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7428B1 - 화약 연소 압력을 이용한 분리뭉치 - Google Patents

화약 연소 압력을 이용한 분리뭉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7428B1
KR101917428B1 KR1020160130717A KR20160130717A KR101917428B1 KR 101917428 B1 KR101917428 B1 KR 101917428B1 KR 1020160130717 A KR1020160130717 A KR 1020160130717A KR 20160130717 A KR20160130717 A KR 20160130717A KR 101917428 B1 KR101917428 B1 KR 1019174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pair
fixing bracket
hol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0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9432A (ko
Inventor
김동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화
Priority to KR1020160130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7428B1/ko
Publication of KR20180039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94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7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74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0/00Means for influencing, e.g. improving, the aerodynamic properties of projectiles or missiles; Arrangements on projectiles or missiles for stabilising, steering, range-reducing, range-increasing or fall-retarding
    • F42B10/02Stabilising arrangements
    • F42B10/14Stabilising arrangements using fins spread or deployed after launch, e.g. after leaving the barr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GCOSMONAUTICS; VEHICLES OR EQUIPMENT THEREFOR
    • B64G1/00Cosmonautic vehicles
    • B64G1/22Parts of, 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in or to, cosmonautic vehicles
    • B64G1/64Systems for coupling or separating cosmonautic vehicles or parts thereof, e.g. dock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FAPPARATUS FOR LAUNCHING PROJECTILES OR MISSILES FROM BARRELS, e.g. CANNONS; LAUNCHERS FOR ROCKETS OR TORPEDOES; HARPOON GUNS
    • F41F3/00Rocket or torpedo launchers
    • F41F3/04Rocket or torpedo launchers for rock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9/00Systems for controlling missiles or projectil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5/00Self-propelled projectiles or missiles, e.g. rockets; Guided missiles
    • F42B15/36Means for interconnecting rocket-motor and body section; Multi-stage connectors; Disconnecting means
    • F42B15/38Ring-shaped explosive elements for the separation of rocket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화약 연소 압력을 이용한 분리뭉치는, 화약 폭발 시 발생되는 폭발력을 이용하지 않고 화약 연소 시 발생되는 고압을 이용하여 분리뭉치부(50)를 분리하면서 유도탄 꼬리날개와 연결된 와이어로프(36)를 분리할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폭발 충격파와 파편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주변의 전자장비나 민감한 센서류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작업자 및 주변 구조물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화약 연소 압력을 이용한 분리뭉치{Separating Assembly using the combustion pressure of gunpowder}
본 발명은 발사관과 당김줄에 의해 연결되고 유도탄 꼬리날개와 와이어로프에 의해 연결되는 화약 연소 압력을 이용한 분리뭉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도탄 발사시 당김줄에 의한 탄발력에 의해 화약 트레인이 점화되고, 화약 연소 시 발생되는 고압에 의해 분리뭉치부에 구속된 와이어로프가 분리될 수 있는 화약 연소 압력을 이용한 분리뭉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목표에 도달할 때까지 특정 방법에 의해 유도되는 유도탄(즉, 미사일 등)은 평상 시에는 발사관에 구속되어 보관 및 이동되다가 작전 시에는 지령 유도에 따라 발사관으로부터 분리되어 발사된다. 이 경우 발사관에 유도탄을 삽입하여 구속하였다가 분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또한 유도탄을 수송하거나 운용할 때는 외부에서 작용하는 힘에 의하여 유도탄이 움직이지 않도록 발사관에 견고하고 확실하게 구속하여야 하며, 유도탄 발사 시에는 신속하고 정확하며 원활하게 구속을 해제하여 유도탄이 발사관에서 신뢰성이 높고 안정되게 발사되도록 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유도탄을 발사관에 구속하였다가 분리하기 위한 방법으로 볼트수단을 고려하였지만, 통상적인 볼트로서는 두 기계 부품을 순간적으로 분리하기가 불가능하여 볼트의 일정 부분에 화약을 충전하여 화약의 폭발력을 이용하여 충격파로 절단하는 폭발볼트(Explosive Bolt)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폭발볼트로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084170호의 폭발볼트가 있다. 이 초기의 폭발볼트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트 몸체(1)의 내부에 분리화약(3)과 기폭장치(2)를 설치하여 리드선(4)을 통해 기폭장치(2)에 전기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기폭장치(2)의 작동으로 분리화약(3)의 폭발이 발생되어 볼트 몸체(1)가 분리선을 따라 분리가 일어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초기의 폭발볼트는 기폭장치(2)와 기폭약의 충격 등으로 인하여 충격파가 크게 발생되는 문제와 안전성, 신뢰성, 활용성에 문제가 나타나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이 압력카트리지를 이용한 모서리 절단형 폭발볼트이다.
상기 모서리 절단형 폭발볼트로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294112호의 폭발볼트가 있다. 이 모서리 절단형 폭발볼트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트 몸체(11)와, 이 볼트 몸체(1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기폭수단(13)과, 기폭수단(13)의 하부에 충전된 주장약인 분리화약(14)으로 구성된다.
즉 기폭수단(13)에 전류가 인가되면 기폭기(12)의 작동으로 주장약인 분리화약(14)이 폭발하면서 순간적으로 두 개의 결합 부재가 분리된다.
상기 모서리 절단형 폭발볼트는 기폭수단과 분리화약을 볼트 몸체에서 분리해 둠으로써 화약의 오폭에 의한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적합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모서리 절단형 폭발볼트는 기폭기를 사용함으로써 여전히 충격파가 크게 발생된다는 문제점과 함께 습기를 확실하게 방지하지 못하여 작동불능 상태로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폭발볼트의 또 다른 예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2003-0066115호의 슬리브형 폭발볼트가 있다.
이 슬리브형 폭발볼트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형의 폭발수단 장착부(21)가 구비된 볼트 몸체(20)와, 상기 폭발수단 장착부(21)에 삽입되며 연결화약(22)이 충전된 슬리브(23)와, 상기 폭발수단 장착부(21)의 내부 하측에 충전되는 분리화약(24) 및, 볼트 몸체(20)의 공구걸림부(25)측에 결합되는 착화기(26)로 구성되며, 상기 슬리브(23)와 착화기(26)는 볼트 몸체(2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볼트 몸체(20)의 나사부(27)와 폭발수단 장착부(21)의 저면(29) 사이에 모서리 절단부(28)가 형성된다.
이러한 슬리브형 폭발볼트는 착화기(26)에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면, 착화기(26)의 작동에 의하여 연결화약(22)이 점화되고, 충전된 분리화약(24)이 기폭되어 폭발볼트는 분리된다.
이때 폭발볼트의 작동 시 생성되는 충격파가 폭발볼트의 모서리 절단부(28)에 집중하게 되어 폭발볼트가 분리되게 된다.
이러한 슬리브형 폭발볼트는 초기 폭발볼트에 비해 매우 진보되었지만 아직 완벽하지 못한 점에 있는데 바로 주장약인 분리화약이 밀봉되지 않아 수분침투에 따른 동작불능상태로 될 염려가 있다는 문제점과, 연결화약(22)이 충전된 슬리브(23)와 착화기(26)의 결합 등의 공정이 복잡하다는 문제점과, 또한 폭발에 관여하는 부품을 분해한 더미로 장착할 경우에도 분리화약(24)은 볼트 몸체(20)에 충전되어 있는 상태로 되기 때문에 폭발에 의한 안전사고 발생의 위험이 내재되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더구나, 상기한 종래의 폭발볼트들은 작동 시 분리화약의 폭발에 의하여 모서리가 절단(깨져나가는 원리)되어 파편 발생이 불가피한 구조이기 때문에 엄청난 파이로 충격(Pyro-shock)을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폭발볼트는 화약 폭발에 의해 모서리가 절단(깨져나가는 원리)되어 분리되는 방식이기 때문에 폭발시 발생하는 고압의 충격파는 주변의 전자장비나 민감한 센서류에 치명적으로 전달되어 오작동 및 고장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으며, 폭발충격에 의한 파편은 유도탄과 충돌에 의해 유도탄 성능에 커다란 악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작업자 및 주변 구조물로 비산되어 안전사고 발생의 위험을 일으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폭발 충격파와 파편이 발생되지 않게 하여 주변의 전자장비나 민감한 센서류를 안전하게 보호함과 동시에 작업자 및 주변 구조물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화약 연소 압력을 이용한 분리뭉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약 연소 압력을 이용한 분리뭉치는, 작동시 수초간 지연 후 화약 연소에 의해 고압의 가스를 발생시키는 화약 트레인을 내장한 압력카트리지와, 상기 압력카트리지의 하단 내주에 결합되어 화약 트레인을 점화시키는 뇌관하우징과, 상기 압력카트리지의 상단 외주에 결합되어 유도탄 꼬리날개와 연결된 좌우 한 쌍의 와이어로프를 걸어서 구속하는 분리뭉치부와, 상기 분리뭉치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압력카트리지의 화약 연소 시 발생되는 고압에 의해 분리뭉치부가 상하 두 쪽으로 이격되면서 좌우 한 쌍의 와이어로프와 분리되도록 상승 작동되는 피스톤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분리뭉치부는, 상기 압력카트리지의 상단에 결합되도록 축홀이 형성된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의 상부에 위치되어 고정브라켓의 축홀을 통해 상부로 돌출된 상기 피스톤의 상단과 결합되는 덮개와, 상기 덮개의 좌우에 각각 힌지되어 상기 고정브라켓의 상면 좌우와 대응되게 결합 또는 분리되면서 상기 좌우 한 쌍의 와이어로프를 구속하는 좌우 한 쌍의 구속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고정브라켓은, 그 축홀의 하부 입구보다 상부 출구가 좁도록 내부 상측에 단차면이 형성되어 있고, 그 상면 좌우에 상기 좌우 한 쌍의 구속핀의 하단이 각각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일정 깊이로 좌우 한 쌍의 구속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정면에 중앙에 상기 축홀에 삽입된 상기 피스톤과 고정브라켓을 고정하였다가 화약 연소 시 발생되는 고압 에너지에 의해 절단되는 고정핀이 관통되도록 고정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덮개는, 그 중앙에 상기 피스톤의 상단이 나사 결합되도록 수직으로 관통된 나사홀이 형성되고, 그 좌우측에 상기 좌우 한 쌍의 구속핀의 상단이 리벳에 의해 힌지되도록 리벳팅홀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좌우 한 쌍의 구속핀은 그 상단이 상기 덮개의 좌우에 리벳에 의해 각각 리벳팅될 때 좌우로 회동가능케 힌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피스톤은 중간 높이를 기점으로 상부보다 하부가 외경이 크도록 단차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피스톤은, 그 상부 작은 외경 상단에 상기 덮개의 중앙측 나사홀에 나사 결합되도록 나사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상부 작은 외경 하단에 상기 고정브라켓의 고정홀을 관통하는 고정핀과 고정되도록 고정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화약 연소 압력을 이용한 분리뭉치는 화약 폭발 시 발생되는 폭발력을 이용하지 않고 화약 연소 시 발생되는 고압을 이용하여 분리뭉치부를 분리하면서 유도탄 꼬리날개와 연결된 와이어로프를 분리할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폭발 충격파와 파편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주변의 전자장비나 민감한 센서류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작업자 및 주변 구조물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약 폭발타입의 폭발볼트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약 폭발타입의 폭발볼트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약 폭발타입의 폭발볼트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약 연소 압력을 이용한 분리뭉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약 연소 압력을 이용한 분리뭉치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약 연소 압력을 이용한 분리뭉치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화약 연소 압력을 이용한 분리뭉치의 작동 전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화약 연소 압력을 이용한 분리뭉치의 작동 후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첨부 도면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화약 연소 압력을 이용한 분리뭉치는, 작동시 수초간 지연 후 화약 연소에 의해 고압의 가스를 발생시키는 화약 트레인(30a)을 내장한 압력카트리지(30)와, 상기 압력카트리지(30)의 하단 내주에 나사 결합되어 화약 트레인(30a)을 점화시키는 뇌관하우징(32)과, 상기 압력카트리지(30)의 하단 외주에 나사 결합되어 당김줄(34)에 의해 발사관과 연결되는 공이조립체(40)와, 상기 압력카트리지(30)의 상단 외주에 나사 결합되어 유도탄 꼬리날개와 연결된 좌우 한 쌍의 와이어로프(36)를 걸어서 구속하는 분리뭉치부(50)와, 상기 분리뭉치부(5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압력카트리지(30)의 화약 연소 시 발생되는 고압에 의해 분리뭉치부(50)가 상하 두 쪽으로 이격되면서 좌우 한 쌍의 와이어로프(36)와 분리되도록 상승 작동되는 피스톤(60)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당김줄(34)의 일측단은 상기 공이조립체(40)의 내부에 연결되고 타측단은 발사관의 일측과 용이하게 연결되도록 링형상의 고리(34a)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공이조립체(40)는, 상기 압력카트리지(30)의 하단 외부에 나사 결합되도록 상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의 몸체(42)와, 상기 몸체(42)의 내부 하측에 삽입되어 몸체(42)의 좌우 측면을 관통하여 외부 하측에서 묶여지는 상기 당김줄(34)이 당겨져 하부 이동될 때 맞닿아 절단시키도록 상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의 블레이드(44)와, 상기 블레이드(44)의 상부 개구를 통해 하부측이 삽입되어 지지되고 상부측이 블레이드(44)의 외부로 돌출되어 코일 형상의 압축스프링(46)과, 상기 압축스프링(46)의 상단 내부로 억지 끼워맞춤되어 상부로 탄발 지지되면서 상기 뇌관하우징(32)의 하부 중앙과 접하며 상기 당김줄(34)에 걸려서 하부로 당겨지는 공이(48)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몸체(42)에는, 그 중간 높이에 상기 당김줄(34)이 통과되어 유턴되면서 상하방향으로 이동되게 안내하도록 좌우 한 쌍의 장홀(42a)이 형성되어 있고, 그 중간 높이에서 하부까지 사이에 대하여 상기 좌우 한 쌍의 장홀(42a)과 일치되는 외부면에 상기 당김줄(34)이 수직방향으로 안내되어 당겨지도록 일정 깊이로 안내홈(42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블레이드(44)의 상단 둘레에는 상기 당김줄(34)이 일정한 힘으로 당겨져 맞닿을 때 절단이 용이하도록 상단으로 갈수록 뾰족한 칼날부(44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이(48)는, 그 중앙 높이에 상기 몸체(42)의 내주면의 안내를 받아 수직으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더(48a)와, 상기 슬라이더(48a)의 상면 중앙에 일체로 돌출되어 상기 뇌관하우징(32)을 타격하도록 끝단이 둥글게 형성된 타격면(48b)과, 상기 슬라이더(48a)의 하면 중앙에 일체로 돌출되어 상기 압축스프링(46)의 상단에 끼워지면서 상기 당김줄(34)이 연결되도록 줄연결홀(48c)이 형성된 결합면(48d)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분리뭉치부(50)는, 상기 압력카트리지(30)의 상단 외주에 나사 결합되면서 상기 피스톤(60)이 삽입 관통되도록 내부 중앙에 상하측으로 관통되는 축홀(52a)이 형성된 고정브라켓(52)과, 상기 고정브라켓(52)의 상부에 위치되어 고정브라켓(52)의 축홀(52a)을 통해 상부로 돌출된 상기 피스톤(60)의 상단과 나사 결합되는 덮개(54)와, 상기 덮개(54)의 좌우에 각각 힌지되어 상기 고정브라켓(52)의 상면 좌우와 대응되게 결합 또는 분리되면서 상기 좌우 한 쌍의 와이어로프(36)를 구속하는 좌우 한 쌍의 구속핀(56)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고정브라켓(52)은 정면에서 볼 때 열십자 형상으로 형성된 블럭체로서, 그 축홀(52a)의 하부 입구보다 상부 출구가 좁도록 내부 상측에 단차면(52b)이 형성되어 있고, 그 상면 좌우에 상기 좌우 한 쌍의 구속핀(56)의 하단이 각각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일정 깊이로 좌우 한 쌍의 구속홈(52c)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정면에 중앙에 상기 축홀(52a)에 삽입된 상기 피스톤(60)과 고정브라켓(52)을 고정하였다가 화약 연소 시 발생되는 고압 에너지에 의해 절단되는 고정핀(58)이 관통되도록 고정홀(52d)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덮개(54)는, 그 중앙에 상기 피스톤(60)의 상단이 나사 결합되도록 수직으로 관통된 나사홀(54a)이 형성되고, 그 좌우측에 상기 좌우 한 쌍의 구속핀(56)의 상단이 리벳(56a)에 의해 힌지되도록 리벳팅홀(54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좌우 한 쌍의 구속핀(56)은 그 상단이 상기 덮개(54)의 좌우에 리벳(56a)에 의해 각각 리벳팅될 때 좌우로 회동가능케 힌지되어 있다.
상기 피스톤(60)은 중간 높이를 기점으로 상부보다 하부가 외경이 크도록 단차가 형성된 것으로서, 그 하부 큰 외경에는 상기 고정브라켓(52)의 하부를 통해 축홀(52a)에 삽입될 때 고압이 축홀(52a)의 상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오링(62)이 끼워져 있고, 그 상부 작은 외경 상단에는 상기 덮개(54)의 중앙측 나사홀(54a)에 나사 결합되도록 나사면(60a)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상부 작은 외경 하단에는 상기 고정브라켓(52)의 고정홀(52d)을 관통하는 고정핀(58)과 고정되도록 고정홀(60b)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은,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화약 연소 압력을 이용한 분리뭉치에 대한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화약 연소 압력을 이용한 분리뭉치가 적용된 도 6과 같은 상태에서 발사관으로부터 유도탄이 발사되면, 발사관의 일측에 고리(34a)를 매개로 연결된 당김줄(34)에 의해 공이조립체(40) 내의 공이(48)가 하부로 당겨지면서 압축스프링(46)을 압축하게 된다.
이때, 공이(48)에 연결된 당김줄(34)은 몸체(42)의 좌우에 형성된 장홀(42a)과 안내홈(42b)의 안내를 받아 하부로 이동되다가 몸체(42)의 내부 하측에 설치된 블레이드(44)의 상단측 칼날부(44a)에 맞닿음과 동시에 도 7과 같이 절단된다.
이에 따라 압축스프링(46)은 공이(48)에 의해 누름력이 해제됨에 따라 상부로 복귀하려는 탄성을 가지게 되며, 이러한 탄발력에 의해 압축스프링(46)의 상단에 결합된 공이(48)가 상부로 순간 이동되면서 뇌관하우징(32)을 타격함으로써 압력카트리지(30)의 내부에 충진된 화약 트레인(30a)을 착화시키게 된다.
이때, 압력카트리지(30) 내의 화약 트레인(30a)은 서서히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고압의 에너지를 도 8에 표시한 화살표 방향과 같이 상부로 토출함으로써 압력카트리지(30)의 상단과 접하는 피스톤(60)을 강한 압력으로 상승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피스톤(60)은 강한 압력에 의해 상승하려는 힘에 의해 피스톤(60)과 고정브라켓(52)을 일시 고정한 고정핀(58)을 절단시키면서 고정브라켓(52)의 축홀(52a)을 따라 상부로 일정 거리 이동함과 동시에 단차면(52b)에 걸려 이동이 정지하게 되고, 이로 인해 피스톤(60)의 상단에 나사 결합된 덮개(54)가 고정브라켓(52)으로부터 상부로 일정 거리 이격되면서 그 좌우측에 리벳(56a)에 의해 힌지된 좌우 한 쌍의 구속핀(56)을 동시 상승시키게 된다.
이때, 좌우 한 쌍의 구속핀(56)은 고정브라켓(52)의 좌우측에 형성된 구속홈(52c)으로부터 동시 분리됨과 동시에 잡아당기는 좌우 한 쌍의 와이어로프(36)로부터 외측으로 회동되면서 그 하부를 통해 빠져나가는 좌우 한 쌍의 와이어로프(36)와 분리된다.
이로 인해 좌우 한 쌍의 와이어로프(36)는 구속핀(56)으로부터 구속력이 상실되기 때문에 발사관으로부터 발사된 유도탄 꼬리날개가 정해진 각도로 펴질 때 간섭을 주지 않게 되고, 유도탄은 펴진 꼬리날개에 의해 목표물을 향해 비행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화약 폭발 시 발생되는 폭발력을 이용하지 않고 압력카트리지(30) 내의 화약 트레인(30a)에서 화약 연소 시 발생되는 고압을 상부로 토출함으로써 피스톤(60)과 고정브라켓(52)을 일시 고정한 고정핀(58)이 절단되고 피스톤(60)이 상승되는 구조와, 피스톤(60)의 상단에 나사 결합된 덮개(54)가 고정브라켓(52)으로부터 상부로 일정 거리 이격되면서 좌우측에 리벳(56a)에 의해 힌지된 좌우 한 쌍의 구속핀(56)을 동시 상승시키는 구조와, 좌우 한 쌍의 구속핀(56)이 고정브라켓(52)의 좌우측에 형성된 구속홈(52c)으로부터 동시 분리됨과 동시에 유도탄 꼬리날개와 연결된 좌우 한 쌍의 와이어로프(36)가 잡아당기는 힘에 의해 외측으로 회동되면서 좌우 한 쌍의 와이어로프(36)와 분리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폭발 충격파와 파편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주변의 전자장비나 민감한 센서류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작업자 및 주변 구조물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30 : 압축스프링 30a : 화약 트레인
32 : 뇌관하우징 34 : 당김줄
34a : 고리 36 : 와이어로프
40 : 공이조립체 42 : 몸체
42a : 장홀 42b : 안내홈
44 : 블레이드 44a : 칼날부
46 : 압축스프링 48 : 공이
48a : 슬라이더 48b : 타격면
48c : 줄연결홀 48d : 결합면
50 : 분리뭉치부 52 : 고정브라켓
52a : 축홀 52b : 단차면
52c : 구속홈 52d : 고정홀
54 : 덮개 54a : 나사홀
54b : 리벳팅홀 56 : 구속핀
56a : 리벳 58 : 고정핀
60 : 피스톤 60a : 나사면
60b : 고정홀 62 : 오링

Claims (7)

  1. 작동시 수초간 지연 후 화약 연소에 의해 고압의 가스를 발생시키는 화약 트레인(30a)을 내장한 압력카트리지(30)와,
    상기 압력카트리지(30)의 하단 내주에 결합되어 화약 트레인(30a)을 점화시키는 뇌관하우징(32)과,
    상기 압력카트리지(30)의 상단 외주에 결합되어 유도탄 꼬리날개와 연결된 좌우 한 쌍의 와이어로프(36)를 걸어서 구속하는 분리뭉치부(50)와,
    상기 분리뭉치부(5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압력카트리지(30)의 화약 연소 시 발생되는 고압에 의해 분리뭉치부(50)가 상하 두 쪽으로 이격되면서 좌우 한 쌍의 와이어로프(36)와 분리되도록 상승 작동되는 피스톤(6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약 연소 압력을 이용한 분리뭉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리뭉치부(50)는,
    상기 압력카트리지(30)의 상단 외주에 나사 결합되면서 상기 피스톤(60)이 삽입 관통되도록 내부 중앙에 상하측으로 관통되는 축홀(52a)이 형성된 고정브라켓(52)과,
    상기 고정브라켓(52)의 상부에 위치되어 고정브라켓(52)의 축홀(52a)을 통해 상부로 돌출된 상기 피스톤(60)의 상단과 나사 결합되는 덮개(54)와,
    상기 덮개(54)의 좌우에 각각 힌지되어 상기 고정브라켓(52)의 상면 좌우와 대응되게 결합 또는 분리되면서 상기 좌우 한 쌍의 와이어로프(36)를 구속하는 좌우 한 쌍의 구속핀(56)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약 연소 압력을 이용한 분리뭉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52)은,
    그 축홀(52a)의 하부 입구보다 상부 출구가 좁도록 내부 상측에 단차면(52b)이 형성되어 있고,
    그 상면 좌우에 상기 좌우 한 쌍의 구속핀(56)의 하단이 각각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일정 깊이로 좌우 한 쌍의 구속홈(52c)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정면에 중앙에 상기 축홀(52a)에 삽입된 상기 피스톤(60)과 고정브라켓(52)을 고정하였다가 화약 연소 시 발생되는 고압 에너지에 의해 절단되는 고정핀(58)이 관통되도록 고정홀(52d)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약 연소 압력을 이용한 분리뭉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덮개(54)는,
    그 중앙에 상기 피스톤(60)의 상단이 나사 결합되도록 수직으로 관통된 나사홀(54a)이 형성되고,
    그 좌우측에 상기 좌우 한 쌍의 구속핀(56)의 상단이 리벳(56a)에 의해 힌지되도록 리벳팅홀(54b)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약 연소 압력을 이용한 분리뭉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좌우 한 쌍의 구속핀(56)은 그 상단이 상기 덮개(54)의 좌우에 리벳(56a)에 의해 각각 리벳팅될 때 좌우로 회동가능케 힌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약 연소 압력을 이용한 분리뭉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60)은 중간 높이를 기점으로 상부보다 하부가 외경이 크도록 단차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약 연소 압력을 이용한 분리뭉치.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60)은,
    그 상부 작은 외경 상단에 상기 덮개(54)의 중앙측 나사홀(54a)에 나사 결합되도록 나사면(60a)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상부 작은 외경 하단에는 상기 고정브라켓(52)의 고정홀(52d)을 관통하는 고정핀(58)과 고정되도록 고정홀(60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약 연소 압력을 이용한 분리뭉치.
KR1020160130717A 2016-10-10 2016-10-10 화약 연소 압력을 이용한 분리뭉치 KR1019174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0717A KR101917428B1 (ko) 2016-10-10 2016-10-10 화약 연소 압력을 이용한 분리뭉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0717A KR101917428B1 (ko) 2016-10-10 2016-10-10 화약 연소 압력을 이용한 분리뭉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9432A KR20180039432A (ko) 2018-04-18
KR101917428B1 true KR101917428B1 (ko) 2018-11-09

Family

ID=62082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0717A KR101917428B1 (ko) 2016-10-10 2016-10-10 화약 연소 압력을 이용한 분리뭉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742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29575A (ja) 2004-07-21 2006-02-02 Agency For Defense Development 爆発ボル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29575A (ja) 2004-07-21 2006-02-02 Agency For Defense Development 爆発ボル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9432A (ko) 2018-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0582B1 (ko) 40mm 연습탄
RU2489672C2 (ru) Дробильный патрон с пороховым зарядом для горных пород
KR101917427B1 (ko) 유도탄용 꼬리날개 고정장치
KR101078153B1 (ko) 유탄의 자폭장치
US9841263B2 (en) Method for initiating thermal battery having high-height drop safety feature
CN112461056B (zh) 一种具有撞击击发功能的机械起爆器
KR101887274B1 (ko) 비전기식 지연/압력카트리지
CN105875298A (zh) 一种人工新型防雹增雨弹
RU2399869C1 (ru) Авиационный реакционно-инерционный взрыватель
KR101917428B1 (ko) 화약 연소 압력을 이용한 분리뭉치
US8763723B2 (en) Cartridge for breaking rock
RU2749254C1 (ru) Режущее устройство
KR101519387B1 (ko) 유탄의 독립형 자폭장치, 슬라이더의 장전위치 고정부 및 이를 포함하는 유탄
JP6726848B2 (ja) 点火安全装置
CN113324442B (zh) 一体式机械起爆器和爆破阀药筒驱动装置
US11320247B2 (en) Stand-off breaching round
CN221198215U (zh) 一种未爆弹销毁装置
CN220938871U (zh) 一种有线精确控制近地距离空爆的灭火弹
RU272890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единения и последующего разделения элементов конструкции
RU2537367C2 (ru) Выпрыгивающий боеприпас с управляемой дистанцией подрыва и пусковая установка для него
US2335763A (en) Safety device for aerial bombs
KR20180018029A (ko) 원격 격발 수류탄
KR100555897B1 (ko) 발사체
RU2202764C2 (ru) Взрывное устройство механического типа
KR20210144220A (ko) 비전기뇌관 점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