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4047B1 - Front end module for vehicle - Google Patents

Front end module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4047B1
KR101914047B1 KR1020130014668A KR20130014668A KR101914047B1 KR 101914047 B1 KR101914047 B1 KR 101914047B1 KR 1020130014668 A KR1020130014668 A KR 1020130014668A KR 20130014668 A KR20130014668 A KR 20130014668A KR 101914047 B1 KR101914047 B1 KR 1019140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lamp
panel
carrier
clip
thic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46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101238A (en
Inventor
박성욱
소원섭
민옥렬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14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4047B1/en
Publication of KR20140101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123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4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404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2Engine compartments
    • B62D25/085Front-end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40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built into the vehicle body, e.g. details concerning the mounting of the headlamps on the vehicle body
    • B60Q1/0441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built into the vehicle body, e.g. details concerning the mounting of the headlamps on the vehicle body the housing being fastened onto the vehicle body using means other than 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0Hou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램프를 캐리어에 장착시 캐리어의 헤드램프클립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량용 프론트 엔드모듈의 헤드램프클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헤드램프클립(130)의 상부본체(131)와 하부본체(133) 중 하나는 다른 것보다 두껍게 형성되거나 노치가 형성되어 제품 성형 시 웰드라인이 안착부(135) 외측에 생성되게 한다. 안착부(135)는 헤드램프(120)를 캐리어(110)에 장착시 탄성변형에 의한 응력이 가해지는 장소이다. 따라서, 강도에 취약한 웰드라인을 안착부(135) 외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안착부(135)가 응력을 받을 때 파손에 더욱 취약해 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d lamp clip of a front end module for a vehicle which prevents a head lamp clip of a carrier from being broken when the head lamp is mounted on a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e of the upper body 131 and the lower body 133 of the head lamp clip 130 is thicker than the other, or a notch is formed, so that a weld line is formed outside the seat portion 135 during product molding . The seating part 135 is a place where stress due to elastic deformation is applied when the head lamp 120 is mounted on the carrier 110. [ Therefore, by moving the weld line weak in strength to the outside of the seating portion 135,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eating portion 135 is prevented from becoming more vulnerable to breakage when stressed.

Description

차량용 프론트 엔드 모듈{Front end module for vehicl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ont end module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프론트 엔드 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헤드램프를 캐리어에 조립 시 헤드램프클립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량용 프론트 엔드 모듈의 헤드램프클립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ont end module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head lamp clip of a front end module for a vehicle which prevents a head lamp clip from being damaged when assembling a head lamp into a carrier.

일반적으로 차량 전방에는 범퍼, 헤드램프, 후드랫치, 경음기, 콘덴서, 라디에이터, 쿨링팬 등의 부품이 조립될 수 있도록 공급되는 프론트 엔드 모듈(Front End Module:FEM)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부품들은 차량 전방 폭 방향으로 위치한 캐리어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캐리어는 사출에 의하여 제조된다.BACKGROUND ART Generally, a front end module (FEM) is used in front of a vehicle in order to assemble components such as a bumper, a head lamp, a hood latch, a horn, a condenser, a radiator and a cooling fan. Such components are mounted on a carrier positioned in the vehicle front width direction, and the carrier is manufactured by injection.

도 1에는 종래의 차량용 프론트 엔드 모듈의 구성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론트 엔드 모듈(1) 내 캐리어(10)에는 각종 콘덴서, 라디에이터, 쿨링팬 및 슈라우드 등의 냉각 장치가 중앙 부분에 설치되고 캐리어(10) 양측에는 헤드램프(20)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캐리어(10)는 사각 틀 형상, 하부패널(11)과 상부패널(12), 그리고 이를 연결하는 우측패널(13)과 좌측패널(14)로 이루어진다. 사각 형상의 패널 중앙은 냉각장치장착부(50)로 냉각 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우측패널(13)과 좌측패널(14)에는 각각 헤드램프장착부(15)가 구비되어 차량의 헤드램프(20)가 장착된다. Fig. 1 is a structural plan view of a conventional vehicle front-end module. As shown in the figure, cooling devices such as various condensers, radiators, cooling fans, and shrouds are install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carrier 10 in the front end module 1, and head lamps 20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carrier 10 do. The carrier 10 has a rectangular frame shape, a lower panel 11 and an upper panel 12, and a right panel 13 and a left panel 14 connecting the lower panel 11 and the upper panel 12. The right panel 13 and the left panel 14 are each provided with a head lamp mounting portion 15 so that the head lamp 20 of the vehicle is mounted on the right panel 13 and the left panel 14, Respectively.

상기 헤드램프(20)는 차량 내부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받아 램프를 점등시키는 조명장치로서, 운전자가 차량을 안전하게 운행하는 것을 도와준다. 상기 헤드램프(20)를 상기 캐리어(10)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먼저 헤드램프장착부(15)에 형성된 헤드램프클립(30)에 상기 헤드램프(20)를 임시 고정한 후, 상기 헤드램프(20)의 상부와 상기 캐리어(10)의 상부패널(12)을 볼트 고정한다. The head lamp 20 is an illuminating device that receives power from a battery inside the vehicle and lights the lamp, and helps the driver to safely operate the vehicle. The head lamp 20 is first temporarily fixed to the head lamp clip 30 formed on the head lamp mounting portion 15 and then the head lamp 20 is fixed to the carrier 10. Then, And the upper panel 12 of the carrier 10 are bolted.

도 2에는 헤드램프(20)가 헤드램프클립(30)에 의해 임시 고정되는 것이 예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리어(10)가 포함하는 상기 헤드램프클립(30)은 전방으로 연장된 상부본체(31)와 상기 상부본체(31)에서 연장되어 후방 아래쪽으로 기울어진 상부안내부(32), 상기 상부본체(32)와 일정 간격을 두고 전방으로 연장된 하부본체(33)와 상기 하부본체(33)에서 연장되어 후방 위쪽으로 기울어진 하부안내부(34), 그리고 상부안내부(32)와 하부안내부(34)가 접합하면서 결합보스(21) 삽입 시 원형돌기(25)를 감싸도록 반원형으로 형성된 안착부(35)로 이루어져 있다. In Fig. 2, it is illustrated that the head lamp 20 is temporarily fixed by the head lamp clip 30. The head lamp clip 30 included in the carrier 10 includes an upper body 31 extending forward and an upper guide 32 extending from the upper body 31 and inclined rearward and downward A lower body 33 extending forwar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upper body 32, a lower guide 34 extending from the lower body 33 and inclined rearwardly upward, And a seating part 35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so as to surround the circular protrusion 25 when the coupling boss 21 is inserted while the upper guide part 34 and the lower guide part 34 are joined to each other.

그리고 하부안내부(34) 가장자리 중 안착부(35)와 연결되지 않은 일정영역은 절개되어 상부로 돌출된 걸림턱(37)을 형성한다. 상기 걸림턱(37)은 상기 결합보스(21)내 원형돌기(25)가 삽입될 시, 안착부(35)로 이동한 원형돌기(25)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A predetermined region of the edge of the lower guide 34, which is not connected to the seat 35, is cut to form a locking protrusion 37 protruding upward. The locking protrusion 37 prevents the circular protrusion 25 moving to the seating part 35 from being released when the circular protrusion 25 of the coupling boss 21 is inserted.

상기 안착부(35)에는 헤드램프클립(30)이 사출에 의해 성형될 때 발생한 웰드라인(Weld Line)이 위치한다. 사출 성형 시 용융 수지가 두 방향 이상으로 분기하여 흐르면, 수지가 합류하는 부분에 웰드 라인이 형성되고, 웰드라인이 발생한 부분은 상대적으로 강도가 저하된다. 캐리어(10)의 사출 성형시 상기 헤드램프클립(30)은 상부본체(31)와 하부본체(33)에 용융 수지가 동시에 유입되어 사출된다. 이때 동일한 유입량을 지닌 두 개의 수지 유로가 헤드램프클립(30)의 중간에 위치한 안착부(35)내에서 합류하기 때문에 안착부(35)내에 웰드라인이 생성된다. A weld line generated when the head lamp clip 30 is formed by injection molding is located in the seating part 35. When the molten resin branches and flows in two or more directions during injection molding, a weld line is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resin joins, and a portion where the weld line is generated is relatively decreased in strength. When the carrier 10 is injection molded, the head lamp clips 30 simultaneously inject molten resin into the upper main body 31 and the lower main body 33 to be injected. At this time, since the two resin flow paths having the same inflow amount are merged in the seat part 35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head lamp clip 30, a weld line is generated in the seat part 35. [

그리고 상기 결합보스(21)는, 상기 헤드램프(20) 하단에서 연장 성형된 몸체부(23)와, 상기 몸체부(23)의 단부에서 직각으로 돌출형성되어 안착부(35) 내부로 삽입되는 원형돌기(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coupling boss 21 includes a body portion 23 extended from the lower end of the head lamp 20 and inserted into the seating portion 35 at a right angle at an end of the body portion 23 And a circular protrusion 25.

상기 캐리어(10)에 상기 헤드램프(20)를 결합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헤드램프(20)를 상기 캐리어(10)에 임시 고정시키기 위해, 헤드램프(20)에 형성된 헤드램프클립(30)의 안착부(35) 쪽으로 상기 헤드램프(20) 하단에 돌출형성된 결합보스(21)를 삽입한다. 이 때 상기 안착부(35)와 걸림턱(37) 사이의 개구된 구간(D)은 삽입되는 상기 원형돌기(25)의 지름에 비해 작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헤드램프클립(30)의 상부본체(31)와 상부안내부(32)가 위로 탄성 변형하여, 개구된 구간(D)이 일시적으로 외측으로 팽창함으로써 결합보스(21)가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 결합보스(21)가 상기 안착부(35)에 삽입된 이후에는, 상기 상부본체(31)와 상부안내부(32)는 본 위치로 복원된다. 이때 상부로 돌출 형성된 걸림턱(37)에 의해 안착된 결합보스(21)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The process of coupling the head lamp 20 to the carrier 10 is as follows. The head lamp 20 is fixed to the carrier 10 by temporarily fixing the head lamp 20 to the mounting portion 35 of the head lamp clip 30 formed on the head lamp 20, The boss 21 is inserted. At this time, the opening D between the seating part 35 and the engaging step 37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circular projection 25 to be inserted. The upper body 31 and the upper guide 32 of the head lamp clip 30 are elastically deformed upward so that the opening section D temporarily expands outward so that the engaging boss 21 is inserted. After the engaging boss 21 is inserted into the seat 35, the upper body 31 and the upper guide 32 are restored to their original positions. At this time, the engagement boss 21 seated by the engagement protrusion 37 protruding upward is prevented from being released to the outside.

상기 헤드램프(20)와 상기 결합보스(21)가 결합되어 상기 캐리어(10)와 상기 헤드램프(20)를 임시 고정하면, 이후에 상기 캐리어(10)의 상부패널(12)과 상기 헤드램프(20)의 상단의 일부를 볼트를 통해 체결함으로써 완전 고정한다. When the carrier 10 and the head lamp 20 are temporarily fixed by the coupling of the head lamp 20 and the coupling boss 21 to the upper panel 12 of the carrier 10, A part of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20 is fastened through a bolt.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상기 헤드램프(20)의 결합보스(21)를 안착부(35)에 삽입 시 상기 헤드램프클립(30)의 상부 본체(31)와 상부안내부(32)가 상측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상부 안내부(32)에서 연장된 상기 안착부(35)에 인장력이 전달되어 응력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인장력의 과응력에 대해 가장 취약하여 조립부의 파손이 발생하는 부분은 상기 안착부(35)에 형성된 웰드라인이다. 웰드라인은 제조 시 성형재료인 수지가 금형 내 상하 방향으로부터 동시에 유입되면서 합류할 때 발생하며, 웰드라인이 발생한 부분은 강도가 저하되기 때문에 응력을 받는 부위에 웰드라인이 발생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그러나 상하 대칭인 본 헤드램프 조립부 구조의 특성상 상하 유입된 수지의 합류점인 상기 안착부(35)에 생성된다.However,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technique, when the coupling boss 21 of the head lamp 20 is inserted into the seat 35, the upper body 31 and the upper guide 32 of the head lamp clip 30, A tensile force is transmitted to the seating portion 35 extending from the upper guide portion 32 to act as a stress. The portion of the assembly where the breakage is most likely to occur is the weld line formed in the seating portion 35 because it is the most vulnerable to overstress of the tensile force. It is not preferable that the weld line is generated when the resin as the molding material is simultaneously injected from the upper and lower sides in the mold during manufacturing and the weld line is lowered in strength. However, due to the nature of the vertically symmetrical head lamp assembly structure, it is generated in the seat portion 35 which is the confluence point of the vertically inflowed resin.

이와 같이, 기계적 강도에 취약한 상기 안착부(35)의 웰드라인이 인장력을 전달받아 과응력에 의해 파손되는 경우, 캐리어(10) 제품 전체를 교체해야 하며, 이에 따른 비용 소모가 크다는 단점이 제기될 수 있다. 즉, 종래 기술에 의하면 헤드램프의 조립시 발생하는 응력이 안착부(35)에 집중적으로 작용하게 되는데, 이때 안착부(35)에 형성된 웰드라인으로 인해 안착부(35)가 다른 부위보다 응력에 더욱 취약하다는 점에 문제가 있음을 알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weld line of the seat portion 35, which is weak in mechanical strength, receives a tensile force and is damaged by stress, it is necessary to replace the whole product of the carrier 10, . That is,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the stress generated when assembling the head lamp is concentrated on the seat 35. At this time, due to the weld line formed in the seat 35, the seat 35 is more stressed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more vulnerable.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용 캐리어에 헤드램프를 조립시 헤드램프클립의 일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헤드램프 조립부 파손 방지 구조를 포함하는 차량용 프론트엔드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로 인해, 헤드램프 조립부의 파손으로 인해 캐리어 제품 전체를 교환하는데 소모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ront end module for a vehicle including a head lamp assembly breakage preventing structure that can prevent a part of a head lamp clip from being broken when a head lamp is assembled to a vehicle carrier, . Therefore, the cost of replacing the entire carrier product due to breakage of the head lamp assembly can be reduced.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쿨링모듈이 장착되는 사각 틀을 형성하도록 상부와 하부에서 평형하게 설치되는 상부 및 하부패널과, 상부 패널의 양단에서 하부패널을 향해 연장되는 우측 및 좌측패널, 그리고 상부 패널 양측에 헤드램프가 장착하기 위한 헤드램프 장착부를 포함하는 캐리어, 그리고 상기 헤드램프 장착부에 장착되도록 결합보스가 도출된 헤드램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캐리어는 헤드램프 장착부에 헤드램프를 고정하기 위한 헤드램프클립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헤드램프클립은 상부본체와 하부본체의 수지 유입 단면적을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frigerator comprising: upper and lower panels equally spaced from each other to form a rectangular frame to which a cooling module is mounted; A left panel and a headlamp mounting portion for mounting a headlamp on both sides of the upper panel, and a head lamp to which a coupling boss is led to be mounted on the headlamp mounting portion, And a head lamp clip for fixing the head lamp, wherein the head lamp clip is formed to have a different resin inflow cross-sectional area between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이때, 상기 헤드램프클립의 상기 상부본체의 두께와 하부본체의 두께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하부본체의 두께는 상기 상부본체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thickness of the upper body and the thickness of the lower body of the head lamp clip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Here, the thickness of the lower body may be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upper body.

혹은, 상기 헤드램프클립의 상기 상부본체와 하부본체 중 어느 하나에 노치가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노치는 상기 상부본체 또는 하부본체가 전방으로 연장되는 전단에 양측으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lternatively, a notch may be formed on one of the upper and lower main bodies of the head lamp clip.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notch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end where the upper body or the lower body extends forward.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헤드램프클립의 상부 본체와 하부 본체 중 어느 하나의 단면적을 다른 것보다 작게 구성함으로써, 헤드램프클립의 웰드라인이 헤드램프클립의 안착부 외측에 형성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헤드램프클립이 탄성 변형시 안착부에 인장력이 전달되더라도 과응력에 취약한 웰드라인이 응력을 집중적으로 받는 부분의 외측에 존재하기 때문에 파손에 대한 우려가 적어진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tional area of any one of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of the head lamp clip is made smaller than the other, so that the weld line of the head lamp clip is formed outside the seat portion of the head lamp clip. Therefore, even if tensile force is transmitted to the seat portion when the head lamp clip is elastically deformed, there is less fear of breakage because the weld line which is vulnerable to over stress exists outside the portion where stress is intensively received.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프론트엔드모듈의 구성 평면도.
도 2는 종래의 헤드램프클립과 결합보스의 분해 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에 의한 헤드램프의 제 1 실시예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헤드램프의 제 2 실시예의 사시도.
1 is a structural plan view of a conventional vehicle front-end modul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head lamp clip and a coupling boss.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a head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a head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ased on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도 3과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헤드램프 조립부 파손 방지 구조의 제 1실시예와 제 2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헤드램프클립(130)은 전방으로 연장된 상부본체(131)와, 상기 상부본체(131)에서 연장되어 후방 아래쪽으로 기울어진 상부안내부(132), 상기 상부본체(132)와 일정 간격을 두고 전방으로 연장된 하부본체(133), 그리고 상기 하부본체(133)에서 연장되어 후방 위쪽으로 기울어진 하부안내부(134)를 구비한다. 더불어 헤드램프의 결합보스(미도시)의 이동방향을 따라 개구된 반원형의 안착부(135)가 상기 상부안내부(132)와 하부안내부(134)를 연결한다. 3 and 4 show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breakage preventing structure of the head lamp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d lamp clip 130 includes an upper body 131 extending forward and an upper guide 132 extending from the upper body 131 and inclined rearward and downward, And a lower guide 133 extending from the lower main body 133 and tilted backward and upward. In addition, a semicircular seating portion 135, which is opened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a coupling boss (not shown) of the head lamp, connects the upper guide portion 132 and the lower guide portion 134.

상기 하부안내부(134)의 일부분, 즉 안착부(135)와 연결되지 않은 일정영역은 절개되어 상부로 돌출된 걸림턱(137)을 형성한다. 상기 걸림턱(137)의 역할은 상기 상부본체(131)와 상부안내부(132)의 탄성변형 중에 안착부(135)로 이동한 헤드램프의 원형돌기가 외부로 이탈하지 않고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 portion of the lower guide portion 134, that is, a portion not connected to the seating portion 135, is cut to form a locking protrusion 137 protruding upward. The engagement protrusions 137 serve to support the circular protrusions of the head lamp 130 which have moved to the seating portion 135 during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upper body 131 and the upper guide 132, will be.

도 3의 실시예는 상기 상부본체(131)의 두께(D1)와 하부본체(133)의 두께(D2)가 서로 상이한 경우를 예시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하부본체(133)의 두께(D2)가 상부본체(131)의 두께(D1)보다 상대적으로 두껍다. 이는, 상기 헤드램프클립(130)을 사출에 의하여 제조시 상부와 하부에서 유입되는 용융 수지의 유입량이 달라지게 함을 목적으로 한다. 즉, 하부본체(133)의 두께(D2)가 상부본체(131)의 두께(D1)보다 두껍기 때문에, 하부에서 유입되는 수지의 유입량이 상부에 비해 증가하게 된다.The embodiment of FIG. 3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thickness D1 of the upper body 131 and the thickness D2 of the lower body 133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thickness D2 of the lower main body 133 is relatively thicker than the thickness D1 of the upper main body 131. [ The purpose of this is to make the inflow amount of the molten resin flowing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head lamp clip 130 manufactured by injection molding different. That is, since the thickness D2 of the lower main body 133 is thicker than the thickness D1 of the upper main body 131, the inflow amount of the resin flowing in the lower main body 133 is increased compared to the upper portion.

따라서 금형 내에서 용융 수지의 상하 유동선단이 합류하여 용착하는 부분은 기존 상부본체(131)와 하부본체(133)의 중간 지점이었던 상기 안착부(135)가 아닌, 상기 안착부(135)의 외부에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웰드라인을 인장력 발생부위 바깥으로 이동시킴으로 인해, 상기 안착부(135)에 인장력이 발생할 때에 기계적 강도가 향상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refore, the upper and lower flow front ends of the molten resin are merged into the molten resin in the mold, so that the molten resin does not adhere to the mounting portion 135, which is the midpoint between the upper body 131 and the lower body 133, As shown in FIG. By moving the weld line out of the tensile force generating region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mechanical strength can be improved when the tensile force is generated in the seating portion 135.

도 3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하부본체(133)의 두께(D2)가 상부본체(131)의 두께(D1)보다 두꺼운 경우가 예시되었지만, 반대로 상부본체(131)의 두께(D1)를 상대적으로 더 두껍게 구성하여 웰드라인을 안착부(135)의 외부로 이동시키는 것 또한 가능하며, 모든 경우에 기존 본체보다 두께를 약 1.5배 이상으로 증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3, the thickness D2 of the lower main body 133 is thicker than the thickness D1 of the upper main body 131. Conversely, the thickness D1 of the upper main body 131 is relatively larger than the thickness D1 of the upper main body 131 It is also possible to make the weld line thicker and move the weld line out of the seating part 135, and in all cases it is desirable to increase the thickness to about 1.5 times or more than the existing body.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헤드램프 조립부 파손 방지 구조의 제 2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는 상기 상부본체(131)의 가로폭(W1)과 하부본체(133)의 가로폭(W2)이 서로 상이한 경우를 예시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헤드램프장착부에서 연장된 상부본체(131)의 입구에 넥부분(131a)을 생성하기 위하여 노치부분(131b)이 형성되었다. 상기 넥부분(131a)의 생성으로 인해 상부본체(131)의 폭(W1)이 하부본체(133)의 폭(W2)보다 상대적으로 좁아진다. 따라서 상기 헤드램프클립(130)을 사출에 의하여 제조시, 상부본체(131)에서 유입되는 융용 수지의 유입량이 하부본체(133)에서 유입되는 융용 수지의 양에 비해 감소하게 된다.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a breakage prevention structure for a head lamp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embodiment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horizontal width W1 of the upper body 131 and the horizontal width W2 of the lower body 133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s shown in the drawing, a notch portion 131b is formed to create a neck portion 131a at the entrance of the upper main body 131 extending from the head lamp mounting portion. The width W1 of the upper main body 131 becomes smaller than the width W2 of the lower main body 133 due to the generation of the neck portion 131a. Accordingly, when the head lamp clip 130 is manufactured by injection molding, the inflow amount of the fusing resin flowing into the upper main body 131 is reduced compared to the amount of fusing resin flowing into the lower main body 133.

결과적으로 사출시 금형의 상부와 하부에서 유동하는 용융 수지가 합류하여 용착하는 부분은 기존 상부본체(131)와 하부본체(133)의 중간 지점이었던 상기 안착부(135)가 아니라, 상기 안착부(135)의 외부가 된다. 이와 같이 웰드라인을 인장력 발생부위 바깥으로 이동시킴으로 인해, 상기 안착부(135)에 인장력이 발생할 때에 기계적 강도가 향상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s a result, the molten resin flowing from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mold at the time of injection is not welded to the seated portion 135, which is the midpoint between the upper body 131 and the lower body 133, 135). By moving the weld line out of the tensile force generating region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mechanical strength can be improved when the tensile force is generated in the seating portion 135.

또한, 상부본체(131)에 노치를 구성하여 가로폭(W2)을 감소하는 경우, 상부본체(131)의 강성이 더불어 저하되어 탄성변형이 더욱 수월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헤드램프를 헤드램프클립(130)에 조립시 헤드램프클립(130)의 상단부가 탄성변형하도록 유도하는데에 필요한 응력이 감소 된다.In addition, when the notch is formed in the upper body 131 to reduce the width W2, the rigidity of the upper body 131 is lowered so that the elastic deformation is more easily performed. This reduces the stress required to induce the upper end of the head lamp clip 130 to be elastically deformed when the head lamp is assembled to the head lamp clip 130.

본 도면에는 하부본체(133)의 폭(W2)을 상부본체(131)의 폭(W1)보다 축소한 경우가 예시되었지만, 반대로 상부본체(131)의 폭(W1)을 축소하여 웰드라인을 안착부(135)의 외부로 이동시키는 것 또한 가능하며, 모든 경우에 기존 본체보다 가로폭을 약 1/2 이하로 축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width W1 of the lower main body 133 is smaller than the width W1 of the upper main body 131. Conversely, the width W1 of the upper main body 131 is reduced, It is also possible to move it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35. In all cases, it is preferable to reduce the lateral width to about 1/2 or less of the conventional main body.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헤드램프 조립부 파손 방지 구조는 웰드라인의 생성위치를 조정하여 웰드라인을 안착부(135)의 외부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헤드램프를 캐리어에 장착시 응력을 받는 안착부(135)가 웰드라인에 의해 파손에 더욱 취약해 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breakage preventing structure of the head lamp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weld line is formed outside the seating portion 135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weld line to be formed, It is understood that a basic technical idea is to prevent the portion 135 from becoming more vulnerable to breakage by the weld line.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

130 ..... 헤드램프클립
131 ..... 상부본체
131a ..... 넥부분
131b ..... 노치부분
132 ..... 상부안내부
133 ..... 하부본체
134 ..... 하부안내부
135 ..... 안착부
137 ..... 걸림턱
130 ..... Headlamp Clip
131 ..... upper body
131a ..... neck part
131b ..... notch portion
132 ..... upper guide portion
133 ..... Lower body
134 ..... lower guide portion
135 ..... seat portion
137 ..... hanging chin

Claims (5)

쿨링모듈이 장착되는 사각 틀을 형성하도록 상부와 하부에서 평형하게 설치되는 상부패널(12) 및 하부패널(11)과; 상부 패널의 양단에서 하부패널(11)을 향해 연장되는 우측패널(13) 및 좌측패널(14); 그리고 상부패널(12) 양측에 헤드램프(20)가 장착하기 위한 헤드램프 장착부(15)를 포함하는 캐리어(10)와,
상기 헤드램프 장착부(15)에 장착되도록 결합보스가 도출된 헤드램프(20)를 포함하는 차량용 프론트 엔드 모듈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10)는 헤드램프 장착부(15)에 헤드램프를 고정하기 위한 헤드램프클립(130)을 포함하고,
상기 헤드램프클립(130)은 상부본체(131)와 하부본체(133)의 수지 유입 단면적을 서로 상이하게 형성하여, 웰드라인이 상기 헤드램프클립(130)의 안착부(135) 외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프론트 엔드 모듈.
An upper panel (12) and a lower panel (11) equally installed at upper and lower parts to form a rectangular frame to which the cooling module is mounted; A right panel 13 and a left panel 14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upper panel toward the lower panel 11; A carrier 10 including a head lamp mounting portion 15 for mounting the head lamp 20 on both sides of the upper panel 12,
And a head lamp (20) to which a coupling boss is led to be mounted on the head lamp mounting part (15), the module comprising:
The carrier 10 includes a head lamp clip 130 for fixing the head lamp to the head lamp mounting portion 15,
The head lamp clip 130 has a resin inflow cross sectional area that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upper body 131 and the lower body 133 so that a weld line is formed outside the seating portion 135 of the head lamp clip 130 And a front end module for a vehic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램프클립(130)의 상기 상부본체(131)의 두께(D1)와 하부본체(133)의 두께(D2)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프론트 엔드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thickness D1 of the upper main body 131 and a thickness D2 of the lower main body 133 of the head lamp clip 130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본체(133)의 두께(D2)는 상기 상부본체(131)의 두께(D1)보다 더 두껍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프론트 엔드 모듈.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thickness D2 of the lower body 133 is greater than the thickness D1 of the upper body 131. The vehicle front end module of claim 1,
쿨링모듈이 장착되는 사각 틀을 형성하도록 상부와 하부에서 평형하게 설치되는 상부패널(12) 및 하부패널(11)과; 상부 패널의 양단에서 하부패널(11)을 향해 연장되는 우측패널(13) 및 좌측패널(14); 그리고 상부패널(12) 양측에 헤드램프(20)가 장착하기 위한 헤드램프 장착부(15)를 포함하는 캐리어(10)와,
상기 헤드램프 장착부(15)에 장착되도록 결합보스가 도출된 헤드램프(20)를 포함하는 차량용 프론트 엔드 모듈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10)는 헤드램프 장착부(15)에 헤드램프를 고정하기 위한 헤드램프클립(130)을 포함하고,
상기 헤드램프클립(130)은 상부본체(131)와 하부본체(133) 중 어느 하나에 노치(131b)가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프론트 엔드 모듈.
An upper panel (12) and a lower panel (11) equally installed at upper and lower parts to form a rectangular frame to which the cooling module is mounted; A right panel 13 and a left panel 14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upper panel toward the lower panel 11; A carrier 10 including a head lamp mounting portion 15 for mounting the head lamp 20 on both sides of the upper panel 12,
And a head lamp (20) to which a coupling boss is led to be mounted on the head lamp mounting part (15), the module comprising:
The carrier 10 includes a head lamp clip 130 for fixing the head lamp to the head lamp mounting portion 15,
Wherein the head lamp clip (130) is formed with a notch (131b) in one of the upper body (131) and the lower body (133).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131b)는 상기 상부본체(131) 또는 하부본체(133)가 전방으로 연장되는 전단에 양측으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프론트 엔드 모듈.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notch (131b)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end of the upper body (131) or the lower body (133) extending forward.
KR1020130014668A 2013-02-08 2013-02-08 Front end module for vehicle KR10191404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4668A KR101914047B1 (en) 2013-02-08 2013-02-08 Front end module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4668A KR101914047B1 (en) 2013-02-08 2013-02-08 Front end module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1238A KR20140101238A (en) 2014-08-19
KR101914047B1 true KR101914047B1 (en) 2018-11-02

Family

ID=51746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4668A KR101914047B1 (en) 2013-02-08 2013-02-08 Front end module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4047B1 (e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2398B1 (en) * 2002-10-24 2004-12-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Clip for head lamp mounting of car
KR100506917B1 (en) * 2003-07-01 2005-08-1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Head Lamp for Vehicles
KR20050047567A (en) * 2003-11-18 2005-05-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Mounting structure of head lamp for vehicle
KR20100000684U (en) * 2008-07-14 2010-01-2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Side door add on tool box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1238A (en) 2014-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5044564A (en) Split-type cowl top cover
KR102017463B1 (en) Air guard unit for veh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914047B1 (en) Front end module for vehicle
KR102103246B1 (en) Carrier for Motor Vehicle
KR101566128B1 (en) mounting structure of front cooling module for automobile
KR20110023203A (en) Fabricating structure for heat-welding the door trim of the automobile
KR101824906B1 (en) Front end module
JP6975891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resin panel for vehicles and resin panel for vehicles
KR101720982B1 (en) Airflap apparatus for an automobile
KR100946483B1 (en) Mounting structure of bumper back beam for front-end-module
KR100757633B1 (en) Front end carrier of vehicle
JP6106059B2 (en) Vehicle components
KR101925529B1 (en) Front end module for vehicle
KR101501905B1 (en) Carrier for front end module
CN102653255B (en) Front structure of vehicle
KR101464971B1 (en) Bumper beam unit for vehicle
KR20130002782A (en) Fender assembly structure and assembly methhod thereof
KR101251881B1 (en) Carrier for front end module of vehicle
JP2008230604A (en) Assembling structure of automobile headlamp and front turn lamp
KR101250715B1 (en) automobile headlamp
KR100842211B1 (en) Carrier of front end module for vehicle
KR101663422B1 (en) coupling structure of the rear combination lamp assembly for automobile
KR20170131088A (en) Carrier for front end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KR101902219B1 (en) Carrier for vehicle
KR101807073B1 (en) Front end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