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6415B1 - 로터리 테이블용 더블 브레이크장치 - Google Patents

로터리 테이블용 더블 브레이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6415B1
KR101916415B1 KR1020180011900A KR20180011900A KR101916415B1 KR 101916415 B1 KR101916415 B1 KR 101916415B1 KR 1020180011900 A KR1020180011900 A KR 1020180011900A KR 20180011900 A KR20180011900 A KR 20180011900A KR 101916415 B1 KR101916415 B1 KR 1019164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pressure
brake
fluid
pressure pistons
rotary 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1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택춘
Original Assignee
오택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택춘 filed Critical 오택춘
Priority to KR1020180011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64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6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64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6/00Equipment for precise positioning of tool or work into particular loc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16/02Indexing equipment
    • B23Q16/08Indexing equipment having means for clamping the relatively movable parts together in the indexed position
    • B23Q16/10Rotary indexing
    • B23Q16/105Rotary indexing clamping with a disc bra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0009Energy-transferring means or control lines for movable machine parts; Control panels or boxes; Control parts
    • B23Q1/0018Energy-transferring means or control lines for movable machine parts; Control panels or boxes; Control parts comprising hydraul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유체통로를 이용하여 제1,2유체압 피스톤을 상반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제1,2유체압 피스톤의 이동시 양방향 가압되는 복수의 브레이크 디스크를 이용하여 클램핑력을 증가시켜 로터리 테이블의 중절삭 사용시 충분한 클램핑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로터리 테이블용 더블 브레이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로터리 테이블용 더블 브레이크장치{DOUBLE BRAKE SYSTEM FOR ROTARY TABLE}
본 발명은 로터리 테이블용 더블 브레이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나의 유체통로를 이용하여 제1,2유체압 피스톤을 상반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제1,2유체압 피스톤의 이동시 양방향 가압되는 복수의 브레이크 디스크를 이용하여 클램핑력을 증가시켜 로터리 테이블의 중절삭 사용시 충분한 클램핑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로터리 테이블용 더블 브레이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로터리 테이블은 공작물을 회전시키면서 복잡한 공작물을 한번의 세팅으로 가공할 수 있게 하는 장치이고, 보통은 회전축과 틸팅축이 적용된 것이 주로 사용되어 해당 구조물의 회전 또는 틸팅을 위해 그에 맞는 기어 구조가 적용되며, 밀링머신이나 연삭기, 혹은 NC 보링머신 등의 공작기계에는 공작물을 회전 분할하여 가공하기 위한 로터리 테이블 장치가 널리 적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2-0068196호에는 냉각라인으로서의 배관이 갖춰지는 공작기계 바디 및 공작기계 바디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모듈화된 카트리지를 포함하며, 카트리지는, 공작물의 가공을 위해 공작물이 올려지는 로터리 테이블 및 로터리 테이블의 회전 구동을 위해 로터리 테이블과 연결되어 로터리 테이블을 회전시키되 로터리 테이블과 탈부착이 가능한 토크 모터를 포함하는 직접 구동식 로터리 테이블 장치가 공개된 바가 있다.
기존 상기 로터리테이블의 클램핑 장치는 유압 피스톤으로 클램프 부재를 가압하게 되면 클램프 부재가 브레이크 디스크를 눌러 회전축 및 로터리테이블을 소정의 회전 각도로 유지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로터리테이블에 설치되는 공작물은 밀링, 기계가공센터 등 각종 공작기계에 의한 절삭 또는 연삭 작업에 제공되기 위해 공구로부터의 가압 또는 진동 등에 견딜 수 있도록 로터리테이블 면에 견고하게 고정하여야 하며, 회전축 및 로터리테이블의 회전 각도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클램프 장치는 상기 작업 때의 가압 혹은 진동에 대해서 확실하게 소정의 회전 각도를 유지시킬 수 있을 정도의 클램핑력이 요구된다.
이 때문에 클램프 부재를 가압하기 위한 피스톤으로서는 통상 유압 피스톤을 사용하여 높은 작동압(유압)으로 작동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높은 작동압의 유압 피스톤을 구비한 종래의 수치제어 로터리테이블의 클램핑 장치에서는 오일누출 대책 때문에 고압용의 기밀유지 기구 및 기밀유지 부재가 필요하게 되어 제작이 번거롭고 부품 비용이 많이 들게 되며, 사후 유지관리가 어렵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공기압과 같은 낮은 작동압으로 회전축 및 로터리테이블을 클램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요 부품을 줄일 수 있도록 하고 부품 비용과 유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부품 조립 및 제작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수치제어 로터리테이블의 클램핑 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런데, 이 경우에는 중절삭용으로 사용하기에는 클램핑력이 만족스럽지 못한 단점이 있다.
기존 로터리 테이블용 클램핑장치와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28588호 "수치제어 로터리테이블의 클램핑 장치"(등록일자 : 2013.01.25)에 개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의 회전을 지지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중심 방향 일단에 로터리테이블이 접속되는 회전축과; 상기 바디의 내부에서 상기 회전축과 일체로 접속되는 브레이크 디스크와;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의 일측에 회전중심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유체압 피스톤과; 상기 바디에 고정 설치되고, 일측에 유체압 피스톤을 가압하는 작동유체가 공급되는 유체통로가 마련된 리어커버와; 상기 유체압 피스톤과 리어커버의 사이에 설치되어 유체압 피스톤을 탄성 지지하는 복귀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유체압 피스톤의 리어커버 쪽에 고정 설치되고, 리어커버 유체통로와 대응되는 위치에 가압노즐 접속구멍이 형성된 가압플레이트와; 상기 유체압 피스톤과 리어커버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가압 플레이트의 회전 중심 방향 이동을 지지하고, 상기 가압 플레이트의 가압노즐 접속구멍과 대응되는 위치에 가압노즐 가이드구멍이 형성된 가압 플레이트 가이드와; 일측이 상기 가압노즐 접속구멍에 고정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가압노즐 가이드구멍에 회전중심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며, 상기 유체압 피스톤에 직접 작동유체를 공급하는 노즐구멍이 마련된 가압노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기존 로터리 테이블의 클램핑장치와 관련된 다른 선행기술로는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85001호 "로터리 테이블의 클램핑 장치"(공개일자 : 2016.07.15)에 개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 베이스 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팔레트 베이스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 고정된 브레이크 패드, 테이블 베이스의 상면에 고정되고 팔레트 베이스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플랜지, 플랜지에 인접 배치되며 내부에 피스톤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실린더, 실린더의 내측에 유압 작용부를 형성하도록 삽입되며 유압 작용부에 유압이 공급되면 실린더의 내측벽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플랜지와 함께 브레이크 패드를 가압 고정하여 팔레트 베이스를 클램핑하는 피스톤, 및 피스톤의 하부에 배치되며 유압 작용부에 유압이 제거되면 피스톤을 브레이크 패드로부터 이격시켜 팔레트 베이스를 언클램핑하기 위한 복원부를 포함한 것이다.
기존 로터리 테이블과 관련된 또 다른 선행기술로는 일본 특허공보 제05329267호 "공작기계용 분할 회전 테이블"(등록일자 : 2013.08.02)에 개시된 바와 같이, 본체와, 상기 본체에 회전자재하게 베어링으로 지지된 스핀들과,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모터의 고정자와 상기 고정자에 대향하여 상기 스핀들에 고정된 상기 모터 로터와 상기 스핀들에 고정된 면판과 상기 모터로 구동되어 분할된 상기 면판의 정지 각도 위치를 상기 로터에 고정된 브레이크 디스크에 플로팅패드를 감압하고, 상기 로터를 상기 본체에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프장치를 구비한 공작 기계용 분할 회전 테이블로서, 상기 클램프장치는 유체압으로 구동되는 피스톤 및 브레이크 하우징에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을 수용하는 실린더실로 이루어지는 실린더 구동수단과, 상기 피스톤의 전진에 의한 힘을 상기 피스톤 전면의 캠면과 플로팅 패드의 이면 사시에 배치된 볼에 따라 증력하여 상기 플로팅 패드를 구동하기 위한 증력기구와, 상기 피스톤의 후퇴에 따라 상기 클램프를 해제할 경우 상기 플로팅 패드에 계합하고, 상기 플로팅 패드를 강제적으로 언클램프시키는 플로팅 해제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그런데 기존 로터리 테이블용 클램핑장치는 하나의 브레이크 디스크와 하나의 피스톤을 이용하여 공압 또는 유압력으로 회전 중심 방향으로 이동되는 클램핑기구가 브레이크 디스크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있으나, 이 경우에는 일방향으로 클램핑기구가 이동되면서 클램핑기구를 브레이크 디스크측에 밀착시켜 접촉 마찰력으로 브레이크 디스크 및 회전축의 회전을 정지시키게 되므로, 중절삭용의 로터리 테이블에는 적용하기에는 클램핑력이 만족스럽지 못한 단점이 있다.
즉, 유체압이 공압일 경우에는 클램핑력이 만족스럽지 못한 단점이 있으며, 유체압이 유압일 경우에는 유압을 공급하는 장치가 복잡하고 공작물의 중절삭시 소요되는 큰 힘의 클램핑력을 충족시키지 못할 우려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28588호 "수치제어 로터리테이블의 클램핑 장치"(등록일자 : 2013.01.25)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85001호 "로터리 테이블의 클램핑 장치"(공개일자 : 2016.07.15) 일본 특허공보 제05329267호 "공작기계용 분할 회전 테이블"(등록일자 : 2013.08.02)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하나의 유체통로를 이용하여 제1,2유체압 피스톤을 상반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제1,2유체압 피스톤의 이동시 양방향 가압되는 복수의 브레이크 디스크를 이용하여 클램핑력을 증가시켜 로터리 테이블의 중절삭 사용시 충분한 클램핑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로터리 테이블용 더블 브레이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측에 회전 가능한 로터리 테이블이 배치되며 회전축의 회전을 지지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중심 방향 일단에 로터리테이블이 접속되는 회전축과; 상기 바디의 내부에서 상기 회전축에 끼워지고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작동유체에 의해 이동되는 제1,2유체압 피스톤에 의해 상기 바디의 지지턱 내측면과 리어커버의 내측에 면 접촉되는 제1,2브레이크 디스크와; 상기 제1,2브레이크 디스크를 향해 서로 상반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1,2유체압 피스톤과 상기 제1,2유체압 피스톤의 이동을 지지하는 브레이크 실린더 하우징을 구비하고 작동유체의 유체압을 상기 제1,2유체압 피스톤측에 전달하는 유체압 전달수단과; 상기 작동유체의 유체압이 해제될 경우 상기 제1,2유체압 피스톤을 원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수단과; 상기 제1,2브레이크 디스크를 상기 회전축과 연동되게 지지하는 지지수단과; 상기 회전축에 끼워지고 상기 브레이크 하우징의 중앙 내부에 끼워지며 상기 제1브레이크 디스크가 고정되는 스페이서부재와; 상기 바디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2유체압 피스톤에 의해 이동되는 제2브레이크 디스크가 밀착되는 리어커버; 및 상기 브레이크 실린더 내의 기밀을 유지하는 기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체압 전달수단은 상기 바디에 고정되고, 격벽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상기 제1,2유체압 피스톤이 수용되도록 제1,2실린더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2실린더부 내로 상기 제1,2유체압 피스톤을 가압하는 작동유체가 공급되도록 연통된 유체통로가 형성된 브레이크 실린더 하우징과; 상기 제1,2실린더부 내에서 작동유체의 유체압에 의해 좌,우 서로 상반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제1,2플레이트 스프링에 의해 복귀 가능한 제1,2유체압 피스톤;을 구비한다.
상기 복귀수단은 상기 브레이크 실린더 하우징의 제1,2실린더부 내에 수용되고, 상기 격벽을 향해 상기 제1,2유체압 피스톤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작동유체의 유체압이 해제될 경우 상기 제1,2유체압 피스톤에 탄성 복귀력을 제공하는 제1,2플레이트 스프링과; 상기 제1유체압 피스톤에 관통되도록 결합되어 단부가 상기 제2플레이트 스프링에 체결되는 제1고정용볼트와; 상기 제2유체압 피스톤에 관통되도록 결합되어 단부가 상기 제1플레이트 스프링에 체결되는 제2고정용볼트; 및 상기 제1,2플레이트 스프링을 제1,2유체압 피스톤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고정시키는 체결볼트;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유체통로는 상기 브레이크 실린더 하우징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바디로부터 공급되는 작동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공과, 상기 격벽에 상기 유입공과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2실린더부가 연통되도록 천공 형성되는 통공으로 구성된다.
상기 유체통로는 상기 제1,2유체압 피스톤의 서로 마주보는 면의 테두리에 오목하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이상의 유체통과홈을 더 구비한다.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회전축에 끼워지고 상기 제1브레이크 디스크의 일측이 지지되며 제1연결볼트에 의해 상기 회전축에 연동되도록 연결되는 스페이서부재와, 상기 회전축의 단부에 끼워지고 상기 제2브레이크 디스크의 일측이 지지되며 제2연결볼트에 의해 상기 스페이서부재에 연동되도록 연결되는 연결블록으로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은 공압 또는 유압 등의 작동유체가 브레이크 실린더 하우징의 제1,2실린더부 내부로 공급됨에 따라 제1,2브레이크 디스크를 바디와 리어 커버의 양방향으로 밀착시키는 가압력을 전달하여 큰 힘의 클램핑력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수치 제어 로터리 테이블의 중절삭 가공시에도 공작물이 회전되지 않도록 견고히 지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유체압 전달수단은 격벽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제1,2실린더부가 형성되고, 제1,2실린더부 내에 좌,우측 이동이 가능한 제1,2유체압 피스톤이 수용되어 외부의 작동유체가 제1,2실린더부 내에 전달됨에 따라 제1,2브레이크 디스크를 양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게 되어 부품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제1,2유체압 피스톤의 이동을 가이드하면서 하나의 유체통로를 통해 공급된 작동유체의 유체압으로 제1,2브레이크 디스크를 양방향으로 가압하여 더블 브레이크 시스템을 적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브레이크 응답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이점을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복귀수단은 박판 형태의 제1,2플레이트 스프링이 제1,2고정용 볼트에 의해 제1,2유체압 피스톤에 결합되므로, 근거리 이동되는 제1,2유체압 피스톤의 특성상 제1,2실린더부 내에 작동유체의 유체압이 해제될 경우 신속하고 간편하게 제1,2유체압 피스톤을 원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2유체압 피스톤의 양방향 근거리 이동으로 인해 제1,2플레이트 스프링의 피로 누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유체통로는 유입공과 통공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가공이 용이하고 하나의 유체통로를 이용하여 제1,2실린더부 내에 양방향 유체압을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입공과 통공이 복수개로 형성됨에 따라 작동유체의 유입 및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유체통로는 제1,2유체압 피스톤의 서로 마주보는 면의 테두리에 오목하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이상의 유체통과홈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통공을 통해 유입되는 작동유체가 제1,2실린더부 내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 지지수단은 회전축에 끼워지고 제1브레이크 디스크의 일측이 지지되며 제1연결볼트에 의해 상기 회전축에 연동되도록 연결되는 스페이서부재와, 회전축의 단부에 끼워지고 상기 제2브레이크 디스크의 일측이 지지되며 제2연결볼트에 의해 상기 스페이서부재에 연동되도록 연결되는 연결블록으로 구성되므로, 제1,2연결볼트에 의해 제1,2브레이크 디스크를 상기 회전축과 연동되게 지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테이블용 더블 브레이크장치이 적용된 로터리 테이블장치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a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중요부분 확대도.
도 4는 도 1의 반절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제1,2브레이크 디스크와 브레이크 실린더 하우징 및 제1,2유체압 피스톤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 제1,2브레이크 디스크와 브레이크 실린더 하우징 및 제1,2유체압 피스톤의 결합상태를 다른 각도에서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스페이서부재와 연결블록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제1,2유체압 피스톤과 복귀수단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8의 결합상태도.
도 10a는 본 발명 제1,2실린더부 내에 작동유체의 유체압이 전달될 경우 제1,2유체압 피스톤이 상반된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이고, 도 10b는 본 발명 제1,2실린더부 내에 작동유체의 유체압이 해제될 경우 제1,2유체압 피스톤이 원위치로 복귀하는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테이블용 더블 브레이크장치는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일측에 회전 가능한 로터리 테이블(10)이 배치되며 회전축의 회전을 지지하는 바디(100)와; 상기 바디(10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중심 방향 일단에 로터리테이블이 접속되는 회전축(200)과; 상기 바디(100)의 내부에서 상기 회전축(200)에 끼워지고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작동유체에 의해 이동되는 제1,2유체압 피스톤(420,430)에 의해 상기 바디(100)의 지지턱(102) 내측면과 리어커버의 내측에 면 접촉되는 제1,2브레이크 디스크(310,320)와; 상기 제1,2브레이크 디스크(310,320)를 향해 서로 상반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1,2유체압 피스톤(420,430)과 상기 제1,2유체압 피스톤(420,430)의 이동을 지지하는 브레이크 실린더 하우징(410)을 구비하고 작동유체의 유체압을 상기 제1,2유체압 피스톤(420,430)측에 전달하는 유체압 전달수단(400)과; 상기 작동유체의 유체압이 해제될 경우 상기 제1,2유체압 피스톤(420,430)을 원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수단(500)과; 상기 제1,2브레이크 디스크(310,320)를 상기 회전축(200)과 연동되게 지지하는 지지수단과; 상기 회전축(200)에 끼워지고 상기 브레이크 하우징(410)의 중앙 내부에 끼워지며 상기 제1브레이크 디스크(310)가 고정되는 스페이서부재(610)와; 상기 바디(100)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2유체압 피스톤(430)에 의해 이동되는 제2브레이크 디스크(320)가 밀착되는 리어커버; 및 상기 브레이크 실린더 내의 기밀을 유지하는 기밀부재(700);로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바디(100)는 일측에 회전축(200)과 연동 회전되도록 결합된 로터리 테이블(10)이 배치되고, 로터리 테이블(10)과 바디(100) 사이에는 회전축(200)을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고 베어링부재(40)를 구속하는 프론트 커버(20)가 마련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베어링부재(40)와 웜휠(70)을 지지하도록 회전축(200)에 끼워지는 이음블록(20)이 구비된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베어링부재(40)는 바디(100)의 일측에 수용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프론트 커버(20)에 지지되어 상기 회전축(200)의 회전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회전축(200)에는 감속기(50)의 웜샤프트(80)와 치합되는 웜휠(70)이 끼워지고, 상기 웜휠(70)은 볼트에 의해 회전축(200)과 연동되도록 결합된다.
상기 회전축(200)은 상기 웜휠(70)과 제1브레이크 디스크(310)가 지지되도록 둘레가 단턱진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바디(100)의 타측 내부에는 브레이크 실린더 하우징(410) 및 리어 커버(60)가 수용되도록 결합된 구조를 갖는다.
도 3a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유체압 전달수단(400)은 상기 바디(100)에 고정되고, 격벽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상기 제1,2유체압 피스톤(420,430)이 수용되도록 제1,2실린더부(412,414)가 형성되며, 상기 제1,2실린더부(412,414) 내로 상기 제1,2유체압 피스톤(420,430)을 가압하는 작동유체가 공급되도록 연통된 유체통로(415)가 형성된 브레이크 실린더 하우징(410)과; 상기 제1,2실린더부(412,414) 내에서 작동유체의 유체압에 의해 좌,우 서로 상반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제1,2플레이트 스프링(510,520)에 의해 복귀 가능한 제1,2유체압 피스톤(420,4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작동유체의 유체압은 공압 또는 유압을 적용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브레이크 실린더 하우징(410)은 바디(100)측에서 공급되는 작동유체가 유체통로(415) 측으로 공급되도록 유체통로(415)가 바디(100)의 유체공급공(105)과 일치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유체통로(415)는 상기 브레이크 실린더 하우징(410)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바디(100)로부터 공급되는 작동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공(415a)과, 상기 격벽에 상기 유입공(415a)과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2실린더부(412,414)가 연통되도록 천공 형성되는 통공(415b)으로 구성된다.
상기 유입공(415a)은 측면이 기밀부재(700)를 매개로 상기 유체공급공(105)에 연통되고 하부가 하측의 통공(415b)과 연통되도록 천공되며 구멍 가공이 용이하도록 상부가 브레이크 실린더 하우징(410)의 외측과 연통되도록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유입공(415a)과 통공(415b)은 작동유체의 유입 및 배출이 원활하도록 복수개로 형성된다.
상기 유체통로(415)는 상기 제1,2유체압 피스톤(420,430)의 서로 마주보는 면의 테두리에 오목하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이상의 유체통과홈(440)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통공(415b)을 통해 제1,2실린더부(412,414) 내로 유입되는 작동유체가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3a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1,2브레이크 디스크(310,320)를 지지하는 지지수단은 상기 회전축(200)에 끼워지고 상기 제1브레이크 디스크(310)의 일측이 지지되며 제1연결볼트(630)에 의해 상기 회전축(200)에 연동되도록 연결되는 스페이서부재(610)와, 상기 회전축(200)의 단부에 끼워지고 상기 제2브레이크 디스크(320)의 일측이 지지되며 제2연결볼트(640)에 의해 상기 스페이서부재(610)에 연동되도록 연결되는 연결블록(6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브레이크 디스크(310)는 회전축(200)과 스페이서부재(610) 사이에 개재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연결볼트(630)에 의해 상기 회전축(200)과 스페이서부재(610)의 회전에 의해 연동 회전되도록 연결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복귀수단(500)은 상기 브레이크 실린더 하우징(410)의 제1,2실린더부(412,414) 내에 수용되고, 상기 격벽을 향해 상기 제1,2유체압 피스톤(420,430)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작동유체의 유체압이 해제될 경우 상기 제1,2유체압 피스톤(420,430)에 탄성 복귀력을 제공하는 제1,2플레이트 스프링(510,520)과; 상기 제1유체압 피스톤(420)에 관통되도록 결합되어 단부가 상기 제2플레이트 스프링(520)에 체결되는 제1고정용볼트(530); 및 상기 제2유체압 피스톤(430)에 관통되도록 결합되어 단부가 상기 제1플레이트 스프링(510)에 체결되는 제2고정용볼트(54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복귀수단(500)은 제1플레이트 스프링(510)을 제1유체압 피스톤(420)의 일면(서로 마주보는 면)에 고정시키고, 제2플레이트 스프링(520)을 제2유체압 피스톤(430)의 일면(서로 마주보는 면)에 고정시키는 체결볼트(450)가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2플레이트 스프링(510,520)은 작동유체가 제1,2유체압 피스톤(420,430)의 사이 중간에 공급될 경우 제1,2유체압 피스톤(420,430)이 서로 상반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제1,2고정용볼트(530,540)에 체결된 부위를 중심으로 제1,2유체압 피스톤(420,430)의 이동에 대한 반발력이 발생하게 되고, 브레이크 실린더 하우징(410) 내의 작동유체가 외부로 배출되어 유체압이 해제될 경우 반발력에 따른 탄성 복원력을 제1,2유체압 피스톤(420,430)에 전달하여 제1,2유체압 피스톤(420,430)을 원 위치로 복귀시키게 된다.
도 3a를 다시 참조하면, 상기 리어 커버(60)는 상기 바디(100)의 타측 내부에 수용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리어 커버(60)와 브레이크 실린더 하우징(410)을 관통하여 바디(100)에 체결 고정되는 결합볼트(65)에 고정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기밀부재(700)는 0링을 채택할 수 있으며, 기밀 유지를 위해 제1,2유체압 피스톤(420,430)의 외주 둘레와 제1,2실린더부(412,414)의 외측 둘레에 결합되고, 유체공급공(105)과 유입공(415a)의 측면 사이에 개재되어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조립과정을 먼저 설명하면, 브레이크 실린더 하우징(410)의 제1실린더부(412) 내에 제1플레이트 스프링(510)과 제1유체압 피스톤(420)이 내장되도록 결합시키고, 제2실린더부(414) 내에 제2플레이트 스프링(520)과 제2유체압 피스톤(430)이 내장되도록 결합시킨 후에, 제1,2고정용볼트(530,540)를 이용하여 제1,2플레이트 스프링(510,520)을 제1,2유체압 피스톤(420,430)에 서로 엇갈리도록 결합시킨다.
이때, 제1플레이트 스프링(510)은 제2고정용 볼트에 의해 제2유체압 피스톤(430)과 연결되도록 결합되고, 제2플레이트 스프링(520)은 제1고정용 볼트에 의해 제1유체압 피스톤(420)과 연결되도록 결합된다.
이어서, 제1브레이크 디스크(310)는 중심부위가 스페이서부재(610)의 일측과 회전축(200) 사이에 개재되고 테두리부위가 지지턱(102)과 제1유체압 피스톤(420) 사이에 배치되며, 스페이서부재(610)를 회전축(200)에 고정시키는 제1연결볼트(630)에 의해 제1브레이크 디스크(310)가 상기 회전축(200)과 연동 회전되도록 결합된다.
상기 제2브레이크 디스크(320)는 중심부위가 스페이서부재(610)의 타측과 연결블록(620) 사이에 개재되고 테두리부위가 리어 커어의 내측과 제2유체압 피스톤(430) 사이에 배치되며, 연결블록(620)을 스페이서부재(610)에 고정시키는 제2연결볼트(640)에 의해 제2브레이크 디스크(320)가 스페이스부재와 연결블록(620)에 연동 회전되도록 결합된다.
상기 브레이크 실린더 하우징(410)은 상기 리어 커버(60) 및 브레이크 실린더 하우징(410)을 관통하여 바디(100)측에 체결되는 결합볼트(65)에 의해 바디(100)의 타측 내에 수용된 상태로 바디(10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한 조립과정이 완료된 후에 유체공급공(105)을 통해 바디(100)로부터 작동유체가 유체통로(415)의 유입공(415a)을 통과하여 통공(415b)을 통해 제1,2실린더부(412,414) 내에 작동유체의 유체압이 전달되어 제1,2유체압 피스톤(420,430)을 서로 상반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유체압 피스톤(420)은 도면상의 좌측으로 이동되면서 제1브레이크 디스크(310)의 테두리부위를 가압하여 바디(100)의 지지턱(102)에 면접촉되도록 밀착시키고, 상기 제2유체압 피스톤(430)은 도면상의 우측으로 이동되면서 제2브레이크 디스크(320)의 테두리 부위를 가압하여 리어 커버(60)의 내측면에 면접촉되도록 밀착시켜 바디(100)와 리어 커버(60) 양측에 브레이크 클램핑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제1,2플레이트 스프링(510,520) 중 제1플레이트 스프링(510)은 제2고정용 볼트에 의해 제2유체압 피스톤(430)과 연결되도록 결합되고, 제2플레이트 스프링(520)은 제1고정용 볼트에 의해 제1유체압 피스톤(420)과 연결되도록 결합되어 있으므로, 서로 상반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1,2유체압 피스톤(420,430)에 이동에 대한 반발력이 전달된다.
한편, 제1,2실린더부(412,414) 내에 충전된 작동유체가 유체공급공(105)을 통해 바디(100)의 외부로 배출되어 제1,2실린더부(412,414) 내의 유체압이 해제된 경우,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제1,2유체압 피스톤(420,430)의 이동시 발생된 제1,2플레이트 스프링(510,520)의 반발에 따른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제1,2유체압 피스톤(420,430)이 격벽을 향해 이동되면서 원위치로 복귀동작되어 제1,2브레이크 디스크(310,320)에 전달되는 가압력이 해제된다.
이로 인해 제1브레이크 디스크(310)의 테두리부위는 바디(100)의 지지턱(102)으로부터 분리되고, 제2브레이크 디스크(320)의 테두리부위는 리어 커버(60)의 내측면으로부터 분리되어 공작물의 회전을 위한 웜샤프트(80)와 웜휠(70)의 회전시 회전축(200)과 리어 커버(60)의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공압 또는 유압 등의 작동유체가 브레이크 실린더 하우징(410)의 제1,2실린더부(412,414) 내부로 공급됨에 따라 제1,2브레이크 디스크(310,320)를 바디(100)와 리어 커버(60)의 양방향으로 밀착시키는 가압력을 전달하여 큰 힘의 클램핑력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수치 제어 로터리 테이블(10)의 중절삭 가공시에도 공작물이 회전되지 않도록 견고히 지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유체압 전달수단(400)은 격벽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제1,2실린더부(412,414)가 형성되고, 제1,2실린더부(412,414) 내에 좌,우측 이동이 가능한 제1,2유체압 피스톤(420,430)이 수용되어 외부의 작동유체가 제1,2실린더부(412,414) 내에 전달됨에 따라 제1,2브레이크 디스크(310,320)를 양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게 되어 부품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제1,2유체압 피스톤(420,430)의 이동을 가이드하면서 하나의 유체통로(415)를 통해 공급된 작동유체의 유체압으로 제1,2브레이크 디스크(310,320)를 양방향으로 가압하여 더블 브레이크 시스템을 적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브레이크 응답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이점을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복귀수단(500)은 박판 형태의 제1,2플레이트 스프링(510,520)이 제1,2고정용 볼트에 의해 제1,2유체압 피스톤(420,430)에 결합되므로, 근거리 이동되는 제1,2유체압 피스톤(420,430)의 특성상 제1,2실린더부(412,414) 내에 작동유체의 유체압이 해제될 경우 신속하고 간편하게 제1,2유체압 피스톤(420,430)을 원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2유체압 피스톤(420,430)의 양방향 근거리 이동으로 인해 제1,2플레이트 스프링(510,520)의 피로 누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유체통로(415)는 유입공(415a)과 통공(415b)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가공이 용이하고 하나의 유체통로(415)를 이용하여 제1,2실린더부(412,414) 내에 양방향 유체압을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입공(415a)과 통공(415b)이 복수개로 형성됨에 따라 작동유체의 유입 및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유체통로(415)는 제1,2유체압 피스톤(420,430)의 서로 마주보는 면의 테두리에 오목하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이상의 유체통과홈(440)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통공(415b)을 통해 유입되는 작동유체가 제1,2실린더부(412,414) 내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 지지수단은 회전축(200)에 끼워지고 제1브레이크 디스크(310)의 일측이 지지되며 제1연결볼트(630)에 의해 상기 회전축(200)에 연동되도록 연결되는 스페이서부재(610)와, 회전축(200)의 단부에 끼워지고 상기 제2브레이크 디스크(320)의 일측이 지지되며 제2연결볼트(640)에 의해 상기 스페이서부재(610)에 연동되도록 연결되는 연결블록(620)으로 구성되므로, 제1,2연결볼트에 의해 제1,2브레이크 디스크(310,320)를 상기 회전축(200)과 연동되게 지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앞서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이상에서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로터리 테이블 20 : 프론트 커버
30 : 이음블록 40 : 베어링부재
50 : 감속기 60 : 리어 커버
65 : 결합볼트 70 : 웜휠
80 : 웜샤프트 100 : 바디
102 : 지지턱 105 : 유체공급공
200 : 회전축 310 : 제1브레이크 디스크
320 : 제2브레이크 디스크 400 : 유체압 전달수단
410 : 브레이크 실린더 하우징 412 : 제1실린더부
414 : 제2실린더부 415 : 유체통로
415a : 유입공 415b : 통공
420 : 제1유체압 피스톤 430 : 제2유체압 피스톤
440 : 유체통과홈 450 : 체결볼트
500 : 복귀수단 510 : 제1플레이트 스프링
520 : 제2플레이트 스프링 530 : 제1고정용볼트
540 : 제2고정용볼트 610 : 스페이서부재
620 : 연결블록 700 : 기밀부재

Claims (6)

  1. 일측에 회전 가능한 로터리 테이블(10)이 배치되며 회전축(200)의 회전을 지지하는 바디(100)와;
    상기 바디(10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중심 방향 일단에 로터리테이블이 접속되는 회전축(200)과;
    상기 바디(100)의 내부에서 상기 회전축(200)에 끼워지고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작동유체에 의해 이동되는 제1,2유체압 피스톤(420,430)에 의해 상기 바디(100)의 지지턱(102) 내측면과 리어커버의 내측에 면 접촉되는 제1,2브레이크 디스크(310,320)와;
    상기 제1,2브레이크 디스크(310,320)를 향해 서로 상반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1,2유체압 피스톤(420,430)과 상기 제1,2유체압 피스톤(420,430)의 이동을 지지하는 브레이크 실린더 하우징(410)을 구비하고 작동유체의 유체압을 상기 제1,2유체압 피스톤(420,430)측에 전달하는 유체압 전달수단(400)과;
    상기 작동유체의 유체압이 해제될 경우 상기 제1,2유체압 피스톤(420,430)을 원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수단(500)과;
    상기 제1,2브레이크 디스크(310,320)를 상기 회전축(200)과 연동되게 지지하는 지지수단과;
    상기 회전축(200)에 끼워지고 상기 브레이크 실린더 하우징(410)의 중앙 내부에 끼워지며 상기 제1브레이크 디스크(310)가 고정되는 스페이서부재(610)와;
    상기 바디(100)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2유체압 피스톤(430)에 의해 이동되는 제2브레이크 디스크(320)가 밀착되는 리어커버; 및
    상기 브레이크 실린더 내의 기밀을 유지하는 기밀부재(700);를 포함하되,
    상기 유체압 전달수단(400)은 상기 바디(100)에 고정되고, 격벽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상기 제1,2유체압 피스톤(420,430)이 수용되도록 제1,2실린더부(412,414)가 형성되며, 상기 제1,2실린더부(412,414) 내로 상기 제1,2유체압 피스톤(420,430)을 가압하는 작동유체가 공급되도록 연통된 유체통로(415)가 형성된 브레이크 실린더 하우징(410)과;
    상기 제1,2실린더부(412,414) 내에서 작동유체의 유체압에 의해 좌,우 서로 상반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제1,2플레이트 스프링(510,520)에 의해 복귀 가능한 제1,2유체압 피스톤(420,43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테이블용 더블 브레이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200)은 상기 회전축(200)과 연동되도록 볼트로 결합되고 감속기(50)의 웜샤프트(80)와 치합되는 웜휠(70)과 상기 제1브레이크 디스크(310)가 지지되도록 둘레가 단턱진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테이블용 더블 브레이크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귀수단(500)은 상기 브레이크 실린더 하우징(410)의 제1,2실린더부(412,414) 내에 수용되고, 상기 격벽을 향해 상기 제1,2유체압 피스톤(420,430)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작동유체의 유체압이 해제될 경우 상기 제1,2유체압 피스톤(420,430)에 탄성 복귀력을 제공하는 제1,2플레이트 스프링(510,520)과;
    상기 제1유체압 피스톤(420)에 관통되도록 결합되어 단부가 상기 제2플레이트 스프링(520)에 체결되는 제1고정용볼트(530)와;
    상기 제2유체압 피스톤(430)에 관통되도록 결합되어 단부가 상기 제1플레이트 스프링(510)에 체결되는 제2고정용볼트(540); 및
    상기 제1,2플레이트 스프링(510,520)을 제1,2유체압 피스톤(420,430)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고정시키는 체결볼트(4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테이블용 더블 브레이크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체통로(415)는 상기 브레이크 실린더 하우징(410)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바디(100)로부터 공급되는 작동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공(415a)과,
    상기 격벽에 상기 유입공(415a)과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2실린더부(412,414)가 연통되도록 천공 형성되는 통공(415b)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테이블용 더블 브레이크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유체통로(415)는 상기 제1,2유체압 피스톤(420,430)의 서로 마주보는 면의 테두리에 오목하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이상의 유체통과홈(440)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테이블용 더블 브레이크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회전축(200)에 끼워지고 상기 제1브레이크 디스크(310)의 일측이 지지되며 제1연결볼트(630)에 의해 상기 회전축(200)에 연동되도록 연결되는 스페이서부재(610)와,
    상기 회전축(200)의 단부에 끼워지고 상기 제2브레이크 디스크(320)의 일측이 지지되며 제2연결볼트(640)에 의해 상기 스페이서부재(610)에 연동되도록 연결되는 연결블록(62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테이블용 더블 브레이크장치.
KR1020180011900A 2018-01-31 2018-01-31 로터리 테이블용 더블 브레이크장치 KR1019164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900A KR101916415B1 (ko) 2018-01-31 2018-01-31 로터리 테이블용 더블 브레이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900A KR101916415B1 (ko) 2018-01-31 2018-01-31 로터리 테이블용 더블 브레이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6415B1 true KR101916415B1 (ko) 2018-11-07

Family

ID=64362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1900A KR101916415B1 (ko) 2018-01-31 2018-01-31 로터리 테이블용 더블 브레이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641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25969A (zh) * 2019-08-27 2019-12-03 上汽通用五菱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位置切换装置
KR102477442B1 (ko) * 2021-08-19 2022-12-13 하이윈 테크놀로지스 코포레이션 상시 폐쇄식 제동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로터리 테이블
JP7416527B1 (ja) 2023-02-20 2024-01-17 中国机械総院集団寧波智能機床研究院有限公司 静圧複合ロータリーテーブル及び静圧複合ロータリーテーブルの保護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25969A (zh) * 2019-08-27 2019-12-03 上汽通用五菱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位置切换装置
KR102477442B1 (ko) * 2021-08-19 2022-12-13 하이윈 테크놀로지스 코포레이션 상시 폐쇄식 제동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로터리 테이블
JP7416527B1 (ja) 2023-02-20 2024-01-17 中国机械総院集団寧波智能機床研究院有限公司 静圧複合ロータリーテーブル及び静圧複合ロータリーテーブルの保護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6415B1 (ko) 로터리 테이블용 더블 브레이크장치
JP5960370B1 (ja) 回転テーブル装置
KR101278093B1 (ko) 공작기계용 회전 분할 장치를 위한 클램프 장치
KR101278092B1 (ko) 공작기계용 회전 분할 장치를 위한 클램프 장치
CA1057059A (en) Portable field machine for cutting, grinding and lapping valve seats
US20120011964A1 (en) Indexing apparatus for machine tool
JP5078526B2 (ja) 工作機械用の回転割出し装置のためのクランプ装置
JP5323077B2 (ja) 機械設備
KR101398809B1 (ko) 터렛공구대
WO2017154886A1 (ja) 回転テーブル装置、及び当該装置を備えた工作機械
KR100938873B1 (ko) 원모터 액슬타입의 터렛공구대
CN103692283A (zh) 机床冷却介质随动射流装置
US6543319B1 (en) Tool for machining workpieces by removing material
US20160207156A1 (en) Rotary table and clamping mechanism
KR100938872B1 (ko) 액슬 타입의 터렛공구대
TW201806693A (zh) 分度裝置中之夾緊裝置
KR20110019599A (ko) 수치제어식 로터리테이블의 클램핑장치
KR20160141452A (ko) 공작기계의 인덱스 테이블
JP2008062316A (ja) 旋盤の主軸制動装置及びワークの加工方法
CN113084539A (zh) 一种改进型五轴旋转工作台
KR100436249B1 (ko) 터렛헤드 장치
JP4913961B2 (ja) 回転テーブル装置
CN212020008U (zh) 回转轴制动装置及具有其的机床
JP3597493B2 (ja) 加工装置
KR100603774B1 (ko) 터릿 헤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