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2163B1 - 나노 통신을 위한 변조 방법 및 복조 방법,및 이를 이용한 수신 장치 - Google Patents

나노 통신을 위한 변조 방법 및 복조 방법,및 이를 이용한 수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2163B1
KR101912163B1 KR1020120019649A KR20120019649A KR101912163B1 KR 101912163 B1 KR101912163 B1 KR 101912163B1 KR 1020120019649 A KR1020120019649 A KR 1020120019649A KR 20120019649 A KR20120019649 A KR 20120019649A KR 101912163 B1 KR101912163 B1 KR 1019121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no
radio signal
resonance
resonant frequencies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9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7946A (ko
Inventor
안현기
임종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19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2163B1/ko
Priority to CN201310049346.6A priority patent/CN103354536B/zh
Priority to EP13155990.8A priority patent/EP2632043B1/en
Priority to US13/775,815 priority patent/US8862082B2/en
Priority to JP2013037439A priority patent/JP6298238B2/ja
Publication of KR20130097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79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2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21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DDEMODULATION OR TRANSFERENCE OF MODULATION FROM ONE CARRIER TO ANOTHER
    • H03D9/00Demodulation or transference of modulation of modulated electromagnetic wav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DDEMODULATION OR TRANSFERENCE OF MODULATION FROM ONE CARRIER TO ANOTHER
    • H03D3/00Demodulation of angle-, frequency- or phase- modulated oscillations
    • H03D3/30Demodulation of angle-, frequency- or phase- modulated oscillations by means of transit-time tub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CMODULATION
    • H03C7/00Modulating electromagnetic waves
    • H03C7/02Modulating electromagnetic waves in transmission lines, waveguides, cavity resonators or radiation fields of antenna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DDEMODULATION OR TRANSFERENCE OF MODULATION FROM ONE CARRIER TO ANOTHER
    • H03D3/00Demodulation of angle-, frequency- or phase- modulated oscillations
    • H03D3/34Demodulation of angle-, frequency- or phase- modulated oscillations by means of electromechanic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10/00Nanotechnology for information processing, storage or transmission, e.g. quantum computing or single electron log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77/00Nanotechnology
    • Y10S977/902Specified use of nanostructure
    • Y10S977/932Specified use of nanostructure for electronic or optoelectronic application
    • Y10S977/953Detector using nano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노 통신을 위한 수신 장치는 적어도 두 개의 서로 다른 공진 주파수들 각각에서 상이한 방향으로 공진하는 나노 소자를 포함하는 음극부; 및 나노 소자의 공진에 의해 방출되는 복수의 전자들의 패턴을 기초로 수신된 무선 신호를 복조하는 양극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나노 통신을 위한 변조 방법 및 복조 방법,및 이를 이용한 수신 장치{METHOD OF MODULATION AND DEMODULATION FOR NANO COMMUNICATION,AND RECEIVER DEVICE USING THE METHOD}
아래의 실시예들은 나노 통신을 위한 변조 방법 및 복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나노 튜브 통신은 나노 튜브의 특정 주파수에 대한 공진하는 현상과 공진하면서 전자를 방출하는 원리를 이용한다. 이 때, 나노 튜브는 긴 원통형의 나노 구조체로서 튜브의 반지름과 튜브의 길이에 따라 오직 한 개의 고유 공진 주파수를 갖는다. 나노 튜브 통신은 한 가닥의 나노 튜브를 이용하여 안테나, 튜너, 앰프, 및 복조기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나노 튜브는 음극에 연결되고, 나노 튜브 끝에 모인 전자들에게 로렌츠 힘이 작용한다. 이 때, 나노 튜브의 탄성력이 로렌츠 힘과 서로 상충하면서 나노 튜브는 공진하고, 동시에 나노 튜브 끝에 모인 전자들은 양극으로 이동한다(전자 방출 현상). 이와 같은 현상을 이용하여 전자가 방출 될 때 및 전자가 방출 되지 않을 때 구분하여 무선 신호를 복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두 개의 서로 다른 공진 주파수들 각각에서 상이한 방향으로 공진하는 나노 소자를 이용함으로써, 나노 소자를 이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고차원(high-order)으로 변조 및 복조를 수행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나노 통신을 위한 수신 장치는 음극 및 양극을 포함하는 전원; 상기 전원의 음극과 연결되고, 미리 정해진 변조 방식에 따라 변조된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두 개의 서로 다른 공진 주파수들을 가지며, 상기 무선 신호의 주파수 및 상기 공진 주파수들을 기초로 공진하는 나노 소자를 포함하는 음극부; 및 상기 전원의 양극과 연결되고, 상기 나노 소자의 공진에 의해 방출되는 복수의 전자들을 검출하고, 상기 복수의 전자들의 패턴을 기초로 상기 무선 신호를 복조하는 양극부를 포함한다.
상기 공진 주파수들은 제1 공진 주파수 및 제2 공진 주파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공진 주파수에서 상기 나노 소자의 공진 방향과 상기 제2 공진 주파수에서 상기 나노 소자의 공진 방향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공진 주파수들은 상기 나노 소자의 특성에 의존하고, 상기 나노 소자의 특성은 상기 나노 소자의 길이(length), 상기 나노 소자의 너비(width), 및 상기 나노 소자의 두께(thicknes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너비는 상기 길이에 직교하는 단면의 제1 방향에 대한 길이이고, 상기 두께는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상기 단면의 제2 방향에 대한 길이이며, 상기 너비와 상기 두께는 서로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미리 정해진 변조 방식에 따라 변조된 무선 신호는 상기 공진 주파수들에 의존할 수 있다.
상기 미리 정해진 변조 방식에 따라 변조된 무선 신호는 데이터 비트들 및 상기 공진 주파수들을 서로 매핑함으로써 변조된 것인 나노 통신을 위한 수신 장치.것일 수 있다.
상기 양극부는 상기 패턴을 기초로 상기 무선 신호를 복조하기 위하여, 상기 나노 소자의 공진 방향을 더 기초로 할 수 있다.
상기 양극부는 상기 나노 소자의 두 개의 공진 방향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영역들 각각에서 흐르는 전류량과 미리 정해진 문턱 전류량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전자들의 패턴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나노 소자는 사각 기둥 구조를 갖는 나노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두 개의 서로 다른 공진 주파수들에서 공진하는 나노 소자를 이용한 나노 통신을 위한 변조 방법은 데이터 비트들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두 개의 서로 다른 공진 주파수들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공진 주파수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초로 데이터 비트들을 변조함으로써 무선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비트들과 상기 두 개의 서로 다른 공진 주파수들을 서로 매핑함으로써 상기 데이터 비트들을 변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진 주파수들은 제1 공진 주파수 및 제2 공진 주파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공진 주파수에서 상기 나노 소자의 공진 방향과 상기 제2 공진 주파수에서 상기 나노 소자의 공진 방향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나노 소자는 사각 기둥 구조를 갖는 나노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나노 통신을 위한 복조 방법은 전원의 음극과 연결된 나노 소자를 이용하여 미리 정해진 변조 방식에 따라 변조된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전원의 양극과 연결된 복수의 전자 센서들을 이용하여 상기 나노 소자의 공진에 의해 방출되는 복수의 전자들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전자들의 패턴을 기초로 상기 무선 신호를 복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나노 소자는 두 개의 서로 다른 공진 주파수들을 가지며, 상기 무선 신호의 주파수 및 상기 공진 주파수들을 기초로 공진한다.
상기 공진 주파수들은 제1 공진 주파수 및 제2 공진 주파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공진 주파수에서 상기 나노 소자의 공진 방향과 상기 제2 공진 주파수에서 상기 나노 소자의 공진 방향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미리 정해진 변조 방식에 따라 변조된 무선 신호는 데이터 비트들 및 상기 공진 주파수들을 서로 매핑함으로써 변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무선 신호를 복조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전자 센서들 각각에서 흐르는 전류량과 미리 정해진 문턱 전류량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전자들의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전자 센서들은 상기 나노 소자의 두 개의 공진 방향들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나노 소자는 사각 기둥 구조를 갖는 나노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두 개의 서로 다른 공진 주파수들 각각에서 상이한 방향으로 공진하는 나노 소자를 이용함으로써, 나노 소자를 이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고차원(high-order)으로 변조 및 복조를 수행하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나노 통신을 위한 수신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극부에서 검출되는 복수의 전자들의 패턴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신호의 복조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검출되는 복수의 전자들의 패턴을 이용하여 무선 신호를 복조하기 위한 양극부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검출되는 복수의 전자들의 패턴을 이용하여 무선 신호를 복조하기 위한 양극부의 또 다른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나노 통신을 위한 변조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나노 통신을 위한 복조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나노 통신을 위한 수신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나노 통신을 위한 수신 장치는 나노 소자(115)를 포함하는 음극부(110) 및 상기 나노 소자(115)로부터 방출된 전자를 검출하는 양극부(120)를 포함한다. 이 때, 음극부(110)는 전원의 음극과 연결되고, 양극부(120)는 전원의 양극과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나노 소자(115)는 두 개의 서로 다른 공진 주파수들을 가진다. 상기 공진 주파수들은 상기 나노 소자(115)의 특성에 의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나노 소자(115)는 사각 기둥 구조를 갖는 나노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나노 벨트는 두 개의 서로 다른 공진 주파수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나노 벨트가 가지는 상기 공진 주파수들은 상기 나노 벨트의 길이(length), 너비(width), 및 두께(thickness) 중 적어도 하나에 의존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나노 벨트의 너비는 상기 나노 벨트의 길이에 직교하는 단면의 제1 방향에 대한 길이이고, 상기 나노 벨트의 두께는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상기 단면의 제2 방향에 대한 길이이며, 상기 나노 벨트의 너비와 상기 나노 벨트의 두께는 서로 다른 값을 가진다. 이로 인해, 상기 나노 벨트는 너비 방향 및 두께 방향 각각에 대응하는 고유의 공진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나노 벨트는 다중 주파수 성분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나노 소자(115)는 미리 정해진 변조 방식에 따라 변조된 무선 신호를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무선 신호는 상기 나노 소자(115)의 두 개의 서로 다른 공진 주파수들에 의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선 신호는 데이터 비트들 및 상기 공진 주파수들을 서로 매핑함으로써 변조된 것일 수 있다.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무선 신호는 상기 공진 주파수들의 개수만큼의 데이터 비트들이 변조된 신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기 데이터 비트들 및 상기 공진 주파수들을 일대일로 대응시킨 뒤, 상기 데이터 비트들 각각의 값이 0 또는 1인지 여부에 따라 대응되는 공진 주파수를 상기 무선 신호에 포함시킬지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상기 데이터 비트들을 변조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너비와 두께가 서로 다른 나노 벨트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나노 벨트는 두 개의 서로 다른 공진 주파수를 가진다. 여기서, 상기 나노 벨트가 수신하는 무선 신호는 2 개의 데이터 비트들이 변조된 신호일 수 있다. 즉, 상기 서로 다른 공진 주파수에 포함되는 제1 공진 주파수와 상기 2 개의 데이터 비트들 중 첫 번째 비트가 대응되고, 상기 서로 다른 공진 주파수에 포함되는 제2 공진 주파수와 상기 2 개의 데이터 비트들 중 두 번째 비트가 대응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첫 번째 비트가 0인 경우, 상기 제1 공진 주파수는 상기 무선 신호에 포함되지 않고, 상기 첫 번째 비트가 1인 경우, 상기 제1 공진 주파수는 상기 무선 신호에 포함되는 방식으로 상기 무선 신호가 변조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두 번째 비트가 0인 경우, 상기 제2 공진 주파수는 상기 무선 신호에 포함되지 않고, 상기 두 번째 비트가 1인 경우, 상기 제2 공진 주파수는 상기 무선 신호에 포함되는 방식으로 상기 무선 신호가 변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변조 방식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즉, 상기 첫 번째 비트 혹은 두 번째 비트가 1인 경우, 상기 제1 공진 주파수 또는 상기 제2 공진 주파수는 상기 무선 신호에 포함되지 않고, 상기 첫 번째 비트 또는 상기 두 번째 비트가 0인 경우, 상기 제1 공진 주파수 또는 상기 제2 공진 주파수가 상기 무선 신호에 포함되는 방식 등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이 밖에도, 2 개의 데이터 비트들로 표현 가능한 정보는 총 4가지이므로, 상기 제1 공진 주파수 및 상기 제2 공진 주파수 각각을 상기 무선 신호에 포함하는지 여부에 대한 조합을 달리하여 상기 총 4가지의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비트들을 변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나노 소자(115)는 상기 수신된 무선 신호의 주파수 및 상기 두 개의 서로 다른 공진 주파수들을 기초로 공진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공진 주파수들은 상기 나노 소자(115)의 특성에 의존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나노 소자(115)는 상기 공진 주파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주파수 성분으로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이에 반응하여 공진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나노 소자(115)는 상기 공진 주파수들 각각에서 상이한 방향으로 공진할 수 있다. 즉, 상기 공진 주파수들은 제1 공진 주파수 및 제2 공진 주파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공진 주파수에서 상기 나노 소자의 공진 방향과 상기 제2 공진 주파수에서 상기 나노 소자의 공진 방향은 서로 다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너비와 두께가 서로 다른 나노 벨트는 수신된 신호의 주파수에 따라 너비 방향으로 공진하거나, 두께 방향으로 공진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나노 벨트에 의해 수신된 신호가 상기 나노 벨트의 서로 다른 두 개의 공진 주파수들을 모두 포함하는 경우, 상기 나노 벨트는 너비 방향 및 두께 방향 모두로 공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극부(120)는 나노 소자(115)의 공진에 의해 방출되는 복수의 전자들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복수의 전자들의 패턴을 기초로 나노 소자(115)에 의해 수신된 무선 신호를 복조한다.
여기서, 상기 양극부(120)는 상기 패턴을 기초로 상기 무선 신호를 복조하기 위하여, 상기 나노 소자(115)가 공진하는 두 개의 상이한 방향들을 더 기초로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양극부(120)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방출되는 복수의 전자들을 수용할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양극부(120)는 상기 나노 소자의 두 개의 공진 방향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영역들 각각에서 상기 수용된 복수의 전자들로 인해 흐르는 전류량이 미리 정해진 문턱 전류량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양극부(120)는 상기 판단 결과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전자들의 패턴을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사항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극부에서 검출되는 복수의 전자들의 패턴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신호의 복조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극부는 검출되는 복수의 전자들의 패턴을 이용하여 음극부에서 수신된 무선 신호를 복조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나노 통신을 위한 수신 장치는 사각 기둥 구조를 갖는 나노 벨트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나노 벨트는 두께 및 너비에 따라 서로 다른 두 개의 공진 주파수를 가진다.
이 때, 상기 나노 벨트는 수신된 무선 신호의 주파수 성분에 따라 두께 방향뿐 아니라 너비 방향까지 공진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두 개의 공진 주파수 성분을 모두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두 성분의 세기에 따라 타원 또는 원 등의 모양을 그리며 공진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극부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수신된 무선 신호를 복조할 수 있다. 우선, 상기 양극부는 검출된 전자가 없으면(210) 00이 전송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극부는 검출된 전자의 패턴이 상하로 나타나면(220) 01이 전송된 것으로 판단하고, 검출된 전자의 패턴이 좌우로 나타나면(230) 10이 전송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양극부는 검출된 전자의 패턴이 원이나 타원을 그리며 나타나면(240) 11이 전송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나노 벨트의 두께 방향 및 너비 방향이 각각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나타나게끔 나노 벨트를 음극부 상에 배치할 수 있다. 물론, 그 역으로 두께 방향 및 너비 방향이 각각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나타나게끔 나노 벨트를 배치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복조 방식은 미리 정해진 변조 방식에 따라 변조된 무선 신호의 변조 방식과 일치시킴으로써,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이러한 복조 방식의 변형에는 전술한 무선 신호의 변조 방식의 변형과 관련하여 기술된 사항들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검출되는 복수의 전자들의 패턴을 이용하여 무선 신호를 복조하기 위한 양극부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나노 통신을 위한 수신 장치는 나노 소자(315)를 포함하는 음극부(310) 및 상기 나노 소자(315)로부터 방출된 전자를 검출하는 양극부를 포함한다.
이 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나노 통신을 위한 수신 장치는 나노 벨트(315)를 이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나노 벨트(315)는 너비와 두께를 다르게 함으로써, 서로 다른 두 개의 공진 주파수들을 가질 수 있고, 상기 공진 주파수들 각각에서 상이한 방향으로 공진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나노 벨트(315)는 수신된 무선 신호의 주파수에 따라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공진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양극부는 2차원 평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양극부는 나노 벨트(315)로부터 방출된 복수의 전자들을 검출하기 위하여, 복수의 전자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극부는 2차원 평면 구조 상에서 나노 벨트(315)의 상하 진동 영역에 부합하는 세로 영역에 제1 전자 센서(32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극부는 2차원 평면 구조 상에서 나노 벨트(315)의 좌우 진동 영역에 부합하는 가로 영역에 제2 전자 센서(322)를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양극부는 2차원 평면 구조 상에서 상기 제1 전자(321) 센서 및 상기 제2 전자 센서(322)가 차지하고 있지 아니한 나머지 영역에 제3 전자 센서(3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전자 센서(321), 상기 제2 전자 센서(322), 및 상기 제3 전자 센서(323) 각각은 독립하여 전류량을 측정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전자 센서(321), 상기 제2 전자 센서(322), 및 상기 제3 전자 센서(323)는 단순히 분리된 형태의 전극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나노 통신을 위한 수신 장치는 전술한 복조 방식에 따라 상기 양극부에 포함된 제1 전자 센서(321), 제2 전자 센서(322), 및 제3 전자 센서(323)를 이용하여 수신된 무선 신호를 복조할 수 있다.
(수식1)
Figure 112012015747124-pat00001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전자 센서(321)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방출되는 전자들을 수용하고, 상기 수용된 복수의 전자들로 인해 흐르는 전류량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나노 통신을 위한 수신 장치는 상기 측정된 전류량이 미리 정해진 문턱 전류량 TH1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나노 통신을 위한 수신 장치는 상기 측정된 전류량이 미리 정해진 문턱 전류량 TH1보다 크다는 판단에 따라 상기 수신된 무선 신호를 01로 복조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전자 센서(322)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방출되는 전자들을 수용하고, 상기 수용된 복수의 전자들로 인해 흐르는 전류량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나노 통신을 위한 수신 장치는 상기 측정된 전류량이 미리 정해진 문턱 전류량 TH2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나노 통신을 위한 수신 장치는 상기 측정된 전류량이 미리 정해진 문턱 전류량 TH2보다 크다는 판단에 따라 상기 수신된 무선 신호를 10으로 복조할 수 있다.
제3 전자 센서(323)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방출되는 전자들을 수용하고, 상기 수용된 복수의 전자들로 인해 흐르는 전류량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나노 통신을 위한 수신 장치는 상기 측정된 전류량이 미리 정해진 문턱 전류량 TH3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나노 통신을 위한 수신 장치는 상기 측정된 전류량이 미리 정해진 문턱 전류량 TH3보다 크다는 판단에 따라 상기 수신된 무선 신호를 11로 복조할 수 있다.
만약, 제1 전자 센서(321), 제2 전자 센서(322), 및 제3 전자 센서(323) 모두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각각의 문턱 전류량보다 큰 전류량을 검출하지 못하는 경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나노 통신을 위한 수신 장치는 상기 수신된 무선 신호를 00으로 복조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검출되는 복수의 전자들의 패턴을 이용하여 무선 신호를 복조하기 위한 양극부의 또 다른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나노 통신을 위한 수신 장치는 나노 소자(415)를 포함하는 음극부(410) 및 상기 나노 소자(415)로부터 방출된 전자를 검출하는 양극부를 포함한다.
이 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나노 통신을 위한 수신 장치는 나노 벨트(415)를 이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나노 벨트(415)는 너비와 두께를 다르게 함으로써, 서로 다른 두 개의 공진 주파수들을 가질 수 있고, 상기 공진 주파수들 각각에서 상이한 방향으로 공진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나노 벨트(415)는 수신된 무선 신호의 주파수에 따라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공진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양극부는 2차원 평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양극부는 나노 벨트(415)로부터 방출된 복수의 전자들을 검출하기 위하여, 복수의 전자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극부는 2차원 평면 구조 상에서 나노 벨트(415)의 상하 진동 영역에 부합하는 세로 영역에 제1 전자 센서(42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극부는 2차원 평면 구조 상에서 나노 벨트(415)의 좌우 진동 영역에 부합하는 가로 영역에 제2 전자 센서(422)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양극부는 2차원 상기 세로 영역 및 상기 가로 영역이 겹쳐지는 중심 영역에 제4 전자 센서(424)를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양극부는 2차원 평면 구조 상에서 상기 제1 전자 센서(421), 상기 제2 전자 센서(422), 및 제4 전자 센서(424)가 차지하고 있지 아니한 나머지 영역에 제3 전자 센서(4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전자 센서(421), 상기 제2 전자 센서(422), 상기 제3 전자 센서(423), 및 상기 제4 전자 센서(424) 각각은 독립하여 전류량을 측정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전자 센서(421), 상기 제2 전자 센서(422), 상기 제3 전자 센서(423), 및 상기 제4 전자 센서(424)는 단순히 분리된 형태의 전극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나노 통신을 위한 수신 장치는 전술한 복조 방식에 따라 상기 양극부에 포함된 제1 전자 센서(421), 제2 전자 센서(422), 제3 전자 센서(423), 및 제4 전자 센서(424)를 이용하여 수신된 무선 신호를 복조할 수 있다.
(수식2)
Figure 112012015747124-pat00002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전자 센서(421), 제2 전자 센서(422), 제3 전자 센서(423), 및 제4 전자 센서(424) 각각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방출되는 전자들을 수용하고, 상기 수용된 복수의 전자들로 인해 흐르는 전류량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나노 통신을 위한 수신 장치는 제1 전자 센서(421), 제2 전자 센서(422), 제3 전자 센서(423), 및 제4 전자 센서(424) 각각에서 측정된 전류량을 합한 값을 이용하여 수신된 무선 신호를 복조할 수 있다.
상기 합산된 전류량이 미리 정해진 문턱 전류량 TH1보다 작은 경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나노 통신을 위한 수신 장치는 상기 수신된 무선 신호를 00으로 복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합산된 전류량이 미리 정해진 문턱 전류량 TH2보다 큰 경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나노 통신을 위한 수신 장치는 상기 수신된 무선 신호를 11로 복조할 수 있다.
만약, 상기 합산된 전류량이 TH1 및 TH2 사이의 값을 가지는 경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나노 통신을 위한 수신 장치는 제1 전자 센서(421)에서 측정된 전류량과 제2 전자 센서(422)에서 측정된 전류량을 비교할 수 있다. 이 때, 제1 전자 센서(421)에서 측정된 전류량이 더 큰 경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나노 통신을 위한 수신 장치는 상기 수신된 무선 신호를 10으로 복조할 수 있고, 제2 전자 센서(422)에서 측정된 전류량이 더 큰 경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나노 통신을 위한 수신 장치는 상기 수신된 무선 신호를 01로 복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나노 통신을 위한 수신 장치는 전술한 방법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01 및 10을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나노 통신을 위한 수신 장치는 제1 전자 센서(421)에서 측정된 전류량 및 제4 전자 센서(424)에서 측정된 전류량의 합이 미리 정해진 문턱 전류량 TH3 이상인 경우 10으로, 제2 전자 센서(422)에서 측정된 전류량 및 제4 전자 센서(424)에서 측정된 전류량의 합이 미리 정해진 문턱 전류량 TH4 이상인 경우 01로 상기 수신된 무선 신호를 복조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나노 통신을 위한 변조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나노 통신을 위한 변조 방법은 데이터 비트들을 제공하는 단계(510); 나노 소자의 두 개의 서로 다른 공진 주파수들을 식별하는 단계(520); 및 상기 데이터 비트들을 변조하는 단계(5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비트들을 변조하는 단계(530)는 상기 데이터비트들과 상기 공진 주파수들을 서로 매핑함으로써 상기 데이터 비트들을 변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비트들을 변조하는 단계(530)는 상기 제공된 데이터 비트들 및 상기 공진 주파수들을 일대일로 대응시키고, 상기 데이터 비트들 각각의 값이 0 또는 1인지 여부에 따라 대응되는 공진 주파수를 상기 무선 신호의 주파수 성분으로 포함시킬지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상기 무선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공진 주파수들은 제1 공진 주파수 및 제2 공진 주파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공진 주파수에서 상기 나노 소자의 공진 방향과 제2 공진 주파수에서 상기 나노 소자의 공진 방향은 서로 다르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나노 소자는 사각 기둥 구조를 갖는 나노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단계들 각각에는 도 1 내지 도 4를 통하여 기술된 사항들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나노 통신을 위한 복조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나노 통신을 위한 복조 방법은 나노 소자를 이용하여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610), 복수의 전자 센서들을 이용하여 복수의 전자들을 검출하는 단계(620), 및 상기 무선 신호를 복조하는 단계(63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나노 소자는 전원의 음극과 연결되고, 두 개의 서로 다른 공진 주파수들을 가지며, 상기 무선 신호의 주파수 및 상기 공진 주파수들을 기초로 공진한다. 상기 공진 주파수들은 제1 공진 주파수 및 제2 공진 주파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공진 주파수에서 상기 나노 소자의 공진 방향과 상기 제2 공진 주파수에서 상기 나노 소자의 공진 방향은 서로 다르다.
또한, 상기 무선 신호는 미리 정해진 변조 방식에 따라 변조된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선 신호는 데이터 비트들 및 상기 공진 주파수들을 서로 매핑함으로써 변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무선 신호를 복조하는 단계(630)는 상기 복수의 전자 센서들 각각에서 흐르는 전류량과 미리 정해진 문턱 전류량을 비교하는 단계(631) 및 상기 비교 결과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전자들의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6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복수의 전자 센서들은 상기 나노 소자의 두 개의 공진 방향들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나노 소자는 사각 기둥 구조를 갖는 나노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단계들 각각에는 도 1 내지 도 4를 통하여 기술된 사항들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나노 소자를 포함하는 음극부
115: 적어도 두 개의 공진 주파수들 각각에서 상이한 방향으로 공진하는 나노 소자
120: 나노 소자로부터 방출되는 전자의 패턴을 검출하는 양극부

Claims (18)

  1. 음극 및 양극을 포함하는 전원;
    상기 전원의 음극과 연결되고, 미리 정해진 변조 방식에 따라 변조된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두 개의 서로 다른 공진 주파수들을 가지며, 상기 무선 신호의 주파수 및 상기 공진 주파수들을 기초로 공진하는 나노 소자를 포함하는 음극부; 및
    상기 전원의 양극과 연결되고, 상기 나노 소자의 공진에 의해 방출되는 복수의 전자들을 검출하고, 상기 복수의 전자들의 패턴을 기초로 상기 무선 신호를 복조하는 양극부
    를 포함하고
    상기 공진 주파수들은 제1 공진 주파수 및 제2 공진 주파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공진 주파수에서 상기 나노 소자의 공진 방향과 상기 제2 공진 주파수에서 상기 나노 소자의 공진 방향은 서로 다른 나노 통신을 위한 수신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 주파수들은 상기 나노 소자의 특성에 의존하고,
    상기 나노 소자의 특성은
    상기 나노 소자의 길이(length), 상기 나노 소자의 너비(width), 및 상기 나노 소자의 두께(thicknes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너비는 상기 길이에 직교하는 단면의 제1 방향에 대한 길이이고,
    상기 두께는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상기 단면의 제2 방향에 대한 길이이며,
    상기 너비와 상기 두께는 서로 다른 값을 가지는 나노 통신을 위한 수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변조 방식에 따라 변조된 무선 신호는
    상기 공진 주파수들에 의존하는 나노 통신을 위한 수신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변조 방식에 따라 변조된 무선 신호는
    데이터 비트들 및 상기 공진 주파수들을 서로 매핑함으로써 변조된 것인 나노 통신을 위한 수신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부는
    상기 패턴을 기초로 상기 무선 신호를 복조하기 위하여, 상기 나노 소자의 공진 방향을 더 기초로 하는 나노 통신을 위한 수신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부는
    상기 나노 소자의 두 개의 공진 방향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영역들 각각에서 흐르는 전류량과 미리 정해진 문턱 전류량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전자들의 패턴을 결정하는 수신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소자는
    사각 기둥 구조를 갖는 나노 벨트를 포함하는 나노 통신을 위한 수신 장치.
  9. 두 개의 서로 다른 공진 주파수들에서 공진하는 나노 소자를 이용한 나노 통신을 위한 변조 방법에 있어서,
    데이터 비트들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두 개의 서로 다른 공진 주파수들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공진 주파수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초로 데이터 비트들을 변조함으로써 무선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공진 주파수들은 제1 공진 주파수 및 제2 공진 주파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공진 주파수에서 상기 나노 소자의 공진 방향과 상기 제2 공진 주파수에서 상기 나노 소자의 공진 방향은 서로 다른 나노 통신을 위한 변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비트들과 상기 두 개의 서로 다른 공진 주파수들을 서로 매핑함으로써 상기 데이터 비트들을 변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나노 통신을 위한 변조 방법.

  11. 삭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소자는
    사각 기둥 구조를 갖는 나노 벨트를 포함하는 나노 통신을 위한 변조 방법.
  13. 전원의 음극과 연결된 나노 소자를 이용하여 미리 정해진 변조 방식에 따라 변조된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전원의 양극과 연결된 복수의 전자 센서들을 이용하여 상기 나노 소자의 공진에 의해 방출되는 복수의 전자들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전자들의 패턴을 기초로 상기 무선 신호를 복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나노 소자는 두 개의 서로 다른 공진 주파수들을 가지며, 상기 무선 신호의 주파수 및 상기 공진 주파수들을 기초로 공진하고,
    상기 공진 주파수들은 제1 공진 주파수 및 제2 공진 주파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공진 주파수에서 상기 나노 소자의 공진 방향과 상기 제2 공진 주파수에서 상기 나노 소자의 공진 방향은 서로 다른 나노 통신을 위한 복조 방법.

  14. 삭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변조 방식에 따라 변조된 무선 신호는
    데이터 비트들 및 상기 공진 주파수들을 서로 매핑함으로써 변조된 것인 나노 통신을 위한 복조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신호를 복조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전자 센서들 각각에서 흐르는 전류량과 미리 정해진 문턱 전류량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전자들의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전자 센서들은
    상기 나노 소자의 두 개의 공진 방향들에 대응하는 나노 통신을 위한 복조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소자는
    사각 기둥 구조를 갖는 나노 벨트를 포함하는 나노 통신을 위한 복조 방법.
  18. 제9항 내지 제10항, 제12항 내지 제13항, 및 제15항 내지 제17항 중에서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20019649A 2012-02-27 2012-02-27 나노 통신을 위한 변조 방법 및 복조 방법,및 이를 이용한 수신 장치 KR1019121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9649A KR101912163B1 (ko) 2012-02-27 2012-02-27 나노 통신을 위한 변조 방법 및 복조 방법,및 이를 이용한 수신 장치
CN201310049346.6A CN103354536B (zh) 2012-02-27 2013-02-07 用于纳米通信的调制和解调的方法及使用该方法的接收器
EP13155990.8A EP2632043B1 (en) 2012-02-27 2013-02-20 Method of modulation and demodulation for nano communication, and receiver using the method
US13/775,815 US8862082B2 (en) 2012-02-27 2013-02-25 Method of modulation and demodulation for nano communication, and receiver using the method
JP2013037439A JP6298238B2 (ja) 2012-02-27 2013-02-27 ナノ通信のための変調方法及び復調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受信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9649A KR101912163B1 (ko) 2012-02-27 2012-02-27 나노 통신을 위한 변조 방법 및 복조 방법,및 이를 이용한 수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7946A KR20130097946A (ko) 2013-09-04
KR101912163B1 true KR101912163B1 (ko) 2018-10-26

Family

ID=48039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9649A KR101912163B1 (ko) 2012-02-27 2012-02-27 나노 통신을 위한 변조 방법 및 복조 방법,및 이를 이용한 수신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862082B2 (ko)
EP (1) EP2632043B1 (ko)
JP (1) JP6298238B2 (ko)
KR (1) KR101912163B1 (ko)
CN (1) CN10335453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78180B (zh) * 2014-10-20 2017-09-05 浙江工业大学 基于二进制分子通信模型的多播可靠性确定方法
US20160181851A1 (en) * 2014-12-23 2016-06-23 Intel Corporation Wireless power transmitting coil disposed around a protruding magnetic component
US10110018B2 (en) 2014-12-23 2018-10-23 Intel Corporation Wireless power repeating
KR101597074B1 (ko) * 2015-04-10 2016-02-23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분자통신에서 에너지 효율적인 변조 방법 및 시스템
US20160352133A1 (en) 2015-05-26 2016-12-01 Intel Corporation Wireless power transmitting coil disposed at an input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71003A1 (en) * 2007-10-11 2010-10-28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Nanotube Resonator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21252B2 (ja) * 1998-04-13 2005-02-16 パイオニア株式会社 受信回路
US6978126B1 (en) * 1999-06-07 2005-12-20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Transceiver with closed loop control of antenna tuning and power level
JP4575075B2 (ja) * 2003-08-12 2010-11-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気機械フィルタ、これを用いた電気回路および電気機器
EP1784926A4 (en) * 2004-08-12 2009-07-22 Univ California INTERCONNECTED NANOSYSTEMS
EP1847025A2 (en) * 2005-01-20 2007-10-24 BAE SYSTEMS Information and Electronic Systems Integration Inc. Microradio design, manufacturing method and applications for the use of microradios
US7474149B2 (en) * 2005-03-25 2009-01-06 Pulsewave Rf, Inc. Radio frequency power amplifier and method using a controlled supply
US7915973B2 (en) 2005-08-25 2011-03-29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Tunable multiwalled nanotube resonator
US7342441B2 (en) * 2006-05-05 2008-03-11 Virgin Islands Microsystems, Inc. Heterodyne receiver array using resonant structures
CN101796117A (zh) 2007-04-12 2010-08-04 加利福尼亚大学董事会 用于无线通信和无线电传输的碳纳米管
JP4600593B2 (ja) * 2007-09-28 2010-12-1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移動体通信端末用放送受信機
KR101164407B1 (ko) 2008-12-03 2012-07-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라디오 주파수 소자
CN101719726B (zh) * 2009-12-04 2011-10-26 重庆大学 非接触能量信号同步传输的方法及其装置
CN102933486B (zh) * 2010-03-11 2015-09-23 Lg化学株式会社 带状金属纳米结构及其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71003A1 (en) * 2007-10-11 2010-10-28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Nanotube Resonator Device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Y. Wan 외, "Properties of terahertz wave generated by the metallic carbon nanotube antenna," Chinese Optics Letters, vol. 6, no. 10, pp. 770-772, 2008. 1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354536A (zh) 2013-10-16
KR20130097946A (ko) 2013-09-04
CN103354536B (zh) 2018-05-22
EP2632043A1 (en) 2013-08-28
EP2632043B1 (en) 2015-12-09
JP2013176053A (ja) 2013-09-05
US8862082B2 (en) 2014-10-14
JP6298238B2 (ja) 2018-03-20
US20130225104A1 (en) 2013-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2163B1 (ko) 나노 통신을 위한 변조 방법 및 복조 방법,및 이를 이용한 수신 장치
Xu et al. Multi-directional energy harvesting by piezoelectric cantilever-pendulum with internal resonance
Elliott et al. Mass, mobility and MS n measurements of single ions using charge detection mass spectrometry
JP2016529494A (ja) タイヤのライナ層の厚さを測定するシステム
US2014004370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ading a Non-Volatile Memory Using a Spin Torque Oscillator
US20160169657A1 (en) System for measuring the thickness of a liner layer of a tire
US20170082771A1 (en) Three dimensional nuclear magnetic resonance logging instrument based on mutilple antenna excitation
CN102063793A (zh) 检测路况信息的方法和系统
CN105114070B (zh) 三维核磁共振测井仪探头、测井仪及天线激励方法
SA520411407B1 (ar) مغنطة أحادية الاتجاه لأدوات رنين مغناطيسي نووي بها مادة لب مغناطيسي رخوة
ES2377546T3 (es) Procedimiento de guiado de un vehículo
JP6667723B2 (ja) 列車位置測定システム、車上装置、および列車位置測定方法
CN107144804B (zh) 磁体系统及核磁共振探测装置
JP5871536B2 (ja) 位置特定装置、位置特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Ok et al. A combined heuristic algorithm for preference-based shortest path search
CN205486803U (zh) 基于环形线圈的车辆检测装置
JP6631385B2 (ja) 磁気マーカの極性判定方法及び極性判定装置
JP2006329713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CN102682225A (zh) 拼接错误检测方法和系统
JP2016529479A (ja) タイヤ用のゴム層の厚さを測定するシステム
CN108369496B (zh) 一种产生随机数的装置和方法
CN108271203A (zh) 一种网络质量评估方法及设备
JP2015141081A (ja) 現在地取得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Inoue et al. Travel pattern analysis from trajectories based on hierarchical classification of stays
JP2573761B2 (ja) 路側ビーコン利用システムのための性能試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