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0747B1 - 3d 프린팅 교육을 위한 3d 모델링 작업 방법 및 3d 프린팅 교육을 위한 3d 모델링 작업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3d 프린팅 교육을 위한 3d 모델링 작업 방법 및 3d 프린팅 교육을 위한 3d 모델링 작업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0747B1
KR101920747B1 KR1020160102555A KR20160102555A KR101920747B1 KR 101920747 B1 KR101920747 B1 KR 101920747B1 KR 1020160102555 A KR1020160102555 A KR 1020160102555A KR 20160102555 A KR20160102555 A KR 20160102555A KR 101920747 B1 KR101920747 B1 KR 1019207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ling
user
icon
data
edi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2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7938A (ko
Inventor
황규호
정의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돌도2소프트
황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돌도2소프트, 황규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돌도2소프트
Priority to KR1020160102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0747B1/ko
Publication of KR20180017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79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0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07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7Career enhancement or continuing education ser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3D 모델링 작업 방법 및 3D 모델링 작업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가, 3D 모델링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초 데이터의 유형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명령을 입력받고, 선택 명령에 따른 기초 데이터를 이용하여 3D 모델링 데이터를 생성하며, 3D 모델링 데이터에 대한 편집 도구를 제공하고, 편집 도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편집 명령에 따라 3D 모델링 데이터를 편집하는 과정을 통해 구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3D 프린팅을 위한 3D 모델링 데이터의 생성 및 편집 등의 작업 과정을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3D 프린팅 교육을 위한 3D 모델링 작업 방법 및 3D 프린팅 교육을 위한 3D 모델링 작업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3D Modeling Working Method for 3D Printing Education, and Media Recorded with Program Executing the Method}
본 발명은 3D 모델링 작업 방법 및 3D 모델링 작업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3D 프린팅을 위한 3D 모델링 데이터의 생성 및 편집 등의 작업 과정을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3D 프린팅 교육을 위한 3D 모델링 작업 방법 및 3D 프린팅 교육을 위한 3D 모델링 작업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3D 프린터의 급속한 보급 및 활용 용도의 확산에 따라 3D 프린팅을 위한 3D 모델링 작업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한편, 이와 같이 3D 모델링 작업자에 대한 수요는 증대되고 있지만, 3D 모델링 작업이 가능한 인력의 양성 및 그 공급은 원활하지 않은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3D 프린터를 활용하려는 시도가 증가함에 따라, 비전문가들도 자신의 업무 분야에서 직접 3D 프린터를 사용하기를 원하지만, 이들에게 3D 프린팅을 위한 3D 모델링 작업 과정에 대한 학습의 기회가 충분히 제공되고 있지 않은 상황이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44075호(2015.12.24.)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3D 프린팅을 위한 3D 모델링 데이터의 생성 및 편집 등의 작업 과정을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3D 프린팅 교육을 위한 3D 모델링 작업 방법 및 3D 프린팅 교육을 위한 3D 모델링 작업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3D 모델링 작업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가, 3D 모델링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초 데이터의 유형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선택 명령에 따른 기초 데이터를 이용하여 3D 모델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3D 모델링 데이터에 대한 편집 도구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편집 도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편집 명령에 따라 상기 3D 모델링 데이터를 편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기록 매체는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3D 프린팅을 위한 3D 모델링 데이터의 생성 및 편집 등의 작업 과정을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모델링 작업 방법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는 절차 흐름도, 및
도 2 내지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모델링 작업 방법의 실행 과정에서의 각 단계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서의 화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서의 3D 모델링 작업 방법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는 절차 흐름도이다.
먼저, 스마트 폰 또는 PC 등의 사용자 단말기에는 3D 모델링 작업용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으며, 도 1에서의 3D 모델링 작업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되어 있는 3D 모델링 작업용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된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3D 모델링 작업용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서버로부터 해당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함으로써,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 내지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모델링 작업 방법의 실행 과정에서의 각 단계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서의 화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모델링 작업 방법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되어 있는 3D 모델링 작업용 프로그램을 실행함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는 3D 모델링 작업, 파일 업로드 및 다운로드 작업, 3D스캐너 작업, 소프트웨어 설정, 3D 프린팅 작업, 및 프로그램 종료를 각각 지원하는 복수의 아이콘이 표시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3D 모델링 작업을 지원하는 아이콘을 선택하는 경우에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서는 도 2에서와 같이 3D 모델링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초 데이터의 유형별 선택 아이콘이 표시된다.
구체적으로, 도 2에서의 아이콘별 지원 기능은 다음의 표 1에서와 같다.
No 지원 기능
1 주어진 도형들 중 사용자가 선택한 도형에 대한 3D 모델링을 제작하는 기능
2 화면에 직접 마우스나 손으로 그린 그림에 대한 3D 모델링을 제작하는 기능
3 XZ 평면에 사용자가 터치할 수 있는 복수의 터치 포인트를 제공하며, 사용자가 터치한 포인트에 기초하여 3D 모델링을 제작하는 기능
4 XY 평면에 화병을 만들 수 있는 터치 포인트를 제공하며, 사용자가 터치한 포인트에 기초하여 화병 모양의 3D 모델링을 제작하는 기능
5 STL 파일을 로딩하고, 로딩된 STL 파일에 기초하여 3D 모델링을 제작하는 기능
6 2D 사진을 3D 모델링 파일로 변환하는 기능
7 카메라로 촬영된 사진을 3D 모델링 파일로 변환하는 기능
8 3D 문자열을 출력하는 기능
이에 사용자가 도 2에서의 아이콘1을 선택하는 경우에(S100),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는 도 3에서와 같은 사용자가 학습을 위해 선택할 수 있는 다양한 기본 도형들이 표시된다(S110).
이에 사용자가 기본 평면 도형들 중 어느 하나(예를 들면, 사각형)을 선택하는 경우에 도 4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선택한 도형을 기초 데이터로 하는 3D 모델링 데이터가 생성된다(S130).
한편,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상에서 도 4에서의 3D 모델링 이미지(데이터)를 선택하면 도 5에서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는 해당 모델링 데이터의 편집을 지원하는 편집 도구의 아이콘이 제공된다(S150).
구체적으로, 도 5에서의 편집 도구 아이콘별 지원 기능은 다음의 표 2에서와 같다.
No 지원 기능
9 선택한 모델의 위치 이동 기능
10 선택한 모델의 회전 기능
11 선택한 모델의 색상 변경 기능
12 선택한 모델의 복사 기능
13 선택한 모델의 삭제 기능
14 선택한 모델의 스케일 조정 기능
이에 사용자는 도 5에서의 아이콘9를 선택함으로써, 3D 모델링 데이터의 상,하,좌,우로의 위치가 이동되도록 하는 편집 명령을 입력할 수 있고(S170),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는 해당 3D 모델링 데이터에 대한 편집을 실행한다(S190).
아울러, 사용자는 도 5에서의 아이콘10을 선택함으로써, 도 6에서와 같이 3D 모델링 데이터의 회전 편집을 명령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는 해당 3D 모델링 데이터에 대한 회전 편집을 실행한다.
또한, 사용자는 도 5에서의 아이콘11을 선택함으로써, 도 7에서와 같이 3D 모델링 데이터에 대한 색상 변경을 명령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는 해당 3D 데이터에 대한 색상 변경 편집을 실행한다.
또한, 사용자는 도 5에서의 아이콘12를 선택함으로써, 도 8에서와 같이 3D 모델링 데이터에 대한 복사 편집을 명령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는 해당 3D 데이터에 대한 복사 편집을 실행한다.
또한, 사용자는 도 5에서의 아이콘13를 선택함으로써, 3D 모델링 데이터에 대한 삭제 편집을 명령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는 해당 3D 데이터에 대한 삭제 편집을 실행한다.
또한, 사용자는 도 5에서의 아이콘14를 선택함으로써, 도 9에서와 같이 3D 모델링 데이터에 대한 스케일 편집을 명령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는 해당 3D 데이터에 대한 스케일 편집을 실행한다.
한편, 전술한 S100 단계를 실시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도 2에서의 아이콘2를 선택하는 경우에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은 도 10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마우스나 손가락 터치를 통해 자유롭게 그림을 그릴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에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을 통해 자신의 원하는 그림을 그린 후에 완료 버튼을 선택하면, 사용자 단말기는 도 11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그린 그림을 기초 데이터로 하는 3D 모델링 데이터가 생성된다(S130).
또한, 전술한 S100 단계를 실시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도 2에서의 아이콘3을 선택하는 경우에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은 도 12에서와 같이 XZ 평면 상에 사용자가 마우스나 손가락으로 터치할 수 있는 복수의 터치 포인트 및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 선분을 제공하며, 이에 사용자가 터치 포인트를 각각 원하는 방향으로 드래그(drag)함에 따라 도 13에서와 같이 연결 선분이 변형되며 편집된다(S110).
이에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을 통해 완료 버튼을 선택하면, 사용자 단말기는 도 13에서의 변형 편집된 기초 데이터를 이용하여 도 14에서와 같이 3D 모델링 데이터를 생성한다(S130).
또한, 전술한 S100 단계를 실시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도 2에서의 아이콘4를 선택하는 경우에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은 도 15에서와 같이 XY 평면 상에 사용자가 마우스나 손가락으로 터치할 수 있는 복수의 터치 포인트 및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 선분으로 이루어진 화병 모형의 기초 데이터를 제공하며, 이에 사용자가 터치 포인트를 각각 원하는 방향으로 드래그(drag)함에 따라 도 16에서와 같이 화병 모형이 변형되며 편집된다(S110).
이에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을 통해 완료 버튼을 선택하면, 사용자 단말기는 도 16에서의 변형 편집된 화병 모형의 기초 데이터를 이용하여 도 17에서와 같이 화병 모형의 3D 모델링 데이터를 생성한다(S130).
또한, 전술한 S100 단계를 실시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도 2에서의 아이콘5를 선택함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에는 도 18에서와 같이 STL 파일이 로딩되며(S110), 이에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을 통해 완료 버튼을 선택하면, 사용자 단말기는 로딩된 STL 파일을 기초 데이터로 이용하여 도 19에서와 3D 모델링 데이터를 생성한다(S130).
또한, 전술한 S100 단계를 실시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도 2에서의 아이콘6을 선택함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에는 도 20에서와 같이 2D 사진 데이터가 로딩되며(S110), 사용자 단말기는 도 21에서와 같이 로딩된 2D 사진 데이터에 대한 미리보기를 실행한다.
이에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을 통해 완료 버튼을 선택하면, 로딩된 2D 사진 데이터를 기초 데이터로 이용하여 도 22에서와 같이 3D 모델링 데이터가 생성된다(S130).
한편, 상기와 같이 생성된 3D 모델링 데이터에 대해서도 사용자는 도 5에서의 편집 도구를 이용하여 다양한 편집 기능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3D 프린팅을 위한 3D 모델링 데이터의 생성 및 편집 등의 작업 과정을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2)

  1. (a) 사용자 단말기가, 3D 모델링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초 데이터의 유형별 선택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3D 모델링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초 데이터의 유형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c)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선택 명령에 따른 기초 데이터를 이용하여 3D 모델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d)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3D 모델링 데이터에 대한 편집 도구를 제공하는 단계; 및
    (e)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편집 도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편집 명령에 따라 상기 3D 모델링 데이터를 편집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a) 단계에서의 상기 기초 데이터의 유형별 선택 아이콘은,
    복수의 도형 중 사용자가 선택한 도형에 대한 3D 모델링을 제작하는 기능을 지원하는 아이콘, 사용자가 화면에 입력 장치 또는 손으로 그린 그림에 대한 3D 모델링을 제작하는 기능을 지원하는 아이콘, 2D 사진을 3D 모델링 파일로 변환하는 기능을 지원하는 아이콘, 카메라로 촬영된 사진을 3D 모델링 파일로 변환하는 기능을 지원하는 아이콘, XZ 평면에 사용자가 터치할 수 있는 복수의 터치 포인트를 제공하며, 사용자가 터치한 포인트에 기초하여 3D 모델링을 제작하는 기능을 지원하는 아이콘, XY 평면에 화병을 만들 수 있는 터치 포인트를 제공하며, 사용자가 터치한 포인트에 기초하여 화병 모양의 3D 모델링을 제작하는 기능을 지원하는 아이콘, STL 파일을 로딩하고, 로딩된 STL 파일에 기초하여 3D 모델링을 제작하는 기능을 지원하는 아이콘, 및 3D 문자열을 출력하는 기능을 지원하는 아이콘을 포함하는 것인 3D 모델링 작업 방법.
  2. 제1항에서의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1020160102555A 2016-08-11 2016-08-11 3d 프린팅 교육을 위한 3d 모델링 작업 방법 및 3d 프린팅 교육을 위한 3d 모델링 작업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1019207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2555A KR101920747B1 (ko) 2016-08-11 2016-08-11 3d 프린팅 교육을 위한 3d 모델링 작업 방법 및 3d 프린팅 교육을 위한 3d 모델링 작업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2555A KR101920747B1 (ko) 2016-08-11 2016-08-11 3d 프린팅 교육을 위한 3d 모델링 작업 방법 및 3d 프린팅 교육을 위한 3d 모델링 작업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7938A KR20180017938A (ko) 2018-02-21
KR101920747B1 true KR101920747B1 (ko) 2018-11-21

Family

ID=61525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2555A KR101920747B1 (ko) 2016-08-11 2016-08-11 3d 프린팅 교육을 위한 3d 모델링 작업 방법 및 3d 프린팅 교육을 위한 3d 모델링 작업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074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8014B1 (ko) * 2014-01-14 2015-07-22 강기환 3d 모델링을 통해 사진 이미지로부터 입체영상을 생성하는 방법
KR101588637B1 (ko) * 2015-05-27 2016-01-26 이주연 3차원 쥬얼리 판매 시스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8014B1 (ko) * 2014-01-14 2015-07-22 강기환 3d 모델링을 통해 사진 이미지로부터 입체영상을 생성하는 방법
KR101588637B1 (ko) * 2015-05-27 2016-01-26 이주연 3차원 쥬얼리 판매 시스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7938A (ko) 2018-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30056A1 (en) Method and a device for visual management of metadata
JP4986782B2 (ja) イメージ内の選択領域を一括格納する装置およびイメージ情報の文書化装置
US20060066610A1 (en) Method, devic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isplaying 3D grid in designing configuration model
JP2019067237A (ja)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2008884A (ja) 編集装置、編集装置におけるレイアウト編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920747B1 (ko) 3d 프린팅 교육을 위한 3d 모델링 작업 방법 및 3d 프린팅 교육을 위한 3d 모델링 작업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JP6448500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
JP2008191712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6229480A (ja) 画像処理プログラム、画像処理装置及び記録媒体
JP2006134230A (ja) 画像編集装置
JP6572940B2 (ja) 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370561B1 (ja) 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013918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2011128710A (ja) 表示装置、表示システム、表示制御方法およ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2017151530A (ja) 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011603B2 (ja) 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218696B2 (ja)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6099414A (ja) 電子会議装置、電子会議装置制御プログラム
US1124038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for information processing, and storage medium
JP6024087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247739B2 (ja) 画面設計装置および描画部品設定方法
JP4756149B2 (ja) フォトアルバム作成システム及びフォトアルバム作成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432529B2 (ja) 動画作成装置、動画作成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664731B2 (ja) 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685859B2 (ja) 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