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1238B1 - 데이터 통신 기반의 골프장 관제 시스템 및 관제 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 통신 기반의 골프장 관제 시스템 및 관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1238B1
KR101911238B1 KR1020160087893A KR20160087893A KR101911238B1 KR 101911238 B1 KR101911238 B1 KR 101911238B1 KR 1020160087893 A KR1020160087893 A KR 1020160087893A KR 20160087893 A KR20160087893 A KR 20160087893A KR 101911238 B1 KR101911238 B1 KR 1019112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osition information
terminal
cart
employ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7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7361A (ko
Inventor
이정용
Original Assignee
하나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나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하나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87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1238B1/ko
Publication of KR20180007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73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1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12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9Geographical information databases
    • G06F17/3024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Remote Sens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통신을 기반으로 하여 골프장의 고객, 카트, 직원 등 제반 운영 사항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데이터 통신 기반의 골프장 관제 시스템 및 관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통신 기반의 골프장 관제 시스템은, 골프장 카트 상에 탑재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고,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카트의 현재 위치정보(이하, '제1 위치정보'라 함)를 검출하기 위한 위치정보모듈 및 데이터통신모듈을 포함하는 카트 단말과; 신체에 착용 또는 휴대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고,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수단, 소지자의 현재 위치정보(이하, '제2 위치정보'라 함)를 검출하기 위한 위치정보모듈 및 데이터통신모듈을 포함하는 직원 단말; 및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직원 단말 및 상기 카트 단말과 통신하는 데이터통신모듈, 정보의 연산, 가공 및 저장을 위한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카트 단말과 상기 직원 단말로부터 각각 상기 제1 위치정보와 상기 제2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관제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카트 단말 및 상기 직원 단말은 각자의 데이터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관제부와 메시지 또는 음성 정보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데이터 통신 기반의 골프장 관제 시스템 및 관제 방법{GOLF COURSE CONTROL SYSTEM AND METHOD BASED ON DATA COMMUNICATION}
본 발명은 골프장 관제 시스템 및 관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데이터 통신을 기반으로 하여 골프장의 고객, 카트, 직원 등 제반 운영 사항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데이터 통신 기반의 골프장 관제 시스템 및 관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골프는 또 하나의 대중 스포츠로 자리잡고 있어 골프 인구는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나 정작 골프장 그린을 방문하는 인구는 줄고 있는 상황이다.
이는, 캐디의 수작업과 경험 그리고 카트를 중심으로 진행되는 종래 골프장 운영 시스템에 기인한다. 특히 최근에는 캐디의 수급이 어려워짐에 따라 캐디 운영 소요 비용이 증가하고 있고, 젊은 캐디의 지원이 적어 고령 캐디가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골프장의 수작업에 의한 업무처리 및 비효율적인 경기 진행 등은 고객의 불편을 초래하여 비용 손실은 물론 고객 만족 서비스 제공에 있어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무전기 등을 이용하여 고객동선 확인, 노캐디 운영 등을 시도하고 있으나, 무전과 음성을 하나의 주파수로 이용하다 보니 음성 사용시 관제가 불가하고 관제를 하면 음성이 불가한 한계가 있었다.
또한, 종래 골프장 운영 시스템에 의하면, 캐디 운영이 정형화되어 있고, 관제의 대상이 카트에 있으며, 개인 골퍼들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없어 골프장 내의 플레이어를 비롯한 관련 장비, 응급상황, 플레이 중 위험 회피 등을 실시간으로 관제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한편, 골프장을 효율적을로 관리 운영하기 위해서는, 직원, 캐디, 장비 등은 물론 안전 요원, 행사 진행 요원 등과 같이 골프장과 관련된 업무를 안내 또는 처리하는 직원(이하, '골프장 요원'이라 통칭)에 대한 관리 역시 중요하며, 상기 경우 골프장 요원을 효과적으로 관리 통제하기 위해서는 실시간 의사소통, 위치파악 등이 중요하다.
그런데, 종래 종래 골프장 운영 시스템은 골프장 요원을 관제함에 있어서 다만 무전기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실시간 의사소통은 가능하나, 그 위치의 실시간 모니터링 및 분석은 불가하였고, 1개의 주파수 사용으로 송수신하는 바 18홀 기준 최대 50대가 움직일 시 대기 시간이 너무 길어 실시간 관제가 어려운 한계가 있었다.
또한, 관제센터에서 다수의 골프장 요원 전체에 공지 메시지 등을 보내거나 일부 구역의 골프장 요원만을 선택하여 메시지를 보내는 등과 같은 선택적 또는 일괄적 메시지 수발신이 불가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직원 소지의 휴대폰 통화를 이용하여 다수의 직원을 관제하는 경우도 있으나, 상기 경우 비용이 증대되어 골프장 수익 측면에 부담 요인으로 작용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캐디, 안전요원, 행사진행요원 등 골프장 내 모든 직원들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어 골프장의 경기진행, 행사진행, 응급상황, 위험 회피 등을 실시간으로 관제할 수 있는 골프장 관제 시스템 및 관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골프장 내 직원들에서 메시지 또는 음성정보를 전송할 수 있되, 메시지 또는 음성정보 전송 대상을 직원 전체, 특정 구역에 위치하는 직원 또는 특정 개인 중에서 손쉽게 그룹핑하여 선택적 또는 일괄적 전송할 수 있는 골프장 관제 시스템 및 관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통신 기반의 골프장 관제 시스템은, 골프장 카트 상에 탑재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고,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카트의 현재 위치정보(이하, '제1 위치정보'라 함)를 검출하기 위한 위치정보모듈 및 데이터통신모듈을 포함하는 카트 단말과; 신체에 착용 또는 휴대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고,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수단, 소지자의 현재 위치정보(이하, '제2 위치정보'라 함)를 검출하기 위한 위치정보모듈 및 데이터통신모듈을 포함하는 직원 단말; 및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직원 단말 및 상기 카트 단말과 통신하는 데이터통신모듈, 정보의 연산, 가공 및 저장을 위한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카트 단말과 상기 직원 단말로부터 각각 상기 제1 위치정보와 상기 제2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관제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카트 단말 및 상기 직원 단말은 각자의 데이터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관제부와 메시지 또는 음성 정보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골프장 관제 시스템 및 관제 방법에 의하면, 골프장 내 모든 직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고, 골프장 직원에 대하여 선택적 또는 일괄적으로 메시지를 수발신할 수 있으며, 딜레이 없이 바로 단독/다수 채널 간에 의사소통할 수 있어, 골프장 운영을 위한 업무처리 및 경기 진행을 효율적으로 관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골프장 관제 시스템 및 관제 방법에 의하면, 특정 구역에 대한 신속한 처리 내지 긴급 공지가 필요할 시, 해당 구역에 위치하고 있는 직원을 신속히 파악하여 업무지시 내지 메시지 전송을 수행할 수 있어, 골프장 운영 중 응급상황, 돌발위험에 대한 대처 능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골프장 관제 시스템 및 관제 방법에 의하면, 소형 단말에 탑재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위치정보모듈 및 데이터 통신을 기반으로 관제가 이루어지는 바, 큰 비용 부담없이 새로운 골프장 관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통신 기반의 골프장 관제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관제부의 주요 기능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관제부의 주요 기능의 업무 처리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관제부의 위치정보 가공 기능을 통해 생성된 매핑 화면의 일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 상에 또는 ~ 상부에" 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 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또는 상부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상에 또는 상부에" 접촉하여 있거나 간격을 두고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장점 및 특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통신 기반의 골프장 관제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관제부의 주요 기능의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골프장 관제 시스템은 직원 단말(30), 카트 단말(20), 관제부(10) 및 통신망(미도시)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카트 단말(20)은 경기 진행을 위해 플레이어와 함께 이동하는 골프장 카트 상에 탑재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어 경기 관제를 위한 제반 정보를 입출력하는 전기 전자 장치이다.
카트 단말(20)은 CPU 또는 MCU와 같은 중앙처리장치 내지 컨트롤러를 구비하고, 특히 카트의 현재 위치정보(이하, '제1 위치정보'라 함)를 검출하기 위한 위치정보모듈 및 무선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통신모듈을 구비하며, 정보의 저장을 위한 메모리, 정보 입력을 위한 입력수단, 정보 출력을 위한 출력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카트 단말(20)에 탑재되는 위치정보 모듈은 GPS 모듈일 수 있고, 상기 경우 제1 위치정보는 GPS 좌표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카트 단말(20)에 탑재되는 입력수단은 터치패널 내지 키패드일 수 있으며, 출력수단은 LCD, OLED, 전자종이와 같은 평판 디스플레이 또는 음성을 청각적으로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카트 단말(20)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먼저 카트 단말(20)은 위치정보모듈에 의해 수집되는 제1 위치정보를 관제부(1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카트 단말(20)은 입력수단을 통해 해당 홀 정보, 스코어 정보 등과 같은 경기 관련 정보를 수신 또는 입력받고, 이렇게 수신 또는 입력되는 경기 관련 정보를 관제부(1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카트 단말(20)은 출력수단을 통해 다양한 관제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데, 이러한 관제정보는 관제부(10)에 의해 생성 및 제공된다. 관제정보는 골프장 내지 경기 진행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며, 예컨대 전자지도 정보, 코스 블록도 정보, 스코어 정보, 위험구간 안내 정보와 같이 골프장 내지 경기 진행과 관련된 제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카트 단말(20)은 데이터통신모듈을 통해, 관제부(10)와 메시지 또는 음성 정보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매체'는 내장 메모리 또는 외장 메모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직원 단말(30)은 골프장의 경기 보좌 직원(예컨대, 캐디), 안전 요원, 행사 진행 요원 등과 같이 골프장과 관련된 업무를 안내 또는 처리하는 직원이 소지하는 단말로서, 신체에 착용 또는 휴대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어 관제부(10)로터 관제정보를 제공받는 전기 전자 장치이다.
직원 단말(30)은 CPU 또는 MCU와 같은 중앙처리장치 내지 컨트롤러를 구비하고, 특히 직원 단말(30) 소지자의 현재 위치정보(이하, '제2 위치정보'라 함)를 검출하기 위한 위치정보모듈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통신모듈을 구비하며, 정보의 저장을 위한 메모리, 정보 입력을 위한 입력수단, 정보 출력을 위한 출력수단 및 음성 통화의 송수신을 위한 송수화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직원 단말(30)에 탑재되는 위치정보 모듈은 GPS 모듈일 수 있고, 상기 경우 제2 위치정보는 GPS 좌표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직원 단말(30)에 탑재되는 입력수단은 터치패널 내지 키패드일 수 있으며, 출력수단은 LCD, OLED, 전자종이와 같은 평판 디스플레이 또는 음성을 청각적으로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직원 단말(30)은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 가능한 밴드 내지 시계 형태, 또는 얼굴에 착용 가능한 안경 내지 귀걸이 형태로 이루어진 웨어러블 기기(Wearable Device)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직원 단말(30)은 데이터통신모듈을 통해, 관제부(10)와 메시지 또는 음성 정보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직원 단말(30)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먼저 직원 단말(30)은 위치정보모듈에 의해 수집되는 제2 위치정보를 관제부(1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직원 단말(30)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활성화 후 입력수단 또는 송수화부를 통해 입력되는 메시지 또는 음성 정보를 관제부(10)로 전송하고, 관제부(10)로부터 수신되는 관제정보를 출력수단을 통해 외부로 표출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직원 단말(30)의 출력수단을 통해 출력되는 관제정보는 후술할 관제부(10)에 의해 생성 제공되는 정보로서, 예컨대 전자지도 정보, 코스 블록도 정보, 스코어 정보, 위험구간 안내 정보와 같이 골프장 내지 경기 진행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직원 단말(30)의 소지자가 캐디일 경우, 직원 단말(30)은 카트 단말 (20)과 연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경우, 직원 단말(30)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경기 진행 정보(예컨대, 스코어 정보)를 이에 연동된 카트 단말(20)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연동 직원 단말(30)로부터 스코어 정보 정보를 제공받은 카트 단말(20)은 해당 정보를 관제부(1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관제부(10)는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직원 단말(30) 및 카트 단말(20)과 통신하는 무선통신모듈, 정보의 연산, 가공 및 저장을 위한 서버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음성 통화의 송수신을 위한 송수화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관제부(10)는 카트 단말(20)과 직원 단말(30)로부터 각각 제1 위치정보와 제2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며, 상기 제1 위치정보 또는 상기 제2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가공된 전자지도를 이용하여 직원 단말(30) 또는 카트 단말(20)에게 선택적 또는 일괄적으로 메시지 또는 음성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관제부(10)에 의한 제1 및 제2 위치정보의 가공은 해당 위치 정보가 나타내는 위치를 전자지도 상에 출력한 후 이 전자지도에 표출된 좌표값들을 선택하여 좌표별 순서로 해당 위치정보(즉, 좌표값)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관제부(10)에 의한 메시지 또는 음정 정보의 송수신은 이렇게 생성되는 전자지도를 기반으로 수행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관제부(10)는 플레이어 또는 카트의 현 위치를 나타내는 전자지도 정보 외에 스코어 정보, 위험구간 안내 정보를 더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경우, 관제부(10)는 직원 단말(30) 내지 카트 단말(20)을 통해 해당 플레이어의 스코어 정보를 실시간 전송받아 기록하고, 이후 플레이어 내지 캐디가 경기 도중 내지 종료 후 본인 내지 참가자의 스코어를 열람하고자 할 경우, 캐디는 본인 소지의 직원 단말(30) 또는 카트 단말(20)을 통해 관제부(10)에 스코어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즉, 관제부(10)에 요청시, 관제부(10)는 해당 플레이어 또는 해당 그룹에 대하여 현재까지 기록한 스코어 정보를 검색하여, 이를 요청한 직원 단말(30) 내지 카트 단말(20)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관제부의 주요 기능의 업무 처리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관제부(10)는 위치정보 수집 기능, 위치정보 가공 기능 및 관제정보 송수신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관제부(10)의 위치정보 수집 기능은 카트 단말(20) 및(또는) 직원 단말(30)에 탑재된 위치정보 모듈을 이용하여, 해당 카트 및(또는) 소지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집하도록 구성된다.
즉, 카트 단말(20) 및 직원 단말(30)이 자체 탑재된 GPS 모듈을 통해 현 위치에 대한 GPS 좌표를 획득(S10)하고, 이렇게 획득된 GPS 좌표는 해당 단말에 탑재된 무선 통신모듈을 통해 관제부(10)로 실시간 전송(S20)된다.
그리고, 관제부(10)는 각 카트 단말(20) 및 직원 단말(30)로부터 실시간 수신(S20)되는 위치정보를 서버에 저장할 수 있다.
관제부(10)의 위치정보 가공 기능은 골프장 그린을 표시하는 전자지도에 제1 위치정보 또는 제2 위치정보가 나타내는 위치를 매핑하는 위치정보 매핑 단계(S30) 및 전자지도 상의 상기 제1 위치정보 또는 제2 위치정보가 매핑된 지점을 아이콘 형태로 표출하는 위치정보 아이콘 생성 표시단계(S35)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자지도에 표출되는 좌표를 서버에 저장하는 매핑정보 저장 단계(S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각 카트들의 현재 위치가 실시간으로 표출되는 전자지도를 생성하고자 할 경우에는 제1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위치정보 매핑 단계(S30)를 수행하고, 각 직원들의 현재 위치가 실시간으로 표출되는 전자지도를 생성하고자 할 경우에는 제2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위치정보 매핑 단계(S30)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정보 매핑 단계(S30)는 관제부(10)가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전자맵 자료와 카트 단말(20)(또는 직원 단말(30))로부터 제공받은 제1 위치정보(또는 제2 위치정보)를 판독한 후, 해당 위치정보(즉, 좌표값)가 나타내는 위치를 전자지도 상에 출력하는 매핑을 수행한다.
그리고, 관제부(10)는 전술한 위치정보(좌표값)의 매핑(S30)이 완료되면, 해당 전자지도 상의 각 위치정보가 매핑되어 있는 지점 상에, 또는 그 매핑 지점을 나타낼 수 있는 영역 상에 아이콘 형태(이하, '위치정보 아이콘'이라 함)의 이미지를 생성하여 상기 각 매핑 지점을 전자지도 상에 시각적으로 표출(S35)하도록 구성된다.
매핑정보 저장 단계(S40)는 단계 'S30'를 통해 전자지도 상에 표출된 좌표값들을 선택하여 좌표별 순서로 관제부(10)의 서버에 저장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매핑정보 저장 단계(S40)가 완료되면, 좌표별 순서로 각 카트(또는 각 직원)의 위치정보가 정렬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 및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관제부의 위치정보 가공 기능을 통해 생성된 매핑 화면의 일례로서, 각 카트 단말(20)로부터 전송되는 제1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전자지도 매핑 단계를 수행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매핑 화면은 각 카트 단말(20)로부터 전송된 제1 위치정보가 전자지도(50) 상에 매핑되고, 각 매핑 지점에는 각각의 제1 위치정보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위치정보 아이콘들(52)이 표출되어 있다. 즉, 매핑 화면의 전자지도(50) 상에 출력되는 각 위치정보 아이콘(52)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각 카트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지점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만약, 매핑 화면을 생성함에 있어서, 각 직원 단말(30)로부터 전송된 제2 위치정보를 이용한다면, 도 4 실시예의 매핑 화면의 전자지도(50) 상에는 제2 위치정보들이 매핑되고, 각 매핑 지점에는 각각의 제2 위치정보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위치정보 아이콘(52)이 표시 배열된다. 따라서 상기 경우 매핑 화면의 전자지도(50) 상에 출력되는 각 위치정보 아이콘(52)은 직원 단말(30)을 소지하고 있는 각 직원이 현재 위치하고 있는 지점을 나타내게 된다.
관제부(10)의 관제정보 송수신 기능은 위치정보 가공 기능에 의해 구축된 자료(특히, 도 4 실시예의 매핑 화면)를 이용하여, 캐디, 안전요원, 행사진행요원 등과 같은 골프장의 직원에게 선택적 또는 일괄적으로 메시지 또는 음성정보를 송수신하는 기능이다.
세부적으로, 관제정보 송수신 기능은 메시지의 선택적 또는 일괄적 전송을 위한 메시지 전송 기능과, 음성정보 송수신 기능으로 구분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메시지 전송 기능은 위치정보 아이콘 선택 단계(S50), 메시지 입력 단계(S51), 단말 검색 단계(S52), 메시지 전송 단계(S53)를 포함하고, 메시지 수신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정보 아이콘 선택 단계(S50)는 전자지도(50)에 표출되는 다수의 위치정보 아이콘(52)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아이콘을 선택받는 단계이다.
메시지 입력 단계(S51)는 단계 'S50'에 의해 선택된 위치정보 아이콘(52)에 대응하는 직원(예컨대, 캐디, 안전요원, 행사요원 등)에게 전송할 메시지 등의 관제정보를 입력하는 단계이다.
단말 검색 단계(S52)는 단계 'S51'을 통해 작성된 메시지를 전송할 직원을 검색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메시지 전송 대상은 선택된 위치정보 아이콘(52)에 대응하는 직원(이하, '수신 직원'이라 함)이며, 상기 수신 직원은 전자지도(50)에 매핑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검색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수신 직원이 카트 단말(20)을 관리하는 캐디라면, 전자지도(50)에 매핑된 위치정보는 카트 단말(20)로부터 수집되는 제1 위치정보로 구성되고, 선택된 위치정보 아이콘(이하, '제1 아이콘'이라 함)은 특정 카트 단말의 제1 위치정보를 갖고 있는 아이콘에 해당한다.
따라서, 관제부(10)가 상기 제1 아이콘을 선택받아 메시지가 입력되면, 관제부(10)는 제1 아이콘에 매칭되어 있는 제1 위치정보를 검출한 후, 상기 제1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위치에 있는 카트 단말(20)로 해당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만약, 수신 직원이 안전요원, 행사요원 등의 직원 단말(30) 소지자라면, 전자지도(50)에 매핑된 위치정보는 직원 단말(30)로부터 수집되는 제2 위치정보로 구성되고, 선택된 위치정보 아이콘(이하, '제2 아이콘'이라 함)은 특정 직원 단말의 제2 위치정보를 갖고 있는 아이콘에 해당한다.
따라서, 관제부(10)가 상기 제2 아이콘을 선택받아 메시지가 입력되면, 관제부(10)는 제2 아이콘에 매칭되어 있는 제2 위치정보를 검출한 후, 상기 제2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위치에 있는 직원 단말(30)로 해당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더 나아가, 만약 관제부(10)가 복수 개의 위치정보 아이콘(52)을 선택하면, 선택된 복수의 위치정보 아이콘(52)에 각각 매칭되어 있는 제1 위치정보 또는 제2 위치정보를 각각 검출한 후, 상기 제1 또는 제2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위치에 있는 복수의 카트 단말(20) 또는 직원 단말(30)로 해당 메시지를 일괄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관제부(10)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카트 단말(20) 또는 직원 단말(30)은 해당 단말에 탑재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해당 메시지를 수신하여 외부에 표시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메시지 수신 단계는 임의의 직원 단말(30) 또는 카트 단말(20)이 메시지를 작성하여 관제부(10)로 전송시, 관제부(10)가 이를 수신하여 관제부(10)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관리자에게 표시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관제부(10)는 해당 메시지를 전송한 카트 단말(20) 또는 직원 단말(30)의 위치정보를 함께 표시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음성정보 송수신 기능은 위치정보 아이콘 선택 단계 (S60), 음성 통화 요청 단계(S61), 단말 검색 단계(S62), 음성 통화 시도 단계 (S63)를 포함한다.
위치정보 아이콘 선택 단계(S60)는 전자지도(50)에 표출되는 다수의 위치정보 아이콘(52)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아이콘을 선택받는 단계이다.
음성 통화 요청 단계(S61)는 단계 'S60'에 의해 선택된 위치정보 아이콘(52)에 대응하는 직원(예컨대, 캐디, 안전요원, 행사요원 등)과 데이터 음성 통화가 가능하도록, 목적하는 카트 단말(20) 또는 직원 단말(30)과의 음성 통화 연결을 관리자로부터 요청받는 단계이다.
단말 검색 단계(S62)는 단계 'S61'에 의해 요청된 음성 통화 연결 대상 즉 직원 단말(30) 또는 카트 단말(20)을 검색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음성 통화 대상은 선택된 위치정보 아이콘(52)에 대응하는 직원(이하, '응답 직원'이라 함)이며, 상기 응답 직원은 전자지도(50)에 매핑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검색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응답 직원이 카트 단말(20)을 관리하는 캐디라면, 전자지도(50)에 매핑된 위치정보는 카트 단말(20)로부터 수집되는 제1 위치정보로 구성되고, 선택된 위치정보 아이콘(이하, '제1 아이콘'이라 함)은 특정 카트 단말의 제1 위치정보를 갖고 있는 아이콘에 해당한다.
따라서, 관제부(10)가 상기 제1 아이콘을 선택받아 음성 통화 연결 요청을 받게되면, 관제부(10)는 제1 아이콘에 매칭되어 있는 제1 위치정보를 검출한 후, 상기 제1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위치에 있는 카트 단말(20)에게 데이터 음성 통화 연결을 시도하도록 구성된다.
만약, 응답 직원이 안전요원, 행사요원 등의 직원 단말(30) 소지자라면, 전자지도(50)에 매핑된 위치정보는 직원 단말(30)로부터 수집되는 제2 위치정보로 구성되고, 선택된 위치정보 아이콘(이하, '제2 아이콘'이라 함)은 특정 직원 단말의 제2 위치정보를 갖고 있는 아이콘에 해당한다.
따라서, 관제부(10)가 상기 제2 아이콘을 선택받아 음성 통화 연결 요청 (S61)을 받게되면, 관제부(10)는 제2 아이콘에 매칭되어 있는 제2 위치정보를 검출한 후, 상기 제2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위치에 있는 직원 단말(30)에게 데이터 음성 통화 연결을 시도(S63)하도록 구성된다.
더 나아가, 만약 관제부(10)가 복수 개의 위치정보 아이콘(52)을 선택하면, 선택된 복수의 위치정보 아이콘(52)에 각각 매칭되어 있는 제1 위치정보 또는 제2 위치정보를 각각 검출한 후, 상기 제1 또는 제2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위치에 있는 복수의 카트 단말(20) 또는 직원 단말(30)에게 일괄적으로 데이터 음성 통화 연결을 시도(S63)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카트 단말(20) 또는 직원 단말(30)은 그에 탑재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데이터 음성 통화를 요청하는 관제부(10)와 통화 연결 및 진행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관제부(10)는 예컨대 특정 구역에 긴급 내지 응급상황이 발생하여 해당 구역에 위치하고 있는 직원에게 긴급 공지를 일괄적으로 전달하거나 또는 음성 통화하고자 할 경우, 매핑 화면을 통해 해당 위치에 있는 직원을 바로 파악하여 긴급 메시지 내지 음성 통화를 신속하게 일괄 전송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골프장 운영 중 발생하는 응급상황, 돌발위험에 대한 대처 능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관제부(10)는 위치정보 관리 기능을 더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위치정보 관리 기능은 전자지도(50) 상에 표출되는 각 카트 단말(20) 또는 직원 단말(30)의 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카트 단말(20) 또는 직원 단말(30)의 위치정보에 변경 사항이 있을 시, 상기 변경 사항을 상기 전자지도(50)에 반영하여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관제부(10)의 위치정보 가공 기능은 골프장의 각 코스를 블록화하여 나타낸 코스 블록도에 제1 위치정보 또는 제2 위치정보가 나타내는 위치를 매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스 블록도 상에 표출되는 좌표를 서버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 매핑 및 저장 단계는 전술한 전자지도(50) 상에 위치정보를 매핑(S30)하고 그 정보를 저장(S40)하는 단계와 동일하고, 다만 매핑 대상이 전자지도(50) 대신 코스 블록도로 대체되는 것이 차이점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관제부(10), 직원 단말(30) 및 카트 단말(20)은 통신망을 통해 상호 위치정보를 비롯한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하게 되는데, 여기서 상기 통신망은 무선 통신망일 수 있다. 대표적인 예로, 통신망은 제3세대 이동통신(3G)망, 제4세대 이동통신(LTE,4G)망을 비롯하여 와이브로(WiBro)망, 와이파이(Wifi)망, 블루투스, GPS(RS-232C), TCP/IP(서버통신) 등과 같이 공지된 근거리/원거리 무선 통신망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골프장 관제 시스템은 전술한 직원 단말(30), 카트 단말(20) 및 관제부(10) 외에 ERP 시스템(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ERP 시스템(40)은 관제부(10)의 서버에 저장 기록되는 정보를 제공받아 골프장 운영을 위한 자원 및 물류를 통합적으로 연계 및 관리할 수 있도록 기능하는 시스템을 지칭한다.
이러한 ERP 시스템(40)은 예컨대 TCP 통신을 통해 관제부(10) 서버와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그러한 용어는 오로지 본 발명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 및 기술된 용어는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이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10: 관제부 20: 카트 단말
30: 직원 단말 40: ERP 시스템
50: 전자지도 52: 위치정보 아이콘

Claims (5)

  1. 골프장 카트에 탑재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고, 카트의 현재 위치정보(이하, '제1 위치정보'라 함)를 검출하기 위한 위치정보모듈 및 데이터통신모듈을 포함하는 카트 단말; 신체에 착용 또는 휴대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고, 소지자의 현재 위치정보(이하, '제2 위치정보'라 함)를 검출하기 위한 위치정보모듈 및 데이터통신모듈을 포함하는 직원 단말; 및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직원 단말 및 상기 카트 단말과 통신하는 데이터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카트 단말과 상기 직원 단말로부터 각각 상기 제1 위치정보와 상기 제2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관제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제부는,
    상기 제1 위치정보 또는 상기 제2 위치정보를 가공하는 위치정보 가공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위치정보 가공 기능은,
    골프장 그린을 표시하는 전자지도에 상기 제1 위치정보 또는 상기 제2 위치정보가 나타내는 위치를 매핑하는 위치정보 매핑단계; 및
    상기 전자지도 상의 상기 제1 위치정보 또는 상기 제2 위치정보가 매핑된 지점에, 상기 제1 위치정보 또는 제2 위치정보가 매칭되어 있는 아이콘 형태의 이미지(이하, '위치정보 아이콘'이라 함)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위치정보 아이콘 표시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정보 매핑단계는,
    관리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1 위치정보 또는 상기 제2 위치정보 중 어느 한 종류의 위치정보가 나타내는 위치를 상기 전자지도에 매핑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관제부는,
    상기 카트 단말 또는 상기 직원 단말에게 관제정보를 전송하는 관제정보 송수신 기능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관제정보 송수신 기능은,
    상기 전자지도에 표시되는 다수의 상기 위치정보 아이콘 중에서 어느 하나의 위치정보 아이콘을 선택받고, 메시지를 입력받는 단계; 및
    선택된 상기 위치정보 아이콘에 매칭되어 있는 상기 제1 위치정보 또는 상기 제2 위치정보를 검출한 후, 상기 제1 위치정보 또는 상기 제2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카트 단말 또는 직원 단말에게 상기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관제정보 송수신 기능은,
    상기 다수의 위치정보 아이콘 중 복수 개가 연속으로 선택될 시, 선택된 상기 복수 개의 위치정보 아이콘에 각각 매칭되는 상기 제1 위치정보 또는 상기 제2 위치정보를 각각 검출한 후, 상기 제1 또는 제2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카트 단말들 또는 직원 단말들 모두에게 상기 메시지를 일괄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기반의 골프장 관제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정보 송수신 기능은,
    상기 메시지 대신 음성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카트 단말 또는 직원 단말에게 상기 음성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기반의 골프장 관제 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부는,
    상기 제1 위치정보 또는 상기 제2 위치정보에 변경 사항이 있을 시, 상기 변경 사항을 상기 전자지도에 반영하여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기반의 골프장 관제 시스템.
KR1020160087893A 2016-07-12 2016-07-12 데이터 통신 기반의 골프장 관제 시스템 및 관제 방법 KR1019112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7893A KR101911238B1 (ko) 2016-07-12 2016-07-12 데이터 통신 기반의 골프장 관제 시스템 및 관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7893A KR101911238B1 (ko) 2016-07-12 2016-07-12 데이터 통신 기반의 골프장 관제 시스템 및 관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7361A KR20180007361A (ko) 2018-01-23
KR101911238B1 true KR101911238B1 (ko) 2018-10-26

Family

ID=61070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7893A KR101911238B1 (ko) 2016-07-12 2016-07-12 데이터 통신 기반의 골프장 관제 시스템 및 관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123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74248A (ja) * 2003-03-06 2004-09-30 Japan Research Institute Ltd ゴルフ情報システムおよびゴルフ情報送信方法
KR101119634B1 (ko) * 2011-04-15 2012-03-16 인성데이타(주) 위치기반서비스 기반의 통신형 골프안내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이에 사용되는 gps 골퍼단말기
KR101443331B1 (ko) * 2013-05-29 2014-09-26 정선태 골프 게임 운영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6249B1 (ko) * 2010-02-17 2011-09-20 (주)트라이앵글씨엔씨 무선데이터 통신과 무선랜을 이용한 골프장 운영 및 관리제어 시스템과 그 관리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74248A (ja) * 2003-03-06 2004-09-30 Japan Research Institute Ltd ゴルフ情報システムおよびゴルフ情報送信方法
KR101119634B1 (ko) * 2011-04-15 2012-03-16 인성데이타(주) 위치기반서비스 기반의 통신형 골프안내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이에 사용되는 gps 골퍼단말기
KR101443331B1 (ko) * 2013-05-29 2014-09-26 정선태 골프 게임 운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7361A (ko) 2018-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06668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rvice tracking
CN207611468U (zh) 一种用户区域人员检测的安全电子围栏系统
CN109478267B (zh) 基于观察的事件跟踪
KR101965158B1 (ko) 실시간 작업자 위치 및 신체 상태 추적 기반의 안전 관리 시스템
US20180172835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user with an indication of position
CN102264028A (zh) 一种定位及监控方法
CN103340487A (zh) 可应用卫星遥感实时定位的功能鞋系统及其定位方法
US20170132900A1 (en) Monitoring zone escape remot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for
CN110019626A (zh) 一种人口分布信息的确定方法及相关装置
CN202135327U (zh) 一种定位及监控系统
EP390798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shoulder speaker microphone device with an integrated thermal imaging device
KR20160141537A (ko) 구역별 위치 추적 시스템
JP2012215984A (ja) 自動体外式除細動器監視・探索システム、自動体外式除細動器誘導システム及び自動体外式除細動器監視センタ並びに自動体外式除細動器監視方法
CN107105411A (zh) 一种基于智能开关面板的移动智能终端轨迹监测系统和方法
CN110443562A (zh) 一种定位考勤管理方法及系统
KR101911238B1 (ko) 데이터 통신 기반의 골프장 관제 시스템 및 관제 방법
JP5122413B2 (ja) 安否確認システムおよび監視センタ装置
KR101147371B1 (ko) 지하철 성추행발생 신고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07360A (ko) 위치정보 기반의 골프장 관제 시스템 및 관제 방법
KR100911806B1 (ko) 골프장 시설물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골프장 시설물관리방법
JP2013168004A (ja)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KR20130039609A (ko) 구조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구조요청 스마트단말기와 구조 스마트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해양 구조 시스템.
KR102375484B1 (ko) 현장안전 관제 시스템
JP2019191856A (ja) 警備システム及び警備方法
KR20040012289A (ko) 위치정보를 이용한 골프장관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