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0793B1 - 분사량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포함하는 스프레이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탈기기 - Google Patents

분사량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포함하는 스프레이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탈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0793B1
KR101920793B1 KR1020160135715A KR20160135715A KR101920793B1 KR 101920793 B1 KR101920793 B1 KR 101920793B1 KR 1020160135715 A KR1020160135715 A KR 1020160135715A KR 20160135715 A KR20160135715 A KR 20160135715A KR 101920793 B1 KR101920793 B1 KR 1019207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ay valve
nozzle piston
spray
water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5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2996A (ko
Inventor
김헌
최영준
최낙정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35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0793B1/ko
Publication of KR20180042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29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0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07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 B05B1/300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ling element being actuated by the pressure of the fluid to be spray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9/00Degasification of liquids
    • B01D19/0063Regulation, control including valves and flo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 B05B1/3013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ling element being a lift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22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sealing faces shaped as surfaces of solids of revolution
    • F16K3/24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sealing faces shaped as surfaces of solids of revolution with cylindrical 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30Details
    • F16K3/314Forms or constructions of slides; Attachment of the slide to the spind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ozzles (AREA)
  • Safety Valves (AREA)

Abstract

분사량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포함하는 스프레이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탈기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레이 밸브(100)는, 스프레이 타입 탈기기의 압력용기(20)의 상부에 장착되어, 급수유입관(30)으로부터 제공되는 급수를 압력용기(20) 내부로 분사하는 스프레이 밸브로서, 상부면과 하부면이 개방된 원통형 실린더 구조이고, 상부면은 급수유입관(30)과 연통되고, 노즐 피스톤(120)이 상하 방향 이동 가능하도록 내부 슬라이딩 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내부 중앙부에 하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구조의 노즐피스톤 가이드 축(140)을 장착하는 스프레이 밸브 실린더(110); 상기 스프레이 밸브 실린더(110)의 내부면에 상하 방향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급수유입관(30)으로부터 유입되는 수압에 의해 하방으로 위치변경되며, 외부면에 상하 방향 일정 간격으로 분사 관통구(121)가 다수 형성된 노즐 피스톤(120); 및 상기 노즐피스톤 가이드 축(140)의 하단부와 노즐 피스톤(120)의 하부면 사이에 장착되어 노즐 피스톤(120)을 상방으로 소정 크기의 가압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130);를 포함하는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스프레이 밸브에 따르면, 종래 기술 대비 탈기 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으며, 탈기기에 장착되는 스프레이 밸브의 수량을 감소시킬 수 있고, 급수유입관의 압력에 따라 분사량을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스프레이 밸브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분사량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포함하는 스프레이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탈기기 {Spray Valve Having Structure for Controlling Quantity of Water, and Deaerato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탈기기에 장착되는 스프레이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탈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프레이 타입 탈기기에 적합한 스프레이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탈기기에 관한 것이다.
스프레이 밸브는 탈기기의 핵심부품 중에 한 구성요소로서, 용존산소 및 기타 비응축가스를 함유한 상태로 탈기기 내로 유입되는 용수를 분사하여 원통형의 얇은 수막을 형성하는 밸브이다.
탈기기에 형성된 다른 입구로 유입된 증기는 스프레이 밸브를 통해 원통형 얇은 막의 형태로 분사되는 용수를 통과하면서 용수의 온도를 상승시켜 기체를 탈기시킨다.
탈기기의 탈기기능은 스프레이 밸브의 수량에 따라 결정되며, 작동원리는 용수의 압력을 최소 0.13Kg/cm2 이상으로 유지시켜 스프레이 밸브의 스프링을 압축함으로써 밸브가 개방되어 용수를 분사한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따른 스프레이 밸브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스프레이 밸브(10)는 배관에 체결되는 플랜지(11)와, 플랜지(11)의 중공에 삽입된 축(12)과, 상기 축(12)의 일단에 고정되어 용수가 유입되는 방향의 상류를 향해 개방된 고깔형상의 제 1 스프링 지지대(13)와, 용수의 분사방향을 안내하는 고깔형상의 개폐부(14)와, 상기 플랜지(11)의 중공 가장자리에 고정된 삼각대(15) 둘레에 고정되는 제 2 스프링 지지대(16)와, 제 1 스프링 지지대(13)와 제 2 스프링 지지대(16)에 양단이 각각 접해 위치하며 상기 축(12)의 이동에 따라 신축되는 압축코일 스프링(17)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스프레이 밸브(10)는 그 구성이 복잡하고, 용수 분사각도가 60도로서 분사각도가 좁아 탈기 효과가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스프레이 밸브(10)의 경우, 상방에서 하방으로 공급되는 급수배관의 하단부에 장착되어 하방으로 급수를 분사하고 있다. 이때, 스프레이 밸브(10)를 구성하고 있는 축(12), 제 1 스프링 지지대(13), 삼각대(15), 제 2 스프링 지지대(16) 및 압축코일 스프링(17)은 항상 급수에 노출되어 있어, 부식에 의해 손쉽게 손상될 수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스프레이 밸브(10)의 경우, 탈기기에 장착된 후, 압축코일 스프링(17)에 의해 고깔 형상의 개폐부(14)에 인가되는 압축력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스프레이 밸브(10)를 탈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스프레이 밸브(10)의 경우, 급수배관으로부터 인가되는 수압에 의해 고깔 형상의 개폐부(14)가 개방되어 분사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나, 급수배관으로부터 인가되는 수압에 따라 적절히 분사량을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 언급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스프레이 밸브에 대한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10-2004-0100492 (2004년 12월 02일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탈기기에 장착되는 스프레이 밸브의 수량을 감소시킬 수 있고, 급수유입관의 압력에 따라 분사량을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스프레이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스프레이 밸브는, 스프레이 타입 탈기기의 압력용기의 상부에 장착되어, 급수유입관으로부터 제공되는 급수를 압력용기 내부로 분사하는 스프레이 밸브로서, 상부면과 하부면이 개방된 원통형 실린더 구조이고, 상부면은 급수유입관과 연통되고, 노즐 피스톤이 상하 방향 이동 가능하도록 내부 슬라이딩 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내부 중앙부에 하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구조의 노즐피스톤 가이드 축을 장착하는 스프레이 밸브 실린더; 상기 스프레이 밸브 실린더의 내부면에 상하 방향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급수유입관으로부터 유입되는 수압에 의해 하방으로 위치변경되며, 외부면에 상하 방향 일정 간격으로 분사 관통구가 다수 형성된 노즐 피스톤; 및 상기 노즐피스톤 가이드 축의 하단부와 노즐 피스톤의 하부면 사이에 장착되어 노즐 피스톤을 상방으로 소정 크기의 가압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프레이 밸브 실린더의 외주면에는 압력용기와 결속되는 구조의 결속체결부가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프레이 밸브 실린더의 내부면에는 노즐 피스톤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만입부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노즐 피스톤의 외주면에는 스프레이 밸브 실린더의 내부면에 형성된 만입부에 안착되는 돌기부가 형성되어, 노즐 피스톤의 상하 방향 움직임을 가이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노즐 피스톤의 상부에는, 스프레이 밸브 실린더 내주면과 접촉하는 부위에 피스톤 링이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노즐 피스톤의 외부면에 형성된 분사관통구는, 노즐 피스톤의 외부측면을 기준으로 하방으로 소정 각도만큼 기울어져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노즐 피스톤은, 상기 스프레이 밸브 실린더의 내부면과 대응되는 원통형 구조이고, 상방이 개방되어 급수유입관으로부터 유입된 급수의 수압을 내측 밑면으로 수용하는 노즐 피스톤 본체;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즐 피스톤은, 상기 노즐 피스톤 본체의 하부면에 하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되고, 탄성부재의 상단부를 고정시키는 탄성부재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이중 코일스프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프레이 밸브 실린더는, 상기 스프레이 밸브 실린더의 상부 내측에 장착되고, 다수의 관통구가 형성되고, 중앙부에 노즐피스톤 가이드 축을 고정시키는 축 고정용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노즐피스톤 가이드 축의 하단부에는 탄성부재의 하단부를 고정하고, 조임 및 풀림 동작에 의해 탄성부재의 하단부 위치를 상하 방향으로 조정하는 너트가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스프레이 밸브를 포함하는 탈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프레이 밸브에 따르면, 특정구조의 스프레이 밸브 실린더, 노즐 피스톤 및 탄성부재를 구비함으로써, 급수 분사 면적 및 분사 각도를 넓힐 수 있어 종래 기술 대비 탈기 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으며, 탈기기에 장착되는 스프레이 밸브의 수량을 감소시킬 수 있고, 급수유입관의 압력에 따라 분사량을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스프레이 밸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프레이 밸브에 따르면, 급수유입관으로부터 유입되는 수압에 의해 하방으로 위치변경되고 외부면에 상하 방향 일정 간격으로 분사관통구가 다수 형성된 노즐 피스톤을 구비함으로써, 급수유입관으로부터 유입되는 수압에 따라 분사관통구의 개방 수량을 조절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탈기기의 압력용기 내부로 분사되는 분사량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프레이 밸브에 따르면, 스프레이 밸브 신린더의 외주면에 압력용기와 결속되는 구조의 결속체결부가 마련되어 있어, 탈기기 제작 시 손쉽게 스프레이 밸브를 조립할 수 있고, 손쉽게 부착 및 탈거될 수 있어 손쉽게 유지관리하여 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프레이 밸브에 따르면, 스프레이 밸브 실린더의 내부에 형성된 만입부 및 노즐 피스톤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부를 구비함으로써, 노즐 피스톤이 상하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프레이 밸브에 따르면, 노즐 피스톤의 상부에는, 스프레이 밸브 실린더 내주면과 접촉하는 부위에 피스톤 링을 장착함으로써, 노즐 피스톤과 스프레이 밸브 실린더 사이의 급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프레이 밸브에 따르면, 노즐 피스톤의 외부면에 형성된 분사관통구의 형성 방향을 수직축을 기준으로 하방으로 소정 각도만큼 기울어져 형성시킴으로써, 탈기 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으며, 분사관통구의 형성 방향을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적절히 변경함으로써, 탈기 효율을 적절히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프레이 밸브에 따르면, 스프레이 밸브 실린더의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구조의 노즐 피스톤을 구비함으로써, 급수유입관으로부터 유입되는 수압을 받아 효과적으로 하방으로 위치 변경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탈기기의 압력용기 내부로 분사되는 급수의 분사량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프레이 밸브에 따르면, 탄성부재를 통해 노즐 피스톤에 인가되는 가압력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특정 구조의 노즐피스톤 가이드 축 및 너트를 구비함으로써, 급수유입관으로부터 유입되는 수압에 따라 개방되는 분사관통구의 수량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급수유입관에 인가되는 수압을 고려하여 운용자의 의도에 따라 급수의 분사량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스프레이 밸브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레이 밸브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노즐 피스톤과 스프레이 밸브 실린더만은 발췌하여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 에 도시된 스프레이 밸브를 탈기기에 장착한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레이 밸브가 구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측단면 모식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레이 밸브를 나타내는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도 2에 도시된 노즐 피스톤과 스프레이 밸브 실린더만은 발췌하여 나타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우선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프레이 밸브(100)는, 스프레이 타입 탈기기의 압력용기(20)의 상부에 장착되어, 급수유입관(30)으로부터 제공되는 급수를 압력용기(20) 내부로 분사하는 스프레이 밸브로서, 종래 기술에 따른 스프레이 밸브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프레이 밸브(100)는, 특정구조의 스프레이 밸브 실린더(110), 노즐 피스톤(120) 및 탄성부재(130)를 구비함으로써, 급수 분사 면적 및 분사 각도를 넓힐 수 있어 종래 기술 대비 탈기 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으며, 탈기기에 장착되는 스프레이 밸브의 수량을 감소시킬 수 있고, 급수유입관으로부터 공급되는 급수의 압력에 따라 분사량을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스프레이 밸브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프레이 밸브(100)를 구성하고 있는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프레이 밸브 실린더(110)는, 상부면과 하부면이 개방된 원통형 실린더 구조일 수 있다.
이때, 개방된 상부면은 급수유입관(30)과 연통되어, 급수유입관(30)으로부터 제공되는 급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스프레이 밸브 실린더(110)의 내부에는, 노즐 피스톤(120)이 상하 방향 이동 가능하도록 내부 슬라이딩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스프레이 밸브 실린더(110)의 내부 중앙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구조의 노즐피스톤 가이드 축(140)이 장착될 수 있다.
한편, 노즐 피스톤(120)은, 스프레이 밸브 실린더(110)의 내부면에 상하 방향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이때, 노즐 피스톤(120)은 급수유입관(30)으로부터 유입되는 수압에 의해 하방으로 위치변경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노즐 피스톤(120)의 상부에는, 스프레이 밸브 실린더(110) 내주면과 접촉하는 부위에 피스톤 링(123)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노즐 피스톤(120)과 노즐 가이드 축(140) 사이에도 급수의 누출을 방지하도록 실링부재(126)가 장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언급한 실링부재(126)는 실링 효과를 가지고 있는 베어링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노즐 피스톤(1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 피스톤 본체(124) 및 탄성부재 고정돌기(125)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노즐 피스톤 본체(124)는, 스프레이 밸브 실린더(110)의 내부면과 대응되는 원통형 구조이고, 상방이 개방되어 급수유입관(30)으로부터 유입된 급수의 수압을 내측 밑면으로 수용하는 구조일 수 있다.
탄성부재 고정돌기(125)는, 노즐 피스톤 본체(124)의 하부면에 하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되고, 탄성부재(130)의 상단부를 고정시키는 구조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레이 밸브 실린더(110)의 내부면에는 노즐 피스톤(120)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부(122)와 대응되는 형상의 만입부(112)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노즐 피스톤(120)의 외주면에는 스프레이 밸브 실린더(110)의 내부면에 형성된 만입부(112)에 안착되는 돌기부(122)가 형성되어, 노즐 피스톤(120)의 상하 방향 움직임을 가이드 할 수 있다.
탄성부재(130)는, 노즐피스톤 가이드 축(140)의 하단부와 노즐 피스톤(120)의 하부면 사이에 장착되어 노즐 피스톤(120)을 상방으로 소정 크기의 가압력으로 가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130)는 상하방향 압축력에 대항하여 소정 크기의 탄성복원력을 발현할 수 있는 부재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좌우 편심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이중 코일스프링일 수 있다.
한편, 스프레이 밸브 실린더(110)의 상부 내측에는 노즐피스톤 가이드 축(140)고정시키는 축 고정용 플레이트(113)가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축 고정용 플레이트(113)에는 다수의 관통구(114)가 형성되어 급수유입관(30)으로부터 공급된 급수가 유동할 수 있는 유동로를 제공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피스톤 가이드 축(140)의 하단부에는 탄성부재(130)의 하단부를 고정하고, 조임 및 풀림 동작에 의해 탄성부재(130)의 하단부 위치를 상하 방향으로 조정하는 너트(141)가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탄성부재(130)를 통해 노즐 피스톤(120)에 인가되는 가압력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어, 급수유입관(30)으로부터 유입되는 급수의 수압에 따라 개방되는 분사관통구(121)의 수량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급수유입관(30)에 인가되는 수압을 고려하여 운용자의 의도에 따라 급수의 분사량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다.
도 4에는 도 2 에 도시된 스프레이 밸브를 탈기기에 장착한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 및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레이 밸브가 구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측단면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프레이 밸브 실린더(110)의 외주면에는 압력용기(20)와 결속되는 구조의 결속체결부(111)가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프레이 밸브(100)는, 스프레이 밸브 실린더(110)의 외주면에 압력용기(20)와 결속되는 구조의 결속체결부(111)가 마련되어 있어, 탈기기 제작 시 손쉽게 스프레이 밸브(100)를 조립할 수 있고, 손쉽게 부착 및 탈거 할 수 있어 손쉽게 유지 관리하여 운용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유입관(30)으로부터 유입되는 수압에 의해 하방으로 위치 변경되고, 외부면에 상하 방향 일정 간격으로 분사관통구(121)가 다수 형성된 노즐 피스톤(120)을 구비함으로써, 급수유입관(30)으로부터 유입되는 급수의 수압에 따라 노즐 피스톤(120)의 하방 위치가 변경된다.
급수유입관(30)으로부터 유입되는 급수의 수압이 현저히 낮을 경우에는 노즐 피스톤(120)의 위치가 탄성부재(130)의 가압력에 의해 상방에 고정되게 되고, 분사관통구(121)는 폐쇄되어 급수는 분사되지 못한다.
급수유입관(30)으로부터 유입되는 급수의 수압이 탄성부재(130)의 상방 가압력을 넘어서기 시작할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 피스톤(120)의 위치가 하방으로 위치 변경되게 되고, 노즐 피스톤(120)의 하부에 형성된 분사관통구(121)의 일부가 개방되게 되며, 급수의 일부가 분사되게 된다.
급수유입관(30)으로부터 유입되는 급수의 수압이 탄성부재(130)의 상방 가압력을 월등히 넘어설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 피스톤(120)의 위치가 하방으로 최대로 위치 변경되게 되고, 스프레이 밸브 실린더(110)의 하부에 형성된 분사관통구(121)의 모두가 개방되게 되며, 급수가 모든 분사관통구(121)를 통해 분사되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프레이 밸브(100)는, 급수유입관(30)으로부터 제공되는 급수의 압력에 따라, 분사관통구(121)의 개방 수량을 조절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탈기기의 압력용기(20) 내부로 분사되는 급수 분사량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노즐 피스톤(120)의 외부면에 형성된 분사관통구(121)는, 노즐 피스톤(120)의 외부면을 기준으로 하방으로 소정 각도만큼 기울어져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급수유입관(30)으로부터 제공된 급수의 분사 각도를 다양화 하여 탈기 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으며, 분사관통구의 형성 방향을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적절히 변경함으로써, 탈기 효율을 적절히 변경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스프레이 밸브를 포함하는 탈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탈기기에 따르면, 급수 분사 면적 및 분사 각도를 넓힐 수 있는 스프레이 밸브를 포함하고 있어, 종래 기술 대비 탈기 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탈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종래 기술에 따른 스프레이 밸브
11: 플랜지
12: 축
13: 제 1 스프링 지지대
14: 고깔형상의 개폐부
15: 삼각대
16: 제 2 스프링 지지대
17: 압축코일 스프링
20: 압력용기(pressure vessel, shell)
30: 급수유입관
100: 스프레이 밸브
110: 스프레이 밸브 실린더
111: 결속체결부
112: 만입부
113: 축 고정용 플레이트
114: 관통구
120: 노즐 피스톤
121: 분사 관통구
122: 돌기부
123: 피스톤 링
124: 노즐 피스톤 본체
125: 탄성부재 고정돌기
126: 실링부재
130: 탄성부재
140: 노즐 가이드 축
141: 너트

Claims (11)

  1. 스프레이 타입 탈기기의 압력용기(20)의 상부에 장착되어, 급수유입관(30)으로부터 제공되는 급수를 압력용기(20) 내부로 분사하는 스프레이 밸브로서,
    상부면과 하부면이 개방된 원통형 실린더 구조이고, 상부면은 급수유입관(30)과 연통되고, 노즐 피스톤(120)이 상하 방향 이동 가능하도록 내부 슬라이딩 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내부 중앙부에 하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구조의 노즐피스톤 가이드 축(140)을 장착하는 스프레이 밸브 실린더(110);
    상기 스프레이 밸브 실린더(110)의 내부면에 상하 방향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급수유입관(30)으로부터 유입되는 수압에 의해 하방으로 위치변경되며, 외부면에 상하 방향 일정 간격으로 분사 관통구(121)가 노즐 피스톤(120)의 외부측면을 기준으로 하방으로 소정 각도만큼 기울어져 다수 형성된 노즐 피스톤(120);
    상기 노즐피스톤 가이드 축(140)의 하단부와 노즐 피스톤(120)의 하부면 사이에 장착되어 노즐 피스톤(120)을 상방으로 소정 크기의 가압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130);
    상기 노즐피스톤 가이드 축(140)의 하단부에는 탄성부재(130)의 하단부를 고정하고, 조임 및 풀림 동작에 의해 탄성부재(130)의 하단부 위치를 상하 방향으로 조정하는 너트(141); 및
    상기 스프레이 밸브 실린더(110)의 상부 내측에 장착되고, 다수의 관통구가 형성되고, 중앙부에 노즐피스톤 가이드 축(140)을 고정시키는 축 고정용 플레이트(113);
    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 피스톤(120)은,
    상기 스프레이 밸브 실린더(110)의 내부면과 대응되는 원통형 구조이고, 상방이 개방되어 급수유입관(30)으로부터 유입된 급수의 수압을 내측 밑면으로 수용하는 노즐 피스톤 본체(124); 및
    상기 노즐 피스톤 본체(124)의 하부면에 하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되고, 탄성부재(130)의 상단부를 고정시키는 탄성부재 고정돌기(12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 밸브(10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레이 밸브 실린더(110)의 외주면에는 압력용기(20)와 결속되는 구조의 결속체결부(111)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 밸브.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레이 밸브 실린더(110)의 내부면에는 노즐 피스톤(120)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부(122)와 대응되는 형상의 만입부(112)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노즐 피스톤(120)의 외주면에는 스프레이 밸브 실린더(110)의 내부면에 형성된 만입부(112)에 안착되는 돌기부(122)가 형성되어, 노즐 피스톤(120)의 상하 방향 움직임을 가이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 밸브.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피스톤(120)의 상부에는, 스프레이 밸브 실린더(110) 내주면과 접촉하는 부위에 피스톤 링(123)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 밸브.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130)는 이중 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 밸브.
  9. 삭제
  10. 삭제
  11. 제 1 항 내지 제 4 항,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스프레이 밸브(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기기.
KR1020160135715A 2016-10-19 2016-10-19 분사량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포함하는 스프레이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탈기기 KR1019207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715A KR101920793B1 (ko) 2016-10-19 2016-10-19 분사량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포함하는 스프레이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탈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715A KR101920793B1 (ko) 2016-10-19 2016-10-19 분사량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포함하는 스프레이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탈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2996A KR20180042996A (ko) 2018-04-27
KR101920793B1 true KR101920793B1 (ko) 2018-11-21

Family

ID=62081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5715A KR101920793B1 (ko) 2016-10-19 2016-10-19 분사량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포함하는 스프레이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탈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07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3290B1 (ko) * 2018-06-04 2020-06-17 (주) 삼진정밀 조립 및 생산성이 우수한 물탱크 내부 설치형 압력조절 방류관
CN114308488B (zh) * 2021-12-15 2022-07-01 江苏荣生电子有限公司 用于电极箔喷淋的均衡式往复喷洒机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5644A (ja) * 1998-06-19 2000-01-11 Mitsubishi Heavy Ind Ltd 噴射ノズル
JP5312775B2 (ja) * 2007-11-27 2013-10-09 株式会社富士機械工作所 管体溶接装置
JP2016161148A (ja) * 2015-02-26 2016-09-05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スプレイノズル及び脱気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5644A (ja) * 1998-06-19 2000-01-11 Mitsubishi Heavy Ind Ltd 噴射ノズル
JP5312775B2 (ja) * 2007-11-27 2013-10-09 株式会社富士機械工作所 管体溶接装置
JP2016161148A (ja) * 2015-02-26 2016-09-05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スプレイノズル及び脱気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2996A (ko) 2018-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15769B1 (en) Self-aligning valve seal
US7401760B2 (en) Vacuum regulating valve
KR101920793B1 (ko) 분사량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포함하는 스프레이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탈기기
US9915363B2 (en) Check valve
CN101566855B (zh) 用在流体压力装置中的节流结构
US7175157B2 (en) Fluid controller
EP1210983A3 (en) Liquid jet pump
WO2008152776A1 (ja) アクティブ制御コロイダルダンパ
KR100841234B1 (ko) 화학 액체 밸브
JP4570664B2 (ja) オイルジェット装置
KR101920705B1 (ko) 분사량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포함하는 스프레이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탈기기
KR101920788B1 (ko) 분사량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포함하는 스프레이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탈기기
KR20050075719A (ko) 연료 분사 노즐
KR101920737B1 (ko) 분사량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포함하는 스프레이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탈기기
KR101535560B1 (ko) 역류방지장치
KR101857253B1 (ko) 안전밸브
KR100561208B1 (ko) 릴리프 및 감압 기능을 가지는 파일럿 밸브
KR101370151B1 (ko) 고압 유체용 레귤레이터
US20200072361A1 (en) Manually Controlled High Pressure Valve and a Glass Chiller Using Thereof
KR101793791B1 (ko) 유로 차단 기능을 구비한 감압밸브 장치
JP2004076733A (ja) 内燃機関に用いられる燃料噴射弁
KR200480010Y1 (ko) 더블플러그 타입형 밸브
KR200421225Y1 (ko) 압력 조리기의 압력추
KR200494425Y1 (ko) 보조압력을 이용한 압력조절기
KR101021631B1 (ko) 증기 정압배출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