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3914B1 - 액티브 도어 체커 시스템 - Google Patents

액티브 도어 체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3914B1
KR101923914B1 KR1020170083102A KR20170083102A KR101923914B1 KR 101923914 B1 KR101923914 B1 KR 101923914B1 KR 1020170083102 A KR1020170083102 A KR 1020170083102A KR 20170083102 A KR20170083102 A KR 20170083102A KR 101923914 B1 KR101923914 B1 KR 1019239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brake
checker
checker arm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3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장균
이상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to KR1020170083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39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3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39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E05F5/02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e.g. for hoods or trunks
    • E05F5/025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e.g. for hoods or trunk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93Appurtenan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7/00Accessories for wing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액티브 도어 체커 시스템이 개시된다. 개시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 예에 따른 액티브 도어 체커 시스템은 ⅰ)상하 면에 서로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굴곡부를 가지며 일단이 차체 측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 측이 도어의 내측을 지지하는 체커 암과, ⅱ)도어의 내측에 고정되는 캐리어 하우징과, 캐리어 하우징을 수평으로 관통하는 체커 암을 사이에 두고 캐리어 하우징의 내측에서 체커 암의 상하 면에 스프링을 통하여 탄성 지지되는 상하측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캐리어 어셈블리와, ⅲ)캐리어 하우징에 체커 암과 연결되게 설치되며, 모터의 회전 운동을 체커 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고, 체커 암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보조 체커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액티브 도어 체커 시스템 {ACTIVE DOOR CHECKER SYSTEM}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자동차의 액티브 도어 체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 도어의 개폐 범위를 능동적으로 규제하는 액티브 도어 체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도어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로서 도어 체커가 구비되는데, 도어 체커는 차량 도어의 개폐 시 그 도어에 절도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도어 체커는 도어와 차체 사이에서 피봇 역할을 수행하는 힌지와 함께 구비되어 차량의 도어 개폐 시에 적정 열림 각을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도어 체커는 제한된 공간에서 도어의 개폐 시 도어가 완전히 열리거나 닫힘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예방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범위 내에서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도어의 보호 및 더 나아가 사용자를 보호하는 장점을 가진다.
종래의 도어 체커는 일단이 차체에 체결되고 그 타단은 도어 내부로 삽입되되, 절도력을 제공하기 위한 최소한 하나 이상의 굴곡부를 가진 체커 암과, 그 체커 암에 마찰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롤러 어셈블리를 구비한다.
롤러 어셈블리는 스프링과 연결되며, 그 스프링은 체커 암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탄성력에 의하여 롤러 어셈블리를 체커 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롤러 어셈블리와 체커 암 간의 마찰력에 의한 절도력이 발생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도어 체커는 체커 암의 프로파일 형상에 따라 롤러 어셈블리와 체커 암에 상호작용하는 마찰력이 구간별로 달라지고, 이 마찰력의 변화에 따라 체커 에포트가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도어 체커는 체커 암의 임의의 위치에 체커 에포트가 상대적으로 작아지는 굴곡부(오목한 부분)를 설정하여 필요에 따라 1단, 2단, 3단 등으로 이루어진 도어 개폐 단계를 구현하고, 체커 에포트를 초과하는 힘이 작용하지 않으면, 체커 절도력에 의하여 현재의 개폐상태를 그대로 유지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도어 체커는 평지에 차량이 정차된 경우, 도어 개폐 시 사용자에 의하여 도어에 가해진 물리력과 스프링에 의하여 상기 롤러 어셈블리에 인가되는 탄성력이 상호작용에 의하여 체커 절도력을 유지하며 도어 개폐를 가능하게 하는데, 특정 차량 조건에서는 체커 절도력의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람이 강하게 불거나 경사로에 주 정차를 하는 경우, 도어의 자중에 의한 외력이 추가적으로 인가되므로, 최초 의도되었던 체커 절도력에 변화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도어의 자중에 의한 외력이 도어 열림 방향으로 작용하는 경우, 도어락이 해제되면 체커 절도력이 저감되어 도어가 개폐 범위를 벗어나 완전 오픈되면서 이로 인해 도어가 조변 물체(다른 자동차 등)와 충돌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도어의 자중에 의한 외력이 도어 닫힘 방향으로 작용하는 경우, 체커 절도력이 상실되어 도어가 외력에 의해 닫히기 때문에 승차가 어려우며, 사용자와 도어의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예상치 못한 특정 차량 조건에서 도어 개폐량의 한계를 넘어 도어가 완전 오픈되는 경우, 도어의 자중에 의해 도어 체커의 일부 또는 전체가 파손될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어의 개폐 범위를 벗어나는 조건에서 도어를 안정적으로 개폐하여 사용자의 안전 및 체커 부품의 내구 품질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액티브 도어 체커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티브 도어 체커 시스템은, ⅰ)상하 면에 서로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굴곡부를 가지며 일단이 차체 측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 측이 도어의 내측을 지지하는 체커 암과, ⅱ)도어의 내측에 고정되는 캐리어 하우징과, 상기 캐리어 하우징을 수평으로 관통하는 상기 체커 암을 사이에 두고 상기 캐리어 하우징의 내측에서 상기 체커 암의 상하 면에 스프링을 통하여 탄성 지지되는 상하측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캐리어 어셈블리와, ⅲ)상기 캐리어 하우징에 상기 체커 암과 연결되게 설치되며, 모터의 회전 운동을 상기 체커 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고, 상기 체커 암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보조 체커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액티브 도어 체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보조 체커유닛은 상기 캐리어 하우징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모터와, 상기 모터와 연결되게 설치되는 피니언 기어와, 상기 피니언 기어와 치합하며 상기 체커 암의 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랙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액티브 도어 체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상기 체커 암을 기준으로, 상기 캐리어 하우징의 상부 일측 및 하부 타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액티브 도어 체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랙 기어는 상기 체커 암의 양 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설치되며, 상기 각 모터와 연결된 상기 피니언 기어와 치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액티브 도어 체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보조 체커유닛은 상기 모터의 구동축과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축을 연결하는 연결부재에 설치되며,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상기 연결부재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단속하는 브레이크 어셈블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액티브 도어 체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어셈블리는 상기 연결부재를 수용하는 브레이크 하우징과, 상기 브레이크 하우징의 내측에서 상기 연결부재에 설치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에 대응하여 상기 브레이크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브레이크 패드와, 상기 브레이크 하우징에 지지되며, 상기 브레이크 패드로 탄발력을 발휘하는 리턴 스프링과, 상기 브레이크 패드에 대응하여 상기 브레이크 하우징에 설치되는 필드 코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액티브 도어 체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하우징에는 상기 브레이크 패드를 지지하는 복수의 가이드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액티브 도어 체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패드는 상기 필드 코일부가 자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리턴 스프링에 의해 상기 회전판에 밀착되며, 상기 회전판의 회전을 제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액티브 도어 체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필드 코일부는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자화되어 자기력을 발생시키고 그 자기력으로서 상기 브레이크 패드를 상기 회전판으로부터 떨어뜨리며, 상기 회전판의 제동을 해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티브 도어 체커 시스템은, ⅰ)상하 면에 서로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굴곡부를 가지며 일단이 차체 측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 측이 도어의 내측을 지지하는 체커 암과, ⅱ)도어의 내측에 고정되는 캐리어 하우징과, 상기 캐리어 하우징을 수평으로 관통하는 상기 체커 암을 사이에 두고 상기 캐리어 하우징의 내측에서 상기 체커 암의 상하 면에 스프링을 통하여 탄성 지지되는 상하측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캐리어 어셈블리와, ⅲ)상기 캐리어 하우징에 상기 체커 암과 연결되게 설치되며, 모터의 회전 운동을 상기 체커 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고, 상기 체커 암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보조 체커유닛과, ⅳ)차량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 센서와, 바람의 세기를 감지하는 풍동 센서, 및 도어에 근접한 피 감지체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유닛과, ⅴ)상기 센서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감지신호에 기인하여 상기 보조 체커유닛에 설정된 구동신호를 인가하는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액티브 도어 체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보조 체커유닛은 상기 체커 암을 기준으로, 상기 캐리어 하우징의 상부 일측 및 하부 타측에 각각 설치되는 모터와, 상기 각 모터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피니언 기어와, 상기 피니언 기어와 치합하며 상기 체커 암의 양 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설치되는 랙 기어와, 상기 모터의 구동축과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축을 연결하는 연결부재에 설치되며,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상기 연결부재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단속하는 브레이크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액티브 도어 체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도어 래치에 의해 도어의 로킹이 해제되면, 상기 기울기 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제공받아 기울기 계측 값과 기 설정된 기준 값을 비교 분석하고, 상기 기울기 계측 값이 기준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모터에 구동신호를 인가하며, 도어가 설정된 개폐구간으로 개방되면, 상기 모터에 구동 정지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브레이크 어셈블리를 브레이크 오프 모드에서 온 모드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액티브 도어 체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도어 래치에 의해 도어의 로킹이 해제되면, 상기 풍동 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제공받아 풍동 계측 값과 기 설정된 기준 값을 비교 분석하고, 상기 풍동 계측 값이 기준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모터에 구동신호를 인가하며, 도어가 설정된 개폐구간으로 개방되면, 상기 모터에 구동 정지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브레이크 어셈블리를 브레이크 오프 모드에서 온 모드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액티브 도어 체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도어가 개방될 때, 상기 근접 센서가 피 감지체를 감지하면, 상기 모터에 구동 정지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브레이크 어셈블리를 브레이크 오프 모드에서 온 모드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액티브 도어 체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어셈블리는 상기 제어기에 의해 브레이크 온 모드 및 오프 모드로 변환되되, 상기 브레이크 온 모드에서는 상기 필드 코일부가 자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브레이크 패드가 상기 리턴 스프링에 의해 상기 회전판에 밀착되면서 상기 회전판의 회전을 제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액티브 도어 체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센서유닛은 도어의 닫힘 방향으로 상기 피니언 기어에 가해지는 외력을 감지하는 토크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액티브 도어 체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토크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피니언 기어에 설정된 외력이 가해지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브레이크 어셈블리를 브레이크 온 모드에서 오프 모드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액티브 도어 체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어셈블리는 상기 제어기에 의해 브레이크 온 모드 및 오프 모드로 변환되되, 상기 브레이크 오프 모드에서는 상기 필드 코일부에 전기적인 신호를 인가하여 자기력을 발생시키면, 그 자기력으로서 상기 브레이크 패드를 상기 회전판으로부터 떨어뜨리며 상기 회전판의 제동을 해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예상치 못한 특정 차량 조건에서 보조 체커유닛의 구동으로 도어 개폐량의 한계를 넘어 도어가 완전 오픈되지 않게 할 수 있으므로, 도어의 자중에 의해 도어 체커의 일부 또는 전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사용자의 안전 및 체커 부품의 내구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그 외에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티브 도어 체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티브 도어 체커 시스템을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티브 도어 체커 시스템을 도시한 정면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티브 도어 체커 시스템에 적용되는 보조 체커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티브 도어 체커 시스템에 적용되는 보조 체커유닛의 브레이크 어셈블리를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티브 도어 체커 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이 동일한 관계로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의 설명에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수단"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하는 포괄적인 구성의 단위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티브 도어 체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티브 도어 체커 시스템(100)은 차체와 도어 사이에서 도어 개폐 시의 절도감을 제공하면서 도어가 정해진 각도만큼 열려 있을 수 있도록 하는 홀드 기능 및 완전히 열렸을 때 멈추게 하는 스토퍼 기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액티브 도어 체커 시스템(100)은 도어의 개폐 범위를 벗어나는 조건에서 도어를 안정적으로 개폐하여 사용자의 안전 및 체커 부품의 내구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액티브 도어 체커 시스템(100)은 기본적으로, 체커 암(10), 캐리어 어셈블리(20), 보조 체커유닛(40), 센서유닛(80) 그리고 제어기(90)를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티브 도어 체커 시스템을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티브 도어 체커 시스템을 도시한 정면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체커 암(10)은 차체 측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며, 타단 측은 도어의 삽입 홀을 통해 삽입 및 인출되며 도어의 내측을 지지한다.
여기서, 상기 체커 암(10)의 일단은 힌지 브라켓(11)을 통하여 차체 측에 힌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체커 암(10)의 타단에는 도어의 최대 개방 각도를 제한하는 스톱 플레이트(13)가 설치된다.
상기 체커 암(10)은 도어 개폐 시, 도어의 열림량을 제어하기 위해 한 개 이상의 굴곡부(15)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굴곡부(15)는 체커 암(10)의 상하 면에 서로 대응되게 형성된다.
더 나아가, 상기 체커 암(10)은 대략 막대 형태로서 차체 폭 방향으로 수평하게 설치되며, 좌우 길이 중간의 상면과 하면에 굴곡부(15), 즉 길이 방향으로 갈수록 상하 두께가 두꺼워지다가 얇아지는 면이 적어도 두 개 이상 반복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캐리어 어셈블리(20)는 도어 개폐 시, 도어와 함께 이동하며 체커 암(10)의 굴곡부(15)와 마찰 접촉으로 지지되어 도어의 개방 각도를 규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캐리어 어셈블리(20)는 도어 패널의 내측에 설치되는 바, 캐리어 하우징(21) 및 상하측 슬라이더(23)를 포함한다.
상기 캐리어 하우징(21)은 도어 패널의 내측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상기 캐리어 하우징(21)은 도어의 인너 패널 내측에 구비된 베이스 플레이트(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체커 암(10)은 캐리어 하우징(21)을 수평으로 관통하여 설치된다.
상기 상하측 슬라이더(23)는 캐리어 하우징(21)을 수평으로 관통하는 체커 암(10)을 사이에 두고 그 캐리어 하우징(21)의 내측에서 체커 암(10)의 상하 면에 스프링(25)을 통하여 탄성 지지된다.
이러한 상하측 슬라이더(23)는 내측에 스프링(25)의 일단부가 삽입 고정되고, 그 스프링(25)의 타단부는 캐리어 하우징(21)의 내측 상단 또는 하단에 지지된다. 상기 상하측 슬라이더(23)는 스프링(25)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캐리어 하우징(21)의 상부와 하부에 걸리며, 캐리어 하우징(21)의 내부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상하측 슬라이더(23)는 도어의 개폐 시, 체커 암(10)의 굴곡부(15)를 따라 이동하면서 그 굴곡부(15)에 지지됨으로써 도어의 열림 각도를 규제할 수 있다. 즉, 상기 상하측 슬라이더(23)는 도어 개폐 시, 체커 암(10)의 굴곡부(15)을 따라 이동하면서 굴곡부(15) 사이의 홈부에 걸림으로써 굴곡부(15)에 의해 지지되어 도어의 개방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하측 슬라이더(23)는 체커 암(10)의 상하 면에 구름 접촉하며 회전하는 롤러(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체커 암(10) 및 캐리어 어셈블리(20)의 구성은 당 업계에 널리 알려진 공지 기술의 도어 체커 구성으로 이루어지므로, 본 명세서에서 그 구성의 더욱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보조 체커유닛(40)은 도어의 오픈 시, 외력에 위해 도어의 개폐 범위를 벗어나는 예상치 못한 특정 차량 조건 예를 들면, 경사로에 차량을 주차하는 경우, 바람이 강하게 부는 경우 등의 조건에서 도어가 개폐량의 한계를 넘어 오픈되지 않게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보조 체커유닛(40)은 캐리어 하우징(21)에 체커 암(10)과 연결되게 설치되는 바, 모터(41)의 회전 운동을 체커 암(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고, 체커 암(10)을 선택적으로 구속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티브 도어 체커 시스템에 적용되는 보조 체커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보조 체커유닛(40)은 적어도 하나의 모터(41), 피니언 기어(43), 랙 기어(45) 그리고 브레이크 어셈블리(51)를 포함한다.
상기 모터(41)는 회전력, 회전 속도 및 회전 범위의 제어가 용이한 스탭 모터로 구비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체커 암(10)을 기준으로 캐리어 하우징(21)의 상부 일측 및 하부 타측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피니언 기어(43)는 회전축(44)을 통하여 각 모터(41)의 구동축(42)에 연결되며, 그 구동축(4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랙 기어(45)는 피니언 기어(43)와 치합하며 체커 암(10)의 양쪽 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브레이크 어셈블리(51)는 모터(41)의 구동축(42)과 피니언 기어(43)의 회전축(44)을 연결하는 연결부재(47)에 설치되며,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연결부재(47)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단속(구속 또는 제동)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브레이크 어셈블리(51)는 뒤에서 더욱 설명될 제어기(90)에 의해 브레이크 온 모드 및 브레이크 오프 모드로 변환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티브 도어 체커 시스템에 적용되는 보조 체커유닛의 브레이크 어셈블리를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브레이크 어셈블리(51)는 브레이크 하우징(53), 회전판(55), 브레이크 패드(57), 리턴 스프링(59) 그리고 필드 코일부(61)를 포함한다.
상기 브레이크 하우징(53)은 연결부재(47)를 수용하는데, 모터(41)의 구동축(42)과 피니언 기어(43)의 회전축(44)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회전판(55)은 브레이크 하우징(53)의 내측에서 연결부재(47)에 설치되는 것으로, 브레이크 패드(57)와 실질적으로 마찰 접촉될 수 있는 원판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에서 브레이크 패드(57)는 회전판(55)에 대응하여 브레이크 하우징(53)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브레이크 패드(57)는 복수 개의 가이드부재(58)에 의해 브레이크 하우징(53)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부재(58)는 브레이크 하우징(53)에 설치되며 브레이크 패드(57)의 이동을 지지한다.
상기 리턴 스프링(59)은 브레이크 패드(57)에 탄발력을 발휘하는 것으로, 브레이크 하우징(53)에 설치된다. 상기 리턴 스프링(59)은 코일 스프링으로 구비되며, 브레이크 하우징(53)에 형성된 스프링 장착홈(63)에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리턴 스프링(59)의 일측 단부는 브레이크 패드(57)에 지지되고, 다른 일측 단부는 스프링 장착홈(63)에 지지된다.
상기 필드 코일부(61)는 외부의 전기적인 제어 신호에 따라 전원을 인가받아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브레이크 하우징(53)의 내부에서 브레이크 패드(57)에 대응되게 설치된다. 이러한 필드 코일부(61)는 자기력에 의해 자화될 수 있는 코일 케이스(65)의 내부에 코일(67)이 설치된 구조로 갖는다.
따라서, 상기 브레이크 패드(57)는 필드 코일부(61)가 자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리턴 스프링(59)에 의해 회전판(55)에 밀착되며, 그 회전판(55)의 회전을 제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드 코일부(61)는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자화되어 자기력을 발생시키고 그 자기력으로서 브레이크 패드(57)를 회전판(55)으로부터 떨어뜨리며, 그 회전판(55)의 제동을 해제할 수 있다.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센서유닛(80)은 차량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 센서(81), 바람의 세기를 감지하는 풍동 센서(83), 및 도어에 근접한 피 감지체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85)를 포함한다.
이러한 센서유닛(80)의 구성은 일반적으로 차량에 장착되는 공지 기술의 기울기 센서, 풍동 센서 및 근접 센서로 이루어지므로, 본 명세서에서 그 구성의 더욱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기(90)는 도어 체커 시스템(100)의 전반적인 운용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로서,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설정된 프로그램은 본 시스템(100)을 제어하기 위한 일련의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9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센서유닛(80)으로부터 제공되는 감지신호에 기인하여 보조 체커유닛(40)에 설정된 구동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앞서 개시한 도면들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기(90)는 도어 래치에 의해 도어의 로킹이 해제되면, 기울기 센서(81)로부터 감지신호를 제공받아 기울기 계측 값과 기 설정된 기준 값을 비교 분석한다. 이에 상기 기울기 계측 값이 기준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어기(90)는 모터(41)에 구동신호를 인가한다. 이에 따라 도어가 설정된 개폐구간으로 개방되면, 상기 제어기(90)는 모터(41)에 구동 정지신호를 인가하고, 브레이크 어셈블리(51)를 브레이크 오프 모드에서 온 모드로 변환한다.
또한, 상기 제어기(90)는 도어 래치에 의해 도어의 로킹이 해제되면, 풍동 센서(83)로부터 감지신호를 제공받아 풍동 계측 값과 기 설정된 기준 값을 비교 분석한다. 이에 상기 풍동 계측 값이 기준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어기(90)는 모터(41)에 구동신호를 인가한다. 이에 따라 도어가 설정된 개폐구간으로 개방되면, 상기 제어기(90)는 모터(41)에 구동 정지신호를 인가하고, 브레이크 어셈블리(51)를 브레이크 오프 모드에서 온 모드로 변환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기(90)는 도어가 개방될 때, 근접 센서(85)가 피 감지체(예를 들면, 도어 주변 물체)를 감지하면, 모터(41)에 구동 정지신호를 인가하고, 브레이크 어셈블리(51)를 브레이크 오프 모드에서 온 모드로 변환한다.
여기서, 상기 브레이크 어셈블리(51)의 브레이크 온 모드는 필드 코일부(61)가 자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브레이크 패드(57)가 리턴 스프링(59)에 의해 회전판(55)에 밀착되면서 그 회전판(55)의 회전을 제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브레이크 어셈블리(51)의 브레이크 오프 모드는 필드 코일부(61)에 전기적인 신호를 인가하여 자기력을 발생시키면, 그 자기력으로서 브레이크 패드(57)를 회전판(55)으로부터 떨어뜨리며 그 회전판(55)의 제동을 해제할 수 있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센서유닛(80)은 도어의 닫힘 방향으로 보조 체커유닛(40)의 피니언 기어(43)에 가해지는 외력을 감지하는 토크센서(87)를 더 포함한다.
상기 토크센서(87)는 당 업계에서 FT 센서라고도 하며, 도어를 통해 피니언 기어(43)에 가해지는 외력의 방향 및 강도를 감지한다. 여기서, 상기 토크센서(87)는 개방된 도어를 닫기 위해 도어의 닫힘 방향으로 도어에 외력(예를 들면, 도어의 하중 보다 큰 외력)을 인가하면, 피니언 기어(43)에 가해지는 외력의 방향 및 강도를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기(90)는 토크센서(87)로부터 감지신호를 제공받아 피니언 기어(43)에 도어의 닫힘 방향으로 설정된 외력이 가해지는 것으로 판단되면, 브레이크 어셈블리(51)를 브레이크 온 모드에서 오프 모드로 변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티브 도어 체커 시스템(100)의 작동을 앞서 개시한 도면들 및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기로 한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티브 도어 체커 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우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평상 시(특정 차량 조건이 아닌 경우), 도어를 개방하기 시작하면, 캐리어 하우징(21) 내부의 스프링(25)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상하측 슬라이더(23)가 체커 암(10)의 상면과 하면에 접촉하며 그 체커 암(10)의 차체 힌지 결합부 측에서 멀어지게 된다.
계속해서 도어를 개방시키면, 도어를 따라 이동하는 캐리어 하우징(21) 내부의 상하측 슬라이더(23)가 체커 암(10)의 굴곡부(15) 사이에 형성된 홈부에 걸림으로써 그 굴곡부(15)에 의해 지지되어 도어의 개방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어 체커의 작용은 당 업계에서 널리 알려진 공지 기술이므로, 본 명세서에서 더욱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예를 들어, 경사로에 차량을 주차한 경우, 기울기 센서(81)는 차량의 기울기를 계측하고 그 계측 값을 제어기(90)로 출력한다. 이 상태에서 도어 래치에 의해 도어의 로킹이 해제되면서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제어기(90)는 기울기 센서(81)로부터 감지 신호를 제공받아 기울기 계측 값과 기 설정된 기준 값을 비교 분석한다. 이에, 상기 제어기(90)는 기울기 계측 값이 기준 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보조 체커유닛(40)의 모터(41)에 구동신호를 인가한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예를 들어, 바람이 강하게 부는 경우, 풍동 센서(83)는 풍동(바람의 세기)을 계측하고 그 계측 값을 제어기(90)로 출력한다. 이 상태에서 도어 래치에 의해 도어의 로킹이 해제되면서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제어기(90)는 풍동 센서(83)로부터 감지 신호를 제공받아 풍동 계측 값과 기 설정된 기준 값을 비교 분석한다. 이에, 상기 제어기(90)는 풍동 계측 값이 기준 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보조 체커유닛(40)의 모터(41)에 구동신호를 인가한다.
그러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도 8에서와 같이, 모터(41)의 구동축(42)이 회전함에 따라 그 구동축(42)에 회전축(44)을 통해 연결된 피니언 기어(43) 또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체커 암(10)의 랙 기어(45)에 피니언 기어(43)의 회전력이 제공되며 그 피니언 기어(43)의 회전 운동이 체커 암(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 운동으로 변환되면서 상술한 바와 같은 도어 체커의 작용으로 도어를 설정된 개폐구간(개폐각도)으로 개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보조 체커유닛(40)의 브레이크 어셈블리(51)는 제어기(90)에 의해 도 9의 (a)에서와 같이 브레이크 오프 모드를 유지하고 있다.
상기 브레이크 오프 모드에서 브레이크 어셈블리(51)의 필드 코일부(61)는 외부의 전기적인 제어 신호에 따라 전원을 인가받아 자기력을 발생시킨다. 즉, 상기 필드 코일부(61)는 코일(67)에 전원이 인가되면서 자기력이 발생하게 되고, 그 자기력으로서 코일 케이스(65)를 자화시킨다.
그러면, 상기 브레이크 어셈블리(51)의 브레이크 패드(57)는 리턴 스프링(59)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판(55)에 밀착된 상태에서, 필드 코일부(61)의 자기력에 의해 리턴 스프링(59)의 탄성력을 극복하며 회전판(55)으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이에 상기 브레이크 패드(57)는 가이드부재(58)에 가이드되면서 코일 케이스(65) 측으로 이동하며 그 코일 케이스(65)에 부착되면서 회전판(55)의 제동을 해제한다.
이렇게 도어가 설정된 개폐구간으로 개방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기(90)는 모터(41)에 구동 정지신호를 인가하고, 브레이크 어셈블리(51)를 도 9의 (b)에서와 같이 브레이크 오프 모드에서 온 모드로 변환한다.
상기 브레이크 온 모드에서는 필드 코일부(61)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면, 그 필드 코일부(61)의 코일 케이스(65)가 자화되지 않기 때문에, 브레이크 패드(57)는 리턴 스프링(59)의 탄성력에 의해 코일 케이스(65)에서 반대측으로 이동하며 회전판(55)에 밀착됨으로써 회전판(55)의 회전을 제동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작용을 통하여 도어를 개방하는 과정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근접 센서(85)는 도어 주변의 피 감지체를 감지하고 그 감지신호를 제어기(90)로 출력한다. 이에 상기 제어기(90)는 모터(41)에 구동 정지신호를 인가하고, 브레이크 어셈블리(51)를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오프 모드에서 온 모드로 변환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브레이크 온 모드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차량의 기울기 및 바람에 의해 도어에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브레이크 어셈블리(51)에 의해 체커 암(10)을 구속하여 도어의 개방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도어의 오픈 시, 외력에 의해 도어의 개폐 범위를 벗어나는 예상치 못한 특정 차량 조건에서 보조 체커유닛(40)의 구동으로 도어의 개방 각도를 유지하며, 도어가 개폐량의 한계를 넘어 오픈되지 않게 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예상치 못한 특정 차량 조건에서 도어 개폐량의 한계를 넘어 도어가 완전 오픈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도어의 자중에 의해 도어 체커의 일부 또는 전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사용자의 안전 및 체커 부품의 내구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와 같이 브레이크 온 모드를 유지하며 도어의 개방 각도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그 개방된 도어를 닫는 경우, 토크센서(87)는 피니언 기어(43)에 가해지는 외력의 방향(도어의 닫힘 방향) 및 강도를 감지하고 그 감지 신호를 제어기(90)로 출력한다.
이에, 상기 제어기(90)는 토크센서(87)로부터 감지신호를 제공받아 피니언 기어(43)에 도어의 닫힘 방향으로 설정된 외력이 가해지는 것으로 판단되면, 브레이크 어셈블리(51)를 브레이크 온 모드에서 오프 모드로 변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브레이크 오프 모드로 설정되기 때문에, 도어를 닫을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체커 암 11: 힌지 브라켓
13: 스톱 플레이트 15: 굴곡부
20: 캐리어 어셈블리 21: 캐리어 하우징
23: 상하측 슬라이더
25: 스프링 40: 보조 체커유닛
41: 모터 42: 구동축
43: 피니언 기어 44: 회전축
45: 랙 기어 47: 연결부재
51: 브레이크 어셈블리 53: 브레이크 하우징
55: 회전판 57: 브레이크 패드
58: 가이드부재 59: 리턴 스프링
61: 필드 코일부 63: 스프링 장착홈
65: 코일 케이스 67: 코일
80: 센서유닛 81: 기울기 센서
83: 풍동 센서 85: 근접 센서
87: 토크센서 90: 제어기

Claims (19)

  1. 상하 면에 서로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굴곡부를 가지며 일단이 차체 측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 측이 도어의 내측을 지지하는 체커 암;
    도어의 내측에 고정되는 캐리어 하우징과, 상기 캐리어 하우징을 수평으로 관통하는 상기 체커 암을 사이에 두고 상기 캐리어 하우징의 내측에서 상기 체커 암의 상하 면에 스프링을 통하여 탄성 지지되는 상하측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캐리어 어셈블리; 및
    상기 캐리어 하우징에 상기 체커 암과 연결되게 설치되며, 모터의 회전 운동을 상기 체커 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고, 상기 체커 암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보조 체커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보조 체커유닛은, 상기 캐리어 하우징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모터와, 상기 모터와 연결되게 설치되는 피니언 기어와, 상기 피니언 기어와 치합하며 상기 체커 암의 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랙 기어와, 상기 모터의 구동축과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축을 연결하는 연결부재에 설치되며,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상기 연결부재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단속하는 브레이크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도어 체커 시스템.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상기 체커 암을 기준으로, 상기 캐리어 하우징의 상부 일측 및 하부 타측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도어 체커 시스템.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랙 기어는,
    상기 체커 암의 양 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설치되며, 상기 각 모터와 연결된 상기 피니언 기어와 치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도어 체커 시스템.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어셈블리는,
    상기 연결부재를 수용하는 브레이크 하우징과,
    상기 브레이크 하우징의 내측에서 상기 연결부재에 설치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에 대응하여 상기 브레이크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브레이크 패드와,
    상기 브레이크 하우징에 지지되며, 상기 브레이크 패드로 탄발력을 발휘하는 리턴 스프링과,
    상기 브레이크 패드에 대응하여 상기 브레이크 하우징에 설치되는 필드 코일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도어 체커 시스템.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하우징에는,
    상기 브레이크 패드를 지지하는 복수의 가이드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도어 체커 시스템.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패드는,
    상기 필드 코일부가 자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리턴 스프링에 의해 상기 회전판에 밀착되며, 상기 회전판의 회전을 제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도어 체커 시스템.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필드 코일부는,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자화되어 자기력을 발생시키고 그 자기력으로서 상기 브레이크 패드를 상기 회전판으로부터 떨어뜨리며, 상기 회전판의 제동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도어 체커 시스템.
  10. 상하 면에 서로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굴곡부를 가지며 일단이 차체 측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 측이 도어의 내측을 지지하는 체커 암;
    도어의 내측에 고정되는 캐리어 하우징과, 상기 캐리어 하우징을 수평으로 관통하는 상기 체커 암을 사이에 두고 상기 캐리어 하우징의 내측에서 상기 체커 암의 상하 면에 스프링을 통하여 탄성 지지되는 상하측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캐리어 어셈블리;
    상기 캐리어 하우징에 상기 체커 암과 연결되게 설치되며, 모터의 회전 운동을 상기 체커 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고, 상기 체커 암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보조 체커유닛;
    차량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 센서와, 바람의 세기를 감지하는 풍동 센서, 및 도어에 근접한 피 감지체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유닛; 및
    상기 센서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감지신호에 기인하여 상기 보조 체커유닛에 설정된 구동신호를 인가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 체커유닛은, 상기 체커 암을 기준으로, 상기 캐리어 하우징의 상부 일측 및 하부 타측에 각각 설치되는 모터와, 상기 각 모터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피니언 기어와, 상기 피니언 기어와 치합하며 상기 체커 암의 양 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설치되는 랙 기어와, 상기 모터의 구동축과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축을 연결하는 연결부재에 설치되며,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상기 연결부재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단속하는 브레이크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도어 체커 시스템.
  11. 삭제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어셈블리는,
    상기 연결부재를 수용하는 브레이크 하우징과,
    상기 브레이크 하우징의 내측에서 상기 연결부재에 설치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에 대응하여 상기 브레이크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브레이크 패드와,
    상기 브레이크 하우징에 지지되며, 상기 브레이크 패드로 탄발력을 발휘하는 리턴 스프링과,
    상기 브레이크 패드에 대응하여 상기 브레이크 하우징에 설치되는 필드 코일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도어 체커 시스템.
  13.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도어 래치에 의해 도어의 로킹이 해제되면, 상기 기울기 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제공받아 기울기 계측 값과 기 설정된 기준 값을 비교 분석하고,
    상기 기울기 계측 값이 기준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모터에 구동신호를 인가하며,
    도어가 설정된 개폐구간으로 개방되면, 상기 모터에 구동 정지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브레이크 어셈블리를 브레이크 오프 모드에서 온 모드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도어 체커 시스템.
  14.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도어 래치에 의해 도어의 로킹이 해제되면, 상기 풍동 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제공받아 풍동 계측 값과 기 설정된 기준 값을 비교 분석하고,
    상기 풍동 계측 값이 기준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모터에 구동신호를 인가하며,
    도어가 설정된 개폐구간으로 개방되면, 상기 모터에 구동 정지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브레이크 어셈블리를 브레이크 오프 모드에서 온 모드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도어 체커 시스템.
  15. 제13 항 또는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도어가 개방될 때, 상기 근접 센서가 피 감지체를 감지하면,
    상기 모터에 구동 정지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브레이크 어셈블리를 브레이크 오프 모드에서 온 모드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도어 체커 시스템.
  16.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어셈블리는 상기 제어기에 의해 브레이크 온 모드 및 오프 모드로 변환되되,
    상기 브레이크 온 모드에서는 상기 필드 코일부가 자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브레이크 패드가 상기 리턴 스프링에 의해 상기 회전판에 밀착되면서 상기 회전판의 회전을 제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도어 체커 시스템.
  17.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유닛은,
    도어의 닫힘 방향으로 상기 피니언 기어에 가해지는 외력을 감지하는 토크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도어 체커 시스템.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토크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피니언 기어에 설정된 외력이 가해지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브레이크 어셈블리를 브레이크 온 모드에서 오프 모드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도어 체커 시스템.
  19.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어셈블리는 상기 제어기에 의해 브레이크 온 모드 및 오프 모드로 변환되되,
    상기 브레이크 오프 모드에서는 상기 필드 코일부에 전기적인 신호를 인가하여 자기력을 발생시키면, 그 자기력으로서 상기 브레이크 패드를 상기 회전판으로부터 떨어뜨리며 상기 회전판의 제동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도어 체커 시스템.
KR1020170083102A 2017-06-30 2017-06-30 액티브 도어 체커 시스템 KR1019239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102A KR101923914B1 (ko) 2017-06-30 2017-06-30 액티브 도어 체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102A KR101923914B1 (ko) 2017-06-30 2017-06-30 액티브 도어 체커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3914B1 true KR101923914B1 (ko) 2018-11-30

Family

ID=64561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3102A KR101923914B1 (ko) 2017-06-30 2017-06-30 액티브 도어 체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39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6580B1 (ko) * 2020-03-02 2021-08-06 주식회사 광진 자동차용 도어 개폐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6297A (ja) 2004-02-12 2005-08-25 Asmo Co Ltd 車両用ドア開閉装置および車両用ドアの開閉方法
KR101483944B1 (ko) * 2014-05-14 2015-01-30 인퓨즈 주식회사 자동차용 경사로 도어 개폐 보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6297A (ja) 2004-02-12 2005-08-25 Asmo Co Ltd 車両用ドア開閉装置および車両用ドアの開閉方法
KR101483944B1 (ko) * 2014-05-14 2015-01-30 인퓨즈 주식회사 자동차용 경사로 도어 개폐 보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6580B1 (ko) * 2020-03-02 2021-08-06 주식회사 광진 자동차용 도어 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34817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the closing movement of a chassis component for vehicles
JP2009520893A5 (ko)
CN107801407B (zh) 可马达操作且可竖向移动的门
JP3981429B2 (ja) パワー閉鎖パネル制御装置
JP4644515B2 (ja) 車両用開閉体の半開保持装置
US6125907A (en) Electrically-driven closure apparatus for building
ES2741737T3 (es) Sistema de puerta de vehículo con amortiguación continua de puerta
US7549251B2 (en) Pivoting sliding doors for vehicles
JP4938416B2 (ja) ロック付開閉装置
JP5175186B2 (ja) 家具の可動部の駆動装置
JP2016538442A (ja) 車両ドア制御システム
BR112017018510B1 (pt) Sistema de porta automotivo, módulo de acionamento de potência de porta e método de atuar uma porta
KR20070004060A (ko) 잠금 장치
WO2007092783A1 (en) Movable partition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KR101923914B1 (ko) 액티브 도어 체커 시스템
CN113195858A (zh) 用于机动车门元件的开启设备
JP2006511746A (ja) 遠隔制御パーキングバリア装置
KR20070056266A (ko) 자동차 도어의 개폐 조절장치
US6883856B2 (en) Vehicle door stop system
AU2020419575A1 (en) Door apparatus and parking apparatus equipped therewith
EP1205620A1 (en) Control system for a closure
KR100956199B1 (ko) 차량용 도어체커의 개폐각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US20230304351A1 (en) Power door device
KR20050119494A (ko) 자성체를 이용한 차량 도어 체커
KR100391615B1 (ko) 차량용 도어 록킹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