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9378B1 - 제상 시점 검출 장치 - Google Patents

제상 시점 검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9378B1
KR101919378B1 KR1020180036425A KR20180036425A KR101919378B1 KR 101919378 B1 KR101919378 B1 KR 101919378B1 KR 1020180036425 A KR1020180036425 A KR 1020180036425A KR 20180036425 A KR20180036425 A KR 20180036425A KR 101919378 B1 KR101919378 B1 KR 1019193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main body
heating unit
rail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6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승덕
양성준
양성수
Original Assignee
양승덕
양성준
양성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승덕, 양성준, 양성수 filed Critical 양승덕
Priority to KR1020180036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93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9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9378B1/ko
Priority to PCT/KR2019/003698 priority patent/WO201919026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7/00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removing deposits or corrosion,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 F25B47/02Defrosting cy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5/00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a physical condition
    • H01H35/24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fluid pressure, by fluid pressure waves, or by change of fluid flow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5/00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a physical condition
    • H01H35/24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fluid pressure, by fluid pressure waves, or by change of fluid flow
    • H01H35/26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5/00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a physical condition
    • H01H35/24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fluid pressure, by fluid pressure waves, or by change of fluid flow
    • H01H35/26Details
    • H01H35/28Compensation for variation of ambient pressure or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11Sensor to detect if defrost is necessa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2Detecting the presence of frost or condensate
    • F25D21/025Detecting the presence of frost or condensate using air pressure differential det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Defros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상 시점을 검출하는 것으로서, 특히 하우징 내부에 히팅부를 설치하되, 상기 히팅부는 스위치가 안착되는 제1히팅부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작동판이 안착되는 제2히팅부를 포함하여 저온에서도 상기 작동판과 스위치가 얼지 않도록 하여 정확한 제상 시점을 포착할 수 있는 제상 시점 검출 장치이다.

Description

제상 시점 검출 장치{DEFROSTING METHOD BY DIFFERENTIAL PRESSURE SWITCH}
본 발명은 제상 시점을 검출하는 것으로서, 특히 하우징 내부에 히팅부를 설치하되, 상기 히팅부는 스위치가 안착되는 제1히팅부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작동판이 안착되는 제2히팅부를 포함하여 저온에서도 상기 작동판과 스위치가 얼지 않도록 하여 정확한 제상 시점을 포착할 수 있는 제상 시점 검출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냉동 사이클은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냉매가 단열 팽창하면서 증발하여 주변을 냉동하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된 냉매를 압축하는 펌프와, 상기 펌프에서 압축된 고압의 냉매를 응축하여 고온이 되게하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의 유동을 단속하는 팽창 밸브로 이루어진다.
상기 냉동 사이클을 계속적으로 작동하면 증발기 주위가 냉각되어 서리가 형성된다(이하 착상이라함)
상기 착상 현상에 의해 증발기의 효율이 떨어지는 관계로 상기 냉동 사이클을 반대로 작동하여 증발기에 고온 고압의 냉매가 투입되도록 하여 착상된 서리를 제거하는 제상 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 제상 작용은 일정 시간마다 제상 운전이 동작되도록 하거나, 일정 시간마다 제상 히터가 작동되도록 하여서 강제송풍식 증발열교환기에 착상된 서리를 제거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제상 방법은 효과적이지 못하였다. 즉, 강제송풍식 증발열교환기의 제상에 있어서 중요한 점은, 강제 송풍식 증발열교환기에 착상 상태가 점차 증가하여 팬의 송풍압이 증가되고 송풍 효율이 저하되는 시점이다. 따라서 일정 시간마다 제상하는 종래 제상장치로는 최적의 제상 시점을 찾지 못하였으며, 불필요하게 제상 운전이 빈번하게 작동되거나 최적의 제상 시점을 지난 후 제상 운전되므로 열손실을 상대적으로 증가시키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특허 출원인은 증발열교환기의 팬에 부하가 걸리면 이를 감지하여 제상 운전을 동작시키도록하는 차압작동스위치를 개발하였다(한국 등록 특허 제10-0674180호)
즉,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차압작동스위치(10)는 증발기(E)에 설치되는 중공의 하우징(11)과 상기 하우징(11) 내부에 설치되는 작동판(12)과 상기 작동판(12)에 접하는 스위치(13)를 포함한다. 상기 증발기(E)에 서리가 착상하여 팬에 부하가 작용하면 증발기(E) 내부의 압력은 낮아진다. 따라서 증발기(E)의 외부 압력이 상대적으로 높아서 공기는 상기 하우징(11)을 통해 증발기(E)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작동판(12)은 상기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가압되어 스위치(13)를 터치한다. 상기 작동판(12)에 의해 스위치(13)가 터치되면 신호가 발생되어 제어부(CON)로 송신된다. 제어부(CON)는 상기 신호가 수신되면 제상 시점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하여 제상 작용을 시작한다. 한편, 상기 차압작동스위치(10)도 증발기(E)에 설치되므로 온도가 낮아져서 얼음이 얼게 된다. 이러한 얼음을 제거하기 위해 하우징(11) 외부에 히터(16)가 설치된다.
그런데 상술된 종래의 차압작동스위치(10)는 상기 히터(16)가 구비되어도 상기 작동판(12) 주변이 얼거나 혹은 스위치(13)가 어는 문제는 잔존하여 정확한 제상 시점을 설정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술된 차압 작동 스위치는 상술된 바와 같이 본 특허 출원인의 등록 특허 제10-0674180호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우징 내부에 히팅부를 설치하되, 상기 히팅부는 스위치가 안착되는 제1히팅부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작동판이 안착되는 제2히팅부를 포함하여 저온에서도 상기 작동판과 스위치가 얼지 않도록 하여 정확한 제상 시점을 포착할 수 있는 제상 시점 검출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았으나 아래 수단들 또는 실시예상의 구체적인 구성에 따른 다른 목적 들은 그 기재로부터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증발기(E)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작동하는 작동판(12)과 상기 작동판(12)에 접촉되어 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치(13)로 이루어지는 차압 작동 스위치(10)와, 상기 차압 작동 스위치(10)가 내장되고 증발기(E)에 설치되는 하우징(H)과 상기 하우징(H)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차압 작동 스위치(10)를 가열하는 히팅부(HE)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H)은 중공 형상이고 양 측면은 개방되어 공기가 증발기(E)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히팅부(HE)는 상기 하우징(H)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스위치(13)가 안착되는 제1히팅부(130)와, 상기 하우징(H)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작동판(12)이 안착되는 제2히팅부(140)를 포함하는 제상 시점 검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기 제1히팅부(130)는 상기 하우징(H)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스위치(13)가 안착되는 제1히팅부 본체(131)와 상기 제1히팅부 본체(131)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히터가 수용되는 히터 장착공(132)을 포함하고, 상기 제2히팅부(140)는 상기 하우징(H) 내부에 폭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작동판(12)이 안착되는 제2히팅부 본체(141)와 상기 제2히팅부 본체(141) 내부에 폭 방향으로 형성되어 히터가 수용되는 히터 장착공(142)을 포함한다.
상기에서, 상기 하우징(H)은 중공의 반 원통 형상인 베이스(110)와 상기 베이스(110)의 양 측단에 형성되는 링 형상의 전방 링(160) 및 후방 링(170)과 상기 베이스(110)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전방 링(160) 및 후방 링(170) 사이에 끼움되는 결합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120)는 중공의 반 원통 형상을 가지고 상기 베이스(110)에 결합되어 원통형상을 형성한다.
상기에서, 상기 베이스(110)는 특정 두께를 가지고 중공의 반 원통 형상인 베이스 본체(111)와, 상기 베이스 본체(111)의 두께면에 돌출되는 결합 돌출부(117)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120)는 상기 베이스 본체(111)의 두께면에 결합하여 중공의 원통 형상을 이루는 결합부 본체(121)와 상기 결합부 본체(121)의 두께면에 요홈되어 상기 결합 돌출부(117)가 삽입되는 결합홈(122)을 포함한다.
상기에서, 상기 전방 링(160)에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유량 조절부(1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방 링(160)은 링 형상이고 상기 베이스(110)의 베이스 본체(111) 일 측단에 형성되는 전방 링 본체(161)와 상기 전방 링 본체(161) 내부에 폭 방향으로 형성되는 브릿지(162)와 상기 브릿지(162)에서 돌출하는 돌출부(163)를 포함하며, 상기 유량 조절부(150)는 판체 형상의 유량 조절부 본체(151)와 상기 유량 조절부 본체(151)에 폭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63)가 삽입되는 안내 슬릿(152)을 포함한다.
상기에서, 상기 전방 링 본체(161)의 상측 및 하측에는 유량 조절부(150) 방향으로 돌출하는 상부 가이드(164) 및 하부 가이드(165)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상부 가이드(164)의 저면 및 하부 가이드(165)의 상면은 평탄하게 형성되며, 상기 유량 조절부 본체(151)의 상단과 하단은 평탄하게 각각 형성되어 상기 유량 조절부 본체(151)의 상단은 상기 상부 가이드(164)의 저면에 접하고, 상기 유량 조절부 본체(151)의 하단은 상기 하부 가이드(165)의 상면에 접한다.
상기에서, 상기 돌출부(163)와 안내 슬릿(152)의 하측 두께면 사이에 배치되는 이송부(3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300)는 상기 안내 슬릿(152)의 하측 두께면에 안내 슬릿(152) 방향으로 배치되는 레일(340)과 상기 레일(34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돌출부(163)의 하측에 고정되는 슬라이더(310)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310)는 ∩형상을 가지고 레일(340)을 내부에 수용하는 슬라이더 본체(311)와, 상기 슬라이더 본체(311)의 양측 수직부(311-2)의 내측면에 요홈되는 부하 전주홈(312)과, 상기 양측 수직부(311-2)의 두께부에 빈 공간으로 형성되는 귀환 전주공(313)을 포함하고, 상기 레일(340)은 사각형 단면의 레일 본체(341)와 상기 레일 본체(341) 양 측에 요홈되고 상기 부하 전주홈(312)과 동일 높이에 형성되는 레일 전주홈(342)을 포함하며, 상기 부하 전주홈(312)과 레일 전주홈(342)으로 형성된 공간과 상기 귀환 전주공(313)의 공간에 볼 리테이너(330)가 배치된다.
상기에서, 상기 볼 리테이너(330)는 상기 부하 전주홈(312)과 레일 전주홈(342)으로 형성된 공간과 상기 귀환 전주공(313)의 공간을 통해 이동하는 다수 개의 볼(B)과, 상기 볼(B)과 볼(B) 사이에 설치되는 제1연결부(332) 및 제2연결부(333)와, 상기 볼(B)의 이동 방향 양 측에 배치되어 상기 볼(B)의 양측에 부착되는 홀더(331)를 포함하되, 상기 제1연결부(332)와 제2연결부(333)는 번갈아 배치되고, 상기 홀더(331)는 상기 제1연결부(332)와 제2연결부(333)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홀더(331)는 원판 형상이고 상기 볼(B)에 접하는 부분은 특정 곡률로 요홈되어 상기 볼(B)이 밀착되며, 상기 제1연결부(332)는 길이 방향 양 측단이 요홈되어 상기 볼(B)이 접하고, 상기 제2연결부(333)는 인접하는 홀더(331)사이를 연결하고 바아 형상이되 일정 간격 분리되고, 그 사이에 코일 스프링부(334)가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에서, 상기 코일 스프링부(334)가 설치되는 볼(B) 사이 공간에 제1절곡 스프링부(335)와 제2절곡 스프링부(336)가 볼(B)의 폭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호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절곡 스프링부(335)는 상기 볼(B)을 하향 관통하는 바아 형상의 제1관통부(335-A)와 상기 제1관통부(335-A)의 하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수평부(335-1)와 상기 제1수평부(335-1)의 끝단에서 상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수직부(335-2)와 상기 제1수직부(335-2)의 상단부에서 인접하는 볼(B) 방향으로 수평 방향 절곡되는 제2수평부(335-3)와 상기 제2수평부(335-3)의 끝단에서 하방향으로 절곡되는 제2수직부(335-4)와 상기 제2수직부(335-4)의 하단에서 인접하는 볼(B) 방향으로 수평 방향 절곡되는 제3수평부(335-5)와 상기 제3수평부(335-5)의 인접하는 볼(B) 방향 끝단에서 상방향 절곡되는 제3수직부(335-6)와 상기 제3수직부(335-6)의 상단부에서 인접하는 볼(B) 방향으로 수평 방향 절곡되는 제4수평부(335-7)와 상기 제4수평부(335-7)의 인접하는 볼(B) 방향 끝단에서 하방향으로 절곡되는 제4수직부(335-8)와 상기 제4수직부(335-8)의 하단에서 인접하는 볼(B) 방향으로 수평 방향 절곡되는 제5수평부(335-9)와, 상기 제5수평부(335-9)의 인접하는 볼(B) 방향 끝단에서 상방향 절곡되고 인접하는 볼(B)을 상방향으로 관통하는 제2관통부(335-E)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절곡 스프링부(336)은 제1절곡 스프링(335)에 대해 상하 방향 대칭으로 형성된다.
상기에서, 상기 제1절곡 스프링부(335)의 하측에 설치되는 제1고정판(337)과 상기 제2절곡 스프링부(336)의 상측에 설치되는 제2고정판(338)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고정판(337)은 판체 형상의 제1고정판 본체(337-1)와 상기 제1고정판 본체(337-1)의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중앙 슬롯(337-2)와 상기 제1고정판 본체(337-1)의 양 측면에 요홈된 제1측면 슬롯(337-3) 및 제2측면 슬롯(337-4)을 포함하고, 상기 제1고정판(337)의 중앙 슬롯(337-2)에는 상기 제1절곡 스프링부(335)의 제3수평부(335-5)가 삽입되고, 상기 제1측면 슬롯(337-3)에는 상기 제1수직부(335-2)와 제1수평부(335-1)가 삽입되며, 상기 제2측면 슬롯(337-4)에는 상기 제4수직부(335-8)과 제5수평부(335-9)가 삽입되며, 상기 제2고정판(338)은 판체 형상의 제2고정판 본체(338-1)와 상기 제2고정판 본체(338-1)의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중앙 슬롯(338-2)와 상기 제2고정판 본체(338-1)의 양 측면에 요홈된 제1측면 슬롯(338-3) 및 제2측면 슬롯(338-4)을 포함하고, 상기 제2고정판(338)의 중앙 슬롯(338-2)에는 상기 제2절곡 스프링부(336)의 제3수평부(336-5)가 삽입되고, 상기 제1측면 슬롯(338-3)에는 제1수직부(336-2)와 제1수평부(336-1)가 삽입되며, 상기 제2측면 슬롯(337-4)에는 제4수직부(336-8)과 제5수평부(336-9)가 삽입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해 저온에서도 상기 작동판과 스위치가 얼지 않도록 하여 정확한 제상 시점을 포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제상시점검출장치가 증발기에 구비된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2 및 도 3은 종래의 제상시점검출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상시점검출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A-A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상시점검출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상시점검출장치의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의 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더와 레일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의 볼 리테이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의 볼 리테이너 중 볼과 절곡 스프링부 및 고정판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 리테이너 중 제1절곡 스프링부와 제1고정판만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 리테이너 중 제2절곡 스프링부와 제2고정판만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상 시점 검출 장치(100)는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발기(E)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작동하는 작동판(12)과 상기 작동판(12)에 접촉되어 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치(13)로 이루어지는 차압 작동 스위치(10)와, 상기 차압 작동 스위치(10)가 내장되고 증발기(E)에 설치되는 하우징(H)과 상기 하우징(H)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차압 작동 스위치(10)를 가열하는 히팅부(HE)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하우징(H)은 중공 형상이고 양 측면은 개방되어 공기가 증발기(E)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유입되는 공기는 작동판(12)을 가압하여 스위치(13)를 터치하게 된다. 상기 작동판(12)이 스위치(13)를 터치하면 상기 스위치(13)에서 신호가 발생하여 제어부(CON)로 전달된다. 상기 제어부(CON)가 신호를 전달받으면 제상 작용을 시작한다. 한편, 상기 작동판(12)과 스위치(13) 그리고 제어부(CON)는 상술한 종래 기술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상기 히팅부(HE)는 상기 하우징(H)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스위치(13)가 안착되는 제1히팅부(130)와, 상기 하우징(H)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작동판(12)이 안착되는 제2히팅부(140)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1히팅부(130)에 의해 스위치(13)를 가열하고, 제2히팅부(140)에 의해 작동판(12)을 가열한다. 이러한 히팅부(HE)에 의해 스위치(13)와 작동판(12)이 얼지 않도록 하여 종래보다 정확한 제상 시점을 포착할 수 있다.
상기 제1히팅부(130)는 상기 하우징(H)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스위치(13)가 안착되는 제1히팅부 본체(131)와 상기 제1히팅부 본체(131)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히터가 수용되는 히터 장착공(132)을 포함한다. 상기 히터는 상기 히터 장착공(132)에 구비되어 열을 발생할 수 있는 것인 한, 어떠한 것을 사용하더라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전기 저항을 이용하여 열을 발생하는 히팅 코일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제2히팅부(140)는 상기 하우징(H) 내부에 폭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작동판(12)이 안착되는 제2히팅부 본체(141)와 상기 제2히팅부 본체(141) 내부에 폭 방향으로 형성되어 히터가 수용되는 히터 장착공(142)을 포함한다. 상기 제2히팅부(140)의 경우도 상기 히터는 상기 히터 장착공(142)에 구비되어 열을 발생할 수 있는 것인 한 어떠한 것을 사용하더라도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상기 하우징(H)은 상기 작동판(12)과 스위치(13) 그리고 히팅부(HE)가 내부에 수용되는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의 반 원통 형상인 베이스(110)와 상기 베이스(110)의 양 측단에 형성되는 링 형상의 전방 링(160) 및 후방 링(170)과 상기 베이스(110)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전방 링(160) 및 후방 링(170) 사이에 끼움되는 결합부(120)를 포함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10)의 양 측단 중 도면상 좌측에 전방 링(160)이 배치되고 도면상 우측에 후방 링(170)이 배치된다. 결합부(120)는 상기 전방 링(160)과 후방 링(170) 사이에 끼움되고 베이스(110)의 상측에 배치되어 결합된다.
상기 결합부(120)는 베이스(110)와 유사하게 중공의 반 원통 형상을 가지고 상기 베이스(110)에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중공의 원통형상을 형성한다.
상기 베이스(110)는 특정 두께를 가지고 중공의 반 원통 형상인 베이스 본체(111)와, 상기 베이스 본체(111)의 두께면(111a)에 돌출되는 결합 돌출부(117)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120)는 상기 베이스 본체(111)의 두께면(111a)에 결합하여 중공의 원통 형상을 이루는 결합부 본체(121)와 상기 결합부 본체(121)의 두께면에 요홈되어 상기 결합 돌출부(117)가 삽입되는 결합홈(122)을 포함한다.
상기 결합 돌출부(117)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본체(111)의 두께면에서 상방향 돌출되고, 판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베이스 본체(111)의 폭 방향 한 쌍의 두께면(111a) 중 일 측(도면상 상부측)의 두께면(111a)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홈(122)은 결합부 본체(121)의 하단에서 내측 방향 일 부분이 제거되어 요홈되게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결합홈(122)에 결합 돌출부(117)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본체(111)의 두께면(111a) 중 중앙 부분에 결합 돌출부(117)가 형성되어 외측 부분에 빈 공간(118)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 본체(121)의 하단이 안착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우징(H)을 통해 공기가 증발기(E)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전방 링(160)에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유량 조절부(150)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전방 링(160)은 링 형상이고 상기 베이스(110)의 베이스 본체(111) 일 측단에 형성되는 전방 링 본체(161)와 상기 전방 링 본체(161) 내부에 폭 방향으로 형성되는 브릿지(162)와 상기 브릿지(162)에서 돌출하는 돌출부(16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유량 조절부(150)는 판체 형상의 유량 조절부 본체(151)와 상기 유량 조절부 본체(151)에 폭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63)가 삽입되는 안내 슬릿(152)을 포함한다.
즉, 상기 안내 슬릿(152)에 돌출부(163)가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유량 조절부 본체(151)를 이동하면 상기 유량 조절부 본체(151)가 폭 방향으로 이동한다. 만일 상기 유량 조절부 본체(151)가 전방 링 본체(161)의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편중 이동하면 상기 유량 조절부 본체(151)에 의해 전방 링 본체(161)가 막히는 면적이 감소하여 전방 링(160) 측으로 유입하는 공기의 양이 증가한다. 반대로 상기 유량 조절부 본체(151)가 전방 링 본체(161)의 중앙에 위치하면 전방 링 본체(161)의 많은 부분이 유량 조절부 본체(151)에 의해 막히게 되어 전방 링(160) 측으로 유입하는 공기의 양이 감소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유량 조절부(150)에 의해 하우징(H) 내부로 유입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한다.
한편, 상기 유량 조절부 본체(151)의 이동을 원활하게 안내하기 위해 상기 전방 링 본체(161)의 상측 및 하측에는 유량 조절부(150) 방향으로 돌출하는 상부 가이드(164) 및 하부 가이드(165)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상부 가이드(164)의 저면 및 하부 가이드(165)의 상면은 평탄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유량 조절부 본체(151)의 상단과 하단은 평탄하게 각각 형성되어 상기 유량 조절부 본체(151)의 상단은 상기 상부 가이드(164)의 저면에 접하고, 상기 유량 조절부 본체(151)의 하단은 상기 하부 가이드(165)의 상면에 접한다.
즉, 유량 조절부 본체(151)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상단 평탄부(151a)는 상부 가이드(164)의 저면(164a)에 접하고, 유량 조절부 본체(151)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하단 평탄부(151b)는 하부 가이드(165)의 상면(165a)에 접하여 유량 조절부 본체(151)의 정밀한 수평 이동을 구현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유량 조절부 본체(151)의 이동량에 따라 유량 조절 량이 변경되므로 상기 유량 조절부 본체(151)의 이동량을 정밀하게 제어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유량 조절부 본체(151) 중 전방 링(160) 방향 측면에 형성되고 안내 슬릿(152)의 상하측에 안내 슬릿(152) 방향으로 다수개 배치되며 각각 요홈되는 위치 결정홈(159)과 브릿지(162) 중 유량 조절부(150) 방향 측면에 상기 안내 슬릿(152) 방향으로 다수개 배치되며 각각 돌출되어 상기 위치 결정홈(159)에 삽입되는 위치 결정 돌기(169)를 포함한다.
즉, 유량 조절부 본체(151)의 이동에 따라 위치 결정 돌기(169)가 위치 결정홈(159)에 삽입되며 상기 위치 결정 돌기(169)와 위치 결정홈(159)의 간격에 따라 유량 조절부 본체(151)의 이동량이 조절되므로 보다 편리하게 유량 조절부 본체(151)의 이동량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10)와 결합부(120)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상기 결합부(120)의 결합부 본체(121) 일 측에 볼트 등과 같은 고정구(도시되지 않음)가 삽입되기 위한 고정구 삽입 공간(123)과 상기 고정구 삽입 공간(123)의 바닥면에 관통되는 관통공(121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110)의 두께면(111a)에 고정공(111b)이 형성된다. 고정구는 상기 관통공(121a)을 관통한 후 고정공(111b)에 삽입되어 결합부(120)와 베이스(110)가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한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히팅부(130) 상에 스위치(13)가 배치되고 제2히팅부(140) 상에 작동판(12)이 배치된다. 상기 제1히팅부(130)와 제2히팅부(140)에 의해 스위치(13)와 작동판(12)이 어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스위치(13)는 제어부(CON)에 연결되어 신호가 전달되며, 상기 제어부(CON)는 하우징(H) 내부에 배치되고 외부로 배선이 연결되어 증발기 등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는 널리 알려진 기술인 관계로 자세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반대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판(12)이 제1히팅부(130)의 반대측 방향의 제2히팅부(140)상에 배치될 수 있고,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판(12)과 스위치(13)는 두 쌍으로 구비되어 한 쌍은 제1히팅부(130)에 배치되고 나머지 한 쌍은 반대측인 제2히팅부(140)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치(13)가 연결되는 제어부(CON)가 하우징(H) 내부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고,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CON)가 하우징(H) 외부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보 발명의 히팅부(HE)가 도 7A에 도시된 제어부(CON)에 의해 제어되는 것도 가능하고,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치(13)는 제어부(CON)에 의해 제어되고, 히팅부(HE)는 별도의 제어부(HCON)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HCON)는 상기 히팅부(HE)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여 히팅부(HE)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7D에서 상기 히팅부(HE)와 제어부(HCON)는 통상적인 배선에 의해 연결되며 이는 널리 알려진 구성인 관계로 자세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유량 조절부 본체(151)의 안내 슬릿(152)에 돌출부(163)가 삽입된 상태에서 유량 조절부 본체(151)가 안내 슬릿(152)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유량 조절부 본체(151)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도 8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송부(300)가 구비된다. 상기 이송부(300)는 상기 돌출부(163)의 저면과 안내 슬릿(152)의 하측 두께면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이송부(300)는 상기 안내 슬릿(152)의 하측 두께면에 안내 슬릿(152) 방향으로 배치되는 레일(340)과 상기 레일(34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돌출부(163)의 하측에 고정되는 슬라이더(31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슬라이더(310)는 ∩형상을 가지고 레일(340)을 내부에 수용하는 슬라이더 본체(311)와, 상기 슬라이더 본체(311)의 양측 수직부(311-2)의 내측면에 요홈되는 부하 전주홈(312)과, 상기 양측 수직부(311-2)의 두께부에 빈 공간으로 형성되는 귀환 전주공(313)을 포함한다. 상기 레일(340)은 사각형 단면의 레일 본체(341)와 상기 레일 본체(341) 양 측에 요홈되고 상기 부하 전주홈(312)과 동일 높이에 형성되는 레일 전주홈(342)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부하 전주홈(312)과 레일 전주홈(342)으로 형성된 공간과 상기 귀환 전주공(313)의 공간에 볼 리테이너(330)가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유량 조절부 본체(151)의 이동시 안내 슬릿(152)에 고정된 레일(340)이 돌출부(163)에 고정된 슬라이더(310)에 대해 상대 운동을 하여 유량 조절부 본체(151)의 정밀한 이송이 가능해지고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게 유량 조절부 본체(151)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볼 리테이너(330)는 상기 슬라이더 본체(311)의 양측 수직부(311-2)에 형성되는 부하 전주홈(312)과 레일(340)의 레일 전주홈(342)으로 이루어진 빈 공간인 볼 순환공(O)에 배치되어 레일(340)과 접촉하며 상기 볼 리테이너(330)의 접촉에 의해 슬라이더(310)가 원활하게 이동한다. 상기 볼 순환공(O)에 배치된 볼 리테이너(330)는 슬라이더(310)의 이동에 연동되어 이동되며 상기 귀환 전주공(313)으로 투입되어 무한 순환된다.
상술된 바와 같은 슬라이더(310)와 레일(340) 그리고 볼 순환공(O)과 귀환 전주공(313)을 통해 볼 리테이너(330)가 무한 순환하는 것은 널리 알려진 구성으로서, 예를 들어 일본 등록 특허 제4619226호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어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상기 슬라이더(310)와 돌출부(163)을 상호 고정하기 위해 상기 슬라이더(310)에 고정공(SO)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돌출부(163)에도 관통공(163a)이 형성된다. 볼트 등과 같은 고정구(도시되지 않음)가 상기 관통공(163a)을 관통한 후 고정공(SO)에 삽입되어 슬라이더(310)와 돌출부(163)가 상호 고정된다.
또한, 레일(340)을 상기 안내 슬릿(152)에 고정하기 위해 안내 슬릿(152)의 바닥면(152a)에 요홈부(152b)를 형성한 후 상기 레일(340)을 상기 요홈부(152b)를 안착사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유량 조절부 본체(151)가 이동하면 레일(340)이 연동되어 이동하되, 상기 돌출부(163)에 고정된 슬라이더(310)에 대해 상대 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 볼 리테이너(330)는 도 8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하 전주홈(312)과 레일 전주홈(342)으로 형성된 공간 즉, 볼 순환공(O)과 상기 귀환 전주공(313)의 공간을 통해 이동하는 다수 개의 볼(B)과, 상기 볼(B)과 볼(B) 사이에 설치되는 제1연결부(332) 및 제2연결부(333)와, 상기 볼(B)의 이동 방향 양 측에 배치되어 상기 볼(B)의 양측에 부착되는 홀더(331)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연결부(332)와 제2연결부(333)는 번갈아 배치되고, 상기 홀더(331)는 상기 제1연결부(332)와 제2연결부(333)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홀더(331)는 원판 형상이고 상기 볼(B)에 접하는 부분은 특정 곡률로 요홈되어 상기 볼(B)이 밀착된다. 상기 홀더(331)의 내측면 즉, 상기 볼(B)에 접촉하는 부분에는 원추 형상으로서 볼(B)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되는 자전 중심축(331-1)이 형성된다. 상기 자전 중심축(331-1)이 볼(B)에 삽입되어 볼(B)의 원활한 자전을 돕는다.
상기 제1연결부(332)는 길이 방향 양 측단이 요홈되어 상기 볼(B)이 접한다. 또한, 상기 제2연결부(333)는 인접하는 홀더(331) 사이를 연결하고 바아 형상이되 일정 간격 분리된다. 상기 분리된 제2연결부(333)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부(334)가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다. 즉, 상술된 바와 같이 볼 리테이너(330)는 상기 부하 전주홈(312)과 레일 전주홈(342)으로 형성된 공간 즉, 볼 순환공(O)과 상기 귀환 전주공(313)의 공간을 통해 이동한다. 상기 볼 리테이너(330)가 이동하는 동안 상기 볼(B)과 볼(B)사이의 간격이 증가하거나 감소할 수 있다. 이러한 볼(B)과 볼(B)사이 간격의 변동을 상기 코일 스프링부(334)가 흡수하여 볼 리테이너(330)의 원활한 이동을 돕는다.
상기 코일 스프링부(334)가 설치되는 볼(B) 사이 공간에 제1절곡 스프링부(335)와 제2절곡 스프링부(336)가 볼(B)의 폭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높이 방향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1절곡 스프링부(335)는 상기 볼(B)을 하향 관통하는 바아 형상의 제1관통부(335-A)와 인접하는 볼(B)을 상향 관통하는 제2관통부(335-E)를 포함한다. 상기 제1관통부(335-A)와 제2관통부(335-E)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요철된 형상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제1관통부(335-A)의 하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수평부(335-1)와 상기 제1수평부(335-1)의 끝단에서 상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수직부(335-2)와 상기 제1수직부(335-2)의 상단부에서 인접하는 볼(B) 방향으로 수평 방향 절곡되는 제2수평부(335-3)와 상기 제2수평부(335-3)의 끝단에서 하방향으로 절곡되는 제2수직부(335-4)와 상기 제2수직부(335-4)의 하단에서 인접하는 볼(B) 방향으로 수평 방향 절곡되는 제3수평부(335-5)와 상기 제3수평부(335-5)의 인접하는 볼(B) 방향 끝단에서 상방향 절곡되는 제3수직부(335-6)와 상기 제3수직부(335-6)의 상단부에서 인접하는 볼(B) 방향으로 수평 방향 절곡되는 제4수평부(335-7)와 상기 제4수평부(335-7)의 인접하는 볼(B) 방향 끝단에서 하방향으로 절곡되는 제4수직부(335-8)와 상기 제4수직부(335-8)의 하단에서 인접하는 볼(B) 방향으로 수평 방향 절곡되는 제5수평부(335-9)와, 상기 제5수평부(335-9)의 인접하는 볼(B) 방향 끝단에서 상방향 절곡되고 인접하는 볼(B)을 상방향으로 관통하는 제2관통부(335-E)를 포함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제1관통부(335-A)와 제2관통부(335-E) 사이에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어 볼(B)이 진동할 때 그 진동을 상쇄한다.
제2절곡 스프링부(336)는 제1절곡 스프링부(335)와 동일 형상이나 상하 방향 대칭된다.
즉,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상 좌측에 배치된 볼(B)에 제1절곡 스프링부(335)의 제1관통부(335-A)가 도면상 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배치되고, 제2절곡 스프링부(336)의 제2관통부(336-E)는 상기 볼(B)을 도면상 상방향으로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도면상 우측에 배치된 볼(B)에는 제1절곡 스프링부(335)의 제2관통부(335-E)가 상방향 관통되도록 배치되고, 제2절곡 스프링부(336)의 제1관통부(336-A)가 하방향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상술된 바와 같은 제1절곡 스프링부(335)와 제2절곡 스프링부(336)에 의해 볼(B)에 가해지는 진동을 감쇄한다.
한편, 상기 제1절곡부(335)와 제2절곡부(336)는 상술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 요철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절곡부(335)와 제2절곡부(336)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제1고정판(337)과 제2고정판(338)을 포함한다.
상기 제1고정판(337)은 상기 제1절곡 스프링부(335)의 하측에 설치되고, 제2고정판(338)은 상기 제2절곡 스프링부(336)의 상측에 설치된다.
상기 제1고정판(337)은 판체 형상의 제1고정판 본체(337-1)와 상기 제1고정판 본체(337-1)의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개방된 형상인 중앙 슬롯(337-2)와 상기 제1고정판 본체(337-1)의 양 측면에 요홈된 제1측면 슬롯(337-3) 및 제2측면 슬롯(337-4)을 포함한다. 상기 제1고정판(337)의 중앙 슬롯(337-2)에는 상기 제1절곡 스프링부(335)의 제3수평부(335-5)가 삽입되고, 상기 제1측면 슬롯(337-3)에는 상기 제1수직부(335-2)와 제1수평부(335-1)가 삽입되며, 상기 제2측면 슬롯(337-4)에는 상기 제4수직부(335-8)과 제5수평부(335-9)가 삽입된다. 즉, 상기 제1고정판(337)에 상기 제3수평부(335-5)와 제1수직부(335-2) 및 제1수평부(335-1) 그리고 제4수직부(335-8)와 제5수평부(335-9)가 삽입되어 요철된 형상이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제2고정판(338)은 제1고정판(337)과 유사한 형상을 가진다. 즉, 상기 제2고정판(338)은 판체 형상의 제2고정판 본체(338-1)와 상기 제2고정판 본체(338-1)의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개방된 형상인 중앙 슬롯(338-2)와 상기 제2고정판 본체(338-1)의 양 측면에 요홈된 제1측면 슬롯(338-3) 및 제2측면 슬롯(338-4)을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제2고정판(338)의 중앙 슬롯(338-2)에는 상기 제2절곡 스프링부(336)의 제3수평부(336-5)가 삽입되고, 상기 제1측면 슬롯(338-3)에는 제1수직부(336-2)와 제1수평부(336-1)가 삽입되며, 상기 제2측면 슬롯(337-4)에는 제4수직부(336-8)과 제5수평부(336-9)가 삽입되어 상기 제2절곡 스프링부(336)가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상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 베이스 110 : 베이스
120 : 결합부 121 : 결합부 본체
130 : 제1히팅부 140 : 제2히팅부
150 : 유량 조절부 160 : 전방 링
170 : 후방 링
300 : 이송부 310 : 슬라이더
311 : 슬라이더 본체 312 : 부하 전주홈
313 : 귀환 전주공 320 : 볼 스크류
330 : 볼 리테이너 331 : 홀더
332 : 제1연결부 333 : 제2연결부
334 : 코일 스프링부 335 : 제1절곡 스프링부
336 : 제2절곡 스프링부 337 : 제1고정판
338 : 제2고정판

Claims (10)

  1. 증발기(E)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작동하는 작동판(12)과 상기 작동판(12)에 접촉되어 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치(13)로 이루어지는 차압 작동 스위치(10)와, 상기 차압 작동 스위치(10)가 내장되고 증발기(E)에 설치되는 하우징(H)과 상기 하우징(H)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차압 작동 스위치(10)를 가열하는 히팅부(HE)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H)은 중공 형상이고 양 측면은 개방되어 공기가 증발기(E)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히팅부(HE)는 상기 하우징(H)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스위치(13)가 안착되는 제1히팅부(130)와, 상기 하우징(H)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작동판(12)이 안착되는 제2히팅부(140)를 포함하며,
    상기 제1히팅부(130)는 상기 하우징(H)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스위치(13)가 안착되는 제1히팅부 본체(131)와 상기 제1히팅부 본체(131)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히터가 수용되는 히터 장착공(132)을 포함하고,
    상기 제2히팅부(140)는 상기 하우징(H) 내부에 폭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작동판(12)이 안착되는 제2히팅부 본체(141)와 상기 제2히팅부 본체(141) 내부에 폭 방향으로 형성되어 히터가 수용되는 히터 장착공(142)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H)은 중공의 반 원통 형상인 베이스(110)와 상기 베이스(110)의 양 측단에 형성되는 링 형상의 전방 링(160) 및 후방 링(170)과 상기 베이스(110)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전방 링(160) 및 후방 링(170) 사이에 끼움되는 결합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120)는 중공의 반 원통 형상을 가지고 상기 베이스(110)에 결합되어 원통형상을 형성하는 제상 시점 검출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10)는 특정 두께를 가지고 중공의 반 원통 형상인 베이스 본체(111)와, 상기 베이스 본체(111)의 두께면에 돌출되는 결합 돌출부(117)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120)는 상기 베이스 본체(111)의 두께면에 결합하여 중공의 원통 형상을 이루는 결합부 본체(121)와 상기 결합부 본체(121)의 두께면에 요홈되어 상기 결합 돌출부(117)가 삽입되는 결합홈(122)을 포함하는 제상 시점 검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링(160)에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유량 조절부(1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방 링(160)은 링 형상이고 상기 베이스(110)의 베이스 본체(111) 일 측단에 형성되는 전방 링 본체(161)와 상기 전방 링 본체(161) 내부에 폭 방향으로 형성되는 브릿지(162)와 상기 브릿지(162)에서 돌출하는 돌출부(163)를 포함하며,
    상기 유량 조절부(150)는 판체 형상의 유량 조절부 본체(151)와 상기 유량 조절부 본체(151)에 폭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63)가 삽입되는 안내 슬릿(152)을 포함하는 제상 시점 검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링 본체(161)의 상측 및 하측에는 유량 조절부(150) 방향으로 돌출하는 상부 가이드(164) 및 하부 가이드(165)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상부 가이드(164)의 저면 및 하부 가이드(165)의 상면은 평탄하게 형성되며,
    상기 유량 조절부 본체(151)의 상단과 하단은 평탄하게 각각 형성되어 상기 유량 조절부 본체(151)의 상단은 상기 상부 가이드(164)의 저면에 접하고, 상기 유량 조절부 본체(151)의 하단은 상기 하부 가이드(165)의 상면에 접하는 제상 시점 검출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163)와 안내 슬릿(152)의 하측 두께면 사이에 배치되는 이송부(3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300)는 상기 안내 슬릿(152)의 하측 두께면에 안내 슬릿(152) 방향으로 배치되는 레일(340)과 상기 레일(34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돌출부(163)의 하측에 고정되는 슬라이더(310)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310)는 ∩형상을 가지고 레일(340)을 내부에 수용하는 슬라이더 본체(311)와, 상기 슬라이더 본체(311)의 양측 수직부(311-2)의 내측면에 요홈되는 부하 전주홈(312)과, 상기 양측 수직부(311-2)의 두께부에 빈 공간으로 형성되는 귀환 전주공(313)을 포함하고,
    상기 레일(340)은 사각형 단면의 레일 본체(341)와 상기 레일 본체(341) 양 측에 요홈되고 상기 부하 전주홈(312)과 동일 높이에 형성되는 레일 전주홈(342)을 포함하며,
    상기 부하 전주홈(312)과 레일 전주홈(342)으로 형성된 공간과 상기 귀환 전주공(313)의 공간에 볼 리테이너(330)가 배치되는 제상 시점 검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볼 리테이너(330)는 상기 부하 전주홈(312)과 레일 전주홈(342)으로 형성된 공간과 상기 귀환 전주공(313)의 공간을 통해 이동하는 다수 개의 볼(B)과, 상기 볼(B)과 볼(B) 사이에 설치되는 제1연결부(332) 및 제2연결부(333)와, 상기 볼(B)의 이동 방향 양 측에 배치되어 상기 볼(B)의 양측에 부착되는 홀더(331)를 포함하되,
    상기 제1연결부(332)와 제2연결부(333)는 번갈아 배치되고, 상기 홀더(331)는 상기 제1연결부(332)와 제2연결부(333)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홀더(331)는 원판 형상이고 상기 볼(B)에 접하는 부분은 특정 곡률로 요홈되어 상기 볼(B)이 밀착되며,
    상기 제1연결부(332)는 길이 방향 양 측단이 요홈되어 상기 볼(B)이 접하고,
    상기 제2연결부(333)는 인접하는 홀더(331)사이를 연결하고 바아 형상이되 일정 간격 분리되고, 그 사이에 코일 스프링부(334)가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상 시점 검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부(334)가 설치되는 볼(B) 사이 공간에 제1절곡 스프링부(335)와 제2절곡 스프링부(336)가 볼(B)의 폭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호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절곡 스프링부(335)는 상기 볼(B)을 하향 관통하는 바아 형상의 제1관통부(335-A)와 상기 제1관통부(335-A)의 하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수평부(335-1)와 상기 제1수평부(335-1)의 끝단에서 상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수직부(335-2)와 상기 제1수직부(335-2)의 상단부에서 인접하는 볼(B) 방향으로 수평 방향 절곡되는 제2수평부(335-3)와 상기 제2수평부(335-3)의 끝단에서 하방향으로 절곡되는 제2수직부(335-4)와 상기 제2수직부(335-4)의 하단에서 인접하는 볼(B) 방향으로 수평 방향 절곡되는 제3수평부(335-5)와 상기 제3수평부(335-5)의 인접하는 볼(B) 방향 끝단에서 상방향 절곡되는 제3수직부(335-6)와 상기 제3수직부(335-6)의 상단부에서 인접하는 볼(B) 방향으로 수평 방향 절곡되는 제4수평부(335-7)와 상기 제4수평부(335-7)의 인접하는 볼(B) 방향 끝단에서 하방향으로 절곡되는 제4수직부(335-8)와 상기 제4수직부(335-8)의 하단에서 인접하는 볼(B) 방향으로 수평 방향 절곡되는 제5수평부(335-9)와, 상기 제5수평부(335-9)의 인접하는 볼(B) 방향 끝단에서 상방향 절곡되고 인접하는 볼(B)을 상방향으로 관통하는 제2관통부(335-E)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절곡 스프링부(336)은 제1절곡 스프링(335)에 대해 상하 방향 대칭으로 형성되는 제상 시점 검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곡 스프링부(335)의 하측에 설치되는 제1고정판(337)과 상기 제2절곡 스프링부(336)의 상측에 설치되는 제2고정판(338)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고정판(337)은 판체 형상의 제1고정판 본체(337-1)와 상기 제1고정판 본체(337-1)의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중앙 슬롯(337-2)와 상기 제1고정판 본체(337-1)의 양 측면에 요홈된 제1측면 슬롯(337-3) 및 제2측면 슬롯(337-4)을 포함하고,
    상기 제1고정판(337)의 중앙 슬롯(337-2)에는 상기 제1절곡 스프링부(335)의 제3수평부(335-5)가 삽입되고, 상기 제1측면 슬롯(337-3)에는 상기 제1수직부(335-2)와 제1수평부(335-1)가 삽입되며, 상기 제2측면 슬롯(337-4)에는 상기 제4수직부(335-8)과 제5수평부(335-9)가 삽입되며,
    상기 제2고정판(338)은 판체 형상의 제2고정판 본체(338-1)와 상기 제2고정판 본체(338-1)의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중앙 슬롯(338-2)와 상기 제2고정판 본체(338-1)의 양 측면에 요홈된 제1측면 슬롯(338-3) 및 제2측면 슬롯(338-4)을 포함하고,
    상기 제2고정판(338)의 중앙 슬롯(338-2)에는 상기 제2절곡 스프링부(336)의 제3수평부(336-5)가 삽입되고, 상기 제1측면 슬롯(338-3)에는 제1수직부(336-2)와 제1수평부(336-1)가 삽입되며, 상기 제2측면 슬롯(337-4)에는 제4수직부(336-8)과 제5수평부(336-9)가 삽입되는 제상 시점 검출 장치.
KR1020180036425A 2018-03-29 2018-03-29 제상 시점 검출 장치 KR1019193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425A KR101919378B1 (ko) 2018-03-29 2018-03-29 제상 시점 검출 장치
PCT/KR2019/003698 WO2019190260A1 (ko) 2018-03-29 2019-03-29 제상 시점 검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425A KR101919378B1 (ko) 2018-03-29 2018-03-29 제상 시점 검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9378B1 true KR101919378B1 (ko) 2018-11-19

Family

ID=64561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6425A KR101919378B1 (ko) 2018-03-29 2018-03-29 제상 시점 검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19378B1 (ko)
WO (1) WO2019190260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72278A (ja) 2001-06-13 2002-12-26 Mitsubishi Electric Corp 換気乾燥機
KR100674180B1 (ko) 2006-06-01 2007-01-24 양승덕 냉난방장치용 증발열교환기의 풍압제상시점검출장치
KR101056637B1 (ko) * 2011-04-13 2011-08-12 양성준 양방향 풍압 검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5335Y2 (ja) * 1990-11-01 1995-12-20 日本コントロール工業株式会社 流量形電磁ポンプの流量調整装置
KR101535482B1 (ko) * 2008-04-15 2015-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72278A (ja) 2001-06-13 2002-12-26 Mitsubishi Electric Corp 換気乾燥機
KR100674180B1 (ko) 2006-06-01 2007-01-24 양승덕 냉난방장치용 증발열교환기의 풍압제상시점검출장치
KR101056637B1 (ko) * 2011-04-13 2011-08-12 양성준 양방향 풍압 검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90260A1 (ko) 2019-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687626A (en) Heat exchanger having open-sided bore superimposed on closed bore
US8375727B2 (en) Cooling device
US6910340B2 (en) Airflow control device
KR101919378B1 (ko) 제상 시점 검출 장치
CN108351136B (zh) 制冷装置
US7140391B2 (en) Multiway valve
AU2019436796B2 (en) Air-conditioning apparatus
CN106321937A (zh) 四通阀和空调装置
JPH08327169A (ja) 冷凍装置
CN104697121B (zh) 多联机系统中室内机的控制方法和多联机系统
CN213300247U (zh) 空调室内机以及具有其的空调器
CN209399834U (zh) 一种热开关
KR100701953B1 (ko) 냉장고의 해동실유닛
CN208952376U (zh) 空调系统及其制冷剂节流降噪装置
CN208952458U (zh) 一种除霜空调器
KR102124830B1 (ko) 공기 조화기
CN109520368A (zh) 一种热开关
KR101523382B1 (ko) 냉매가열장치
JP6559041B2 (ja) 電磁式四方切換弁及びそれを備えた冷凍サイクル
CN113939702B (zh) 用于检测水冰形成的装置
KR101695519B1 (ko) 차량용 증발기의 온도센서 홀딩장치
Bach et al. Application of a hybrid control of expansion valves to a 3-ton large room cooling system
CN109114793A (zh) 空调系统及其制冷剂节流降噪装置
WO2023188059A1 (ja) 取付構造、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
US2298164A (en) Contro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