FLOORING CONSTRUCTED THEREBY}[0001] METHOD FOR CONSTRUCTING FLOORING AND FLOORING CONSTRUCTED THEREBY [0002]

본 발명은 바닥재 시공 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되는 바닥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바닥면에 바닥재를 시공하는 기간을 단축하고 미려한 외관을 가지면서 미끄럼 방지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바닥재를 형성하는 바닥재 시공 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되는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or material construction method and a floor material to be constructed thereby, and more particularly, to a floor material construction method for shortening a period of time for installing a floor material on a floor surface and forming a floor material having an excellent appearance, And a flooring material to be constructed thereby.

일반적으로 바닥재는 아스콘, 투수콘,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바닥면을 도막 형태로 포장하여 경관 조성 및 강도를 보완하고, 주차장 및 공장 바닥, 자전거 및 보행자 도로, 테마거리, 미끄럼방지 기능을 요구하는 도로 등에 적용하여 미끄럼으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In general, the flooring material is made of ascon, pitcher cone, concrete, and it is packed in the form of film to complement the composition and strength of the landscape. It is applied to the parking lot and factory floor, bicycle and pedestrian road, theme street and roads requiring anti-slip function. So as to prevent an accident caused by sliding.

이러한 바닥재는 에폭시 수지 또는 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진다. 에폭시 수지 및 우레탄 수지는 우수한 내마모성, 접착력, 탄성 및 내구성을 가지나, 점도가 온도에 민감하여 영하의 온도에서 시공되기 어렵고, 경화되는 데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며, 시공되고 3일 내지 7일이 경과한 이후에 기계적 강도를 발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에폭시 수지 또는 우레탄 수지의 바닥재는 시공 환경에 있어 제약이 따른다. 또한, 에폭시 수지 및 우레탄 수지는 경화 반응시 유해한 염소 가스를 발생시킬 수 있고, 바닥재로 형성된 상태에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표면 백화 분말 현상으로 인해 미세 페놀 성분의 먼지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에폭시 수지 및 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진 바닥재에 대한 인체 유해성이 지적되고 있다.Such a bottom material is made of an epoxy resin or a urethane resin. Epoxy resin and urethane resin have excellent abrasion resistance, adhesive strength, elasticity and durability, but they are difficult to be applied at a subzero temperature due to temperature-sensitive viscosity, and it takes considerable time to cure, and it takes 3 to 7 days The mechanical strength can be exhibited. As a result, epoxy resin or urethane resin flooring is subject to restrictions in the construction environment. In addition, epoxy resin and urethane resin can generate harmful chlorine gas during the curing reaction, and dust particles of fine phenol component can be generated due to the surface white powder phenomenon over time in the state of being formed as a floor material. As a result, human health hazards have been pointed out for flooring made of epoxy resin and urethane resin.

상기와 같은 바닥재에는 미끄럼 방지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벌집 롤러 또는 롤러 브러시에 의해 바닥 돌기들이 형성되기도 한다. 하지만, 바닥 돌기들은 바닥재의 표면에 일정하지 않게 형성되어, 바닥재는 시공된 상태에서 지저분한 인상을 주기도 한다.In order to improve the anti-slip properties, the flooring may be formed with a honeycomb roller or a roller brush. However, the bottom protrusions are not uniformly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looring material, and the flooring material may give a messy impression in the state of construction.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바닥재 시공 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되는 바닥재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시공 및 유지 보수에 따른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바닥재 시공 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되는 바닥재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flooring material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chnical object to be achieved by the flooring material to be constructed thereby provide a flooring material construction method and a flooring material to be constructed by which the time required for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can be shortened.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바닥재 시공 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되는 바닥재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미련한 외관을 형성할 수 있는 바닥재 시공 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되는 바닥재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flooring material construction method and a flooring material to which the flooring material is applied.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flooring material construction method capable of forming a faint appearance and a flooring material to be constructed thereby.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바닥재 시공 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되는 바닥재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바닥 돌기의 표면적을 증가시켜 마찰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바닥재 시공 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되는 바닥재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floor material construction method and a floor material to which the floor material is applied by providing a bottom material construction method capable of increasing frictional force by increasing a surface area of a bottom projection, will be.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바닥재 시공 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되는 바닥재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method for constructing a floor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floor material to be constructed by the method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nother problem that is not mentioned is clearly understood .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 시공 방법은, (a) 바닥면이 정리되는 단계; (b)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및 과산화벤조일을 포함하는 반응성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가 바닥면에 도포되어 바닥재로 형성되는 단계; 및 (c) 롤러가 바닥재의 상면에 바닥 돌기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looring construction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 arranging a floor surface; (b) a reactive methyl methacrylate resin comprising methyl methacrylate resin and benzoyl peroxide is applied to the bottom surface to form a floor material; And (c) the roller forming a bottom proj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material.

또한, 롤러의 외주면에는 각각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갖고, 일정하게 이격된 복수 개의 돌기 형성홈들이 형성되고, (c) 단계는, (c1) 롤러의 외주면이 바닥재의 상면에 접촉되는 단계; (c2) 롤러가 바닥재의 상면을 가압하고, 반응성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가 돌기 형성홈들에 삽입되는 단계; (c3) 바닥 돌기가 돌기 형성홈에 대응하도록 바닥재의 상면에 형성되는 단계; 및 (c4) 롤러가 바닥재의 상면에서 회전되면서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C)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ller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material; (c)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ller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material; (c2) the roller presses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material, and the reactive methyl methacrylate resin is inserted into the projecting grooves; (c3) forming a bottom proj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material corresponding to the projection formation groove; And (c4) moving the roller while rotating on the top surface of the bottom material.

또한, 롤러의 외주면에는 각각 동일한 크기의 바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정하게 이격된 복수 개의 형성 돌기가 형성되고, 각각의 형성 돌기의 종단에는 구 형상의 돌기 접촉부가 형성되며, (c) 단계는, (c1) 롤러의 외주면이 바닥재의 상측에 위치되는 단계; (c2) 돌기 접촉부가 바닥재의 상면에서 삽입되고, 반응성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가 돌기 접촉부 사이에 위치되는 단계; (c3) 바닥 돌기가 돌기 접촉부 사이의 영역에 대응하도록 바닥재의 상면에 형성되는 단계; 및 (c4) 롤러가 회전되면서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ller is formed into a needle-like shape having the same size, and a plurality of forming projec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re formed, and spherical projection contacting portions are formed at the ends of the respective forming projections, (c1)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ller is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ttom material; (c2) the protrusion contacting portion is insert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material, and the reactive methyl methacrylate resin is located between the protrusion contacting portions; (c3) forming a bottom projection on an upper surface of the bottom material so as to correspond to a region between the projection contacts; And (c4) moving the roller while rotating.

또한, 상기 롤러의 양종단부의 외주면에는 각각 탄성을 갖는 금속 재료의 바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롤러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하게 이격된 복수 개의 지지부가 더 형성되고, 지지부가 롤러의 원주방향을 따라 구부러져 원 형상을 형성하도록 배열되고, 지지부의 외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형성부가 형성되고, 롤러의 외주면이 바닥재의 상측에 위치될 때, 지지부는 바닥재의 상면에 위치되어 롤러를 지지하고, 돌기 접촉부는 바닥재의 상면에 삽입될 수 있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supporting por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roller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each end portion of the roller, and the support portion is bent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roller At least one support forming portion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and wh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ller is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ttom material, the support portion is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material to support the roller, Can be inserted in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material.

또한, 돌기 접촉부는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지고, 돌기 접촉부의 외주면에는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보조 접촉부가 돌출 형성되며, 돌기 접촉부의 내부에는 금속 재료로 이루어진 접촉 보강부가 위치되고, 보조 접촉부의 내부에는 접촉 보강부에 연결되고 금속 재료로 이루어진 보조 보강부가 위치될 수 있다.A plurality of auxiliary contact portions made of a plastic material protrude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ojection contacting portion, and a contact reinforcing portion made of a metal material is disposed inside the projection contacting portion. An auxiliary reinforcement portion connected to the reinforcement portion and made of a metallic material may be positioned.

삭제delete

삭제delete

또한, 상기 롤러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롤러의 각각에는 양종단면을 연결하고, 롤러의 회전축을 제공하는 샤프트부가 설치되고, 한 쌍의 롤러의 샤프트부는 연결 몸체부에 의해 연결되고, 핸들 몸체부가 샤프트부에 힌지 연결되어 롤러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Further, the rollers are formed as a pair, and each of the rollers is provided with a shaft portion connecting both longitudinal sides and providing a rotational axis of the roller, the shaft portions of the pair of rollers being connected by a connecting body portion, And may be hinged to the shaft portion and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ller.

또한, (c) 단계는 (b) 단계가 이루어진 직후에 이루어질 수 있다.The step (c) may be performed immediately after the step (b).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는 상기의 바닥재 시공 방법에 의해 시공될 수 있다.Further, the flooring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structed by the flooring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바닥재 시공 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되는 바닥재는 하기와 같은 효과를 가진다.The flooring material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looring material applied thereon have the following effects.

(1) 바닥재의 시공 및 유지 보수에 따른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1) Time required for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of the flooring material can be shortened.

(2) 바닥재가 미려한 외관을 가질 수 있다.(2) The flooring can have a beautiful appearance.

(3) 바닥 돌기의 표면적이 증가되어, 마찰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3) The surface area of the bottom projection is increased, so that the frictional force can be increased.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 시공 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되는 바닥재가 달성할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effect of the flooring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looring material to be constructed therefrom is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obtaine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As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명세서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 시공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 시공 방법에서 롤러에 의해 바닥 돌기가 바닥재에 형성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 시공 방법에서 바닥 돌기를 바닥재에 형성하는 데 이용되는 다른 형태의 롤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 시공 방법에서 다른 형태의 롤러에 의해 바닥 돌기가 형성된 바닥재를 도시하는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 시공 방법에서 바닥 돌기를 바닥재에 형성하는 데 이용되는 또 다른 형태의 롤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 시공 방법에서 바닥 돌기를 바닥재에 형성하는 데 이용되는 또 다른 형태의 롤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A brief description of each drawing is provided to more fully understand the drawings recited herein.
1 is a flowchart showing a flooring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ottom protrusion formed on a floor material by a roller in a floor material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type of roller used to form a bottom protrusion on a floor material in a flooring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hotograph showing a floor material in which a bottom protrusion is formed by another type of roller in a floor material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type of roller used to form a bottom protrusion on a bottom material in a floor material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type of roller used to form a bottom protrusion on a floor material in a flooring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tention is not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the intention is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 1, 제 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tion, numerals (e.g., first, second, etc.) us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erely an identifier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lso, in this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the elem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unless an opposite description is present, it may be connected or connected via another element in the middle.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로 표현되는 구성요소는 2개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요소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요소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요소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요소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an element represented by '~'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a structure in which two or more elements are combined into one element, or one element may be divided into two or more functions according to a finer function. In addition, each of the components to be described below may additionally perform some or all of the functions of the other components in addition to the main functions of the component itself, and some of the main functions And may be performed entirely by components.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을 차례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 시공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 시공 방법에서 롤러(10)에 의해 바닥 돌기(101)가 바닥재(100)에 형성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 시공 방법에서 바닥 돌기(101a)를 바닥재(100)에 형성하는 데 이용되는 다른 형태의 롤러(2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 시공 방법에서 다른 형태의 롤러(20)에 의해 바닥 돌기(101a)가 형성된 바닥재(100)를 도시하는 사진이다.FIG. 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looring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flooring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roller 20 used for forming the bottom projection 101a on the floor 100 in the flooring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hotograph showing a floor material 100 in which a bottom protrusion 101a is formed by another type of roller 20 in a floor material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 시공 방법은 소음 및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바닥재(100)를 바닥면(1)에 시공하는 방법이다. 여기서, 바닥면(1)은 주차장, 공장, 자전거 및 보행자 도로, 테마 거리 등과 같은 다양한 장소의 바닥면을 의미한다.The flooring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1 to 4 is a method of installing a flooring material 100 on a floor surface 1 to prevent noise and slip. Here, the floor surface 1 refers to the bottom surface of various places such as a parking lot, a factory, a bicycle and a pedestrian road, a theme street, and the like.

우선, 바닥면(1)이 정리되는 단계(S101)가 이루어진다. S101 단계에서, 바닥면(1)은 바닥재(100)가 시공될 표면이다. S101 단계는 바닥면(1)을 그라인딩(grinding)하여 다듬질하고 평탄화할 수도 있고, 바닥면(1) 상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도 있다.First, a step S101 in which the floor surface 1 is arranged is performed. In step S101, the bottom surface 1 is a surface on which the floor material 100 is to be constructed. In the step S101, the bottom surface 1 may be grinded to finish and planarize, or the foreign substance on the bottom surface 1 may be removed.

이어서, 반응성 메틸메타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 MMA) 수지가 바닥면(1)에 도포되는 단계(S102)가 이루어진다. S102 단계에서, 반응성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에 과산화벤조일(benzyl peroxide; BPO)을 첨가하여 제조되는 반응성 수지이다. 여기서, 과산화벤조일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에 대한 경화촉진제로서 작용하여, 탄소 이중결합(C=C)으로 이루어진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는 과산화벤조일과의 반응을 통해 탄소 이중결합이 긴 단일결합(-C-C-C-) 고리화합물로 전환된다. S102 단계를 통해 반응성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는 바닥재(100)로 형성될 수 있다.Then, step S102 is performed in which reactive methyl methacrylate (MMA) resin is applied to the bottom surface 1. In step S102, the reactive methyl methacrylate resin is a reactive resin prepared by adding benzyl peroxide (BPO) to methyl methacrylate resin. Here, the benzoyl peroxide acts as a curing accelerator for the methyl methacrylate resin, and the methyl methacrylate resin composed of the carbon double bond (C = C) reacts with the benzoyl peroxide to form a long double bond (- CCC-) ring compound. Through step S102, the reactive methyl methacrylate resin may be formed of the bottom material 100.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와 과산화벤조일의 반응성은 98% 이상이기에, 반응성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는 바닥면(1)에 시공될 때 유해가스를 배출하지 않을 수 있고, 바닥면(1)에 시공되어 바닥재(100)를 형성할 때 잔여물에 의한 하자를 유발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반응성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는 외부의 작용기와는 반응하지 않아 높은 내산성, 내알칼리성 및 내염해성을 가질 수 있다. Since the reactivity of the methyl methacrylate resin and the benzoyl peroxide is 98% or more, the reactive methyl methacrylate resin may not discharge noxious gas when it is applied to the bottom surface 1, It may not cause defects due to residues when forming the substrate 100. In addition, the reactive methyl methacrylate resin does not react with external functional groups and can have high acid resistance, alkali resistance and salt resistance.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는 콘택트렌즈, 관절용 뼈 및 인공치아 등과 같은 생체 재료로서 사용될 정도로 인체에 무해하다. 반응성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는 그 점도가 온도 변화에 민감하지 않기 때문에 영하 30℃의 온도에서도 바닥면(1)에 도포되어 바닥재(100)를 형성할 수 있고, 1시간 이내에 경화되어 안정적으로 기계적 강도를 발현할 수 있다.The methyl methacrylate resin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so that it can be used as a biomaterial such as a contact lens, a bone for joints, and an artificial tooth. Since the reactive methyl methacrylate resin is not sensitive to temperature change, the reactive methyl methacrylate resin can be applied to the bottom surface 1 at a temperature of minus 30 ° C to form the bottom material 100, and cured within 1 hour, Can be expressed.

한편, S102 단계에서 반응성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는 분사 장치에 의해 바닥면(1)에 도포될 수도 있고, 브러시 또는 롤러에 의해 바닥면(1)에 도포될 수도 있다. 또한, 반응성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는 바닥 돌기(101)의 형성을 고려하여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바닥면(1)에 도포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step S102, the reactive methyl methacrylate resin may be applied to the bottom surface 1 by an injection device or may be applied to the bottom surface 1 by a brush or a roller. In addition, the reactive methyl methacrylate resin may be applied to the bottom surface 1 to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in consideration of the formation of the bottom projection 101.

이어서, 롤러(10)가 도포된 반응성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의 상면에 바닥 돌기(101)를 형성하는 단계(S103)가 이루어진다. 즉, S103 단계는 S102 단계에서 형성된 바닥재(100)의 상면에 바닥 돌기(101)를 형성한다.Subsequently, a step S103 of forming a bottom protrusion 101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active methyl methacrylate resin coated with the roller 10 is performed. That is, in step S103, the bottom protrusion 101 is formed on the top surface of the bottom material 100 formed in step S102.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10)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외주면에는 복수 개의 돌기 형성홈(11)들이 형성된다. 여기서, 돌기 형성홈(11)들은 각각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갖고, 롤러(10)의 외주면에서 일정하게 이격된 상태로 형성된다. 또한, 롤러(10)는 반응성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가 부착되지 않는 재료로 제조되거나, 그 외주면이 반응성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가 부착되지 않는 재료로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돌기 형성홈(11)은 바닥재(100)에 바닥 돌기(101)를 형성한 이후에 반응성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가 남아 있지 않아서, 일정한 크기 및 형상을 갖는 바닥 돌기(101)를 형성할 수 있다.2, the roller 10 has a cylindrical shape,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 forming grooves 11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Here, the projecting grooves 11 have the same size and shape, and are formed so as to be uniformly space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ller 10.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roller 10 is made of a material to which the reactive methyl methacrylate resin is not adhered or tha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is coated with a material to which the reactive methyl methacrylate resin is not adhered. The protrusion forming grooves 11 are formed so as to form the bottom protrusion 101 having a certain size and shape since the reactive methyl methacrylate resin does not remain after the bottom protrusion 101 is formed in the bottom material 100 .

S103 단계는 상기와 같은 롤러(10)에 의해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Step S103 may be performed by the roller 10 as described above.

롤러(10)가 반응성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에 의해 형성된 바닥재(100)의 상면에 위치된다. 여기서, 롤러(10)의 외주면은 바닥재(100)의 상면에 접촉된다. 롤러(10)가 바닥재(100)의 상면을 가압하고, 반응성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는 롤러(10)의 돌기 형성홈(11)에 삽입된다. 바닥재(100)의 상면에는 돌기 형성홈(11)에 상응하는 바닥 돌기(101)들이 형성된다.The roller 10 is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loor material 100 formed by the reactive methyl methacrylate resin. Her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ller 10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material 100. The roller 10 presses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material 100 and the reactive methyl methacrylate resin is inserted into the protrusion forming grooves 11 of the roller 1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material 100, bottom protrusions 101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forming grooves 11 are formed.

롤러(10)는 바닥재(100)의 상면에서 회전하면서 이동하여, 바닥재(10)의 상면에 걸쳐 바닥 돌기(101)들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바닥 돌기(101)들은 돌기 형성홈(11)에 의해 일정하게 이격된 상태로 바닥재(10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바닥 돌기(101)들은 바닥재(100)와 함께 경화되어, 바닥재(100) 자체와 조합하여 미끄럼방지 기능을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The roller 10 may rotate and mov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material 100 to form the bottom protrusions 101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material 10. [ Here, the bottom protrusions 101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loor material 100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the protrusion forming grooves 11. These bottom protrusions 101 can be hardened together with the flooring 100 and can stably provide the anti-slip function in combination with the flooring 100 itself.

본 실시예의 바닥 돌기(101)들은 각각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바닥재(100)에서 바닥 돌기(101)들 사이 영역보다 넓은 영역을 차지한다. 이러한 바닥 돌기(101)들은 마모되더라도 미끄럼 방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The bottom protrusions 101 of the present embodiment are each in the shape of a column and occupy a larger area than the area between the bottom protrusions 101 in the bottom material 100. These bottom protrusions 101 can provide a slip prevention function even when they are worn.

본 실시예에서 바닥 돌기(101)는 육각 기둥 형상으로 도시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돌기 형성홈(11)에 의해 원기둥, 사각기둥 등과 같은 기둥 형상뿐 아니라,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바닥 돌기(101)는 일정하게 이격된 상태로 바닥재(100)에 형성되어, 바닥재(100)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ottom projection 101 is shown as a hexagonal columnar shape,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as well as a columnar shape such as a cylinder, a square column or the like by the projection forming grooves 11. Here, the bottom protrusion 101 may be formed on the flooring 100 in a state of being uniformly spaced, so that the appearance of the flooring 100 may be enhanced.

한편, S103 단계는 앞서 언급된 롤러(10)를 대신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른 형태의 롤러(20)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S103 단계는 다른 형태의 롤러(20)에 의해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tep S103 may be performed using another type of roller 20 as shown in Fig. 3 in place of the roller 10 mentioned above. Step S103 may be performed by another type of roller 20 as follows.

다른 형태의 롤러(20)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외주면에는 복수 개의 형성 돌기(21)들이 형성된다. 여기서, 형성 돌기(21)들은 각각 동일한 크기의 바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롤러(20)의 외주면에서 일정하게 이격된 상태로 위치된다. 또한, 형성 돌기(21)의 종단에는 구 형상으로 이루어진 돌기 접촉부(21a)가 형성되고, 돌기 접촉부(21a)는 형성 돌기(21)의 둘레 크기보다 큰 직경을 갖고 상호 간에 접촉될 수도 있다. 돌기 접촉부(21a)는 반응성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가 부착이 이루어지지 않는 재료로 이루어지거나, 그 외주면이 반응성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의 부착이 이루어지지 않는 재료로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돌기 접촉부(21a)에는 반응성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가 남아 있지 않아, 형성 돌기(21)는 안정적으로 바닥 돌기(101a)를 형성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The other type of rollers 20 have a cylindrical shape and a plurality of forming protrusions 21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Here, the forming protrusions 21 are in the shape of needles of the same size, and are positioned so as to be uniformly space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ller 20. [ The protrusion contacting portion 21a may be a spherical protrusion contacting portion 21a formed at the end of the forming protrusion 21 and may have a diameter larger than the circumferential size of the forming protrusion 21 and may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projection contacting portion 21a is made of a material to which the reactive methyl methacrylate resin is not adhered or tha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is coated with a material that does not adhere the reactive methyl methacrylate resin. As a result, reactive methyl methacrylate resin does not remain on the projection contacting portion 21a, and the forming projection 21 can be used to stably form the bottom projection 101a.

상기와 같은 롤러(20)의 외주면이 반응성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에 의해 형성된 바닥재(100)의 상측에 위치될 때, 형성 돌기(21)의 돌기 접촉부(21a)가 바닥재(100)의 상면에 삽입된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재(100)의 상면에는 돌기 접촉부(21a)들 사이에 대응하도록 바닥 돌기(101a)들이 형성된다. Wh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ller 20 is positioned above the bottom material 100 formed of the reactive methyl methacrylate resin, the protrusion contacting portion 21a of the forming protrusion 21 is inserted in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material 100 do. Here, as shown in FIG. 4, bottom projections 101a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material 100 to correspond to the spaces between the projection contacting portions 21a.

롤러(20)는 바닥재(100)의 상면에서 회전하면서 이동하여, 바닥재(100)의 상면에 걸쳐 바닥 돌기(101a)들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바닥 돌기(101a)들은 형성 돌기(21)들에 의해 일정하게 이격된 상태로 바닥재(10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돌기 접촉부(21a)가 상호 간에 접촉되면, 돌기 접촉부(21a)의 사이 영역에 바닥 돌기(101a)가 형성된다. 이러한 바닥 돌기(101a)들은 바닥재(100)와 함께 경화되고, 돌기 접촉부(21a)에 의해 조밀하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바닥재(100)에서 바닥 돌기(101a)들의 표면적은 증가되어, 마찰력이 증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100)는 미끄럼방지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rollers 20 may rotate and move on the top surface of the bottom material 100 to form bottom protrusions 101a on the top surface of the bottom material 100. [ Here, the bottom protrusions 101a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loor material 100 while being uniformly spaced by the forming protrusions 21. Particularly, when the projection contacting portions 21a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 bottom projection 101a is formed in the region between the projection contacting portions 21a. These bottom protrusions 101a are hardened together with the bottom material 100, and are densely formed by the protrusion contacting portions 21a. As a result, the surface area of the bottom projections 101a in the bottom material 100 is increased, so that the frictional force can be increased. Therefore, the flooring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improve the anti-slip function.

상기와 같은 S103 단계는 S102 단계가 이루어진 직후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above-described step S103 may be performed immediately after step S102.

본 실시예의 바닥재 시공 방법은 반응성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를 바닥면(1)에 도포하여 바닥재(100)를 형성한다. 여기서, 반응성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와 과산화벤조일를 포함하되,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와 과산화벤조일의 반응성은 98% 이상이기에, 바닥면(1)에 시공될 때 유해가스를 배출하지 않을 수 있고, 바닥면(1)에 시공되어 바닥재(100)를 형성할 때 잔여물에 의한 하자를 유발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반응성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는 생체 재료로서 사용될 정도로 무해하고, 그 점도가 온도 변화에 민감하지 않기 때문에 영하 30℃의 온도에서도 바닥면(1)에 도포되어 바닥재(100)를 형성할 수 있고, 1시간 이내에 경화되어 안정적으로 기계적 강도를 발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바닥재 시공 방법은 안전하게 바닥재(100)를 바닥면(1)에 시공할 수 있고, 에폭시 수지 또는 우레탄 수지에 비해 짧은 경화 시간으로 인해 바닥재(100)의 시공에 따른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손상된 바닥재(100)를 유지 보수에 따른 시간도 단축할 수 있다. The flooring construction method of this embodiment applies the reactive methyl methacrylate resin to the floor 1 to form the flooring 100. Here, the reactive methyl methacrylate resin contains methyl methacrylate resin and benzoyl peroxide. Since the reactivity of the methyl methacrylate resin and the benzoyl peroxide is 98% or more, the reactive methyl methacrylate resin does not discharge noxious gas when the bottom surface 1 is applied And may not cause defects due to residues when the floor material 100 is formed on the floor surface 1. Since the reactive methyl methacrylate resin is innocuous enough to be used as a biomaterial and its viscosity is not sensitive to temperature changes, it can be applied to the bottom surface 1 even at a temperature of minus 30 캜 to form the bottom material 100 , It hardens within 1 hour and can exhibit stable mechanical strength. Therefore, the flooring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securely mount the flooring material 100 on the floor surface 1, and shorten the time required for the construction of the flooring material 100 due to a short curing time as compared with epoxy resin or urethane resin And the time for maintenance of the damaged floor material 100 can be shortened.

또한, 본 실시예의 바닥재 시공 방법에 의해 시공되는 바닥재(100)는 반응성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를 도포하여 바닥면(1)에 시공되기에, 생체 재료로서 사용되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를 포함하여 인체에 무해하고, 외부의 작용기와는 반응하지 않아 높은 내산성, 내알칼리성 및 내염해성을 가질 수 있으며, 내항균성을 가져 지하의 바닥면에 시공된 경우 곰팡이 등과 같은 세균의 번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바닥재(100)는 일정하게 이격된 상태로 배열된 바닥 돌기(101)들을 갖기에 미려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고, 조밀하게 배열된 바닥 돌기(101a)들을 갖기에 마찰력을 증대시켜 안정적으로 미끄럼 방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looring material 100 to be applied by the flooring material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applied to the floor surface 1 by applying the reactive methyl methacrylate resin, the flooring material 100, including the methyl methacrylate resin used as the biomaterial, And does not react with external functional groups, so it can have high acid resistance, alkali resistance and salt resistance, and has antimicrobial resistance, which can inhibit the growth of bacteria such as fungi when applied on the floor of the underground. In addition, the bottom material 100 can provide a beautiful appearance to have the bottom protrusions 101 arranged in a uniformly spaced-apart relationship, and has densely arranged bottom protrusions 101a to increase frictional force, Prevention function can be provid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 시공 방법에서 바닥 돌기를 바닥재에 형성하는 데 이용되는 또 다른 형태의 롤러(3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 시공 방법에서 바닥 돌기를 바닥재에 형성하는 데 이용되는 또 다른 형태의 롤러(5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type of roller 30 used to form a bottom protrusion on a floor material in a flooring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type of roller 50 used for forming the bottom projection in the bottom material in the bottom material construction method.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 시공 방법은 다양한 롤러(30, 50)를 이용한 바닥 돌기를 형성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5 and 6, the flooring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form a bottom projection using various rollers 30 and 50.

도 5에 도시된 롤러(30)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외주면에는 복수 개의 형성 돌기(31)들이 형성된다. 여기서, 형성 돌기(31)들은 각각 동일한 크기의 바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롤러(30)의 외주면에서 일정하게 이격된 상태로 위치된다. 또한, 형성 돌기(31)의 종단에는 형성 돌기(31)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구 형상의 돌기 접촉부(31a)가 형성되고, 돌기 접촉부(31a)의 외주면에는 복수 개의 보조 접촉부(31b)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돌기 접촉부(31a) 및 보조 접촉부(31b)는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진다.The roller 30 shown in FIG. 5 has a cylindrical shape, and a plurality of forming protrusions 31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Here, the forming projections 31 are in the shape of needles of the same size, and are positioned with a constant spacing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ller 30. [ A spherical projection contacting portion 31a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orming projection 31 is formed at the end of the forming projection 31. A plurality of auxiliary contacting portions 31b ar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rojection contacting portion 31a Can be formed. Here, the projection contacting portion 31a and the auxiliary contacting portion 31b are made of a plastic material.

또한, 돌기 접촉부(31a)의 내부에는 돌기 접촉부(31a)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접촉 보강부(31a')가 위치되고, 접촉 보강부(31a')는 금속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조 접촉부(31b)의 내부에는 보조 접촉부(31b)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접촉 보강부(31a')에 연결되는 보조 보강부(31b')가 위치되고, 보조 보강부(31b')는 금속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contact reinforcing portion 31a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projection contacting portion 31a is located inside the projection contacting portion 31a and the contact reinforcing portion 31a' can be made of a metal material. An auxiliary reinforcing portion 31b 'connected to the contact reinforcing portion 31a' is formed in the auxiliary contacting portion 31b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auxiliary contacting portion 31b and the auxiliary reinforcing portion 31b ' Material.

또한, 롤러(30)는 지지부(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32)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각각 바아(bar)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탄성을 갖는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며, 롤러(30)의 양종단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연장된다. 여기서, 지지부(32)는 롤러(3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각각 롤러(30)의 외주면으로부터 연장된 상태에서 롤러(30)의 원주방향을 따라 구부러진다. 또한, 지지부(32)의 외측면에는 지지 형성부(32a)들이 형성된다. 여기서, 지지부(32)의 외측면은 지지부(32)에서 롤러(30)의 외주면을 마주하지 않으면서 바닥재(100)에 접촉되지 않는 면을 의미하고, 지지 형성부(32a)들은 돌기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홈 형상일 수 있다.Further, the roller 30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portion 32. [ Each of the support portions 32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having elasticity and has a bar shape, and extends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nd portion of each kind of roller 30. Here, the support portions 32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roller 30, and are bent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roller 30 while exten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ller 30, respectively. Supporting portions 32a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32. [ Here,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32 means a surface which is not in contact with the floor material 100 without fac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ller 30 in the support portion 32, and the support forming portions 32a are,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it may be a groove shape.

상기와 같은 롤러(30)가 바닥재(100)의 상면에 위치될 때, 지지부(32)는 바닥재(100)의 상면에 위치되어, 형성 돌기(31)의 돌기 접촉부(31a) 및 보조 접촉부(31b)는 바닥재(100)의 상면에 삽입된다. 즉, 본 실시예의 롤러(30)는 지지부(32)에 의해 외주면을 바닥재(10)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유지하고, 돌기 접촉부(31a) 및 보조 접촉부(31b)만이 바닥재(100)에 삽입되어 바닥 돌기를 형성하는 데에 이용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바닥재(100)의 상면에는 돌기 접촉부(31a)들 사이에 대응하도록 바닥 돌기들이 형성되고, 보조 접촉부(31b)는 바닥 돌기들을 조밀한 형태로 형성한다. 돌기 접촉부(31a) 및 보조 접촉부(31b)는 금속 재료로 이루어진 접촉 보강부(31a') 및 보조 보강부(31b')를 포함하고 있어, 자체적으로 변형을 최소화한 상태로 바닥 돌기를 형성하고, 바닥 돌기도 획득하고자 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roller 30 is positioned on the top surface of the bottom member 100, the support member 32 is positioned on the top surface of the bottom member 100 and the projection contact 31a and the auxiliary contact 31b Is inserted in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material 100. That is, the roller 30 of the present embodiment keep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ller 30 separated from the floor material 10 by the support portion 32, and only the projection contacting portion 31a and the auxiliary contact portion 31b are inserted into the floor material 100, It can be used to form a projection. Her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material 100, bottom protrusions ar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protrusion contacting portions 31a, and the auxiliary contacting portions 31b form the bottom protrusions in a dense shape. The projection contacting portion 31a and the auxiliary contacting portion 31b include a contact reinforcing portion 31a 'and an auxiliary reinforcing portion 31b'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form a bottom projection in a state of minimizing the deformation thereof, The bottom protrusion may be formed in a shape to be obtained.

롤러(30)는 바닥재(100)의 상면에서 회전하면서 이동하여, 바닥재(100)의 상면에 걸쳐 바닥 돌기들을 형성할 수 있다. 롤러(30)는 지지부(32)에 의해 형성 돌기(31)의 돌기 접촉부(31a) 및 보조 접촉부(31b)만을 이용하여 바닥 돌기들을 형성한다. 또한, 지지부(32)에 형성된 지지 형성부(32a)에 의해서도 바닥 돌기들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바닥재는 롤러(30)의 외주면에 접촉되지 않아, 바닥재에 의해 형성된 바닥 돌기는 변형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보조 접촉부(31b)들은 바닥 돌기를 더욱더 조밀하게 형성하여, 바닥재(100)에서 바닥 돌기에 의한 마찰력을 더욱더 증대시킬 수 있다.The roller 30 may rotate and move on the top surface of the bottom material 100 to form bottom protrusions on the top surface of the bottom material 100. The roller 30 forms the bottom protrusions using only the projection contacting portion 31a and the auxiliary contacting portion 31b of the forming projection 31 by the supporting portion 32. [ Also, the bottom protrusions can be formed by the support forming portion 32a formed in the support portion 32. [ In this embodiment, the bottom material does not contac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ller 30, and the bottom protrusion formed by the bottom material may not be deformed. In particular, the auxiliary contact portions 31b can form the bottom protrusion more densely, so that the frictional force by the bottom protrusion in the floor material 100 can be further increas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또한, 도 6에 도시된 롤러(50)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롤러 핸들부(53)에 의해 상호 간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롤러(50)는 롤러(10) 또는 롤러(20)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지되, 각각 바아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롤러(50)의 양종단면을 연결하는 샤프트부(50a)를 갖는다. 롤러(50)는 샤프트부(50a)에 의해 형성되는 롤러(50)의 길이방향을 따른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다.Further, the rollers 50 shown in Fig. 6 are formed as a pair and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roller handle portion 53. Fig. Here, the roller 50 has the same shape as the roller 10 or the roller 20, and has a shaft portion 50a which is formed in a bar shape and connects both longitudinal sides of the roller 50. [ The roller 50 is rotatable about an axi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ller 50 formed by the shaft portion 50a.

롤러 핸들부(53)는 롤러(50)의 샤프트부(50a)를 연결하여, 롤러(50)를 평행하게 위치시키면서 이동시키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롤러 핸들부(53)는 연결 몸체부(53a) 및 핸들 몸체부(53b)를 포함할 수 있다.The roller handle portion 53 can be used to connect the shaft portion 50a of the roller 50 and move the roller 50 in parallel. In addition, the roller handle portion 53 may include a connecting body portion 53a and a handle body portion 53b.

연결 몸체부(53a)는 샤프트부(50a)를 연결하여, 한 쌍의 롤러(50)를 상호 간에 평행하면서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하고 바닥재에 안정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다.The connecting body portion 53a connects the shaft portion 50a so that the pair of rollers 50 can be held parallel to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and stably positioned on the flooring.

핸들 몸체부(53b)는 각각의 샤프트부(50a)에 힌지 연결되고, 롤러(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여기서, 핸들 몸체부(53b)는 회동되어, 롤러(50)의 양측에 대해서 자유롭게 위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작업자는 롤러(50)의 측면에 대응하도록 위치되어, 핸들 몸체부(53b)를 잡은 상태에서 롤러(50)를 이동시킬 수 있다. 특히, 작업자는 바닥 돌기가 형성되는 바닥재의 부분에 위치되지 않고서도 롤러(50)를 이동시키면서 바닥 돌기를 형성할 수 있어, 바닥 돌기는 작업자에 의해 변형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롤러(50)는 롤러 핸들부(53)에 의해 안정적으로 바닥 돌기를 바닥재에 형성할 수 있다.The handle body portion 53b is hinged to each shaft portion 50a and extend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ller 50. [ Here, the handle body portion 53b is pivoted and can be freely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roller 50. [ As a result, the operator is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side surface of the roller 50, and the roller 50 can be moved while holding the handle body portion 53b. In particular, the operator can form the bottom protrusion while moving the roller 50 without being positioned at the portion of the bottom material where the bottom protrusion is formed, so that the bottom protrusion may not be deformed by the operator. Therefore, the roller 50 can be stably formed on the bottom material by the roller handle 53.

이상,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100: 바닥재
101, 101a: 바닥 돌기
10, 20, 30, 50: 롤러
11: 돌기 형성홈
21, 31: 형성 돌기
21a, 31a: 돌기 접촉부
31b: 보조 접촉부
32: 지지부
32a: 지지 형성부
53: 롤러 핸들부
100: Flooring
101, 101a: bottom projection
10, 20, 30, 50: rollers
11: protrusion forming groove
21, 31: forming protrusions
21a, 31a:
31b: auxiliary contact
32: Support
32a:
53: roller handle portion

Claims (10)

(a) 바닥면이 정리되는 단계;
(b)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및 과산화벤조일을 포함하는 반응성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가 바닥면에 도포되어 바닥재로 형성되는 단계; 및
(c) 롤러가 바닥재의 상면에 바닥 돌기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롤러의 외주면에는 각각 동일한 크기의 바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정하게 이격된 복수 개의 형성 돌기가 형성되고, 각각의 형성 돌기의 종단에는 구 형상의 돌기 접촉부가 형성되며,
(c) 단계는,
(c1) 롤러의 외주면이 바닥재의 상측에 위치되는 단계;
(c2) 돌기 접촉부가 바닥재의 상면에서 삽입되고, 반응성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가 돌기 접촉부 사이에 위치되는 단계;
(c3) 바닥 돌기가 돌기 접촉부 사이의 영역에 대응하도록 바닥재의 상면에 형성되는 단계; 및
(c4) 롤러가 회전되면서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의 양종단부의 외주면에는 각각 탄성을 갖는 금속 재료의 바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롤러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하게 이격된 복수 개의 지지부가 더 형성되고, 지지부가 롤러의 원주방향을 따라 구부러져 원 형상을 형성하도록 배열되고, 지지부의 외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형성부가 형성되고,
롤러의 외주면이 바닥재의 상측에 위치될 때, 지지부는 바닥재의 상면에 위치되어 롤러를 지지하고, 돌기 접촉부는 바닥재의 상면에 삽입되며,
돌기 접촉부는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지고, 돌기 접촉부의 외주면에는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보조 접촉부가 돌출 형성되며,
돌기 접촉부의 내부에는 금속 재료로 이루어진 접촉 보강부가 위치되고, 보조 접촉부의 내부에는 접촉 보강부에 연결되고 금속 재료로 이루어진 보조 보강부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시공 방법.
(a) arranging the floor surface;
(b) a reactive methyl methacrylate resin comprising methyl methacrylate resin and benzoyl peroxide is applied to the bottom surface to form a floor material; And
(c) the roller forming a bottom projection on the top surface of the bottom material,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ller is formed into a needle-like shape having the same size, and a plurality of forming protrus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re formed. Each of the forming protrusions has a spherical protrusion contacting portion formed at the end thereof,
(c)
(c1)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ller is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ttom material;
(c2) the protrusion contacting portion is insert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material, and the reactive methyl methacrylate resin is located between the protrusion contacting portions;
(c3) forming a bottom projection on an upper surface of the bottom material so as to correspond to a region between the projection contacts; And
(c4) moving the roller while rotating,
Wherein a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roller are further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each end portion of the roller, and the support portion is bent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roller, At least one support forming portion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Wh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ller is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ttom material, the supporting portion is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material to support the roller, and the projection contact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material,
The projection contacting portion is made of a plastic material, and a plurality of auxiliary contacting portions made of a plastic material protrude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rojection contacting portion,
Wherein a contact reinforcing portion made of a metal material is disposed inside the projection contacting portion and an auxiliary reinforcing portion made of a metal material is connected to the contact reinforcing portion inside the auxiliary contacting por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롤러의 각각에는 양종단면을 연결하고, 롤러의 회전축을 제공하는 샤프트부가 설치되고,
한 쌍의 롤러의 샤프트부는 연결 몸체부에 의해 연결되고, 핸들 몸체부가 샤프트부에 힌지 연결되어 롤러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ollers being made of a pair,
Each of the rollers is provided with a shaft portion which connects both vertical surfaces and provides a rotation axis of the roller,
Wherein the shaft portions of the pair of rollers are connected by a connecting body portion and the handle body portion is hinged to the shaft portion and extend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ller.
삭제delete 제1항 또는 제8항에 따른 바닥재 시공 방법에 의해 시공되는 바닥재.
A flooring material to be applied by the flooring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8.
KR1020180045399A 2018-04-19 2018-04-19 Method for constructing flooring and flooring constructed thereby KR10192422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5399A KR101924227B1 (en) 2018-04-19 2018-04-19 Method for constructing flooring and flooring constructed thereb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5399A KR101924227B1 (en) 2018-04-19 2018-04-19 Method for constructing flooring and flooring constructed thereb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4227B1 true KR101924227B1 (en) 2018-11-30

Family

ID=64561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5399A KR101924227B1 (en) 2018-04-19 2018-04-19 Method for constructing flooring and flooring constructed thereb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4227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2207B1 (en) * 2012-01-05 2012-04-06 (주) 시그마Sti Processing method of flooring for the advanced skid-resistance and night visibility of pavement surface and it's flooring
KR101501091B1 (en) * 2014-09-04 2015-03-10 주식회사 해치엠엠에이 roller apparatus for forming rumble strip of coating flo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2207B1 (en) * 2012-01-05 2012-04-06 (주) 시그마Sti Processing method of flooring for the advanced skid-resistance and night visibility of pavement surface and it's flooring
KR101501091B1 (en) * 2014-09-04 2015-03-10 주식회사 해치엠엠에이 roller apparatus for forming rumble strip of coating flo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79773T3 (en) Procedure for cleaning a polished hard floor surface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ATE439214T1 (en) ABRASIVE PRODUCT, METHOD FOR USE THEREOF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REOF
JP2005533670A5 (en)
WO2006069179A8 (en) Abrasive product, method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and apparatus for making the same
KR101924227B1 (en) Method for constructing flooring and flooring constructed thereby
JP2005520698A5 (en)
SE440189B (en) PLASTIC COATING FOR SPORTS, SPECIALTY TENNIS COURTS, AND SET FOR ITS PREPARATION
DE60108667D1 (en) GRINDING OBJECT WITH A CARRIER BEAR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ATE318277T1 (en) SOLVENT-BASED, THERMALLY AND ACTINIC RADIATION CURED MULTI-COMPONENT SYSTEM AND ITS USE
IT1313565B1 (en) PERFECTED FLOCKED MATERIAL AND METHOD FOR ITS PREPARATION.
KR20140069690A (en) Roller brush for coating of flooring coated type
KR20200031849A (en) Method for constructing flooring and flooring constructed thereby
JP2007283607A (en) Molding method of concrete
DK1057851T3 (en) Composite material made of polyurethane and at least one thermoplastic resin, process for making it and its use in automobiles
CN111051628A (en) Grouted disc assembly with reinforcing ring
JP2004076527A (en) Pavement constructing method
EP1160284A3 (en) Fluorine rubber composition, fixing member, fixing device, fixing metho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fixing device
JP2002356804A (en) Elastic paving body and its execution method
JP7341039B2 (en) Weed germination prevention structure and its installation method, and weed germination prevention sheet
JP2512481Y2 (en) Restorative horse pavement
JP3809927B2 (en) Noise prevention and flip-up prevention device in side groove with lid plate
JP2583180B2 (en) Elastic pavement structure
JPH0586606A (en) Repairing of resinous pavement
JP2004232276A (en) Surface strengthening coating method of concrete structure
EP0743407B1 (en) Cast floor covering comprising incrustated elements with a predetermined decorative surf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