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7458B1 - 중량체의 베이스 프레임 - Google Patents

중량체의 베이스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7458B1
KR101917458B1 KR1020160176806A KR20160176806A KR101917458B1 KR 101917458 B1 KR101917458 B1 KR 101917458B1 KR 1020160176806 A KR1020160176806 A KR 1020160176806A KR 20160176806 A KR20160176806 A KR 20160176806A KR 101917458 B1 KR101917458 B1 KR 1019174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base
rail
weight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6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3203A (ko
Inventor
송환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60176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7458B1/ko
Publication of KR20180073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32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7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74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00Frames or casing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Frames serving as machinery be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5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left-right translation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6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upward-downward translation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 Machine Tool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량체의 이동 및 정렬을 용이하게 한 중량체의 베이스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중량체를 지지하여 상기 중량체를 수평 방향으로 선형 이동시키는 수평 이송장치; 및 상기 수평 이송장치 상에 배치되며 상기 중량체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높낮이 조절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높낮이 조절장치는 다수 개로 이루어지며, 다수 개의 상기 높낮이 조절장치는 상기 중량체에 분리되어 각각 높낮이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높낮이 조절장치는, 상기 수평 이송장치 상에 설치되며, 제1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하부레일; 상기 하부레일의 중간 일 지점을 기준으로 축 방향 전후방으로 상기 하부레일과 간격이 벌어지는 비스듬한 경사면을 가지고, 상기 비스듬한 경사면에 제2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상부레일; 상기 상부레일의 전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레일의 비스듬한 경사면에 대응되는 경사면과 상기 제2 가이드 홈과 대응되는 가이드 턱을 가지는 가이드 블럭; 및 상기 상부레일이 상기 가이드 블럭의 경사면을 따라 전후방 이동하여 높이 조절이 되도록 하는 높낮이 이송 가이드 스크류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블럭의 전후방에는 상기 가이드 블럭의 전후방 이동을 제한하는 브라켓을 더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은 상기 하부레일과 고정되는 중량체의 베이스 프레임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중량체의 베이스 프레임{Base frame for heavy weight body}
본 개시내용은 중량체의 베이스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중량이 큰 모터 또는 감속기가 용이하게 이동 및 정렬 가능하도록 한 중량체의 베이스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산업현장에서 설비의 회전을 위한 모터동력을 감속기에 전달시키기 위하여 모터와 감속기 사이에 축이음 장치인 커플링을 설치한다. 모터나 감속기 교체작업 후에는 축 정열 작업을 반드시 수행하게 되는데, 중량이 큰 모터나 감속기와 같은 중량체의 축 정열은 그 무게 때문에 시간이 상당 소요된다. 축 정열 작업 시간이 지연될수록 공장 가동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모터 및 감속기가 구동이 불가할 때 예비품으로 교체작업을 수행할 때, 모터(Motor) 또는 감속기를 베이스에 안착시킨 후 모터나 감속기 커플링 축 정열 조정작업을 실시한다. 모터와 베이스 사이에 높이 조정을 위해 라이너의 두께를 산정해 삽입 또는 제거 작업을 수행하지만 정확한 축 정열작업을 위하여 반복적인 라이너 조정작업을 수행한다.
조정 작업 수행 시, 중량체인 모터나 감속기가 조립된 상태에서 높낮이 조정작업을 실시하기 위해서 기조립된 중량체와 베이스의 고정 볼트를 분해하고 천정 크레인을 이용하여 모터를 약간 들어올리고 높낮이 조정용 라이너를 삽입 또는 빼내어 높낮이 조정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하여야 한다. 높낮이 조정작업을 반복 수행할 때마다 처음부터 다시 전후좌우를 조정한 후 높낮이 조정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며, 축 정열작업의 정확성을 위하여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천정 크레인이 없는 장소에 설치된 중량체의 경우는, 작업자 인력으로 체인블럭 등의 중량물 작업 수공구를 이용하여 높낮이 조정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인력 및 시간 소요에 따른 공장 생산성이 저하된다.
출원번호 10-2010-0048300: 모터 베이스 출원번호 10-2014-0036090: 높이 조절이 가능한 중량물 지지장치
본 개시내용의 목적은 중량이 큰 모터 또는 감속기 등의 중량체가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며, 조정용 라이너가 필요없이 커플링 축 정렬 조절이 가능한 베이스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는 중량체의 베이스 프레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중량체의 이동 및 정렬을 용이하게 한 중량체의 베이스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중량체를 지지하여 상기 중량체를 수평 방향으로 선형 이동시키는 수평 이송장치; 및 상기 수평 이송장치 상에 배치되며 상기 중량체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높낮이 조절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높낮이 조절장치는 다수 개로 이루어지며, 다수 개의 상기 높낮이 조절장치는 상기 중량체에 분리되어 각각 높낮이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높낮이 조절장치는, 상기 수평 이송장치 상에 설치되며, 제1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하부레일; 상기 하부레일의 중간 일 지점을 기준으로 축 방향 전후방으로 상기 하부레일과 간격이 벌어지는 비스듬한 경사면을 가지고, 상기 비스듬한 경사면에 제2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상부레일; 상기 상부레일의 전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레일의 비스듬한 경사면에 대응되는 경사면과 상기 제2 가이드 홈과 대응되는 가이드 턱을 가지는 가이드 블럭; 및 상기 상부레일이 상기 가이드 블럭의 경사면을 따라 전후방 이동하여 높이 조절이 되도록 하는 높낮이 이송 가이드 스크류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블럭의 전후방에는 상기 가이드 블럭의 전후방 이동을 제한하는 브라켓을 더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은 상기 하부레일과 고정되고, 상기 수평 이송장치는, 제1 베이스; 상기 제1 베이스와 간격을 가지고, 상기 제1 베이스 상에서 이송 가능한 제2 베이스; 상기 제1 베이스와 제2 베이스 사이의 간격을 가지도록 지지하며, 상기 제2 베이스의 상기 제1 베이스 상의 수평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레일부; 및 상기 제1 베이스와 제2 베이스 사이의 간격 내에 설치되며, 상기 제2 베이스의 상기 제1 베이스 상의 수평 이동을 조정하는 수평 이송 가이드 스크류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부는, 상기 제1 베이스 상면에 구비되고, 상방으로 경사진 제1 경사면이 형성된 삼각 돌출 레일; 및 상기 제2 베이스의 하면에 구비되며, 상기 삼각 돌출 레일이 수용되고 상기 제1 경사면의 일부와 접촉되는 제2 경사면이 형성된 가이드 홈을 가지는 레일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높낮이 조절장치는 상기 중량체의 모서리 부분에 대응되는 4개의 지점에 설치되어 각각 높낮이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중량체의 베이스 프레임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수평 이송 가이드 스크류부는, 상기 제1 베이스의 상부에서 브라켓에 의해 공간 상에 지지되는 회전 축 스크류; 및 상기 제2 베이스의 하면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 축 스크류가 삽입되도록 상기 회전 축 스크류에 대응되는 나사홈을 가지는 회전 축 가이드 블럭;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 축 스크류의 회전은 베벨기어 휠과 베벨 기어 피니언으로 연결된 구동모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높낮이 이송 가이드 스크류부는 중간 일지점을 기준으로 나사산 형상이 반대일 수 있다.
삭제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높낮이 이송 가이드 스크류부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핸들에 의해 수동조절 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 의하면, 산업 현장의 설비인 모터와 감속기의 설치장소가 천정 크레인을 이용하여 작업할 수 없는 장소에서도, 모터 또는 감속기 교체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높낮이 조정이 용이하게 수행되어 조정용 라이너 필요없이 커플링 축 정렬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짧은 시간 내에 정확한 커플링 축 정렬작업이 가능하므로 작업시간이 단축될 뿐만 아니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구성 및 효과는 도면과 함께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지고 더욱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체의 베이스 프레임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체의 베이스 프레임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가 설치된 중량체의 베이스 프레임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가 설치된 중량체의 베이스 프레임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 이송장치의 조립을 위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 이송장치의 조립을 위한 분해 단면도.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장치의 조립을 위한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장치의 조립을 위한 분해 단면도.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가 상세하게 언급될 것이다.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여기에서 기술된 실시예는 설명적이고 예시적이며, 본 개시내용을 일반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사용된다. 실시예는 본 실시내용을 제한하기 위해 해석될 수 없다.
명세서에서, 구체적이거나 다르게 한정되지 않은 경우라면, "길이", "폭", "두께", "전방", "후방", "상부", "하부", "외측", "내측", 및 그의 파생어와 같은 위치 또는 위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은, 도면에서 도시한 것과 같은 위치 또는 위치 관계를 가리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관련 용어들은 기술의 편의를 위해 사용된 것이고, 반드시 본 개시내용이 특정의 위치에서 구성되거나 작동되어야 할 것을 요구하는 것이 아니다.
본 개시내용의 기술에서, 구체적이거나 다르게 한정되어 있지 않다면, "다수의"는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을 의미한다.
본 개시내용의 기술에서, 구체적이거나 다르게 한정되어 있지 않다면, "결합되는", "실장되는", "연결되는"과 같은 용어는 영구 결합, 분리 가능한 결합, 또는 완전한 결합과 같이 광범위하게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중량체의 베이스 프레임이 이하에서 상세하게 논의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체의 베이스 프레임의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체의 베이스 프레임의 측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가 설치된 중량체의 베이스 프레임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가 설치된 중량체의 베이스 프레임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개시내용의 중량체의 베이스 프레임(100)은 모터나 감속기와 같은 중량체(W) 교체작업 시, 커플링 등을 위해 중량체(W)의 이동 및 정렬을 용이하게 하는 장치이다.
중량체의 베이스 프레임(100)은 수평 이송장치(30) 및 높낮이 조절장치(10)를 동시에 구비한다.
수평 이송장치(30)는 중량체(W)가 수평 방향으로 전후 또는 좌우로 선형 이동시키며, 높낮이 조절장치(10)는 수평 이송장치(30) 상에 배치되며 중량체(W)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높낮이 조절장치(10)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서는 4개가 설치되는데, 중량체(W)의 모서리 부분에 대응되는 4개의 지점에 설치되어 각각 높낮이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각각 높낮이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설치 지점 및 개수는 중량체의 크기나 형상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 이송장치의 조립을 위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 이송장치의 조립을 위한 분해 단면도이다.
수평 이송장치(30)는 제1 베이스(40), 제2 베이스(20), 가이드 레일부(450) 및 이송 가이드 스크류부(350)를 포함한다.
제1 베이스(40)는 바닥과 고정되어 베이스 프레임(100)의 저부를 형성한다.
제2 베이스(20)는 제1 베이스(40)와 간격을 가지고, 제1 베이스(40) 상에서 이송가능하다.
가이드 레일부(450)는 제1 베이스(40)와 제2 베이스(20) 사이의 간격을 가지도록 지지하며, 제2 베이스(20)의 제1 베이스(40) 상의 수평 이동을 가이드 한다. 가이드 레일부는 제1 베이스(40)의 상면에 구비되는 삼각 돌출 레일(41) 및 제2 베이스(40)의 하면에 구비되며, 삼각 돌출레일(41)이 수용되는 가이드 홈(33-a)을 가지는 레일 가이드(33)를 포함한다.
수평 이송 가이드 스크류부(350)는 제1 베이스(40)와 제2 베이스(20) 사이의 간격 내에서 설치되며 제2 베이스(20)의 제1 베이스(40) 상의 수평 이동을 조정한다.
수평 이송 가이드 스크류부(350)는 제1 베이스(40)의 상부에서 브라켓(36)에 의해 공간 상에 지지되는 회전 축 스크류(34) 및 제2 베이스(20)의 하면에 고정되고, 회전 축 스크류(34)가 삽입되도록 회전 축 스크류(34)에 대응되는 나사홈(32-a)을 가지는 회전 축 가이드 블럭(32)을 포함한다.
회전 축 스크류(34)의 회전은 베벨기어 휠(37)과 베벨 기어 피니언(38)으로 연결된 구동모터(39)에 의해 수행된다.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장치의 조립을 위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장치의 조립을 위한 분해 단면도이다.
높낮이 조절장치(10)는 하부레일(12), 상부레일(11), 가이드 블럭 및 높낮이 이송 가이드 스크류부(13)를 포함한다.
하부레일(12)은 수평 이송장치(30) 상에 설치되며, 제1 가이드 홈(12-a)이 형성된다.
상부레일(11)은 중간 일 지점을 기준으로 축 방향 전후방으로 하부레일(12)과 간격이 벌어지는 비스듬한 경사면(11-b)을 가지고, 상기 비스듬한 경사면(11-b)에 제2 가이드 홈(11-a)이 형성된다.
가이드 블럭(14, 15)는 상부레일(11)의 전후방에 배치되며, 상부레일(11)의 비스듬한 경사면(11-b)에 대응되는 경사면(14-d)과 제2 가이드 홈(11-a)과 대응되는 가이드 턱(14-b)을 가진다.
높낮이 이송 가이드 스크류부(13)는 상부레일(11)이 가이드 블럭(14, 15)의 경사면(14-d, 15-d)을 따라 전후방 이동하여 높이 조절이 된다.
높낮이 이송 가이드 스크류부(13)는 중간 일지점을 기준으로 나사산 형상이 반대여서, 오른 나사(13-a)와 왼 나사(13-b)로 이루어진다. 오른 나사(13-a), 왼 나사(13-b)가 회전 방향을 반대로 하여 가이드 블럭(14, 15)의 나사 홈(14-a, 15-a)과 체결되면서 가이드 블럭(14, 15)이 상부 레일(11)과 하부레일(12)에서 이동하면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다.
가이드 블럭(14, 15)의 전후방에는 가이드 블럭(14, 15)의 전후방 이동을 제한하는 브라켓(16, 17)이 더 포함되며, 이는 하부 레일(12)과 볼트(21, 23)로 체결되어 고정된다.
높낮이 이송 가이드 스크류부(13)의 일단부에는 손잡이 달린 핸들(10H)이 체결되어 수동조절될 수 있다. 높낮이 이송 가이드 스크류부(13)의 전방은 브러시(18)에 의해 지지되며 평 와샤(19)로 핸들(10H)과 고정된다. 높낮이 이송 가이드 스크류부(13)의 후방도 브러시(18)에 의해 지지되며 평 와샤(19)와 고정핀(22)으로 고정된다. 상기 브러시(18)는 상부 브라켓(17)과 하부 브라켓(16)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 브라켓(17)과 하부 브라켓(16)은 볼트(21)로 조립 체결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 명세서 전반에 걸쳐 언급된, "실시예", "일부 실시예"는 실시예 또는 예시에 관계하여 기술된 특별한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성이 본 개시내용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 또는 예시에 포함된다. 따라서, 이 명세서 전체를 통해서 다양한 곳에서, "일부 실시예에서", "일 실시예에서", "다른 실시예에서"라고 하는 구(phases)의 존재는 본 개시내용의 동일한 실시예 또는 예시를 반드시 인용하는 것은 아니다. 게다가, 특별한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성들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 또는 예시들에서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설명적인 실시예들이 보여지고 기술되었다고 하더라도, 변화, 치환 및 수정 모두 청구항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며, 그들의 균등물은 개시내용의 정신 및 원칙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실시예에서 만들어질 수 있는 것으로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W: 중량체 100: 중량체의 베이스 프레임
10: 높낮이 조절장치 13: 높낮이 이송 가이드 스크류부
20: 제2 베이스 30: 수평 이송장치
32: 회전 축 가이드 블럭 33: 레일 가이드
34: 회전 축 스크류

Claims (10)

  1. 중량체의 이동 및 정렬을 용이하게 한 중량체의 베이스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중량체를 지지하여 상기 중량체를 수평 방향으로 선형 이동시키는 수평 이송장치; 및
    상기 수평 이송장치 상에 배치되며 상기 중량체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높낮이 조절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높낮이 조절장치는 다수 개로 이루어지며, 다수 개의 상기 높낮이 조절장치는 상기 중량체에 분리되어 각각 높낮이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높낮이 조절장치는,
    상기 수평 이송장치 상에 설치되며, 제1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하부레일;
    상기 하부레일의 중간 일 지점을 기준으로 축 방향 전후방으로 상기 하부레일과 간격이 벌어지는 비스듬한 경사면을 가지고, 상기 비스듬한 경사면에 제2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상부레일;
    상기 상부레일의 전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레일의 비스듬한 경사면에 대응되는 경사면과 상기 제2 가이드 홈과 대응되는 가이드 턱을 가지는 가이드 블럭; 및
    상기 상부레일이 상기 가이드 블럭의 경사면을 따라 전후방 이동하여 높이 조절이 되도록 하는 높낮이 이송 가이드 스크류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블럭의 전후방에는 상기 가이드 블럭의 전후방 이동을 제한하는 브라켓을 더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은 상기 하부레일과 고정되고,
    상기 수평 이송장치는,
    제1 베이스;
    상기 제1 베이스와 간격을 가지고, 상기 제1 베이스 상에서 이송 가능한 제2 베이스;
    상기 제1 베이스와 제2 베이스 사이의 간격을 가지도록 지지하며, 상기 제2 베이스의 상기 제1 베이스 상의 수평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레일부; 및
    상기 제1 베이스와 제2 베이스 사이의 간격 내에 설치되며, 상기 제2 베이스의 상기 제1 베이스 상의 수평 이동을 조정하는 수평 이송 가이드 스크류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부는,
    상기 제1 베이스 상면에 구비되고, 상방으로 경사진 제1 경사면이 형성된 삼각 돌출 레일; 및
    상기 제2 베이스의 하면에 구비되며, 상기 삼각 돌출 레일이 수용되고 상기 제1 경사면의 일부와 접촉되는 제2 경사면이 형성된 가이드 홈을 가지는 레일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높낮이 조절장치는 상기 중량체의 모서리 부분에 대응되는 4개의 지점에 설치되어 각각 높낮이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중량체의 베이스 프레임.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이송 가이드 스크류부는,
    상기 제1 베이스의 상부에서 브라켓에 의해 공간 상에 지지되는 회전 축 스크류; 및
    상기 제2 베이스의 하면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 축 스크류가 삽입되도록 상기 회전 축 스크류에 대응되는 나사홈을 가지는 회전 축 가이드 블럭;을 포함하는 중량체의 베이스 프레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축 스크류의 회전은 베벨기어 휠과 베벨 기어 피니언으로 연결된 구동모터에 의해 수행되는 중량체의 베이스 프레임.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 이송 가이드 스크류부는 중간 일지점을 기준으로 나사산 형상이 반대인 중량체의 베이스 프레임.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 이송 가이드 스크류부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핸들에 의해 수동조절 되는 중량체의 베이스 프레임.
KR1020160176806A 2016-12-22 2016-12-22 중량체의 베이스 프레임 KR1019174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6806A KR101917458B1 (ko) 2016-12-22 2016-12-22 중량체의 베이스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6806A KR101917458B1 (ko) 2016-12-22 2016-12-22 중량체의 베이스 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3203A KR20180073203A (ko) 2018-07-02
KR101917458B1 true KR101917458B1 (ko) 2018-11-09

Family

ID=62913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6806A KR101917458B1 (ko) 2016-12-22 2016-12-22 중량체의 베이스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74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15546B (zh) * 2018-10-16 2024-03-01 天津中精微仪器设备有限公司 气浮四维调整台
CN110578859A (zh) * 2019-09-12 2019-12-17 武汉完美网络服务有限公司 一种用于显示pc端业务系统的分屏显示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3203A (ko) 2018-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8339B1 (ko) 유리섬유 단열파이프의 커팅장치
KR101917458B1 (ko) 중량체의 베이스 프레임
CN204604116U (zh) 一种喷砂机的喷枪控制机构
CN103357951A (zh) 一种切割机
CN103894749A (zh) 一种自动风筒直缝焊机
CN104354232B (zh) 一种用于框架锯荒料进给的提升方法与装置
CN104816153A (zh) 机械性对接装配对位调整装置
CN113787295B (zh) 一种工程机械零部件加工用适应性夹持设备
CN112872805B (zh) 一种高效自动拉拔切断一体机
KR20170001894U (ko) 전동기용 기어커플링 취외장치
CN109967547B (zh) 一种起重机端梁自动化挤压装置
CN109466915B (zh) 一种自动传送装置
KR101834499B1 (ko) 롤 포밍 제품 절단장치
KR20100103129A (ko) 자동 터닝 롤러
CN201915024U (zh) 一种玻璃钻孔设备
CN209061992U (zh) 一种具有扶持板料及调节板料位置功能的设备
CN108526317B (zh) 用于整体卫浴定制的柔性自动折弯模具
CN210116928U (zh) 一种模台运输装置
CN206393443U (zh) 用于固定打磨工件的移动台
CN105458080B (zh) 斜楔刀架
CN213889388U (zh) 错位磨边机
CN210289026U (zh) 一种自动批荡抹平机
KR101219387B1 (ko) 리턴롤러 교체장치
CN212551993U (zh) 一种螺旋卷管机的切割装置
CN204295402U (zh) 用于输送爪极原材料的输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