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3436B1 - manufacturing method of a portable device - Google Patents

manufacturing method of a portabl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3436B1
KR101923436B1 KR1020110101793A KR20110101793A KR101923436B1 KR 101923436 B1 KR101923436 B1 KR 101923436B1 KR 1020110101793 A KR1020110101793 A KR 1020110101793A KR 20110101793 A KR20110101793 A KR 20110101793A KR 101923436 B1 KR101923436 B1 KR 1019234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ce
wood
portable terminal
log
wood sl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17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37403A (en
Inventor
옥순천
신석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01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3436B1/en
Publication of KR20130037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740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3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343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H04M1/0283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for providing a decorative aspect, e.g. customization of casings, exchangeable facepl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원목을 휴대 단말기의 외관으로 적용한 휴대 단말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압축 성형 또는 합성 수지가 함침된 원목을 통해 원목 슬라이스을 제조하는 공정; 원목 슬라이스의 전면과 배면을 가공하는 표면 처리 공정; 그리고 상기 표면 처리된 원목 슬라이스을 휴대 단말기의 구조물에 부착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휴대 단말기의 제조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ortable terminal in which a log is applied to the exterior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wood slice, comprising: a step of producing a wood slice through compression-molded or impregnated wood; A surface treatment step of processing the front and back surfaces of the wood slice; And attaching the surface treated wood slice to the structure of the portable terminal.

Description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a portable devic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원목을 휴대 단말기의 외관으로 적용한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terminal in which a log is applied to the exterior of a portable terminal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의 휴대가 간편한 장치이며, 통화, 무선인터넷, 방송 수신 등 다양한 형태의 컨텐츠를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이다. 따라서,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IT 기기로서 사용될 뿐만 아니라 하나의 악세서리로 사용된다고 할 수 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A portable terminal is a device that is portable by a user and is capable of performing various types of contents such as a call, a wireless Internet, and a broadcast reception.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portable terminal is used not only as an IT device but also as an accessory.

이러한 휴대 단말기의 특성상 다양한 외관 디자인의 수요가 따르게 되고, 일례로 원목의 느낌을 갖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원목의 느낌은 따뜻하고 자연스러움을 표현하는데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feel of a tree. The feeling of such wood is suitable for expressing warmness and naturalness.

그러나, 원목은 그 자체로 외부의 충격에 깨지거나 흠집이 잘 생길 수 있다. 그리고, 대량 생산되는 휴대 단말기에 적용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However, the wood itself may be cracked or scratched by an external impact.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apply to a mass-produced portable terminal.

도 1은 원목 무늬가 적용된 휴대 단말기(1)의 일례를 보여 주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휴대 단말기의 배면, 즉 배터리 케이스에 원목 무늬가 적용된 휴대 단말기가 도시되어 있다.1 shows an example of a portable terminal 1 to which a wooden pattern is applied. Specifically, a portable terminal to which a log pattern is appli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that is, the battery case is shown.

종래의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원목 무늬는 실제 원목을 사용하지 않고 원목 무늬를 인공적으로 표현한 인공 필름을 사용하여 휴대 단말기를 제조하게 된다. 즉, 실제 원목이 아닌 유사 원목을 사용하여 휴대 단말기(1)를 제조하게 된다.In a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a portable terminal is manufactured using an artificial film that artificially expresses a lumber pattern without using actual lumber. That is, the portable terminal 1 is manufactured using the similar wood rather than the actual wood.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사 원목 필름은 먼저 필름(2) 표면에 원목 패턴(3)을 인쇄하여 제조된다. 즉, 인공적으로 원목 무늬와 유사한 무늬를 인쇄하여 유사 원목 필름(2)을 제조하게 된다. 그리고 유사 원목 필름(2)을 원하는 형상으로 포밍하게 된다. 이러한 단계가 도 2(a)에 도시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 a pseudo-circular film is first produced by printing a tree-like pattern 3 on the surface of the film 2. That is, a pattern similar to a wood-like pattern is artificially printed to produce a pseudo-circular film 2. Then, the similar wood film 2 is formed into a desired shape. This step is shown in Fig. 2 (a).

상기 유사 원목 필름(2)은 휴대 단말기의 구조물, 예를 들어 배터리 케이스(5)에 부착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먼저, 금형(4)에 상기 유사 원목 필름(2)을 인서트시키고 금형(4) 내에 사출물을 인젝팅(7)하여 사출물 표면에 유사 원목 필름(2)을 부착시키게 된다. 이러한 단계가 도 2(b)와 도 2(c)에 도시되어 있다.The pseudo wood film 2 should be attached to the structure of the portable terminal, for example, the battery case 5. To this end, the pseudo-circular film 2 is first inserted into the mold 4, and the injection molding is injected into the mold 4 to attach the pseudo-circular film 2 to the surface of the injection mold. These steps are shown in Figs. 2 (b) and 2 (c).

물론, 양면 테이프나 본드를 통하여 유사 원목 필름(2)을 휴대 단말기의 구조물(5)에 부착하는 방법도 있다. 그러나, 부착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인서트 사출을 통해 휴대 단말기의 구조물에 유사 원목 무늬를 표현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Of course, there is also a method of attaching the like wood film 2 to the structure 5 of the portable terminal through a double-sided tape or a bond. However, in order to increase the adhesive force, a method of expressing a simulated wood pattern on a structure of a portable terminal through an insert injection is generally used.

그러나, 유사 원목 필름은 원목과 최대한 유사하게 제조할 수는 있지만 실제 원목의 느낌과 무늬를 완벽하게 표현할 수는 없다. 따라서 사용자는 유사 원목 필름으로 전달되는 느낌 자체에서 인공적인 느낌을 가질 수밖에 없다. 이러한 이유로 실제 원목을 휴대 단말기의 외관에 적용할 필요성은 있으나, 원목 자체의 특성상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However, a similar wood-based film can be produced as closely as possible to a wood, but it can not perfectly represent the feel and pattern of the actual wood. Thus, the user is forced to have an artificial feeling in the feeling itself transmitted to the pseudo-wooden film. For this reason, it is necessary to apply the actual wood to the appearance of the portable terminal, but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easy due to the nature of the wood itself.

한편, 휴대 단말기의 외장 케이스를 직접 원목으로 가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외장 케이스 자체를 원목으로 제작하는 경우 소량 생산만이 가능하며 그 부피가 지나치게 커지는 문제가 있다. On the other hand, it is also possible to process the external case of the portable terminal directly into a tree. However, when the outer case itself is made of wood, it is possible to produce only a small amount, and the volume thereof becomes too large.

따라서, 실제 원목을 용이하게 적용하여 제작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나 휴대 단말기의 외장 케이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and an external case of the portable terminal that can be manufactured by applying the actual wood easily.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aim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조가 간편하여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that can be manufactured in a simple manner and can be mass-produced.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강도와 수분 저항성을 증진시킨 원목 슬라이스를 통해 휴대 단말기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easily manufacturing a portable terminal through a wood slice with improved strength and moisture resistanc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실시예는, 원목 슬라이스가 견고히 휴대 단말기의 구조물에 부착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고 디자인이 미려한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in which a wood slice can be firmly attached to a structure of a portable terminal, so that it is easy to use and has an attractive design,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압축 성형 또는 합성 수지가 함침된 원목을 통해 원목 슬라이스을 제조하는 공정; 원목 슬라이스의 전면과 배면을 가공하는 표면 처리 공정; 그리고 상기 표면 처리된 원목 슬라이스을 휴대 단말기의 구조물에 부착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휴대 단말기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wood slice, comprising the steps of: preparing a wood slice through compression-molded or impregnated wood; A surface treatment step of processing the front and back surfaces of the wood slice; And attaching the surface treated wood slice to the structure of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압축 성형 도는 합성 수지의 배합된 원목을 통해 강도 보강 및 수분 저항성을 증진시킨 원목 슬라이스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를 통해 보다 얇은 원목 슬라이스를 제조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부피가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t is possible to produce a wood slice in which the strength strengthening and the water resistance are improved through the compounded wood of the synthetic resin. This makes it possible to manufacture thinner slices of wood, thereby preventing the volume of the mobile terminal from increasing.

상기 합성 수지의 함침은 용융 상태의 합성 수지 내부에 원목을 넣고 합성 수지가 원목 내부로 함침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The impregnation of the synthetic resin may mean that the natural wood is put into the molten synthetic resin and the synthetic resin is impregnated into the natural wood.

상기 표면 처리 공정은 상기 원목 슬라이스의 전면에 실제 원목 무늬에 인공 무늬를 조합하기 위한 레이저 에칭 가공 또는 기계 가공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표면 처리 공정은 실제 원목 무늬가 더욱 명확히 구현되도록 하는 공정일 수도 있다. The surface treatment process may include laser etching or machining to combine artificial patterns with actual wood patterns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wood slice. Of course, such a surface treatment process may be a process for realizing a real wood pattern more clearly.

상기 표면 처리 공정은, 상기 레이저 에칭 가공 또는 기계 가공 완료 후 상기 원목 슬라이스의 전면에 문자 인쇄 및 코팅을 위한 마감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슬라이스의 전면에 수행되는 마감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urface treatment process may include a finishing process for text printing and coating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wood slice after the laser etching or machining is completed. That is, it may include a finishing process per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slice.

상기 표면 처리 공정은 상기 구조물과의 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배면에 단차를 형성하는 레이처 에칭 가공 또는 기계 가공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배면의 표면 거칠기를 낮추는 가공이나 단차를 형성하여 결합 면적을 넓히는 가공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surface treatment process may include a lacquer etching process or a machining process which forms a step on the back surface to improve the adhesion with the structure. That is, it may include a process of lowering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back surface or forming a step to widen the bonding area.

이러한 표면 처리 공정은 원목 슬라이스 상태에서 수행될 수 있고, 원목 슬라이스가 구조물에 부착된 후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This surface treatment process can be performed in the log slice state, and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log slice is performed after it is attached to the structure.

상기 부착 공정은 열융착 공정을 포함할 수 있고, 인서트 사출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The attachment process may include a thermal fusion process and may include an insert injection process.

상기 인서트 사출 공정은 평면 구조물과 원목 슬라이스의 부착 그리고 곡면 구조물 형성을 위하여 복수 회 수행될 수 있다. 즉, 일차적으로 평면 구조물과 원목 슬라이스의 부착을 위한 인서트 사출, 그리고 곡면 구조물을 형성함과 동시에 이를 상기 평면 구조물과 원목 술라이스와 결합시키기 위한 인서트 사출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sert injection process may be performed a plurality of times to attach the planar structure and the wood slice and to form the curved structure. That is, insert injection for attaching a planar structure and a wood slice primarily, and insert injection for forming a curved structure and combining it with the planar structure and the raw wood slice can be included.

구체적으로는 구조물의 중심부를 형성하기 위한 사출과 구조물의 외각을 형성하기 위한 사출을 포함할 수 있다. 이전 사출은 구조물과 원목 슬라이스의 배면 사이의 결합을 위한 것이며, 나중 사출은 구조물과 원목 슬라이스의 전면 사이의 결합을 위한 것이라 할 수 있다.Specifically, it may include an injection to form a central portion of the structure and an injection to form an outer periphery of the structure. The previous injection is for joining between the structure and the back of the log slice, and the later injection is for joining between the structure and the front of the log slice.

나중 사출은 원목 슬라이스의 외각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곡면 등 다양한 형태의 외각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다. The later injection may be formed on the outer edge of the wood slice. Accordingly, various types of outer shell structures such as curved surfaces can be formed.

상기 원목 슬라이스 제조 공정은 홀 형성 공정, 그리고 상기 홀에 인서트 사출 또는 억지 끼움으로 광원이 투과되는 투명 폴리머 윈도우를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투명 폴리머 윈도우는 휴대 단말기의 키 또는 키패드 그리고 키보드의 키 또는 키패드를 형성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 The wood slice manufacturing process may include a hole forming process and a process of forming a transparent polymer window through which the light source is transmitted by insert injection or interference fit in the hole. This transparent polymer window can be applied to form keys or keypads of a portable terminal and keys or keypads of a keyboard.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의 구조물은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커버일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의 전면 커버 또는 전면 케이스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휴대 단말기를 보호하는 외장 케이스도 이러한 구조물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ructure of the portable terminal may be a battery cover of the portable terminal, or may be a front cover or a front case of the portable terminal. Similarly, an external case protecting the portable terminal may be such a structure.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외관을 형성하는 배터리 커버 또는 케이스를 갖는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커버 또는 케이스는, 금속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구조물; 그리고 압축 성형 또는 합성 수지가 함침된 원목을 통해 제조되고, 전면과 배면에 표면 처리 공정이 수행되어, 상기 구조물에 부착되는 원목 슬라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battery cover or a case for forming an appearance, the battery cover or case being made of a metal material or a plastic material; And a wood slice that is manufactured through compression molding or a wood impregnated with a synthetic resin, and is subjected to a surface treatment process on the front surface and the back surface, and attached to the structure.

상기 구조물이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원목 슬라이스는 인서트 사출에 의해 상기 구조물에 부착될 수 있다.Where the structure comprises a plastic material, the wood slice may be attached to the structure by insert injection.

상기 구조물은, 인서트 사출에 의해 상기 원목 슬라이스의 배면이 부착됨과 동시에 형성되는 베이스 구조물; 그리고 상기 베이스 구조물 형성 후 추가 인서트 사출에 의해 상기 베이스 구조물과 결합되는 부가 구조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Wherein the structure comprises: a base structure formed by inserting a rear surface of the wood slice by insert injection; And an additional structure coupled with the base structure by further insert injection after the base structure is formed.

상기 원목 슬라이스의 배면과 상기 구조물 사이에 양자 간의 부착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점성면이 개재됨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viscous surface is interposed between the back surface of the log slice and the structure to increase the adhesion force therebetween.

본 발명에 따르면 기본적으로 전술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described problems can be solved basicall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조가 간편하여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which can be manufactured in a simple manner and can be mass-produc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강도와 수분 저항성을 증진시킨 원목 슬라이스를 통해 휴대 단말기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easily manufacturing a portable terminal through a wood slice with improved strength and moisture resistan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원목 슬라이스가 견고히 휴대 단말기의 구조물에 부착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고 디자인이 미려한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ood slice can be firmly attached to a structure of a portable terminal, thereby providing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convenient and easy-to-use design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도 1은 종래의 유사 원목 무늬가 적용된 휴대 단말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제작 공정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목 슬라이스의 제작 공정도;
도 4와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원목 슬라이스의 표면 처리 공정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원목 슬라이스를 부착하는 일실시예에 대한 공정도;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원목 슬라이스를 부착하는 다른 실시예에 대한 공정도;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원목 슬라이스가 키 패드에 적용된 실시예에 대한 공정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mobile terminal to which a similar pattern is applied; FIG.
FIG. 2 is a view illustrat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portable terminal shown in FIG. 1;
3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manufacturing a wood sl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4 and 5 are views showing the surface treatment process of the wood slice shown in Fig. 3;
Figure 6 is a process diagram for one embodiment of attaching the log slices shown in Figure 3;
Figure 7 is a process diagram for another embodiment of attaching the log slice shown in Figure 3;
FIG. 8 is a process diagram for an embodiment in which the log slice shown in FIG. 3 is applied to a keypad.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용이하게 이해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본 발명이 한정되지는 않는다.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are for the purpose of facilitating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원목 슬라이스를 제조하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3 show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wood slice appli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는 수 작업을 통한 소량 맞춤 생산을 위한 휴대 단말기가 아닌 대량 생산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대량 생산이 가능하도록 원목을 준비하고 휴대 단말기에 사용되기 적합하도록 원목을 가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 원목 슬라이스(20)를 먼저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mass production, rather than a portable terminal, for small-sized customized production through hand operation.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prepare the logs for mass production and to process the logs to be suitable for use in mobile terminals. For this purpose, it is preferable to first produce the wood slice 20.

원목은 수분을 흡수하기 쉽고, 수분 흡수량에 따라 변형이 쉬운 특성이 있다. 그리고, 이를 슬라이스로 제작하는 경우에는 쉽게 꺾이는 문제도 있다. 이러한 특성상 원목을 슬라이스로 제작하여 사용하는 경우 많은 제약이 따르게 된다. 따라서, 원목을 슬라이스로 제작하기 위해 원목 자체에 강성과 수분 저항성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ogwood is easy to absorb moisture and has a characteristic of easy deformation depending on the water absorption amount.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easily bent when a slice is produced. Due to these characteristics, many restrictions are imposed on the use of sliced logs.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impart rigidity and moisture resistance to the log itself in order to make the log into a slice.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목을 압축 성형하여 원목 자체의 강성을 부여할 수 있다. 그리고, 압축 성형으로 원목 내부의 조직을 매우 치밀하게 하여 수분 저항성을 부여할 수 있다. 즉, 원목(11)을 압축 성형기(10) 내에 위치시킨 후 압축 성형할 수 있다. 압축 성형된 원목을 얇게 깎아내어 도 3(c)에 도시된 원목 슬라이스(20)를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공정들을 통해 원목 슬라이스(20)를 대량으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The rigidity of the log itself can be given by compression molding the log as shown in Fig. 3 (a). Further, the structure of the inside of the log is very dense by compression molding, and water resistance can be imparted. That is, the log 11 can be placed in the compression molding machine 10 and compression molded.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the log slice 20 shown in Fig. 3 (c) by thinly carving out the compression-molded log.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the wood slice 20 in a large quantity through these processes.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 수지(12)를 원목(11)에 함침시켜 원목 자체의 강성을 부여할 수 있다. 즉, 합성 수지(12)를 원목 내부의 조직에 함침시켜 내부 조직을 더욱 치밀하게 하여 강성을 보강하고 수분 저항성을 부여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용융 상태의 합성 수지(12)가 원목 내부 조직에 침투하여 경화되어 전체적으로 원목의 강성과 수분 저항성을 증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필요하다면 원목(11)에 미세한 틈을 형성하고 상기 틈에 합성 수지(12)가 함침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후, 원목을 얇게 깎아내어 도 3(c)에 도시된 원목 슬라이스(20)를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공정들을 통해 원목 슬라이스(20)를 대량으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The rigidity of the log itself can be imparted by impregnating the log 11 with the synthetic resin 12 as shown in Fig. 3 (b). That is, the synthetic resin 12 is impregnated into the inside of the log, so that the internal structure is made more dense to reinforce the rigidity and impart moisture resistance. In other words, the synthetic resin 12 in the melted state penetrates into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log and is cured, so that the rigidity and moisture resistance of the log can be improved as a whole. If necessary,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minute gap in the log 11 and impregnate the synthetic resin 12 in the gap. Thereafter,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the log slice 20 shown in Fig. 3 (c) by thinning the log. Thus, it is possible to mass-produce the wood slices 20 through these processes.

원목 슬라이스(20)의 전면은 휴대 단말기의 외면을 형성하게 되며, 후면은 휴대 단말기에 부착되는 면이라 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 외면은 사용자의 손이 항상 닿는 곳이다. 따라서, 오염 발생을 방지하거나 오염이 쉽게 제거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휴대 단말기의 배면은 매우 견고히 휴대 단말기에 부착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원목 슬라이스의 전면과 배면을 가공하는 표면 처리 공정이 수행됨이 바람직하다.The front surface of the wood slice 20 forms an oute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rear surface is a surface attached to the portable terminal. The oute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is a place where the user's hand always reach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contamination or to easily remove the contamination. In addition, the back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must be attached to the portable terminal very firmly. For this purpose, it is preferable to perform a surface treatment process for processing the front and back surfaces of the wood slice.

도 4와 도 5는 이러한 표면 처리 공정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Fig. 4 and Fig. 5 show an example of such a surface treatment process.

상기 원목 슬라이스(20)는 휴대 단말기의 평면 외관에 적용할 수도 있고, 곡면 외관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원목 슬라이스(20)는 부착될 휴대 단말기의 구조물 형상에 맞게 포밍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포밍은 부착과 동시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The wood slice 20 can be applied to a flat outer surface of a portable terminal or to a curved outer surface. Therefore, the wood slice 20 can be formed to conform to the shape of the structure of the portable terminal to be attached. Of course, such foaming may also occur simultaneously with attachment.

도 4와 도 5에는 휴대 단말기의 곡면 외관에 적용되기 위하여 포밍이 먼저 수행된 후 표면 처리 공정이 수행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4 and 5 illustrate an example in which the surface treatment process is performed after the forming is first performed in order to be applied to the curved surface appearance of the portable terminal,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구체적으로 포밍 후 표면 처리를 하는 경우, 원목 슬라이스(20)의 사이즈를 매우 정밀하게 맞출 수 있고, 정확한 위치에 필요한 가공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형상이 복잡해지기 때문에 가공을 위한 장비 설치와 가공 방법이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다. Specifically, when the surface treatment is performed after the forming, the size of the wood slice 20 can be adjusted very precisely, and the necessary processing can be performed at an accurate position. However, since the shape is complicated, there is a problem that equipment installation and processing methods for processing become complicated.

반대로, 표면 처리 후 포밍을 하거나, 부착과 동시에 포밍이 이루어지는 경우 표면 처리가 간단해지는 장점이 있으나, 부착될 구조물에 대한 원목 슬라이스(20)의 사이즈를 정밀하게 맞추는 것이 어렵게 된다. On the contrary,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urface treatment is simplified when the foaming is performed after the surface treatment or the foaming is performed at the same time as the attachment, but it is difficult to precisely match the size of the wood slice 20 to the structure to be attached.

전술한 표면 처리 공정은 원목 슬라이스의 전면에 대한 처리 공정과 배면에 대한 처리 공정을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 It can be said that the above-described surface treatment process includes a treatment process for the entire surface of the wood slice and a treatment process for the back surface.

먼저, 원목 슬라이스(20)의 전면에 대한 표면 처리 공정에 대해 설명한다.First, the surface treatment process for the whole surface of the wood slice 20 will be described.

원목 슬라이스(20)의 전면에는 표면 거칠기를 매우 낮추는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밀링 가공이나 NC 가공을 통하여 표면을 가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레이저 에칭 가공으로 표면을 가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A process of significantly lowering the surface roughness can be per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wood slice 20.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process a surface through milling or NC machining. It is also possible to process the surface by laser etching.

이러한 가공을 위해 밀링 장치나 NC 가공 장치(52)가 사용될 수 있고, 레이저 에칭 가공 장치(51)가 사용될 수 있다. For this processing, a milling device or an NC machining device 52 can be used, and a laser etching processing device 51 can be used.

이러한 전면 가공은 실제 원목 무늬에 인공적인 무늬를 조합시키기 위해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실제 원목 무늬가 보다 선명하게 나타날 수 있도록 수행될 수도 있다.Such frontal processing may be performed to combine artificial patterns with actual woodcuts. And, it may be performed so that the actual wood pattern can be displayed more clearly.

또한, 배면 가공은 원목 슬라이스(20)가 휴대 단말기의 구조물에 보다 견고히 부착될 수 있도록 마찬가지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사출이나 본딩을 통해 원목 슬라이스(20)가 휴대 단말기의 구조물에 부착될 때, 보다 견고히 부착되도록 배면이 가공될 수 있다. Also, the backside machining can be performed in a similar manner so that the wood slice 20 can be more firmly attached to the structure of the portable terminal. That is, when the log slice 20 is attached to the structure of the portable terminal through injection or bonding, the back surface can be processed so as to be stably attached.

구체적으로 기계 가공은 배면에 단차부(23)를 형성하도록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단차부를 통해서 원목 슬라이스(20)가 구조물에서 법선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원목 슬라이스(20)와 구조물 사이에 부착 면적을 증진시키게 된다. Specifically, the machining can be performed to form the step portion 23 on the back surfac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ood slice 20 from moving in the normal direction in the structure through such stepped portion. In addition, the attachment area between the wood slice 20 and the structure is increased.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목 슬라이스(20)의 전면에는 마감 공정이 더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즉, 전면에 문자나 모양을 인쇄하는 공정이 더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크 인쇄, 승화 전사, 수전사 등 다양한 방법으로 원목 슬라이스(20)의 전면에 문자나 모양을 인쇄할 수 있다. 이러한 마감 공정도 전술한 표면 처리 공정에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 여기서, 모양이라 함은 제조자의 상표나 캐릭터 등을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it is preferable that a finishing process is further per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wood slice 20. FIG. That is, a process of printing characters or shapes on the front surface can be further performed. For example, letters and shapes can be prin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log slice 20 by various methods such as silk printing, sublimation transfer, and transfer. It can be said that such a finishing process is included in the above-mentioned surface treatment process. Here, the shape may include a trademark or a character of a manufacturer.

그리고, 이러한 인쇄 공정 후에는 외관면을 코팅하는 코팅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코팅 공정이 수행된 후에는 자외선 경화나 열 건조를 통해 코팅막이 견고히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코팅 공정은 광택을 내는 필름을 원목 슬라이스의 전면에 형성시키는 공정일 수도 있다. After the printing process, a coating process for coating the outer surface can be performed. After the coating process is performed, it is preferable that the coating film is firmly formed through ultraviolet curing or thermal drying. Of course, the coating process may be a process of forming a glossy film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wood slice.

이러한 코팅 공정을 위해 코팅액을 분사하는 코팅 장치(24)가 사용될 수 있다.A coating apparatus 24 for spraying a coating liquid for such a coating process may be used.

상기 마감 공정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인쇄 공정과 코팅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인쇄 부분 위에 코팅막이 형성되기 때문에 인쇄 부분이 지워지지 않게 되며, 아울러 오염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The finishing process may include a printing process and a coating process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oating film is formed on the printed portion, the printed portion is not erased and the contamination can be prevented.

한편, 도 5에는 원목 슬라이스(20)가 휴대 단말기의 구조물(30)에 부착된 후 전술한 마감 공정이 수행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원목 슬라이스(20)에 마감 공정이 먼저 수행된 후 원목 슬라이스(20)가 구조물(30)에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5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above-described finishing process is performed after the log slice 20 is attached to the structure 30 of the portable terminal.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wood slice 20 is attached to the structure 30 after the finishing process is first performed on the wood slice 20.

여기서, 인쇄 부분의 위치는 휴대 단말기의 구조물(30)에 대해서 기설정된 위치에 마련되어야 한다. 따라서, 인쇄 부분을 정확히 맞추기 위해서는 구조물(30)에 원목 슬라이스(20)가 부착된 후 마감 공정이 수행됨이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Here, the position of the printing portion should be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structure 30 of the portable terminal. Thus, it may be more desirable for the finishing process to be performed after the wood slice 20 has been attached to the structure 30 to precisely align the printed portion.

이하에서는 도 6과 도 7을 참조하여 원목 슬라이스(20)와 구조물(30)의 부착 공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부착 공정 후 표면 처리 공정이 수행될 수도 있으며, 표면 처리 공정 후 부착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Hereinafter, the attaching process of the wood slice 20 and the structure 3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FIG. As described above, the surface treatment process may be performed after the adhesion process, and the adhesion process may be performed after the surface treatment process.

도 6은 부착 공정의 일례로 열융착 공정을 나타내고 있다.Fig. 6 shows a thermal fusion process as an example of the adhering process.

먼저, 구조물(30) 표면에 양면 테이프, 본드 처리 또는 용융 필름(25)을 부착시키고, 이후 원목 슬라이스(20)와 코팅 필름(40)을 차례대로 적층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용융 필름(25) 등은 구조물(30)과 원목 슬라이스(20) 사이, 즉 양자 간의 부착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수단을 의미한다. A double-sided tape, a bond treatment or a molten film 25 may be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structure 30, and then the wood slice 20 and the coating film 40 may be laminated in order. Here, the molten film 25 or the like means a means for enhancing the adhesion between the structure 30 and the log slice 20, that is, the two.

이러한 부착력 증진 수단은 점성력을 갖는 면, 즉 점성면을 형성하게 된다. This adhesion enhancing means forms a surface having a viscous force, that is, a viscous surface.

또한, 상기 용융 필름(25) 등은 구조물(30) 표면이 아닌 원목 슬라이스(20)의 배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점성면(25)는 구조물(30)과 원목 슬라이스(20) 사이에 개재되어 양자 간의 부착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구성이라 할 수 있다. The molten film 25 or the like may be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wood slice 20 rather than the surface of the structure 30. Therefore, the viscous surface 25 is interposed between the structure 30 and the wood slice 20 to enhance the adhesion between the structure 30 and the wood slice 20.

이후, 금형(50)을 통해 가압 및 가열을 가하여 원목 슬라이스(20)를 구조물(30)에 견고히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상기 점성면(25)이 개재됨으로 인해 원목 슬라이스(20)가 상기 구조물(30)에 더욱 견고히 부착될 수 있게 된다.Thereafter, it is possible to firmly attach the wood slice 20 to the structure 30 by applying pressure and heating through the mold 50. Of course, since the viscous surface 25 is interposed, the wood slice 20 can be more firmly attached to the structure 30.

여기서, 상기 점성면(25)은 열융착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사출인 경우에도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점성면(25)은 상기 원목 슬라이스(20)의 배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Here, the viscous surface 25 may be formed not only by thermal fusion but also by injection as described later.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viscous surface 25 is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log slice 20.

여기서, 상기 구조물(30)은 사출이나 주조를 통해 기 제작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사출인 경우에는 플라스틱 재질의 구조물일 것이며, 주조나 단조의 경우에는 금속 재질의 구조물일 것이다.Here, the structure 30 should be manufactured through injection or casting. For example, it may be a plastic construction for injection or a metal construction for casting or forging.

한편, 주조나 단조 등을 통해 금속재질의 구조물(30)을 제작하는 경우에는 구조물(30) 제작 후 이러한 원목 슬라이스(20) 부착 공정이 수행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마찬가지로 사출을 통해 플라스틱 재질의 구조물(30)을 제작하는 경우도 구조물(30) 제작 후 부착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metal structure 30 is manufactured through casting, forging, or the like, it is preferable that the process of attaching the wood slice 20 is performed after the structure 30 is manufactured. Similarly, in the case of manufacturing the plastic material structure 30 through injection, the attaching process can be performed after the structure 30 is manufactured.

그러나, 이러한 부착 공정은 사출 공정과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즉, 인서트 사출 공정을 통해 구조물(30)을 형성함과 동시에 원목 슬라이스(20)를 구조물에 부착시키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However, this attachment process can be performed simultaneously with the injection process. In other words, it is also possible to form the structure 30 through the insert injection process and attach the wood slice 20 to the structure.

도 7은 인서트 사출을 통해 원목 슬라이스(20)를 구조물(30)에 부착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즉, 구체적으로는 원목 슬라이스(20)를 구조물(30)에 부착하기 위한 인서트 사출 공정은 도 2에 도시되어 설명된 바와 유사할 수 있다. Fig. 7 shows an example of attaching the wood slice 20 to the structure 30 through insert injection. Specifically, the insert injection process for attaching the wood slice 20 to the structure 30 may be similar to that illustrated and described in Fig.

여기서, 도 7의 상부에는 원목 슬라이스(20)와 각각의 인서트 공정에서 형성되는 구조물들(31, 32)이 분리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의 하부에는 상기 구성들이 모두 결합된 일부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7 shows a state in which the wood slice 20 and the structures 31 and 32 formed in the respective insert processe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the lower part of FIG. 7, Respectively.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인서트 사출 공정이 복수 회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인서트 사출이 수행됨에 따라 형성되는 구조물은 복수 개소(31, 32)에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in this embodiment, the insert injection process can be performed a plurality of times. Accordingly, the structure formed as the insert injection is performed may be formed at a plurality of portions 31 and 32. [

구체적으로, 원목 슬라이스(20)는 휴대 단말기 구조물의 평면 부분(31)에만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많은 경우 구조물의 중앙 부분에만 원목 슬라이스(20)가 부착되고 외각의 곡면 부분(32)에는 원목 슬라이스(20)가 부착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Specifically, the log slice 20 may be attached only to the planar portion 31 of the portable terminal structure. Therefore, in many case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ood slice 20 from being attached to the curved surface portion 32 of the outer periphery only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structure.

여기서, 상기 구조물(30)을 평면 부분(31)과 곡면 부분(32)으로 표현하였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상기 구조물(30)을 베이스 구조물(31)과 부가 구조물(32)로 표현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구조물(30)은 주가 되는 베이스 구조물(31)과 이에 부속되는 부가 구조물(32)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Here, the structure 30 is represented by the planar portion 31 and the curved portion 32.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structure 30 can be expressed as a base structure 31 and an additional structure 32. In other words, the structure 30 may include the base structure 31 and the additional structure 32 attached thereto.

먼저, 원목 슬라이스(20)의 배면은 인서트 사출을 통해 구조물의 일부에 부착되게 된다. 즉, 원목 슬라이스(20)의 배면 전체는 첫번째 인서트 사출을 통해 구조물의 일부(31)에 완전히 결합하게 된다. First, the back surface of the wood slice 20 is attached to a part of the structure through insert injection. That is, the entire rear surface of the wood slice 20 is completely engaged with the portion 31 of the structure through the first insert injection.

다음으로, 구조물의 외각을 형성하는 인서트 사출이 수행될 수 있다. 후속하는 인서트 사출은 이전의 구조물(31)과 일체화되며 아울러 원목 슬라이스(20)의 전면 일부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구조물의 외각(32)을 형성함과 동시에 원목 슬라이스(20)의 외각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Next, an insert injection can be performed to form the outer periphery of the structure. The subsequent insert injection may be integrated with the previous structure 31 and may be formed to cover a part of the front face of the log slice 20. That is, it can be formed so as to cover the outer periphery of the wooden slice 20 while forming the outer angle 32 of the structure.

따라서, 기본적으로 원목 슬라이스(20)의 배면이 구조물(31)과 부착되며, 원목 슬라이스(20)의 전면 외각도 구조물(32)로 둘러싸여 덮이게 된다. 그러므로 원목 슬라이스(20)가 더욱 견고히 구조물에 부착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Therefore, basically, the back surface of the log slice 20 adheres to the structure 31, and the front outer surface of the log slice 20 is surrounded by the structure 32 and covered. Therefore, it becomes possible to make the log slice 20 more firmly attached to the structure.

여기서, 복수 회의 인서트 사출 공정은 다음과 같은 효과 또한 기대할 수 있다. 즉, 서로 다른 재질을 통해 인서트 사출 공정을 수행하거나 서로 다른 색을 갖도록 인서트 사출 공정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다양한 디자인을 갖는 휴대 단말기를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물론, 복수 회의 인서트 사출 공정을 통해 휴대 단말기 구조물과 원목 슬라이스(20)가 더욱 견고히 결합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Here, the following effects can also be expected in the insert injection process for a plurality of inserts. That is, it is also possible to perform the insert injection process through different materials or to perform the insert injection process so as to have different colors. Accordingly, it becomes possible to manufacture a portable terminal having various designs.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more firmly couple the wood slice 20 with the portable terminal structure through a plurality of insert injection processes.

또한, 복잡한 구조물(32) 형성이 용이하게 된다. 휴대 단말기의 내부 내장품을 감싸도록 구조물이 구성되는 경우 상기 내부 내장품들의 형상이나 다른 구성들과의 결합을 위해 복잡한 구조물(32)이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복수 인서트 사출 공정으로 인해 용이하게 구조물(31, 32)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Further, the formation of the complicated structure 32 is facilitated. If a structure is constructed to enclose the internal components of the portable terminal, a complicated structure 32 may be required for connection with the internal components or other components. Therefore, it becomes possible to easily form the structures 31 and 32 by such a multiple insert injection process.

그리고, 서로 다른 강도를 갖는 재질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다른 구성과 결합되기 위한 구성이나 특별히 다른 부분에 비해 강도가 보강되어야 하는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의 재질을 서로 달리할 수 있다. 이는 재료비 절감뿐만 아니라 제품의 신뢰성 증진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Then, materials having different strengths can be used. For example, the material to be reinforced can be different from the material to be reinforced, compared to the construction for combining with other structures or specifically to other parts. This not only reduces the cost of materials but also enhances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 회의 인서트 사출로 인하여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커버 또는 케이스의 결합 수단 형성이 더욱 용이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form the battery cover of the portable terminal or the coupling means of the case due to the insert injection of the plurality of times.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 회의 인서트 사출을 통해 베이스 구조물(31)과 부가 구조물(32)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서로 일체가 된다. 여기서,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커버 또는 케이스는 다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들과 결합되는 구성이라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ase structure 31 and the additional structure 32 are sequentially formed through a plurality of insert injections and become integral with each other. Here, the battery cover or case of the portable terminal may be configured to be combined with other portable terminal configurations.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커버는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 또는 전면 커버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물들은 다른 구성들과 결합되기 위한 구성들을 갖게 된다. 이러한 결합 구성은 후크 또는 후크가 삽입되는 슬롯 내지는 홈일 수 있다. 또한, 나사가 삽입되는 홀이 형성되는 보스 등과 같은 구성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battery cover of the portable terminal may be coupled to the case or the front cover of the portable terminal. Thus, these structures will have configurations to be combined with other configurations. Such a coupling arrangement may be a slot or a slot into which a hook or a hook is inserted. Further, it may be a structure such as a boss or the like in which a hole into which a screw is inserted is formed.

도 7에는 이러한 결합 구성의 일례로 후크(34)와 보스(35) 구성이 도시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후크(34)가 부가 구조물(32)에 형성된 예와 보스(35)가 베이스 구조물(31)에 형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7 shows an example of such a coupling arrangement in which hooks 34 and bosses 35 are shown and more specifically hooks 34 are formed in attachment structure 32 and bosses 35 are attached to base structure 31 As shown in Fig.

상기 결합 구성은 전술한 베이스 구조물(31)과 부가 구조물(32)의 어느 하나에 모두 형성되거나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 구성은 상기 구조물(30)의 형상을 더욱 복잡하게 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결합 구성을 별도로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 구성들, 예를 들어 후크나 보스 등과 같은 구성 자체를 부가 구조물이라 할 수도 있다.The coupling structure may be formed on each of the base structure 31 and the auxiliary structure 32, or may be formed on the base structure 31 and the auxiliary structure 32, respectively. Here, the coupling structure further complicates the shape of the structure 30. Therefore, it may be preferable to separately form such a coupling structure. Thus, the coupling structures, such as hooks and bosses, may be referred to as additional structures.

따라서, 복수 회의 인서트 사출을 통해 원목 슬라이스와 구조물의 부착력을 증대시킬 수 있고, 후크나 보스와 같은 결합 구성을 용이하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Therefore, the insert force of the wood slice and the structure can be increased through a plurality of injection inserts, and it becomes possible to easily form a coupling structure such as a hook or a boss.

도 6과 도 7을 통해 설명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 구조물(31, 32)에 원목 슬라이스(20)가 부착된 후, 도 5를 통해 설명된 바와 같이 원목 슬라이스의 전면에 대한 마감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After the wood slice 20 is attached to the portable terminal structures 31 and 32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a finishing process for the entire surface of the wood slice can be performed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have.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 구체적으로는 배터리 케이스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휴대 단말기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가 형성되나 베젤 부분을 갖도록 휴대 단말기의 전면 케이스 또는 커버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베젤 부분에도 전술한 바와 같이 원목 슬라이스가 부착될 수 있다.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ase of the portable terminal, specifically, the battery case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a display may b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but a front case or a cover of the portable terminal may be formed to have a bezel portion. Therefore, the wood slice can be attached to the bezel portion as described above.

이를 통해, 휴대 단말기의 후면뿐만 아니라 전면에도 원목 무늬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form a solid wood pattern on the front surface as well as the front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또한, 터치 스크린 형태의 휴대 단말기가 아닌 입력키나 키패드를 갖는 휴대 단말기에도 원목 무늬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form a solid wood pattern on a portable terminal having an input key or a keypad, not a touch screen type portable terminal.

도 8은 휴대 단말기 키패드의 일부에 대한 단면도를 나타낸다. 여기서, 전술한 휴대 단말기의 구조물에 해당되는 구성은 키 입력부(60)이며 실리콘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키 입력부의 전면에 원목 슬라이스(20)가 전술한 다양한 방법으로 부착될 수 있고, 원목 슬라이스의 전면도 전술한 다양한 방법으로 표면 처리 또는 마감이 이루어질 수 있다.8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art of the portable terminal keypad. Here, the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structure of the portable terminal described above is the key input unit 60 and may be made of silicon or the like. The wood slice 20 can be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key input section by the above-described various methods,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wood slice can be surface treated or finished by various methods described above.

한편, 특정 키 패드는 내부의 빛이 외부로 전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특정 키가 선택되면 이를 나타내기 위해 특정 키의 창을 통해 빛이 발광되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pecific keypad may be formed so that light in the interior is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at is, when a particular key is selected, light may be emitted through a window of a particular key to indicate it.

따라서, 이를 구현하기 위해 원목 슬라이스에는 홀(22)이 형성될 수 있다. 즉, 홀 형성 공정을 통해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22)에는 빛이 산란되지 않고 외부로 전달될 수 있도록 광로를 형성하는 창(21)이 형성될 수 있다.Therefore, in order to realize this, a hole 22 may be formed in the log slice. That is, holes can be formed through the hole forming process. In addition, a window 21 may be formed in the hole 22 to form an optical path so that light can be transmitted to the outside without scattering light.

상기 창(21) 투명 재질의 사출물일 수 있으며, 일례로 메타크릴레이트수지(PMMA)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인서트 사출을 통해 창(21) 원목 슬라이스에 일체로 형성하거나, 홀에 윈도우를 억지끼움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원목 슬라이스의 두께와 강도를 고려하여 인서트 사출을 통해 창(22)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The window 21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for example, a methacrylate resin (PMMA). That is, it is possible to integrally form the slice on the slice of the window 21 through insert injection, or to force the window into the hole. However, it may be desirable to form the window 22 through insert injection taking into account the thickness and strength of the wood slice.

이러한 창(21) 형성 후 전술한 원목 슬라이스의 표면 처리 공정이나 마감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목 슬라이스의 전면에 투명 필름이 부착되거나 코팅막(40)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이러한 공정들을 통해 휴대 단말기의 캐패드에도 실제 원목 무늬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After the window 21 is formed, the above-described surface treatment or finishing of the wood slice can be performed. For example, a transparent film may be attached to the entire surface of the wood slice, or a coating film 40 may be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wood slice.

전술한 실시예는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키보드의 키패드나 키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를 보호하는 외장 케이스에도 적용될 수 있다.The above embodiment relates to a keypad of a portable terminal.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it can be applied to a keypad or key of a keyboard.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applied to an external case for protecting the portable terminal.

따라서, 실제 원목 무늬를 다양한 휴대 기기에 적용하여 미려한 디자인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다양한 디자인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실제 원목 무늬 구현을 위해 휴대 기기의 부피가 커지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이 간편한 휴대 기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it is possible to form a beautiful design by applying the actual wood pattern to various portable devices, and it is possible to satisfy various design desires of the user.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ortable device which is easy to use by preventing the volume of the portable device from becoming large in order to implement the actual wood pattern.

20 : 원목 슬라이스 30 : 휴대 단말기 구조물
40 : 코팅막(코팅 필름) 60 : 키 입력부
20: wood slice 30: portable terminal structure
40: coating film (coating film) 60: key input section

Claims (14)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외관을 형성하는 배터리 커버 또는 케이스를 갖는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커버 또는 케이스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구조물; 그리고
압축 성형 또는 합성 수지가 함침된 원목을 통해 제조되고, 전면과 배면에 표면 처리 공정이 수행되어, 상기 구조물의 전면에 부착되는 원목 슬라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원목 슬라이스 배면은 상기 구조물과 부착 면적을 증진시키기 위한 단차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battery cover or a case that forms an appearance,
The battery cover or case may include:
A structure formed of a plastic material; And
Comprising a wood slice produced through compression molding or a wood impregnated with a synthetic resin and having a front surface and a back surface subjected to a surface treatment process and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structure,
Wherein the back surface of the slab slice includes a step for enhancing the attachment area with the structur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이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원목 슬라이스는 인서트 사출에 의해 상기 구조물에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8. The method of claim 7,
When the structure includes a plastic material,
Wherein the wood slice is attached to the structure by insert injection.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은,
인서트 사출에 의해 상기 원목 슬라이스의 배면이 부착됨과 동시에 형성되는 베이스 구조물; 그리고
상기 베이스 구조물 형성 후 추가 인서트 사출에 의해 상기 베이스 구조물과 결합되는 부가 구조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9. The method of claim 8,
The structure comprises:
A base structure to which a back surface of the log slice is attached and formed at the same time by insert injection; And
And an additional structure coupled to the base structure by further insert injection after the base structure is formed.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원목 슬라이스의 배면과 상기 구조물 사이에 양자 간의 부착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점성면이 개재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 viscous surface is interposed between the back surface of the wood slice and the structure to increase the adhesion between the back surface and the structur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원목 슬라이스의 전면에 적층? 코팅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8. The method of claim 7,
Stacking on the front of the wood slice? Further comprising a coating layer on the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또는 상기 케이스는 곡면을 포함하고,
상기 원목 슬라이스는 상기 배터리 또는 상기 케이스의 곡면에 상응한 곡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battery or the case includes a curved surface,
Wherein the wood slice has a curved surface corresponding to a curved surface of the battery or the case.
삭제delet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원목 슬라이스는 전면에 인쇄된 문자 또는 모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log slice further comprises characters or shapes printed on the front surface.
KR1020110101793A 2011-10-06 2011-10-06 manufacturing method of a portable device KR10192343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793A KR101923436B1 (en) 2011-10-06 2011-10-06 manufacturing method of a portab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793A KR101923436B1 (en) 2011-10-06 2011-10-06 manufacturing method of a portable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7403A KR20130037403A (en) 2013-04-16
KR101923436B1 true KR101923436B1 (en) 2018-11-29

Family

ID=48438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1793A KR101923436B1 (en) 2011-10-06 2011-10-06 manufacturing method of a portabl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3436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5216Y1 (en) * 2003-12-16 2004-03-12 주식회사 청송하이테크 A fortifier fibroid material block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0996B1 (en) * 2009-04-14 2011-11-09 (주)쉘라인 Case of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613934B1 (en) * 2009-09-30 2016-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anufacturing method of casing applied to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5216Y1 (en) * 2003-12-16 2004-03-12 주식회사 청송하이테크 A fortifier fibroid material blo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7403A (en) 2013-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3237645B2 (en) Mobile terminal cas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070172664A1 (en) Cov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EP2759390B1 (en) Carbon fibre member manufacturing method
US9131813B2 (en) Laminar toilet lid with display cavity
EP2610055A1 (en) Plastic composi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EP1119155B1 (en) Electronic equipment provided with a shell element having a three dimensional appearance
US20070006966A1 (en) Surface ornamentation method of composite material
KR101923436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a portable device
CN100548635C (en) The surface decoration technique of composite
JP4456130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decorative resin molded products
EP1157799A1 (en) Housing shell for a communication device
TW201323250A (en) Decorative housing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KR20150089237A (en) real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shaped articles using real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087695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back cover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JPS5431477A (en) Molding of thick-walled reinforced plastic article
CN108943567A (en) A kind of the soft rubber cover beer ebonite injecting products and its processing technology of handle casing
KR101547178B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case of mobile device having elastomeric skin
KR102085253B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3D cover structure
CN109421351A (en) Shell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with stereoscopic effect
KR20170117720A (en) Manufacturing method of Thin Battery Cover
CN1978176A (en) Method for film multiple jet-out plastic jointing
CN106028729A (en) Electronic device's waterproof and drop-proof shell and its preparation method
CN110545345A (en) Novel terminal rear cover and preparation method
CN212969767U (en) Cell-phone shell containing stone material
KR101374740B1 (en) Manufucturing method of the mobile phone c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