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8889B1 - 건축용 블록 모듈 - Google Patents
건축용 블록 모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18889B1 KR101918889B1 KR1020180023958A KR20180023958A KR101918889B1 KR 101918889 B1 KR101918889 B1 KR 101918889B1 KR 1020180023958 A KR1020180023958 A KR 1020180023958A KR 20180023958 A KR20180023958 A KR 20180023958A KR 101918889 B1 KR101918889 B1 KR 10191888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upling
- heating tube
- unit
- block
- block modu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4—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 E04B2/06—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43—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or key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56—Special feature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73—Adhesive layers other than mortar between build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건축용 블록 모듈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블록 모듈은 육면체 형상으로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연결되어 블록 모듈을 형성하는 단위블록, 디자인적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블록 모듈의 전면에 결합되어 심미감을 향상시키는 데코블록, 상호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단위블록들을 서로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축용 블록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위블록의 결합홈에 충진재를 삽입 후 용융시켜 상호 인접한 단위블록을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건축용 블록 모듈에 관한 것이다.
통상 건축 및 토목용 블록은 판상의 육면체, 정방형 또는 장방형의 육면체로 이루어져 벽체를 구성하기 위한 벽돌 등이 있다.
종래에는 건축 및 토목용 블록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각각 블록의 규격에 맞는 거푸집을 제작 한 후, 거푸집 내에 시멘트에 모래, 자갈과 같은 골재를 혼합한 혼합물을 투입하여 소정 시간동안 건조한다. 그리고 건조한 거푸집내의 혼합물은 거푸집으로부터 분리하여 블록으로 사용하게 된다.
종래의 블록은 단순히 모래와 자갈로 구성된 골재와 시멘트를 물과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이 대부분이었으나, 이는 미적인 감각을 추구하는 최근의 추세에는 부합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대리석이나 화강함 원석(原石) 자체를 석벽 용으로 적용하기도 하는데 이와 같은 석벽은 일반적으로 부피가 큰 직사각 상태로 채취(대략 20t 정도의 무게)되어, 적정 두께와 면적으로 절단하여 블록 형태로 사용되기도 하며, 규격에 맞게 다시 절단 후 표면 가공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콘크리트 블록과 석재블럭 그리고 원석 등을 이용하여 구축되는 석벽은 지반에 고정시키기가 용이하지 않았으며 구조적 안정을 위하여 블럭들끼리 결합 작업을 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은 램프 등을 적용하여 야간 시인성을 가져올 수 있는 건축용 블록 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둘째, 본 발명은 단위블록 사이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건축용 블록 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셋째, 본 발명은 석벽의 해체가 용이한 건축용 블록 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육면체 형상으로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연결되어 블록 모듈을 형성하는 단위블록, 디자인적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블록 모듈의 전면에 결합되어 심미감을 향상시키는 데코블록, 상호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단위블록들을 서로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건축용 블록 모듈을 제공한다.
상기 단위블록에는 상기 결합부가 삽입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호 인접한 상기 단위블록의 상기 결합홈은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상호 인접한 상기 단위블록을 결합하기 위한 열 가소성 충진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블록 모듈에 의하면 블록 모듈에 램프를 적용하여 야간에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블록 모듈에 의하면 상호 인접한 단위블록을 열가소성 소재의 충진재를 이용하여 결합함으로써 단위블록 사이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셋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블록 모듈에 의하면 상호 인접한 단위블록을 열가소성 소재의 충진재를 이용하여 결합함으로써 석벽 해체 시에도 충진재에 열을 가하여 단위블록들을 분리함으로써 석벽의 해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블록 모듈을 이용하여 구축된 석벽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블록 모듈 중 결합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블록 모듈 중 결합부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블록 모듈 중 결합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및
도 5는 본 발명 램프 상측으로 커버부가 적용되는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블록 모듈 중 결합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블록 모듈 중 결합부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블록 모듈 중 결합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및
도 5는 본 발명 램프 상측으로 커버부가 적용되는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블록 모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블록 모듈을 이용하여 구축된 석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블록 모듈(100)은 단위블록(110), 데코블록(120), 결합부(130)를 포함한다.
단위블록(110)은 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복수 개가 서로 연결되어 석벽의 외관을 이룬다.
그리고, 단위블록(110)의 적어도 서로 대향되는 양면에는 상호 인접한 단위블록(110)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홈(112)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112)은 단위블록(110)의 상면으로부터 하면까지 연장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단위블록(110)에는 모두 동일한 위치에 결합홈(112)이 형성되어 후술할 결합부(130)가 세로 방향으로 삽입되어 단위블록(110)을 결합할 수 있다.
데코블록(120)은 단위블록(110)의 전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디자인적 요소를 포함하여 석벽에 심미감을 더할 수 있다.
상기 데코블록(120)은 단위블록(110)의 전면에 체결부재(122)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또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단위블록(110)과 데코블록(120)의 결합을 위하여 서로 마주보는 면에 체결홈(미도시)과 체결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데코블록(120)의 결합을 위한 구성은 상술하는 것 외에도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30)는 상술한 결합홈(112)에 세로 방향으로 삽입되어 상호 인접한 단위블록(110)을 결합하는 역할을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블록 모듈 중 결합부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블록 모듈 중 결합부의 단면도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130)는 가열관(131), 연결가열관(132), 충진재(133), 램프(134), 전선(135), 전선보호관(136)을 포함할 수 있다.
단위블록(110)이 석벽을 형성하도록 적층되면, 각 단위블록(110)에 형성된 결합홈(112)들은 세로 방향으로 연통될 수 있다. 가열관(131)은 서로 연통되는 결합홈(112)에 삽입되는 것으로, 석벽의 높이보다 짧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가열관(131)은 열 전도율이 뛰어난 금속성 재질로 형성되며, 가열관(131)의 일측을 가열하면 가열관(131)의 전체로 빠르게 열이 전달되어 후술할 충진재(133)를 용융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연결가열관(132)은 일측이 가열관(131)과 연결되고, 타측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연결가열관(132)의 재질은 가열관(131)과 동일하며, 연결가열관(132)과 가열관(131)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연결가열관(132)의 외부로 노출된 측을 가열하면, 열이 가열관(131) 전체로 전달될 수 있다.
결합홈(112)과 가열관(131) 사이에는 충진재(133)가 채워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충진재(133)의 외형은 결합홈(112)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충진재(133)의 내부에는 가열관(131)과 연결가열관(132)이 내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충진재(133)는 상온에서는 고체 형태를 이루되, 열을 가하면 용융되어 접착성을 가지는 재질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리콘 등과 같은 열 가소성 합성수지가 적용될 수 있다.
이로써, 단위블록(110)을 적층하여 석벽을 형성한 후, 결합홈(112)에 결합부(130)를 삽입하여 연결가열관(132)에 열을 가하면 충진재(133)가 용융되며 각 단위블록(110)들을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상기 각 단위블록(110)들 사이로 물이나 소음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충진재(133)가 열가소성 재질이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단위블록(110)들로 이루어진 석벽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130)는 결합홈(112)에 일체로 형성되는 가열관(131)과 연결가열관(132)을 삽입 후 충진재(133)를 나머지 공간에 채워넣어 용융시키는 방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결합홈(112)과 대응되는 형상의 결합부(130)를 미리 형성하여 결합홈(112)에 끼워 넣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가열관(131)의 상부에는 램프(134)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램프(134)는 빛이 결합홈(112)의 상부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충진재(133)가 불투명한 재질인 경우, 램프(134)가 상부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충진재(133)가 투명한 재질인 경우에는 램프(134)가 충진재(133)의 내부에 위치하여도 무방하다. 램프(134)가 구비됨으로써 석벽의 심미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램프(134)의 하부에는 램프(134)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135)이 설치되며 상기 전선(135)은 가열관(13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가열관(131)의 열로부터 전선(135)을 보호하기 위하여 가열관(131)과 전선(135) 사이에는 전선보호관(136)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전선보호관(136)은 내열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어 가열관(131)과 접작제의 열이 전선(135)까지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여 전선(135)의 손상 및 전기 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시된 것처럼, 상기 충진재(133) 상측으로 상기 연결가열관(132) 상부 일부 구간에는 홈부(138)가 형성되어 상기 홈부(138)를 통하여 연결가열간(132)을 감싸는 형태의 가열모듈(미도시)이 적용되어 작업의 편리함을 가져오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블록 모듈 중 결합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진재(133)에는 빛 반사제(137)가 혼합될 수 있다. 빛 반사제(137)는 충진재(133) 내의 램프(134)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충진재(133)는 투명한 재질이 적용될 수 있다. 이로써, 램프(134)의 빛이 빛 반사제(137)에 의해 전방위로 반사되어 외부에서 은은한 빛은 감상할 수 있다. 여기서, 빛 반사제(137)로는 구형의 글라스비즈(Glass beads)가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것과 같이 구성되는 건축용 블록 모듈(100)을 이용한 석벽의 구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단위블록(110)을 양측 길이 방향을 따라 일렬된 형태를 이루도록 하되, 상호 인접한 단위블록(110)의 결합홈(112)이 서로 마주보도록 단위블록(110)을 배치한다. 그리고, 상부에 한 층 더 단위블록(110)을 배치하되,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단위블록(110)의 결합홈(112)이 연통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원하는 사이즈의 석벽을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결합부(130)가 충진재(133)의 충전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에는 일체로 형성된 가열관(131)과 연결가열관(132)을 삽입하고, 나머지 공간에 충진재(133)를 채울 수 있다. 여기서, 가열관(131)은 램프(134), 전선(135), 전선보호관(136)이 기 결합된 상태일 수 있다. 충진재(133)가 채워진 후 연결가열관(132)에 별도의 가열기구를 연결하여 가열관(131)을 가열하면 열에 의해 충진재(133)가 용융되면서 상하로 적층된 단위블록(110)과 수평 방향으로 인접하는 단위블록(110)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기 형성된 결합부(13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석벽의 연통된 결합홈(112)에 결합부(130)를 삽입할 수 있다. 결합부(130)에는 가열관(131), 연결가열관(132), 램프(134), 전선(135), 전선보호관(136)이 기 내장되어 있다. 또한, 충진재(133)에 빛 반사제(137)가 포함될 수도 있다. 결합부(130)를 결합홈(112)에 삽입 후 연결가열관(132)에 별도의 가열기구를 연결하여 가열관(131)을 가열하면 열에 의해 충진재(133)가 용융되면서 상하로 적층된 단위블록(110)과 수평 방향으로 인접하는 단위블록(110)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단위블록(110)들의 전면에는 체결부재(122)에 의해 데코블록(120)이 결합될 수 있다. 데코블록(120)은 단위블록(110) 배치 직후에 단위블록(110)에 결합될 수도 있고, 단위블록(110) 결합 후 마지막 단계로 단위블록(11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단위블록(110)들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램프(134)와 빛 반사부, 데코블록(120)을 통하여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또한, 차후에 석벽을 해체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가열관(131)의 가열을 통하여 충진재(133)를 용융시킴으로써 단위블록(110)들의 분리 및 해체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 램프 상측으로 커버부가 적용되는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사시도이다.
도시된 것처럼, 상기 램프(134) 외부를 둘러 감싸는 형태로 투명 재질의 커버부(152)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152)는 상기 충진재(133)를 용융 시 상기 램프(134)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부수적으로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커버부(152) 상부에는 개방공(155)이 적용되어 상기 램프(134)의 빛이 외부로 보다 잘 조사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두 개의 단위블록(110)이 서로 연결되게 설치시 연결되게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결합홈(112) 내측으로 복수 개의 관통홈이 구비된 금속성의 사각관이 구비되도록 하고, 상기 가열관(131)은 측방향으로 상기 충진재(133) 외측으로 돌출되되 상기 결함홈 내측 사각관에 맞닿도록 하는 돌출관(미도시)이 구비되도록 하여 상기 가열관(131)의 가열 시 상기 결함홈(112) 내측 사각관이 가열되어 충진재(133)의 빠른 용융 상태를 유도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충진재(133)는 상기 사각관의 관통홈을 통하여 상기 단위블록(110)의 결합홈(112)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단위블록(110)의 결합홈(112)이 형성된 양측면에 결합홈이 형성되지 않는 부위로 다수의 관통홈이 구비된 금속성 보드부가 설치되도록 하여 상기 금속성 보드부를 가열하여 상기 단위블록(110) 사이로도 상기 충진재(133) 재질과 동일한 재질이 적용되도록 하여 단위블록(110)들이 보다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이루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100: 블록 모듈 110: 단위블록
112: 결합홈 120: 데코블록
122: 체결부재 130: 결합부
131: 가열관 132: 연결가열관
133: 충진재 134: 램프
135: 전선 136: 전선보호관
137: 빛 반사제
112: 결합홈 120: 데코블록
122: 체결부재 130: 결합부
131: 가열관 132: 연결가열관
133: 충진재 134: 램프
135: 전선 136: 전선보호관
137: 빛 반사제
Claims (3)
- 육면체 형상으로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연결되어 블록 모듈을 형성하는 단위블록과, 상기 블록 모듈의 전면에 결합되는 데코블록 및 상호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단위블록들을 서로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단위블록은 양측으로 상기 결합부가 삽입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되, 상호 인접한 상기 단위블록의 상기 결합홈은 상하 및 측방향으로 서로 연결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결합부는 가열관, 연결가열관, 충진재, 램프, 전선, 전선보호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충진재는 상기 결합홈에 대응되는 형태를 이루어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충진재의 내측으로 상기 충진재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기 가열관이 설치되되 상기 가열관은 내부가 중공된 관 형태의 금속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가열관은 일측이 상기 가열관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단위블록 외부에서 노출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램프는 상기 블록 모듈 최상단에 위치되는 상기 단위블록에 설치된 상기 가열관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전선은 상기 가열관 내측으로 상기 램프에 전원 공급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전선보호관은 내열성 재질로 이루어지되 상기 가열관과 상기 전선 사이에 구비되는,
건축용 블록 모듈.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재는 빛 반사제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건축용 블록 모듈.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23958A KR101918889B1 (ko) | 2018-02-27 | 2018-02-27 | 건축용 블록 모듈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23958A KR101918889B1 (ko) | 2018-02-27 | 2018-02-27 | 건축용 블록 모듈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18889B1 true KR101918889B1 (ko) | 2018-11-15 |
Family
ID=64363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23958A KR101918889B1 (ko) | 2018-02-27 | 2018-02-27 | 건축용 블록 모듈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18889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088946A (ja) * | 2000-09-13 | 2002-03-27 | Toyama Prefecture | 構築ブロック |
-
2018
- 2018-02-27 KR KR1020180023958A patent/KR10191888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088946A (ja) * | 2000-09-13 | 2002-03-27 | Toyama Prefecture | 構築ブロック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47057B1 (ko) | 건축용 블록 | |
KR101939180B1 (ko) | 건물 벽체용 내외부 단열재 및 외장패널의 일체화 시공방법 및 그 일체화 된 벽체구조 | |
KR100695700B1 (ko) | 조립식 경량벽체 패널과 그 조립구조 | |
KR101918889B1 (ko) | 건축용 블록 모듈 | |
KR102163271B1 (ko) | 쐐기형 결합부가 형성된 블록과 프레임으로 구성된 조적벽체패널모듈을 이용한 건축 공법 | |
CN105714978A (zh) | 建筑材料用夹芯板 | |
KR100583988B1 (ko) | 건축용 리모델링 블럭 | |
KR100753544B1 (ko) | 건축용 샌드위치 블럭 | |
JP2007154648A (ja) | ガラスレンガ、ガラスレンガ構築体及びその施工方法 | |
KR101547685B1 (ko) | Eps벽체를 이용하는 건축물 및 이의 시공방법 | |
KR200467656Y1 (ko) | 조립식 단열 강화 블록 | |
KR101448857B1 (ko) | 외장재를 일체화시킨 벽체블록 및 그 제조방법 | |
KR20130051403A (ko) | 조립식 단위벽체틀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 |
KR100695695B1 (ko) | 내화 스터드 제조방법 및 그 스터드 | |
CN204491991U (zh) | 铠装一体化墙体 | |
JPS6316723Y2 (ko) | ||
JP4138647B2 (ja) | ガラス煉瓦 | |
JP2006193998A (ja) | 積層屋根瓦 | |
KR101727818B1 (ko) | 건축물 외벽의 조립식 외장재 시공구조 | |
CN217105500U (zh) | 一种预制混凝土构件 | |
CN214423725U (zh) | 一种组合装配式楼板 | |
KR101337061B1 (ko) | 조립식 건축물용 육면체 단위 유닛의 난방배관 설치 방법 및 난방배관이 구비된 조립식 건축물용 육면체 단위 유닛 | |
EP3372365A1 (en) | Hypocaust forming mol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hypocaust body using same | |
JP3184005U (ja) | 防火壁体用樹脂製中空ブロック体 | |
KR102098757B1 (ko) | 우수한 난연성 및 단열성과 열변형 대응이 가능한 건축물 외벽 마감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