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0594B1 - 바운서용 진동장치 - Google Patents

바운서용 진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0594B1
KR101920594B1 KR1020180067833A KR20180067833A KR101920594B1 KR 101920594 B1 KR101920594 B1 KR 101920594B1 KR 1020180067833 A KR1020180067833 A KR 1020180067833A KR 20180067833 A KR20180067833 A KR 20180067833A KR 101920594 B1 KR101920594 B1 KR 1019205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uncer
motion
moving member
leg portion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7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근범
Original Assignee
배근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근범 filed Critical 배근범
Priority to KR1020180067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0594B1/ko
Priority to PCT/KR2018/007196 priority patent/WO2019240317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0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05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9/00Cradles ; Bassinets
    • A47D9/02Cradles ; Bassinets with rocking mechanisms

Abstract

본 발명은 바운서용 진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아래로 볼록한 호형으로 형성된 레그부(1a)를 구비한 바운서(1)가 위치하는 실내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에 설치되어, 상기 바운서(1)가 레그부(1a) 형상대로 진동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20); 상기 구동부(20)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는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소정 각도로 직선 운동하는 운동부재(302)와, 상기 레그부(1a)와 운동부재(302) 간을 연결하는 탄성부재(303)를 구비하여 상기 운동부재(302)의 직선 운동을 상기 레그부(1a)로 전달하여 바운서(1)를 진동시키는 진동발생부(3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동형 바운서를 자동을 진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바운서의 진동 방향이 바뀔 때 발생하는 진동 충격을 억제하여 보다 안락하고 편안한 진동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바운서용 진동장치{Vibration equipment for Bouncer}
본 발명은 바운서용 진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동형 바운서에 장착하여 수동형 바운서를 자동으로 진동시키고, 바운서의 진동 방향이 바뀔 때 발생하는 진동 충격을 저감시킨 바운서용 진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바운서(Bouncer)’란 의자나 침대 형태로 되어 아이(신생아 또는 영유아)를 재우거나 달래고 혼자 놀게 할 때 사용하는 육아용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바운서는 일정한 방향으로 반복하는 부드러운 진동이 엄마의 품처럼 안정감을 주어 편안하게 잠을 잘 수 있게 도와준다.
한편, 과거의 바운서는 진동을 주기 위해 보호자가 옆에서 바운서를 일정한 방향으로 반복하여 흔들어 주어야 하기에 사용이 번거롭고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사용자의 인력이 아닌 모터와 같은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을 바운서 내부에 내장시켜 바운서의 진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한 자동형 바운서가 상용화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자동형 바운서는 향상된 사용 편의성으로 인해 제품의 가격이 비싼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자동형 바운서는 구동장치에 의해 바운서가 진동할 때, 구동장치의 구동력이 링크를 통해 바운서에 그대로 전달되어, 구동장치의 구동력의 방향이 전환되면서 바운서의 진동 방향이 바뀔 때 미세한 진동 충격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진동 충격은 바운서에 누운 아이에게 불안감과 불편함을 제공하여 편안한 수면을 방해할 뿐만 아니라, 진동 충격이 구동수단에도 간접 작용하여 구동수단의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다.
또한, 근래에는 가정에서뿐만 아니라, 아이를 데리고 외식을 하거나, 교외로 여행을 떠날 때 바운서를 휴대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그러나 구동장치가 바운서 내부에 구비된 자동형 바운서는 무거워 가정이 아닌 외부에서의 사용을 위해 휴대하기 곤란한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휴대 목적을 위해 구동장치가 내장된 자동형 바운서와는 별도로 구동장치가 없는 수동형 바운서를 추가로 구입하는 경우도 빈번하여, 부모들의 경제적 부담이 가중되는 실정이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1990-0004831호
본 발명의 바운서용 진동장치는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수동형 바운서에 착탈 가능케 하여 수동형 바운서를 자동으로 진동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운서의 진동 방향이 바뀔 때 발생하는 진동 충격을 억제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운서용 진동장치는, 아래로 볼록한 호형으로 형성된 레그부(1a)를 구비한 바운서(1)가 위치하는 실내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에 설치되어, 상기 바운서(1)가 레그부(1a) 형상대로 진동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20);
상기 구동부(20)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는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소정 각도로 직선 운동하는 운동부재(302)와, 상기 레그부(1a)와 운동부재(302) 간을 연결하는 탄성부재(303)를 구비하여 상기 운동부재(302)의 직선 운동을 상기 레그부(1a)로 전달하여 바운서(1)를 진동시키는 진동발생부(30); 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20)는,
상기 본체(10) 상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지프레임(201);
상기 지지프레임(201) 일측에 설치되는 모터(202);
상기 모터(202)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피니언(203); 을 포함하고,
상기 운동부재(302) 일면에는 상기 피니언(203)과 간헐적으로 치합하는 래크기어(302a); 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니언(203)은,
상기 바운서(1)의 진동에 의해 상기 운동부재(302)가 상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래크기어(302a)에 치합되어 상기 운동부재(302)를 하방으로 가압하되,
상기 바운서(1)의 진동 방향이, 상기 하방으로 가압되어 이동하는 운동부재(302)의 운동 방향과 같은 방향이 될 때까지 상기 탄성부재(303)가 신장되어 진동 충격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니언(203)은, 상기 래크기어(302a)에 치합되는 치부(203a)가 일측 단부에 호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래크기어(302a)와 간헐적으로 치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동발생부(30)는,
소정 각도로 형성된 가이드수단(301b)을 구비하여 상기 본체(10) 상부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프레임(301);
상기 구동부(20)에 의해 상기 가이드수단(301b)을 따라 직선운동 가능케 설치되는 운동부재(302);
일단부는 바운서에 착탈 가능케 설치되고, 타단부는 상기 운동부재(302)의 일측에 착탈 가능케 설치되는 탄성부재(30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프레임(301)은, 가운데에 공간부(301a)가 형성되되, 공간부(301a)의 양측 내면에는 소정 각도로 경사진 가이드수단(301b)이 상호 대칭되게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운동부재(302)의 양 측면에는 상기 가이드수단(301b)이 삽입되는 안내홈부(302b)가 형성되어 운동부재(302)가 상기 공간부(301a) 내부에서 상기 가이드수단(301b)을 따라 직선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20)는,
상기 본체(10) 상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지프레임(201);
상기 지지프레임(201) 일측에 설치되는 모터(202);
상기 모터(202)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캠(204); 을 포함하고,
상기 운동부재(302)의 일면에는 상기 캠(204)과 간헐적으로 외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돌부(302d); 가 일체로 형성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운서용 진동장치는,
아래로 볼록한 호형으로 형성된 레그부(1a)를 구비한 바운서(1)가 위치하는 실내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에 설치되어, 상기 바운서(1)가 레그부(1a) 형상대로 진동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20);
상기 구동부(20)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는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소정 각도로 직선 운동하는 운동부재(302)와, 상기 운동부재(302)의 일단부에 연결하는 탄성부재(303)를 구비하여 상기 운동부재(302)의 직선 운동을 상기 레그부(1a)로 전달하여 바운서(1)를 진동시키는 진동발생부(30);
상기 레그부(1a)와, 상기 탄성부재(303) 간에 설치되어 상기 운동부재(302)의 운동에너지를 바운서(1)에 전달하는 연결부재(40);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운서용 진동장치는, 수동형 바운서에 착탈 가능케 하여 수동형 바운서를 자동으로 진동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수동형 바운서로도 자동형 바운서의 사용 편의성을 가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운서를 진동시키기 위해 구동력을 바운서로 전달할 때, 탄성부재를 통해 구동력을 전달함으로써 바운서의 진동 방향이 바뀔 때 발생하는 진동 충격을 억제하여 보다 안락하고 편안한 수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동형 바운서에 착탈 가능케 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바운서와 쉽게 분리할 수 있어 바운서의 휴대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동형 바운서의 구입에 따른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자동형 바운서의 사진.
도 2는 종래기술의 수동형 바운서의 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바운서용 진동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정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운서용 진동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배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운서용 진동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운서용 진동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운서용 진동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바운서와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운서용 진동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피니언과 래크기어가 치합되어 바운서의 진동이 시작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운서용 진동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피니언과 래크기어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운서용 진동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바운서가 진동할 때, 피니언과 래크기어가 다시 치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운서용 진동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피니언이 래크기어에 치합되어 바운서에 구동력이 다시 전달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운서용 진동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운서용 진동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바운서와 탄성부재 간에 연결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운서용 진동장치를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서, 다음의 설명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사용된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부분'과 '제2부분'은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 기재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음은 물론이다.
도 2는 종래기술의 수동형 바운서의 사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운서용 진동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정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운서용 진동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배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운서용 진동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운서용 진동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정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운서용 진동장치는, 본체(10), 구동부(20), 진동발생부(30)를 포함한다.
바운서(1)는 아래로 볼록한 호형으로 형성된 레그부(1a)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10)는,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바운서(1)가 위치하는 실내의 바닥면에 안착된다.
이때, 본체(10)의 안정적인 안착을 위해 본체(10)는 무게가 무거운 소재로 형성하거나, 공기흡착판(일명 ‘큐방’ 이라 함)과 같은 별도의 부착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20)는 상기 바운서(1)의 진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지지프레임(201), 모터(202), 피니언(203)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프레임(201)은 상기 본체(10) 상부에 수직으로 설치된다.
상기 모터(202)는 상기 지지프레임(201) 일측에 설치된다.
상기 피니언(203)은 치부(203a)가 일측 단부에 호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모터(202)에 의해 회전 구동되게 설치된다.
즉, 상기 피니언(203)의 회전축은 상기 지지프레임(201)에 회전 가능케 설치되되, 상기 모터(202)의 구동축에는 구동기어(202a)를 설치하고, 상기 회전축에는 상기 구동기어(202a)와 치합하는 종동기어(203b)를 설치함으로써, 모터(202)의 동력에 의해 피니언(203)이 회전한다.
상기 모터(202)의 구동력을 피니언(203)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구동기어(202a)와 종동기어(203b)를 사용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피니언(203)의 회전축을 상기 모터(202)의 구동축에 직접 연결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진동발생부(30)는 가이드프레임(301), 운동부재(302), 탄성부재(303)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프레임(301)은 상기 본체(10) 상부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프레임(301)은 공간부(301a), 가이드수단(301b)을 포함한다.
상기 공간부(301a)는 가이드프레임(301)의 가운데에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수단(301b)은 상기 공간부(301a)의 양측 내면에서 대칭이 되도록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되,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운동부재(302)는 상기 공간부(301a) 내부에서 직선운동 가능케 설치된다.
상기 운동부재(302)는 래크기어(302a), 안내홈부(302b)를 포함한다.
상기 래크기어(302a)는 운동부재(302)의 일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피니언(203)과 치합됨으로써, 피니언(203)의 회전력에 의해 운동부재(302)는 하방으로 가압된다.
즉, 상기 모터(202)에 의해 상기 피니언(203)이 회전할 때, 상기 피니언(203)의 일측에 형성된 치부(203a)가 상기 운동부재(302)에 형성된 래크기어(302a)와 간헐적으로 치합됨으로써 피니언(203)의 회전력에 의해 운동부재(302)가 하방으로 가압되면서 직선 운동 하게 된다.
상기 안내홈부(302b)는 운동부재(302)의 양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수단(301b)이 결합됨으로써, 운동부재(302)가 피니언(203)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될 때, 운동부재(302)가 상기 공간부(301a) 내에서 이탈하는 것이 방지되면서 상기 가이드수단(301b)을 따라 소정 각도로 직선 운동하게 된다.
상기 안내홈부(302b) 하단에는 상기 가이드수단(301b)을 따라 직선 운동하는 운동부재(302)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302e)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303)는 일단부가 상기 레그부(1a)에 착탈 가능케 설치되고, 타단부는 상기 운동부재(302) 일측의 연결부(302c)에 설치된다.
이때, 탄성부재(303)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탄성부재(302)의 양단부에는 고리형 또는 환형으로 된 설치부(303a, 303b)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303)는 상기 피니언(203)의 회전력에 의해 하방으로 직선 운동하는 운동부재(302)의 운동에너지를 바운서(1)로 전달한다.
상기 탄성부재(303)는 신축성과 탄성을 가지는 고무줄이나 코일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운서용 진동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바운서와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운서용 진동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피니언과 래크기어가 치합되어 바운서의 진동이 시작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 예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바운서용 진동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피니언과 래크기어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 예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바운서용 진동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바운서가 진동할 때, 피니언과 래크기어가 다시 치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 예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바운서용 진동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피니언이 래크기어에 치합되어 바운서에 구동력이 다시 전달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 예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과 같이 본 발명의 바운서용 진동장치가 바운서와 결합된 상태에서 도 8과 같이 상기 모터(202)에 의해 피니언(203)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피니언(203)의 치부(203a)가 운동부재(302)의 래크기어(302a)에 치합되면, 피니언(203)의 회전력이 운동부재(302)에 전달되어 운동부재(302)가 가이드수단(301b)을 따라 우측 하방으로 직선 운동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303)는 일단부가 상기 바운서(1)의 레그부(1a)에 연결되어 있고, 타단부가 상기 운동부재(302)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운동부재(302)의 직선 운동에 의해 탄성부재(303)와 바운서(1)가 운동부재(302)의 운동 방향으로 당겨짐에 따라 바운서(1)가 운동부재(302)의 운동 방향인 우측으로 진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피니언(203)의 회전력에 의해 바운서(1)가 진동하되, 상기 피니언(203)은 상기 래크기어(302a)와 간헐적으로 치합하도록 치부(203a)가 일측 단부에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피니언(203)이 계속 회전하면 도 9와 같이 피니언(203)과 래크기어(302a)가 분리된다.
이때, 바운서(1)는 레그부(1a)가 아래로 볼록한 호형으로 형성된 관계로 우측으로 최대 진폭만큼 진동한 후, 다시 반대 방향인 좌측으로 진동하게 되며, 상기 탄성부재(303)에 의해 바운서(1)에 연결된 운동부재(302)는 바운서(1)의 진동 방향을 따라 좌측 상방으로 직선 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바운서(1)가 진동하는 동안에, 피니언(203)이 계속 회전하면 피니언(203)은 도 10과 같이 운동부재(302)의 래크기어(302a)에 다시 치합된다.
이때, 상기 피니언(203)은, 상기 바운서(1)의 진동에 의해 상기 운동부재(302)가 상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래크기어(302a)에 치합되어 상기 운동부재(302)를 하방으로 가압하게 된다.
즉, 바운서(1)가 좌측으로 진동하면서 레그부(1a)의 우측 단부가 진폭의 상사점에 도달하기 전에 바운서(1)의 진동 방향을 따라 좌측 상방으로 이동하는 운동부재(302)의 래크기어(302a)에 도면 상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피니언(203)이 치합되면서 운동부재(302)를 우측 하방으로 가압한다.
따라서 상기 바운서(1)의 진동 방향과 운동부재(302)의 운동방향이 상호 반대 방향이 된다.
이때, 상기 바운서(1)의 레그부(1a)와 운동부재(302) 간을 연결하는 탄성부재(303)는 레그부(1a)의 우측 단부가 바운서(1) 진폭의 상사점에 도달하는 시점까지 신장됨으로써, 바운서(1)의 진동방향과, 운동부재(302)의 이동 방향이 서로 다를 때 발생하는 바운서(1)의 갑작스런 가속도의 변화를 억제하여 진동 충격을 흡수한다.
즉, 바운서(1)의 진동방향과, 운동부재(302)의 이동 방향이 다를 때 바운서(1)는 갑작스런 가속도의 변화가 발생하지만, 상기 탄성부재(303)가 신장되면서 바운서(1)의 가속도가 서서히 줄어들도록 함으로써, 갑작스런 가속도의 변화에 따른 진동 충격이 방지된다.
그리하여 상기 레그부(1a)의 우측 단부가 진폭의 상사점에 도달한 후, 바운서(1)의 진동 방향이 바뀌면서 운동부재(302)의 운동 방향과 같은 우측으로 진동하면, 신장되었던 상기 탄성부재(303)가 원래 형태로 수축됨과 동시에 피니언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된 운동부재(302)의 운동에너지가 우측으로 진동하는 바운서(1)로 전달됨으로써, 보다 안락하고 편안한 진동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운서용 진동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정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구동부(20)는 상기 모터(202)의 회전력을 상기 진동발생부(30)에 구비된 운동부재(302)의 직선 운동을 전환하기 위하여 캠(204), 걸림돌부(302d)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앞서 설명한 피니언(203)과 래크기어(302a)는 상기 캠(204)과 걸림돌부(302d)로 대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모터(202)에 의해 상기 캠(204)이 회전할 때 캠(204)이 상기 운동부재(302)에 형성된 걸림돌부(302d)에 걸리면서 캠(204)의 회전력에 의해 운동부재(302)가 하방으로 가압되면서 직선 운동함에 따라 캠(204)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된 운동부재(302)의 운동에너지가 바운서(1)로 전달됨으로써, 바운서(1)의 진동이 지속 가능케 된다.
상기와 같이 피니언(203)과 래크기어(302a)을 상기 캠(204)과 걸림돌부(302d)로 대체함으로써, 생산성 향상과 제조원가 절감이 가능하다.
즉, 피니언(203)과 래크기어(302a)는 치합 구조로서 높은 가공정밀도가 요구됨에 따라 가공원가 인상에 따른 제조원가 인상이 불가피한 면이 있는 반면,
캠(204)과 걸림돌부(302d)는 피니언(203)과 래크기어(302a)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가공정밀도를 요구함으로써 가공원가 절감 및 생산성 향상이 가능하여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운서용 진동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바운서와 탄성부재 간에 연결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바운서(1)의 레그부(1a)에는 연결부재(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40)는 상기 레그부(1a)와, 상기 탄성부재(303) 간에 설치되어 상기 운동부재(302)의 운동에너지를 바운서(1)에 전달한다.
즉, 연결부재(40)는 양단부에 연결공(401, 402)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공(401, 402)이 각각 바운서(1)의 레그부(1a)와 탄성부재(303)의 일측 설치부(303a)에 연결된다.
연결부재(40)의 일단부에 형성된 연결공(401)과, 레그부(1a)를 연결할 때에는 핀을 이용해 회동 가능케 피벗 결합하고, 상기 연결부재(40)의 타단부에 형성된 연결공(402)과 탄성부재(303)의 일측 설치부(303a)를 연결할 때에는 상기 설치부(303a)를 연결공(402)에 직접 연결하거나, 핀을 이용해 회동 가능케 피벗 결합한다.
상기 연결부재(40)의 소재는 한정하지 않음을 미리 밝혀둔다.
또한 연결부재(40)의 길이는 한정하지 않으나, 본 발명의 바운서용 진동장치를 상품화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10), 구동부(20), 진동발생부(30)를 감싸는 케이스 부재(C)를 형성할 때, 상기 탄성부재(303)가 케이스부재(C)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면서, 상기 운동부재(302)에 의해 상하로 왕복 운동 가능하도록 연결부재(40)가 케이스부재(C)의 외부로 노출되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한 실시 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 바운서 1a: 레그부
10: 본체 20: 구동부
201: 지지프레임 202: 모터
203: 피니언 204: 캠
30: 진동발생부 301: 가이드프레임
301a: 공간부 301b: 가이드수단
302: 운동부재 302a: 래크기어
302b: 안내홈부 302c: 연결부
302d: 걸림돌부 303: 탄성부재
40: 연결부재 401, 402: 연결공

Claims (8)

  1. 아래로 볼록한 호형으로 형성된 레그부(1a)를 구비한 바운서(1)가 위치하는 실내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에 설치되어, 상기 바운서(1)가 레그부(1a) 형상대로 진동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20);
    상기 구동부(20)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는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소정 각도로 직선 운동하는 운동부재(302)와, 상기 레그부(1a)와 운동부재(302) 간을 연결하는 탄성부재(303)를 구비하여 상기 운동부재(302)의 직선 운동을 상기 레그부(1a)로 전달하여 바운서(1)를 진동시키는 진동발생부(30);를 포함하며,
    상기 진동발생부(30)는,
    소정 각도로 형성된 가이드수단(301b)을 구비하여 상기 본체(10) 상부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프레임(301);
    상기 구동부(20)에 의해 상기 가이드수단(301b)을 따라 직선운동 가능케 설치되는 운동부재(302);
    일단부는 바운서에 착탈 가능케 설치되고, 타단부는 상기 운동부재(302)의 일측에 착탈 가능케 설치되는 탄성부재(30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운서용 진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20)는,
    상기 본체(10) 상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지프레임(201);
    상기 지지프레임(201) 일측에 설치되는 모터(202);
    상기 모터(202)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피니언(203); 을 포함하고,
    상기 운동부재(302) 일면에는 상기 피니언(203)과 간헐적으로 치합하는 래크기어(302a); 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운서용 진동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203)은,
    상기 바운서(1)의 진동에 의해 상기 운동부재(302)가 상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래크기어(302a)에 치합되어 상기 운동부재(302)를 하방으로 가압하되,
    상기 바운서(1)의 진동 방향이, 상기 하방으로 가압되어 이동하는 운동부재(302)의 운동 방향과 같은 방향이 될 때까지 상기 탄성부재(303)가 신장되어 진동 충격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운서용 진동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203)은, 상기 래크기어(302a)에 치합되는 치부(203a)가 일측 단부에 호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래크기어(302a)와 간헐적으로 치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운서용 진동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프레임(301)은, 가운데에 공간부(301a)가 형성되되, 공간부(301a)의 양측 내면에는 소정 각도로 경사진 가이드수단(301b)이 상호 대칭되게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운동부재(302)의 양 측면에는 상기 가이드수단(301b)이 삽입되는 안내홈부(302b)가 형성되어 운동부재(302)가 상기 공간부(301a) 내부에서 상기 가이드수단(301b)을 따라 직선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운서용 진동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20)는,
    상기 본체(10) 상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지프레임(201);
    상기 지지프레임(201) 일측에 설치되는 모터(202);
    상기 모터(202)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캠(204);을 포함하고,
    상기 운동부재(302)의 일면에는 상기 캠(204)과 간헐적으로 외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돌부(302d); 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운서용 진동장치.
  8. 아래로 볼록한 호형으로 형성된 레그부(1a)를 구비한 바운서(1)가 위치하는 실내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에 설치되어, 상기 바운서(1)가 레그부(1a) 형상대로 진동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20);
    상기 구동부(20)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는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소정 각도로 직선 운동하는 운동부재(302)와, 상기 운동부재(302)의 일단부에 연결하는 탄성부재(303)를 구비하여 상기 운동부재(302)의 직선 운동을 상기 레그부(1a)로 전달하여 바운서(1)를 진동시키는 진동발생부(30);
    상기 레그부(1a)와, 상기 탄성부재(303) 간에 설치되어 상기 운동부재(302)의 운동에너지를 바운서(1)에 전달하는 연결부재(40);를 포함하며,
    상기 진동발생부(30)는,
    소정 각도로 형성된 가이드수단(301b)을 구비하여 상기 본체(10) 상부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프레임(301);
    상기 구동부(20)에 의해 상기 가이드수단(301b)을 따라 직선운동 가능케 설치되는 운동부재(302);
    일단부는 바운서에 착탈 가능케 설치되고, 타단부는 상기 운동부재(302)의 일측에 착탈 가능케 설치되는 탄성부재(30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운서용 진동장치.
KR1020180067833A 2018-06-14 2018-06-14 바운서용 진동장치 KR1019205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7833A KR101920594B1 (ko) 2018-06-14 2018-06-14 바운서용 진동장치
PCT/KR2018/007196 WO2019240317A1 (ko) 2018-06-14 2018-06-26 바운서용 진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7833A KR101920594B1 (ko) 2018-06-14 2018-06-14 바운서용 진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0594B1 true KR101920594B1 (ko) 2018-11-20

Family

ID=64568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7833A KR101920594B1 (ko) 2018-06-14 2018-06-14 바운서용 진동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20594B1 (ko)
WO (1) WO201924031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6940B1 (ko) 2020-02-05 2020-11-10 정지우 영유아 수면 유도 및 놀이용 전동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39313A1 (en) * 2011-12-02 2013-06-06 Michael D'Arrigo Bassinet Rock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0406B2 (ja) * 1994-09-21 2000-09-18 有限会社堀江企画 幼児用自動揺動装置
US5615428A (en) * 1996-06-24 1997-04-01 Li; Hsing Elastic cradle
KR200266691Y1 (ko) * 2001-11-22 2002-03-04 이재완 자동흔들 요람
KR20110084702A (ko) * 2010-01-18 2011-07-26 이주희 모형손을 이용한 아기요람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39313A1 (en) * 2011-12-02 2013-06-06 Michael D'Arrigo Bassinet Rocking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6940B1 (ko) 2020-02-05 2020-11-10 정지우 영유아 수면 유도 및 놀이용 전동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240317A1 (ko) 2019-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163605B (zh) 具有振动运动转换器的皮肤清洁装置
US7203981B1 (en) Portable rocker for baby cribs and the like
CN107440405B (zh) 幼儿运动装置
US8439765B2 (en) Child swing and jumper apparatus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US10925798B2 (en) Movable apparatus, movable she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movable apparatus
CN205339500U (zh) 一种捶击按摩装置
CN104840041B (zh) 幼儿载具
KR101920594B1 (ko) 바운서용 진동장치
US2869145A (en) Combination cradle, bassinet and buggy
KR20160000210A (ko) 유아용 흔들침대
ITTO20060133U1 (it) Apparato per la vibrazione di un lettino, una culla o simili.
JP5945189B2 (ja) マッサージ装置
EP3705373A1 (en) Stroller rocking device
CN103767398B (zh) 利用不完全齿轮双向摆动的婴儿床
KR20110084702A (ko) 모형손을 이용한 아기요람 장치
CN216258244U (zh) 回旋式艾灸装置以及落地回旋式艾灸仪
JP2010088577A (ja) 小型マッサージ装置
EP1145671A2 (en) Device for the rhythmic rocking of a container for newborn or child
JP2018015065A (ja) 腰部運動機
CN104832762B (zh) 摇摆移动的显示器平台的摇摆方法
WO2016181430A1 (ja) 下肢運動補助装置
CN217610207U (zh) 一种用于电动沙发床伸展的斜齿轮驱动机构
KR100505825B1 (ko) 다기능 유아용그네
CN216646808U (zh) 一种妇幼保健护理用婴儿床
CN210962981U (zh) 一种可降噪式伸缩按摩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