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4218B1 - 식물재배 및 어류양식 융합형 농어업장치 - Google Patents

식물재배 및 어류양식 융합형 농어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4218B1
KR101924218B1 KR1020180079592A KR20180079592A KR101924218B1 KR 101924218 B1 KR101924218 B1 KR 101924218B1 KR 1020180079592 A KR1020180079592 A KR 1020180079592A KR 20180079592 A KR20180079592 A KR 20180079592A KR 101924218 B1 KR101924218 B1 KR 101924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unit
filter
fish
outer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9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석상
Original Assignee
강석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석상 filed Critical 강석상
Priority to KR1020180079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42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4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4218B1/ko
Priority to PCT/KR2019/004725 priority patent/WO202001343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6Hydroponic culture on racks or in stacke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5Filters for aquari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 C02F1/48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using permanent magn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r application of a germicide or by oligodynam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2031/006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with means for recycling the nutritive solu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 Y02P60/216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otan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재배와 어류양식을 동시에 실시할 수 있는 농어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지지프레임부에 의하여 수조부와 식물재배부가 각각 적층되는 형태로 지지되고, 상기 수조부에 수용된 물을 식물재배에 필요한 물을 공급하고 어류의 양식에 필요한 물로 이용할 수 있는 식물재배 및 어류양식 융합형 농어업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식물재배 및 어류양식 융합형 농어업장치{Equipment for plants cultivating and fish farming}
본 발명은 식물재배와 어류양식을 동시에 실시할 수 있는 농어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지지프레임부에 의하여 수조부와 식물재배부가 각각 적층되는 형태로 지지되고, 상기 수조부에 수용된 물을 식물재배에 필요한 물을 공급하고 어류의 양식에 필요한 물로 이용할 수 있는 식물재배 및 어류양식 융합형 농어업장치에 관한 분야이다.
수경재배(water culture)는 흙을 사용하지 않고 물과 수용성 영양분으로 만든 배양액 속에서 식물을 키우는 방법을 의미한다. 수염뿌리로 되어 있는 외떡잎식물, 튤립이나 히야신스, 수선화와 같은 구근류나 파인애플과 같은 과수류, 토란, 고구마, 양파, 콩나물과 같은 채소류, 베고니아, 바이올렛, 제라늄, 메리골드와 같은 화초류, 페레로미아, 아이비, 행운목과 같은 관엽류 등은 모두 수경재배가 가능한 식물들로 알려져 있다.
양어장은 인공적으로 물고기를 양어하는 곳을 말하는 것으로서, 양어장에서는 물고기의 습성에 맞도록 인위적인 시설과 수단을 구비하여 물고기를 기르게 된다. 양어의 종류로는 잉어, 붕어, 미꾸리지, 뱀장어 등 여러 가지가 있으나, 양어가 가능한 어종이 계속 증가하는 추세이다.
양어방법에는 기르고자 하는 장소의 환경조건(수량, 수질, 수온, 지형의 경사 등 자연 여건)과 고기의 종류(온수성 또는 냉수성)에 따라 각각 다르며, 크게 지수식 양어(물이 흐르지 않고 고여 있는 상태에서 기르는 방법), 유수식 양어(물이 항상 흐르는 상태에서 기르는 방법), 순환여과식 양어(한 번 사용한 물을 여과층을 통하여 정화시켜서 다시 사용하는 방법), 가두리 양식(댐·호수·저수지 등 큰 수면 위에 그물 가두리를 시설하여 기르는 방법)등이 있다.
최근에는 양어와 수경재배를 하나의 수조를 이용하여 동시에 양육하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다음은 식물재배와 어류양식을 동시에 수행하는 장치에 관한 대표적인 종래기술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48479호는 독립형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한 컨테이너형 식물재배 및 어류양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어류 양식(Aquaculture)과 수경 재배(Hydroponics)를 동시에 수행하는 아쿠아포닉(Aquaponics) 타입으로, 어류 양식 배설물의 질소와 인 성분을 식물의 비료로 활용하면서 어류에 유해한 암모니아를 정화시켜 어류에게 돌려주어 서로 상생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면서 식물재배 및 어류양식을 동시에 수행하는 기술을 제시하였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기상정보, 날짜 및 시간정보를 GPS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활용하여 축전된 에너지의 사용을 최소화하면서 수경재배 및 어류양식을 수행할 수 있어서, 계절과 같은 외부 환경에 관계없이 안정적으로 먹거리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하였으나, 서로 다른 양육환경을 가지는 식물재배와 어류양식을 별도로 관리하기에는 다소 어려운 구조를 가져, 이를 해결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48479호(2016.08.09.)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27327호(2015.11.17.)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27328호(2015.11.17.)
본 발명은 식물재배 및 어류양식 융합형 농어업장치의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종래 식물재배 및 어류양식 융합형 농어업장치는 단순히 식물재배와 어류양식에 공통적으로 필요한 물을 공유할 수 있도록만 구성되기 때문에, 식물재배 시 필요한 관리와 어류양식 시 필요한 관리가 서로 상충되어 불편한 문제가 있었고;
또한, 어류양식 시에 물에 혼합된 사료와 어류의 배설물에 의한 물의 지나친 오염에 의하여 식물재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한 문제가 발생하여, 이에 대한 해결점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복수개의 프레임 간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지지프레임부; 상기 지지프레임부의 내부에 구비되고, 물이 수용되어 어류를 양식하는 수조부; 상기 지지프레임부의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수조부의 상부에 안착되어 수조부에서 물을 공급받고, 광원으로부터 빛을 공급받아 식물을 재배하는 식물재배부 및; 상기 수조부의 물을 공급받아 여과하고, 여과된 물을 수조부로 재공급하는 여과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식물재배부는 상기 지지프레임부에서 승하강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식물재배 및 어류양식 융합형 농어업장치를 제시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식물재배 및 어류양식 융합형 농어업장치는 어류가 양식되는 수조부의 상부에 배치된 식물재배부가 수조부 관리시에 승강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식물재배 시 필요한 관리와 어류양식 시 필요한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수조부에 수용된 물을 주기적 또는 연속적으로 여과부로 유동시켜 여과할 수 있기 때문에, 어류양식 시에 물에 투입된 사료와 어류의 배설물에 의한 물의 지나친 오염을 방지시켜, 물의 부영양화로 인한 식물재배의 악영향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식물재배 및 어류양식 융합형 농어업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식물재배 및 어류양식 융합형 농어업장치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식물재배 및 어류양식 융합형 농어업장치를 나타내는 단면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식물재배 및 어류양식 융합형 농어업장치의 식물재배부의 승하강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식물재배 및 어류양식 융합형 농어업장치에 카메라가 더 구비된 경우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식물재배 및 어류양식 융합형 농어업장치의 여과부에 더 구비되는 2차필터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식물재배 및 어류양식 융합형 농어업장치의 2차필터유닛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식물재배 및 어류양식 융합형 농어업장치의 2차필터유닛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식물재배 및 어류양식 융합형 농어업장치의 2차필터유닛에 와류스크류가 더 구비된 경우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식물재배 및 어류양식 융합형 농어업장치의 2차필터유닛에 와류스크류가 더 구비된 경우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식물재배 및 어류양식 융합형 농어업장치에 배설물 제거부재가 더 구비된 경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식물재배 및 어류양식 융합형 농어업장치에 폭기관이 더 구비된 경우를 나타내는 단면도.
본 발명은 식물재배와 어류양식을 동시에 실시할 수 있는 농어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개의 프레임 간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지지프레임부(10); 상기 지지프레임부(10)의 내부에 구비되고, 물이 수용되어 어류를 양식하는 수조부(30); 상기 지지프레임부(10)의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수조부(30)의 상부에 안착되어 수조부(30)에서 물을 공급받고, 광원으로부터 빛을 공급받아 식물을 재배하는 식물재배부(40) 및; 상기 수조부(30)의 물을 공급받아 여과하고, 여과된 물을 수조부(30)로 재공급하는 여과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식물재배부(40)는 상기 지지프레임부(10)에서 승하강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식물재배 및 어류양식 융합형 농어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1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에 의한 식물재배 및 어류양식 융합형 농어업장치(이하, ‘농어업장치’라 칭함.)는 수경재배 방식으로 식물을 재배하고, 수경재배 시 사용되는 물을 이용하여 어류를 양식할 수 있는 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여 재배되는 식물은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것이 될 수 있고, 양식되는 어류는 붕어, 미꾸라지, 우렁이 또는 다슬기 등과 같은 민물어패류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것이 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농어업장치는 거시적으로 지지프레임부(10), 수조부(30), 식물재배부(40) 및 여과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프레임부(10)는 복수개의 프레임 간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구성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농어업장치의 구조체에 해당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지지프레임부(10)는 도 1과 같이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복수 개의 수직 프레임(11)과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복수 개의 수직 프레임(11) 간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일정의 구조물로 구성되고, 지지프레임부(10)의 내부에는 수조부(30)와 식물재배부(40)가 장착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하기 여과부(50)도 지지프레임부(10)의 내부에 장착되는 구성을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수조부(30)는 상기 지지프레임부(10)의 내부에 구비되고, 물이 수용되어 어류를 양식하는 구성으로서, 일정량의 물을 수용할 수 있고 상부가 열린 상태를 가지는 중공의 수조(31)를 포함하는 구성을 한다.
즉, 상기 수조부(30)는 식물재배와 어류양식에 필요한 물을 동시에 공급하는 수조(31)를 포함하는 구성을 하고, 상기 수조(31)의 상부에는 하기 식물재배부(40)가 배치되어 수조부(30)에서 물을 공급받으며, 물이 수용된 수조(31)의 중공 내부에는 어류가 양식되는 구성을 한다.
이때, 상기 수조부(30)에 포함되는 수조(31)는 상기 지지프레임부(10)에 포함되는 수평 프레임(12)에 안착되며 지지프레임부(10)의 내부에 착탈 가능한 형태로 구비되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수조부(30)에 포함되는 수조(31)에는 수조(31)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물 공급구(35)과 수조(31)에 수용된 물을 배출시킬 수 있는 물 배출구(34)가 형성되는 구성을 하고, 상기 물 배출구(34)는 하기 여과부(50)와 연결되어 오염된 물을 여과부(50)로 배출시키고, 상기 물 공급구(35)는 하기 여과부(50)와 연결되어 여과된 물을 수조부(30)로 재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수조부(30)는 내부에 물이 수용되고 어류가 양식되는 수조(31) 및; 상기 수조(31)의 상부에 안착되고, 수조(31)의 내부에 잠겨지는 복수 개의 섬유사(33)가 하부에 구비되는 섬유사판(32);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섬유사(33)에는 미생물이 종균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구성의 수조부(30)는 거시적으로 수조(31)와 섬유사판(32)을 포함하는 구성을 한다. 이때, 상기 수조(31)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물을 수용시키고 어류를 양식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이고, 상기 섬유사판(32)은 복수 개의 섬유사(33)가 양식되는 어류의 집을 형성시킴과 동시에 섬유사(33)에 종균된 미생물이 수조(31)에서 양식되는 어류의 양식성을 보다 활성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한다.
보다 상세하면, 상기 섬유사판(32)은 일정의 판상 평태로 구성되어 수조(31)의 열린 상부에 안착되고, 섬유사판(32)에는 상하부를 관통시키는 복수 개의 통공이 형성되어 섬유사판(32)의 테두리부를 제외한 다른 부분이 수조(31)에 잠긴 상태에서 수조(31)의 물이 섬유사판(32)의 상부로 유동되어 식물재배부(40)로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섬유사판(32)의 하부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섬유사(33)는 천연수지 또는 합성수재 재질을 가지는 섬유사(33)로 구성되어, 수조(31)에 수용된 물에 잠김으로써 어류의 집을 형성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섬유사(33)에는 어류의 먹이 또는 건강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종류의 미생물이 종균된 상태를 가져, 수조(31)에서 양식되는 어류의 양식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생물의 종류는 재배되는 식물의 종류 및 양식되는 어류의 종류에 따라 적적한 종류의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식물재배부(40)는 상기 지지프레임부(10)의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수조부(30)의 상부에 안착되어 수조부(30)에서 물을 공급받고, 광원으로부터 빛을 공급받아 식물을 재배하는 구성으로서, 수조부(30)의 물을 이용하여 식물을 수경재배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식물재배부(40)는 재배되는 식물을 안착시키고, 안착된 식물이 수조부(30)로부터 물을 계속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일실시예로는, 도 2, 3과 같이 수조부(30)의 상부에 안착되고 내측에 상하를 관통시키는 관통공(41a)이 형성된 가이드 프레임(41); 테두리 부분은 상기 가이드 프레임(41)의 상부에 안착되고, 테두리 부분 안쪽 부분은 상기 관통공(41a)에 내입되며, 복수 개의 포트홀(42a)이 형성된 포트 거치플레이트(42) 및; 상기 포트홀(42a)에 각각 내입되고, 재배되는 식물이 식재된 복수 개의 포트(43);를 포함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구성의 식물재배부(40)는 거시적으로 가이드 프레임(41), 포트 거치플레이트(42) 및 포트(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면, 상기 가이드 프레임(41)은 수조부(30)의 상부에 안착되고 내측에 상하를 관통시키는 관통공(41a)이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테두리 부분의 일부 또는 전부는 상기 수조(31)의 상부 테두리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구성을 하고, 관통공(41a)으로는 포트(43)가 꽂여진 포트 거치플레이트(42)의 테두리 안쪽 부분을 내입시켜, 수조(31)의 물이 포트(43)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포트 거치플레이트(42)는 테두리 부분은 상기 가이드 프레임(41)의 상부에 안착되고, 테두리 부분 안쪽 부분은 상기 관통공(41a)에 내입되며, 복수 개의 포트홀(42a)이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식물이 각각 식재된 포트(43)를 가이드 프레임(41)에 위치고정된 상태로 거치시키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포트 거치플레이트(42)에 형성된 복수 개의 포트홀(42a)은 수평 방향으로 행과 열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포트(43)는 포트 거치플레이트(42)에 형성된 포트홀(42a)에 각각 내입되고, 재배되는 식물이 식재되는 구성으로서, 포트(43)의 상부는 상기 포트 거치플레이트(42)의 포트홀(42a) 내주에 걸린 상태를 유지하고, 하부는 포트홀(42a)을 관통한 후 수조(31)의 중공 상부 일정 위치까지 도달하여 수조(31)에 수용된 물이 포트(43)를 통하여 재배 식물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상기 수조부(30)에 섬유사판(32)이 포함된 경우에는 상기 포트 거치플레이트(42)에 거치된 복수 개의 포트(43) 하부는 상기 섬유사판(32)의 상부 일정 부분에 위치되고, 상기 섬유사판(32)에 형성된 통공을 통하여 섬유사판(32)의 상부로 유동된 물은 포트(43)로 공급될 수 있다.
즉, 상기 구성의 식물재배부(40)에 재배되는 식물은 수조부(30)의 수조(31)에 수용된 물에 포함된 사료의 영양분 및 어류의 배설물에 포함된 영양분을 양분으로 하여 생육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식물재배부(40)는 상기 지지프레임부(10)에서 승하강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식물재배부(40)의 하부에 위치된 수조부(30)의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식물재배부(40)는 식물재배부(40)의 하부에 위치된 수조부(30)의 수조(31)에서 물을 공급받아 식물이 자랄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이때, 상기 식물재배부(40)는 상기 수조부(30)에 대하여 승하강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평상시에는 하강된 상태로 수조부(30)에 안착되어 재배되는 식물이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고, 수조(31)에서 양식되는 어류에 먹이를 주거나, 수조(31) 내부를 청소할 때 또는 어류를 수조(31)에 넣거나 뺄 때 등과 같은 경우에는 수조(31)의 상부와 이격되도록 승강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식물재배부(40)의 승하강 이동은 상기 지지프레임부(10)에 구비된 별도의 실린더 또는 구동모터(44)와 같은 승하강장치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식물재배부(40)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이드 프레임(41), 포트 거치플레이트(42) 및 포트(43)를 포함하여 구성된 경우에는, 도 4와 같이 지지프레임부(10)의 수평 프레임(12) 또는 수직 프레임(11)에 구동모터(44)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프레임(41)은 지지프레임부(10)에 수직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더 구비되는 회전스크류(45)에 이동 가능한 상태로 장착되며, 상기 구동모터(44)에 의한 회전력은 상기 회전스크류(45)를 회전시킴으로써 가이드 프레임(41)(포트(43) 거치 플레이트 및 식물이 식재된 포트(43)를 포함함.)이 승하강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이 승하강 이동 가능한 가이드 프레임(41)과 지지프레임부(10)의 수직 프레임(11)의 사이에는 레일(46)과 레일블럭(47)을 포함하는 레일유닛이 더 구비되는 구성을 하여, 가이드 프레임(41)이 흔들림 없이 승하강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에 의한 농어업장치에는 재배되는 식물의 광합성에 필용한 빛을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광원체(미도시)가 더 구비되는 구성을 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농어업장치가 일반적인 비닐하우스 또는 온실과 같은 시설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태양광이 상기 시설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광원 설치가 불필요할 수도 있고, 태양광이 내부로 인입될 수 없는 건축물에 본 발명에 의한 농어업장치가 시설되는 경우에는 상기 지지프레임부(10) 또는 수조부(30)의 하부에 별도의 광원체가 더 구비되는 구성을 할 수 있고, 상기 광원체는 외부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외부 전원은 실외공간에 별도로 설치된 태양광 발전시설로부터 공급되어 자연에너지를 이용하여 발전된 전원이 상기 광원체에 공급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구성의 수조부(30)와 식물재배부(40)는 단일 개의 수조부(30)의 상부에 단일 개의 식물재배부(40)가 배치된 상태로 구성될 수도 있고, 수조부(30)와 식물재배부(40)가 한 세트로 구성되고, 상기 한 세트의 수조부(30)와 식물재배부(40)는 순차적으로 적측된 복수 개의 것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아울러 상기 조부 및 식물재배부(40)는 순차적으로 적층된 복수 개의 것으로 구성되되, 상기 지지프레임부(10) 또는 수조부(30)의 하부 중 어느 한 부분 이상에는 상기 식물재배부(40)에서 재배되는 식물을 촬영하는 카메라(60)가 구비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카메라(60)는 재배되는 식물 및 양식되는 어류의 상태를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영상기록 저장장치와 연결되어 카메라(60)에서 촬영된 영상이 저장될 수 있고, 관리자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과 연결되어 관리자가 수시로 재배식물 및 어류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여과부(50)는 상기 수조부(30)의 물을 공급받아 여과하고, 여과된 물을 수조부(30)로 재공급하는 구성으로서, 수조(31)에 수용된 물이 항상 깨끗한 상태를 유지될 수 있도록 여과시키는 구성이다.
즉, 상기 여과부(50)는 수조(31)에 형성된 상기 물 배출구(34)와 연통되어 수조(31)에서 물을 인출받은 후 여과시키고, 여과된 물을 다시 수조(31)의 물 공급구(35)로 공급할 수 있으면 다양한 원리에 의한 여과시스템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면, 상기 여과부(50)는 상기 수조부(30)에서 물을 공급받고, 내부에 구비된 필터를 이용하여 물을 필터링하는 필터유닛(50a) 및; 상기 필터유닛(50a)에서 필터링된 물을 공급받아 살균처리한 후 수조부(30)로 재공급하는 살균유닛(50b);을 포함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구성의 여과부(50)는 필터유닛(50a)을 통하여 수조(31)에서 배출된 물에 포함된 입자상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구성이고, 상기 살균유닛(50b)은 필터유닛(50a)에서 필터링된 물을 살균처리하여 세균 및 바이러스를 사멸시키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필터유닛(50a)과 살균유닛(50b)은 단일의 하우징에 장착된 상태로 구성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하우징에 장착된 상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필터유닛(50a)에는 수조(31)에서 배출된 물에 포함된 입자상의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는 필터가 구비되고, 상기 살균유닛(50b)에는 필터유닛(50a)에서 필터링된 물을 살균처리할 수 있는 자외선 광원체가 구비되거나, 살균약품이 투입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살균유닛(50b)에는 살균약품이 투입되고 자외선 광원체도 구비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또한 상기 수조부(30)와 여과부(50)의 사이에는 수조부(30)에서 여과부(50)로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펌프 또는(및) 여과부(50)에서 여과된 물을 다시 수조부(30)로 공급시키기 위한 펌프가 구비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상기 필터유닛(50a)과 살균유닛(50b)의 사이에는 필터유닛(50a)에서 살균유닛(50b)으로 공급되는 필터링된 물을 다공성 필터(51)로 재필터링하는 2차필터유닛(50c)이 더 구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2차필터유닛(50c)은 내부공간(52)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필터링된 물을 유입시키는 필터링수 유입구(53)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상기 다공성 필터(51)에 의하여 필터링된 2차필터링수를 배출시키는 필터링수 배출구(54)가 형성되는 케이싱(50c-1); 상기 케이싱(50c-1)의 내부공간(52)에 내입되는 다공성 필터(51);를 포함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구성의 2차필터유닛(50c)은 상기 여과부(50)에 포함된 필터유닛(50a)에서 필터링된 물을 2차적으로 필터링시키는 구성으로서, 2차필터유닛(50c)에 구비되는 다공성 필터(51)는 상기 여과유닛에 구비되는 필터보다 더 미세한 입자를 필터링할 수 있는 고성능의 필터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2차필터유닛(50c)에서 재필터링된 물은 상기 살균유닛(50b)으로 공급되어 살균된 후 수조부(30)로 재공급되는 구성을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2차필터유닛(50c)은 상기 필터유닛(50a)과 분리 및 장착이 가능하도록 체결될 수 있고, 내부공간(52)에는 미세입자, 미생물 또는 세균성 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는 다공성 필터(51)가 구비되는 구성을 한다.
보다 상세하면, 상기 2차필터유닛(50c)은 도 7과 같이 내부공간(52)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필터링된 물를 유입시키는 필터링수 유입구(53)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상기 다공성 필터(51)에 의하여 필터링된 2차필터링수를 배출시키는 필터링수 배출구(54)가 형성되는 케이싱(50c-1); 상기 케이싱(50c-1)의 내부공간(52)에 내입되는 다공성 필터(5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케이싱(50c-1)은 내부에 상기 다공성 필터(51)를 내입시킬 수 있는 내부공간(52)이 형성되는 구성을 하고, 일측은 필터유닛(50a)의 일측에 체결되고, 타측은 살균유닛(50b)의 타측에 체결되는 구성을 한다.
또한 상기 케이싱(50c-1)의 일측에는 필터유닛(50a)의 일측으로부터 1차적으로 필터링된 물을 유동받을 수 있는 필터링수 유입구(53)가 형성되어 상기 내부공간(52)으로 필터링된 물을 유동시키고, 케이싱(50c-1)의 타측에는 내부공간(52)에 내입된 다공성 필터(51)에 의하여 필터링된 2차필터링수를 살균유닛(50b)으로 유동시킬 수 있는 필터링수 배출구(54)가 형성되는 구성을 한다.
이때, 상기 다공성 필터(51)는 필터링된 물에 포함된 미세입자, 미생물 또는 세균성 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는 것이면 다양한 종류의 것을 이용할 수 있고, 일실시예로는 섬유사 원단에 불소계 여과막이 형성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상기 구성의 다공성 필터(51)는 직조된 원단 또는 부직포와 같은 섬유사 원단에 형성된 기공을 통하여 상기 기공보다 큰 미세입자, 미생물 또는 세균성 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고, 상기 불소계 여과막은 미생물 또는 세균성 물질을 살균시킬 수 있는 효과를 실현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불소계 여과막을 포함하는 섬유사 원단으로 다공성 필터(51)가 구성되는 경우, 상기 다공성 필터(51)는 판상의 형태로 구성된 복수 개의 필터가 상호 적층되어 상기 케이싱(50c-1)의 내부공간(52)에 길이방향으로 채워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섬유사 원단으로 구성되는 다공성 필터(51)는 두께가 얇은 형태의 판상으로 구성되고, 상기와 같은 판상 형태의 다공성 필터(51)는 복수 개가 적층됨으로써 필터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섬유사 원단으로 구성되는 다공성 필터(51)는 케이싱(50c-1)의 내부공간(52)으로 복수 개가 적층되는 구성을 하여, 내부공간(52)에서 2차적으로 필터링되는 필터링된 물이 복수 개의 다공성 필터(51)를 순차적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와 같이 다공성 필터(51)가 판상의 필터 복수 개가 상호 적층되도록 구성되는 경우, 상기 다공성 필터(51)는 부직포 원단과 불소계 여과막을 포함하는 2층 구조 또는 부직포 원단, 불소계 여과막 및 부직포 원단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3층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구성의 다공성 필터(51)는 섬유사 원단인 부직포 원단과 불소계 여과막이 형질 분리된 상태로 별도의 필터링막을 형성하되, 강도가 미흡한 상기 불소계 여과막을 강도가 우수한 부직포 원단으로 보강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부직포 원단은 펌프에 의한 필터링된 물의 유동압을 견딜 수 있도록 하는 강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불소계 여과막은 상기 부직포 원단의 일면에 부착되어 상기 펌프에 의한 필터링된 물의 유동압을 부직포 원단에 지지되며 견딜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부직포 원단과 불소계 여과막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다공성 필터(51)는 상기 부직포 원단과 불소계 여과막이 상호 결착되어 만들어진 2층 구조의 다공성 필터(51)로 구성될 수도 있고, 상기 불소계 여과막에 대한 보강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한 쌍의 부직포 원단의 사이에 상기 불소계 여과막이 내재된 형태로 만들어진 3층 구조의 다공성 필터(51)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케이싱(50c-1)은 내부공간(52)에 상기 다공성 필터(51)를 내입시킬 수 있으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필터링수 유입구(53)과 필터링수 배출구(54)가 형성되는 외부 케이싱(50c-1a); 상기 외부 케이싱(50c-1a)의 중앙에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내입되고, 일측은 상기 외부 케이싱(50c-1a)의 내부공간(52) 일측의 내부면과 이격된 상태로 위치되며, 타측은 상기 필터링수 배출구(54)와 연결되는 내부관(50c-2); 상기 내부관(50c-2)의 외부와 외부 케이싱(50c-1a)의 내부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내부관(50c-2)의 외부와 외부 케이싱(50c-1a)의 내부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외부 케이싱(50c-1a)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길이를 형성하며 상부공간(52-1)과 하부공간(52-2)으로 분할시키는 분할판(55) 및; 일측은 상기 필터링수 유입구(53) 쪽의 외부 케이싱(50c-1a) 내부면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분할판(55)의 일측과 연결되어, 필터링수 유입구(53)에서 유동받은 필터링된 물을 상기 하부공간(52-2)으로만 유동시키는 격판(56);을 포함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외부 케이싱(50c-1a)은 케이싱(50c-1)의 전체 형태를 형성시키고, 내부에 내부공간(52)을 형성시키는 구성으로서, 단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고, 복수 개의 외부 케이싱(50c-1a)이 상호 결합되어 단일의 외부 케이싱(50c-1a)을 형성시킬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외부 케이싱(50c-1a)의 일측에는 상기 필터링수 유입구(53)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필터링수 배출구(54)가 형성되는 구성을 한다.
또한 상기 내부관(50c-2)은 내부공간(52)에서 다공성 필터(51)에 의하여 필터링된 2차필터링수를 외부 케이싱(50c-1a)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구성으로서, 상기 외부 케이싱(50c-1a)과 동일한 방향(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고, 상기 외부 케이싱(50c-1a)의 길이방향 중앙에 내입되는 구성을 한다.
더불어 상기 내부관(50c-2)은 유입구인 일측은 상기 외부 케이싱(50c-1a)의 내부공간(52) 일측에 위치되어 2차필터링수를 유입받고, 내부관(50c-2)의 배출구인 타측은 상기 필터링수 배출구(54)와 연결되는 구성을 하여 2차필터링수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내부관(50c-2)의 유입구인 일측은 상기 외부 케이싱(50c-1a)의 내부공간(52)의 일측 내부면과 이격된 상태를 가져 내부공간(52) 일측 내부면과 내부관(50c-2)의 일측 사이에 형성된 공간(이하, '일측공간(52-3)'이라 칭함.)으로 유동된 2차필터링수를 유입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분할판(55)은 상기 내부관(50c-2)의 외부와 외부 케이싱(50c-1a)의 내부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내부관(50c-2)의 외부와 외부 케이싱(50c-1a)의 내부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외부 케이싱(50c-1a)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길이를 형성하며 상부공간(52-1)과 하부공간(52-2)으로 분할시키는 구성으로서, 상기 외부 케이싱(50c-1a)의 필터링수 유입구(53)를 통하여 내부공간(52)의 일측으로 유입된 필터링된 물을 하부공간(52-2)을 통하여 내부공간(52)의 타측으로 유동시키고, 상기 내부공간(52)의 타측으로 유동된 2차필터링된 물을 상부공간(52-1)을 통하여 다시 내부공간(52)의 일측으로 유동시키는 구성이다.
즉, 상기 분할판(55)은 외부 케이싱(50c-1a)의 내부공간(52)을 상부공간(52-1)과 하부공간(52-2)으로 분할시킴으로써, 필터링된 물을 다공성 필터(51)로서 2회에 걸쳐 필터링시키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상부공간(52-1)과 하부공간(52-2)에는 상기 다공성 필터(51)가 각각 내입되는 구성을 하여, 상부공간(52-1)과 하부공간(52-2)으로 유동되는 2차 필터링된 물을 각각 필터링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분할판(55)에 의하여 분할되는 외부 케이싱(50c-1a)의 내부공간(52)은 필터링수 유입구(53)를 통하여 내부공간(52)으로 유동되는 필터링된 물이 하부공간(52-2)의 일측으로만 유동되고, 하부공간(52-2)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유동된 후 내부공간(52)의 타측으로 유동된 필터링된 물이 유동방향을 반대로 바꾸어 상부공간(52-1)의 타측에서 일측으로 유동되며, 상부공간(52-1)의 일측으로 유동된 2차필터링수가 상기 내부관(50c-2)의 일측에 형성된 유입구로 유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즉, 상기와 같이 필터링된 물이 필터링되며 내부공간(52)의 일측, 하부공간(52-2), 내부공간(52)의 타측, 상부공간(52-1) 및 내부공간(52)의 일측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유동되되, 상기 내부공간(52)의 일측에서 필터링되기 이전의 필터링된 물(필터유닛(50a)에서 유동된 필터링된 물)와 필터링 완료된 2차필터링수가 혼합되지 않도록 내부공간(52)의 일측에는 내부공간(52)의 일측인 일측공간(52-3)을 상부와 하부공간(52-2)으로 나누는 격판(56)이 설치되는 구성을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격판(56)은 일측은 상기 필터링수 유입구(53) 쪽의 외부 케이싱(50c-1a) 내부면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분할판(55)의 일측과 연결되어, 필터링수 유입구(53)에서 유동받은 필터링된 물을 상기 하부공간(52-2)으로만 유동시키는 구성이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분할판(55)의 타측은 내부공간(52)의 타측 내부면과 이격된 상태로 가지도록 구성되어 내부공간(52)의 타측의 일부분인 타측공간(52-4)을 형성시키고, 상기 타측공간(52-4)으로는 하부공간(52-2)의 타측으로 유동된 필터링된 물이 유동된 후 상부공간(52-1)의 타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타측공간(52-4)에는 상기 다공성 필터(51)가 내입되거나 비내입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구성의 케이싱(50c-1)은 필터링된 물을 하부공간(52-2)에 내입된 다공성 필터(51)로 1차 필터링하고, 상부공간(52-1)에 내입된 다공성 필터(51)로써 2차 필터링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정밀한 필터링 효과를 실현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내부관(50c-2)의 내부에는, 외주에 나선형의 날개(57a, 57b)가 구비되고, 하나 이상의 영구자석(58)이 내부에 구비되는 와류스크류(57)가 더 구비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구성의 와류스크류(57)는 내부관(50c-2)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유동되는 2차필터링수를 자화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외주에 구비된 나선형 날개(57a, 57b)는 내부관(50c-2)에서 유동되는 2차필터링수를 회전시켜 2차필터링수가 내부관(50c-2)에서 보다 긴 시간동안 머물수 있도록 하고, 상기 영구자석(58)은 나선형 날개(57a, 57b)에 의하여 내부관(50c-2)에서 회전되며 유동되는 2차필터링수에 자력을 가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와류스크류(57)의 외주에 구비된 나선형 날개(57a, 57b)는 와류스크류(57)의 길이방향으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고, 와류스크류(57)의 길이방향 일부분은 정방향의 회전방향을 가지고, 길이방향의 다른 부분은 역방향의 회전방향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의 와류스크류(57)는 외주에 정방향으로 회전되는 나선형의 정회전 날개(57a)와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나선형의 역회전 날개(57b)가 와류스크류(57)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구성을 하기 때문에, 내부관(50c-2)의 중공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유동되는 2차필터링수가 상기 정회전 날개(57a)가 배치된 부분을 통과할 때에는 정회전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역회전 날개(57b)가 배치된 부분을 통과할 때에는 역회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여, 전체적으로는 내부관(50c-2) 중공 내에서 와류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즉, 상기 와류스크류(57)에 의하여 정회전 날개(57a) 부분을 통과하는 2차필터링수는 정회전으로 회전하며 내부관(50c-2)의 중공 일부분에서 유동되고, 정회전 날개(57a) 부분을 통과한 2차필터링수가 역회전 날개(57b) 부분을 통과할 때에는 역회전으로 회전하며 내부관(50c-2)의 중공 다른 부분에서 유동되는데, 이때, 상기와 같이 2차필터링수가 정회전으로 회전할 때 하기의 영구자석(58)에 의하여 가해지는 자력선과 역회전으로 회전할 때 하기의 영구자석(58)에 의하여 가해지는 자력선을 2차필터링수의 물 분자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된 자력선이 가해질 수 있기 때문에, 2차필터링수의 자화성을 증대시키고, 서로 다른 자화성을 가지는 2차필터링수의 물 분자를 생성시킬 수 있는 효과를 실현시킨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정회전 날개(57a) 부분을 통과한 2차필터링수는 역회전 날개(57b) 부분으로 유동되기 이전에 회전방향이 급격하게 변화되기 때문에, 상기 정회전 날개(57a) 부분과 역회전 날개(57b) 부분의 사이에 형성된 내부관(50c-2) 중공의 일정부분에서는 물의 급격한 회전방향 전환으로 인하여 2차필터링수의 물 입자를 더욱 작게 쪼갤 수 있는 효과가 실현되어, 역회전 날개(57b) 부분으로 유동된 2차필터링수의 자화성이 더욱 증대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상기 수조부(30)에 포함된 수조(31)에 양식되는 어류의 배설물을 제거할 수 있는 배설물 제거부재가 더 구비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배설물 제거부재는 부직포와 같은 원단으로 이루어진 원형의 배설물 흡착원단(36); 상기 배설물 흡착원단(36)을 회전시키고, 상기 수조(31) 내부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복수 개의 회전롤러(37);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회전롤러(37) 중 수조(31)의 어느 한쪽 측부에 위치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회전롤러(37a)는 수조(31)의 상부 쪽에 배치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구성의 배설물 흡착원단(36)은 수조(31)에서 양식되는 어류가 배설한 침전된 배설물을 상부면에 쌓일 수 있도록 하고, 상기와 같이 배설물 흡착원단(36)에 쌓여진 배설물은 상기 복수 개의 회전롤러(37)에 의하여 회전하는 배설물 흡착원단(36)이 상기 수조(31) 측부의 상부 쪽으로 이동될 때 수조(31)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회전롤러(37)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회전롤러(37a)는 모터와 같은 구동체(미도시)와 연결되어 배설물 제거시에 회전될 수 있다.
즉, 상기 구성의 배설물 제거부재는 수조(31)에서 고형물의 형태로 침전되는 배설물만을 필요에 따라 제거시킬 수 있기 때문에, 어류 배설물로 인한 수조(31) 내의 물의 오염을 줄여줄 수 있는 효과를 실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조(31)의 내부에 외부 공기를 수조(31) 내부로 유입시켜 폭기시킬 수 있는 폭기관(38)이 더 구비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폭기관(38)은 수조(31)의 외부에 별도로 마련된 공기 또는 산소 공급장치와 연결되어 공기(또는 산소)를 공급받아 수조(31) 내부에서 폭기시킴으로써, 수조(31)에서 양식되는 어류에 산소를 공급할 수 있고, 수조부(30)의 상부에 위치된 식물재배부(40)에서 재배되는 식물의 뿌리에 보다 풍부한 산소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시킬 수 있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 지지프레임부 11 : 수직 프레임
12 : 수평 프레임 30 : 수조부
31 : 수조 32 : 섬유사판
33 : 섬유사 34 : 물 배출구
35 : 물 공급구 36 : 배설물 흡착원단
37 : 회전롤러 37a : 회전롤러
38 : 폭기관 40 : 식물재배부
41 : 가이드 프레임 41a : 관통공
42 : 포트 거치플레이트 42a : 포트홀
43 : 포트 44 : 구동모터
45 : 회전스크류 46 : 레일
47 : 레일블럭 50 : 여과부
50a : 필터유닛 50b : 살균유닛
50c : 2차필터유닛 50c-1 : 케이싱
50c-1a : 외부 케이싱 50c-2 : 내부관
51 : 다공성 필터 52 : 내부공간
52-1 : 상부공간 52-2 : 하부공간
52-3 : 일측공간 52-4 : 타측공간
53 : 필터링수 유입구 54 : 필터링수 배출구
55 : 분할판 56 : 격판
57 : 와류스크류 57a : 정회전 날개
57b : 역회전 날개 58 : 영구자석
60 : 카메라

Claims (7)

  1. 복수개의 프레임 간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지지프레임부(10);
    상기 지지프레임부(10)의 내부에 구비되고, 물이 수용되어 어류를 양식하는 수조부(30);
    상기 지지프레임부(10)의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수조부(30)의 상부에 안착되어 수조부(30)에서 물을 공급받고, 광원으로부터 빛을 공급받아 식물을 재배하는 식물재배부(40) 및;
    상기 수조부(30)에서 물을 공급받고 내부에 구비된 필터를 이용하여 물을 필터링하는 필터유닛(50a)과, 상기 필터유닛(50a)에서 필터링된 물을 공급받아 살균처리한 후 수조부(30)로 재공급하는 살균유닛(50b) 및 상기 필터유닛(50a)과 살균유닛(50b)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필터유닛(50a)에서 살균유닛(50b)으로 공급되는 필터링된 물을 다공성 필터(51)로 재필터링하는 2차필터유닛(50c)을 포함하는 여과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2차필터유닛(50c)은 내부공간(52)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필터링된 물을 유입시키는 필터링수 유입구(53)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상기 다공성 필터(51)에 의하여 필터링된 2차필터링수를 배출시키는 필터링수 배출구(54)가 형성되는 케이싱(50c-1) 및 상기 케이싱(50c-1)의 내부공간(52)에 내입되는 다공성 필터(51);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식물재배부(40)는 상기 지지프레임부(10)에서 승하강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 및 어류양식 융합형 농어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부(30)는,
    내부에 물이 수용되고 어류가 양식되는 수조(31) 및;
    상기 수조(31)의 상부에 안착되고, 수조(31)의 내부에 잠겨지는 복수 개의 섬유사(33)가 하부에 구비되는 섬유사판(32);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섬유사(33)에는 미생물이 종균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 및 어류양식 융합형 농어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부(30) 및 식물재배부(40)는 순차적으로 적층된 복수 개의 것으로 구성되되,
    상기 지지프레임부(10) 또는 수조부(30)의 하부 중 어느 한 부분 이상에는 상기 식물재배부(40)에서 재배되는 식물을 촬영하는 카메라(60)가 구비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 및 어류양식 융합형 농어업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50c-1)은,
    상기 필터링수 유입구(53)와 필터링수 배출구(54)가 형성되는 외부 케이싱(50c-1a);
    상기 외부 케이싱(50c-1a)의 중앙에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내입되고, 일측은 상기 외부 케이싱(50c-1a)의 내부공간(52) 일측의 내부면과 이격된 상태로 위치되며, 타측은 상기 필터링수 배출구(54)와 연결되는 내부관(50c-2);
    상기 내부관(50c-2)의 외부와 외부 케이싱(50c-1a)의 내부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내부관(50c-2)의 외부와 외부 케이싱(50c-1a)의 내부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외부 케이싱(50c-1a)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길이를 형성하며 상부공간(52-1)과 하부공간(52-2)으로 분할시키는 분할판(55) 및;
    일측은 상기 필터링수 유입구(53) 쪽의 외부 케이싱(50c-1a) 내부면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분할판(55)의 일측과 연결되어, 필터링수 유입구(53)에서 유동받은 2차필터링수를 상기 하부공간(52-2)으로만 유동시키는 격판(56);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 및 어류양식 융합형 농어업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관(50c-2)의 내부에는,
    외주에 나선형의 날개(57a, 57b)가 구비되고, 하나 이상의 영구자석(58)이 내부에 구비되는 와류스크류(57)가 더 구비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 및 어류양식 융합형 농어업장치.
KR1020180079592A 2018-07-09 2018-07-09 식물재배 및 어류양식 융합형 농어업장치 KR101924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9592A KR101924218B1 (ko) 2018-07-09 2018-07-09 식물재배 및 어류양식 융합형 농어업장치
PCT/KR2019/004725 WO2020013430A1 (ko) 2018-07-09 2019-04-18 식물재배 및 어류양식 융합형 농어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9592A KR101924218B1 (ko) 2018-07-09 2018-07-09 식물재배 및 어류양식 융합형 농어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4218B1 true KR101924218B1 (ko) 2018-11-30

Family

ID=64560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9592A KR101924218B1 (ko) 2018-07-09 2018-07-09 식물재배 및 어류양식 융합형 농어업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24218B1 (ko)
WO (1) WO2020013430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50604A (zh) * 2019-05-05 2019-07-26 昆山聚贝机械设计有限公司 鱼花菜的生态养殖系统
WO2020013430A1 (ko) * 2018-07-09 2020-01-16 강석상 식물재배 및 어류양식 융합형 농어업장치
WO2021059015A3 (en) * 2019-09-23 2021-06-17 Katif Tech Ltd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autonomous farming
KR20210126529A (ko) * 2021-10-01 2021-10-20 최정기 큰징거미새우의 다칸 다단 양식 장치
CN114885877A (zh) * 2022-02-23 2022-08-12 中国电建集团华东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分片式可更换海洋牧场网箱结构及其在位运维方法
KR20220132081A (ko) * 2021-03-22 2022-09-30 김성락 바이오플락 다슬기 양식장치
KR20220138599A (ko) * 2021-04-06 2022-10-13 (주)이듬팜 아쿠아포닉스 설비의 수조 칸막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70724A (zh) * 2021-05-21 2021-07-27 闫善泉 一种通用智能型培植矮丛小浆果装置的创制方法
CN113615625B (zh) * 2021-08-20 2022-10-18 新疆兰亭驿酒店管理有限公司 一种基于共生原理的水循环生态鱼缸
CN114145256A (zh) * 2021-09-28 2022-03-08 武汉海树生态农业科技发展有限公司 混合种植中草药及蔬菜防治鱼病的鱼菜共生养殖系统
CN113728842A (zh) * 2021-10-11 2021-12-03 安徽中谷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高钙养心菜种植基培养装置及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0075B1 (ko) * 2013-08-13 2014-03-07 농업회사법인 만나씨이에이 주식회사 식물재배 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KR101813598B1 (ko) 2016-12-19 2017-12-29 그린산업 주식회사 양어 연계형 채소재배 시스템 및 그의 운용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3902B1 (ko) * 2012-05-23 2013-11-27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친환경 농수산 융복합 생산 장치
KR101475891B1 (ko) * 2013-05-31 2014-12-23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바이오피아 수경식물 재배장치
KR101479977B1 (ko) * 2013-09-26 2015-01-09 에프에이테크 주식회사 가정용 수족관 겸용 수경재배장치
KR101924218B1 (ko) * 2018-07-09 2018-11-30 강석상 식물재배 및 어류양식 융합형 농어업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0075B1 (ko) * 2013-08-13 2014-03-07 농업회사법인 만나씨이에이 주식회사 식물재배 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KR101813598B1 (ko) 2016-12-19 2017-12-29 그린산업 주식회사 양어 연계형 채소재배 시스템 및 그의 운용 방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13430A1 (ko) * 2018-07-09 2020-01-16 강석상 식물재배 및 어류양식 융합형 농어업장치
CN110050604A (zh) * 2019-05-05 2019-07-26 昆山聚贝机械设计有限公司 鱼花菜的生态养殖系统
WO2021059015A3 (en) * 2019-09-23 2021-06-17 Katif Tech Ltd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autonomous farming
KR20220132081A (ko) * 2021-03-22 2022-09-30 김성락 바이오플락 다슬기 양식장치
KR102605199B1 (ko) 2021-03-22 2023-11-23 김성락 바이오플락 다슬기 양식장치
KR20220138599A (ko) * 2021-04-06 2022-10-13 (주)이듬팜 아쿠아포닉스 설비의 수조 칸막이장치
KR102608604B1 (ko) * 2021-04-06 2023-12-04 (주)이듬팜 아쿠아포닉스 설비의 수조 칸막이장치
KR20210126529A (ko) * 2021-10-01 2021-10-20 최정기 큰징거미새우의 다칸 다단 양식 장치
KR102452588B1 (ko) 2021-10-01 2022-10-12 최정기 큰징거미새우의 다칸 다단 양식 장치
CN114885877A (zh) * 2022-02-23 2022-08-12 中国电建集团华东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分片式可更换海洋牧场网箱结构及其在位运维方法
CN114885877B (zh) * 2022-02-23 2024-03-29 中国电建集团华东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分片式可更换海洋牧场网箱结构及其在位运维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13430A1 (ko) 2020-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4218B1 (ko) 식물재배 및 어류양식 융합형 농어업장치
KR101923530B1 (ko) 아쿠아포닉스시스템
US5732654A (en) Open air mariculture system and method of culturing marine animals
US5715774A (en) Animal feedstocks comprising harvested algal turf and a method of preparing and using the same
KR101549217B1 (ko) 다변형 바이오플락 아쿠아포닉스 식물재배시스템
US5618428A (en) Filtration system for aquariums
US5778823A (en) Method of raising fish by use of algal turf
CN109258545A (zh) 一种闭环式鱼菜共生系统
JPH06105633A (ja) 魚の養殖方法
TW201216842A (en) Device for farming benthic organisms such as bivalves
CN105638525B (zh) 一种大泷六线鱼的封闭式循环水养殖方法
KR20160091052A (ko) 소형 아쿠아포닉스 시스템
CN104126494A (zh) 一种大叶藻室内长期培养方法与装置
CN106614172A (zh) 沙栖水中生物养殖装置
US758785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ultivation of subaquatic vegetation
KR101222546B1 (ko) 식물공장구조물
WO2002003786A1 (fr) Procede et appareil de mise en culture de zooplancton et culture obtenue
TWM483667U (zh) 養耕共生設備及其水回收系統
KR102143415B1 (ko) 고순도 순환여과시스템을 이용한 아쿠아포닉스장치
CN107711684A (zh) 多功能水产品养殖净水循环系统
KR20190033819A (ko) 정수 시스템이 결합 된 수경 재배 및 양어 장치
CN110447580B (zh) 一种可循环型淡水珍珠养殖方法
CN111919810A (zh) 一种生态立体种养殖装置
CN111134077A (zh) 一种溢流式的荆眼刺尻鱼繁育组缸系统
JP2005080649A (ja) ホタル等の周年飼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