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1463B1 - 대퇴부 운동 쿠션 - Google Patents

대퇴부 운동 쿠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1463B1
KR101921463B1 KR1020170046272A KR20170046272A KR101921463B1 KR 101921463 B1 KR101921463 B1 KR 101921463B1 KR 1020170046272 A KR1020170046272 A KR 1020170046272A KR 20170046272 A KR20170046272 A KR 20170046272A KR 101921463 B1 KR101921463 B1 KR 1019214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gh
mount
muscle
strengthening
moun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6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4469A (ko
Inventor
한상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일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일정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일정밀
Priority to KR1020170046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1463B1/ko
Publication of KR20180114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44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1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14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16For both arms together or both legs together; Aspects related to the co-ordination between right and left side limbs of a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대퇴부 운동 쿠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대퇴부 운동 쿠션은: 대퇴부의 상측에 위치되는 마운트부; 및 대퇴부 사이에 끼워지도록 마운트부에서 연장되고, 대퇴부의 가압에 의해 수축되고, 대퇴부의 가압 해제시 복원되는 근력강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대퇴부 운동 쿠션{THIGH STRETCHING CUSHION}
본 발명은 대퇴부 운동 쿠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의자에 앉아서 대퇴부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대퇴부 운동 쿠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체의 근력을 단련하거나 강화시키기 위해 다양한 운동법이 제안된다. 하체의 근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다양한 운동 기구를 이용하여 운동한다. 또한, 운동 기구를 사용하기 않고 등산, 수영, 승마 등 다양한 스포츠나 운동을 하면서 하체의 근력을 단련하거나 강화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의자에 앉아서 일을 하는 동안에는 하체 근력을 단련시키거나 강화시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하체의 근력을 단련하거나 강화시키기 위해 별도의 운동 시간을 마련해야 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6-0086445호(2016. 07. 20 공개, 발명의 명칭: 하체 단련용 운동기구)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의자에 앉아서 대퇴부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대퇴부 운동 쿠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대퇴부 운동 쿠션은: 대퇴부의 상측에 위치되는 마운트부; 및 상기 대퇴부 사이에 끼워지도록 상기 마운트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대퇴부의 가압에 의해 수축되고, 상기 대퇴부의 가압 해제시 복원되는 근력강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근력강화부는 상기 대퇴부 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근력강화부는 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운트부는 양측의 상기 대퇴부의 상측에 올려지도록 평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운트부는 직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운트부의 하면은 무릎이 인입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운트부와 상기 근력강화부의 내부에는 유체가 수용되고, 상기 마운트부와 상기 근력강화부는 신축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대퇴부 운동 쿠션은 상기 마운트부에 배치되고, 상기 근력강화부에 가해지는 압력 세기에 따라 상기 마운트부에서 돌출되는 높이가 가변되는 압력 알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운트부가 대퇴부의 상측에 올려진 상태에서 근력강화부가 대퇴부의 가압 및 해제에 의해 수축 및 복원되므로,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대퇴부의 근력을 강화시키거나 대퇴부를 스트레칭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대퇴부 운동을 수행하므로, 하체 운동을 위해 운동 시간을 별도로 낼 필요가 없다. 또한, 의자에 앉아 수시로 대퇴부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퇴부 운동 쿠션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퇴부 운동 쿠션의 상측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퇴부 운동 쿠션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퇴부 운동 쿠션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퇴부 운동 쿠션을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퇴부 운동 쿠션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퇴부 운동 쿠션의 근력강화부가 대퇴부 사이에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퇴부 운동 쿠션의 근력강화부가 대퇴부에 의해 가압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퇴부 운동 쿠션의 탑재부가 무릎에 위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대퇴부 운동 쿠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대퇴부 운동 쿠션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퇴부 운동 쿠션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퇴부 운동 쿠션의 상측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퇴부 운동 쿠션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퇴부 운동 쿠션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퇴부 운동 쿠션을 도시한 저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퇴부 운동 쿠션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퇴부 운동 쿠션은 마운트부(10) 및 근력강화부(20)를 포함한다.
마운트부(10)는 대퇴부(1)의 상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마운트부(10)가 대퇴부(1)에서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마운트부(10)는 양측의 대퇴부(1)의 상측에 올려지도록 평판 형태로 형성된다. 마운트부(10)가 평판 형태로 형성되므로, 책상 아래에 마운트부(10)가 걸리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다리를 책상 밑으로 위치시키기 용이하므로, 사용자가 일을 하거나 잠깐 쉬는 동안에 의자에 앉은 상태로 대퇴부(1)의 근력 강화 및 스트레칭을 수행할 수 있다.
마운트부(10)는 직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마운트부(10)가 사용자의 복부 측으로 보다 밀착될 수 있다.
마운트부(10)의 하면(11)은 무릎에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마운트부(10)의 하면(11)은 마운트부(10)의 폭방향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마운트부(10)의 하면(11)이 오목하게 형성되므로, 사용자가 누워서 무릎을 세운 상태로 대퇴부 강화 운동을 할 때에 무릎이 마운트부(20)의 하면(11)으로 인입된다. 따라서, 마운트부(10)가 무릎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근력강화부(20)는 대퇴부(1) 사이에 끼워지도록 마운트부(10)에서 연장되고, 대퇴부(1)의 가압에 의해 수축되고, 대퇴부(1)의 가압 해제시 복원된다. 마운트부(10)가 대퇴부(1)의 상측에 올려진 상태에서 근력강화부(20)가 대퇴부(1)의 가압 및 해제에 의해 수축 및 복원되므로,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대퇴부(1)의 근력을 강화시키거나 대퇴부(1)를 스트레칭할 수 있다. 또한,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대퇴부(1) 운동을 수행하므로, 하체 운동을 위해 운동 시간을 별도로 낼 필요가 없다. 또한, 의자에 앉아 수시로 대퇴부(1)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근력강화부(20)는 대퇴부(1) 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근력강화부(20)가 대퇴부(1) 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므로, 의자에 앉아 다리를 벌린 상태에서 근력강화부(20)를 가압할 수 있다. 또한, 양측의 대퇴부(1)가 근력강화부(20)를 가압하는 초기에 근력강화부(20)가 상대적으로 작은 힘으로도 변형된다.
근력강화부(20)는 구(sphere) 형태로 형성된다. 근력강화부(20)가 구 형태로 형성되므로, 양측의 대퇴부(1)가 근력강화부(20)를 가압할 때에 근력강화부(20)의 양측이 서로 대칭되게 변형(수축)될 수 있다. 따라서, 양측의 대퇴부(1)에 거의 동일한 반력이 가해에 따라 양측의 대퇴부(1)의 근력이 거의 동일한 수준으로 강화될 수 있다.
마운트부(10)와 근력강화부(20)의 내부에는 유체가 수용되고, 마운트부(10)와 근력강화부(20)는 신축성 재질로 형성된다. 이때, 마운트부(10)와 근력강화부(20)는 서로 연통되게 형성된다. 마운트부(10)나 근력강화부(20)에는 유체를 주입할 수 있는 주입구(13)가 형성되고, 주입구(13)에는 유체가 외부로 누설을 방지하도록 체크밸브(미도시)와 마개(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유체는 공기일 수 있다.
마운트부(10)와 근력강화부(20)의 내부에 유체가 수용되므로, 대퇴부 운동 쿠션의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대퇴부 운동 쿠션을 대퇴부(1)에 장시간 올려놓을 수 있다.
또한, 마운트부(10)와 근력강화부(20)가 신축성 재질로 형성되므로, 대퇴부(1)가 근력강화부(20)를 가압할 때에 마운트부(10)가 팽창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마운트부(10)에서 대퇴부 방향은 X로 표시하고, 대퇴부 방향의 수직한 방향은 Y로 표시하였다.
대퇴부 운동 쿠션은 마운트부(10)에 배치되고, 근력강화부(20)에 가해지는 압력 세기에 따라 마운트부(10)에서 돌출되는 높이가 가변되는 압력 알림부(30)를 더 포함한다.
압력 알림부(30)는 인출막부(31), 고정 하우징(33), 압력 알림편(35)을 포함한다.
인출막부(31)는 마운트부(10)의 상면에 함몰되게 형성된다. 인출막부(31)의 두께(T2)는 마운트부(10)의 두께(T1)보다 얇게 형성된다.
고정 하우징(33)은 인출막부(31)의 내측에 고정된다. 고정 하우징(33)은 인출막부(31)가 팽창되더라도 팽창되지 않을 정도의 강성을 갖도록 형성된다. 고정 하우징(33)은 원통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압력 알림편(35)은 고정 하우징(33)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고, 인출막부(31)가 팽창됨에 따라 마운트부(10)의 상면에서 돌출된다. 이때, 압력 알림편(35)은 인출막부(31)의 팽창 정도에 따라 돌출 높이가 가변된다. 압력 알림편(35)에는 마운트부(10)의 상면에서 돌출된 높이를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눈금부(35a) 또는 색상부가 형성될 수 있다.
압력 알림부(30)는 대퇴부(1)의 가압력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퇴부 운동 쿠션의 작동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퇴부 운동 쿠션의 근력강화부가 대퇴부 사이에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퇴부 운동 쿠션의 근력강화부가 대퇴부에 의해 가압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퇴부 운동 쿠션의 탑재부가 무릎에 위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대퇴부 운동 쿠션을 대퇴부(1)에 올려놓으면, 마운트부(10)가 대퇴부(1)의 상측에 위치되고, 근력강화부(20)가 양측의 대퇴부(1) 사이에 배치된다.
사용자가 일을 하는 도중이나 잠시 쉬는 동안에 대퇴부(1)를 조이면, 근력강화부(20)가 양측의 대퇴부(1)의 가압력에 의해 근력강화부(20)의 중심부 측으로 수축된다. 이때, 근력강화부(20)가 구형태로 형성되므로, 근력강화부(20)는 대퇴부 방향(X)으로는 수축되고, 대퇴부 방향( X: 도 5 참조)에 수직한 방향(Y: 도 5 참조)으로는 팽창된다.
또한, 근력강화부(20)가 대퇴부(1)방향으로 수축됨에 따라 근력강화부(20)의 유체가 마운트부(10)의 내부로 유입되므로, 마운트부(10)가 전체적으로 팽창된다. 근력강화부(20)가 대퇴부 방향(X)으로 수축됨에 따라 대퇴부(1)가 근력강화부(20)의 중심부 측으로 모아진다.
사용자가 대퇴부(1)에 힘을 빼면, 근력강화부(20)에 가해진 압력이 해제되므로, 근력강화부(20)가 원상태로 복원된다. 이때, 마운트부(10)의 공기가 근력강화부(20)로 유입된다.
또한 , 가정이나 실내에서 사용자가 누운 상태에서 근력강화부(20)를 대퇴부(1) 사이에 끼운 상태로 대퇴부(1)의 근력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도 9 참조).
근력강화부(20)가 대퇴부(1)에 의해 가압되는 가압력에 따라 근력강화부(20)와 마운트부(10)의 내부 압력이 변경된다. 이때, 근력강화부(20)와 마운트부(10)의 내부 압력에 따라 인출막부(31)의 팽창 정도가 가변되고, 인출막부(31)의 팽창 정도가 가변됨에 따라 압력 알림편(35)의 돌출 높이가 결정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압력 알림편(35)의 높이를 보고 대퇴부(1)의 가압력을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마운트부(10)의 하면(11)이 오목하게 형성되므로, 사용자가 누워서 무릎을 세운 상태로 대퇴부 강화 운동을 할 때에 무릎이 마운트부(20)의 하면(11)으로 인입된다. 따라서, 마운트부(10)의 하면(11)이 무릎에 걸림에 따라 마운트부(10)가 무릎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대퇴부(1)로 근력강화부(20)를 가압 및 가압 해제하는 과정을 반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대퇴부(1)의 근력을 강화시키고 대퇴부(1)를 스트레칭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의자에 앉아 작업하면서 또는 잠시 쉬는 시간동안에 대퇴부(1) 운동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하체의 근력을 단련하거나 강화시키기 위해 별도의 운동 시간을 마련하지 않다도 된다. 나아가, 하체 운동을 회사나 작업장 등에서 생활화 할 수 있다.
또한, 간단한 구조의 대퇴부 운동 쿠션을 이용하여 하체를 단련하거나 강화시킬 수 있으므로, 하체 운동 기구를 구입하는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마운트부 11: 하면
13: 공기 주입부 20: 근력강화부
30: 압력 알림부 31: 인출막부
33: 고정 하우징 35: 압력 알림편

Claims (8)

  1. 대퇴부의 상측에 위치되는 마운트부; 및
    상기 대퇴부 사이에 끼워지도록 상기 마운트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대퇴부의 가압에 의해 수축되고, 상기 대퇴부의 가압 해제시 복원되는 근력강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운트부에 배치되고, 상기 근력강화부에 가해지는 압력 세기에 따라 상기 마운트부에서 돌출되는 높이가 가변되는 압력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퇴부 운동 쿠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근력강화부는 상기 대퇴부 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퇴부 운동 쿠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근력강화부는 구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퇴부 운동 쿠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부는 양측의 상기 대퇴부의 상측에 올려지도록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퇴부 운동 쿠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부는 직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퇴부 운동 쿠션.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부의 하면은 무릎이 인입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퇴부 운동 쿠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부와 상기 근력강화부의 내부에는 유체가 수용되고,
    상기 마운트부와 상기 근력강화부는 신축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퇴부 운동 쿠션.
  8. 삭제
KR1020170046272A 2017-04-10 2017-04-10 대퇴부 운동 쿠션 KR1019214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6272A KR101921463B1 (ko) 2017-04-10 2017-04-10 대퇴부 운동 쿠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6272A KR101921463B1 (ko) 2017-04-10 2017-04-10 대퇴부 운동 쿠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4469A KR20180114469A (ko) 2018-10-18
KR101921463B1 true KR101921463B1 (ko) 2018-11-23

Family

ID=64133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6272A KR101921463B1 (ko) 2017-04-10 2017-04-10 대퇴부 운동 쿠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146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1943B1 (ko) * 2015-08-26 2017-03-03 허승환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1943B1 (ko) * 2015-08-26 2017-03-03 허승환 운동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4469A (ko) 2018-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9674B1 (ko) 종합 운동기구 레그 프레스
TWI601555B (zh) 改良式運動臺
US5755651A (en) Exercising device
JP5591542B2 (ja) 運動器具
US8568281B2 (en) Strength training workout bench
US9782622B2 (en) Exercise apparatus
US7722301B2 (en) Device for assisting in neck exercises
CA2661469A1 (en) Leg rehabilitation apparatus
ATE372815T1 (de) Trainingsgerät/-stuhl
TW410166B (en) An apparatus for an isolation mechanism, a trunk flexion exercise apparatus and an upper body weight training exercise apparatus
KR101921463B1 (ko) 대퇴부 운동 쿠션
US20110130256A1 (en) Exercise Apparatus
US11400336B2 (en) Lower body exercise device
US10398922B1 (en) Lower body exercise device
KR101438054B1 (ko) 직립형 재활 운동장치
JP2020513293A (ja) 運動補助装置
US7862490B2 (en) Exercise machine force application apparatus
US11224780B2 (en) Machine for assisted physical activity exercise
KR200478393Y1 (ko) 복합 운동기구
US11185729B2 (en) Lower body exercise device
US8262547B2 (en) Pneumatic exercise foot pad device
US20130109547A1 (en) Portable Physical Therapy Exercise Support Stand
KR200407293Y1 (ko) 다기능 운동기구
KR101974454B1 (ko) 다용도 운동기구
US10315066B2 (en) Exercise and sitting apparatus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