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3651B1 - 차량 트렁크 부착용 비상 경고판 - Google Patents

차량 트렁크 부착용 비상 경고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3651B1
KR101923651B1 KR1020170090565A KR20170090565A KR101923651B1 KR 101923651 B1 KR101923651 B1 KR 101923651B1 KR 1020170090565 A KR1020170090565 A KR 1020170090565A KR 20170090565 A KR20170090565 A KR 20170090565A KR 101923651 B1 KR101923651 B1 KR 1019236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rning
vehicle
warning plate
lamp modul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0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섭
최윤재
Original Assignee
최영섭
최윤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섭, 최윤재 filed Critical 최영섭
Priority to KR1020170090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36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3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36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emergenc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88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96Mounting of devices using L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 B60Q1/3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mounted in the vicinity, e.g. in the middle, of a rear wind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 B60Q2300/43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following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트렁크 부착용 비상 경고판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트렁크 리드에 부착하여 트렁크 리드를 개방하면 이와 동시에 경고 램프 모듈이 후방에 경고 표시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전자가 차량에서 하차하지 않고 트렁크 개방 조작만 하더라도 후방 차량에 비상 경고 표시를 할 수 있으며, 단순 반사 시트 이외에 LED 램프를 점멸함으로써, 후방 차량에 대한 식별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어 비상 상황시 운전자의 하차에 따른 안전 사고 위험을 방지함은 물론 비상 경고 표시를 더욱 강화하여 2차 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조작 버튼부를 통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경고 램프 모듈의 작동 상태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날씨, 시간 등 외부 환경에 따라 경고 램프 모듈을 최적화된 상태로 점멸 조작할 수 있어 더욱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시가잭 및 커넥터 단자를 이용하여 차량 전원에 간편하게 연결하여 동작시킬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을 더욱 강화시킨 차량 트렁크 부착용 비상 경고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 트렁크 부착용 비상 경고판{Emergency Alarm Panel Being Adhered on Trunk Lid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트렁크 부착용 비상 경고판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트렁크 리드에 부착하여 트렁크 리드를 개방하면 이와 동시에 경고 램프 모듈이 후방에 경고 표시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전자가 차량에서 하차하지 않고 트렁크 개방 조작만 하더라도 후방 차량에 비상 경고 표시를 할 수 있으며, 단순 반사 시트 이외에 LED 램프를 점멸함으로써, 후방 차량에 대한 식별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어 비상 상황시 운전자의 하차에 따른 안전 사고 위험을 방지함은 물론 비상 경고 표시를 더욱 강화하여 2차 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조작 버튼부를 통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경고 램프 모듈의 작동 상태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날씨, 시간 등 외부 환경에 따라 경고 램프 모듈을 최적화된 상태로 점멸 조작할 수 있어 더욱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시가잭 및 커넥터 단자를 이용하여 차량 전원에 간편하게 연결하여 동작시킬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을 더욱 강화시킨 차량 트렁크 부착용 비상 경고판에 관한 것이다.
도로 위를 주행하다가 고장이나 사고 등으로 인하여 정상적인 주행이 불가능할 경우, 차량 운전자는 차량 후방에 비상 삼각대를 신속히 설치하여 후방 차량의 운전자에게 그 상황을 미리 알려줌으로써 또 다른 사고의 발생을 방지하도록 해야 하며, 현재 이와 같은 비상 삼각대를 차량에 휴대하도록 하는 것을 의무사항으로 규정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비상 삼각대는, 차량에서 150~200m 정도 떨어진 후방에다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는 번거롭고 불편할 뿐만 아니라 야간이나 우천, 안개 등의 상황으로 인하여 시야 확보에 어려움이 있는 경우에는 비상 삼각대를 설치하러 이동하다가 후방 차량에 의하여 사고를 당할 수도 있는바, 설치 시 위험성 문제가 끊임없이 제기되어 왔다.
이러한 설치 위험성 문제로 인해, 고속도로 또는 일반 도로에서 운전자는 차량의 고장 발생시, 차량을 갓길 등에 주차한 상태로 차량에서 내리지 않고 단순히 비상등만 작동시킨 상태로 비상 삼각대 설치 없이 차량 안에 그대로 앉아있는 경우가 빈번하며, 이 경우, 이를 인지하지 못한 후속 차량에 의해 또 다른 사고가 연쇄적으로 발생하는 등 대형 사고로 이어지는 경우도 있다.
또한, 종래의 비상 삼각대는 삼각대에 부착된 반사지를 통한 빛의 반사에 의해서만 후방 차량의 운전자에게 식별될 수 있는바, 야간이나 우천 시에는 그 식별능이 현저히 떨어진다는 문제도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10-1476834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트렁크 리드에 부착하여 트렁크 리드를 개방하면 이와 동시에 경고 램프 모듈이 후방에 경고 표시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전자가 차량에서 하차하지 않고 트렁크 개방 조작만 하더라도 후방 차량에 비상 경고 표시를 할 수 있으며, 단순 반사 시트 이외에 LED 램프를 점멸함으로써, 후방 차량에 대한 식별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어 비상 상황시 운전자의 하차에 따른 안전 사고 위험을 방지함은 물론 비상 경고 표시를 더욱 강화하여 2차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차량 트렁크 부착용 비상 경고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작 버튼부를 통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경고 램프 모듈의 작동 상태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날씨, 시간 등 외부 환경에 따라 경고 램프 모듈을 최적화된 상태로 점멸 조작할 수 있어 더욱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차량 트렁크 부착용 비상 경고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 1 경고판과 제 2 경고판을 별도의 결합 수단을 통해 결합함으로써, 제 1 경고판과 제 2 경고판을 회동 접철하여 보관이 용이하게 하며, 제 1 경고판과 제 2 경고판의 배치 상태를 다양하게 변경하여 장착할 수 있어 차량의 종류 또는 사고 현장의 상황에 따라 후방 차량에 대한 회피 방향 지시 기능을 더욱 강화할 수 있어 안전 사고 위험을 더욱 강하게 방지할 수 있는 차량 트렁크 부착용 비상 경고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가잭 및 커넥터 단자를 이용하여 차량 전원에 간편하게 연결하여 동작시킬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을 더욱 강화시킨 차량 트렁크 부착용 비상 경고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일면에 경고 램프 모듈이 각각 장착되고 타면에는 차량의 트렁크 리드 내측면에 부착할 수 있도록 벨크로가 구비되는 제 1 경고판 및 제 2 경고판; 및 상기 경고 램프 모듈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경고 램프 모듈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경고판과 제 2 경고판은 별도의 결합 수단에 의해 서로 대향하는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경고 램프 모듈은, 폐곡선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다수개의 LED 램프와, 다수개의 상기 LED 램프에 의해 형성된 폐곡선 내부 영역에 배치되는 반사 시트를 포함하고, 다수개의 상기 LED 램프에 의해 형성되는 폐곡선은 상기 제 1 경고판과 제 2 경고판이 평평하게 위치하도록 전개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경고판과 제 2 경고판의 길이 방향 중심선에 외측 방향을 향하는 꼭지점을 갖는 형태로 상기 길이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트렁크 부착용 비상 경고판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전원 케이블은, 일단에는 커넥터 단자가 형성되고, 타단은 제 1 연결 케이블 및 제 2 연결 케이블로 분기되어 상기 제 1 경고판의 경고 램프 모듈과 상기 제 2 경고판의 경고 램프 모듈에 각각 연결되는 모듈 연결 케이블; 일단에는 커넥터 단자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차량용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시가 잭이 형성되는 차량 연결 케이블; 및 일단에는 각각 상기 모듈 연결 케이블의 커넥터 단자와 연결되도록 이에 대응되는 형태의 커넥터 단자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차량 연결 케이블의 커넥터 단자와 연결되도록 이에 대응되는 형태의 커넥터 단자가 형성되며, 중간 구간에는 상기 경고 램프 모듈의 작동 상태를 선택 조작할 수 있도록 조작 버튼부가 형성되는 버튼 연결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차량 연결 케이블의 커넥터 단자와 상기 모듈 연결 케이블의 커넥터 단자는 상호 연결 가능한 형태로 서로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 버튼부는 상기 경고 램프 모듈의 점멸 방식을 선택 조작할 수 있는 모드 선택 버튼, 상기 경고 램프 모듈의 점멸 속도를 선택 조작할 수 있는 속도 선택 버튼 및 상기 경고 램프 모듈의 광 강도를 선택 조작할 수 있는 강도 선택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 수단은 중간 부분이 접철 가능하도록 연성 재질로 형성되는 결합 본체; 및 상기 결합 본체의 양단에 각각 장착되며 중간 부분에는 상기 제 1 경고판 및 제 2 경고판이 삽입 결합되도록 삽입홈이 형성되는 삽입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 수단의 결합 본체의 일부 구간에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주름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경고판 및 제 2 경고판에는 가장자리 둘레를 감싸며 외부 돌출되는 형태의 테두리 식별부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 수단의 삽입 블록에 형성된 삽입홈은 상기 제 1 경고판 및 제 2 경고판의 테두리 식별부가 삽입 맞물림되도록 이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경고판 및 제 2 경고판은 상기 결합 수단에 의해 다양한 배치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트렁크 리드에 부착하여 트렁크 리드를 개방하면 이와 동시에 경고 램프 모듈이 후방에 경고 표시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전자가 차량에서 하차하지 않고 트렁크 개방 조작만 하더라도 후방 차량에 비상 경고 표시를 할 수 있으며, 단순 반사 시트 이외에 LED 램프를 점멸함으로써, 후방 차량에 대한 식별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어 비상 상황시 운전자의 하차에 따른 안전 사고 위험을 방지함은 물론 비상 경고 표시를 더욱 강화하여 2차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작 버튼부를 통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경고 램프 모듈의 작동 상태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날씨, 시간 등 외부 환경에 따라 경고 램프 모듈을 최적화된 상태로 점멸 조작할 수 있어 더욱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1 경고판과 제 2 경고판을 별도의 결합 수단을 통해 결합함으로써, 제 1 경고판과 제 2 경고판을 회동 접철하여 보관이 용이하게 하며, 제 1 경고판과 제 2 경고판의 배치 상태를 다양하게 변경하여 장착할 수 있어 차량의 종류 또는 사고 현장의 상황에 따라 후방 차량에 대한 회피 방향 지시 기능을 더욱 강화할 수 있어 안전 사고 위험을 더욱 강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가잭 및 커넥터 단자를 이용하여 차량 전원에 간편하게 연결하여 동작시킬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트렁크 부착용 비상 경고판의 전개된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트렁크 부착용 비상 경고판이 일정 각도로 접철된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트렁크 부착용 비상 경고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트렁크 부착용 비상 경고판의 결합 수단에 대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트렁크 부착용 비상 경고판의 사용 태양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트렁크 부착용 비상 경고판의 또 다른 사용 태양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트렁크 부착용 비상 경고판의 전원 케이블에 대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트렁크 부착용 비상 경고판의 전개된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트렁크 부착용 비상 경고판이 일정 각도로 접철된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트렁크 부착용 비상 경고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트렁크 부착용 비상 경고판의 결합 수단에 대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트렁크 부착용 비상 경고판의 사용 태양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트렁크 부착용 비상 경고판의 또 다른 사용 태양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트렁크 부착용 비상 경고판은 차량의 트렁크 리드에 부착하여 트렁크 리드를 개방한 상태에서 차량 후방에 안전 경고 표시를 할 수 있는 장치로서, 일면에 경고 램프 모듈(200)이 각각 장착되는 제 1 경고판(110) 및 제 2 경고판(120)과, 경고 램프 모듈(200)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제 1 경고판(110) 및 제 2 경고판(120)의 경고 램프 모듈(200)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경고판(110)과 제 2 경고판(120)은 일면에 경고 램프 모듈(200)이 장착되도록 평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색상은 경고 램프 모듈(200)의 식별력이 향상되도록 검정색과 같은 어두운 색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경고판(110)과 제 2 경고판(120)은 휴대 보관이 용이하도록 경량 재질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합성수지 재질이나 또는 나무, 종이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경고판(110)과 제 2 경고판(12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결합 수단(300)에 의해 서로 대향하는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 1 경고판(110)과 제 2 경고판(120)은 결합 수단(300)을 중심으로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경고판(110)과 제 2 경고판(120)의 일면에는 경고 램프 모듈(200)이 각각 장착되는데, 경고 램프 모듈(200)은 폐곡선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다수개의 LED 램프(210)와, 다수개의 LED 램프(210)에 의해 형성된 폐곡선 내부 영역에 배치되는 반사 시트(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반사 시트(220)는 고휘도 반사 시트가 적용될 수 있다.
다수개의 LED 램프(210)에 의해 형성되는 폐곡선은 제 1 경고판(110)과 제 2 경고판(120)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행하게 위치하도록 전개된 상태에서 제 1 경고판(110)과 제 2 경고판(120)의 길이 방향 중심선에 외측 방향을 향하는 꼭지점을 갖는 형태로 길이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경고판(110)과 제 2 경고판(120)이 평행하게 전개된 상태에서 경고 램프 모듈(200)은 제 1 경고판(110)과 제 2 경고판(120)이 서로 만나는 중심 지점으로부터 양측 외측 방향으로 화살표 모양을 갖는 형태로 형성되며, 이를 통해 후속 차량에게 양측으로 우회하라는 의미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수개의 LED 램프(210)가 폐곡선을 이루는 형태로 배치됨에 따라 하나의 경고 램프 모듈(200)이 완전한 하나의 문양을 이룸으로써, 외부 식별력을 더욱 명확하게 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경고판(110)과 제 2 경고판(120)에는 경고 램프 모듈(200) 이외에 별도의 위험 안내 문자(140) 또는 문양이 형성될 수 있고, 문자 또는 문양은 고휘도 반사 시트가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차량 트렁크 부착용 비상 경고판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경고판(110)과 제 2 경고판(120)이 전개된 상태로 차량의 크렁크 리드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경고판(110)과 제 2 경고판(120)이 일정 각도로 접철된 상태로 자체적으로 직립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 1 경고판(110)과 제 2 경고판(120)은 도로 지면에 직립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이는 비상 삼각대와 마찬가지 방식으로 설치가 가능하다.
제 1 경고판(110)과 제 2 경고판(120)의 타면에는 제 1 경고판(110)과 제 2 경고판(120)을 차량 트렁크 리드의 내측면에 탈착 가능한 형태로 사용자가 손쉽게 부착 및 탈착시킬 수 있도록 벨크로(500)가 장차될 수 있다. 이러한 벨크로(500)는 제 1 경고판(110)과 제 2 경고판(120)의 면적 전체에 걸쳐 고르게 형성되거나 또는 일 영역에 1개 라인 또는 2개 라인을 갖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 수단(300)은 제 1 경고판(110)과 제 2 경고판(120)을 분리 가능함과 동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데, 이러한 결합 수단(300)은, 중간 부분이 접철 가능하도록 연성 재질로 형성되는 결합 본체(310)와, 결합 본체(310)의 양단에 각각 장착되며 제 1 경고판(110)과 제 2 경고판(120)과 각각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는 경고판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결합 본체(310)는 직물과 같은 연성 재질로 형성되어 자유롭게 접철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경고판 결합부는 연성 재질 또는 강성 재질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벨크로 등을 이용하여 제 1 경고판(110)과 제 2 경고판(120)이 각각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 등 그 형태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경고판 결합부는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본체(310)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삽입 블록(320)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삽입 블록(320)은 중간에 삽입홈(321)이 형성되어 제 1 경고판(110)과 제 2 경고판(120)이 삽입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경고판(110)과 제 2 경고판(120)의 가장자리 둘레에는 제 1 경고판(110)과 제 2 경고판(120)의 가장자리 둘레를 감싸며 외부 돌출되는 형태로 테두리 식별부(130)가 형성될 수 있으며, 테두리 식별부(130)는 반사 시트 등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제 1 경고판(110)과 제 2 경고판(120)의 외부 식별력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다.
이때, 결합 수단(300)의 삽입 블록(320)에 형성된 삽입홈(321)은 제 1 경고판(110)과 제 2 경고판(120)의 테두리 식별부(130)가 삽입 맞물림되도록 이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이러한 구조를 통해 제 1 경고판(110)과 제 2 경고판(120)은 결합 수단(300)에 자유롭게 분리 결합될 수 있다.
특히, 제 1 경고판(110)과 제 2 경고판(120)이 결합 수단(300)에 자유롭게 분리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제 1 경고판(110)과 제 2 경고판(120)은 다양한 배치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경고판(110)과 제 2 경고판(120)의 경고 램프 모듈(200)의 화살표 방향이 일측 방향을 가리키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경고판(110)과 제 2 경고판(120)이 결합 수단(300)에 의해 상하로 배치되어 경고 램프 모듈(200)의 화살표 방향이 동일한 좌측 방향을 가리키도록 배치될 수도 있고,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경고판(110)과 제 2 경고판(120)이 결합 수단(300)에 의해 수평 배치되되 경고 램프 모듈(200)의 화살표 방향이 동일한 좌측 방향을 가리키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 1 경고판(110)과 제 2 경고판(120)의 배치 상태 조절을 통해 경고 램프 모듈(200)의 화살표 방향을 변경함으로써, 후방 주행 차량에 대해 회피 방향을 지시하는 기능을 더욱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결합 수단(300)의 결합 본체(310)의 일부 구간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주름부(31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주름부(311)를 신축함으로써 제 1 경고판(110)과 제 2 경고판(120)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본체(310)의 주름부(311)를 축소시켜 제 1 경고판(110)과 제 2 경고판(120)의 이격 거리를 짧게 함으로써, 전체적인 폭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본체(310)의 주름부(311)를 증가시켜 제 1 경고판(110)과 제 2 경고판(120)의 이격 거리를 길게 함으로써, 전체적인 폭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차량의 트렁크 리드의 종류에 따라 자유롭게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트렁크 부착용 비상 경고판의 전원 케이블에 대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트렁크 부착용 비상 경고판의 전원 케이블(400)은, 모듈 연결 케이블(410)과, 차량 연결 케이블(430)과, 버튼 연결 케이블(420)이 상호 연결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모듈 연결 케이블(410)은 일단에 커넥터 단자(C1)가 형성되고, 타단은 제 1 연결 케이블(411) 및 제 2 연결 케이블(412)로 분기되어 제 1 경고판(110)의 경고 램프 모듈(200)과 제 2 경고판(120)의 경고 램프 모듈(200)에 각각 연결된다.
차량 연결 케이블(430)은 일단에 커넥터 단자(C2)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차량용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시가 잭(C3)이 형성된다.
버튼 연결 케이블(420)은 일단에는 각각 모듈 연결 케이블(410)의 커넥터 단자(C1)와 연결되도록 이에 대응되는 형태의 커넥터 단자(C2)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차량 연결 케이블(430)의 커넥터 단자(C2)와 연결되도록 이에 대응되는 형태의 커넥터 단자(C1)가 형성되며, 중간 구간에는 경고 램프 모듈(200)의 작동 상태를 선택 조작할 수 있도록 조작 버튼부(421)가 형성된다.
모듈 연결 케이블(410)의 일단에 커넥터 단자(C1,C2)를 통해 버튼 연결 케이블(420)이 연결 결합되고, 버튼 연결 케이블(420)의 일단에 커넥터 단자(C1,C2)를 통해 차량 연결 케이블(430)이 연결 결합되며, 차량 연결 케이블(430)의 시가 잭(C3)을 통해 차량 전원을 공급받아 경고 램프 모듈(200)이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중간 구간에 연결되는 버튼 연결 케이블(420)이 없더라도, 차량 연결 케이블(430)과 모듈 연결 케이블(410)이 서로 연결 결합될 수 있도록 차량 연결 케이블(430)의 커넥터 단자(C2)와 모듈 연결 케이블(410)의 커넥터 단자(C1)는 상호 연결 가능한 형태로 서로 대응되게 형성된다. 즉, 서로 결합 가능한 암수 커넥터 형태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조작 버튼부(421)는, 경고 램프 모듈(200)의 점멸 방식을 선택 조작할 수 있는 모드 선택 버튼(421-1)과, 경고 램프 모듈(200)의 점멸 속도를 선택 조작할 수 있는 속도 선택 버튼(421-2)과, 경고 램프 모듈(200)의 광 강도를 선택 조작할 수 있는 강도 선택 버튼(421-3)을 포함할 수 있다.
모드 선택 버튼(421-1)을 통해 경고 램프 모듈(200)의 점멸 방식을 변경할 수 있고, 속도 선택 버튼(421-2)을 통해 점멸 속도, 즉, 점멸 시간 간격을 변경할 수 있으며, 강고 선택 버튼(421-3)을 통해 경고 램프 모듈(200)의 광 강도를 변경할 수 있다. 즉, 낮시간에는 시각적인 효과를 강하게 하기 위해 광 강도를 높게 하고, 밤시간에는 그 자체적으로 시각적인 효과가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광 강도를 낮게 조절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제 1 경고판 120: 제 2 경고판
130: 테두리 식별부 140: 위험 안내 문자
150: 벨크로
200: 경고 램프 모듈
210: LED 램프 220: 반사 시트
300: 결합 수단
310: 결합 본체 311: 주름부
320: 삽입 블록 321: 삽입홈
400: 전원 케이블
410: 모듈 연결 케이블
420: 버튼 연결 케이블 421: 조작 버튼부
430: 차량 연결 케이블

Claims (6)

  1. 일면에 경고 램프 모듈이 각각 장착되고 타면에는 차량의 트렁크 리드 내측면에 부착할 수 있도록 벨크로가 구비되는 제 1 경고판 및 제 2 경고판; 및
    상기 경고 램프 모듈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경고 램프 모듈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
    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경고판과 제 2 경고판은 별도의 결합 수단에 의해 서로 대향하는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경고 램프 모듈은,
    폐곡선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다수개의 LED 램프와, 다수개의 상기 LED 램프에 의해 형성된 폐곡선 내부 영역에 배치되는 반사 시트를 포함하고,
    다수개의 상기 LED 램프에 의해 형성되는 폐곡선은 상기 제 1 경고판과 제 2 경고판이 평평하게 위치하도록 전개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경고판과 제 2 경고판의 길이 방향 중심선에 외측 방향을 향하는 꼭지점을 갖는 형태로 상기 길이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 수단은
    중간 부분이 접철 가능하도록 연성 재질로 형성되는 결합 본체; 및
    상기 결합 본체의 양단에 각각 장착되며 중간 부분에는 상기 제 1 경고판 및 제 2 경고판이 삽입 결합되도록 삽입홈이 형성되는 삽입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 수단의 결합 본체의 일부 구간에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주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트렁크 부착용 비상 경고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케이블은
    일단에는 커넥터 단자가 형성되고, 타단은 제 1 연결 케이블 및 제 2 연결 케이블로 분기되어 상기 제 1 경고판의 경고 램프 모듈과 상기 제 2 경고판의 경고 램프 모듈에 각각 연결되는 모듈 연결 케이블;
    일단에는 커넥터 단자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차량용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시가 잭이 형성되는 차량 연결 케이블; 및
    일단에는 각각 상기 모듈 연결 케이블의 커넥터 단자와 연결되도록 이에 대응되는 형태의 커넥터 단자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차량 연결 케이블의 커넥터 단자와 연결되도록 이에 대응되는 형태의 커넥터 단자가 형성되며, 중간 구간에는 상기 경고 램프 모듈의 작동 상태를 선택 조작할 수 있도록 조작 버튼부가 형성되는 버튼 연결 케이블
    을 포함하고, 상기 차량 연결 케이블의 커넥터 단자와 상기 모듈 연결 케이블의 커넥터 단자는 상호 연결 가능한 형태로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트렁크 부착용 비상 경고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버튼부는
    상기 경고 램프 모듈의 점멸 방식을 선택 조작할 수 있는 모드 선택 버튼, 상기 경고 램프 모듈의 점멸 속도를 선택 조작할 수 있는 속도 선택 버튼 및 상기 경고 램프 모듈의 광 강도를 선택 조작할 수 있는 강도 선택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트렁크 부착용 비상 경고판.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경고판 및 제 2 경고판에는 가장자리 둘레를 감싸며 외부 돌출되는 형태의 테두리 식별부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 수단의 삽입 블록에 형성된 삽입홈은 상기 제 1 경고판 및 제 2 경고판의 테두리 식별부가 삽입 맞물림되도록 이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경고판 및 제 2 경고판은 상기 결합 수단에 의해 다양한 배치 상태로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트렁크 부착용 비상 경고판.

KR1020170090565A 2017-07-17 2017-07-17 차량 트렁크 부착용 비상 경고판 KR1019236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0565A KR101923651B1 (ko) 2017-07-17 2017-07-17 차량 트렁크 부착용 비상 경고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0565A KR101923651B1 (ko) 2017-07-17 2017-07-17 차량 트렁크 부착용 비상 경고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3651B1 true KR101923651B1 (ko) 2018-11-30

Family

ID=64561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0565A KR101923651B1 (ko) 2017-07-17 2017-07-17 차량 트렁크 부착용 비상 경고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365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8511B1 (ko) 2019-05-30 2020-11-13 정상길 차량 탑재형 비상표지 장치
KR102288603B1 (ko) 2021-04-16 2021-08-11 (주)코닉스테크놀로지 차량에 탈부착이 용이한 비상경고판
KR20220001952U (ko) 2021-02-02 2022-08-09 이용성 탈착식 차량용 비상 경고등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6322Y1 (ko) * 2007-03-26 2007-07-27 박란 버스 위험경고장치
KR101668811B1 (ko) * 2015-06-01 2016-10-25 라원택 안전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6322Y1 (ko) * 2007-03-26 2007-07-27 박란 버스 위험경고장치
KR101668811B1 (ko) * 2015-06-01 2016-10-25 라원택 안전 표시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8511B1 (ko) 2019-05-30 2020-11-13 정상길 차량 탑재형 비상표지 장치
KR20220001952U (ko) 2021-02-02 2022-08-09 이용성 탈착식 차량용 비상 경고등
KR102288603B1 (ko) 2021-04-16 2021-08-11 (주)코닉스테크놀로지 차량에 탈부착이 용이한 비상경고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52852B1 (en) Trailer hitch receiver safety light system
EP1692007B1 (en) Emergency signaling device
KR101923651B1 (ko) 차량 트렁크 부착용 비상 경고판
EP2511136B1 (en) Illumination system for vehicle boot
US10539285B1 (en) Vehicle lighting assembly
IE61427B1 (en) Warning triangle for motor vehicles
US6275149B1 (en) Illuminant triangular warning arrangement
CA2296859A1 (en) Warning device for motor vehicle
US10682949B2 (en) Integrally lighted tow bar
KR20130048352A (ko) 차량용 삼각대
KR101506400B1 (ko) 차량용 안전표시등
US10086755B2 (en) Mat including LED safety tripod for automobile
ES2303551T3 (es) Espejo de vehiculo.
WO2018135760A1 (ko) 휴대용 차량 비상 안전표시등
US6439589B1 (en) Trailer step with backlighting
KR101596731B1 (ko) 패턴 점등 기능을 갖는 led가 부착된 안전 삼각대
KR101832990B1 (ko) 차량용 삼각대 및 이를 이용한 신호봉
KR20160123582A (ko) 차량 설치형 안전표지 삼각대
US5751212A (en) Signaling device
GB2215450A (en) Collapsible warning device
WO2015130038A1 (ko) 교통안전표지 삼각대
KR200390328Y1 (ko) 고휘도 엘이디가 구비된 차량용 안전유도판
US11978363B2 (en) Case having car safety warning sign integrated therein
KR101823654B1 (ko) 차량용 접이식 비상표시등
KR20200099719A (ko) 차량용 접이식 비상표시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