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4381B1 - 위치감지센서를 이용한 승용차용 타이어 사이드부 및 휠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위치감지센서를 이용한 승용차용 타이어 사이드부 및 휠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4381B1
KR101914381B1 KR1020170091079A KR20170091079A KR101914381B1 KR 101914381 B1 KR101914381 B1 KR 101914381B1 KR 1020170091079 A KR1020170091079 A KR 1020170091079A KR 20170091079 A KR20170091079 A KR 20170091079A KR 101914381 B1 KR101914381 B1 KR 1019143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tire
protector
position sensor
passenger c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1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교
Original Assignee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91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43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4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43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4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devices or objects, e.g. bumpers combined with road brushes, bumpers convertible into beds
    • B60R19/483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devices or objects, e.g. bumpers combined with road brushes, bumpers convertible into beds with obstacle sensors of electric or electronic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4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imminent contact with an obstacle, e.g. using rada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With Unspecified Measu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치감지센서를 이용하여 휠에 인접한 다른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하여 휠 프로텍터를 작동시킴으로써 타이어의 사이드부 및 휠이 다른 물체에 접촉되어 흠집 또는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위치감지센서를 이용한 승용차용 타이어 사이드부 및 휠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승용차용 타이어가 장착되는 휠(10)의 중앙에 설치되어 휠(10)과 인접한 다른 물체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12)와; 상기 휠(10)에 설치되어 인접한 다른 물체가 근접할 경우 휠(10) 외부로 일부가 돌출되어 휠(10)과 타이어의 사이드부를 보호하는 휠 프로텍터(11)와; 상기 위치감지센서(12)와 휠 프로텍터(11)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차용 타이어의 사이드부 및 휠 보호장치에 따르면, 상기 휠 프로텍터(11)는 위치감지센서(12)에서 감지된 근접신호에 따라 작동하도록 휠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부(11a)와, 휠(10) 내부에 위치하도록 구동부(11a)의 선단에 설치되고 근접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구동부(11a)에 의해 휠(10) 외부로 돌출되어 인접한 다른 물체가 휠(10)에 접촉하지 않도록 차단하는 완충부재(11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위치감지센서를 이용한 승용차용 타이어 사이드부 및 휠 보호장치{The Protector of passenger car tire side part and wheel using position sensor}
본 발명은 위치감지 기술을 통해 승용차용 타이어 사이드부 및 휠을 보호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위치감지센서를 이용하여 휠에 인접한 다른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하여 휠 프로텍터를 작동시킴으로써 타이어의 사이드부 및 휠이 다른 물체에 접촉되어 흠집 또는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위치감지센서를 이용한 승용차용 타이어 사이드부 및 휠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을 운행하게 되면 타이어 또는 휠이 다른 물체에 접촉하는 일이 발생한다. 특히, 주차 중에는 주차장의 벽이나 도로의 연석 등에 타이어 또는 휠이 접촉됨으로써 타이어 또는 휠에 흠집이 생길 수 있다.
타이어에 형성된 흠집은 크랙으로 진행되어 타이어의 내구성을 저하시키게 되므로, 타이어에 흠집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것은 중요하다. 더욱이, 휠의 경우에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다른 물체와 접촉할 때 쉽게 흠집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휠에 발생한 흠집은 자동차의 다른 부위와는 달리 쉽게 복원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휠에 다른 물체가 접촉되더라도 휠에 흠집이 생기지 않도록, 휠의 외부에 설치되는 고정형 휠 프로텍터가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고정형 휠 프로텍터는 내구성이 약해 쉽게 끊어질 뿐만 아니라 휠 전체가 아닌 제한적인 부분만 보호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한 선행기술을 조사한 결과 다수의 특허문헌이 검색되었으며, 그 중 일부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특허문헌 1은, 타이어가 장착되는 자동차의 바디 부위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와, 상기 타이어의 외측부를 감싸도록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호판과, 상기 보호판의 상측에 연결바를 통하여 결합 구성되어 상기 보호판의 수평방향 유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으로써, 타이어 및 타이어휠을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타이어 및 타이어휠 보호커버를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2는, 자동차 휠의 림 최외곽 부분을 덮을 수 있도록 구비된 링 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본체가 상기 휠에 부착되도록 상기 림과 타이어 사이로 삽입되는 복수개의 클립부재 및 상기 본체에 일정각도마다 설치되어 외부의 빛을 반사하는 복수개의 반사체를 포함함으로써, 자동차 휠의 타이어와 휠 사이에 장착되어 휠을 보호하는 동시에 반사체가 장착되어 사람들로 하여금 주의를 환기시켜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자동차 휠 안전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3은, 타이어 휠의 림을 완전히 감싸는 직경을 가지는 휠 보호부가 형성된 타이어 휠 보호캡을 구비하여 타이어와 타이어 휠의 림을 측면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며, 소비자가 원하는 크기로 잘라서 사용할 수 있는 실용적인 타이어 휠 보호캡을 개시하고 있다.
KR 10-2014-0117955 A KR 10-1444913 B1 KR 10-1465055 B1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위치감지센서를 이용하여 다른 물체의 접근을 감지하고 다른 물체가 근접할 경우 완충부재가 돌출되어 다른 물체의 접촉을 차단하도록 함으로써, 휠은 물론 게이지가 얇은 타이어의 사이드부까지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위치감지센서를 이용한 승용차용 타이어 사이드부 및 휠 보호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승용차용 타이어가 장착되는 휠의 중앙에 설치되어 휠과 인접한 다른 물체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와; 상기 휠에 설치되어 인접한 다른 물체가 근접할 경우 휠 외부로 돌출되어 휠과 타이어의 사이드부를 보호하는 휠 프로텍터와; 상기 위치감지센서와 휠 프로텍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승용차용 타이어의 사이드부 및 휠 보호장치에 따르면, 상기 휠 프로텍터는 휠의 외부로 출몰 가능하게 휠 내부에 설치되는 완충부재와, 상기 위치감지센서에서 감지된 근접신호에 따라 작동하여 상기 완충부재를 휠 외부로 돌출시키거나 휠 내부에 수용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승용차용 타이어의 사이드부 및 휠 보호장치에 따르면, 상기 완충부재는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동부의 선단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승용차용 타이어의 사이드부 및 휠 보호장치에 따르면, 상기 구동부는 완충부재가 타이어의 사이드부보다 더 돌출되도록 완충부재를 밀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승용차용 타이어의 사이드부 및 휠 보호장치에 따르면, 상기 휠 프로텍터는 휠의 가장자리로부터 일정 정도 이격된 위치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승용차용 타이어의 사이드부 및 휠 보호장치에 따르면, 상기 휠 프로텍터는 3~6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승용차용 타이어의 사이드부 및 휠 보호장치에 따르면, 상기 위치감지센서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인접한 다른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승용차용 타이어의 사이드부 및 휠 보호장치는 위치감지센서를 이용하여 타이어에 인접한 다른 물체와의 거리를 감지한 후 다른 물체가 근접한 경우 휠 프로텍터가 돌출되어 다른 물체가 타이어 또는 휠에 접근하는 것을 차단하게 되므로 휠 또는 타이어의 사이드부에 흠집이나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그로 인해 타이어 및 휠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위치감지센서를 이용한 승용차용 타이어 사이드부 및 휠 보호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휠 프로텍터의 상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인 휠 프로텍터와 위치감지센서의 배치형태를 나타낸 참고도.
도 4는 본 발명의 위치감지센서를 이용한 승용차용 타이어 사이드부 및 휠 보호장치에서 휠 프로텍터가 작동되는 모습을 나타낸 참고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위치감지센서를 이용한 승용차용 타이어 사이드부 및 휠 보호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위치감지센서를 이용한 승용차용 타이어 사이드부 및 휠 보호장치는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용차용 타이어가 장착되는 휠(10)의 중앙에 설치되어 휠(10)과 인접한 다른 물체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12)와; 상기 휠(10)에 설치되어 인접한 다른 물체가 근접할 경우 휠(10) 외부로 일부가 돌출되어 휠(10)과 타이어의 사이드부를 보호하는 휠 프로텍터(11)와; 상기 위치감지센서(12)와 휠 프로텍터(11)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전원부(13)는 타이어가 회전중일 경우에만 상기 위치감지센서(12)와 휠 프로텍터(11)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차량이 정지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휠 프로텍터(11)가 작동되더라도 다른 물체의 접근을 차단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휠 프로텍터(11)는 휠(10)의 외부로 출몰 가능하게 휠(10) 내부에 설치되며 우레탄 소재로 형성되는 완충부재(11b)와, 상기 위치감지센서(12)에서 감지된 근접신호에 따라 작동하여 상기 완충부재(11b)를 휠(10) 외부로 돌출시키거나 휠(10) 내부에 수용하는 구동부(11a)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구동부(11a)에 의해 완충부재(11b)가 전후 이동되어 휠(10)의 외부로 돌출되거나 휠(10)의 내부에 수용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완충부재(11b)는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동부(11a)의 선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완충부재(11b)는 다른 물체와의 접촉에 의해 마모될 수 있으므로, 마모된 완충부재(11b)만 교체하여 휠 프로텍터(11)를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 상기 구동부(11a)는 완충부재(11b)가 타이어의 사이드부보다 더 돌출되도록 완충부재(11b)를 밀어주어야 함은 당연하다. 즉, 상기 완충부재(11b)가 타이어의 사이드부보다 더 돌출된 상태에서 타이어가 회전함으로써 타이어의 사이드부가 다른 물체, 특히 중앙분리대나 가드레일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휠 프로텍터(11)는 휠(10)의 가장자리로부터 일정 정도 이격된 위치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 설치된다. 물론, 휠의(10) 중심으로부터는 가장자리 방향으로 편심된 위치에 설치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이는 상기 휠 프로텍터(11)에 휠의 중심 부분에 설치되면 타이어의 사이드부를 보호할 수 없기 때문이다. 상기 휠 프로텍터(11)는 원주 방향을 따라 3~6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상기 휠 프로텍터(11) 사이의 간격은 60~120도가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휠 프로텍터(11)는 90도 간격으로 4개가 설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위치감지센서를 이용한 승용차용 타이어 사이드부 및 휠 보호장치는 타이어에 인접한 다른 물체와의 거리를 감지하여 휠 프로텍터를 작동시키게 되므로, 타이어 또는 휠에 다른 물체가 접촉되지 않게 되고, 그로 인해 타이어의 사이드부와 휠에 크랙이나 흠집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몇 가지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명세서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휠
11...휠 프로텍터
11a...구동부
11b...완충부재
12...위치감지센서
13...전원부

Claims (7)

  1. 승용차용 타이어가 장착되는 휠(10)의 중앙에 설치되어 휠(10)과 인접한 다른 물체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12)와;
    상기 휠(10)에 설치되어 인접한 다른 물체가 근접할 경우 휠(10) 외부로 일부가 돌출되어 휠(10)과 타이어의 사이드부를 보호하는 휠 프로텍터(11)와;
    상기 위치감지센서(12)와 휠 프로텍터(11)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차용 타이어의 사이드부 및 휠 보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휠 프로텍터(11)는 휠(10)의 외부로 출몰 가능하게 휠(10) 내부에 설치되는 완충부재(11b)와, 상기 위치감지센서(12)에서 감지된 근접신호에 따라 작동하여 상기 완충부재(11b)를 휠(10) 외부로 돌출시키거나 휠(10) 내부에 수용하는 구동부(11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차용 타이어의 사이드부 및 휠 보호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11b)는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동부(11a)의 선단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차용 타이어의 사이드부 및 휠 보호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11a)는 완충부재(11b)가 타이어의 사이드부보다 더 돌출되도록 완충부재(11b)를 밀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차용 타이어의 사이드부 및 휠 보호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휠 프로텍터(11)는 휠(10)의 가장자리로부터 일정 정도 이격된 위치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차용 타이어의 사이드부 및 휠 보호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휠 프로텍터(11)는 원주 방향을 따라 3~6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차용 타이어의 사이드부 및 휠 보호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감지센서(12)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인접한 다른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차용 타이어의 사이드부 및 휠 보호장치.
KR1020170091079A 2017-07-18 2017-07-18 위치감지센서를 이용한 승용차용 타이어 사이드부 및 휠 보호장치 KR1019143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1079A KR101914381B1 (ko) 2017-07-18 2017-07-18 위치감지센서를 이용한 승용차용 타이어 사이드부 및 휠 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1079A KR101914381B1 (ko) 2017-07-18 2017-07-18 위치감지센서를 이용한 승용차용 타이어 사이드부 및 휠 보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4381B1 true KR101914381B1 (ko) 2018-11-01

Family

ID=64398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1079A KR101914381B1 (ko) 2017-07-18 2017-07-18 위치감지센서를 이용한 승용차용 타이어 사이드부 및 휠 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438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1276B1 (ko) 2006-09-27 2007-10-29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차량용 측면 거리감지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 사용되는타이어, 타이어휠 또는 휠커버
DE102012222598A1 (de) 2012-12-10 2014-06-26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Felgen- und/oder Reifenschutz bei einem Einparkvorgang eines Fahrzeug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1276B1 (ko) 2006-09-27 2007-10-29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차량용 측면 거리감지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 사용되는타이어, 타이어휠 또는 휠커버
DE102012222598A1 (de) 2012-12-10 2014-06-26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Felgen- und/oder Reifenschutz bei einem Einparkvorgang eines Fahrzeug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15024B2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geometrical dimensions of a wheel rim, in particular when fitting and/or removing a motor vehicle tyre
US7768632B2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geometrical dimensions of a vehicle wheel
US8342222B2 (en) Method for mounting a tyre on a rim to form a motor vehicle wheel and for demounting a tyre from a rim and apparatus therefore
CN102778670B (zh) 用于主动安全车辆应用的新型传感器对准方法和工具
WO2007119285A3 (en) Passenger protection device
US10518728B2 (en) Sensor protector and vehicle equipped therewith
WO2006138387A3 (en) Object proximity warning system
KR102183224B1 (ko) 차량 레이더 오차 보정 시스템 및 그 방법
DE602004030674D1 (de) Fussgängererfassungssystem
ATE432834T1 (de) Fernabfrage eines fahrzeugsrads
KR101914381B1 (ko) 위치감지센서를 이용한 승용차용 타이어 사이드부 및 휠 보호장치
US20160377507A1 (en) Sensor device for tire inspection
CN104442832A (zh) 一种车辆安全停车方法
US10315471B2 (en) Sensing device with proximity detection for tire inspection
CN110065491B (zh) 车轮保护方法、装置及车辆
CN108917661A (zh) 一种车轮定位的检测方法、系统及汽车
JP2011103084A (ja) バッテリーロコの前方監視方法
JP2009139318A (ja) 車輪位置検出装置におけるトリガ機搭載構造
KR20130138049A (ko) 작업자 보호 시스템
CN211843943U (zh) 一种电动三轮车的轮毂防刮擦挡架
KR20210103708A (ko) 오토바이용 헬멧 시스템
KR100588848B1 (ko) 자동차의 전방 충돌을 감지하는 충돌감지장치
CN205202947U (zh) 一种汽车防护杠及汽车
KR19990054760A (ko) 자동차 타이어의 마모상태 자동감지장치
AU2019200332B2 (en) Mirror prot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