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7329B1 - 열 방출이 원활한 구조를 가지는 ip 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객체 검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열 방출이 원활한 구조를 가지는 ip 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객체 검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7329B1
KR101917329B1 KR1020170145935A KR20170145935A KR101917329B1 KR 101917329 B1 KR101917329 B1 KR 101917329B1 KR 1020170145935 A KR1020170145935 A KR 1020170145935A KR 20170145935 A KR20170145935 A KR 20170145935A KR 101917329 B1 KR101917329 B1 KR 1019173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frame
module
alignment support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5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경석
박병규
전영춘
김성룡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리소프트
대전광역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리소프트, 대전광역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리소프트
Priority to KR1020170145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73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7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73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5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with provision for heating or cooling, e.g. in aircraft
    • G06K9/325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3Scene text, e.g. street n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5/22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번호인식과 객체 동영상 획득이 하나의 IP 카메라로 이루어지는 객체 검지 시스템 및 IP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서, 이미지 센서 모듈(110)과, 이미지를 메모리에 저장하여 백업시키는 H/W 제어모듈(120)과, RAW 데이터를 암호화 하는 암호화 모듈(130)과, IR Cutfilter switcher(140)와, 영상 압출 모듈(150)과, 상기 이미지 센서 모듈(110)과 H/W 제어모듈(120)과 암호화 모듈(130)과 IR Cutfilter switcher(140) 및 영상 압축 모듈(150)이 소자 형태로 실장된 기판(162)과, 기판(162)과 기판(162) 간을 정렬시키는 기판(162) 정렬 지지모듈 및, 기판(162)이 내장되는 방열 케이스(160)로 구성되는 IP 카메라(100)와, IP 카메라(100)와 연결되는 컨트롤 패널(200) 및, 컨트롤 패널(200)에 연결되어 상기 IP 카메라(100)에서 압축 및 암호화된 데이터 각각에 번호를 부여하여 저장시키는 번호인식 센터(410)와, 인코딩된 동영상을 저장하는 동영상 센터(420)로 구성되는 센터부(400)로 이루어짐으로써, 하나의 카메라로 번호인식과 객체 영상 이미지 획득이 모두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카메라의 설치 개수를 비약적으로 줄일 수 있고, 또한 IP 카메라 자체는 기판 간의 정렬 결합 및 기판 간의 신호 전달과 기판 사이의 열 방출이 간단한 구성으로 모두 이루어지는 객체 검지 시스템 및 IP 카메라를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열 방출이 원활한 구조를 가지는 IP 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객체 검지 시스템{IP camera has smoothly-heat-releasing structure and object scanning system using it}
본 발명은 번호인식과 객체 동영상 획득이 하나의 IP 카메라로 이루어지는 객체 검지 시스템 및 IP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IP 카메라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네트워크에 연결이 되어 있어 PC나 모바일, 스마트폰 등의 기기로 즉시 영상을 송출할 수 있는 카메라이다. IP 카메라는 카메라 본체, 카메라 모듈, CPU, 디코더(decoder), 영상 압축 칩, 네트워크 전송 칩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네트워크 카메라'라고도 불린다.
IP 카메라 시스템 또는 IP 카메라를 이용한 CCTV 시스템은 녹화를 먼저 한 이후에 필요한 부분을 찾아봐야 하는 종래의 CCTV 시스템과 달리 실시간으로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과거에는 주로 사무실 등에서 감시 용도로 쓰였지만, 최근에는 홈 네트워크와 연동되어 집 안에 아이나 애완동물을 두고 외출하는 부모들이 많이 사용하는 등 가정에서의 사용량이 점점 늘고 있다. 또한 이동하는 객체의 검지가 가능하고 또한 촬영 주체가 이동하면서 정지 및 이동 객체의 검지가 가능하므로 주차위반, 교통상황 감시 및 범죄 수사 등에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주차단속 또는 신호위반 차량 검지를 위한 종래의 IP 카메라 시스템의 경우에는 차량의 번호를 인식하는 카메라와 차량 자체를 검지하는 동영상 촬영 카메라가 서로 분리되어 있어 설치되는 카메라의 수량이 많아 시스템 설치비용이 큰 문제가 있다.
또한 IP 카메라는 고정 위치에 설치되거나 이동 차량에 설치되거나 모든 경우에 외부 환경에 장시간 노출되므로 잦은 유지 보수가 필요할 수 있고, 또한 카메라 설치 대수가 많으므로 내부 기판의 노후화로 인한 교체가 수시로 필요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IP 카메라는 도 1의 사진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기판과 기판 간에 볼트로 결합되어 있어 기판의 분리를 위해서는 볼트를 일일이 해체 해 줘야 하고, 볼트 결합으로 인한 구조적인 문제로 기판 사이 간격이 좁으므로 기판에서 발생되는 열이 방출되기 힘든 구조를 가지며, 또한 기판과 하우징 간의 결합도 볼트 결합으로 이루어지므로 부품의 노후로 인한 교체작업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하나의 카메라로 번호인식과 객체 영상 이미지 획득이 모두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기판 간의 결합이 간단한 착탈식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기판 간의 신호 전달 및 기판 사이의 열 방출도 원활한 구조를 가지는 IP 카메라 시스템의 개발이 요청된다.
특허등록공보 제10-1589823호(등록일자: 2016. 01. 22)
이에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써, 하나의 카메라로 번호인식과 객체 영상 이미지 획득이 모두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기판 간의 결합이 간단한 착탈식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기판 간의 신호 전달 및 기판 사이의 열 방출도 원활한 구조를 가지는 IP 카메라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IP 카메라 시스템은 객체를 검지한 검지 이미지를 RAW 데이터 형태로 획득하여 어느 하나의 객체에 번호를 인식시켜 제공하는 이미지 센서 모듈과, 상기 검지 이미지를 메모리에 저장하여 백업시키는 H/W 제어모듈과, 상기 RAW 데이터를 암호화 하는 암호화 모듈과, 객체 이미지의 감도를 높이기 위한 IR Cutfilter switcher와, 영상 압출 모듈과, 상기 이미지 센서 모듈과 H/W 제어모듈과 암호화 모듈과 IR Cutfilter switcher 및 영상 압축 모듈을 소자 형태로 실장시키는 기판과, 기판과 기판 간을 정렬시키는 기판 정렬 지지모듈 및, 기판이 내장되는 방열 케이스로 구성되는 IP 카메라와, 상기 IP 카메라와 연결되는 컨트롤 패널 및, 상기 컨트롤 패널에 연결되어 상기 IP 카메라에서 압축 및 암호화된 데이터 각각에 번호를 부여하여 저장시키는 번호인식 센터와, 인코딩된 동영상을 저장하는 동영상 센터로 구성되는 센터부로 구성되되, 상기 기판 정렬 지지모듈은 둘 이상의 기판 사이를 복수개의 핀이 연결시킴으로써, 기판과 기판 간의 정열과 신호 교환 및 방열 공간이 확보될 수 있는게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기판 정렬 지지모듈은 바람직하게는 기판과 기판 사이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연결시키면서, 기판과 기판 간에 아날로그 및 디지털 신호를 전달시키는 복수개의 정렬지지 핀과, 정렬지지 핀으로 정렬 및 연결된 기판을 외부에서 고정시켜 기판의 위치를 유지시키는 프레임 및, 프레임과 기판을 보호하면서 기판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시키는 방열 핀이 표면에 형성되는 케이스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정렬지지 핀은 기판의 양 단에 설치되되, 정렬지지 핀의 방향은 기판 면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렬 지지핀을 단부끼리 나란하게 연결시키는 연결소켓이 구비되어 정렬 지지핀이 2단 이상으로 설치됨으로써 기판과 기판 사이에 발생되는 열의 양에 따라 기판 간의 간격을 조절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프레임의 내벽에는 바람직하게는 기판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게 기판의 양 측 단부가 내포될 수 있는 슬라이드 홈이 설치되고, 슬라이드 홈은 기판이 상기 정렬지지 핀으로 인하여 상부 기판과 하부 기판이 연결된 형태로 프레임에 조립될 수 있게 상부 기판의 양 측이 삽입되는 상부 슬라이드 홈과 하부 기판의 양 측이 삽입되는 하부 슬라이드 홈이 양 측에 형성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슬라이드 홈 및 하부 슬라이드 홈에는 상부 기판과 하부 기판이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정렬시키는 안착 홈이 각각 형성된다.
특히 상기 안착 홈은 바람직하게는 원호의 일부를 이루는 형상의 곡면 벽으로 인하여 상부 또는 하부 슬라이드 홈 방향을 향하여 개방되는 형상의 삽입 홈과 밀폐된 스프링 격실로 나누어지고, 삽입 홈의 내측에는 프레임의 외부로부터 프레임의 측면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푸시 암이 설치되며, 푸시 암에는 푸시 암에 직각 방향으로 돌출되어 스프링 격실까지 연장되는 탄성전달 암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곡면 벽에는 탄성전달 암이 가변될 수 있는 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 격실 내부에는 탄성전달 암을 프레임의 외측으로 밀어내는 제1돌출스프링이 설치되어 프레임 외부에서 푸시 암의 일단을 누르면 푸시 암의 타단이 프레임 내측으로 들어갔다가 푸시 암의 누름을 해제시키면 푸시 암이 프레임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복귀되고, 상기 상부 및 하부 기판의 측면에는 삽입 홈의 형상에 대응되는 삽입 편과, 삽입 편이 수납되는 삽입 편 수납 홀 및, 삽입 편을 기판의 외측으로 밀어내는 제2복귀스프링이 설치되어, 상기 정렬지지 핀으로 결합된 두 개의 기판이 프레임과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될 때 기판에 설치된 삽입 편이 삽입 홈과 만나는 위치에 기판이 도달되면 삽입 편이 제2복귀스프링의 작용으로 삽입 홈 내부로 돌출되면서 삽입됨으로써, 상부 기판과 하부 기판은 정렬지지 핀으로 정렬 된 상태가 정확하게 유지되면서 프레임 내부에 고정되게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IP 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객체 검지 시스템은 하나의 카메라로 번호인식과 객체 영상 이미지 획득이 모두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카메라의 설치 개수를 비약적으로 줄일 수 있고, 또한 IP 카메라 자체는 기판 간의 정렬 결합 및 기판 간의 신호 전달과 기판 사이의 열 방출이 간단한 구성으로 모두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IP 카메라의 기판 간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사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검지 시스템의 결합관계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검지 시스템의 구성별 작용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IP 카메라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IP 카메라의 정단면도,
도 6은 도 5에서 프레임의 사시도,
도 7은 안착홈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도 7의 평단면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설명은 IP 카메라(100)를 이용한 객체 검지 시스템 전체를 설명하면서 IP 카메라(100)에 대한 설명을 함께 하는 방법으로 서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IP 카메라(100)를 이용한 객체 검지 시스템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IP 카메라(100)와, 컨트롤 패널(200)과, 센터부(400)로 구성된다.
여기서 IP 카메라(100)는 객체를 검지한 검지 이미지를 RAW 데이터 형태로 획득하여 어느 하나의 객체에 번호를 인식시켜 제공하는 이미지 센서 모듈(110)과, 검지 이미지를 메모리에 저장하여 백업시키는 H/W 제어모듈(120)과, RAW 데이터를 암호화 하는 암호화 모듈(130)과, 객체 이미지의 감도를 높이기 위한 IR Cutfilter switcher(140)와, 영상 압출 모듈(150)과, 이미지 센서 모듈(110)과 H/W 제어모듈(120)과 암호화 모듈(130)과 IR Cutfilter switcher(140) 및 영상 압축 모듈(150)이 소자 형태로 실장된 기판(162)과, 기판(162)과 기판(162) 간을 정렬시키는 기판(162) 정렬 지지모듈 및, 기판(162)이 내장되는 방열 케이스(160)로 이루어진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IP 카메라(100)로 번호인식과 동영상 획득이 모두 이루어질 수 있도록 IP 카메라(100) 내부에 객체 검지 알고리즘이 탑재된다. 여기서 획득된 동영상은 영상 압출 모듈(150)에서 인코딩되어 후술하게 될 센터부(400)로 전송된다.
센터부(400)는 컨트롤 패널(200)에 연결되어 IP 카메라(100)에서 압축 및 암호화된 데이터 각각에 차량번호를 부여하여 저장시키는 번호인식 센터(410)와, 인코딩된 동영상을 저장하는 동영상 센터(420)로 이루어진다.
이때 IP 카메라(100)와 센터부는 이더넷 네트워크(300)로 연결되고 이더넷 네트워크(300)에 컨트롤 패널(200)이 설치되어 센터부(400)에 저장된 동영상을 불러올 수 있으며, 인코딩되어 동영상 센터에 저장된 각각의 동영상은 번호인식 센터(410)에서 인식된 번호를 불러오면 이에 대응되는 동영상이 함께 불러내어 질 수 있다.
그리고 IR cutfilter switcher(140)는 적외선 차단 필터를 자동으로 적용시키거나 제거시키는 구성이다. 주간에는 이미지의 색상이 정확하게 재현되기 위해서는 어떤 카메라든 적외선 차단 필터가 사용되어야 한다. 즉 광원이 충분한 시간에는 이미지가 과다노출 되지 않고 색상이 정확하게 재현될 수 있게 적외선 차단 필터를 자동으로 적용시켜야 하는 것이다. 반면 야간에는 광원이 부족하므로 적외선 차단 필터가 자동으로 제거되어 감도가 높아진다.
한편 IP 카메라(100)에서 상기 기판(162) 정렬 지지모듈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62)과 기판(162) 사이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연결시키면서, 기판(162)과 기판(162) 간에 아날로그 및 디지털 신호를 전달시키는 복수개의 정렬지지 핀(1642)과, 정렬지지 핀(1642)으로 정렬 및 연결된 기판(162)을 외부에서 고정시켜 기판(162)의 위치를 유지시키는 프레임(161) 및, 프레임(161)과 기판(162)을 보호하면서 기판(162)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시키는 방열 핀(1631)이 표면에 형성되는 방열 케이스(16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정렬지지 핀(164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62)의 양 단에 설치되어 기판(162) 간의 연결을 견고하게 유지시켜 준다. 또한 정렬지지 핀(1642)은 기판(162)과 기판(162) 사이에서 아날로그 신호 및 디지털 신호가 서로 전송 및 교환되는 통로로서 작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정렬 지지 핀(1642)의 설치로 인하여 기판(162) 간의 연결구조가 견고하게 유지됨과 함께, 기판(162) 간의 신호전달을 위한 별도의 신호전달 기판이나 하드 와이어링 또는 측면 신호전달 홀을 제작할 필요가 없게 되며, 두 기판(162)의 정렬지지 작용과 기판(162) 간의 신호전달 작용이 하나의 구성으로 수행됨으로써, 기판(162) 사이에 공간이 확보될 수 있어 기판(162)에서 발생되는 열이 용이하게 방출되므로 기판(162)에 탑재된 소자 및 회로의 내구성이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정렬 지지 핀(1642)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62)이 상부와 하부로 배치될 때 두 기판(162)을 수직으로 연결시키는데, 이때 정렬 지지 핀(1642)을 단부끼리 나란하게 연결시키는 연결소켓(1643)이 구비되어, 정렬 지지 핀(1642)이 2단 이상으로 설치됨으로써 기판(162)과 기판(162) 사이에 발생되는 열의 양에 따라 기판(162) 간의 간격을 조절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자세히 도시되진 않았으나 연결소켓(1643) 내부에는 상부의 정렬 지지 핀(1642)과 하부의 정렬 지지 핀(1642) 간에 신호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게 제작된다.
그리고 정렬 지지 핀(1642)과 기판 간의 결합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소켓(1641)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부와 하부의 기판(162)은 정렬 지지 핀(1642)으로 인하여 정렬되고 연결 형태가 유지될 수 있지만 이 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해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61)이 구비된다.
프레임(161)의 내벽에는 기판(162)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게 기판(162)의 양 측 단부가 내포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프레임(161)에 결합될 수 있도록 슬라이드 홈(1612,1613)이 형성된다. 따라서 프레임(161)과 기판(162) 간의 결합 또한 볼트 방식에 의존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프레임(161)과 기판(162)의 탈착이 극히 용이하게 된다. 이때 슬라이드 홈(1612,1613)은 상부 기판(162)과 하부 기판(162) 모두에 대응될 수 있게 상부 슬라이드 홈(1612)과 하부 슬라이드 홈(1613)이 각각 형성된다.
그런데 상부기판(162-1)과 하부기판(162-2)가 정렬 지지 핀(1642)으로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프레임(161)과 조립되어야 하는데 이 경우 상부 기판(162) 또는 하부기판(162-2) 중 어느 하나가 프레임(161)에 더 깊게 삽입되고 나머지 하나가 덜 깊게 삽입된다면 정렬 지지 핀(1642)이 기울어지면서 정렬 작용이 불안정해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정렬 지지 핀(1642)으로 결정된 상부기판(162-1)과 하부기판(162-2)의 상대적 위치가 서로 유지된 상태에서 안정되게 프레임(161)에 삽입되어야 하므로 상부기판(162-1)과 하부기판(162-2)가 프레임(161)에 삽입될 때 정확하게 결합되는 위치에서 상부기판(162-1)과 하부기판(162-2)가 정지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발명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슬라이드 홈(1612)과 하부 슬라이드 홈(1613)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안착 홈(1614a,1614b)이 형성되고, 상부기판(162-1)과 하부기판(162-2)의 측면에는 안착 홈(1614a,1614b)에 삽입되는 삽입편(1624)이 설치됨으로써, 프레임(161)에 삽입되는 상부기판(162-1)과 하부기판(162-2)는 서로 간의 상대위치가 유지되면서 프레임(161)에 고정되게 조립됨으로써 정렬 지지 핀(1642)의 수직 상태가 유지되어 상부기판(162-1)과 하부기판(162-2) 간의 신호전달 작용 또한 안정적으로 이루어져 카메라의 신뢰성과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부기판(162-1)과 하부기판(162-2)의 상하 간격은 정렬 지지 핀(1642)의 길이로 결정되고, 프레임(161)에 형성된 상부 슬라이드 홈(1612)과 하부 슬라이드 홈(1613)의 간격은 상부기판(162-1)과 하부기판(162-2)의 간격에 대응되게 형성됨으로써, 상부기판(162-1)과 하부기판(162-2) 사이의 공간이 확보될 수 있게 되므로 상부 또는 하부기판(162-2)에서 발생되는 열이 용이하게 방출될 수 있다. 이로써 IP 카메라(100)의 내구성은 종래에 비해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다.
안착 홈(1614a,1614b)과 삽입편(1624) 간의 형상과 작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 홈(1614a,1614b)은 원호의 일부를 이루는 형상의 곡면 벽(1616)으로 인하여 상부 또는 하부 슬라이드 홈(1613) 방향을 향하여 개방되는 형상의 삽입 홈(1614a)과 밀폐된 스프링 격실(1614b)로 나누어진다.
여기서 삽입 홈(1614a)의 내측에는 프레임(161)의 외부로부터 프레임(161)의 측면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푸시 암(1618)이 설치되며, 푸시 암(1618)에는 푸시 암(1618)에 직각 방향으로 돌출되어 스프링 격실(1614b)까지 연장되는 탄성전달 암(1619)이 돌출 형성되고, 곡면 벽(1616)에는 탄성전달 암(1619)이 가변될 수 있는 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 격실(1614b) 내부에는 탄성전달 암(1619)을 프레임(161)의 외측으로 밀어내는 제1돌출스프링(1615)이 설치되어 프레임(161) 외부에서 푸시 암(1618)의 일단을 누르면 푸시 암(1618)의 타단이 프레임(161) 내측으로 들어갔다가 푸시 암(1618)의 누름을 해제시키면 푸시 암(1618)이 프레임(16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복귀된다.
그리고 상부 및 하부 기판(162)의 측면에는 삽입 홈(1614a)의 형상에 대응되는 삽입편(1624)과, 삽입편(1624)이 수납되는 삽입편(1624) 수납 홀 및, 삽입편(1624)을 기판(162)의 외측으로 밀어내는 제2돌출스프링(1625)이 설치된다.
이때 정렬 지지 핀(1642)으로 결합된 두 개의 기판(162)이 프레임(161)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될 때 기판(162)에 설치된 삽입편(1624)이 삽입 홈(1614a)과 만나는 위치에 도달되면 삽입편(1624)이 제2돌출스프링(1625)의 작용으로 삽입 홈(1614a) 내부로 삽입됨으로써, 상부 기판(162)과 하부 기판(162)은 정렬지지 핀(1642)으로 정렬 된 상태가 정확하게 유지되면서 프레임(161) 내부에 정확한 정렬 위치에 안착된다.
즉, 정렬 지지 핀(1642)으로 결합된 두 개의 기판(162)이 프레임(161)과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될 때 기판(162)에 설치된 삽입편(1624)이 삽입 홈(1614a)과 만나는 위치에 기판(162)이 도달되면 삽입편(1624)이 제2돌출스프링(1625)의 작용으로 삽입 홈(1614a) 내부로 돌출되면서 삽입됨으로써, 상부 기판(162)과 하부 기판(162)은 정렬지지 핀(1642)으로 정렬 된 상태가 정확하게 유지되면서 프레임(161) 내부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이 경우 푸시 암(1618)은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61)의 외부로 돌출되는 스위치에 해당되어, 상부 및 하부 기판(162)을 프레임(161)으로부터 분리시키고자 할 경우, 푸시 암(1618)의 일단을 외부에서 눌러주면 푸시 암(1618)의 타단이 삽입편(1624)을 상부 또는 하부기판(162-1,162-2) 측면에 형성된 스프링 격실(1614b) 내부로 밀어 넣음으로써 상부 또는 하부기판(162-1,162-2)과 프레임(161)의 조립이 해체되어 상부 또는 하부기판(162-1,162-2)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프레임(161)으로부터 빠져나가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푸시 암(1618)은 프레임(161) 외부로 돌출되므로, 프레임(161)이 방열 케이스(163)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방열 케이스(163)에 걸리지 않도록 방열 케이스(163)의 내벽에는 푸시 암(1618)이 통과 가능한 슬라이드 홈이 형성된다.(미도시)
그런데 프레임(161)에 상부 및 하부기판(162-1,162-2)을 밀어 넣는 과정에서 부드럽게 삽입될 수 있게 삽입편(1624)는 삽입방향을 향하여 4분의 1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삽입 홈(1614a)은 그에 대응되게 동일한 4분의 1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지만, 일단 삽입편(1624)이 삽입 홈(1624a)에 삽입되고 나면 상부 또는 하부기판(162-1,162-2)이 더 이상 전진이나 후진되면 안되므로 삽입 홈(1624a)의 전방 측과 후방 측에는 각각 수직 벽이 형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문제가 해결될 수 있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 홈(1624a)에는 전방 수직 벽(1614a-1)과 후방 수직 벽(1614a-2)가 형성되어, 일단 삽입편(1624)이 삽입 홈(1624a)에 삽입 된 후에는 전진이나 후진이 차단되므로 상부 및 하부 기판(162-1,162-2)은 프레임 내부에서 정렬이 유지되는 정확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슬릿(1617)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전달 암(1619)이 곡면 벽(1616)에도 불구하고 가변될 수 있는 통로로 형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0 : IP 카메라 110 : 이미지 센서 모듈
120 : H/W 제어모듈 130 : 암호화 모듈
140 : IR cutfilter switcher 150 : 영상 압출 모듈
160 : 방열 케이스 161 : 프레임
162 : 기판 163 : 방열 케이스
164 : 정렬지지 수단 165 : 이미지 센서 모듈
200 : 컨트롤 패널 300 : 이더넷 네트워크
400 : 센터부 410 : 번호인식 센터
420 : 동영상 센터 1612 : 상부 슬라이드 홈
1613 : 하부 슬라이드 홈 1614a : 삽입 홈
1614a-1 : 전방 수직 벽 1614a-2 : 후방 수직 벽
1614b : 스프링 격실 1615 : 제1돌출스프링
1616 : 곡면 벽 1617 : 슬릿
1618 : 푸시 암 1619 : 탄성전달 암
1622 : 삽입편 수납 홀 1624 : 삽입편
1625 : 제2복귀 스프링 1631 : 방열 핀
1641 : 고정 소켓 1642 : 정렬 지지 핀
1643 : 연결 소켓

Claims (11)

  1. 객체를 검지한 검지 이미지를 RAW 데이터 형태로 획득하여 어느 하나의 객체에 번호를 인식시켜 제공하는 이미지 센서 모듈(110)과, 상기 검지 이미지를 메모리에 저장하여 백업시키는 H/W 제어모듈(120)과, 상기 RAW 데이터를 암호화 하는 암호화 모듈(130)과, 객체 이미지의 감도를 높이기 위한 IR Cutfilter switcher(140)와, 영상 압출 모듈(150)과, 상기 이미지 센서 모듈(110)과 H/W 제어모듈(120)과 암호화 모듈(130)과 IR Cutfilter switcher(140) 및 영상 압축 모듈(150)이 소자 형태로 실장된 기판(162)과, 기판(162)과 기판(162)간을 정렬시키는 기판(162) 정렬 지지모듈 및, 기판(162)이 내장되는 방열 케이스(160)로 구성되는 IP 카메라(100)와;
    상기 IP 카메라(100)와 연결되는 컨트롤 패널(200); 및,
    상기 컨트롤 패널(200)에 연결되어 상기 IP 카메라(100)에서 압축 및 암호화된 데이터 각각에 번호를 부여하여 저장시키는 번호인식 센터(410)와, 인코딩된 동영상을 저장하는 동영상 센터(420)로 구성되는 센터부(400);로 구성되되,
    상기 기판(162) 정렬 지지모듈은 기판(162)과 기판(162) 사이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연결시키면서, 기판(162)과 기판(162) 간에 아날로그 및 디지털 신호를 전달시키는 복수개의 정렬 지지 핀(1642)과, 정렬지지 핀(1642)으로 정렬 및 연결된 기판(162)을 외부에서 고정시켜 기판(162)의 위치를 유지시키는 프레임(161) 및, 프레임(161)과 기판(162)을 보호하면서 기판(162)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시키는 방열 핀(1631)이 표면에 형성되는 케이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 카메라(100)를 이용한 객체 검지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 지지 핀(1642)은 기판(162)의 양 단에 설치되되, 정렬 지지 핀(1642)의 방향은 기판(162) 면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정렬 지지 핀(1642)을 단부끼리 나란하게 연결시키는 연결소켓(1643)이 구비되어 정렬 지지 핀(1642)이 2단 이상으로 설치됨으로써 기판(162)과 기판(162) 사이에 발생되는 열의 양에 따라 기판(162) 간의 간격을 조절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 카메라(100)를 이용한 객체 검지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61)의 내벽에는 기판(162)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게 기판(162)의 양 측 단부가 내포될 수 있는 슬라이드 홈(1612,1613)이 설치되고,
    슬라이드 홈(1612,1613)은 기판(162)이 상기 정렬지지 핀(1642)으로 인하여 상부 기판(162)과 하부 기판(162)이 연결된 형태로 프레임(161)에 조립될 수 있게 상부 기판(162)의 양 측이 삽입되는 상부 슬라이드 홈(1612)과 하부 기판(162)의 양 측이 삽입되는 하부 슬라이드 홈(1613)이 양 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 카메라(100)를 이용한 객체 검지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슬라이드 홈(1612) 및 하부 슬라이드 홈(1613)에는 상부 기판(162)과 하부 기판(162)이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정렬시키는 안착 홈(1614a,1614b)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 카메라(100)를 이용한 객체 검지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 홈(1614a,1614b)은 원호의 일부를 이루는 형상의 곡면 벽(1616)으로 인하여 상부 또는 하부 슬라이드 홈(1613) 방향을 향하여 개방되는 형상의 삽입 홈(1614a)과 밀폐된 스프링 격실(1614b)로 나누어지고, 삽입 홈(1614a)의 내측에는 프레임(161)의 외부로부터 프레임(161)의 측면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푸시 암(1618)이 설치되며, 푸시 암(1618)에는 푸시 암(1618)에 직각 방향으로 돌출되어 스프링 격실(1614b)까지 연장되는 탄성전달 암(1619)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곡면 벽(1616)에는 탄성전달 암(1619)이 가변될 수 있는 슬릿(1617)이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 격실(1614b) 내부에는 탄성전달 암(1619)을 프레임(161)의 외측으로 밀어내는 제1돌출스프링(1615)이 설치되어 프레임(161) 외부에서 푸시 암(1618)의 일단을 누르면 푸시 암(1618)의 타단이 프레임(161) 내측으로 들어갔다가 푸시 암(1618)의 누름을 해제시키면 푸시 암(1618)이 프레임(16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복귀되고,
    상기 상부 및 하부 기판(162)의 측면에는 삽입 홈(1614a)의 형상에 대응되는 삽입편(1624)과, 삽입편(1624)이 수납되는 삽입편(1624) 수납 홀 및, 삽입편(1624)을 기판(162)의 외측으로 밀어내는 제2돌출스프링(1625)이 설치되어,
    상기 정렬지지 핀(1642)으로 결합된 두 개의 기판(162)이 프레임(161)과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될 때 기판(162)에 설치된 삽입편(1624)이 삽입 홈(1614a)과 만나는 위치에 기판(162)이 도달되면 삽입편(1624)이 제2돌출스프링(1625)의 작용으로 삽입 홈(1614a) 내부로 돌출되면서 삽입됨으로써, 상부 기판(162)과 하부 기판(162)은 정렬지지 핀(1642)으로 정렬 된 상태가 정확하게 유지되면서 프레임(161) 내부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 카메라(100)를 이용한 객체 검지 시스템.
  7. 렌즈가 탑재된 카메라 모듈과;
    객체를 검지한 검지 이미지를 RAW 데이터 형태로 획득하여 어느 하나의 객체에 번호를 인식시켜 제공하는 이미지 센서 모듈(110)과;
    상기 검지 이미지를 메모리에 저장하여 백업시키는 H/W 제어모듈(120)과;
    상기 RAW 데이터를 암호화 하는 암호화 모듈(130)과;
    객체 이미지의 감도를 높이기 위한 IR Cutfilter switcher(140)와;
    영상 압출 모듈(150)과;
    상기 이미지 센서 모듈(110)과 H/W 제어모듈(120)과 암호화 모듈(130)과 IR Cutfilter switcher(140) 및, 영상 압축 모듈(150)이 소자 형태로 실장된 두 개의 기판(162)과;
    상기 두 개의 기판(162)을 상하로 정렬시키는 기판(162) 정렬 지지모듈; 및
    기판(162)이 내장되는 방열 케이스(160);로 구성되되,
    상기 기판(162) 정렬 지지모듈은 기판(162)과 기판(162) 사이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연결시키면서, 기판(162)과 기판(162) 간에 아날로그 및 디지털 신호를 전달시키는 복수개의 정렬 지지 핀(1642)과, 정렬 지지 핀(1642)으로 정렬 및 연결된 기판(162)을 외부에서 고정시켜 기판(162)의 위치를 유지시키는 프레임(161) 및, 프레임(161)과 기판(162)을 보호하면서 기판(162)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시키는 방열 핀(1631)이 표면에 형성되는 케이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정렬지지 핀(1642)은 기판(162)의 양 단에 설치되되, 정렬지지 핀(1642)의 방향은 기판(162) 면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정렬 지지 핀(1642)을 단부끼리 나란하게 연결시키는 연결소켓(1643)이 구비되어 정렬 지지 핀(1642)이 2단 이상으로 설치됨으로써 기판(162)과 기판(162) 사이에 발생되는 열의 양에 따라 기판(162) 간의 간격을 조절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 카메라(100).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61)의 내벽에는 기판(162)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게 기판(162)의 양 측 단부가 내포될 수 있는 슬라이드 홈이 설치되고,
    슬라이드 홈은 기판(162)이 상기 정렬지지 핀(1642)으로 인하여 상부 기판(162)과 하부 기판(162)이 연결된 형태로 프레임(161)에 조립될 수 있게 상부 기판(162)의 양 측이 삽입되는 상부 슬라이드 홈(1612)과 하부 기판(162)의 양 측이 삽입되는 하부 슬라이드 홈(1613)이 양 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 카메라(100).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슬라이드 홈(1612) 및 하부 슬라이드 홈(1613)에는 상부 기판(162)과 하부 기판(162)이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정렬시키는 안착 홈(1614a,1614b)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 카메라(100).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 홈(1614a,1614b)은 원호의 일부를 이루는 형상의 곡면 벽(1616)으로 인하여 상부 또는 하부 슬라이드 홈(1613)로 개방되는 삽입 홈(1614a)과 밀폐된 스프링 격실(1614b)로 나누어지고, 삽입 홈(1614a)의 내측에는 프레임(161)의 외부로부터 프레임(161)의 측면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푸시 암(1618)이 설치되며, 푸시 암(1618)에는 푸시 암(1618)에 직각 방향으로 돌출되어 스프링 격실(1614b)까지 연장되는 탄성전달 암(1619)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곡면 벽(1616)에는 탄성전달 암(1619)이 가변될 수 있는 슬릿(1617)이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 격실(1614b) 내부에는 탄성전달 암(1619)을 프레임(161)의 외측으로 밀어내는 제1돌출스프링(1615)이 설치되어 프레임(161) 외부에서 푸시 암(1618)의 일단을 누르면 푸시 암(1618)의 타단이 프레임(161) 내측으로 들어갔다가 푸시 암(1618)의 누름을 해제시키면 푸시 암(1618)이 프레임(16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복귀되고,
    상기 상부 및 하부 기판(162)의 측면에는 삽입 홈(1614a)의 형상에 대응되는 삽입편(1624)과, 삽입편(1624)이 수납되는 삽입편(1624) 수납 홀 및, 삽입편(1624)을 기판(162)의 외측으로 밀어내는 제2돌출스프링(1625)이 설치되어,
    상기 정렬지지 핀(1642)으로 결합된 두 개의 기판(162)이 프레임(161)과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될 때 기판(162)에 설치된 삽입편(1624)이 삽입 홈(1614a)과 만나는 위치에 기판(162)이 도달되면 삽입편(1624)이 제2돌출스프링(1625)의 작용으로 삽입 홈(1614a) 내부로 돌출되면서 삽입됨으로써, 상부 기판(162)과 하부 기판(162)은 정렬 지지 핀(1642)으로 정렬 된 상태가 정확하게 유지되면서 프레임(161) 내부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 카메라(100).
KR1020170145935A 2017-11-03 2017-11-03 열 방출이 원활한 구조를 가지는 ip 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객체 검지 시스템 KR1019173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5935A KR101917329B1 (ko) 2017-11-03 2017-11-03 열 방출이 원활한 구조를 가지는 ip 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객체 검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5935A KR101917329B1 (ko) 2017-11-03 2017-11-03 열 방출이 원활한 구조를 가지는 ip 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객체 검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7329B1 true KR101917329B1 (ko) 2018-11-13

Family

ID=64397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5935A KR101917329B1 (ko) 2017-11-03 2017-11-03 열 방출이 원활한 구조를 가지는 ip 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객체 검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732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91088A (zh) * 2020-04-23 2020-08-04 支付宝(杭州)信息技术有限公司 安全摄像头、图像加密方法及装置和电子设备
WO2021049703A1 (ko) * 2019-09-11 2021-03-18 (주)씨프로 클라이언트 카메라가 서버 카메라를 통해서 다른 네트워크 서비스에 간접적으로 접속할 수 있게 해주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
WO2024049063A1 (ko) * 2022-08-30 2024-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금속 패드를 포함하는 광 모듈 케이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4037B1 (ko) * 2007-05-22 2008-12-12 한덕희 적외선 감시 카메라
JP2012065312A (ja) * 2010-08-20 2012-03-29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画像監視システムおよびカメ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4037B1 (ko) * 2007-05-22 2008-12-12 한덕희 적외선 감시 카메라
JP2012065312A (ja) * 2010-08-20 2012-03-29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画像監視システムおよびカメラ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49703A1 (ko) * 2019-09-11 2021-03-18 (주)씨프로 클라이언트 카메라가 서버 카메라를 통해서 다른 네트워크 서비스에 간접적으로 접속할 수 있게 해주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
CN111491088A (zh) * 2020-04-23 2020-08-04 支付宝(杭州)信息技术有限公司 安全摄像头、图像加密方法及装置和电子设备
CN111491088B (zh) * 2020-04-23 2021-08-31 支付宝(杭州)信息技术有限公司 安全摄像头、图像加密方法及装置和电子设备
WO2024049063A1 (ko) * 2022-08-30 2024-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금속 패드를 포함하는 광 모듈 케이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7329B1 (ko) 열 방출이 원활한 구조를 가지는 ip 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객체 검지 시스템
US20230119639A1 (en) Removable camera lens cover
CN106060345B (zh) 数字视频摄像机
US20160349600A1 (en) Multi Camera Mount
US11785318B2 (en) Camera module including a housing with an adhesion surface
US9769361B2 (en) Assembly structure for industrial cameras
TW201703503A (zh) 功能擴充裝置、功能擴充裝置的裝卸構造以及功能擴充系統
JP2007049369A (ja) 撮像素子パッケージの保持構造、及びレンズユニット
US9989834B2 (en) Camera module assembly
CN209823807U (zh) 电子设备
US20140092199A1 (en) Tv apparatus
US8019214B2 (en) Camera accessory coupling apparatus
US9444983B2 (en) Photographing device
TWI625589B (zh) 燈杯及攝影機
KR101554169B1 (ko) 차량번호 인식용 카메라 조립체
JP2019087775A (ja) 監視カメラ
KR20210065647A (ko) 다중 카메라 고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 모니터링 방법
US20210389646A1 (en) Interchangeable Lens Module
TW201809850A (zh) 光源套件及具有此光源套件的攝影裝置
JP5222115B2 (ja) カメラ装置
JPH03142437A (ja) カメラ
JP2020202256A (ja) 撮影装置
JP2020201344A (ja) 撮影装置
KR20140051534A (ko) 동영상과 사진 기능을 동시에 갖춘 보안용 초정밀 다안구조 cctv 장치 및 그 cctv를 이용한 보안시스템
TWM485429U (zh) 具雷射指示的攝影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