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0149B1 - Jig for turning over shell - Google Patents

Jig for turning over shel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0149B1
KR101920149B1 KR1020170031161A KR20170031161A KR101920149B1 KR 101920149 B1 KR101920149 B1 KR 101920149B1 KR 1020170031161 A KR1020170031161 A KR 1020170031161A KR 20170031161 A KR20170031161 A KR 20170031161A KR 101920149 B1 KR101920149 B1 KR 101920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support
disposed
link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11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104425A (en
Inventor
박장근
최승열
정충수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31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0149B1/en
Publication of KR20180104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442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0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014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04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 B66C13/08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for depositing loads in desired attitudes or pos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셀 턴 오버 지그에 관한 것으로, 셀의 외측에 배치되고 링크홈이 형성된 제1 신장부와 셀의 내측에 삽입되고 릴바가 배치되는 제2 신장부가 구비된 장치몸체와 상기 릴바와 이동설비간에 연결되는 지지선 및 상기 링크홈에 결합되는 링크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르면, 셀을 턴 오버(turn over)하는 작업시간 단축 및 안전사고의 위험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ll turnover jig, comprising: a device body disposed on an outer side of a cell and having a first stretching portion formed with a link groove, a second stretching portion inserted inside the cell and having a reel bar, And a link block coupled to the link gro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work time for turning the cell over and reduce the risk of a safety accident.

Description

셀 턴 오버 지그{JIG FOR TURNING OVER SHELL}{JIG FOR TURNING OVER SHELL}

본 발명은 셀 턴 오버 지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셀을 턴 오버(turn over)하는 작업시간 단축 및 안전사고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는 지그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ll turnover jig, and more particularly, to a jig capable of reducing work time for turning over a cell and reducing the risk of a safety accident.

원자력 발전소 건설에 사용되는 대형 셀(shell)과 같은 구조물을 제작하여 다루는 과정에서 추가 작업을 위하여 셀의 위치를 변경하는 작업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and handling a structure such as a large shell used in the construction of a nuclear power plant, it is sometimes required to change the cell position for further work.

복수의 셀을 서로 결합 또는 추가 가공하거나 다른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셀을 눕히는 작업이 필요할 때가 있으며, 이러한 작업을 통상 셀 턴 오버(shell turn over) 작업으로 불리기도 한다.There are times when it is necessary to lay down the cells to combine or further process multiple cells or to facilitate other movements, and this operation is also commonly referred to as a shell turn over operation.

종래에는 크레인에 와이어를 연결하고, 국내특허 공개번호:10-2006-0062128의 도 1에 게시된 것과 같은 지그의 연결고리에 와이어를 연결하여, 서서히 기울리면서 셀의 턴 오버 작업을 하였다. Conventionally, a wire is connected to a crane, a wire is connected to a connection ring of a jig as shown in FIG. 1 of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6-0062128, and the cell is turned over while gradually tilting.

그런데, 셀의 두께와 지그의 크기가 일치하지 않으면 턴 오버 과정에서 셀이 완전하게 고정되지 않아 이탈하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셀의 파손 및 작업자의 안전사고의 위험을 유발한다.However, if the thickness of the cell and the size of the jig do not coincide with each other, the cell may not be completely fixed during the turnover process, and an accident may occur. This causes the risk of cell breakage and operator safety accidents.

국내특허 공개번호:10-2006-0062128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6-006212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관련 기술분야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셀을 턴 오버(turn over)하는 작업시간 단축 및 안전사고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는 지그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jig capable of reducing work time for turning over a cell and reducing risk of a safety accident, There is.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셀 턴 오버 지그에 관한 것으로, 셀의 외측에 배치되고 링크홈이 형성된 제1 신장부와 셀의 내측에 삽입되고 릴바가 배치되는 제2 신장부가 구비된 장치몸체와 상기 릴바와 이동설비간에 연결되는 지지선 및 상기 링크홈에 결합되는 링크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ell turnover jig comprising: a first stretch unit disposed at an outer side of a cell and having a link groove formed therein; and a second stretch unit inserted into the cell and having a reel bar disposed therein A support line connected between the device body, the reel, and the moving equipment, and a link block coupled to the link groov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장치몸체는, 셀의 일단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1 신장부와 상기 제2 신장부 사이에 배치되는 받침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body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plate disposed between the first stretching part and the second stretching part to support one end of the cell.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링크홈은 상기 제1 신장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폭이 확장되는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nk groove may b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extending portion, and may have a trapezoidal cross section whose width increases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링크블록은, 이동설비에 연결되는 연결고리 및 상기 연결고리의 반대측에 배치되고, 상기 링크홈에 결합되는 연결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Furth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nk block may include a linking ring connected to the moving equipment and a linking protrusion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linking ring and coupled to the linking groov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돌기는 상기 링크홈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테이퍼 형상으로 제공되며, 상기 링크홈에 압입될 수 있다. Furth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protrusion is provided in a tapered shape corresponding 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link groove, and can be press-fitted into the link groov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장치몸체는 복수로 제공되어 셀에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장치몸체를 서로 연결하며, 셀상에서 상기 복수의 장치몸체간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제공되는 간격조절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Further,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body is provided in a plurality of units and is coupled to the cell, connects the plurality of apparatus bodies to each other, and further includes a gap adjusting member provided to adjust the gap between the plurality of apparatus bodies on the cell .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간격조절부재는, 상기 장치몸체에 형성되는 개구홀 양측에 배치되고, 중앙부에 관통홀이 형성된 지지구와 상기 지지구의 관통홀에 삽입되어 배치되는 조절바 및 상기 조절바에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장치몸체를 연결하는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ap adjusting member may include a support having a support hol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aperture hole formed in the apparatus body and having a through hole at the center thereof, a control bar inserted and arranged in the through hole of the support, And a wire coupled to the bar and connecting the plurality of device bodie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간격조절부재는, 상기 조절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고정홀 및 상기 지지구에 형성되는 공홀에 삽입되며, 상기 고정홀에 체결되는 고정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ap adjusting member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fixing holes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trol bar, and a fixing pin inserted in the hole formed in the fixing hole and fastened to the fixing hole can do.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신장부에 형성되는 볼트홀 및 상기 제1 신장부와 상기 제2 신장부 사이에 위치되는 셀과 상기 제1 신장부간의 공차를 조절하도록, 상기 볼트홀에 배치되는 공차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Furth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djust the tolerance between the bolt hole formed in the first elongating portion and the cell located between the first elongating portion and the second elongating portion and the first elongating portion, As shown in FIG.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셀과의 접촉부에서 상기 지지선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지지선상에서 셀과의 접촉부에 배치되는 완충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Furth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pad may further include a cushioning pad disposed at the contact portion with the cell on the support line to prevent the support line from being damaged at the contact portion with the cell.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완충패드는 탄성재질일 수 있다. Furth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uffer pad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본 발명에 따르면, 간격조절을 통해 셀을 보다 단단히 고정할 수 있으며,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이뤄져 있어 제작비용 및 유지보수비용이 절감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ore firmly fix the cell through the gap adjustment, and the manufacturing cost and the maintenance cost are reduced because the structure is relatively simple.

이러한 단단한 고정과 간단한 구조에 의해 작업자가 셀을 턴 오버(turn over)하는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안전사고의 위험을 감소시키게 되어, 궁극적으로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This rigid fixation and simple structure can shorten the work time for the operator to turn over the cell, reduce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and ultimately improve the working efficiency.

도 1은 본 발명인 셀 턴 오버 지그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2는 도 1에 게시된 발명의 사시도.
도 3는 본 발명 중 간격조절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셀 턴 오버 지그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셀 턴 오버 지그를 이용한 셀의 턴 오버 방법을 도시한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cell turnover ji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vention disclosed i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gap adjusting member in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cell turnover ji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ell turnover method using a cell turnover ji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셀 턴 오버 지그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cell turnover ji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 실시예][First Embodiment]

도 1은 본 발명인 셀 턴 오버 지그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게시된 발명의 사시도이고, 도 3는 본 발명 중 간격조절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 1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cell turnover ji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vention disclosed in FIG. 1,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ap adjust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를 참고하면, 본 발명인 셀 턴 오버 장치의 제1 실시예는 장치몸체(20), 지지선(30), 링크블록(40) 및 간격조절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1 to 3, a first embodiment of the inventive Selton turnover device may comprise a device body 20, a support line 30, a link block 40 and a spacing member 50 have.

우선 상기 장치몸체(20)는 ㄷ 자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1 신장부(21) 및 제2 신장부(2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장치몸체(20)가 셀(S)에 장착될 때, 상기 제1 신장부(21)는 셀(S)의 외측에 위치하게 되고, 링크홈(24)이 형성되어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신장부(23)는 셀(S)의 내측에 위치하게 되고, 릴바(27)가 고정너트(27a)의 의해 결합되어 배치될 수 있다. First, the device body 20 may be embodied in a C-shape, and may include a first stretching part 21 and a second stretching part 23. When the apparatus body 20 is mounted on the cell S, the first stretching portion 21 is located outside the cell S, and a link groove 24 is formed and provided.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23 is located inside the cell S and the reel bar 27 can be disposed by being coupled with the fixing nut 27a.

상기 릴바(27)에는 지지선(30)의 일측단이 체결되어 연결되고, 지지선(30)의 타측단은 크레인, 호이스트 등과 같은 이동설비(C)에 연결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링크블록(40)은 상기 링크홈(24)에 결합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One end of the supporting line 30 is coupled to the reel bar 27 and the other end of the supporting line 30 is connected to the moving facility C such as a crane or a hoist. The link block 40 may be provided to be coupled to the link groove 24.

상기 링크홈(24)은 상기 제1 신장부(2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폭이 확장되는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e link groove 24 may b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tretching part 21 and may have a trapezoidal shape in cross section extending in width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상기 링크홈(24)에 결합되는 상기 링크블록(40)은 연결고리(41)와 연결돌기(43)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연결고리(41)는 이동설비에 체인 또는 와이어(55)로 연결될 수 있도록, 관통홀이 형성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고리(41)의 반대측에는 상기 링크홈(24)에 결합되는 연결돌기(43)가 배치될 수 있다. The link block 40 coupled to the link groove 24 may include a linking loop 41 and a linking protrusion 43 which is connected to the linking device by a chain or wire 55 And a coupling protrusion 43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coupling ring 41 to be coupled to the link groove 24. [

상기 연결돌기(43)는 상기 링크홈(24)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단면이 사다리꼴인 테이퍼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작업자는 도 2에서와 같이 링크홈(24)의 개구부에 연결돌기(43)를 위치시키고, 해머와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압입되도록 결합할 수 있다. The connection protrusion 43 may be provided in a tapered shape having a trapezoidal cross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link groove 24. The operator can position the coupling protrusion 43 in the opening of the link groove 24 as shown in FIG. 2 and press-fit the coupling protrusion 43 using a tool such as a hammer.

상기 연결돌기(43)가 압입되어 결합되므로, 상기 링크블록(40)은 쉽게 이탈되지 않으며,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되어 있어, 체인 또는 와이어(55)를 연결고리(41)에 체결하여 들어올리더라도 역시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link block 40 is not easily detached and has a trapezoidal cross section so that even if the chain or wire 55 is fastened to the linking loop 41 and lifted up 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it from being easily detached.

여기서 상기 장치몸체(20)에는 셀(S)의 일단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1 신장부(21)와 상기 제2 신장부(23) 사이에 배치되는 받침판(25)이 더 구비될 수 있다. The apparatus body 20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plate 25 disposed between the first stretch unit 21 and the second stretch unit 23 to support one end of the cell S. [

다음으로 상기 장치몸체(20)는 복수로 제공되어 셀(S)에 결합되고, 상기 간격조절부재(50)는 상기 복수의 장치몸체(20)를 서로 연결하며, 셀(S)상에서 상기 복수의 장치몸체(20)간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The device body 20 is then provided in a plurality of ways to be coupled to the cell S and the spacing member 50 connects the plurality of device bodies 20 to one another, May be provided to adjust the spacing between the device bodies 20.

이러한 상기 간격조절부재(50)는 지지구(51), 조절바(53), 고정홀(54), 고정핀(52) 및 와이어(5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gap adjusting member 50 may include a support 51, an adjustment bar 53, a fixing hole 54, a fixing pin 52, and a wire 55.

도 3를 참고하면, 상기 지지구(51)는 상기 장치몸체(20)에 형성된 개구홀 양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구(51)의 중앙부에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제공될 수 있다. 3, the support 51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opening hole formed in the apparatus body 20, and a through hole may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upport 51. FIG.

상기 조절바(53)는 상기 지지구(51)의 관통홀에 삽입되어 위치하고, 상기 와이어(55)는 상기 조절바(53)에 결합되어 상기 복수의 장치몸체(20)를 연결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The control bar 53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of the support 51 and the wire 55 is coupled to the control bar 53 to connect the plurality of device bodies 20. [ have.

그리고 상기 조절바(53)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고정홀(54)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핀(52)은 상기 지지구(51)에 형성되는 공홀(51a)에 삽입되며, 상기 고정홀(54)에 체결되며, 조절바(53)의 위치를 고정하게 된다.A plurality of fixing holes 54 are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trol bar 53. The fixing pins 52 are inserted into the hole 51a formed in the support 51, And is fixed to the hole 54 to fix the position of the control bar 53. [

작업자는 고정핀(52)을 탈거하여 지지구(51)의 관통홀 내부에서 조절바(53)의 위치를 조정하고 고정핀(52)을 다시 장착하여 고정홀(54)에 삽입함으로써, 조절바(53)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The worker removes the fixing pin 52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adjusting bar 53 in the through hole of the supporting member 51 and to fix the fixing pin 52 into the fixing hole 54, It is possible to fix the position of the arm 53.

도 3에서는 2개의 장치몸체(20)가 각각 배치되고,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장치몸체(20)가 셀(S)이 결합될 때, 셀(S)의 크기에 따라 2개의 장치몸체(20)간의 배치간격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3, two device bodies 20 are arranged and, although not shown, when the device body 20 is joined to the cell S, two device bodies 20 ) Need to be adjusted.

셀(S)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한 쌍의 장치몸체(20)간에 배치간격을 조금 더 좁게 할 필요가 있으며, 셀(S)의 크기가 큰 경우에는 한 쌍의 장치몸체(20)간의 배치간격을 조금 더 넓게 배치하여 비교적 넓은 범위에 지지가 가능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When the size of the cell S is small, it is necessary to narrow the spacing between the pair of device bodies 20 a little more for stable support. When the size of the cell S is large, 20 should be arranged slightly wider so as to be supported in a relatively wide range.

이러한 필요성에 의해 작업자는 고정핀(52)을 고정홀(54)에 탈착하며 조절바(53)의 위치를 잡아주어 와이어(55)를 통해 장치몸체(20)간의 간격을 조절하게 된다. By this necessity, the operator removes the fixing pin 52 into the fixing hole 54 and adjusts the position of the adjusting bar 53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device bodies 20 through the wire 55.

이때 와이어(55)는 유연성이 있으므로, 셀(S)의 고정된 2개의 장치몸체(20)간에 배치간격이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약간 이동되더라도, 장치몸체(2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At this time, since the wire 55 is flexibl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pparatus body 20 from being damaged even if the arrangement interval between the two fixed apparatus bodies 20 of the cell S is slightly moved by vibration or impact.

또한 와이어(55)로 연결되어 있어, 어느 하나의 장치몸체(20)가 셀(S)에서 이탈되더라도 다른 하나의 장치몸체(20)가 셀(S)에 고정되어 있어, 곧바로 낙하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Even if one of the device bodies 20 is detached from the cell S because the other device body 20 is fixed to the cell S by the wire 55, can do.

여기서 셀(S)에 고정되는 장치몸체(20)의 개수는 상기 개수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셀(S)의 형상이나 크기에 따라 다른 개수로 장착될 수 있다. Here, the number of device bodies 20 fixed to the cell S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number, and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shape and size of the cell S.

[제2 실시예][Second Embodiment]

도 4는 본 발명인 셀 턴 오버 지그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cell turnover ji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인 셀 턴 오버 지그의 제2 실시예에서는 장치몸체(20), 지지선(30), 링크블록(40), 간격조절부재(50), 공차볼트(70) 및 완충패드(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body 20, the support line 30, the link block 40, the gap adjusting member 50, the tolerance bolt 70, 60).

상기 장치몸체(20), 지지선(30), 링크블록(40) 및 간격조절부재(50)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생략하도록 하며, 이하 공차볼트(70) 및 완충패드(6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Since the description of the apparatus body 20, the support line 30, the link block 40 and the gap adjusting member 50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d 60 will be described.

상기 장치몸체(20)의 제1 신장부(21)상에는 볼트홀(26)이 형성될 수 있으며, 볼트홀(26)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가공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차볼트(70)는 상기 제1 신장부(21)와 상기 제2 신장부(23) 사이에 위치되는 셀(S)과 상기 제1 신장부(21)간의 공차를 조절하도록, 상기 볼트홀(26)에 체결되며 배치될 수 있다. A bolt hole 26 may be formed on the first extension portion 21 of the apparatus body 20 and a thread may b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lt hole 26. And the tolerance bolt 70 is arranged to adjust the tolerance between the cell 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stretch 21 and the second stretch 23 and the first stretch 21, And can be fastened and arranged in the hole 26.

상기 공차볼트(7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가공되어 있어서, 작업자가 공차볼트(70)를 볼트홀(26)에 끼워 돌려 공차를 조절하게 된다. 이는 제2 신장부(23)에 셀(S)의 내면이 접촉된 상태에서, 제1 신장부(21)와 셀(S)의 외면간에 형성되는 공차를 보완하게 되는 것이다.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olerance bolt 70 is threaded so that the operator can insert the tolerance bolt 70 into the bolt hole 26 to adjust the tolerance. This compensates for the tolerance formed between the first stretchable portion 21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cell S in a state where the inner surface of the cell S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stretchable portion 23. [

즉 셀(S)의 폭과 제1 신장부(21) 및 제2 신장부(23)가 형성하는 공간의 폭 사이에 차이가 있더라도, 공차볼트(70)에 의해 지지되어 공차에 의한 비고정상태가 완화되게 된다. 이는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셀(S)에 본 발명을 적용하더라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Even if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width of the cell S and the width of the space formed by the first elongating portion 21 and the second elongating portion 23, . This means that even i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cell S having various sizes, it can be stably fixed.

또한 상기 완충패드(60)는 셀(S)과의 접촉부에서 상기 지지선(3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지지선(30)상에서 셀(S)과의 접촉부에 배치될 수 있다. The buffer pad 60 may be disposed at the contact portion with the cell S on the support line 30 to prevent the support line 30 from being damaged at the contact portion with the cell S. [

상기 완충패드(60)는 지지선(30)상에서 위치이동이 가능하므로, 셀(S)의 형상이나 크기 또는 셀(S)과의 접촉부 위치에 따라 작업자가 배치위치를 조절하여 지지선(30)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Since the buffer pads 60 can be moved on the support line 30, the operator adjusts the arrangement position according to the shape or size of the cells S or the position of the contact portion with the cell S, .

이러한 상기 완충패드(60)는 강성이 향상된 고무, 실리콘, 직물 등의 탄성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The buffer pads 60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silicone, or fabric with improved rigidity.

한편, 도 5는 본 발명인 셀(S) 턴 오버 지그를 이용한 셀(S)의 턴 오버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Meanwhile, FIG. 5 is a diagram showing a method of turning the cell S using the cell (S) turnover jig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고하여 작업순서를 살펴보면, 우선 (a)단계에서는 작업자는 셀(S)에 다음 작업을 하기 위해 크레인 또는 호이스트에 체인 또는 와이어를 연결하고 링크블록의 연결고리(41)에 체결한다. 그리고 장치몸체(20)를 이동시켜, 셀(S)의 일측단에 위치시킨다. 이때 본 예에서는 장치몸체(20)는 셀(S)의 형상이나 크기에 대응하여 2개가 사용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다. 5, in step (a), an operator connects a chain or a wire to a crane or a hoist to connect the cell S to the link loop 41 of the link block. Then, the device body 20 is moved and positioned at one end of the cell S. At this time, in this example, two pieces of the device body 20 corresponding to the shape and size of the cell S are us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이때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고정핀(52)을 탈착하며 조절바(53)의 위치를 조절하여 장치몸체(20)간의 배치간격을 셀(S)의 크기나 형상에 맞게 조절하는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n operation of adjusting the arrangement interval of the device bodies 20 according to the size or shape of the cell S is performed by removing the fixing pin 52 and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ontrol bar 53 .

다음 (b)단계에서는 작업자는 릴바에 지지선(30)을 연결하고, 지지선(30)을 셀(S)의 내부를 통해 장치몸체(20)가 배치된 셀(S)의 일측단 반대편으로 위치시킨다. 장치몸체(20)가 2개가 배치되므로 셀(S)의 일측단 반대편에 위치하는 지지선(30)도 2개가 된다. In the next step (b), the worker connects the supporting line 30 to the reel bar and places the supporting line 30 on the opposite side of the cell S in which the apparatus body 20 is disposed through the inside of the cell S . Since two apparatus bodies 20 are disposed, the number of supporting lines 30 located on one side of the cell S is two.

그리고 (c)단계에서는 연결고리(41)에 연결된 호이스트 또는 크레인을 풀고, 지지선(30)을 호이스트 또는 크레인에 연결한다. 이 상태에 대한 측단면도는 도 1과 같다. In step (c), the hoist or crane connected to the link loop 41 is unfastened, and the support line 30 is connected to the hoist or crane. A side sectional view of this state is shown in Fig.

다음 (d)단계에서는 작업자는 호이스트 또는 크레인을 이용하여 지지선(30)을 들어올린다. 도면에서와 같이 셀(S)은 기울어지게 된다. 이후 (e)단계에서 작업자는 호이스트 또는 크레인을 이동시켜 셀(S)을 다음 작업을 하기 위한 장소로 이동한다. In the next step (d), the operator lifts the support line 30 by using a hoist or a crane. As shown in the drawing, the cell S is inclined. In step (e), the operator moves the hoist or the crane to move the cell S to a place for the next operation.

그리고 (f)단계에서와 같이 작업자는 호이스크 또는 크레인을 이용하여 지지선(30)을 천천히 하강시켜, 바닥에 배치된 서포트빔(B)의 상단에 셀(S)을 턴 오버된 상태로 안착시킨다. Then, as in step (f), the operator slowly lowers the support line 30 by using a horseshoe or a crane, and places the cell S in a turnover state on the top of the support beam B disposed on the floor .

상기와 같은 작업방법을 통해 종래보다 손쉽고 안정적으로 셀(S)을 턴 오버(turn over)시킬 수 있게 된다. With the above-described working method, the cell S can be turned over easily and stably.

이상의 사항은 셀 턴 오버 지그의 특정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다.The above is merely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cell turnover jig.

따라서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한 형태로 치환, 변형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혀 두고자 한다.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do.

10:셀 턴 오버 지그
20:장치몸체 21:제1 신장부
23:제2 신장부 24:링크홈
25:받침판 26:볼트홀
27:릴바 27a:고정너트
30:지지선 40:링크블록
41:연결고리 43:연결돌기
50:간격조절부재 51:지지구
52:고정핀 53:조절바
54:고정홀 55:와이어
60:완충패드 70:공차볼트
10: Cell turnover jig
20: Device Body 21: First Extension
23: second extension portion 24: link groove
25: Base plate 26: Bolt hole
27: Reel bar 27a: Fixing nut
30: support line 40: link block
41: connecting collar 43: connecting protrusion
50: a gap adjusting member 51:
52: fixing pin 53: adjusting bar
54: fixing hole 55: wire
60: buffer pad 70: tolerance bolt

Claims (11)

셀의 외측에 배치되고 링크홈이 형성된 제1 신장부와 셀의 내측에 삽입되고 릴바가 배치되는 제2 신장부가 구비된 장치몸체;
상기 릴바와 이동설비간에 연결되는 지지선;
상기 링크홈에 결합되는 링크블록; 및
상기 장치몸체는 복수로 제공되어 셀에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장치몸체를 서로 연결하며, 셀상에서 상기 복수의 장치몸체간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제공되는 간격조절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간격조절부재는,
상기 장치몸체에 형성되는 개구홀 양측에 배치되고, 중앙부에 관통홀이 형성된 지지구;
상기 지지구의 관통홀에 삽입되어 배치되는 조절바; 및
상기 조절바에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장치몸체를 연결하는 와이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턴 오버 지그.
A device body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cell and having a first elongated portion formed with a link groove and a second elongated portion inserted into the cell and having a reel bar;
A support line connected between the reel and the moving facility;
A link block coupled to the link groove; And
The apparatus body being provided in plurality and being coupled to the cell, connecting the plurality of apparatus bodies to each other, and being provided to adjust the gap between the plurality of apparatus bodies on the cell,
The space-
A support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aperture hole formed in the apparatus body and having a through hole at a center thereof;
A control bar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of the support; And
A wire coupled to the control bar and connecting the plurality of device bodies;
Wherein the jig comprises at least one ji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몸체는, 셀의 일단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1 신장부와 상기 제2 신장부 사이에 배치되는 받침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턴 오버 지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evice body further comprises a support plate disposed between the first extension and the second extension to support one end of the cel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홈은 상기 제1 신장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폭이 확장되는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턴 오버 지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ink groove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elongate portion and has a trapezoidal cross section whose width increases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블록은,
이동설비에 연결되는 연결고리; 및
상기 연결고리의 반대측에 배치되고, 상기 링크홈에 결합되는 연결돌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턴 오버 지그.
The method of claim 3,
The link block includes:
A connecting link connected to the mobile equipment; And
A coupling protrusion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coupling ring and coupled to the link groove;
Wherein the jig comprises at least one jig.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돌기는 상기 링크홈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테이퍼 형상으로 제공되며, 상기 링크홈에 압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턴 오버 지그.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onnection protrusion is provided in a tapered shape corresponding to a cross-sectional shape of the link groove, and is press-fitted into the link groov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부재는,
상기 조절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고정홀; 및
상기 지지구에 형성되는 공홀에 삽입되며, 상기 고정홀에 체결되는 고정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턴 오버 지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pace-
A plurality of fixing holes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trol bar; And
A fixing pin inserted in a hole formed in the support and fastened to the fixing hole;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jig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장부에 형성되는 볼트홀; 및
상기 제1 신장부와 상기 제2 신장부 사이에 위치되는 셀과 상기 제1 신장부간의 공차를 조절하도록, 상기 볼트홀에 배치되는 공차볼트;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턴 오버 지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bolt hole formed in the first extending portion; And
A tolerance bolt disposed in the bolt hole to adjust a tolerance between a cell located between the first stretch and the second stretch and the first stretch;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jigs.
제1항에 있어서,
셀과의 접촉부에서 상기 지지선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지지선상에서 셀과의 접촉부에 배치되는 완충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턴 오버 지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ushioning pad disposed at a contact portion with the cell on the supporting line to prevent the supporting line from being damaged at a contact portion with the cell.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패드는 탄성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턴 오버 지그.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buffer pad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KR1020170031161A 2017-03-13 2017-03-13 Jig for turning over shell KR1019201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1161A KR101920149B1 (en) 2017-03-13 2017-03-13 Jig for turning over she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1161A KR101920149B1 (en) 2017-03-13 2017-03-13 Jig for turning over shel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4425A KR20180104425A (en) 2018-09-21
KR101920149B1 true KR101920149B1 (en) 2018-11-19

Family

ID=63720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1161A KR101920149B1 (en) 2017-03-13 2017-03-13 Jig for turning over shel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0149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6675B2 (en) * 1992-09-18 2001-03-19 株式会社デンソー Air conditioner
JP2001081969A (en) * 1999-09-14 2001-03-27 Takeshi Awakuni Device for arrangement of reinforcing bars
JP2013035624A (en) * 2011-08-04 2013-02-21 Kobe Steel Ltd Inversion tool for cylindrical body, and inversion method of cylindrical bod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6675B2 (en) * 1992-09-18 2001-03-19 株式会社デンソー Air conditioner
JP2001081969A (en) * 1999-09-14 2001-03-27 Takeshi Awakuni Device for arrangement of reinforcing bars
JP2013035624A (en) * 2011-08-04 2013-02-21 Kobe Steel Ltd Inversion tool for cylindrical body, and inversion method of cylindrical bod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4425A (en) 2018-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63845B2 (en) Welding support for joints
KR101625497B1 (en) Carrying apparatus for piping spool
KR20090039416A (en) Pipe fit-up apparatus
KR20110065865A (en) Clamping apparatus for bumper beam
JP6528794B2 (en) Link assembly device and link assembly method for drive chain
KR20110129368A (en) Fit-up device for h-type steel beam
KR20150000156U (en) Pipe supporting device
KR101920149B1 (en) Jig for turning over shell
US20210339351A1 (en) Part positioning jig and part positioning device using the same
KR100666248B1 (en) Shuttle line system of vehicle body
JP2018140423A (en) Welding jig and welding jig unit
KR20160126791A (en) Tension jockey base and support having this same
KR100775147B1 (en) Robot loading hanger
KR101807768B1 (en) Sling assembly
KR101881951B1 (en) Fit Up Jig for Nozzle of Header
KR101808107B1 (en) Fit Up Jig for Fin Plate
CN101653892B (en) Guiding mechanism of soldering pliers
CN216141603U (en) Clamping jig located in nitriding furnace
KR101515328B1 (en) Glass transfer device
KR101549224B1 (en) Carrier for azimuth thruster block
KR20220001723A (en) Turn over damping jig
KR102265475B1 (en) Press apparatus
KR20110000149U (en) System and Apparatus for Adjusting a Position of Weighty Material
KR100476203B1 (en) Intensity measurement apparatus for automobile
KR200277018Y1 (en) An automatic spot welding machine for welding an electronic par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