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9989B1 - 내부난간이 설치된 창호구조 - Google Patents

내부난간이 설치된 창호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9989B1
KR101919989B1 KR1020180062604A KR20180062604A KR101919989B1 KR 101919989 B1 KR101919989 B1 KR 101919989B1 KR 1020180062604 A KR1020180062604 A KR 1020180062604A KR 20180062604 A KR20180062604 A KR 20180062604A KR 101919989 B1 KR101919989 B1 KR 1019199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handrail
cover member
fixing
rai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2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은석
유재철
Original Assignee
(주)디딤디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딤디앤씨 filed Critical (주)디딤디앤씨
Priority to KR1020180062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99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9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99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2Details of anchoring to the wall or flo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36Handrails of balustrades; Connections between handrail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32Flagpo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04F2011/1819Connections therefor between balustrade posts and horizontal or sloping balustrade members
    • E04F2011/1821Connections therefor between balustrade posts and horizontal or sloping balustrade members between balustrade posts and handr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 등의 건축물에 난간이 함께 설치되는 창호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이중창호의 내측창틀과 외측창틀의 사이 또는 단창호의 창틀과 내측물막이턱 사이에 외측으로 경사져 구비되는 평면공틀과, 평면공틀의 상면에 상부가 개방도록 구비되는 가이드부재와, 가이드부재의 내부에 삽입 고정되는 하나 또는 두개 이상의 난간단위체와, 난간단위체들을 일체화시키면서 핸드레일을 구성하는 커버부재와, 난간단위체와 커버부재를 수직창틀에 고정시키는 핸드레일브라켓이 포함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난간단위체는 상부에 간살공이 구비된 사각관체로 구성되는 하부고정대와, 하부에 이 구비된 사각관체로 구성되는 상부고정대 및, 하부고정대와 상부고정대의 각 간살공에 고정 설치되는 간살로 이루어지고, 상기 핸드레일브라켓은 커버부재의 탈착이 가능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위치가 이동될 수 있는 가변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내부난간이 설치된 창호구조{WINDOW STRUCTURE WITH INTERAL RAILING}
본 발명은 공동주택 등의 건축물에 난간이 함께 설치되는 창호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통상적으로 창호의 외측에 설치되는 난간을 상기 창호의 내부쪽에 위치시킴으로써 외관이 저해되지 않도록 하는 창호와 난간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에서는 거실이나 안방의 전면에 발코니를 설치하여, 상기 발코니와의 경계에는 창호를 설치하고 발코니의 선단에 난간을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최근에는 발코니 부분까지 거실 등의 전용공간으로 확장시키는 것이 점차 일반화되고 있다.
이러한 발코니에 대한 전용공간으로의 확장은 창호가 설치되는 위치가 난간이 설치되어 있는 곳으로 이동하게 되는 바, 이는 종래와 같이 난간이 건물의 최전방에 위치할 수 밖에 없다는 기존의 관념을 깨뜨리고 난간과 창호의 설치구조를 다양하게 구성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와 관련한 다양한 창호구조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바, 그 대표적인 예가 난간을 창호의 내부에 위치시킴으로써 공동주택의 외면에 획일적으로 설치되어 외관을 저해하였던 난간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하여 거주자의 안전을 도모함과 더불어 건축물의 외관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상기와 같이 난간을 창호의 내부에 설치한 이중창호구조의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6-0062513호를 통해 게시된 바 있다.
상기의 이중창호구조는 실내측에 위치하는 내부 창호(2); 건물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부 창호(3); 및 상기 내부 창호(2)와 상기 외부 창호(3)가 설치되는 창틀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 창호(2)와 상기 외부 창호(3) 사이의 간격에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투명 난간(1)이 창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투명 난간(1)의 연직방향 하단은 하측 수평창틀(43)에 결합되며, 투명 난간(1)의 폭방향 양측은 각각 제1연직 창틀(41) 및 제2연직 창틀(42)과 결합되어 고정된다.
그런데 상기한 도 1의 이중창호구조에서는 창틀 고정된 투명 난간(1)으로 말미암아 그 외측에 위치한 창호(3)를 창틀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이 쉽지 아니하여 이에 대한 청소 등의 유지관리는 물론 이사짐의 운반통로로 사용하는 것을 곤란하게 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127422호의 숨겨진 난간 창호구조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의 숨겨진 난간 창호구조는, 실외창호와 실내창호 사이에 난간을 설치하되, 공틀의 수직부재에 볼트로 체결되는 브라켓을 설치하고, 상기 난간의 상부수평바를 브라켓에 볼트체결하여 고정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브라켓과 상부수평바를 체결한 볼트 또는 브라켓과 공틀의 수직부재에 체결한 볼트를 풀어주게 되면 난간이 창틀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되어 실외창호의 창문을 창틀로부터 제거시켜 이사짐의 운반통로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상기한 등록번호 10-1127422호의 숨겨진 난간 창호구조에서의 난간은 그 구조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있어 그 규모가 커서 부재의 양중이 쉽지 않을 뿐더러, 설치 및 분리작업시 다수의 작업인원을 필요로 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의 난간은 상부수평바와 하부수평바만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난간길이가 길어질수록 수평방향에 대한 지지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 외에도 반복되는 볼트의 체결 및 해지는 체결공을 확장시켜 난간의 고정상태가 헐거워질 뿐더러, 해지된 볼트의 분실로 작업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2016-0062513 A KR 10-1127422 B1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경량화를 통해 시공성 및 유지관리성을 향상시키고, 난간 전체가 함께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구조적 안전성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난간의 제거 및 재설치가 용이한 내부난간이 설치된 창호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이중창호의 내측창틀과 외측창틀의 사이 또는 단창호의 창틀과 내측물막이턱 사이에 외측으로 경사져 구비되는 평면공틀과, 평면공틀의 상면에 상부가 개방도록 구비되는 가이드부재와, 가이드부재의 내부에 삽입 고정되는 하나 또는 두개 이상의 난간단위체와, 난간단위체들을 일체화시키면서 핸드레일을 구성하는 커버부재와, 난간단위체와 커버부재를 수직창틀에 고정시키는 핸드레일브라켓이 포함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난간단위체는 상부에 간살공이 구비된 사각관체로 구성되는 하부고정대와, 하부에 이 구비된 사각관체로 구성되는 상부고정대 및, 하부고정대와 상부고정대의 각 간살공에 고정 설치되는 간살로 이루어지고, 상기 핸드레일브라켓은 커버부재의 탈착이 가능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위치가 이동될 수 있는 가변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난간이 설치된 창호구조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재는 하부창틀과 일체로 성형될 수도 있고, 상기 가이드부재의 하부에 고정봉을 구비시켜 평면공틀에 구비되는 고정홈에 끼워 고정되게 할 수도 있으며, 상부가 개방된 ㄷ자형 단면의 채널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핸드레일브라켓은 커버부재를 고정시키는 삽입고정대와 수직창틀에 고정되는 제1고정편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삽입고정대는 커버부재의 상면에 밀착되는 말착편과 상기 말착편의 양측단에서 하부로 수직한 날개편이 구비되어 하부가 개방된 커버부재삽입공간이 형성되게 하여 상기 커버부재삽입공간 내부에 커버부재가 삽입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외측창틀의 선단에 제1방충망레일이 설치되고, 평면공틀의 선단 또는 후단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는 제2방충망레일이 설치되게 하여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방충망의 위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난간이 설치된 창호구조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제1방충망레일에 레일끼움홈이 구비된 국기봉고정대가 설치될 수 있게 함으로써 난간이 창호의 내부에 설치됨에 따라 국기봉고정대의 설치가 곤란하였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경사평면을 가지는 평면공틀을 통해 창틀에 발생한 결로수 또는 우수 등이 외부로 쉽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가이드부재를 통해 난간에 작용하는 수평하중에 대하여 충분히 저항할 수 있는 높은 구조적 강성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난간단위체의 규모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핸드레일브라켓이 가변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난간의 설치 및 해체작업이 매우 용이하고, 설치 및 해체를 위한 작업인원을 대폭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일부 부재만의 교체가 가능하여 시공 및 유지관리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충망 설치 위치를 선택적으로 조정할 수 있게 할 뿐 아니라, 난간의 이동에 따른 국기봉고정대 설치의 문제점을 극복하여 이용자에게 생활상의 편리함을 제공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창호구조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중창호의 정면도 및 종,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창호의 정면도 및 종,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가이드부재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가이드부재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가이드부재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가이드부재 하부에 위치하는 이격재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가이드부재에 U형보강대를 설치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난간단위체를 일부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난간 설치과정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핸드레일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상기 핸드레일브라켓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는 각 단면도이다.
도 13은 상기 핸드레일브라켓과 수직창틀에 설치된 가이드부재 사이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난간의 고정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은 본 발명의 국기봉고정대 및 국기봉고정대가 설치된 상태를 각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흐리게 하거나 불명료하게 하는 경우에는 위 공지의 구성에 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창호구조의 정면도 및 이를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절단한 각 단면도들로서, 도 2는 이중창호에 관하여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단창호에 관하여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창호구조는 실외에 면하는 외측창틀(113)을 기준으로 내측, 즉 실내측에 난간(200)이 설치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즉 이중창호의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창틀(111)과 외측창틀(113)의 사이에 난간(200)이 설치되고, 단창호의 경우에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틀(100)의 내측에 난간(200)이 설치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와 같이 내부에 설치되는 난간(200)의 설치를 위해 상기 내측창틀(111)과 외측창틀(113) 사이에는 평면공틀(112)이 구비된다. 단창호의 경우에도 창틀(100)과 내측물막이턱(111a) 사이에 평면공틀(112)이 구비되게 함으로써 난간(200)이 내부에 설치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평면공틀(112)은 난간(200)이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빗물 및 결로수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외측으로 경사진 평면으로 이루어진다.
평면공틀(112)의 상면에는 상부가 개방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가이드부재(120A)가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부재(120A)는 난간(200)의 설치위치를 설정해줌과 더불어, 난간(200)이 수평하중에 의해 밀려나는 것을 방지한다.
가이드부재(120A,120B)는 하부창틀(110) 뿐만 아니라 수직창틀(120)에도 구비시켜 후술하는 핸드레일브라켓(30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뒤에서 다시 설명한다.
상기한 가이드부재(120A)는 하부창틀(110)에 구비되는 평면공틀(112)과 함께 성형되어 일체로 구성되게 할 수도 있고, 평면공틀(112)과 가이드부재(120A)의 각각에 조립수단에 구비시키고 이들의 조립에 의해 평면공틀(112)에 가이드부재(120A)가 일체화되게 할 수도 있다.
도 4 내지 8은 평면공틀(112)에 대한 가이드부재(120A)의 설치에 관한 각 실시예를 단면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가이드부재(120A)는 하부창틀(110)과 일체로 성형되어 평면공틀(112)에서 상부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가이드부재(120A)는 한 쌍이 서로 이격한 상태로 구비되며, 이에 의해 형성된 이격공간(121)을 통하여 난간(200)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재(120A)의 하부에는 경사진 평면공틀(112)을 따라 결로수 등의 물이 외부로 흐를 수 있는 배수공(122)이 더 구비된다.
단창호의 경우 내측물막이턱(111a)이 실내측의 가이드부재(120A)를 겸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이드부재(120A)를 겸하는 내측물막이턱(111a)에는 배수공(122)이 구비되지 않는다.
도 5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가이드부재(120A)는 하부창틀(110)과 별도로 성형 제작되나 각각이 가지는 조립수단에 의해 서로 일체화된다.
즉 하부창틀의 평면공틀(112)에는 고정홈(112a)이 구비되고, 가이드부재(120A)의 하부에는 상기 고정홈(112a)에 끼워 고정될 수 있는 고정봉(121a)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고정홈(112a)의 내면과 고정돌기의 외면에는 역쐐기 형상의 걸림돌기(k)가 각각 구비되게 함으로써 평면공틀(112)에 설치된 가이드부재(120A)가 쉽게 이탈될 수 없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도 5의 실시예에 의한 가이드부재(120A) 역시 도 4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한 쌍이 서로 이격한 상태로 설치되고, 가이드부재(120A)의 고정봉(121a) 상부에 배수공(122)이 구비되어 결로수 등의 물이 평면공틀(112)을 따라 외부로 원활하게 흐를 수 있도록 한다.
도 6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가이드부재(120A)는 상부가 개방된 ㄷ자형 단면의 채널 형상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채널 형상의 가이드부재(120A)는 도 5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하부창틀(110)과는 별도로 제작되고, 볼트 등의 체결수단 내지 도 5의 실시예에서 개시된 조립수단 등을 통해 평면공틀(112)에 고정 설치된다.
이때 상기 채널 형상의 가이드부재(120A) 하부에는 이격재(124)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도 7은 상기 이격재(124)의 설치에 관한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상기 이격재(124)는 ⅰ) 배수공(122)을 형성시키는 배수수단이 되면서, ⅱ) 평면공틀(112)의 경사를 보정하여 난간(200)이 정확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보정수단이 되고, ⅲ) 가이드부재(120A)와 평면공틀(112) 사이를 체결한 체결수단이 쉽게 풀리지 않도록 하는 풀림방지 수단이 된다.
이를 위한 상기 이격재(124)는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막 형상의 다수 개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하부창틀(110)의 길이방향으로 연속 배치된다. 따라서 각 토막의 이격재(124)들 사이에는 가이드부재(120A)의 내외측 사이를 관통하는 통공(124a)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통공(124a)은 평면공틀(112)을 타고 흐르는 결로수 등의 배수공(122)이 된다.
한편 평면공틀(112)은 상기한 바와 같이 결로수 등의 물이 실내로 침투하지 않고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경사진 평면으로 이루어져 있는바, 이러한 평면공틀(112)의 경사각은 정확하게 수직으로 설치되어야 하는 난간(200)의 정밀 시공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때 상기 이격재(124)는 도 7의 (b)에서와 같이, 상기 평면공틀(112)의 경사각에 대응하는 반대 경사각을 가지도록 단면을 구성시킴으로써 평면공틀(112)의 경사면을 보정하여 난간(200)의 정확한 수직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이격재(124)를 수축이 가능한 탄성재로 구성시킴으로서 평면공틀(112)의 경사면에 대한 보정이 이루어지게 할 수도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 딱딱한 표면을 가지는 평면공틀(112)과 채널 형상의 가이드부재(120A) 하면 사이의 볼트체결 방식의 체결은 창문을 여닫을 때 발생되는 진동으로 인하여 쉽게 해지될 수 있다. 이때 이격재(124)를 고무 등 마찰력이 우수하면서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시키게 되면, 상기한 마찰력과 함께 난간(200)설치로 인해 압착된 이격재(124)의 탄성력이 체결부재를 가압하게 되는 바, 이로 인하여 체결부재는 쉽게 회전하지 않게 되므로 체결부재의 풀림 방지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도 8의 실시예에서는 가이드부재(120A) 내측에 상부가 개방된 U형보강대(123)가 삽입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실시예는 도 4, 5의 실시예에 의한 가이드부재(120A)의 설치구조에 부가 적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허 도 5에서와 같이 한 쌍의 가이드부재(120A)가 평면공틀(112)에 조립됨으로써 횡력에 다소 취약한 구조에 보다 유리하게 적용된다.
예컨대 서로 분리하여 독립적으로 평면공틀(112)에 고정 설치된 가이드부재(120A)를 보강하여 난간(200)을 통해 전달되는 횡력에 대한 지지능력을 증대시킨다.
상기 U형보강대(123)는 후술하는 커버부재(220)와 마찬가지로 단일부재로 이루어지며, 그 내부에는 난간(200)을 구성하는 하나 또는 두개 이상의 난간단위체(210)들이 직렬로 삽입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U형보강대(123)는 난간이 두개 이상의 난간단위체(210)로 이루어지는 경우 이들을 일체화시키면서 어느 한 쪽에 가해지는 집중하중을 가이드부재(120A)의 전체에 분산시킴으로써 난간설치구조의 구조적 안정성을 꾀하는 효과까지도 가지게 한다.
이와 같이 가이드부재(120A)의 내측에 U형보강대(123)가 삽입 설치되는 경우, 상기한 이격재(124)는 상기 U형보강대(123)의 하부에 설치된다. 이때 다수의 이격재(124)가 통공(124a)을 형성하도록 배치 및 설치된다는 점과, 이들의 단면형상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는 앞서 도 6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다르지 않다.
가이드부재(120A)의 내부에는 하나 또는 두개 이상의 난간단위체(210)가 삽입 고정된다. 상기의 난간단위체(210)의 길이는 특별히 제한될 필요는 없으나 운반이 용이하고 작업자 1인에 의한 설치가 가능한 규모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작업현장의 호이스트에 의한 운반이 가능한 길이의 난간단위체(210)는 크레인 등의 중장비를 사용할 필요가 없게 함으로써 공사비용을 절감시킨다.
이러한 난간단위체(21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창틀(110)의 가이드부재(120A) 내부에 삽입되는 하부고정대(212)와, 난간(200)의 핸드레일 부분을 구성하는 상부고정대(211) 및, 이들 하부고정대(212)와 상부고정대(211)를 일체로 연결하는 간살(213)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고정대(212)와 상부고정대(211)는 모두 사각관체로 구성되며, 하부고정대(212)의 사각관체에는 상부에 간살공(214)이 구비되고, 상부고정대(211)의 사각관체에는 하부에 간살공(214)이 구비되어, 상기 간살(213)은 이들 각 간살공(214)에 삽입 고정설치된다.
이렇게 구성된 다수 개의 각 난간단위체(21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120A)의 내부에 직렬로 연속 배치되는 바, 하부고정대(212)는 가이드부재(120A) 또는 상기 가이드부재(120A)에 부가 설치된 단일부재의 U형보강대(123)에 의해 일체화되고, 상부고정대(211)는 그 상부에 설치되는 단일부재의 커버부재(220)에 의해 일체화된다.
즉 상기 커버부재(220)는 다수 개의 난간단위체(210)를 일체화시키면서 핸드레일을 구성하는 것으로서,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의 것으로는 상부고정대(211)의 상면과 양 측면을 함께 감싸도록 하부가 개방된 ㄷ자 단면 형상을 가진다.
도 10은 상기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난간단위체(210)가 가이드부재(120A) 및 커버부재(220)에 의해 일체화되는 관계를 도면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난간단위체(210)와 커버부재(220)를 수직창틀(120)에 고정시키는 핸드레일브라켓(300)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12는 상기 핸드레일브라켓(300)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각 단면도이다.
상기 핸드레일브라켓(300)은 커버부재(220)의 상부에 위치하여 커버부재(220) 및 상부고정대(211)를 수직창틀(120)에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커버부재(220)의 탈착이 가능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위치가 이동될 수 있는 가변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커버부재(220)를 고정시켰던 핸드레일브라켓(300)을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핸드레일브라켓(300)은 커버부재(220)로부터 분리되는 바, 상기 커버부재(220)의 제거가 가능해진다.
이러한 핸드레일브라켓(30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재(220)를 고정시키는 삽입고정대(310)와 수직창틀(120)에 고정되는 제1고정편(320)으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 삽입고정대(310)는, 커버부재(220)의 상면에 밀착되는 말착편(311)과 상기 말착편(311)의 양측단에서 하부로 수직한 날개편(312)이 구비된다. 따라서 삽입고정대(310)에는 하부가 개방된 커버부재삽입공간(313)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핸드레일브라켓(300)을 도 12의 (a)에서와 같이 하부로 이동시키게 되면, 레일단위체의 상부고정대(211)가 내부에 삽입된 커버부재(220)가 상기 커버부재삽입공간(313)에 다시 삽입되면서 핸드레일브라켓(300)에 의해 고정된다.
본 발명은 핸드레일브라켓(300)을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커버부재(220)의 탈부착을 가능하게 하는 바, 이러한 핸드레일브라켓(300)의 상하 이동작업이 용이하도록 수직창틀(120)에도 도 4 또는 5의 실시예의 가이드부재(120A)와 동일한 가이드부재(120B) 한 쌍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고정편(320)의 폭은 상기 수직창틀(120)에 구비되는 한 쌍의 가이드부재(120B)의 내부폭과 일치시키고, 날개편(312)을 제1고정편(320)의 가상 하부연장선(ℓ)으로부터 수직창틀(120)에 설치된 가이드부재(120B)의 돌출 길이만큼 이격시켜 날개편(312)이 상기 가이드부재(120B) 상단에 위치하게 함으로써, 핸드레일브라켓(300)의 상하 이동을 위한 슬라이딩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도 13은 수직창틀(120)에 구비된 가이드부재(120B)를 통해 핸드레일브라켓(300)을 상하로 이동하는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커버부재(220)의 분리를 위하여 핸드레일브라켓(300)과 수직창틀(120) 사이를 고정시켰던 체결볼트(331)를 완전히 제거하였다가 다시 체결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체결볼트(331)의 분실로 인하여 체결작업이 지연되는 사례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핸드레일브라켓(300)을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키고자 할 때 체결부재가 핸드레일브라켓(300)과 수직창틀(12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체결부재가 분실되지 않도록 한다.
이를 위해 핸드레일브라켓(300)의 제1고정편(320)에는 상하로 긴 장공(321)이 구비되고, 수직창틀(120)의 내부에는 매입너트(332)가 고정 설치된다.
따라서 제1고정편(320)의 장공(321)을 관통한 체결볼트(331)는 상기 매입너트(332)에 체결됨으로써 핸드레일브라켓(300)이 수직창틀(120)에 고정될 뿐 아니라, 핸드레일브라켓(300)을 상부로 이동시키고자 할 때도 상기 체결볼트(331)를 약간만 풀어주어 체결볼트(331)가 수직창틀(120)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상태에서 핸드레일브라켓(300)을 이동시킬 수 있게 되므로, 상기 체결볼트(331)의 분실문제는 발생할 여지가 전혀 없게 되며, 핸드레일브라켓(300)의 이동 작업도 보다 용이해 진다.
이와 더불어 수직창틀(120)에 설치되는 매입너트(332)는 체결볼트(331)의 반복된 체결과 해지에도 불구하고 체결상태가 헐거워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게 한다.
핸드레일브라켓(300) 만을 이용하여 난간(200)을 수직창틀(120)에 고정시킬 수도 있으나,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핸드레일브라켓(300)에 대응하는 고정지지브라켓(400)을 더 부가시킴으로써 난간(200)의 높은 구조적 안정성을 꾀할 수 있다. 상기 고정지지브라켓(400)은 커버부재삽입공간(313)에 상부고정대(211)를 중심으로 하여 핸드레일브라켓(300)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이러한 고정지지브라켓(400)은 상부고정대(211)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편(410)과 수직창틀(120)에 고정되는 제2고정편(4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고정편(420)은 제1고정편(320)과는 달리 탈착 내지 상하 이동이 불가능한 구조로 수직창틀(120)에 고정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의 창호구조는 방충망레일이 창틀(100)의 외측뿐만 아니라, 창틀(100) 내부에도 설치되어 있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특징을 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외측창틀(113)의 선단에 제1방충망레일(510)이 설치되고, 창틀(100)의 내부에 위치한 평면공틀(112)의 선단 또는 후단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제2방충망레일(520)이 설치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환경에 따라 창호의 외부에 방충망(530)이 설치되게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방충망(530)을 창호의 내부에 위치시켜 외부에 나타나지 않게 할 수도 있다.
한편 통상적으로 국기봉고정대는 창호의 외측에 설치된 난간(200)에 설치되어 왔으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난간(200)이 창호의 내부로 이동하게 되는 경우 난간(200)에 국기봉고정대를 설치하는 것은 불가능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제1방충망레일(510)은 방충망(530)의 설치라는 제 기능 외에도 국기봉고정대(600)의 설치대 기능을 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한다.
도 15는 상기 국기봉고정대(600)와 제1방충망레일(510)에 상기 국기봉고정대(600)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국기봉고정대(600)는 도 1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끼움홈(611)을 구비하여 도 15의 (b)에 도시된 것 처럼 제1방충망레일(510)이 상기 레일끼움홈(611)에 삽입됨으로써 국기봉고정대가 고정 설치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국기봉고정대(600)는 레일끼움홈(611)이 구비된 ㄷ자형 지지몸체(610)와 상기 지지몸체(610)의 일측 하단에서 수평으로 절곡된 고정바(620)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몸체(610)의 외면에는 국기봉삽입봉(630)이 설치된다.
따라서 제1방충망레일(510)이 국기봉고정대(600)의 레일끼움홈(611)에 삽입되게 하면 고정바(620)는 하부창틀(110)의 바닥면에 접하게되는 바, 상기 고정바(620)를 상기 바닥면에 피스 또는 볼트 등으로 고정시키면, 국기봉고정대(600)는 창틀(100)로부터의 이탈이 불가능하게 되어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 난간이 창호구조의 내부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외측창틀의 창호레일에 놓여진 최외측 창호의 하단이 그대로 노출될 수 밖에 없게 되는 바, 이러한 창호레일의 노출상태는 이를 바라보는 사람들에게 상기 창호가 창호레일로부터 이탈하면서 낙하될 수 있다는 심리적 불안감을 안겨준다. 이때 상기 제1방충망레일(510)은 이를 가려줌으로써 상기와 같은 심리적 불안감이 발생하지 않게 하는 효과까지도 기대하게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므로,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임은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 예들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창틀 110; 하부창틀
111; 내측창틀 111a; 내측물막이턱
112; 평면공틀 112a; 고정홈
113; 외측창틀 120; 수직창틀
120A,120B; 가이드부재 121; 이격공간
121a; 고정봉 122; 배수공
123; U형보강대 124; 이격재
124a; 통공 200; 난간
210; 난간단위체 211; 상부고정대
212; 하부고정대 213; 간살
214; 간살공 220; 커버부재
300; 핸드레일브라켓 310; 삽입고정대
311; 밀착편 312; 날개편
313; 커버부재삽입공간 320; 제1고정편
321; 장공 331; 체결볼트
332; 매입너트 400; 고정지지브라켓
410; 지지편 420; 제2고정편
510; 제1방충망레일 520; 제2방충망레일
530; 방충망 600; 국기봉고정대
610; 지지몸체 611; 레일끼움홈
620; 고정바 630; 국기봉삽입봉

Claims (12)

  1. 이중창호의 내측창틀(111)과 외측창틀(113)의 사이 또는 단창호의 창틀(100)과 내측물막이턱(111a) 사이에 외측으로 경사져 구비되는 것으로서 고정홈(112a)이 구비된 평면공틀(112)과,
    평면공틀(112)의 상면에 상부가 개방도록 구비되는 가이드부재(120A)와,
    가이드부재(120A)의 내부에 삽입 고정되는 하나 또는 두개 이상의 난간단위체(210)와,
    난간단위체(210)들을 일체화시키면서 핸드레일을 구성하는 커버부재(220)와,
    난간단위체(210)와 커버부재(220)를 수직창틀(120)에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탈착이 가능한 핸드레일브라켓(300)이 포함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난간단위체(210)는 상부에 간살공(214)이 구비된 사각관체로 구성되는 하부고정대(212)와, 하부에 간살공(214)이 구비된 사각관체로 구성되는 상부고정대(211) 및, 하부고정대(212)와 상부고정대(211)의 각 간살공(214)에 고정 설치되는 간살(213)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부재(120A)는 하부에 고정봉(121a)이 구비되어 상기 고정홈(112a)에 끼워 고정 설치되는 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난간이 설치된 창호구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120A)의 내측에는 상부가 개방된 U형보강대(123)가 삽입되고, 난간단위체(210)는 상기 U형보강대(123) 내부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난간이 설치된 창호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U형보강대(123)의 하부에는 다수의 이격재(124)가 통공(124a)을 형성하면서 삽입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난간이 설치된 창호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외측창틀(113)의 선단에는 제1방충망레일(510)이 설치되고, 평면공틀(112)의 선단 또는 후단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는 제2방충망레일(52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난간이 설치된 창호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충망레일(510)에는 국기봉고정대(600)가 설치되되, 상기 국기봉고정대(600)는 레일끼움홈(611)이 구비되어, 제1방충망레일(510)이 상기 레일끼움홈(611)에 삽입됨으로써 국기봉고정대가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난간이 설치된 창호구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220)는, 하부가 개방된 ㄷ자 단면 형상의 단일부재로 이루어져 상부고정대(211)의 상면과 양 측면을 함께 감싸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난간이 설치된 창호구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레일브라켓(300)은, 커버부재(220)의 상부에 위치하여 커버부재(220) 및 상부고정대(211)를 수직창틀(120)에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커버부재(220)를 고정시키는 삽입고정대(310)와 수직창틀(120)에 고정되는 제1고정편(32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삽입고정대(310)는 커버부재(220)의 상면에 밀착되는 말착편(311)과 상기 말착편(311)의 양측단에서 하부로 수직한 날개편(312)이 구비되어 하부가 개방된 커버부재삽입공간(313)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난간이 설치된 창호구조.
  10. 제9항에 있어서,
    커버부재삽입공간(313)에 삽입된 상부고정대(211)를 중심으로 핸드레일브라켓(300)에 대향하여 고정지지브라켓(400)이 더 설치되되, 상기 고정지지브라켓(400)은 상부고정대(211)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편(410)과 수직창틀(120)에 고정되는 제2고정편(42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난간이 설치된 창호구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창틀(120)의 내부에는 매입너트(332)가 고정 설치되어, 제1고정편(320)을 관통한 체결볼트(331)가 상기 매입너트(332)에 체결됨으로써 수직창틀(120)에 핸드레일브라켓(300)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난간이 설치된 창호구조.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창틀(120)에는 가이드부재(120B)가 설치되고,
    상기 날개편(312)은 제1고정편(320)의 가상하부연장선(ℓ)으로부터 적어도 가이드부재(120B)의 돌출길이만큼 이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난간이 설치된 창호구조.
KR1020180062604A 2018-05-31 2018-05-31 내부난간이 설치된 창호구조 KR1019199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2604A KR101919989B1 (ko) 2018-05-31 2018-05-31 내부난간이 설치된 창호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2604A KR101919989B1 (ko) 2018-05-31 2018-05-31 내부난간이 설치된 창호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3058A Division KR101919988B1 (ko) 2018-02-01 2018-02-01 내부난간이 설치된 창호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9989B1 true KR101919989B1 (ko) 2018-11-20

Family

ID=64568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2604A KR101919989B1 (ko) 2018-05-31 2018-05-31 내부난간이 설치된 창호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998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1393B1 (ko) * 2005-12-16 2006-06-20 (주)한동윈시스코 창호시스템
KR101127422B1 (ko) * 2011-08-18 2012-03-22 한국토지주택공사 숨겨진 난간 창호구조
KR101730161B1 (ko) * 2016-09-27 2017-04-26 미강디앤씨 주식회사 방충망 일체형 조립식 난간 구조를 가진 창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1393B1 (ko) * 2005-12-16 2006-06-20 (주)한동윈시스코 창호시스템
KR101127422B1 (ko) * 2011-08-18 2012-03-22 한국토지주택공사 숨겨진 난간 창호구조
KR101730161B1 (ko) * 2016-09-27 2017-04-26 미강디앤씨 주식회사 방충망 일체형 조립식 난간 구조를 가진 창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01484A (en) Device for mounting glass facade elements
US6336247B1 (en) Screen door hanger assembly
KR101281428B1 (ko) 시스템 창호
US7536832B2 (en) Mounting bracket for a shade
CA2870259A1 (en) Perimeter wall
KR102060165B1 (ko) 유리난간대 및 이를 구비한 창호
KR100778140B1 (ko) 고기밀성 단열창호
KR101919988B1 (ko) 내부난간이 설치된 창호구조
KR101592152B1 (ko) 구조보강과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는 발코니 개보수 창호와 그 시공 방법
KR101730161B1 (ko) 방충망 일체형 조립식 난간 구조를 가진 창호
KR102200708B1 (ko) 롤방충망 타입 유리난간대
KR101919989B1 (ko) 내부난간이 설치된 창호구조
KR20140106370A (ko) 구조변경이 용이한 평레일 창호장치
JP2014095276A (ja) 増築構造物支持構造
KR20180021577A (ko) 슬라이딩 창호
JP3927683B2 (ja) 間仕切りにおける引戸構造
RU2658814C1 (ru) Система утепления стоечно-ригельного остекления балконов и способ ее установки
JP5390917B2 (ja) 温室用のドアー装置
US6631751B2 (en) Vertical frame structures
US6301852B1 (en) Window glazing assembly
EP2157272A2 (en) Frame for a window, door or the like
CA2421253C (en) Window assembly
KR200490700Y1 (ko) 창호
RU2333331C2 (ru) Перегородка
KR101229738B1 (ko) 시스템 창호 난간대 및 이의 설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