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9955B1 - 애드쇼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애드쇼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9955B1
KR101919955B1 KR1020160115805A KR20160115805A KR101919955B1 KR 101919955 B1 KR101919955 B1 KR 101919955B1 KR 1020160115805 A KR1020160115805 A KR 1020160115805A KR 20160115805 A KR20160115805 A KR 20160115805A KR 101919955 B1 KR101919955 B1 KR 1019199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advertiser
web server
show
med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5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8296A (ko
Inventor
신성재
Original Assignee
신성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성재 filed Critical 신성재
Priority to KR1020160115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9955B1/ko
Publication of KR20180028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82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9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99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42Determining effectiveness of 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5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history
    • G06Q30/0256User searc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3Determination of fees for advert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애드쇼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 제공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광고 제공 방법은 신규 이미지 컨텐츠를 미디어생성부에서 다수의 미디어 매체가 운영하는 웹사이트에 업로드하고, 매칭부에서 이미지와 상품을 애드쇼를 이용하여 매칭시켜 웹사이트에 노출시키면 사용자가 노출된 이미지 컨텐츠에서 애드쇼를 클릭하면 광고주의 쇼핑몰 또는 랜딩페이지로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Description

애드쇼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 제공 방법{ONLINE ADVERTIGING DELIVERY METHOD USING ADD SHOW}
본 발명은 온라인 광고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미디어 집단에서 업로드하는 미디어 컨텐츠에 광고주의 상품을 전문가집단에서 매칭시켜 이를 온라인상에 배포하고, 사용자가 해당 상품 클릭시 발생한 비용을 미디어집단과 전문가집단, 그리고 웹서버 운영자가 공유하는 애드쇼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서 온라인을 기반으로 하는 콘텐츠 제작이 활발해지고 있다. 다양한 웹 사이트 운영자들은 뉴스기사, 칼럼, 블로깅, 동영상 등의 다양한 온라인 콘텐츠를 제작하여 해당 콘텐츠에 광고를 게재시키고, 사이트 방문자들이 콘텐츠에 포함된 광고를 클릭함으로써 광고수익을 발생시키고 있다.
따라서, 콘텐츠 생산자 입장에서는 광고효율을 높이기 위해 콘텐츠를 많은 대중에게 노출시켜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검색엔진 최적화와 같은 콘텐츠 유통이 중요해지고 있다.
최근 들어, 구글에서 운영하는 광고 프로그램인 애드센스(ADSense) 등과 같이, 웹사이트를 소유한 퍼블리셔(publisher)가 광고 프로그램에 가입하면 광고를 자동으로 해당 웹사이트에 올려주고 광고비를 지불하는 광고 방식이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다.
이 경우, 해당 웹사이트를 찾은 방문자가 그 광고를 클릭하면 구글과 같은 광고 프로그램 운영사가 광고주로부터 돈을 받아 그 일부를 웹사이트 소유자인 퍼블리셔에게 나눠줌으로써, 개인 블로거 등과 같은 소규모의 웹사이트 운영자들도 광고를 통해 용이하게 수익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일 만건 이상의 이미지 컨텐츠가 업데이트되고 있어 온라인 광고 시장의 경우 현재 무분별한 광고 시장의 형성으로 미디어는 물론 유저들의 가독성에 영향을 주어 온라인 광고에 대한 유저들의 거부감이 날로 늘어 가고 있다.
이에 더하여 현재 쇼핑 카테고리의 광고의 경우 광고주의 가격은 네이버키워드광고에 편중되며 비용 대비 저조한 전환율로 인해 다양한 온라인 광고의 효율이 줄어 들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기존의 온라인 네트워크 광고는 높은 매출을 위해 유저의 가독성(可讀性)을 저해하는 다양한 DA광고 형태로 제공하고 있다.
KR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07732호(2014.09.05)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온라인 광고 시장에 부합하는 미디어와 유저의 거부감을 최소로 하며 광고주의 광고 효과를 최고로 할 수 있는 온라인 광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객이 원하는 상품만을 제안할 수 있는 온라인 광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독성의 불편함을 최소화하고 고객이 원하는 상ㅍ무을 정확하게 광고주에게 연결해 줄 수 있는 애드쇼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기사는 물론 광고정보까지 공유할 수 있는 애드쇼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애드쇼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 제공 방법은 (a)신규 이미지 컨텐츠를 미디어생성부에서 다수의 미디어 매체가 운영하는 웹사이트에 업로드하는 단계와, (b)매칭부에서 상기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 컨텐츠에 광고주가 의뢰한 상품에 애드쇼를 이용하여 매칭시키는 단계, (c)매칭부에서 상기 애드쇼가 매칭된 이미지 컨텐츠를 웹사이트에 노출시키는 단계, (d)사용자가 상기 웹사이트에 접속 후 노출된 이미지 컨텐츠에서 애드쇼를 클릭하는 단계, 및 (e)광고주의 쇼핑몰 또는 랜딩페이지로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f)상기 (e)단계 이후 구매가 발생하는 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g)상기 (f)단계에서 구매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광고주에게 과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b)단계는 상기 전문가 집단의 개별 단말기에 표시된 검색툴을 사용하여 상기 이미지 컨텐츠에 광고주가 의뢰한 상품을 웹서버에서 검색하여 매칭시키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g)단계는 (g-1)사용자가 상기 웹사이트에 접속하는 횟수를 카운트하는 단계와, (g-2)사용자가 상기 웹사이트의 노출된 이미지 컨텐츠에서 애드쇼를 클릭하는 횟수를 카운트하여 기대클릭수를 카운트하는 단계, (g-3)사용자가 광고주의 쇼핑몰 또는 랜딩페이지에서 구매를 실행한 횟수를 발생 클릭수로 카운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과금단계는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광고가 애드쇼 중 노출되는 방법에 따라 구별되게 기대 클릭 수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광고의 노출방법에 따라 발생된 구매 클릭 수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기대 클릭 수와 상기 구매 클릭 수 사이의 괴리 정도를 반영하는 과금 결정 변수에 기반하여 과금의 대상이 되는 과금 대상 클릭 수에 기초하여 상기 광고에 대한 과금액을 결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그리고 광고의 노출 방법은 포토링크형, 장바구니 위젯형, 또는 노출 아이콘 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애드쇼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 제공 방법에 의하면, 미디어집단과 전문가집단 그리고 웹서버 운영자가 수익을 공유하며, 효율적인 광고 참여와 기술개발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애드쇼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 제공 방법에 의하면, 온라인 상에서의 체류 시간을 늘리고, 정보공유를 유도하여 미디어의 트래픽을 높혀 매출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애드쇼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 제공 방법에 의하면, 유저의 가독성의 불편함을 최소화하고, 고객이 원하는 상품을 정확하게 광고주에게 연결해주어 미디어의 매출을 극대화 시킬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애드쇼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 제공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주요 구성도,
도 2는 도 1의 매칭부의 주요 구성도,
도 3은 도 1의 웹서버의 주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애드쇼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미디어생성부에서 생성한 이미지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포토링크형으로 표시된 매칭작업의 일례를 예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광고 형태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8은 팝업창으로 상품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및/또는"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항목, 제2 항목 및/또는 제3 항목"의 의미는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뿐만 아니라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들 중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ADD SHOW(애드쇼)"는 온라인 미디어 컨텐츠에 포토링크형, 장바구니 위젯형, 또는 노출 아이콘 형 중에서 어느 하나의 광고 방식을 이용하여 미디어와 광고상품을 매칭시켜 사이트에 노출시킨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당 쇼핑 상품 클릭 시 링크된 쇼핑몰이나 또는 랜딩 페이지로 이동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애드쇼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 제공 장치는 하나 이상의 웹 사이트를 운영하는 웹서버(400)와, 웹 사이드에 미디어를 생성시키는 미디어 생성부(200)와 미디어생성부(200)에서 생성된 미디어에 광고주(300)로부터 의뢰받은 상품을 매칭시키는 전문가 집단으로 구성된 매칭부(10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광고주(300)는 실제 본 발명의 수익에 대한 비용이 발생되는 집단으로 각자의 사업체의 수익 증대를 위해 본 발명의 솔루션인 에드쇼를 통해 광고를 집행하는 집단이다.
이러한 광고주 집단은 국내 대부분의 쇼핑몰로 가정하며, 국내 대표 오픈마켓(지마켓, 옥션, 11번가), 종합몰(CJ O쇼핑, GS쇼핑, 롯데닷컴, SSG, 대 i몰등), 그리고 멋남, 스타일난다, 펀샵 등 다양한 전문 쇼핑몰 등이 대상이 될 수 있다.
광고주 집단의 경우 매칭된 상품군은 국내 대표 오픈마켓과 종합몰 진행시 미디어집단에서의 생성되는 컨텐츠의 90% 이상의 상품군 매칭이 가능하기 때문에 각각의 광고주로부터 광고에 필요한 아이템을 선정하여 웹서버(400)에 등록한다.
미디어생성부(200)는 미디어를 생성하는 미디어 집단으로 YTN, 조선일보, 뉴스엔미디어(NEWSEN). 동아닷컴 등을 의미한다.
미디어생성부(200)는 광고 기반이 되는 이미지 컨텐츠 양성과 광고주의 잠재 고객인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공간으로 네이버와 다음과 같은 포털, 조선일보, 동아일보 등의 종합언론매체, 뉴스엔, 디시 인사이드와 같은 전문언론, 커뮤니티 등 3,000여개 이상의 온라인 미디어 매체가 대상이 될 수 있다.
상술한 각 미디어는 해당 광고 솔루션인 애드쇼가 적용되어 신규로 생성되는 이미지 컨텐츠에 이미지와 매칭된 광고주의 상품이 노출되어 유저 유입시 발생하는 광고비를 수익으로 취득할 수 있도록 동작한다.
이러한 수익 창출 모델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미디어생성부(200)는 해당 이미지가 어느 미디어에 탑재되는 지를 관리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미디어생성부(200)는 각각의 온라인 미디어 매체에 서로 다른 ID를 부여하여 해당 미디어가 사이트가 노출된 경우 내부 링크에 의하여 해당 이미지가 어느 미디어에 탑재된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는 해당 웹사이트의 경로를 추적하여 미디어 매체를 구별할 수 있다.
한편, 도 5의 미디어생성부에서 생성한 이미지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을 참고하면, 모델이 썬글라스와 팔찌 그리고 쇼핑백을 들고 있고, 배꼽티와 바지 등이 상품으로 분류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상품들은 하나의 브랜드이거나 서로 다른 브랜드가 될 수 있으므로, 미디어생성부(200)는 상품 DB를 구축하고 이를 각 상품에 링크하여 업로드되도록 하여야 한다.
이러한 상품 DB(210)는 상품의 명칭, 품명, 제조사 등 사용자가 구매 요청 시 해당 상품의 내역을 알 수 있을 정도의 DB를 구축하여야 한다.
이러한 링크방식은 후술하는 매칭부(100)에서 해당 상품을 클릭시 상품 DB의 정보가 제공되게 하거나 또는 매칭부(100)에서 해당 이미지에 상품 매칭 작업을 할 때 팝업창으로 표시되게 하여 매칭부(100)의 전문가 집단도 상품을 선택하여 매칭 작업을 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매칭부(100)는 전문가집단에 의하여 광고주의 상품과 미디어 집단의 실시간으로 생성되는 이미지 컨텐츠의 매칭 작업을 수행하는 집단이다.
본 발명에서는 매칭부(100)가 미디어생성부(300)에서 생성된 이미지에 광고주(300)가 의뢰한 상품을 매칭시키는 작업을 수행하는 장치로, 매칭부(100)는 전문가가 매칭한 이미지의 아이템에서 일어나는 매출에 대한 수익이 발생하는 부분이다.
즉, 매칭부(100)는 본 발명 솔루션의 교육을 이수한 전문가가 사용하는 단말기를 지칭할 수 있다.
이러한 전문가는 남녀 노소 누구나 가능하며, 프리랜서로써 본 매칭작업에 참여가 가능하므로, 가정에서 가사를 돌보는 주부, 투잡을 원하는 집단, 재택에서 프리랜서로서 근무를 원하는 사람을 대상으로 불경기의 각 가계의 신규 수익원으로서 사회적으로도 큰 도움이 될 수 있는 모델로 판단된다.
이러한 전문가 집단의 수적 제한은 없으며, 다양한 조직과의 협조를 통한 빠른 전문가 집단 확산이 본 발명의 주요한 포인트가 될 것이며, 이로 인하여 전체적인 사업 매출의 확대는 물로 광고주 및 미디어 매체사인 미디어생성부(200)에 큰 매출증대를 가져다 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매칭부(100)는 이미지에 상품을 매칭시킬 때 자신의 고유 ID가 링크되어 제공되어야 한다.
즉, 사용자가 이미지에 매칭된 상품을 클릭하여 구매가 발생하였을 경우 수익을 배분받기 위하여 해당 상품을 매칭시킨 자의 ID가 필요한 것이다.
결국 사이트에 노출된 이미지에는 해당 이미지가 노출된 미디어와 해당 상품을 매칭한 전문가 집단 즉 매칭부의 고유 ID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다.
한편 도 6의 포토링크형으로 표시된 매칭작업의 일례를 예시한 도면을 참고하면, 본 발명은 기존의 단순한 노출식 배너 광고와 달리 이미지에 위젯 형태로 노출됨으로써 광고 상품보다는 SNS공유 및 사진 저장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추가하여 고객을 위한 서비스의 형태를 제공하도록 구성한다.
이로써, 광고에 대한 거부감을 최소화하여 온라인 미디어사는 물론 광고주의 만족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이다.
도면을 참고하면, 좌측 하단에 위젯 형태의 상품 광고와 다양한 SNS공유 또는 댓글, 이미지에 대한 정보 입력 기능으로 다양한 정보 공유 기능으로 페이스북이나 트위터 그리고 카카오톡 등과 같은 공유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도 2의 매칭부의 주요 구성도를 참고하면, 전문가 집단의 단말기에 해당하는 매칭부(100)는 미디어생성부(200)에서 생성한 이미지와 광고주의 상품을 매칭시키는 매칭제어부(130)와 매칭부(100)의 고유 ID를 관리하는 전문가 ID 관리부(130), 검색툴을 저장하는 검색DB(140). 검색툴을 표시하고, 매칭시키는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130) 그리고 매칭부(100)에서 매칭시킨 이미지와 상품들을 저장하는 저장부(150)를 포함한다.
매칭부(100)는 미디어생성부(200)에서 생성한 이미지를 사이트에서 검색하여 본 발명의 애드쇼를 적용하기 위하여 이미지의 상품과 광고주(300)의 상품을 매칭시켜 다시 웹사이트에 업로드하여 노출시키도록 동작된다.
이를 위하여 매칭제어부(110)는 표시부(130)에 표시된 이미지에서 본 발명의 애드쇼를 적용할 수 있는 상품을 탐색한다.
이러한 탐색은 통상의 스크롤 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정 상품이 선택되면, 해당 상품이 상품인지를 탐색한다.
예를 들면 미디어생성부(200)에서 이미지 생성시 해당 상품의 정보가 링크되어 있기 때문에 해당 상품이 어떤 상품인지 확인하는 것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도면에서 예를 들어 마우스를 선글라스에 위치시키면 해당 상품이 "trenta Agena 006"임을 팝업창으로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
매칭부(100)에서 해당 상품의 정보가 파악되면, 또는 파악됨과 동시에 표시부(130)의 일측에 검색DB(140)에서 광고주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 툴을 표시한다.
이러한 검색툴은 해당 상품을 현재 판매하고 있는 쇼핑몰 또는 랜딩 페이지를 표시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검색DB(140)는 검색툴 표시와 동시에 해당 상품을 웹서버(400)의 광고주 DB(470)에 접속하여 해당 상품을 의뢰한 광고주 데이터를 수신하여 보관하고 있다가 검색툴에 광고주를 표시하게 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광고주는 국내 대부분의 쇼핑몰로 가정하며, 국내 대표 오픈마켓(지마켓, 옥션, 11번가), 종합몰(CJ O쇼핑, GS쇼핑, 롯데닷컴, SSG, 현대 i몰등), 그리고 멋남, 스타일난다, 펀샵 등 다양한 전문 쇼핑몰 등이 대상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해당 상품이 여러 쇼핑몰에서 판매가 되고 있을 경우(즉, 광고주가 다수 일 경우)에는 순차적으로 표시하게 하고, 전문가집단이 매칭부(100)를 통하여 특정 광고주를 선택하게 할 수 있다.
이때의 광고주 선택은 매출이 증대하는 즉 CPC가 높게 책정된 광고주를 선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전문가집단은 해당 상품에 대한 광고주가 다수일 경우에는 구매가격을 오름차순으로 광고주를 표시하게 할 수도 있다.
즉, 가격비교사이트의 일부 기능을 도입하여 해당 상품의 판매가격이 낮은 광고주를 하나 이상 애드쇼로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
해당 상품에 대한 광고주 매칭 작업이 완료되면 해당 상품에 전문가 ID관리부(120)로부터 ID를 판독하여 링크시키거나 또는 웹서버(400)로 전송하여 구매발생회수카운트DB(430)에서 관리하도록 한다.
한편 매칭제어부(110)는 도 7의 광고 노출 방법을 예시한 도면을 참고하면, 광고 노출 방법을 좌측의 포토링크형, 중앙의 장바구니 위젯형, 또는 우측의 노출 아이콘 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할 수 있다.
먼저 좌측도면의 포토링크형은 이미지(사진)의 하단에 상품매칭이 적용된 사진 부분이 노출되는 형태로 마우스 오버시 도 8과 같이 해당 상품의 정보가 팝업창으로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다.
장바구니 위젯형은 이미지의 좌측 하단에 장바구니만 노출되는 형태로 장바구니 클릭시 도 8과 같이 클릭시 해당 상품의 정보가 팝업창으로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다.
노출아이콘형은 상품별 아이콘이 노출되는 형태로 매체사의 요구에 따라 아이콘 형태를 변경하게 할 수 있고, 해당 아이콘 클릭시 해당 상품의 정보가 팝업창으로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웹서버(400)는 미디어 집단인 미디어생성부(200)와 광고주(300) 그리고 매칭부(100)의 정보를 집계하여 광고주(300)에게는 과금통지서를 발행하고, 이와 동시에 미디어 집단과 전문가 집단에 정산을 하도록 동작한다.
또한, 광고의 노출 형태에 따른 광고효과를 산출할 수 있도록 동작한다.
이를 위하여 도 3의 서버 상세 구성도를 참고하면, 웹서버(400)는 애드쇼가 첨부된 웹사이트의 사용자 방문회수를 저장하는 PV DB(Page View DB)(410)와, 해당 상품의 광고형태별 클릭회수를 저장하는 CTR_DB(Click Though Rate)(420)와 실제 쇼핑몰이나 랜딩페이지로 이동하여 구매가 발생한 회수를 카운트하는 구매발생카운트DB(430)와 광고주(300)에게 과금통지서를 발행하는 과금부(440), 미디어 집단과 전문가 집단에 정산통지서를 발행하는 정산부(450), 해당 미디어 생성부(200)의 고유 ID를 관리하는 미디어DB(460), 광고주의 고유 ID와 상품 정보를 저장관리하는 광고주DB(470), 그리고 상기 웹서버의 구성요소를 제어하여 과금과 정산 그리고 광고효과를 산출하는 서버제어부(480)를 포함한다.
서버제어부(480)는 사용자가 웹사이트 방문시 해당 웹사이트가 애드쇼가 포함된 웹사이트인지를 판단하여 애드쇼 관련 웹사이트일 경우에는 해당 웹사이트를 방문한 사용자의 방문회수를 카운트하여 PV_DB(410)에 저장하도록 한다.
따라서, PV_DB(410)는 웹사이트와 해당 웹사이트 방문회수를 리스트화하여 저장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서버제어부(480)는 해당 웹사이트 즉 애드쇼가 적용된 웹사이트에서도 애드쇼가 적용된 페이지를 사용자가 확인 시 방문회수로 카운트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TR_DB(420)는 전문가 집단인 매칭부(100)에서 애드쇼를 적용 시 광고 노출 방법을 선택할 수 있는 데_포토링크형, 장바구니 위젯형, 노출 아이콘형_이 경우에는 광고 노출 방법과 해당 상품 클릭 회수를 리스트화하여 저장한다.
구매발생회수카운트DB(430)는 해당 상품의 구매가 발생한 회수를 카운트함과 동시에 해당 상품을 이미지로 업로드한 미디어집단인 미디어생성부(200)의 고유 ID와 애드쇼를 진행한 전문가집단인 매칭부(100)의 고유 ID를 저장하도록 한다.
과금부(440)와 정산부(450)는 전문가집단과 미디어집단 그리고 광고주와 본 발명의 애드쇼를 적용하기 위해서 사전 설정된 비용을 과금하고 정산하도록 동작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표를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표 1은 과금과 정산의 일례를 예시한 것으로, 먼저 간단하게 용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PV(Page View)는 사람들이 확인한 페이지 수를 의미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PV_DB(410)에 저장된 방문회수를 표시한다.
CTR(Click Though Rate)은 이미지 페이지 광고 클릭율을 의미하는 것으로 광고 노출수 대비 클릭 비율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CTR_DB(420)에 저장된 클릭회수를 표시한다.
CPC(Cost Per Click)는 클릭당 비용으로 1 클릭당 300으로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본 상품은 송해나의 공항 패션으로 상품은 총 8개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를 예를 든 것이다.
또한, 미디어집단인 미디어 생성부(200)에는 총 매출의 50%를 지급하는 것으로, 전문가집단인 매칭부(100)에는 매출의 10%를 지급하는 것으로, 그리고 잔여 수익은 웹서버(400)의 운영자인 본 발명에서는 가칭 "ITEM PICK"의 수익이 되도록 설정한 경우를 예를 든 것이고 금액은 원으로 예시한 것이다.
이미지명 송해나 공항 패션
ITEM 1개 ITEM 8개
PV 1,000,000
CTR 0.01%
click 100 800
CPC단가 300
매출 30,000 240,000
미디어 수익 15,000 120,000
전문가 수익 3,000 24,000
ITEM PICK 수익 12,000 96,000
표 1은 참고하면, 상품이 8개인 경우를 보면, PV가 1,000,000회 발생하고, 실제 상품의 클릭회수가 0.01%이므로 총 상품의 클릭회수는 800회가 된다.
1회 클링당 CPC단가가 300원이므로 클릭회수 800회에 따른 매출은 240,000원이 된다.
이러한 매출은 당연히 과금부(440)에서 해당 상품을 광고의뢰한 광고주에게 과금하는 금액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미디어생성부(200)의 수익은 120,000원이 되고, 매칭부(100)의 수익은 24,000원 그리고 웹서버 운영자의 수익은 96,000원이 되는 것이다.
이로써, 서버운영자, 미디어집단, 전문가 집단이 이익을 공유함으로써, 미디어집단은 효율적인 광고 상품 개발을 지속적으로 연구하고 전문가집단은 상품별 광고효과가 좋은 방법을 개발하여 적용함으로써, 상생의 좋은 쇼핑 광고를 할 수 있는 것이다.
광고주 DB(470)는 소정 상품에 대한 광고를 의뢰한 광고주를 리스트화하여 보관한다.
또한, 소정 상품에 대한 CPC(클릭당비용)단가를 리스트화할 수 있다.
한편, 서버제어부(480)는 CTR_DB(420)의 클릭 회수로 기대클릭수를 카운트하고, 구매발생회수카운트DB(430)로부터 사용자가 광고주의 쇼핑몰 또는 랜딩페이지에서 구매를 실행한 회수를 카운트한다.
즉, CTR_DB(420)로부터 기대클릭수와 구매발생회수카운트DB(430)로부터의 구매 실행 회수로부터 사전 협의된 내용에 따라 과금액을 산출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기대 클릭 수 및 구매 발생 클릭 수와 해당 광고에 대한 기대 클릭 수 사이의 괴리 정도를 반영하는 과금 결정 변수에 기반하여 상기 기대 클릭 수 중에서 과금의 대상이 되는 구매 실행 클릭수에 기초하여 해당 광고에 대한 과금액을 결정할 수 있다.
이는 표 1의 CPC단가가 단순히 광고상품을 클릭한 회수로 과금액이 책정되어 있으므로, 광고주입장에서는 실제 구매가 발생한 클릭수를 유효 클릭수로 인정하려고 하기 때문에 기대클릭수와 구매 발생 클릭수간에 괴리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과금 결정 변수는 유효 클릭수를 산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광고주와 웹서버운영자간에 협의를 통하여 결정할 수 있다.
즉 괴리가 클때는 괴리를 좁히는 방향으로 과금 결정 변수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기대클릭수가 100이고 구매 클릭수가 10인 경우 산술적인 괴리는 90이 발생하게 되므로 과금 결정 변수를 0.5로 설정한다면 "괴리*과금결정변수"가 "90*0.5"가 되어 결국 "45"가 된다.
이 경우 "45"에 대한 과금액을 결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금결정변수는 과금부(440)에 저장되어 필요한 경우 사용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서버제어부(480)는 PV_DB(410)의 해당 사이트 방문 회수와 CTR_DB(420)로부터 광고 형태에 따른 광고 상품 클릭회수를 기준으로 광고 효과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PV_DB(410)의 접속회수(X)와, CTR_DB(420)의 광고 형태별 기대클릭수(Y)를 이용하여 광고효과(Y/X)를 백분율로 표시하고 이를 상호 비교하는 것이다.
이는 상품에 따라 어떤 광고 형태를 취하는 것이냐에 따라 상품을 클릭하는 회수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도 6을 참고하면, 통상의 애드쇼는 인지도가 있는 연예인이나 또는 모델들이 착용하고 있는 상품을 위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상품의 개수에 따라 적용가능한 광고 형태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광고 형태가 다른 것들을 상호 비교하여 적절한 광고 형태를 취하게 할 수 있다.
즉, 동일한 사이트 내에서도 애드쇼가 적용된 이미지가 둘 이상 표시될 경우에는 광고 형태를 달리하여 보다 효과적인 광고 형태를 갖게 할 수도 있다.
PV_DB(410)의 접속회수(X)가 100이고 CTR_DB(420)의 광고 형태별 기대클릭수(Y)가 60인 경우에는 광고효과가 60%가 되므로, 통상 광고 효과가 50%를 넘을 경우에는 해당 광고 형태가 적절함을 표시하는 것이고, 40% 이하 일경우에는 광고 형태를 변경하여 진행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즉 50% 미만인 경우에는 서버제어부(480)는 매칭부(100)로 해당 광고에 대한 광고효과를 전송하여 검토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의 애드쇼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 제공 장치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광고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애드쇼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먼저 미디어 집단의 단말기로 사용되는 미디어생성부(200)에서 신규 이미지 컨텐츠를 다수의 미디어 매체가 운영하는 웹사이트에 업로드한다(S110).
이때 해당 이미지컨텐츠를 업로드한 미디어생성부의 ID를 이미지에 링크하는 방식 등을 이용하여 웹서버(400)에서 ID를 판독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상품에 대한 정보를 링크한다.
이러한 미디어생성부(200)는 온라인 미디어 집단으로 네이버와 다음과 같은 포털, 조선일보, 동아일보 등의 종합언론매체, 뉴스엔, 디시 인사이드와 같은 전문언론, 커뮤니티 등 3,000여개 이상의 온라인 미디어 매체가 대상이 될 수 있다.
단계 S110에서 신규 이미지 컨텐츠가 업로드되면, 전문가 집단의 단말기로 동작하는 매칭부(100)에서 해당 이미지에 대하여 상품을 매칭시킨다(S120).
즉, 매칭부(100)는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 컨텐츠에 광고주가 의뢰한 상품에 애드쇼를 이용하여 매칭시키는 것이다.
또한, 매칭부(100)는 이미지에 상품을 매칭시킬 때 자신의 고유 ID가 링크되어 제공되도록 한다.
또한, 매칭부(100)는 상품을 매칭시킬 때 광고 형태를 결정한다.
그리고 매칭부(100)는 SNS공유 및 사진 저장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추가하여 고객을 위한 서비스의 형태를 제공하도록 구성한다.
물론 이때 검색툴을 사용하여 이미지 컨텐츠에 광고주가 의뢰한 상품을 웹서버에서 검색하여 손쉽게 매칭시키도록 할 수 있다.
단계 S120에서 이미지 컨텐츠에 애드쇼 매칭작업이 완료되면, 애드쇼가 매칭된 이미지 컨텐츠를 웹사이트에 노출시킨다(S130).
단계 S130에서 웹사이트에 노출되어 사용자에 의하여 해당 웹사이트를 방문한 것으로 판단되면(S140), 웹서버(400)는 해당 웹사이트 접속회수를 카운트한다(S141).
카운트회수는 PV_DB(410)에 사이트명과 함께 클릭회수가 저장된다.
웹서버(400)는 해당 상품에 마우스를 갖다 대면(마우스 오버) 해당 상품에 대한 상세 정보를 팝업 형태로 디스플레이시킨다.
이후, 해당 상품이 클릭된 것으로 판단되면(S150), 웹서버(400)는 해당 상품이 판매중인 광고주의 쇼핑몰 또는 랜딩페이지로 이동한다(S151).
참고로 랜딩페이지는 연결되는 페이지, 즉 콘텐츠에서 하이퍼링크를 통해 노출되는 페이지를 의미하는 것으로 일례로 광고주의 홈페이지나 쇼핑몰 등이 될 수 있다.
단계 S150은 사용자가 노출된 이미지 컨텐츠에서 애드쇼를 클릭하게 되면 단계 S151에서 광고주의 쇼핑몰 또는 랜딩페이지로 이동하는 것이다.
이때도 웹서버(400)는 광고주의 쇼핑몰 또는 랜딩페이지로 이동한 클릭수를 카운트하여 CTR_DB(420)에 해당 상품의 클릭수를 기대클릭수로 리스트화하여 저장한다(S152).
단계 S152 이후 구매가 발생하는 지를 확인하여(S160), 구매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웹서버(400)는 구매발생회수를 카운트하여 `구매발생회수카운트DB(430)에 회수를 저장한다(S161).
이후, 웹서버(400)는 사전에 설정된 CPC단가에 의하여 광고주에게 과금을 하는 것이다(S170).
단계 S170에서의 과금은 상술한 설명 및 표 1에서와 같이, 기대 클릭 수와 구매 클릭 수 사이의 괴리 정도를 반영하는 과금 결정 변수에 기반하여 과금의 대상이 되는 과금 대상 클릭 수에 기초하여 해당 광고에 대한 과금액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웹서버(400)는 필요한 경우 광고 효과를 분석하여 매칭부(100) 즉 전문가집단에게 피드백하여 보다 효과적인 광고 형태를 취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즉, 웹서버(400)는 PV_DB(410)의 해당 사이트 방문 회수와 CTR_DB(420)로부터 광고 형태에 따른 광고 상품 클릭회수를 기준으로 광고 효과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PV_DB(410)의 접속회수(X)와, CTR_DB(420)의 광고 형태별 기대클릭수(Y)를 이용하여 광고효과(Y/X)를 백분율로 표시하고 이를 상호 비교하여 효율적인 광고 형태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매칭부 200 : 미디어생성부
300 : 광고주 400 : 웹서버

Claims (6)

  1. (a)신규 이미지 컨텐츠를 미디어생성부에서 다수의 미디어 매체가 운영하는 웹사이트에 업로드하는 단계;
    (b)매칭부에서 상기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 컨텐츠에 광고주가 의뢰한 상품에 애드쇼를 이용하여 매칭시키는 단계;
    (c)매칭부에서 상기 애드쇼가 매칭된 이미지 컨텐츠를 웹사이트에 노출시키는 단계;
    (d)사용자가 상기 웹사이트에 접속 후 노출된 이미지 컨텐츠에서 애드쇼를 클릭하는 단계;및
    (e)광고주의 쇼핑몰 또는 랜딩페이지로 이동하는 단계;
    (f) 상기 웹사이트를 운영하는 웹서버가 상기 애드쇼된 상품의 구매가 발생하였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g) 상기 웹서버가 상품의 구매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g-1) 상기 웹서버가 사용자가 상기 웹사이트에 접속하는 회수를 카운트하는 단계;
    (g-2) 상기 웹서버가 사용자가 상기 웹사이트에 노출된 이미지 컨텐츠에서 애드쇼를 클릭하는 횟수를 카운트하여 기대 클릭 수를 카운트하는 단계;
    (g-3) 상기 웹서버가 사용자가 광고주의 쇼핑몰 또는 랜딩페이지에서 구매를 실행한 횟수를 발생 클릭 수로 카운트하는 단계;
    를 통하여 상기 광고주에게 과금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과금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웹서버가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광고가 애드쇼 중 노출되는 방법에 따라 구별되게 기대 클릭 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웹서버가 상기 광고의 노출방법에 따라 발생된 구매 클릭 수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웹서버가 상기 기대 클릭 수와 상기 구매 클릭 수 사이의 차이인 괴리에 기설정된 과금 결정 변수를 연산하고 상기 구매 클릭 수와 상기 괴리에 상기 과금 결정 변수를 연산한 값 각각에 광고료를 곱하고 구하여진 각각의 값을 합하여 과금액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웹서버는 상기 이미지 컨텐츠에 매칭되어 노출되는 애드쇼를 클릭하는 수를 상기 웹사이트의 방문횟수로 나누어 100분율을 구한 값이, 기설정된 광고효과값과 대비하여 상기 광고효과값보다 낮은 경우, 상기 웹서버에 노출되는 애드쇼의 노출방법을 변경하는 것을 고려하도록 상기 매칭부에 광고효과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애드쇼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 제공 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전문가 집단의 개별 단말기에 표시된 검색툴을 사용하여 상기 이미지 컨텐츠에 광고주가 의뢰한 상품을 웹서버에서 검색하여 매칭시키는 온라인 광고 제공 방법.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고의 노출 방법은
    포토링크형, 장바구니 위젯형, 또는 노출 아이콘 형 중 어느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드쇼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 제공 방법.






KR1020160115805A 2016-09-08 2016-09-08 애드쇼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 제공 방법 KR1019199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5805A KR101919955B1 (ko) 2016-09-08 2016-09-08 애드쇼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5805A KR101919955B1 (ko) 2016-09-08 2016-09-08 애드쇼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8296A KR20180028296A (ko) 2018-03-16
KR101919955B1 true KR101919955B1 (ko) 2018-11-19

Family

ID=61910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5805A KR101919955B1 (ko) 2016-09-08 2016-09-08 애드쇼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99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9965B1 (ko) 2022-05-10 2023-04-10 주식회사 플코 It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온라인 광고정보 관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8296A (ko) 2018-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54337B2 (en) Product content social marketplace catalog
US20200286121A1 (en) Network based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nd implementing online commerce
US2016032163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ng a sales channel in a brick and mortar store
US20070239560A1 (en) Cost-per-action market driven advertising fee sharing
US20120158456A1 (en) Forecasting Ad Traffic Based on Business Metrics in Performance-based Display Advertising
KR101547837B1 (ko) 구매 상품 피드 연동 장치, 시스템 및 그 연동 방법
KR101552703B1 (ko) 상품 이용 후기를 이용한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마케팅 시스템 및 방법
US2013026221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vertising Bidding
TW201140479A (en) Advertisement analysis device and advertisement server
KR100744063B1 (ko) 인터넷 검색 광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765415B1 (ko) 판매자와 판매대행자 간의 연결 및 수익공유를 제공하는 판매대행 서비스 제공방법 및 제공장치
KR100896613B1 (ko) 쇼핑몰 사이트 운영 방법
KR102024709B1 (ko) 사용자 기반 주문형 독립쇼핑몰을 제공하는 통합 온라인 쇼핑몰 운영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페이백 서비스 방법
JP5158735B2 (ja) 広告管理方法及び広告管理サーバ
US1015272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ng a product sales channel
KR101919955B1 (ko) 애드쇼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 제공 방법
KR102499689B1 (ko) 검색 키워드 자동 선별 방법
KR101696368B1 (ko) 광고미디어매체의 구매대행 시스템 및 방법
KR20230142975A (ko) 온오프라인 통합 고객행동기반 개인화 마케팅 시스템
KR101243387B1 (ko) 소셜 미디어를 이용한 이사 정보 제공 방법
Somya et al. A novel approach to collect and analyze market customer behavior data on online shop
KR102488252B1 (ko) 모바일 디바이스를 활용한 프록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20220197963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tching Consumers with Fashion Influencers Based on Individual Body Measurements
US20210287255A1 (en) Method for determining prices of online advertisement spaces
Arjawa et al. DIGITAL MARKETING TO INCREASE SALES OF PADAS STONE HANDICRAFTS IN SILAKARANG BAL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