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7042B1 - 블루투스를 이용한 염색용 빗 - Google Patents

블루투스를 이용한 염색용 빗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7042B1
KR101917042B1 KR1020170139352A KR20170139352A KR101917042B1 KR 101917042 B1 KR101917042 B1 KR 101917042B1 KR 1020170139352 A KR1020170139352 A KR 1020170139352A KR 20170139352 A KR20170139352 A KR 20170139352A KR 101917042 B1 KR101917042 B1 KR 1019170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graphing means
handle
brush body
dyeing
contac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9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지혜
정순철
Original Assignee
유지혜
정순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지혜, 정순철 filed Critical 유지혜
Priority to KR1020170139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70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7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7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4/00Hair combs for care of the hair;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45D19/0041Processes for treating the hair of the scalp
    • A45D19/0066Coloring or bleac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29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used in bluetooth or WI-FI devices of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WLA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04M1/7253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7
    • A45D2019/0066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4/00Hair combs for care of the hair; Accessories therefor
    • A45D2024/002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smetics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루투스를 이용한 염색용 빗에 관한 것으로, 일측에 다수의 솔이 식모되고 타측에는 손잡이를 형성한 브러시 본체; 상기 브러시 본체 내에 착탈가능하게 수납되는 촬영수단; 상기 브러시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촬영수단의 출입을 제어하는 출입단속수단; 및 상기 브러시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촬영수단과 스마트폰을 무선통신으로 연결하는 송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뒷머리 모발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혼자서도 손쉽고 만족스러운 염색을 실시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블루투스를 이용한 염색용 빗{Comb for dyeing with Bluetooth}
본 발명은 블루투스를 이용한 염색용 빗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통신연결되는 촬영수단을 구성하여 사용자의 뒷쪽 모발 염색을 혼자서 손쉽고 편리하게 실시할 수 있는 블루투스를 이용한 염색용 빗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염색용 빗은 모발을 염색하기 위한 도구로서 모발 또는 빗에 염색약을 묻힌 상태에서 머리를 빗는 과정에서 모발을 염색할 수 있다.
이러한 모발의 염색은 사람의 개인 취향에 따라 다양한 색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염색방법으로는 전문점(예: 미용실 등)을 찾아 실시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직접 집에서 실시하고 있다.
최근에는 염색약 및 도구의 기술이 크게 발전하여 사용자가 직접 집에서 염색을 실시하는 경우가 크게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런데, 사용자가 직접 염색을 실시하는 경우 사용자의 앞쪽, 윗쪽 및 양측면 모발은 거울을 통해 염색을 위한 빗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나, 뒷쪽 모발은 거울을 통한 육안 확인이 어려워 사용자가 대략적인 감을 이용하여 빗질을 실시하기 때문에 염색약을 모발에 고르게 도포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감을 이용한 빗질은 염색약을 지나치게 많이 사용하여 염색약에 의한 두피의 피부질환을 유발시키는 등의 심각한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3-1300351호(2013.08.2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통신연결되는 촬영수단을 구성하여 사용자의 뒷쪽 모발 염색을 혼자서 손쉽고 편리하게 실시할 수 있는 블루투스를 이용한 염색용 빗을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를 이용한 염색용 빗은, 일측에 다수의 솔이 식모되고 타측에는 손잡이를 형성한 브러시 본체; 상기 브러시 본체 내에 착탈가능하게 수납되는 촬영수단; 상기 브러시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촬영수단의 출입을 제어하는 출입단속수단; 및 상기 브러시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촬영수단과 스마트폰을 무선통신으로 연결하는 송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촬영수단은 상기 손잡이의 내주면 형상에 대응하여 일정 길이로 연장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카메라 렌즈와, 상기 카메라 렌즈의 일측에 설치되는 조명부와, 상기 몸체부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는 케이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출입단속수단은 상기 브러시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케이블을 감거나 풀어주는 방향으로 정역회전하는 권취모터와, 상기 손잡이에 형성되어 상기 권취모터를 제어하는 스위치와, 상기 권취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잡이의 일측 내주 둘레에는 제1 접촉단자링이 설치되고,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 접촉단자링과 접촉간섭이 이루어지는 제2 접촉단자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잡이의 내부에는 상기 촬영수단의 수납 위치를 규제하는 걸림단턱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브러시 본체 내에 수납된 상태에서 인출이 가능한 촬영수단을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뒷머리 모발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혼자서도 손쉽고 만족스러운 염색을 실시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를 이용한 염색용 빗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를 이용한 염색용 빗의 작용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를 이용한 염색용 빗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와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를 이용한 염색용 빗은 일측에 다수의 솔(101)이 식모되고 타측에는 손잡이를 형성한 브러시 본체(100)와, 상기 브러시 본체(100) 내에 착탈가능하게 수납되는 촬영수단(200)과, 상기 브러시 본체(100)에 설치되며 상기 촬영수단(200)의 출입을 제어하는 출입단속수단(300)과, 상기 브러시 본체(100)에 설치되며 상기 촬영수단(200)과 스마트폰(S)을 무선통신으로 연결하는 송신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브러시 본체(300)는 일측에 다수의 솔(101)이 식모되고 타측에는 손잡이(110)를 형성한 통상의 브러시 구조와 동일 내지 유사한 구조로 제작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브러시 본체(100)의 내부는 후술할 촬영수단(200), 출입단속수단(300)이 설치될 수 있는도록 수납공간부(120)가 형성된다.
특히, 상기 손잡이(110)의 일측 내주 둘레에는 제1 접촉단자링(111)이 설치된다. 이는 상기 촬영수단(200)의 몸체부(210)에 설치되는 제2 접촉단자링(211)과 접촉되는 유무 상황에 따라 상기 촬영수단(200)의 작용을 온,오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제1 접촉단자링(111)과 제2 접촉단자링(211)이 서로 접촉이 이루어질 경우, 상기 촬영수단(200)의 작동이 오프되며, 반대로 상기 제1 접촉단자링(111)과 제2 접촉단자링(211)이 접촉되지 않을 경우 상기 촬영수단(200)의 작동하는 온 상태를 유지하므로 상기 촬영수단(200)은 별도의 조작 없이 제어할 수 있는 온,오프 스위치 역할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 상기 브러시 본체(100)의 손잡이(110) 내에 상기 촬영수단(200)이 수납되어 있을 경우, 상기 촬영수단은 작동하지 않는 오프 상태이며, 상기 촬영수단(200)이 손잡이(110)로부터 이탈하는 경우 촬영수단의 촬영모드가 자동으로 실행될 수 있도록 마련된 구성이다.
또한, 상기 손잡이(110)의 내부에는 상기 촬영수단(200)의 수납 위치를 규제하는 걸림단턱부(112)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단턱부(112)는 상기 브러시 본체(100)의 솔(101)과 손잡이(110)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촬영수단(200)은 브러시 본체(100) 내에 착탈가능하게 수납되는 구성으로, 사용자가 뒷쪽 모발을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염색을 한층 용이하게 편리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촬영수단(200)은 상기 손잡이(110)의 내주면 형상에 대응하여 일정 길이로 연장되는 몸체부(210)와, 상기 몸체부(210)의 일측에 설치되는 카메라 렌즈(220)와, 상기 카메라 렌즈(220)의 일측에 설치되는 조명부(230)와, 상기 몸체부(210)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는 케이블(240)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210)의 길이방향 외주면에는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움켜쥘 수 있는 구조의 파지부(20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210)의 외주면 일측에는 상기 제1 접촉단자링(111)과 접촉간섭이 이루어지는 제2 접촉단자링(211)이 설치된다.
상기 카메라 렌즈(220)와 조명부(230)는 가전의 전기전자에서 사용되는 공지된 기술과 동일 내지 유사하므로 그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출입단속수단(300)은 상기 브러시 본체(100) 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촬영수단(200)의 출입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출입단속수단(300)은 상기 브러시 본체(10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케이블(240)을 감거나 풀어주는 방향으로 정역회전하는 권취모터(310)와, 상기 손잡이(110)에 형성되어 상기 권취모터(310)를 제어하는 스위치(320)와, 상기 권취모터(31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330)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출입단속수단(300)은 상기 브러시 본체(100)에 수납되는 촬영수단(200)을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촬영수단(200)의 케이블(240)은 상기 권취모터(310)에 권선되어 있어 촬영수단(200)의 인출되는 거리를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스위치(320)를 조작하여 상기 권취모터(310)를 정방향으로 구동시키면 상기 권취모터(310)에 감겨있는 케이블(240)이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촬영수단(200)을 브러시 본체(100)로부터 인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한 손으로 상기 브러시 본체(100)를 잡고 빗질을 하는 한편 다른 한 손으로는 상기 촬영수단(200)의 파지부(201)를 잡고 뒷머리를 촬영하게 된다.
이때, 상기 촬영되는 영상 이미지는 상기 송신부(400)를 통해 사용자 스마트폰(S)에 화면으로 출력이 이루어지게 된다.
물론, 사용자는 미리 스마트폰(S) 앱 프로그램을 활성화시켜 촬영 이미지가 출력될 수 있도록 조작이 이루어지는 것은 당연하다.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를 이용한 염색용 빗은 사용자가 브러시 본체(100)와 촬영수단(200)을 각각 파지하여 사용자의 뒷머리 모발을 실시간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 혼자서도 손쉽고 만족스러운 염색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송신부(400)는 상기 브러시 본체(100)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촬영수단(200)과 스마트폰(S)을 상호 무선통신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무선통신은 블루투스를 이용하는 기술로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와이파이 등을 이용한 기술로 제작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송신부(400)의 전원공급은 상기 권취모터(310)와 연결되어 간접적으로 전류를 공급받는 구조이거나 또는 상기 배터리(330)와 직접적으로 연결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 브러시 본체 110 : 손잡이
111 : 제1 접촉단자링 200 : 촬영수단
210 : 몸체부 211 : 제2 접촉단자링
220 : 카메라 렌즈 230 : 조명부
240 : 케이블 300 : 출입단속수단
310 : 권취모터 320 : 스위치
330 : 배터리 400 : 송신부

Claims (5)

  1. 일측에 다수의 솔이 식모되고 타측에는 손잡이를 형성한 브러시 본체;
    상기 브러시 본체 내에 착탈가능하게 수납되는 촬영수단;
    상기 브러시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촬영수단의 출입을 제어하는 출입단속수단; 및,
    상기 브러시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촬영수단과 스마트폰을 무선통신으로 연결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촬영수단은 상기 손잡이의 내주면 형상에 대응하여 일정 길이로 연장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카메라 렌즈와, 상기 카메라 렌즈의 일측에 설치되는 조명부와, 상기 몸체부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는 케이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를 이용한 염색용 빗.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단속수단은,
    상기 브러시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케이블을 감거나 풀어주는 방향으로 정역회전하는 권취모터와,
    상기 손잡이에 형성되어 상기 권취모터를 제어하는 스위치와,
    상기 권취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를 이용한 염색용 빗.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일측 내주 둘레에는 제1 접촉단자링이 설치되고,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 접촉단자링과 접촉간섭이 이루어지는 제2 접촉단자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를 이용한 염색용 빗.
  5. 제1항, 제3항,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내부에는 상기 촬영수단의 수납 위치를 규제하는 걸림단턱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를 이용한 염색용 빗.
KR1020170139352A 2017-10-25 2017-10-25 블루투스를 이용한 염색용 빗 KR101917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9352A KR101917042B1 (ko) 2017-10-25 2017-10-25 블루투스를 이용한 염색용 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9352A KR101917042B1 (ko) 2017-10-25 2017-10-25 블루투스를 이용한 염색용 빗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7042B1 true KR101917042B1 (ko) 2018-11-09

Family

ID=64426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9352A KR101917042B1 (ko) 2017-10-25 2017-10-25 블루투스를 이용한 염색용 빗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704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1196B1 (ko) * 2021-11-12 2022-02-09 권기형 가이드 라인을 표시하는 염색용 빗
KR20230080944A (ko) 2021-11-30 2023-06-07 조성집 스마트 헤어빗
KR20230150414A (ko) 2022-04-21 2023-10-31 김태완 저주파를 이용한 기능성 빗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01462A2 (en) * 2011-06-28 2013-01-03 Chakka Nagesh Power operated electric toothbrush
JP2016073526A (ja) 2014-10-08 2016-05-12 シャープ株式会社 ヘアブラシ
KR101782267B1 (ko) * 2016-08-02 2017-09-28 학교법인 김천대학교 분무기 기능이 구비된 두피 치료용 머리빗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01462A2 (en) * 2011-06-28 2013-01-03 Chakka Nagesh Power operated electric toothbrush
JP2016073526A (ja) 2014-10-08 2016-05-12 シャープ株式会社 ヘアブラシ
KR101782267B1 (ko) * 2016-08-02 2017-09-28 학교법인 김천대학교 분무기 기능이 구비된 두피 치료용 머리빗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1196B1 (ko) * 2021-11-12 2022-02-09 권기형 가이드 라인을 표시하는 염색용 빗
KR20230080944A (ko) 2021-11-30 2023-06-07 조성집 스마트 헤어빗
WO2023101196A1 (ko) * 2021-11-30 2023-06-08 조성집 스마트 헤어빗
KR20230150414A (ko) 2022-04-21 2023-10-31 김태완 저주파를 이용한 기능성 빗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7042B1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염색용 빗
US5923147A (en) Battery charger unit incorporated in a power cord reel housing
KR101828333B1 (ko) 고데기를 겸용한 휴대용 헤어롤
US10820677B2 (en) Cordless hair dryer with ionizing solution
CN108697219A (zh) 毛发造型
WO2009028750A1 (en) Roll type eyelash curler
KR20210107949A (ko) 미용 기기 및 미용 기기 시스템
CN114521956B (zh) 基于肤色控制输出能量的方法、装置、介质,及脱毛仪
MXPA05000991A (es) Contenedor para tinte y un aparato para tenido de pelo que lo emplea.
WO2017175994A1 (ko) 헤어컬링기
CN210053465U (zh) 一种脱发种植区域图像采集仪
KR20180035018A (ko) 헤어롤 겸용 롤브러쉬
KR20170064970A (ko) [휴대용 로드]
KR20210076249A (ko) 복합형 미용 관리장치
KR102464136B1 (ko) 헤어 아이롱
KR200424317Y1 (ko) 헤어드라이어용 전선 권취수단이 장착된 미용실 의자
CN107969109A (zh) 染发装置
CN211242043U (zh) 一种usb接口充电自动卷发器
WO2015170241A1 (en) Remotely controlled portable device for wrinkles' treatment by means of amplitude modulated current
CN210809668U (zh) 睫毛仪
CN107508612A (zh) 蓝牙对讲适配器通讯系统
KR20200080894A (ko) 남성용 다운 펌 고데기
KR20220043649A (ko) 안면 피부 케어를 위한 피부미용기기
KR200469844Y1 (ko) 경사진 회전 브러쉬를 갖는 마스카라
CN109068825A (zh) 用于执行取决于设备的角度位置的动作的手持型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