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1951B1 - 교통약자용 차량 승하차 리프트 시스템 - Google Patents

교통약자용 차량 승하차 리프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1951B1
KR101921951B1 KR1020160178978A KR20160178978A KR101921951B1 KR 101921951 B1 KR101921951 B1 KR 101921951B1 KR 1020160178978 A KR1020160178978 A KR 1020160178978A KR 20160178978 A KR20160178978 A KR 20160178978A KR 101921951 B1 KR101921951 B1 KR 101921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step panel
panel
lifting step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8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5069A (ko
Inventor
박성권
Original Assignee
창림모아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창림모아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창림모아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8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1951B1/ko
Publication of KR20180075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50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1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19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2Loading or unloading personal conveyances; Facilitating access of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r exit from, vehicles
    • A61G3/06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 A61G3/062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using lifts connected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2Retractable steps or ladders, e.g. movable under sho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Abstract

본 발명은 교통약자용 차량 승하차 리프트 시스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차량의 탑승구에 설치되는 베이스(10); 상기 베이스(10)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리프팅 스텝패널(20); 상기 베이스(10)에 힌지부(HP)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힌지부(HP)를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10) 쪽으로 세워지도록 회동되고 상기 베이스(10)에서 수평 방향으로 펼쳐지는 회동 스텝패널(32); 상기 리프팅 스텝패널(20)을 승강시키는 리프팅 유닛(50);을 포함하며, 상기 리프팅 스텝패널(20)은, 상기 베이스(10)에 연결되어 수평 배치된 제1리프팅 스텝패널(22); 상기 제1리프팅 스텝패널(22)에 폴딩 힌지부(HP)를 매개로 연결된 제2리프팅 스텝패널(28); 상기 제2리프팅 스텝패널(28)을 상기 폴딩 힌지부(HP)를 기준으로 상기 제1리프팅 스텝패널(22)로 접거나 상기 제1리프팅 스텝패널(22)에서 펼쳐지도록 작동시키는 폴딩 드라이버(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교통약자용 차량 승하차 리프트 시스템{Automobile lift system for disabled and elderly person}
본 발명은 교통약자용 차량 승하차 리프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애인과 같이 교통 약자 전용 버스가 아니라 일반 버스에 설치하여 일반인은 평상시대로 탑승하고 교통 약자도 편리하게 버스에 탑승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교통약자용 차량 승하차 리프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5일 근무제 및 장애인의 경제활동이 많아지면서 국내 교통약자를 위한 교통 수요가 증대되고 교통약자의 이동권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것이 버스이다.
장애인의 탑승을 위하여 버스 등의 대중교통 수단도 장애인에 맞추어 설계되고 있다. 휠체어에 의존하는 장애인이 먼 거리를 이동하기 위해서는 차량을 이용하여야 하는데, 차량에 승차 또는 하차시에 가급적 신체 접촉 없이 차량에 승하차할 수 있도록 리프트 또는 슬로프가 차량에 장착된다.
대중교통 버스는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이 대중교통의 수단인 버스에 탑승하기 용이하도록 버스를 개조하여 슬라이딩 정차로 인한 탑승 버스와 휠체어를 들어 올리는 리프트 버스가 있다.
장애인을 포함한 교통 약자를 위해 각 도시 및 지방 자치에서는 저상버스, 중저상 버스 및 고상 리프트 버스 등을 개조 및 설치하여 도입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는 승장장 환경 및 제품의 수입의존 등으로 인한 A/S 문제, 높은 개조 비용과 잦은 고장 및 밖으로 돌출되는 위험성으로 인해 문제가 되고 있다.
사회적 약자가 늘어나는 추세이지만 장애인이나 교통 약자들을 위한 운송수단(대중교통)은 장애인이나 교통 약자들이 늘어나는 수에 비해 현저하게 부족한 실정이며, 이로 인해 교통약자를 위한 대중교통 운송수단의 기술개발이 필요하다.
국내 버스 및 버스 승차장에 상관없이 교통 약자가 탑승할 수 있는 스텝 리프트의 개발이 필요하다.
현재 각 대도시에 이용되고 있는 저상 시내 버스의 경우 슬로프의 경사각도가 승강장의 형태에 따라 가파른 경사각이기 때문에 탑승이 어렵다.
또한, 버스 승강장에서 장애인이 탑승하기 위해 버스가 승강강에 진입 후 경사로(슬로프)를 작동시키는 소요 시간이 오래 걸린다.
버스가 승강장에 진입한 후 장애인이 탑승하기까지 소요시간이 대략 5분에서 7분 정도가 소요되며, 특히 러시아워 시간에는 빠르게 이동해야 할 버스가 장애인 탑승시 지체되는 시간 때문에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장애인이 탑승하기 쉽고 빠른 효율적인 버스 스텝 리프트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특히, WiFi와 같은 무선통신수단을 이용한 효율적인 버스 스텝 리프트의 개발이 필요하다.
한편, 중저상 버스는 유압식 리프트에 의해 리프트가 톨출형으로 되어 있는데, 돌출형 리프트의 경우 휠체어를 이용한 장애인이 탑승시 안전 손잡이 및 안전 장치가 완벽히 구현되지 않아 탑승시 불안 요소가 존재한다.
리프트 타입의 경우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잦은 고장과 A/S 문제로 인한 유지 보수가 상당히 어려운 실정이다.
리프트 타입을 버스에 설치하기 위해 버스의 개조 비용부담이 커서 상대적으로 적용 보급이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버스 스텝리프트를 국산화 및 모듈화시켜서 국내도로 여건에 맞고 여러 차종 공통으로 장착할 수 있는 스텝 리프트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국내의 버스 스텝리프트 기술은 현재는 노출형의 리르트 타입과 슬라이딩 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국내의 슬라이딩 방식의 버스스텝은 현재 저상형 시내버스에 사용되고 있다.
슬라이딩장치를 가동하기 위해서는 운전기사가 육안으로 탑승자를 확인한 후 발판을 구동하므로, 탑승시간 소요가 늘어난다.
슬로프의 동작시 직진형테로 운동하므로 지상에 장애물이 있거나 승하차 램프의 높이가 정형화 되지 않은 경우 사용이 불가하다.
승하차장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 차체를 공압 서스펜션을 통해 측면으로 기울여 작동하게 되며 이러한 이유로 저상버스 차량은 복잡한 구조를 가지게 됨으로 고장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다.
또한, 작동방식이 지나치게 인력에 의존하는 형태로 실제 교통악자가 이용하기에는 제한적인 문제를 가진다.
또한, 버스의 고속주행 시 주요기술인 기밀유지 성능이 떨어지며 환경적인 영향을 많이 받는다.
슬로프 타입은 이미 해외에서 단종된 제품으로 국내에서 개조를 하여 장착할 경우 유지보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국내의 리프트 타입의 버스는 저상형 시내버스를 제외한 벼스에 사용퇴고 있다.
그런데, 휠체어의 크기에 제한이 적어 승객의 탑승시 간섭 등의 제한이 적은 장점이 있으나, 승하차시 리프트의 작동에 따른 공간이 커 층렬한 외부공간이 확보되지 않을 경우 승하차의 제약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리프트를 버스에 설치하기 위해 높은 개조 비용이 발생하며, 불필요한 동작과 유압시스템의 환경적인 요소에 취약해 내구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리프트 타입의 형태는 측면 도어를 비장애인과 혼용하여 사용이 어려워 기존의 시내버스에 사용하기가 어렵다. 차종의 제한이 있다.
또한, 장애인 탑승자를 버스 밑에서 리프트로 높이 올려 탑승하는 방식으로 탑승시 안전사고에 취약하며 중간에 작동이 멈추었을 경우 문제가 심각해 진다.
국내등록특허 제10-0559615호(2006.03.03 등록) 국내등록특허 제10-1212451호(2012.12.10 등록) 국내등록특허 제10-1424388호(2014.07.22 등록)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교통약자를 위한 대중교통의 수단으로 버스의 차종에 상관없이 일반 버스에 제품의 모듈화를 통해 설치가 용이하고 WiFi 측위기술을 통한 교통약자의 접근에 능동적으로 인식, 운전자에게 전달해 줄 수 있는 스마트형 계단형 리프트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교통약자의 접근성을 확보하기 위한 WiFi 기반 측위기술과 최적 설계를 기반으로 한 계단형 스텝 리프트의 기술을 융합하려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교통 약자를 위한 대중교통의 수단으로 버스의 차종에 상관없이 일반 버스에 제품의 모듈화를 통해 설치가 용이하도록 구현된 새로운 교통약자용 차량 승하차 리프트 시스템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기존의 위치 기반 측위 기술은 GPS 기반이나 CDMA망을 기반으로 연구가 개발 진행되었으나 본 발명은 현재 WiFi 기반으로 5에서 10m 급의 정밀측위 측정이 가능한 정도로 기술의 진전이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융합하고자 하는 기술은 AP를 기반으로 상태 측인 측정이 수월한 WiFi 기반의 측위 기술을 바탕으로 교통약자의 접근에 따라 관련 장치가 능동적으로 인식하여 운전자에게 정확한 신호를 전달하고 원활한 작동제어가 가능한 통신기술과 스텝 리프트의 기계 구조적인 기술을 최적화하여 기존의 버스에 홀용이 가능한 버스 스텝리프트의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탑승구에 설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리프팅 스텝패널; 상기 베이스에 힌지부(HP)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힌지부(HP)를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 쪽으로 세워지도록 회동되고 상기 베이스에서 수평 방향으로 펼쳐지는 회동 스텝패널; 상기 리프팅 스텝패널을 승강시키는 리프팅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약자용 차량 승하차 리프트 시스템가 제공된다.
상기 리프팅 스텝패널은, 상기 베이스에 승강 가능하게 연결되어 수평 배치된 제1리프팅 스텝패널; 상기 제1리프팅 스텝패널에 폴딩 힌지부(HP)를 매개로 연결된 제2리프팅 스텝패널; 상기 제2리프팅 스텝패널을 상기 폴딩 힌지부(HP)를 기준으로 상기 제1리프팅 스텝패널로 접거나 상기 제1리프팅 스텝패널에서 펼쳐지도록 작동시키는 폴딩 드라이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교통약자용 차량 승하차 리프트 시스템는 장애인과 같이 교통 약자 전용 버스가 아니라 일반 버스에 설치하여 일반인은 평상시대로 탑승하고 교통 약자도 편리하게 버스에 탑승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므로, 승장장 환경 및 제품의 수입의존 등으로 인한 A/S 문제, 높은 개조 비용과 잦은 고장 및 밖으로 돌출되는 위험성으로 인한 여러 가지 바람직하지 못한 문제를 해결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의 효과 이외에 다른 여러 가지 효과가 있으나, 상기의 효과는 본 발명의 주요 효과에 해당하는 것임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교통약자용 차량 승하차 리프트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교통약자용 차량 승하차 리프트 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교통약자용 차량 승하차 리프트 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교통약자용 차량 승하차 리프트 시스템을 구성하는 리프트의 주요부인 회동 스텝패널이 펼쳐진 상태와 리프팅 스텝패널의 제2리프팅 스텝패널이 제1리프팅 스텝패널의 상면으로 접혀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리프팅 스텝패널을 상승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리프팅 스텝패널의 제2리프팅 스텝패널을 펼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도 5의 리프팅 스텝패널을 하강시키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도 5의 리프팅 스텝패널의 하강을 완료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베이스 패널의 후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의 주요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일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리프팅 유닛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주요부인 폴딩 드라이버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리프팅 스텝패널을 반으로 폴딩하여 최하부로 하강한 상태와 회동 스텝패널이 수평 방향으로 펼쳐진 상태와 스텝패널 지지체 및 스텝캠의 구조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사시도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주요부의 확대된 사시도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주요부의 확대된 정면도
도 17은 도 14에 도시된 회동 스텝패널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회동되는 과정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사시도
도 18은 도 14에 도시된 주요부인 회동 스텝패널이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고 리프팅 스텝패널이 펼쳐진 상태에서 최하 높이로 내려온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9는 도 14에 도시된 주요부인 링크와 스텝패널 지지체 및 스텝캠의 구조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사시도
도 20은 도 14에 도시된 리프팅 스텝패널이 폴딩된 상태에서 최상단 높이로 상승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21은 도 14에 도시된 리프팅 스텝패널이 폴딩된 상태에서 최하단 높이로 하강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리프팅 스텝패널이 펼쳐진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교통약자용 차량 승하차 리프트 시스템에서 리프트는 버스 승하차 계단부(즉, 탑승구)에 모듈화로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는 WiFi로 승강장에 대기 중인 교통악자(장애인과 기타 몸이 불편하여 혼자서는 탑승하기 어려운 사람을 포함하는 개념임)에게 버스의 접근을 알리며 버스는 교통약자가 대기하고 있는 승강장의 위치를 파악하여 빠르게 탑승할 수 있도록 미리 감지하고, 버스에 설치된 리프트의 베이스로부터 계단(즉, 리프팅 스텝패널)이 슬라이딩 되면서 펼쳐지며 펼침 후 하강한다. 이때, 본 발명의 리프트의 주요부인 리프팅 스텝패널의 구동은 실린더 구동 메커니즘 또는 전기식 모터구동 메커니즘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버스와의 설치 인터페이스 관련 메커니즘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교통약자라 함은 장애인을 포함하는 개념이며, 장애인 이외에 차량 탑승이 어려운 노인이나 기타 일반인과 같이 쉽게 차량에 탑승하는데 있어서 불편을 겪는 사람을 의미한다는 것을 미리 밝혀둔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교통약자용 차량 승하차 리프트 시스템은 차량에 구비된 리프트와, 교통약자가 탑승 장소에서 탑승 대기 중일 때에 차량에 구비된 리프트를 작동시키기 위한 탑승 신호를 전달하는 무선통신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무선통신수단은 신호 송신부와 신호 수신부 및 무선통신망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신호 송신부와 신호 수신부는 무선접속장치이며, 상기 무선통신망은 WiFi로 구성된다. 무선접속장치인 신호 송신부는 탑승 장소에 구비된 단말기 또는 교통약자 본인이 소유한 모바일 단말기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신호 수신부는 차량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신호 송신부는 교통약자의 탑승 장소에서 차량 탑승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차량 탑승 장소(예를 들어, 차량이 버스일 경우 버스 정류장)에 단말기를 구비하고, 상기 단말기에 신호 송신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신호 수신부는 교통약자의 탑승 장소에서 송신하는 탑승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신호 수신부는 차량에 구비된다.
상기 무선통신망은 신호 송신부와 신호 수신부를 연결하여 차량에 구비된 리프트를 작동시키는 신호를 신호 수신부에 전달한다.
이때, 무선통신망은 WiFi로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WiFi 이외에 다른 무선통신망을 채용할 수도 있다.
상기 신호 송신부는 탑승 장소에 비치된 단말기에 구비되어, 단말기에서 차량 탑승 신호를 발생시킬 때에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탑승 신호를 차량의 신호 수신부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신호 송신부는 탑승 장소에서 차량에 탑승하기 위한 교통약자의 모바일 단말기에 구비되어,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차량 탑승 신호를 발생시킬 때에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탑승 신호를 차량의 신호 수신부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교통약자에게 버스의 접근을 미리 알려주기 위해서 버스 자체에 버스 접근 신호 송신부를 구비하고, 버스 정류장(탑승 장소)의 단말기나 교통약자의 모바일 단말기에 버스 접근 신호 수신부를 구비할 수 있다. 버스 이외의 차량의 접근을 미리 알려주기 위해서 버스 이외의 다른 차량 자체에 차량 접근 신호 송신부를 구비하고, 탑승 장소의 단말기나 교통약자의 모바일 단말기에 차량 접근 신호 수신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교통약자가 진입하여 있는 해당 정류장의 이전 정류장에 버스가 진입하여 있는 경우 또는 버스가 교통약자가 진입하여 있는 해당 정류장으로 운행하여 일정 거리 범위에 들어온 경우에 버스에 구비된 버스 접근 신호 송신부에서 버스 접근 신호를 송신하면, 버스 정류장(탑승 장소)의 단말기나 교통약자의 모바일 단말기에 버스 접근 신호 수신부에서 버스 접근 신호를 수신하여, 교통약자가 탑승을 준비하도록 하고, 교통약자가 버스 정류장에 구비된 단말기에 구비된 탑승 수락 신호부 버튼을 클릭하거나 자신의 모바일 단말기에 구비된 탑승 수락 신호부 버튼을 클릭하면, 상기 버스의 신호 수신부에서 탑승 수락 신호를 수신하여 운전자가 운전석의 컨트롤 패널에 구비된 1차 작동 버튼을 눌러서 리프트를 1차 작동시키거나 자동으로 리프트를 1차 작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리프트의 1차 작동이라 함은 리프트의 구성인 리프트 스텝패널이 버스의 탑승구 제일 아래쪽에 내려가 있는 상태에서 버스의 운행 중에 리프트 스텝패널을 버스의 객실 바닥면과 동일한 높이로 상승시키는 작동이다. 이처럼 버스를 해당 교통약자가 진입하여 있는 버스 정류장으로 운행하면서 리프트의 1차 작동을 하게 되면, 리프트의 작동시간을 더 줄일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한편, 교통약자가 진입하여 있는 해당 정류장의 이전 정류장에 버스가 진입하여 있는 경우 또는 버스가 교통약자가 진입하여 있는 해당 정류장으로 운행하여 일정 거리 범위에 들어온 경우에 버스에 구비된 버스 접근 신호 송신부에서 버스 접근 신호를 송신하고, 버스 정류장(탑승 장소)의 단말기나 교통약자의 모바일 단말기에 버스 접근 신호 수신부에서 버스 접근 신호를 수신하면, 자동으로 버스 정류장에 있는 단말기나 교통약자 자신의 모바일 단말기에서 탑승 수락 신호부를 통하여 탑승 수락 신호를 버스의 신호 수신부에 수신하고, 운전자가 운전석의 컨트롤 패널에 구비된 1차 작동 버튼을 눌러서 리프트를 1차 작동시키거나 자동으로 리프트를 1차 작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버스를 해당 교통약자가 진입하여 있는 버스 정류장으로 운행하면서 리프트의 1차 작동을 하게 되면, 리프트의 작동시간을 더 줄일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교통약자용 차량 승하차 리프트 시스템은 주요부인 리프트를 모듈화로 설계하여, 이러한 모듈화 스텝 리프트를 무선통신망(특히, WiFi)와 연계하여 교통약자의 차량 탑승을 도와주는 융합 시스템이다.
본 발명에서 주요부인 상기 리프트는 베이스(10)에 리프팅 스텝패널(20)과 회동 스텝패널(32)이 구비되고, 리프팅 스텝패널(20)은 리프팅 유닛(50)에 의해 승강되도록 구성된다.
대중교통 중의 하나인 버스(이하에서는 편의상 차량이라 칭하는 경우도 있음)에는 앞문과 뒷문이 있고, 앞문 쪽과 뒷문 쪽에 탑승구가 구비되는데, 상기 차량의 뒷문 쪽 탑승구에 베이스 패널(12)이 수직 방향으로 세워져서 배치된다. 베이스 패널(12)은 볼트 등의 체결구에 의해 차량의 탑승구(뒷문 쪽 탑승구로서, 이하에서는 뒷문 쪽 탑승구를 편의상 탑승구라 칭하기로 함)에 수직 방향으로 세워져 고정된다. 베이스 패널(12)의 상단부는 볼트 등의 고정수단으로 차량의 객실 바닥면에 연결된다. 베이스 패널(12)의 상단부의 높이는 차량의 내부 객실의 바닥면과 동일한 높이이다.
상기 베이스 패널(12)에는 좌우 나란한 한 쌍의 베이스 바아(14)가 구비된다. 베이스 바아(14)는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된 바아 구조로서, 베이스 페널에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고정수단은 베이스 바아(14)의 후면에 구비된 인서트 결합편과, 베이스 패널(12)에 구비된 인서트 결합홀을 포함한다. 인서트 결합편은 베이스 바아(14)의 후면에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구비되고, 인서트 결합홀은 베이스 패널(12)에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인서트 결합편을 인서트홀에 끼워서 용접에 의해 인서트 결합편을 베이스 패널(12)에 고정함으로써, 상기 베이스 바아(14)가 베이스 패널(12)에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고정된다. 상기 베이스(10)은 베이스 패널(12)과 베이스 바아(14)를 포함한다. 물론, 베이스 바아(14)는 볼트 등의 체결구에 의해 베이스 패널(12)에 고정될 수도 있다. 인서트 결합편을 인서트홀에 끼워서 용접에 의해 인서트 결합편을 베이스 패널(12)에 고정할 경우 조립이 더 쉽고 안정적이어서 좋다.
이때, 상기 베이스 바아(14)의 후면에는 지지편이 돌출되어, 베이스 패널(12)의 상단부에 지지편이 걸쳐진다. 지지편은 베이스 패널(12)의 상단부에 용접 등으로 고정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베이스 바아(14)와 베이스 패널(12) 사이의 연결 결합 구조가 더욱 견고해진다. 또한, 한 쌍의 베이스 바아(14)는 안쪽면이 서로 마주하는데, 베이스 바아(14)의 안쪽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슬라이드 슬롯(15)이 구비된다. 또한, 베이스 바아(14)의 내부 공간부 상측에는 벨트 연결편(16)이 구비된다. 또한, 베이스 바아(14)의 내부 공간부에는 상부 롤러(54)와 하부 롤러(56)가 구비된다. 즉, 베이스(10)은 차량의 탑승구에 설치된 베이스 패널(12)과, 이 베이스 패널(12)의 좌우 양쪽에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하 방향(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한 쌍의 베이스 바아(14)를 포함하는데, 베이스 바아(14)에는 내부 공간부에 상부 롤러(54)와 하부 롤러(56)가 구비된 것이다. 상부 롤러(54)는 벨트 연결편(16)의 옆에 배치되고, 하부 롤러(56)는 벨트 연결편(16)의 아래에 배치된다.
상기 리프팅 스텝패널(20)은 제1리트팅 스텝패널과 제2리프팅 스텝패널(28)이 결합된 구조이다.
상기 제1리프팅 스텝패널(22)은 사각판 형상이다. 제1리프팅 스텝패널(22)의 양쪽에는 리프팅 바아(24)가 구비된다. 제1리프팅 스텝패널(22)의 내측단에 인접한 측면에 리프팅 바아(24)가 연결되어, 제1리프팅 스텝패널(22)의 내측단에 좌우로 나라한 한 쌍의 리프팅 바아(24)가 구비된 구조를 취한다. 리프팅 바아(24)는 연결링크와 볼트 등의 체결구 또는 용접 등과 같은 공지의 연결수단에 의해 제1리프팅 스텝패널(22)에 연결될 수 있다. 한 쌍의 리프팅 바아(24)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다. 리프팅 바아(24)는 내측 바아편과, 이 내측 바아편의 외측단에 일단부가 연결된 프론트 바아편과, 이 프론트 바아편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내측 바아편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 내측 바아편을 구비한다.
상기 리프팅 바아(24)에는 슬라이딩 블록이 구비된다. 리프팅 바아(24)의 내측 바아편 안쪽면에 슬라이딩 블록이 구비된다. 슬라이딩 블록은 상기 베이스 바아(14)의 슬라이드 슬롯(15)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딩 결합 블록부와, 이 슬라이딩 결합 블록부에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 바아(14)의 외부로 노출된 슬라이딩 헤드 블록부를 포함한다. 슬라이딩 헤드 블록부가 볼트 등의 체결구에 의해 리프팅 바아(24)의 내측 바아편에 고정되므로, 상기 슬라이딩 블록이 리프팅 바아(24)에 고정된다. 이때, 슬라이딩 헤드 블록부는 슬라이딩 결합 블록부보다 단면적이 더 커서 슬라이딩 블록이 베이스 바아(14)의 바깥면에 걸려지므로, 슬라이딩 블록이 베이스 바아(14)의 안쪽 공간부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슬라이딩 블록에는 베이스 바아(14)의 내부 공간부에 내장된 벨트 연결블록(26)이 구비된다. 슬라이딩 블록의 슬라이딩 결합 블록부에 용접이나 볼트 등의 체결구에 의해 벨트 연결블록(26)이 연결되어 있다. 슬라이딩 블록이 베이스(10) 바이의 슬라이드 슬롯(15)을 따라 승강함에 따라 벨트 연결블록(26)도 베이스 바아(14)의 상하 방향으로 승강된다.
또한, 상기 리프팅 바아(24)의 내부에는 슬라이딩 서포트 블록이 구비된다. 리프팅 바아(24)의 프론트 바아편 안쪽면에 슬라이딩 서포트 블록이 볼트 등의 체결구로 고정된다. 슬라이딩 서포트 블록은 상기 베이스 바아(14)의 전면에 접촉된다. 즉, 상기 슬라이딩 블록은 베이스 바아(14)의 슬라이드 슬롯(15)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딩 서포트 블록은 베이스 바아(14)의 전면에 접촉된다.
상기 한 쌍의 리프팅 바아(24)는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고, 한 쌍의 리프팅 바아(24)가 내측단의 양쪽에 고정되어 있는 제1리프팅 스텝패널(22)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리프팅 바아(24)에는 후술하는 회동 스텝패널(32)이 수평 방향으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는 스텝패널 지지체(25)가 구비된다. 좌우로 나란한 한 쌍의 리프팅 바아(24)의 서로 마주보는 안쪽면에 연결판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판에 스텝패널 지지체(25)가 구비된다. 스텝패널 지지체(25)는 용접 등의 방식으로 연결판에 고정된다. 스텝패널 지지체(25)는 수평 받침 지지편과, 상단부가 수평 받침 지지편의 전단부에 연결된 제1연결 지지편과, 상단부가 제1연결 지지편의 하단부에 연결된 제2연결 지지편을 포함한다.
상기 수평 받침 지지편은 리프팅 바아(24)의 전후단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다. 리프팅 바아(24)의 상하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수평 방향으로 수평 받침편이 배치된다. 이때, 상기 수평 받침 지지편의 후단부에는 앞쪽의 베이스 패널(12)과 마주하도록 아래쪽으로 더 연장된 하향 연장편이 구비된다. 하향 연장편은 스텝패널 지지체(25)의 수평 받침편의 강도를 보강하여, 수평 받침편 위에 회동 스텝패널(32)의 걸침편(34)이 얹혀져지 지지되는 힘을 더욱 높여주게 된다.
상기 제1연결 지지편은 리프팅 바아(24)의 후단부 쪽에 구비된 베이스 패널(12) 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다. 리프팅 바아(24)의 옆에서 볼 때에 제1연결 지지편의 상단부가 제1연결 지지편의 하단부보다 더 앞으로 나가 있도록 제1연결 지지편이 베이스 패널(12) 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다.
상기 제2연결 지지편도 리프팅 바아(24)의 후단부 쪽에 구비된 베이스 패널(12) 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다. 리프팅 바아(24)의 옆에서 볼 때에 제2연결 지지편의 상단부가 제2연결 지지편의 하단부보다 더 앞으로 나가 있도록 제2연결 지지편이 베이스 패널(12) 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다. 이때, 상기 제2연결 지지편과 베이스 패널(12) 사이의 각도는 제1연결 지지편과 베이스 패널(12) 사이의 각도보다 더 작다. 즉, 베이스 패널(12)에서 제2연결 지지편이 앞으로 경사진 각도보다 베이스 패널(12)에서 제1연결 지지편이 경사진 각도가 더 크다. 리프팅 바아(24)의 옆에서 볼 때에 베이스 패널(12)에 대한 경사도는 제1연결 지지편보다 제2연결 지지편이 더 크다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연결 지지편이 제2연결 지지편에 비하여 베이스 패널(12)에서 앞쪽으로 더 벌어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된 구조이다.
상기 리프팅 바아(24)에는 상부 걸림부재(25B)가 구비된다. 리프팅 바아(24) 안쪽면의 연결판에 상부 걸림부재(25B)가 구비된다. 용접 등의 방식으로 상부 걸림부재(25B)가 리프팅 바아(24) 안쪽면의 연결판에 고정될 수 있다. 상부 걸림부재(25B)는 리프팅 바아(24)의 연결판 안쪽면에 수평 방향으로 구비됨과 동시에 상기 회동 스텝패널(32) 지지체(25)보다 더 위쪽에 배치된다. 회동 스텝패널(32) 지지체(25)와 상부 걸림부재(25B) 사이에 후술하는 회동 스텝패널(32)이 들어올 스페이스가 확보된다. 한편, 상부 걸림부재(25B)는 생략될 수도 있다. 회동 스텝패널(30)이 수직으로 세워져 있다가 힌지부를 기준으로 하향 회동될 때에 상부 걸림부재(25B)에 걸리지 않도록 상부 걸림부재(25B)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베이스(10)에 힌지부(HP)를 매개로 연결되어 힌지부(HP)를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10) 쪽으로 세워지도록 회동되고 베이스(10)에서 수평 방향으로 펼쳐지는 회동 스텝패널(32)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10)을 구성하는 베이스 패널(12)의 전면에 회동 스텝패널(32)의 전단부가 힌지부(HP)를 통해서 연결되어 있다. 베이스 패널(12)의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의 전면에 힌지부(HP)를 매개로 회동 스텝패널(32)의 전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베이스 패널(12)의 대략 중간 높이 정도에 회동 스텝패널(32)의 전단부가 상기 힌지부(HP)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베이스 패널(12)이 차량의 탑승구에 수직 방향으로 세워져 있으므로, 회동 스텝패널(32)도 차량의 탑승구에 배치된다. 베이스 패널(12)의 전면에서 상기 힌지부(HP)를 기준으로 회동된다. 상기 힌지부(HP)를 기준으로 회동 스텝패널(32)이 세워지고 수평 방향으로 펼쳐지게 된다.
상기 회동 스텝패널(32)이 베이스 패널(12) 전면으로 세워진 상태에서는 회동 스텝패널(32)의 양쪽 측면에 구비된 걸침편(34)이 상기 스텝패널 지지체(25)와 베이스 패널(12) 사이에 있다가 상기 회동 스텝패널(32)이 힌지부(HP)를 기준으로 베이스 패널(12) 전면에서 앞으로 1차로 하향 회동(베이스 패널(12)에서 대략 30ㅀ 정도의 각도로 하향 회동)하면, 상기 걸침편(34)이 스텝패널 지지체(25)의 제1연결 지지편에 받쳐져 있다가 회동 스텝패널(32)이 수평 방향으로 펼쳐지면 상기 걸침편(34)이 스텝패널 지지체(25)의 수평 받침부(25A)에 얹혀지므로, 상기 회동 스텝패널(32)이 수평 방향으로 펼쳐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평 받침부(25A) 위에 구비된 상부 걸림부재(25B)와 수평 받침부(25A) 사이로 회동 스텝패널(32) 측면의 걸침편(34)이 아래에서부터 회동하여 들어와서 상부 걸림부재(25B)와 스텝패널 지지체(25)의 수평 받침부(25A) 사이에 배치된다. 경우에 따라, 상기 상부 걸림부재(25B)는 생략할 수 있다.
상기 제1리트팅 스텝패널의 양쪽에는 케이스가 구비된다. 케이스는 제1리프팅 스텝패널(22)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박스 형상이다. 케이스에 후술하는 폴딩 가동 실린더(42)가 내장된다.
상기 제2리프팅 스텝패널(28)은 사각판 형상이다. 제2리프팅 스텝패널(28)이 폴딩 힌지부(HP)를 매개로 제1리프팅 스텝패널(22)에 연결된다. 제2리프팅 스텝패널(28)의 양쪽에 구비된 제2사이드판의 전단부의 인접 위치에 폴딩 힌지축이 구비되고, 폴딩 힌지축은 제1리프팅 스텝패널(22)의 제1사이드판에 구비된 폴딩 힌지공에 결합된다. 상기 폴딩 힌지축과 폴딩 힌지공이 폴딩 힌지부(HP)를 형성하며, 상기 폴딩 힌지부(HP)에 의해 제2리프팅 스텝패널(28)이 제1리프팅 스텝패널(22)의 후단부에 연결된다. 상기 폴딩 힌지부(HP)를 기준으로 제2리프팅 스텝패널(28)이 제1리프팅 스텝패널(22)의 위로 접혀지고, 제1리프팅 스텝패널(22)의 위에서 상부로 펼쳐진다. 제2리프팅 스텝패널(28)이 폴딩 힌지부(HP)를 기준으로 제1리프팅 스텝패널(22)에서 펼쳐지면, 제1리프팅 스텝패널(22)과 제2리프팅 스텝패널(28) 위로 장애인이 탑승한 휠체어가 올라올 사각판 형상의 리프팅 스텝패널(20)이 형성된다.
상기 제2리프팅 스텝패널(28)은 폴딩 드라이버(40)에 의해 폴딩 힌지부(HP)를 기준으로 제1리프팅 스텝패널(22)로 접거나 제1리프팅 스텝패널(22)에서 펼쳐진다. 이때, 폴딩 드라이버(40)는 폴딩 가동 실린더(42)와 랙기어(44)와 피니언 기어(46)를 포함한다.
상기 폴딩 가동 실린더(42)는 제1리프팅 스텝패널(22)에 구비된다. 제1리프팅 스텝패널(22)의 양쪽에 하나씩 총 두 개의 폴딩 가동 실린더(42)가 구비된다. 폴딩 가동 실린더(42)는 제1리프팅 스텝패널(22)의 제1사이드판에 고정된다. 폴딩 가동 실린더(42)는 제1리프팅 패널의 전후단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다. 폴딩 가동 실린더(42)의 피스톤 로드는 제2리프팅 스텝패널(28)을 제1리프팅 스텝패널(22)에 연결한 힌지부(HP) 쪽으로 배치된다.
상기 랙기어(44)는 폴딩 가동 실린더(42)의 피스톤 로드에 연결된다. 랙기어(44)는 제1리프팅 스텝패널(22)의 전후단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있다. 제1리프팅 스텝패널(22)의 좌우 양쪽에 하나씩 총 두 개의 랙기어(44)가 구비된다.
상기 피니언 기어(46)는 제2리프팅 스텝패널(28)에 구비된 폴딩 힌지축에 동축적으로 결합된다. 제2리프팅 패널의 제2사이드판에 하나씩 폴딩 힌지축이 구비되는데, 각각의 폴딩 힌지축에 피니언 기어(46)가 동축적으로 결합된다. 제2리프팅 스텝패널(28)의 좌우 양쪽에 하나씩 총 두 개의 피니언 기어(46)가 구비된다.
상기 제2리프팅 스텝패널(28)의 구비된 피니언 기어(46)는 제1리프팅 스텝패널(22)의 폴딩 가동 실린더(42)의 피스톤 로드에 구비된 랙기어(44)와 치합된다.
따라서, 상기 폴딩 가동 실린더(42)의 피스톤 로드가 신축하여 랙기어(44)가 전후진함에 따라 상기 피니언 기어(46)가 회전하면서 제2리프팅 스텝패널(28)에 구비된 폴딩 힌지축을 제1리프팅 스텝패널(22)에 구비된 폴딩 힌지공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고, 폴딩 힌지축이 회전하면 제2리프팅 스텝패널(28)이 제1리프팅 스텝패널(22)의 상면으로 접혀지거나 제1리프팅 스텝패널(22)의 상면으로부터 위로 회동되어 펼쳐지면서 제1리프팅 스텝패널(22)과 나란한 방향으로 펼쳐진다. 즉, 제2리프팅 스텝패널(28)이 폴딩 힌지부(HP)를 기준으로 제1리프팅 스텝패널(22) 상면으로 접혀지고, 제2리프팅 스텝패널(28)이 폴딩 힌지부(HP)를 기준으로 제1리프팅 스텝패널(22) 상면에서 위로 펼쳐지게 된다.
상기 제2리프팅 스텝패널(28)이 제1리프팅 스텝패널(22)의 상면으로 겹쳐지도록 접혀지면 상기 리프팅 스텝패널(20)의 사이즈가 반이 되고, 상기 제2리프팅 스텝패널(28)이 제1리프팅 스텝패널(22)의 상면에서 수평방향으로 펼쳐지면 상기 제2리프팅 스텝패널(28)이 제1리프팅 스텝패널(22)의 상면으로 접혀진 면적의 2배가 된다. 리프팅 스텝패널(20)이 상기와 같이 반 사이즈로 접혀지면 버스의 탑승구에 완전히 수용될 수 있다. 버스의 객실 바닥면과 도어 사이의 하부 공간에 리프팅 스텝패널(20)이 완전 수용된 차량 내장형 구조가 될 수 있다.
상기 리프팅 스텝패널(20)은 리프팅 유닛(50)에 의해 승강된다. 리프팅 유닛(50)은 리프팅 실린더(52)와 리프팅 벨트(58)를 포함한다. 리프팅 벨트(58)가 경유하여 지나가는 롤러도 리프팅 유닛(50)에 포함된다.
상기 리프팅 실린더(52)는 베이스(10)의 구성인 베이스 바아(14)의 내부 공간부에 내장된다. 두 개의 리프팅 실린더(52)가 각각 두 개의 베이스 바아(14)의 내부 공간부에 내장된다. 베이스 바아(14)의 내부 공간부에 리프팅 실린더(52)가 수직 방향으로 세워져 배치된다. 리프팅 실린더(52)는 브라켓과 볼트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베이스 바아(14)에 고정될 수 있다. 리프팅 실린더(52)의 피스톤 로드는 상부쪽으로 배치된다.
상기 롤러는 베이스 바아(14)의 내부 공간부에 내장된 상부 롤러(54)와 하부 롤러(56)를 포함한다.
상기 리프팅 실린더(52)의 피스톤 로드에는 하부 롤러(56) 브라켓이 구비되고, 하부 롤러(56) 브라켓에 하부 롤러(56)의 롤러축이 결합된다. 즉, 하부 롤러(56)는 리프팅 실린더(52)의 피스톤 로드에 구비된다.
상기 상부 롤러(54)는 하부 롤러(56)보다 더 위에 배치되도록 베이스 바아(14)의 내부 공간부에 내장된다. 베이스(10)의 바아에는 상부 롤러(54) 브라켓이 구비되고, 상부 롤러(54) 브라켓에 상부 롤러(54)의 롤러축이 결합된다. 상부 롤러(54)는 베이스 바아(14)의 내부 공간부에 내장된 벨트 연결편(16)의 옆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부 롤러(54)가 벨트 연결편(16)의 옆에 배치된다.
상기 리프팅 벨트(58)는 베이스 바아(14)의 내부 공간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부 롤러(54)와 하부 롤러(56)를 경유하여 지나간다. 리프팅 벨트(58)의 일단부는 베이스 바아(14)의 내부 공간부에 구비된 벨트 연결편(16)에 연결된다.
상기 벨트 연결편(16)에는 상부 벨트 연결체에 구비된 핀이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핀은 외주면에 나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핀의 외주면에는 너트가 결합되며, 너트는 상부 벨트 연결편(16)의 위에 얹혀져 있다. 또한, 상부 벨트 연결체의 내부에는 벨트 수용홈이 구비되어, 벨트 수용홈에 리프팅 벨트(58)의 일단부측 일부가 들어온 상태에서 상부 벨트 연결체에 결합된 고정핀이 리프팅 벨트(58)를 관통하여 결합되므로, 리프팅 벨트(58)의 일단부가 베이스 바아(14)에 구비된 벨트 연결편(16)에 상부 벨트 연결체를 매개로 연결된다. 상기 너트를 벨트 연결블록(26) 상단부에 구비된 핀에서 풀고 조임에 따라 상부 벨트 연결체가 상기 벨트 연결편(16)에서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리프팅 벨트(58)의 타단부는 베이스 바아(14)의 내부 공간부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된 상기 벨트 연결블록(26)에 연결된다. 상기 벨트 연결블록(26)의 상단부에는 하부 벨트 연결체가 고정된다. 또한, 하부 벨트 연결체의 내부에는 벨트 수용홈이 구비되어, 벨트 수용홈에 리프팅 벨트(58)의 타단부측 일부가 들어온 상태에서 하부 벨트 연결체에 결합된 고정핀이 리프팅 벨트(58)를 관통하여 결합되므로, 리프팅 벨트(58)의 타단부가 베이스 바아(14)에 구비된 벨트 연결블록(26)에 하부 벨트 연결체를 매개로 연결된다.
상기 상부 벨트 연결체와 하부 벨트 연결체를 매개로 베이스 바아(14) 내부 공간부의 벨트 연결편(16)과 벨트 연결블록(26)에 양단부가 연결된 리프팅 벨트(58)는 상기 상부 롤러(54)와 하부 롤러(56)를 경유하여 지나간다. 리프팅 벨트(58)가 상부 롤러(54)의 위쪽에서 상부 롤러(54)의 외주면을 경유하여 지나가고 하부 롤러(56)의 아래쪽에서 하부 롤러(56)의 외주면을 경유하여 지나간다. 상기 베이스 바아(14)의 옆에서 볼 때에 리프팅 벨트(58)의 상단부가 베이스 바아(14)의 벨트 연결편(16)에 연결되고 리프팅 벨트(58)의 하단부는 베이스 바아(14)에 승강 가능하게 내장된 벨트 연결블록(26)에 연결되고, 상기 상부 롤러(54)와 하부 롤러(56)를 리프팅 벨트(58)가 경유하여 지나가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상기 리프팅 스텝패널(20)이 베이스(10)의 가장 아래로 내려가 있을 때에는 리프팅 실린더(52)의 피스톤 로드가 신장된 상태이다.
상기 리프팅 스텝패널(20)이 베이스(10)의 가장 아래로 내려가 있는 상태에서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가 후진, 다시 말해, 피스톤 로드가 당겨지면, 상기 피스톤 로드에 연결된 하부 롤러(56)는 하강하고, 하부 롤러(56)가 하강하면, 상기 리프팅 벨트(58)를 당겨서 베이스 바아(14)에 구비된 벨트 연결블록(26)을 상승시키고, 벨트 연결블록(26)이 상승하면, 벨트 연결블록(26)에 연결되어 있는 슬라이딩 블록이 베이스 바아(14)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슬라이드 슬롯(15)을 따라 상승하는데, 슬라이딩 블록이 상기 리프팅 스텝패널(20)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리프팅 스텝패널(20)이 베이스 바아(14)를 따라 상승하게 된다.
상기 리프팅 스텝패널(20)이 상승한 상태에서 다시 리프팅 실린더(52)의 피스톤 로드를 후진, 다시 말해, 피스톤 로드가 상승하면, 상기 피스톤 로드에 연결된 하부 롤러(56)는 상승하고, 하부 롤러(56)가 상승하면, 상기 리프팅 벨트(58)를 당겨주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풀어주어서 베이스 바아(14)에 구비된 벨트 연결블록(26)을 하승시키고, 벨트 연결블록(26)이 하승하면, 벨트 연결블록(26)에 연결되어 있는 슬라이딩 블록이 베이스 바아(14)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슬라이드 슬롯(15)을 따라 하승하는데, 슬라이딩 블록이 상기 리프팅 스텝패널(20)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리프팅 스텝패널(20)이 베이스 바아(14)를 따라 하강하게 된다.
이때, 리프팅 유닛(50)은 다른 수단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베이스 바아(10)에 상하 방향을 따라 구비된 가이드 레일과, 이 가이드 레일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비되며 내부에는 볼스크류홀이 구비되며 상기 리프팅 스텝패널(20)에 연결된 슬라이드 블록과, 상기 슬라이드 블록의 볼스크류홀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 바아(10)와 나란한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볼스크류와, 이 볼스크류에 모터축이 연결된 구동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모터의 모터축 회전에 의해 슬라이드 블록과 이에 연결된 리프팅 스텝패널(20)이 승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리프팅 스텝패널(20)을 승강시킬 수 있는 수단은 모두 리프팅 유닛(50)으로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리프팅 스텝패널(28)은 제1리프팅 스텝패널(22)과 연결된 폴딩 힌지부(HP)와 반대되는 단부에 패널 힌지부(HP)를 통해 연결된 이렉트 패널(62)을 더 구비한다. 제2리프팅 스텝패널(28)에서 폴딩 힌지부(HP)를 통해 연결된 단부를 전단부라 하고, 폴딩 힌지부(HP)측의 전단부와 반대되는 단부를 후단부라 하면, 상기 이렉트 패널(62)이 제2리프팅 스텝패널(28)의 후단부 쪽에 구비된 것이다. 상기 제2리프팅 스텝패널(28)의 상기 패널 힌지부(HP)와 폴딩 힌지부(HP) 사이에 미들 힌지부(HP)를 통해서 이렉트 브라켓(66)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이렉트 브라켓(66)의 타단부에는 이렉트 작동핀(68)이 구비되고, 상기 이렉트 브라켓(66)에는 이렉트 작동핀(68)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이렉트 작동홀(64)이 구비되며, 상기 이렉트 브라켓(66)에는 제2리프팅 패널의 저면에 배치되도록 이렉트 푸시풀 작동체(69)가 구비된다. 이렉트 푸시풀 작동체(69)는 이렉트 브라켓(66)의 일측면에서 제2리프팅 스텝패널(28)의 저면 쪽으로 연장된다. 이렉트 푸시풀 작동체(69)가 제2리프팅 스텝패널(28)의 저면으로 들어가 있는 구조이다. 상기 이렉트 브라켓(66)과 이렉트 작동핀(68) 및 이렉트 푸시풀 작동체(69)는 제2리프팅 스텝패널(28)의 좌우 측면에 각각 하나씩 구비된다. 즉, 제2리프팅 스텝패널(28)에 두 개의 이렉트 브라켓(66)과 이렉트 작동핀(68) 및 이렉트 푸시풀 작동체(69)가 구비된다.
또한, 이렉트 푸시풀 작동체(69)는 이렉트 브라켓(66)의 일단부를 제2리프팅 스텝패널(28)에 연결한 미들 힌지부(HP)로부터 이렉트 패널(62) 쪽으로 갈수록 제2리프팅 스텝패널(28)의 저면에서 점점 벌어지도록 구성된다. 제2리프팅 스텝패널(28)의 옆에서 볼 때에 제2리프팅 패널의 전단부 쪽에서 후단부 쪽으로 갈수록 이렉트 푸시풀 작동체(69)가 점점 더 아래로 벌어진 구조이다.
또한, 상기 이렉트 브라켓(66)에 형성된 이렉트 작동홀(64)은 제2리프팅 스텝패널(28)의 옆에서 볼 때에 이렉트 브라켓(66)의 전후단 방향으로 연장된 장공 형상으로 구성된다. 이렉트 패널(62)과 이렉트 브라켓(66)이 눕혀진 상태에서는 이렉트 작동홀(64)이 이렉트 브라켓(66)의 전후단 방향으로 연장된 위아래 방향으로 세워진 형태로 보이고 이렉트 브라켓(66)의 전후단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장홀 형태로 보이고, 이렉트 패널(62)과 이렉트 브라켓(66)이 세워진 상태에서는 이렉트 작동홀(64)이 위아래 방향으로 세워진 형태로 보인다.
상기 이렉트 푸시풀 작동체(69)는 눌려질 때에 탄성력을 보유하는 탄성부재로 구성된다. 이렉트 푸시풀 작동체(69)는 눌려지면 탄성력을 보유하고 눌려지는 힘이 해제되면 자동으로 펼쳐지는 판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교통약자용 차량 승하차 리프트 시스템는 장애인용 대중교통(대표적으로 버스)을 따로 준비할 필요 없이 일반 사람이 탑승하는 대중교통에 설치하여 일반인의 탑승은 물론 장애인의 탑승도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교통 약자용 승하차 리프트라는 데에 주요 특징이 있는 발명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교통약자용 차량 승하차 리프트 시스템의 작동을 일반인 탑승 모드, 장애인 탑승 모드, 탑승 전환 모드로 나누어서 설명하기로 한다. 대중교통 중에서 버스에 본 발명이 대표적으로 설치되므로, 버스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스마트 버스 스텝리프트 시스템은 WiFi 기반을 통해 교통약자의 접근을 미리 인식하여 신속하게 탑승을 대응 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리프트 시스템은 교통약자 접근, WiFi 기반 교통약자 인식, 시그널(즉, 교통약자의 접근 시그널) 인식 후 승차 여부 확인, 승하차 리프트 작동 및 탑승의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일반인 탑승 모드>
일반인 탑승 모드에서는 제2리프팅 스텝패널(28)이 제1리프팅 스텝패널(22)의 상면으로 겹쳐지도록 접혀져 있고 동시에 베이스(10)의 제일 아래쪽으로 내려가 있으며, 상기 회동 스텝패널(32)은 수평 방향으로 펼쳐진 상태이다. 이때, 회동 스텝패널(32)의 양쪽 측단부에 구비된 걸침편(34)이 베이스 바아(14)에 구비된 스텝패널 지지체(25)에 의해 지지되어 회동 스텝패널(32)이 수평하게 펼쳐진 상태로 유지된다. 회동 스텝패널(32)의 걸침편(34)이 스텝패널 지지체(25)의 수평 받침편 위에 얹혀지므로, 상기 회동 스텝패널(32)이 수평하게 펼쳐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텝패널 지지체(25)의 수평 받침편 위에 구비된 상부 걸림부재(25B)는 회동 스텝패널(32)이 수평하게 펼쳐진 상태에서 회동 스텝패널(32)이 상부로 들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상기 스텝패널 지지체(25)의 수평 받침편과 상부 걸림부재(25B)에 의해 회동 스텝패널(32)이 수평하게 펼쳐진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리프팅 스텝패널(20)은 버스의 탑승구에서 맨 아래의 바텀 스텝을 형성하고, 수평 방향으로 펼쳐진 회동 스텝패널(32)은 중간 스텝을 구성한다.
따라서, 일반인들은 바텀 스텝(바닥 계단판)과 중간 스텝(중간 계단판)을 밟고 버스의 바닥면(객실 바닥면)으로 올라와서 탑승을 완료하게 된다. 일반인들이 내릴 때에는 일반 버스처럼 버스의 바닥면에서 중간 스텝과 바텀 스텝을 밟고 버스에서 내릴 수 있다.
<장애인 탑승 모드>
장애인 탑승 모드에서는 탑승 지역, 다시 말해, 버스 정류장에 교통약자가 접근하여 있는 지의 여부를 WiFi 기반을 통해 교통약자의 접근을 미리 인식하여 신속하게 탑승에 대응한다. 교통약자가 진입하여 있는 버스 정류장의 이전 정류장에서 WiFi와 같은 무선통신수단에 의해 버스에서 미리 교통약자가 버스 정류장에 진입하여 있음을 인식하거나 버스가 운행하면서 교통약자의 진입을 인식할 수 있는 거리에서 WiFi 기반 무선통신수단에 의해 교통약자의 진입 여부를 미리 감지하고, 버스가 운행하면서 상기 베이스의 가장 아래로 내려가 있던 리프트 스텝패널을 버스의 객실 바닥면까지 미리 올려준다. 상기한 리프트 1차 작동이 될 수 있다. 그러면, 리프트 스텝패널을 올리는 동안의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리프트의 1차 작동은 교통약자측으로부터 차량 탑승 신호를 받았는지의 여부에 따라 수행될 수도 있고 생략될 수도 있다. 교통약자측의 버스 정류장의 단말기나 교통약자 자신의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서 탑승을 수락하는 차량 탑승 신호를 송신하여, 버스에서 차량 탑승 신호를 수신할 때에 리프트의 1차 작동을 수행하고, 차량 탑승 신호를 송신하지 않아서 버스에서 차량 탑승 신호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는 리프트의 작동을 생략할 수 있다.
장애인 탑승 모드에서는 먼저 일반인 탑승 모드에서 베이스(10)의 가장 아래로 내려가 있던 리프팅 스텝패널(20)을 상기 리프팅 유닛(50)에 의해 버스의 객실 바닥면까지 상승시킨다. 상기 리프팅 실린더(52)의 피스톤 로드가 전진한 상태에서 피스톤 로드를 축소시키면, 다시 말해, 피스톤 로드를 당겨주면, 전술한 바와 같이 리프팅 스텝패널(20)이 상승하여 버스 객실의 바닥면까지 올라온다. 리프팅 스텝패널(20)이 버스 객실의 바닥면까지 올라올 동안 버스는 계속 운행하며, 교통약자가 진입한 해당 버스 정류장에 버스가 진입 완료하면 리프팅 스텝패널(20)은 이미 버스 객실의 바닥면과 동일한 높이로 올라와 있게 된다.
다음, 상기 제2리프팅 스텝패널(28)을 폴딩 드라이버(40)에 의해 제1리프팅 스텝패널(22)에서 펼쳐준다. 폴딩 가동 실린더(42)의 피스톤 로드를 전진시켜서 랙기어(44)를 전진시키면, 상기 랙기어(44)에 치합되어 있던 피니언 기어(46)가 일방향으로 회전하고, 피니언 기어(46)는 제2리프팅 스텝패널(28)에 구비됨과 동시에 제1리프팅 스텝패널(22)의 폴딩 힌지공에 결합되어 있는 폴딩 힌지축에 동축적으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폴딩 힌지축이 피니언 기어(46)와 함께 일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2리프팅 스텝패널(28)이 제1리프팅 스텝패널(22)의 위로 상향회동되어 제1리프팅 스텝패널(22)에서 펼쳐진다. 제1리프팅 스텝패널(22)과 제2리프팅 스텝패널(28)의 모두 수평하게 펼쳐진 상태가 된다. 물론, 제2리프팅 스테패널이 펼쳐지기 이전에 버스의 문은 이미 열려진 상태인 것은 당연하다. 한편, 상기 폴딩 가동 실린더(42)의 작동은 운전자의 운전석 옆의 컨트롤 패널에 폴딩 가동 실린더 작동버튼을 구비하여, 운전자가 폴딩 가동 실린더 작동버튼을 눌러서 폴딩 가동 실린더(42)를 작동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폴딩 가동 실린더(42)에 의해 펼쳐진 제2리프팅 스텝패널(28)을 다시 제1리프팅 스텝패널(22)의 상면으로 다시 접으려면, 운전자가 상기 폴딩 가동 실린더 작동버튼을 다시 눌러주면 제2리프팅 스텝패널(28)이 다시 접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상기 제2리프팅 스텝패널(28)이 제1리프팅 스텝패널(22)의 기단부에서 앞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베이스 바아(14)를 따라 상기 제2리프팅 스텝패널(28)과 제1리프팅 스텝패널(22)을 아래로 내린다. 상기 리프팅 유닛(50)에 의해 버스의 객실 바닥면에서 버스의 탑승구 맨 아래까지 제2리프팅 스텝패널(28)과 제1리프팅 스텝패널(22)을 내린다. 상기 리프팅 실린더(52)의 피스톤 로드가 축소, 다시 말해, 후진한 상태에서 피스톤 로드를 다시 전진시키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리프팅 스텝패널(22)가 제2리프팅 스텝패널(28)이 하강하여 버스의 탑승구 제일 아래까지 내려간다. 즉, 베이스 바아(14)의 거의 하단부까지 내려간다. 이때, 상기 제2리프팅 스텝패널(28)의 저면에서 벌여져 있던 이렉트 푸시풀 작동체(69)는 도로의 도면에 의해 위로 눌려지고, 이렉트 푸시풀 작동체(69)에 연결되어 있는 이렉트 브라켓(66)은 기단부의 미들 힌지부(HP)에 의해 위로 회동하고, 이렉트 브라켓(66)이 위로 회동하면, 이렉트 브라켓(66)에 구비된 이렉트 작동핀(68)의 외주면이 이렉트 패널(62)에 구비된 이렉트 작동홀(64)의 하단부 탄성 접촉(이렉트 패널(62)에 구비된 이렉트 연결판의 이렉트 작동홀(64)의 하단부에 탄성 접촉)된 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이렉트 작동핀(68)이 이렉트 패널(62)을 세우는 힘이 해제되므로, 상기 이렉트 패널(62)이 상기 이렉트 브라켓(66)에 구비된 이렉트 작동핀(68)을 기준으로 하향 회동한다. 이때, 이렉트 작동홀(64)은 이렉트 패널(62)의 선단부와 기단부 사이의 길이 방향 경로를 따라 연장된 장공 형상이라서 상기 이렉트 패널(62)이 회동하는 과정에서 이렉트 브라켓(66)의 이렉트 작동핀(68)은 이렉트 작동홀(64)의 일단부에서 타단부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정확히 말하면, 상기 이렉트 패널(62)이 하향 회동되어 펼쳐지는 과정에서 이렉트 작동홀(64)이 이렉트 브라켓(66)에 구비된 이렉트 작동핀(68)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여 이렉트 작동홀(64)의 타단부에 이렉트 작동핀(68)의 외주면에 접촉된다.
상기와 같이, 이렉트 푸시풀 작동체(69)가 도로의 노면에 의해 눌려지면서 이렉트 패널(62)의 상면이 제2리프트 스텝패널의 상면과 나란하도록 펼쳐지면, 도로의 노면과 인도 사이, 다시 말해, 인도의 경계석(연석이라 함)과 도로 노면 사이의 빈 공간을 이렉트 패널(62)이 막고 있게 된다.
이처럼, 상기 제1리프트 스텝패널에서 제2리프트 스텝패널이 펼쳐지고 이렉트 패널(62)까지 펼쳐진 상태에서 장애인이 탑승한 휠체어가 제1리프트 스텝패널과 제2리프트 스텝패널 위로 올라온다.
이어서, 상기 베이스(10)의 가장 아래로 내려가 있던 리프팅 스텝패널(20)을 상기 리프팅 유닛(50)에 의해 버스의 객실 바닥면까지 상승시킨다. 즉, 상기 제2리트팅 스텝패널이 제1리프트팅 스텝패널에서 펼쳐지고 이렉트 패널(62)도 펼쳐진 상태이고 동시에 상기 리프팅 실린더(52)의 피스톤 로드가 전진한 상태에서 상기 리프팅 실린더(52)의 피스톤 로드를 축소시키면, 다시 말해, 피스톤 로드를 당겨주면, 전술한 바와 같이 리프팅 스텝패널(20)이 상승하여 버스 객실의 바닥면까지 올라온다.
이때, 상기 제2리프팅 스텝패널(28) 저면으로 경사지게 벌어진 이렉트 푸시풀 작동체(69)가 도로의 노면에서 눌리지 않는 높이까지 상기 제1리프팅 스텝패널(22)과 제2리프팅 스텝패널(28)이 올라오면, 상기 이렉트 푸시풀 작동체(69)가 탄성 복원력이 있는 판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라서 이렉트 푸시풀 작동체(69)가 원래의 위치로 탄성적으로 벌어지면, 상기 이렉트 푸시풀 작동체(69)에 연결되어 있는 이렉트 브라켓(66)은 기단부의 미들 힌지부(HP)에 의해 다시 아래로 회동하고, 이렉트 브라켓(66)이 다시 아래로 회동하면, 이렉트 브라켓(66)에 구비된 이렉트 작동핀(68)이 이렉트 작동홀(64)의 타단부에서 일단부 쪽으로 다시 이동하며, 이처럼 이렉트 작동핀(68)이 이렉트 작동홀(64)의 타단부에서 일단부 쪽으로 다시 이동하는 동안에 상기 이렉트 패널(62)이 다시 제2리프팅 스텝패널(28)의 상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다. 이렉드 패널이 제2리프팅 스텝패널(28)의 상면과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다음에는 상기 이렉트 브라켓(66)에 구비된 이렉트 작동핀(68)은 다시 이렉트 패널(62)에 구비된 이렉트 작동홀(64)의 일단부에 탄성 밀착되므로, 상기 이렉트 패널(62)이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유지된다. 즉, 상기 이렉트 푸시풀 작동체(69)가 탄성부재라서, 상기 이렉트 탄성체가 펼쳐진 탄성력에 의해 이렉트 패널(62)이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다.
상기 이렉트 패널(62)이 수직 방향, 다시 말해, 제2이렉트 스텝패널의 상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면, 장애인이 탑승한 휠체어의 휠을 이렉트 패널(62)이 뒤에서 막아서 지지하므로, 휠체어의 휠이 제2리프팅 스텝패널(28)의 뒤쪽으로 이탈되는 경우가 방지된다. 또한, 상기 제2리프팅 스텝패널(28)과 제1리프팅 스텝패널(22)에는 각각 제2사이드판과 제2사이트판이 구비되어, 휠체어의 휠을 옆에서 막아서 지지하므로, 상기 휠체어의 휠이 제1리프팅 스텝패널(22)과 제2리프팅 스텝패널(28)의 옆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처럼, 장애인이 탑승한 휠체어가 제1리프팅 스텝패널(22)과 제2리프팅 스텝패널(28) 위로 올라온 상태에서 제1리프팅 스텝패널(22)과 제2리프팅 스텝패널(28)을 계속 올려서 버스의 객실 바닥면 높이까지 올린 다음, 장애인의 휠체어가 버스의 객실 바닥면 위로 완전히 진입하면, 장애인 탑승이 완료된다.
<탑승 전환 모드>
상기와 같이, 장애인이 버스에 탑승 완료하면, 상기 제2리프팅 스텝패널(28)을 전술한 바와 같이 다시 제1리프팅 스텝패널(22) 위로 다시 접어서 리프팅 스텝패널(20)을 반 사이즈로 만든다. 물론, 상기한 바와 같이, 폴딩 가동 실린더(42)에 의해 펼쳐진 제2리프팅 스텝패널(28)을 다시 제1리프팅 스텝패널(22)의 상면으로 다시 접으려면, 운전자가 상기 폴딩 가동 실린더 작동버튼을 다시 눌러주면 제2리프팅 스텝패널(28)이 다시 접혀지도록 할 수 있다.
다음, 상기 리프팅 스텝패널(20)의 다시 버스 탑승구의 맨 아래까지 내려주면, 상기 중간의 폴딩 스텝패널이 다시 펼쳐지면서 중간 스텝을 형성하고 맨 아래까지 내려간 리프팅 스텝패널(20)은 바텀 스텝을 형성하므로, 일반인이 하차할 수 있는 모드로 전환된다. 한편, 버스에 탑승한 장애인이 버스에서 하차할 때에는 상기한 장애인 탑승 모드에서와 같이 반으로 접혀진 리프팅 스텝패널(20)을 다시 버스 객실의 바닥면까지 올리고, 다시 제2리프팅 스텝패널(28)을 제1리프팅 스텝패널(22)에서 펼친 다음, 장애인의 휠체어가 다시 제2리프팅 스텝패널(28)을 제1리프팅 스텝패널(22) 위로 올라온 상태에서 제2리프팅 스텝패널(28)을 제1리프팅 스텝패널(22)을 탑승구의 가장 아래 높이까지 내려주면, 장애인이 휠체에 탄 상태에서 버스에서 하차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본 발명에서는 제2리프팅 스텝패널(28)이 제1리프팅 스텝패널(22) 위로 접혀져서 반으로 접혀있는 리프팅 스텝패널(20)(이하, 편의상 제2리프팅 스텝패널(28)이 제1리프팅 스텝패널(22) 위로 접혀져서 반으로 접혀있는 리프팅 스텝패널(20)을 폴딩 리프팅 스텝패널(20)이라 칭하기로 함)이 버스 출입구의 맨 아래 바닥까지 내려가 있다가 장애인 탑승을 위해서 폴딩 리프팅 스텝패널(20)을 버스의 탑승실까지 올라가고, 폴딩 리프팅 스텝패널(20)이 올라갈 때에는 수평 방향으로 펼쳐져 있던 회동 스탭패널(32)이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고, 상기 폴딩 리프팅 스텝패널(20)이 버스의 탑승실 높이까지 올라간 다음에는 상기 탑승실의 높이에서 폴딩 리프팅 스텝패널(20)의 제2리프팅 스텝패널(28)이 다시 펼쳐지고, 상기 리프팅 스텝패널(20)이 다시 버스의 출입구 바닥까지 내려올 때에는 수직 방향으로 세워져 있던 회동 스텝패널(32)(상부 스텝이라 할 수 있음)이 다시 수평 방향으로 펼쳐지고, 상기 리프팅 스텝패널(20)이 버스의 승차용 출입구의 바닥까지 완전히 내려온 상태에서는 회동 스텝패널(32)의 수평 방향으로 완전히 펼쳐진 상태가 되며, 상기 리프팅 스텝패널(20)에서 제2리프팅 스텝패널(28)이 다시 제1리프팅 스펩패널(22) 위로 접혀져서 폴딩 리프팅 스텝패널(20)이 되며, 폴딩 리프팅 스텝패널(20)이 버스 승차장의 바닥부까지 내려온 상태에서 버스의 출입문을 닫게 된다.
<일반인 탑승모드에서 회동 스텝패널(28)의 수평 상태 유지>
리프팅 스텝패널(20)의 접힘 상태(리프트 접힙 상태)인 폴딩 리프트 스텝패널(20)이 버스 출입구의 바닥부까지 내려와 있고, 회동 스텝패널(28)은 스텝패널 지지체(25)(캠플레이트)에 안착된다. 회동 스텝패널(28)의 측면에 구비된 걸침편(34)이 스텝패널 지지체(25)에 얹혀져서 스텝패널 지지체(25)가 캠플레이트에 안착된 구조를 취한다. 회동 스텝패널(28)의 양쪽 측면에 구비된 걸침편(34)들이 버스 승차장의 양쪽 측면에 구비된 양쪽 스텝패널 지지체(25)들에 얹혀져서 걸려짐으로써 회동 스텝패널(28)이 수평 방향으로 펼쳐진 상태로 유지된다.
<회동 스텝패널(28)이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상태 유지>
상부 스텝부에 마그네틱이 장착되어 리프트 UP 동작 시(리프트 접힘 상태) 상부 스텝부가 캠에 의해 접히면서 마그네틱이 벽면에 구속된다. 상부 스텝부는 회동 스텝패널(28)이고 캠은 스텝패널 지지체(25)이다. 다시 말해, 폴딩 리프트 스텝패널(20)이 버스 출입구의 바닥부까지 올라가는 도중에 스텝패널 지지체(25)와 스텝캠(130)이 같이 상승하면서 스텝캠(130)이 회동 스텝패널(28)의 양쪽 측면으로 나와 있는 수평 상태의 걸침편(34)들을 위로 세우게 되므로, 상기 걸침편(34)들이 양쪽 측면에 연결되어 있는 회동 스텝패널(30)이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다.
상기 회동 스텝패널(30)이 수직 방향으로 세워져 있으면, 상기 회동 스텝패널(30)의 뒤쪽에 있는 자석(MG)이 수직으로 세워져 있는 베이스판(12)에 부착되므로, 상기 회동 스텝패널(30)은 자석(MG)이 붙는 힘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유지된다. 베이스판(12)에도 회동 스텝패널(30)의 자석(MG)이 붙는 다른 자석(MG)가 구비될 수도 있다. 베이스판(12)의 자석(MG)은 생략되어도 무방하다.
<반으로 접혀진 폴딩 리프팅 스텝패널(20) 하강시 회동 스텝패널(30)의 수평방향으로의 회동>
폴딩 리프팅 스텝패널(20)은 제2리프팅 스텝패널(28)이 제1리프팅 스텝패널(22)의 위로 접혀진 상태로서, 이러한 제2리프팅 스텝패널(28)의 제2스텝패널 사이드판(28SP)이 상기 스텝캠 가동핀(110DP)를 누르면서 스텝캠(130)을 캠힌지부(CH)를 기준으로 베이스판(12)에 밀착되도록 한다. 스텝캠(130)의 하부 캠부(132)가 베이스판(12)에 밀착된다. 즉, 상기 폴딩 리프팅 스텝패널(20)의 상태에서는 리프트의 벽면 앞면쪽(베이스판(12)의 앞면쪽)으로 스텝캠(10)의 하부 캠부(132)가 밀착되어 있다.
상기 폴딩 리프팅 스텝패널(20)의 UP 동작 시(상승 동작시)에는 사이드 벽면(리프트의 양쪽 측면)에 있는 스텝캠(30)에 의해 회동 스텝패널(30)(상부 스텝)이 수평 상태에서 위로 세워지고, 상기 폴딩 리프팅 스텝패널(20)의 DOWN 동작시, 다시 말해, 폴딩 리프팅 스텝패널(20)이 버스의 승객실 바닥까지 올라가 있다가 내려오는 동작시에는 스텝캠(130)이 회동 스텝패널(30)의 측면에 구비된 걸침편(34)을 걸고 내려오면서 회동 스텝패널(30)의 뒤에 있는 자석(MG)의 구속이 해제되어 폴딩 리트팅 스텝패널(30)의 더 아래로 내려가면 회동 스텝패널(30)이 수평 방향으로 펼쳐지게 된다. 상기 폴딩 리프팅 스텝패널(20)의 상태에서는 리프트의 벽면 앞면쪽(베이스판(12)의 앞면쪽)으로 스텝캠(10)의 하부 캠부(132)가 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폴딩 리프팅 스텝패널(20)이 버스의 승객실 바닥에서 아래로 내려오는 도중에 스텝캠(130)이 회동 스텝패널(30)의 측면에 구비된 걸침편(34)을 일정한 힘으로 누르면서 계속 내려오다가 상기 걸침편(34)의 후단부측 저면에 구비된 언폴딩 경사면(34UF) 부분을 스텝캠(130)이 지나가면, 상기 언폴딩 경사면(34UF)에 의해 걸침편(34)이 스텝캠(130)의 앞으로 기울어져 있는 상부 캠부(134) 쪽으로 하향 회동되고, 상기 걸침편(34)이 회동 스텝패널(30)의 측면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회동 스텝패널(30) 뒤쪽의 자석이 베이스판(12)에서 떨어지게 되면서 회동 스텝패널(30)이 수평 방향으로 하향 회동되며, 상기 폴딩 리프팅 스텝패널(20)이 버스의 출입구 바닥면까지 내려오면 회동 스텝패널(30)이 수평 방향으로 펼쳐지므로, 일반인이 탑승하는 중간 계단판의 기능을 하게 된다.
한편, 리프트가 펼쳐진 상태, 다시 말해, 리프팅 스텝패널(20)의 제1리프팅 스텝패널(22)에서 제2리프팅 스텝패널(28)이 펼쳐진 상태에서는 제2스텝패널 사이드판(28SP)이 스텝캠 가동핀(110DP)을 누르지 않은 상태여서 스텝캠 가동핀(110DP)에 제1링크(110)와 제2링크(120)를 매개로 연결된 스텝캠(130)이 베이스판(12) 앞면쪽에서 떨어져 있는 상태가 되며, 스텝캠(130)이 베이스판(12) 앞면쪽에서 떨어져 있기 때문에, 리프팅 스텝패널(20)이 UP/DOWN 동작을 할, 다시 말해, 승강 동작을 할 때 회동 스텝패널(30)(정확하게는 회동 스텝패널(30)의 걸침편(34) 부분)이 스텝캠(130)에 걸리지 않아서 회동 스텝패널(30)은 움직이지 않는다. 즉, 회동 스텝패널(30)이 수직 방향으로 회동되어 있어서 자석(MG)이 베이스판(12)에 붙어있는 상태이고 리프팅 스텝패널(20)의 제1리프팅 스텝패널(22)에서 제2리프팅 스텝패널(28)이 펼쳐진 상태에서는 리프팅 스텝패널(20)의 승강 작동을 하여도 세워져 있는 회동 스텝패널(30)은 수평 방향으로 하향 회동되지 않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회동 스텝패널(30)의 양쪽 측단부가 힌지부에 의해 프레임(14)에 연결되고, 리프링 스텝패널(20)이 올라갈 때에 회동 스텝패널(30)을 제1리프팅 스텝패널(22) 부분이 수직으로 세우고, 수직으로 세워진 회동 스텝패널(30)은 자석(MG)에 의해 베이스판(12)에 부착되어 세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장애인인 탑승한 휠체어가 승객실로 완전 진입한 다음에는 위로 올라가 있던 리프팅 스텝패널(20)이 반으로 접혀진 폴딩 리프팅 스텝패널(20)로 전환되고 그대로 폴딩 디프? 스텝패널(20)의 버스의 출입문 바닥까지 내려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세워진 회동 스텝패널(30)은 사람이 건드려서 힌지부를 기준으로 하향 회동되어 수평 방향으로 펼쳐진 상태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자석(MB)은 전자석으로 이루어지고, 전자석은 운전석에 구비된 자석 컨트롤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리프팅 스텝패널(20)이 차량의 출입구의 바닥까지 완전 내려가 있는상태에서는 자석 컨트롤부에 의해 자석(MG) 쪽으로의 전원 인가를 차단하여 전자석의 자력을 해제함으로써 세워져 있던 회동 스텝패널(30)이 자중에 의해 양쪽 측단부의 힌지부를 기준으로 다시 하향 회동하여 수평 방향으로 펼쳐진 상태로 유지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승하자용 리프트는 장애인과 같이 교통 약자 전용 버스가 아니라 일반 버스에 설치하여 일반인은 평상시대로 탑승하고 교통 약자도 편리하게 버스에 탑승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므로, 승장장 환경 및 제품의 수입의존 등으로 인한 A/S 문제, 높은 개조 비용과 잦은 고장 및 밖으로 돌출되는 위험성으로 인한 여러 가지 바람직하지 못한 문제를 해결하는 효과를 가진다. 특히, 장애인용 저상 버스를 별도로 준비하지 않더라도 일반 버스에 본 발명을 설치하여 일반인은 물론 장애인도 얼마든지 편리하게 탑승할 수 있도록 하므로, 저상 버스 준비를 위한 예산 낭비 방지와 같은 여러 가지 경제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다.
기존에는 사회적 약자가 늘어나는 추세이지만 장애인이나 교통 약자들을 위한 운송수단(대중교통)은 장애인이나 교통 약자들이 늘어나는 수에 비해 현저하게 부족한 실정이며, 이로 인해 교통약자를 위한 대중교통 운송수단의 기술개발이 필요한 실정인데, 본 발명은 이러한 교통약자를 위한 대중교통 운송수단의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매우 크다.
또한, 국내 버스 및 버스 승차장에 상관없이 교통 약자가 탑승할 수 있는 스텝 리프트의 개발이 필요한데, 본 발명은 이러한 요구에도 충실히 부응할 수 있는 발명이다.
현재 각 대도시에 이용되고 있는 저상 시내 버스의 경우 슬로프의 경사각도가 승강장의 형태에 따라 가파른 경사각이기 때문에 탑승이 어려지만, 본 발명에서는 수평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펼쳐진 제1리프팅 스텝패널(22)과 제2리프팅 스텝패널(28)에 장애인이 탑승한 휠체어만 올라오면 안정적으로 휠체어를 올려서 탑승할 수 있으므로, 탑승이 어려운 문제가 해결된다.
또한, 버스 승강장에서 장애인이 탑승하기 위해 버스가 승강강에 진입 후 경사로(슬로프)를 작동시키는 소요 시간이 오래 걸리지만, 본 발명은 장애인의 휠체어가 올라와서 대중교통에 탑승 완료할 때까지 시간이 더 적게 걸린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장애인이 탑승하기 쉽고 빠른 효율적인 버스 스텝 리프트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기존의 중저상 버스에 유압식 리프트가 톨출형으로 되어 있는데, 돌출형 리프트의 경우 휠체어를 이용한 장애인이 탑승시 안전 손잡이 및 안전 장치가 완벽히 구현되지 않아 탑승시 불안 요소가 존재하지만, 본 발명은 돌출형이 아니라서 이러한 탑승시 불안 요소도 완전히 해소된다.
또한, 기존의 리프트 타입의 경우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잦은 고장과 A/S 문제로 인한 유지 보수가 상당히 어려운 실정이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수입에 의존하지 않고 수입을 대체하는 효과가 있고, 잦은 고장 문제도 거의 없으며 A/S 문제로 인한 유지 보수가 어려운 문제도 해결한다.
또한, 리프트 타입을 버스에 설치하기 위해 버스의 개조 비용부담이 커서 상대적으로 적용 보급이 쉽지 않은 문제가 있지만, 본 발명은 버스의 개조 비용 부담을 상당히 덜어주어서 적용 보급이 상대적으로 쉬운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스텝 모듈화를 통해 설치공간의 최소화 효과가 있다. 국내에 이용되고 있는 리프트들에 따라서 버스의 개조범위와 비용이 표준이 없지만, 본 발명에서는 버스 스텝 리프트의 구조 및 외관을 모듈화 하여 설치 공간을 최소화시킨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버스 실내 객실의 바닥면과 문(특히 뒷문) 사이의 공간에 모듈화된 스텝 리프트를 설치함으로써 설치 공간의 최소화를 달성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며, 나아가, 이러한 스텝 리프트의 모듈화에 의해 장애인용 저상 버스를 굳이 설계하지 않더라도 일반 버스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버스 스텝 리프트를 국산화 및 모듈화시켜서 국내도로 여건에 맞고 여러 차종 공통으로 장착할 수 있는 스텝 리프트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여러 모로 상당히 가치가 있는 발명이라 하겠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 베이스 12. 베이스 패널
14. 베이스 바아 15. 슬라이드 슬롯
16. 벨트 연결편 20. 리프팅 스텝패널
22. 제1리프팅 스텝패널 24. 리프팅 바아
25. 스텝패널 지지체 25A. 수평 받침부
25B. 상부 걸림부재 26. 벨트 연결블록
28. 제2리프팅 스텝패널 32. 회동 스텝패널
34. 걸침편 40. 폴딩 드라이버
52. 폴딩 가동 실린더 44. 랙기어
46. 피니언 기어 50. 리프팅 유닛
52. 리프팅 실린더 54. 상부 롤러
56. 하부 롤러 58. 리프팅 벨트
62. 이렉트 패널 64. 이렉트 작동홀
66. 이렉트 브라켓 69. 이렉트 푸시풀 작동체

Claims (14)

  1. 차량에 구비된 리프트;
    교통약자가 탑승 장소에서 탑승 대기 중일 때에 상기 차량에 구비된 리프트를 작동시키기 위한 탑승 신호를 전달하는 무선통신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리프트는,
    차량의 탑승구에 설치되는 베이스(10);
    상기 베이스(10)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리프팅 스텝패널(20);
    상기 베이스(10)에 힌지부(HP)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힌지부(HP)를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10) 쪽으로 세워지도록 회동되고 상기 베이스(10)에서 수평 방향으로 펼쳐지는 회동 스텝패널(32);
    상기 리프팅 스텝패널(20)을 승강시키는 리프팅 유닛(5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리프팅 유닛(50)은,
    상기 베이스(10)에 구비된 리프팅 실린더(52);
    상기 베이스(10)에 지지되어 상기 리프팅 실린더(52)의 피스톤 로드와 상기 리프팅 스텝패널(20)에 양단부가 연결된 리프팅 벨트(58);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약자용 차량 승하차 리프트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수단은,
    상기 교통약자의 탑승 장소에서 차량 탑승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신호 송신부;
    상기 교통약자의 탑승 장소에서 송신하는 탑승 신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차량에 구비된 신호 수신부;
    상기 신호 송신부와 상기 신호 수신부를 연결하여 상기 차량에 구비된 상기 리프트를 작동시키는 신호를 상기 신호 수신부에 전달하는 무선통신망;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약자용 차량 승하차 리프트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송신부는 상기 탑승 장소에 비치된 단말기에 구비되어, 상기 단말기에서 차량 탑승 신호를 발생시킬 때에 상기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탑승 신호를 상기 차량의 상기 신호 수신부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약자용 차량 승하차 리프트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송신부는 상기 탑승 장소에서 차량에 탑승하기 위한 교통약자의 모바일 단말기에 구비되어,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차량 탑승 신호를 발생시킬 때에 상기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탑승 신호를 상기 차량의 상기 신호 수신부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약자용 차량 승하차 리프트 시스템.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신호 송신부와 상기 신호 수신부는 무선접속장치이며, 상기 무선통신망은 WiFi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약자용 차량 승하차 리프트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0)는 차량의 탑승구에 설치된 베이스 패널(12)의 좌우 양쪽에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세워진 한 쌍의 베이스 바아(14)를 포함하고, 상기 리프팅 실린더(52)는 상기 한 쌍의 베이스 바아(14)에 지지되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 바아(14)에는 상부 롤러(54)와 하부 롤러(56)가 구비되고, 상기 리프팅 벨트(58)는 상기 리프팅 실린더(52)의 상기 피스톤 로드에 일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상부 롤러(54)와 상기 하부 롤러(56)를 경유하여 지나가며, 상기 리프팅 벨트(58)의 타단부는 베이스 바아의 내부 공간부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된 벨트 연결블록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약자용 차량 승하차 리프트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스텝패널(20)은,
    상기 베이스(10)에 승강 가능하게 연결되어 수평 배치된 제1리프팅 스텝패널(22);
    상기 제1리프팅 스텝패널(22)에 폴딩 힌지부(HP)를 매개로 연결된 제2리프팅 스텝패널(28);
    상기 제2리프팅 스텝패널(28)을 상기 폴딩 힌지부(HP)를 기준으로 상기 제1리프팅 스텝패널(22)로 접거나 상기 제1리프팅 스텝패널(22)에서 펼쳐지도록 작동시키는 폴딩 드라이버(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약자용 차량 승하차 리프트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 드라이버(40)는,
    상기 제1리프팅 스텝패널(22)에 구비된 폴딩 가동 실린더(42);
    상기 폴딩 가동 실린더(42)의 피스톤 로드에 구비된 랙기어(44);
    상기 제2리프팅 스텝패널(28)에 구비되어 상기 랙기어(44)에 치합된 피니언 기어(46);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약자용 차량 승하차 리프트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 가동 실린더(42)는 상기 제1리프팅 스텝패널(22)의 양쪽에 구비됨과 동시에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1리프팅 스텝패널(22)에 한 쌍의 폴딩 가동 실린더(42)가 구비되고, 상기 폴딩 가동 실린더(42)의 상기 피스톤 로드에 상기 랙기어(44)가 연결되어 상기 제1리프팅 스텝패널(22)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피니언 기어(46)는 상기 제2리프팅 스텝패널(28)의 양쪽에 구비되어 상기 랙기어(44)에 치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약자용 차량 승하차 리프트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리프팅 스텝패널(28)은 폴딩 힌지부(HP)를 통해 상기 제1리프팅 스텝패널(22)에 연결되고, 상기 제2리프팅 스텝패널(28)은 상기 제1리프팅 스텝패널(22)과 연결된 상기 폴딩 힌지부(HP)와 반대되는 단부에 패널 힌지부(HP)를 통해 연결된 이렉트 패널(62)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2리프팅 스텝패널(28)의 상기 패널 힌지부(HP)와 상기 폴딩 힌지부(HP) 사이에 미들 힌지부(HP)를 통해서 이렉트 브라켓(66)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이렉트 브라켓(66)의 타단부에는 이렉트 작동핀(68)이 구비되고, 상기 이렉트 패널(62)에는 상기 이렉트 작동핀(68)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이렉트 작동홀(64)이 구비되며, 상기 이렉트 브라켓(66)에는 상기 제2리프팅 스텝패널(28)의 저면에 배치되도록 이렉트 푸시풀 작동체(69)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약자용 차량 승하차 리프트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렉트 푸시풀 작동체(69)는 상기 이렉트 브라켓(66)의 일단부의 상기 힌지부(HP)로부터 상기 이렉트 패널(62) 쪽으로 갈수록 상기 제2리프팅 스텝패널(28)의 저면에서 점점 벌어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이렉트 작동홀(64)은 상기 제2리프팅 스텝패널(28)의 옆에서 볼 때에 상기 이렉트 브라켓(66)의 전후단 방향으로 연장된 장공 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약자용 차량 승하차 리프트 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렉트 푸시풀 작동체(69)는 눌려질 때에 탄성력을 보유하는 탄성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약자용 차량 승하차 리프트 시스템.
KR1020160178978A 2016-12-26 2016-12-26 교통약자용 차량 승하차 리프트 시스템 KR1019219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8978A KR101921951B1 (ko) 2016-12-26 2016-12-26 교통약자용 차량 승하차 리프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8978A KR101921951B1 (ko) 2016-12-26 2016-12-26 교통약자용 차량 승하차 리프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5069A KR20180075069A (ko) 2018-07-04
KR101921951B1 true KR101921951B1 (ko) 2018-11-26

Family

ID=62913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8978A KR101921951B1 (ko) 2016-12-26 2016-12-26 교통약자용 차량 승하차 리프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19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08442B (zh) * 2020-10-13 2021-10-01 衡阳智电客车有限责任公司 一种城市客车残疾人踏步举升装置
KR102554123B1 (ko) * 2023-02-16 2023-07-10 유석환 차량용 휠체어 리프트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336B1 (ko) * 2012-02-01 2013-09-06 자동차부품연구원 휠체어 자율 주행 시스템 및 그 방법
CN205686310U (zh) * 2016-05-19 2016-11-16 西南石油大学 无障碍公交车全自动通行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336B1 (ko) * 2012-02-01 2013-09-06 자동차부품연구원 휠체어 자율 주행 시스템 및 그 방법
CN205686310U (zh) * 2016-05-19 2016-11-16 西南石油大学 无障碍公交车全自动通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5069A (ko) 2018-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051390A (en) Passenger vehicle access stair and elevator apparatus
US4164292A (en) Automatic lift assembly
EP0915778B1 (en) Under floor wheelchair lift
EP1162165B1 (en) Retractable lifting device for wheelchairs
EP2293755B1 (en) Foldable ramp allowing an invalid wheelchair passenger enter into a vehicle
US5425615A (en) Combination folding stair and platform wheelchair lift
KR101503063B1 (ko) 철도 차량 및 철도 차량의 출입 장치
KR101921951B1 (ko) 교통약자용 차량 승하차 리프트 시스템
US4606433A (en) Step convertible platform lift
US8438683B1 (en) Sliding fold out ramp
US8555443B2 (en) Ramp system
US20070205573A1 (en) Electric slide step for recreational vehicle
DE60133242D1 (de) Zusammenklappbare Rampe für Körperbehinderte im Rollstuhl und Kinderwagen für Niederflurfahrzeuge
CN101767754A (zh) 一种残疾人用无障碍升降平台安全翻板
US4039091A (en) Elevator type bus boarder
KR101921954B1 (ko) 차량 승하차용 리프트
CA1201092A (en) Auxiliary step for wheelchair lift
KR101924901B1 (ko) 휠체어 리프트장치
GB2268133A (en) Wheelchair access system for vehicles
KR100970208B1 (ko) 이동식 화장실
CN111943005B (zh) 一种用于机场移动登机梯的轿厢装置
KR101924898B1 (ko) 장애인 이동차량용 출입도어를 이용한 휠체어 리프트장치
CN206107120U (zh) 一种具有升降台阶的公交车
GB2417021A (en) Passenger service vehicle disabled persons lift
GB2140749A (en) Wheelchair elevator for passenger veh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