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3366B1 - 차량 배력 장치가 저 진공 상태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판단방법 및 판단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배력 장치가 저 진공 상태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판단방법 및 판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3366B1
KR101923366B1 KR1020180043258A KR20180043258A KR101923366B1 KR 101923366 B1 KR101923366 B1 KR 101923366B1 KR 1020180043258 A KR1020180043258 A KR 1020180043258A KR 20180043258 A KR20180043258 A KR 20180043258A KR 101923366 B1 KR101923366 B1 KR 1019233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state
value
degree
predetermined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3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환식
김환섭
신형균
서중현
박인철
권대혁
우찬주
Original Assignee
(주)한중엔시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중엔시에스 filed Critical (주)한중엔시에스
Priority to KR1020180043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33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3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33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18Safety devices; Monitoring
    • B60T17/22Devices for monitoring or checking brake systems; Sign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2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gaseous
    • B60T13/46Vacuum systems
    • B60T13/52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17Using electrical or electronic regulation means to control braking
    • B60T8/171Detecting parameters used in the regulation; Measuring values used in the reg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6Pressure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90Driver al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배력 브레이크 진공계통 내부의 진공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진공이 부족한 상태가 회복되지 않을 경우 차량에 신호를 전달하여 차량 고유의 안전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운전자에게 경고하고, 이후 진공도를 회복하여 일정시간 이상을 유지할 경우 경고상황을 해제하는 신호를 운전자에게 제공함으로서 배력 장치의 진공도 이상에 따른 차량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차량 배력 장치가 저 진공 상태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판단방법 및 판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배력 브레이크 진공계통 내부의 진공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얻은 진공도 값을 연산제어부(40)로 전달하는 진공 압력 센서(20)와, 상기 진공 압력 센서(20)를 통해 얻은 배력 브레이크 진공계통 내부의 진공도 값이 저 진공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임계압력(P1) 값과 일정시간(t1)이 입력 및 저장되며, 배력 브레이크 진공계통 내부의 진공도 값이 임계압력(P1) 값보다 작으면서 그 상태를 일정시간(t1) 동안 유지를 할 경우 저 진공 상태임을 판단하고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연산제어부(4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차량 배력 장치가 저 진공 상태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판단방법 및 판단장치{A method and judging device for confirming whether or not a vehicle booster is in a low vacuum state}
본 발명은 차량 배력 장치가 저 진공 상태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판단방법 및 판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배력 브레이크 진공계통 내부의 진공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진공이 부족한 상태가 회복되지 않을 경우 차량에 신호를 전달하여 차량 고유의 안전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운전자에게 경고하고, 이후 진공도를 회복하여 일정시간 이상을 유지할 경우 경고상황을 해제하는 신호를 운전자에게 제공함으로서 배력 장치의 진공도 이상에 따른 차량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차량 배력 장치가 저 진공 상태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판단방법 및 판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제동 배력 장치라 함은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는 작은 힘으로 큰 제동력을 얻기 위해 설치한 장치를 일컫는 것으로 엔진의 흡입 부압을 이용한 진공식과 압축 공기를 이용한 압축 공기식이 있으며, 진공식은 다시 대형차에 주로 사용하는 분리형과 승용차에 주로 사용하는 일체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최근 차량의 경량화 및 친환경화 움직임은 차량의 흡기 측으로 부터 얻어지던 부압력의 생성을 어렵게 하였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 보조의 진공 발생 펌프(EVP)를 사용하기도 하였으며, 전력기반 자동차에서는 회생제동과 함께 차량의 급제동과 완전 정지 상태 도달을 위한 주력 브레이크로 진공 펌프를 사용하기도 하였다.
배력 브레이크의 동작을 살펴보면, 평시 진공 부스터의 실내에는 차량의 흡기 측 또는 진공 펌프에 의해 부압이 형성되어 있는데, 다이어프램을 사이에 두고 나눠진 진공실과 공기실에 부압이 형성되어 있다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는 순간 공기실의 밸브가 열리고 공기실의 압력이 대기압으로 바뀌면서 다이어프램의 양측의 압력차에 의해 마스터 실린더의 푸시로드 및 다이어프램과 하나로 연결되어 있는 배력판을 밀어내고, 이는 마스터 실린더의 유체 압력을 높여 각 캘리퍼의 피스톤에 공급케 함으로서 캘리퍼가 디스크를 강한 힘으로 잡게 되어 마찰력에 의한 제동이 되는 것이다.
상기 진공 부스터는 내연기관의 흡기 측 및 ECU나 스위치 등으로 제어되는 전자 진공 펌프에 의해 진공이 형성되거나 전자 진공 펌프에 의존하여 진공이 형성되며, ECU는 부스터 진공센서를 이용하여 진공 부스터의 진공압력을 측정하고, 측정된 진공압력의 값에 따라 전자 진공 펌프를 제어하게 되는데, 부스터의 진공압력이 안전하게 제동하기에 충분히 높지 못한 경우 ECU는 전자 진공 펌프의 동작을 제어하여 부스터의 진공압력이 일정수준 이상이 될 때까지 전자 진공 펌프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전자 진공 펌프는 부스터의 진공도가 지정 임계값 보다 낮을 경우 ECU나 스위치 등의 신호를 받아 작동을 하게 되는데, 브레이크 진공 라인 누설에 의해 진공도가 지속적으로 낮아지게 되는 경우에도 전자 진공 펌프는 작동을 한다. 이렇게 될 경우 전자 진공 펌프는 지정한 임계값의 진공도를 유지하기 위해 무리한 연속적 동작에 의해 파손되거나 수명단축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원발명에서는 진공 부스터 내의 진공도를 실시간으로 감지 하여 설정시간 동안 임계값 이상으로 회복되지 않을 경우 이를 판단(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대해 차량 및 운전자에게 알려 안전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신호를 제공하는 한편, 지정한 임계보다 낮은 진공도에 대해서는 전자 진공 펌프를 동작시켜 진공도를 회복시키고, 진공도가 일정시간 동안 유지를 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이를 다시 차량 및 운전자에게 신호를 제공함으로써 Fail Safety 또는 Limp Home Mode로 활용하는 등 차량의 안전 성능을 제고할 수 있는 장치의 필요성이 대두 되었다.
또한, 기존의 배력 브레이크 시스템에 있어 ECU나 스위치 등을 이용하여 전자 진공 펌프를 제어하여 왔는데, 1억 줄 이상의 복잡한 구성을 갖는 ECU의 오동작이나 고장상황으로 인해 ECU의 하위에서 감지와 제어만을 담당하는 별도의 제어기를 구성함으로써 시스템의 강건성 제고를 위한 방안 마련 필요성이 대두 되었다.
1. 실용신안출원 제20-1999-0009401호(고안의 명칭 : 브레이크 배기력과 연동 되는 엔진 출력 제한 장치) 2. 특허등록 제10-1613414호(발명의 명칭 : 차량 제동용 스마트 브레이크 시스템). 3. 특허출원 제10-2010-0110744(발명의 명칭 : 차량의 부스터의 진공상태 유지 시스템 및 방법). 4. 특허출원 제10-2011-0028699호(발명의 명칭 : 차량용 전동식 진공펌프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과 필요성을 인식하여 부스터 내부의 진공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부스터 내부의 진공도가 임계값보다 낮고, 설정시간 동안 회복되지 않을 경우 부스터 내부의 진공도가 저 진공상태임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하고, 부스터 내부의 진공도가 저 진공상태로 판단될 경우 운전자 및 차량에 신호를 전달하여 차량은 안전하게 제어토록 하며, 경고상황이 지속 되는 동안에 진공 펌프를 동작시켜 진공도를 회복함과 동시에 회복된 진공도가 일정시간 이상 유지될 경우 경고상황을 해제하는 신호를 차량 및 운전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안전한 제동력의 제공과 위험상황에 대한 능동적 차량 제어를 위한 안전 기능을 확장시킬 수 있는 차량 배력 장치가 저 진공 상태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판단방법 및 판단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자 진공 펌프의 연속적인 부하동작을 제한하여 전자 진공 펌프의 파손을 방지함과 동시에 수명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자 진공 펌프의 동작제어를 ECU나 단순한 스위치가 아닌 별도의 연산제어부를 통해 제어가 되도록 함으로써 ECU의 본연의 연산오류를 감소시킴과 동시에 ECU 고장에 의한 진공 미형성 상황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 발명의 차량 배력 장치가 저 진공 상태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판단방법은 진공 압력 센서(20)에서 배력 브레이크 진공계통 내부의 진공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상기 진공 압력 센서(20)에서 감지하여 입력된 진공도의 값에 임의의 임계압력(P1) 값과 일정시간(t)을 비교연산하여 얻어진 값을 토대로 배력 브레이크 진공계통 내부의 진공도가 저 진공상태인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비교연산 후 얻어진 값이 임계압력(P1) 값보다 작으면서 그 상태를 일정시간(t) 동안 유지를 할 경우 이에 대해 저 진공상태라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교연산과정에서 진공 압력 센서(20)가 감지 하여 입력된 진공도의 값에 임의의 임계압력(P1) 값과 일정시간(t1)을 대비하여 비교연산을 하는 횟수는 1회 내지 n 회 이내 조건에서 반복으로 진행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판단 단계에서 저 진공상태라고 판단할 경우 경고신호를 전송 또는 제공함과 동시에 전자 진공 펌프를 작동시키고, 전자 진공 펌프 작동 후 얻어진 배력 브레이크 진공계통 내부의 진공도 값에 임계압력(P2) 값과 일정시간(t2)을 대비하여 배력 브레이크 진공계통 내부의 진공도가 저 진공상태인지의 여부를 비교 연산하고, 비교연산 후 얻어진 값이 임계압력(P2)보다 크면서 그 상태를 일정시간(t2) 동안 유지를 할 경우 정상으로 판단 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력 브레이크 진공계통 내부의 진공도가 정상인 경우 연산제어부는 경고신호를 해제하거나 또는 정비 후 별도의 리셋과정에 의해 경고신호가 해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교연산과정에서 진공 압력 센서(20)가 감지하여 입력된 진공도의 값에 임의의 임계압력(P2) 값과 일정시간(t2)을 대비하여 비교연산을 하는 횟수는 1회 내지 n 회 이내 조건에서 반복으로 진행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상 상태 여부 판단 과정에서 진공도의 값이 임계압력(P1) 값보다 작으면서 그 상태를 일정시간(t1) 동안 유지를 하는 상태인 저 진공 상태인 경우 전자 진공 펌프(30)의 보호를 위해 전자 진공 펌프(30)를 일정 시간(t2) 동안 동작한 후 일정 시간(t3) 동안 휴지하도록 하고, 판단 횟수 n 회를 초과한 경우 ECU에서 림프 홈(limp home) 기능으로 전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차량 배력 장치가 저 진공 상태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판단장치는, 배력 브레이크 진공계통 내부의 진공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얻은 진공도 값을 연산제어부(40)로 전달하는 진공 압력 센서(20)와, 상기 진공 압력 센서(20)를 통해 얻은 배력 브레이크 진공계통 내부의 진공도 값이 저 진공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임계압력(P1) 값과 일정시간(t1)이 입력 및 저장되며, 부스터 내부의 진공도 값이 임계압력(P1) 값보다 작으면서 그 상태를 일정시간(t1) 동안 유지를 할 경우 저 진공 상태임을 판단하고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연산제어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산제어부(40)는 배력 브레이크 진공계통 내부의 진공도가 저 진공 상태라고 판단될 경우 저 진공상태임을 알리는 경고 신호의 제공과 동시에 전자 진공 펌프(30)의 작동 제어 또는 ECU로 저 진공 상태임을 알리는 신호 전송기능이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산제어부(40)는 전자 진공 펌프(30)가 작동을 한 이후의 배력 브레이크 진공계통 내부의 진공도가 임계압력(P2) 값보다 높은 상태를 일정시간(t2) 동안 유지를 할 경우 저 진공 상태에 따른 경고상황이 해제되었음을 알리는 해제 기능이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산제어부(40)는 저 진공 상태임을 판단하여 전자 진공 펌프(30)의 동작을 제어할 때 전자 진공 펌프(30)가 일정 시간(t2) 동안 동작한 후 다시 일정 시간(t3) 동안 휴지하도록 하여 전자 진공 펌프를 보호하고, 전자 진공 펌프의 동작 회수가 설정 회수(n) 이상일 경우 상위 ECU가 림프 홈 기능을 활성 시킬 수 있도록 신호를 전송하는 기능이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산제어부(40)는 진공 압력 센서(20)에 일체형으로 구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원 발명의 차량 배력 장치가 저 진공 상태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판단방법 및 판단장치는 배력 브레이크 진공계통 내부의 진공도를 설정된 시간과 압력조건을 통해 실시간으로 정상 여부를 확인하여 차량의 안전을 제고할 수 있으며, 전자 진공 펌프의 동작 신호를 효율적으로 제공하여 전자 진공 펌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별도의 연산제어부에 의해 전자 진공 펌프가 제어됨에 따라 상위 ECU의 연산 오류에 의한 브레이크의 기능 상실 가능성 및 상위 ECU의 제어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의 전자 진공 펌프가 제어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작동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블록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본원 발명의 차량 배력 장치가 저 진공 상태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판단방법 및 판단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원 발명에서 제공하는 차량 배력 장치가 저 진공 상태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판단방법은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 압력 센서(20)에서 배력 브레이크 진공계통 내부의 진공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상기 진공 압력 센서(20)에서 감지하여 입력된 진공도의 값에 임의의 임계압력(P1) 값과 일정시간(t)을 비교연산하여 얻어진 값을 토대로 배력 브레이크 진공계통 내부의 진공도가 저 진공상태인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 본원 발명의 핵심이다.
이때 상기 비교연산 후 얻어진 값이 임계압력(P1) 값보다 작으면서 그 상태를 일정시간(t) 동안 유지를 할 경우 이에 대해 저 진공상태라고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비교연산과정에서 진공 압력 센서(20)가 감지하여 입력된 진공도의 값에 임의의 임계압력(P1) 값과 일정시간(t1)을 대비하여 비교연산을 하는 횟수는 1회 내지 n 회 이내 조건에서 반복으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판단 단계에서 저 진공상태라고 판단할 경우 경고신호를 전달하여 전송 또는 제공함과 동시에 전자 진공 펌프를 작동시키고, 전자 진공 펌프 작동 후 얻어진 배력 브레이크 진공계통 내부의 진공도 값에 임계압력(P2) 값과 일정시간(t2)을 대비하여 배력 브레이크 진공계통 내부의 진공도가 저 진공상태인지의 여부를 비교 연산하고, 비교연산 후 얻어진 값이 임계압력(P2)보다 크면서 그 상태를 일정시간(t2) 동안 유지를 할 경우 정상으로 판단한다.
이때 전자 진공 펌프의 제어신호를 차단하여 불필요한 전자 진공 펌프의 동작을 차단하며, 상기 배력 브레이크 진공계통 내부의 진공도가 정상인 경우 연산제어부는 경고신호를 해제하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경고신호의 해제는 제조사와 차량에 따라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정비 후 별도의 리셋과정에 의해 경고신호가 해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비교연산과정에서 진공 압력 센서(20)가 감지하여 입력된 진공도의 값에 임의의 임계압력(P2) 값과 일정시간(t2)을 대비하여 비교연산을 하는 횟수는 1회 내지 n 회 이내 조건에서 반복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비교연산을 하는 횟수는 시간이 될 수도 있는바, 이 모두 주어진 조건하에서 사이클의 반복을 의미하는 것으로 통용될 있다.
또한, 상기 정상 상태 여부 판단 과정에서 진공도의 값이 임계압력(P1) 값보다 작으면서 그 상태를 일정시간(t1) 동안 유지를 하는 상태인 저 진공 상태인 경우 전자 진공 펌프(30)의 보호를 위해 전자 진공 펌프(30)를 일정 시간(t2) 동안 동작한 후 일정 시간(t3) 동안 휴지하도록 하고, 판단 횟수 n 회를 초과한 경우 ECU에서 림프 홈(limp home) 기능으로 전환되도록 한다.
전자 진공 펌프를 일정시간(t2),(t3) 동안 멈춤과 작동을 연속 반복적으로 실행한다는 것은 진공도가 부족한 상태에서는 목표로 하는 진공도로 회복될 때까지 전자 진공 펌프(30)의 동작은 지속된다고 할 수 있다.
상기 일정시간(t2),(t3)을 1회라 가정할 때 이를 3회 혹은 5회 등 설정한 값 이내까지 반복설정하여 판단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n 회를 초과할 경우 ECU에서 림프 홈(limp home) 기능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신호를 제공하고, 림프 홈(limp home) 기능 이후 차량 수리 및 점검 등의 수리활동을 통하여 연산제어부의 경고상황은 해제와 동시에 정상의 상태로 리셋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본원 발명의 차량 배력 장치가 저 진공 상태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판단장치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배력 브레이크 진공계통 내부의 진공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얻은 진공도 값을 연산제어부(40)로 전달하는 진공 압력 센서(20)와, 상기 진공 압력 센서(20)를 통해 얻은 배력 브레이크 진공계통 내부의 진공도 값이 저 진공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임계압력(P1) 값과 일정시간(t1)이 입력 및 저장되며, 배력 브레이크 진공계통 내부의 진공도 값이 임계압력(P1) 값보다 작으면서 그 상태를 일정시간(t1) 동안 유지를 할 경우 저 진공 상태임을 판단하고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연산제어부(40)로 구성됨에 그 핵심이 있다.
이때 상기 연산제어부(40)는 차량 배력 장치의 배력 브레이크 진공계통 내부의 진공도가 저 진공 상태라고 판단될 경우 저 진공상태임을 알리는 경고 신호의 제공과 동시에 전자 진공 펌프(30)의 작동 제어 또는 ECU로 저 진공 상태임을 알리는 신호 전송기능이 탑재 구성된다.
상기 전자 진공 펌프(30)의 작동 시간은 1 내지 180초 내에서 작동되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경고 알림이라 함은 디지털, 아날로그 신호를 모두 포함하는 것이며, 계기판에 표시되도록 하거나 소리를 통해서도 운전자에게 알릴 수 있다.
상기 연산제어부(40)의 동작 제어에 의해 전자 진공 펌프(30)가 작동을 한 이후의 배력 브레이크 진공계통 내부의 진공도가 임계압력(P2) 값보다 높은 상태를 일정시간(t2) 동안 유지를 할 경우 연산제어부(40)에서 저 진공 상태에 따른 경고상황이 해제되었음을 알리도록 구성되는바, 경고상황의 해제 알림은 차량으로의 신호 전달 또는 운전자가 계기판을 보고 확인할 수 있는 정도가 될 수 있다.
상기 임계압력(P1)이라 함은 정상 범위의 압력 값에 비해 낮은 상태의 값을 일컫는 것으로 정상범위의 압력이 50 ~ 75kpa 이라고 가정할 때 임계 압력 값을 40 ~ 50kpa로 설정하고 일정시간(t1)은 5 내지 20초의 값으로 설정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산제어부(40)는 전자 진공 펌프(30)가 작동을 한 이후의 배력 브레이크 진공계통 내부의 진공도가 임계압력(P2) 값보다 높은 상태를 일정시간(t2) 동안 유지를 할 경우 저 진공 상태에 따른 경고상황이 해제되었음을 알리는 해제 기능이 탑재 구성된다.
상기 임계압력(P2)은 75kpa로 이상의 부압력으로 설정할 수 있고 일정시간(t2)은 5 내지 20초의 값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설정 값은 제조사 및 차량의 종류에 따라 임의로 설정할 수 있음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산제어부(40)는 저 진공 상태임을 판단하여 전자 진공 펌프(30)의 동작을 제어할 때 전자 진공 펌프(30)가 일정 시간(t2) 동안 동작한 후 다시 일정 시간(t3) 동안 휴지하도록 하여 전자 진공 펌프를 보호하고, 전자 진공 펌프의 동작 회수가 설정 회수(n) 이상일 경우 상위 ECU가 림프 홈 기능을 활성 시킬 수 있도록 신호를 전송하는 기능이 탑재 구성된다.
배력 브레이크 진공계통 내부의 진공도가 부족하다고 하여 전자 진공 펌프(30)를 지속적으로 가동할 경우 오히려 전자 진공 펌프(30)가 연속적인 작동에 따른 열 및 마찰 부하가 발생하거나 수명저하를 야기 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 될 수 있어 각 일정시간을 정하여 동작 및 멈춤이 반복하여 동작 되도록 하는 것이며, 배력 브레이크 진공계통 내부의 진공도 부족 현상은 브레이크 라인의 누설에서도 기인할 수 있는바, 이 경우를 무시한 상태에서 연속으로 휴지 없이 전자 진공 펌프(30)를 가동하게 되면 수명저하로 연결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산제어부(40)는 진공 압력 센서(20)에 일체형으로 구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치 공간의 효율성 및 경제성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무엇 보다 연산제어부(40)를 통해 전자 진공 펌프(30)를 제어하기 때문에 상위 ECU의 연산 오류에 따른 브레이크 기능 상실을 회피할 수 있음은 물론, 상위 ECU의 연산부하를 감소시키고 하위 연산제어부(40)간의 연결을 통해 시스템의 리던던시(Redundancy)를 강화시켜 높은 안전 수준을 보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감지라 함은 계기, 다이얼, 센서를 통한 감지를 포함함과 동시에 횟수나 시간을 활용하여 감지한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으로 구성되는 본원 발명은 배력 브레이크 진공계통 내부의 진공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진공도가 설정된 값에서 벗어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진공도가 부족한 경우 기존 ECU를 통해 전자 진공 펌프를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연산제어부(40)를 통해 동작 제어를 함으로써 상위 ECU의 고장 대비 및 연산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전자 진공 펌프의 필요 이상 작동에 따른 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설정 값은 제조사와 차량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 진공도의 감지는 배력 브레이크 진공계통에 구성될 수 있는 보조 진공 탱크 또는 진공 부스터(10)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실제 진공계통의 어떠한 구성요소에서도 감지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10: 진공 부스터 20: 진공 압력 센서
30: 전자 진공 펌프 40: 연산 제어부

Claims (12)

  1. 진공 압력 센서(20)에서 배력 브레이크 진공계통 내부의 진공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상기 진공 압력 센서(20)에서 감지하여 입력된 진공도의 값에 임의의 임계압력(P1) 값과 일정시간(t)을 비교연산하여 얻어진 값을 토대로 배력 브레이크 진공계통 내부의 진공도가 저 진공상태인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배력 장치가 저 진공 상태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판단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연산 후 얻어진 값이 임계압력(P1) 값보다 작으면서 그 상태를 일정시간(t) 동안 유지를 할 경우 이에 대해 저 진공상태라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배력 장치가 저 진공 상태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판단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연산과정에서 진공 압력 센서(20)가 감지하여 입력된 진공도의 값에 임의의 임계압력(P1) 값과 일정시간(t1)을 대비하여 비교연산을 하는 횟수는 1회 내지 n 회 이내 조건에서 반복으로 진행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배력 장치가 저 진공 상태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판단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과정에서 저 진공상태라고 판단할 경우 경고신호를 전송 또는 제공함과 동시에 전자 진공 펌프를 작동시키고, 전자 진공 펌프 작동 후 얻어진 배력 브레이크 진공계통 내부의 진공도 값에 임계압력(P2) 값과 일정시간(t2)을 대비하여 배력 브레이크 진공계통 내부의 진공도가 저 진공상태인지의 여부를 비교 연산하고, 비교연산 후 얻어진 값이 임계압력(P2)보다 크면서 그 상태를 일정시간(t2) 동안 유지를 할 경우 정상으로 판단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배력 장치가 저 진공 상태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판단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력 브레이크 진공계통 내부의 진공도가 정상인 경우 연산제어부는 경고신호를 해제하거나 또는 정비 후 별도의 리셋과정에 의해 경고신호가 해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배력 장치가 저 진공 상태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판단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연산과정에서 진공 압력 센서(20)가 감지하여 입력된 진공도의 값에 임의의 임계압력(P2) 값과 일정시간(t2)을 대비하여 비교연산을 하는 횟수는 1회 내지 n 회 이내 조건에서 반복으로 진행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배력 장치가 저 진공 상태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판단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정상 상태 여부 판단 과정에서 진공도의 값이 임계압력(P1) 값보다 작으면서 그 상태를 일정시간(t1) 동안 유지를 하는 상태인 저 진공 상태인 경우 전자 진공 펌프(30)의 보호를 위해 전자 진공 펌프(30)를 일정 시간(t2) 동안 동작한 후 일정 시간(t3) 동안 휴지하도록 하고, 판단 횟수 n 회를 초과한 경우 ECU에서 림프 홈(limp home) 기능으로 전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배력 장치가 저 진공 상태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판단방법.
  8. 배력 브레이크 진공계통 내부의 진공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얻은 진공도 값을 연산제어부(40)로 전달하는 진공 압력 센서(20)와, 상기 진공 압력 센서(20)를 통해 얻은 배력 브레이크 진공계통 내부의 진공도 값이 저 진공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임계압력(P1) 값과 일정시간(t1)이 입력 및 저장되며, 배력 브레이크 진공계통 내부의 진공도 값이 임계압력(P1) 값보다 작으면서 그 상태를 일정시간(t1) 동안 유지를 할 경우 저 진공 상태임을 판단하고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연산제어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배력 장치가 저 진공 상태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판단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제어부(40)는 차량 배력 장치의 배력 브레이크 진공계통 내부의 진공도가 저 진공 상태라고 판단될 경우 저 진공상태임을 알리는 경고 신호의 제공과 동시에 전자 진공 펌프(30)의 작동 제어 또는 ECU로 저 진공 상태임을 알리는 신호 전송기능이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배력 장치가 저 진공 상태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판단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제어부(40)는 전자 진공 펌프(30)가 작동을 한 이후의 배력 브레이크 진공계통 내부의 진공도가 임계압력(P2) 값보다 높은 상태를 일정시간(t2) 동안 유지를 할 경우 저 진공 상태에 따른 경고상황이 해제되었음을 알리는 해제 기능이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배력 장치가 저 진공 상태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판단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제어부(40)는 저 진공 상태임을 판단하여 전자 진공 펌프(30)의 동작을 제어할 때 전자 진공 펌프(30)가 일정 시간(t2) 동안 동작한 후 다시 일정 시간(t3) 동안 휴지하도록 하여 전자 진공 펌프를 보호하고, 전자 진공 펌프의 동작 회수가 설정 회수(n) 이상일 경우 상위 ECU가 림프 홈 기능을 활성 시킬 수 있도록 신호를 전송하는 기능이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배력 장치가 저 진공 상태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판단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제어부(40)는 진공 압력 센서(20)에 일체형으로 구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배력 장치가 저 진공 상태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판단장치.
KR1020180043258A 2018-04-13 2018-04-13 차량 배력 장치가 저 진공 상태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판단방법 및 판단장치 KR1019233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258A KR101923366B1 (ko) 2018-04-13 2018-04-13 차량 배력 장치가 저 진공 상태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판단방법 및 판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258A KR101923366B1 (ko) 2018-04-13 2018-04-13 차량 배력 장치가 저 진공 상태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판단방법 및 판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3366B1 true KR101923366B1 (ko) 2018-11-29

Family

ID=64567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3258A KR101923366B1 (ko) 2018-04-13 2018-04-13 차량 배력 장치가 저 진공 상태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판단방법 및 판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336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5288A (ko) * 2019-06-21 2020-12-30 주식회사 한중엔시에스 배력 브레이크용 진공펌프 구동 제어기
CN113246946A (zh) * 2021-05-30 2021-08-13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电子真空泵系统故障处理方法
US11332111B2 (en) 2019-11-28 2022-05-17 Hyundai Motor Company System for and method of controlling driving of an electronic vacuum pump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2718B1 (ko) * 2006-01-17 2007-03-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용 브레이크 진공압 제어방법
JP2011144726A (ja) * 2010-01-13 2011-07-28 Suzuki Motor Corp 内燃機関の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2718B1 (ko) * 2006-01-17 2007-03-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용 브레이크 진공압 제어방법
JP2011144726A (ja) * 2010-01-13 2011-07-28 Suzuki Motor Corp 内燃機関の制御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5288A (ko) * 2019-06-21 2020-12-30 주식회사 한중엔시에스 배력 브레이크용 진공펌프 구동 제어기
KR102270891B1 (ko) * 2019-06-21 2021-06-30 주식회사 한중엔시에스 배력 브레이크용 진공펌프 구동 제어기
US11332111B2 (en) 2019-11-28 2022-05-17 Hyundai Motor Company System for and method of controlling driving of an electronic vacuum pump
CN113246946A (zh) * 2021-05-30 2021-08-13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电子真空泵系统故障处理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3366B1 (ko) 차량 배력 장치가 저 진공 상태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판단방법 및 판단장치
KR101894103B1 (ko) 가압 밸브의 기능 상태 정의 방법과 유압식 브레이크 부스터 장치의 가압 밸브를 위한 기능 모니터링 장치
KR101951056B1 (ko) 진공 센서의 신호 값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CN105015530B (zh) 用于车辆的电驻车制动器
KR100921277B1 (ko) 공기압 브레이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23287A (ko) 전자제어 브레이크 시스템
KR101872679B1 (ko) 차량 배력 장치의 진공 압력 센서 불량 여부 검사 방법 및 검사장치
KR20070043976A (ko) 전기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을 구비한 차량용 제동 장치및 그 제어 방법
CN104973041A (zh) 真空助力器泄漏到大气中或助力器止回球故障的检测
US20140110994A1 (en) Method for operating a braking system
US20150084402A1 (en) Automatic traction relay valve diagnostic using pressure transducer feedback
JP2012254788A (ja) 制御器の故障時に電気式真空ポンプを始動するための等価回路
US9463783B2 (en) Braking apparatus for work machines and method of actuating said braking apparatus
KR102631106B1 (ko) 브레이크 시스템의 작동 방법 및 브레이크 시스템
KR102004709B1 (ko) Ecu를 부스터 제어부가 백업 제어하는 브레이크 장치 및 방법
US20060232127A1 (en) Method for monitoring a braking torque modification of a retarder
CN114728650A (zh) 制动器的空气压力控制装置、空气压力控制方法及空气压力控制程序
CN114096446A (zh) 空气压力控制装置、空气压力回路以及制动控制系统
KR102166707B1 (ko) Pto 기능을 구비한 차량의 제어방법
TWI603871B (zh) 氣壓煞車異常偵測方法及其系統
CN109421681A (zh) 一种新能源汽车刹车装置及其控制方法
JPH04238770A (ja) 圧力機器用圧力源
KR101901444B1 (ko) 차량의 능동 유압 부스터 시스템
KR100311158B1 (ko) 자동차의 풋 브레이크 고장시 배기 브레이크의 자동 작동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00177551A (ja) ブレーキ圧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