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5077B1 - 음향 기반의 체감형 진동자 - Google Patents

음향 기반의 체감형 진동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5077B1
KR101915077B1 KR1020170141104A KR20170141104A KR101915077B1 KR 101915077 B1 KR101915077 B1 KR 101915077B1 KR 1020170141104 A KR1020170141104 A KR 1020170141104A KR 20170141104 A KR20170141104 A KR 20170141104A KR 101915077 B1 KR101915077 B1 KR 1019150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sound
main body
case
vibration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1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보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힐링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힐링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힐링비트
Priority to KR1020170141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50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5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50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로 출력되는 음향 신호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체감형 진동자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하여 설치 공간을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되고, 중앙 홀을 구비하는 커버부와, 상기 본체의 설치 공간에 상하로 진동 가능하게 배치된 진동케이스와, 상기 진동케이스의 내측면과의 사이에 코일작동공간이 유지되도록 상기 진동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된 영구자석과, 상기 코일작동공간에 삽입되도록 상기 커버부에 연결되고, 상기 음향 신호에 따라 상기 영구자석과 함께 형성된 자기장에 의해 상기 진동케이스를 상하로 진동시키는 보이스 코일과, 상기 본체와 진동케이스를 연결시켜 상기 진동케이스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상기 본체로 전달하는 진동전달판과, 상기 커버부와 소정 간격만큼 이격된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커버부에 결합되고, 상기 커버부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파를 흡수하기 위한 외장 흡음재를 포함하는 음향 기반의 체감형 진동자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음향 기반의 체감형 진동자{A VIBRATOR FOR BODY SENSE BASED ON A ACOUSTIC SOUND}
본 발명은 음향 신호를 이용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며, 진동 발생 시 음향 신호의 출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음향 기반의 체감형 진동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향 리시버는 음향을 수신하는 리시버가 내장되어 귓속에 착용하거나 외이에 부착하여 음향 재생장치에서 재생된 음향을 수신하여 사용자가 음향을 들을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최근 이러한 음향 리시버를 이용한 체감 진동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발생부와 별도로 진동을 출력하는 진동 발생부가 구비된 체감 진동형 음향 리시버가 사용될 수 있다.
체감진동 음향 리시버에서 진동 발생부는 진동을 출력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저역 대역의 음감을 진동을 통하여 체감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종래의 체감진동 음향 리시버는 코일에 전자기력을 발생하여 영구자석을 움직여 진동을 구현한다. 이때, 저주파 대역의 음감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영구자석이 빠른 속도로 진동을 하게 된다.
한편, 최근에는 유아용품, 예컨대 유아용 카시트, 바운서, 하이체어 등의 유아용품에 체감 진동 기술을 적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유아용품에 대한 유아의 친밀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음향과 진동을 함께 제공할 수 있는 기술, 즉 음향 리시버를 이용한 체감 진동 기술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53116호(2011.03.31.등록.)
본 발명은 음향 신호에 따라 발생되는 음향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음향 기반의 체감형 진동자를 제공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 기반의 체감형 진동자는 1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움향 신호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자에 있어서, 설치 공간을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되고, 중앙 홀을 구비하는 커버부와, 상기 본체의 설치 공간에 상하로 진동 가능하게 배치된 진동케이스와, 상기 진동케이스의 내측면과의 사이에 코일작동공간이 유지되도록 상기 진동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된 영구자석과, 상기 코일작동공간에 삽입되도록 상기 커버부에 연결되고, 상기 음향 신호에 따라 상기 영구자석과 함께 형성된 자기장에 의해 상기 진동케이스를 상하로 진동시키는 보이스 코일과, 상기 본체와 진동케이스를 연결시켜 상기 진동케이스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상기 본체로 전달하는 진동전달판과, 상기 커버부와 소정 간격만큼 이격된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커버부에 결합되고, 상기 커버부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파를 흡수하기 위한 외장 흡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장 흡음재는 상기 커버부에 연결되고, 유공판으로 이루어진 제 1 흡음층과, 상기 제 1 흡음층에 연결되고, 다공성 재질로 이루어진 제 2 흡음층과, 상기 제 1 및 제 2 흡음층이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상기 제 1 및 제 2 흡음층 사이에 형성된 스페이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진동자는 상기 진동전달판의 저면에 상부가 고정되고, 상기 진동케이스의 외측면과 상기 본체의 내측면 사이에 삽입 개재되어 상기 진동케이스의 진동 시 발생되는 외부 누출음을 감쇄시키기 위한 내장 흡음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진동자는 상기 본체의 외측벽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외부 누출음을 감쇄시키기 위한 본체용 흡음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음향 신호에 따라 진동되는 커버부의 상부에 외장 흡음재를 구비시킴으로써, 커버부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향이 외부로 출력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진동케이스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누출음을 감쇄시키기 위한 내장 흡음재를 구비시킴으로써, 진동 시 발생되는 누출음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자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자의 분해 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한다.
제 1, 제 2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 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 신호 기반의 진동자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자의 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자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자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움향 신호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장치로서, 설치공간(110)을 구비하는 본체(100)와, 본체(100)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되고, 중앙 홀(210)을 구비하는 커버부(200)와, 본체(100)의 설치 공간에 상하로 진동 가능하게 배치된 진동케이스(300)와, 진동케이스(300)의 내측면과의 사이에 코일작동공간(S)이 유지되도록 진동케이스(300)의 내부에 장착된 영구자석(400)과, 코일작동공간(S)에 삽입되도록 커버부(200)에 연결되고, 음향 신호에 따라 영구자석(400)과 함께 형성된 자기장에 의해 진동케이스(300)를 상하로 진동시키는 보이스 코일(500)과, 본체(100)와 진동케이스(300)를 연결시켜 진동케이스(300)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본체(100)로 전달하는 진동전달판(600)과, 커버부(200)와 소정 간격만큼 이격된 상부에 형성되어 커버부(200)에 결합되고, 커버부(200)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파를 흡수하기 위한 외장 흡음재(8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본체(100)에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설치공간(110)이 구비되고, 개방된 상단 둘레에는 제 1 플랜지(12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플랜지(120)의 외측 가장자리에는 방사상으로 복수의 제 1 탭홀(121)이 소정 간격을 이루면서 형성되고, 내측 가장자리에는 방사상으로 복수의 제 2 탭홀(122)이 소정 간격을 이루면서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200)는 본체(100)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시키는 것으로서, 대략 원판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둘레에는 제 2 플랜지(22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 2 플랜지(220)에는 방사상으로 복수의 볼트공(221)이 청공되어 제 1 탭홀(121)에 나가결합되는 커버고정볼트(230)가 관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부(200)와 본체(100)가 견고히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커버부(200)의 저면에는 보이스 코일(500)이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100)와 커버부(200)가 결합될 때, 코일작동공간(s)에 대응되는 커버부(200)의 저면에는 보이스 코일(500)의 상단부가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커버부(200)는 중앙에 중앙 홀(21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중앙 홀(210)은 영구자석(400) 및 보이스 코일(500)의 동작에 따라 발생되는 열에너지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진동케이스(300)는 본체(100)의 설치공간(110)에 배치되어 상하로 진동되는 것으로서, 진동케이스(300)는 상부가 개발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그 상단부 내경에는 결합환홈(31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진동케이스(300)의 바닥면에는 영구자석(400)의 위치설정홈(320)에 끼움 결합되는 위치설정돌기(420)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진동케이스(300)는 큰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증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영구자석(400)은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진동케이스(300)의 바닥면에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구자석(400)의 위치설정홈(320)을 위치설정돌기(420)에 끼움 결합하여 영구자석(400)은 진동케이스(300)의 바닥면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구자석(400)은 네오디뮴(Neodymium)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영구자석(400)의 표면에는 산화를 방지하기 위해 영구자석(400)의 표면에 코팅층(미도시됨)이 형성될 수 있으며, 영구자석(400)의 상면에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중량판(430)을 더 부착시킬 수 있다.
보이스 코일(500)은 코일관(240)에 감겨서 커버부(200)의 저면에 결합되어 커버부(200)와 본체(100) 결합 시 코일작동공간(S)에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보이스 코일(500)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향 신호, 즉 음성 신호용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영구자석(400)과 함께 자기장을 형성하면서 서로 당기거나 반발하는 작용에 의해 진동케이스(300)를 상하로 진동시킬 수 있다.
진동전달판(600)은 진동케이스(300)와 본체(100) 상이 연결하여 진동케이스(300)의 진동력을 본체(1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진동전달판(600)은 중앙에 원형의 장착공(610)이 천공된 원판형으로 형성되며, 장착공(610)의 단면 저면은 진동케이스(300)의 상단부에 도포된 접착제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진동전달판(600)의 가장자리에는 복수의 볼트공(620)이 천공되어 본체(100)의 제 2 탭홀(122)에 나사 결합되는 판고정볼트(630)가 관통될 수 있다.
고정링(700)은 진동케이스(300)의 상단부에 부착된 진동전달판(600)을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링(700)은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내부 단부에는 하향으로 벤딩되어 결합환림(7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환림(710)은 진동케이스(300)의 상단부에 형성된 결합환홈(310)에 끼움 결합되며, 결합환림(710)과 결합환홈(310) 사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결합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외장 흡음재(800)는 커버부(200)와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장 흡음재(800)는 양끝단부에 접착용 물질, 예컨대 실리콘 잡착제를 소정 두께만큼 도포한 후 이를 이용하여 커버부(200)의 양끝단부 연결되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장 흡음재(800)는 상호 소정 간격만큼 이격된 다층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장 흡음재(800)는 커버부(200)에 연결되고, 유공판으로 이루어진 제 1 흡음층(802)과, 제 1 흡음층에 연결되고, 다공성 재질로 이루어진 제 2 흡음층(804)과, 제 1 및 제 2 흡음층(802, 804)이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상기 제 1 및 제 2 흡음층 사이에 형성된 스페이서(806)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806)는 소정의 두께, 예컨대 제 1 흡음층(802)과 제 2 흡음층(804)간의 이격 거리에 대응되는 두께를 갖는 실리콘 접착제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흡음층(802)은 유공 합판, 유공 알루미늄판, 유공 석고보드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제 2 흡음층(804)은 다공성을 갖는 글라스울(glass wool), 경질 우레탄폼, 멜라민 폼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흡음층(802, 804)을 상호 이격시켜 결합함으로써, 제 1 및 제 2 흡음층(802, 894)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여 흡음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자는 내장 흡음재(6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내장 흡음재(640)는 상부가 진동전달판(600)에 고정되고 진동케이스(300)의 외측면과 본체(100)의 내측면 사이에 개재되어 진동케이스의 진동 시 발생시 누출음을 감쇄시킬 수 있다.
또한, 내장 흡음재(640)는 실리콘 접착제를 이용하여 진동전달판(600)에 그 상부가 고정되고, 진동케이스(300)의 외측면과 본체(100)의 내측면 사이에 삽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장 흡음재(640)에는 상하부에 제 1 및 제 2 고정부재(642, 644)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 1 고정부재(642)는 실리콘 접착제에 의해 진동전달판(600)에 접착되며, 제 2 고정부재(644)의 양단부가 진동케이스(300)의 외측면과 본체(100)의 내측면에 접착되어 진동케이스(300)의 외측면과 본체(100)의 내측면 사이에 삽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내장 흡음재(640)는 부직포 차음막, 유공막 및 다공성 차음막 중 적어도 둘 이상의 막을 포함하는 다충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자는 본체(100)의 외측벽에 본체용 흡음재(81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100)의 외측벽에 실리콘 접착제를 이용하여 본체용 흡음재(810)에 접착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체용 흡음재(810)는 진동전달판(600)을 통해 전달받은 본체(100)의 진동에 따른 음파를 흡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용 흡음재(810)는 다공성을 갖는 글라스울, 경질 우레탄폼, 멜라민 폼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자가 전체적으로 결합되어 동작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영구자석(400)의 위치설정홈(320)이 진동케이스(300)의 위치설정돌기(420)에 결합되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접착제가 도포된 진동케이스(300)의 바닥면에 영구자석(400)을 부착하면, 영구자석(400)의 외면과 진동케이스(300)의 내측면 사이에 코일작동공간(S)이 형성된다. 이 같이, 진동케이스(300)에 부착된 영구자석(400)의 상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중량판(430)을 부착하면 진동케이스(300)에 중량감이 부여된다.
이후, 내장 흡음재(640)의 제 2 고정부재(644)의 양끝단부에 접착제를 도포함과 더불어 진동전달판(600)의 내경 저면부에 실리콘 접착제를 도포한 후 제 1 고정부재(642)를 고정시켜 내장 흡음재(640)를 진동전달판(600)의 내경 저면에 고정시키고, 진동케이스(300)의 상단부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진동전달판(600)의 내경 단부 저면을 부착한 다음 고정링(700)의 결합환림(710)을 진동케이스(300)의 결합환홈(310)에 끼움 결합하여 고정링(700)을 견고히 고정시키는데, 이때, 고정링(700)과 결합환림(710) 사이에는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때, 제 2 고정부재(644)는 양끝단부에 도포된 접착제에 의해 본체(100)의 내측면과 진동케이스(300)의 외측면에 접착되기 때문에 내장 흡음재(640)가 본체(100)의 내측면과 진동케이스(300)의 외측면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나서, 진동케이스(300)에 고정된 진동전달판(600)의 볼트공(620)을 본체(100)의 제 2 탭홀(122)에 연통되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판고정볼트(630)를 관통시켜서 제 2 탭홀(122)에 나사결합한다.
이후, 저면에 보이스 코일(500)이 연결된 커버부(200)의 볼트공(221)을 본체(100)의 제 1 탭홀(121)에 여통되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커버고정볼트(230)를 관통시켜서 제 1 탭홀(121)에 나사결합하여 커버부(200)와 본체(100)를 결합하는데, 이때 보이스 코일(500)의 코일작동공간(S)에 삽입된다.
이후, 커버부(200)의 상면의 양끝단부에 소정의 두께를 갖는 실리콘 접착제를 도포한 후 제 1 흡음층(802)을 부착하고, 제 1 흡음층(802)의 양끝단부에 소정의 두께를 갖는 실리콘 접착제를 도포한 후 제 2 흡음층(804)을 부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조립 과정을 통해 조립된 진동자는 외부 기기, 예컨대 제어 앰프(미도시됨)로부터 음향 신호에 대응되는 전기 신호가 보이스 코일(500)에 인가되면, 보이스 코일(500)과 영구자석(400)에 자기장이 형성되어 서로 당기거가 반발하는 작용에 의해 영구자석(400)이 상하로 진동하므로 진동케이스(300)가 동시에 진동되고, 이러한 진동은 진동전달판(600)을 통해 본체(100)로 전달됨과 더불어 커버부(200)에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커버부(200)의 진동 및 커버부(200)의 중앙 홀(210)로 음향이 출력될 수 있는데, 출력되는 음향은 외장 흡음재(800)를 통해 일정 부분을 감쇄될 수 있으며, 진동케이스(300)의 진동에 따른 외부 누출음은 내장 흡음재(640)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본체
200 : 커버부
300 : 진동케이스
400 : 영구자석
500 : 보이스 코일
600 : 진동전달판
640 : 내장 흡음재
700 : 고정링
800 : 외장 흡음재
810 : 본체용 흡음재

Claims (4)

  1.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향 신호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자에 있어서,
    설치 공간을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고, 중앙 홀을 구비하는 커버부와,
    상기 본체의 설치 공간에 상하로 진동 가능하게 배치된 진동케이스와,
    상기 진동케이스의 내측면과의 사이에 코일작동공간이 유지되도록 상기 진동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된 영구자석과,
    상기 코일작동공간에 삽입되도록 상기 커버부에 연결되고, 상기 음향 신호에 따라 상기 영구자석과 함께 형성된 자기장에 의해 상기 진동케이스를 상하로 진동시키는 보이스 코일과,
    상기 본체와 진동케이스를 연결시켜 상기 진동케이스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상기 본체로 전달하는 진동전달판과,
    상기 커버부와 소정 간격만큼 이격된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커버부에 결합되고, 상기 커버부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파를 흡수하기 위한 외장 흡음재와,
    상기 진동전달판의 저면에 상부가 고정되고, 상기 진동케이스의 외측면과 상기 본체의 내측면 사이에 삽입 개재되어 상기 진동케이스의 진동 시 발생되는 외부 누출음을 감쇄시키기 위한 내장 흡음재와,
    상기 본체의 외측벽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외부 누출음을 감쇄시키기 위한 본체용 흡음재를 포함하며,
    상기 외장 흡음재는,
    상기 커버부에 연결되고, 유공판으로 이루어진 제 1 흡음층과,
    상기 제 1 흡음층에 연결되고, 다공성 재질로 이루어진 제 2 흡음층과,
    상기 제 1 및 제 2 흡음층이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상기 제 1 및 제 2 흡음층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제 1 흡음층과 제 2 흡음층간의 이격 거리에 대응되는 두께를 갖는 실리콘 접착제로 이루어진 스페이서를 포함하며,
    상기 내장 흡음재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실리콘 접착제에 의해 상기 진동전달판의 저면에 접착되는 제 1 고정부재와,
    양단부가 상기 진동케이스의 외측면과 본체의 내측면에 접착되어 상기 진동케이스의 외측면과 상기 본체의 내측면 사이에 삽입되어 형성된 제 2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음향 기반의 체감형 진동자.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70141104A 2017-10-27 2017-10-27 음향 기반의 체감형 진동자 KR1019150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1104A KR101915077B1 (ko) 2017-10-27 2017-10-27 음향 기반의 체감형 진동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1104A KR101915077B1 (ko) 2017-10-27 2017-10-27 음향 기반의 체감형 진동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5077B1 true KR101915077B1 (ko) 2018-11-05

Family

ID=64328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1104A KR101915077B1 (ko) 2017-10-27 2017-10-27 음향 기반의 체감형 진동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50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9331A (ko) * 2022-02-07 2023-08-16 풍림전자 주식회사 웨어러블용 음파진동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5303A (ja) * 2004-10-15 2006-04-27 Univ Kinki スピーカボックス
KR200453116Y1 (ko) * 2010-10-29 2011-04-06 유연우 진동자
KR101669149B1 (ko) * 2015-11-17 2016-10-25 김성호 내장 흡음재를 구비한 이중 프레임 골전도 진동자 구조를 갖는 골전도 스피커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5303A (ja) * 2004-10-15 2006-04-27 Univ Kinki スピーカボックス
KR200453116Y1 (ko) * 2010-10-29 2011-04-06 유연우 진동자
KR101669149B1 (ko) * 2015-11-17 2016-10-25 김성호 내장 흡음재를 구비한 이중 프레임 골전도 진동자 구조를 갖는 골전도 스피커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9331A (ko) * 2022-02-07 2023-08-16 풍림전자 주식회사 웨어러블용 음파진동 장치
KR102698348B1 (ko) 2022-02-07 2024-08-23 풍림전자 주식회사 음파진동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551639B (zh) 扬声器模组及便携终端
RU2523094C2 (ru) Низкочастотный громкоговоритель с плоским диффузором и его применение
JP2012198407A (ja) パネルスピーカ
CN109040926B (zh) 发声器件及便携终端
KR101117078B1 (ko) 무반동 스피커 시스템
US11202143B2 (en) Sound output assembly
JPH11196494A (ja) スピーカ
CN107690106B (zh) 扬声器箱
JP4120649B2 (ja) 防音装置
KR101915077B1 (ko) 음향 기반의 체감형 진동자
CN106453721B (zh) 移动设备
US8085968B2 (en) Resonating cone transducer
JP5233747B2 (ja) 平板スピーカ
US5731552A (en) Speaker system with sound absorbing diaphragm
USRE18751E (en) Loud speaker
KR101831433B1 (ko) 스피커가 구비된 마이크 장치
EP3928311B1 (en) Acoustic attenuation device for propagated sound through surfaces
JP2008016982A (ja) 音響システム
US20120024624A1 (en) Acoustic panel for receiving, emitting or absorbing sounds
JP2006133639A (ja) 室内に面する面部に設けた音響装置
CN206596176U (zh) 一种耳机
CN107682778B (zh) 电声装置及移动终端
JP2018504078A (ja) 不燃性のピエゾ圧電スピーカ装置
KR100678898B1 (ko) 진동 간섭이 억제된 평판 스피커
KR102689355B1 (ko) 스피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