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4331B1 - 밸브 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건설기계의 유압 장치 - Google Patents

밸브 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건설기계의 유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4331B1
KR101914331B1 KR1020150065816A KR20150065816A KR101914331B1 KR 101914331 B1 KR101914331 B1 KR 101914331B1 KR 1020150065816 A KR1020150065816 A KR 1020150065816A KR 20150065816 A KR20150065816 A KR 20150065816A KR 101914331 B1 KR101914331 B1 KR 101914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valve plate
cylinder block
outer diameter
inner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5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3143A (ko
Inventor
유충열
Original Assignee
현대건설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건설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건설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65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4331B1/ko
Publication of KR20160133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31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4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4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00Multi-cylinder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1/12Multi-cylinder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 axe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1/122Details or component parts, e.g. valves, sealings or lubrication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21Control of flow rate; Load sens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00Multi-cylinder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1/12Multi-cylinder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 axe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1/14Multi-cylinder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 axe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1/141Details or component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00Multi-cylinder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1/12Multi-cylinder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 axe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1/20Multi-cylinder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 axe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rotary cylinder block
    • F04B1/2014Details or component parts
    • F04B1/2042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밸브 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서, 샤프트가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중공부; 최외곽에 형성되어 면적을 가지는 제1 파트부; 및 상기 제1 파트부와 상기 중공부 사이에 형성되어 실린더 블록과 습동하는 제2 파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파트부는, 상기 실린더 블록으로부터 제1 힘을 받는 제1 면적부; 및 상기 실린더 블록으로부터 상기 제1 힘의 크기보다 더 큰 제2 힘을 받으며, 상기 제1 면적부의 면적보다 더 넓은 면적을 가지는 제2 면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밸브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건설기계의 유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샤프트; 상기 샤프트를 통해 회전하는 실린더 블록; 및 상기 샤프트가 관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실린더 블록과 습동하는 밸브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 플레이트는, 상기 샤프트가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중공부; 최외곽에 형성되어 면적을 가지는 제1 파트부; 및 상기 제1 파트부와 상기 중공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 블록과 습동하는 제2 파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파트부는, 상기 실린더 블록으로부터 제1 힘을 받는 제1 면적부; 및 상기 실린더 블록으로부터 상기 제1 힘의 크기보다 더 큰 제2 힘을 받으며, 상기 제1 면적부의 면적보다 더 넓은 면적을 가지는 제2 면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 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건설기계의 유압 장치는, 밸브 플레이트의 총 단면적은 유지하면서 상측의 단면적을 하측의 단면적보다 넓게 형성함으로써, 상측이 받는 압력이 줄게 되는 효과가 있고 밸브 플레이트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으며, 밸브 플레이트의 부력에는 영향을 주지 않아 유압 장치의 구동능력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밸브 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건설기계의 유압 장치{Valve Plate and Hydraulic Apparatus of Construction Equipment having same}
본 발명은 밸브 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건설기계의 유압 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설 장비란 일반적으로 건설 토목용 기계를 의미하며, 도로, 하천, 항만, 철도, 플랜트 등과 같은 공사별로 각각 그 특성에 적합한 기계구조 및 성능을 보유하게 된다. 즉 건설 장비는 산업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의 다양성으로 인해, 굴삭장비, 적재장비, 운반장비, 하역장비, 다짐장비, 기초공사장비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불도저, 굴삭기, 로더, 덤프트럭, 롤러 등과 같이 상당히 많은 종류의 장비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산업 현장에서 가장 기본적으로 수행되는 작업은 굴삭이다. 산업 공사 시에는 지면을 일정 깊이로 굴착하여 각종 구조물을 설치하거나, 또는 지면에 파이프 등을 매설하는 작업이 주로 수행되는데, 이때 굴삭기가 가장 많이 활용된다.
굴삭기는 토목, 건축, 건설 현장에서 땅을 파는 굴삭작업, 토사를 운반하는 적재작업, 건물을 해체하는 파쇄작업, 지면을 정리하는 정지작업 등의 작업을 행하는 건설기계로서, 장비의 이동역할을 하는 주행체와 주행체에 탑재되어 360도 회전하는 상부 선회체 및 작업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굴삭기는 주행체의 주행방식에 따라 무한궤도식 크롤라 굴삭기와 타이어식 휠 굴삭기로 구분된다. 크롤라 굴삭기는 휠 굴삭기에 비해 작업이 안정적이며 작업생산성이 높기 때문에 장비 중량 1톤부터 100톤 이상의 초대형에 이르기까지 각 작업현장에 폭 넓게 사용되며, 휠 굴삭기는 크롤라 굴삭기에 비해 타이어 지지방식으로, 작업시 안정성은 떨어지나, 도로 주행이 가능하여 운반 트레일러 없이 근거리간 작업장 이동이 가능하고 작업과 이동을 빈번하게 요구하는 작업 현장에 주로 사용된다.
또한, 굴삭기는 토사와 암석의 상태, 작업의 종류 및 용도에 따라 적절한 작업 장치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반 굴삭 및 토사 운반을 위한 버켓(Bucket), 단단한 지면, 암석 등의 파쇄를 위한 브레이커, 건물의 해체 및 파쇄에 사용하는 크라샤 등이 굴삭기에 주로 사용되는 작업 장치이다.
이러한 건설기계에는 굴삭기 외에도 본체의 전방에 붐과 버켓을 포함하는 프론트 장치를 구비하여 파쇄된 암반, 토사 등과 같은 골재를 적재하거나 근거리 운반에 쓰이는 휠로더, 고중량의 하물을 들어올리거나 운반하는데 사용되는 지게차가 있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굴삭기에는 각종 장비의 구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유압 시스템이 구비되어 있으며, 유압 시스템은 작동유를 토출하는 유압 펌프와 토출된 작동유를 통해 모터를 가동하는 유압 모터, 작동유의 유동방향 및 유량을 제어하는 유압제어밸브 및 기계적인 일을 하는 각종 액추에이터 등을 갖추고 있다.
이와 같이 굴삭기에는 구동되는 장치에 압유가 많이 사용되며, 압유는 압력이 높아 압유를 사용하는 장치의 내구성에 상당한 부담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압유를 이용한 장치에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많은 연구 및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밸브 플레이트의 상측의 마모를 줄이고 성능은 향상시키기 위한 밸브 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건설기계의 유압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 플레이트는, 샤프트가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중공부; 최외곽에 형성되어 면적을 가지는 제1 파트부; 및 상기 제1 파트부와 상기 중공부 사이에 형성되어 실린더 블록과 습동하는 제2 파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파트부는, 상기 실린더 블록으로부터 제1 힘을 받는 제1 면적부; 및 상기 실린더 블럭으로부터 상기 제1 힘의 크기보다 더 큰 제2 힘을 받으며, 상기 제1 면적부의 면적보다 더 넓은 면적을 가지는 제2 면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파트부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경과 외경의 중심이 동심이며, 상기 제2 파트부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경과 외경의 중심이 편심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파트부는, 내경이 상기 제1 파트부의 내경 또는 외경과 동심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파트부는, 외경이 상기 제1 파트부의 내경 또는 외경과 동심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면적부는, 상기 실린더 블록과 습동하는 습동부; 및 상기 실린더 블록과 습동하는 면으로부터 함몰되도록 형성되는 비습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파트부 및 상기 제2 파트부는, 원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비습동부는, 상기 제2 파트부의 내경 또는 외경으로부터 함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파트부 및 상기 제2 파트부는, 원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비습동부는, 상기 제2 파트부의 내경 또는 외경으로부터 유선형으로 함몰되어 단차가 형성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면적부는, 상기 제2 면적부와 상기 중공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인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면적부는, 상기 중공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면적부는, 상기 중공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건설기계의 유압 장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를 통해 회전하는 실린더 블록; 및 상기 샤프트가 관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실린더 블록과 습동하는 밸브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 플레이트는, 상기 샤프트가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중공부; 최외곽에 형성되어 면적을 가지는 제1 파트부; 및 상기 제1 파트부와 상기 중공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 블록과 습동하는 제2 파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파트부는, 상기 실린더 블록으로부터 제1 힘을 받는 제1 면적부; 및 상기 실린더 블록으로부터 상기 제1 힘의 크기보다 더 넓은 제2 힘을 받으며, 상기 제1 면적부의 면적보다 더 큰 면적을 가지는 제2 면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 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건설기계의 유압 장치는, 밸브 플레이트의 총 단면적은 유지하면서 상측의 단면적을 하측의 단면적보다 넓게 형성함으로써, 상측이 받는 압력이 줄게 되는 효과가 있고 밸브 플레이트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으며, 밸브 플레이트의 부력에는 영향을 주지 않아 유압 장치의 구동능력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유압 장치를 장착한 건설기계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건설기계의 유압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유압장치의 밸브 플레이트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유압장치의 밸브 플레이트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유압장치의 밸브 플레이트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유압장치의 밸브 플레이트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유압장치의 밸브 플레이트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유압 장치를 장착한 건설기계의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 장치(10)를 구비하는 건설기계(1)를 우선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건설기계(1)는 굴삭기(1)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밸브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유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1)는, 크롤러식 하부주행체(1a), 상부 선회체(1b), 프론트 어태치먼트(1c), 붐(1d), 암(1e), 버킷(1f), 붐 실린더(1g)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1)는 크롤러식 하부주행체(1a), 크롤러식 하부주행체(1a)에 선회 자재로 지지를 받는 상부 선회체(1b), 상부 선회체(1b)에 장착되는 프론트 어태치먼트(1c)로 구성되어 있으며, 프론트 어태치먼트(1c)는 상부 선회체(1b)에 상하 이동 자재로 지지를 받는 붐(1d), 붐(1d)의 단부에 전후 이동 자재로 지지를 받는 암(1e), 암(1e)의 단부에 전후 이동 자재로 설치되는 버킷(1f), 브레이커(도시하지 않음), 크렘쉘(도시하지 않음), 붐(1d)을 구동하기 위해 압유를 이용하여 구동되는 붐 실린더(1g) 등의 각 부재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건설기계(1)를 구동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플레이트(100)를 설명하기에 앞서 유압 장치(10)에 대해서 기술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건설기계의 유압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 플레이트(100)를 포함하는 건설기계(1)의 유압 장치(10)는, 밸브 플레이트(100), 하우징(200), 샤프트(300), 사판(400), 피스톤 아세이(500), 실린더 블록(6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유압 장치(10)는 바람직하게는 유압 모터일 수 있으나, 이는 일례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유압 펌프 등에 해당될 수 있다.
유압 장치(10)는, 샤프트(300)와, 샤프트(300)에 일체로 결합되고,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복수 개의 피스톤 아세이(500)가 형성되는 실린더 블록(600)과, 각 피스톤 아세이(500)에 실린더 블록(600)의 회전에 따라 전진 행정 및 후퇴 행정을 가지며 왕복 변위하는 복수 개의 피스톤(520)과, 전진 행정 또는 후퇴 행정의 피스톤(520)이 끼워 맞춤(Fit)되는 피스톤 아세이(500)에 접속되는 밸브 플레이트(100)의 개구(130a~e)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유압 장치(10)는 샤프트(300)의 축선 주위에 회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실린더 블록(600)을 구비할 수 있으며, 겉면에는 하우징(200)으로 둘러싸여 유압 장치(10)의 각 부품들을 보호한다.
실린더 블록(600)에는 복수 개의 피스톤 아세이(500)가 형성되고, 각 피스톤 아세이(500)에 연통하는 실린터 포트(Cylinder port; 부호 도시하지 않음)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각 피스톤 아세이(500)에는 피스톤(520)이 끼워 맞춤되어 있다.
각각의 피스톤(520)의 일단부에는 피스톤 슈(Piston shoe; 510)가 설치되고, 각 피스톤 슈(510)는 샤프트(300)의 축선에 수직한 가상 평면(도시하지 않음)에 대하여 기울어진 사판(400)을 향하여 가압된다.
따라서, 각각의 피스톤(520)은 실린더 블록(600)의 회전과 동기화(Synchronization)하여 전진 행정 및 후퇴 행정을 가지며 왕복 변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밸브 플레이트(100)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유압장치의 밸브 플레이트의 정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밸브 플레이트(100a)는, 제1 파트부(110a), 제2 파트부(120a), 개구(130a), 노치(140a), 중공부(150a), 제1 함몰부(160a), 제2 함몰부(170a)를 포함한다.
제1 파트부(110a)는, 최외곽에 형성되어 링의 형상의 면적을 가지며, 밸브 플레이트(100a)의 형태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제1 파트부(110a)는 밸브 플레이트(100a)에서 최장 직경을 가지고 최외곽 라인을 형성하는 외경(111a)과, 외경(111a)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외경(111a)의 중심점(O)과 동심을 이루는 중심점(O)을 가지는 내경(112a)을 가지고, 외경(111a)과 내경(112a)은 서로 동심이며, 외경(111a)에서 내경(112a)까지 연장되어 링 형상의 면적을 가진다.
제1 파트부(110a)는 밸브 플레이트(100a)가 원형의 형상을 가지도록 링의 형상의 면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실린더 블록(600)의 형태에 맞춰 결정될 수 있다.
제2 파트부(120a)는, 제1 파트부(110a)와 중공부(150a) 사이에 링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실린더 블록(600)과 습동한다. 구체적으로, 제2 파트부(120a)는, 외경(121a)에서 내경(122a)으로 연장되어 실린더 블록(600)과 대면하는 면적을 형성하며, 외경(121a)과 내경(122a) 사이의 면적에는 개구(130a), 노치(140a), 제1 면적부(123a), 제2 면적부(124a)를 포함할 수 있다.
사판(400)은, 밸브 플레이트(100a)와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회전하게되고, 피스톤(520)은 사판(400)과 연결된 피스톤 아세이(500)의 회전으로 함께 회전하게 되는데, 이 회전으로 피스톤(520)은 회전과 함께 샤프트(300)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의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피스톤(520)은, 전진 또는 후진의 왕복운동으로 실린더 블록(600)에 힘을 가하게 되는데 이때의 힘 중 사판(400)과 밸브 플레이트(100a)에서 샤프트(300) 방향으로 가장 가깝게 떨어져 있는 곳에 도달하는 순간의 피스톤(520)이 실린더 블록(600)에 샤프트(300) 방향으로 가하는 힘을 제1 힘이라 하고, 사판(400)과 밸브 플레이트(100a)에서 샤프트(300) 방향으로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곳에 도달하는 순간의 피스톤(520)이 실린더 블록(600)에 샤프트(300) 방향으로 가하는 힘을 제2 힘이라고 한다.
밸브 플레이트(100a)는, 실린더 블록(600)과 샤프트(300)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평행하게 대면하므로, 실린더 블록(600)이 피스톤(520)으로부터 샤프트(300) 방향으로 제1 힘 또는 제2 힘을 받고, 실린더 블록(600)은 밸브 플레이트(100a)로 제1 힘 또는 제2 힘을 샤프트(300) 방향으로 가한다.
피스톤(520)이 실린더 블록(600)으로 가하는 힘은, 사판(400)이 밸브 플레이트(100a)와 일정한 강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회전함으로써 사판(400)과 밸브 플레이트(100a)가 샤프트(300) 방향으로 이격된 거리가 멀수록 힘이 커지고, 사판(400)과 밸브 플레이트(100a)가 샤프트(300) 방향으로 이격된 거리가 가까울수록 힘이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제1 힘과 제2 힘은 서로 다른 힘을 가지게 되고, 제1 힘은, 실린더 블록(600)이 피스톤(520)으로부터 샤프트(300) 방향으로 가하는 힘 중 가장 작으며, 제2 힘은 실린더 블록(600)이 피스톤(520)으로부터 샤프트(300) 방향으로 가하는 힘 중 가장 크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면적부(123a)는, 실린더 블록(600)으로부터 유체의 유입 또는 토출로 인해 밸브 플레이트(100a)로 가하는 제1 힘을 받고, 제2 면적부(124a)는, 실린더 블록(600)으로부터 제1 힘보다 더 큰 제2 힘을 받는다.
따라서, 제1 면적부(123a)는, 실린더 블록(600)으로부터 작은 힘을 받으므로, 실린더 블록(600)과 습동하면서 적은 마찰력을 받게되고, 제2 면적부(124a)는, 실린더 블록(600)으로부터 큰 힘을 받으므로, 실린더 블록(600)과 습동하면서 큰 마찰력을 받게된다.
즉, 제2 면적부(124a)는, 제1 면적부(123a)보다 큰 마찰력을 받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2 면적부(124a)의 면적은, 제1 면적부(123a)의 면적보다 더 넓은 면적을 가지도록 하여, 제2 면적부(124a)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와 함께 밸브 플레이트(100a)와 실린더 블록(600)의 부력을 유지하여 유압 장치(10)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생시키기 위해, 제2 파트부(120a)의 외경(121a)과 내경(122a)이 편심이 되도록 형성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2 파트부(120a)는, 내경(122a)과 외경(121a)의 중심이 동심일 때의 면적과 동일하도록 내경(122a)의 중심과 외경(121a)의 중심을 일정 거리(ta) 이격시켜 구성하여 내경(122a)과 외경(121a)의 중심이 편심인 링 형상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2 파트부(120a)는, 내경(122a)의 중심이 제1 파트부(110a)의 외경(111a)의 중심 또는 내경(112a)의 중심과 동심을 이룰 수 있고 동일한 중심선(X)을 가질 수 있으며, 외경(121a)의 중심은 내경(122a)의 중심과 일정 거리(ta) 이격되어 구성되어 별도의 편심선(Xo)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면적부(123a)가 제2 면적부(124a)와 중공부(150a)의 중심(O)을 기준으로 대칭인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면적부(123a)는, 중심선(X)을 기준으로 하측에, 제2 면적부(124a)는 중심선(x)을 기준으로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개구(130a)는, 제2 파트부(120a)의 외경(121a)과 내경(122a) 사이에 복수 개 형성되어 유체를 인입 또는 토출시키며, 전진 행정 또는 후퇴 행정에 있는 피스톤(520)이 끼워맞춤된 피스톤 아세이(500)에 실린더 포트를 통하여 접속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개구(130a)는, 유체 장치(10)의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유체에 의해 실린더 블록(600)이 회전 구동되고, 이에 의해 각 피스톤(520)이 왕복 변위하여 샤프트(300)를 회전시킴으로써 유체 장치(10)가 작동할 수 있다.
노치(140a)는, 제2 파트부(120a)의 외경(121a)과 내경(122a) 사이에 복수 개 형성되며, 개구(130a)의 적어도 하나 이상에 위치할 수 있다. 노치(140a)는, 유체가 개구(130a)로 유입되도록 개구(130a)의 유체 유입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1단 또는 2단으로 밸브 플레이트(100a)의 깊이 방향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노치(140a)는, 개구(130a)에서 유체가 역류함으로써 발생되는 제트류(Jet stream)를 통한 큰 소음 및 진동으로 밸브 플레이트(100a)의 내구성이 약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유도홀(부호 도시하지 않음)이 구비될 수 있다. 유도홀은 노치(140a)의 유체 유입 전단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노치(140a)의 유체 유입 전방에도 구비될 수 있다.
유도홀은 노치(140a)와 함께 개구(130a)에서 유체가 역류함으로써 발생되는 제트류를 줄이고 맥동 현상을 방지하며 밸브 플레이트(100a)의 내구성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
중공부(150a)는, 밸브 플레이트(100a)의 중심점(O)에서 중공부 외경(151a)까지 뚫리도록 형성되며, 그 직경이 샤프트(300)의 직경과 유사하게 형성되어 샤프트(300)가 관통될 수 있게 구성된다.
중공부(150a)는, 밸브 플레이트(100a)의 최중심부에 위치하며 개구의 형상으로 원의 형태로 뚫린 형상일 수 있다.
제1 함몰부(160a)는, 제1 파트부(110a)와 제2 파트부(120a) 사이에 형성되며, 유체를 통해 습동되지 않도록 밸브 플레이트(100a)의 깊이방향(이하 샤프트(300) 방향)으로 일정 간격 함몰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함몰부(160a)는 제1 파트부(110a)의 내경(112a)과 제2 파트부(120a)의 외경(121a) 사이에 함몰되어 형성되며, 중심선(X)을 기준으로 하측에서의 제1 파트부(110a)의 내경(112a)에서 제2 파트부(120a)의 외경(121a)까지의 거리(to1)가 중심선(X)을 기준으로 상측에서의 제1 파트부(110a)의 내경(112a)에서 제2 파트부(120a)의 외경(121a)까지의 거리(to2)보다 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함몰부(160a)는, 중심선(X)을 기준으로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제1 파트부(110a)의 내경(112a)에서 제2 파트부(120a)의 외경(121a)까지의 거리가 점점 길어질 수 있다.
제2 함몰부(170a)는, 제2 파트부(120a)와 중공부(150a) 사이에 형성되며, 유체를 통해 습동되지 않도록 밸브 플레이트(100a)의 깊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함몰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제2 함몰부(170a)는 제2 파트부(120a)의 내경(122a)과 중공부(150a)의 중공부 외경(151a) 사이에 함몰되어 형성되며, 중심선(X)을 기준으로 하측에서의 제2 파트부(120a)의 내경(112a)에서 중공부(150a)의 중공부 외경(151a)까지의 거리(ti1)가 중심선(X)을 기준으로 상측에서의 제2 파트부(120a)의 내경(122a)에서 중공부(150a)의 중공부 외경(151a)까지의 거리(ti2)와 동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밸브 플레이트(100a) 및 이를 포함하는 건설기계의 유압 장치(10)는, 밸브 플레이트(100a)의 총 단면적은 유지하면서 상측의 단면적을 하측의 단면적보다 넓게 형성함으로써, 상측이 받는 압력이 줄게 되는 효과가 있고 밸브 플레이트(100a)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으며, 밸브 플레이트(100a)의 부력에는 영향을 주지 않아 유압 장치(10)의 구동능력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유압장치의 밸브 플레이트의 정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밸브 플레이트(100b)는, 제1 파트부(110b), 제2 파트부(120b), 개구(130b), 유도 개구(140b), 중공부(150b), 제1 함몰부(160b), 제2 함몰부(170b)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밸브 플레이트(100b)는, 제2 파트부(120b), 제1 함몰부(160b) 및 제2 함몰부(170b) 외의 구성은 각 구성과 대응되는 도 3 에서 설명하는 밸브 플레이트(100a)의 각 구성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이에 갈음하도록 하며 이하에서는 제2 파트부(120b), 제1 함몰부(160b) 및 제2 함몰부(170b)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제2 파트부(120b)는, 제1 파트부(110b)와 중공부(150b) 사이에 링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실린더 블록(600)과 습동한다. 구체적으로, 제2 파트부(120b)는, 외경(121b)에서 내경(122b)으로 연장되어 실린더 블록(600)과 대면하는 면적을 형성하며, 외경(121b)과 내경(122b) 사이의 면적에는 개구(130b), 노치(140b), 제1 면적부(123b), 제2 면적부(124b)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2 면적부(124b)의 면적은, 제1 면적부(123b)의 면적보다 더 넓은 면적을 가지도록 하여, 제2 면적부(124b)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와 함께 밸브 플레이트(100b)와 실린더 블록(600)의 부력을 유지하여 유압 장치(10)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생시키기 위해, 제2 파트부(120b)의 외경(121b)과 내경(122b)이 편심이 되도록 형성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2 파트부(120b)는, 내경(122b)과 외경(121b)의 중심이 동심일 때의 면적과 동일하도록 내경(122b)의 중심과 외경(121b)의 중심을 일정 거리(ta) 이격시켜 구성하여 내경(122b)과 외경(121b)의 중심이 편심인 링 형상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2 파트부(120b)는, 외경(121b)의 중심이 제1 파트부(110b)의 외경(111b)의 중심 또는 내경(112b)의 중심과 동심을 이룰 수 있고 동일한 중심선(X)을 가질 수 있으며, 내경(122b)의 중심은 외경(121b)의 중심과 일정 거리(ta) 이격되어 구성되어 별도의 편심선(Xo)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의 제2 파트부(120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의 제2 파트부(120a)가 외경(121a)의 중심이 내경(122a)의 중심과 편심을 이루고 내경(122a)의 중심이 제1 파트부(110a)의 외경(111a)의 중심 또는 내경(112a)의 중심과 동심을 이루는 것에 반해, 외경(121b)의 중심이 제1 파트부(110b)의 외경(111b)의 중심 또는 내경(112b)의 중심과 동심을 이루는 것에 차이가 있다.
제1 함몰부(160b)는, 제1 파트부(110b)와 제2 파트부(120b) 사이에 형성되며, 유체를 통해 습동되지 않도록 밸브 플레이트(100b)의 깊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함몰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함몰부(160b)는 제1 파트부(110b)의 내경(112b)과 제2 파트부(120b)의 외경(121b) 사이에 함몰되어 형성되며, 중심선(X)을 기준으로 하측에서의 제1 파트부(110b)의 내경(112b)에서 제2 파트부(120b)의 외경(121b)까지의 거리(to1)가 중심선(X)을 기준으로 상측에서의 제1 파트부(110b)의 내경(112b)에서 제2 파트부(120b)의 외경(121b)까지의 거리(to2)와 동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함몰부(170b)는, 제2 파트부(120b)와 중공부(150b) 사이에 형성되며, 유체를 통해 습동되지 않도록 밸브 플레이트(100b)의 깊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함몰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제2 함몰부(170b)는 제2 파트부(120b)의 내경(122b)과 중공부(150b)의 중공부 외경(151b) 사이에 함몰되어 형성되며, 중심선(X)을 기준으로 하측에서의 제2 파트부(120b)의 내경(112b)에서 중공부(150b)의 중공부 외경(151b)까지의 거리(ti1)가 중심선(X)을 기준으로 상측에서의 제2 파트부(120b)의 내경(122b)에서 중공부(150b)의 중공부 외경(151b)까지의 거리(ti2)보다 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함몰부(170b)는, 중심선(X)을 기준으로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제2 파트부(120b)의 내경(122b)에서 중공부(150b)의 중공부 외경(151b)까지의 거리가 점점 길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밸브 플레이트(100b) 및 이를 포함하는 건설기계의 유압 장치(10)는, 밸브 플레이트(100b)의 총 단면적은 유지하면서 상측의 단면적을 하측의 단면적보다 넓게 형성함으로써, 상측이 받는 압력이 줄게 되는 효과가 있고 밸브 플레이트(100b)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으며, 밸브 플레이트(100b)의 부력에는 영향을 주지 않아 유압 장치(10)의 구동능력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유압장치의 밸브 플레이트의 정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밸브 플레이트(100c)는, 제1 파트부(110c), 제2 파트부(120c), 개구(130c), 유도 개구(140c), 중공부(150c), 제1 함몰부(160c), 제2 함몰부(170c)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밸브 플레이트(100c)는, 제2 파트부(120c) 및 제1 함몰부(160c) 외의 구성은 각 구성과 대응되는 도 3 에서 설명하는 밸브 플레이트(100a)의 각 구성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이에 갈음하도록 하며 이하에서는 제2 파트부(120c) 및 제1 함몰부(160c)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제2 파트부(120c)는, 제1 파트부(110c)와 중공부(150c) 사이에 링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실린더 블록(600)과 습동한다. 구체적으로, 제2 파트부(120c)는, 외경(121c)에서 내경(122c)으로 연장되어 실린더 블록(600)과 대면하는 면적을 형성하며, 외경(121c)과 내경(122c) 사이의 면적에는 개구(130c), 노치(140c), 제1 면적부(123c), 제2 면적부(124c)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2 면적부(124c)의 면적은, 제1 면적부(123c)의 면적보다 더 넓은 면적을 가지도록 하여, 제2 면적부(124c)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면적부(123c)는 실린더 블록(600)과 습동하는 습동부(1231c)와 실린더 블록(600)과 습동하는 면으로부터 샤프트(300)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되는 비습동부(1232c)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비습동부(1232c)는, 제2 파트부(120c)의 외경(121c) 또는 내경(122c)으로부터 샤프트(300)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반원형의 형상이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면적부(123c)에 실린더 블록(600)과 습동하는 면으로부터 샤프트(300)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되는 비습동부(1232c)를 가짐으로써, 제2 면적부(124c)의 면적보다 적은 면적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제1 함몰부(160c)는, 제1 파트부(110c)와 제2 파트부(120c) 사이에 형성되며, 유체를 통해 습동되지 않도록 밸브 플레이트(100c)의 깊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함몰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함몰부(160c)는 제1 파트부(110c)의 내경(112c)과 제2 파트부(120c)의 외경(121c) 사이에 함몰되어 형성되며, 중심선(X)을 기준으로 하측에서의 제1 파트부(110c)의 내경(112c)에서 제2 파트부(120c)의 외경(121c)까지의 거리(to1)가 중심선(X)을 기준으로 상측에서의 제1 파트부(110c)의 내경(112c)에서 제2 파트부(120c)의 외경(121c)까지의 거리(to2)와 동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밸브 플레이트(100c) 및 이를 포함하는 건설기계의 유압 장치(10)는, 밸브 플레이트(100c)의 총 단면적은 유지하면서 상측의 단면적을 하측의 단면적보다 넓게 형성함으로써, 상측이 받는 압력이 줄게 되는 효과가 있고 밸브 플레이트(100c)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으며, 밸브 플레이트(100c)의 부력에는 영향을 주지 않아 유압 장치(10)의 구동능력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유압장치의 밸브 플레이트의 정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밸브 플레이트(100d)는, 제1 파트부(110d), 제2 파트부(120d), 개구(130d), 유도 개구(140d), 중공부(150d), 제1 함몰부(160d), 제2 함몰부(170d)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밸브 플레이트(100d)는, 제2 파트부(120d) 및 제1 함몰부(160d) 외의 구성은 각 구성과 대응되는 도 3 에서 설명하는 밸브 플레이트(100a)의 각 구성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이에 갈음하도록 하며 이하에서는 제2 파트부(120d) 및 제1 함몰부(160d)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제2 파트부(120d)는, 제1 파트부(110d)와 중공부(150d) 사이에 링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실린더 블록(600)과 습동한다. 구체적으로, 제2 파트부(120d)는, 외경(121d)에서 내경(122d)으로 연장되어 실린더 블록(600)과 대면하는 면적을 형성하며, 외경(121d)과 내경(122d) 사이의 면적에는 개구(130d), 노치(140d), 제1 면적부(123d), 제2 면적부(124d)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2 면적부(124d)의 면적은, 제1 면적부(123d)의 면적보다 더 넓은 면적을 가지도록 하여, 제2 면적부(124d)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면적부(123d)는 실린더 블록(600)과 습동하는 습동부(1231d)와 실린더 블록(600)과 습동하는 면으로부터 샤프트(300)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되는 비습동부(1232d)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비습동부(1232d)는, 제2 파트부(120d)의 외경(121d) 또는 내경(122d)으로부터 샤프트(300)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유선형으로 함몰되어 단차가 형성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면적부(123d)에 실린더 블록(600)과 습동하는 면으로부터 샤프트(300)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되는 비습동부(1232d)를 가짐으로써, 제2 면적부(124d)의 면적보다 적은 면적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제1 함몰부(160d)는, 제1 파트부(110d)와 제2 파트부(120d) 사이에 형성되며, 유체를 통해 습동되지 않도록 밸브 플레이트(100d)의 깊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함몰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함몰부(160d)는 제1 파트부(110d)의 내경(112d)과 제2 파트부(120d)의 외경(121d) 사이에 함몰되어 형성되며, 중심선(X)을 기준으로 하측에서의 제1 파트부(110d)의 내경(112d)에서 제2 파트부(120d)의 외경(121d)까지의 거리(to1)가 중심선(X)을 기준으로 상측에서의 제1 파트부(110d)의 내경(112d)에서 제2 파트부(120d)의 외경(121d)까지의 거리(to2)와 동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밸브 플레이트(100d) 및 이를 포함하는 건설기계의 유압 장치(10)는, 밸브 플레이트(100d)의 총 단면적은 유지하면서 상측의 단면적을 하측의 단면적보다 넓게 형성함으로써, 상측이 받는 압력이 줄게 되는 효과가 있고 밸브 플레이트(100d)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으며, 밸브 플레이트(100d)의 부력에는 영향을 주지 않아 유압 장치(10)의 구동능력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유압장치의 밸브 플레이트의 정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밸브 플레이트(100e)는, 제1 파트부(110e), 제2 파트부(120e), 개구(130e), 유도 개구(140e), 중공부(150e), 제1 함몰부(160e), 제2 함몰부(170e)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밸브 플레이트(100e)는, 제2 파트부(120e) 및 제1 함몰부(160e) 외의 구성은 각 구성과 대응되는 도 3 에서 설명하는 밸브 플레이트(100a)의 각 구성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이에 갈음하도록 하며 이하에서는 제2 파트부(120e) 및 제1 함몰부(160e)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제2 파트부(120e)는, 제1 파트부(110e)와 중공부(150e) 사이에 링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실린더 블록(600)과 습동한다. 구체적으로, 제2 파트부(120e)는, 외경(121e)에서 내경(122e)으로 연장되어 실린더 블록(600)과 대면하는 면적을 형성하며, 외경(121e)과 내경(122e) 사이의 면적에는 개구(130e), 노치(140e), 제1 면적부(123e), 제2 면적부(124e)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2 면적부(124e)의 면적은, 제1 면적부(123e)의 면적보다 더 넓은 면적을 가지도록 하여, 제2 면적부(124e)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면적부(123e)는 실린더 블록(600)과 습동하는 습동부(1231e)와 실린더 블록(600)과 습동하는 면으로부터 샤프트(300)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되는 비습동부(1232e)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비습동부(1232e)는, 제2 파트부(120d)의 외경(121e) 또는 내경(122e)으로부터 샤프트(300)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유선형으로 함몰되어 단차가 형성되지 않도록 초승달형 또는 부메랑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면적부(123e)에 실린더 블록(600)과 습동하는 면으로부터 샤프트(300)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되는 비습동부(1232e)를 가짐으로써, 제2 면적부(124e)의 면적보다 적은 면적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제1 함몰부(160e)는, 제1 파트부(110e)와 제2 파트부(120e) 사이에 형성되며, 유체를 통해 습동되지 않도록 밸브 플레이트(100e)의 깊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함몰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함몰부(160e)는 제1 파트부(110e)의 내경(112e)과 제2 파트부(120e)의 외경(121e) 사이에 함몰되어 형성되며, 중심선(X)을 기준으로 하측에서의 제1 파트부(110e)의 내경(112e)에서 제2 파트부(120e)의 외경(121e)까지의 거리(to1)가 중심선(X)을 기준으로 상측에서의 제1 파트부(110e)의 내경(112e)에서 제2 파트부(120e)의 외경(121e)까지의 거리(to2)와 동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밸브 플레이트(100e) 및 이를 포함하는 건설기계의 유압 장치(10)는, 밸브 플레이트(100e)의 총 단면적은 유지하면서 상측의 단면적을 하측의 단면적보다 넓게 형성함으로써, 상측이 받는 압력이 줄게 되는 효과가 있고 밸브 플레이트(100e)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으며, 밸브 플레이트(100e)의 부력에는 영향을 주지 않아 유압 장치(10)의 구동능력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건설기계 1a: 크롤러식 하부주행체
1b: 상부 선회체 1c: 프론트 어태치먼트
1d: 붐 1e: 암
1f: 버킷 1g: 붐 실린더
10: 유압 장치 100: 밸브 플레이트
100a: 제1 실시예의 밸브 플레이트 110a: 제1 파트부
111a: 외경 112a: 내경
120a: 제2 파트부 121a: 외경
122a: 내경 123a: 제1 면적부
124a: 제2 면적부 130a: 개구
140a: 노치 150a: 중공부
151a: 중공부 외경 160a: 제1 함몰부
170a: 제2 함몰부 100b: 제2 실시예의 밸브 플레이트
110b: 제1 파트부 111b: 외경
112b: 내경 120b: 제2 파트부
121b: 외경 122b: 내경
123b: 제1 면적부 124b: 제2 면적부
130b: 개구 140b: 노치
150b: 중공부 151b: 중공부 외경
160b: 제1 함몰부 170b: 제2 함몰부
100c: 제3 실시예의 밸브 플레이트 110c: 제1 파트부
111c: 외경 112c: 내경
120c: 제2 파트부 121c: 외경
122c: 내경 123c: 제1 면적부
1231c: 습동부 1232c: 비습동부
124c: 제2 면적부 130c: 개구
140c: 노치 150c: 중공부
151c: 중공부 외경 160c: 제1 함몰부
170c: 제2 함몰부 100d: 제4 실시예의 밸브 플레이트
110d: 제1 파트부 111d: 외경
112d: 내경 120d: 제2 파트부
121d: 외경 122d: 내경
123d: 제1 면적부 1231d: 습동부
1232d: 비습동부 124d: 제2 면적부
130d: 개구 140d: 노치
150d: 중공부 151d: 중공부 외경
160d: 제1 함몰부 170d: 제2 함몰부
100e: 제5 실시예의 밸브 플레이트 110e: 제1 파트부
111e: 외경 112e: 내경
120e: 제2 파트부 121e: 외경
122e: 내경 123e: 제1 면적부
1231e: 습동부 1232e: 비습동부
124e: 제2 면적부 130e: 개구
140e: 노치 150e: 중공부
151e: 중공부 외경 160e: 제1 함몰부
170e: 제2 함몰부 200: 하우징
300: 샤프트 400: 사판
500: 피스톤 아세이 510: 피스톤 슈
520: 피스톤 600: 실린더 블록
O: 중심점 X: 중심선
Xo: 편심선

Claims (10)

  1. 샤프트가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중공부;
    최외곽에 형성되어 면적을 가지는 제1 파트부; 및
    상기 제1 파트부와 상기 중공부 사이에 형성되어 실린더 블록과 습동하는 제2 파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파트부는,
    상기 실린더 블록으로부터 제1 힘을 받는 제1 면적부; 및
    상기 실린더 블록으로부터 상기 제1 힘의 크기보다 더 큰 제2 힘을 받으며, 상기 제1 면적부의 면적보다 더 넓은 면적을 가지는 제2 면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플레이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트부는, 내경과 외경의 중심이 동심인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파트부는, 내경과 외경의 중심이 편심인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경의 중심과 외경의 중심을 이격시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플레이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트부는,
    내경의 중심이 상기 제1 파트부의 내경의 중심 또는 외경의 중심과 동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플레이트.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트부는,
    외경의 중심이 상기 제1 파트부의 내경의 중심 또는 외경의 중심과 동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플레이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적부는,
    상기 실린더 블록과 습동하는 습동부; 및
    상기 실린더 블록과 습동하는 면으로부터 상기 샤프트 방향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되는 비습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플레이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비습동부는,
    상기 제2 파트부의 내경 또는 외경으로부터 상기 샤프트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플레이트.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비습동부는,
    상기 제2 파트부의 내경 또는 외경으로부터 상기 샤프트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유선형의 형상을 가지도록 함몰되어 단차가 형성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플레이트.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적부는
    상기 제2 면적부와 상기 중공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인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플레이트.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적부는, 상기 중공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면적부는, 상기 중공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플레이트.
  10. 샤프트;
    상기 샤프트를 통해 회전하는 실린더 블록; 및
    상기 샤프트가 관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실린더 블록과 습동하는 밸브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 플레이트는,
    상기 샤프트가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중공부;
    최외곽에 형성되어 면적을 가지는 제1 파트부; 및
    상기 제1 파트부와 상기 중공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 블록과 습동하는 제2 파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파트부는,
    상기 실린더 블록으로부터 제1 힘을 받는 제1 면적부; 및
    상기 실린더 블록으로부터 상기 제1 힘의 크기보다 더 큰 제2 힘을 받으며, 상기 제1 면적부의 면적보다 더 넓은 면적을 가지는 제2 면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유압 장치.
KR1020150065816A 2015-05-12 2015-05-12 밸브 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건설기계의 유압 장치 KR101914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5816A KR101914331B1 (ko) 2015-05-12 2015-05-12 밸브 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건설기계의 유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5816A KR101914331B1 (ko) 2015-05-12 2015-05-12 밸브 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건설기계의 유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3143A KR20160133143A (ko) 2016-11-22
KR101914331B1 true KR101914331B1 (ko) 2018-11-01

Family

ID=57540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5816A KR101914331B1 (ko) 2015-05-12 2015-05-12 밸브 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건설기계의 유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433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0789A (ja) * 2004-02-04 2005-08-18 Mitsubishi Heavy Ind Ltd 斜板式流体圧機器
JP2006029119A (ja) * 2004-07-13 2006-02-02 Mitsubishi Heavy Ind Ltd 流体機械及びその製作方法及び弁板の検査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8378A (ja) * 1996-08-27 1998-03-10 Hitachi Constr Mach Co Ltd 斜板型液圧回転機
JP4427211B2 (ja) * 2001-05-16 2010-03-03 ヤンマー株式会社 バルブプレートの仕組構造
JP4601276B2 (ja) * 2003-09-17 2010-12-22 ナブテスコ株式会社 アキシャルピストン型流体ポンプ・モータ
JP4542473B2 (ja) * 2005-06-30 2010-09-15 株式会社カワサキプレシジョンマシナリ 弁板およびそれを備える液圧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0789A (ja) * 2004-02-04 2005-08-18 Mitsubishi Heavy Ind Ltd 斜板式流体圧機器
JP2006029119A (ja) * 2004-07-13 2006-02-02 Mitsubishi Heavy Ind Ltd 流体機械及びその製作方法及び弁板の検査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3143A (ko) 2016-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8795B1 (ko) 굴삭기용 회전링크
CN1800657A (zh) 液压缸缓冲装置
KR101914331B1 (ko) 밸브 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건설기계의 유압 장치
KR20160046992A (ko) 밸브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건설기계의 펌프
KR20170028006A (ko) 유압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건설기계의 유압 장치
KR101948851B1 (ko) 유압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건설기계의 유압 장치
KR20160046993A (ko) 밸브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건설기계의 펌프
KR20170028009A (ko) 유압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건설기계의 유압 장치
CN201972175U (zh) 液压挖掘机铲斗倾斜装置
CN208899551U (zh) 一种新型巷道修复掘进挖掘机
KR101882528B1 (ko) 건설기계의 붐 플로팅 시스템
WO2013192603A2 (en) Excavating apparatus employing swivel adapter with gear bearings having gears with divergent thickness
KR20140061004A (ko) 백호 로더의 제어 방법
KR20170046356A (ko) 건설기계의 유압 제어 시스템
KR102635473B1 (ko) 유압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작업 기계
KR101922219B1 (ko) 건설기계의 유압제어시스템
KR20220098980A (ko) 맥동 저감용 오리피스를 구비한 유압 모터 및 펌프장치
EP4085172B1 (en) Hydraulic cylinder increas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attachment integrated to the construction machines
KR20170101492A (ko) 건설기계의 붐 플로팅 시스템
KR101882529B1 (ko) 건설기계의 붐 플로팅 시스템
CN210421215U (zh) 一种方便操作的挖装一体机
KR101920088B1 (ko) 건설기계의 선회 제어 시스템
CN220132992U (zh) 工程机械
KR20150030928A (ko) 건설기계의 선회 제어 시스템
KR20150030927A (ko) 건설기계의 선회 제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