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0830B1 - 내진 보강용 브레이싱재 및 이를 이용한 내진 보강프레임 - Google Patents

내진 보강용 브레이싱재 및 이를 이용한 내진 보강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0830B1
KR101920830B1 KR1020180012709A KR20180012709A KR101920830B1 KR 101920830 B1 KR101920830 B1 KR 101920830B1 KR 1020180012709 A KR1020180012709 A KR 1020180012709A KR 20180012709 A KR20180012709 A KR 20180012709A KR 101920830 B1 KR101920830 B1 KR 1019208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member
frame
bracing
coupling hol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2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재
이준호
최건채
Original Assignee
메트로티엔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트로티엔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메트로티엔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2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08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0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0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 E04H9/0237Structural braces with damp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7Preventive constructional measures against earthquake damage in existing build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with solid or semi-solid material, e.g. pasty masses, as damping medi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진 보강을 위하여 철근콘크리트 프레임 내측에 결합되는 보강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는 브레이싱재의 좌굴을 방지함과 동시에 구조물의 연성이 저하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내진 보강용 브레이싱재 및 이를 이용한 내진 보강프레임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 내진 보강용 브레이싱재는 기존에 설치된 철근콘크리트 프레임을 보강하기 위해 상기 철근콘크리트 프레임의 내측에 결합되는 보강프레임에 설치되는 내진 보강용 브레이싱재에 관한 것으로, 상기 브레이싱재의 양단에 구비되어 보강프레임의 내측에 고정되는 한 쌍의 링크 부재; 상기 한 쌍의 링크 부재 사이에 결합되는 강재인 축부재; 상기 축부재의 외부에 씌워지는 강관; 상기 강관의 내부에 채워지는 모르타르 충전재; 및 상기 축부재의 외주면에 피복되는 열수축 튜브인 탄성 케이싱;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내진 보강용 브레이싱재 및 이를 이용한 내진 보강프레임{Bracing apparatus for seismic retrofit and seismic retrofitting fram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내진 보강을 위하여 철근콘크리트 프레임 내측에 결합되는 보강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는 브레이싱재의 좌굴을 방지하면서 구조물의 연성이 저하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내진 보강용 브레이싱재 및 이를 이용한 내진 보강프레임에 대한 것이다.
최근 국내외에 잦은 지진이 발생함에 따라 기존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내진 보강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내진 설계가 도입된 1988년 이전에 지어진 건물이나 내진 설계 규정이 적용되지 않았던 기존의 저층 건축물의 내진 보강에 대한 필요성이 크다.
이에 따라 기둥과 보로 구성되는 라멘조의 경우, 프레임 내부에 철골 프레임을 추가로 설치하여 구조물의 강성과 연성을 증가시키는 보강 상세가 많이 개발되었다(등록특허 제10-0149848호 등).
한편, 인장 저항에 의해 프레임의 강성을 보강함과 동시에 부재의 연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브레이싱재가 설치된다.
이러한 브레이싱재는 통상 프레임의 양방향 변형에 대응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된다.
즉, 프레임에 일측으로 변형이 발생하면 어느 일측의 브레이싱재는 인장력을 받지만 반대측 브레이싱재는 압축력을 받게 되며, 반복 하중 작용시 압축력과 인장력이 교대로 작용하게 된다.
그런데 통상 브레이싱재는 얇은 선재를 이용한다. 따라서 압축력 작용시 좌굴 가능성이 크며, 반복 하중 작용시 이러한 좌굴이 반복되어 브레이싱재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브레이싱재의 좌굴을 방지하기 위해 브레이싱재의 단면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부재 물량이 증가하여 비경제적이고, 단순히 단면을 크게 하는 경우 인장 방향 강성도 같이 커져 전체 구조물의 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존에 설치된 철근콘크리트 프레임의 보강시 브레이싱재의 좌굴을 방지하면서도 구조물의 연성이 저하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내진 보강용 브레이싱재 및 이를 이용한 내진 보강프레임을 제공하고자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기존에 설치된 철근콘크리트 프레임을 보강하기 위해 상기 철근콘크리트 프레임의 내측에 결합되는 보강프레임에 설치되는 내진 보강용 브레이싱재에 관한 것으로, 상기 브레이싱재의 양단에 구비되어 보강프레임의 내측에 고정되는 한 쌍의 링크 부재; 상기 한 쌍의 링크 부재 사이에 결합되는 강재인 축부재; 상기 축부재의 외부에 씌워지는 강관; 상기 강관의 내부에 채워지는 모르타르 충전재; 및 상기 축부재의 외주면에 피복되는 열수축 튜브인 탄성 케이싱; 으로 구성되되, 상기 링크 부재는 보강프레임에 힌지 결합되는 연결구 및 일부가 상기 강관의 단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으로 일단은 상기 연결구에 결합되고 타단은 축부재의 단부가 결합되는 축부재 결합구로 구성되고, 상기 축부재 결합구의 타단은 모르타르 충전재의 단부와 일정 간격 이격되며, 상기 축부재 결합구의 타단과 모르타르 충전재의 단부 사이에는 내진 고무인 완충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보강용 브레이싱재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축부재 결합구는 연결구의 일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1결합구, 상기 축부재의 단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2결합구 및 상기 제1결합구와 제2결합구의 외주면에 나사 결합되는 것으로 회전에 따라 제1결합구와 제2결합구의 거리를 조절하는 커플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보강용 브레이싱재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기존에 설치된 철근콘크리트 프레임을 보강하기 위해 상기 철근콘크리트 프레임의 내측에 결합되는 보강프레임; 및 상기 보강프레임의 내측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상기 내진 보강용 브레이싱재;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보강프레임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내진 보강을 위하여 철근콘크리트 프레임 내측에 결합되는 보강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는 브레이싱재에 있어서, 브레이싱재의 축부재를 둘러싼 모르타르 충전재가 축부재의 횡변형을 구속하므로 브레이싱재의 좌굴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브레이싱재에 전달되는 축력은 축부재가 저항하며, 축부재 외측에 위치되는 강관은 축력에 저항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강관은 모르타르 충전재의 횡방향 변형만 구속하면 되므로 두께를 얇게 구성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이에 따라 종래 부재의 단면 증가에 따라 인장 방향 강성이 증가하여 구조물의 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셋째, 브레이싱재를 구성하는 축부재의 외주면을 탄성 케이싱으로 피복하면, 축부재의 축 변형은 어느 정도 허용하면서도 횡방향 변형을 방지할 수 있어 브레이싱재의 좌굴 방지에 효과적이다.
도 1은 본 발명 내진 보강용 브레이싱재가 결합된 보강프레임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입면도.
도 2는 본 발명 내진 보강용 브레이싱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A-A'에 따른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도 2에서 B-B'에 따른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 내진 보강용 브레이싱재에 하중 작용시 축부재와 모르타르 충전재의 구속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 내진 보강용 브레이싱재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횡단면도.
도 7은 완충부재가 구비된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링크 부재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 내진 보강용 브레이싱재가 결합된 보강프레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입면도.
도 10은 본 발명 내진 보강용 브레이싱재가 결합된 보강프레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입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내진 보강용 브레이싱재가 결합된 보강프레임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입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내진 보강용 브레이싱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A-A'에 따른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4는 도 2에서 B-B'에 따른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 내진 보강용 브레이싱재에 하중 작용시 축부재와 모르타르 충전재의 구속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내진 보강용 브레이싱재는 기존에 설치된 철근콘크리트 프레임(1)을 보강하기 위해 상기 철근콘크리트 프레임(1)의 내측에 결합되는 보강프레임(2)에 설치되는 내진 보강용 브레이싱재(3)에 관한 것으로, 상기 브레이싱재(3)의 양단에 구비되어 보강프레임(2)의 내측에 고정되는 한 쌍의 링크 부재(31); 상기 한 쌍의 링크 부재(31) 사이에 결합되는 강재인 축부재(32); 상기 축부재(32)의 외부에 씌워지는 강관(33); 상기 강관(33)의 내부에 채워지는 모르타르 충전재(34); 및 상기 축부재(32)의 외주면에 피복되는 열수축 튜브인 탄성 케이싱(35);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내진 보강용 브레이싱재는 기존에 설치된 철근콘크리트 프레임(1)을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 철근콘크리트 프레임(1)의 내측에 결합되는 보강프레임(2)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브레이싱재(3)의 좌굴을 방지하면서도 구조물의 연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내진 보강용 브레이싱재 및 이를 이용한 내진 보강프레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보강프레임(2)은 기존에 설치된 철근콘크리트 프레임(1)의 내측에 설치된다.
상기 보강프레임(2)은 철골 등으로 구성 가능하다.
상기 브레이싱재(3)는 보강프레임(2)과의 접합부에서 축력만을 지지하는 것으로, 도 1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프레임(2)에 결합된 거셋플레이트(21)와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브레이싱재(3)는 링크 부재(31), 축부재(32), 강관(33) 및 모르타르 충전재(34)로 구성된다.
상기 링크 부재(31)는 브레이싱재(3)의 양단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링크 부재(31)는 보강프레임(2)의 내측에 고정된다.
상기 브레이싱재(3)와 보강프레임(2)의 힌지 결합을 위하여, 링크 부재(31)의 단부에는 보강프레임(2)의 일측과 핀 결합되는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축부재(32)는 한 쌍의 링크 부재(31) 사이에 결합된다.
상기 축부재(32)는 브레이싱재(3)에 전달되는 축력에 저항한다.
상기 축부재(32)는 인장력에 저항하는 부재로, 강봉, 강연선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도 3, 도 4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강관(33)은 축부재(32)의 외부를 감싸도록 축부재(32)의 외부에 씌워진다. 그리고 상기 강관(33)의 내부에는 모르타르 충전재(34)가 채워진다.
상기 브레이싱재(3)에 전달되는 축력에는 축부재(32)만 저항하며, 강관(33)은 축력에 저항하지 않는다.
상기 축부재(32)의 주변에 충전된 모르타르 충전재(34)가 축부재(32)를 감싸 축부재(32)의 횡방향 변형이 구속된다.
상기 강관(33)은 모르타르 충전재(34)를 수용하는 하우징의 역할과 함께 모르타르 충전재(34)의 횡방향 팽창을 구속한다.
상기 강관(33)은 폐단면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모르타르 충전재(34)의 횡방향 변형만 구속하면 되므로 두께를 얇게 구성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 내진 보강용 브레이싱재에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축부재(32)와 모르타르 충전재(34)의 구속 관계를 설명한다.
도 5의 (a)에는 축부재(32)에 인장력이 작용하는 상태가 도시된다.
상기 축부재(32)에 인장력이 작용하는 경우, 축부재(32)에는 횡변형이 없어 주변 모르타르 충전재(34)에 응력 작용이 없다.
도 5의 (b)에는 축부재(32)에 압축력이 작용하는 상태가 도시된다.
상기 축부재(32)에 압축력이 작용하면, 축부재(32)의 횡변형을 주변을 둘러싼 모르타르 충전재(34)가 구속한다.
이에 따라 축부재(32)의 좌굴을 방지하여 브레이싱재(3)의 좌굴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압축력에 의한 브레이싱재(3)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 도 5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크 부재(31)는 보강프레임(2)에 힌지 결합되는 연결구(31a) 및 일부가 상기 강관(33)의 단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으로 일단은 상기 연결구(31a)에 결합되고 타단은 축부재(32)의 단부가 결합되는 축부재 결합구(31b)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링크 부재(31)는 연결구(31a) 및 축부재 결합구(31b)로 구성 가능하다.
상기 연결구(31a)는 보강프레임(2)의 내측면에 힌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축부재 결합구(31b)는 일부가 상기 강관(33)의 단부에 일정 깊이 삽입된다.
상기 축부재 결합구(31b)는 강관(33)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축부재(32)의 축 방향 변위가 강관(33)에 전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축부재 결합구(31b)는 일단은 상기 연결구(31a)에 결합되고 타단은 축부재(32)의 단부와 결합된다.
상기 축부재 결합구(31b)는 강관(33)의 내주면과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갖는 다각기둥 또는 원기둥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축부재 결합구(31b)는 강관(33)의 단부를 밀폐시켜 축부재(32)의 부식을 방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 내진 보강용 브레이싱재(3)의 제작시 강관(33) 내부에 모르타르 충전재(34)를 쉽게 충전하기 위하여, 링크 부재(31)를 결합하기 전에 강관(33) 내부에 모르타르 충전재(34)를 충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강관(33) 내부에 축부재(32)가 배치된 상태에서 강관(33) 내측으로 모르타르 충전재(34)를 충전하여 경화시킨 후 축부재(32)의 단부에 축부재 결합구(31b)를 결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축부재(32)는 단부 외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축부재 결합구(31b)의 타단 내측 중앙에 소정 깊이로 형성된 결합홈에 축부재(32)를 나사 결합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축부재 결합구(31b)의 타단은 모르타르 충전재(34)의 단부와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브레이싱재(3)에 압축 변위가 작용하면, 축부재 결합구(31b)가 모르타르 충전재(34)를 직접 가압하여 모르타르 충전재(34)가 횡방향으로 팽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강관(33)에 추가적인 응력이 가해질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축부재 결합구(31b)의 타단과 모르타르 충전재(34)를 일정 간격 이격시켜 압축 변위를 흡수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 내진 보강용 브레이싱재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횡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축부재(32)의 외주면에는 탄성 케이싱(35)이 피복될 수 있다.
상기 축부재(32)의 외주면이 모르타르 충전재(34)와 직접 부착되면 축부재(32)의 축 변형이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축부재(32)의 외주면을 탄성 케이싱(35)으로 피복하여 축부재(32)와 모르타르 충전재(34)의 접합면을 분리함으로써, 축부재(32)가 자유롭게 축 변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탄성 케이싱(35)에 의하여 축부재(32)의 축 변형은 어느 정도 허용하면서 횡방향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브레이싱재(3)의 좌굴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탄성 케이싱(35)은 고무 등 연질 재질을 사용 가능하다.
상기 탄성 케이싱(35)은 축부재(32)의 횡방향 변형을 제한해야 하므로 가급적 두께를 얇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 케이싱(35)은 열수축 튜브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탄성 케이싱(35)이 축부재(32)에 밀착되지 않아 축부재(32)와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될 경우, 이 공간 부분에서는 축부재(32)의 횡방향 구속이 완전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좌굴이 발생할 여지가 있다.
따라서 열을 가하면 수축 가능한 열수축 튜브를 탄성 케이싱(35)의 소재로 이용하여 탄성 케이싱(35)을 축부재(32)의 외주면에 빈틈없이 밀착되도록 구성 가능하다.
도 7은 완충부재가 구비된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축부재 결합구(31b)의 타단과 모르타르 충전재(34)의 단부 사이에는 내진 고무인 완충부재(36)가 구비될 수 있다.
브레이싱재(3)가 압축력을 받는 경우 축부재(32)가 항복된 이후에 축부재 결합구(31b)와 모르타르 충전재(34) 사이에서 완충부재(36)가 압축력을 전달하도록 함으로써 추가적인 강성 및 연성의 증가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 완충부재(36)는 내진고무 등 기타 완충이 가능한 부재로 구성할 수 잇다.
도 8은 링크 부재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축부재 결합구(31b)는 연결구(31a)의 일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1결합구(311), 상기 축부재(32)의 단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2결합구(312) 및 상기 제1결합구(311)와 제2결합구(312)의 외주면에 나사 결합되는 것으로 회전에 따라 제1결합구(311)와 제2결합구(312)의 거리를 조절하는 커플러(313)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축부재 결합구(31b)는 상호 이격되는 제1결합구(311)와 제2결합구(312) 및 이들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커플러(313)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브레이싱재(3)가 철근콘크리트 프레임(1) 내측에 설치되는 보강프레임(2) 내에서 구조적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보강프레임(2)의 변위에 대해 인장력에 의해 저항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브레이싱재(3)는 보강프레임(2)과 유격 없이 밀착 결합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브레이싱재(3)와 보강프레임(2) 사이에 유격이 없으면, 보강프레임(2) 내측에 브레이싱재(3)를 설치하는 작업이 어렵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브레이싱재(3)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면서도 설치 후 브레이싱재(3)와 보강프레임(2) 간 유격이 없어 인장력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브레이싱재(3)의 길이를 조절 가능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축부재 결합구(31b)를 연결구(31a)의 일단 및 축부재(32)의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제1결합구(311)와 제2결합구(312)로 구성하고, 제1, 2결합구(311, 312) 간의 거리를 커플러(313)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제1결합구(311)와 제2결합구(312)에는 각각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결합구(311)의 나사산과 제2결합구(312)의 나사산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하고, 커플러(313)의 내주면에는 상기 나사산들과 대응되도록 나사산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커플러(313)를 일측으로 회전시키면, 제1결합구(311)와 제2결합구(312) 사이의 간격이 가까워지면서 브레이싱재(3)의 길이가 짧아진다.
반대로 상기 커플러(313)를 타측으로 회전시키면, 제1결합구(311)와 제2결합구(312) 사이의 간격이 멀어지면서 브레이싱재(3)의 길이가 길어진다.
상기 축부재 결합구(31b)가 제1, 2결합구(311, 312) 및 커플러(313)로 구성되는 경우, 브레이싱재(3) 설치시에는 제1, 2결합구(311, 312) 사이의 간격을 벌려 브레이싱재(3)의 길이를 약간 길게 유지한 상태에서 연결구(31a)를 보강프레임(2)과 힌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브레이싱재(3)를 설치한 후에는 커플러(313)를 회전시켜 제1, 2결합구(311, 312) 사이의 간격을 줄여 브레이싱재(3)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브레이싱재(3)가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여 보강프레임(2)에 변위 발생시 발생하는 응력이 브레이싱재(3)에 잘 전달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커플러(313)는 공구 등으로 고정할때 회전이 용이하도록 다각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커플러(313)의 외주면에 공구 삽입공(미도시)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 내진 보강용 브레이싱재가 결합된 보강프레임의 다른 실시예들을 도시하는 입면도이다.
도 1,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내진 보강프레임은 기존에 설치된 철근콘크리트 프레임(1)을 보강하기 위해 상기 철근콘크리트 프레임(1)의 내측에 결합되는 보강프레임(2); 및 상기 보강프레임(2)의 내측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상기 내진 보강용 브레이싱재(3);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강프레임(2)은 철골 부재로 구성 가능하다.
상기 보강프레임(2)은 H형강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H형강의 플랜지를 철근콘크리트 프레임(1)에 앵커볼트로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보강프레임(2)과 철근콘크리트 프레임(1) 사이에는 무수축 모르타르를 충전할 수 있다.
상기 보강프레임(2)은 설치시 시공 오차를 고려하여 코너 부위를 ㄱ자형으로 일체 구성하고, 기둥이나 보의 중간에서 이들을 이음할 수 있다.
상기 보강프레임(2)은 브레이싱재(3)의 단부가 결합되는 부위에 거셋플레이트(21)를 설치하여 브레이싱재(3)의 단부와 힌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내진 보강용 브레이싱재(3)는 앞서 도 1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전술한 본 발명 내진 보강용 브레이싱재(3)에 대한 것과 같다.
상기 브레이싱재(3)는 도 1과 같이 보강프레임(2)의 상하를 가로지르도록 대각선으로 설치할 수 있다.
아울러 구조물의 요구 강성 및 연성 등에 따라 도 9와 같이 보강프레임(2)의 코너 부위에만 브레이싱재(3)를 짧은 길이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1: 철근콘크리트 프레임
2: 보강프레임
21: 거셋플레이트
3: 브레이싱재
31: 링크 부재
31a: 연결구
31b: 축부재 결합구
311: 제1결합구
312: 제2결합구
313: 커플러
32: 축부재
33: 강관
34: 모르타르 충전재
35: 탄성 케이싱
36: 완충부재

Claims (8)

  1. 기존에 설치된 철근콘크리트 프레임(1)을 보강하기 위해 상기 철근콘크리트 프레임(1)의 내측에 결합되는 보강프레임(2)에 설치되는 내진 보강용 브레이싱재(3)에 관한 것으로,
    상기 브레이싱재(3)의 양단에 구비되어 보강프레임(2)의 내측에 고정되는 한 쌍의 링크 부재(31);
    상기 한 쌍의 링크 부재(31) 사이에 결합되는 강재인 축부재(32);
    상기 축부재(32)의 외부에 씌워지는 강관(33);
    상기 강관(33)의 내부에 채워지는 모르타르 충전재(34); 및
    상기 축부재(32)의 외주면에 피복되는 열수축 튜브인 탄성 케이싱(35); 으로 구성되되,
    상기 링크 부재(31)는 보강프레임(2)에 힌지 결합되는 연결구(31a) 및 일부가 상기 강관(33)의 단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으로 일단은 상기 연결구(31a)에 결합되고 타단은 축부재(32)의 단부가 결합되는 축부재 결합구(31b)로 구성되고,
    상기 축부재 결합구(31b)의 타단은 모르타르 충전재(34)의 단부와 일정 간격 이격되며, 상기 축부재 결합구(31b)의 타단과 모르타르 충전재(34)의 단부 사이에는 내진 고무인 완충부재(36)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보강용 브레이싱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서,
    상기 축부재 결합구(31b)는 연결구(31a)의 일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1결합구(311), 상기 축부재(32)의 단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2결합구(312) 및 상기 제1결합구(311)와 제2결합구(312)의 외주면에 나사 결합되는 것으로 회전에 따라 제1결합구(311)와 제2결합구(312)의 거리를 조절하는 커플러(31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보강용 브레이싱재.
  8. 기존에 설치된 철근콘크리트 프레임(1)을 보강하기 위해 상기 철근콘크리트 프레임(1)의 내측에 결합되는 보강프레임(2); 및
    상기 보강프레임(2)의 내측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제1항 또는 제7항에 의한 내진 보강용 브레이싱재(3);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보강프레임.
KR1020180012709A 2018-02-01 2018-02-01 내진 보강용 브레이싱재 및 이를 이용한 내진 보강프레임 KR1019208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709A KR101920830B1 (ko) 2018-02-01 2018-02-01 내진 보강용 브레이싱재 및 이를 이용한 내진 보강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709A KR101920830B1 (ko) 2018-02-01 2018-02-01 내진 보강용 브레이싱재 및 이를 이용한 내진 보강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0830B1 true KR101920830B1 (ko) 2018-11-21

Family

ID=64602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2709A KR101920830B1 (ko) 2018-02-01 2018-02-01 내진 보강용 브레이싱재 및 이를 이용한 내진 보강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083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29895A (zh) * 2018-11-29 2019-04-16 北京建筑大学 一种斜支撑代替中柱提高框架式地下结构抗震性能的体系
CN113882732A (zh) * 2021-09-14 2022-01-04 北京工业大学 一种sma弹簧-x型钢板复合式阻尼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24530A (ja) * 2011-12-16 2013-06-24 Fujita Corp 座屈拘束ブレース
KR101332602B1 (ko) * 2013-09-02 2013-11-25 (주)에이엠지그룹건축사사무소 길이조절기능을 갖는 제진형 가새장치 및 이를 이용한 브레이싱 공법
JP2015017371A (ja) * 2013-07-09 2015-01-29 株式会社竹中工務店 座屈補剛ブレース
KR101638556B1 (ko) * 2016-02-05 2016-07-11 메트로티엔씨 주식회사 건축물의 내진보강을 위한 하이브리드 제진 댐퍼
KR101711567B1 (ko) * 2016-06-13 2017-03-02 씨엔에스이엔지주식회사 고강도 철근 브레이싱 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24530A (ja) * 2011-12-16 2013-06-24 Fujita Corp 座屈拘束ブレース
JP2015017371A (ja) * 2013-07-09 2015-01-29 株式会社竹中工務店 座屈補剛ブレース
KR101332602B1 (ko) * 2013-09-02 2013-11-25 (주)에이엠지그룹건축사사무소 길이조절기능을 갖는 제진형 가새장치 및 이를 이용한 브레이싱 공법
KR101638556B1 (ko) * 2016-02-05 2016-07-11 메트로티엔씨 주식회사 건축물의 내진보강을 위한 하이브리드 제진 댐퍼
KR101711567B1 (ko) * 2016-06-13 2017-03-02 씨엔에스이엔지주식회사 고강도 철근 브레이싱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29895A (zh) * 2018-11-29 2019-04-16 北京建筑大学 一种斜支撑代替中柱提高框架式地下结构抗震性能的体系
CN113882732A (zh) * 2021-09-14 2022-01-04 北京工业大学 一种sma弹簧-x型钢板复合式阻尼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1506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the energy dissipation of structural elements
KR101733091B1 (ko) 강재 조립형 이중보강재를 구비한 비좌굴가새
US20150322676A1 (en) Splice sleeve with elliptical or compound curve cross section
KR101920830B1 (ko) 내진 보강용 브레이싱재 및 이를 이용한 내진 보강프레임
KR102135337B1 (ko) 내진 보강용 이력 댐퍼
JP5279356B2 (ja) コンクリート系部材の塑性ヒンジ構造およびコンクリート系部材
JP5935756B2 (ja) 沈埋トンネルの継手部の耐震補強構造
JP2006226054A (ja) 鉄筋コンクリート造ラーメン構造の既存建物の耐震補強工法
KR101168670B1 (ko) 내진 보강 구조체
KR101289149B1 (ko) 강관 버팀보 연결구조 및 강관 버팀보 연결장치
JP4709786B2 (ja) 合成セグメント
KR101730006B1 (ko) 스틸튜브를 이용한 콘크리트 버팀보
JP2000129951A (ja) 制振壁
JP5914624B1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
KR101294289B1 (ko) 건식형 좌굴방지 가새 및 그 시공 방법
KR101948795B1 (ko) 내진 보강용 비좌굴 브레이싱재
JP2004003236A (ja) 鋼コンクリート合成構造と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の接合部構造
JP4431986B2 (ja) 建物の耐震補強構造および耐震補強方法
JP5974228B2 (ja) 耐震型プレキャストボックスカルバート
KR102121797B1 (ko) 건축물의 내진 보강 구조
JP2004092269A (ja) 斜張橋における落橋および浮き上がり防止構造
KR102472913B1 (ko) 조합된 강관을 이용한 제진장치 구조물
KR101561043B1 (ko) 합성가압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부재 보강방법
KR102074573B1 (ko)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
KR102322356B1 (ko) 치장벽돌 댐퍼와 이를 이용한 치장벽돌구조물의 내진 보강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