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5927B1 - 단말기를 이용한 작업 대행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작업 대행 시스템 - Google Patents

단말기를 이용한 작업 대행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작업 대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5927B1
KR101915927B1 KR1020180003946A KR20180003946A KR101915927B1 KR 101915927 B1 KR101915927 B1 KR 101915927B1 KR 1020180003946 A KR1020180003946 A KR 1020180003946A KR 20180003946 A KR20180003946 A KR 20180003946A KR 101915927 B1 KR101915927 B1 KR 101915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information
user terminal
proxy
jo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3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1283A (ko
Inventor
안송길
Original Assignee
안송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송길 filed Critical 안송길
Priority to KR1020180003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5927B1/ko
Publication of KR20180011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12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5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59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2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3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 which an orbital gear has an axis crossing the main axes of the gearing and has helical teeth or is a w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06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a wireless system for controlling one or several manip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79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the tasks execut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01N15/0205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by optical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3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 G01N21/35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using infrared ligh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4Investigating contamination, e.g. dus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Robo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가 의도하는 제품의 제작을 위해 상기 제품에 대응되는 작업 재료의 가공에 관한 작업 대행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작업 대행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작업 대행 장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작업 대행 장치의 동작에 관한 작업 동작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작업 동작 정보에 따라 동작되도록 상기 작업 동작 정보를 상기 작업 대행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작업 대행 장치로부터 동작 상태에 관한 장치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작업 대행 장치로부터 작업 완료에 관한 작업 완료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작업 완료된 작업 결과물에 대한 판매 또는 배송에 관한 결과물 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상기 작업 대행 장치에 전달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작업 결과물의 판매 리스트 정보 또는 배송 정보를 포함하는 결과물 정보를 상기 작업 대행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작업 대행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작업 대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단말기를 이용한 작업 대행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작업 대행 시스템{WORK PROXY METHOD FOR USING TERMINAL AND WORK PROXY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단말기를 이용한 작업 대행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작업 대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특정 제품의 제작이나 화학 실험과 같은 작업 활동은 전문적인 장비나 재료를 필요로 한다. 또한, 특정 작업의 경우, 전문가나 특정 환경이 아닌 경우 작업의 위험성이 동반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 등에 의해서 일반인들 실제 생활 공간에서 특정 작업을 실시하고자 하는 경우, 시간, 공간, 위험성, 및 장비 접근성 등의 제약에 의해 실제 작업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가 다수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장소나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원하는 작업을 자신의 단말기를 통해 안정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작업을 대신하여 수행할 수 있는 단말기를 이용한 작업 대행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작업 대행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단말기를 이용한 작업 대행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가 의도하는 제품의 제작을 위해 상기 제품에 대응되는 작업 재료의 가공에 관한 작업 대행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작업 대행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작업 대행 장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작업 대행 장치의 동작에 관한 작업 동작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작업 동작 정보에 따라 동작되도록 상기 작업 동작 정보를 상기 작업 대행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작업 대행 장치로부터 동작 상태에 관한 장치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작업 대행 장치로부터 작업 완료에 관한 작업 완료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작업 완료된 작업 결과물에 대한 판매 또는 배송에 관한 결과물 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상기 작업 대행 장치에 전달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작업 결과물의 판매 리스트 정보 또는 배송 정보를 포함하는 결과물 정보를 상기 작업 대행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작업에 관한 안내 정보인 멘토 정보를 포함하는 작업 메뉴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멘토 정보에 대한 선택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멘토 정보에 대응되는 멘토 단말기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서로 연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단말기를 이용한 작업 대행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작업 대행 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원격으로 원하는 실제 작업을 실시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작업 결과물의 배송을 통해 가상이 아닌 실제 결과물을 도출시킬 수 있다.
또한, 작업 결과물을 네트워크 상에서 판매할 수 있어, 작업 결과물에 의한 수익이 창출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사용자의 작업 결과 및 멘토 정보를 활용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대행 시스템(10)의 기본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업 대행 장치(300)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따른 작업 대행 장치(300)의 실물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이용한 작업 대행 방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도 5의 단말기를 이용한 작업 대행 방법을 사용자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이미지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이용한 작업 대행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작업 대행 시스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대행 시스템(10)의 기본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 대행 시스템(10)은, 사용자 단말기(100), 서버(200), 작업 대행 장치(300)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구비하는 단말기로, 일반적인 스마트폰(Smart Phone)이나, PC(Personal Computer), 테플릿 PC(Tablet PC) 등이 이에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앱(App)과 같은 작업 대행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이를 구동시킬 수 있다. 해당 어플리이션이 구동되면, 사용자 단말기와 서버(200) 간의 통신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서버(200)는, 작업 대행 장치(300)와 사용자 단말기(100) 간의 통신 연결을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작업 대행 장치(300)는,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에 따라 작업 재료에 대한 가공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여기서 가공 작업이란, 작업 재료의 형상을 물리적으로 변형하는 작업, 성분의 혼합을 포괄하는 재료의 변형 및 검사에 관한 전반적인 작업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작업 대행 장치(300)는 로봇암(Robot Arm)과 같이 동작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작업 대행 시스템(100)의 기본적인 동작 원리는 다음과 같다.
사용자 단말기(100)가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서버(200)와의 통신 연결을 실시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작업에 대한 요청 정보인 작업 대행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서버(200)는, 작업 대행 요청 정보를 작업 대행 장치(300)에 전달하고, 작업 대행 장치(300)는 작업 대행 요청 정보에 따라, 대응되는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작업 대행 장치(300)는 해당 작업 내용 및 과정에 관한 정보들을 사용자 단말기에서 출력될 수 있도록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작업 대행 시스템(10)에 의하면,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실제 작업을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을 통해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작업 상황을 실시간으로 관찰하거나, 사용자의 조작 등에 의해 작업 상황을 변경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선택성 역시 향상될 수 있다.
이상은, 작업 대행 시스템(10)의 구성 및 간략적인 동작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도 2 내지 도 3에서는, 작업 대행 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업 대행 장치(300)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2의 따른 작업 대행 장치(300)의 실물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 대행 장치(300)는, 작업부(310), 감지부(320), 통신부(330), 메모리부(340), 재료부(350), 이송부(360), 포장부(370), 및 배송부(38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작업부(310)는, 작업 재료(WM)를 물리적으로 가공하기 위한 수단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일 예로 로봇암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작업 종류에 따라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수단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작업부(310)는, 가구 제작을 위한 톱과 같은 도구들을 구비하거나, 이들을 집어 설정 방향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작업부(310)는 실험과 같은 작업일 경우, 액체와 같은 작업 재료(WM)를 혼합하거나, 가열, 냉각 등의 동작을 실시할 수도 있다. 뿐만아니라, 용접, 화훼, 그림 등의 다양한 작업에 대응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작업부(310)는, 단일로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각 작업에 대응되는 각각의 머신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도 4에서처럼 복수의 작업 공간(WS)에 형성되는 가이드 로드(GL)를 따라 이동되거나, 자체에 구비되는 바퀴와 같은 이동 수단을 통해 이동될 수 있다.
감지부(320)는, 작업부(310)의 작업 상태를 감지하여 이에 대한 작업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감지부(320)는 화상 수단, 성분 감지 수단, 환경 감지 수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화상 수단은, 카메라와 같은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작업부(310)의 작업 상황을 감지하여 이미지 정보 및 동영상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화상 수단은,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촬상 각도가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성분 감지 수단은, 작업부(310)가 화학 성분과 같이 특정 성분에 대한 실험을 실시하는 경우, 성분 종류, 성분 무게 등에 관한 성분 정보를 감지할 수 있는 부재일 수 있다.
환경 감지 수단은, 작업 공간(WS)의 온도, 기압, 습도, 소리 등의 환경 정보를 감지할 수 있는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330)는,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수단일 수 있으며, 상황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와 직접적으로 통신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메모리부(340)는, 서버에서 수신되거나, 감지부(320) 및 제어부(390)에서 생성되는 정보들을 저장하기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재료부(350)는, 작업 재료(WM)를 보관 및 수급하기 위한 수단으로, 각 작업 공간(WS)마다 배치될 수 있고, 통합 재료 보관부에서 선택적으로 작업 재료(WM)를 특정 작업 공간(WS)으로 이송시킬 수도 있다.
이송부(360)는, 작업 재료(WM) 또는 작업 결과물을 이송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본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은 포장부(370)로 작업 결과물을 이송시키기나 작업 재료(WM)를 작업 테이블(WT) 상에서 이송시킬 수도 있다. 이송부(360)는, 전체 작업 공간(WS)과 서로 연결되는 로드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포장부(370)는, 작업 결과물을 포장하기 위한 수단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이송부(360)를 통해 이송되는 작업 결과물을 랩핑하거나 상자와 같은 보관함에 수납하여 포장시키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배송부(380)는, 포장된 작업 결과물을 배송하기 위한 수단으로, 포장부(370)와 연결되어 포장부(370)에서 포장된 작업 결과물을 택배 차량이나, 드론과 같은 배송 수단에 전달하여 배송시킬 수 있다.
제어부(390)는, 상술한 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대표적인 제어부(390)의 제어 기능은 다음과 같다.
제어부(390)는, 서버로부터 작업 대행 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작업 대행 요청 정보에 따라 작업부(310)가 구동되어 작업 재료(WM)를 가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구동되는 작업부(310)의 작업 상태에 관한 작업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서버로 전송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뿐만아니라, 작업이 완료되면, 작업 완료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전달되도록 서버로 전송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작업 대행 장치(300)에 의하면, 실제 작업 재료(WM)에 대한 가공 및 실험뿐 아니라, 그 결과물에 대한 안내, 포장, 배송까지 포괄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의 작업 이용 및 선택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은, 작업 대행 장치의 세부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하기의 도 5 내지 도 8에서는 사용자 단말기에 출력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이미지 정보를 통해 단말기를 이용한 작업 대행 방법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이용한 작업 대행 방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6 내지 도 8은 도 5의 단말기를 이용한 작업 대행 방법을 사용자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이미지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서 상술한 단어들과 동일한 단어의 도면부호는 생략하도록 한다.
먼저,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네트워크 접속을 실시하여, 작업 대행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하여 설치할 수 있다. 설치가 완료되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서버 접속을 위한 로그인 정보를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S11).
로그인 정보는, 일반적인 ID 정보 및 Password 정보를 포함하거나, 소셜 ID를 포함할 수도 있다.
서버는,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정보와 로그인 정보를 서로 비교하여 사용자를 확인할 수 있다(S13).
사용자 확인이 완료되면 서버는 이에 대한 사용자 확인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여(S15) 사용자의 서버 접속을 허용할 수 있다.
서버와 사용자 단말기 간의 통신 연결이 설정되면, 서버는 작업 대행에 관한 작업 대행 메뉴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S17).
작업 대행 메뉴 정보에는, 도 6의 (b)와 같이, 실험이나 제작과 같은 작업 종류에 대한 작업 종류 정보, 작업 결과물의 판매 및 구매에 관한 결과물 매매 정보, 사용자 단말기의 작업 이력에 관한 이력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작업 종류 정보는, 사용자가 실시하고자 하는 작업의 종류에 관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실험 및 제작의 큰 카테고리 정보가 기재되어 있으나, 각 종류별 상위 카테고리에서 하위 카테고리로 연결되는 다단 구조를 갖거나, 검색 방식으로 원하는 작업을 검색할 수도 있다.
결과물 매매 정보는, 다른 사용자가 올린 작업 결과물의 리스트에 관한 구매 리스트 정보와, 본인의 작업 결과물을 판매하려하는 작업 결과물의 리스트에 관한 판매 리스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다른 사람의 작업 결과물을 확인하여 구매하거나, 자신의 작업 결과물을 업로드하여 판매를 유도할 수도 있다. 이때, 각 작업 결과물 리스트는 종류에 따른 속성별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경매 리스트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경매 리스트 정보는, 판매하고자 하는 작업 결과물에 대한 금액 정보를 경매 방식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력 정보는, 사용자가 실시한 작업 대행 정보 및 매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작업 대행 정보는, 작업 대행을 요청한 이력 정보 및 해당 작업 대행 중 발생된 작업 과정에 관한 작업 상태 정보, 작업 결과물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매매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이루어진 작업 결과물의 구매 및 판매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작업 대행 메뉴 정보에는 멘토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멘토 정보는, 사용자가 실시하고자 하는 작업에 대한 멘토를 얻기 위한 메뉴 정보로, 기술 카테고리 별로, 해당 기술에 대응되는 멘토의 멘토 단말기와 연결될 수 있거나, Q&A 방식으로 질문 사항을 안내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작업 메뉴 정보가 수신되면, 사용자 단말기는 자신이 원하는 작업에 대한 작업 대행 요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19).
작업 대행 요청 정보는, 사용자가 원하는 작업에 관한 선택 정보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화학 약품의 성분 혼합에 관한 작업을 일 예로 제시하고 있으나, 작업부에서 가능한 다양한 작업들이 선택될 수 있다.
서버는, 작업 대행 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이에 대응되는 작업 대행 장치를 검색할 수 있다(S21). 이를 위해, 서버는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작업 대행 장치들의 동작 상태에 관한 작업 가용 정보를 작업 대행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서버는, 작업 가능 또는 불가능한 작업 대행 장치에 관한 작업 가용 정보를 도 7 (a)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시킬 수 있다(S23).
가용 작업 정보는, 복수의 작업 공간 및 작업 대행 장치 중 가용한 작업 대행 장치 및 작업 공간을 이미지로 표시한 정보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표시된 이미지 정보 중 가용 가능한 작업 대행 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서버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가용한 작업 대행 장치의 선택에 관한 가용 작업 장치 선택 정보가 수신되면(S25). 이에 대한 이용 요금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S27).
이용 요금 정보는, 선택한 작업 대행 장치의 이용 시간, 이용 재료, 작업 내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용 요금 정보는, 해당 단계뿐 아니라 각 단계 중 어느 단계든지 선택적으로 전송되어 결제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이용 요금 정보에 대한 응답으로 결제 정보가 수신되면(S29), 서버는 가용 작업 장치 선택 정보에 대응되는 작업 대행 장치를 선택하여, 이를 활성화 시킴과 동시에, 해당 작업 대행 장치의 대기 화면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시킬 수 있다(S31).
대기 화면 정보는, 작업 대행 장치의 감지부로부터 촬영되는 영상 정보와, 재료 선택 정보 및 조작 모드 선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정보는, 작업 대행 장치의 실시간 모습을 촬영한 정보일 수 있다. 이때, 서버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영상의 위치 및 시점 변화에 대한 영상 조절 정보가 수신되면, 이에 따라 감지부의 촬영 위치를 변경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재료 선택 정보는, 사용자가 이용하고자 하는 재료에 관한 선택 정보일 수 있다.
조작 모드 선택 정보는, 사용자가 원하는 작업에 대한 수동 모드 정보 및 자동 모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수동 모드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수신되는 실시간 수동 조작 정보에 따라 작업 대행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정보일 수 있다. 따라서, 해당 모드 정보가 선택되는 경우, 서버는 작업 대행 장치의 작업부와 사용자 단말기의 통신 정보를 실시간으로 연결하여, 사용자 단말기에서 발생되는 수동 조작 정보에 따라 작업부가 구동되도록 중계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기는 보다 현실적인 조작을 위해서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 가능한 웨어러블 단말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자동 모드 정보의 경우, 기설정된 패턴 및 방식에 따라 작업부가 동작될 수 있도록 설정될 정보일 수 있다. 예컨데, 작업부의 동작 순서 및 작업 결과물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재료 선택 및 조작 모드의 선택에 관한 작업 동작 정보가 수신되면, 서버는 이를 작업 대행 장치에 전달하여(S33), 해당 선택 정보에 따라, 재료 준비 및 작업부의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작업부의 구동이 실시되면(S35), 작업 대행 장치의 감지부는 작업 상태에 관한 작업 상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작업 상태 정보는, 작업 현황에 대한 이미지 정보, 영상 정보, 성분 정보, 환경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되는 작업 상태 정보는 서버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다(S37).
사용자는, 작업 상태 정보를 주기적 또는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자신이 의도하는 바에 따라, 수정된 조작 정보인 수정 조작 정보를 전송하여, 작업부의 구동 방식을 수정할 수도 있다.
작업 대행 장치는, 작업 대행에 의해 작업이 완료되면, 이에 대한 작업 완료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전달하도록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S39).
작업 완료 정보는, 도 8의 (a)에서와 같이, 작업 완료된 작업 결과물의 이미지 정보 및 작업 결과에 대한 안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작업 재료, A, B, C의 성분 조합을 실시하여 그 결과인 D를 산출하였다. 만약, 성분 조합이 아니라, 제작 작업인 경우, 제작된 작업 결과물의 형상 및 소요된 재료 정보, 작업 시간 정보, 내구성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는 작업 완료 정보를 수신한 뒤, 이에 대한 처리에 관한 결과물 요청 정보를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S41).
결과물 요청 정보는, 판매 정보 및 배송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판매 정보는, 완료된 작업 결과물을 판매하기 위한 정보로서, 판매 정보가 수신되면 서버는, 해당 작업 결과물에 관한 판매 정보를 생성하여 판매 리스트 정보에 추가하고, 작업 대행 장치에는 해당 작업 결과물을 보관하도록 보관 요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작업 대행 장치는 서버의 보관 요청 정보에 따라 작업 결과물을 도시하지 않은 보관부에 보관할 수 있다.
만약, 작업 결과물이 배송 불가능한 경우(데이터 결과물, 외부 반출 불가 결과물), 해당 작업물을 데이터 정보로 변환하여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배송 정보는, 작업 결과물을 사용자에게 배송하기 위한 배송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작업 대행 장치는, 결과물 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이에 대응되는 결과물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전달되도록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S43).
결과물 정보는, 결과물 요청 정보에 따라, 만약 결과물 요청 정보가 배송 정보를 포함한 경우, 도 8의 (b)와 같이 택배나 드론과 같은 배송 장치의 배송 현황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과물 요청 정보에 판매 정보가 포함된 경우에는, 판매 리스트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를 이용한 작업 대행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실제 작업 재료를 통한 가공 작업을 공간 및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안전하게 진행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작업 현황은 실시간으로 확인하거나 수정할 수 있어 이용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뿐만아니라, 작업 결과물의 판매 및 배송이 원스톱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수익 창출 및 실제 제품을 제공 받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단말기를 이용한 작업 대행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작업 대행 시스템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10: 작업 대행 시스템 350: 재료부
100: 사용자 단말기 360: 이송부
200: 서버 370: 포장부
300: 작업 대행 장치 380: 배송부
310: 작업부 390: 제어부
320: 감지부
330: 통신부
340: 메모리부

Claims (8)

  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가 의도하는 제품의 제작을 위해 상기 제품에 대응되는 작업 재료의 가공에 관한 작업 대행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작업 대행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작업 대행 장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작업 대행 장치의 동작에 관한 작업 동작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작업 동작 정보에 따라 동작되도록 상기 작업 동작 정보를 상기 작업 대행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작업 대행 장치로부터 동작 상태에 관한 장치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작업 대행 장치로부터 작업 완료에 관한 작업 완료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작업 완료된 작업 결과물에 대한 판매 또는 배송에 관한 결과물 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상기 작업 대행 장치에 전달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작업 결과물의 판매 리스트 정보 또는 배송 정보를 포함하는 결과물 정보를 상기 작업 대행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작업 대행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작업에 관한 안내 정보인 멘토 정보를 포함하는 작업 메뉴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멘토 정보에 대한 선택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멘토 정보에 대응되는 멘토 단말기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서로 연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작업 대행 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80003946A 2018-01-11 2018-01-11 단말기를 이용한 작업 대행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작업 대행 시스템 KR1019159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3946A KR101915927B1 (ko) 2018-01-11 2018-01-11 단말기를 이용한 작업 대행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작업 대행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3946A KR101915927B1 (ko) 2018-01-11 2018-01-11 단말기를 이용한 작업 대행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작업 대행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1283A KR20180011283A (ko) 2018-01-31
KR101915927B1 true KR101915927B1 (ko) 2018-11-06

Family

ID=61083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3946A KR101915927B1 (ko) 2018-01-11 2018-01-11 단말기를 이용한 작업 대행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작업 대행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59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02631A (zh) * 2019-11-20 2020-01-17 江西中医药大学 一种基于nir的在线中药水分测量方法及系统
KR102597047B1 (ko) * 2021-02-08 2023-11-01 김명석 복합설치 대행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2184B1 (ko) * 2013-12-30 2014-06-25 나래정보(주) 농작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2184B1 (ko) * 2013-12-30 2014-06-25 나래정보(주) 농작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1283A (ko) 2018-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97008B2 (ja) リアルタイム会話を基盤としたトランザクション処理方法およびシステム
CN107322943B (zh) 联网三维打印
JP7008039B2 (ja) ロボットの取引システム及び取引方法
CN108942767A (zh) 具有扭矩规范的无线扭矩扳手
US20200184544A1 (en) Method and system for virtual inventory management
KR101915927B1 (ko) 단말기를 이용한 작업 대행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작업 대행 시스템
CN103733153A (zh) 作业管理系统、作业管理终端、程序以及作业管理方法
CN102804085A (zh) 集成到外部软件应用的手持现场维护工具
WO201420079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ng and managing enterprise systems on a mobile electronic device
US20160171586A1 (en) Product cross-selling method and system
CN110023986A (zh) 按需服务提供系统以及按需服务提供方法
KR20150124477A (ko) 3d프린터를 이용한 온라인 맞춤형 제빵제과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7510228A5 (ko)
KR20160113568A (ko) 실시간 대화를 기반으로 한 트랜잭션 처리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CN110751892A (zh) 离散制造的演示系统及演示方法、演示装置、存储介质
KR20110101106A (ko) 개인별 맞춤형 인조손톱 제작공급 서비스 시스템
US20190197600A1 (en) Intellectual shopping system and intellectual shopping method
JP2024025529A (ja) 商品提供装置、商品提供方法及び商品提供プログラム
KR20220019738A (ko) 기업운영 보조를 위한 맞춤형 인공지능 총무 서비스 제공 방법
JP2003044519A (ja) 容器包装製品開発会議システム
KR20220082376A (ko) 맞춤형 스마트 팩토리 기기 관리 장치
KR101912047B1 (ko) 통합 쇼핑몰 분양 시스템
KR20170100339A (ko)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CN101652794A (zh) 用于购物的系统和方法
US20170270459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Job Mana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