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5903B1 - 소방수 공급관 누수 감지 기능을 갖는 화재 감지 및 소방 보조 장치 - Google Patents

소방수 공급관 누수 감지 기능을 갖는 화재 감지 및 소방 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5903B1
KR101915903B1 KR1020170094458A KR20170094458A KR101915903B1 KR 101915903 B1 KR101915903 B1 KR 101915903B1 KR 1020170094458 A KR1020170094458 A KR 1020170094458A KR 20170094458 A KR20170094458 A KR 20170094458A KR 101915903 B1 KR101915903 B1 KR 101915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signal
leakage
communication terminal
ultras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4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광기
Original Assignee
최광기
주식회사 영광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광기, 주식회사 영광기술단 filed Critical 최광기
Priority to KR1020170094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59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5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5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9/00Alarms responsive to two or more different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s, e.g. burglary and fire, abnormal temperature and abnormal rate of flow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1Signalling to an emergency team, e.g. firemen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 감지 및 소방 보조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재 감지 및 소방 보조 장치는, 소방수 공급관의 주위에 설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무선 수신장치와 초음파/무선 송출장치로 이루어진 누수 센서를 포함하는 감지부를 구비한다. 화재 감지 및 소방 보조 장치는 상기 소방수 공급관이 누수될 때 통신 단말기 및 소방 설비 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는 고주파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화재 감지 및 소방 보조 장치는 상기 누수 시 상기 통신 단말기가 누수 위치 신호를 포함하는 알림 신호를 수리 복구처로 자동 전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신고 요청 신호를 상기 고주파 통신 모듈로 출력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소방수 공급관 누수 감지 기능을 갖는 화재 감지 및 소방 보조 장치{Fire detection and fire protection aid apparatus}
본 발명은 화재 감지 및 소방을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재 발생을 세대 사용자에게 신속히 알리고 아울러 소방 관련 배관의 누수도 감지할 수 있는 소방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이나 빌딩 등의 건물에는 화재가 발생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소화하는 소방시스템이 구비된다.
종래의 소방시스템은 화재의 발생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에서 화재의 발생이 감지되면 경보장치를 작동시키거나 스프링클러 및 방화셔터 등을 작동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작동되는 스프링클러나 방화셔터 등의 소방설비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는 건물 내 곳곳에 설치되어 제어부와 유선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로 감지신호를 송신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소방설비부도 제어부와 유선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특히 스프링클러는 수방수를 공급할 수 있는 탱크 등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소방시스템에서 상기 감지부는 건물 내 곳곳에 설치되므로 그 수가 많으며, 이를 상기 제어부와 모두 유선상으로 연결해야 한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049796호(2011.07.11.)에는 '소방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소방시스템은 전원공급 차단상태에 쉽게 대응하지 못하며, 화재 발생을 세대 사용자에게 신속히 알리고 아울러 소방 관련 배관의 누수도 감지하기 어렵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화재 발생을 세대 사용자에게 신속히 알리고 아울러 소방 관련 배관의 누수도 감지할 수 있는 소방 보조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화재 감지 및 소방 보조 장치는, 소방수 공급관의 주위에 설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무선 수신장치와 초음파/무선 송출장치로 이루어진 누수 센서를 포함하는 감지부를 구비한다. 화재 감지 및 소방 보조 장치는 상기 소방수 공급관이 누수될 때 통신 단말기 및 소방 설비 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는 고주파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화재 감지 및 소방 보조 장치는 상기 누수 시 상기 통신 단말기가 누수 위치 신호를 포함하는 알림 신호를 수리 복구처로 자동 전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신고 요청 신호를 상기 고주파 통신 모듈로 출력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재 감지의 정확성이 높아지고 화재 발생 시에 자동으로 소방서나 국민 안전처 등으로 스마트 폰을 통해 화재를 신고할 수 있다. 또한, 화재 발생 시에 세대 내에 사람이 존재하면 자동으로 도어록이 개방되도록 하여 구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지하나 건물 벽에 매립된 소방수 공급관에서의 누수를 배관의 비노출 상태에서 초음파를 이용하여 감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재 감지 및 소방 보조 장치의 전기적 회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누수 센서의 배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신고 요청 신호의 데이터 포맷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스마트 폰의 일부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연기 센서의 예시적 회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 개방 관련 동작 플로우챠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누수 감지 관련 동작 플로우챠트이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이해의 편의를 제공할 의도 이외에는 다른 의도 없이, 개시된 내용이 보다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소자 또는 라인들이 대상 소자 블록에 연결된다 라고 언급된 경우에 그것은 직접적인 연결뿐만 아니라 어떤 다른 소자를 통해 대상 소자 블록에 간접적으로 연결된 의미까지도 포함한다.
또한,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를 가급적 나타내고 있다. 일부 도면들에 있어서, 소자 및 라인들의 연결관계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나타나 있을 뿐, 타의 소자나 회로블록들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재 감지 및 소방 보조 장치의 전기적 회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화재 감지 및 소방 보조 장치(1000)는 감지부(110), 컨트롤러(122), 및 고주파 통신 모듈(130)를 포함한다. 화재 감지 및 소방 보조 장치는 소방 설비 시스템(40)과 유선 통신 혹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화재 감지 및 소방 보조 장치는 고주파 통신 모듈(130)을 통해 예컨대 스마트 폰 등과 같은 통신 단말기(10)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단말기(10)는 국민 안전처(30)나 소방서와 통신할 수 있다.
화재 감지 및 소방 보조 장치는 고주파 통신 모듈(130)을 통해 현관의 디지털 도어록(20)과 통신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110)는 연기, 화염, 및 산소를 센싱하는 연기 센서, 화염 센서, 및 산소 센서를 각기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110)는 연기, 화염, 및 산소를 센싱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복합적으로 감지한다.
상기 감지부(110)는 감지 영역 내 인체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인체 감지 센서(이하 인감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110)는 소방수 공급관의 주위에 설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무선 수신장치와 초음파/무선 송출장치로 이루어진 누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122)는 상기 화재 발생 시 및 인체 존재 시에 상기 현관 디지털 도어록(20)을 록킹 해제하기 위한 도어 개방 신호를 고주파 통신 모듈(130)로 출력하고 상기 통신 단말기(10)가 재실 신호를 포함하는 구조 신호를 구조처로 자동 전송하도록 하기 위한 신고 요청 신호를 고주파 통신 모듈(130)로 출력한다.
상기 컨트롤러(122)는 메모리부(124)와 함께 제어 판단부(120)를 구성할 수 있다. 메모리부(124)는 화재 감지 및 소방 보조 장치의 고유 인식번호(ID)를 불휘발성 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122)는 상기 소방수 공급관이 누수될 경우에 상기 통신 단말기(10)가 누수 위치 신호를 포함하는 알림 신호를 수리 복구처로 자동 전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신고 요청 신호를 상기 고주파 통신 모듈(130)로 출력한다.
상기 고주파 통신 모듈(130)은 상기 화재 발생 시 및 인체 존재 시에 통신 단말기(10) 및 현관 디지털 도어록(20)과 근거리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고주파 통신 모듈(130)은 상기 소방수 공급관이 누수될 때 통신 단말기 및 소방 설비 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한다.
도 1의 소방 설비 시스템(40)은 화재나 가스의 누출이 발생되었을 때 이를 신속하게 진압하고 화재가 더 이상 번지지 않도록 한다. 화재가 발생할 경우 건물 내에 소방수를 분사하는 스프링클러 및 소화가스 또는 분말을 분출하는 소화가스 분출기, 화염이나 연기가 다른 공간으로 번지지 않도록 공간을 구획하는 방화셔터, 재실자에게 화재상황을 경보하는 사이렌, 비상벨, 청각 장애자를 위한 시각경보기, 대피통로를 안내하는 비상램프, 대피를 돕는 피난사다리 및 실내의 연기 및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연팬 및 가스 누설을 감지했을 때 가스밸브를 차단하는 가스누설차단기 등이 있다.
상기 도 1의 장치는 주택의 세대 내에서 센서 일체형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누수 센서의 배치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누수 센서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누수를 감지한다. 누수 센서는 초음파/무선 수신장치(100)와 초음파/무선 송출장치(200)를 포함한다.
초음파/무선 수신장치(100)는 지표면에 위치될 수 있다. 초음파/무선 수신장치(100)는 초음파 수신부(101)와 무선 송수신부(102)를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무선 송출장치(200)는 지하 타겟 예컨대 소방수 공급관(600)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초음파/무선 송출장치(200)는 초음파 송신부(201)와 무선 송수신부(202)를 포함할 수 있다.
누수 센서는 초음파/무선 수신장치(100)이외에도 또 다른 초음파/무선 수신장치(300,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해 상기 소방수 공급관(600)의 이음새 사이에는 누수된 액체의 영역(500)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초음파/무선 송출장치(200)는 상기 소방수 공급관(600)의 하부에서 지표면을 향해 초음파 신호와 RF 신호를 함께 송출한다. 상기 초음파/무선 수신장치(100)는 지표면에 설치되고, 상기 초음파/무선 송출장치(200)로부터 송출되는 상기 초음파 신호와 RF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RF 신호는 상기 초음파/무선 수신장치(100)에서 트리거링 신호로 이용된다. 상기 초음파/무선 수신장치(100)는 상기 초음파 신호의 도달 시간을 측정함에 의해 소방수 공급관(600)의 누수 여부를 감지한다. 상기 초음파 신호의 수신 경로 상에 존재하는 매질의 성분에 따라 초음파 신호의 음속이 달라진다. 이에 근거하면 상기 수신 경로 상에 위치한 소방수 공급관(600)의 매설 구성 성분이 감지될 수 있다. 상기 초음파/무선 수신장치들(100,300,400)이 상기 지표면에 일정 간격으로 배열될 경우에 상기 소방수 공급관(600)의 매설 구성 성분은 3차원적으로 감지될 수 있다.
상기 초음파/무선 송출장치(200)의 전원은 일차 전지로부터 제공되어 외부 전원이 필요 없는 구조, 지표면에서 연장된 전원선을 통해 전원을 수신하는 구조, 또는 이차전지를 구비하고 지표면에서 제공되는 초음파나 자기장을 통해 무선으로 충전되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초음파/무선 수신장치(100)의 전원도 유사하게, 일차 전지로부터 제공되어 외부 전원이 필요 없는 구조, 지표면의 전원 장치에서 연장된 전원선을 통해 전원을 수신하는 구조, 또는 이차전지를 구비하고 지표면의 전원 장치에서 제공되는 초음파나 자기장을 통해 무선으로 충전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초음파/무선 수신장치(100)와 상기 초음파/무선 송출장치(200)는 일정시간 이상 비 작동 상태이면 파워 세이빙을 위해 휴면 상태(sleep mode)로 자동 변환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신호는 펄스파 형태나 싸인파 형태의 신호이며, 상기 도달 시간의 측정은 상기 초음파 신호와 상기RF 신호의 펄스들 사이의 차이를 이용하거나 상기 초음파 신호와 상기RF 신호의 위상들 사이의 차이를 이용함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상기 초음파/무선 송출장치(200)와 상기 초음파/무선 수신장치(100)를 설치한 직후에 측정한 초음파 신호의 도달 시간을 기준으로 설정하고, 일정 시간 후 측정한 초음파 신호의 도달 시간과 상기 설정된 기준을 비교함에 의해 신호 경로 상에 위치한 상기 소방수 공급관(600)의 매설 매질 변화(누수 발생 여부)가 감지될 수 있다.
상기 소방수 공급관(600)의 매설 매질에서의 초음파 속도를 수학적 모델링을 통해서 계산한 후, 지하 매질 변화에 대한 속도 차를 측정하면 상기 소방수 공급관(600)의 누수나 싱크홀(동공) 또는 오염이 감지된다.
상기 RF 신호는 지면에서의 감쇄 정도에 따라 주파수가 가감될 수 있으며, 펄스파 형태나 싸인파 형태의 신호일 수 있다.
도 2에서 초음파/무선 송출장치(200)가 동기화된 초음파 신호와 RF 신호를 송신하면, 이 신호들은 각각 D1, D3, 및 D4의 경로들을 따라 초음파/무선 수신장치들(100,300,400)로 전송될 것이다. 소방수 공급관(600)의 매설 매질의 밀도가 X인 지하나 지상에서 초음파의 진행속도 및 전송시간을 각각 V1과 TOF1, 동일 매질에서 RF신호의 속도 및 전송시간을 각각 V2와 TOF2라고 하면, 이때 측정 거리에서 총 지연 시간 ΔT 는 TOF1에서 TOF2를 감산함에 의해 얻을 수 있다. 매질 별로 전파되는 음파의 속도는 공기 중에는 330 m/s, 물속에서는 1450 m/s이며, 화강암에서는 5000 m/s 정도이다. 이러한 매질의 음속과 전송시간(Time of flight: TOF)을 구하면 두 위치 간 거리를 알아낼 수 있다.
전자파 신호의 전송속도는 빛의 속도와 같고 매질과 무관하게 일정하지만, 초음파 신호의 전송속도는 신호 경로 상에 존재하는 매질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누수 센서는 소방수 공급관(600)에서 물이 누수될 때 소방수 공급관(600)의 매설 매질 변화에 의해 초음파 신호의 전송시간이 달라지는 것을 이용하는 센서이다. 이와 같은 누수 센서는 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며 비 노출 원격 센싱이 가능한 이점을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신고 요청 신호의 데이터 포맷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신고 요청 신호의 포맷은 준비 영역, 시작 영역, 데이터 영역, 체크 영역, 및 종료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준비 영역은, 신고 요청 신호의 시작 신호가 전송될 것임을 알리는 영역이다.
시작 영역은 신고 요청 신호의 전송이 시작됨을 나타내는 영역이다.
데이터 영역은 신고 요청 신호의 실질적 내용이 포함되는 영역이다.
체크 영역은 데이터 영역이 전송 에러의 유무를 확인하는 영역이다.
종료 영역은 신고 요청 신호가 종료됨을 나타내는 영역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스마트 폰의 일부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스마트 폰은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CU:21), 블루투스 모듈(22), 진동센서(23), 배터리부(24), 및 버튼 입력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CU:21)은 스마트 폰을 구동하며 설치된 어플에 따라 신고 및 디스플레이 관련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블루투스 모듈(22)은 도 1의 고주파 통신 모듈(130)과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한다. 블루투스 모듈(22)은 상기 블루투스 통신 중에서 블루투스 로우 에너지(BLE)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진동센서(23)는 스마트 폰 사용자의 움직임 상태를 감지한다. 진동센서(23)의 진동 값이 기준 값 이하일 때 MCU(21)는 스마트 폰 사용자가 건물 내부에 있는 것으로 인식한다.
배터리부(24)는 스마트 폰의 각종 기능 블록에 전원을 제공한다.
버튼 입력부(25)는 스마트 폰 사용자의 터치나 누름 입력을 수신한다.
버튼 입력부(25)를 통해 사용자가 해당 기능 터치 시 MCU(21)는 신고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신고 요청 신호가 수신될 경우에 MCU(21)는 재실 신호를 포함하는 구조 신호를 구조처로 자동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연기 센서의 예시적 회로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연기 센서는 연기발생 센싱부(511), 기준 값 발생부(512), 및 비교기(521)를 포함한다.
비교기(521)는 전류 미러 타입 차동 증폭기로 구현될 수 있다. 비교기(521)는 제 1 및 제 2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들(Q1, Q2)과, 제1 및 제2 저항들(R1, R2)을 포함할 수 있다.
연기발생 센싱부(511)는 제1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연결될 수 있으며, 기준 값 발생부(512)는 제2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들(Q1, Q2)의 콜렉터들은 접지되고, 에미터들은 제1 및 제2 노드들(N1, N2)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노드들(N1, N2)은 제1 및 제2 저항들(R1, R2)에 각각 연결되고, 제1 및 제2출력단(Vout1, Vout2)이 될 수 있다.
제2 저항(R2)은 제1 저항(R1)의 저항 값과 동일하거나 다른 저항 값으로 설정되는 가변저항일 수 있다. 제2 저항(R2)은 연기발생 센싱부(511)의 초기 세팅 시에 상기 연기발생 센싱부(511)와 기준 값 발생부(512)의 저항 값들의 차이를 보상할 수 있다.
제1 출력단(out1)은 제1 노드(N1)에 연결되고, 제2 출력단(out2)은 제2노드(N2)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출력단(out1)은 연기발생 센싱부(511)의 제1 연기 감지 신호에 응답하여 제1 출력전압(Vout1)을 출력한다. 제2 출력단(out2)은 기준 값 발생부(512)의 제2 연기 감지 신호에 응답하여 제2 전압(Vout2)을 출력한다.
따라서, 비교기(521)는 제1 및 제 2 연기 감지 신호들의 차이에 대응되는 전압 차를 제2 출력전압(Vout2)으로서 출력할 수 있다.
센서의 초기 셋팅을 제외하고, 상기 제1 출력전압(Vout1)은 미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 개방 관련 동작 플로우챠트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동작 S610에서, 도 1의 컨트롤러(122)는 감지부(110)를 통해 화재 발생을 체크한다.
동작 S620에서, 컨트롤러(122)는 화재 발생이 체크되면 화재 발생 신호를 출력한다. 화재 발생 신호는 도 1의 소방 설비 시스템(40)으로 전송된다. 컨트롤러(122)는 화재 발생을 알리는 제1 BLE 신호를 고주파 통신 모듈(130)을 통해 송출한다. 상기 제1 BLE 신호는 통신 단말기(10)로 전송된다.
동작 S630에서, 컨트롤러(122)는 감지부(110)의 인감센서로부터 인체 감지 신호가 수신되는 지를 체크한다.
동작 S640에서, 컨트롤러(122)는 사람이 건물 내에 존재함을 알리는 제2 BLE 신호를 고주파 통신 모듈(130)을 통해 송출한다. 상기 제2 BLE 신호는 통신 단말기(10)로 전송된다.
동작 S650에서, 컨트롤러(122)는 도어록 개방이 필요한 지를 체크한다. 화재가 발생되고 사람이 건물 내에 존재하면 구조의 용이를 위해 도어록 개방이 필요하다.
동작 S660에서, 컨트롤러(122)는 도어록 개방의 필요 시에 도어 개방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현관 디지털 도어록(20)으로 출력한다.
동작 S670에서, 컨트롤러(122)는 상황 완료의 여부를 체크한다.
동작 S680에서, 컨트롤러(122)는 상황 완료 시에 도어 닫힘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현관 디지털 도어록(20)으로 출력한다.
도 6을 통해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화재 발생 시 및 인체 존재 시에 상기 컨트롤러(122)는 상기 현관 디지털 도어록을 록킹 해제하기 위한 도어 개방 신호를 상기 고주파 통신 모듈(130)을 통해 출력한다. 출력한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122)는 상기 통신 단말기가 재실 신호를 포함하는 구조 신호를 구조처로 자동 전송하도록 하기 위한 신고 요청 신호를 상기 고주파 통신 모듈(130)을 통해 출력한다.
상기 현관 디지털 도어록(20)은 상기 고주파 통신 모듈(130)과 블루투스 통신 혹은 447 MHz 대역의 라디오 프리퀀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단말기(10)는 설치된 어플에 따라 상기 신고 요청 신호가 수신될 때 재실 신호를 포함하는 구조 신호를 상기 구조처(소방서 혹은 국민 안전처 등)로 자동 전송함과 아울러 통신 단말기(10)에 설정된 모드를 소리 모드로 강제적으로 전환하여 화재경보를 발생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누수 감지 관련 동작 플로우챠트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동작 S710에서, 도 1의 컨트롤러(122)는 감지부(110)를 통해 누수 신호의 수신 여부를 체크한다.
동작 S720에서, 컨트롤러(122)는 누수 신호의 수신 시에 누수 발생 신호를 전송한다.
동작 S730에서, 컨트롤러(122)는 BLE 신호의 수신 여부를 고주파 통신 모듈(130)을 통해 체크한다. 상기 BLE 신호는 통신 단말기(10)로부터 수신된다.
동작 S740에서, 컨트롤러(122)는 누수 신호가 포함된 BLE 신호를 고주파 통신 모듈(130)을 통해 송출한다.
동작 S750에서, 컨트롤러(122)는 응답 신호가 존재하는 지를 체크한다.
동작 S760에서, 컨트롤러(122)는 응답 신호가 존재하는 경우에 누수 탐지 모드로 복귀한다.
도 7을 통해 설명된 바와 같이, 컨트롤러(122)는 상기 누수 시 상기 통신 단말기(10)가 누수 위치 신호를 포함하는 알림 신호를 수리 복구처로 자동 전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신고 요청 신호를 상기 고주파 통신 모듈(130)을 통해 출력한다.
상기 통신 단말기(10)는 스마트 폰일 수 있다. 상기 통신 단말기(10)는 설치된 어플에 따라 상기 신고 요청 신호가 수신될 때 누수 위치 신호를 포함하는 알림 신호를 상기 수리 복구처로 자동 전송 전송함과 아울러 상기 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상에 누수 알림을 표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를 통해 최적 실시 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사안이 다른 경우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화재 감지 및 소방 보조 장치의 세부적 구성 및 형태를 다양하게 변경 및 변형할 수 있을 것이다.
110: 감지부
120: 제어 판단부
130: 고주파 통신모듈

Claims (7)

  1. 연기, 화염, 및 산소 센싱을 통해 화재 발생 여부를 복합적으로 감지하는 화재 감지 센서, 상기 화재 감지 센서의 감지 영역 내 인체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인체 감지 센서, 및 소방수 공급관의 주위에 설치되어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무선 수신장치와 초음파/무선 송출장치로 이루어진 누수 센서를 포함하는 감지부;
    상기 누수 센서를 통해 상기 소방수 공급관이 누수되는 것이 감지된 경우에 통신 단말기 및 소방 설비 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화재 발생이 감지되었을 때 상기 감지 영역 내 인체 존재 시에 상기 통신 단말기 및 디지털 도어록과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고주파 통신 모듈; 및
    상기 누수 센서를 통해 상기 소방수 공급관의 누수를 감지한 경우에 상기 통신 단말기가 누수 위치 신호를 포함하는 알림 신호를 수리 복구처로 자동 전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신고 요청 신호를 상기 고주파 통신 모듈로 출력하고, 상기 화재 발생 시에 상기 감지 영역 내 인체가 존재하는 것을 판단한 경우에 상기 디지털 도어록을 록킹 해제하기 위한 도어 개방 신호와 상기 통신 단말기가 재실 신호를 포함하는 구조 신호를 구조처로 자동 전송하도록 하기 위한 신고 요청 신호를 상기 고주파 통신 모듈로 출력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화재 감지 및 소방 보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통신 모듈인 화재 감지 및 소방 보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기는 블루투스 로우 에너지 통신을 수행하는 스마트 폰인 화재 감지 및 소방 보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 감지 및 소방 보조 장치는 주택의 세대 내에서 센서 일체형으로 설치되는 화재 감지 및 소방 보조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 감지 센서는 연기발생 센싱부, 기준 값 발생부, 및 상기 연기발생 센싱부와 상기 기준 값 발생부에 연결된 전류 미러 타입의 차동 증폭기로 이루어진 비교기를 포함하는 화재 감지 및 소방 보조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기는 설치된 어플에 따라 상기 신고 요청 신호가 수신될 때 누수 위치 신호를 포함하는 알림 신호를 상기 수리 복구처로 자동 전송함과 아울러 상기 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상에 누수 알림을 표시하는 스마트 폰인 화재 감지 및 소방 보조 장치.
KR1020170094458A 2017-07-26 2017-07-26 소방수 공급관 누수 감지 기능을 갖는 화재 감지 및 소방 보조 장치 KR101915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458A KR101915903B1 (ko) 2017-07-26 2017-07-26 소방수 공급관 누수 감지 기능을 갖는 화재 감지 및 소방 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458A KR101915903B1 (ko) 2017-07-26 2017-07-26 소방수 공급관 누수 감지 기능을 갖는 화재 감지 및 소방 보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5903B1 true KR101915903B1 (ko) 2019-01-07

Family

ID=65016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4458A KR101915903B1 (ko) 2017-07-26 2017-07-26 소방수 공급관 누수 감지 기능을 갖는 화재 감지 및 소방 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590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48846A (zh) * 2019-08-14 2019-11-15 金陵科技学院 一种智能化消防系统
WO2023014231A1 (en) * 2021-08-06 2023-02-09 Vks Alarm Og Sikkerhet As Water-stop system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1170A (ja) 2000-10-20 2002-05-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漏水監視システム
JP2002140780A (ja) * 2000-11-01 2002-05-17 Toto Ltd 水漏れ事故対応システム及び方法
JP2003271480A (ja) * 2002-03-15 2003-09-26 Mitsubishi Electric Corp ホ−ムゲ−トウェイ管理システム
JP3204829U (ja) 2016-04-07 2016-06-16 奕華五金股▲ふん▼有限公司 クラウド伝送に基づく水質および漏水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KR101700870B1 (ko) * 2016-05-26 2017-02-02 (주)무림설계기술단 건축물의 화재발생시 초고속 통신망과 연계한 소방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1170A (ja) 2000-10-20 2002-05-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漏水監視システム
JP2002140780A (ja) * 2000-11-01 2002-05-17 Toto Ltd 水漏れ事故対応システム及び方法
JP2003271480A (ja) * 2002-03-15 2003-09-26 Mitsubishi Electric Corp ホ−ムゲ−トウェイ管理システム
JP3204829U (ja) 2016-04-07 2016-06-16 奕華五金股▲ふん▼有限公司 クラウド伝送に基づく水質および漏水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KR101700870B1 (ko) * 2016-05-26 2017-02-02 (주)무림설계기술단 건축물의 화재발생시 초고속 통신망과 연계한 소방관리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48846A (zh) * 2019-08-14 2019-11-15 金陵科技学院 一种智能化消防系统
WO2023014231A1 (en) * 2021-08-06 2023-02-09 Vks Alarm Og Sikkerhet As Water-stop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9796B1 (ko) 소방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169181B1 (ko) 공동주택 소방관리 시스템
US761953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on of hazardous or potentially hazardous conditions
KR101915903B1 (ko) 소방수 공급관 누수 감지 기능을 갖는 화재 감지 및 소방 보조 장치
CN105698797A (zh) 一种安全应急导航装置
JP2008084309A (ja) 警報装置及び警報システム
KR101774897B1 (ko) 화재 신호의 휴대폰 통보 및 화재수신반의 리셋 시스템
KR100962030B1 (ko) 유무선망을 이용한 건축물 방재 및 안전관리 통보시스템
KR101859878B1 (ko) 화재 감지 및 소방 보조 장치
JP3929058B2 (ja) 防災システム
KR101439267B1 (ko) 실시간 스마트형 무인 화재 관제 장치
KR200432483Y1 (ko) 무선통신 기능을 갖는 단독형 화재감지기
KR101984624B1 (ko) 유선식 화재감지기의 보조 화재경보 시스템
KR101145414B1 (ko) 전력감시장치 연동형 화재수신시스템
JP2016173854A (ja) 支援システム
Zungeru Design and development of an ultrasonic motion detector
KR100643790B1 (ko) 첨단아파트 화재경보시스템 및 운영방법
CN108871456A (zh) 数海安防智能传感器系统
US1039771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sound levels
KR102132125B1 (ko) 소방용품 위치 알림 시스템
KR20130002101U (ko) 청각 장애인을 위한 공동 주택 무선 화재 감지 시스템
KR200436731Y1 (ko) 지그비를 이용한 소화기 점검 장치
KR20090080282A (ko) 화재 단계별 통지기능을 구비한 소방관리용 가스 수신기
KR102113594B1 (ko) 아파트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KR200334966Y1 (ko) 가스관 이용 침입자 무선 원격 감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