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7530B1 - 포장시트 - Google Patents

포장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7530B1
KR101917530B1 KR1020170100050A KR20170100050A KR101917530B1 KR 101917530 B1 KR101917530 B1 KR 101917530B1 KR 1020170100050 A KR1020170100050 A KR 1020170100050A KR 20170100050 A KR20170100050 A KR 20170100050A KR 101917530 B1 KR101917530 B1 KR 101917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cut
cut line
container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0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태영
이종훈
Original Assignee
고태영
이종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태영, 이종훈 filed Critical 고태영
Priority to KR1020170100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75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7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7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65D77/2024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the cover being welded or adhered to the container
    • B65D77/2028Means for opening the cover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a pull tab
    • B65D77/2032Means for opening the cover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a pull tab by peeling or tearing the cover from the container
    • B65D77/204Means for opening the cover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a pull tab by peeling or tearing the cover from the container the cover having an unsealed portion for initiating remov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포장시트는 플랜지부가 형성된 용기의 수용부를 덮는 비접착부 및 상기 플랜지부에 안착되는 접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비접착부는, 내부에 위치하는 제1 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플랜지부를 따라 형성되며 단부가 상기 제1 부분과 이격된 절취라인 및 상기 제1 부분에 연결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포장시트{PACKAGING SHEET}
본 발명은 포장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장시트는 외부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여 용기 안에 든 내용물이 변형되지 않도록 하고, 수납 및 유통 등의 이유로 용기 안에 든 내용물이 상품적 가치가 있도록 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포장시트는 용기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플랜지에 열 처리되어 밀봉되며, 용기로부터 내용물을 꺼내야 할 때 포장시트는 제거된다. 이에 따라, 포장시트는 밀봉과 제거가 편리하도록 요구된다.
종래에는 포장시트를 용기로부터 제거하기 위하여 직접 손을 사용하거나 포장용기와 함께 제공되는 일회용 커터 칼이 이용되었다. 이 경우, 용기에 들어있는 내용물이 새어 나와 손과 옷 등에 묻게 되고, 포장시트 제거 도중에 포장시트가 용기의 내부로 말려 들어가 내용물에 닿게 되면서, 다소 비위생적인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배경을 바탕으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용기에서 보다 위생적이면서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는 포장시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포장시트는 플랜지부가 형성된 용기의 수용부를 덮는 비접착부 및 상기 플랜지부에 안착되는 접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비접착부는, 내부에 위치하는 제1 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플랜지부를 따라 형성되며 단부가 상기 제1 부분과 이격된 절취라인 및 상기 절취라인에 연결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취라인은, 상기 손잡이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손잡이부 외측을 감싸며 형성되는 제1 절취라인, 상기 제1 절취라인의 외측을 감싸며 형성되는 제2 절취라인 및 상기 제2 절취라인으로부터 이어져, 상기 플랜지부의 내부를 따라 형성되는 제3 절취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취라인은, 상기 비접착부 내부로부터 상기 플랜지부를 따라 나선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취라인은, 상기 제1 절취라인과와 상기 제2 절취라인 사이 간격이 상기 손잡이부로부터 멀어지면서, 점차 벌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취라인은, 상기 용기 일측면 중앙에 형성된 상기 제1 부분에서, 상기 용기의 타측면을 향해 연장된 제1 절취라인 및 상기 제1 절취라인과 연결되고, 상기 플랜지부를 따라 이어져 단부가 상기 제1 절취라인과 이격된 제2 절취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시트는 용기로부터 보다 위생적이면서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장시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포장시트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포장시트를 용기에 부착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포장시트가 제거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포장시트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포장시트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장시트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포장시트(100)는 접착부(110)와 비접착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부(110)는 포장시트(10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비접착부(120)는 접착부(110) 내측으로 형성된다. 접착부(110)는 용기(10)의 플랜지부(12)에 부착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에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비접착부(120)는 절취라인(130)과 손잡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절취라인(130)은 비접착부(120) 내부의 제1 부분(122)에서 시작되어 용기(10)의 플랜지부(12)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손잡이부(140)는 제1 부분(122)에서 절취라인(130)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손잡이부(140)를 이용하여 포장시트(100)를 용기(10)로부터 제게하게 되며, 손잡이부(140)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포장시트(100)는 절취라인(130)을 중심으로 비접착부(120)가 뜯어지게 된다. 즉,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손잡이부(140)를 이용하여 포장시트(100) 상면을 향해 힘을 가하므로, 포장시트(100)의 비접착부(120)는 용기(10) 수용부(11) 내부로 말려 들어가지 않고, 손잡이부(140)에 의해 끌려가게 된다. 이에 따라, 용기(10) 내부에 담긴 음식물에 포장시트(100)의 비접착부(120)가 접촉되지 않으며, 위생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일회용 커터칼 등을 이용하지 않고, 손잡이부(140)를 당기는 동작에 의해 포장시트(100)의 비접착부(120)를 용기(10)로부터 제거할 수 있으므로, 보다 용이하게 포장시트의 비접착부(120)를 제거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된다.
절취라인(130)은 포장시트(100)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절취라인(130)은 비접착부(120) 내부의 제1 부분(122)으로부터 시작되어 용기(10)의 플랜지부(12)를 따라 이어지고, 절취라인(130)의 단부는 제1 부분(122)과 이격될 수 있다. 제1 부분(122)에는 손잡이부(140)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손잡이부(140)에 힘을 가할 때, 절취라인(130)은 사용자가 예측한 방향으로 절취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포장시트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나타낸 포장시트를 용기에 부착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나타낸 포장시트가 제거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용기(10)에 부착되는 포장시트(100)는 접착부(110)와 비접착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용기(10) 내부에는 음식물을 수용하는 수용부(11)가 형성된다. 용기(10)는 외부로 돌출된 플랜지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10) 수용부(11)에 음식물이 담기며, 용기(10) 플랜지부(12)에 포장시트(100)가 접착되고, 이에 따라 음식물은 용기(10) 내부에 안전하게 보관될 수 있다.
포장시트(100)는 접착부(110)와 비접착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접착부(110)와 비접착부(120)는 플랜지부(12)에 접착되는 면을 기준으로 나뉠 수 있다. 즉, 접착부(110)와 비접착부(120)의 경계는 플랜지부(12)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접착부(110)는 플랜지부(12)에 열융착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접착부(110)에는 플랜지부(12)를 마주보는 방향으로 접착물질(미도시)이 도포되어 있을 수 있다.
비접착부(120)는 용기(10) 수용부(11) 상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비접착부(120)는 접착부(110) 내측에 위치 한다. 비접착부(120) 내부에 위치하는 제1 부분(122)에 손잡이부(140)가 위치할 수 있다. 절취라인(130)은 비접착부(120) 내부에서 손잡이부(140)를 중심으로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절취라인(130)은 비접착부(120) 내부에서 제1 절취라인(130), 제2 절취라인(130) 및 제3 절취라인(130)으로 나뉠 수 있다. 제1 절취라인(130)은 손잡이부(140)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제1 절취라인(130)은 손잡이부(140)를 외측으로 감싸며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절취라인(130)은 손잡이부(140)를 중심에 두고 손잡이부(140) 외측을 만곡지게 감싸며 형성될 수 있다. 제2 절취라인(130)은 제1 절취라인(130)에서 이어지고, 제1 절취라인(130) 외측을 감싸며 형성될 수 있다. 제3 절취라인(130)은 제2 절취라인(130)과와 연결되며, 용기(10)의 플랜지부(12)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포장시트(100)의 비접착부(120)는 제1 절취라인(130), 제2 절취라인(130) 및 제3 절취라인(130) 순서로 제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포장시트(100)의 비접착부(120)의 절취가 용이하도록 절취라인(130)의 절취력을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낸 단면 확대도 A를 참고하면, 손잡이부(140)로부터 멀어질 수록, 즉, 제1 절취라인(130)보다 제3 절취라인(130)이가 보다 용이하게 절취 될 수 있도록 비접착부(120)에 형성된 제1 절취라인(130)을 제3 절취라인(130)의 보다 얇게 형성할 수 있다. 즉, 제1 절취라인(130)은 비접착부(120) 표면에 홈을 내어 형성할 수 있다. 제3 절취라인(130)은 비접착부(120) 표면에 제1 절취라인(130) 또는 제2 절취라인(130) 보다 홈을 깊게 형성할 수 있다. 손잡이부(140)와 멀어질 수록 손잡이부(140)에 가해지는 힘이 약해지므로, 제3 절취라인(130) 위치의 홈 깊이를 제1 절취라인(130)의 홈 깊이 보다 깊게 형성하여, 보다 절취가 용이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손잡이부(140)로부터 멀어질수록 제1 절취라인(130)와 제2 절취라인(130) 및 제2 절취라인(130)과 제3 절취라인(130) 사이의 간격을 점차 멀어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거되는 비접착부(120)의 면적을 크게 하여, 보다 빠르게 제거할 수 있다.
절취라인(130)은 실선 또는 점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절취라인(130) 상면에는 밀봉테이프(미도시)가 부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절취라인(130)으로부터 용기(10)의 내용물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예기치 못한 비접착부(120)의 절취를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포장시트의 사시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절취라인(130)은 용기(10)의 사선방향으로 형성된 제4 절취라인(130)을 포함할 수 있다. 절취라인(130)은 비접착부(120) 내부 제1 부분(122)에서 시작할 수 있다. 제1 부분(122)에는 손잡이부(140)가 연결될 수 있다.
제1 절취라인(130)은 제1 부분(122)에서 시작되고, 용기(10)의 첫번째 꼭지점을 지나 두번째 꼭지점 부근까지 이어질 수 있다. 제2 절취라인(130)은 제1 절취라인(130)과와 연결되고, 비접착부(120)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절취라인(130)은 비접착부(120)를 사선으로 가로질러 형성될 수 있다. 제2 절취라인(130)은 용기(10)의 네번째 꼭지점 근처에서 제3 절취라인(130)과 연결될 수 있다. 제3 절취라인(130)은, 용기(10)의 네번째 꼭지점 근처에서 시작되어 용기(10)의 세번째 꼭지점 근처까지 이어질 수 있다. 이때, 제3 절취라인(130)의 단부는 제2 절취라인(130)과 이격 될 수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부(140)에 힘을 가해 제1 절취라인(130), 제2 절취라인(130), 제3 절취라인(130) 순서로 포장시트(100)의 비접착부(120)를 제거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절취라인(130)이 비접착부(120)의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 이미 접착부(110)로부터 제거된 비접착부(120)는 용기(10) 내부의 수용부(11)로 말려들어가지 않고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용기(10)의 수용부(11) 절반만 개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포장시트의 사시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제1 부분(122)은 용기(10)의 일측면 중앙 근처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부분(122)에는 손잡이부(140)가 연결될 수 있다. 제1 절취라인(130)은 제1 부분(122)에서 시작되며 용기(10)의 타측면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1 절취라인(130)은 제2 절취라인(130)과 연결되며, 제2 절취라인(130)은 플랜지부(12)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2 절취라인(130)의 단부는 제1 절취라인(130)과 이격되어 있다.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10: 용기 11: 수용부
12: 플랜지부 100: 포장시트
110: 접착부 120: 비접착부
122: 제1 부분 130: 절취라인
130a: 제1 절취라인 130b: 제2 절취라인
130c: 제3 절취라인
140: 손잡이부

Claims (5)

  1. 플랜지부가 형성된 용기의 수용부를 덮는 비접착부; 및
    상기 플랜지부에 안착되는 접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비접착부는,
    내부에 위치하는 제1 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플랜지부를 따라 형성되며 단부가 상기 제1 부분과 이격된 절취라인; 및
    상기 절취라인에 연결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절취라인은,
    상기 손잡이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손잡이부 외측을 감싸며 형성되는 제1 절취라인;
    상기 제1 절취라인의 외측을 감싸며 형성되는 제2 절취라인; 및
    상기 제2 절취라인으로부터 이어져, 상기 플랜지부의 내부를 따라 형성되는 제3 절취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절취라인의 홈의 깊이는 상기 제1 절취라인에서 제3 절취라인으로 갈수록 깊어지는 포장시트.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라인은,
    상기 비접착부 내부로부터 상기 플랜지부를 따라 나선형 형태로 형성되는 포장시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라인은,
    상기 제1 절취라인과와 상기 제2 절취라인 사이 간격이 상기 손잡이부로부터 멀어지면서, 점차 벌어지게 형성된 포장시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라인은,
    상기 용기 일측면 중앙에 형성된 상기 제1 부분에서, 상기 용기의 타측면을 향해 연장된 제1 절취라인; 및
    상기 제1 절취라인과 연결되고, 상기 플랜지부를 따라 이어져 단부가 상기 제1 절취라인과 이격된 제2 절취라인을 포함하는 포장시트.
KR1020170100050A 2017-08-08 2017-08-08 포장시트 KR1019175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0050A KR101917530B1 (ko) 2017-08-08 2017-08-08 포장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0050A KR101917530B1 (ko) 2017-08-08 2017-08-08 포장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7530B1 true KR101917530B1 (ko) 2018-11-09

Family

ID=64426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0050A KR101917530B1 (ko) 2017-08-08 2017-08-08 포장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753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37921A (ja) 2015-01-28 2016-08-04 凸版印刷株式会社 紙製蓋、及びそれを融着した容器
WO2016182217A1 (ko) * 2015-05-11 2016-11-17 주식회사 씰앤팩 용기 봉합체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37921A (ja) 2015-01-28 2016-08-04 凸版印刷株式会社 紙製蓋、及びそれを融着した容器
WO2016182217A1 (ko) * 2015-05-11 2016-11-17 주식회사 씰앤팩 용기 봉합체 및 그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196711A (ja) 保護部分を備えたパッケージユニット
JP2003506268A (ja) ひげ剃りカートリッジその他の品目のための容器
KR101917530B1 (ko) 포장시트
KR101180841B1 (ko) 일회용 보관용기
JP6500269B2 (ja) 電子レンジ用包装体
JP2007055656A (ja) 包装用容器
JP2007008532A (ja) 包装容器
KR200488594Y1 (ko) 절취선이 구비된 포장봉지
KR100386025B1 (ko) 제품의 2개 이상의 스택을 둘러싸는 유연한 재료의 팩
RU2722043C2 (ru) Пищевой продукт в упаковке
JP3156994B2 (ja) 密閉容器
US3391851A (en) Film removal tab
KR101892808B1 (ko) 캔 뚜껑 안전 캡
US20040155039A1 (en) Liquid shield member for a paper product container
KR102249657B1 (ko) 마스크팩용 파우치
JP2008079933A (ja) 医療器具用容器
JP2020121733A (ja) チューブ容器
KR20130043647A (ko) 안전 원터치 캔
KR101847304B1 (ko) 한 손으로 착용하는 생리대
JP2012017122A (ja) 収納ケース
KR20200120059A (ko) 슬라이드 커터
JP2004035087A (ja) 包装フィルムカッター
KR20160002308U (ko) 벤트홈을 가지는 용기
JP3059753U (ja) シート状開閉蓋を有する包装体
KR20150003373U (ko) 콘돔 포장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