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8550B1 - 비접촉식 무선 스위칭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비접촉식 무선 스위칭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8550B1
KR101918550B1 KR1020160144608A KR20160144608A KR101918550B1 KR 101918550 B1 KR101918550 B1 KR 101918550B1 KR 1020160144608 A KR1020160144608 A KR 1020160144608A KR 20160144608 A KR20160144608 A KR 20160144608A KR 101918550 B1 KR101918550 B1 KR 1019185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ontact
wireless switch
radio signa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4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7841A (ko
Inventor
박재훈
Original Assignee
박재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훈 filed Critical 박재훈
Priority to KR1020160144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8550B1/ko
Publication of KR20180047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78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8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8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6/00Switches actuated by change of magnetic field or of electric field, e.g. by change of relative position of magnet and switch, by shield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11/00Generators or motors not provided for elsewhere; Alleged perpetua mobilia obtained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H02N11/002Gener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18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electrical output from mechanical input, e.g. generators
    • H02N2/186Vibration harvesters

Landscapes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접촉식 무선 스위칭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비접촉식 무선 스위칭 방법은 비접촉식 무선 스위치가 무선 신호 발생 장치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비접촉식 무선 스위치가 상기 무선 신호를 기반으로 스위칭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되, 비접촉식 무선 스위치는 에너지 하베스팅부를 포함하고, 에너지 하베스팅부는 상기 무선 신호가 탐지되는 경우, 필드 탐지 신호를 생성하고, 비접촉식 무선 스위치의 스위칭은 상기 필드 탐지 신호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비접촉식 무선 스위칭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non-contacting wireless switching}
본 발명은 비접촉식 무선 스위칭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기계식 스위칭이 아닌 무선 신호를 기반으로 스위칭을 수행하기 위한 비접촉식 무선 스위칭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에 대부분의 전자 장치의 전원의 ON/OFF를 제어하기 위해 기계적인 방식의 스위치가 사용되었다. 기계적인 방식의 스위치는 사용자의 직접적인 제어를 기반으로 물리적인 압력에 의해 작동하게 된다. 이러한 물리적인 압력을 기반으로 한 스위칭 동작으로 인해 기존에 많은 전자 제품의 스위치(또는 버튼)에 고장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기계적인 방식의 스위치는 물리적인 입력으로 인해 부품의 수명이 존재하는 바 영구적으로 사용될 수 없다. 이뿐만 아니라, 기계적인 방식의 스위치는 ON/OFF를 위해 사람에 의한 직접적인 압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스위치와 사람의 접촉이 반드시 필요하여 원거리 스위칭이 어렵다.
에너지 하베스팅(energy harvesting) 기술이란 주변에 존재하는 진동, 열, 빛, 전자기파 등의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은 온도 차에 따른 에너지(thermal energy), 빛의 방사 에너지(light energy), 전자기장 에너지(electromagnetic energy), 진동 에너지(vibrational energy) 등 에너지 하베스팅을 위해 사용된 에너지의 종류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이 중 일부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은 특정 용도에 따라서 이미 산업 전반에 걸쳐 적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진동 에너지는 압전 효과, 정전 효과 및 전자기 효과를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로 변환되고(예를 들어, 압전 소자), 열 에너지는 열전 효과를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로 변환되며(예를 들어, 열전 소자), 빛 에너지는 광전 효과를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로 변환될 수 있다(예를 들어, 광전 소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기계적인 스위치의 내구성의 문제 및 신뢰성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무선 신호를 기반으로 비접촉식 무선 스위칭을 수행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계적인 스위치를 구현하기 어려운 일정 두께/일정 크기 이하의 제한된 제품 상의 영역 상에 비접촉식 무선 스위치를 구현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비접촉식 무선 스위칭 방법은 비접촉식 무선 스위치가 무선 신호 발생 장치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비접촉식 무선 스위치가 상기 무선 신호를 기반으로 스위칭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되, 상기 비접촉식 무선 스위치는 에너지 하베스팅부를 포함하고, 상기 에너지 하베스팅부는 상기 무선 신호가 탐지되는 경우, 필드 탐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비접촉식 무선 스위치의 스위칭은 상기 필드 탐지 신호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비접촉식 무선 스위칭 시스템은 비접촉식 무선 스위치의 스위칭을 제어하기 위한 무선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구현되는 무선 신호 발생 장치와 상기 무선 신호를 기반으로 스위칭하는 상기 비접촉식 무선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되, 상기 비접촉식 무선 스위치는 에너지 하베스팅부를 포함하고, 상기 에너지 하베스팅부는 상기 무선 신호가 탐지되는 경우, 필드 탐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비접촉식 무선 스위치의 상기 스위칭은 상기 필드 탐지 신호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무선 신호를 기반으로 비접촉식 무선 스위칭이 수행되어 반영구적인 수명 및 동작 신뢰성이 보장될 수 있고, 기존의 기계적인 스위치가 가진 내구성의 문제 및 신뢰성의 문제가 극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기계적인 스위치를 구현하기 어려운 일정 두께/일정 크기 이하로 제한된 영역 상에 반영구적인 수명을 가지는 신뢰성이 보장되는 비접촉식 무선 스위치가 구현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장치를 포함하는 장치 그룹에 대한 일괄적인 스위칭이 필요한 경우, 비접촉식 무선 스위칭을 기반으로 복수의 장치에 대한 일괄적인 스위칭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무선 스위칭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무선 스위칭 시스템을 기반으로 구현된 발열 측정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스위칭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무선 스위칭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제어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스위치에 대한 제어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스위치에 대한 제어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리에 따라 비접촉식 무선 스위칭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 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여러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무선 스위칭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비접촉식 무선 스위칭 시스템은 무선 신호 발생 장치(100), 비접촉식 무선 스위치(15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신호 발생 장치(100)는 비접촉식 무선 스위치(150)의 ON/OFF 동작을 제어하기 무선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신호 발생 장치(100)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예를 들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반의 무선 신호(또는 RF(radio frequency) 신호)를 발생시키는 장치일 수 있다. 무선 신호 발생 장치(100)는 NFC 이니시에이터(initiator)로서 동작하여 13.56MHz 대역의 무선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무선 신호 발생 장치(100)에 의해 발생된 무선 신호의 에너지는 비접촉식 무선 스위치(150)에 구현된 에너지 하베스팅부(160)에 의해 수집될 수 있다. 무선 신호 발생 장치(100)는 스마트 폰과 같은 NFC 통신 모듈이 구현된 장치일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은 에너지 하베스팅부(160)에 의해 수집되는 무선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이고, 무선 신호 발생 장치(100)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뿐만 아니라 다양한 무선 통신 기술을 기반으로 무선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비접촉식 무선 스위치(150)는 에너지 하베스팅부(160), 스위칭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에너지 하베스팅부(160)는 무선 신호 발생 장치(100)에 의해 발생된 무선 신호의 에너지를 수집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에너지 하베스팅부(160)는 안테나를 기반으로 무선 신호 발생 장치(100)에 의해 발생되는 무선 신호를 수집하고 수집된 무선 신호를 전력으로 전환하여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에너지 하베스팅부(160)와 연결된 별도의 에너지 저장부(예를 들어, 2차 전지)가 구현될 수도 있고, 에너지 저장부는 무선 신호를 기반으로 발생된 전력을 저장하여 스위칭부(170), 스위칭부(170)와 연결된 다른 구성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도 있다.
또한, 에너지 하베스팅부(160)는 무선 신호의 에너지가 탐지되는 경우, 필드 탐지(field detection)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에너지 하베스팅부(160)에 의해 발생된 필드 탐지 신호는 스위칭부(170)로 전송될 수 있다. 에너지 하베스팅부(160)는 다양한 주파수 영역 상에서 전송되는 RF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다양한 RF 신호 중 무선 신호 발생 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무선 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대응되는 RF 신호에 대해서만 필드 탐지 신호를 생성하여 스위칭부로 전송할 수 있다.
스위칭부(170)는 에너지 하베스팅부(160)에 의해 전송된 필드 탐지 신호를 기반으로 ON/OFF 여부가 제어되는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칭부(170)가 필드 탐지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스위칭부(170)는 스위치를 ON 상태에서 OFF 상태로 전환하거나, 스위치를 OFF 상태에서 ON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또는 미리 수행된 설정을 기반으로 스위칭부(170)가 필드 탐지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설정에 따라 스위칭부(170)는 특정 시간 이후에 스위칭을 수행하거나, 특정한 패턴의 스위칭을 수행할 수도 있다.
스위칭부(170)/에너지 하베스팅부(160)는 다른 다양한 구성부와 결합되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존 접촉 방식의 기계적인 스위치는 장기간 사용할 때, 형상 유지 내구성 및 동작 신뢰성에 한계가 존재하고 장시간 사용시 기계적인 스위치의 수명이 제한될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방식의 무선 스위칭 시스템이 사용되는 경우, 반영구적인 수명이 가능하므로 스위칭에 대한 동작 신뢰성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에너지 하베스팅부(160)는 0.6mm 이내 두께가 제한된 응용 제품에도 적용 가능하므로 기계적인 스위치를 구현하기에 제한적인 제품에도 비접촉 방식의 무선 스위칭 시스템이 사용되어 신뢰도 높은 스위칭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비접촉식 무선 스위칭 시스템은 다양한 제품에 사용되어 활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무선 스위칭 시스템을 기반으로 구현된 발열 측정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에서는 비접촉식 무선 스위칭 시스템을 기반으로 ON/OFF를 수행하고, 센싱 결과를 통신부를 통해 전송하는 발열 측정 시스템이 개시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발열 측정 시스템은 무선 신호 발생 장치(200) 및 발열 측정 장치(25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신호 발생 장치(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발열 측정 장치(25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무선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발열 측정 장치(250)는 에너지 하베스팅부(260), 스위칭 모듈을 포함하는 제어부(270), 통신부(290), 센서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에너지 하베스팅부(26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무선 신호 발생 장치(200)에 의해 발생된 무선 신호를 수집하고, 무선 신호가 센싱된 경우, 필드 탐지 신호를 제어부(270)로 전송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270)는 필드 탐지 신호를 수신하고 필드 탐지 신호를 기반으로 발열 측정 장치(25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270)는 도 1에서 전술한 스위치부의 역할을 수행하는 하위 스위치부(또는 하위 스위치 모듈)(예를 들어, ON/OFF 포트(port)(275))를 포함할 수 있다. 하위 스위치 모듈로 필드 탐지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하위 스위치 모듈은 제어부(270) 및/또는 제어부(270)에 의해 제어되는 다른 구성부(예를 들어, 센서부(280), 통신부(290))의 동작을 ON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제어부(270)에 의해 제어되는 다른 구성부는 제어부(270)에 제어에 의해 ON 상태로 전환될 수도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제어부(270)에 의해 제어되는 다른 구성부는 제어부(270)에 제어에 의해 ON 상태로 전환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또는 하위 스위칭 모듈로 필드 탐지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하위 스위칭 모듈은 제어부(270) 및/또는 제어부(270)에 의해 제어되는 다른 구성부(예를 들어, 센서부(280), 통신부(290) 등)의 동작을 ON 상태로 전환하되, 일정한 설정에 의해 특정 스위칭 패턴으로 다른 구성부에 대한 스위칭이 수행될 수 있다.
센서부(280)는 제어부(270)에 의해 ON 상태로 전환되고, 센싱을 수행할 수 있다. 센서부(280)는 온도 센서일 수 있고, 온도 센서는 온도(예를 들어, 체온)을 측정할 수 있다. 센서부(280)에 의해 생성된 센싱 결과 정보는 통신부(290)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통신부(290)는 제어부(270)에 의해 ON 상태로 전환되고, 센서부(280)에 의해 센싱된 결과(예를 들어, 온도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290)는 센싱 결과 정보를 외부 서버(또는 외부 장치(또는 무선 신호 발생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290)는 BLE(Bluetooth low energy) 기반의 통신 모듈일 수 있다. 외부 서버는 센싱 결과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발열 측정 장치(250)가 복수개일 수 있고, 복수개의 발열 측정 장치(250)에 의한 온도 측정 동작이 수행되는 경우 복수의 센싱 결과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복수의 센싱 결과 정보는 외부 서버로 전송되어 통합적으로 관리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센싱 결과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은 구체적으로 후술된다.
즉, 무선 신호 발생 장치(200)에 의해 발생된 무선 신호를 기반으로 발열 측정 장치(250)가 ON 상태로 전환되고, 센싱된 온도 정보가 통신부(290)를 통해 외부 서버(또는 외부 장치, 무선 신호 발생 장치(200))로 전달될 수 있다.
온도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발열 측정 장치(250)를 동작시킨 무선 신호 발생 장치(200)에 대한 식별 정보도 함께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신호 발생 장치(200)는 사용자의 스마트 폰일 수 있고,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발열 측정 장치(250)가 ON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스마트폰의 식별 정보(또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가 온도 정보와 함께 전송되어 측정 대상이 누구인지에 대한 확인이 가능할 수 있다.
발열 측정 장치(250)를 OFF 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무선 신호 발생 장치(200)에 의해 발생된 무선 신호가 다시 에너지 하베스팅부(260)에 의해 수집되고, 에너지 하베스팅부(260)는 필드 탐지 신호를 제어부(27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ON 상태로 동작하는 구성부(센서부(280), 통신부(290) 등) 및/또는 제어부(270)에서 OFF 상태로 동작 가능한 하위 모듈을 OFF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또는 일정 시간(예를 들어, 1분)이 지나면 추가적인 무선 신호 없이도 제어부에 의해 자동적으로 각 구성부 및 제어부(270)에서 off 상태로 동작 가능한 하위 모듈이 OFF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발열 측정 장치(250)를 ON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무선 신호와 발열 측정 장치(250)를 OFF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무선 신호가 별도로 무선 신호 발생 장치(200)에 의해 생성될 수도 있다.
또한, 센서부(280)는 하나의 예시로서 다양한 데이터 생성부가 무선 신호 발생 장치(200)에 의해 발생된 무선 신호를 기반으로 ON 상태로 전환되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데이터는 통신부(290)를 통해 외부 서버(또는 외부 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에너지 하베스팅부(260)는 두께가 0.6mm 이내로 높이가 제한된 응용 제품에 적용 가능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열 측정 장치(250)는 2~3mm 이내의 두께로 얇고 가볍게 구현 가능하다. 실제로 발열 측정 장치(250)는 27.5mm x 27.5mm x 0.118t, 에너지 하베스팅부(260)의 안테나 설계 공간은 13mm x 13mm x 0.118t의 공간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작은 공간 내에 구현 가능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무선 스위칭 시스템은 IoT(internet of things) 웨어러블 장치로서 기존의 섬유, 재료와 이질감없이 융합될 수 있다. IoT 웨어러블 장치에 기계식 스위치가 구현되는 경우, 제품의 완성도가 떨어지고, 사용자가 이질감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무선 스위칭 시스템은 특징 장치, 작거나 얇은 장치 섬유화 장치, 재료와 쉽게 융합되어 IoT 웨어러블 장치의 ON/OFF 동작을 위해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며 에너지 하베스팅부에 의해 저장된 전력의 크기에 따라 무선 신호 발생 장치와의 접촉 시간을 적응적으로 다르게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에너지 하베스팅부에 의해 발생된 전력이 저장되는 에너지 저장부의 전력이 임계값 이하인 경우, 무선 신호 발생 장치를 기반으로 장치(예를 들어, 발열 측정 장치)를 ON 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해 장치와 접촉하는 시간을 상대적으로 증가시켜 에너지 하베스팅부가 상대적으로 많은 전력을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한 무선 신호 발생 장치와 에너지 하베스티부의 접촉 시간이 1.5~2배 가량 증가되고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많은 전력이 에너지 저장부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장치의 동작을 위한 전력 관리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장치가 특정 장소에 고정되어 설치된 경우, 에너지 하베스팅부는 해당 위치에서 기존의 RF 신호(또는 무선 신호)의 발생량을 고려하여 적응적으로 동작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시가별로 장치가 설치된 위치에서 에너지 하베스팅이 가능한 RF 신호의 양이 달라지는 경우가 가정될 수 있다. 이러한 시간에 따른 RF 신호의 양에 대한 통계는 통신부와 제어부에 의해 해당 장소에서 RF 신호의 수집/분석 결과에 의해 생성될 수 있고 계속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장치에서 시간에 따라 남아있는 전력량을 예측하여 예측된 전력량이 임계값 이하로 감소되는 시간을 예측하고 미리 RF 신호를 기반으로 에너지 하베스팅 동작을 수행하여 장치의 동작을 위한 전력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즉, 동일한 전력량이 남아 있는 상황에서도 어떠한 경우(RF 신호가 많이 발생되지 않는 시간)에는 5시간 전에 에너지 하베스팅 동작을 시작하여 에너지 저장부에 전력을 저장할 수 있고, 다른 경우에는 2시간 전에 에너지 에너지 하베스팅 동작을 시작하여 에너지 저장부에 전력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에너지 하베스팅 동작은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빈번하게 무선 신호가 발생되어 에너지 하베스팅이 원활하게 일어나는 시간대가 아닌 경우, 통계적인 정보를 기반으로 미리 에너지 하베스팅 동작을 수행하여 장치의 전력량을 항상 임계값 이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복수의 에너지 하베스팅부를 기반으로 장치에 대한 전력 관리가 수행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발열 측정 장치인 경우, 열 에너지를 기반으로 에너지 하베스팅을 수행하는 에너지 하베스팅부를 추가적으로 구현하여 추가적으로 전력을 생성하여 에너지 저장부에 저장시킬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스위칭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에서는 무선 신호 발생 장치 없이 스위칭을 수행하는 비접촉식 스위칭을 기반으로 동작하는 발열 측정 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발열 측정 장치에 포함되는 에너지 하베스팅부(310)는 임계 이상의 온도에 해당하는 에너지를 수집하여 에너지 탐지 신호(energy detection signal)를 생성할 수 있다.
발열 측정 장치가 사람의 체온을 측정하기 위해 활용되는 경우, 에너지 하베스팅부(310)는 일정 임계 온도(예를 들어, 32도) 이상인 경우, 에너지 탐지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310)에서 스위칭 역할을 수행하는 하위 스위치 모듈(예를 들어, ON/OFF 포트(port))로 전송할 수 있다. 하위 스위치 모듈로 에너지 탐지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하위 스위치 모듈은 제어부(310) 및/또는 제어부(320)에 의해 제어되는 다른 구성부(예를 들어, 센서부(330), 통신부(340))의 동작을 ON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센서부(330)/통신부(340)는 제어부(310)에 의해 ON 상태로 전환되고, 온도에 대한 센싱을 수행할 수 있다. 센서부(330)에 의해 생성된 센싱 결과 정보는 통신부(340)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온도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는 실시예는 하나의 예시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측정하고자 하는 측정 대상의 에너지를 수집할 수 있는 에너지 하베스팅부(310)를 기반으로 비접촉식 스위칭이 수행될 수 있고, 비접촉식 스위칭을 기반으로 장치의 ON/OFF가 제어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무선 스위칭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에서는 무선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기반으로 스위칭 권한을 다르게 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무선 신호 발생 장치(400)에 의해 발생되는 무선 신호는 권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권한 정보는 특정 영역에 설치된 잠금 장치(410)의 해제 권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접촉식 무선 스위칭 시스템은 특정 영역에 대한 통과/접근 권한을 판단하고, 권한을 가지는 사람에게만 접근을 허용하는 잠금 장치(410)를 위해 활용될 수 있다. 비접촉 무선 스위치가 ON 상태로 전환된 이후, 무선 신호에 대한 추가적인 프로세싱을 기반으로 접근 권한에 대한 확인이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에게 접근 권한이 존재하는 경우, 잠금 장치의 잠금 해제부(450)에 의해 잠금 상태가 해제되어 사용자의 접근이 허용되고, 접근 권한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잠금 해제부(450)에 의해 잠금 장치(410)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지 않아 접근이 불허될 수 있다.
사용자가 영역1, 영역2 및 영역3에 대한 접근 권한이 필요한 경우, 접근 권한 관리 서버(460)는 사용자의 무선 신호 발생 장치(예를 들어, 사용자A의 스마트폰)(400)로 영역1, 영역2 및 영역3에 대한 접근 권한을 설정해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의 무선 신호 발생 장치(400)에 의해 발생되는 무선 신호는 영역1, 영역2 및 영역3에 대한 접근 권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신호를 기반으로 한 접근 권한에 대한 판단을 위해서 통신부(440) 및 제어부(430)의 무선 신호를 기반으로 접근 권한을 판단하기 위한 에너지 하베스팅부(420)에 의해 필드 탐지 신호가 전송된 이후, 무선 신호를 기반으로 접근 권한을 판단하기 위한 일부 구성부(예를 들어, 제어부(430), 통신부(440))가 ON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접촉식 무선 스위치의 통신부(440)는 무선 신호 발생 장치(400)에 의해 전송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제어부(430)는 무선 신호에 포함된 접근 권한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잠금 장치(410)의 해제 여부에 대해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역1, 영역2 및 영역3에 설치된 잠금 장치의 일부 구성부는 필드 탐지 신호에 의해 ON 상태로 전환된 이후, 영역1, 영역2 및 영역3에 대한 권한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기반으로 잠금 장치의 해제를 결정하여 사용자의 영역1, 영역2 및 영역3에 대한 접근을 허용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가 권한을 가지지 않은 영역4에 설치된 잠금 장치(410)의 일부 구성부는 필드 탐지 신호에 의해 ON 상태로 전환된 이후, 영역1, 영역2 및 영역3에 대한 권한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기반으로 잠금 장치(410)의 해제를 불가능한 것으로 결정하여 사용자의 영역4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비접촉식 무선 스위칭 시스템은 접근 권한 관리 서버(460)와 연동되어 접근을 시도한 사용자/접근을 한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접근 권한 관리 서버(460)로 전송할 수 있고, 접근 권한 관리 서버(460)에서 이러한 사용자의 접근 시도/접근에 대한 정보를 저장/관리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제어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에서는 발열 측정 장치에서 필드 탐지 신호의 수신 이후, 제어부에 의한 구체적인 ON/OFF 제어 동작이 개시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는 센서부의 센싱 결과 정보(500)를 기반으로 통신부의 ON/OFF 주기(550)를 결정할 수 있다. 센싱 결과 정보(500)를 기반으로 통신부를 통해 센싱 결과를 전송하기 위한 주기 및 통신부의 ON/OFF 주기(550)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싱 결과의 변화 정도를 고려하여 센싱 결과값의 변화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 통신부의 ON/OFF 주기(550)를 짧게 하여 센싱 결과 값을 전송하고, 센싱 결과값의 변화가 적은 경우, 통신부의 ON/OFF 주기(550)를 짧게 하여 센싱 결과 값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발열 측정 장치 각각이 복수의 측정 대상 각각의 체온 정보를 일정 시간 동안 측정하는 경우가 가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통신부의 계속적인 체온 정보의 전달은 발열 측정 장치의 전력을 상대적으로 빠르게 소모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측정 대상 각각의 체온의 변화 정도를 판단하여 센싱 결과 정보(500)의 전송 주기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0분 동안 임계 범위 내에서 환자의 체온이 변화되는 경우, 센싱 결과 정보(500)의 전송 주기가 디폴트 전송 주기의 1/2로 감소되고 센싱 결과 정보(500)를 전송하지 않는 구간에서 통신부가 OFF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반대로, 30분 동안 임계 범위를 넘어서 환자의 체온이 변화되는 경우, 센싱 결과 정보(500)의 전송 주기가 원래 설정된 디폴트 주기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현재 상태가 불필요한 ON 상태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스위칭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열 측정 장치가 체온을 측정하는 경우, 체온계에 의해 센싱된 센싱 값이 임계 온도(예를 들어, 30도) 이하로 일정 시간(예를 들어, 1분) 이상 유지되는 경우, 현재 발열 측정 장치를 기반으로 한 센싱 동작이 수행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발열 측정 장치의 전원을 OFF 상태로 전환할 것을 요청하거나, 자동적으로 일부의 구성부(예를 들어, 통신부)의 전원을 OFF 상태로 전환하여 대기 모드(또는 슬립(sleep) 모드)로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는 측정 특성에 따라 각 구성부의 ON/OFF 타이밍을 다르게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센싱에 시간이 걸리는 경우(체온 측정에 2초 이상 걸리는 경우), 제어부는 필드 탐지 신호의 수신 이후 센싱부만을 ON 상태로 전환하고, 센싱에 걸리는 일정 시간(예를 들어 2초) 이후에 통신부를 ON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임계 온도 이상에 대해서만 통신부를 통해 보고하도록 통신부의 ON/OFF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사람 각각이 복수의 발열 측정 장치 각각을 차고 발열 여부를 체크하는 경우, 제어부는 임계 온도(예를 들어, 38도) 이상일 경우만 발열 측정 장치의 통신부를 ON 상태로 전환하여 센싱 결과를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스위치에 대한 제어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에서는 무선 신호 발생 장치(600)를 기반으로 하나의 장치에 설치된 복수의 스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무선 신호 발생 장치(600)에 의해 발생되는 무선 신호는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제어 대상 스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칭부(640)에 복수의 스위치(스위치1, 스위치2 및 스위치3)이 하나의 장치에 포함되어 있고, 무선 신호 발생 장치(600)를 기반으로 스위칭부(640)에 포함된 스위치1, 스위치2 및 스위치3 각각에 대한 비접촉식 무선 스위칭을 수행하기 위해 무선 신호는 제어 대상 스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무선 신호 발생 장치(600)에 제어하고 싶은 스위치에 대한 정보(이하, 제어 대상 스위치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입력된 제어 대상 스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무선 신호 발생 장치(600)에 의해 무선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무선 신호 발생 장치(600)에 의해 생성된 무선 신호는 복수의 스위치를 포함하는 비접촉식 무선 스위치로 전달되어 복수의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에 대한 스위칭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스위치를 포함하는 비접촉식 무선 스위치는 제어부(620)/통신부(630)를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620)는 에너지 하베스팅부(610)로부터 필드 탐지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통신부(630)를 ON 상태로 전환하고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630)는 무선 신호 발생 장치(600)에 의해 발생되는 무선 신호를 수신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620)는 무선 신호에 포함된 스위치에 대한 식별 정보, 스위치에 대한 상태 정보를 고려하여 복수의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에 대한 ON/OFF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스위치1을 ON 상태로 전환시키고자 하는 경우 무선 신호 발생 장치(600)에 스위치1에 대한 식별 정보(스위치1 식별 정보) 및/또는 스위치1 상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스위치1 상태 정보는 스위치1의 ON/OFF 상태를 ON 상태 또는 OFF 상태로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620)는 무선 신호에 포함되는 스위치1 식별 정보 및 스위치1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스위치1을 ON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무선 신호 발생 장치(600)에는 스위치1이 ON 상태임이 표시될 수 있다. 반대로 스위치1을 OFF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서도 동일한 방식으로 무선 신호 발생 장치(600)는 스위치1 식별 정보 및/또는 스위치1 상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하나의 스위치에 대한 ON/OFF 제어에 대해서만 개시하였으나, 사용자가 복수의 스위치(예를 들어, 스위치1, 스위치3)을 동시에 ON 상태로 전환시키고자 하는 경우 무선 신호 발생 장치(600)는 스위치1 지시자, 스위치3 지시자 및 스위치1 상태 정보, 스위치3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생성하여 비접촉식 무선 스위치로 전송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스위치에 대한 제어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에서는 복수의 장치에 대한 ON/OFF를 제어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복수의 장치에 대한 동일한 ON/OFF 동작 제어가 필요한 경우, 복수의 장치를 그룹핑하여 그룹 내에 복수의 장치에 대한 ON/OFF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복수의 장치가 그룹핑되어 하나의 장치 그룹을 형성할 수 있고, 하나의 장치 그룹은 하나의 무선 신호 발생 장치(700)에 의해 발생된 무선 신호에 의해 ON 상태로 스위칭될 수 있다. 이하, 장치를 ON 상태로 스위칭시키기 위한 무선 신호는 ON 무선 신호라는 용어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신호 발생 장치(700)에 포함되는 ON 무선 신호는 장치 그룹에 포함되는 복수의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 그룹에 포함되는 장치1(710)이 ON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ON 무선 신호를 기반으로 장치1(710)의 에너지 하베스팅부가 필드 탐지 신호를 장치1(710)의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 장치1(710)의 제어부는 장치1(710)의 통신부를 ON 상태로 전환하여 ON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ON 무선 신호에 포함된 복수의 장치의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장치1(710)에 포함된 다른 구성부(센서부 등)를 ON 상태로 전환하여 장치를 동작시킬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ON 무선 신호에 포함된 복수의 장치의 식별 정보가 장치1(710)을 지시하지 않는 경우, 장치1(710)의 구성부는 OFF 상태로 스위칭될 수 있다. ON 무선 신호에 포함된 복수의 장치의 식별 정보가 장치1(710)을 지시하지 않아서 장치1(710)의 모든 구성부가 OFF 상태로 스위칭되는 경우에도 장치1(710)의 제어부/통신부는 무선 신호 발생 장치에서 발생되는 신호와 동일한 무선 신호를 일정 시간/일정 횟수만큼 전송한 후 OFF 상태로 스위칭될 수 있다.
반대로 ON 무선 신호에 포함된 복수의 장치의 식별 정보가 장치1(710)을 지시하는 경우, 장치1(710)의 모든 구성부는 ON 상태로 스위칭되어 동작할 수 있고, 마찬가지로 장치1(710)은 무선 신호 발생 장치에서 발생되는 신호와 동일한 ON 무선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장치1(710)에 의해 발생된 ON 무선 신호는 장치 1(710)의 주변에 위치한 다른 장치(예를 들어, 장치2(720))로 전송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장치2(720)도 장치1(710)및/또는 무선 신호 발생 장치에 의해 전송된 ON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ON 무선 신호를 기반으로 장치2(720)의 에너지 하베스팅부가 필드 탐지 신호를 장치2(720)의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 장치2(720)의 제어부는 장치2(720)의 통신부를 ON 상태로 전환하여 ON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ON 무선 신호에 포함된 복수의 장치의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장치2(720)에 포함된 다른 구성부(센서부 등)를 ON 상태로 전환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한번의 무선 신호 발생 장치에 의한 ON 무선 신호의 발생 이후 주변에 ON 무선 신호가 확산되어 장치 그룹에 포함되는 장치를 ON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ON 상태로 전환된 장치는 상태 정보/장치의 식별 정보를 외부 서버 또는 무선 신호 발생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무선 신호 발생 장치는 상태 정보/장치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장치 그룹 중 어떠한 장치가 현재 ON 상태이고, OFF 상태인지 여부를 알 수 있다. 즉, 위와 같이 장치 간의 무선 신호의 확산을 통해 ON 상태로 전환되지 않은 장치는 무선 신호 발생 장치에 의해 확인될 수 있고, 무선 신호 발생 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무선 신호를 기반으로 별도로 ON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하나의 장치 그룹은 하나의 무선 신호 발생 장치에 의해 발생된 무선 신호에 의해 OFF 상태로 스위칭될 수 있다. 장치를 OFF 상태로 스위칭시키는 무선 신호는 OFF 무선 신호라는 용어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신호 발생 장치는 하나의 장치 그룹에 포함되는 ON 상태로 동작하는 복수의 장치 중 하나의 장치로 장치를 OFF 상태로 스위칭시키기 위한 OFF 무선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장치 그룹에 포함되는 장치1(710)이 OFF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장치1(710)의 제어부는 일정 시간/일정 횟수만큼 OFF 무선 신호를 전송하고, OFF 상태를 지시하는 상태 정보/장치1(710)의 식별 정보를 무선 신호 발생 장치로 전송한 후, 장치1(710)의 모든 구성부를 OFF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무선 신호 발생 장치는 장치1(710)에 의해 전송된 상태 정보/장치1(710)의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장치1(710)이 OFF 상태로 전환되었음을 알 수 있다.
OFF 무선 신호도 ON 무선 신호와 마찬가지로 OFF 상태로 전환할 장치 그룹에 포함되는 복수의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장치 그룹에 포함되는 장치2(720)가 장치1(710) 또는 무선 신호 발생 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OFF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장치2(720)의 제어부는 일정 시간/일정 횟수만큼 OFF 무선 신호를 전송하고, OFF 상태를 지시하는 장치2(720)의 상태 정보/장치2(720)의 식별 정보를 무선 신호 발생 장치로 전송한 후, 장치2(720)의 모든 구성부를 OFF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장치 그룹에 포함되는 장치들에 대해 개별적으로 ON/OFF를 제어하지 않고, 장치 그룹 기반으로 장치의 ON/OFF 동작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 그룹 기반의 ON/OFF 동작은 단체로 체온 측정이 필요한 경우 사용될 수 있다. 복수의 발열 측정 장치가 항공기에서 내린 복수의 탑승객들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 복수의 탑승객들 각각에 대한 복수의 발열 측정 장치를 하나의 장치 그룹으로 설정하여 일괄적으로 ON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측정이 종료된 이후, 장치 그룹으로 설정된 복수의 발열 측정 장치를 일괄적으로 OFF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리에 따라 비접촉식 무선 스위칭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에서는 장치의 ON/OFF 동작을 거리에 따라 제어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장치의 설정에 따라 장치의 ON/OFF 동작을 제어가능한 범위가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도 8에서 개시되는 장치는 별도의 에너지 하베스팅부의 필드 탐지 동작 없이도 통신부를 기반으로 ON/OFF 동작이 제어 가능할 수 있다. 또는 에너지 하베스팅부가 존재하되, 에너지 하베스팅부는 비접촉식 무선 스위치의 동작을 위한 전력의 충전을 위해 활용될 수 있다.
장치에 복수의 통신부가 구현되어 있고, 복수의 통신부를 기반으로 서로 다른 통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전송되는 신호에 대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에 무선랜, BLE, NFC 기반의 무선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복수의 통신부가 구현될 수 있고, 복수의 통신부는 무선랜 기반 무선 신호 BLE 기반 무선 신호, NFC 기반 무선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무선랜, BLE, NFC는 통신 프로토콜의 하나의 예시로서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제1 통신 프로토콜 기반의 신호를 수신/처리 가능한 제1 통신부(810) 및 제2 통신 프로토콜 기반의 신호를 수신/처리 가능한 제2 통신부(820)가 구현된 경우가 가정된다. 제1 통신 프로토콜은 제2 통신 프로토콜보다 넓은 전송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장치가 OFF 상태인 경우, 제1 통신부(810) 및 제2 통신부(820)는 장치에서 주기적으로 ON 상태로 전환되어 외부에서 전송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장치가 OFF 상태인 경우, 제1 통신부(810) 및 제2 통신부(820)는 장치에서 주기적으로 ON 상태로 전환되는 주기는 디폴트 주기라는 용어로 표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제1 통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장치를 ON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신호를 무선 신호(이하, ON 무선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주기적으로 동작하는 제1 통신부(810)는 ON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장치를 ON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후, 장치는 제1 통신부(810)를 ON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고, 제2 통신부(820)의 ON 상태로 전환되는 주기를 디폴트 주기보다 길게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장치는 제1 통신부(810)의 ON 상태로 전환되는 주기를 디폴트 주기보다 짧게 설정하고, 제2 통신부(820)의 ON 상태로 전환되는 주기는 디폴트 주기보다 길게 설정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가 제2 통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장치를 ON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신호를 무선 신호(이하, ON 무선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주기적으로 동작하는 제2 통신부(820)는 ON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장치를 ON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후, 장치는 제2 통신부(820)를 ON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고, 제1 통신부(810)의 ON 상태로 전환되는 주기를 디폴트 주기보다 길게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장치는 제2 통신부(820)의 ON 상태로 전환되는 주기를 디폴트 주기보다 짧게 설정하고, 제1 통신부(810)의 ON 상태로 전환되는 주기는 디폴트 주기보다 길게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장치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통신 모드를 제1 통신 프로토콜 기반의 제1 통신 모드 또는 제2 통신 프로토콜 기반의 제2 통신 모드로 설정하여 두개의 제1 통신부(810) 또는 제2 통신부(820) 중 하나의 통신부만을 활성화시켜 동작시킬 수도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6)

  1. 비접촉식 무선 스위칭 방법은,
    비접촉식 무선 스위치가 무선 신호 발생 장치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비접촉식 무선 스위치가 상기 무선 신호를 기반으로 스위칭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비접촉식 무선 스위치는 에너지 하베스팅부를 포함하고,
    상기 에너지 하베스팅부는 상기 무선 신호가 탐지되는 경우, 필드 탐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비접촉식 무선 스위치의 스위칭은 상기 필드 탐지 신호를 기반으로 결정되되,
    상기 비접촉식 무선 스위치는 상기 에너지 하베스팅부에 의해 저장된 전력의 크기에 따라 상기 무선 신호 발생 장치와 접촉하는 시간을 다르게 설정하고,
    상기 비접촉식 무선 스위치는 상기 무선 신호에 대한 통계적인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에너지 하베스팅부의 에너지 하베스팅 동작의 수행 시점을 결정하고,
    상기 비접촉식 무선 스위치는 제어부와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접촉식 무선 스위치의 스위칭을 기반으로 상기 제어부의 ON/OFF 상태를 결정하고,
    상기 제어부가 ON 상태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부와 동작 가능하게 연결된 통신부 및 데이터 생성부의 ON/OFF 상태를 제어하고,
    상기 비접촉식 무선 스위치를 포함하는 복수의 비접촉식 무선 스위치가 그룹핑되어 장치 그룹이 설정되는 경우, 상기 장치 그룹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상기 비접촉식 무선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비접촉식 무선 스위치가 상기 무선 신호 발생 장치의 제1 ON 무선 신호를 기반으로 1차적으로 ON 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접촉식 무선 스위치의 주변의 나머지 비접촉식 무선 스위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접촉식 무선 스위치에 의기 적어도 하나의 비접촉식 무선 스위치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제1 ON 무선 신호와 동일한 제2 ON 무선 신호에 의해 2차적으로 상기 ON 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제1 ON 무선 신호 및 상기 제2 ON 무선 신호는 상기 장치 그룹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상기 비접촉식 무선 스위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 그룹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상기 비접촉식 무선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비접촉식 무선 스위치가 상기 무선 신호 발생 장치의 제1 OFF 무선 신호를 기반으로 1차적으로 OFF 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접촉식 무선 스위치는 일정 시간 및 일정 횟수만큼 제2 OFF 무선 신호를 전송하고, OFF 상태를 지시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접촉식 무선 스위치의 식별 정보를 상기 무선 신호 발생 장치로 전송한 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접촉식 무선 스위치의 모든 구성부를 OFF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접촉식 무선 스위치의 주변의 나머지 비접촉식 무선 스위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접촉식 무선 스위치에 의기 적어도 하나의 비접촉식 무선 스위치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제1 OFF 무선 신호와 동일한 제2 OFF 무선 신호에 의해 2차적으로 상기 OFF 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제1 OFF 무선 신호 및 상기 제2 OFF 무선 신호는 상기 장치 그룹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상기 비접촉식 무선 스위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신호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반의 신호이고,
    상기 에너지 하베스팅부는 상기 NFC 기반의 신호를 수집하여 상기 필드 탐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데이터 생성부는 온도 센서이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온도 센서에 의해 센싱된 결과값을 BLE(Bluetooth low energy) 기반의 신호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비접촉식 무선 스위칭 시스템은,
    비접촉식 무선 스위치의 스위칭을 제어하기 위한 무선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구현되는 무선 신호 발생 장치; 및
    상기 무선 신호를 기반으로 스위칭하는 상기 비접촉식 무선 스위치를 포함하되,
    상기 비접촉식 무선 스위치는 에너지 하베스팅부를 포함하고,
    상기 에너지 하베스팅부는 상기 무선 신호가 탐지되는 경우, 필드 탐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비접촉식 무선 스위치의 상기 스위칭은 상기 필드 탐지 신호를 기반으로 결정되되,
    상기 비접촉식 무선 스위치는 상기 에너지 하베스팅부에 의해 저장된 전력의 크기에 따라 상기 무선 신호 발생 장치와 접촉하는 시간을 다르게 설정하고,
    상기 비접촉식 무선 스위치는 상기 무선 신호에 대한 통계적인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에너지 하베스팅부의 에너지 하베스팅 동작의 수행 시점을 결정하고,
    상기 비접촉식 무선 스위치는 제어부와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접촉식 무선 스위치의 스위칭을 기반으로 상기 제어부의 ON/OFF 상태를 결정하고,
    상기 제어부가 ON 상태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부와 동작 가능하게 연결된 통신부 및 데이터 생성부의 ON/OFF 상태를 제어하고,
    상기 비접촉식 무선 스위치를 포함하는 복수의 비접촉식 무선 스위치가 그룹핑되어 장치 그룹이 설정되고,
    상기 장치 그룹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상기 비접촉식 무선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비접촉식 무선 스위치가 상기 무선 신호 발생 장치의 제1 ON 무선 신호를 기반으로 1차적으로 ON 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접촉식 무선 스위치의 주변의 나머지 비접촉식 무선 스위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접촉식 무선 스위치에 의기 적어도 하나의 비접촉식 무선 스위치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제1 ON 무선 신호와 동일한 제2 ON 무선 신호에 의해 2차적으로 상기 ON 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제1 ON 무선 신호 및 상기 제2 ON 무선 신호는 상기 장치 그룹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상기 비접촉식 무선 스위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 그룹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상기 비접촉식 무선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비접촉식 무선 스위치가 상기 무선 신호 발생 장치의 제1 OFF 무선 신호를 기반으로 1차적으로 OFF 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접촉식 무선 스위치는 일정 시간 및 일정 횟수만큼 제2 OFF 무선 신호를 전송하고, OFF 상태를 지시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접촉식 무선 스위치의 식별 정보를 상기 무선 신호 발생 장치로 전송한 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접촉식 무선 스위치의 모든 구성부를 OFF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접촉식 무선 스위치의 주변의 나머지 비접촉식 무선 스위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접촉식 무선 스위치에 의기 적어도 하나의 비접촉식 무선 스위치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제1 OFF 무선 신호와 동일한 제2 OFF 무선 신호에 의해 2차적으로 상기 OFF 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제1 OFF 무선 신호 및 상기 제2 OFF 무선 신호는 상기 장치 그룹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상기 비접촉식 무선 스위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무선 스위칭 시스템.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신호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반의 신호이고,
    상기 에너지 하베스팅부는 상기 NFC 기반의 신호를 수집하여 상기 필드 탐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데이터 생성부는 온도 센서이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온도 센서에 의해 센싱된 결과값을 BLE(Bluetooth low energy) 기반의 신호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무선 스위칭 시스템.
KR1020160144608A 2016-11-01 2016-11-01 비접촉식 무선 스위칭 방법 및 장치 KR101918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4608A KR101918550B1 (ko) 2016-11-01 2016-11-01 비접촉식 무선 스위칭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4608A KR101918550B1 (ko) 2016-11-01 2016-11-01 비접촉식 무선 스위칭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7841A KR20180047841A (ko) 2018-05-10
KR101918550B1 true KR101918550B1 (ko) 2019-02-08

Family

ID=62184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4608A KR101918550B1 (ko) 2016-11-01 2016-11-01 비접촉식 무선 스위칭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85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12508A1 (ko) * 2019-12-04 2021-06-10 주식회사 엘지화학 무선통신방식 교환형 배터리 팩을 사용하는 전기스쿠터의 시동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1450Y1 (ko) * 2003-11-20 2004-02-11 현대건설주식회사 무선 온도 측정장치
US20150244426A1 (en) * 2011-06-29 2015-08-27 Broadcom Corporation Power Harvesting and Use in a Near Field Communications (NFC)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1450Y1 (ko) * 2003-11-20 2004-02-11 현대건설주식회사 무선 온도 측정장치
US20150244426A1 (en) * 2011-06-29 2015-08-27 Broadcom Corporation Power Harvesting and Use in a Near Field Communications (NFC)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12508A1 (ko) * 2019-12-04 2021-06-10 주식회사 엘지화학 무선통신방식 교환형 배터리 팩을 사용하는 전기스쿠터의 시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7841A (ko) 2018-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17707B (zh) 无线充电方法及系统
US10128699B2 (en) Systems and methods of providing wireless power using receiver device sensor inputs
EP3215985B1 (en) Wireless sensor for thermal property with thermal source
EP2959365B1 (en) Stylus for a digitizer system
EP314805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wireless power transmission waves
EP315415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nullifying energy levels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waves
EP3086296A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70033257A (ko) 무선 전력 충전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WO2014175433A1 (ja) コントローラ、エネルギーマネジメントシステム、遠隔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TW201728049A (zh) 在無線充電傳輸場中辨識敏感物體的系統和方法
JP7189985B2 (ja) 無線電力伝送システム内で電力波を生成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CN103686279A (zh) 一种智能遥控器及其实现方法
EP2207153B1 (en) Passive wireless system
EP3624351B1 (en) Millimeter wave antenna management
CN109661802A (zh) 共享用于客户端设备使用的环境数据
KR101918550B1 (ko) 비접촉식 무선 스위칭 방법 및 장치
JP6671919B2 (ja) 送電装置、送電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7580711A (zh) Rfid应答器、rfid应答器装置和用于rfid应答器与读取设备之间的通信的方法
EP3513697B1 (en) Cooking appliance with a remote control and method for controlling such a cooking appliance
JP6222986B2 (ja) 電子機器、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5624072B2 (ja) 監視システムおよび監視方法
JP6201893B2 (ja) 動態管理システム
KR20220162995A (ko) 동물 체온 연속 측정 방법 및 시스템
JP2015021271A (ja) 電気設備制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