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3425B1 - 공기주입식 서프스키 - Google Patents

공기주입식 서프스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3425B1
KR101923425B1 KR1020170064612A KR20170064612A KR101923425B1 KR 101923425 B1 KR101923425 B1 KR 101923425B1 KR 1020170064612 A KR1020170064612 A KR 1020170064612A KR 20170064612 A KR20170064612 A KR 20170064612A KR 101923425 B1 KR101923425 B1 KR 1019234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rudder
attached
end cap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4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희재
임이영
Original Assignee
(주)우성아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성아이비 filed Critical (주)우성아이비
Priority to KR1020170064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34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3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34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00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 B63B7/06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having parts of non-rigid material
    • B63B7/08Infla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02Initiating means for steering, for slowing 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or for dynamic ancho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06Steering by rudders
    • B63H25/08Steering gear
    • B63H25/10Steering gear with mechanical transmi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06Steering by rudders
    • B63H25/38Rudders
    • B63B2717/00
    • B63B2739/00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를 공기주입식 튜브로 형성하여 공기를 빼면 부피가 최소화되어 운송 및 보관이 현저히 간편해지도록 하고 추진시에 방향 조정이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공기주입식 서프스키에 관한 것으로, 본 서프스키는 공기튜브 형태의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선단에 부착되는 선단캡(20)과, 상기 본체(10)의 선단 하부에 끼워지는 선단지지구(30)와, 상기 선단지지구(30)를 고정하도록 상기 본체(10)에 부착되는 고정시트(40)와, 상기 본체(10)의 후단에 부착되는 후단캡(50)과, 상기 후단캡(50)에 설치되는 러더부(60)와,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설치되는 러더조정부(70)와, 상기 본체(10)의 양측면에 부착되는 전복방지튜부와, 상기 본체(10)의 선단 상면에 부착되는 삼각커버(90)와, 상기 삼각커버(90)의 내부에 구비되는 지지튜브(1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주입식 서프스키{INFLATABLE SURFSKI}
본 발명은 서프스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를 공기주입식 튜브로 형성하여 공기를 빼면 부피가 최소화되어 운송 및 보관이 현저히 간편해지도록 하고 추진시에 방향 조정이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공기주입식 서프스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서프스키는 5 ~ 6미터 정도의 길이에 40 ~ 50cm 정도의 폭을 갖고 있고 장거리 오션 패들링을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 주로 뒷바람과 너울을 타고 저을 수 있도록 설계된다. 이런 서프스키는 파도가 없는 평수에서 매우 빠른 속도로 수면을 이동할 수 있다. 파도와 너울이 있는 바다에서는 보트 중에서 가장 빠른 속도를 보인다. 서프스키는 양날의 노를 저어 사용하며, 더 나은 효율을 얻기 위해서 윙패들이라는 독특한 모양의 양날 노가 사용된다.
이와 같은 서프스키는 주로 에폭시 또는 폴리에스터 수지 섬유를 여러 겹으로 적층하여 경질의 하드보드로 제작되는데, 이러한 섬유에는 파이버글라스, 케블라, 탄소섬유 등이 함유된다. 이는 무게를 가볍게 하면서 파도와 같은 외부 충격에 적절히 견디는 내구성을 가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서프스키는 경질의 하드보드로 제작됨으로써, 상대적으로 부피가 커 운송이나 보관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서프스키는 노를 이용한 방향 조정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 제10-2015-0089630호 "한국형 인명구조용 서프스키"(2015.08.05)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를 공기주입식 튜브로 형성하여 공기를 빼면 부피가 최소화되어 운송 및 보관이 현저히 간편해지도록 하고 추진시에 방향 조정이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공기주입식 서프스키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주입식 서프스키"는, 상하의 내부면 사이에 양단이 결합되는 다수의 형태유지라인을 가지고, 선단과 후단이 뾰쪽한 긴 판형으로 형성되며, 선단이 상부측으로 기울어진 선단경사부가 형성되고, 공기주입식 튜브 형태로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뾰족한 선단에 돌출되게 끼워지고, 상기 본체의 선단 양측에 내부면이 부착되는 경질의 선단캡과; 상기 선단캡의 하부로 상기 본체의 선단 전면 하부에 끼워지고, 경질의 구조물로 형성되며, 물살을 가를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는 선단지지구와; 상기 본체의 선단 측면과 하면에 부착되고, 상기 선단캡과 상기 선단지지구의 선단이 노출되도록 상기 선단캡의 양측면 일부와 상기 선단지지구의 하부측을 둘러싸는 상태로 부착되는 고정시트와; 상기 본체의 뾰족한 후단에 돌출되게 끼워지고, 상기 본체의 후단 양측에 내부면이 부착되며, 상하로 관통되는 설치관이 형성되는 경질의 후단캡과; 하단이 수중에 진입되도록 수직의 판형으로 형성되는 방향타를 가지고, 상기 설치관에 평면상으로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회전핀이 전방에 부착되며, 상단 양측에 연결턱이 돌출되게 부착되고, 상기 본체의 진행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러더부와; 상기 본체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턱에 연결되며, 탑승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연결턱을 당겨서 상기 방향타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러더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주입식 서프스키"의 상기 러더조정부는, 상기 연결턱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와이어와, 상기 본체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와이어가 양측에 연결되어 탑승자가 발로 눌러서 상기 연결와이어를 당기거나 그 당김을 해제시키는 족답식 조작기와, 상기 족답식 조작기의 전방으로 상기 본체의 상면에 부착되고 상기 연결와이어가 끼워져 상기 연결와이어가 상기 본체의 상면에 밀착되게 하면서 상기 족답식 조작기로 유도하는 유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주입식 서프스키"의 상기 족답식 조작기는, 상기 본체의 상면에 하단이 장착되고 상기 본체의 전방으로 향해 경사지게 구비되는 고정발판과, 상기 고정발판의 상단 양측에 각각 힌지 결합되고 상호 대칭되게 구비되며 상기 연결와이어가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작동발판과, 상기 고정발판과 작동발판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작동발판을 탄성 복원시키는 토션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주입식 서프스키"의 상기 족답식 조작기는, 상기 작동발판의 외측에서 하부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연결와이어가 하단에 연결되는 하부연장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주입식 서프스키"의 상기 족답식 조작기는, 상기 고정발판이 상기 본체에서 분리된 상태로 상기 고정발판의 하단 중앙에 장착되는 끼움관과, 상기 끼움관에 끼워지고 상기 본체의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장착되는 수평봉과, 상기 끼움관에 수직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관통공과, 상기 관통공에 대응하여 상기 수평봉에 수직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위치조절공과, 상기 수평봉에 대응하여 상기 끼움관의 위치가 조절된 상태로 상기 관통공과 위치조절공을 통해 끼워지는 고정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주입식 서프스키"의 상기 러더부는, 그 상단으로 상기 연결턱의 사이에 형성되는 회전홈과, 상기 회전홈에 끼워져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방향타의 상단이 하단에 부착되어 상기 방향타를 회전시켜 상기 본체의 상면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원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주입식 서프스키"는, 상기 본체의 양측면 상부를 따라 대칭되게 부착되고, 공기가 주입되는 공기튜브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가 수면에 부유된 상태에서 상기 수면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상기 본체의 양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가 균형을 유지할 때는 수면에 닿지 않아 상기 본체의 추진에 방해를 주지 않다가 상기 본체가 균형을 잃어 기울어질 때만 수면에 잠기어 부유력을 생성하여 상기 본체의 전복을 방지하는 한 쌍의 전복방지튜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주입식 서프스키"는, 상기 본체의 선단 상면을 둘러싸는 상태로 상기 본체의 양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본체의 선단 상면을 뾰쪽하게 형성하고, 파도를 가르는 삼각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주입식 서프스키"는, 상기 삼각커버를 지지지하도록 상기 본체의 상면과 상기 삼각커버의 내측면 사이에 끼워지고, 공기 주입식 튜브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튜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본체를 공기주입식 튜브로 형성하여 공기를 빼면 부피가 최소화되어 운송 및 보관이 현저히 간편해지고, 추진시에 방향 조정이 손쉽게 이루어져 사용상의 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서프스키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서프스키의 개략적인 후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서프스키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서프스키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서프스키의 개략적인 배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서프스키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서프스키의 개략적인 요부 확대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요부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서프스키의 개략적인 요부 확대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서프스키의 개략적인 요부 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서프스키의 개략적인 요부 종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서프스키의 족답식 조작기를 보인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서프스키의 러더부를 보인 개략적인 요부 종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서프스키의 개략적인 도면들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주입식 서프스키는 공기튜브 형태의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선단에 부착되는 선단캡(20)과, 상기 본체(10)의 선단 하부에 끼워지는 선단지지구(30)와, 상기 선단지지구(30)를 고정하도록 상기 본체(10)에 부착되는 고정시트(40)와, 상기 본체(10)의 후단에 부착되는 후단캡(50)과, 상기 후단캡(50)에 설치되는 러더부(60)와,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설치되는 러더조정부(70)와, 상기 본체(10)의 양측면에 부착되는 전복방지튜부와, 상기 본체(10)의 선단 상면에 부착되는 삼각커버(90)와, 상기 삼각커버(90)의 내부에 구비되는 지지튜브(10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는 상하의 내부면 사이에 양단이 결합되는 다수의 형태유지라인(11)을 가지고 선단과 후단이 뾰쪽한 긴 판형으로 형성되며 선단이 상부측으로 기울어진 선단경사부(12)가 형성되고 공기주입식 튜브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공기의 주입으로 물에 부유될 수 있고 사람이 탑승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면서 공기의 배출로 부피가 최소화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형태유지라인(11)은 긴 판형의 상기 본체(10)의 내부면 사이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본체(10)가 평평하게 일정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공지의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형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다수의 상기 형태유지라인(11)이 부착된 것을 당업계에서는 "공간지(Drop Stitch Material)"라 부른다.
상기 선단경사부(12)는 상기 본체(10)의 선단이 상부측으로 굽혀져 파도를 쉽게 넘을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선단지지구(30)가 상기 본체(10)의 선단 하부로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선단캡(20)은 경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10)의 뾰족한 선단에 돌출되게 끼워지며 상기 본체(10)의 선단 양측에 내부면이 부착되는 것으로, 상기 본체(10)의 뾰쪽한 선단을 파도로부터 보호하면서 파도를 원활히 가르고 상기 절곡지지대(50)의 단부가 끼워지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선단지지구(30)는 상기 선단캡(20)의 하부로 상기 본체(10)의 선단 전면 하부에 끼워지고 경질의 합성수지로 제작된 구조물로 형성되며 물살을 가를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본체(10)의 선단 하부로 파도를 원활히 가를 수 있도록 하면서 파도에 의한 충격으로부터 상기 본체(10)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정시트(40)는 접착제에 의해 상기 본체(10)의 선단 측면과 하면에 부착되고 상기 선단캡(20)과 상기 선단지지구(30)의 선단이 노출되도록 상기 선단캡(20)의 양측면 일부와 상기 선단지지구(30)의 하부측을 둘러싸는 상태로 부착되는 것으로, 상기 선단캡(20)과 선단지지구(30)를 상기 본체(1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후단캡(50)은 상기 본체(10)의 뾰족한 후단에 돌출되게 끼워지고 상기 본체(10)의 후단 양측에 내부면이 부착되며 상하로 관통되는 설치관(51)이 형성되고 경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설치관(51)을 통해 상기 러더부(60)가 상기 본체(10)의 후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러더부(60)는 하단이 수중에 진입되도록 수직의 판형으로 형성되는 방향타(61)를 가지고 상기 설치관(51)에 평면상으로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회전핀(62)이 전방에 부착되며 상단 양측에 연결턱(63)이 돌출되게 부착되는 것으로, 상기 방향타(61)를 통해 수면에서 상기 본체(10)의 진행 방향을 좌우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회전핀(62)은 상기 설치관(51)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상기 방향타(61)가 평면상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연결턱(63)은 상기 러더조정부(70)가 연결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러더부(60)는 그 상단으로 상기 연결턱(63)의 사이에 형성되는 회전홈(64)과, 상기 회전홈(64)에 끼워져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방향타(61)의 상단이 하단에 부착되는 회전원판(65)을 더 포함한다.
상기 회전홈(64)은 상기 회전원판(65)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면서 상기 방향타(61)가 상기 러더부(60)에서 좌우로 흔들리지 않은 상태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회전원판(65)은 상기 방향타(61)가 회전되면서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여 본 서프스키를 사용하지 않을 때 상기 방향타(61)에 대한 보관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러더조정부(70)는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턱(63)에 연결되는 것으로, 탑승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연결턱(63)을 당겨서 상기 방향타(61)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고, 그에 따라 탑승자가 상기 본체(10)의 진행 방향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러더조정부(70)는 상기 연결턱(63)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와이어(71)와,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와이어(71)가 양측에 연결되는 족답식 조작기(72)와, 상기 족답식 조작기(72)의 전방으로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부착되고 상기 연결와이어(71)가 끼워는 유도링(73)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와이어(71)는 상기 족답식 조작기(72)와 러더부(6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족답식 조작기(72)는 탑승자가 발로 눌러서 상기 연결와이어(71)를 당기거나 그 당김을 해제시킴으로써, 상기 방향타(61)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유도링(73)은 상기 연결와이어(71)가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밀착되게 하면서 상기 족답식 조작기(72)로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상기 족답식 조작기(72)는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하단이 장착되고 상기 본체(10)의 전방으로 향해 경사지게 구비되는 고정발판(721)과, 상기 고정발판(721)의 상단 양측에 각각 힌지 결합되고 상호 대칭되게 구비되며 상기 연결와이어(71)가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작동발판(722)과, 상기 고정발판(721)과 작동발판(722)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작동발판(722)을 탄성 복원시키는 토션스프링(723)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발판(721)은 탑승자가 상기 본체(10)에 앉은 상태에서 발바닥을 받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면서 상기 작동발판(722)이 힌지 결합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작동발판(722)은 탑승자가 발가락으로 눌러서 상기 연결와이어(71)를 당길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토션스프링(723)은 탑승자가 발가락으로 상기 작동발판(722)을 누를 때 가압되다가 누름을 해제하면 가압이 해제되면서 상기 작동발판(722)을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탑승자는 양쪽 발을 사용하여 상기 한 쌍의 작동발판(722)을 개별적으로 조작함으로써, 상기 한 쌍의 연결와이어(71)를 개별적으로 당겨 상기 방향타(61)를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본체(10)의 진행 방향을 조정하게 된다.
상기 족답식 조작기(72)는 상기 작동발판(722)의 외측에서 하부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연결와이어(71)가 하단에 연결되는 하부연장턱(724)을 더 포함한다. 상기 하부연장턱(724)은 상기 작동발판(722)의 양측 하부로 상기 연결와이어(71)가 연결되어 상기 연결와이어(71)에 의한 걸림이나 방해 등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족답식 조작기(72)는 상기 고정발판(721)이 상기 본체(10)에서 분리된 상태로 상기 고정발판(721)의 하단 중앙에 장착되는 끼움관(725)과, 상기 끼움관(725)에 끼워지고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장착되는 수평봉(726)과, 상기 끼움관(725)에 수직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관통공(727)과, 상기 관통공(727)에 대응하여 상기 수평봉(726)에 수직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위치조절공(728)과, 상기 수평봉(726)에 대응하여 상기 끼움관(725)의 위치가 조절된 상태로 상기 관통공(727)과 위치조절공(728)을 통해 끼워지는 고정핀(729)을 더 포함한다.
상기 수평봉(726)에 대해 상기 끼움관(725)을 이동시킨 후에 상기 고정핀(729)을 상기 관통공(727)과 위치조절공(728)에 끼워 고정함으로써, 상기 수평봉(726)을 따라 상기 고정발판(721)의 위치를 조절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전복방지튜브(80)는 상기 본체(10)의 양측면 상부를 따라 대칭되게 한 쌍으로 부착되고 공기가 주입되는 공기튜브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10)가 수면에 부유된 상태에서 상기 수면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상기 본체(10)의 양측면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본체(10)가 균형을 유지할 때는 수면에 닿지 않아 상기 본체(10)의 추진에 방해를 주지 않다가 상기 본체(10)가 균형을 잃어 기울어질 때만 수면에 잠기어 부유력을 생성하여 상기 본체(10)의 전복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상기 전복방지튜브(80)는 상기 본체(10)가 수면에 부유된 상태에서 상기 수면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상기 본체(10)의 양측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본체(10)가 균형을 유지할 때는 상기 전복방지튜브(80)가 수면에 닿지 않아 상기 본체(10)의 추진에 방해를 주지 않다가 상기 본체(10)가 균형을 잃어 기울어질 때만 수면에 잠기어 부유력을 생성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삼각커버(90)는 상기 본체(10)의 선단 상면을 둘러싸는 상태로 상기 본체(10)의 양측면에 부착되는 것으로, 상기 본체(10)의 선단 상면을 뾰쪽하게 형성하여 상기 본체(10)의 선단 상부로 넘어오는 파도를 손쉽게 가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지지튜브(100)는 상기 본체(10)의 상면과 상기 삼각커버(90)의 내측면 사이에 끼워지고 공기 주입식 튜브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삼각커버(90)를 지지하여 상기 삼각커버(90)가 볼록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할 것이다.
10 : 본체
11 : 형태유지라인 12 : 선단경사부
20 : 선단캡
30 : 선단지지구
40 : 고정시트
50 : 후단캡
51 : 설치관
60 : 러더부
61 : 방향타 62 : 회전핀
63 : 연결턱 64 : 회전홈
65 : 회전원판
70 : 러더조정부
71 : 연결와이어
72 : 족답식 조작기
721 : 고정발판 722 : 작동발판
723 : 토션스프링 724 : 하부연장턱
725 : 끼움관 726 : 수평봉
727 : 관통공 728 : 위치조절공
729 : 고정핀
73 : 유도링
80 : 전복방지튜브
90 : 삼각커버
100 : 지지튜브

Claims (9)

  1. 상하의 내부면 사이에 양단이 결합되는 다수의 형태유지라인(11)을 가지고, 선단과 후단이 뾰쪽한 긴 판형으로 형성되며, 선단이 상부측으로 기울어진 선단경사부(12)가 형성되고, 공기주입식 튜브 형태로 형성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뾰족한 선단에 돌출되게 끼워지고, 상기 본체(10)의 선단 양측에 내부면이 부착되는 경질의 선단캡(20)과;
    상기 선단캡(20)의 하부로 상기 본체(10)의 선단 전면 하부에 끼워지고, 경질의 구조물로 형성되며, 물살을 가를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는 선단지지구(30)와;
    상기 본체(10)의 선단 측면과 하면에 부착되고, 상기 선단캡(20)과 상기 선단지지구(30)의 선단이 노출되도록 상기 선단캡(20)의 양측면 일부와 상기 선단지지구(30)의 하부측을 둘러싸는 상태로 부착되는 고정시트(40)와;
    상기 본체(10)의 뾰족한 후단에 돌출되게 끼워지고, 상기 본체(10)의 후단 양측에 내부면이 부착되며, 상하로 관통되는 설치관(51)이 형성되는 경질의 후단캡(50)과;
    하단이 수중에 진입되도록 수직의 판형으로 형성되는 방향타(61)를 가지고, 상기 설치관(51)에 평면상으로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회전핀(62)이 전방에 부착되며, 상단 양측에 연결턱(63)이 돌출되게 부착되고, 상기 본체(10)의 진행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러더부(60)와;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턱(63)에 연결되며, 탑승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연결턱(63)을 당겨서 상기 방향타(61)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러더조정부(70)와;
    상기 본체(10)의 선단 상면을 둘러싸는 상태로 상기 본체(10)의 양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본체(10)의 선단 상면을 뾰쪽하게 형성하고, 파도를 가르는 삼각커버(90)와;
    상기 삼각커버(90)를 지지지하도록 상기 본체(10)의 상면과 상기 삼각커버(90)의 내측면 사이에 끼워지고, 공기 주입식 튜브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튜브(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주입식 서프스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러더조정부(70)는,
    상기 연결턱(63)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와이어(71)와,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와이어(71)가 양측에 연결되어 탑승자가 발로 눌러서 상기 연결와이어(71)를 당기거나 그 당김을 해제시키는 족답식 조작기(72)와,
    상기 족답식 조작기(72)의 전방으로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부착되고 상기 연결와이어(71)가 끼워져 상기 연결와이어(71)가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밀착되게 하면서 상기 족답식 조작기(72)로 유도하는 유도링(7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주입식 서프스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족답식 조작기(72)는,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하단이 장착되고 상기 본체(10)의 전방으로 향해 경사지게 구비되는 고정발판(721)과,
    상기 고정발판(721)의 상단 양측에 각각 힌지 결합되고 상호 대칭되게 구비되며 상기 연결와이어(71)가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작동발판(722)과,
    상기 고정발판(721)과 작동발판(722)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작동발판(722)을 탄성 복원시키는 토션스프링(7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주입식 서프스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족답식 조작기(72)는,
    상기 작동발판(722)의 외측에서 하부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연결와이어(71)가 하단에 연결되는 하부연장턱(72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주입식 서프스키.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족답식 조작기(72)는,
    상기 고정발판(721)이 상기 본체(10)에서 분리된 상태로 상기 고정발판(721)의 하단 중앙에 장착되는 끼움관(725)과,
    상기 끼움관(725)에 끼워지고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장착되는 수평봉(726)과,
    상기 끼움관(725)에 수직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관통공(727)과,
    상기 관통공(727)에 대응하여 상기 수평봉(726)에 수직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위치조절공(728)과,
    상기 수평봉(726)에 대응하여 상기 끼움관(725)의 위치가 조절된 상태로 상기 관통공(727)과 위치조절공(728)을 통해 끼워지는 고정핀(729)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주입식 서프스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러더부(60)는,
    그 상단으로 상기 연결턱(63)의 사이에 형성되는 회전홈(64)과,
    상기 회전홈(64)에 끼워져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방향타(61)의 상단이 하단에 부착되어 상기 방향타(61)를 회전시켜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원판(6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주입식 서프스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프스키는,
    상기 본체(10)의 양측면 상부를 따라 대칭되게 부착되고, 공기가 주입되는 공기튜브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10)가 수면에 부유된 상태에서 상기 수면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상기 본체(10)의 양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10)가 균형을 유지할 때는 수면에 닿지 않아 상기 본체(10)의 추진에 방해를 주지 않다가 상기 본체(10)가 균형을 잃어 기울어질 때만 수면에 잠기어 부유력을 생성하여 상기 본체(10)의 전복을 방지하는 한 쌍의 전복방지튜브(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주입식 서프스키.
  8. 삭제
  9. 삭제
KR1020170064612A 2017-05-25 2017-05-25 공기주입식 서프스키 KR1019234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4612A KR101923425B1 (ko) 2017-05-25 2017-05-25 공기주입식 서프스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4612A KR101923425B1 (ko) 2017-05-25 2017-05-25 공기주입식 서프스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3425B1 true KR101923425B1 (ko) 2018-11-30

Family

ID=64561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4612A KR101923425B1 (ko) 2017-05-25 2017-05-25 공기주입식 서프스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342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7858B1 (ko) * 2019-08-28 2020-11-11 김명종 수상 하부의 수중환경을 관찰가능한 수상 바이크
CN117104485A (zh) * 2023-10-18 2023-11-24 福建渡远户外运动用品有限公司 一种充气船及其尾舵安装结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5296A (ja) * 2002-05-17 2003-11-25 Takashi Yamazaki 組み立て式カヌ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5296A (ja) * 2002-05-17 2003-11-25 Takashi Yamazaki 組み立て式カヌ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7858B1 (ko) * 2019-08-28 2020-11-11 김명종 수상 하부의 수중환경을 관찰가능한 수상 바이크
CN117104485A (zh) * 2023-10-18 2023-11-24 福建渡远户外运动用品有限公司 一种充气船及其尾舵安装结构
CN117104485B (zh) * 2023-10-18 2024-02-13 福建渡远户外运动用品有限公司 一种充气船及其尾舵安装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4355B2 (en) Personal flying water jet apparatus
KR101923425B1 (ko) 공기주입식 서프스키
US9278738B2 (en) Rider controllable skimboard
US20150059638A1 (en) Stand-Up Paddle Board Traction Pad with Integrated Seat
JPS61501621A (ja) 柔軟な翼部装置
US20030017769A1 (en) Upright human floatation apparatus and propulsion mechanism therefore
US3150632A (en) Self-propelled water craft
US4155548A (en) Child's swing
US6386932B1 (en) Inflatable boat
US7121910B2 (en) Upright human floatation apparatus and propulsion mechanism therefor
US3626428A (en) Surf boards
US20090120346A1 (en) Self-propelled hydrofoil device with flexible steering assembly
US7197996B2 (en) Seat board for board kiting
US4464126A (en) Finboard exercising apparatus
US20100006703A1 (en) System for releasing opposing tensioned lines
AU667980B2 (en) Toy surfing device
US5409408A (en) Sailboard with reciprocating fins and umbrella type rotary parafoil sail
WO2015022610A2 (en) Floating board for aquatic sports
US5057044A (en) Recreational water sled and towing method
JP2019189197A (ja) 水上推進装置
CN212290237U (zh) 一种重力、浮力双向稳定水面飘浮独杆展娱平台
JP4563910B2 (ja) 水上乗り物
US20210001961A1 (en) Adjustable Surfboard Fin and Method of Use
KR200257712Y1 (ko) 안전글라이더 발사장치
JPS64685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