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1577A - 슬라이딩 창호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1577A
KR20180021577A KR1020160106323A KR20160106323A KR20180021577A KR 20180021577 A KR20180021577 A KR 20180021577A KR 1020160106323 A KR1020160106323 A KR 1020160106323A KR 20160106323 A KR20160106323 A KR 20160106323A KR 20180021577 A KR20180021577 A KR 201800215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window frame
rail
rail groove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6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9411B1 (ko
Inventor
안병창
Original Assignee
안병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병창 filed Critical 안병창
Priority to KR1020160106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9411B1/ko
Publication of KR20180021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15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9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94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4Measures for draining-off condensed water or water leaking-in frame members for draining off condensation water, throats at the bottom of a sa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틀에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된 창짝을 구비한 슬라이딩 창호에 관한 것으로서, 창틀부와, 이 창틀부에 결합되도록 설치된 창짝부와, 창틀부의 레일홈에 형성된 결합부와, 이 결합부에 탈부착되도록 끼워맞춤된 레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창틀에 결합부를 형성하여 결합부를 개재해서 레일부를 끼워맞춤 결합하여 설치함으로써, 창틀에 레일부를 탈부착시키는 동시에 레일의 손상이나 파손시 레일부만 교체하여 창호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슬라이딩 창호{SLIDING WINDOW}
본 발명은 슬라이딩 창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창틀에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된 창짝을 구비한 슬라이딩 창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라이딩 창호는 상대적으로 고정된 위치에 있는 고정용 창짝 또는 고정용 문짝에 대하여 이동용 창짝 또는 이동용 문짝을 상대적으로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창호를 개폐시키는 개폐수단이다. 이러한 슬라이딩 창호는 고정용 창짝과, 이동용 창짝과, 그리고 건물 벽에 설치되고 그 내면에 상술한 창짝이 설치되는 창틀을 포함한다.
창틀에는 이동용 창짝이 이동될 수 있도록 이동용 창짝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부가 구비된다. 이러한 레일부는 창틀의 상부에 구비되어 이동용 창짝의 상단을 안내하는 상부 레일과, 그리고 창틀의 하부에 구비되어 이동용 창짝의 하단을 안내하는 하부 레일을 포함한다.
또한, 이동용 창짝의 상부에는 창틀에 설치된 상부 레일을 따라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도록 레일 가이드부가 설치되고, 그리고 이동용 창짝의 하부에는 창틀에 설치된 하부 레일을 따라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호차부가 설치된다. 나아가, 유리나 판재가 창짝의 내측에 설치된다.
이러한 종래 창호 시스템의 창틀에는 출입문 및 창문이 슬라이딩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일홈이 형성되어 있는 바, 이 레일홈은 사람이 지나다닐 때 발에 이물감을 주거나 발이 걸리는 위험요소로 작용하는 단점이 있고, 또한 베란다에 적용된 창틀의 경우 그 레일홈에 먼지와 같은 이물질 등이 쉽게 쌓이는 동시에 레일홈으로부터 이물질 들을 제거하기 위한 청소 작업이 어려운 단점이 있으며, 특히 베란다 창호에 적용된 창틀 및 그 레일홈을 통해 외풍 내지 빗물이 손쉽게 침투하여 기밀성 및 배수성이 크게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고자, 기밀성 및 배수성을 향상시킨 레일 은폐형 창호들이 개시되어 있지만, 출입문 및 창문을 창틀의 레일홈에 결합시키는 구조가 복잡하여 출입문 및 창문을 레일홈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작업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빗물의 배수 구조가 별도로 구비되어 있지 않아 배수성이 좋지 않은 단점이 있다.
특히, 비바람이 불면 외측창호 프레임에 설치된 외측레일 은폐체의 상부면을 따라 빗물이 흐르게 되는데, 외측레일 은폐체의 상부면을 따라 흐르는 빗물이 내측레일 은폐체의 상부면 측으로 흐르면서 실내로 유입되는 문제가 종종 발생되었다.
또한, 창호를 시공하기 위해서는 사각 프레임으로 된 창틀을 먼저 시공한 상태에서, 창짝의 선단을 창틀의 상측으로 끼워 넣은 후 창짝의 하측을 창틀의 하측으로 얹어놓는 작업을 통해 창호를 완성하게 되는 것인데, 창짝의 상측단은 상기한 바와 같은 설치방법에 의해 창짝의 하단에 비하여 보다 깊은 레일홈을 갖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창호는 상기한 바와 같이 창짝을 들어올려 그 창짝의 상단을 창틀 내에 우선 삽입한 상태에서 창짝을 하부 창틀 상에 얹어지도록 설치하는 것으로서, 상측으로 들어 올려진 상태의 창짝이 하부 창틀 상에 얹어짐에 따라 그 창짝의 선단과 상측 창틀 사이에는 상당한 공간이 발생하게 되어 이를 통한 외기의 유입이 자유로운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창짝의 선단과 상측 창틀의 틈새로 외기가 자유롭게 드나들게 되므로 방음 및 단열 효과가 크게 떨어지게 되므로, 근자에 들어서는 상기한 창짝의 측단 또는 창틀의 내측단에 미세모로 된 브러쉬를 길이방향으로 삽입하여 제작하기도 한다.
이에 따라 상기한 미세모로 된 브러쉬에 의해 방음 및 단열 효과가 상승되기는 하였으나, 충분히 만족할 만한 수준에 이루지 못하면서도 이중의 재료비 및 시공 및 설치비를 요구하는 것이며, 상기한 브러쉬와 창짝 또는 브러쉬와 창틀 간의 마찰에 의해 부드러운 창짝의 개폐 슬라이딩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것이다.
또한, 주지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창짝의 설치방법은 창짝의 선단을 프레임의 상측부에 먼저 끼워 넣은 상태에서 그 창짝의 하단이 창틀 하부에 얹어지도록 하는 것인바, 대형의 창호를 시공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적어도 두 명 이상이 중량체인 창짝을 들어올려 설치하여야 하므로 매우 어려운 작업이 아닐 수 없다.
특히, 상기한 바와 같이 시공된 상태의 창틀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그 창틀의 내측이 각종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는 것인데, 주지한 바와 같이 다수의 레일부와 차단부를 갖는 창틀은 그 길이방향으로의 폭이 매우 좁아 청소가 용이치 못하므로 대부분 상기한 바와 같은 창틀은 먼지나 모래 등의 이물질에 의해 항상 오염되어 있으므로 미관상 보지 좋지 못할 뿐만 아니라 위생적으로도 매우 불결한 것인데, 마땅한 소제 도구 및 소제 방법이 없어 대부분 그대로 방치하는 경우가 빈번한 것이다.
또한, 종래의 창호구조는 창틀과 창짝로 단순 분리되어 있으면서 창틀에 창짝의 슬라이딩 안내레일이 돌출 고정형으로 미리 형성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창짝을 끼워 맞추는 과정에서 필요악적으로 창틀과 창짝의 상,하 측단부에 상당한 틈이 발생되는 것으로서, 이와 같은 틈은 강풍이나 천둥, 지진 등에 의한 천재지변이 발생하는 경우 극히 취약한 설치구조를 갖는 것인데 상기와 같은 천재지변에 의한 진동이나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창짝이 창틀로부터 분리되어 지상으로 낙하될 수 있어 그에 따른 안전사고의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로 된 창호는 바람이 부는 경우 창문이나 창짝이 흔딜리며 덜컹거리게 되므로 불안감을 초래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한 틈새를 통해 여과없이 실내로 유입되는 실외공기는 황사 등의 미세물질을 포함하는 경우 호흡기 질환 등을 유발시킬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슬라이딩 창호가 PVC 재질의 프로파일을 사각틀 형상으로 조립하는 방식으로 창틀프레임 및 창짝을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창틀프레임은 적어도 한 쌍으로 이루어진 창짝을 슬라이딩 개폐시킬 수 있도록 내주면 상, 하측에 복수의 레일이 서로 대향되게 각각 구비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창틀프레임에 대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해 보면, 창틀프레임은 압출 공정을 통해 창틀프레임의 내주면에 레일이 일체로 형성된다. 이 경우 레일의 일측면 또는 창틀프레임의 내주면에는 결로수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배수공이 관통형성되는 구조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창틀프레임에 일체로 형성되는 레일은 창틀과 동일한 PVC 재질과 동일하게 형성됨에 따라 슬라이딩 개폐시 창짝의 구름성을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결로수를 외부로 배출시켜주기 위해 구비되는 배수공을 형성시키기 위해 별도의 배수공 타공 과정을 거쳐야 함에 따라 작업 공수가 증가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17228호 (2008년 03월 27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46306호 (2010년 03월 09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18261호 (2013년 01월 03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창틀에 레일부를 탈부착시키는 동시에 레일의 손상이나 파손시 레일부만 교체하여 창호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슬라이딩 창호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레일부의 결합시 레일부와 결합부 사이의 끼워맞춤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결합부의 결합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슬라이딩 창호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레일부의 결합시 연장편에 의해 탄지력을 제공하고 끼움편에 의해 결합부와의 탈부착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슬라이딩 창호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창틀부에 유입된 우수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배수홀을 통한 우수의 역류 및 곤충이나 벌레 등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 슬라이딩 창호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창틀의 레일홈에 커버부를 탈부착시키는 동시에 레일홈의 노출부위를 감소시켜 수려한 마감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슬라이딩 창호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돌기부와 커버부 사이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이들 사이의 결합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슬라이딩 창호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창틀에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된 창짝을 구비한 슬라이딩 창호로서, 창틀부(10); 상기 창틀부(10)에 결합되도록 설치된 창짝부(20); 상기 창틀부(10)의 레일홈에 형성된 결합부(30); 및 상기 결합부(30)에 탈부착되도록 끼워맞춤된 레일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결합부(30)는, 상기 창틀부(10)의 레일홈의 양쪽 측벽에서 하방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결합돌기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레일부(40)는, 상기 레일홈의 중간부위에 입설된 지지편; 상기 지지편의 상단에 돌출 형성된 레일; 상기 지지편에서 양쪽 외곽으로 연장형성된 연장편; 및 상기 연장편의 말단부위에 절곡형성된 끼움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연장편은, 상기 지지편의 외곽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끼움편은, 상기 연장편의 말단부위에 "U"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창틀부(10)는, 상기 레일홈의 바닥면에 배수홀이 형성되어 창틀프레임의 외부 측면으로 연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창짝부(20)는, 상기 레일홈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된 이동창짝; 및 상기 레일홈에 고정결합된 고정창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고정창짝이 결합되는 상기 창틀부(10)의 레일홈에 형성된 돌기부(50); 및 상기 돌기부(50)에 끼워맞춤되어 상기 고정창짝의 레일홈을 커버링하는 커버부(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돌기부(50)는, 상기 고정창짝과 상기 커버부(60)가 함께 끼워맞춤되어 결합되도록 돌기편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커버부(60)는, 상기 돌기부(50)와 끼워맞춤되어 결합되도록 끼움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창틀에 결합부를 형성하여 결합부를 개재해서 레일부를 끼워맞춤 결합하여 설치함으로써, 창틀에 레일부를 탈부착시키는 동시에 레일의 손상이나 파손시 레일부만 교체하여 창호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결합부로서 레일홈의 양쪽 측벽에서 하방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결합돌기를 구비함으로써, 레일부의 결합시 레일부와 결합부 사이의 끼워맞춤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결합부의 결합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레일부로서 지지편과 레일과 경사진 연장편과 "U"자 형상으로 절곡된 끼움편을 구비함으로써, 레일부의 결합시 연장편에 의해 탄지력을 제공하고 끼움편에 의해 결합부와의 탈부착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창틀부의 레일홈의 바닥면에 배수홀이 형성되어 창틀프레임의 외부 측면으로 연통됨으로써, 창틀부에 유입된 우수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배수홀을 통한 우수의 역류 및 곤충이나 벌레 등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고정창짝의 레일홈에 돌기부를 형성하여 돌기부를 개재해서 커버부를 끼워맞춤 결합하여 설치함으로써, 창틀의 레일홈에 커버부를 탈부착시키는 동시에 레일홈의 노출부위를 감소시켜 수려한 마감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돌기부에 돌기편을 형성하고 커버부에 끼움홈을 형성하여 서로 끼워맞춤에 의해 결합함으로써, 돌기부와 커버부 사이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이들 사이의 결합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슬라이딩 창호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슬라이딩 창호의 이동창짝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슬라이딩 창호의 고정창짝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슬라이딩 창호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슬라이딩 창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슬라이딩 창호의 다른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슬라이딩 창호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슬라이딩 창호의 이동창짝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슬라이딩 창호의 고정창짝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슬라이딩 창호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슬라이딩 창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슬라이딩 창호의 다른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슬라이딩 창호는, 창틀부(10), 창짝부(20), 결합부(30), 레일부(40), 돌기부(50) 및 커버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창틀에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된 창짝을 구비한 슬라이딩 창호이다.
창틀부(10)는, 내부에서 창짝부(20)가 슬라이딩되거나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로서, 창틀프레임(11), 제1 레일홈(12), 제2 레일홈(13), 제1 배수홀(14), 제2 배수홀(15) 및 제3 배수홀(16)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창틀프레임(11)은, 건물이나 공장 등의 창문의 외곽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로서, 건물의 창부위에 고정결합되며 창문의 구성이나 형식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단면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보강부재가 삽입된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 레일홈(12)은, 창틀프레임(11)의 실내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레일홈으로서, 창짝부(20)가 결합되도록 내부면이 오목하게 함몰형성되어 창짝부(20)의 슬라이딩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제2 레일홈(13)은, 창틀프레임(11)의 실외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레일홈으로서, 창짝부(20)가 결합되도록 내부면이 오목하게 함몰형성되어 창짝부(20)의 슬라이딩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제1 배수홀(14)은, 제1 레일홈(12)의 바닥면에 형성된 배수홀로서, 제1 레일홈(12)의 내부로 유입된 우수를 하방으로 배출시키게 되며, 창틀프레임(11)의 외부 측면에 형성된 제3 배수홀(16)과 연통 형성되어 있다.
제2 배수홀(15)은, 제2 레일홈(13)의 바닥면에 형성된 배수홀로서, 제2 레일홈(13)의 내부로 유입된 우수를 하방으로 배출시키게 되며, 창틀프레임(11)의 외부 측면에 형성된 제3 배수홀(16)과 연통 형성되어 있다.
제3 배수홀(16)은, 창틀프레임(11)의 외부 측면에 형성된 배수홀로서, 제1 배수홀(14) 및 제2 배수홀(15)과 연통형성되어 제1 레일홈(12) 및 제2 레일홈(13)에 유입된 우수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창짝부(20)는, 창틀부(10)에 결합되도록 설치되어 창틀부(10)의 내부를 개폐하는 창짝부재로서, 창틀부(10)의 제1 레일홈(12)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된 이동창짝(21)과, 창틀부(10)의 제2 레일홀(13)에 고정결합된 고정창짝(22)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동창짝(21)은, 창틀부(10)의 제1 레일홈(12)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된 창짝으로서, 창짝프레임의 내부에 유리창이 끼워맞춤되어 있고, 하부에는 창짝을 슬라이딩 이동시키도록 롤러가 설치되어 있다.
고정창짝(22)은, 창틀부(10)의 제2 레일홀(13)에 고정결합된 창짝으로서, 창짝프레임의 내부에 유리창이 끼워맞춤되어 있고, 상부 및 하부에는 창짝을 제2 레일홈(13)에 끼워맞춤하여 고정결합시키도록 끼움홈(22a)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부(30)는, 창틀부(10)의 제1 레일홈(12)에 형성된 결합부재로서, 창틀부(10)의 제1 레일홈(12)의 양쪽 측벽에서 하방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결합돌기로 이루어져 있다.
레일부(40)는, 창틀부(10)의 제1 레일홈(12)에 결합되는 이동창?A(21)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도록 결합부(30)에 탈부착되도록 끼워맞춤된 레일부재로서, 지지편(41), 레일(42), 연장편(43) 및 끼움편(44)으로 이루어져 있다.
지지편(41)은, 창틀부(10)의 제1 레일홈(12)의 중간부위에 입설된 지지부재로서, 제1 레일홈(12)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일자형상의 벽체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일(42)은, 지지편(41)의 상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된 레일부재로서, 이동창짝(21)의 롤러가 제1 레일홈(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일자형상의 레일편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장편(43)은, 지지편(41)에서 양쪽 외곽으로 연장 형성된 연장부재로서, 이러한 연장편(43)은, 지지편(41)의 외곽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연장편(43)은, 지지편(41)을 제1 레일홈(12)에 끼워맞춤 결합시 결합부(30)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탄지력을 부여하게 되므로, 판스프링 등과 같은 탄지수단의 역할을 하게 된다.
끼움편(44)은, 결합부(30)에 끼워맞춤되도록 연장편(43)의 말단부위에 절곡형성된 끼움부재로서, 이러한 끼움편(44)은 연장편(43)의 말단부위에 "U"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기부(50)는, 고정창짝(22)이 결합되도록 창틀부(10)의 제2 레일홈(13)에 형성된 돌기부재로서, 고정창짝(22)과 커버부(60)가 함께 끼워맞춤되어 결합되도록 돌기편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돌기편은, 창틀부(10)의 제2 레일홈(13)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자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며, 제2 레일홈(13)의 바닥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입설되어 있다.
커버부(60)는, 돌기부(50)에 끼워맞춤되어 창틀부(10)의 제2 레일홈(13)의 상부를 커버링하는 커버부재로서, 돌기부(50)의 돌기편과 끼워맞춤되어 결합되도록 끼움홈이 함몰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끼움홈은, 창틀부(10)의 제2 레일홈(13)의 길이방향을 따라 홈형상으로 함몰 형성되며, 커버부(60)의 저면에서 상방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커버부(60)는 창틀부(10)의 제2 레일홈(13)의 상부를 커버링하면서 창틀부(10)의 제1 레일홈(12)과 제2 레일홈(13) 사이에 형성된 중간프레임과 단차를 형성하지 않도록 중간프레임과 동일한 높이의 커버부재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슬라이딩 창호는 이동창짝(21)과 고정창짝(22)을 구비한 1단 창호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슬라이딩 창호는, 상단창 및 하단창을 구비한 2단 창호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구체적으로, 상단창에 이동창짝(21)과 고정창짝(22)이 설치되고 하단창에 2개의 고정창짝(22)이 고정설치되어 있거나, 상단창에 2개의 고정창짝(22)이 고정설치되어 있고 하단창에 이동창짝(21)과 고정창짝(22)이 설치되어 있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창틀에 결합부를 형성하여 결합부를 개재해서 레일부를 끼워맞춤 결합하여 설치함으로써, 창틀에 레일부를 탈부착시키는 동시에 레일의 손상이나 파손시 레일부만 교체하여 창호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결합부로서 레일홈의 양쪽 측벽에서 하방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결합돌기를 구비함으로써, 레일부의 결합시 레일부와 결합부 사이의 끼워맞춤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결합부의 결합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레일부로서 지지편과 레일과 경사진 연장편과 "U"자 형상으로 절곡된 끼움편을 구비함으로써, 레일부의 결합시 연장편에 의해 탄지력을 제공하고 끼움편에 의해 결합부와의 탈부착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창틀부의 레일홈의 바닥면에 배수홀이 형성되어 창틀프레임의 외부 측면으로 연통됨으로써, 창틀부에 유입된 우수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배수홀을 통한 우수의 역류 및 곤충이나 벌레 등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고정창짝의 레일홈에 돌기부를 형성하여 돌기부를 개재해서 커버부를 끼워맞춤 결합하여 설치함으로써, 창틀의 레일홈에 커버부를 탈부착시키는 동시에 레일홈의 노출부위를 감소시켜 수려한 마감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돌기부에 돌기편을 형성하고 커버부에 끼움홈을 형성하여 서로 끼워맞춤에 의해 결합함으로써, 돌기부와 커버부 사이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이들 사이의 결합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0: 창틀부 20: 창짝부
30: 결합부 40: 레일부
50: 돌기부 60: 커버부

Claims (10)

  1. 창틀에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된 창짝을 구비한 슬라이딩 창호로서,
    창틀부(10);
    상기 창틀부(10)에 결합되도록 설치된 창짝부(20);
    상기 창틀부(10)의 레일홈에 형성된 결합부(30); 및
    상기 결합부(30)에 탈부착되도록 끼워맞춤된 레일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창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30)는, 상기 창틀부(10)의 레일홈의 양쪽 측벽에서 하방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결합돌기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창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40)는,
    상기 레일홈의 중간부위에 입설된 지지편;
    상기 지지편의 상단에 돌출 형성된 레일;
    상기 지지편에서 양쪽 외곽으로 연장형성된 연장편; 및
    상기 연장편의 말단부위에 절곡형성된 끼움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창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편은, 상기 지지편의 외곽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창호.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편은, 상기 연장편의 말단부위에 "U"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창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창틀부(10)는, 상기 레일홈의 바닥면에 배수홀이 형성되어 창틀프레임의 외부 측면으로 연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창호.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창짝부(20)는,
    상기 레일홈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된 이동창짝; 및
    상기 레일홈에 고정결합된 고정창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창호.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창짝이 결합되는 상기 창틀부(10)의 레일홈에 형성된 돌기부(50); 및
    상기 돌기부(50)에 끼워맞춤되어 상기 고정창짝의 레일홈을 커버링하는 커버부(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창호.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50)는, 상기 고정창짝과 상기 커버부(60)가 함께 끼워맞춤되어 결합되도록 돌기편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창호.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60)는, 상기 돌기부(50)와 끼워맞춤되어 결합되도록 끼움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창호.
KR1020160106323A 2016-08-22 2016-08-22 슬라이딩 창호 KR101869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6323A KR101869411B1 (ko) 2016-08-22 2016-08-22 슬라이딩 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6323A KR101869411B1 (ko) 2016-08-22 2016-08-22 슬라이딩 창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1577A true KR20180021577A (ko) 2018-03-05
KR101869411B1 KR101869411B1 (ko) 2018-06-20

Family

ID=61727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6323A KR101869411B1 (ko) 2016-08-22 2016-08-22 슬라이딩 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941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6431B1 (ko) * 2018-03-09 2019-04-05 주식회사 성화 슬라이딩 창호
CN110566095A (zh) * 2018-07-12 2019-12-13 章婧 一种便于开合的推拉门以及使用方法
KR102133011B1 (ko) * 2020-05-17 2020-07-10 김재민 창호 시스템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2636Y1 (ko) * 2001-05-12 2001-10-15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리프트 슬라이딩 창문의 배수 구조
KR200340535Y1 (ko) * 2003-09-29 2004-02-11 (주)중앙리빙샤시 창틀용 골재의 배수 구조
KR200375065Y1 (ko) * 2004-11-04 2005-02-07 남창드림윈도스 주식회사 시스템 창호의 조립식 창틀구조
KR100817228B1 (ko) 2007-03-30 2008-03-27 유정식 조립식 레일을 갖는 창호틀
KR100914756B1 (ko) * 2009-03-02 2009-08-31 김순석 시공이 용이한 창호장치
KR100946306B1 (ko) 2009-05-18 2010-03-09 주식회사 점보에이에이치씨복합창 단열 복합창호
KR101218261B1 (ko) 2012-06-12 2013-01-03 김선자 레일 탈부착식 창호프레임
KR20150069678A (ko) * 2013-12-16 2015-06-24 (주)엘지하우시스 조립식 레일을 구비한 창틀프레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4720Y1 (ko) * 2006-09-29 2006-12-28 주식회사 케이씨씨 거실 확장이 용이한 평레일 창호 시스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2636Y1 (ko) * 2001-05-12 2001-10-15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리프트 슬라이딩 창문의 배수 구조
KR200340535Y1 (ko) * 2003-09-29 2004-02-11 (주)중앙리빙샤시 창틀용 골재의 배수 구조
KR200375065Y1 (ko) * 2004-11-04 2005-02-07 남창드림윈도스 주식회사 시스템 창호의 조립식 창틀구조
KR100817228B1 (ko) 2007-03-30 2008-03-27 유정식 조립식 레일을 갖는 창호틀
KR100914756B1 (ko) * 2009-03-02 2009-08-31 김순석 시공이 용이한 창호장치
KR100946306B1 (ko) 2009-05-18 2010-03-09 주식회사 점보에이에이치씨복합창 단열 복합창호
KR101218261B1 (ko) 2012-06-12 2013-01-03 김선자 레일 탈부착식 창호프레임
KR20150069678A (ko) * 2013-12-16 2015-06-24 (주)엘지하우시스 조립식 레일을 구비한 창틀프레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6431B1 (ko) * 2018-03-09 2019-04-05 주식회사 성화 슬라이딩 창호
CN110566095A (zh) * 2018-07-12 2019-12-13 章婧 一种便于开合的推拉门以及使用方法
KR102133011B1 (ko) * 2020-05-17 2020-07-10 김재민 창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9411B1 (ko) 2018-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33239C2 (ru) Рама для окон и дверей с присоединяемыми и отсоединяемыми рельсами
AU2011362732B2 (en) Hidden rail type window and door system
KR100901994B1 (ko) 레일 은폐 구조를 갖는 창호장치
US8683747B2 (en) Modular window apparatus with liquid drainage ability
CA2881561C (en) Door jamb and sill assemblies
KR102060165B1 (ko) 유리난간대 및 이를 구비한 창호
KR101869411B1 (ko) 슬라이딩 창호
KR101242606B1 (ko) 물막이를 구비한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CA2660585C (en) Ada compliant sills having a collapsible weather-strip for use with sliding door assemblies
KR100942482B1 (ko) 미닫이 창문
KR20150069678A (ko) 조립식 레일을 구비한 창틀프레임
KR101966431B1 (ko) 슬라이딩 창호
KR20140106370A (ko) 구조변경이 용이한 평레일 창호장치
GB2152991A (en) Window or door mounting assembly
KR102100663B1 (ko) 레일 은폐형 창호
KR101758171B1 (ko) 행거식 미서기창이 구비된 커튼월
KR20100103273A (ko) 외동창형 창호프레임
JP7483467B2 (ja) サッシ下枠用アタッチメント及びこれを用いたリフォーム方法
KR101905932B1 (ko) 레일 은폐형 미서기 창호
KR102034572B1 (ko) 슬라이딩 개폐방식의 창호가 설치된 문틀의 원활한 배수 및 외풍방지를 위한 조립구조
KR20030070196A (ko) 창 및 그 창틀구조
JP2006188939A (ja) 建具
KR101016428B1 (ko) 바닥 은폐형 계단식 안전창
KR100493897B1 (ko) 무레일형 창호장치
KR200344363Y1 (ko) 창호용 창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