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6017B1 - 복합치료카트리지 및 이를 구비한 복합치료장치 - Google Patents

복합치료카트리지 및 이를 구비한 복합치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6017B1
KR101916017B1 KR1020170061783A KR20170061783A KR101916017B1 KR 101916017 B1 KR101916017 B1 KR 101916017B1 KR 1020170061783 A KR1020170061783 A KR 1020170061783A KR 20170061783 A KR20170061783 A KR 20170061783A KR 101916017 B1 KR101916017 B1 KR 1019160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ultrasonic
medium accommodating
moving
su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1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태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엠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엠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엠랩
Priority to KR1020170061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6017B1/ko
Priority to PCT/KR2018/004355 priority patent/WO2018190683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6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60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6Skin treatment other than ta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7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using laser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2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61N2005/0644Handheld applicators
    • A61N2005/067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04Applications of 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34Skin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86Beam steering
    • A61N2007/0091Beam steering with moving parts, e.g. transducers, lenses, reflec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치료카트리지 및 이를 구비한 복합치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복합치료카트리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어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 조사부 및 상기 레이저와 동일한 방향으로 초음파를 발산하며,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초음파 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복합치료카트리지 및 이를 구비한 복합치료장치 {Composite treatment cartridge and composite medical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복합치료카트리지 및 이를 구비한 복합치료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레이저와 초음파를 이용하여 대상자의 피부에 대한 복합치료를 수행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초음파를 발산하는 초음파 압전소자를 이동시킬 수 있는 복합치료카트리지와 이러한 복합치료카트리지를 구비한 복합치료장치에 대한 것이다.
최근 사람들의 건강, 피부 등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다양한 의료기기 등이 개발되고 있다.
그 중에서 초음파(ultrasonic wave)를 이용한 의료기기는 압전소자에서 나오는 초음파에너지를 한 점에 집속하여 원하는 부분에 고강도의 에너지를 출력하는 방식으로 암치료, 피부 미용 등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레이저(laser)를 이용한 의료기기는 피부, 외과,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 중이며, 레이저를 조사하는 경우에 레이저 광에너지에 의해 피부, 점막 조사 부위를 세포손상, 절개, 광분해 등의 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그런데, 종래에 개발된 초음파를 이용한 의료기기나 레이저를 이용한 의료기기는 고가의 장비로 구성되며, 초음파와 레이저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의료기기에 대한 개발은 부진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레이저와 초음파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치료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초음파와 레이져를 이동하는 경우에 상기 초음파를 발산시키는 초음파 압전소자를 이동시킬 수 있는 치료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초음파 압전소자를 대상자의 피부를 따라 X축, 또는 Y축으로 이동시킬 뿐만 아니라 대상자의 피부에 대한 거리를 변화시키는 Z축 이동도 가능한 치료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어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 조사부 및 상기 레이저와 동일한 방향으로 초음파를 발산하며,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초음파 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치료카트리지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초음파 모듈은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서 대상자의 피부를 따라 평행한 방향 및 상기 대상자의 피부와의 거리가 조절되는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때, 상기 초음파 모듈은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서 대상자의 피부를 따라 직선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한편, 상기 초음파 모듈은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서 상기 대상자의 피부를 따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매질 수용부 및 상기 매질 수용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매질을 통해 초음파를 상기 레이저와 동일한 방향으로 발산하며, 상기 대상자의 피부와의 거리가 조절되는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초음파 압전소자를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는 상기 매질 수용부를 이동시키는 구동축 및 상기 구동축을 구동시키는 제1 구동부를 더 구비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는 상기 매질 수용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바를 더 구비한다.
이때, 상기 초음파 압전소자가 상기 대상자의 피부와의 거리가 조절되는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중에 상기 매질 수용부의 하단부는 상기 대상자의 피부에 접촉한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상기 매질 수용부는 상기 대상자의 피부에 대한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초음파 압전소자가 연결되는 이동부와, 상기 대상자의 피부에 대한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부와 고정부 사이에 상하로 이동 가능한 구조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부와 고정부 사이에 제1 신축연결부를 구비하거나, 또는 상기 이동부와 고정부는 그 단부가 서로 미리 결정된 길이만큼 서로 겹치도록 배치되며, 상기 이동부와 고정부 사이에 오링을 구비한다.
한편, 상기 이동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2 구동부를 더 구비한다.
이때,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는 상기 매질 수용부와 연동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플레이트를 더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이동플레이트에 상기 레이저 조사부가 고정된다.
나아가, 상기 레이저 조사부에서 조사되는 레이저는 상기 초음파 압전소자를 관통하여 대상물을 향해 조사된다.
이 경우, 상기 레이저 조사부에서 조사되는 레이저는 상기 매질과 만나지 않고 상기 매질 수용부를 관통하여 대상물을 향해 조사된다.
한편, 상기 매질 수용부의 내측에는 상기 레이저가 관통하는 광로를 형성하는 레이저 조사관을 더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레이저 조사관은 상기 매질 수용부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상기 수용공간을 가로질러 형성된다.
이때, 상기 레이저 조사관에는 상하로 신축 가능한 제2 신축 연결부를 구비한다.
또는 상기 레이저 조사관은 상부 조사관과 하부 조사관을 구비하며, 상기 상부 조사관과 하부 조사관은 그 단부가 서로 미리 결정된 길이만큼 겹치도록 배치되며, 상기 상부 조사관과 하부 조사관 사이에 오링을 구비한다.
한편, 상기 초음파 압전소자는 상기 매질 수용부의 내측에서 상기 레이저 조사관에 장착된다.
이때, 상기 초음파 압전소자는 상기 레이저 조사관의 외면에 장착된다.
한편, 상기 초음파 압전소자에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개구부에 상기 레이저 조사관이 삽입되어 상기 초음파 압전소자가 고정된다.
또한, 상기 레이저 조사부와 상기 레이저 조사관의 중심을 맞추기 위한 정렬부를 더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정렬부는 상기 레이저 조사관과 연통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복합치료카트리지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핸드피스와, 상기 핸드피스와 연결되는 본체를 구비하는 복합치료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에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초음파 압전소자로 전달되는 초음파를 생성하는 초음파 제어기와, 상기 레이저 조사부로 전달되는 레이저를 생성하는 레이저 발생기와, 상기 전원부, 초음파 제어기 및 레이저 발생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전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르면, 레이저와 초음파를 동일한 방향으로 조사하여 치료효과를 높일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레이저와 초음파를 동일한 방향을 향해 조사하는 경우에 상기 레이저가 상기 초음파의 매질과 만나지 않도록 하여 상기 레이저에 의한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초음파와 레이져를 이동하는 경우에 상기 초음파를 발산시키는 초음파 압전소자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치료효과를 높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초음파 압전소자를 대상자의 피부를 따라 X축, 또는 Y축으로 이동시킬 뿐만 아니라 대상자의 피부에 대한 거리를 변화시키는 Z축 이동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초음파에 치료 범위를 넓힐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치료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체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치료카트리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치료장치(1000)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체(5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복합치료장치(1000)는 본체(500)와,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대상자에 대한 치료를 제공하는 핸드피스(handpiece)(30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500)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505)을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505)의 내측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550)와, 후술하는 초음파 압전소자(140)(도 5 참조)에서 생성되는 초음파를 제어하는 신호를 전달하는 초음파 제어기(520)와, 후술하는 레이저 조사부(150)(도 5 참조)로 전달되는 레이저를 생성하는 레이저 발생기(530)와, 상기 전원부(550), 초음파 제어기(520) 및 레이저 발생기(53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40)를 구비한다.
나아가, 상기 본체(500)는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명령이 입력되거나 또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입출력부(510)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입출력부(510)를 조작하여 상기 핸드피스(300)를 통한 치료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입출력부(51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touch-screee) 형태로 구현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출력부(510)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 예를 들어 치료시간, 치료의 종류, 예상 종료시간 등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입출력부(510)를 통해 입력된 명령은 상기 제어부(540)를 통해 각 구성요소로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540)를 통해 상기 전원부(550), 초음파 제어기(520) 및 레이저 발생기(530)의 구동 등을 제어하게 된다.
사용자는 상기 핸드피스(300)를 이용하여 대상자에게 원하는 치료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핸드피스(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500)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비록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핸드피스(300)와 상기 본체(500)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500)의 초음파 제어기(520)에서 발생한 초음파 제어 신호와 상기 레이저 발생기(530)에 발생한 레이저는 상기 핸드피스(300)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핸드피스(300)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파지부(200)와 상기 파지부(200)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합치료카트리지(10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파지부(200)는 사용자가 손으로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적절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복합치료카트리지(100)는 상기 파지부(20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복합치료카트리지(100)는 미리 정해진 시간 이상 사용되면 교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상기 파지부(200)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때, 상기 본체(500)에서 전달된 초음파 제어신호와 레이저는 상기 복합치료카트리지(100)로 전달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치료카트리지(10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복합치료카트리지(100)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3에서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복합치료카트리지(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30), 상기 하우징(130)의 내측에 구비되어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 조사부(150) 및 상기 레이저와 동일한 방향으로 초음파를 발산하며, 상기 하우징(130)의 내측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초음파 모듈(110)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복합치료카트리지(100)는 레이저와 초음파를 함께 제공하여 대상자에 대한 적절한 치료 및/또는 처치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초음파를 제공하는 초음파 모듈(110)이 상기 복합치료카트리지(100)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어 초음파에 의한 치료 효과를 현저히 상승시킬 수 있으며, 종래에 비해 좀더 다양한 피부 영역을 치료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하우징(130)은 상기 복함치료카트리지(100)의 외관을 형성하며, 전술한 파지부(200)에 연결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하우징(130)에는 상기 파지부(200)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기 위한 연결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모듈(110)은 상기 하우징(130)의 내측에서 대상자의 피부를 따라 평행한 방향 및 상기 대상자의 피부와의 거리가 조절되는 세로 방향(또는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초음파 모듈(110)은 상기 하우징(130)의 내측에서 대상자의 피부를 따라 직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초음파 모듈(110)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피부에 초음파를 제공하여 치료 또는 처리를 수행하는 경우에 상기 초음파 모듈(110)이 상기 복합치료카트리지(100)를 형성하는 하우징(130)의 내측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사용자가 상기 복합치료카트리지(100)를 수동으로 일일이 이동시키지 않더라도 상기 초음파 모듈(110)의 이동에 의해 원하는 피부 영역을 치료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초음파 모듈(110)에서 초음파를 제공하는 초음파 압전소자(140)와 대상자의 피부와의 거리가 조절되도록, 즉 수직한 방향(Z축 방향)으로 상기 초음파 압전소자(140)가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어 다양한 깊이의 피부 영역을 하나의 장치에 의해 한번에 치료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초음파 모듈(110)은 상기 하우징(130)의 내측에서 상기 대상자의 피부를 따라 평행한 방향(X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매질 수용부(120) 및 상기 매질 수용부(12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매질을 통해 초음파를 상기 레이저와 동일한 방향으로 발산하며, 상기 대상자의 피부와의 거리가 조절되는 수직한 방향(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초음파 압전소자(14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30)의 내측에는 매질이 수용되는 수용공간(122)을 제공하는 매질 수용부(120)가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질 수용부(120)의 내부에는 상기 초음파 압전소자(140)가 구비된다.
상기 매질 수용부(120)의 수용공간(122)에는 초음파의 전달을 용이하게 하는 매질이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물이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상기 수용공간(122)에 매질이 수용되는 경우에 상기 초음파 압전소자(140)의 하부에 매질이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초음파 압전소자(140)에서 발산하는 초음파는 상기 매질 수용부(120)에 저장된 매질을 통해 미리 정해진 방향, 예를 들어 상기 하우징(130)의 하부를 향해 조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매질 수용부(120)의 베이스(121)는 상기 초음파가 관통할 수 있는 적절한 매질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매질 수용부(120)는 상기 하우징(130)의 내측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므로, 상기 매질 수용부(120)의 이동을 위한 이동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우징(130)의 내측에는 상기 매질 수용부(120)를 이동시키는 구동축(610) 및 상기 구동축(610)을 구동시키는 제1 구동부(60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구동축(610)은 상기 하우징(130)의 내부 공간을 가로 질러 구비되며, 상기 매질 수용부(120)의 외측에는 상기 구동축(610)이 관통하는 관통공(129A)이 형성된 제1 돌출부(129)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구동축(610)의 표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129A)의 내측에는 상기 구동축(610)의 나사산에 치합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축(610)의 일단에 상기 제1 구동부(600)가 연결된다. 상기 제1 구동부(600)는 예를 들어 모터(motor)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구동부(600)의 구동에 의해 상기 구동축(610)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구동축(61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매질 수용부(120)가 대상자의 피부를 따라 직선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매질 수용부(120)의 하단부에는 상기 매질 수용부(120)가 이동하는 경우에 이동을 원활하게 해주는 롤러(128)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130)의 내측에는 상기 매질 수용부(12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바(62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바(620)는 상기 구동축(610)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상기 하우징(130)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매질 수용부(120)는 상기 구동축(610) 및 제1 가이드바(620)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바(620)는 상기 매질 수용부(120)의 제2 돌출부(127)를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돌출부(127)는 상기 제1 가이드바(620)를 따라 슬라이딩하며 이동하게 된다.
전술한 구성을 이용하는 경우에 상기 매질 수용부(120)는 X축 방향뿐만 아니라 Y축 방향으로도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초음파 압전소자(140)와 대상자의 피부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키는 경우에 또는 상기 초음파 압전소자(140)가 상기 대상자의 피부와의 거리가 조절되는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중에 상기 매질 수용부(120)의 하단부는 상기 대상자의 피부에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초음파를 이용한 치료 시에는 피부 표면에 젤(gel) 등을 도포하고 상기 젤에 초음파 장치를 접촉시켜 치료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초음파 발생원에 해당하는 초음파 압전소자(140)와 대상자의 피부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키는 경우에도 전술한 매질 수용부(120)의 하단부는 대상자의 피부에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 상기 초음파 압전소자(140)가 상기 매질 수용부(120)의 내측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초음파 압전소자(140)가 연결된 상기 매질 수용부(120)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대상자의 피부에 대한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매질 수용부(120)는, 상기 대상자의 피부에 대한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초음파 압전소자(140)가 연결되는 이동부(124)와, 상기 대상자의 피부에 대한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 고정부(125)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부(124) 및 고정부(125)의 명칭의 의미는 피부에 대해 수직한 방향의 이동 및 고정을 의미한다. 상기 고정부(125)를 포함한 매질 수용부(120)의 전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대상자의 피부를 따라 평행하게 또는 가로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매질 수용부(120)가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부(124)와 고정부(125)로 구분됨으로써, 상기 매질 수용부(120)의 측벽에 상기 매질 수용부(120)의 적어도 일부가 상하로 이동 가능한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매질 수용부(120)의 측벽을 따라 제1 신축연결부(190)를 구비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부(124)와 고정부(125)의 경계를 따라 상기 제1 신축연결부(19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신축연결부(190)는 플렉서블하게 구성되어 상기 고정부(125)에 대해 상기 이동부(124)를 상하로 소정거리 이동 가능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신축연결부(190)는 자바라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신축연결부(190)의 상부에 위치한 상기 매질 수용부(12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2 구동부(8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이동부(124)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 구동부(80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구동부(800)가 구동하는 경우에 구동축(810)의 단부에 달린 회전부(820)가 상기 이동부(124)를 상하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회전부(820)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124)의 일측에는 상기 나사산에 치합하는 나사산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130)의 내측에는 상기 매질 수용부(120)와 연동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플레이트(7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이동플레이트(700)가 이동하는 경우에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제2 가이드바(710) 및 제3 가이드바(7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가이드바(710) 및 제3 가이드바(720)가 상기 이동플레이트(700)를 관통하여 구비되며, 상기 이동플레이트(700)가 이동하는 경우에 상기 제2 가이드바(710) 및 제3 가이드바(720)를 따라 슬라이딩하며 이동하게 된다.
상기 이동플레이트(700)는 상기 매질 수용부(120)와 연결부(900)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매질 수용부(120)와 연동하여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부(900)는 상기 매질 수용부(120)의 고정부(125)에 연결되거나, 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125)에서 돌출한 제1 돌출부(129)에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이동부(124)는 상하로 이동하게 되므로 상기 연결부(900)는 수직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 고정부(125)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플레이트(700)에 전술한 레이저 조사부(150)가 고정되어 레이저를 조사하게 된다. 또한, 전술한 제2 구동부(800)는 상기 이동플레이트(700)에 고정된다.
결국, 전술한 제1 구동부(600)의 구동에 의해 상기 매질 수용부(120)가 대상자의 피부에 평행한 방향, 즉 도면에서 X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상기 이동플레이트(700) 및 레이저 조사부(150)도 함께 이동하게 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이저 조사부(150)에서 조사된 레이저는 상기 이동플레이트(700)의 개구부(705)를 관통하여 상기 초음파와 동일한 방향을 향해 공급된다. 그런데, 상기 매질 수용부(120)의 수용공간(122)에는 매질이 저장되어 있으므로 상기 레이저가 상기 매질과 만나게 되면 방향을 잃고 분산되거나 에너지를 잃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레이저 조사부(150)에서 조사되는 레이저는 상기 매질과 만나지 않고 상기 매질 수용부(120)를 관통하여 대상물을 향해 조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매질 수용부(120)의 내측에 상기 레이저가 관통하는 광로를 형성하는 레이저 조사관(160)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레이저 조사부(150)에서 조사되는 레이저는 상기 레이저 조사관(160)을 통하여 피부를 향해 공급되어 매질과 만나지 않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매질 수용부(120)의 내부에는 상기 초음파 압전소자(140)가 배치되는데, 상기 레이저 조사부(150)에서 조사되는 레이저는 상기 초음파 압전소자(140)를 관통하여 대상물을 향해 조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레이저는 상기 초음파 압전소자(140)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조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레이저 조사관(160)은 상기 매질 수용부(120)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상기 수용공간(122)을 상하로 가로질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이저 조사관(160)의 상단부는 레이저가 들어오는 광입구(172)를 형성하며, 상기 레이저 조사관(160)의 하단부는 레이저가 방출되는 광출구(170)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레이저 조사관(160)은 상기 매질 수용부(120)의 중앙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레이저 조사관(160)은 사출 성형 등의 방식으로 상기 매질 수용부(1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이저 조사관(160)은 상기 매질 수용부(120)과 별개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레이저 조사관(160)은 상기 매질 수용부(120)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레이저 조사관(160)은 레이저가 이동하는 통로(162)를 형성한다. 상기 통로(162)의 단면적은 일정하거나, 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를 향해 그 면적이 줄어들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광입구(172)의 면적에 비해 상기 광출구(170)의 면적이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초음파 압전소자(140)는 상기 매질 수용부(120)의 내측에서 상기 레이저 조사관(160)에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초음파 압전소자(140)는 상기 레이저 조사관(160)의 외면에 장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초음파 압전소자(140)에 개구부(142)를 구비하고, 상기 개구부(142)에 상기 레이저 조사관(160)이 삽입되어 상기 초음파 압전소자(140)를 장착할 수 있다. 이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이저 조사관(160)의 내부 단면적이 달라지므로, 상기 초음파 압전소자(140)를 상기 레이저 조사관(160)의 외부에 끼움 고정 방식으로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압전소자(140)를 상기 레이저 조사관(160)에 고정하는 경우에 상기 초음파 압전소자(140)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게 되어 구성이 단순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이저 조사관(160)의 상단부는 상기 매질 수용부(120)의 이동부(124)에 연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레이저 조사관(160)의 하단부는 상기 매질 수용부(120)의 고정부(125)에 연결된다. 이 경우, 상기 이동부(124)의 상하 이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레이저 조사관(160)의 적어도 일부에 제2 신축연결부(16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신축연결부(164)의 구성 및 동작은 전술한 제1 신축연결부(190)와 유사하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레이저 조사부(150)에서 조사된 레이저는 상기 레이저 조사관(160)을 통해 대상자에게 공급되는데, 이 경우 상기 레이저가 상기 레이저 조사관(160)의 내벽 등과 만나지 않도록 상기 레이저 조사부(150)와 레이저 조사관(160)의 중심을 일치 또는 얼라인(align)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레이저 조사부(150)와 상기 레이저 조사관(160)의 중심을 맞추기 위한 정렬부(18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정렬부(18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매질 수용부(120)의 상면(123)에서 미리 결정된 길이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정렬부(180)는 예를 들어 소정 길이의 파이프 형태 또는 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정렬부(180)는 상기 레이저 조사관(160)과 연통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정렬부(180)의 하단부는 상기 레이저 조사관(160)의 광입구(172)와 연결되어, 상기 레이저 조사관(160)에서 조사된 레이저가 상기 정렬부(180)를 통하여 하부의 레이저 조사관(160)으로 조사된다.
이때, 상기 정렬부(180)는 사출 성형 등의 방식으로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별도의 부재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할 수도 있다.
상기 레이저 조사부(150)와 상기 레이저 조사관(160)의 중심을 정렬한 다음, 상기 이동플레이트(700)에 상기 레이저 조사부(150)를 연결하게 된다. 비록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레이저 조사부(150)를 상기 이동플레이트(700)에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제2 구동부(800)의 회전부(820)는 상기 정렬부(180)에 대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정렬부(180)의 외벽의 일측에 상기 회전부(820)의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가지는 복합치료카트리지(100)는 미리 결정된 시간 이상 사용되는 경우에 교체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전술한 본체(500)에는 상기 복합치료카트리지(100)의 사용시간을 확인할 수 있는 센서부 등을 구비하여 전술한 입출력부(510)를 통하여 사용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사용시간을 확인하여 상기 복합치료카트리지(100)의 교체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상기 매질 수용부(120)의 적어도 일부가 상하로 이동 가능한 구조를 구비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하, 도 5와 차이점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매질 수용부(120)는 이동부(124)와 고정부(125)를 구비하며, 상기 이동부(124)와 고정부(125)는 그 단부가 서로 미리 결정된 길이만큼 겹치도록 배치된다. 이때, 도면에서는 상기 고정부(125)가 상기 이동부(124)의 내측으로 삽입된 형태를 도시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반대로 상기 이동부(124)가 상기 고정부(125)의 내측으로 삽입된 형태도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제2 구동부(800)가 구동하는 경우에 상기 이동부(124)가 상기 고정부(125)에 대해 슬라이딩하며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매질 수용부(120)의 내측에 수용된 매질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이동부(124)와 고정부(125) 사이에는 '오링'(O-ring)(126)과 같은 밀폐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레이저 조사관(160)의 상단부는 상기 매질 수용부(120)의 이동부(124)에 연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레이저 조사관(160)의 하단부는 상기 매질 수용부(120)의 고정부(125)에 연결된다.
이 경우, 상기 이동부(124)의 상하 이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레이저 조사관(160)은 상부 조사관(160A)과 하부 조사관(160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 조사관(160A)과 하부 조사관(160b)은 그 단부가 서로 미리 결정된 길이만큼 겹치도록 배치된다. 이때, 도면에서는 상기 하부 조사관(160B)이 상기 상부 조사관(160A)의 내측으로 삽입된 형태를 도시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반대로 상기 상부 조사관(160A)이 상기 하부 조사관(160B)의 내측으로 삽입된 형태도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제2 구동부(800)가 구동하는 경우에 상기 상부 조사관(160A)이 상기 하부 조사관(160B)에 대해 슬라이딩하며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매질 수용부(120)의 내측에 수용된 매질이 상기 레이저 조사관(160)의 안쪽, 즉 레이저가 이동하는 통로(162)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상기 상부 조사관(160A)과 하부 조사관(160b) 사이에는 '오링'(O-ring)(161)과 같은 밀폐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100..복합치료카트리지
200..파지부
300..핸드피스
500..본체

Claims (27)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어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 조사부; 및
    상기 레이저와 동일한 방향으로 초음파를 발산하며,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초음파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초음파 모듈은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서 대상자의 피부를 따라 평행한 방향 및 상기 대상자의 피부와의 거리가 조절되는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초음파 모듈은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서 상기 대상자의 피부를 따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매질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매질 수용부; 및 상기 매질 수용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매질을 통해 초음파를 상기 레이저와 동일한 방향으로 발산하며, 상기 대상자의 피부와의 거리가 조절되는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초음파 압전소자;를 구비하는 것 특징으로 하는 복합치료카트리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모듈은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서 대상자의 피부를 따라 직선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치료카트리지.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는 상기 매질 수용부를 이동시키는 구동축 및 상기 구동축을 구동시키는 제1 구동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치료카트리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는 상기 매질 수용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바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치료카트리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압전소자가 상기 대상자의 피부와의 거리가 조절되는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중에 상기 매질 수용부의 하단부는 상기 대상자의 피부에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치료카트리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매질 수용부는
    상기 대상자의 피부에 대한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초음파 압전소자가 연결되는 이동부와, 상기 대상자의 피부에 대한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치료카트리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와 고정부 사이에 상하로 이동 가능한 구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치료카트리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와 고정부 사이에 제1 신축연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치료카트리지.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와 고정부는 그 단부가 서로 미리 결정된 길이만큼 서로 겹치도록 배치되며, 상기 이동부와 고정부 사이에 오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치료카트리지.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2 구동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치료카트리지.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는 상기 매질 수용부와 연동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플레이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치료카트리지.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플레이트에 상기 레이저 조사부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치료카트리지.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조사부에서 조사되는 레이저는 상기 초음파 압전소자를 관통하여 대상물을 향해 조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치료카트리지.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조사부에서 조사되는 레이저는 상기 매질과 만나지 않고 상기 매질 수용부를 관통하여 대상물을 향해 조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치료카트리지.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매질 수용부의 내측에는 상기 레이저가 관통하는 광로를 형성하는 레이저 조사관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치료카트리지.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조사관은 상기 매질 수용부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상기 수용공간을 가로질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치료카트리지.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조사관에는 상하로 신축 가능한 제2 신축 연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치료카트리지.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조사관은 상부 조사관과 하부 조사관을 구비하며, 상기 상부 조사관과 하부 조사관은 그 단부가 서로 미리 결정된 길이만큼 겹치도록 배치되며, 상기 상부 조사관과 하부 조사관 사이에 오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치료카트리지.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압전소자는 상기 매질 수용부의 내측에서 상기 레이저 조사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치료카트리지.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압전소자는 상기 레이저 조사관의 외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치료카트리지.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압전소자에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개구부에 상기 레이저 조사관이 삽입되어 상기 초음파 압전소자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치료카트리지.
  24.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조사부와 상기 레이저 조사관의 중심을 맞추기 위한 정렬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치료카트리지.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부는 상기 레이저 조사관과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치료카트리지.
  26. 제1항 또는 제3항 또는 제5항 내지 제25항 중에 선택된 어느 한 항에 따른 복합치료카트리지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핸드피스와, 상기 핸드피스와 연결되는 본체를 구비하는 복합치료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초음파 압전소자로 전달되는 초음파를 생성하는 초음파 제어기와, 상기 레이저 조사부로 전달되는 레이저를 생성하는 레이저 발생기와, 상기 전원부, 초음파 제어기 및 레이저 발생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치료장치.
KR1020170061783A 2017-04-13 2017-05-18 복합치료카트리지 및 이를 구비한 복합치료장치 KR101916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1783A KR101916017B1 (ko) 2017-05-18 2017-05-18 복합치료카트리지 및 이를 구비한 복합치료장치
PCT/KR2018/004355 WO2018190683A1 (ko) 2017-04-13 2018-04-13 복합치료카트리지 및 이를 구비한 복합치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1783A KR101916017B1 (ko) 2017-05-18 2017-05-18 복합치료카트리지 및 이를 구비한 복합치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6017B1 true KR101916017B1 (ko) 2018-11-07

Family

ID=64363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1783A KR101916017B1 (ko) 2017-04-13 2017-05-18 복합치료카트리지 및 이를 구비한 복합치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601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9241A (ko) * 2018-10-31 2020-05-08 (주)클래시스 뇌질환 치료를 위한 초음파 장치
KR20200085694A (ko) * 2020-07-02 2020-07-15 (주)클래시스 뇌질환 치료를 위한 초음파 장치
KR102165046B1 (ko) * 2020-03-04 2020-10-13 이가연 고강도 집속형 초음파 기기와 결합되고 구동 장치가 내장된 카트리지 및 카트리지가 결합된 고강도 집속형 초음파 기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7497B1 (ko) * 2014-01-24 2015-01-29 주식회사 엘림텍 초음파를 이용한 피부 미용장치
KR101583302B1 (ko) * 2014-04-18 2016-01-07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진단 치료 겸용 광융합형 초음파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7497B1 (ko) * 2014-01-24 2015-01-29 주식회사 엘림텍 초음파를 이용한 피부 미용장치
KR101583302B1 (ko) * 2014-04-18 2016-01-07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진단 치료 겸용 광융합형 초음파기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9241A (ko) * 2018-10-31 2020-05-08 (주)클래시스 뇌질환 치료를 위한 초음파 장치
KR102148854B1 (ko) 2018-10-31 2020-08-28 (주)클래시스 뇌질환 치료를 위한 초음파 장치
KR102165046B1 (ko) * 2020-03-04 2020-10-13 이가연 고강도 집속형 초음파 기기와 결합되고 구동 장치가 내장된 카트리지 및 카트리지가 결합된 고강도 집속형 초음파 기기
WO2021177580A1 (ko) * 2020-03-04 2021-09-10 (주)이끌레오 고강도 집속형 초음파 기기와 결합되고 구동 장치가 내장된 카트리지 및 카트리지가 결합된 고강도 집속형 초음파 기기
KR20200085694A (ko) * 2020-07-02 2020-07-15 (주)클래시스 뇌질환 치료를 위한 초음파 장치
KR102148853B1 (ko) 2020-07-02 2020-08-28 (주)클래시스 뇌질환 치료를 위한 초음파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6017B1 (ko) 복합치료카트리지 및 이를 구비한 복합치료장치
KR101893584B1 (ko) 초음파 시술 장치
US5634711A (en) Portable light emitting apparatus with a semiconductor emitter array
KR101677903B1 (ko) 초음파 카트리지와 이를 이용한 초음파 치료용 헤드
US7695437B2 (en) Ultrasound therapy head with movement control
JP7254375B2 (ja) 超音波の集束深さの調節が可能な超音波発生装置および肥満治療方法
KR101824465B1 (ko) 초음파 치료용 헤드
CN1903390B (zh) Mri引导的高强度聚焦超声治疗系统
KR102111103B1 (ko) 고강도 집속 초음파 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압전구동장치의 제어방법
JP4989635B2 (ja) 生体の器官を対象とした画像形成・治療ヘッドと製造方法
KR101688424B1 (ko) 초음파 카트리지와 이를 이용한 초음파 치료용 헤드
KR101307551B1 (ko) 초음파 장치의 핸드피스
US6361509B1 (en) Therapy apparatus with a source of acoustic waves
KR101814995B1 (ko) 복합치료카트리지 및 이를 구비한 복합치료장치
KR101791550B1 (ko) 초음파 치료용 헤드
KR101894855B1 (ko) 가이드 레이저를 구비한 초음파 일체형 모듈
KR20230148131A (ko) 초음파 집속깊이 조절이 가능한 초음파 발생 장치
KR20160024207A (ko) 탈부착형 헤드를 이용한 휴대형 광 치료장치
KR20180014930A (ko) 초음파 및 고주파를 이용한 의료장치
KR102083971B1 (ko) 초음파 카트리지와 이를 이용한 초음파 치료용 헤드
KR102547764B1 (ko) 광역학적 광 조사장치
KR101776847B1 (ko) 관절염 치료를 위한 최소 침습적 레이저 침 시스템
JP2014176429A (ja) 経体腔式焼灼デバイス
KR102069669B1 (ko) 음향렌즈를 구비한 초음파 의료장치
KR102624260B1 (ko) 집속 초음파를 이용한 피부 치료 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