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5654B1 - 장식용 액자프레임 - Google Patents

장식용 액자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5654B1
KR101915654B1 KR1020170134358A KR20170134358A KR101915654B1 KR 101915654 B1 KR101915654 B1 KR 101915654B1 KR 1020170134358 A KR1020170134358 A KR 1020170134358A KR 20170134358 A KR20170134358 A KR 20170134358A KR 101915654 B1 KR101915654 B1 KR 1019156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linear
linear member
present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4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요환
Original Assignee
(주)꼬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꼬루 filed Critical (주)꼬루
Priority to KR1020170134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56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5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56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10Corner clips or corner-connecting appliances for frames
    • A47G1/101Corner clips or corner-connecting appliances for frames for insertion within frame members
    • A47G1/102Corner clips or corner-connecting appliances for frames for insertion within frame members having an aperture to receive a fastener to connect to a frame memb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10Corner clips or corner-connecting appliances for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16Ornamental frames, e.g. with illumination, speakers or decorative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4Photograph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087Devices for fastening household utensils, or the like, to tables, wall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자프레임으로서, 직선 또는 곡선 형태로 제작되는 선형부재; 상기 선형부재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상기 선형부재와 연결부재 사이가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양측단부에 선형부재의 단부에 삽입되도록 하는 결합돌기를 형성하며, 중앙부를 일정각도 또는 곡률로 절곡시킨 각도 형성부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돌기에는 핀부재가 관통되는 제2핀홀을 형성하며, 상기 선형부재는 양측단부에 연결부재의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결합홈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홈의 외면에는 핀부재가 관통되는 제1핀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액자프레임을 고객이 취향에 따라 선택하여 주문할 수 있도록 하고, 손쉽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액자프레임의 틀을 이용해 시계무브먼트나 달력, 화병 등의 장식소품을 거치하여 실내인테리어 소품으로 활용토록 함으로써, 사용자 자신만의 독특한 개성을 갖는 셀프 인테리어가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장식용 액자프레임{decoration frame}
본 발명은 장식용 액자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액자프레임을 고객이 취향에 따라 선택하여 주문할 수 있도록 하고, 손쉽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액자프레임의 틀을 이용해 시계무브먼트나 달력, 화병 등의 장식소품을 거치하여 실내인테리어 소품으로 활용토록 함으로써, 사용자 자신만의 독특한 개성을 갖는 셀프 인테리어가 가능한 장식용 액자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자는 그림이나 사진 등을 훼손되지 않도록 보호할 뿐만 아니라, 상기한 그림이나 사진 등을 돋보이게 부각시키기 위한 다양한 소재와 형상을 갖는 액자들이 제안되어 왔다. 이러한 액자는, 배면에 단차부가 형성된 액자틀과, 상기 액자틀의 단차부에 안착되고 별도로 구비된 고정부재에 의하여 상기 액자틀에 고정되는 뒷판으로 구성된다.
그런데 상기한 액자프레임에 게시물을 게재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고정부재를 해체하여 상기 뒷판을 상기 액자틀로부터 분리한 후, 상기 게시물을 상기 액자프레임의 단차부에 안착시키고, 상기 뒷판을 게시물이 안착된 상기 액자틀의 단차부에 안착 시켜 상기 고정부재를 상기 액자틀에 고정시켜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07-0733325호에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에 축 결합되는 전면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과 상기 전면프레임 사이에 게재되는 판스프링을 포함하는 액자프레임"이 제안된다.
그러나 상기한 액자프레임은, 고정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되는 전면프레임이 더 구비되어 이는 제조비용이 상승될 뿐만 아니라, 상기 액자프레임은 이미 정형화된 사이즈의 프레임으로 형성되어 상기 액자프레임보다 게시물의 규격이 작을 경우에는 고정이 불가능하여 동일한 컨텐츠로만 시각적 기능이 제한되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액자프레임은 사진 등의 게시물을 게재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사각형의 일률적 형태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시계무브먼트나 달력, 화병 등을 거치할 수 있는 용도로는 사용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67524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액자프레임을 고객이 취향에 따라 선택하여 주문할 수 있도록 하고, 손쉽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액자프레임의 틀을 이용해 시계무브먼트나 달력, 화병 등의 장식소품을 거치하여 실내인테리어 소품으로 활용토록 함으로써, 사용자 자신만의 독특한 개성을 갖는 셀프 인테리어가 가능한 장식용 액자프레임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액자프레임으로서, 직선 또는 곡선 형태로 제작되는 선형부재; 상기 선형부재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상기 선형부재와 연결부재 사이가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양측단부에 선형부재의 단부에 삽입되도록 하는 결합돌기를 형성하며, 중앙부를 일정각도 또는 곡률로 절곡시킨 각도 형성부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돌기에는 핀부재가 관통되는 제2핀홀을 형성하며, 상기 선형부재는 양측단부에 연결부재의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결합홈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홈의 외면에는 핀부재가 관통되는 제1핀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액자프레임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액자프레임은 선형부재에 벽걸이고정수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액자프레임은 선형부재에 스탠드거치수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액자프레임은 선형부재에 착탈 가능한 거치용 선반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치용 선반은 판체의 상하부를 절곡시켜 각각 상부거치대와 하부거치대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액자프레임을 고객이 취향에 따라 선택하여 주문할 수 있도록 하고, 손쉽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액자프레임의 틀을 이용해 시계무브먼트나 달력, 화병 등의 장식소품을 거치하여 실내인테리어 소품으로 활용토록 함으로써, 사용자 자신만의 독특한 개성을 갖는 셀프 인테리어가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용 액자프레임의 사시도.
도 2,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용 액자프레임의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액자프레임에 벽걸이 고정수단이 형성된 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액자프레임에 스탠드 거치수단이 형성된 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액자프레임에 거치용 선반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용 액자프레임의 사시도이고, 도 2,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용 액자프레임의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액자프레임에 벽걸이 고정수단이 형성된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액자프레임에 스탠드 거치수단이 형성된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액자프레임에 거치용 선반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액자프레임(120)은 직선 또는 곡률을 갖는 선형부재(121)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선형부재(121) 사이를 연결부재(123)로 결합하여 프레임 틀을 완성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123)은 양측단부에 선형부재(121)의 단부에 삽입되도록 하는 결합돌기(123a)를 형성하며, 중앙부를 일정각도 또는 곡률로 절곡시킨 각도 형성부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돌기(123a)에는 핀부재(125)가 관통되는 제2핀홀(123b)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선형부재(121)의 양측단부에는 연결부재(123)의 결합돌기(123a)가 삽입되는 결합홈(121a)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홈(121a)의 외면에는 핀부재(125)가 관통되는 제1핀홀(121b)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선형부재(121)과 연결부재(123) 사이는 핀부재(125)를 사용하여 결합함으로써, 상호 분리되지 않고 견고한 결합구조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핀부재(125)는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나 볼트형태가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액자프레임(120)은 액자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으로서, 다수의 선형부재(121)들을 연결하여 다양한 형태의 틀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프레임(120)은 3각, 4각, 5각, 6각형 등의 다각형 형상이나 원형이나 타원형 다각형 및 굴곡이 조합된 다양한 형태의 프레임 조합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선형부재(121)은 직선형태 또는 곡선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소비자는 선형부재(121)의 형태와 길이를 선택하여 제단할 수 있고, 다양한 형태의 연결부재(123)을 선택하여 이들을 조합하여 다양한 형태의 프레임을 연출할 수도 있다.
상기 선형부재(121)의 단면은 각형이거나 원형인 막대부재일 수 있다.
상기 선형부재(121)의 재질은 금속, 합성수지재 또는 목재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액자프레임(120)은 선형부재(121)에 벽걸이고정수단(180)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벽걸이 고정수단을 액자프레임에 형성하는 예를 도시한 예시도로서,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벽걸이고정수단(180)은 선형부재에 체결홀을 천공하여 나사못 등을 이용해 벽에 고정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일반적인 액자를 벽에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고리형태가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액자프레임(120)은 선형부재(121)에 스탠드거치수단(19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스탠드 거치수단을 액자프레임에 결합하는 예를 도시한 예시도로서,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스탠드거치수단(190)은 프레임의 선형부재(121)에 착탈이 가능한 받침판으로서 선형부재에는 스탠드거치수단(190)이 착탈되는 착탈홀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탠드거치수단(190)은 금속재등을 이용해 "ㄷ"자 형상으로 절곡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스탠드거치수단(190)은 절곡부를 형성하여 액자 프레임(120)을 결합했을 때 뒤로 경사지게 세워지도록 함으로써, 무게중심이 안정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액자프레임에 거치용 선반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액자프레임(120)은 선형부재(121)에 착탈 가능한 거치용 선반(130)이 더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거치용 선반(130)을 이용해 화분(140)과 같은 소품을 장식할 수 있다.
상기 거치용 선반(130)은 판체의 상하부를 절곡시켜 각각 상부거치대(131)와 하부거치대(133)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복수의 거치대를 구비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액자프레임을 고객이 취향에 따라 선택하여 주문할 수 있도록 하고, 손쉽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액자프레임의 틀을 이용해 시계무브먼트나 달력, 화병 등의 장식소품을 거치하여 실내인테리어 소품으로 활용토록 함으로써, 사용자 자신만의 독특한 개성을 갖는 셀프 인테리어가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10: 시계무브먼트 120: 액자프레임
121: 선형부재 121a: 결합홈
121b: 제1핀홀 123: 연결부재
123a: 결합돌기 123b: 제2핀홀
125: 핀부재 130: 거치용 선반
131: 상부거치대 133: 하부거치대
140: 화분 180: 벽걸이고정수단
190: 스탠드거치수단

Claims (5)

  1. 액자프레임(120)으로서,
    직선 또는 곡선 형태로 제작되는 선형부재(121):
    상기 선형부재(121)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23);
    상기 선형부재(121)과 연결부재(123) 사이가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핀부재(125);
    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123)은 양측단부에 선형부재(121)의 단부에 삽입되도록 하는 결합돌기(123a)를 형성하며, 중앙부를 일정각도 또는 곡률로 절곡시킨 각도 형성부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돌기(123a)에는 핀부재(125)가 관통되는 제2핀홀(123b)을 형성하며, 상기 선형부재(121)은 양측단부에 연결부재(123)의 결합돌기(123a)가 삽입되는 결합홈(121a)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홈(121a)의 외면에는 핀부재(125)가 관통되는 제1핀홀(121b)이 형성되며,
    상기 액자프레임(120)은 선형부재(121)에 착탈 가능한 거치용 선반(130)이 더 구비되고, 상기 거치용 선반(130)을 이용해 화분(140)을 장식할 수 있으며, 상기 거치용 선반(130)은 판체의 상하부를 절곡시켜 각각 상부거치대(131)와 하부거치대(133)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복수의 거치대를 구비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액자프레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자프레임(120)은 선형부재(121)에 벽걸이고정수단(18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액자프레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자프레임(120)은 선형부재(121)에 스탠드거치수단(19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액자프레임.
  4. 삭제
  5. 삭제
KR1020170134358A 2017-10-17 2017-10-17 장식용 액자프레임 KR1019156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4358A KR101915654B1 (ko) 2017-10-17 2017-10-17 장식용 액자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4358A KR101915654B1 (ko) 2017-10-17 2017-10-17 장식용 액자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5654B1 true KR101915654B1 (ko) 2018-11-07

Family

ID=64362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4358A KR101915654B1 (ko) 2017-10-17 2017-10-17 장식용 액자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56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4322A (ko) 2022-04-07 2023-10-16 정혜인 인테리어용 틀 조립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2092B1 (ko) * 1999-07-19 2002-09-11 신윤식 조립식 액자
JP2004008479A (ja) * 2002-06-06 2004-01-15 Yamada:Kk 額縁
KR200469265Y1 (ko) * 2012-10-08 2013-10-01 우기호 화분 받침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2092B1 (ko) * 1999-07-19 2002-09-11 신윤식 조립식 액자
JP2004008479A (ja) * 2002-06-06 2004-01-15 Yamada:Kk 額縁
KR200469265Y1 (ko) * 2012-10-08 2013-10-01 우기호 화분 받침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4322A (ko) 2022-04-07 2023-10-16 정혜인 인테리어용 틀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87105A (en) Earring rack
US10631672B2 (en) Garden hanging apparatus with removable insert
KR101915654B1 (ko) 장식용 액자프레임
US9375093B1 (en) Chair with selectively mutable decor and method
US8166689B1 (en) Enclosure for the display of decorative pins
US20120227298A1 (en) Sign Exhibiting Kit
US7878333B1 (en) Accessory storage and decorative displaying device
US20130333170A1 (en) Curtain hook with top attachment
KR20200088105A (ko) 디퓨저 자석 액자
JPH0428454Y2 (ko)
JP3185261U (ja) 花束保持具
CN208114159U (zh) 一种镶嵌基座及首饰
KR200413061Y1 (ko) 반지걸이 장식구
US20080271483A1 (en) Memorabilia and charm display
US9408479B2 (en) Jewelry holder
US20180332992A1 (en) Ornamental Hook System with Interchangeable Decorative Fixture
KR200410555Y1 (ko) 고정식 거치대
KR200420074Y1 (ko) 흡착홀더
US20090211124A1 (en) Method and kit for display of memorabilia and charm display
US9439509B2 (en) Removably attachable and adjustable outdoor furniture weights
JP3187517U (ja) カーテン表面に直接固定する装飾的保持器
CN103879220A (zh) 纪念印泥悬挂组合装饰框
US20150007472A1 (en) Wall vase picture hanger
JP2018196980A (ja) フラペンスタンド
KR200376388Y1 (ko) 이미지 화환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