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7906B1 - Adhesive tape - Google Patents

Adhesive ta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7906B1
KR101917906B1 KR1020147009139A KR20147009139A KR101917906B1 KR 101917906 B1 KR101917906 B1 KR 101917906B1 KR 1020147009139 A KR1020147009139 A KR 1020147009139A KR 20147009139 A KR20147009139 A KR 20147009139A KR 101917906 B1 KR101917906 B1 KR 101917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tive adhesive
pressure
optical film
adhesive tape
acrylic co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91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75705A (en
Inventor
아키노리 모리노
나오키 가토
마코토 야다
유이치 사토카와
아키라 야마카미
다카미네 스기우라
마사야 가도키
Original Assignee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75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57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7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790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5Acrylic polym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1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 G02B7/1805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for pris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4Pris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3/00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4Prisms
    • G02B5/045Prism array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Mounting And Adjusting Of Optic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학 필름의 고정에 사용하는 점착 테이프로서, 광학 필름과 접하는 점착제층이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점착제층이고, 점착제층의 유리 전이 온도가 -5℃ 이하이고, 겔분율이 25 내지 45%인 점착 테이프에 의해, VOC를 저감시킨 수계 점착제를 사용했을 때에도 부재를 적절하게 고정할 수 있고, 또한 변형이 생기기 쉬운 광학 필름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는 점착 테이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는 우수한 환경 대응성을 가지면서, 광학 필름을 피착 대상으로 한 경우에도 광학 필름의 변형에 의한 시인성의 저하나 케이스의 비틀림 등의 변형에 의한 점착 테이프의 박리를 억제할 수 있다는 점에서, 광학 필름을 피착 대상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의 부품간 고정, 특히 광학 필름과 투명 패널의 고정에 적절하다.A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for use in fixing an optical film, where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 contact with the optical film i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ontaining an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n an aqueous dispersio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s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5 DEG C or les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capable of appropriately fixing a member even when an aqueous pressure-sensitive adhesive in which VOC is reduced by an adhesive tape having a thickness of 45 to 45% is used, and deformation of the optical film, which is prone to deformation, can be suppressed. INDUSTRIAL APPLICABILITY The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environmental responsiveness and can suppress peeling of the adhesive tape due to deformation such as twisting of the case and decrease in visibility due to deformation of the optical film even when the optical film is to be adhered to , It is suitable for fixation between components of an image display apparatus to which an optical film is to be adhered, particularly for fixing an optical film and a transparent panel.

Description

점착 테이프{ADHESIVE TAPE}Adhesive Tape {ADHESIVE TAPE}

본 발명은 액정 디스플레이나 유기 EL(전계 발광; Electro Luminescence) 디스플레이 등의 화상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광학 필름을 고정하는 점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dhesive tape for fixing an optical film used in an image display apparatus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or an organic EL (Electro Luminescence) display.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화상 표시 장치는 워드 프로세서나 퍼스널 컴퓨터를 비롯한 광범위한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고, 특히 전자 수첩, 휴대 전화, PHS, 스마트폰, 게임 기기, 전자 서적 등에 있어서는 점점 소형화된 전자 기기의 표시 장치로서 이용되어 왔다. 이들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LCD 모듈 등의 화상 표시 모듈에 있어서 백 라이트 모듈과 표면에 설치되는 LCD 패널 등의 표시 패널이 점착 테이프로 고정된 구성이 널리 사용되고 있고, 백 라이트 모듈의 표시 패널과 고정되는 표층에는 프리즘 시트 등의 광학 필름이 설치되는 것이 많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Image display devices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are used in a wide range of fields including a word processor and a personal computer. Particularly in an electronic notebook, a mobile phone, a PHS, a smart phone, a game device, Have been used. In these image display devices, a configuration in which a backlight module and a display panel such as an LCD panel mounted on the surface thereof are fixed by an adhesive tape in an image display module such as an LCD module is widely used, An optical film such as a prism sheet is often provided.

예를 들면, 사이드 라이트형 백 라이트 방식의 액정 디스플레이에서는 일반적으로 반사판, 도광판, 확산 시트 등이 적층되어, 표층에 프리즘 시트 등의 광학 필름이 설치되고, 도광판의 측방에 램프 리플렉터를 설치한 LED(발광 다이오드; Light Emitting Diode), 냉음극관 등의 광원이 배치된 백 라이트 모듈과 LCD 패널이 적층되어 있다. 그리고, LCD 패널과 백 라이트 모듈 사이에는 양면 점착 테이프(통상 프레임상으로 펀칭되고, 그의 폭은 통상 약 0.5mm 내지 약 10mm임)가 끼워져 있다. 양면 점착 테이프는, 백 라이트 모듈 표층의 프리즘 시트에만 접하고 있는 경우나, 백 라이트 모듈 표층의 프리즘 시트와 해당 백 라이트 모듈이 담긴 광체에 걸쳐 접하고 있는 경우가 있고, 프리즘 시트의 하측에 설치되어 있는 확산 시트 등을 고정하는 역할이나 먼지의 침입 방지나 쿠션성을 갖게 하여 충격에 의한 상기 각 부품의 균열을 막는 역할도 더불어 갖고 있다.For example, in a sidelight type backlight type liquid crystal display, a reflection plate, a light guide plate, a diffusion sheet and the like are generally laminated, an optical film such as a prism sheet is provided on the surface layer, and an LED A back light module in which a light source such as a light emitting diode (LED) and a cold cathode tube are disposed, and an LCD panel are stacked. Between the LCD panel and the backlight module, a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normally punched in a frame, whose width is usually about 0.5 mm to about 10 mm) is inserted. The double-sided adhesive tape may be in contact with only the prism sheet on the surface layer of the backlight module, or may be in contact with the prism sheet on the surface layer of the backlight module and the light body containing the backlight module. And also has a role of fixing the seat and the like, preventing the penetration of dust and cushioning, and also preventing the cracks of the respective parts due to the impact.

또한 상기 점착 테이프에는, 광원으로부터의 누설 광을 차단하거나 광을 유효하게 이용하기 위해서, 차광성과 광 반사성을 병유하는 것이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점착 테이프는 종래부터 특성 향상을 위한 검토가 이루어져 있고, 박형으로 차광성과 광 반사성을 병유하는 LCD 모듈용 점착 테이프가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In addition, in the adhesive tape, it is strongly demanded to block the leakage light from the light source or effectively use the light, so that the light shielding property and the light reflection property are combined. Such adhesive tapes have been conventionally studied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properties, and disclose an adhesive tape for an LCD module that has a light-shielding property and a light reflectivity in a thin shape (see Patent Document 1).

그러나 최근에, 해당 부위에 사용되는 점착 테이프에서는, 사용되는 전자 기기의 고성능화, 특히 휴대 전화의 박형화나 다기능화에 따라 종래 문제시되지 않았던 과제가 부상하고 있다. 그 중 하나로서, 다기능 휴대 전화의 박형화에 따라 내부 부재의 박형화가 행해지고 있지만, 광학 필름의 박형화에 의해 양면 점착 테이프로 주위를 고정한 광학 필름이 신뢰성 시험에서 고온으로 방치되었을 때에 광학 필름의 변형이 발생하는 문제가 생기고 있다. 이러한 변형된 개소를 통과한 광으로 조명되면, LCD 패널 중의 화상이 날카로움이 결여된 것이 되어 버린다. 이러한 과제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형 단말기 등의 휴대 전자 단말기의 대화면화에 따라, 특히 현저히 발생한다. 이에 비하여, 광학 필름의 변형을 억제하는 점착 테이프가 제안되어 있고, 양호하게 부품 사이를 고정함과 동시에 광학 필름의 변형을 억제하는 시도가 이루어져 있다(특허문헌 2 내지 3 참조).In recent years, however, with the adhesive tape used in the area, problems that have not been posed in the related art are rising due to high performance of the electronic devices to be used, in particular, thinning and versatility of mobile phones. One of them is the thinning of the inner member according to the thinning of the multifunctional cellular phone. However, when the optical film fixing the periphery with the double-sided adhesive tape by the thinning of the optical film is left at high temperature in the reliability test, deformation of the optical film occurs There is a problem that When the light passes through the deformed portion, the image in the LCD panel becomes lacking in sharpness. Such a problem occurs particularly remarkably in accordance with the increase in the size of a portable electronic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or a tablet-type terminal. On the other hand, an adhesive tape for suppressing deformation of an optical film has been proposed, and an attempt has been made to fix deformation of an optical film while fixing the parts between them well (see Patent Documents 2 to 3).

한편, 환경에 대한 배려로부터, 최근에는 이들 화상 표시 장치의 주변 재료에 있어서도 VOC(휘발성 유기 화합물)를 저감시킨 재료로의 이행이 요구되고 있고, 이들 전자 기기 분야에서는 특히 그의 요청이 높다는 점에서, 점착 테이프의 점착제층에 있어서도 용제계 점착제로부터 수계 점착제로의 전환이 기대되고 있었다. 이 때문에, 양호하게 부품 사이를 고정할 수 있고, 또한 광학 필름의 변형을 바람직하게 억제할 수 있는 수계 점착제를 사용한 점착 테이프의 실현이 요망되고 있다. 또한, 휴대 전자 단말기의 대화면화에 따라, 단말기의 비틀림 등에 의한 점착 테이프의 박리를 억제하기 위하여 부품의 양호한 고정성, 특히 내반발성의 향상도 요망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from the viewpoint of the environment, in recent years, the peripheral materials of these image display devices have also been required to be changed to a material in which VOC (Volatile Organic Compound) is reduced. In particular, It has been expected that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is also changed from a solvent-ba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o an aqueous pressure-sensitive adhesive. For this reason, it has been desired to realize an adhesive tape using an aqueous adhesive which is capable of satisfactorily securing the parts between the components and capable of suppressing deformation of the optical film preferably. In addition, in order to suppress peeling of the adhesive tape due to distortion of the terminal due to the large-sized surface of the portable electronic terminal, it is also desired to improve the fixability of components, particularly the resistance to repulsion.

일본 특허 공개 제2004-156015호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4-156015 일본 특허 공개 제2008-248226호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8-248226 일본 특허 공개 제2010-168437호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0-168437

본 발명의 과제는 변형이 생기기 쉬운 광학 필름을 고정하는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 VOC를 저감시킨 수계 점착제를 사용했을 때에도, 부재를 바람직하게 고정할 수 있고, 또한 광학 필름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는 점착 테이프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Disclosure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for fixing an optical film which tends to be deformed, which can fix a member preferably even when an aqueous pressure- Tape. ≪ / RTI >

본 발명에서는, 광학 필름의 고정에 사용하는 점착 테이프로서, 광학 필름과 접하는 점착제층이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점착제층이고, 점착제층의 유리 전이 온도가 -5℃ 이하이고, 겔분율이 25 내지 45%인 점착 테이프에 의해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used for fixing the optical film i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 contact with the optical film,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omprising an aqueous dispersion type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s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5 DEG C or less, The above problem can be solved by the adhesive tape having a thickness of 25 to 45%.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는 VOC를 저감시킨 수계 점착제층을 사용하면서도, 광학 필름에 첩부하는 측의 점착제층으로서 유리 전이 온도가 -5℃ 이하이며 겔분율이 25 내지 45%인 점착제층을 사용함으로써, 부품 사이를 양호하게 고정할 수 있고, 양호한 내반발성을 갖고, 또한 광학 필름의 변형을 적절하게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우수한 환경 대응성을 가지면서, 광학 필름을 피착 대상으로 한 경우에도 광학 필름의 변형에 의한 시인성의 저하나, 케이스의 비틀림 등의 변형에 의한 점착 테이프의 박리를 억제할 수 있다는 점에서, 광학 필름을 피착 대상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의 부품간 고정, 특히 광학 필름과 투명 패널과의 고정에 적절하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5 占 폚 or less and a gel fraction of 25 to 45% a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n the side to be attached to the optical film, It is possible to securely fix the parts therebetween, to have good anti-repulsion property, and to suppress the deformation of the optical film appropriately.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uppress detachment of the adhesive tape due to deformation such as twist of the case, or the like due to reduction in visibility due to deformation of the optical film, even when the optical film is to be adhered, , And is suitable for fixation between components of an image display device to which an optical film is to be adhered, particularly for fixing an optical film and a transparent panel.

도 1은 실시예에서의 광학 필름의 변형 방지성의 측정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서의 내반발성의 측정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method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preventing property of an optical film in an embodiment. 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method of measuring the resistance to repulsion in the embodiment.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는 광학 필름의 고정에 사용하는 점착 테이프이고, 광학 필름과 접하는 점착제층이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점착제층이고, 점착제층의 유리 전이 온도가 -5℃ 이하이고, 겔분율이 25 내지 45%이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dhesive tape used for fixing an optical film, where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 contact with the optical film i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ontaining an aqueous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The fraction is 25 to 45%.

[점착제층][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 광학 필름에 첩부되는 점착제층은, 수성 매체 중에 아크릴계 공중합체 에멀젼 입자가 분산된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점착제층이다. 본 발명에서는 해당 점착제층의 유리 전이 온도(Tg)를 -5℃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이하로 함으로써 점착제의 유연성을 충분히 확보한다. 이에 따라, 광학 필름에 변형이 생긴 경우에도 해당 변형에 적절하게 추종하면서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점착제가 피착체에 충분히 젖음으로써 피착체와 점착제의 밀착이 확보되고, 적절한 내반발성을 실현할 수 있다.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pplied to the optical film i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med from an aqueous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n which acrylic copolymer emulsion particles are dispersed in an aqueous medium.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lexibility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is sufficiently secured by setting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o -5 deg. C or lower, preferably -10 deg. C or lower, more preferably -15 deg. Thus, even when deformation occurs in the optical film, deformation can be suppressed while appropriately following the deformation. Further,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is sufficiently wetted on the adherend to ensure adhesion between the adherend and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and appropriate anti-repulsion property can be realized.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를 구성하는 점착제층의 유리 전이 온도는 동적 점탄성 스펙트럼의 손실 정접(tanδ)의 피크 온도이다. 동적 점탄성의 측정은, 예를 들면 점탄성 시험기(레오메트릭스사 제조, 상품명: 아레스 2KFRTN1)를 이용하여, 동 시험기의 측정부인 평행 원반 사이에 시험편을 끼워 주파수 1Hz, 승온 속도 2℃/min으로 -50℃에서 150℃까지의 저장 탄성률(G')과 손실 탄성률(G")을 측정한다. tanδ는 이하의 계산식으로부터 산출한다.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onstituting the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peak temperature of the loss tangent (tan?) Of the dynamic viscoelastic spectrum. The measurement of the dynamic viscoelasticity can be carried out, for example, by using a viscoelasticity tester (Ares 2KFRTN1, manufactured by Rheometrics Co., Ltd.) and sandwiching a test piece between parallel discs, The storage elastic modulus (G ') and the loss elastic modulus (G' ') at temperatures ranging from 0 to 150 ° C are measured.

tanδ=G"/G'tan? = G? / G?

시험편은 두께 0.5 내지 2.5mm의 점착제를 단독으로 평행 원반 사이에 끼울 수도 있지만, 기재와 점착제의 적층체를 여러 차례 거듭하여 평행 원반 사이에 끼울 수도 있다. 또한, 후자의 경우에는 중간에 기재가 끼워져 있어도 점착제의 동적 점탄성 스펙트럼의 손실 정접의 피크 온도에 영향은 없다.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having a thickness of 0.5 to 2.5 mm may be sandwiched between the parallel discs, but the laminate of the substrate and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may be repeatedly sandwiched between the parallel discs. In the latter case, the peak temperature of the loss tangent of the dynamic viscoelastic spectrum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is not affected even when the substrate is sandwiched in between.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의 점착제층은, 겔분율이 25 내지 45%인 점착제층이다. 상기 유리 전이 온도에서, 또한 점착제층의 겔분율을 해당 범위로 함으로써, 피착체에의 충분한 습윤성, 밀착성을 발현시키는 유연성을 확보하고, 한편으로 응력에 견딜 수 있는 응집력을 확보함으로써, 광학 필름의 변형을 양호하게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적절한 내반발성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해당 겔분율은 점착제층을 톨루엔에 24시간 침지한 후의 불용분을 측정하여, 침지 전후의 질량분 비로 표시되는 겔분율이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ving a gel fraction of 25 to 45%. By setting the gel fraction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ithin the above range at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it is possible to secure flexibility to exhibit sufficient wettability and adhesion to the adherend, and to secure a cohesive force capable of withstanding stress, Can be satisfactorily restrained and an appropriate rebound resisting property can be realized. The gel fraction is a gel fraction expressed as mass ratio before and after immersion after measuring the insoluble matter after immers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 toluene for 24 hours.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는 상기 유리 전이 온도와 겔분율의 점착제층을 갖는 것인데, 점착제층의 유리 전이 온도는 점착제 조성물에 사용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나 점착 부여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 연화점, 배합량 등에 의해 적당하게 조정된다. 또한, 겔분율은, 점착제 조성물에 첨가하는 가교제나 가교제량, 가교제와 반응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중에 도입하는 관능기 단량체나 관능기 단량체량에 의해 적당하게 조정 가능하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and a gel fractio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determined by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acrylic copolymer,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And the like. The gel fraction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depending on the amount of the crosslinking agent or crosslinking agent to be added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the amount of the functional group monomer or functional group monomer to be introduced into the acrylic copolymer reacting with the crosslinking agent.

(아크릴계 공중합체)(Acrylic copolymer)

점착제층에 사용하는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로서는, 수성 매체 중에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에멀젼 입자가 분산된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다. 해당 아크릴계 공중합체로서는, 동적 점탄성 스펙트럼으로 측정되는 유리 전이 온도가 -45℃ 내지 -25℃인 것이 바람직하고, -40℃ 내지 -3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를 해당 범위로 함으로써, 점착제의 유연성을 충분히 확보하기 쉬워진다. 이에 따라, 광학 필름에 변형이 생긴 경우에도 해당 변형에 적절하게 추종하면서 변형을 억제하기 쉬워진다. 또한, 점착제가 피착체에 충분히 젖음으로써, 피착체와 점착제의 밀착이 확보되기 쉬워지고, 적절한 내반발성을 실현하기 쉬워진다.As the aqueous dispersion type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for use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composition in which emulsion particles of an acrylic copolymer are dispersed in an aqueous medium can be used. The acrylic copolymer preferably has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measured by a dynamic viscoelastic spectrum of -45 캜 to -25 캜, more preferably -40 캜 to -30 캜. By setting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acrylic copolymer within the range, flexibility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an be sufficiently ensured. Accordingly, even if deformation occurs in the optical film, deformation can be easily suppressed while appropriately following the deformation. Further, wh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is sufficiently wetted on the adherend, adhesion between the adherend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is easily ensured, and it is easy to realize adequate anti-repulsion property.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의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는, 동적 점탄성 스펙트럼의 손실 정접(tanδ)의 피크 온도이다. 동적 점탄성의 측정에 있어서는, 아크릴계 공중합체만을 포함하는 시트를 제조하고, 상기 점착제층과 동일하게 하여 측정할 수 있다.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acrylic copolymer constitut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peak temperature of the loss tangent (tan?) Of the dynamic viscoelastic spectrum. In the measurement of the dynamic viscoelasticity, a sheet containing only an acrylic copolymer can be prepared and measured in the same manner as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아크릴계 공중합체에 사용하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로서는, 점착제에 사용되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적당하게 사용할 수 있고, 그 중에서도 탄소수 4 내지 8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주된 단량체 성분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탄소수 4 내지 8의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n-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트)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n-부틸아크릴레이트 및/또는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고, 특히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는, 얻어지는 점착제층의 유리 전이 온도를 낮게 제어하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점착 부여 수지와의 상용성이 향상되기 쉬워지고, 기재나 피착체와의 밀착성의 향상도 얻어지기 쉬워진다.As the (meth) acrylate monomer used in the acrylic copolymer, a (meth) acrylate monomer used in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an be appropriately used, and among these, a (meth) acrylate monomer having an alkyl group having 4 to 8 carbon atoms, Can be preferably used. Examples of the (meth) acrylate monomer having 4 to 8 carbon atoms include n-butyl (meth) acrylate, isobutyl (meth) acrylate, t- (Meth) acrylate such as isooctyl (meth) acrylate, n-octyl (meth) acrylate and the like can be used. Among them, n-butyl acrylate and / or 2-ethylhexyl acrylate can be preferably used, and 2-ethylhexyl acrylate is particularly preferable since it is easy to control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result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o a low level. Further, compatibility with the tackifier resin is apt to be improved, and improvement in adhesion with the substrate and the adherend can be easily obtained.

탄소수 4 내지 8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은, 아크릴 공중합체에 사용하는 단량체 성분 중의 50 내지 98질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80 내지 98 질량%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탄소수 4 내지 8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을 해당 범위로 함으로써, 점착제의 유연성을 충분히 확보하기 쉬워진다. 이에 따라, 광학 필름에 변형이 생긴 경우에도 해당 변형에 적절하게 추종하면서 변형을 억제하기 쉬워진다. 또한, 점착제가 피착체에 충분히 젖음으로써, 피착체와 점착제의 밀착이 확보되기 쉬워지고, 적절한 내반발성을 실현하기 쉬워진다.The content of the (meth) acrylate having an alkyl group having 4 to 8 carbon atoms is preferably 50 to 98% by mass, particularly preferably 80 to 98% by mass, in the monomer components used in the acrylic copolymer. By setting the content of the (meth) acrylate having an alkyl group having 4 to 8 carbon atoms within the range, the flexibility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an be sufficiently secured. Accordingly, even if deformation occurs in the optical film, deformation can be easily suppressed while appropriately following the deformation. Further, wh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is sufficiently wetted on the adherend, adhesion between the adherend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is easily ensured, and it is easy to realize adequate anti-repulsion property.

또한,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아크릴 공중합체에 사용하는 단량체 성분 중의 40질량%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60질량% 이상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0질량% 이상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90질량% 이상으로 하는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 해당 범위로 함으로써, 점착제의 유연성을 충분히 확보하기 쉬워진다. 이에 따라, 광학 필름에 변형이 생긴 경우에도 해당 변형에 적절하게 추종하면서 변형을 억제하기 쉬워진다.When 2-ethylhexyl acrylate which can be particularly preferably used is used, it is preferably 40% by mass or more, more preferably 60% by mass or more, of the monomer components used in the acrylic copolymer, More preferably 80% by mass or more, and still more preferably 90% by mass or more. By setting it in the range, the flexibility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an be sufficiently secured. Accordingly, even if deformation occurs in the optical film, deformation can be easily suppressed while appropriately following the deformation.

본 발명에서는,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형성하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로서, 상기 이외의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병용할 수도 있다. 상기 이외의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예시할 수 있고, 이들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병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탄소수 2 이하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를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사용량으로서는 1 내지 1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other (meth) acrylate monomers may be used in combination as the (meth) acrylate monomers for forming the acrylic copolymer. Examples of the (meth) acrylate monomer other than the above include (meth) acrylate monomers such as methyl (meth) acrylate and ethyl (meth) acrylate, Can be used together. Among them, (meth) acrylate having an alkyl group having 2 or less carbon atoms such as methyl (meth) acrylate and ethyl (meth) acrylate is preferably used in combination, and the amount thereof is preferably 1 to 10% by mass.

본 발명에서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에멀젼 입자 내나 입자 사이의 응집력을 높이기 위해서,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로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산, 무수 말레산, 프탈산, 무수 프탈산, 크로톤산 등의 카르복실기 함유 비닐 단량체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아크릴산, 메타크릴산은 카르복실기끼리의 상호 작용에 의해 응집력을 확보하기 쉽고, 반응하는 가교제가 많고 응집력을 높이는 수단이 많고, 후술하는 질소 함유 비닐 단량체와의 상호 작용을 발현할 수 있다는 등의 이점을 갖기 때문에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use a carboxyl group-containing monomer in order to increase the cohesive force within the acrylic copolymer emulsion particle or between the particles. As the carboxyl group-containing monomer, one or more kinds selected from carboxyl group-containing vinyl monomers such as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itaconic acid, maleic acid, maleic anhydride, phthalic acid, phthalic anhydride, crotonic acid and the like can be used. Among them, acrylic acid and methacrylic acid are advantageous in that cohesive force is easily ensured by interaction between carboxyl groups, a large number of crosslinking agents to be reacted and a high cohesive strength are provided, and interaction with nitrogen-containing vinyl monomers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expressed .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의 함유량은,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형성하는 단량체 성분 중 0.5 내지 10질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5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해당 범위 내로 함으로써, 가교제와의 가교 반응이 양호하게 진행되기 쉬워진다. 또한, 응력에 견딜 수 있는 응집력을 확보하기 쉬워지고, 광학 필름의 변형을 양호하게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적절한 내반발성을 실현하기 쉬워진다.The content of the carboxyl group-containing monomer is preferably 0.5 to 10% by mass, preferably 0.5 to 5% by mass, more preferably 1.5 to 3.5% by mass, based on the monomer component forming the acrylic copolymer. By making the ratio fall within the above range, the crosslinking reaction with the crosslinking agent tends to proceed well. Further, cohesive force capable of withstanding stress can be easily ensured, deformation of the optical film can be suppressed well, and an appropriate rebound resistance can be easily realized.

본 발명에서는,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단량체 성분으로서, 또한 질소 함유 비닐 단량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질소 함유 비닐 단량체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에멀젼 입자 중의 산기, 특히 카르복실기와 상호 작용함으로써, 입자 표면에 배향하기 쉬운 카르복실기를 입자 내부에 인입(

Figure 112014032933919-pct00001
)하는 효과를 만들어 낸다고 추찰된다. 질소 함유 비닐 단량체의 함유량은 0.1 내지 4.5질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4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5질량%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use a nitrogen-containing vinyl monomer as the monomer component of the acrylic copolymer. The nitrogen-containing vinyl monomer interacts with an acid group, particularly a carboxyl group, in the acrylic copolymer emulsion particle, so that a carboxyl group, which is easily oriented on the particle surface,
Figure 112014032933919-pct00001
). The content of the nitrogen-containing vinyl monomer is 0.1 to 4.5 mass%, preferably 0.5 to 4 mass%, and more preferably 0.5 to 3.5 mass%.

질소 함유 비닐 단량체로서는, 아미드기를 갖는 질소 함유 단량체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아미드기를 갖는 질소 함유 단량체는, 아민계의 질소 함유 단량체기에 비하여, 산기와의 상호 작용이 지나치게 강해지지 않고, 에멀젼 입자 내의 응집력과 입자 사이의 상호 작용을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고, 점착제로서의 응집력이 얻어지기 쉬워지기 때문에, 적절한 접착성과 리워크성을 얻기 쉬워진다. 아미드기를 갖는 질소 함유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N-비닐피롤리돈, N-비닐카프로락탐, 아크릴로일모르폴린, 아크릴로니트릴, 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아크릴아미드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As the nitrogen-containing vinyl monomer, a nitrogen-containing monomer having an amide group can be preferably used. The nitrogen-containing monomer having an amide group is not excessively strong with respect to the acid group, as compared with the amine-based nitrogen-containing monomer group, can adequately maintain the cohesive force in the emulsion particle and the interaction between the particles, It becomes easy to get rid of, so that it becomes easy to obtain adequate adhesion and reworkability. Examples of the nitrogen-containing monomer having an amide group include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vinylpyrrolidone, N-vinylcaprolactam, acryloylmorpholine, acrylonitrile, acrylamide and N, N- Two or more species can be used.

아크릴계 공중합체 중의 질소 함유 비닐 단량체와 카르복실기를 갖는 비닐 단량체의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 성분 중의 질소 함유 비닐 단량체의 몰수를 X, 카르복실기를 갖는 비닐 단량체의 몰수를 Y로 한 경우의 몰비 X/Y가 1/1 내지 1/20인 것이 바람직하고, 1/1 내지 1/5가 보다 바람직하고, 1/1 내지 1/3이 더욱 바람직하다. 해당 범위 내이면, 카르복실기를 갖는 비닐 단량체와 후술하는 가교제와의 반응이 진행되기 쉬워진다.The ratio of the nitrogen-containing vinyl monomer to the carboxyl group-containing vinyl monomer in the acrylic copolym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the mole number of the nitrogen-containing vinyl monomer in the monomer component constituting the acrylic copolymer is X, the mole number of the vinyl monomer having a carboxyl group is Y Is preferably from 1/1 to 1/20, more preferably from 1/1 to 1/5, and further preferably from 1/1 to 1/3. Within this range, the reaction between the vinyl monomer having a carboxyl group and a crosslinking agent described later tends to proceed.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에 있어서는, 상기 이외의 단량체를 필요에 따라서 사용할 수도 있고, 그와 같은 단량체의 예로서는 수산기 함유 단량체로서 (메트)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산2-히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산2-히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산4-히드록시부틸 등의 알코올성 수산기 함유 단량체를 적당하게 사용할 수 있다. 케토기 또는 알데히드기 함유 단량체로서, 다이아세톤아크릴아미드, 다이아세톤메타크릴아미드, 아크롤레인, 포르밀스티롤, 비닐메틸케톤, 비닐에틸케톤, 비닐이소부틸케톤, 디아세톤아크릴레이트, 디아세톤메타크릴레이트, 아세토니트릴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아세토아세테이트, 부탄디올아크릴레이트아세테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실란계 단량체로서, 3-메타크릴옥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예를 들면, 신에쓰 가가꾸(주) 제조 KBM-502],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예를 들면, 신에쓰 가가꾸(주) 제조 KBM-503], 3-메타크릴옥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예를 들면, 신에쓰 가가꾸(주) 제조 KBE-502],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예를 들면, 신에쓰 가가꾸(주) 제조 KBE-503], 3-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예를 들면, 신에쓰 가가꾸(주) 제조 KBM-5103]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메틸올기 함유 단량체로서, N 메틸올아크릴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인산기 함유 단량체로서, 예를 들면 로디아 니까(주) 제조 시포머(Sipomer) PAM-100, PAM-200, PAM-300 등을 들 수 있으며,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형성하는 단량체 성분 중의 20질량% 이하의 비율로 사용할 수 있고, 1종 또는 2종 이상 사용할 수 있다.In the acrylic copolyme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onomers other than the above may be used if necessary. Examples of such monomers include (meth) acrylic acid 2-hydroxyethyl, (meth) acrylic acid 2-hydro Hydroxybutyl (meth) acrylate, 4-hydroxybutyl (meth) acrylate, and the like can be appropriately used. Examples of the monomer having a keto group or an aldehyde group include diacetone acrylamide, diacetone methacrylamide, acrolein, formylstilhole, vinylmethylketone, vinylethylketone, vinylisobutylketone, diacetone acrylate, diacetone methacrylate, Nitrile acrylate, 2-hydroxypropyl acrylate acetoacetate, butanediol acrylate acetate, and the like. Examples of the silane-based monomer include 3-methacryloxypropylmethyldimethoxysilane (for example, KBM-502 manufactured by Shin-Etsu Chemical Co., Ltd.), 3-methacryloxypropyltrimethoxysilane (KBE-502 manufactured by Shin-Etsu Chemical Co., Ltd.), 3-methacryloxypropyltriethoxysilane (manufactured by Shin-Etsu Chemical Co., (For example, KBE-503 manufactured by Shin-Etsu Chemical Co., Ltd.) and 3-acryloxypropyltrimethoxysilane (for example, KBM-5103 manufactured by Shin-Etsu Chemical Co., Ltd.). As the methylol group-containing monomer, N-methylol acrylamide and the like can be given. Examples of the phosphoric acid group-containing monomer include Sipomer PAM-100, PAM-200 and PAM-300 manufactured by Rhodia K.K., and 20% by mass or more of a monomer component forming an acrylic copolymer, Or less, and they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50 내지 120만이 적절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00만이다. 해당 범위 내로 함으로써, 피착체에의 충분한 습윤성, 밀착성을 발현시키는 유연성이 향상되고, 한편으로 응력에 견딜 수 있는 응집력이 향상됨으로써, 광학 필름의 변형을 양호하게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적절한 내반발성을 실현하기 쉬워진다.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은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한 표준 폴리스티렌 환산이다. 측정 조건으로서, 칼럼은 TSKgel GMHXL[도소 제조]을 이용하여, 칼럼 온도는 40℃, 용리액은 테트라히드로푸란, 유량은 1.0mL/분으로 하고, 표준 폴리스티렌은 TSK 표준 폴리스티렌을 이용한다.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acrylic copolyme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from 50 to 120,000, more preferably from 60 to 1,000,000. By making the ratio fall within the above range, the flexibility of exhibiting sufficient wettability and adhesiveness to the adherend is improved, and on the other hand, the cohesive force capable of enduring the stress is improved, whereby the deformation of the optical film can be satisfactorily suppressed, .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is a standard polystyrene conversion by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As a measurement condition, the column is TSKgel GMHXL (manufactured by Tosoh Corporation), the column temperature is 40 占 폚, the eluent is tetrahydrofuran, the flow rate is 1.0 ml / min, and the standard polystyrene is TSK standard polystyrene.

분자량을 조정하기 위해서, 중합에는 연쇄 이동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연쇄 이동제로서는 공지된 연쇄 이동제, 예를 들면 라우릴머캅탄, 글리시딜머캅탄, 머캅토아세트산, 2-머캅토에탄올, 티오글리콜산, 티오글리콜산2-에틸헥실, 2,3-디메틸캅토-1-프로판올 등을 사용할 수 있다.In order to adjust the molecular weight, a chain transfer agent may be used for polymerization. Examples of the chain transfer agent include known chain transfer agents such as lauryl mercaptan, glycidylmercaptan, mercaptoacetic acid, 2-mercaptoethanol, thioglycolic acid, 2-ethylhexyl thioglycolate, 2,3- 1-propanol and the like can be used.

(점착 부여 수지)(Tackifier resin)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는, 피착체에의 충분한 습윤성, 밀착성을 발현하고, 응력에 견딜 수 있는 응집력의 향상을 위해 점착 부여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해당 점착 부여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는 30 내지 120℃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10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80℃이고,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60℃이다. 아크릴계 공중합체보다도 유리 전이 온도가 높은 점착 부여 수지를 배합함으로써, 강접착성이 향상된다.In the acrylic-ba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for us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use a tackifier resin in order to exhibit sufficient wettability and adhesiveness to an adherend and to improve cohesive force capable of withstanding stress.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tackifier resin is preferably 30 to 120 캜, more preferably 40 to 100 캜, still more preferably 45 to 80 캜, still more preferably 50 to 60 캜. By blending a tackifying resin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higher than that of the acrylic copolymer, the tackiness is improved.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를 구성하는 점착제에 사용하는 점착 부여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는, DSC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한 DSC 곡선의 유리 전이의 계단 상 변화 부분에서, JIS K 7121에 있어서 중간점 유리 전이 온도로서 규정되는 온도이다. 구체적인 측정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DSC 측정 장치(메틀러·톨레드(주) 제조, 상품명: DSC822)를 이용하여 측정한 DSC 곡선을, 상기 장치 부속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해석한 값이다. 시료는 진공 건조기를 이용하여 진공하, 60℃, 2일간 이상 건조시킨다. -50℃에서 200℃의 범위를 승온 속도 2℃/min으로 연속 2회 측정하고, 2회째의 측정 데이터를 해석하여 유리 전이 온도를 산출한다.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resin used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nstitut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such that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glass transition point of JIS K 7121 in the stepwise change portion of the glass transition of the DSC curve measured by the DSC measuring apparatus It is the temperature specified as the temperature. As a specific measuring method, for example, a DSC curve measured by using a DSC measuring apparatus (manufactured by Mettler-Toledo Co., Ltd., product name: DSC822) is analyzed by using the software attached to the apparatus. The sample is dried in a vacuum dryer at 60 ° C for 2 days or more under vacuum. The range of -50 ° C to 200 ° C is measured twice continuously at a heating rate of 2 ° C / min, and the second measurement data is analyzed to calculate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점착 부여 수지로서는, 수분산형의 점착제 조성물에 사용하는 관점에서, 에멀젼형의 점착 부여 수지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해당 에멀젼형의 점착 부여 수지로서는 로진계, 중합 로진계, 중합 로진 에스테르계, 로진 페놀계, 안정화 로진 에스테르계, 불균화 로진 에스테르계, 테르펜계, 테르펜페놀계, 석유 수지계 등을 예시할 수 있다.As the tackifier resin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 emulsion-type tackifier resin can be preferably used from the viewpoint of use in an aqueous dispersion typ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Examples of the emulsion-type tackifier resin include rosin, polymerized rosin, polymerized rosin ester, rosin phenol, stabilized rosin ester, disproportionated rosin ester, terpene, terpene phenol, petroleum resin and the like .

그 중에서도, 중합 로진 에스테르계 점착 부여 수지 및/또는 로진 페놀계 점착 부여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중합 로진 에스테르계 점착 부여 수지는, 수퍼 에스테르 E-650[아라카와 가가꾸 고교(주) 제조], 수퍼 에스테르 E-788[아라카와 가가꾸 고교(주) 제조], 수퍼 에스테르 E-786-60[아라카와 가가꾸 고교(주) 제조], 수퍼 에스테르 E-865[아라카와 가가꾸 고교(주) 제조], 수퍼 에스테르 E-865 NT[아라카와 가가꾸 고교(주) 제조], 하리에스타 SK-508[하리마 가세이(주) 제조], 하리에스타 SK-508H[하리마 가세이(주) 제조], 하리에스타 SK-816E[하리마 가세이(주) 제조], 하리에스타 SK-822E[하리마 가세이(주) 제조], 하리에스타 SK-323NS[하리마 가세이(주) 제조] 등을 들 수 있으며, 로진 에스테르계 점착 부여 수지는 수퍼 에스테르 NS-125A[아라카와 가가꾸 고교(주) 제조], 수퍼 에스테르 NS-100H[아라카와 가가꾸 고교(주) 제조], 하리에스타 SK-90D-55[하리마 가세이(주) 제조], 하리에스타 SK-385NS[하리마 가세이(주) 제조] 등을 들 수 있고, 변성 로진 에스테르계 점착 부여 수지는 하리에스타 SK-501NS[하리마 가세이(주) 제조], 하리에스타 SK-370N[하리마 가세이(주) 제조] 등을 들 수 있고, 로진계 점착 부여 수지는 수퍼 에스테르 NS-120B[아라카와 가가꾸 고교(주) 제조], 수퍼 에스테르 NS-100A[아라카와 가가꾸 고교(주) 제조] 등을 들 수 있고, 로진페놀계 점착 부여 수지는 타마놀 E-100[아라카와 가가꾸 고교(주) 제조], 타마놀 E-200[아라카와 가가꾸 고교(주) 제조], 타마놀 E-200NT[아라카와 가가꾸 고교(주) 제조] 등을 들 수 있다.Among them, it is preferable to use a polymerized rosin ester-based tackifying resin and / or a rosin-phenol-based tackifying resin. Specifically, the polymerized rosin ester-based tackifying resin is a mixture of Super Ester E-650 (manufactured by Arakawa Chemical Industries Ltd.), Super Ester E-788 (manufactured by Arakawa Chemical Industries, Ltd.), Super Ester E-786 -60 (manufactured by Arakawa Chemical Industries, Ltd.), Superester E-865 (manufactured by Arakawa Chemical Industries, Ltd.), Superester E-865 NT (manufactured by Arakawa Chemical Industries, Ltd.) (Harima Kasei Co., Ltd.), Hariesta SK-508H (manufactured by Harima Kasei Corporation), Hariesta SK-816E (manufactured by Harima Kasei Corporation), Hariesta SK-822E (Manufactured by Arakawa Chemical Industries, Ltd.), Hariesta SK-323NS (manufactured by Harima Kasei K.K.), and the rosin ester-based tackifying resin is Super Stear NS-125A Ester NS-100H (manufactured by Arakawa Chemical Industries, Ltd.), Hariesta SK-90D-55 (manufactured by Harima Kasei Corporation) The modified rosin ester-based tackifying resin is Hariesta SK-501NS (manufactured by Harima Kasei Co., Ltd.), Hariesta SK-370N (manufactured by Harima Kasei Co., Ltd.) (Available from Arakawa Chemical Industries, Ltd.), Superester NS-100A (manufactured by Arakawa Chemical Industries, Ltd.), and the like can be cited as the rosin-based tackifier resin (Manufactured by Arakawa Chemical Industries, Ltd.), Tamanol E-200 (manufactured by Arakawa Chemical Industries, Ltd.), Tamanol E-200NT [manufactured by Arakawa Chemical Industries, Ltd.] Manufactured by Arakawa Chemical Industries, Ltd.] and the like.

아크릴계 공중합체/점착 부여 수지의 배합비는, 질량부의 비에 있어서 아크릴계 공중합체/점착 부여 수지=100/10 내지 100/40이 적절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크릴계 공중합체/점착 부여 수지=100/15 내지 100/35이다. 해당 범위 내이면, 피착체에의 충분한 습윤성, 밀착성의 발현, 응력에 견딜 수 있는 응집력을 균형 좋게 향상시킬 수 있다.The ratio of the acrylic copolymer / the tackifier resin to the acrylic copolymer / tackifier resin is preferably 100/10 to 100/40, more preferably 100/15 To 100/35. Within this range, sufficient wettability to the adherend, the appearance of the adhesion, and the cohesive force capable of withstanding stress can be balanced well.

(가교제)(Crosslinking agent)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는, 얻어지는 점착제층의 응집력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가교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제로서는, 공지된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 아지리딘계 가교제, 다가 금속염계 가교제, 금속 킬레이트계 가교제, 케토·히드라지드계 가교제, 옥사졸린계 가교제, 카르보디이미드계 가교제, 실란계 가교제, 글리시딜(알콕시)에폭시실란계 가교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중합 종료 후에 첨가하여, 가교 반응을 진행시키는 타입의 가교제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 옥사졸린계 가교제, 카르보디이미드계 가교제, 글리시딜(알콕시)에폭시실란계 가교제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로서는 바녹 DNW-5000[DIC(주) 제조], 바녹 DNW-5010[DIC(주) 제조], 바녹 DNW-5100[DIC(주) 제조], 바녹 DNW-5500[DIC(주) 제조], 아크아네이트 100[닛본 폴리우레탄 고교(주) 제조], 아크아네이트 105[닛본 폴리우레탄 고교(주) 제조], 아크아네이트 110[닛본 폴리우레탄 고교(주) 제조], 아크아네이트 120[닛본 폴리우레탄 고교(주) 제조], 아크아네이트 130[닛본 폴리우레탄 고교(주) 제조], 아크아네이트 200[닛본 폴리우레탄 고교(주) 제조], 아크아네이트 210[닛본 폴리우레탄 고교(주) 제조], LS2319[스미토모 바이엘 우레탄(주) 제조], LS2336[스미토모 바이엘 우레탄(주) 제조], 배이히두르(Bayhydur)3100[스미토모 바이엘 우레탄(주) 제조] 등을 들 수 있고, 에폭시계 가교제로서는 데나콜 EX-832[나가세 가세이 고교(주) 제조], 데나콜 EX-841[나가세 가세이 고교(주) 제조], 테트랏드 C[미쓰비시 가스 가가꾸(주) 제조], 테트랏드 X[미쓰비시 가스 가가꾸(주) 제조] 등을 들 수 있고, 옥사졸린계 가교제로서는 에포크로스 WS-500[(주)닛본 쇼꾸바이 제조], 에포크로스 WS-700[(주)닛본 쇼꾸바이 제조], 에포크로스 K-2010E[(주)닛본 쇼꾸바이 제조], 에포크로스 K-2020E[(주)닛본 쇼꾸바이 제조], 에포크로스 K-2030E[(주)닛본 쇼꾸바이 제조]를 들 수 있고, 카르보디이미드계 가교제로서는 카르보디라이트 SV-02[닛신보세끼(주)], 카르보디라이트 V-02[닛신보세끼(주)], 카르보디라이트 V-02-L2[닛신보세끼(주)], 카르보디라이트 V-04[닛신보세끼(주)], 카르보디라이트 E-01[닛신보세끼(주)], 카르보디라이트 E-02[닛신보세끼(주)], 카르보디라이트 E-03A[닛신보세끼(주)], 카르보디라이트 E-04[닛신보세끼(주)], 글리시딜(알콕시)에폭시실란계 가교제로서는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KBM-303; 신에쓰 실리콘(주) 제조],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KBM-403; 신에쓰 실리콘(주) 제조], γ-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KBE-402; 신에쓰 실리콘(주) 제조],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KBE-403; 신에쓰 실리콘(주) 제조] 등을 들 수 있다.In the acrylic-ba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for us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use a crosslinking agent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cohesive force of the obtain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s the crosslinking agent, known crosslinking agents such as isocyanate crosslinking agents, epoxy crosslinking agents, aziridine crosslinking agents, polyvalent metal salt crosslinking agents, metal chelating crosslinking agents, keto-hydrazide crosslinking agents, oxazoline crosslinking agents, carbodiimide crosslinking agents, Epoxysilane crosslinking agents, and the like can be used. Among them, a crosslinking agent of the type which is added after the polymerization is completed and the crosslinking reaction proceeds is preferable. Examples thereof include an isocyanate crosslinking agent, an epoxy crosslinking agent, an oxazoline crosslinking agent, a carbodiimide crosslinking agent, and a glycidyl (alkoxy) epoxy silane crosslinking agent. Specific examples of the isocyanate crosslinking agent include BAROX DNW-5000 (manufactured by DIC Corporation), BAROX DNW-5010 (manufactured by DIC Corporation), BAROX DNW-5100 (Manufactured by Nippon Polyurethane Industry Co., Ltd.), Arcanate 105 (manufactured by Nippon Polyurethane Industry Co., Ltd.), Arcanate 100 (manufactured by Nippon Polyurethane Industry Co., Ltd.) , Arcanate 120 (manufactured by Nippon Polyurethane Industry Co., Ltd.), Arcanate 130 (manufactured by Nippon Polyurethane Industry Co., Ltd.), Arcanate 200 (manufactured by Nippon Polyurethane Industry Co., Ltd.) (Manufactured by Sumitomo Bayer Urethane Co., Ltd.), LS2336 (manufactured by Sumitomo Bayer Urethane Co., Ltd.) and Bayhydur 3100 (manufactured by Sumitomo Bayer Urethane Co., Ltd.) Epoxy-based crosslinking agents include Denacol EX-832 (manufactured by Nagase Kasei Kogyo Co., Ltd.), Denacol EX-841 , Tetrad C (manufactured by Mitsubishi Gas Chemical Co., Ltd.), tetrad X (manufactured by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and the like. Examples of the oxazoline crosslinking agent include Epocross WS-500 (Manufactured by Nippon Shokubai Co., Ltd.), Epochros WS-700 (manufactured by Nippon Shokai Kabushiki Kaisha), Epochros K-2010E (manufactured by Nippon Shokubai Co., Ltd.), Epochros K-2020E (Manufactured by Nippon Shokubai Co., Ltd.), Carbodite SV-02 (manufactured by Nisshinbo Industries, Ltd.), Carbodite V- 02, manufactured by Nisshinbo Industries, Ltd., Carbodite V-02-L2 [manufactured by Nisshinbo Industries, Ltd.], Carbodite V- Carbodite E-02 (manufactured by Nisshinbo Industries, Ltd.), Carbodite E-03A (manufactured by Nisshinbo Industries, Ltd.), Carbodite E-04 ], Glycidyl (alkoxy) epoxy silane type Examples of the 2- (3,4-epoxycyclohexyl ethyl trimethoxy silane [KBM-303; Shin-Etsu Silicone Co., Ltd.),? -Glycidoxypropyltrimethoxysilane (KBM-403; Shin-Etsu Silicone Co., Ltd.),? -Glycidoxypropylmethyldiethoxysilane (KBE-402; Shin-Etsu Silicone Co., Ltd.),? -Glycidoxypropyltriethoxysilane (KBE-403; Manufactured by Shin-Etsu Silicone Co., Ltd.].

그 중에서도, 산기를 갖는 비닐 단량체와 반응하는 가교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술한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에폭시 화합물, 옥사졸린 화합물, 카르보디이미드계 가교제, 글리시딜(알콕시)에폭시실란 화합물 등이 바람직하다. 이들 산기와 반응하는 가교제를 사용함으로써, 응집력의 향상을 적절하게 발현할 수 있다.Among them, it is preferable to use a crosslinking agent which reacts with the vinyl monomer having an acid group, and the isocyanate crosslinking agent, the epoxy compound, the oxazoline compound, the carbodiimide crosslinking agent, the glycidyl (alkoxy) epoxy silane compound and the like are preferable Do. By using a cross-linking agent which reacts with these acid groups, it is possible to appropriately express the improvement of the cohesive force.

(첨가제)(additive)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는, 첨가제로서 필요에 따라서 본 발명의 원하는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pH를 조정하기 위한 염기(암모니아수 등)나 산, 가소제, 연화제, 산화 방지제, 유리나 플라스틱제의 섬유·벌룬·비드·금속 분말 등의 충전제, 안료·염료 등의 착색제, pH 조정제, 피막 형성 보조제, 레벨링제, 증점제, 발수제, 소포제 등의 공지된 것을 점착제 조성물에 임의로 첨가할 수 있다.In the aqueous dispersion type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for use in the present invention, additives such as a base (ammonia water or the like) for adjusting the pH, a plasticizer, a softener, an antioxidant, Known ones such as fillers such as glass or plastic fibers, balloons, beads or metal powders, coloring agents such as pigments and dyes, pH adjusting agents, film forming auxiliaries, leveling agents, thickening agents, water repellents and defoaming agents may optionally be added to the pressure- have.

점착제층의 두께는 5 내지 50㎛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이다. 5㎛ 이상이면 충분한 접착성을 얻을 수 있고, 또한 50㎛ 이하로 함으로써 경박 단소화가 진행하는 표시 장치 등에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preferably 5 to 50 占 퐉, more preferably 10 to 30 占 퐉. When the thickness is 5 mu m or more, sufficient adhesiveness can be obtained. When the thickness is 50 mu m or less, it can be suitably applied to a display device in which thinning and thinning are progressed.

[지지체][Support]

본 발명에 사용하는 지지체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화상 표시 장치 주변 부재 고정에 사용되는 각종 지지체를 사용할 수 있다. 해당 지지체로서는, 예를 들면 수지 필름만을 포함하는 지지체나, 수지 필름에 착색층이 설치된 지지체일 수도 있다. 광학 필름과 다른 부재의 고정, 특히 광학 필름과 투명 패널과의 고정에 있어서는 차광 성능이나 광 반사 성능이 요구되는 것이 많기 때문에, 양호한 차광 성능이나 광 반사 성능을 실현할 때에는 수지 필름에 착색층이 설치된 지지체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The suppor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various supports used for fixing members around the image display apparatus can be used. The support may be, for example, a support containing only a resin film or a support provided with a colored layer on a resin film. In order to achieve good light-shielding performance and light reflection performance, it is necessary to fix the optical film and other members, particularly, to fix the optical film and the transparent panel, Can be preferably used.

지지체에 사용되는 수지 필름으로서는, 공지 관용의 수지 필름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셀로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스티렌, 폴리이미드, 폴리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에스테르는 강도나 절연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폴리우레탄계 수지를 사용한 잉크층과의 밀착성도 양호하기 때문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As the resin film used for the support, a known resin film can be us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cellophane, polyethylene, polypropylene, nylon, polystyrene, polyimide and polyester. Among them, polyester can be preferably used because it has excellent strength and insulation. Also, polyethylene terephthalate can be preferably used because it has good adhesion with an ink layer using a polyurethane resin.

지지체가 되는 수지 필름의 두께로서는 6 내지 100㎛가 바람직하다. 두께가 6㎛ 이상인 경우에는 박리시에 필름의 조각이 발생하기 어렵고, 100㎛ 이하인 경우에는 피착체에의 첩부시에 분리가 발생하기 어렵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50㎛이다.The thickness of the resin film as a support is preferably 6 to 100 mu m. When the thickness is 6 mu m or more, fragmentation of the film at the time of peeling is difficult to occur. When the thickness is 100 mu m or less, separation at the time of attaching to an adherend is difficult. More preferably 12 to 50 占 퐉.

또한, 수지 필름 자체가 백색이나 흑색으로 착색되어 있을 수도 있고, 수지 필름이 광 반사성을 갖는 백색 수지 필름이면, 화상 표시 장치의 화상 표시부에 사용할 때에, 화상 표시의 휘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절연성·광 확산 반사성을 갖는 백색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수지 필름이 차광성을 갖는 흑색 수지 필름이면, 화상 표시 장치의 콘트라스트를 높이기 위해서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흑색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우수한 차광성을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Further, the resin film itself may be colored in white or black, and if the resin film is a white resin film having light reflectivity, it is preferable because the brightness of the image display can be increased when the resin film is used in the image display section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Among them, white polyethylene terephthalate having insulating property and light diffusing reflectivity is most preferable. Further, if the resin film is a black resin film having light shielding property, it is preferable to increase the contrast of the image display device. Among them, black polyethylene terephthalate is preferred because it can impart excellent light-shielding properties.

이들 수지 필름에 착색층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착색 잉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해당 착색층에 사용하는 착색 잉크는 화상 표시 장치 주변 부재 고정용으로 사용되는 차광 테이프나 광 반사 테이프 등의 착색 테이프에 사용되는 착색 잉크를 적당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착색층의 할로겐 함유량이 0.3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05질량% 이하이고, 할로겐을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할로겐 함유량을 저감시킨 착색층은, 결합제 수지로서 염화아세트산비닐계 수지 등의 할로겐이나 황을 함유하는 수지를 사용하지 않은 착색 잉크를 사용하기 때문에, 특히 점착제층의 앵커링이 얻어지기 어려우므로 점착제층의 접착력이 높아지면 리워크성이 얻어지기 어렵지만,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상기한 점착제층은 해당 할로겐 함유량이 낮은 착색층에서도 적절한 접착성과 리워크성을 실현할 수 있다. 여기서, 할로겐 함유량은, 형광 X선으로 분석했을 때의 검출량이다. 예를 들면, 형광 X선의 분석 장치로서는 리가쿠(Rigaku)사 제조 「ZSX Primus」, 「ZSX PrimusII」 등을 들 수 있다.When a colored layer is provided on these resin films, it is preferable to use a colored ink. The colored ink used for the colored layer can be suitably used as a colored ink used for a coloring tape such as a light-shielding tape or a light reflection tape used for fixing members around an image display apparatus. Among them, it is particularly preferable that the halogen content of the colored layer is 0.3 mass% or less, preferably 0.05 mass% or less, and substantially contains no halogen. Such a colored layer in which the halogen content is reduced is difficult to obtain anchoring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ecause a coloring ink which does not use halogen or sulfur-containing resin such as vinyl chloride-based resin is used as the binder resin, When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layer is high, it is difficult to obtain the reworkability. However, in the above-mention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ppropriate adhesion and reworkability can be realized even in the colored layer having a low halogen content. Here, the halogen content is a detection amount when analyzed by fluorescent X-ray. For example, examples of analyzers for fluorescent X-rays include "ZSX Primus" and "ZSX Primus II" manufactured by Rigaku Corporation.

할로겐 함유량을 저감시킨 착색 잉크로서는, 결합제 수지로서 염화아세트산비닐계 수지 등의 할로겐이나 황을 함유하는 수지를 사용하지 않은 착색 잉크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합제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아크릴 수지, 니트로셀룰로오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점착제층과의 밀착성 및 착색층을 적층하는 수지 필름과의 밀착성으로부터 폴리우레탄 수지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고, 폴리에스테르우레탄 수지를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As the coloring ink having a reduced halogen content, a coloring ink which does not use a halogen- or sulfur-containing resin such as a vinyl chloride-based resin as a binder resin can be preferably used. As such binder resin, for example, polyurethane resin, polyester resin, polyamide resin, acrylic resin, nitrocellulose and the like can be used. Among them, a polyurethane resin can be preferably used from the viewpoint of adhesion wit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adhesion with the resin film laminated with the colored layer, and a polyester urethane resin can be particularly preferably used.

결합제 수지로서 폴리에스테르우레탄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해당 폴리에스테르우레탄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가 -30℃ 내지 30℃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내지 3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 내지 25℃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0℃ 내지 25℃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우레탄 수지의 tanδ의 피크 온도가 이 범위에 있으면 착색층이 적절한 유연성과 경도를 갖기 때문에, 리워크시에 착색층의 균열 발생에 의한 조각이 특히 생기기 어렵고, 또한 고온시의 잉크의 유동에 의한 분리가 발생하기 어렵다.When a polyester urethane resin is used as the binder resi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polyester urethane resin is preferably -30 캜 to 30 캜, more preferably -20 캜 to 30 캜, More preferably 25 deg. C, and particularly preferably -10 deg. C to 25 deg. When the peak temperature of tan 隆 of the polyester urethane resin is within this range, since the colored layer has appropriate flexibility and hardness, it is difficult to cause fragmentation due to generation of cracks in the colored layer at the time of rewiring, The separation due to heat is less likely to occur.

또한, 폴리에스테르우레탄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는, 하기에서 측정되는 주파수 1Hz에서의 동적 점탄성 스펙트럼의 tanδ의 피크 온도를 유리 전이 온도로 한다.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polyester urethane resin is defined as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peak tan δ of the dynamic viscoelastic spectrum at a frequency of 1 Hz measured below.

바코터로 폴리에스테르우레탄 수지를 두께 50㎛로 제막한다. 다음으로 시료 길이 20mm로 컷트한 시험편(시료 길이 20mm, 막 두께 50㎛)을 점탄성 시험기를 이용하여 주파수 1Hz, 승온 시간 3℃/1분의 조건으로 -150℃에서 250℃까지의 저장 탄성률(G')과 손실 탄성률(G")을 측정한다. 손실 정접 tanδ는, 이하의 계산식으로부터 산출한다.The polyester urethane resin is formed into a thickness of 50 탆 by a bar coater. Next, a test piece (sample length: 20 mm, film thickness: 50 탆) cut into a sample length of 20 mm was measured at a frequency of 1 Hz and a temperature rise time of 3 캜 for 1 minute using a viscoelasticity tester, ) And the loss elastic modulus (G ") are measured. The loss tangent tan delta is calculated from the following equation.

손실 정접 tanδ=G'/G"Loss tangent tan? = G '/ G "

점탄성 시험기로서는, 예를 들면 세이코 인스트루먼트사 제조 DMS210, DMS220, DMS6100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viscoelasticity tester include DMS210, DMS220 and DMS6100 manufactured by Seiko Instruments.

착색층에 사용하는 착색 잉크에는, 통상의 잉크에 사용되는 경화제가 함유되는데, 해당 경화제로서 지방족 또는 지환족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함유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유리 전이 온도가 -30℃ 내지 30℃인 폴리에스테르우레탄과, 비교적 유연한 가교 구조를 형성하는 지방족 또는 지환족 이소시아네이트를 가교시킴으로써, 탄성률을 제어하기 쉽고 고온에서의 잉크의 유동에 기인하는 잉크 계면과 점착제 계면의 박리를 억제하기 쉬워진다. 또한 적절한 탄성률로 하기 쉽기 때문에 리워크시에 잉크층의 균열이 들어가기 어렵고, 테이프의 조각이 발생하기 어려운 효과가 얻어지기 쉬워진다.The coloring ink used for the coloring layer contains a curing agent used in ordinary ink, and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curing agent contains an aliphatic or alicyclic isocyanate curing agent. By crosslinking a polyester urethane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30 占 폚 to 30 占 폚 and an aliphatic or alicyclic isocyanate forming a relatively flexible crosslinking structure, it is easy to control the modulus of elasticity, and the ink interface due to the flow of ink at high temperature and the pressure- The peeling of the interface can be suppressed easily. Moreover, since it is easy to obtain an appropriate modulus of elasticity, cracks of the ink layer are hard to enter at the time of rewiring, and the effect that the tape is hardly fragmented is easily obtained.

지방족 또는 지환족 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헥사메틸렌이소시아네이트, 1,6,11-운데칸트리이소시아네이트, 리신디이소시아네이트, 리신에스테르트리이소시아네이트, 1,8-디이소시아네이트-4-이소시아네이트메틸옥탄, 1,3,6-헥사메틸렌트리이소시아네이트, 비시클로헵탄트리이소시아네이트가 이용된다. 또한, 이들 이소시아네이트의 삼량체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고, 그 중에서도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어덕트체나 뷰렛체 또는 누레이트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의 어덕트체 또는 뷰렛체 또는 누레이트체가 탄성률을 제어하기 쉬워 바람직하고, 뷰렛체 또는 누레이트체가 특히 바람직하다. 경화제는 단독으로 첨가할 수도 있고, 2종류 이상을 첨가할 수도 있다.Examples of the aliphatic or alicyclic isocyanate include hexamethylene diisocyanate, dicyclohexylmethane diisocyanate, isophorone diisocyanate, trimethylhexamethylene isocyanate, 1,6,11-undecane triisocyanate, lysine diisocyanate, lysine ester triisocyanate, 8-diisocyanate-4-isocyanate methyloctane, 1,3,6-hexamethylene triisocyanate, and bicycloheptane triisocyanate. In addition, trimers of these isocyanates can be preferably used, and among them, adducts of diisocyanate, burette or nourate are preferred. Among them, an adduct of hexamethylene diisocyanate or isophorone diisocyanate, a burette or a nylate is preferable because it is easy to control the modulus of elasticity, and a burette or a nylate is particularly preferable. The curing agent may be added alone, or two or more kinds of curing agents may be added.

착색 잉크를 착색하기 위한 착색제로서는, 할로겐을 포함하지 않는 공지 관용의 안료나 염료를 사용할 수 있고, 흑의 경우에는 카본 블랙, 백의 경우에는 산화티탄, 탄산칼슘, 황산바륨, 황색의 경우에는 황색 산화철, 적의 경우에는 벵갈라, 청의 경우에는 시아닌 블루, 은의 경우에는 알루미늄 가루, 진주의 경우에는 운모 티탄 가루가 내후성·내열성·잉크 수지에 대한 분산성에서 바람직하다. 착색층을 차광층으로 하는 경우에는, 흑색 잉크층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카본 블랙이 차광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착색층을 광 반사층으로 하는 경우에는, 백색 잉크층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산화티탄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As the coloring agent for coloring the colored ink, known pigments or dyes containing no halogen may be used. In the case of black, carbon black, white, titanium oxide, calcium carbonate, barium sulfate, yellow iron oxide, Cyanine blue in the case of enemy, cyanine blue in the case of blue, aluminum powder in the case of silver, and titanium oxide powder in the case of pearl are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weatherability, heat resistance and dispersibility to the ink resin. When the colored layer is a light-shielding layer, it is preferable that a black ink layer can be formed, and carbon black is preferable because of its excellent light shielding property. When the colored layer is a light reflecting layer, it is preferable that a white ink layer can be formed, and titanium oxide can be preferably used.

착색제의 첨가량으로서는, 용도 등에 따라서 적당하게 조정할 수 있고, 착색제를 포함하는 잉크 고형분 중의 10 내지 70%가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50%이다. 10% 이상이면 적절하게 차광성을 나타내고, 70% 이하이면 분산이 양호해진다.The amount of the colorant to be added can be suitably adjusted in accordance with the application and the like, and is preferably 10 to 70% of the solid content of the ink containing the colorant. More preferably, it is 40 to 50%. If it is 10% or more, the light shielding property is suitably exhibited, and if it is 70% or less, dispersion is good.

착색층의 두께는, 원하는 특성에 따라서 적당하게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착색층을 차광층으로 하는 경우에는, 차광성과 테이프 펀칭시의 가공성의 관점에서 1 내지 10㎛가 바람직하고, 3 내지 7㎛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잉크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리워크성의 관점에서 잉크층을 저탄성률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hickness of the colored layer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in accordance with desired characteristics. For example, when the colored layer is used as the light-shielding layer, 1 to 10 mu m is preferable, and 3 to 7 mu m is more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s of light shading and workability at the time of tape punching. Further, the thicker the ink, the more preferable the ink layer has a low elastic modulus from the standpoint of reworkability.

또한, 착색층은 단층으로도 할 수 있지만, 원하는 은폐성이나 광 반사성, 차광성에 따라서 2층 이상 적층할 수도 있다. 특히 착색층을 차광층으로 하는 경우에는, 차광성의 향상을 도모하고, 핀홀에 의한 광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서 2층 이상의 착색층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lored layer may be a single layer, but may be laminated in two or more layers depending on desired hiding properties, light reflectivity, and light shielding properties. Particularly, in the case of using the colored layer as the light shielding layer, it is preferable to provide two or more colored layers in order to improve the light shielding property and to prevent light leakage by the pinhole.

본 발명의 착색 테이프를 차광 테이프 또는 차광 반사 테이프로 하는 경우에는, 지지체에 10000cd/㎡의 광을 조사했을 때의 광 투과량이 1cd/㎡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1cd/㎡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In the case where the colored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light-shielding tape or a light-shielding reflective tape, the light transmittance when the support is irradiated with light of 10000 cd / m 2 is preferably 1 cd / m 2 or less, and more preferably 0.1 cd / m 2 or less.

[점착 테이프][Adhesive tape]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는 광학 필름을 고정하는 점착 테이프이고, 지지체의 적어도 한쪽 면에 광학 필름에 첩부되는 상기 점착제층이 설치된 점착 테이프이다. 해당 구성에 의해, VOC의 저감에 따른 우수한 환경 대응성을 가지면서, 변형이 생기기 쉬운 광학 필름을 적절하게 고정할 수 있고, 양호한 내반발성을 가짐과 동시에, 광학 필름의 변형을 적절하게 억제할 수 있다.The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dhesive tape for fixing an optical film, and i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provided with the above-describ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o be attached to an optical film on at least one surface of a support. With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appropriately fix the optical film which is likely to be deformed while having excellent environmental responsiveness due to the reduction of the VOC, to have good anti-repulsion property, and to suppress the deformation of the optical film appropriately .

점착 테이프의 형태는, 지지체의 일면에 점착제층이 설치된 한쪽 면 점착 테이프일 수도, 지지체의 양면에 점착제층이 설치된 양면 점착 테이프일 수도 있지만, 광학 필름과 다른 부재를 고정하는 부품간 고정에 있어서는, 양면 점착 테이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학 필름에 첩부되는 점착제층은 각종 피착체, 특히 유리 패널 등의 투명 패널에 대해서도 적절한 접착성을 갖는다는 점에서, 양면 점착 테이프로 할 때에는 양면 모두 동일한 점착제층으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각 점착제층은 단층의 점착제의 층일 수도, 복수의 점착제층을 적층한 것일 수도 있고, 복수의 점착 테이프를 적층한 형태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한쪽면 점착 테이프를 부품간 고정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점착제층을 갖지 않는 표면에 별도 양면 점착 테이프를 설치하는 수법이나, 접착제를 도포하는 수법에 의해 부품간 고정에도 적용 가능하다.The adhesive tape may be a one-sided adhesive tape provided with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n one side of a support or a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provided with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s on both sides of a support. In fixing between the components, Sided adhesive tape.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pplied to the optical film has the same adhesiveness with respect to various adherends, particularly transparent panels such as glass panels. Each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s may be a single-layer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plurality of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s laminated, or a plurality of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s laminated. Further, when the one-sided adhesive tape is used for fixing between parts, it is also applicable to fixing between parts by a method of providing a separate double-sided adhesive tape on the surface having no adhesive layer or a method of applying an adhesive.

점착제층은, 점착 테이프의 도포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방법으로, 수지 필름이나 차광층 상에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조성물을 지지체에 직접 도포하여 건조하는 방법, 또는 일단 세퍼레이터 상에 도포하여 건조 후 지지체에 접합시키는 방법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an be formed on a resin film or a light-shielding layer by a method generally used for applying an adhesive tape. Specifically, it can be formed by, for example, directly applying a composition for form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n a support followed by drying, or by once applying the composition on a separator, drying and bonding the support to the support.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의 두께는 20 내지 100㎛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내지 7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40 내지 65㎛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두께가 해당 범위인 것은, 화상 표시 장치의 부품 고정용, 특히 소형 전자 기기의 화상 표시 장치용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20 to 100 占 퐉, more preferably 30 to 75 占 퐉. Of these, particularly preferably from 40 to 65 mu m. The thickness can be suitably used for fixing parts of an image display apparatus, particularly for an image display apparatus of a small electronic apparatus.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의 광학 필름 및 유리에 대한 180도 필 접착력은 7 내지 15N/20mm가 바람직하고, 8 내지 13N/20mm가 보다 바람직하다. 접착력이 해당 범위인 것은, 화상 표시 장치의 부품 고정시에 적절하게 부품 고정이 가능해진다.The 180-degree peel adhesion force of the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optical film and glass is preferably 7 to 15 N / 20 mm, more preferably 8 to 13 N / 20 mm. When the adhesive force is in the appropriate range, the parts can be fixed properly when the parts of the image display device are fixed.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는, 테이프 전체로서도 할로겐(염소·브롬·불소·요오드)의 함유량이 0.3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05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할로겐을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할로겐을 저감시킨 점착 테이프는, 화상 표시 장치의 오작동의 억제에 적절하다.The content of the halogen (chlorine, bromine, fluorine, iodine) in the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0.3 mass% or less, more preferably 0.05 mass% or less, and particularly preferably substantially no halogen Do. The adhesive tape with reduced halogen is suitable for suppressing the malfunction of the image display device.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의 실시 형태로서는, 적어도 광학 필름에 첩부되는 점착제층으로서 상기 점착제층이 지지체 상에 설치되어 있는 구성일 수 있지만, 특히 착색층을 갖는 지지체의 착색층면에, 광학 필름에 첩부되는 점착제층을 갖는 구성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적절한 구체예로서는, 수지 필름의 일면에 착색층을 갖는 지지체의 양면에 점착제층을 갖는 형태, 수지 필름의 양면에 착색층을 갖는 지지체의 양면에 점착제층을 갖는 형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 형태에 있어서, 착색층을 흑색 잉크를 포함하는 차광층으로 하면 차광 테이프로서, 백색 잉크를 포함하는 광 반사층이라고 하면 광 반사 테이프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양자를 조합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사용하는 수지 필름을 광 반사성 백색 필름 또는 차광성 흑색 필름을 사용하여, 이들과 흑색 잉크를 포함하는 차광층이나 백색 잉크를 포함하는 광 반사층과 조합하여 차광 반사 테이프로 할 수도 있다.As an embodiment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ay be provided on the support at least a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o be pasted on the optical film. In particular, A structure hav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an be preferably used. As a preferable specific example, a form hav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n both sides of a support having a colored layer on one side of a resin film, a form hav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n both sides of a support having a colored layer on both sides of the resin film, and the like. In these forms, when the colored layer is a light-shielding layer containing black ink, a light-reflecting tape including a white ink as a light-shielding tape can be used as a light-reflecting tape. Further, a resin film which is used in combination of two or a combination thereof is combined with a light-reflecting layer including a light-shielding layer containing a black ink or a white ink by using a light-reflecting white film or a light-blocking black film, You can also use tape.

[용도][Usage]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는 광학 필름의 고정, 광학 필름과 다른 부재와의 고정에 사용되고, 상기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점착제층을 광학 필름에 첩부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는, 피착체에 대한 적절한 접착력을 갖고, 광학 필름을 다른 부재와 고정한 후에, 광학 필름에 변형이 생긴 경우에도 광학 필름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는 점에서, 광학 필름과 다른 부재의 고정이 요구되는 화상 표시 장치에 적절하다. 또한, 양호한 접착성을 갖고, 특히 내반발성이 우수하다. 이 때문에, 광학 필름의 변형이 생기기 쉽고, 케이스의 비틀림 등의 변형에 의해 점착 테이프의 박리가 생기기 쉬운 화상 표시 장치의 광학 필름의 고정용, 특히 좁은 공간에서 부품 고정이 이루어져 있는 박형의 화상 표시 장치의 광학 필름 고정에 이용되는 부품 고정 테이프로서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적절한 차광 반사 성능이 요구되고, 또한 불량시나 수리시에 리워크성이 요구되는 박형의 화상 표시 장치의 광학 필름과 투명 패널을 고정하는 차광 테이프, 광 반사 테이프, 차광 반사 테이프로서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The double-fac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or fixation of an optical film and fixation of an optical film and another member, and is used by affix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med from the water-dispersible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to an optical film.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having an appropriate adhesion to an adherend and capable of restraining the deformation of the optical film even after the optical film is deformed after the optical film is fixed to the other member. Is suitable for an image display apparatus which requires fixing of In addition, it has good adhesiveness and is particularly excellent in anti-repulsion property. Therefore, a thin image display device in which the optical film is easily deformed, the fixing of the optical film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tends to cause peeling of the adhesive tape due to deformation such as twist of the case, It can be suitably used as a component fixing tape used for fixing an optical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suitable to use as a light-shielding tape, a light-reflecting tape, and a light-shielding reflective tape for fixing an optical film and a transparent panel of a thin image display device requiring appropriate shading reflection performance and requiring reworkability at the time of failure or repair .

광학 필름으로서는 프리즘 시트, 확산 필름, 차광 필름, 반사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변형이 발생하기 쉬운 광학 필름으로서는, 편광 반사 기능을 갖는 필름에 프리즘층을 설치한 프리즘 시트를 들 수 있다. 이러한 광학 필름으로서는, 예를 들면 3M사 제조 BEF-RP2RC, BEF-RP3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optical film include a prism sheet, a diffusion film, a light shielding film, and a reflection film. Among them, a prism sheet in which a prism layer is provided on a film having a polarizing reflection function is particularly exemplified as an optical film susceptible to deformation. Examples of such an optical film include BEF-RP2RC and BEF-RP3 manufactured by 3M Company.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는, 적절하게 광학 필름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고, 그 중에서도 광학 필름의 크기가 2.5 내지 7인치(대각) 정도인 크기의 광학 필름에 대하여 특히 적절한 변형 억제 효과를 발휘한다.The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ropriately suppress the deformation of the optical film, and particularly exhibits an appropriate deformation suppressing effect for an optical film having a size of about 2.5 to 7 inches (diagonal) .

광학 필름은, 그의 외형 변화율이 클수록 변형이 발생하기 쉽고, 유동 방향과 폭 방향으로 거동이 변하는 경우에 변형이 심해진다. 유동 방향 또는 폭 방향으로 ±0.05%보다 큰 변화율, 그 중에서도 유동 방향으로 +0.06%보다 큰 변화율, 폭 방향으로 -0.06%보다 큰 변화율의 경우에 특히 변형이 발생하기 쉽다.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로는 상기 광학 필름이라도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광학 필름의 외형 변화율은 85℃에서 5분간 정치 전후의 하기 식으로 표시된다.As the change rate of the external shape of the optical film becomes larger, deformation tends to occur, and deformation increases when the behavior changes in the flow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Especially in the case of a rate of change greater than + 0.05% in the direction of flow or width, especially a rate of change greater than + 0.06% in the direction of flow and greater than -0.06% in the direction of width. With the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formation of the optical film can be suppressed. The appearance change rate of the optical film i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before and after standing at 85 캜 for 5 minutes.

외형 변화율=[(정치 후 길이-정치 전 길이)/(정치 전 길이)]×100(%)The ratio of appearance change = [(post-post-post-post-post-postal length) / (postal postal length)] x 100 (%

광학 필름이 프리즘층을 갖고 프리즘층의 능선이 점착 테이프의 유동 방향과 비스듬히 교차하고 있는 경우에 광학 필름의 변형은 발생하기 쉽지만,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는 상기 구성에서도 변형을 적절하게 억제할 수 있다.When the optical film has the prism layer and the ridgeline of the prism layer crosses obliquely with the flow direction of the adhesive tape, the optical film is easily deformed. However, the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ropriately suppress deformation even in the above- .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에 의해 광학 필름과 고정되는 다른 부재로서는, 화상 표시 장치에서 광학 필름과 고정되는 각종 부재일 수 있고, 예를 들면 화상 표시 장치의 표층에 설치되는 액정(LCD) 패널, 전계발광 패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전자 페이퍼 표시 패널 등의 표시 패널을 들 수 있다. 이들 표시 패널은 유리나 플라스틱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편광 필름 등의 기능성 필름을 붙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 양면 모두 상기한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한 점착제층으로 한 경우에는, 특히 유리 패널이나 편광 필름과의 접착성이 우수하다.The other member to be fixed to the optical film by the double-fac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 members that are fixed to the optical film i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For example, a liquid crystal (LCD) panel, A light emitting panel, a plasma display panel, and an electronic paper display panel. These display panels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a functional film such as a polarizing film. In the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both side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re made of the above-described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dhesion to a glass panel or a polarizing film is particularly excellent.

광학 필름과 다른 부재의 고정의 양태로서는, 화상 표시 장치의 화상 표시 영역을 확보할 수 있는 양태이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펀칭 등에 의해 프레임상으로 한 양면 점착 테이프에 의해 사각형의 광학 필름과 다른 부재를 고정하는 양태, 사각형의 광학 필름의 2변 이상의 단부 주변 영역을 직사각형의 양면 점착 테이프에 의해 고정하는 양태, 사각형의 광학 필름의 단부 주변 영역에 임의의 간극으로 소편상의 양면 점착 테이프로 고정하는 양태 등을 예시할 수 있다.The mode of fixing the optical film and the other memb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far as the image display region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can be secured. Preferably, the optical film and the other member are fixed by a double- In which a region around the end of two or more sides of the rectangular optical film is fixed by a double-sided adhesive tape having a rectangular shape, or a double-sided adhesive tape of small pieces on an arbitrary gap in the region around the end of the rectangular optical film And the like can be exemplified.

화상 표시 장치의 일례로서는 백 라이트 방식의 LCD 등이 있고, 이의 일반적인 구성으로서는 반사판, 도광판, 확산 시트 등이 적층되어, 표층에 프리즘 시트 등의 광학 필름이 설치되고, 도광판의 측방에 램프 리플렉터를 설치한 LED(발광 다이오드), 냉음극관 등의 광원이 배치된 백 라이트 모듈과, 표시 패널(LCD 패널)이 순서대로 적층된 구성이다.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는, 표시 패널과 백 라이트 모듈 표층의 광학 필름 사이에 프레임상으로 펀칭되어 끼워진 양태를 바람직한 양태로서 예시할 수 있다. 양면 점착 테이프가 첩부되는 형태는, 양면 점착 테이프의 광학 필름측 점착제층이 백 라이트 모듈 표층의 광학 필름에만 접하고 있는 형태일 수도, 백 라이트 모듈 표층의 광학 필름과 해당 백 라이트 모듈이 담긴 광체에 걸쳐 접하고 있는 형태일 수도 있다.As an example of an image display apparatus, there is a backlight type LCD. As a general structure thereof, a reflection plate, a light guide plate, a diffusion sheet, and the like are laminated, an optical film such as a prism sheet is provided on the surface layer, and a lamp reflector A backlight module in which light sources such as a LED (light emitting diode) and a cold cathode tube are arranged, and a display panel (LCD panel) are stacked in this order. The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xemplified as a preferred embodiment in which the display panel and the optical film on the surface layer of the backlight module are sandwiched and punched into a frame. The form in which the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is applied may be a form in whic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n the optical film side of the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is in contact with only the optical film of the backlight module surface layer, It may be in the form of touching.

본 발명의 유리 패널 광학 필름 고정용 양면 점착 테이프는 주변 기기의 오작동을 억제할 수 있고, 신뢰성이 높은 제품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각종 전자 기기, 특히 전자 수첩, 휴대 전화, 스마트폰(고기능 휴대 전화), PHS, 게임 기기, 전자 서적, 다기능 데이터 단말기, 모바일 퍼스널 컴퓨터 등의 소형화된 휴대 전자 기기의 표시 장치의 유리 패널 고정용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The double-sided adhesive tape for fixing a glass panel optical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electronic apparatuses, in particular, electronic notebooks, mobile phones, smart phones ), A PHS, a game machine, an electronic book, a multifunctional data terminal, a mobile personal computer, and the like.

실시예Example

[폴리에스테르우레탄의 제조예][Production Example of Polyester Urethane]

(폴리에스테르우레탄 수지 (A))(Polyester urethane resin (A))

교반기, 온도계, 환류 냉각기 및 질소 가스 도입관을 구비한 4구 플라스크에 아디프산/테레프탈산=50/50이 되는 산 성분과 3-메틸-1,5펜탄디올로부터 얻어지는 수 평균 분자량(이하 Mn이라 함) 2,000의 폴리에스테르디올 256.3부와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36.5부를 투입하고, 질소 기류하에 90℃에서 15시간 반응시켰다. 이어서 이소포론디아민 5.0부, 디-n-부틸아민 2.2부, 톨루엔 175부, 메틸에틸케톤 350부, 이소프로필렌알코올 175부를 첨가하고, 교반하에 40℃에서 3시간 반응시켜, 수지 고형분 농도 30.0%, 가드너 점도 U-V(25℃), 아민가=0, 질량 평균 분자량(이하 Mw라 함) 67,000의 폴리에스테르우레탄 수지 (A)를 얻었다. 얻어진 수지의 tanδ의 피크 온도는 -8℃였다.A four-necked flask equipped with a stirrer, a thermometer, a reflux condenser, and a nitrogen gas introducing tube was charged with an acid component having adipic acid / terephthalic acid = 50/50 and a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 And 36.5 parts of isophorone diisocyanate were charged, and the mixture was reacted at 90 DEG C for 15 hours in a stream of nitrogen. Subsequently, 5.0 parts of isophorone diamine, 2.2 parts of di-n-butylamine, 175 parts of toluene, 350 parts of methyl ethyl ketone and 175 parts of isopropylene alcohol were added and reacted at 40 DEG C for 3 hours under stirring to obtain a resin solid concentration of 30.0% (A) having a Gardner viscosity of UV (25 占 폚), an amine value of 0, and a mass average molecular weight (hereinafter referred to as Mw) of 67,000. The peak temperature of tan? Of the obtained resin was -8 占 폚.

[흑색 잉크의 제조예][Production example of black ink]

(흑색 잉크의 제조예 1)(Production Example 1 of Black Ink)

데구사사 제조 「카본 데구사 스페셜 4A」를 4부, 데구사사 제조 「카본 스페셜 250P] 6부, 폴리에스테르우레탄 수지(A)(tanδ 피크온도=-8℃)를 40부, 메틸에틸케톤을 23부, 톨루엔을 13부, 아세트산에틸을 6부, N-프로필아세테이트를 3부, 이소프로필알코올 3부를 첨가하고, 샌드밀로 약 1시간 습식 분산한 것에, DIC사 제조 경화제 「KR90」(헥사메틸렌디디이소시아네이트의 뷰렛체)를 4부, DIC사 제조 희석제 「다이레 쥬서 V No.20」을 35부 첨가하여 흑색 잉크 (A)를 제조하였다. 또한, 수지는 고형분비를 나타낸다.40 parts of a polyester urethane resin (A) (tan δ peak temperature = -8 ° C), 4 parts of "Carbon Degussa Special 4A" manufactured by Degussa Corporation, 6 parts of "Carbon Special 250P" 23 parts of toluene, 6 parts of ethyl acetate, 3 parts of N-propyl acetate and 3 parts of isopropyl alcohol were added and wet dispersed in a sand mill for about 1 hour to prepare a curing agent " KR90 " 4 parts of burette of methylene diisocyanate) and 35 parts of a diluent " Dyereser V No. 20 " manufactured by DIC were added to prepare a black ink (A). Further, the resin shows a solid content ratio.

[지지체의 제작][Production of Support]

(잉크 코팅 필름 (A))(Ink coating film (A))

데이진 듀폰 필름(주) 제조 테플렉스 FW2#13(두께: 13㎛, 인장 강도 23N/20mm)에 표면 상태가 50 다인 이상이 되도록 코로나 처리를 행하고, 그 위에 흑색 잉크 (A)를 건조 두께가 4㎛가 되도록 2회 그라비아 코팅하였다. 또한, 건조는 상온에서 2분간 방치하였다. 그 후 40℃에서 2일간 양생하여, 잉크 코팅 필름 (A)를 얻었다.Corona treatment was carried out on a Tefax FW2 # 13 (thickness: 13 탆, tensile strength 23 N / 20 mm) manufactured by DAIJIN DUPONT FILM CO., LTD. Such that the surface state was 50 dynes or more, 2 < / RTI > The drying was carried out at room temperature for 2 minutes. Thereafter, it was cured at 40 DEG C for 2 days to obtain an ink coating film (A).

[아크릴계 공중합체 에멀젼의 제조 방법][Production method of acrylic copolymer emulsion]

(제조예 1)(Production Example 1)

<유화액 (1)의 제조>&Lt; Preparation of emulsion (1) >

용기에 이온 교환수 75.0g와 계면활성제 아쿠알론 KH-1025[다이이찌 고교 세이야꾸(주) 제조; 유효 성분 25%] 20.0g과 계면활성제 라테물 PD-104[카오(주) 제조; 유효 성분 20%] 37.5g을 넣고, 균일하게 용해시켰다. 거기에, n-부틸아크릴레이트 227.5g,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227.5g, 메틸메타크릴레이트 25.0g, N-비닐피롤리돈 7.5g, 아크릴산 1.5g, 메타크릴산 11.0g, 라우릴머캅탄 0.2g을 가하여 유화하고, 유화액 (1) 632.7g을 얻었다.75.0 g of ion-exchanged water and 100 g of a surfactant Aquaron KH-1025 (manufactured by Dai-ichi Kogyo Seiyaku Co., Ltd.; Active ingredient 25%] and 20.0 g of surfactant Latte PD-104 [manufactured by Kao Corporation; 37.5 g of active ingredient 20%] were added and dissolved homogeneously. Thereto were added 227.5 g of n-butyl acrylate, 227.5 g of 2-ethylhexyl acrylate, 25.0 g of methyl methacrylate, 7.5 g of N-vinylpyrrolidone, 1.5 g of acrylic acid, 11.0 g of methacrylic acid, Was added and emulsified to obtain 632.7 g of the emulsion (1).

<아크릴계 공중합체 (1)의 에멀젼의 제조>&Lt; Preparation of Emulsion of Acrylic Copolymer (1)

교반기, 환류 냉각관, 질소 도입관, 온도계, 적하 깔때기를 구비한 반응 용기에 이온 교환수 340g을 넣고, 질소를 취입하면서 60℃까지 승온시켰다. 교반하, 유화액 (1)의 일부[3.2g], 과황산암모늄 수용액 5.0g[유효 성분 3%], 아황산수소나트륨 수용액 5.0g[유효 성분 3%]을 첨가하고, 60℃를 유지하면서 1시간에 중합시켰다. 계속해서, 나머지 유화액 (1) 629.5g과, 과황산암모늄 수용액 40g[유효 성분 1.25%]을 각각의 깔때기를 사용하여, 반응 용기를 60℃로 유지하면서 8시간에 걸쳐 적하 중합하였다. 적하 종료 후, 반응 용기를 60℃로 유지하면서 2시간 교반한 후 내용물을 냉각하고, 계속해서 pH가 7.5가 되도록 암모니아수(유효 성분 10%)로 제조하였다. 이것을 200 메쉬 철망으로 여과하고, 아크릴계 공중합체 (1)의 에멀젼 1013.5g을 얻었다. 여기서, 얻어진 아크릴계 공중합체 (1)의 에멀젼은 고형분 농도 50%, 평균 입경은 341nm였다.340 g of ion-exchanged water was charged into a reaction vessel equipped with a stirrer, a reflux condenser, a nitrogen inlet tube, a thermometer and a dropping funnel, and the temperature was raised to 60 DEG C while blowing nitrogen therein. 5.0 g of an aqueous solution of ammonium persulfate (active ingredient: 3%) and 5.0 g of an aqueous sodium hydrogen sulfite solution (active ingredient: 3%) were added to the emulsion (1) . Subsequently, 629.5 g of the remaining emulsion (1) and 40 g of ammonium persulfate aqueous solution (active ingredient: 1.25%) were dropwise added and polymerized in the respective funnels over 8 hours while maintaining the reaction vessel at 60 캜. After completion of the dropwise addition, the reaction vessel was stirred for 2 hours while maintaining the temperature at 60 캜, and the contents were cooled. Subsequently, ammonia water (active ingredient 10%) was prepared so as to have a pH of 7.5. This was filtered through a 200-mesh wire netting to obtain 1013.5 g of an emulsion of the acrylic copolymer (1). The emulsion of the obtained acrylic copolymer (1) had a solid concentration of 50% and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341 nm.

(제조예 2)(Production Example 2)

<유화액 (2)의 제조>&Lt; Preparation of Emulsion (2) >

용기에 이온 교환수 75.0g와 계면활성제 아쿠알론 KH-1025[다이이찌 고교 세이야꾸(주) 제조; 유효 성분 25%] 20.0g과 계면활성제 라테물 PD-104[카오(주) 제조; 유효 성분 20%] 37.5g을 넣고, 균일하게 용해시켰다. 거기에, n-부틸아크릴레이트 227.5g,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227.5g, 메틸메타크릴레이트 25.0g, N-비닐피롤리돈 7.5g, 아크릴산 12.5g, 라우릴머캅탄 0.20g을 가하여 유화하여, 유화액 (2) 632.7g을 얻었다.75.0 g of ion-exchanged water and 100 g of a surfactant Aquaron KH-1025 (manufactured by Dai-ichi Kogyo Seiyaku Co., Ltd.; Active ingredient 25%] and 20.0 g of surfactant Latte PD-104 [manufactured by Kao Corporation; 37.5 g of active ingredient 20%] were added and dissolved homogeneously. Thereafter, 227.5 g of n-butyl acrylate, 227.5 g of 2-ethylhexyl acrylate, 25.0 g of methyl methacrylate, 7.5 g of N-vinylpyrrolidone, 12.5 g of acrylic acid and 0.20 g of lauryl mercaptan were emulsified , And 632.7 g of the emulsion (2).

<아크릴계 공중합체 (2)의 에멀젼의 제조>&Lt; Preparation of Emulsion of Acrylic Copolymer (2)

교반기, 환류 냉각관, 질소 도입관, 온도계, 적하 깔때기를 구비한 반응 용기에 이온 교환수 340g을 넣고, 질소를 취입하면서 60℃까지 승온시켰다. 교반하, 유화액 (2)의 일부[3.2g], 과황산암모늄 수용액 5.0g[유효 성분 3%], 아황산수소나트륨 수용액 5.0g[유효 성분 3%]을 첨가하고, 60℃를 유지하면서 1시간에 중합시켰다. 계속해서, 나머지 유화액 (2) 629.5g과, 과황산암모늄 수용액 40g[유효 성분 1.25%]을 각각의 깔때기를 사용하여, 반응 용기를 60℃로 유지하면서 8시간에 걸쳐 적하 중합하였다. 적하 종료 후, 반응 용기를 60℃로 유지하면서 2시간 교반한 후, 내용물을 냉각하고, 계속해서 pH가 7.5가 되도록 암모니아수(유효 성분 10%)로 제조하였다. 이것을 200 메쉬 철망으로 여과하고, 아크릴계 공중합체 (2)의 에멀젼 1013.5g을 얻었다. 여기서, 얻어진 아크릴계 공중합체 (2)의 에멀젼은 고형분 농도 50%, 평균 입경은 338nm였다.340 g of ion-exchanged water was charged into a reaction vessel equipped with a stirrer, a reflux condenser, a nitrogen inlet tube, a thermometer and a dropping funnel, and the temperature was raised to 60 DEG C while blowing nitrogen therein. 5.0 g of the aqueous solution of ammonium persulfate (active ingredient: 3%) and 5.0 g of sodium hydrogen sulfite aqueous solution (active ingredient: 3%) were added to the emulsion (2) . Subsequently, 629.5 g of the remaining emulsion (2) and 40 g of ammonium persulfate aqueous solution (active ingredient: 1.25%) were dropwise added and polymerized for 8 hours while maintaining the reaction vessel at 60 ° C using respective funnels. After completion of the dropwise addition, the reaction vessel was stirred for 2 hours while maintaining the temperature at 60 캜, the contents were cooled, and then ammonia water (active ingredient 10%) was prepared so as to have a pH of 7.5. This was filtered through a 200-mesh wire netting to obtain 1013.5 g of an emulsion of the acrylic copolymer (2). The emulsion of the obtained acrylic copolymer (2) had a solid concentration of 50% and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338 nm.

(제조예 3)(Production Example 3)

<유화액 (3)의 제조>&Lt; Preparation of emulsion (3) >

용기에 이온 교환수 75.0g과 계면활성제 아쿠알론 KH-1025[다이이찌 고교 세이야꾸(주) 제조; 유효 성분 25%] 20.0g과 계면활성제 라테물 PD-104[카오(주) 제조; 유효 성분 20%] 37.5g을 넣고, 균일하게 용해시켰다. 거기에, n-부틸아크릴레이트 50.0g,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405.0g, 메틸메타크릴레이트 25.0g, N-비닐피롤리돈 7.5g, 아크릴산 12.5g, 라우릴머캅탄 0.20g을 가하여 유화하여, 유화액 (3) 632.7g을 얻었다.The vessel was charged with 75.0 g of ion-exchanged water and 100 g of a surfactant AQUALON KH-1025 (manufactured by Dai-ichi Kogyo Seiyaku Co., Ltd.) Active ingredient 25%] and 20.0 g of surfactant Latte PD-104 [manufactured by Kao Corporation; 37.5 g of active ingredient 20%] were added and dissolved homogeneously. Thereafter, 50.0 g of n-butyl acrylate, 405.0 g of 2-ethylhexyl acrylate, 25.0 g of methyl methacrylate, 7.5 g of N-vinylpyrrolidone, 12.5 g of acrylic acid and 0.20 g of lauryl mercaptan were emulsified , And 632.7 g of the emulsion (3).

<아크릴계 공중합체 (3)의 에멀젼의 제조>&Lt; Preparation of Emulsion of Acrylic Copolymer (3)

교반기, 환류 냉각관, 질소 도입관, 온도계, 적하 깔때기를 구비한 반응 용기에, 이온 교환수 340g을 넣고, 질소를 취입하면서 60℃까지 승온시켰다. 교반하, 유화액 (3)의 일부[3.2g], 과황산암모늄 수용액 5.0g[유효 성분 3%], 아황산수소나트륨 수용액 5.0g[유효 성분 3%]을 첨가하고, 60℃를 유지하면서 1시간에 중합시켰다. 계속해서, 나머지 유화액 (1) 629.5g과 과황산암모늄 수용액 40g[유효 성분 1.25%]을 각각의 깔때기를 사용하여, 반응 용기를 60℃로 유지하면서 8시간에 걸쳐 적하 중합하였다. 적하 종료 후, 반응 용기를 60℃로 유지하면서 2시간 교반한 후, 내용물을 냉각하고, 계속해서 pH가 7.5가 되도록 암모니아수(유효 성분 10%)로 제조하였다. 이것을 200 메쉬 철망으로 여과하고, 아크릴계 공중합체 (3)의 에멀젼 1013.5g을 얻었다. 여기서, 얻어진 아크릴계 공중합체 (3)의 에멀젼은 고형분 농도 50%, 평균 입경은 330nm였다.In a reaction vessel equipped with a stirrer, a reflux condenser, a nitrogen inlet, a thermometer and a dropping funnel, 340 g of ion-exchanged water was added and the temperature was raised to 60 캜 while nitrogen was blown. 5.0 g of an aqueous solution of ammonium persulfate (active ingredient: 3%) and 5.0 g of sodium hydrogen sulfite aqueous solution (active ingredient: 3%) were added to the emulsion (3) . Subsequently, 629.5 g of the remaining emulsion (1) and 40 g of an aqueous ammonium persulfate solution (active ingredient: 1.25%) were dropwise added and polymerized for 8 hours while maintaining the reaction vessel at 60 ° C using respective funnels. After completion of the dropwise addition, the reaction vessel was stirred for 2 hours while maintaining the temperature at 60 캜, the contents were cooled, and then ammonia water (active ingredient 10%) was prepared so as to have a pH of 7.5. This was filtered through a 200 mesh wire netting to obtain 1013.5 g of an emulsion of the acrylic copolymer (3). The emulsion of the obtained acrylic copolymer (3) had a solid concentration of 50% and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330 nm.

(조정예 4)(Adjustment example 4)

<유화액 (4)의 제조>&Lt; Preparation of emulsion (4) >

용기에 이온 교환수 75.0g와 계면활성제 아쿠알론 KH-1025[다이이찌 고교 세이야꾸(주) 제조; 유효 성분 25%] 20.0g과 계면활성제 라테물 PD-104[카오(주) 제조; 유효 성분 20%] 37.5g을 넣고, 균일하게 용해시켰다. 거기에, n-부틸아크릴레이트 231.25g,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231.25g, 메틸메타크릴레이트 25.0g, 아크릴산 1.5g, 메타크릴산 11.0g, 라우릴머캅탄 0.2g을 가하여 유화하여, 유화액 (4) 632.7g을 얻었다.75.0 g of ion-exchanged water and 100 g of a surfactant Aquaron KH-1025 (manufactured by Dai-ichi Kogyo Seiyaku Co., Ltd.; Active ingredient 25%] and 20.0 g of surfactant Latte PD-104 [manufactured by Kao Corporation; 37.5 g of active ingredient 20%] were added and dissolved homogeneously. Thereafter, 231.25 g of n-butyl acrylate, 231.25 g of 2-ethylhexyl acrylate, 25.0 g of methyl methacrylate, 1.5 g of acrylic acid, 11.0 g of methacrylic acid and 0.2 g of lauryl mercaptan were added and emulsified to obtain an emulsion 4).

<아크릴계 공중합체 (4)의 에멀젼의 제조>&Lt; Preparation of Emulsion of Acrylic Copolymer (4)

교반기, 환류 냉각관, 질소 도입관, 온도계, 적하 깔때기를 구비한 반응 용기에 이온 교환수 340g을 넣고, 질소를 취입하면서 60℃까지 승온시켰다. 교반하, 유화액 (4)의 일부[3.2g], 과황산암모늄 수용액 5.0g[유효 성분 3%], 아황산수소나트륨 수용액 5.0g[유효 성분 3%]을 첨가하고, 60℃를 유지하면서 1시간에 중합시켰다. 계속해서, 나머지 유화액 (2) 629.5g과 과황산암모늄 수용액 40g[유효 성분 1.25%]을 각각의 깔때기를 사용하여, 반응 용기를 60℃로 유지하면서 8시간에 걸쳐 적하 중합하였다. 적하 종료 후, 반응 용기를 60℃로 유지하면서 2시간 교반한 후, 내용물을 냉각하고, 계속해서 pH가 7.5가 되도록 암모니아수(유효 성분 10%)로 제조하였다. 이것을 200 메쉬 철망으로 여과하고, 아크릴계 공중합체 (4)의 에멀젼 1013.5g을 얻었다. 여기서, 얻어진 아크릴계 공중합체 (4)의 에멀젼은 고형분 농도 50%, 평균 입경은 345nm였다.340 g of ion-exchanged water was charged into a reaction vessel equipped with a stirrer, a reflux condenser, a nitrogen inlet tube, a thermometer and a dropping funnel, and the temperature was raised to 60 DEG C while blowing nitrogen therein. 5.0 g of an aqueous solution of ammonium persulfate (active ingredient: 3%) and 5.0 g of sodium hydrogen sulfite aqueous solution (active ingredient: 3%) were added to the emulsion (4) while stirring at room temperature for 1 hour . Subsequently, 629.5 g of the remaining emulsion (2) and 40 g of ammonium persulfate aqueous solution (active ingredient: 1.25%) were dropwise added and polymerized for 8 hours while maintaining the reaction vessel at 60 ° C using respective funnels. After completion of the dropwise addition, the reaction vessel was stirred for 2 hours while maintaining the temperature at 60 캜, the contents were cooled, and then ammonia water (active ingredient 10%) was prepared so as to have a pH of 7.5. This was filtered through a 200 mesh wire netting to obtain 1013.5 g of an emulsion of the acrylic copolymer (4). The emulsion of the obtained acrylic copolymer (4) had a solid concentration of 50% and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345 nm.

(조정예 5)(Adjustment example 5)

<유화액 (5)의 제조>&Lt; Preparation of emulsion (5) >

용기에 이온 교환수 75.0g와 계면활성제 아쿠알론 KH-1025[다이이찌 고교 세이야꾸(주) 제조; 유효 성분 25%] 20.0g과 계면활성제 라테물 PD-104[카오(주) 제조; 유효 성분 20%] 37.5g을 넣고, 균일하게 용해시켰다. 거기에, n-부틸아크릴레이트 240g,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240g, N-비닐피롤리돈 7.5g, 아크릴산 1.5g, 메타크릴산 11.0g, 라우릴머캅탄 0.2g을 가하여 유화하여, 유화액 (5) 632.7g을 얻었다.75.0 g of ion-exchanged water and 100 g of a surfactant Aquaron KH-1025 (manufactured by Dai-ichi Kogyo Seiyaku Co., Ltd.; Active ingredient 25%] and 20.0 g of surfactant Latte PD-104 [manufactured by Kao Corporation; 37.5 g of active ingredient 20%] were added and dissolved homogeneously. Thereto were added 240 g of n-butyl acrylate, 240 g of 2-ethylhexyl acrylate, 7.5 g of N-vinylpyrrolidone, 1.5 g of acrylic acid, 11.0 g of methacrylic acid and 0.2 g of lauryl mercaptan to emulsify the emulsion 5).

<아크릴계 공중합체 (4)의 에멀젼의 제조>&Lt; Preparation of Emulsion of Acrylic Copolymer (4)

교반기, 환류 냉각관, 질소 도입관, 온도계, 적하 깔때기를 구비한 반응 용기에 이온 교환수 340g을 넣고, 질소를 취입하면서 60℃까지 승온시켰다. 교반하, 유화액 (5)의 일부[3.2g], 과황산암모늄 수용액 5.0g[유효 성분 3%], 아황산수소나트륨 수용액 5.0g[유효 성분 3%]을 첨가하고, 60℃를 유지하면서 1시간에 중합시켰다. 계속해서, 나머지 유화액 (2) 629.5g과, 과황산암모늄 수용액 40g[유효 성분 1.25%]을 각각의 깔때기를 사용하여, 반응 용기를 60℃로 유지하면서 8시간에 걸쳐 적하 중합하였다. 적하 종료 후, 반응 용기를 60℃로 유지하면서 2시간 교반한 후 내용물을 냉각하고, 계속해서 pH가 7.5가 되도록 암모니아수(유효 성분 10%)로 제조하였다. 이것을 200 메쉬 철망으로 여과하고, 아크릴계 공중합체 (5)의 에멀젼 1013.5g을 얻었다. 여기서, 얻어진 아크릴계 공중합체 (5)의 에멀젼은 고형분 농도 50%, 평균 입경은 340nm였다.340 g of ion-exchanged water was charged into a reaction vessel equipped with a stirrer, a reflux condenser, a nitrogen inlet tube, a thermometer and a dropping funnel, and the temperature was raised to 60 DEG C while blowing nitrogen therein. 5.0 g of an aqueous solution of ammonium persulfate (active ingredient: 3%) and 5.0 g of an aqueous sodium hydrogen sulfite solution (active ingredient: 3%) were added to the emulsion (5) . Subsequently, 629.5 g of the remaining emulsion (2) and 40 g of ammonium persulfate aqueous solution (active ingredient: 1.25%) were dropwise added and polymerized for 8 hours while maintaining the reaction vessel at 60 ° C using respective funnels. After completion of the dropwise addition, the reaction vessel was stirred for 2 hours while maintaining the temperature at 60 캜, and the contents were cooled. Subsequently, ammonia water (active ingredient 10%) was prepared so as to have a pH of 7.5. This was filtered through a 200 mesh wire netting to obtain 1013.5 g of an emulsion of the acrylic copolymer (5). The emulsion of the obtained acrylic copolymer (5) had a solid concentration of 50% and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340 nm.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Preparation of aqueous dispersion type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제조예 1)(Production Example 1)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 (1)의 에멀젼 1000g[무수; 500g]에 레벨링제로서 서피놀 PSA-336[에어·프로덕트·재팬(주) 제조; 유효 성분 100%] 2.5g, 소포제로서 서피놀 DF-110D[에어·프로덕트·재팬(주) 제조; 유효 성분 100%] 2.5 g, 점착 부여 수지로서 수퍼 에스테르 NS-100H[아라카와 가가꾸 고교(주) 제조; 유리 전이 온도 50℃] 고형분으로 125 g, 가교제로서 에폭시 화합물 테트랏드 C[미쓰비시 가스 가가꾸(주) 제조] 0.15g(0.03질량부)을 첨가하고, 200메쉬 철망으로 여과하여,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1)을 얻었다.1000 g of the emulsion of the acrylic copolymer (1) [anhydrous; 500 g] as a leveling agent, Surfynol PSA-336 (manufactured by Air Products Japan Co., Ltd.; 2.5 g of the active ingredient], 10 g of Surfanol DF-110D (manufactured by Air Products Japan KK; 2.5 g of active ingredient 100%], Superester NS-100H (manufactured by Arakawa Chemical Industries, Ltd., trade name; 125 g as a solid content and 0.15 g (0.03 mass part) of an epoxy compound Tetral C (manufactured by Mitsubishi Gas Chemical Co., Ltd.) as a crosslinking agent were added, and the mixture was filtered through a 200 mesh wire netting to obtain an acrylic type pressure- To obtain a composition (1).

(제조예 2)(Production Example 2)

제조예 1에 있어서의 가교제의 배합량 0.15g(0.03질량부)을 0.2g(0.04질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2)를 제조하였다.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2)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oduction Example 1 except that 0.1 g (0.03 mass part) of the crosslinking agent in Production Example 1 was used in an amount of 0.2 g (0.04 mass part).

(제조예 3)(Production Example 3)

제조예 1에 있어서의 가교제의 배합량 0.15g(0.03질량부)을 0.25g(0.05질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3)을 제조하였다.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3)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eparation Example 1 except that the amount of the crosslinking agent in Production Example 1 was changed to 0.15 g (0.03 mass part) in an amount of 0.25 g (0.05 mass part).

(제조예 4)(Production Example 4)

제조예 1에 있어서 사용한 점착 부여 수지 수퍼 에스테르 NS-100H 고형분 125g 대신에 수퍼 에스테르 E-865NT[아라카와 가가꾸 고교(주) 제조; 유리 전이 온도 100℃]를 고형분으로 62.5g, 수퍼 에스테르 E-200NT[아라카와 가가꾸 고교(주) 제조; 유리 전이 온도 90℃]를 고형분으로 62.5g 사용하고, 가교제의 배합량 0.15g(0.03질량부)을 0.35g(0.07질량부)으로 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4)을 제조하였다.Superester E-865NT (manufactured by Arakawa Chemical Industries, Ltd.) was used in place of 125 g of the solid content of the tackifier resin Superester NS-100H used in Production Example 1;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100 占 폚] as solid content, 62.5 g of Super Ester E-200NT (manufactured by Arakawa Chemical Industries, Ltd.; Except that 62.5 g of a solid content of 62.5 g and a content of a cross-linking agent of 0.15 g (0.03 mass part) were used in an amount of 0.35 g (0.07 mass part) in the same manner as in Production Example 1. The acrylic pressure- 4).

(제조예 5)(Production Example 5)

제조예 3에 있어서 사용한 아크릴계 공중합체 (1)의 에멀젼 1000g[무수; 500g] 대신에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 (2)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3과 동일하게 하여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5)를 제조하였다.1000 g of the emulsion of the acrylic copolymer (1) used in Production Example 3 [anhydrous;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5)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oduction Example 3, except that the acrylic copolymer (2) was used instead of the acrylic copolymer (2).

(제조예 6)(Production Example 6)

제조예 5에 있어서의 가교제의 배합량 0.25g(0.05질량부)을 0.4g(0.08질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5와 동일하게 하여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6)을 제조하였다.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6)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oduction Example 5, except that 0.4 g (0.08 parts by mass) of the crosslinking agent in Production Example 5 was added in an amount of 0.25 g (0.05 part by mass).

(제조예 7)(Production Example 7)

제조예 6에 있어서 사용한 아크릴계 공중합체 (2)의 에멀젼 1000g[무수; 500g] 대신에,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 (3)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6과 동일하게 하여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7)을 제조하였다.1000 g of the emulsion of the acrylic copolymer (2) used in Production Example 6 [anhydrous;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7)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oduction Example 6, except that the acrylic copolymer (3) was used instead of the acrylic copolymer (3).

(제조예 8)(Preparation Example 8)

제조예 7에 있어서의 가교제의 배합량 0.4g(0.08질량부)을 0.5g(0.1질량부)으로 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7과 동일하게 하여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8)을 제조하였다.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8)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eparation Example 7 except that 0.5 g (0.1 part by mass) of the crosslinking agent in Production Example 7 was added in an amount of 0.4 g (0.08 part by mass).

(제조예 9)(Preparation Example 9)

제조예 1에 있어서 사용한 점착 부여 수지 수퍼 에스테르 NS-100H 고형분 125g 대신에 수퍼 에스테르 E-200NT[아라카와 가가꾸 고교(주) 제조; 유리 전이 온도 90℃]를 고형분으로 125g 사용하고, 가교제의 배합량 0.15g(0.03질량부)을 0.35g(0.07질량부)으로 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9)를 제조하였다.Superester E-200NT (manufactured by Arakawa Chemical Industries, Ltd.) was used in place of 125 g of the solid content of the tackifier resin Superester NS-100H used in Production Example 1;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9)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oduction Example 1, except that 125 g of a solid component and a compounding amount of a crosslinking agent of 0.15 g (0.03 mass part) were used in an amount of 0.35 g (0.07 mass part) ).

(제조예 10)(Preparation Example 10)

제조예 1에 있어서 사용한 점착 부여 수지 수퍼 에스테르 NS-100H 고형분 125g 대신에 수퍼 에스테르 E-865NT[아라카와 가가꾸 고교(주) 제조; 유리 전이 온도 100℃]를 고형분으로 125g 사용하고, 가교제의 배합량 0.15g(0.03질량부)을 0.35g(0.07질량부)으로 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10)을 제조하였다.Superester E-865NT (manufactured by Arakawa Chemical Industries, Ltd.) was used in place of 125 g of the solid content of the tackifier resin Superester NS-100H used in Production Example 1; (10)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eparation Example 1, except that 125 g of a solid content of 125 g and a content of a crosslinking agent of 0.15 g (0.03 mass part) were used in place of the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

(제조예 11)(Preparation Example 11)

제조예 1에 있어서 사용한 점착 부여 수지 수퍼 에스테르 NS-100H 고형분 125g 대신에 50g 사용하고, 가교제의 배합량 0.15g(0.03질량부)을 0.35g(0.07질량부)으로 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11)을 제조하였다.The same procedure as in Production Example 1 was carried out except that 50 g was used instead of 125 g of the solid content of the tackifier resin Superester NS-100H used in Production Example 1, and 0.35 g (0.07 mass part) of the compounding amount of the crosslinking agent was changed to 0.35 g , Thereby preparing a water dispersible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11).

(제조예 12)(Production Example 12)

제조예 1에 있어서 사용한 점착 부여 수지 수퍼 에스테르 NS-100H 고형분 125g 대신에 200g 사용하고, 가교제의 배합량 0.15g(0.03질량부)을 0.5g(0.1질량부)으로 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12)을 제조하였다.Except that 200 g was used instead of 125 g of the solid content of the tackifier resin Superester NS-100H used in Production Example 1 and 0.1 g (0.03 mass part) of the crosslinking agent was used in an amount of 0.5 g (0.1 mass part) To prepare a water dispersible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12).

(제조예 13)(Preparation Example 13)

제조예 4에 있어서 사용한 아크릴계 공중합체 (1)의 에멀젼 1000g[무수; 500g] 대신에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 (4)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4와 동일하게 하여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13)을 제조하였다.1000 g of an emulsion of the acrylic copolymer (1) used in Production Example 4 [anhydrous;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13)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oduction Example 4, except that the acrylic copolymer (4) was used instead of the acrylic copolymer (4).

(제조예 14)(Preparation Example 14)

제조예 4에 있어서 사용한 아크릴계 공중합체 (1)의 에멀젼 1000g[무수; 500g] 대신에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 (5)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4와 동일하게 하여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14)를 제조하였다.1000 g of an emulsion of the acrylic copolymer (1) used in Production Example 4 [anhydrous;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14)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oduction Example 4, except that the acrylic copolymer (5) was used instead of the acrylic copolymer (5).

(비교 제조예 1)(Comparative Production Example 1)

제조예 4에 있어서의 가교제의 배합량 0.35g(0.07질량부)을 0.15g(0.03질량부)으로 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4와 동일하게 하여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H1)을 제조하였다.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H1)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oduction Example 4 except that 0.15 g (0.03 parts by mass) of the crosslinking agent in Production Example 4 was added in an amount of 0.35 g (0.07 parts by mass).

(비교 제조예 2)(Comparative Production Example 2)

제조예 1에 있어서의 가교제의 배합량 0.15g(0.03질량부)을 0.4g(0.08질량부)으로 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H2)를 제조하였다.(H2)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oduction Example 1, except that the amount of the crosslinking agent in Production Example 1 was changed to 0.1 g (0.03 mass part) of the crosslinking agent in an amount of 0.4 g (0.08 mass part).

(비교 제조예 3)(Comparative Production Example 3)

제조예 5에 있어서의 가교제의 배합량 0.25g(0.05질량부)을 0.15g(0.03질량부)으로 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5와 동일하게 하여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H3)을 제조하였다.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H3)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oduction Example 5 except that the amount of the crosslinking agent in Production Example 5 was changed to 0.15 g (0.03 parts by mass) in an amount of 0.25 g (0.05 part by mass).

(비교 제조예 4)(Comparative Production Example 4)

제조예 5에 있어서의 가교제의 배합량 0.25g(0.05질량부)을 0.2g(0.04질량부)으로 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5와 동일하게 하여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H4)를 제조하였다.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H4)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oduction Example 5 except that 0.2 g (0.05 mass part) of the crosslinking agent in Production Example 5 was used in an amount of 0.2 g (0.05 mass part).

(비교 제조예 5)(Comparative Production Example 5)

제조예 5에 있어서의 가교제의 배합량 0.25g(0.05질량부)을 0.5g(0.1질량부)으로 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5와 동일하게 하여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H5)를 제조하였다.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H5)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oduction Example 5 except that 0.5 g (0.1 part by mass) of the crosslinking agent in Production Example 5 was added in an amount of 0.25 g (0.05 part by mass).

(비교 제조예 6)(Comparative Production Example 6)

제조예 7에 있어서의 가교제의 배합량 0.4g(0.08질량부)을 0.6g(0.03질량부)으로 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7과 동일하게 하여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H6)을 제조하였다.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H6)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eparation Example 7 except that 0.6 g (0.03 part by mass) of the crosslinking agent in Production Example 7 was added in an amount of 0.4 g (0.08 part by mass).

[점착 테이프의 제작][Production of adhesive tape]

(실시예 1)(Example 1)

제조예 1에서 얻은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1)을, 이형 처리한 두께 75㎛의 폴리에스테르 필름 상에 건조 후의 두께가 20㎛가 되도록 도공하고, 85℃에서 2분간 건조하여 점착제층을 얻었다. 얻어진 점착제층을 잉크 코팅 필름 (A)의 양면에 전사하고, 80℃의 열 롤로 4kgf/cm의 압력으로 라미네이트하고, 또한 40℃에서 2일간 양생하여, 실시예 1의 양면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The aqueous dispersion type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1)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1 was coated on a polyester film having a thickness of 75 占 퐉 which had been subjected to release treatment so as to have a thickness after drying of 20 占 퐉 and dried at 85 占 폚 for 2 minutes to obtain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hus obtained was transferred to both surfaces of the ink coating film (A), laminated at a pressure of 4 kgf / cm with a heat roll at 80 캜, and cured at 40 캜 for 2 days to obtain a double-face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tape of Example 1.

(실시예 2 내지 14)(Examples 2 to 14)

제조예 2 내지 14에서 얻은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2) 내지 (14)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2 내지 14의 양면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Sensitive adhesive tapes of Examples 2 to 14 were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s (2) to (14) obtained in Production Examples 2 to 14 were used.

(비교예 1 내지 6)(Comparative Examples 1 to 6)

비교 제조예 1 내지 6에서 얻은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H1) 내지 (H6)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 1 내지 6의 양면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Sensitive adhesive tapes of Comparative Examples 1 to 6 were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s (H1) to (H6) obtained in Comparative Production Examples 1 to 6 were used.

상기 실시예 1 내지 8, 비교예 1 내지 6에서 얻은 점착제 조성물, 점착 테이프에 대하여 이하의 평가를 행하였다. 얻어진 결과는 표에 나타내었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s a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s obtained in Examples 1 to 8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6 were subjected to the following evaluations. The obtained results are shown in the table.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의 측정)(Measurement of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Acrylic Copolymer)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에멀젼을 이용하여, 상기 점착 테이프의 제조 조건에 따라 시트를 제조하고, 5mm 두께까지 중첩시켜 시험편을 제작하였다. 점탄성 시험기(레오메트릭스사 제조, 상품명: 아레스 2KFRTN1)를 이용하여, 동 시험기의 측정부인 평행 원반의 사이에 시험편을 끼워 주파수 1Hz, 승온 속도 2℃/min으로 -50℃ 에서 150℃까지의 저장 탄성률(G')과 손실 탄성률(G")을 측정하고, 이하의 식에 기초하여 tanδ를 산출하여 유리 전이 온도로 하였다.Using the emulsion of the acrylic copolymer, a sheet was prepared in accordance with the production conditions of the adhesive tape, and the sheet was overlapped to a thickness of 5 mm to prepare a test piece. Using a viscoelasticity tester (product name: Ares 2KFRTN1, manufactured by Rheometrics Co.), a specimen was sandwiched between parallel discs which were the measuring part of the tester, and the storage elastic modulus at -50 ° C to 150 ° C at a frequency of 1 Hz and a temperature- (G ') and the loss elastic modulus (G ") were measured, and tan delta was calculated based on the following equation to obtain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점착 부여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의 측정)(Measurement of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ackifier resin)

점착 부여 수지를 진공 건조기를 이용하여 진공하, 60℃, 2일간 이상 건조시켜, 건조 중량 10mg의 시험 시료를 얻었다. 해당 시험 시료를, DSC 측정 장치(메틀러·톨레드(주) 제조, 상품명: DSC822)를 이용하여, -50℃ 내지 200℃의 온도 범위에서 승온 속도 2℃/min으로 연속 2회 DSC 곡선을 측정하여, 2회째의 측정 데이터로부터 유리 전이 온도를 측정하였다.The tackifier resin was dried in a vacuum dryer at 60 DEG C for 2 days or more using a vacuum dryer to obtain a test sample having a dry weight of 10 mg. The test sample was subjected to continuous DSC curve twice at a heating rate of 2 캜 / min in a temperature range of -50 캜 to 200 캜 using a DSC measuring apparatus (DSC822, manufactured by Mettler-Toledo) And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was measured from the second measurement data.

(점착제층의 유리 전이 온도의 측정)(Measurement of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상기 점착 테이프의 제조 조건에 따라 제조한 점착제층을 5mm 두께까지 중첩시켜 시험편을 제작하였다. 점탄성 시험기(레오메트릭스사 제조, 상품명: 아레스 2KFRTN1)를 이용하여, 동 시험기의 측정부인 평행 원반의 사이에 시험편을 끼워 주파수 1Hz, 승온 속도 2℃/min으로 -50℃에서 150℃까지의 저장 탄성률(G')과 손실 탄성률(G")을 측정하고, 이하의 식에 기초하여 tanδ를 산출하여 유리 전이 온도로 하였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prepared according to the production condition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was laminated up to a thickness of 5 mm to prepare a test piece. Using a viscoelasticity tester (product name: Ares 2KFRTN1, manufactured by Rheometrics Co.), a specimen was sandwiched between parallel discs which were the measuring part of the tester, and the storage elastic modulus at -50 ° C to 150 ° C at a frequency of 1 Hz and a temperature- (G ') and the loss elastic modulus (G ") were measured, and tan delta was calculated based on the following equation to obtain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anδ=G"/G'tan? = G? / G?

(점착제층의 겔분율의 측정)(Measurement of gel fraction of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상기 점착 테이프의 제조 조건에 따라, 건조 후의 두께가 25㎛가 되도록 폴리에스테르 필름(박리 처리한 것) 상에 설치하여 시험편을 제조하였다. 시험편을 20mm×100mm의 크기로 절단하고,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박리하여 톨루엔 추출 전의 중량 a를 측정하였다. 다음으로, 동일 시험편을 톨루엔 중에 24시간 침지 후 겔물을 취출하고, 100℃에서 2시간 건조하여, 톨루엔 추출 후의 중량 b를 측정하였다. 겔분율은, 이하의 계산식으로부터 산출하였다.The test piece was prepared on a polyester film (peeled) so that the thickness after drying was 25 占 퐉 according to the production conditions of the adhesive tape. The test piece was cut into a size of 20 mm x 100 mm, and the polyester film was peeled off and the weight a before the toluene extraction was measured. Next, the same test piece was immersed in toluene for 24 hours, the gel was taken out, dried at 100 ° C for 2 hours, and the weight b after toluene extraction was measured. The gel fraction was calculated from the following equation.

겔분율(%)=(b/a)×100Gel fraction (%) = (b / a) x 100

(광학 필름의 굴곡/변형 시험)(Bending / deformation test of optical film)

상기에서 제조한 점착 테이프를 23℃하에서 도 1과 같이 프레임상으로 펀칭 가공한 점착 테이프(외형: 32mm×42mm, 폭: 2mm)의 흑색 잉크측을 유리에 첩부하고, 백색 잉크측을 3M사 제조의 박형 광학 필름 「BEFRP2RC」(120㎛)(외형: 30mm×40mm, 85℃의 건조기 중에 5분간 정치시켰을 때의 외형 변화율/유동 방향: +0.08%, 폭 방향: -0.08%)에 첩부시켰다(도 1). 또한, 점착 테이프와 광학 필름이 접하는 폭은 각 변 모두 1mm로 하였다. 이 부품을 85℃에 72시간 정치시키고, 그 후 23℃에 1시간 정치시켜, 85℃ 정치 전후에서의 외관 변화를 관찰하였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prepared above was attached to a glass plate with an adhesive tape (outer shape: 32 mm x 42 mm, width: 2 mm) punched in a frame shape as shown in Fig. 1 at 23 ° C, (Outer appearance: 30 mm x 40 mm, appearance change rate when standing for 5 minutes in a dryer at 85 DEG C / flow direction: +0.08%, width direction: -0.08%) of a thin optical film &quot; BEFRP2RC &quot; 1). The width at which the adhesive tape and the optical film we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was 1 mm. The component was allowed to stand at 85 占 폚 for 72 hours and then left at 23 占 폚 for 1 hour to observe the appearance change at around 85 占 폚.

○: 광학 필름에 변형이 발생하지 않았음○: No deformation occurred in the optical film

△: 광학 필름에 변형이 발생하였음?: Deformation occurred in the optical film

×: 광학 필름에 큰 변형이 발생하였음X: Large strain occurred in the optical film

(내반발성 시험)(Resistance test)

도 2와 같이 100㎛의 PET 필름(유니티카 제조 엠블렛트 SA#100)과 2mm 두께의 폴리카보네이트(PC) 판을 3mm 폭의 테이프로 첩부시켰다. 그 후, 2kg 롤러 1왕복의 조건으로 가압하여, 60℃ 90% RH72시간 방치 후의 들뜸 박리를 관찰하였다. 0.5mm 이상의 들뜸이 발생한 경우에는 두께 교차가 심한 액정 모듈 고정용 테이프로는 적합하지 않다.As shown in Fig. 2, a 100 μm PET film (Emblem SA # 100 manufactured by Unica) and a 2 mm thick polycarbonate (PC) plate were stuck to a 3 mm wide tape. Thereafter, pressurization was performed under the condition of reciprocating one 2-kg roller, and the peel-off separation was observed after standing at 60 ° C and 90% RH for 72 hours. When lifting of 0.5 mm or more occurs, it is not suitable for a liquid crystal module fixing tape having a large thickness crossing.

○: 들뜸 박리가 0.5mm 미만O: Less than 0.5 mm in peeling off

×: 들뜸 박리가 0.5mm 이상X: More than 0.5 mm of peeling off

Figure 112014032933919-pct00002
Figure 112014032933919-pct00002

Figure 112014032933919-pct00003
Figure 112014032933919-pct00003

Figure 112014032933919-pct00004
Figure 112014032933919-pct00004

상기 표 1 내지 3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14의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는 VOC를 저감시킨 수계 점착제를 사용하면서도, 광학 필름의 굴곡이나 변형을 적절하게 억제할 수 있으며, 양호한 내반발성을 갖는 것이었다. 한편, 비교예의 점착 테이프는 광학 필름의 굴곡이나 변형의 억제와 내반발성을 양립할 수 없는 것이었다.As apparent from Tables 1 to 3,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of Examples 1 to 14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ropriately suppress the bending and deformation of the optical film while using an aqueous pressure-sensitive adhesive in which VOC is reduced, . On the other h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of the comparative example was incapable of both suppressing bending and deformation of the optical film and resistance to bouncing.

10: 양면 점착 테이프
11: 광학 필름
12: 유리
20: 점착 테이프
21: PC 판
22: PET 필름
23: 양면 테이프
10: Double-sided adhesive tape
11: Optical film
12: Glass
20: Adhesive tape
21: PC version
22: PET film
23: Double-sided tape

Claims (5)

광학 필름의 고정에 사용하는 점착 테이프로서,
광학 필름과 접하는 점착제층이, 유리 전이 온도가 -45 내지 -25℃인 아크릴계 공중합체와, 유리 전이 온도가 30 내지 120℃인 점착 부여 수지와, 가교제를 함유하는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점착제층이고, 상기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은 수성 매체 중에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에멀젼 입자가 분산된 것이며,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가,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제조에 사용하는 단량체 성분 중에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를 40질량% 이상 98질량% 이하 함유하는 단량체 성분을 중합하여 얻어지는 것이고,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질량부에 대한 상기 점착 부여 수지의 함유량이 10 내지 40질량부이며,
상기 점착제층의 유리 전이 온도가 -5℃ 이하이고, 겔분율이 25 내지 4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
As an adhesive tape used for fixing an optical film,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omprising an acrylic copolymer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45 to -25 占 폚, a tackifier resin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30 占 폚 to 120 占 폚, and an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ontaining a crosslinking agent,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queous dispersion type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s one in which emulsion particles of the acrylic copolymer are dispersed in an aqueous medium, and the acrylic copolymer is a 2-ethylhexyl Wherein the content of the tackifier resin relative to 100 parts by mass of the acrylic copolymer is 10 to 40 parts by mass,
Where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s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5 DEG C or less and a gel fraction of 25 to 4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제조에 사용하는 상기 단량체 성분이, 상기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탄소수 4 내지 8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를 상기 단량체 성분 중에 50 내지 98질량% 포함하는 것인 점착 테이프.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nomer component used in the production of the acrylic copolymer is (meth) acrylate having an alkyl group having 4 to 8 carbon atoms and containing 2-ethylhexyl acrylate, By mass to 98% by mass. 삭제delet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가,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제조에 사용하는 단량체 성분 중에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를 40질량% 이상 98질량% 이하 함유하고, 또한 아미드기를 갖는 질소 함유 단량체를 함유하는 단량체 성분을 중합하여 얻어지는 것인 점착 테이프.The acrylic copolym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acrylic copolymer contains 40% by mass or more and 98% by mass or less of 2-ethylhexyl acrylate in the monomer component used for producing the acrylic copolymer, Where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is obtained by polymerizing a monomer component containing a nitrogen-containing monome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름이 프리즘 시트인 점착 테이프.The adhesive tap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optical film is a prism sheet.
KR1020147009139A 2011-09-30 2012-09-28 Adhesive tape KR10191790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16926 2011-09-30
JPJP-P-2011-216926 2011-09-30
PCT/JP2012/075112 WO2013047764A1 (en) 2011-09-30 2012-09-28 Adhesive tap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5705A KR20140075705A (en) 2014-06-19
KR101917906B1 true KR101917906B1 (en) 2018-11-12

Family

ID=47995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9139A KR101917906B1 (en) 2011-09-30 2012-09-28 Adhesive tape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541552B2 (en)
KR (1) KR101917906B1 (en)
CN (1) CN103842462B (en)
TW (1) TWI627254B (en)
WO (1) WO2013047764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72502B2 (en) * 2013-03-15 2017-08-02 Dic株式会社 Adhesive tape
KR101657356B1 (en) * 2013-09-30 2016-09-19 주식회사 엘지화학 Opticla film including coated functional layer,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JP2015155528A (en) * 2014-01-15 2015-08-27 日東電工株式会社 double-sided adhesive sheet
KR102312515B1 (en) * 2014-11-25 2021-10-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74243A (en) 2007-03-30 2008-11-13 Dic Corp Adhesive tape and lcd module
JP2010065095A (en) 2008-09-09 2010-03-25 Sekisui Chem Co Ltd Self-adhesive,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nd display
JP2010275559A (en) 2008-03-28 2010-12-09 Dic Corp Water-dispersion type acrylic adhesive composition and adhesive tap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4347B2 (en) * 1990-08-10 2001-02-13 日本合成化学工業株式会社 Acrylic acid decyl ester composition
JP4142856B2 (en) * 2001-04-18 2008-09-03 日東電工株式会社 Adhesive optical film for attaching glass substrates to liquid crystal panels,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JP2005082634A (en) * 2003-09-04 2005-03-31 Soken Chem & Eng Co Ltd Functional adhesive sheet and flat panel-type display device
JP2007051271A (en) * 2005-07-21 2007-03-01 Nitto Denko Corp Adhesive composition, pressure sensitive adhesive double coated tape, adhesion method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WO2008111412A1 (en) * 2007-03-09 2008-09-18 Sekisui Chemical Co., Ltd. Adhesive, double-sided adhesive sheet and display
JP5519917B2 (en) * 2008-09-26 2014-06-11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Double-sided adhesive tape for fixing abrasive cloth
JP5578835B2 (en) * 2009-11-16 2014-08-27 日東電工株式会社 Adhesive tape
JP5590380B2 (en) * 2010-03-31 2014-09-17 Dic株式会社 Emulsion type adhesive composition and adhesive tap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74243A (en) 2007-03-30 2008-11-13 Dic Corp Adhesive tape and lcd module
JP2010275559A (en) 2008-03-28 2010-12-09 Dic Corp Water-dispersion type acrylic adhesive composition and adhesive tape
JP2010065095A (en) 2008-09-09 2010-03-25 Sekisui Chem Co Ltd Self-adhesive,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nd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323567A (en) 2013-06-16
JP5541552B2 (en) 2014-07-09
JPWO2013047764A1 (en) 2015-03-30
CN103842462A (en) 2014-06-04
CN103842462B (en) 2016-03-30
WO2013047764A1 (en) 2013-04-04
KR20140075705A (en) 2014-06-19
TWI627254B (en) 2018-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60571B2 (en) Colored adhesive tape for fixing polarizing film
US10310333B2 (en)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adhesive-layer-attached polarizing film, and image display device
JP5760572B2 (en) Double-sided adhesive tape
JP2016224307A (en) Polarization film with adhesive layers on both sides, and image display unit
KR102245858B1 (en) Adhesive layer and adhesive scattering prevention sheet
KR102455461B1 (en) Polarizing film with double-sided adhesive layer and image display device
WO2018062288A1 (en) Optical adhesive layer, manufacturing method of optical adhesive layer, optical film with adhesive layer, and image display device
KR20180092803A (en) Adhesive sheet
JP5760570B2 (en) Colored adhesive tape for fixing glass panels
KR101917906B1 (en) Adhesive tape
WO2013151027A1 (en) Adhesive composition for optical films, adhesive layer for optical films, optical film with adhesive layer, and image display device
JP5760573B2 (en) Double-sided adhesive tape
JP5760574B2 (en) Colored adhesive tape
KR102614889B1 (en) Surface protecting film and optical member
JP7149975B2 (en) Polarizing film with double-sided adhesive layer and image display device
KR20180092802A (en) Adhesive and adhesive sheet
JP5590380B2 (en) Emulsion type adhesive composition and adhesive tape
TW200907001A (en) Adhesive composition, adhesive sheet, adhesive sheet for optics and adhesive sheet for electromagnetic shielding
WO2022168714A1 (en) Adhesive agent, adhesive sheet, optical film provided with adhesive agent, and optical laminate
JP7303355B2 (en) Adhesive film and polarizing plate with adhesive layer
JP7116229B2 (en) Adhesive layer and adhesive film
JP6111789B2 (en) Double-sided adhesive tape
JP2013199579A (en) Acrylic adhesive, adhesive for optical member, optical member with adhesive layer using the same, image display device, method of producing acrylic adhesive, and acrylic adhesive composition
JP2023116793A (en) Adhesive film and polarizer with adhesive lay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