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9326B1 - Air cleaner - Google Patents
Air clea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19326B1 KR101919326B1 KR1020160067742A KR20160067742A KR101919326B1 KR 101919326 B1 KR101919326 B1 KR 101919326B1 KR 1020160067742 A KR1020160067742 A KR 1020160067742A KR 20160067742 A KR20160067742 A KR 20160067742A KR 101919326 B1 KR101919326 B1 KR 10191932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ace
- air
- upper cover
- cover
- hollow fi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 B01D46/0019—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62B23/025—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the filter having substantially the shape of a mask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5/00—Devices for storing or holding or carrying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10—Respiratory apparatus with filter element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12—Respiratory apparatus with fresh-air hose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4—Couplings; Supporting fram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4—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or filter hea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B01D63/024—Hollow fibre modules with a single potted en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8—Hollow fibre membra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일 측면에 따른 공기정화기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 및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 내부를 제1공간과 제2공간으로 구획하며,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다수의 유동홀이 형성된 구획부; 상기 제1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팬; 및 상기 제2공간에 구비되는 필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팬에 의해 제1공간으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다수의 유동홀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일차적으로 필터링되고, 상기 다수의 유동홀을 통과한 공기는 상기 필터부재에 의해 이차적으로 필터링된다.An air purifier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n inlet through which air flows and an outlet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A partition which divides the inside of the main body into a first space and a second space and has a plurality of flow holes through which air can pass; A suction fan installed in the first space and sucking air into the main body; And a filter member provided in the second space, the air introduced into the first space by the suction fan is primarily filtered in the process of passing through the plurality of flow holes, and the air passing through the plurality of flow holes Air is secondarily filtered by the filter element.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기정화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ier.
실내공간은 밀폐되어 환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생활 중에 발생되는 먼지로 인해 실내공기가 쉽게 오염된다.Because the indoor space is not easily ventilated, indoor air is easily polluted by the dust generated in daily life.
실내공기가 오염되면 여러 가지 건강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생활의 불쾌감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근래에는 건강을 보호하는 동시에 쾌적한 생활을 느낄 수 있도록 공기정화장치의 설치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Since the indoor air is polluted, various health problems may occur, and since the user may feel uncomfortable feeling of life, the installation of the air purifier is increasing in recent years in order to protect the health and feel comfortable life.
공기정화장치는 통상 부직포 형태의 필터를 끼워 송풍팬에 의해 실내공기를 순환시키는 형태로 시각적으로 보여지는 이물질을 부직포 형태의 필터에서 여과하도록 구성되었다.The air purifier is configured to filter foreign materials visually seen in the form of circulating indoor air by a blowing fan through a nonwoven filter in a nonwoven fabric filter.
실내공기에는 시각적으로 확인가능한 미리미터(mm)의 오염물질부터 시각적으로 확인 불가능한 수십 미크론에 이르는 오염물질, 그리고 다양한 세균 등이 존재하므로, 이들을 모두 여과할 수 있는 에어 필터 기술개발이 진행되고 있다.There are air pollutants in the range of millimeters (mm) visually verifiable from the visually recognizable indoor air to tens of microns, which can not be visually confirmed, and a variety of bacteria. Therefore, development of an air filter technology capable of filtering all of them is proceeding.
이러한 기술 개발의 일례로는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1-0090539호(2011.8.10 공개)의 "공기 살균정화 장치"가 있다. An example of such technology development is the "Air sterilization purification device" of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1-0090539 (Published on Aug. 10, 2011).
한편, 기존의 공기정화장치는 부피가 크므로 휴대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existing air purifiers have a disadvantage that they are difficult to carry because they are bulky.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휴대가 간편하며, 별도의 전원 없이도 공기 정화가 가능한 공기정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purifier which is easy to carry and which can purify air even without a separate power source,
일 측면에 따른 공기정화기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 및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 내부를 제1공간과 제2공간으로 구획하며,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다수의 유동홀이 형성된 구획부; 상기 제1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팬; 및 상기 제2공간에 구비되는 필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팬에 의해 제1공간으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다수의 유동홀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일차적으로 필터링되고, 상기 다수의 유동홀을 통과한 공기는 상기 필터부재에 의해 이차적으로 필터링된다.An air purifier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n inlet through which air flows and an outlet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A partition which divides the inside of the main body into a first space and a second space and has a plurality of flow holes through which air can pass; A suction fan provided in the first space and sucking air into the main body; And a filter member provided in the second space, the air introduced into the first space by the suction fan is primarily filtered in the process of passing through the plurality of flow holes, and the air passing through the plurality of flow holes Air is secondarily filtered by the filter element.
상기 필터부재는 미세 기공이 형성된 중공사막 다발과 상기 중공사막 다발을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중공사막에서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The filter member may include a hollow fiber membrane bundle having micropores formed therein and a fixing unit for fixing the bundle of hollow fiber membranes, and a discharge unit through which the purified air is discharged from the hollow fiber membrane may be formed in the fixing unit.
상기 고정부는 상기 본체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부에 형성된 배출부는 상기 본체에 형성된 배출구와 연통될 수 있다.The fixing portion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and the discharge portion formed in the fixing portion can communicate with the discharge port formed in the main body.
상기 본체에는 외주면으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된 배출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배출구는 상기 배출공간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space formed by being recesse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discharge port can be formed inside the discharge space.
상기 다수의 유동홀은 상기 구획부의 테두리부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flow holes may be formed along a rim of the partition.
상기 공기정화기는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공간을 커버하기 위한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재는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The air cleaner may further include a cover member provided on the body to cover the discharge space, and the cover member may be slidably mounted.
상기 공기정화기는 상기 유입구가 외부 오염물질로부터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개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ir purifier may further include an opening / closing unit for preventing the inlet from being contaminated by external contaminants.
상기 본체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main body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상기 공기정화기는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후크연결고리 또는 스트랩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ir cleaner may further include a hook connecting ring or a strap provided on the main body.
다른 측면에 따른 공기정화기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 및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필터부재; 상기 본체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팬;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어 상기 필터부재에서 정화된 공기를 착용자에게 공급하기 위한 마스크; 및 상기 배출구와 상기 마스크를 연결하는 연결호스를 포함한다.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other aspect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n inlet through which air flows and an outlet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A filter member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and disposed between the inlet and the outlet, the filter member for purifying the air flowing into the inlet; A suction fan for sucking air into the main body; A mask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port to supply purified air from the filter member to the wearer; And a connection hose connecting the discharge port and the mask.
상기 공기정화기는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팬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ir purifier may further include a battery provided in the main body for supplying power to the suction fan, and a charging terminal for charging the battery.
상기 공기정화기는 상기 충전단자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부가 구비되는 충전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충전모듈에 의해 지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air purifier further includes a charging module connected to the charging terminal to supply power to the main body, and the main body can be supported by the charging module.
상기 공기정화기는 상기 충전모듈에 구비되며, 상기 마스크를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마스크 보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ir purifier may further include a mask storage unit that is provided in the charging module and in which a space for storing the mask is formed.
상기 공기정화기는 상기 마스크 보관부에 구비되어 상기 마스크를 살균하기 위한 살균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ir purifier may further include a sterilizing device provided in the mask storage part for sterilizing the mask.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기는 크기가 작고 가벼워 휴대가 간편한 장점이 있다.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it is small in size and light in weight and easy to carry.
또한, 상기 공기정화기의 내부유로가 다수개로 절곡됨으로써 유로의 길이가 길어져 정수효과가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Further, since the internal flow path of the air purifier is bent into a plurality of internal flow paths, the length of the flow path is increased, and the purification effect is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정화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공기정화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공기정화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상부커버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구획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필터부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2의 개폐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공기정화기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공기정화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의 공기정화기가 충전모듈에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마스크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마스크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마스크의 전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15는 도 8의 공기정화기 및 도 12의 마스크의 사용 예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다공층이 형성된 중공사막을 전자현미경 700배율로 살펴본 사진이다.
도 17는 본 발명에 따라 친수성 필러를 코팅하여, 기공이 친수성 필러로 메워진 상태의 중공사막을 전자현미경 3000배율로 살펴본 사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중공사막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를 보인 순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ir purifier of FIG.
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air purifier of FIG.
Fig. 4 is a bottom view of the upper cover of Fig. 2; Fig.
Fig. 5 is a view showing the compartment of Fig. 2. Fig.
FIG. 6 is a view showing the filter member of FIG. 2. FIG.
FIG. 7 is a view showing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of FIG. 2. FIG.
8 is a front view of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ir purifier of Fig.
10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air purifier of FIG. 8 is mounted on the charging module.
11 is a side view of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sk of Fig.
1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mask of Fig.
FIG. 14 is a front view and a rear view of the mask of FIG. 12;
Fig. 15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use of the air purifier of Fig. 8 and the mask of Fig. 12;
16 is a photograph of a hollow fiber membrane having a porous layer form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an electron microscope of 700 magnification.
17 is a photograph of a hollow fiber membrane coated with a hydrophilic fi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having pores filled with a hydrophilic filler at an electron microscope of 3000 magnifications.
18 is a flowchart show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hollow fiber membr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difference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conclusiv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Quo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Quo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정화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공기정화기의 분해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ir purifier of FIG. 1.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정화기(100)는 상부커버(10)와, 하부커버(20) 및 필터부재(5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1 and 2, an
상기 상부커버(10)와 상기 하부커버(20)는 서로 상하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부커버(10)와 상기 하부커버(20)의 결합체를 본체라 이름할 수 있다. The
상기 상부커버(10)와 상기 하부커버(20)는 각각 내부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커버(10)와 상기 하부커버(20)의 결합체인 본체 내부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필터부재(50)는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The filter member (50) can be receiv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main body.
상기 하부커버(20)에는 오염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커버(10)에는 상기 필터부재(50)에 의해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상부커버(10)의 배출구는 배출공간(13)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출공간(13)은 상기 상부커버(10)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상부커버(10)의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공간(13)에는 상기 배출구에 연결되는 호스 등이 수용될 수 있다.The discharge port of the
상기 배출구에 연결된 호스에는 방독면 등에 구비된 것과 같은 마스크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마스크를 착용한 후 상기 공기정화기(100)에 의해 정화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The hose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may be provided with a mask such as that provided on a gas mask. Accordingly, the user can suck the air purified by the
상기 필터부재(50)는 중공사막(51)(hollow fiber membrane) 다발 및 고정부(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공사막(51) 다발은 도시된 것과 같이 나선형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와 같은 구성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상기 중공사막(51)은 다수의 미세 기공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미세 기공을 이용하여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The
상기 중공사막(51)은 상기 고정부(53)에 고정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중공사막(51)의 양단은 접착제에 의해 상기 고정부(53)에 고정될 수 있으나, 이와 같은 구성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상기 중공사막(51)의 세부구성에 대한 내용은 도 16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The details of the
상기 공기정화기(100)는 외부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팬(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팬(30)은 상기 하부커버(20)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기정화기(100)는 상기 흡입팬(30)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배터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는 별도로 충전 가능하며, 이에 따라 상기 공기정화기(100)를 휴대용으로 이용 가능하다.The
상기 공기정화기(100)는 상기 흡입팬(30)와 상기 필터부재(50) 사이에 배치되는 구획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구획부(40)는 상기 상부커버(10)와 상기 하부커버(2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 내부 공간은 두 개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The
상기 구획부(40)의 하측 공간을 제1공간이라 이름하고, 상기 구획부(40)의 상측 공간을 제2공간이라 이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흡입팬(30)는 제1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필터부재(50)는 제2공간에 배치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The lower space of the
상기 구획부(40)에는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다수의 유동홀(4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유동홀(43)은 상기 구획부(40)의 테두리부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은 구성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상기 제1공간으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구획부(40)의 다수의 유동홀(43)이 형성된 테두리부를 따라 방사상으로 이동될 수 있다.The air introduced into the first space may be radially moved along the rim where the plurality of flow holes (43) of the partition (40) are formed.
상기 공기정화기(100)는 상기 하부커버(20)의 하방에 구비되는 개폐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60)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The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개폐부(60)는 고리 등에 의해 상기 하부커버(20)에 연결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Also, although not shown, the opening / closing
상기 공기정화기(100)는 스트랩(10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트랩(103)은 사용자가 상기 공기정화기(100)를 배낭, 유모차 등에 걸기 위한 것으로, 상기 공기정화기(100)의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상기 스트랩(103)은 상기 상부커버(10)에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도시된 것과 달리 상기 스트랩(103)은 상기 하부커버(20)에도 구비될 수 있다.The
상기 공기정화기(100)는 후크연결고리(1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크연결고리(105)은 상기 상부커버(10)에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도시된 것과 달리 상기 후크연결고리(105)은 상기 하부커버(20)에도 구비될 수도 있다.The
상기 후크연결고리(105)는 사용자의 옷 등에 걸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상기 스트랩(103)과 마찬가지로 상기 공기정화기(100)의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도 3은 도 1의 공기정화기의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상부커버의 저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구획부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2의 필터부재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은 도 2의 개폐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air purifier of FIG. 1, FIG. 4 is a bottom view of the upper cover of FIG. 2, FIG. 5 is a view showing the partition of FIG. 2, And Fig. 7 is a view showing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of Fig.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하부커버(20)에는 오염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부(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부(22)에는 유입구(2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유입구(23)를 통해 유입된 오염된 공기는 상기 본체의 내부의 제1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3 to 7, the
상기 유입부(22)는 상기 하부커버(20)의 저면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입부(22)는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하부커버(20)의 저면에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inlet (22)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cover (20). Specifically, the
상기 유입부(22)에는 별도의 호스 등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호스로 유입된 오염된 공기는 상기 유입구(23)를 통해 상기 본체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A separate hose may be connected to the
상기 유입부(22)는 상기 개폐부(6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하부커버(20)에 구비된 유입구(23)를 외부의 오염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The inlet (22) can be opened and closed by the opening / closing part (60). Accordingly, the
상기 개폐부(60)는 본체부(62) 및 상기 본체부(62)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6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64)는 상기 하부커버(20)의 유입부(22)에 삽입될 수 있다.The opening and closing
상기 개폐부(60)는 고무 또는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와 같은 구성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opening / closing
상기 흡입팬(30)에 의해 흡입된 공기는 상기 제1공간으로 유입된 후 상기 다수의 유동홀(43)을 통해 상기 제2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air sucked by the suction fan (30) can be introduced into the first space and then moved to the second space through the plurality of flow holes (43).
상기 흡입팬(30)에 의해 흡입된 공기는 상기 다수의 유동홀(43)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일차적으로 오염물질이 걸러질 수 있다.The air sucked by the suction fan (30) may be primarily filtered in the process of passing through the plurality of flow holes (43).
상기 제2공간으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필터부재(50)의 중공사막(51)에 의해 이차적으로 정화될 수 있다.The air introduced into the second space may be secondarily purified by the
상기 고정부(53)는 상기 상부커버(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부커버(10)의 내주면에는 상기 고정부(53)가 연결되는 연결부(14)가 구비될 수 있다.The fixing
상기 연결부(14)에는 홀(15)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53)는 상기 홀(15)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4)는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상부커버(10)의 내주면에서 내측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와 같은 구성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A
상기 고정부(53)에는 배출부(5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출부(55)는 상기 상부커버(10)의 배출구와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중공사막(51)에서 여과된 공기는 상기 배출부(5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The fixing
상기 공기정화기(100)는 상기 상부커버(10)의 배출공간(13)을 개폐하는 커버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는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배출구(53)를 외부의 오염물질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기(2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공기정화기의 정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공기정화기의 분해 사시도이다.FIG. 8 is a front view of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ir purifier of FIG.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공기정화기(200)는 본체부(210), 유입부(220), 배출부(230) 및 필터부재(240)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부재(240)는 상기 본체부(210)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8 and 9, the
상기 유입부(22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본체부(210) 내부에서 상기 필터부재(240)를 통해 정화된 후 상기 배출부(23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배출부(230)를 통해 배출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상기 유입부(220)는 상기 본체와 연결되는 커버부(222)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222)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유입구(223)가 형성될 수 있다. The
상기 커버부(222)는 상기 본체부(210)에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222)는 상기 본체부(210)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The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유입구(223)는 상기 커버부(222)의 저면부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와 같은 사항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입구(223)는 상기 커버부(222)의 측면부에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입구(223)는 상기 커버부(222)의 밑면이 제거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상기 유입부(220)의 내측에는 흡입팬(22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팬(225)이 구동됨으로써 상기 본체부(210) 내부로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필터부재(240)으로 유동시킬 수 있다. 즉, 상기 흡입팬(225)은 상기 필터부재(240)의 상류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흡입팬(225)는 구동모터(227)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A
상기 필터부재(240)는 케이싱(242) 및 상기 케이싱(242)에 수용되는 중공사막(24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공사막(244)은 앞선 실시예의 필터부재(50)의 중공사막(51)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중공사막(244)은 다수의 미세공(微細孔, pore)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미세 기공을 이용하여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The
상기 중공사막의 미세공은 수 미크론(μ, micron)의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미세공 내에 기능성 소재가 채워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기능성 소재는 정전기 유발 가능한 소재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능성 소재를 이용하여 미세먼지, 균, 곰팡이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 할 수 있다.The micropores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may have a size of several microns (micron), and the functional material may be filled in the micropores. For example, the functional material may be a static-inducible material. By using such a functional material,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move fine dust, bacteria, mold, and the like.
상기 케이싱은 상기 필터부재(240)의 외형을 이룬다. 상기 케이싱은 도시된 것과 같이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원반형 또는 직육면체 형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asing forms the outer shape of the
상기 필터부재(240)의 상단부 및 하단부는 개방될 수 있다. 공기의 유동측면에서 보면, 상류측 및 하류측이 개방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유입부(220)로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케이싱 내부의 중공사막으로 유동되어 정화된 후 배출될 수 있다.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상기 필터부재(240)는 활성탄 또는 기타 흡착 부재 등과 같은 추가적인 필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필터부재(240)는 유독가스 등을 정화할 수 있는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공기정화기(200)는 유독가스가 발생하는 사고현장용, 군 작전용 등으로 이용될 수 있다.The
상기 배출부(230)는 상기 본체부(210)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배출부(230)는 상기 본체부(210)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The
상기 배출부(230)에는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23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출부(233)에는 호스 또는 마스크 등이 연결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정화된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다.The
한편, 상기 유입부(220), 상기 배출부(230)를 상기 본체부(210)와 합하여 본체라 이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입부(220) 및 상기 배출부(230)는 상기 본체부(21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상기 본체부(210)에는 상기 흡입팬(225)을 작동시키기 위한 스위치(214)가 구비될 수 있다. The
또한, 상기 본체부(210)에는 상태 표시등(216)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태 표시등(216)은 상기 공기정화기(200)의 온/오프 상태를 표시하거나, 실내 공기의 오염 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본체부(210)에는 충전단자(218)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210) 내부에는 배터리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충전단자(218)에 전원이 연결되면, 상기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 상기 배터리를 충전시킴으로써 상기 공기정화기(200)를 휴대용으로 이용할 수 있다.Also, the
다른 실시 예를 제안한다.Other embodiments are suggested.
상기 공기정화기(200)는 상기 필터부재(240)의 하류측에 구비되는 흡입펌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펌프는 공기를 흡입시켜 상기 배출부(230)로 유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흡입펌프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흡입팬(225)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The
도 10은 도 8의 공기정화기가 충전모듈에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의 측면도이다.FIG. 10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air purifier of FIG. 8 is mounted on a charging module, and FIG. 11 is a side view of FIG.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공기정화기(200)는 충전모듈(2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0 and 11, the
상기 충전모듈(250)는 상기 본체부(210)의 충전단자(218)에 연결되는 충전부(2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전부(252)는 상기 본체부(210)를 지지할 수 있다. The
상기 본체부(210)를 충전모듈(250)에 거치시킨 후 상기 흡입팬(225)을 작동시키면 공기정화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정용 또는 일정 공간에서 상기 흡입팬(225)을 작동 시켜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 침실, 공부방, 자동차 실내 등에서 효과적으로 공기를 정화 시킬 수 있다.The air purifying function can be performed by operating the
상기 충전모듈(250)에는 마스크(300)를 보관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는 마스크 보관부(2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보관부(260)에는 개방부(261)가 형성되며, 상기 개방부(261)를 통해 마스크(300)를 인출 또는 인입할 수 있다. The
상기 마스크 보관부(260)는 상기 개방부(261)를 개폐하는 도어(2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마스크 보관부(260) 내부로 먼지 등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마스크 보관부(260) 내에는 상기 마스크(300)를 살균하기 위한 살균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살균장치는 자외선 램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살균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마스크(300)를 살균함으로써 상기 마스크(300)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a sterilizing device for sterilizing the
상기 충전모듈(250)에는 컨트롤부(25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충전모듈(250)은 상기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사용자는 상기 컨트롤부(254)를 통해 상기 본체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컨트롤부(254)에는 “작동 버튼”이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작동 버튼을 누르면 상기 본체에 구비된 구동모터(227)가 작동되어 상기 흡입팬(225)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공기정화기(200)는 주변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다.The
또한, 상기 충전모듈(250)에는 상기 공기정화기(200)의 상태 정보 또는 실내 공기 상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될 수 있다.Also, the
사용자는 상기 마스크(300)를 착용할 수 있으며, 상기 배출부(230)에서 배출되는 정화된 공기는 상기 마스크(300)를 통해 사용자의 입 또는 코의 주변으로 직접 공급할 수 있다.The user can wear the
이하에서는, 상기 마스크(3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도 12는 도 10의 마스크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마스크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2의 마스크의 전면도 및 배면도이고, 도 15는 도 8의 공기정화기 및 도 12의 마스크의 사용 예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1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sk of Fig. 10, Fig. 1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mask of Fig. 12, Fig. 14 is a front view and a rear view of the mask of Fig. 12, Fig. 8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use of a mask.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마스크(300)는 마스크 본체(310), 착용부재(320, 3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12 to 15, the
상기 마스크 본체(310)는 착용자의 코와 입을 감싸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착용자의 코와 입을 통해 오염 공기가 흡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본체(310)는 착용자가 용이하게 호흡할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이 구비되게 입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마스크 본체(310)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마스크 본체(310)는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하며,, 세제 및 물 등으로 세척될수 있다.The
상기 마스크 본체(310)에는 정화된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315)가 구비된 유입부(314)와, 착용자의 날숨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317)가 형성된 배출부(316)가 구비될 수 있다.The
상기 유입부(314)는 상기 마스크 본체(310)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배출부(316)는 상기 유입부(314)의 하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유입부(314)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착용자의 코를 향해 배출되고, 착용자의 입으로부터 배출되는 날숨은 상기 배출부(316)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착용자의 날숨이 상기 배출부(316)를 통해 배출될 수 있으므로, 착용자의 날숨에 의해 착용자의 안경에 김이 서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유입부(314)와 상기 배출부(316)의 배치는 이와 같은 사항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배출부(316)가 상기 유입부(314)의 상방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상기 마스크 본체(310)에는 제1착용부재(320) 및 제2착용부재(3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착용부재(320)에는 제1결합부(324)가 구비되고, 상기 제2착용부재(330)에는 제2결합부(334)가 구비된다. The
상기 제1결합부(324)와 상기 제2결합부(334)는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착용자는 코와 입을 상기 마스크 본체(310)를 이용하여 감싼 후, 착용자의 머리 뒤쪽으로 상기 제1결합부(324)와 상기 제2결합부(334)를 연결함으로써 상기 마스크(300)를 착용할 수 있다.The first
상기 마스크(300)와 상기 공기정화기(200)는 연결호스(270)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호스(270)는 상기 공기정화기(200)의 배출부(230)와 상기 마스크(300)의 공기 유입구(325)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공기정화기(200)에서 정화된 공기는 상기 연결호스(270)를 통해 상기 공기 유입구(325)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300) 착용자는 상기 공기 유입구(325)를 통해 공급되는 정화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The
한편, 상기 공기정화기(200)의 본체부(210)는 밸트(290)에 의해 착용자의 몸에 착용될 수 있다. 즉, 상기 공기정화기(200)의 본체부(210)는 착용자의 몸에 착용되고, 상기 마스크(300)는 착용자의 코와 입을 감싼다. 이에 따라, 착용자는 이동중에도 상기 공기정화기(200)에서 정화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Meanwhile, the
상기 마스크(300)는 상기 공기정화기(200) 이용 시 함께 사용되는 구성이므로, 상기 마스크(300)도 상기 공기정화기(200)에 포함되는 구성요소로 볼 수 있다.Since the
상기 공기정화기(200)는 가정용(서재 또는 침실 등 일반 생활 공간)뿐만 아니라, 병원에서 사용하는 무균 마스크, 실험실에서 사용하는 안전 마스크, 화재, 지진 등 재난 구호 등에 사용되는 안전 마스크 또는 군 작전용 방독면 등을 대체하여 다양한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The
이처럼, 본 실시 예는 미세먼지, 미생물 및 균을 걸러낼 수 있는 중공사막(244)이 구비된 공기정화기(200)를 통해 정화된 공기를 강제로 마스크(300)에 일정량씩 공급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마스크(300)의 형상적인 특징에 의해 착용자가 상기 마스크(300)에 의해 호흡 불편을 느끼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행 중은 물론 운동 시에도 착용자에게 정화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is embodiment, purified air is forcedly supplied to the
이하, 상기 중공사막(51, 244)의 구조 및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도 16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다공층이 형성된 중공사막을 전자현미경 700배율로 살펴본 사진이며, 도 17은 본 발명에 따라 친수성 필러를 코팅하여, 기공이 친수성 필러로 메워진 상태의 중공사막을 전자현미경 3000배율로 살펴본 사진이다.FIG. 16 is a photograph of a hollow fiber membrane having a porous layer formed there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an electron microscope of 700 magnification. FIG. 17 is a photograph of a hollow fiber membrane coated with a hydrophilic fi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picture taken at a magnification of 3000.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중공사막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16 and 17, the hollow fiber membr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먼저 섬유 브레이드 직물, 다수의 기공을 형성하고, 상기 섬유 브레이드 직물 표면에 형성되는 다공층 및 기공을 메우는 친수성 필러로 이루어진다.A fiber braid fabric, a plurality of pores, and a porous layer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abric braid fabric and a hydrophilic filler filling the pores.
먼저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섬유 브레이드 직물은 다수개의 필라멘트로 이루어지며,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폴리설폰(polysulfone), 폴리에테르설폰(Polyethersulfone), PPS(Polyphenylene sulfide), PAN(Polyethersulfone),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Cellulose acetat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나일론(Nylon), 폴리에테르아미드(Polyetheramide), 폴리아미드(Polyamide), CF(Carbone fiber), GF(Glass fiber)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다.First, as shown in FIG. 16, the fiber braid fabric is made of a plurality of filaments and is made of polyester, polysulfone, polyethersulfone, PPS (polyphenylene sulfide), PAN (polyethersulfone) And is made of any one material selected from cellulose acetate, polypropylene, nylon, polyetheramide, polyamide, CF (Carbone fiber) and GF (glass fiber).
도 16에 도시한 상기 섬유 브레이드 직물은 상기 다공층을 형성하는 경우 사용되는 도프용액의 용매에 용해되는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다공층 형성 시, 섬유 브레이드 직물의 일부가 용해되면서, 상기 다공층과 결합되어 접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The fibrous braid fabric shown in FIG. 16 is made of a material dissolvable in the solvent of the dope solution used when forming the porous layer. When the porous layer is formed, part of the fabric of the fiber braid is dissolved, So that the bonding force can be improved.
또한 상기 섬유 브레이드 직물의 필라멘트 사이의 공간에는 고분자 물질이 충진된다.The space between the filaments of the fabric braid fabric is filled with a polymeric material.
그리고 상기 다공층은 상기 섬유 브레이드 직물의 표면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30 ㎛의 두께를 가지며, 외측면에 1~30㎛ 크기의 다수개의 기공을 형성한다.The porous layer is preferably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iber braid fabric and has a thickness of 1 to 30 μm and a plurality of pores having a size of 1 to 30 μm on the outer surface.
이에 따라 상기 다공층은 마이크로 이상의 대공경을 가지므로 반복적으로 세정하면서 사용이 가능하게 되고, 입자 제거 후, 다시 여과액으로 방출되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Accordingly, the porous layer has a large pore size of micro or more, and thus can be used repeatedly while being cleaned, and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phenomenon of being discharged to the filtrate again after particle removal.
또한 상기 다공층은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Polyvinylidenefluoride), 폴리에테르설폰(Polyethersulfone), 폴리설폰(polysulfone),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Polyacrylonitril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아미드이미드 (Polyamideimide),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스타이렌(Polystyrene), 폴리아릴설폰(Polyarylsulfone), ECTFE(Ethylenechloro-trifluoroethylene) 및 위에서 열거된 고분자의 혼합물 또는 합성고분자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orous layer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polyethersulfone, polysulfone, polyacrylonitrile, polyimide, polyamideimide, , Polyurethane, polystyrene, polyarylsulfone, ethylenechloro-trifluoroethylene (ECTFE), or a mixture of polymers listed above, or a synthetic polymer.
그리고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다공층의 기공에는 친수성 필러(filler)가 채워져 상기 기공을 메우는데, 상기 친수성 필러(filler)로는 폴리비닐알코올(POLY VINYL ALCOHOL, PVA) 또는 친수성 비닐계 폴리머, 친수성 비닐계 모노머 및 가교제, 기공에 고정 후 하이드로겔 상태가 가능한 천연고분자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17, the pores of the porous layer are filled with a hydrophilic filler to fill the pores. The hydrophilic filler may be a polyvinyl alcohol (PVA) or a hydrophilic vinyl polymer, A hydrophilic vinyl-based monomer, a cross-linking agent, and a natural polymer capable of being in a hydrogel state after being fixed to the pores.
상기한 구성에 의해 입자의 제거율은 한외여과막(UF)~정밀여과막(MF) 수준이고, 수투과성은 중공사막의 투과상태가 안정화된 이후 종래의 1.5~10배로 증가된다.With the above configuration, the particle removal rate is at the level of the ultrafiltration membrane (UF) to the microfiltration membrane (MF), and the water permeability is increased to 1.5 to 10 times that of the conventional membrane after the permeation state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is stabilized.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중공사막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를 보인 순서도이다.18 is a flowchart show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hollow fiber membr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중공사막 제조방법은 섬유 브레이드 직물에 제1고분자물질용액을 침투시키는 제1코팅단계(S100), 섬유 브레이드 직물 표면에 제2고분자물질용액을 이용하여 다공층을 형성하는 제2코팅단계(S200)와, 상기 다공층에 기공을 형성하는 기공형성단계(S300) 및 상기 기공을 친수성 필러로 채우는 기공메움단계(S4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8, a hollow fiber membran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ating step (S100) of infiltrating a first polymer material solution into a fiber braid fabric, a second coating step (S300) for forming pores in the porous layer, and a pore-filling step (S400) for filling the pores with the hydrophilic filler.
먼저 상기 제1코팅단계(S100)는 다수개의 필라멘트로 이루어진 섬유 브레이드 직물을 도프용액으로 사용되는 제1고분자물질용액에 함침시켜, 제1고분자물질용액이 상기 섬유 브레이드 직물 내부에 침투되어 형성되도록 한다.First, in the first coating step (S100), a fiber braid fabric composed of a plurality of filaments is impregnated into a first polymer material solution used as a dope solution so that a first polymer material solution is penetrated into the fabric of the fiber braid .
이때 상기 제1고분자물질용액은 고분자물질 1~10중량%, 용매 90~99중량%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polymer material solution may be composed of 1 to 10% by weight of the polymer material and 90 to 99% by weight of the solvent.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용매는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Dimethylaceteamide, DMAc), 디메틸포름아마이드(Dimethylformamide, DMF), N-메틸피롤리돈(N-Methlpyrrolidone, NMP), 포마이드(Formamide), 디메틸아크릴아마이드(Dimethylacrylmide, DMAD), 감마뷰틸로락톤(Gamma-butyrolactone), 디메틸설폭사이드(Dimethylsulfoxide, DMSO), 테트라클로로에탄(Tetrachloroethane, TCE), 다이옥산(Dioxane)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olv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dimethylacetamide (DMAc), dimethylformamide (DMF), N-methylpyrrolidone (NMP), formamide, dimethylacrylmide DMAD), gamma-butyrolactone, dimethylsulfoxide (DMSO), tetrachloroethane (TCE), and dioxane.
또한, 상기 제1고분자물질용액은 고분자물질 1~10중량%, 용매 49~99중량%, 팽윤성 빈용매 0~50중량%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polymer material solution may comprise 1 to 10 wt% of a polymer material, 49 to 99 wt% of a solvent, and 0 to 50 wt% of a swellable poor solvent.
이때 상기 팽윤성 빈용매는 에탄올(Ethanol), 메틸알콜(Methyl alcohol), 에The swelling poor solvent may be ethanol, methyl alcohol,
칠아세테이트(Ethylacetate), 테트라하이드로퓨란(Tetrahydrofurane), 메틸에틸케톤(Methylethylketone), 메틸셀로솔브(Methylcellosolve), 메틸렌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이소포론(Isophorone), 아세톤(Acetone)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It may be any one of Ethylacetate, Tetrahydrofurane, Methylethylketone, Methylcellosolve, Methylene chloride, Isophorone, and Acetone. have.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고분자물질은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olyvinylidenefluoride), 폴리에테르설폰(Polyethersulfone), 폴리설폰(Polysulfone),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Polyacrylonitril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아미드이미드(Polyamideimide),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스타이렌(Polystyrene), 폴리아크릴설폰(Polyacrylsulfone) 및 위에서 열거된 고분자의 혼합물 또는 합성고분자 중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The polymeric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vinylidene fluoride, polyethersulfone, polysulfone, polyacrylonitrile, polyimide, polyamideimide Polyamideimide, polyurethane, polystyrene, polyacrylsulfone, and a mixture of the polymers listed above or a synthetic polymer.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섬유 브레이드 직물은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폴리설폰(polysulfone), 폴리에테르설폰(Polyethersulfone), PPS(Polyphenylenesulfide), PAN(Polyethersulfone),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Cellulose acetat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나일론(Nylon), 폴리에테르아미드(Polyetheramide), 폴리아미드(Polyamide), CF(Carbone fiber), GF(Glass fiber)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다.The fiber braid fabric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in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polyester, polysulfone, polyethersulfone, PPS (polyphenylenesulfide), PAN (polyethersulfone), cellulose acetate, polypropylene, , Nylon, polyetheramide, polyamide, CF (Carbone fiber), and GF (Glass fib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고분자물질용액은의 용매는, 상기 섬유 브레이드 직물을 일부 용해시키며, 고분자물질이 침투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고분자물질과, 상기 섬유 브레이드 직물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solvent of the first polymeric material solu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solves the fiber braid fabric partly and allows the polymeric material to penetrate, thereby improving the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polymeric material and the fiber braid fabric.
다시 말해, 상기 제1고분자물질용액의 용매가 상기 섬유 브레이드 직물의 일부를 용해시킴으로써 중공사막 제조 완료 후 섬유 브레이드 직물과, 다공층이 일체로 접착되어 있도록 함으로써 운전 시, 외부 충격에 의하여 쉽게 벗겨지거나 부서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solvent of the first polymer material solution dissolves a part of the fiber braid fabric so that the fiber braid fabric and the porous layer are integrally bonded after the completion of the production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It can be prevented from breaking.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고분자물질용액의 용매에 의하여 용해되는 재질로 섬유 브레이드 직물을 제작하였으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폴리에스터(Polyesther),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나일론(Nylon)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ber braid fabric is made of a material dissolvable by the solvent of the first polymer material solution. However, the fiber braid fabric of any one of the commonly used polyester, polypropylene, and nylon Or may be made of a material.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제1고분자물질용액에 고분자물질을 1~10%의 저농도로 묽게 포함시켜, 섬유 브레이드 직물의 두께방향으로 제1고분자물질용액이 내부 깊숙이 침투할 수 있도록 한다.Also,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ymer material is diluted in the first polymer material solution at a low concentration of 1 to 10% so that the first polymer material solution penetrates deeply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fiber braid fabric.
다음으로 상기 제2코팅단계(S200)는 상기 제1차코팅단계(S100)를 실시한 후, 상기 섬유 브레이드 직물을 제2고분자물질용액에 함침시켜, 섬유 브레이드 직물 표면에 다공층을 형성한다.Next, in the second coating step (S200), after the first coating step (S100), the fiber braid fabric is impregnated with the second polymeric material solution to form a porous layer on the surface of the fabric braid fabric.
이때 상기 제2고분자물질용액은 상기 제1고분자물질용액보다 고분자물질의 농도를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polymer material solution has a higher concentration of the polymer material than the first polymer material solution.
상기 제2고분자물질용액은 고분자물질 3~15중량%, 용매 85~97중량%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다공층의 두께는 1~30㎛로 형성된다.The second polymeric material solution may be composed of 3 to 15% by weight of a polymer material and 85 to 97% by weight of a solvent, and the porous layer has a thickness of 1 to 30 탆.
따라서 상기 제2코팅단계(S200)는 코팅되는 제2고분자물질용액의 고분자물질 농도를 제1고분자물질용액의 고분자물질 농도보다 높게 하고, 상기 제1차코팅단계(S100)에서 형성된 제1고분자물질용액으로 함침된 섬유 브레이드 직물 위에 상기 제2고분자물질용액을 코팅되어 다공층이 형성된다.Accordingly, in the second coating step S200, the concentration of the polymer material in the coated second polymer material solution is made higher than the concentration of the polymer material in the first polymer material solution, and the first polymer material The second polymer solution is coated on the fiber braid fabric impregnated with the solution to form a porous layer.
상기 다공층은 1~30㎛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1~10㎛ 두께로 형성된다.The porous layer may be formed to a thickness of 1 to 30 탆, more preferably 1 to 10 탆.
그리고 상기 제1고분자물질용액의 고분자물질과, 상기 제2고분자 물질용액의 고분자물질은 동일하거나 동일한 용매 계에서 섞일 수 있는 성분이다.The polymer material of the first polymer material solution and the polymer material of the second polymer material solution may be mixed in the same or the same solvent system.
다음으로 상기 기공형성단계(S300)는 상기 제2코팅단계(S200)를 실시한 후, 상기 섬유 브레이드 직물 표면에 형성된 다공층을 응고시켜 대공경의 기공을 형성한다.Next, in the pore forming step (S300), after the second coating step (S200), the porous layer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iber braid fabric is solidified to form large pores.
이때 상기 기공은 1~30㎛의 크기로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pores have a size of 1 to 30 탆.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공사막은 다공층에 형성된 기공이 1~30㎛의 대공경으로 이루어지므로, 0.01㎏/㎠~0.2㎏/㎠ 수준의 공기압으로도 투과가 잘 일어나고, 순수투과성이 수천 LMH(L/㎡ hr)이상 되므로, 실제 여과압력도 0.05~0.5 ㎏/㎠으로 매우 낮다.The hollow fiber membra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pores formed in the porous layer having a large pore size of 1 to 30 탆, so that even when the air pressure is in the range of 0.01 to 0.2 kg / cm 2, LMH (L / m < 2 > hr), the actual filtration pressure is extremely low, i.e., 0.05 to 0.5 kg / cm < 2 >.
그러므로 운전압력에 의하여 중공사막의 투과성이 크게 저하되지 않는다.Therefore, the permeability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is not significantly lowered by the operating pressure.
또한 상기 다공층은 매우 얇으면서 섬유 브레이드 직물에 강하게 부착되어 있으므로, 종래의 섬유 브레이드 직물 보강막에 비하여 강도가 우수하다.In addition, since the porous layer is very thin and strongly adhered to the fiber braid fabric, the strength is superior to that of the conventional fiber braid fabric reinforcing film.
더불어 기공형성단계(S300)을 실시한 후 다음 단계 전, 상기 기공형성계를 통과한 상기 섬유 브레이드 직물 및 고분자 다공층을 다수개의 수조를 통과시켜 수세할 수도 있다.After the pore forming step S300 is performed, the fiber braid fabric and the polymer porous layer that have passed through the pore forming system may be washed through a plurality of water tanks before the next step.
다음으로 기공메움단계(S400)는 상기 기공형성단계(S300)를 실시한 후, 상기 다공층의 기공에 하이드로겔 상태의 친수성 필러로 상기 기공을 채운다.Next, in the pore-filling step (S400), the pores of the porous layer are filled with the hydrophilic filler in a hydrogel state after the pore-forming step (S300) is performed.
이때 상기 친수성 필러는 폴리비닐알코올(POLY VINYL ALCOHOL, PVA) 또는 친수성 비닐계 폴리머, 친수성 비닐계 모노머 및 가교제, 기공에 고정 후 하이드로겔 상태가 가능한 천연고분자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다.In this case, the hydrophilic filler is made of any one of polyvinyl alcohol (POLY VINYL ALCOHOL, PVA) or a hydrophilic vinyl polymer, a hydrophilic vinyl monomer, a crosslinking agent, and a natural polymer capable of hydrogel state after being fixed to pores.
상기 친수성 필러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먼저 상기 폴리비닐알코올(PVA)로 상기 기공을 채울 시에는 상기 폴리비닐알코올(PVA)용액을 다수의 기공이 형성된 다공층의 표면에 코팅하여 상기 기공에 폴리비닐알코올(PVA)이 채워지도록 한 후, 상기 폴리비닐알코올(PVA)를 알데히드기(-CHO)와 반응시켜, 상기 알데히드기(-CHO)를 가교로 상기 폴리비닐알코올(PVA)이 기공을 채우도록 한다.When the pores are filled with the polyvinyl alcohol (PVA), the polyvinyl alcohol (PVA) solution is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porous layer having a plurality of pores to form a polyvinyl alcohol The polyvinyl alcohol (PVA) is caused to react with the aldehyde group (-CHO) to fill the pores of the polyvinyl alcohol (PVA) by crosslinking the aldehyde group (-CHO) after the alcohol (PVA) is filled.
이때 상기 알데히드기(-CHO)는 알데히드(Aldehyde)기를 가진 케미칼,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 글루타르알데히드(Glutaraldehyde) 중 어느 하나를 재질로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aldehyde group (-CHO) is made of any one of chemicals having an aldehyde group, formaldehyde, and glutaraldehyde.
그리고 상기 친수성 비닐계 모노머로 상기 기공을 메울 시에는 상기 친수성 비닐계 모노머에 중합개시제(Polymerization initiator)를 혼합하여 혼합물로 생성된 후, 상기 혼합물을 다수의 기공이 형성된 다공층의 표면에 코팅한다.When filling the pores with the hydrophilic vinyl-based monomer, a polymerization initiator is mixed with the hydrophilic vinyl-based monomer to form a mixture, and then the mixture is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porous layer having a plurality of pores.
상기 기공에 혼합물이 채워지면 열처리 또는 적외선 및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친수성 비닐계 모노머가 중합에 의해 상기 기공을 메우도록 한다.When the pores are filled with the mixture, the hydrophilic vinyl-based monomer is irradiated with heat treatment or infrared rays and ultraviolet rays to fill the pores by polymerization.
이때 상기 친수성 비닐계 모노머는 HEMA(2-hydroxyethyl methacrylate), N-비닐-2-피롤리돈(N-Vinyl-2-Pyrrolidone, NVP), 아크릴산(Acrylic acid), 아크릴아미드(Acryl amide), 하이드록시 아크릴레이트(Hydroxy acrylate),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벤질메타크릴레이트, 아릴메타크릴레이트, 및 알킬기의 탄소수가 1 내지 8인 알킬아크릴레이트, 알킬메타크릴레이트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다.The hydrophilic vinyl-based monomer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2-hydroxyethyl methacrylate (HEMA), N-vinyl-2-pyrrolidone (NVP), acrylic acid, Acrylonitrile, methacrylonitrile, benzyl methacrylate, aryl methacrylate, alkyl acrylates having 1 to 8 carbon atoms in the alkyl group, and alkyl methacrylate .
또한 천연고분자로 상기 기공을 메울 시에는 천연고분자를 상기 다수의 기공이 형성된 다공층의 표면에 코팅한 후 금속이온으로 반응시켜, 천연고분자가 하이드로겔 상태로 상기 기공에 고정되어 기공을 메운다.When the pores are filled with the natural polymer, the natural polymer is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porous layer having the plurality of pores and then reacted with the metal ions, so that the natural polymer is fixed to the pores in the hydrogel state to fill the pores.
이때 상기 천연고분자는 알긴산나트륨(Sodium Alginate)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금속이온은 염화칼슘(CaCl2)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natural polymer is preferably composed of sodium alginate, and the metal ion is preferably calcium chloride (CaCl2).
이와 같이, 섬유 브레이드 상에 1~30㎛ 크기의 기공이 형성된 다공층을 구비하는 마이크로필터에 친수성고분자 물질을 코팅시키면, 막의 기공이 형성시키는 모세관 현상에 의하여 손쉽게 고분자 용액이 함침되어 막의 기공을 맞게 채우게 된다.When a hydrophilic polymer material is coated on a microfilter having a porous layer having pores having a size of 1 to 30 μm on the fiber braid, the polymer solution is easily impregnated by the capillary phenomenon formed by the pores of the membrane, Fill.
그리고 함침된 후 가교된 고분자는 물에 팽윤되면 함수율이 크고, 수소결합력으로 기공 내에서 기계적 성질을 유지하게 된다.After the impregnation, the crosslinked polymer has a high water content when swollen in water, and maintains mechanical properties in the pores due to the hydrogen bonding force.
또한 일정시간 가압운전하는 경우 팽윤되어 있는 기공 내에 고정된 막이 압밀화가 되면서 안정화 되어 우수한 투과성과 제거율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pressurized operation is performed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membrane fixed in the swollen pores is stabilized while being compacted, and excellent permeability and removal rate can be maintained.
일반적인 브레이드 복합형 UF나 MF 막에 본 발명에서의 친수성 고분자를 코팅하거나 함침하는 경우, 표면에 안정적인 고정을 위하여 일정두께이상으로 형성하여야 하므로 투과성이 극도로 감소한다.When the hydrophilic polym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ated or impregnated with a general braided composite UF or MF membrane, the permeability is extremely reduced because it is required to be formed to have a certain thickness or more for stable fixing on the surface.
또한, 친수성 고분자를 얇게 도포하였다 하더라도 투과성 향상을 기대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코팅막이 벗겨지거나 핀홀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In addition, even if a hydrophilic polymer is thinly coated, improvement in permeability can not be expected,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ating film peels or pinholes are generated.
상기 폴리비닐알코올(PVA)을 친수성 필러로 사용한 실시예에 따른 중공사막 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A method for producing a hollow fiber membr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using the polyvinyl alcohol (PVA) as a hydrophilic filler is as follows.
먼저 섬유 브레이드 직물에 제1고분자물질용액을 침투시키고, 제1고분자물질 용액이 침투된 섬유 브레이드 직물 표면에 제2고분자물질용액을 이용하여 다공층을 형성하며, 상기 다공층에 기공 형성하여 친수성 필러를 코팅할 마이크로필터를 제조한다.First, a first polymer material solution is infiltrated into a fiber braid fabric, a porous layer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iber braid fabric impregnated with the first polymer material solution by using a second polymer material solution, pores are formed in the porous layer, A microfilter is prepared.
상기 마이크로필터의 소재는 PVDF이며, 기공 사이즈는 1~10㎛이 적합하다.The material of the microfilter is PVDF, and the pore size is preferably 1 to 10 mu m.
그리고 제조된 캐필러리 형태의 마이크로필터를 일반적인 중공사막모듈(캐필러리 모듈)의 형태로 제조하여 준비한다.The prepared capillary type microfilter is prepared in the form of a general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capillary module).
그리고 폴리비닐알코올(PVA)를 농도 1~12%로 지정온도의 온수에 녹여 수용액을 제조한 다음, 촉매제로서 전체 용량 대비 1.1~0.5N의 염화수소(HCl)을 수용액에 첨가하여 준비한다.Then, an aqueous solution is prepared by dissolving polyvinyl alcohol (PVA) in a concentration of 1 to 12% in hot water at a designated temperature, and hydrogen chloride (HCl) is added to the aqueous solution as a catalyst in an amount of 1.1 to 0.5 N based on the total volume.
상기한 중공사막모듈(캐필러리 모듈)로 제조된 마이크로필터를 세워 놓고 펌프로 상기 수용액을 막의 외부표면에 스며들 수 있도록 10분~30분간 순환시켜 중공사막을 제조한다.A microfilter made of the abov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capillary module) is set up and circulated for 10 minutes to 30 minutes so that the aqueous solution can permeate the outer surface of the membrane with a pump to produce a hollow fiber membrane.
상기 폴리비닐알코올(PVA)이 충분히 처리되어 막(다공층)의 기공에 폴리비닐알코올(PVA)이 스며들면, 다음으로 중공사막을 지정온도에서 지정 시간 동안 건조시킨다.When the polyvinyl alcohol (PVA) is sufficiently treated and polyvinyl alcohol (PVA) permeates into the pores of the membrane (porous layer), the hollow fiber membrane is then dried at the specified temperature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건조된 중공사막을 알데히드(Aldehyde),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 글루타르알데히드(Glutaraldehyde) 등으로 이루어진 -CHO기가 있는 물질을 0.5~20%의 농도로 조제하여 펌프로 중공사막의 막 표면과 반응할 수 있도록 순환시킨다.The dried hollow fiber membrane is prepared by preparing a substance having -CHO group composed of aldehyde, formaldehyde, glutaraldehyde, etc. at a concentration of 0.5 to 20% and reacting with the membrane surface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by a pump .
이때 5분간 순환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CHO기와 반응 중공사막을 60℃의 온도를 예열된 오븐에 수용한 후 하루 동안 둔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circulate for 5 minutes, and the hollow fiber membrane reacted with the -CHO group is placed in a preheated oven at a temperature of 60 DEG C, and is allowed to stand for one day.
다음으로 오븐에서 건조한 상기 중공사막을 세정수로 세정하여 중공사막에서 미반응 물질을 제거하여, 중공사막의 제조를 완료한다.Next, the hollow fiber membrane dried in the oven is washed with washing water to remove unreacted material from the hollow fiber membrane to complete the production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본 기술에서와 같이 기공이 큰 브레이드 함침형 마이크로필터에 고분자 물질을 코팅시키면, 막의 기공이 형성시키는 모세관 현상에 의하여, 손쉽게 고분자용액이 함침되어 막의 기공을 막게 된다.When a polymer material is coated on a braided impregnated microfilter having a large pore size as in the present technology, the polymer solution is easily impregnated by the capillary phenomenon formed by the pores of the membrane, thereby blocking the pores of the membrane.
함침되어 가교된 고분자는 물에 팽윤되면 함수율이 크며, 수소결합력으로 기공 내에서 기계적 성질을 유지하며, 일정 시간 가압 운전하면 팽윤되어 있는 기공 내에 고정된 막이 압밀화가 되면서 안정화되어 우수한 투과성과 제거율을 유지하게 된다.The impregnated, crosslinked polymer has a high water content when swollen in water, maintains its mechanical properties in the pores due to its hydrogen bonding force, and when it is pressuriz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fixed membrane in the swollen pores is stabilized by the compaction, thereby maintaining excellent permeability and removal rate .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정화용 필터는, 다공성 중공사막을 포함하는 필터모듈을 통해 각종 냄새 분자, 오염물질, 바이러스, 세균을 걸러냄으로써 실내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ir purifying fil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urify indoor air by filtering various kinds of odor molecules, pollutants, viruses and bacteria through the filter module including the porous hollow fiber membrane.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공기정화기 10: 상부커버
20: 하부커버 30: 흡입팬
40: 구획부 50: 필터부재
100: air purifier 10: upper cover
20: lower cover 30: suction fan
40: partition 50: filter element
Claims (15)
상기 상부커버와 상기 하부커버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제 1 공간 및 제 2 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부;
상기 하부커버의 내측에 형성된 상기 제 1 공간에 배치되는 흡입팬;
상기 상부커버의 내측에 형성된 상기 제 2 공간에 배치되는 필터부재;
상기 필터부재와 연결되도록, 상기 상부커버의 내주면에 형성된 연결부;
상기 하부커버의 저면에 함몰되어 형성된 유입부;
상기 상부커버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상부커버의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배출공간; 및
상기 구획부의 테두리부를 따라 형성된 다수의 유동홀; 이 포함되고,
상기 유입부를 통해 상기 제 1 공간으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다수의 유동홀을 통해 상기 제 1 공간에서 상기 제 2 공간으로 유동되고, 상기 배출공간으로 통해 상기 제 2 공간에서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
An upper cover and a lower cover coupled to form an inner space;
A partition which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and divides the inner space into a first space and a second space;
A suction fan disposed in the first space formed inside the lower cover;
A filter member disposed in the second space formed inside the upper cover;
A connection portion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cover to be connected to the filter member;
An inflow portion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cover;
A discharge space formed to be recessed from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per cover to an inner side of the upper cover; And
A plurality of flow holes formed along a rim of the partition; Lt; / RTI >
The air flowing into the first space through the inlet portion flows into the second space from the first space through the plurality of flow holes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space in the second space. Air Purifier.
상기 필터부재에는 중공사막 및 상기 중공사막이 고정되는 고정부가 포함되고,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고정부가 삽입되는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lter member includes a hollow fiber membrane and a fixing unit to which the hollow fiber membrane is fixed,
Wherein the connection portion is formed with a hole into which the fixing portion is inserted.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배출공간의 내측에 형성된 상부커버의 배출구와 연통되는 배출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x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port communicating with a discharge port of an upper cover formed inside the discharge space.
상기 중공사막은 나선형으로 연장된 다발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중공사막의 일 단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hollow fiber membrane is formed into a spiral-
Wherein the fixing portion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상기 연결부는 상기 상부커버의 내주면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nection portion is formed to extend inward from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cover.
상기 상부커버 및 상기 하부커버는 각각 내부공간을 형성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상부커버 및 상기 하부커버는 서로 상하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are provided to form an inner space, respectively, and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배출공간의 내측에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공간에는 상기 배출구에 연결되는 호스가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discharge port is formed inside the discharge space,
And a hose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is accommodated in the discharge space.
상기 유입부의 중심측에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부에는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는 호스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inlet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inflow portion,
And a hose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is connected to the inflow portion.
상기 하부커버의 하방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부를 개폐하는 개폐부가 더 포함되고,
상기 개폐부에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유입부에 삽입되는 연장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opening / closing portion provided below the lower cover for opening / closing the inlet portion,
Wherein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includes a main body and an extension part extending upward from the main body part and inserted into the inflow part.
상기 배출공간을 개폐하는 커버부재가 더 포함되고,
상기 커버부재는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상기 배출공간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over memb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ischarge space,
And the cover member is mounted to the discharge space to be slidably movable.
상기 상부커버는 하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하부커버는 상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상부커버의 개방된 하면과 상기 하부커버의 개방된 상면이 결합되어 하나의 원통형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pper cover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 lower surface opened,
Wherein the lower cover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n opened upper surface,
Wherein an open bottom surface of the top cover and an open top surface of the bottom cover are combined to form a single cylindrical shape.
상기 중공사막은 상기 제 2 공간의 내측면을 따라 점점 반경이 좁아지는 나선형으로 연장되는 다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hollow fiber membrane is formed of a bundle extending in a helical shape with a radius gradually decreasing along an inner surface of the second space.
상기 구획부는 상기 내부공간을 길이방향으로 구획하도록 설치되는 원형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artition is formed in a circular plate shape so as to partition the inner spa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다수의 유동홀은 상기 구획부에 링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flow holes are formed in a ring shape in the partition.
상기 중공사막은,
다수개의 필라멘트로 이루어지는 섬유 브레이드 직물;
상기 섬유 브레이드 직물의 표면에 형성되며, 다수개의 기공이 형성된 다공층; 및
상기 다수개의 기공에 구비된 친수성 필러(filler)를 포함하는 공기정화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hollow fiber membrane may include:
A fiber braid fabric comprising a plurality of filaments;
A porous layer formed on a surface of the fabric braid fabric and having a plurality of pores; And
And a hydrophilic filler provided on the plurality of pore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67742A KR101919326B1 (en) | 2016-05-31 | 2016-05-31 | Air clea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67742A KR101919326B1 (en) | 2016-05-31 | 2016-05-31 | Air clean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35588A KR20170135588A (en) | 2017-12-08 |
KR101919326B1 true KR101919326B1 (en) | 2019-02-08 |
Family
ID=60920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67742A KR101919326B1 (en) | 2016-05-31 | 2016-05-31 | Air clean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19326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97495B1 (en) | 2020-03-30 | 2021-09-02 | 주식회사 저스템 | Cover for baby carriage comprising air purifie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45686B1 (en) | 2019-04-02 | 2020-08-18 | 전민성 | Portable Air Purifier |
WO2021204976A1 (en) * | 2020-04-08 | 2021-10-14 | Wiseware, Lda. | An air filtration device |
DE102020110110B3 (en) * | 2020-04-09 | 2021-07-22 | Fresenius Medical Care Deutschland Gmbh | Breathing air purification devic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73346Y1 (en) * | 2002-02-04 | 2002-04-22 | 박영홍 | Portable compact air-cleaner |
JP2004000413A (en) * | 2002-04-18 | 2004-01-08 | Matsushita Refrig Co Ltd | Local deodorizing apparatus |
KR200476335Y1 (en) * | 2014-09-29 | 2015-02-17 | 김민석 | A container with sterillization |
-
2016
- 2016-05-31 KR KR1020160067742A patent/KR101919326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73346Y1 (en) * | 2002-02-04 | 2002-04-22 | 박영홍 | Portable compact air-cleaner |
JP2004000413A (en) * | 2002-04-18 | 2004-01-08 | Matsushita Refrig Co Ltd | Local deodorizing apparatus |
KR200476335Y1 (en) * | 2014-09-29 | 2015-02-17 | 김민석 | A container with sterillizatio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97495B1 (en) | 2020-03-30 | 2021-09-02 | 주식회사 저스템 | Cover for baby carriage comprising air purifi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35588A (en) | 2017-12-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19326B1 (en) | Air cleaner | |
US10912961B2 (en) | Mask having adsorption membrane provided therein | |
CN108778455B (en) | Air filter containing polymeric adsorbent for reactive gases | |
ES2258335T3 (en) | SEMIPERMEABLES ANTIMICROBIAL MEMBRANES. | |
EP1057520B1 (en) | Microfilter cartridge | |
US20180133658A1 (en) | Adsorptive membrane | |
JP2008519173A5 (en) | ||
KR20180135691A (en) | Method for hollow fiber membrane making and Air cleaner combined with humidity controller by using hollow fiber membrane | |
KR101810830B1 (en) | Portable pouch for water purifying | |
KR20160109916A (en) | Air cleaning filter and air cleaner having the same | |
JP7046867B2 (en) | Hollow fiber membrane for filtering liquids | |
JP2003512093A (en) | Filtration unit for virucidal substances | |
JPH03112564A (en) | Blood plasma separating membrane and blood plasma separator employing same separating membrane | |
KR100694895B1 (en) | Filtration Media by Textile Coated with Functional Materials | |
KR101669735B1 (en) | A cartridge filter for nature filtering water purifier and nature filtering type water purifier using the filter | |
JP4855414B2 (en) | Skinless porous membran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JP5573259B2 (en) | Liquid filtration filter and liquid filtration method | |
KR20170061120A (en) | Air cleaning filter | |
JP2001509430A (en) | Integrated fleece reinforced porous membrane | |
JP2013039535A (en) | Water-purifying cartridge, and water purifier | |
CZ34619U1 (en) | Filter to separate arsenic from water | |
JPH07313972A (en) | Portable water purifier and usage of the same | |
JP2005066168A (en) | Plasma separation membrane for hemocatharsis, and hemocatharsis system using the same | |
CN116392972B (en) | Forward osmosis membrane applied to emergency water treatment,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 |
JPH11332979A (en) | Membrane type blood dialyz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