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3561B1 - Bucket for construction machinery with movable screen for sorting aggregates - Google Patents

Bucket for construction machinery with movable screen for sorting aggregat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3561B1
KR101913561B1 KR1020170001822A KR20170001822A KR101913561B1 KR 101913561 B1 KR101913561 B1 KR 101913561B1 KR 1020170001822 A KR1020170001822 A KR 1020170001822A KR 20170001822 A KR20170001822 A KR 20170001822A KR 101913561 B1 KR101913561 B1 KR 1019135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bucket
assembly
screen assembly
construction machin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18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80818A (en
Inventor
조정래
Original Assignee
조정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정래 filed Critical 조정래
Priority to KR1020170001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3561B1/en
Publication of KR20180080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081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3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356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0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2Drives for dippers, buckets, dipper-arms or bucket-arms
    • E02F3/425Drive systems for dipper-arms, backhoe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7/00Equipment for conveying or separating excavated material
    • E02F7/06Delivery chutes or screening plants or mixing plants mounted on dredgers or 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hov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으로 직선 운동하는 스크린 구조를 통해 폐건축물이나 폐골재 및 재활용 모래를 포함하는 자재 중에서 미리 설정된 크기의 자재만을 분리 및 채취할 수 있도록 한 건설기계용 스크린 버켓에 관한 것으로서, 스크린이 버켓 내부에 설치되는 회전축과 연결되어 직선 운동하게 구성하므로써 설치가 간단하여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건설기계용 스크린 버켓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creen bucket for a construction machine capable of separating and collecting only a predetermined size of a material from a material including a closed building, a waste aggregate, and recycled sand through a screen structure that automatically linearly move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creen bucket for a construction machine, which is simple to install and can improve the convenience of operation by being connected to a rotating shaft installed in the inside to linearly move.

Description

건설기계용 스크린 버켓{BUCKET FOR CONSTRUCTION MACHINERY WITH MOVABLE SCREEN FOR SORTING AGGREGATES}BUCKET FOR CONSTRUCTION MACHINERY WITH MOVABLE SCREEN FOR SORTING AGGREGATES

본 발명은 건설기계용 스크린 버켓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으로 직선 운동하는 스크린 구조를 통해 폐건축물이나 폐골재 및 재활용 모래를 포함하는 자재 중에서 미리 설정된 크기의 자재만을 분리 및 채취할 수 있도록 한 건설기계용 스크린 버켓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creen bucket for a construction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creen bucket for a construction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creen bucket capable of separating and collecting a predetermined size of a material including a waste structure, a waste aggregate, To a screen bucket for a construction machine.

일반적으로, 굴삭기는 아암에 브레이커, 버켓, 콤팩터 등 다양한 형태의 장비를 연결하여 도로 공사나 토목 공사나 또는 건물 기초 공사에서 암석 파쇄, 말뚝 박기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작업기계이다.Generally, an excavator is a work machine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rock crushing and piling in road construction, civil engineering work or building foundation work by connecting various types of equipment such as a breaker, a bucket, and a compactor to an arm.

이러한 굴삭기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버켓 중 스크린 버켓(Screen Bucket)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켓(10)의 내부 바닥면에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도록 격자 형태의 스크린(20)을 형성하여 각종 폐기물이나 골재 등을 일정 크기로 분별하는데 사용된다.As shown in FIG. 1, a screen bucket of a bucket mounted on an excavator is formed with a lattice-like screen 20 so that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bucket 10, It is used to sort waste or aggregate into a certain size.

그런데 종래의 스크린 버켓은 버켓(10)과 스크린(20)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스크린 작업을 위해서는 부득이하게 작업자가 레버를 조작하여 스크린 버켓을 흔들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screen buckets, since the bucket 10 and the screen 20 are integrally formed,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the operator must inevitably shake the screen bucket by operating the lever in order to perform a screen operation.

이 경우, 굴삭기 관절에 무리가 생김은 물론 작업효율도 급격히 떨어지며, 작업자가 직접 흔들어야 하므로 안전사고의 위험이 높은 문제가 발생하였다.In this case, the excavator joints are not only crowded but also the work efficiency is drastically lowered,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is high because the worker must shake directly.

스크린 버켓과 관련된 종래기술로써, 버켓의 프레임부 내측으로 회전체를 위치시키고 회전체 후방으로 연결된 유압모터를 구비한 굴삭기용 회전식 버켓이 공개되어 있다.There is disclosed a rotary bucket for an excavator having a hydraulic motor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rotating body by locating the rotating body inside the frame portion of the bucket with the prior art related to the screen buckets.

이 기술은, 버켓의 프레임부 내측으로 위치되는 회전체와, 회전체를 지지하기 위해 버켓의 프레임부 후면에 장착되는 유압모터를 구비하여, 버켓 내부에서 회전체가 회전 운동할 수 있어서 회전체 내부로부터 작은 입자의 자재는 배출되고 큰 입자는 회전체 내부에 남도록 구성되어 있다.This technique includes a rotating body positioned inside the frame portion of the bucket and a hydraulic motor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ame portion of the bucket for supporting the rotating body so that the rotating body can rotate within the bucket, The material of small particles is discharged and the large particles are left inside the rotating body.

하지만, 회전운동 구조를 가지는 버켓의 경우 회전체의 원심력으로 인해 자재의 이탈이 발생할 수 있고, 사고로 이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처리되는 자재의 크기가 바뀌는 경우에는 회전체의 구조 변경이 요구된다.However, in the case of a bucket having a rotary motion structure, the centrifugal force of the rotary body may cause the material to be separated from the rotary body, leading to an accident, and when the size of the processed material changes, the structure of the rotary body is required to be changed.

따라서, 종래의 스크린 버켓은 자재의 유형 또는 그 크기에 따라서 회전체의 구조 변경 및 분해 조립이 필요하며, 회전을 위한 별도의 유압모터 및 기계적 요소들을 버켓의 내부에 설비하여야 하기 때문에 기구적으로 구조가 복잡해지는 한계가 있다.Therefore, the conventional screen buckets require structure change and disassembly of the rotating body depending on the type or size of the material, and since a separate hydraulic motor and mechanical elements for rotating must be installed inside the bucket, Is complicated.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2838호 (2005.04.18 자 등록)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82838 (Registered on April 18, 2005)

따라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스크린이 버켓 내부에 설치되는 회전축과 연결되어 직선 운동하게 구성하므로써 설치가 간단하고,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건설기계용 스크린 버켓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creen bucket for a construction machine which is simple in installation and can be easily operated by constructing the screen to be connected to a rotary shaft installed inside a bucket and linearly moving The purpose is to do.

또한, 본 발명은 스크린의 동작에 따라 폐건축물이나 폐골재 등을 동시에 절단할 수 있는 건설기계용 스크린 버켓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creen bucket for a construction machine capable of simultaneously cutting waste structures and waste aggregates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creen.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굴삭기의 붐대와 연결된 아암에 장착되고, 내부 양측면에는 내부방향으로 소정길이 돌출형성되는 가이드부가 구비되는 버켓어셈블리;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상기 버켓어셈블리의 내부에 일방향 삽입 설치되어 슬라이드방식으로 진퇴동작을 수행하는 채 형상의 스크린어셈블리; 및 상기 스크린어셈블리가 상기 버켓어셈블리 내부에서 개별적으로 진퇴동작을 수행하도록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건설기계용 스크린 버켓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ucket assembly, comprising: a bucket assembly mounted on an arm connected to a boom bar of an excavator; A barrel-shaped screen assembly installed in the bucket assembly along the guide portion to unidirectionally insert the barrel assembly into and out of the bucket assembly; And a motio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operations such that the screen assembly performs a separate back and forth operation within the bucket assembly.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버켓어셈블리는 버켓본체; 상기 스크린어셈블리의 진퇴동작 시 상기 스크린어셈블리의 양측면과 마주보는 상기 본체 내부면의 마찰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스크린어셈블리의 양측면이 맞닿는 상기 본체 내부 양측면에 구비되는 측면롤러부; 및 상기 스크린어셈블리의 진퇴동작 시 상기 스크린어셈블리의 슬라이드 이동을 위하여 상기 스크린어셈블리의 양측 하단부와 맞닿도록 상기 본체 내부 하면에서 소정높이를 가지도록 구비되는 하측롤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ucket assembly includes a bucket body; A side roller portion provid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main body in which both side surfaces of the screen assembly abut against each other to prevent friction between the side surfaces of the main body and the side surfaces of the main body facing the side surfaces of the screen assembly when the screen assembly moves back and forth; And a lower roller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t a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so as to be in contact with both lower ends of the screen assembly for sliding movement of the screen assembly when the screen assembly moves back and forth.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어셈블리는 상기 버켓어셈블리의 내부 형상에 대응하는 구조를 가지고,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는 스크린본체; 상기 진퇴동작시 일부 구간에서 상하 진동하기 위하여 상기 하측롤러부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상기 스크린본체의 양측 하단부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홈; 및 상기 스크린본체의 전방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진퇴동작에 따라 상기 버켓어셈블리에 수용되는 수용물을 절단하기 위하여 가위축이 상기 버켓어셈블리의 발톱부와 직선상에 고정 설치되는 가위형 절단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creen assembly has a structure corresponding to an internal shape of the bucket assembly, and has a plurality of holes formed therein; One or more grooves formed at both lower ends of the screen body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lower roller portion in order to vibrate up and down in a certain section during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And a scissors cutting section extending from a front side of the screen main body and fixedly installed on the claw portion of the bucket assembly so as to cut off the contents accommodated in the bucket assembly in accordance with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desirabl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동작제어유닛은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일단이 삽입되어 상기 구동부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일단이 결합되어 회전운동하는 크랭크; 및 상기 크랭크의 타단에 일단이 링크 결합되는 커넥팅 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크랭크의 타단과 상기 커넥팅 로드의 일단은 링크핀에 의해 링크 연결되고, 상기 커넥팅 로드는 상기 스크린본체의 후방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control unit may include: a driving unit for providing rotational power; A rotary shaft having one end inserted into the driving unit and receiving rotational power from the driving unit; A crank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and rotating; And a connecting rod to which one end is linked to the other end of the crank, wherein the other end of the crank and one end of the connecting rod are linked by a link pin, and the connecting rod is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screen body Do.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동작제어유닛은 상기 스크린어셈블리의 진퇴동작을 예정된 제1 속도로 동작시키는 제1 모드와, 상기 제1 속도와 다른 제2 속도로 동작시키는 제2 모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operation control unit includes a first mode for operating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screen assembly at a predetermined first speed, and a second mode for operating at a second speed different from the first speed .

본 발명에 따른 건설기계용 스크린 버켓은 구동부를 통한 자동제어방식을 통해 안전사고의 위험을 줄이고, 굴삭기의 관절에 무리가 가해지지 않아 사용 수명도 늘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screen bucket for a construction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reducing the risk of a safety accident through an automatic control system through a driving unit and increasing the service life because the joint of the excavator is not overloaded.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스크린 버켓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기계용 스크린 버켓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기계용 스크린 버켓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확대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기계용 스크린 버켓의 스크린 동작 개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확대 도면.
1 shows a conventional screen bucket.
2 is an exploded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creen bucket for a construction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creen bucket for a construction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cept of screen operation of a screen bucket for a construction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Fur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Before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the examples described below and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re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refer to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Also, the terms " part, " " unit, " " module, " and the like, which ar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refer to a unit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Software. ≪ / RTI >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explana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건설기계용 스크린 버켓에 대하여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screen bucket for a construction machin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FIG.

먼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기계용 스크린 버켓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기계용 스크린 버켓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확대 도면이다.FIG. 2 is an exploded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creen bucket for a construction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creen bucket for a construction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용 스크린 버켓은 상부가 굴삭기와 연결되는 버켓어셈블리(100)와 버켓어셈블리(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크린어셈블리(200) 및 스크린어셈블리(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제어유닛(24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a screen bucket for a construction machin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ucket assembly 100 having an upper portion connected to an excavator, a screen assembly 200 installed inside the bucket assembly 100, And an operation control unit (24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ssembly (200).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버켓어셈블리(100)는 굴삭기와 같은 중장비의 끝 즉, 굴삭기의 붐대와 연결된 아암에 장착되어 흙, 모래를 포함한 건설폐기물 따위를 퍼 올리기 위한 구성이다. 따라서, 버켓어셈블리(100)의 버켓본체(101)는 발톱부(103)를 이용하여 긁어낸 건설폐기물을 수용하기 위하여 전방이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수용된 건설폐기물을 배출하기 위하여 하면 중앙부가 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2, the bucket assembly 100 is mounted on an end of a heavy equipment such as an excavator, that is, an arm connected to a boom band of an excavator, for piling up construction waste including soil and sand. Therefore, the bucket body 101 of the bucket assembly 100 is opened frontward to receive the scrapped construction waste by using the claw 103, and a receiving space is formed therein. And, in order to discharge the received construction waste, it is preferable that the central part is drilled.

그리고 버켓어셈블리(100)는 수용공간에 구동부(102)가 설치된다. 여기서, 구동부(102)를 통해 공급되는 동력을 이용하여 후술할 스크린어셈블리(200)를 작동시킬 수 있으며, 구동부(102)와 버켓어셈블리(100)의 연결구성은 중장비나 유압장치 등에 설치되는 공지된 기술을 택일하여 구성되고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bucket assembly 100 is provided with a driving unit 102 in a receiving space. Here, the screen assembly 200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operated using the power supplied through the drive unit 102.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drive unit 102 and the bucket assembly 100 can be realized by a known construction Technology, and a separate explanation will be omitted.

스크린어셈블리(200)는 버켓어셈블리(100)의 청공된 중앙부를 통해 삽입되어 내부에 설치된다. 따라서, 버켓어셈블리(100)는 스크린어셈블리(200)의 삽입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110)가 구비된다.The screen assembly 200 is inserted through the hollow center portion of the bucket assembly 100 and installed therein. Therefore, the bucket assembly 100 is provided with the guide portion 110 for guiding the insertion position of the screen assembly 200.

가이드부(110)는 버켓어셈블리(100)의 내부방향으로 소정길이 돌출 형성되고, 스크린어셈블리(200)의 양 측면 삽입이 가능한 간격을 가지도록 스크린어셈블리(200)의 양측 전후방 위치의 상부 및 하부에 구성될 수 있다.The guide unit 110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of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screen assembly 200 such that the guide unit 110 is protruded by a predetermined length inward of the bucket assembly 100, Lt; / RTI >

그러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스크린어셈블리(200)의 양측 전후방 위치의 상부 또는 하부 중 한 곳을 선택적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전방 상부위치, 후방 하부위치와 같이 교차로 구성하는 등 양측 높이가 평행한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screen assembly 200 can be selectively configured. In addition, Of course, various variations are possible.

그리고 가이드부(110)는 버켓어셈블리(100)의 내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됨으로써 스크린어셈블리(200)가 미작동시 안착될 수 있어 구동부(102)와의 연결부분에 가해지는 하중을 감소시켜줄 수 있다.The guide unit 110 is formed to protrude inward of the bucket assembly 100, so that the screen assembly 200 can be seated when the bucket assembly 100 is not operated, thereby reducing the load applied to the connection unit with the drive unit 102.

결과적으로 스크린어셈블리(200)는 버켓어셈블리(100)의 중앙부로 삽입되어 가이드부(110)를 통해 버켓어셈블리(100)의 내부공간에 안착되고, 버켓어셈블리(100)의 개방된 정면으로 진퇴동작 가능하게 설치된다.As a result, the screen assembly 200 is inserted into the center portion of the bucket assembly 100, is se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bucket assembly 100 through the guide portion 110, and is moved back and forth to the open front side of the bucket assembly 100 Respectively.

계속해서 버켓어셈블리(100)는 스크린어셈블리(200)의 양측면과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측면롤러부(120)를 포함한다.Subsequently, the bucket assembly 100 includes side roller portions 120 provided at positions opposite to both side surfaces of the screen assembly 200.

측면롤러부(120)는 스크린어셈블리(200)의 진퇴동작 시 스크린어셈블리(200)의 양측면과 마주보는 내부면의 마찰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따라서, 측면롤러부(120)는 스크린어셈블리(200)의 양측면과 맞닿는 위치에서 공회전하는 회전부재(바퀴, 베어링 등)로 하나 이상 구성될 수 있다.The side roller unit 120 is configured to prevent friction between both side surfaces of the screen assembly 200 and the inner surface facing the screen assembly 200 when the screen assembly 200 moves back and forth. Accordingly, the side roller portion 120 may be formed of one or more rotating members (wheels, bearings, etc.) that idle at positions where the side roller portions 120 abut the both side surfaces of the screen assembly 200.

그리고 버켓어셈블리(100)는 스크린어셈블리(200)의 하측 단부와 맞닿는 위치에 구비되는 하측롤러부(130)를 포함한다.The bucket assembly 100 includes a lower roller portion 130 provided at a position where it abuts the lower end of the screen assembly 200.

하측롤러부(130)는 스크린어셈블리(200)의 진퇴동작 시 스크린어셈블리(200)를 슬라이드 이동 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가이드부(110)와 함께 구비될 시에는 가이드부(110)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어 스크린어셈블리(200)의 하측면과 맞닿을 수 있는 위치에 하나 이상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하측롤러부(130)는 양측 한 쌍으로 대칭되게 배치되어 균형을 잡아주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ower roller unit 130 is configured to slide the screen assembly 200 when the screen assembly 200 moves forward and backward and is formed to be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guide unit 110 when the screen assembly 200 is provided together with the guide unit 110 At least one of which may be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screen assembly 200. Of course,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roller portion 130 is symmetrically disposed with a pair of both sides to balance.

한편, 하측롤러부(130)가 양측 하부에 구성되는 가이드부(110)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하측롤러부(130)가 배치된 위치에는 가이드부(110)를 구성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 자명하다. Since the lower roller 130 can serve as the guide 110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roller 130, it is not necessary to configure the guide 110 in the position where the lower roller 130 is disposed Do.

다음으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스크린어셈블리(2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스크린어셈블리(200)는 건설폐기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채 형상의 스크린본체(210)를 포함하고, 스크린어셈블리(200)는 스크린 본체(210)의 구멍이 버켓어셈블리(100)의 중앙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된다.Next, the screen assembly 2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FIG. The screen assembly 200 includes a screen body 210 having a shape with a plurality of holes formed therein so that the construction waste can be discharged and the screen assembly 200 allows the hole of the screen body 210 to be inserted into the bucket assembly 100 And is located at the center.

스크린어셈블리(200)는 버켓어셈블리(100)의 구동부(102)에 연결되어 동력을 제공받아서 버켓어셈블리(100)의 내부에서 진퇴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되고 따라서 건설폐기물을 선별할 수 있게 된다.The screen assembly 200 is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102 of the bucket assembly 100 and is powered thereby to perform a back and forth movement within the bucket assembly 100 and thus can select construction waste.

스크린어셈블리(200)의 외형은 버켓어셈블리(100)의 내부형상에 대응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버켓어셈블리(100)의 내부에서 슬라이드 방식으로 진퇴동작이 가능한 구조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The outer shape of the screen assembly 200 is preferably configured to correspond to the inner shape of the bucket assembly 100. However, the shape of the screen assembly 200 is not limited to the shape of the bucket assembly 100, Of course it is possible.

한편, 이와 같은 작업을 함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건설기계용 스크린 버켓은 스크린어셈블리(200)의 양측 하단부에 하측롤러부(130)의 형상에 대응하는 다수개의 홈(220)이 형성될 수 있다.The screen bucket for a construction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plurality of grooves 220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lower roller part 130 at both lower ends of the screen assembly 200 .

따라서 스크린어셈블리(200)는 진퇴동작을 하는 동안 홈(220)이 형성된 일부 구간에 하측롤러부(130)가 접촉하게 될 때 상하 진동하게 되어 수용되어 있던 건설폐기물이 뒤섞일 수 있으므로 작업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screen assembly 200 vibrates up and down when the lower roller part 13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a part of the groove 220 formed during the advancing and retreating operation, so that the stored construction waste can be mixed, Can be improved.

그리고 스크린어셈블리(200)는 전방에서 연장 형성되고 진퇴동작에 따라 버켓어셈블리(100)에 수용되는 수용물을 절단하기 위하여 가위축(231)이 상기 버켓어셈블리(100)의 발톱부(103)와 직선상에 고정 설치되는 가위형 절단부(230)를 더 포함한다.The screen assembly 200 is extended from the front and the scissors axis 231 is aligned with the claws 103 of the bucket assembly 100 in order to cut off the receptacle accommodated in the bucket assembly 100 in accordance with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And a scissors-shaped cut-away portion 230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절단부(230)는 스크린어셈블리(200)가 전진하면 가위날이 벌어지고, 스크린어셈블리(200)가 후퇴하면 가위날이 오므려지는 동작을 반복하게 됨으로써 건축폐기물을 절단할 수 있게 되고, 건축폐기물을 수용하고 선별함에 있어서 보다 효율적인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The cutting part 230 repeats the operation of scissors cutting when the screen assembly 200 advances and the scissors blade is retracted when the screen assembly 200 is retracted, so that the construction waste can be cut, A more efficient operation can be achieved in accepting and sorting.

마지막으로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동작제어유닛(240)의 제어에 따른 스크린어셈블리(200)의 진퇴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기계용 스크린 버켓의 스크린 동작 개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확대 도면이다.Finally,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screen assembly 200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operation control unit 24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cept of screen operation of a screen bucket for a construction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동작제어유닛(240)은 스크린어셈블리(200)이 구동부(102)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진퇴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동작제어유닛(240)는 구동부(102)에 일단이 삽입되어 구동부(102)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는 회전축(241); 회전축(241)에 일단이 결합되어 회전운동하는 크랭크(242); 및 크랭크(242)의 타단에 일단이 링크 결합되는 커넥팅 로드(243)를 포함하며, 크랭크(242)의 타단과 커넥팅 로드(243)의 일단은 링크핀(244)에 의해 링크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operation control unit 240 allows the screen assembly 200 to receive rotational power from the driving unit 102 to perform a back and forth operation. The operation control unit 240 includes a rotation shaft 241 having one end inserted into the drive unit 102 and receiving rotational power from the drive unit 102; A crank 242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241 and rotating; And a connecting rod 243 whose one end is linked to the other end of the crank 242. The other end of the crank 242 and one end of the connecting rod 243 are preferably linked by a link pin 244 .

다시 말해, 구동부(102)로부터 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회전축(241)이 회전되면 크랭크(242)가 회전축(241)을 중심으로 자전한다. 그러면, 커넥팅 로드(243)의 일단이 크랭크(242)의 타단을 따라 회전축(241)의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공전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커넥팅 로드(243)의 타단과 링크 연결된 스크린어셈블리(200)가 측면롤러부(120) 및 하측롤러부(130)를 따라 직선왕복운동 하게 되며, 이때 절단부의 가위질이 반복될 수 있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crank 242 rotates about the rotating shaft 241 when the rotating shaft 241 rotating by receiving power from the driving unit 102 is rotated. The one end of the connecting rod 243 revolves around the rotational center of the rotating shaft 241 along the other end of the crank 242 so that the screen assembly 200 linked with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rod 243 Is linearly reciprocated along the side roller portion 120 and the lower roller portion 130, and the scissoring of the cut portion can be repeated.

한편, 동작제어유닛(240)은 스크린어셈블리(200)의 진퇴동작을 예정된 제1 속도로 동작시키는 제1 모드와, 제1 속도와 다른 제2 속도로 동작시키는 제2 모드를 포함하여 스크린어셈블리(200)의 진퇴동작 속도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하여 수용물의 중량에 따른 장비의 파손을 방지하고, 작업의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Meanwhile, the operation control unit 240 includes a screen assembly 200 including a first mode for operating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screen assembly 200 at a predetermined first speed and a second mode for operating at a second speed different from the first speed, 200 can be selectively controlled so as to prevent breakage of the equipment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receptacle and improve the speed of the operation.

위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건설기계용 스크린 버켓은 버켓어셈블리의 움직임 없이 건축폐기물을 선별할 수 있으므로 굴삭기의 관절에 무리가 가해지지 않아 장비의 사용 수명을 늘릴 수 있고, 자동제어 방식으로 안전사고 위험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The screen buckets for construction machines with the above structure can select construction waste without movement of the bucket assembly, so that the lifespan of the excavator is not increased and the lifetime of the equipment can be increased. .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merely illustrative of some of the technical ideas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not for purposes of limi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rather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버켓어셈블리 220: 홈
101: 버켓본체 230: 절단부
102: 구동부 231: 가위축
103: 발톱부 240: 동작제어유닛
110: 가이드부 241: 회전축
120: 측면롤러부 242: 크랭크
130: 하측롤러부 243: 커넥팅 로드
200: 스크린어셈블리 244: 링크핀
210: 스크린본체
100: bucket assembly 220: groove
101: bucket body 230:
102: driving part 231:
103: claw portion 240: operation control unit
110: Guide part 241:
120: side roller portion 242: crank
130: lower roller portion 243: connecting rod
200: Screen assembly 244: Link pin
210:

Claims (5)

굴삭기의 붐대와 연결된 아암에 장착되고, 내부 양측면에는 내부방향으로 소정길이 돌출형성되는 가이드부가 구비되는 버켓어셈블리;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상기 버켓어셈블리의 내부에 일방향 삽입 설치되어 슬라이드방식으로 진퇴동작을 수행하는 채 형상의 스크린어셈블리; 및
상기 스크린어셈블리가 상기 버켓어셈블리 내부에서 개별적으로 진퇴동작을 수행하도록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제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동작제어유닛은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일단이 삽입되어 상기 구동부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일단이 결합되어 회전운동하는 크랭크; 및
상기 크랭크의 타단에 일단이 링크 결합되는 커넥팅 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크랭크의 타단과 상기 커넥팅 로드의 일단은 링크핀에 의해 링크 연결되고, 상기 커넥팅 로드는 상기 스크린어셈블리의 후방에 연결되는
건설기계용 스크린 버켓.
A bucket assembly mounted on an arm connected to a boom band of an excavator and having guide portions protruding in a predetermined length inwardly on both inner sides thereof;
A barrel-shaped screen assembly installed in the bucket assembly along the guide portion to unidirectionally insert the barrel assembly into and out of the bucket assembly; And
And an operatio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operations such that the screen assembly individually performs a back and forth operation within the bucket assembly,
The operation control unit
A driving unit for providing rotational power;
A rotary shaft having one end inserted into the driving unit and receiving rotational power from the driving unit;
A crank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and rotating; And
And a connecting rod whose one end is linked to the other end of the crank,
The other end of the crank and one end of the connecting rod are linked by a link pin, and the connecting rod is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screen assembly
Screen buckets for construction machinery.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버켓어셈블리는
버켓본체;
상기 스크린어셈블리의 진퇴동작 시 상기 스크린어셈블리의 양측면과 마주보는 상기 버켓본체 내부면의 마찰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스크린어셈블리의 양측면이 맞닿는 상기 버켓본체 내부 양측면에 구비되는 측면롤러부; 및
상기 스크린어셈블리의 진퇴동작 시 상기 스크린어셈블리의 슬라이드 이동을 위하여 상기 스크린어셈블리의 양측 하단부와 맞닿도록 상기 버켓본체 내부 하면에서 소정높이를 가지도록 구비되는 하측롤러부를 포함하는
건설기계용 스크린 버켓.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ucket assembly
A bucket body;
A side roller portion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inside of the bucket body where both side surfaces of the screen assembly abut against each other to prevent friction between both side surfaces of the screen assembly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bucket body when the screen assembly moves back and forth; And
And a lower roller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t a bottom surface of the inside of the bucket body so as to abut the lower ends of both sides of the screen assembly for sliding movement of the screen assembly when the screen assembly moves back and forth
Screen buckets for construction machinery.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어셈블리는
상기 버켓어셈블리의 내부 형상에 대응하는 구조를 가지고,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는 스크린본체;
상기 진퇴동작시 일부 구간에서 상하 진동하기 위하여 상기 하측롤러부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상기 스크린본체의 양측 하단부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홈; 및
상기 스크린본체의 전방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진퇴동작에 따라 상기 버켓어셈블리에 수용되는 수용물을 절단하기 위하여 가위축이 상기 버켓어셈블리의 발톱부와 직선상에 고정 설치되는 가위형 절단부를 포함하는
건설기계용 스크린 버켓.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creen assembly
A screen body having a structure corresponding to an internal shape of the bucket assembly and having a plurality of holes;
One or more grooves formed at both lower ends of the screen body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lower roller portion in order to vibrate up and down in a certain section during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And
And a scissors cutting section extending from a front side of the screen main body and fixedly installed on the claw portion of the bucket assembly so as to cut off the contents accommodated in the bucket assembly in accordance with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Screen buckets for construction machinery.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제어유닛은
상기 스크린어셈블리의 진퇴동작을 예정된 제1 속도로 동작시키는 제1 모드와,
상기 제1 속도와 다른 제2 속도로 동작시키는 제2 모드를 포함하는
건설기계용 스크린 버켓.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peration control unit
A first mode of operating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screen assembly at a predetermined first speed,
And a second mode for operating at a second speed different from the first speed
Screen buckets for construction machinery.
KR1020170001822A 2017-01-05 2017-01-05 Bucket for construction machinery with movable screen for sorting aggregates KR10191356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1822A KR101913561B1 (en) 2017-01-05 2017-01-05 Bucket for construction machinery with movable screen for sorting aggregat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1822A KR101913561B1 (en) 2017-01-05 2017-01-05 Bucket for construction machinery with movable screen for sorting aggregat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0818A KR20180080818A (en) 2018-07-13
KR101913561B1 true KR101913561B1 (en) 2018-11-23

Family

ID=62913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1822A KR101913561B1 (en) 2017-01-05 2017-01-05 Bucket for construction machinery with movable screen for sorting aggregat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356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73931B (en) * 2021-06-29 2022-03-29 赵星星 Building engineering construction waste material environmental protection processing apparatu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02669B2 (en) * 1998-05-20 2007-11-07 株式会社泉精器製作所 Skeleton bucket with sieve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36821A1 (en) * 1985-10-16 1987-04-16 Standard Elektrik Lorenz Ag METHOD FOR PRODUCING A CURRENTLY DEPOSITABLE, SOLBABLE METAL LAYER
KR100697703B1 (en) * 2005-08-17 2007-03-20 한국전력공사 A large size automatic aggregate sieve shaker
KR101194847B1 (en) * 2011-01-25 2012-10-25 신강하이텍(주) Apparatus for excavating and selecting soil and lump shaped material and method for selecting lump shaped material and cultivation polluted soil using the same
KR20140041375A (en) * 2012-09-27 2014-04-04 신강하이텍(주) Vibration selecting apparatus for excavating and selecting soil and lump shaped materia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02669B2 (en) * 1998-05-20 2007-11-07 株式会社泉精器製作所 Skeleton bucket with siev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0818A (en) 2018-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684144B (en) Movable underground tunnel boring machine device
KR20000015817A (en) Road cutting machine
KR101913561B1 (en) Bucket for construction machinery with movable screen for sorting aggregates
CN101311430A (en) Working machine
CN101268233A (en) Method and mechanism for cleaning beach sand
MXPA04011381A (en) Combination bucket/breaker apparatus for excavator boom stick.
US7117618B2 (en) Combination bucket/breaker apparatus for excavator boom stick
CN112302079A (en) Emergency rescue device and multifunctional emergency rescue vehicle
AU2012230940B2 (en) Surface excavation machine
US2837846A (en) Hydraulic clamshell bucket
KR100478029B1 (en) Bracket device for vibrationless rock breaker and Rock excavating method using the same
RU2599520C2 (en) Bucket for screening and crushing inert material having a balancing valve
CN102787621A (en) Continuous type groover
KR101816455B1 (en) Multi-function attachment and construction equipment having the same
CN114151004B (en) Small-sized plane rock drilling device with supporting function and using method thereof
KR20120094318A (en) A small pro-apparatus for mine
KR102319273B1 (en) Electric multi-purpose work equipment that monitors work status and enables remote control
JP2945287B2 (en) Jaw crusher
JP2812666B2 (en) Underground lining inner wall lining method and apparatus
CN206722838U (en) More hammer type tunnel machines and tunnel piercing system
KR101874708B1 (en) Non-vibration tunnel excavation method and non-vibration tunnel excavator
KR200364313Y1 (en) Small grooving cutter by the dry process for cutting of concrete structure
CN217989574U (en) Crushing machine
CN218492249U (en) Asphalt pavement cutting device
CN220132992U (en) Engineering machin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