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9274B1 - Iot를 이용한 자동화 농수 및 농약 분사 장치 및 그의 운용 방법 - Google Patents

Iot를 이용한 자동화 농수 및 농약 분사 장치 및 그의 운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9274B1
KR101919274B1 KR1020180018846A KR20180018846A KR101919274B1 KR 101919274 B1 KR101919274 B1 KR 101919274B1 KR 1020180018846 A KR1020180018846 A KR 1020180018846A KR 20180018846 A KR20180018846 A KR 20180018846A KR 101919274 B1 KR101919274 B1 KR 1019192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ricultural water
pesticide spraying
iot
wat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8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지나
김용성
김재훈
위준석
유태수
Original Assignee
송지나
김용성
김재훈
위준석
유태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지나, 김용성, 김재훈, 위준석, 유태수 filed Critical 송지나
Priority to KR1020180018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92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9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92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controlling time, or sequence, of deliver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09Watering arrangements making use of movable installations on wheel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3Equipment for handling produce in greenhou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7Water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9Regulating or controll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05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mounted on vehicles or designed to apply a liquid on a very large surface, e.g. on the road, on the surface of lar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 B05B9/04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with pumps fo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은 농약은 물론 농수를 사람의 직접적인 조작없이 원격지에서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어플을 통해 제어함으로써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고, 분사장치의 하부에 바퀴가 아닌 무한궤도를 적용함으로써 접지면적을 넓게 하여 분사장치의 전체 중량을 분산시켜 접지압력을 감소시키고, 어플을 이용함으로써 가편한 작동이 가능하고, 농약이나 농수의 잔량까지 바로 확인할 수 있는 IOT를 이용한 자동화 농수 및 농약 분사 장치 및 그의 운용 방법과, 고가로 인식될 수 있는 분사장치를 임대방식으로 운용하도록 하고, 원격지에서 서버를 통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초기 부담없이 임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인 IOT를 이용한 자동화 농수 및 농약 분사 장치 및 그의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IOT를 이용한 자동화 농수 및 농약 분사 장치 및 그의 운용 방법{Automated agricultural water and pesticide spraying device using IOT and its operation method}
본 발명은 농수 및 농약 분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인으로 농수 및 농약을 분사하는 장치의 이동 수단을 궤도형 구축하고,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간단하게 조작할 수 있는 IOT를 이용한 자동화 농수 및 농약 분사 장치 및 그의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국내 농업은 농업에 종사하고 있는 농촌 인력은 계속해서 감소하고 있고 고령화에 따른 농촌일손 부족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예전과 비교해 동력에 의한 기계화가 이루어졌지만 아직도 많은 부분에서 인력의 힘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농작물을 재배함에 있어서 각종 병충해로부터 농작물을 보호하기 위하여 농약을 분무하거나, 축사에서 콜레라, 구제역 등의 가축 전염병을 예방하기 위하여 소독작업을 실시하는 경우에 여전히 인력을 필요로 한다.
예를 들면, 밭에서 재배하는 농작물에 농약을 분무하고자 할 경우에는 작업자가 직접 분무기를 착용한 상태에서 수작업으로 농약 분무작업을 실시하였으며, 비교적 넓은 면적의 밭에서 농약을 분무할 경우에는 농약 분무장치 및 호스 권취장치가 탑재된 적재함을 트랙터에 매달아 트랙터의 운전 시 발생된 유압에 의해 농약 분무장치 및 호스 권취장치를 구동하여 농약을 살포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작업 또한 작업자에게 의존하기 때문에 작업 효율성이 많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농약분사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농가인구 고령화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농가소득 추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특정 지역 농가의 소득 및 부채 추이에 대한 통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농촌 인력의 감소와 함께 농가인구의 고령화율을 점차로 높아지고 있다. 다만 다행인 것은 농가소득의 추이가 높아지고, 통계청의 자료에서와 같이 경북지역 농가의 소득은 올라가고, 부채는 감소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농촌 인력이 감소함에도 불구하고, 농가소득이 높아지고, 부채비율이 감소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그 중 하나로 기계화, 자동화 등을 꼽을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농촌에서 발생되는 사고 중 농약사고 관련 기사를 나타낸 도면이다.
한편 농촌에서 발생되는 사고 중 농약사고 관련 기사는 도 4에 나타낸 바와와 같이 남성 농업인 23%의 농약 중독, 차량식 농약 분무기에 의한 사망 사고 등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농약의 직접 살포에 의한 농약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차량식 농략 분무기를 이용하기 하고 있으나 이 역시도 사람이 직접 조정하는과정에서 조작 미숙 등에 의해 사고가 발생할 수 있었다.
즉 농업분야에 있어서 종사하는 인력은 감소중이며 종사하는 사람의 연령도 많이 높아졌다는 것도 조사에 의하여 알 수 있는데, 농촌에서 농약 살포 시에는 보호구(모자,안경,마스크,고무장갑)와 보호의복을 착용하여 피부의 노출을 최소화며, 코로 흡입하게 될 경우 위험하기 때문에 보호구 사용이 필수적 이나 노년층은 이러한 보호구를 챙겨 하기 보다는 맨몸으로 농약을 살포하기 때문에 건강상의 문제가 될 수 있어 이를 막고자 하는 기구를 제작할 필요가 있다.
도 5 및 도 6은 농촌에서 사용되는 기계화, 자동화 장비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농촌에서 사용되는 기계화, 자동화 장비의 다양한 예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데, 도 5나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가의 가격대를 형성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의 일예가 하기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는 비닐하우스 또는 작물 플랜트와 같이 실내에서 작물을 재배할 수 있는 시설에 설치된 레일에 결합 롤러를 이용하여 이동가능하며,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자동살포장치에 의해 약제가 살포되어 작물 재배 시설 전체에 약제를 살포할 수 있는 작물 성장을 위한 약제의 자동살포장치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비닐하우스 또는 작물 플랜트와 같은 시설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작동하기 때문에, 주로 작물 재배를 위한 시설 하우스 등의 장소에서만 적용할 수 있어 설치장소에 제한을 받으며, 작업자가 장치의 작동 및 작업상태를 관찰하기 위하여 작업장소에 머물러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70506호(2013.05.28 등록)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농약은 물론 농수를 사람의 직접적인 조작없이 원격지에서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어플을 통해 제어함으로써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고, 분사장치의 하부에 바퀴가 아닌 무한궤도를 적용함으로써 접지면적을 넓게 하여 분사장치의 전체 중량을 분산시켜 접지압력을 감소시키고, 어플을 이용함으로써 가편한 작동이 가능하고, 농약이나 농수의 잔량까지 바로 확인할 수 있는 IOT를 이용한 자동화 농수 및 농약 분사 장치 및 그의 운용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가로 인식될 수 있는 분사장치를 임대방식으로 운용하도록 하고, 원격지에서 서버를 통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초기 부담없이 임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인 IOT를 이용한 자동화 농수 및 농약 분사 장치 및 그의 운용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IOT를 이용한 자동화 농수 및 농약 분사 장치는, 양액이나 농수를 저장하는 저장부(101); 전용 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닛과 블루투스 방식에 의한 통신을 수행하는 시스템부(102); 전원부와 구동부로 구성되는 제어부(103); 라인 트레이서와 무한궤도로 구성되는 바퀴부(104);를 포함하고, 수위센서와 온 습도센서를 이용하여 워터탱크 잔량 표시하고, 상기 라인트레이서를 활용하여 자동운행을 수행하며, DC Motor와 상기 라인트레이서로 구동되고, DC Water Pump 로 상기 저장부(101)에 충전된 농약이나 물을 분사하며, 외부의 관리자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기기를 조작하고, 상기 스마트폰의 화면에 기기조작을 위한 화면이 표시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IOT를 이용한 자동화 농수 및 농약 분사 장치 운용 시스템은, 복수의 IOT를 이용한 자동화 농수 및 농약 분사 장치(110 ~ 190); 상기 복수의 IOT를 이용한 자동화 농수 및 농약 분사 장치(110 ~ 190)에 대하여 자동화 농수 및 농약 분사와 관련된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동화 농수/농약 분사 장치 운용 서버(200); 상기 각각의 자동화 농수 및 농약 분사 장치(110 ~ 190)를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폰(700); 상기 자동화 농수/농약 분사 장치를 구매하거나, 임대하는 경우에는 안전한 구매나 임대가 가능하도록 하는 금융사 서버(300); 및 상기 복수의 IOT를 이용한 자동화 농수 및 농약 분사 장치(110 ~ 190)와 자동화 농수/농약 분사 장치 운용 서버(200) 및 금융사 서버(300)간 통신을 제공하는 통신망(50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IOT를 이용한 자동화 농수 및 농약 분사 장치의 운용 방법은, 자동화 농수/농약 분사 장치 운용 서버(200)에 분사장치 및 관리자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S100); 상기 자동화 농수/농약 분사 장치 운용 서버(200)는 분사장치 임대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S110); 상기 자동화 농수/농약 분사 장치 운용 서버(200)에 분사장치 운용정보와 부사장치 요청 정보 및 A/S 처리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S120)(S130); 상기 분사장치 중 사용중이지 않은 분사장치에 대하여 상기 자동화 농수/농약 분사 장치 운용 서버(200)를 통해 다른 사용자에게 임대를 제공하고, 해당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S140); 및 설정된 주기마다 임대/할부한 분사장치에 대하여 금융사 서버를 통해 비용청구 및 임대한 관리자와 임대 수익을 분배하는 단계(S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장치 내부에 구비된 펌프를 이용하여 분사형식으로 양분을 공급함으로써 분사가 용이하다.
둘째,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농약과 농수의 잔량을 원격지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사람에 의한 직접 살포가 아닌 분사장치에 의한 살포이므로 농약중독이나 농략 알러지 및 호흡기 감염에 의한 폐질환등으로부터 사람을 보호할 수 있다.
넷째, 일손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다섯째, 농수 및 농략 살포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노약자 등도 쉽게 할 수 있다.
여섯째, 고령화된 농업분야 직종의 종사자분들의 사용을 하게하여 일의 편리성을 강조하게 하고, 실제 청년들에게 홍보 및 광고를 하여 쉬워진 농업분야 일들을 알리고, 농업분야 직종에 눈을 돌리게 하여 한국의 농업기술을 더욱 더 높아지게 만들 수 있다.
일곱째, 실제 온실 및 비닐하우스를 운영하시는 농업인들을 대상으로 베타 테스팅을 거친 후 마을단위의 렌탈 형식을 취하는 경우 부담없이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농가인구 고령화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농가소득 추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특정 지역 농가의 소득 및 부채 추이에 대한 통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농촌에서 발생되는 사고 중 농약사고 관련 기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농촌에서 사용되는 기계화, 자동화 장비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IOT를 이용한 자동화 농수 및 농약 분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IOT를 이용한 자동화 농수 및 농약 분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IOT를 이용한 자동화 농수 및 농약 분사 장치를 운용하기 위하여 스마트 기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IOT를 이용한 자동화 농수 및 농약 분사 장치 운용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IOT를 이용한 자동화 농수 및 농약 분사 장치의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IOT를 이용한 자동화 농수 및 농약 분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IOT를 이용한 자동화 농수 및 농약 분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IOT를 이용한 자동화 농수 및 농약 분사 장치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장부(101), 시스템부(102), 제어부(103) 및 바퀴부(104)로 구성된다.
여기서 저장부(101)는 양액이나 농수를 저장한다.
시스템부(102)는 전용 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닛과 블루투스 방식에 의한 통신을 수행한다.
제어부(103)는 전원부와 구동부로 구성된다.
바퀴부(104)는 라인 트레이서와 무한궤도로 구성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터리, 워터펌프, 모터 드라이버, 라인트레이서, 온습도 센서, 수위센서 및 통신 모듈로 구성된다.
이때, DC Motor와 라인트레이서로 기기 구동하고, DC Water Pump 로 충전된 농약이나 물을 분사한다.
그리고 ATmeaga328기반의 PCB Board로 블록도의 센서들을 구동한다.
또한 Smartphone Application과의 연동하여 기기 조작한다.
수위센서와 온 습도센서를 이용하여 워터탱크 잔량 표시하고, 라인트레이서를 활용하여 자동운행을 수행한다. 물론, 수동운행 조작도 가능하다.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IOT를 이용한 자동화 농수 및 농약 분사 장치를 운용하기 위하여 스마트 기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IOT를 이용한 자동화 농수 및 농약 분사 장치를 운용하기 위하여 스마트 기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시예는 도 9 내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은데, 도 9a는 초기화면을 도 9b는 블루투스 연결을, 도 9c는 워터탱크의 잔량과 공급량 및 온습도 기록을 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는 도 10a에 나타낸 바와 같은 초기화면과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은 블루투스 연결, 자동, 수동 운행, 물분사나 약품분사 선택, 도 10c에 나타낸 바와 같은 물분사 중지, 약품 분사 중지 및 도 10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워터탱크의 잔량과 공급량 및 온습도 기록을 볼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IOT를 이용한 자동화 농수 및 농약 분사 장치 운용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IOT를 이용한 자동화 농수 및 농약 분사 장치 운용 시스템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IOT를 이용한 자동화 농수 및 농약 분사 장치(110 ~ 190)과 복수의 IOT를 이용한 자동화 농수 및 농약 분사 장치(110 ~ 190)에 대하여 자동화 농수 및 농약 분사와 관련된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동화 농수/농약 분사 장치 운용 서버(200)로 구성된다.
이러한 그리고 자동화 농수/농약 분사 장치를 구매하거나, 임대하는 경우에는 금융사 서버(300)를 통한 거래를 통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안전한 구매나 임대가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복수의 IOT를 이용한 자동화 농수 및 농약 분사 장치(110 ~ 190)들에 대하여 각각의 지역에서 관리하는 지역서버(410, 420, 430)들이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IOT를 이용한 자동화 농수 및 농약 분사 장치(110 ~ 190)와 지역서버(410, 420, 430) 및 자동화 농수/농약 분사 장치 운용 서버(200)는 통신망(500)으로 통신할 수 있는데, 이러한 통신망(500)은 통상의 유무선 인터넷망(3G 내지 5G, WiFi 및 LoRaWAN(Long Range Wide Area Network)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각각의 자동화 농수 및 농약 분사 장치(110 ~ 190)는 PC,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700) 등으로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자동화 농수/농약 분사 장치 운용 서버(200)는 통신부(210), 분사장치 운용 정보 저장부(220), 분사장치/관리자 정보 저장부(230), 분사장치 임대 정보 관리부(240), 분사장치 요청 정보 처리부(250), 어플리케이션 관리부(260), 제어부(270)로 구성된다.
여기서 통신부(210)는 각각의 분사장치나 사용자(관리자)의 스마트 기기(700) 및 지역서버 등과 통신한다.
분사장치 운용 정보 저장부(220)는 각각의 분사장치의 운용정보가 저장된다. 이러한 운용정보는 운용장치의 구조가 다양한 경우 각각의 운용장치의 버전 등이 저장된다.
분사장치/관리자 정보 저장부(230)는 분사장치의 식별정보(ID), 분사장치별 관리자(운용자)(농민) 정보가 저장된다. 이러한 관리자 정보로는 스마트 폰 번호 등이 포함된다.
분사장치 임대 정보 관리부(240)는 분사장치를 임대한 경우, 임대한 분사장치 식별정보, 임대비용, 임대기간 등의 정보가 저장된다.
분사장치 요청 정보 처리부(250)는 각각의 분사장치들로부터의 A/S정보 등이 저장되고, A/S 후처리 정보 등이 저장된다. 이와 같은 정보를 통해 분사장치의 종류나 버전에 따른 개량정보로 이용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관리부(260)는 관리자의 스마트 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을 관리하는 것으로, 주기적인 업데이트를 제공한다.
제어부(270)는 통신부(210), 분사장치 운용 정보 저장부(220), 분사장치/관리자 정보 저장부(230), 분사장치 임대 정보 관리부(240), 분사장치 요청 정보 처리부(250), 어플리케이션 관리부(260)를 제어한다.
그리고 자동화 농수/농약 분사 장치 운용 서버(200)는 관리자가 서버(20)를 운용하면서 이용하는 입출력 장치(마우스, 프린터, 키보드 등)(620)과 모니터(610) 및 서버(200)의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630)가 연결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IOT를 이용한 자동화 농수 및 농약 분사 장치의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IOT를 이용한 자동화 농수 및 농약 분사 장치의 운용 방법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동화 농수/농약 분사 장치 운용 서버(200)에 분사장치 및 관리자 정보를 수집한다(S100).
그리고 자동화 농수/농약 분사 장치 운용 서버(200)는 분사장치 임대 정보를 수집한다(S110).
또한 자동화 농수/농약 분사 장치 운용 서버(200)에 분사장치 운용정보와 부사장치 요청 정보 및 A/S 처리 정보 등을 수집한다(S120)(S130).
그리고 사용중이지 않은 분사장치에 대하여 다른 사용자에게 임대를 제공하면 해당 정보를 수집한다(S140).
그리고 설정된 주기마다 임대/할부한 분사장치에 대하여 금융사 서버를 통해 비용청구 및 임대한 관리자와 임대 수익을 분배한다(S150).
이상과 같은 예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예들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1 : 저장부 102 : 시스템부
103 : 제어부 104 : 바퀴부

Claims (3)

  1. 양액이나 농수를 저장하는 워터탱크인 저장부(101)와, 전용 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닛과 블루투스 방식에 의한 통신을 수행하는 시스템부(102)와, 전원부와 구동부로 구성되는 제어부(103)와, 라인 트레이서와 무한궤도로 구성되는 바퀴부(104);를 포함하고, 수위센서와 온 습도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워터탱크인 저장부(101)의 잔량을 표시하고, 상기 라인트레이서를 활용하여 자동운행을 수행하며, DC Motor와 상기 라인트레이서로 구동되고, DC Water Pump 로 상기 저장부(101)에 충전된 농약이나 물을 분사하며, 외부 관리자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조작되고, 상기 스마트폰의 화면에 기기조작을 위한 화면이 표시되는 IOT를 이용한 복수의 자동화 농수 및 농약 분사 장치(110 ~ 190);
    상기 IOT를 이용한 복수의 자동화 농수 및 농약 분사 장치(110 ~ 190)나 상기 IOT를 이용한 복수의 자동화 농수 및 농약 분사 장치(110 ~ 190) 각각의 관리자의 스마트 기기(700)와 통신하는 통신부(210)와, 상기 IOT를 이용한 복수의 자동화 농수 및 농약 분사 장치(110 ~ 190) 각각의 운용정보가 저장되는 분사장치 운용 정보 저장부(220)와, 상기 IOT를 이용한 복수의 자동화 농수 및 농약 분사 장치(110 ~ 190) 각각의 식별정보(ID)와, 관리자의 스마트 폰 번호 정보가 저장되는 분사장치/관리자 정보 저장부(230)와, 상기 IOT를 이용한 복수의 자동화 농수 및 농약 분사 장치(110 ~ 190)를 임대한 경우, 임대한 분사장치 식별정보, 임대비용, 임대기간 정보가 저장되는 분사장치 임대 정보 관리부(240)와, 상기 IOT를 이용한 복수의 자동화 농수 및 농약 분사 장치(110 ~ 190) 각각의 A/S정보와 A/S 후처리 정보가 저장되어 분사장치의 종류나 버전에 따른 개량정보로 이용되는 분사장치 요청 정보 처리부(250)와, 상기 관리자의 스마트 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을 관리하여 주기적인 업데이트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부(260) 및 상기 통신부(210), 분사장치 운용 정보 저장부(220), 분사장치/관리자 정보 저장부(230), 분사장치 임대 정보 관리부(240), 분사장치 요청 정보 처리부(250) 및 어플리케이션 관리부(260)를 제어하는 제어부(27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IOT를 이용한 복수의 자동화 농수 및 농약 분사 장치(110 ~ 190)에 대하여 자동화 농수 및 농약 분사와 관련된 각종 서비스 제공 시 상기 IOT를 이용한 복수의 자동화 농수 및 농약 분사 장치(110 ~ 190) 및 관리자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IOT를 이용한 복수의 자동화 농수 및 농약 분사 장치(110 ~ 190) 중 사용중이지 않은 자동화 농수 및 농약 분사 장치의 임대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IOT를 이용한 복수의 자동화 농수 및 농약 분사 장치(110 ~ 190)의 운용정보와 분사장치 요청 정보 및 A/S 처리 정보를 수집하며, 상기 IOT를 이용한 복수의 자동화 농수 및 농약 분사 장치(110 ~ 190) 중 사용중이지 않은 자동화 농수 및 농약 분사 장치에 대하여 수집된 임대정보에 따라 설정된 주기마다 임대/할부한 자동화 농수 및 농약 분사 장치에 대하여 금융사 서버(300)를 통해 비용청구 및 임대한 관리자와 임대 수익을 분배하는 자동화 농수/농약 분사 장치 운용 서버(200);
    상기 자동화 농수/농약 분사 장치를 구매하거나, 상기 자동화 농수/농약 분사 장치를 임대하는 경우에 안전한 구매나 임대를 위한 거래가 가능하도록 하는 금융사 서버(300); 및
    상기 IOT를 이용한 복수의 자동화 농수 및 농약 분사 장치(110 ~ 190)와 자동화 농수/농약 분사 장치 운용 서버(200) 및 금융사 서버(300)간 통신을 제공하는 통신망(50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IOT를 이용한 자동화 농수 및 농약 분사 장치 운용 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180018846A 2018-02-15 2018-02-15 Iot를 이용한 자동화 농수 및 농약 분사 장치 및 그의 운용 방법 KR1019192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8846A KR101919274B1 (ko) 2018-02-15 2018-02-15 Iot를 이용한 자동화 농수 및 농약 분사 장치 및 그의 운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8846A KR101919274B1 (ko) 2018-02-15 2018-02-15 Iot를 이용한 자동화 농수 및 농약 분사 장치 및 그의 운용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9274B1 true KR101919274B1 (ko) 2019-02-08

Family

ID=65365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8846A KR101919274B1 (ko) 2018-02-15 2018-02-15 Iot를 이용한 자동화 농수 및 농약 분사 장치 및 그의 운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927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92279A (zh) * 2021-07-23 2021-11-02 北京百瑞盛田环保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农药喷药远程监控方法、服务器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210145927A (ko) * 2020-05-26 2021-12-03 씨에스이(주) 이동형 스마트 자동 관수장치
KR20220094526A (ko) * 2020-12-29 2022-07-06 김형준 빅데이터 기반의 모바일 앱을 이용한 약제 관리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7355B1 (ko) * 2001-04-30 2005-03-22 임영희 통신망을 이용한 가맹점 기반의 물건대여 방법 및 시스템
KR101733439B1 (ko) * 2015-11-09 2017-05-24 (주)로보와이즈 사물 인터넷과 이동형로봇을 이용한 실시간 원격 제어 기반의 맞춤형 주말 농장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7355B1 (ko) * 2001-04-30 2005-03-22 임영희 통신망을 이용한 가맹점 기반의 물건대여 방법 및 시스템
KR101733439B1 (ko) * 2015-11-09 2017-05-24 (주)로보와이즈 사물 인터넷과 이동형로봇을 이용한 실시간 원격 제어 기반의 맞춤형 주말 농장 관리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5927A (ko) * 2020-05-26 2021-12-03 씨에스이(주) 이동형 스마트 자동 관수장치
KR102456857B1 (ko) * 2020-05-26 2022-10-21 이종명 이동형 스마트 자동 관수장치
KR20220094526A (ko) * 2020-12-29 2022-07-06 김형준 빅데이터 기반의 모바일 앱을 이용한 약제 관리 장치
KR102549189B1 (ko) 2020-12-29 2023-06-29 김형준 빅데이터 기반의 모바일 앱을 이용한 약제 관리 장치
CN113592279A (zh) * 2021-07-23 2021-11-02 北京百瑞盛田环保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农药喷药远程监控方法、服务器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3592279B (zh) * 2021-07-23 2024-01-12 北京百瑞盛田环保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农药喷药远程监控方法、服务器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9274B1 (ko) Iot를 이용한 자동화 농수 및 농약 분사 장치 및 그의 운용 방법
CN102541030B (zh) 作物病虫害智能监测防治系统
CN205220854U (zh) 一种多用途智能车及包括该车的智能施药设备
Manandhar et al. Techno-economic impacts of using a laser-guided variable-rate spraying system to retrofit conventional constant-rate sprayers
EP2423860A2 (en) Apparatus for performing horticultural tasks
CN106135175A (zh) 一种多用途智能车
CN106135174A (zh) 一种智能施药设备
CN205409283U (zh) 一种无人机果树喷洒装置
CN206061937U (zh) 一种高杆作物的喷药装置
Farnsworth et al. Cotton production under risk: an analysis of input effects on yield variability and factor demand
Nielsen et al. Economics of tall larkspur control
Fragar et al. Drivers of adoption of safety innovations on Australian cotton farms
Nichols et al. Automation
Miller et al. A manual on ground applications of forestry herbicides
JP2002279017A (ja) 農園会員システム、農園会員クラブ運営方法
Fragar et al. The impact of biotechnology and other factors on health and safety in the Australian cotton industry
Zaikin et al. Economic comparison of undercutter and traditional tillage systems for winter wheat-summer fallow farming
Matache et al. INTELLIGENT WIRELESS TECHNOLOGY USAGE EFFECT IN CONTEXT OF PHYTOSANITARY TREATMENT SPRAYING
Ladner ARKANSAS BOLL WEEVIL ERADICATION PROGRAM PRESENTATION TO THE ANNUAL COTTON RESEARCH MEETING
Agnew et al. Use of insect growth regulators and changing whitefly control costs in Arizona cotton
CN111176162A (zh) 一种基于大数据的农田除害管理方法
JP2003242200A (ja) 農薬施用請負方法及びシステム
Eggers Economic and environmental impact of the integrated crop management program
SAN JOAQUIN SAMPLE COSTS TO ESTABLISH AND PRODUCE TABLE GRAPES
CN107391242A (zh) 智能供给水肥的装置和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