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7189B1 - 스프탈락 검출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프탈락 검출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17189B1 KR101917189B1 KR1020170048353A KR20170048353A KR101917189B1 KR 101917189 B1 KR101917189 B1 KR 101917189B1 KR 1020170048353 A KR1020170048353 A KR 1020170048353A KR 20170048353 A KR20170048353 A KR 20170048353A KR 101917189 B1 KR101917189 B1 KR 10191718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up
- sensing
- cage
- dropped
- ligh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1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07C5/34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61—Processing or control devices therefor, e.g. escort memo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스프탈락 검출시스템은, 컨베이어라인에 의해 이송되는 면과 스프가 포장기로 진입되는 과정에서 스프가 탈락되면, 탈락된 스프를 감지하는 감지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감지장치는 상기 컨베이어라인의 하방에 배치되어 일정크기 이상의 감지영역을 형성하는 케이지와, 상기 케이지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감지영역으로 센싱광을 주사하는 다수개의 발광소자와, 상기 각 발광소자에서 주사되는 센싱광을 수광하는 수광소자와, 상기 각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케이지는 상면과 저면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발광소자는 상기 케이지의 서로 연접되는 두 개의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수광소자는 이에 대칭되는 케이지의 측면에 배치된다.
상기 케이지는 상면에서 하면으로 가면서 횡단면적이 줄어드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는 상기 케이지의 하부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프탈락 검출시스템은 상기 감지장치가 탈락된 스프를 감지하는 에러상황이 발생한 경우, 포장기로부터 배출된 라면제품중에서 스프탈락이 예상되는 라면제품을 컨베이어라인에서 적출하는 적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적출수단은 컨베이어라인에서 라면제품을 밖으로 밀어내는 타발장치로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프탈락 검출시스템에 의하면, 스프의 탈락여부가 정밀하게 검출될 뿐만 아니라, 스프가 탈락되는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컨베이어라인이 멈추지 않기 때문에 라면제품의 생산성 및 상품성이 저하되는 현상이 방지된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 감지장치는 상기 컨베이어라인의 하방에 배치되어 일정크기 이상의 감지영역을 형성하는 케이지와, 상기 케이지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감지영역으로 센싱광을 주사하는 다수개의 발광소자와, 상기 각 발광소자에서 주사되는 센싱광을 수광하는 수광소자와, 상기 각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케이지는 상면과 저면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발광소자는 상기 케이지의 서로 연접되는 두 개의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수광소자는 이에 대칭되는 케이지의 측면에 배치된다.
상기 케이지는 상면에서 하면으로 가면서 횡단면적이 줄어드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는 상기 케이지의 하부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프탈락 검출시스템은 상기 감지장치가 탈락된 스프를 감지하는 에러상황이 발생한 경우, 포장기로부터 배출된 라면제품중에서 스프탈락이 예상되는 라면제품을 컨베이어라인에서 적출하는 적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적출수단은 컨베이어라인에서 라면제품을 밖으로 밀어내는 타발장치로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프탈락 검출시스템에 의하면, 스프의 탈락여부가 정밀하게 검출될 뿐만 아니라, 스프가 탈락되는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컨베이어라인이 멈추지 않기 때문에 라면제품의 생산성 및 상품성이 저하되는 현상이 방지된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라면제품 생산과정에서 스프가 탈락되어 불량제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스프탈락 검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즉석조리식 면류제품(이하 라면제품)은 그 포장형태에 따라 봉지면 제품과 용기면 제품으로 나뉘어진다.
봉지면 제품은 면과 조미용 스프가 함께 포장필름 등에 의해 포장된 것으로서, 소비자가 냄비 등의 별도 용기를 이용하여 물을 끓여서 면과 스프를 넣고 가열하는 방식으로 조리된다.
용기면 제품은 포장용기가 그릇의 역할을 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별도의 용기를 사용하지 않고 포장용기에 끓는 물과 면과 스프를 넣은 다음 별도의 가열과정 없이 면이 익도록 하는 방식으로 조리된다.
이러한 라면제품의 제조방법은 대략 반죽공정 - 숙성공정 - 롤링공정 - 유탕(튀김)공정 - 포장공정 - 살균공정 순으로 이루어지며, 포장공정에서는 별도의 봉지에 담겨진 스프를 면과 함께 포장함으로써 라면제품을 완성하게 된다.
종래의 포장공정에서는 컨베이어라인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면위에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스프를 올려놓는 식으로 면과 스프를 조합하였으나, 이 같은 수작업에 의하면 생산속도가 높지 않고 작업자의 실수로 인하여 스프가 탈락될 우려가 높았기에 스프 자동공급시스템이 안출되었다.
종래의 스프 자동공급시스템에 의하면 컨베이어라인을 따라 이동되는 면의 이동 속도에 맞추어 스프가 자동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수작업에 의한 스프 조합공정에 비해 생산성이 향상된다는 특징이 있다.
한편, 봉지면 제품의 포장공정에서는 면과 면위에 올려진 스프가 함께 포장기로 진입되어 포장되는데, 면을 이송하는 컨베이어라인과 포장기는 상호 간의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약간의 간극을 두고 배치되어 있게 된다.
따라서, 컨베이어라인을 타고 이송되던 면이 포장기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포장기와 컨베이어라인 사이의 간극을 타고 넘으면서 약간의 진동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진동에 의해 면위에 올려져 있는 스프가 탈락되는 현상이 드물게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스프가 탈락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프 투입 지점을 통과한 면을 촬영하고, 그 영상을 분석함으로써 스프탈락 여부를 판단하는 기술이 안출되었으나,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하면 영상 판단에 따른 오류의 가능성이 있고, 영상판단을 위한 복잡한 구성을 필요로 하였기에 생산공정이 복잡해진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하면 스프탈락 발생시 컨베이어라인의 작동을 정지하고 스프가 탈락된 면위에 다시 스프를 올려놓는 등의 조치를 취하는 방식으로 대응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생산진행이 단절되어 생산성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라면제품 제조 공정에 있어서 면을 기준으로 스프의 유무를 파악하는 것이 아니라, 탈락된 스프를 검출하여 스프탈락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정밀도가 높은 스프탈락 검출시스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탈락 검출시스템은, 컨베이어라인에 의해 이송되는 면과 스프가 포장기로 진입되는 과정에서 스프가 탈락되면, 탈락된 스프를 감지하는 감지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감지장치는 상기 컨베이어라인의 하방에 배치되어 일정크기 이상의 감지영역을 형성하는 케이지와, 상기 케이지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감지영역으로 센싱광을 주사하는 다수개의 발광소자와, 상기 각 발광소자에서 주사되는 센싱광을 수광하는 수광소자와, 상기 각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케이지는 상면과 저면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발광소자는 상기 케이지의 서로 연접되는 두 개의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수광소자는 이에 대칭되는 케이지의 측면에 배치된다.
상기 케이지는 상면에서 하면으로 가면서 횡단면적이 줄어드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는 상기 케이지의 하부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프탈락 검출시스템은 상기 감지장치가 탈락된 스프를 감지하는 에러상황이 발생한 경우, 포장기로부터 배출된 라면제품중에서 스프탈락이 예상되는 라면제품을 컨베이어라인에서 적출하는 적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적출수단은 컨베이어라인에서 라면제품을 밖으로 밀어내는 타발장치로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프탈락 검출시스템에 의하면, 스프의 탈락여부가 정밀하게 검출될 뿐만 아니라, 스프가 탈락되는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컨베이어라인이 멈추지 않기 때문에 라면제품의 생산성 및 상품성이 저하되는 현상이 방지된다는 이점이 있다.
도 1: 본 발명에 따른 스프탈락 검출시스템의 스프탈락 검출원리를 나타낸 예시도
도 2: 본 발명에 따른 스프탈락 검출시스템의 감지수단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본 발명에 따른 스프탈락 검출시스템의 적출수단을 나타낸 예시도
도 2: 본 발명에 따른 스프탈락 검출시스템의 감지수단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본 발명에 따른 스프탈락 검출시스템의 적출수단을 나타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 1 부터 도 3 까지를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프탈락 검출시스템은, 도 1에 나타난 것과 같이 컨버에이라인(10)에 의해 이송되는 면(5)과 스프(7)가 포장기(9)로 진입되는 과정에서 스프(7)가 탈락되면, 탈락된 스프(7)를 감지하는 감지장치(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에 나타난 것과 같이 상기 감지장치(20)는 상기 컨버에이라인(10)의 하방에 배치되어 일정크기 이상의 감지영역(22a)을 형성하는 케이지(22)와, 상기 케이지(22)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감지영역(22a)으로 센싱광을 주사하는 다수개의 발광소자(24)와, 상기 각 발광소자(24)에서 주사되는 센싱광을 수광하는 수광소자(26)와, 상기 각 발광소자(24) 및 수광소자(26)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도면생략)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케이지(22)는 상면과 저면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발광소자(24)는 상기 케이지(22)의 서로 연접되는 두 개의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흡광부는 이에 대칭되는 케이지(22)의 측면에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지(22)는 상면에서 하면으로 가면서 횡단면적이 줄어드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발광소자(24)와 수광소자(26)는 상기 케이지(22)의 하부에 배치되어 감지영역(22a)내에 격자형의 센싱광라인(201)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케이지(22)의 형태적인 특성은 탈락된 스프(7)가 안정적으로 케이지(22) 내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케이지(22)의 상단의 면적은 크게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반면, 발광소자(24)와 수광소자(26)의 사용갯수를 줄이면서도 센싱광라인(201)이 촘촘하게 구성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센싱광라인(201)이 형성되는 영역의 면적은 작은 것이 유리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프탈락 검출시스템은 도 3에 나타난 것과 같이 상기 감지장치(20)가 탈락된 스프(7)를 감지되는 에러상황이 발생한 경우, 포장기(9)로부터 배출된 라면제품(6) 중에서 스프탈락이 예상되는 라면제품(6)을 컨버이어라인(10)에서 적출하는 적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적출수단은 컨버에이라인(10)에서 라면제품(6)을 밖으로 밀어내는 타발장치(3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타발장치(30)는 에러상황 발생시점으로부터 일정시간 이내에 타발위치를 통과하는 라면제품(6)을 모두 컨버에이라인(10)에서 적출되도록 하는 작동로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스프탈락 검출시스템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컨버에이라인(10)에 의해 이송되는 면(5)이 포장기(9)로 진입하기에 앞서 포장기(9)와 컨버에이라인(10) 사이의 간극을 통과하면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면(5)위에 올려진 스프(7)가 탈락되면, 탈락된 스프(7)는 아래로 떨어지면서 감지장치(20)의 케이지(22)를 통과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감지장치(20)는 케이지(22)에 구비된 다수개의 발광소자(24)에서 주사되는 센싱광이 상기 각 발광소자(24)와 대응되는 각각의 수광소자(26)로 입수(入收)됨으로써 일정한 전류의 출력이 유지되는 이른바 평상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탈락된 스프(7)가 케이지(22)를 통과하면서 센싱광을 차단하게 되면, 전류의 변화가 발생하게 됨으로써 에러상황을 감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감지장치(20)에 의하면 각각의 발광소자(24)와 수광소자(26)의 배치구조상 격자형태의 촘촘한 센싱광라인을 형성하기 때문에, 탈락된 스프(7)가 케이지(22)의 감지영역내로 유입됨에도 불구하고, 센싱광과 접촉되지 않는 이른바 사각(死角)영역이 존재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탈락된 스프(7)는 케이지(22)의 포집영역(22a)으로 유입되는 위치 및 유입되는 각도에 상관없이 모두 감지된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스프(7)가 탈락되는 에러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컨버에이라인(10)이 멈추지는 않으며, 스프(7)가 탈락된 면(5)이라 할지라도 그대로 포장기(9)로 진입되어 포장된다.
그리고, 상기 적출수단에 의하면, 탈락된 스프(7)가 감지되는 에러상황 발생시점부터 일정시점까지의 시간영역동안 타발장치(30)를 거치는 라면제품(6)을 모두 타발하여 컨버에이라인(10)으로부터 이탈시키게 된다.
예시적으로 하나의 면(5)이 포장기(9)에 진입되어 포장을 마치고 나와서 타발장치(30)에 도달할 때 까지 걸리는 시간을 5초라고 가정하면, 에러상황이 발생하여 1초가 지난 시점에서부터 30초에 이르는 시간 사이에 타발장치(30)에 도달하는 모든 라면제품(6)을 모두 타발하여 적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는, 에러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컨버에이라인(10)이 멈추지 않는 특성상 포장이 완료된 라면제품(6)에 스프(7)가 첨부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라면제품(6)의 외관만으로는 알 수 없고, 스프(7)가 탈락되는 방향 등에 따라 케이지로 유입되는 시간(낙하시간)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같은 적출수단의 작동로직에 의하면, 에러상황이 발생한 시점에 정확하게 해당되는 1개의 라면제품 뿐만 아니라 그 전후의 일정시간 범위내에 해당하는 라면제품을 모두 적출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스프(7)가 첨부되어 있지 않은 불량제품이 유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라면제품(6)의 생산진행이 단절되지 않으면서도, 스프가 첨부되지 않은 불량 라면제품이 생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5: 면 6: 라면제품
7: 스프 9: 포장기
10: 컨베이어라인 20: 감지장치
201: 센싱광라인 22: 케이지
22a: 감지영역 24: 발광소자
26: 수광소자 30: 타발장치
7: 스프 9: 포장기
10: 컨베이어라인 20: 감지장치
201: 센싱광라인 22: 케이지
22a: 감지영역 24: 발광소자
26: 수광소자 30: 타발장치
Claims (5)
- 컨베이어라인에 의해 이송되는 면과 스프가 포장기로 진입되는 과정에서 스프가 탈락되면, 탈락된 스프를 감지하는 감지장치와;
상기 감지장치가 탈락된 스프를 감지하는 에러상황이 발생한 경우, 포장기로부터 배출된 라면제품중에서 스프탈락이 예상되는 라면제품을 컨베이어라인에서 적출하는 적출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감지장치는 상기 컨베이어라인의 하방에 배치되어 일정크기 이상의 감지영역을 형성하는 케이지와, 상기 케이지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감지영역으로 센싱광을 주사하는 다수개의 발광소자와, 상기 각 발광소자에서 주사되는 센싱광을 수광하는 수광소자와, 상기 각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케이지는 상면과 저면이 개방되고, 상면에서 하면으로 가면서 횡단면적이 줄어드는 박스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발광소자는 상기 케이지의 서로 연접되는 두 개의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수광소자는 이에 대칭되는 케이지의 측면에 배치됨으로써 감지영역내에 격자형의 센싱광라인을 형성하며, 상기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는 상기 케이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적출수단은 컨베이어라인에서 라면제품을 밖으로 밀어내는 타발장치로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탈락 검출시스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48353A KR101917189B1 (ko) | 2017-04-14 | 2017-04-14 | 스프탈락 검출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48353A KR101917189B1 (ko) | 2017-04-14 | 2017-04-14 | 스프탈락 검출 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15896A KR20180115896A (ko) | 2018-10-24 |
KR101917189B1 true KR101917189B1 (ko) | 2018-11-09 |
Family
ID=64132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48353A KR101917189B1 (ko) | 2017-04-14 | 2017-04-14 | 스프탈락 검출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17189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31901B1 (ko) * | 2006-02-22 | 2007-06-27 | 주식회사농심 | 스프공급장치 및 스프공급방법 |
JP4380901B2 (ja) * | 2000-09-11 | 2009-12-09 | 花王株式会社 | 不良品の排出方法及び不良品排出システム |
-
2017
- 2017-04-14 KR KR1020170048353A patent/KR10191718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380901B2 (ja) * | 2000-09-11 | 2009-12-09 | 花王株式会社 | 不良品の排出方法及び不良品排出システム |
KR100731901B1 (ko) * | 2006-02-22 | 2007-06-27 | 주식회사농심 | 스프공급장치 및 스프공급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15896A (ko) | 2018-10-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261933B1 (en) | A plant for processing products including a unit for detecting defective products | |
CN102523741B (zh) | 药片容器填充装置及方法 | |
JP6318037B2 (ja) | 包装袋の検査方法および包装袋の検査装置 | |
US5339607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ensing objects to a count and/or weight | |
TW201336750A (zh) | 包裝餐具之彈性裝配線 | |
JP6254055B2 (ja) | Ptp包装機 | |
US5033251A (en) | Automatic product recovery apparatus | |
EP3110696B1 (en) |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portion packets of a smokeless tobacco product or non-tobacco snuff product | |
CN112591226B (zh) | 一种立式包装机烟条缺包检测装置 | |
KR101917189B1 (ko) | 스프탈락 검출 시스템 | |
KR101986359B1 (ko) | 블리스터 포장장치 | |
CN106829082A (zh) | 一种可以检测苹果完整度的苹果自动装箱机 | |
JP6078404B2 (ja) | 包装装置及び包装用プログラム | |
CN105883037A (zh) | 一种球形糖果的包装工艺 | |
US10295398B2 (en) | Method for provid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contiguous stored elements forming a line, device for carrying out said method, and a combination weighing machine comprising said device | |
JP2020171881A (ja) | オクラ包装機 | |
CN211359708U (zh) | 一种不良品剔除装置 | |
JP2020051899A (ja) | 包装体の製造装置及び包装体の製造方法 | |
KR20240078016A (ko) | 나물 자동 정량 포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포장 방법 | |
CN216468940U (zh) | 一种基于手工装箱的烟条输送装置 | |
CN207712422U (zh) | 一种自动包装检测设备 | |
KR20240072648A (ko) | 나물 자동 정량 포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포장 방법 | |
JP2024063465A (ja) | 小袋投入装置 | |
CN106896114A (zh) | 一种可以检测苹果完整度的苹果自动装箱方法 | |
CN109927996B (zh) | 全自动拆箱机双层包材抓放过程监测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