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1244B1 - 가변부를 구비한 햅틱 장치 - Google Patents

가변부를 구비한 햅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1244B1
KR101911244B1 KR1020110142469A KR20110142469A KR101911244B1 KR 101911244 B1 KR101911244 B1 KR 101911244B1 KR 1020110142469 A KR1020110142469 A KR 1020110142469A KR 20110142469 A KR20110142469 A KR 20110142469A KR 101911244 B1 KR101911244 B1 KR 1019112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panel
variable
unit
main body
hapt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2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4411A (ko
Inventor
배유동
이영민
이은화
이정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42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1244B1/ko
Publication of KR20130074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4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1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12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6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piezoelectric effect or with electrostri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02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linear motion, e.g. actuators; Linear positioners ; Linear 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변부를 구비한 햅틱 장치에 있어서, 전자 기기 본체부와, 상기 전자 기기 본체부에 구비되는 진동 액츄에이터를 포함한 터치 패널부와, 상기 전자 기기 본체부와 상기 터치 패널부의 사이에 구비되어 전기 신호 인가에 의해 유연성으로 가변되는 가변부 및 상기 터치 패널부의 터치 입력 유무를 감지하고, 이에 따라서 상기 가변부의 전기 신호 인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변부를 구비한 햅틱 장치{HAPTIC DEVICE HAVING VARIABLE UNIT}
본 발명은 햅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기 신호 인가에 의해 유연성으로 가변되는 가변부를 구비한 햅틱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햅틱 장치는 공간 절약이 가능하고, 조작성 향상과 간편성을 이룰 수 있고, 사양변경이 간편하며 이용자 인식이 높다는 점 이외에 휴대 단말기와의 연동성이 용이하다는 많은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장점으로 인해 주로 소형의 휴대 단말기에 이용된다.
상기 햅틱 장치는 투명성을 갖는 터치 패널이 화면을 표시하는 엘씨디(LCD)등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밀착되게 배치되고, 사용자가 터치 패널을 통하여 화면을 보면서 터치 패널을 압박 조작하는 경우, 진동 모터 또는 압전 액츄에이터(piezoelectric actuator)와 같은 진동발생수단에 의해 터치 패널에 진동감을 인가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진동감이 전달되는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소형의 휴대 단말기에는 주로 압전 액츄에이터를 많이 사용한다.
도 1 및 도 2와 같이, 종래의 햅틱 장치(1)의 구조를 살펴보면, 터치 패널(2)과, 상기 터치 패널(2)의 하부면에 부착되는 압전 액츄에이터(3)와, 상기 터치 패널(2)의 테두리에 구비되어 휴대 단말기 케이스(4)와 상기 터치 패널(2)을 서로 연결시킴과 아울러 이격시키는 폼 또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스페이서(5)로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햅틱 장치는 도 2와 같이, 터치 패널(2)과 단말기 케이스(4)의 사이에 유연성이 없는 일정한 강성으로 이루어진 스페이서(5)가 구성되고, 이 상태에서 압전 액츄에이터(3)를 진동시 상기 스페이서에 의해 상기 터치 패널(2)과 상기 단말기케이스(4)가 함께 진동함과 동시에 제품의 전체가 진동된다. 이로인해 제품의 진동력이 약하고, 상기 터치 패널(2)의 터치되는 면에 강한 진동 피드팩을 제공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구동 주파수 대역이 좁아 다양한 햅틱 효과를 내는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햅틱 장치는 스페이서를 이용하여 터치 패널과 단말기 케이스를 서로 이격시키는 구조이므로, 터치 패널과 단말기 케이스의 이격으로 인해 틈새가 발생되고, 이 틈새로 이물질이 침투되는 단점이 있고, 또한, 사용에 따라서 스페이서의 강성을 변화시킬 수 없어 제품을 낙하시 스페이서 부분이 파손됨으로 인해 기계적 신뢰성 및 기밀성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었다.
햅틱 장치를 구성한 태플릿 장치는 이미 대한 민국 특허 공개 번호 제 10-2006-0041744호(공개 일자 2006, 05, 12)에 관련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전기 신호 인가에 의해 유연성으로 가변되고, 터치 패널과 단말기 케이스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의 형성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기 신호 인가에 의해 유연성으로 가변되는 가변부를 구성함으로써, 평소에는 전기 신호 인가가 없어 가변부의 강성이 높아 제품 낙하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터치 패널부에 터치시에는 전기 신호 인가에 의해 가변부를 유연성으로 가변시킴과 아울러 강성이 낮아져 터치 패널부와 전자 기기 본체부가 서로 이격 가능하여 터치 패널부의 터치면에 강한 피드팩과 넓은 주파수 대역의 구동이 가능하고, 이로인해 제품의 다양한 햅틱 효과를 구현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제품의 기구적으로 안정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가변부를 구비한 햅틱(haptic)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 기기 본체부와 터치 패널부의 사이에 가변부를 부착시키는 부착면을 형성함으로써, 전자 기기 본체부와 터치 패널부 사이의 틈새 형성을 방지하고, 이로인해 제품의 이물질이 침투를 방지하여 제품의 기계적 신뢰성 및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가변부를 구비한 햅틱(haptic)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 신호 인가에 의해 팽창 또는 수축되어 전자 기기 본체부와 터치 패널부 사이의 이격 거리를 가변시키는 가변부를 구성함으로써, 평소 터치 패널부를 터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가변부의 강성을 높임과 아울러 터치 패널부와 전자 기기 본체부의 사이 이격 거리를 좁게하여 제품을 낙하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제품의 기계적 신뢰성 및 기밀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널부를 터치시에는 가변부의 강성을 낮게함과 아울러 터치 패널부와 전자 기기 본체부 사이의 이격 거리를 넓게 하여 터치되는 면에 강한 피드팩을 줄 수 있도록 한 가변부를 구비한 햅틱(haptic)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터치 패널부의 측면 둘레에 결합되어 전기 신호 인가에 의해 유연성으로 가변되는 가변부를 구성함으로써, 가변부를 터치 패널부의 측면 둘레에 결합시켜 제품의 두께를 슬림화 하고, 또한, 평소에는 전기 신호 인가가 없어 가변부의 강성이 높아 터치 패널부와 전자 기기 본체부 사이의 틈새 형성을 방지하고, 이로인해 제품의 이물질이 침투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제품 낙하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기계적 신뢰성 및 기밀성을 더욱 향상시키고, 또한, 터치 패널부에 터치시에는 전기 신호 인가에 의해 가변부를 유연성으로 가변시킴과 아울러 강성이 낮아져 터치 패널부를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이격 가능하여 터치 패널부의 터치면에 강한 피드팩과 넓은 주파수 대역의 구동이 가능하고, 이로인해 제품의 다양한 햅틱 효과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 가변부를 구비한 햅틱(haptic)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가변부를 구비한 햅틱 장치에 있어서,
전자 기기 본체부;
상기 전자 기기 본체부에 구비되는 진동 액츄에이터를 포함한 터치 패널부;
상기 전자 기기 본체부와 상기 터치 패널부의 사이에 구비되어 전기 신호 인가에 의해 유연성으로 가변되는 가변부; 및
상기 터치 패널부의 터치 입력 유무를 감지하고, 이에 따라서 상기 가변부의 전기 신호 인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가변부를 구비한 햅틱 장치에 있어서,
전자 기기 본체부;
상기 전자 기기 본체부에 구비되는 진동 액츄에이터를 포함한 터치 패널부;
상기 전자 기기 본체부와 상기 터치 패널부의 사이에 구비되어 전기 신호 인가에 의해 팽창 또는 수축되어 상기 전자 기기 본체부와 상기 터치 패널부 사이의 이격 거리를 가변시키는 가변부; 및
상기 터치 패널부의 터치 입력 유무를 감지하고, 이에 따라서 상기 가변부의 전기 신호 인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개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가변부를 구비한 햅틱 장치에 의하면,
전기 신호 인가에 의해 유연성으로 가변되는 가변부를 구성하여 평소에는 전기 신호 인가가 없어 가변부의 강성이 높아 제품 낙하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터치 패널부에 터치시에는 전기 신호 인가에 의해 가변부를 유연성으로 가변시킴과 아울러 강성이 낮아져 터치 패널부와 전자 기기 본체부가 서로 이격 가능하여 터치 패널부의 터치면에 강한 피드팩과 넓은 주파수 대역의 구동이 가능하고, 이로인해 제품의 다양한 햅틱 효과를 구현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제품의 기구적으로 안정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가변부의 상, 하면에 가변부를 전자 기기 본체부와 터치 패널부의 사이에 부착시키는 부착면을 형성하여 전자 기기 본체부와 터치 패널부 사이의 틈새 형성을 방지하고, 이로인해 제품의 이물질이 침투를 방지하여 제품의 기계적 신뢰성 및 기밀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기 신호 인가에 의해 팽창 또는 수축되어 전자 기기 본체부와 터치 패널부 사이의 이격 거리를 가변시키는 가변부를 구성하여 평소 터치 패널부를 터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가변부의 강성을 높임과 아울러 터치 패널부와 전자 기기 본체부의 사이 이격 거리를 좁게하여 제품 낙하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기계적 신뢰성 및 기밀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널부를 터치시에는 가변부의 강성을 낮게함과 아울러 터치 패널부와 전자 기기 본체부의 사이 이격 거리를 넓게 하여 터치되는 면에 강한 피드팩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터치 패널부의 측면 둘레에 결합되어 전기 신호 인가에 의해 유연성으로 가변되는 가변부를 구성하여 가변부를 터치 패널부의 측면 둘레에 결합시켜 제품의 두께를 슬림화 하고, 또한, 터치 패널부와 전자 기기 본체부 사이의 틈새 없이 부착시키고, 이로인해 제품의 이물질 침투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제품 낙하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기계적 신뢰성 및 기밀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터치 패널부에 터치시에는 전기 신호 인가에 의해 가변부를 유연성으로 가변시킴과 아울러 강성이 낮아져 터치 패널부를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이격 가능하여 터치 패널부의 터치면에 강한 피드팩과 넓은 주파수 대역의 구동이 가능하고, 이로인해 제품의 다양한 햅틱 효과를 더욱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햅틱 장치의 구성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햅틱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변부를 구비한 햅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변부를 구비한 햅틱 장치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변부를 구비한 햅틱 장치의 구성 중 터치 패널부를 터치 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변부를 구비한 햅틱 장치의 구성 중 터치 패널부를 터치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변부를 구비한 햅틱 장치의 구성 중 가변부의 강성을 낮게한 시물레이션 결과 그래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변부를 구비한 햅틱 장치의 구성 중 가변부의 강성을 높게한 시물레이션 결과 그래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변부를 구비한 햅틱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변부를 구비한 햅틱 장치의 구성 중 가변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변부를 구비한 햅틱 장치의 구성 중 가변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가변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A부 확대 측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가변부를 구비한 햅틱 장치의 구성 중 터치 패널부를 터치 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가변부를 구비한 햅틱 장치의 구성 중 터치 패널부를 터치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제 1 실시예]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변부를 구비한 햅틱 장치(1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3 및 도 4을 참조하여 먼저, 상기 햅틱 장치(10)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햅틱 장치(10)는 전자 기기 본체부(20)와, 진동 액츄에이터(31)를 포함한 터치 패널부(30)와, 가변부(40) 및 제어부(50)를 포함한다. 상기 전자 기기 본체부(20)의 상면에는 상기 터치 패널부(30) 및 상기 가변부(40)를 구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터치 패널부(30)는 사용자의 손이나 펜으로 터치할 수 있도록 상기 전자 기기 본체부(20)의 상면에 구비된다. 상기 가변부(40)는 전기 신호 인가에 의해 유연성으로 가변될 수 있도록 상기 전자 기기 본체부(20)의 상면 및 상기 터치 패널부(30)의 하면에 구비된다.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터치 패널부(30)의 터치 입력 유무를 감지하고, 이에 따라서 상기 가변부(40)의 전기 신호 인가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앞서 언급한 상기 전자 기기 본체부(20)는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자 기기 본체부(20)는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이외에 다른 단말기의 케이스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예컨대, 스마트폰, 컴퓨터 모니터, 네비게이션, 게임기 및 노트북등) 또한, 상기 진동 액츄에이터(31)는 압전 액츄에이터(piezoelectricity) 및 진동 모터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진동 액츄에이터(31)는 압전 액츄에이터(piezoelectricity) 및 진동 모터이외에 다른 진동 액츄에이터(31)로도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변부(40)는 에스씨피(Switchable Compliant Plate ; SCP)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변부(40)는 에스씨피(Switchable Compliant Plate ; SCP)이외에 다른 가변부(40)로도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변부(40)의 재질은 형상기억합금(Shape Memory Alloy ; SMA), 일렉트로-액티브 폴리머(Electro-Active Polymer ; EAP) 또는 일렉트로-스크리티브 폴리머(Electro-Strictive Polymer; ESP)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변부(40)의 재질은 형상기억합금(Shape Memory Alloy ; SMA), 일렉트로-액티브 폴리머(Electro-Active Polymer ; EAP) 또는 일렉트로-스크리티브 폴리머(Electro-Strictive Polymer; ESP)들 이외에 다른 재질로도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가변부(40)의 반응 수단은 상기 전기 신호이외에 열, 광, 전기장 및 자기장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변부(40)의 반응 수단은 열, 광, 전기장 및 자기장들이외 다른 반응 수단으로도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앞서 언급한 도 3과 같이, 상기 가변부(40)의 상, 하면에는 상기 전자 기기 본체부(20)와 상기 터치 패널부(30)에 형성되는 틈새 형성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전자 기기 본체부(20)의 상면과 상기 터치 패널부(30)의 하면에 각각 부착되도록 부착면(41)(42)이 형성된다. 상기 가변부(40)에는 상기 터치 패널부(30)의 전동 액츄에이터(41)를 삽입시킬 수 있도록 삽입홈(43)이 형성되고, 상기 가변부(40)는 " □ "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변부(40)는 " □ " 형상이외 다른 형상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가변부(40)를 구비한 햅틱 장치(10)는 대표적인 적용예로 전자 기기 본체부(20)에 적용 가능하다. 하지만, 상기 햅틱 장치(10)는 반드시 전자 기기 본체부(20)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햅틱 장치(10)를 구비하는 다양한 형태의 단말기에 적용 가능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다양한 형태의 단말기의 예시로는,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들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를 비롯하여, MP3 플레이어,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게임기, 노트북, 광고판, 티브이(TV), 디지털방송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스마트 폰(Smart Phone) 등 모든 정보통신기기와 멀티미디어 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햅틱 장치(10)의 작동 과정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도 5와 같이, 상기 가변부(40)는 상기 터치 패널부(30)의 하부 테두리면에 부착된다. 상기 터치 패널부(30)의 하부면에는 2개의 진동 액츄에이터(31)를 부착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터치 패널부(30)는 상기 전자 기기 본체부(20)의 상면에 부착된다.
여기서, 도 5와 같이, 상기 터치 패널부(30)를 터치 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가변부(40)에 전기 신호를 인가하지 않아 상기 가변부(40)는 유연성으로 가변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가변부(40)는 강성이 높아진다. 강성이 높아진 상기 가변부(40)는 상기 전자 기기 본체부(20)와 상기 터치 패널부(30)를 하나로 연결시키고, 이 상태에서, 상기 진동 액츄에이터(31)를 구동하면, 상기 전자 기기 본체부(20)와 상기 터치 패널부(30)가 함께 구동하여 상기 전자 기기의 전체를 진동시킨다.
여기서,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상기 터치 패널부(30)을 터치할 경우, 도 6과 같이, 상기 제어부(50)는 외부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가변부(40)에 전기 신호를 인가함과 동시에 상기 가변부(40)는 유연성으로 가변된다. 이때, 유연성으로 가변된 상기 가변부(40)는 강성이 낮아져 상기 터치 패널부(30)이 이격(floating)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상기 터치 패널부(30)를 터치시,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진동 액츄에이터(31)를 구동시키고, 상기 진동 액츄에이터(31)는 상기 가변부(40)의 유연성에 의해 상기 터치 패널부(30)만 진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터치 패널부(30)의 터치면에 강한 진동 피드팩을 발생시킨다.
여기서, 상기 가변부(40)는 강성 변화를 크지 않게 할 경우, 전기 신호 인가 유무 또는 전기의 세기에 따라 강성을 조금씩 변화시킬 수 있다. 즉, 상기 가변부(40)는 유연성의 가변을 조절함과 아울러 강성을 조절하여 상기 터치 패널부(30)에서의 주파수 응답이 달라지는 효과를 발생시켜 진동이 최대로 나올 수 있는 공진 주파수를 변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도 7 및 도 8은 상기 가변부(40)를 유리(미도시 됨)의 테두리에 부착하고, 상기 가변부(40)의 밑면은 플라스틱(미도시 됨)으로 지지하는 가정 하에 상기 가변부(40)의 강성을 시험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7과 같이, 상기 가변부(40)의 강성을 낮게할 경우, 상기 터치 패널부(30)의 터치 면에서의 진동력은 크고, 공진 주파수도 상대적으로 낮다.
도 8과 같이, 상기 가변부(40)의 강성을 높게할 경우, 상기 터치 패널부(30)의 터치면에서의 진동력은 감소하고, 공진 주파수는 높은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앞서 언급한 도 7 및 도 8은 상기 가변부(40)의 강성을 낮게할 경우, 1Ma, 높게할 경우 200GPa로 가정한 주파수 응답 특성 결과이다.
이와 같이, 상기 햅틱 장치(10)는 상기 가변부(40)의 강도를 변화시킴으로써, 다양한 공진 주파수 구동이 가능하다.
여기서,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부(40)를 구비한 햅틱 장치(10)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와 같이, 먼저,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전자 기기 본체부(20)가 착신이나 알람상황인지(S1) 또는 터치 입력 상황인지(S1-1)를 구분한다. 상기 제어부(50)는 착신이나 알람상황(S1)인 경우 전기 신호를 상기 가변부(40)에 인가하지 않고, 상기 가변부(40)는 강성이 높은 평소(norma1)상태를 유지한다(S2). 그 다음, 상기 제어부(50)는 진동 액츄에이터(31)를 구동시키면(S3), 상기 전자 기기 본체부(20)와 상기 터치 패널부(30)는 함께 진동하여 전체적으로 진동하게 된다.
앞서 언급한 도 9과 같이, 상기 제어부(50)는 터치 입력 상황(S1-1)인 경우, 상기 가변부(40)에 전기 신호를 인가하여 활성화시킴과 아울러 상기 가변부(40)를 유연성으로 가변시킨다.(S2-1) 이때, 상기 가변부(40)는 유연성의 성질을 가진다. 이 상태에서, 상기 터치 패널부(30)의 터치면을 터치시 유연성으로 가변된 상기 가변부(40)에 의해 상기 터치 패널부(30)만 주로 진동하게 되어 상기 터치면에서의 강한 패드백을 발생시킨다.(S3)
또한, 도 10 내지 도 12는 상기 가변부(20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과 같이, 상기 가변부(200)는 상기 터치 패널부(30)의 측면 둘레에 수평으로 부착되고, 상기 가변부(200)는 상기 터치 패널부(30) 측면 둘레면에 끼워 부착된다. 상기 가변부(200)의 둘레면에는 상기 전자 기기 본체부(20)의 내측면과 상기 터치 패널부(30)의 외측면에 각각 부착되는 부착면(201)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가변부(200)는 상기 부착면(201)에 의해 상기 터치 패널부(30)의 외측면에 부착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터치 패널부(30)는 상기 전자 기기 본체부(20)에 형성된 결합홈(21)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와 같이, 상기 터치 패널부(30)는 상기 전자 기기 본체부(20)의 결합홈(21)에 결합되는 구조이므로, 상기 터치 패널부(30)와 상기 전자 기기 본체부(20)의 두께를 슬림화 할 수 있다. 상기 가변부(200)의 둘레면에는 상기 전자 기기 본체부(20)의 내측면과 상기 터치 패널부(30)의 외측면에 각각 부착되는 부착면(201)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가변부(200)는 상기 부착면(201)에 의해 상기 전자 기기 본체부(20)의 내측면에 부착된다.
여기서, 도 11과 같이, 상기 터치 패널부(30)를 터치 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가변부(200)에 전기 신호를 인가하지 않는다. 이때, 상기 가변부(200)는 강성이 높아지고, 이로인해 상기 전자 기기 본체부(20)와 상기 터치 패널부(30)는 하나로 연결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진동 액츄에이터(31)를 구동하면, 상기 전자 기기 본체부(20)와 상기 터치 패널부(30)가 함께 구동하여 상기 전자 기기의 전체가 진동하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상기 터치 패널부(30)을 터치할 경우, 도 12와 같이, 상기 제어부(50)는 외부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가변부(200)에 전기 신호를 인가함과 동시에 상기 가변부(200)는 유연성으로 가변됨과 아울러 강성이 낮아진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상기 터치 패널부(30)를 수직방향으로 터치시,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진동 액츄에이터(31)를 구동시킨다. 이때, 강성이 낮아진 상기 가변부(200)는 상기 진동 액츄에이터(31)의 진동을 상기 터치 패널부(30)에 전달함과 아울러 상, 하 수직방향으로 유연하게 진동한다. 이때, 상기 터치 패널부(30)의 터치면에는 강한 진동 피드팩을 발생시킨다.
또한, 앞서 언급한 도 11 및 도 12와 같이, 상기 가변부(200)는 사용자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상기 터치 패널부(30)를 수평방향으로 터치시,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진동 액츄에이터(31)를 구동시킨다. 이때, 강성이 낮아진 상기 가변부(200)는 상기 진동 액츄에이터(31)의 진동을 상기 터치 패널부(30)에 전달함과 아울러 좌, 우 수평방향으로 유연하게 진동한다. 이때, 상기 터치 패널부(30)의 터치면에는 강한 진동 피드팩을 발생시킨다.
이와 같이, 터치 패널부(30)의 측면에 가변부(200)를 끼워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터치 패널부(30)를 전자 기기 본체부(20)에 형성된 결합홈(21)에 결합하는 구조이므로, 제품의 두께를 슬림화하고, 또한, 평소(normal)에는 가변부(200)의 강성을 높아 딱딱하여 터치 패널부(30)를 고정시키고, 이로인해 제품의 이물질이 침투 방지할뿐만 아니라, 제품을 낙하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널부(30)에 터치시에는 상기 제어부(50)의 전기 신호 인가에 의해 가변부(200)의 강성을 낮게함과 아울러 유연성의 성질을 가져 터치 패널부(30)의 터치되는 면에 강한 피드팩을 제공 할뿐 아니라, 넓은 주파수 대역의 구동이 가능하고, 이로인해 제품의 다양한 햅틱 효과를 구현가능하다.
[제 2 실시예]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가변부를 구비한 햅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13 및 도 14을 참조하여 먼저, 상기 햅틱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햅틱 장치는 전자 기기 본체부(20)와, 진동 액츄에이터(31)를 포함한 터치 패널부(30)와, 가변부(100) 및 제어부(50)를 포함한다. 상기 전자 기기 본체부(20)의 상면에는 상기 터치 패널부(30) 및 상기 가변부(100)를 구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터치 패널부(30)는 사용자의 손이나 펜으로 터치할 수 있도록 상기 전자 기기 본체부(20)의 상면에 구비된다. 상기 가변부(100)는 전기 신호에 의해 팽창 또는 수축되어 상기 전자 기기 본체부(20)와 상기 터치 패널부(30) 사이의 이격 거리(L1)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전자 기기 본체부(20)의 상면 및 상기 터치 패널부(30)의 하면에 구비된다.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터치 패널부(30)의 터치 입력 유무를 감지하고, 이에 따라서 상기 가변부(100)의 전기 신호 인가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앞서 언급한 상기 전자 기기 본체부(20)는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자 기기 본체부(20)는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이외에 다른 단말기의 케이스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예컨대, 스마트폰, 컴퓨터 모니터, 네비게이션, 게임기 및 노트북등)
또한, 상기 진동 액츄에이터(31)는 압전 액츄에이터(piezoelectricity) 및 진동 모터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진동 액츄에이터(31)는 압전 액츄에이터(piezoelectricity) 및 진동 모터이외에 다른 진동 액츄에이터(31)로도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변부(100)는 에스씨피(Switchable Compliant Plate ; SCP)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변부(100)는 에스씨피(Switchable Compliant Plate ; SCP)이외에 다른 가변부(100)로도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변부(100)의 재질은 형상기억합금(Shape Memory Alloy ; SMA), 일렉트로-액티브 폴리머(Electro-Active Polymer ; EAP) 또는 일렉트로-스크리티브 폴리머(Electro-Strictive Polymer; ESP)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변부(100)의 재질은 형상기억합금(Shape Memory Alloy ; SMA), 일렉트로-액티브 폴리머(Electro-Active Polymer ; EAP) 또는 일렉트로-스크리티브 폴리머(Electro-Strictive Polymer; ESP)들 이외에 다른 재질로도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가변부(100)의 반응 수단은 상기 전기 신호이외에 열, 광, 전기장 및 자기장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변부(100)의 반응 수단은 열, 광, 전기장 및 자기장들이외 다른 반응 수단으로도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도 13 및 도 14와 같이, 상기 가변부(100)에는 상기 터치 패널부(30)의 전동 액츄에이터(31)를 삽입시키는 삽입홈(101)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 상태에서, 앞서 언급한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상기 햅틱 장치의 작동 과정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도 13과 같이, 상기 가변부(100)는 상기 터치 패널부(30)의 하부 테두리면에 부착된다. 상기 터치 패널부(30)의 하부면에는 2개의 진동 액츄에이터(31)를 부착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터치 패널부(30)는 상기 전자 기기 본체부(20)의 상면에 부착된다. 상기 가변부(100)에는 상기 터치 패널부(30)의 전동 액츄에이터(31)를 삽입시키는 삽입홈(101)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터치 패널부에 가변부(100)를 부착시킴과 동시에 상기 터치 패널부(30)의 진동 액츄에이터(31)는 상기 삽입홈(101)에 삽입된다. 상기 진동 액츄에이터(31)는 상기 삽입홈(101)에서 진동된다.
여기서, 도 13과 같이, 상기 터치 패널부(30)를 터치 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가변부(100)에 전기 신호를 인가하지 않아 수축됨과 아울러 상기 가변부(100)는 강성이 높아진다. 이때, 수축된 상기 가변부(100)는 상기 전자 기기 본체부(20)와 상기 터치 패널부(30) 사이의 이격 거리(L1)를 좁게 형성한다. 즉, 수축된 상기 가변부(100)는 상기 전자 기기 본체부(20)와 상기 터치 패널부(30) 사이의 이격 거리(L1)를 좁게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전자 기기 본체부(20)와 상기 터치 패널부(30)를 하나로 연결시키고, 이 상태에서, 상기 진동 액츄에이터(31)를 구동하면, 상기 전자 기기 본체부(20)와 상기 터치 패널부(30)가 함께 구동하여 상기 전자 기기의 전체가 진동하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상기 터치 패널부(30)을 터치할 경우, 앞서 언급한 도 14와 같이, 상기 제어부(50)는 외부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가변부(100)에 전기 신호를 인가함과 동시에 상기 가변부(100)는 팽창되어 늘어나게 된다. 이때, 팽창된 상기 가변부(100)는 상기 전자 기기 본체부(20)와 상기 터치 패널부(30) 사이의 이격 거리(L2)를 넓게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가변부(100)는 강성이 낮아진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상기 터치 패널부(30)를 터치시,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진동 액츄에이터(31)를 구동시킨다. 상기 진동 액츄에이터(31)는 팽창된 상기 가변부(100)에 의해 상기 터치 패널부(30)만 진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터치 패널부(30)의 터치면에 강한 진동 피드팩을 발생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가변부(100)는 강성 변화가 크지 않을 경우, 전기 신호 인가 유무 또는 세기에 따라 강성이 조금씩 변화시킬 수 있다. 즉, 상기 가변부(100)는 상기 전자 기기 본체부(20)와 상기 터치 패널부(30) 사이의 이격 거리(L1)(L2)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이것은 상기 터치 패널부(30)에서의 주파수 응답이 달라지는 효과를 발생시켜 진동이 최대로 나올 수 있는 공진 주파수를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의 전기 신호 인가에 의해 팽창 또는 수축되어 상기 전자 기기 본체부(20)와 상기 터치 패널부(30)의 사이 이격 거리(L1)(L2)를 가변시키는 가변부(100)를 구성함으로써, 평소에는 상기 터치 패널부(30)를 터치하지 않을시 상기 제어부(50)의 전기 신호가 상기 가변부(100)에 인가되지 않아 상기 가변부(100)는 수축됨과 아울러 강성이 높아지고, 상기 터치 패널부(30)와 상기 전자 기기 본체부(20)의 사이 이격 거리를 좁게한다. 이로인해 제품 낙하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기계적 신뢰성 및 기밀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패널부(30)를 터치시에는 상기 제어부(50)의 전기 신호를 상기 가변부(100)에 인가하여 팽창시킴과 아울러 상기 가변부(100)의 강성을 낮게 하고, 이로인해 상기 터치 패널부(30)와 전자 기기 본체부(20)의 사이 이격 거리를 넓게 하여 터치면에 강한 피드팩을 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가변부를 구비한 햅틱 장치는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전자 기기 본체부 : 20 터치 패널부 : 30
가변부 : 40, 100, 200 제어부 : 50
진동 액츄에이터 : 31

Claims (19)

  1. 가변부를 구비한 햅틱 장치에 있어서,
    전자 기기 본체부;
    상기 전자 기기 본체부에 구비되는 진동 액츄에이터를 포함한 터치 패널부;
    상기 전자 기기 본체부와 상기 터치 패널부의 사이에 구비되어 전기 신호 인가에 의해 유연성으로 가변되는 가변부; 및
    상기 터치 패널부의 터치 입력 유무를 감지하고, 이에 따라서 상기 가변부의 전기 신호 인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부는 상기 터치 패널부의 측면 둘레에 끼워 결합되고, 상기 제어부의 전기 신호 인가에 따라서 유연성으로 가변됨과 아울러 상기 터치 패널부를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진동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부를 구비한 햅틱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 본체부는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부를 구비한 햅틱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액츄에이터는 압전 액츄에이터(piezoelectricity), 및 진동 모터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부를 구비한 햅틱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부는 에스씨피(Switchable Compliant Plate ; SCP)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부를 구비한 햅틱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부의 재질은 형상기억합금(Shape Memory Alloy ; SMA), 일렉트로-액티브 폴리머(Electro-Active Polymer ; EAP) 또는 일렉트로-스크리티브 폴리머(Electro-Strictive Polymer; ESP)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부를 구비한 햅틱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부의 반응 수단은 상기 전기 신호이외에 열, 광, 전기장 및 자기장 중 어느 하나로 이루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부를 구비한 햅틱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부의 상, 하면에는 상기 전자 기기 본체부의 상면과 상기 터치 패널부의 하면에 각각 부착되는 부착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부를 구비한 햅틱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부에는 상기 터치 패널부의 전동 액츄에이터를 삽입시키는 삽입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부를 구비한 햅틱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부는 " □ " 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부를 구비한 햅틱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패널부를 터치 하지 않을 경우, 상기 가변부에 전기 신호를 인가하지 않아 상기 가변부의 강성이 높아지고, 상기 진동 액츄에이터를 구동시키면, 상기 전자 기기의 전체가 진동하게 하며,
    상기 터치 패널부를 터치할 경우, 상기 가변부에 전기 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가변부는 유연성으로 가변됨과 아울러 강성이 낮아지고, 상기 진동 액츄에이터를 구동시키면, 상기 터치 패널부만 진동하여 상기 터치 패널부의 터치면에 강한 진동 피드팩을 발생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부를 구비한 햅틱 장치.
  11. 삭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부의 둘레면에는 상기 전자 기기 본체부의 내측면과 상기 터치 패널부의 외측면에 각각 부착되는 부착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부를 구비한 햅틱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 본체부에는 상기 가변부와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부를 구비한 햅틱 장치.
  14. 가변부를 구비한 햅틱 장치에 있어서,
    전자 기기 본체부;
    상기 전자 기기 본체부에 구비되는 진동 액츄에이터를 포함한 터치 패널부;
    상기 전자 기기 본체부와 상기 터치 패널부의 사이에 구비되어 전기 신호 인가에 의해 팽창 또는 수축되어 상기 전자 기기 본체부와 상기 터치 패널부 사이의 이격 거리를 가변시키는 가변부; 및
    상기 터치 패널부의 터치 입력 유무를 감지하고, 이에 따라서 상기 가변부의 전기 신호 인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부를 구비한 햅틱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부는 에스씨피(Switchable Compliant Plate ; SCP)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부를 구비한 햅틱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부의 재질은 형상기억합금(Shape Memory Alloy ; SMA), 일렉트로-액티브 폴리머(Electro-Active Polymer ; EAP) 또는 일렉트로-스크리티브 폴리머(Electro-Strictive Polymer; ESP)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부를 구비한 햅틱 장치.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부의 반응 수단은 상기 전기 신호이외에 열, 광, 전기장 및 자기장 중 어느 하나로 이루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부를 구비한 햅틱 장치.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부에는 상기 터치 패널부의 전동 액츄에이터를 삽입시키는 삽입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부를 구비한 햅틱 장치.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패널부를 터치 하지 않을 경우, 상기 가변부에 전기 신호를 인가하지 않아 수축되어 상기 전자 기기 본체부와 상기 터치 패널부 사이의 이격 거리를 좁게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가변부의 강성이 높아지고, 상기 진동 액츄에이터를 구동시키면, 상기 전자 기기의 전체가 진동하게 하며,
    상기 터치 패널을 터치할 경우, 상기 가변부에 전기 신호를 인가하여 팽창되어 상기 전자 기기 본체부와 상기 터치 패널부 사이의 이격 거리를 넓게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가변부의 강성이 낮아지고, 상기 진동 액츄에이터를 구동시키면, 상기 터치 패널부만 진동하여 상기 터치 패널부의 터치면에 강한 진동 피드팩을 발생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부를 구비한 햅틱 장치.
KR1020110142469A 2011-12-26 2011-12-26 가변부를 구비한 햅틱 장치 KR1019112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2469A KR101911244B1 (ko) 2011-12-26 2011-12-26 가변부를 구비한 햅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2469A KR101911244B1 (ko) 2011-12-26 2011-12-26 가변부를 구비한 햅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4411A KR20130074411A (ko) 2013-07-04
KR101911244B1 true KR101911244B1 (ko) 2018-10-25

Family

ID=48988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2469A KR101911244B1 (ko) 2011-12-26 2011-12-26 가변부를 구비한 햅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12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6090A (ko) * 2018-12-19 2020-06-29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햅틱 디스플레이 장치 및 햅틱 디스플레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37839B2 (en) * 2014-12-31 2018-04-10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Feedback by modifying stiffnes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905B1 (ko) * 2008-06-03 2010-07-14 한국과학기술원 굽힘을 이용한 햅틱피드백 장치
KR101113388B1 (ko) * 2010-02-17 2012-03-05 삼성전기주식회사 햅틱 피드백 디바이스 및 전자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6090A (ko) * 2018-12-19 2020-06-29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햅틱 디스플레이 장치 및 햅틱 디스플레이 방법
KR102234240B1 (ko) 2018-12-19 2021-03-30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햅틱 디스플레이 장치 및 햅틱 디스플레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4411A (ko) 2013-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511261A (zh) 振动构造、振动装置和触觉提示装置
EP3056977B1 (en) Tactile sense presenting device
KR101436271B1 (ko) 터치 감지형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햅틱 및 오디오 피드백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US20110050598A1 (en) Touch screen device
WO2013057940A1 (ja) 電子機器
US20110032091A1 (en) Touch screen device
CN102004570B (zh) 触摸屏装置
KR20130126710A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전자 디바이스
KR20150133918A (ko) 표시장치
US20110074706A1 (en) Touch screen device
US9060438B2 (en) Electronic device and mobile terminal including the same
JP6073071B2 (ja) 電子機器
KR20130002126A (ko) 터치패널의 지지구조
KR102529804B1 (ko) 표시장치
US20120139850A1 (en) Haptic driving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20120063344A (ko) 햅틱 구동부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US20110057888A1 (en) Touch screen device
US20110050596A1 (en) Touch screen device
KR101113388B1 (ko) 햅틱 피드백 디바이스 및 전자 장치
WO2001074114A2 (en) A loudspeaker
US20110273405A1 (en) Touch screen device
CN111246354B (zh) 振动产生装置和包括该振动产生装置的电子设备
KR20200068341A (ko) 디스플레이장치
CN112346592A (zh) 显示装置
KR101911244B1 (ko) 가변부를 구비한 햅틱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