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0691B1 - 평형수 서비스 전용 육상 설비 - Google Patents

평형수 서비스 전용 육상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0691B1
KR101910691B1 KR1020140190573A KR20140190573A KR101910691B1 KR 101910691 B1 KR101910691 B1 KR 101910691B1 KR 1020140190573 A KR1020140190573 A KR 1020140190573A KR 20140190573 A KR20140190573 A KR 20140190573A KR 101910691 B1 KR101910691 B1 KR 101910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ast water
line
service
valv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0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9340A (ko
Inventor
박주헌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90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0691B1/ko
Publication of KR20160079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93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0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06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4/00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neutralisation; pH adjus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형수 서비스 수요 선박(50)의 요구에 따라 평형수를 공급, 회수 및 해양 배출 서비스를 제공하는 평형수 서비스 전용 육상 설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해수 저장조(5), 취수라인(6) 및 취수펌프(6b)와, 제조한 서비스용 평형수나 회수한 선박평형수를 저장하기 위한 평형수 저장조(10)와, 해수 저장조(5)의 출수 라인(8)과 평형수 저장조(10)를 연결하는 메인 유입라인(110)과, 메인 유입라인(110) 상에 설치되는 메인 펌프(120)와, 메인 유입라인(110)을 흐르는 해수를 살균하는 살균처리장치를 포함하는 평형수 처리 시스템(100)을 포함하며; 평형수 저장조(10)에 저장되어 있는 서비스용 평형수를 서비스 수요 선박(50)에 제공하기 위한 공급 라인의 구성을, 메인 유입라인(110)에 제1, 2, 4 밸브(V1, V2, V4)를 설치하고, 제2 밸브(V2)와 상기 평형수 조장조(10) 입구 사이로부터 제1 밸브(V1)와 상기 메인 펌프(120) 입구 사이를 우회 연결하는 서비스용 평형수 흡입라인(111)을 설치하며, 메인 펌프(120)의 출구 측과 제4 밸브(V4) 사이의 메인 유입라인(110)에 평형수 서비스 라인(300)을 접속하여 시설 외부로 연장하여 구성하고; 서비스 수요 선박(50)으로부터 선박평형수를 회수하기 위한 회수 라인의 구성을, 평형수 서비스 라인(300)과 메인 펌프(120) 입구를 우회 연결하는 선박평형수 회수라인(310)을 설치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평형수 서비스 전용 육상 설비{Ballast Water Service Facility on Land}
본 발명은 평형수 서비스 전용 육상 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평형수 처리 시스템과 평형수 저장 공간을 갖추고 항구에 접안한 서비스 수요 선박의 요구에 따라 미리 제조하여 저장해 놓은 평형수를 제공하거나 서비스 수요 선박으로부터 평형수를 회수하여 재처리, 저장 및 배출하는 전용 설비를 구축하여, 굳이 선박마다 평형수 처리 설비를 갖추지 않더라도 평형수의 처리, 주입 및 배출을 가능하게 하고, 평형수 처리 설비를 갖추기 위한 공간을 적재 공간이나 다른 유용한 공간으로 설계할 수 있도록 하여 선박 건조 및 운용 비용을 최소화하고 해상 운송 비용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선박은 화물의 양에 따라 배 아래나 좌우에 마련한 밸러스트 탱크에 채워넣는 해수의 양을 조절하여 선박의 무게중심의 변동을 최소화함으로써 선박의 균형을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선박 평형수 처리 시스템은, 이처럼 해수를 채웠다가 배출하는 과정에서 특정 해역의 생물 또는 병원균 등을 다른 해역으로 옮겨 해양 생태계를 교란하거나 파괴하는 폐단을 방지하기 위해, 밸러스트 탱크에 채울 때나 배출할 때 선박 평형수에 포함된 해양 생물이나 병원균을 제거하는 설비이다.
선박 평형수를 살균하는 방식으로서는 전기분해를 통해 생성한 전해수(electrolytic water)(예를 들어, 차아염소산수)를 밸러스트 탱크에 유입되는 해수에 주입하는 전기분해 처리방식과 밸러스트 탱크에 유입되는 해수를 자외선 반응기에서 살균 처리하는 자외선 처리방식 등이 알려져 있으며, 여러 가지 처리 방식의 시스템을 병행 또는 조합하여 운용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국제해사기구(IMO)의 관련협약 채택에 기초하여 선박의 평형수(Ballast Water) 처리 시스템의 장착이 의무화되고 있고, 미국의 경우에는 이미 자국에 입항하는 모든 선박에 대해 밸러스트 처리 시스템의 장착을 의무화시켰으며, 그에 따라 선주들 역시 밸러스트 처리 시스템을 갖추어 건조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다른 해역을 왕래하는 모든 선박에는 선박 평형수 처리 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하고 안정성도 인증받아야 함으로써, 선박 건조를 발주하는 선주들에게는 비용적으로 부담이 되고, 선박 평형수 처리 시스템을 구축하는 만큼 화물 적재 공간을 희생할 수밖에 없으며, 제한적인 적재 공간에 의해 운송 비용도 증가하는 폐단이 있다.
예를 들어, 선박 평형수 처리 시스템은, 해수의 취수, 공급, 처리, 저장 및 배출을 위한 각종의 배관 시스템과, 펌프 등의 취수 설비, 해수를 처리하기 위한 전해조 또는 자외선 반응기 설비, 중화제 공급 설비, 필터 설비, 각종의 밸브 기구 및 모니터링 설비 등을 선박 내에 설치하여 하고, 폭발 방지 등의 안전 설계와 안전 설비도 병행하여 갖추어야 함으로써 설비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공간도 많이 차지하게 된다.
또한, 실제로 선박을 운용할 때에는 선박 평형수 처리 시스템의 가동과 유지 및 보수를 위한 추가 비용을 감내하여야 하며, 선박 평형수 처리 시스템의 운용을 위한 전문가들을 선박에 배치하여야 한다.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066674호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7-004311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개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평형수 처리 시스템과 평형수 저장 공간을 갖추어 평형수를 생산하여 미리 저장해 두었다가 항구에 접안중인 서비스 수요 선박의 요구에 따라 평형수를 제공하거나 서비스 수요 선박으로부터 평형수를 회수하여 재처리, 저장 및 배출할 수 있는 평형수 서비스 전용 육상 설비를 제공함으로써, 굳이 선박마다 평형수 처리 설비를 갖추지 않더라도 평형수의 처리, 주입, 배출을 가능하게 하고, 평형수 처리 설비를 갖추기 위한 공간을 적재 공간이나 다른 유용한 공간으로 설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선박의 건조 및 운용 비용을 최소화하고 운송 비용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평형수 서비스 전용 육상 설비는, 서비스용 평형수의 평형수의 공급이나 선박평형수의 회수 서비스가 필요한 평형수 서비스 수요 선박(50)의 요구에 따라 평형수를 공급, 회수 및 해양 배출 서비스를 제공하는 평형수 서비스 전용 육상 설비로서, 해양으로부터 해수를 취수하여 저장하기 위한 해수 저장조(5) 및 상기 해수 저장조(5)의 취수라인(6)에 설치되는 취수펌프(6b)와, 해수를 처리하여 만든 서비스용 평형수를 저장하거나 선박으로부터 회수한 선박평형수를 저장하기 위한 복수의 평형수 저장조(10)와, 상기 해수 저장조(5)의 출수 라인(8)과 상기 평형수 저장조(10)를 연결하는 메인 유입라인(110)과, 상기 메인 유입라인(110) 상에서 상기 해수 저장조(5)에 저장된 해수를 펌핑 하여 상기 평형수 저장조(10)에 보내는 메인 펌프(120)와, 상기 메인 유입라인(110)을 흐르는 해수를 살균하는 살균처리장치를 포함하는 평형수 처리 시스템(100)을 포함하며; 상기 평형수 저장조(10)에 저장되어 있는 서비스용 평형수를 서비스 수요 선박(50)에 제공하기 위한 공급 라인의 구성을, 상기 취수구(102)와 메인 펌프(120) 입구 사이의 메인 유입라인(110)에는 제1 밸브(V1)를, 상기 평형수 저장조(10)의 입구측의 메인 유입라인(110)에는 제2 밸브(V2)를, 상기 메인 펌프(120)의 출구 측 메인 유입라인(110)에는 제4 밸브(V4)를 설치하고, 상기 제2 밸브(V2)와 상기 평형수 조장조(10) 입구 사이의 메인 유입라인(110)의 한 지점과 상기 제1 밸브(V1)와 상기 메인 펌프(120) 입구 사이의 메인 유입라인(110)의 한 지점을 우회 연결하는 서비스용 평형수 흡입라인(111) 및 제3 밸브(V3)를 설치하며, 상기 메인 펌프(120)의 출구 측과 제4 밸브(V4) 사이의 메인 유입라인(110)에 서비스 수요 선박(50)에 연결하기 위한 평형수 서비스 라인(300)을 접속하여 시설 외부로 연장하여 구성하고; 서비스 수요 선박(50)으로부터 선박평형수를 회수하기 위한 회수 라인의 구성을, 상기 평형수 서비스 라인(300)의 한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1 밸브(V1)와 상기 메인 펌프(120) 입구 사이의 메인 유입라인(110)의 한 지점을 우회 연결하는 선박평형수 회수라인(310)을 설치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평형수 서비스 전용 육상 설비에 있어서, 상기 메인 유입라인(110)의 말단 하류에서 복수의 평형수 주입라인(200)을 분기하여 상기 복수의 평형수 저장조(10) 각각에 독립적으로 연결하고, 각각의 평형수 주입라인(200)마다 주입통로 개폐밸브(202)를 설치하며, 상기 주입통로 개폐밸브(202)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것에 의해, 서비스용 평형수를 저장할 평형수 저장조(10)를 선택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평형수 서비스 전용 육상 설비에 있어서, 상기 평형수 서비스 라인(300)의 말단에는 서비스 헤드(400)가 연장되며, 상기 서비스 헤드(400)의 말단에는 서비스 수요 선박(50)의 서비스 접속단(52)에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402)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평형수 서비스 전용 육상 설비에 있어서, 제2 밸브(V2)의 상류이면서 제4 밸브(V4)의 하류측의 메인 유입라인(110)에 여과용 필터 유닛(130)을 설치하여, 해수 및 서비스 수요 선박(50)으로부터 회수된 선박평형수를 여과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밸브(V2)의 상류이면서 상기 필터 유닛(130)의 하류측의 메인 유입라인(110)에 제5 밸브(V5)를 설치하고; 상기 메인 유입라인(110)의 평형수 서비스 라인(300) 접속지점과 제4 밸브(V4) 사이의 한 지점으로부터 제5 밸브(V5)와 제2 밸브(V2) 사이의 한 지점을 우회 연결하는 평형수 우회 라인(112)을 설치하고, 평형수 우회 라인(112)에 제6 밸브(V6)를 설치하며; 상기 제4, 5 밸브(V4, V5)와 상기 제6 밸브(V6)의 선택적 개폐에 따라 서비스 수요 선박(50)으로부터 회수한 선박평형수와 평형수 저장조(10)로부터 흡입한 서비스용 평형수의 흐름 경로를 상기 필터 유닛(130)을 경유하는 경로나 상기 평형수 우회 라인(112)을 경유하는 경로 중에서 선택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5 밸브(V5)와 제2 밸브(V2) 사이의 메인 유입라인(110)의 한 지점으로부터 드레인 라인(72)을 분기하고, 분기한 드레인 라인(72)에 제7 밸브(V7)를 설치하여, 제2 밸브(V2)와 제7 밸브(V7)의 선택적 개폐에 따라 서비스 수요 선박(50)으로부터 회수한 선박평형수를 서비스용 평형수 저장조(10)로 보내 저장하거나 드레인 라인(72)을 통해 해양으로 배출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살균처리장치는, 전해조 유닛(150)에서 제조된 전해수를 전해수 주입라인(152)을 통해 메인 유입라인(110)에 주입하는 전기분해 방식의 살균처리장치(140a)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해수 주입라인(152)은, 상기 드레인 라인(72) 접속지점 상류측의 메인 유입라인(110)에 접속되어, 메인 유입라인(110)을 통해 평형수 저장조(10)로 들어가거나 상기 드레인 라인(72)을 통해 해양으로 버려지는 서비스용 평형수와 선박평형수를 모두 살균처리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평형수를 중화시켜 배출하기 위한 중화제 공급유닛(160)이 더 설치되고, 상기 중화제 공급유닛(160)의 중화제 투입라인(162)을 상기 드레인 라인(72)에 접속하여, 해양으로 버려지는 서비스용 평형수 및 선박평형수를 중화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살균처리장치는, 자외선을 조사하여 살균하는 자외선 살균처리장치(140b)로 이루어지고; 상기 자외선 살균처리장치(140b)는 서비스용 평형수 흡입라인(111)의 접속지점과 평형수 조장조(10) 입구 사이의 메인 유입라인(110) 상에 배치되어, 평형수 저장조(10)를 출입하는 서비스용 평형수를 살균처리 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드레인 라인(72)에 별도의 자외선 살균처리장치(140c)가 설치되어, 해양으로 배출하는 선박평형수 및 서비스용 평형수를 살균처리한 후 배출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레인 라인(72)으로부터 별도의 우회라인(74)을 분기하여 해양(70)으로 연결하며, 상기 제7 밸브(V7)는 상기 우회라인(74)의 분기 지점의 하류측의 드레인 라인(72)에 배치하며; 상기 우회라인(74) 상에는 자외선 살균처리장치(140c)를 설치하고, 상기 우회라인(74)이 분기 지점과 자외선 살균처리장치(140c) 사이에 제8 밸브(V8)를 설치하여; 상기 제7 밸브(V7)와 상기 제8 밸브(V8)의 선택적 개폐에 의해, 서비스 수요 선박(50)으로부터 회수하여 해양으로 배출하는 선박평형수나 평형수 저장조(10)로부터 흡입하여 해양으로 배출하는 서비스용 평형수의 상태에 따라 자외선 살균처리장치(104c)를 경유하거나 경유하지 않는 배출 경로를 선택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평형수 서비스 전용 육상 설비에 있어서, 상기 취수라인(6)으로부터 복수의 해수 저장조(5)마다 각각의 유입관(7)이 분기되어 연결되고, 각 유입관(7)마다 유입밸브(7a)가 설치되어, 상기 유입밸브(7a)의 선택적 개폐에 의해 해수를 저장할 해수 저장조(5)를 선택 가능하고; 각각의 해수 저장조(5)의 출구에는 출수관(8)이 연장되고, 상기 출수관(8)은 메인 유입라인(110)에 연결되며, 각각의 출수관(8)마다 출수밸브(8a)가 설치되어, 상기 출수밸브(8a)의 선택적 개폐에 의해 상기 메인 펌프(120)에서 흡입할 해수 저장조(5)를 선택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평형수 서비스 전용 육상 설비에 의하면, 육상에 해수와 평형수를 저장할 수 있는 처리전 저장조와 처리후 저장조를 구비하고, 평형수 처리 시스템을 통해 처리전 저장조로부터 서비스용 평형수를 미리 대량으로 제조하여 처리후 저장조에 저장해 두며, 저장해 둔 서비스용 평형수를 서비스 수요 선박에 제공하거나 서비스 수요 선박의 평형수를 회수하여 재저장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저장된 서비스용 평형수나 회수한 선박평형수를 해양으로 배출할 수도 있다.
이러한 평형수 서비스 전용 시설을 항구에 설치하여 서비스 수요 선박의 요구에 대응하여 평형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개별 선박들은 평형수 처리 설비를 갖추지 않더라도 필요할 때마다 평형수 서비스 전용 육상 설비를 이용하여 평형수의 처리, 주입, 배출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개별 선박들은 평형수 처리 설비를 갖출 필요가 없고, 그 공간을 적재 공간이나 다른 유용한 공간으로 설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건조 및 운용 비용이 최소화되고 운송 비용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평형수 서비스 전용 육상 설비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평형수 서비스 전용 육상 설비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평형수 서비스 전용 육상 설비의 평형수 처리 계통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평형수 서비스 전용 육상 설비의 평형수 처리 계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평형수 서비스 전용 육상 설비의 평형수 처리 계통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평형수 서비스 전용 육상 설비의 평형수 처리 계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평형수 서비스 전용 육상 설비의 평형수 처리 계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평형수 서비스 전용 육상 설비의 평형수 처리 계통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류'와 '하류'의 용어에 있어서, 그 구분의 기준이 되는 것은 메인 유입라인(110)에서 해수가 메인 펌프(120)에 의해 서비스용 평형수 저장조(10)로 흘러가는 방향이다. 따라서, 두 지점 사이의 상류와 하류의 구분은, 해수가 유동해 오는 쪽(해수를 먼저 맞이하는 쪽)의 지점이 '상류' 지점이 되고, 해수가 유동해 가는 쪽(해수를 나중에 맞이하는 쪽)의 지점이 '하류' 지점이 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평형수 서비스 전용 육상 설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평형수 서비스 전용 육상 설비는, 평형수를 제조하기 위해 항구에 인접한 육상에 해양으로부터 취수한 해수를 저장하기 위한 해수 저장조(5)를 설치하고, 해수 저장조(5)에 저장된 해수를 이용하여 제조한 평형수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인 복수의 평형수 저장조(10)를 설치하며, 평형수 처리 시스템(100)을 통해 서비스용 평형수를 제조하여 상기의 평형수 저장조(10)에 저장해 둘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평형수 저장조(10)에 만들어 저장해 둔 서비스용 평형수를 외부의 서비스 수요 선박에 제공하거나 서비스 수요 선박이 가지고 있는 선박평형수를 회수할 수 있는 유출입 시스템을 갖춘다.
또한, 항구에 접안한 서비스 수요 선박의 접속구(밸러스트 탱크와 연결되고 선체 외부로 연장된 접속구)에 서비스 헤드(400)를 연결하여 평형수 저장조(10)에 미리 제조해 놓은 서비스용 평형수를 공급하거나 서비스 수요 선박(50)의 밸러스트 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선박평형수를 회수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평형수 서비스 전용 육상 설비의 운용에 따라, 선박마다 평형수 처리 시스템을 갖출 필요가 없이 항구에 접안하여 화물을 싣고 내릴 때마다 평형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선박 제조 환경과 운항 패러다임이 전개될 것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평형수 서비스 전용 육상 설비의 구조적인 관점에서, 평형수 처리 시스템(100)은, 해수를 유입하는 취수펌프와, 해수를 살균 처리하고 저장조에 저장하기 위해 순환시키기 위한 메인 펌프가 설치되는 펌프실을 별로의 공간으로 구획하여 구비할 수 있고, 해수를 살균처리하고 해수 중의 산화제의 농도를 측정하고 조절하기 위한 장치 또는 자외선 리액터 등이 탑재되는 평형수 처리실을 별도의 공간으로 구획하여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해수 저장조(5)로부터는 취수라인(6)이 연장되어 해양으로 들어가 있고, 취수라인(6)의 선단부에는 필터 등의 장치가 설치된 취수구(6a) 또는 취수 상자를 설치할 수 있다.
평형수 서비스 라인(300)은 시설의 외부로 인출되며, 그것의 선단에 서비스 헤드(400)가 구비된다.
서비스 헤드(400)는, 평형수 서비스 라인(300)의 말단에서 연장되는 것으로서, 그것의 말단에는 서비스 수요 선박(50)의 서비스 접속단(52)에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402)를 구비한다.
서비스 헤드(400)를 서비스 수요 선박에 쉽게 접근시키기 위해, 선체(1)의 갑판에는 크레인 구조물(500)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평형수 서비스 라인(300) 및 서비스 헤드(400)는 상기 크레인 구조물(500)을 지나가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크레인 구조물(500)을 움직여 서비스 헤드(400)를 서비스 수요 선박(50)의 서비스 접속단(52)에 접근시킨 후 커넥터(402)를 연결할 수 있다.
해수 저장조(5)는, 평형수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할 해수를 미리 해양으로부터 취수하여 저장해 두는 저장 탱크로서, 하나의 탱크로 구성할 수도 있고, 여러 개의 탱크로 구성할 수도 있다.
평형수 저장조(10)는, 해수 저장조(5)의 해수를 이용하여 제조한 서비스용 평형수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 탱크이다. 평형수 저장조(10)는 하나의 탱크보다는 여러 개의 탱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서비스 수요 선박에 제공할 서비스용 평형수를 저장할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저장조와 서비스 수요 선박으로부터 회수한 선박평형수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조로 구분하여 운용한다. 이 경우, 일부의 평형수 저장조(10)들은 서비스용 평형수로 채워두고, 나머지 일부의 평형수 저장조(10)들은 선박평형수를 회수하기 위해 비워둘 수 있다.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평형수 서비스 전용 육상 설비의 평형수 처리 시스템(100), 해수 저장조(5), 서비스용 평형수 저장조(10) 및 서비스 라인(300)의 구성에 대한 실시예들이다.
(실시예 1)
도 3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평형수 서비스 전용 육상 설비의 평형수 처리 계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서는 다양한 평형수 처리 방식 중 전기분해 방식의 살균처리장치(140a)를 구비하는 평형수 처리 시스템을 일례로 하여 구성한 것이다.
전기분해 방식은, 해수를 전기분해하여 산화제(통상적으로, 차아염소산)를 생성하고, 생성된 산화제를 저장조로 들어가는 해수(평형수)에 주입하여 살균하며, 살균하며, 해양으로 배출하는 경우에는 중화제를 투입하여 잔존 차아염소산을 중화시켜 배출하는 것이다.
전해용 해수는 전해용 해수 공급 유닛(140)에서 공급되는 해수를 전해조 유닛(150)에서 전기분해하여 전해수를 제조하고, 제조된 전해수를 전해수 주입라인(152)을 통해 메인 유입라인(110)에 주입함으로써, 메인 유입라인(110)을 통해 평형수 저장조(10)로 들어가는 해수를 살균하여 소정의 서비스용 평형수를 생산하게 된다.
전해용 해수 공급 유닛(140)은 취수 라인(142)으로부터 전해용 해수를 취수하게 되는데, 취수 라인(142)은 해수 저장조(5)로부터 취수하기 위한 제1 라인(142a)이나 메인 유입라인(110)으로부터 취수하기 위한 제2 라인(142b), 또는 해양으로부터 직접 취수하기 위한 제3의 라인(도시하지 않음)으로 구성할 수 있다.
해수 저장조(5)의 취수라인(6)에는 취수펌프(6b)가 설치되어 해양으로부터 해수를 흡입하며, 취수펌프(6b)의 상류에는 제1 취수밸브(6c)가 설치된다. 해수 저장조(5)에는 취수펌프(6b)를 이용하여 필요할 때마다 해수를 채워둔다.
취수라인(6)으로부터 각각의 해수 저장조(5)에는 유입관(7)이 연결되고, 유입관(7)마다 유입밸브(7a)가 설치된다.
각각의 해수 저장조(5)의 출구에는 출수관(8)이 연장되고, 출수관(8)은 메인 유입라인(110)에 연결된다. 각각의 출수관(8)마다 출수밸브(8a)가 설치된다.
메인 유입라인(110)은 해수 저장조(5)로부터 복수의 평형수 저장조(10)까지 평형수를 유입하기 위한 주된 관로이다.
메인 유입라인(110) 상에는, 해수 저장조(5)로부터 해수를 펌핑 하기 위한 메인 펌프(120)와, 펌핑 한 해수를 여과하는 필터 유닛(130)과, 필터 유닛(130)을 통과한다. 전해용 해수 주입 라인(152)은 필터 유닛(130)의 하류 측의 메인 유입라인(110)에 접속되어, 필터 유닛(130)을 통해 여과된 해수에 전해수를 적정의 농도로 주입하여 해수 중의 생물 및 병원균을 살균 처리한다.
메인 유입라인(110)의 하류 말단부에서는 각각의 평형수 저장조(10)마다 평형수 주입라인(200)이 분기 되어 연결된다. 이처럼 각각의 평형수 저장조(10)마다 연결되는 복수의 평형수 주입라인(200)에는 각각 주입통로 개폐밸브(202)가 설치된다. 각각의 주입통로 개폐밸브(202)를 선택적으로 개폐함에 따라, 살균 처리되어 만들어진 서비스용 평형수를 주입할 평형수 저장조(10)를 선택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각각의 주입통로 개폐밸브(202)를 선택적으로 개폐함에 따라, 서비스 수요 선박에 제공할 평형수를 배출할 평형수 저장조(10)를 선택할 수 있다.
평형수 서비스 라인(300)은, 시설 외부로 연장되어 평형수 저장조(10)에 저장된 서비스용 평형수를 서비스 수요 선박(50)에 공급하는 주요 경로를 제공하거나 서비스 수요 선박(50)의 밸러스트 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평형수를 회수하여 평형수 저장조(10)에 다시 저장하는 주요 경로를 제공하거나, 평형수 저장조(10)에 저장되어 있는 서비스용 평형수 또는 서비스 수요 선박에서 회수한 선박평형수를 해양으로 배출하는 주요 경로를 제공한다.
이러한 평형수 서비스 라인(300)의 말단에는, 앞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서비스 수요 선박(50)의 서비스 접속단(52)에 접속하기 위한 서비스 헤드(400)가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서비스 헤드(400)의 말단에는 커넥터(402)를 구비하여 서비스 수요 선박(50)의 서비스 접속단(52)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커넥터(402)에 인접하여서는 통로를 개폐와 유량조절을 위한 서비스 밸브(404)를 설치하여 작업자가 상황에 따라 조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서비스용 평형수의 저장, 제공, 배출, 그리고 부가적으로 선박평형수의 회수 라인을 간략하게 구성하고, 서비스를 쉽고 간단하게 제공하기 위한 구체적인 평형수의 흐름 라인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메인 펌프(120) 입구측의 메인 유입라인(110)에는 제1 밸브(V1)가 설치되고, 평형수 주입라인(200)의 직상류의 메인 유입라인(110)에는 제2 밸브(V2)가 설치된다.
메인 유입라인(110)의 제2 밸브(V2)와 평형수 주입라인(200) 사이의 한 지점으로부터 서비스용 평형수 흡입라인(111)을 분기하여 제1 밸브(V1)와 메인 펌프(120)의 입구 사이의 한 지점에서 메인 유입라인(110)에 연결한다. 서비스용 평형수 흡입라인(111)에는 제3 밸브(V3)를 설치하여 통로를 개폐하도록 한다.
이 경우 메인 펌프(120)는 해수 저장조(5)로부터 해수를 펌핑 하여 메인 유입라인(110)을 통해 평형수 저장조(10)로 보내는 역할과 함께, 평형수 저장조(10)에 저장된 서비스용 평형수를 흡입하여 평형수 서비스 라인(300)으로 보내는 역할을 겸하게 된다.
평형수 서비스 라인(300)은, 메인 펌프(120)의 출구와 필터 유닛(130)의 입구 사이의 메인 유입라인(110)에 접속되어 선체(1)의 외부로 연장된다(도 1 및 도 2 병행 참조).
그리고 평형수 서비스 라인(300)이 접속된 지점의 하류측의 메인 유입라인(110)에는 제4 밸브(V4)가 설치되고, 평형수 서비스 라인(300)에는 서비스 라인 개폐밸브(302)가 설치된다.
따라서, 제1, 2, 4 밸브(V1, V2, V4)와, 제3 밸브(V3) 및 서비스 라인 개폐밸브(302)의 선택적 개폐에 의해 평형수를 저장하거나 배출하는 경로가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즉, 제1, 2, 4 밸브(V1, V2, V4)를 열고, 제3 밸브(V3) 및 서비스 라인 개폐밸브(302)를 닫는 경우에는, 메인 펌프(120)의 펌프 작용에 의해 해수 저장조(5)로부터 해수가 취수되어 필터 유닛(130)과 평형수 주입라인(200)을 차례로 지나 평형수 저장조(10)로 보내진다.
반대로, 제1, 2, 4 밸브(V1, V2, V4)를 닫고, 제3 밸브(V3) 및 서비스 라인 개폐밸브(302)를 여는 경우에는, 메인 펌프(120)의 펌프 작용에 의해 복수의 평형수 저장조(10)에 저장된 서비스용 평형수가 흡입되어 서비스용 평형수 흡입라인(111)과 메인 유입라인(110) 및 메인 펌프(120)를 차례로 거쳐 평형수 서비스 라인(300)으로 보내진다. 평형수 서비스 라인(300)으로 보내진 서비스용 평형수는 시설 외부로 인출된 서비스 헤드(400)를 통해 서비스 수요 선박(50)에 공급된다.
서비스용 평형수의 저장과 제공에 더하여, 서비스 수요 선박으로부터 선박평형수를 회수하기 위한 라인 구성으로서, 평형수 서비스 라인(300)의 서비스 라인 개폐밸브(302)와 서비스 헤드(400) 사이의 한 지점과 제1 밸브(V1)와 메인 펌프(120) 입구 사이의 메인 유입라인(110)의 한 지점을 우회 연결하는 선박평형수 회수라인(310)이 설치된다. 선박평형수 회수라인(310)에는 회수라인 개폐밸브(312)가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서비스 라인 개폐밸브(302)와 회수라인 개폐밸브(312)의 선택적 개폐에 의해 서비스 수요 선박(50)에 서비스용 평형수를 공급하거나 서비스 수요 선박(50)으로부터 선박평형수를 회수하는 작용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제1, 3 밸브(V1, V3) 및 서비스 라인 개폐밸브(302)를 닫고, 회수라인 개폐밸브(312)와 제2, 4 밸브(V2, V4)를 여는 경우에는, 메인 펌프(120)의 펌프 작용에 의해 서비스 수요 선박(50)의 밸러스트 탱크에 저장되어 있던 선박평형수가 서비스 헤드(400)로 회수(흡입)되어 평형수 서비스 라인(300)과 선박평형수 회수라인(310)을 차례로 경유하여 메인 유입 라인(110)으로 들어가며, 이어서 메인 펌프(120)와 필터 유닛(130)을 통과하여 평형수 저장조(10)로 보내진다.
더 나아가서, 평형수 저장조(10)에 저장된 서비스용 평형수를 해양으로 배출하여 버리거나, 서비스 수요 선박(50)으로부터 회수한 선박평형수를 대양으로 배출하여 버리기 위한 라인을 더 구축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대양으로 배출하기 위한 평형수를 필터 유닛(130)을 우회하여 버리도록 하는 라인을 구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밸브(V2)의 상류이면서 필터 유닛(130)의 하류측의 한 지점인 메인 유입라인(110)에 제5 밸브(V5)가 설치되고, 메인 유입라인(110)의 평형수 서비스 라인(300) 접속지점과 제4 밸브(V4) 사이의 한 지점과 상기 제5 밸브(V5)와 제2 밸브(V2) 사이의 한 지점을 우회 연결하는 평형수 우회 라인(112)이 설치되며, 평형수 우회 라인(112)에 제6 밸브(V6)가 설치된다.
이와 함께, 평형수를 해양으로 배출해 버리기 위한 드레인 라인(72)이, 상기 제5 밸브(V5)와 제2 밸브(V2) 사이의 메인 유입라인(110)의 한 지점으로부터 분기되어 설치되고, 드레인 라인(72)에는 제7 밸브(V7)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서비스 수요 선박(50)으로부터 회수되어 평형수 저장조(10)로 들어가는 선박평형수 또는 평형수 저장조(10)로부터 흡입되어 해양으로 버려지는 서비스용 평형수의 흐름 경로를, 필요에 따라 필터 유닛(130)을 경유하여(통과하여) 드레인 라인(72)으로 배출되는 경로나, 평형수 우회 라인(112)을 경유하여(즉, 필터 유닛(130)을 우회하여) 드레인 라인(72)으로 배출되는 경로 중에서 선택가능하다.
또한, 해양으로 배출되는 평형수 내에 잔존하는 전해수에 의한 해양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중화제 공급유닛(160)이 구비된다. 중화제 공급유닛(160)은, 해양으로 배출되는 평형수에 중화제를 투입함으로써 평형수 내의 총잔류산화제(TRO, Total Residual Oxidant) 농도가 IMO에서 규제하는 허용농도 이하가 되도록 한다.
중화제 공급유닛(160)의 중화제 투입라인(162)은, 드레인 라인(72)에 접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평형수 저장조(10)로부터 흡입하여 해양으로 버려지거나 서비스 수요 선박으로부터 회수되어 버려지는 평형수에 모두 중화제를 투입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평형수 서비스 전용 육상 설비의 바람직한 운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및 도 3를 참조한다.
<서비스용 평형수 제조 및 저장>
서비스용 평형수를 제조하여 평형수 저장조(10)에 저장하기 위하여, 다른 밸브들은 모두 닫고 제1, 2, 4, 5 밸브(V1, V2, V4, V5) 및 출수밸브(8a)를 연다. 주입통로 개폐밸브(202)는 필요한 것만 열거나 모두 열 수 있다. 예를 들어, 1번 및 3번 평형수 저장조(10)에만 채우고 2번 및 3번 저장조는 평형수 회수를 위해 비워두는 경우에는 1번 및 3번의 평형수 저장조(10)에 연결된 평형수 주입라인(200)의 주입통로 개폐밸브(202)만을 연다.
메인 펌프(120)의 펌프 작용에 따라 해수 저장조(5)에 저장해둔 해수가 메인 유입라인(110)을 통해 유입되어 필터 유닛(130)으로 보내진다. 해수는 필터 유닛(130)을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여과된다.
필터 유닛(130)을 통과한 해수는, 전해조 유닛(150)에서 제조된 전해수가 전해수 주입라인(152)을 통해 메인 유입라인(110)에 주입되는 것에 의해 살균되어 해수 중의 미생물이나 병원균이 살균된 후 평형수 주입라인(200)을 통해 평형수 저장조(10)로 들어가 저장된다. 이렇게 하여 서비스용 평형수가 제조 및 저장된다.
<서비스 수요 선박에 서비스용 평형수 공급>
서비스 수요 선박으로부터 평형수 공급에 대한 서비스 요청이 있으면, 예를 들어 크레인(500)(도 2 참조)을 조작하는 등의 방법으로, 서비스 헤드(400)를 서비스 수요 선박(50)의 서비스 접속단(52)을 향해 움직인다.
이어서, 서비스 헤드(400)의 커넥터(402)를 서비스 수요 선박(50)의 서비스 접속단(52)에 연결한다.
이때, 제1, 2, 4, 6 밸브(V1, V2, V4, V6) 및 회수라인 개폐밸브(312)는 닫고, 주입통로 개폐밸브(202), 제3 밸브(V3) 및 서비스 라인 개폐밸브(302)를 연다.
메인 펌프(120)의 펌프 작용에 따라 평형수 저장조(10)에 저장되어 있던 서비스용 평형수가 흡입되어 평형수 주입라인(200) 및 메인 유입라인(110)을 거꾸로 흘러 서비스용 평형수 흡입라인(111)을 통해 메인 펌프(120) 입구측의 메인 유입라인(110)으로 들어간다.
이어서, 메인 펌프(120)를 통해 평형수 서비스 라인(300)으로 보내진다.
작업자는 서비스 헤드(400)에 구비된 서비스 밸브(404)를 개폐 또는 유량조절을 위해 조작해 가면서 서비스용 평형수를 서비스 수요 선박(50)에 공급한다.
<서비스 수요 선박으로부터 선박평형수 회수, 회수후 저장 또는 해양 배출>
서비스 수요 선박의 밸러스트 탱크에 채워져 있는 선박평형수의 회수에 대한 서비스 요청이 있으면, 서비스 헤드(400)를 서비스 수요 선박(50)의 서비스 접속단(52)을 향해 움직인다.
이어서, 서비스 헤드(400)의 커넥터(402)를 서비스 수요 선박(50)의 서비스 접속단(52)에 연결한다.
이때, 서비스 라인 개폐밸브(302), 제1, 3, 6, 7 밸브(V1, V3, V6, V7)는 닫고, 회수라인 개폐밸브(312), 제2, 4, 5 밸브(V2, V4, V5) 및 주입통로 개폐밸브(202)를 연다.
작업자가 서비스 헤드(400)에 구비된 서비스 밸브(404)를 열면, 서비스 수요 선박(50)의 밸러스트 탱크에 채워져 있던 선박평형수는 서비스 헤드(400)로 흡입되어 평형수 서비스 라인(300)과 선박평형수 회수라인(310)을 차례로 흘러 메인 펌프(120) 입구측의 메인 유입라인(110)으로 들어간다.
이어서, 메인 펌프(120)를 통해 필터 유닛(130)으로 들어가 여과된 후 평형수 주입라인(200)을 통해 평형수 저장조(10)에 저장된다.
여기서, 서비스 수요 선박(50)으로부터 회수되는 선박평형수의 상태에 따라 필터 유닛(130)을 우회시키거나 필터 유닛(130)을 통과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수요 선박(50)으로부터 회수되는 선박평형수의 여과처리가 필요 없다면 제4 밸브(V4)는 닫고 제6 밸브(V6)는 열어 회수한 선박평형수를 평형수 우회라인(112)을 통해 저장조(10)로 보낸다. 이와는 달리, 서비스 수요 선박(50)으로부터 회수되는 선박평형수를 여과할 필요가 있다면 제4 밸브(V4)는 열고 제6 밸브(V6)는 닫아 회수한 선박평형수를 필터 유닛(130)으로 통과시켜 저장조(10)로 보낸다.
필요에 따라, 필터 유닛(130)을 통과하거나 우회하는 등으로 저장조(10)로 들어가는 선박평형수에 전해수 공급라인(152)으로부터 전해수를 주입하여 살균할 수 있다. 선박평형수가 살균처리가 필요한 상태라면, 살균처리장치(140a)의 전해수 주입라인(152)을 통해 전해수를 메인 유입라인(110)에 주입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서비스 수요 선박(50)으로부터 회수되는 선박평형수를 평형수 저장조(10)에 저장하지 않고 곧바로 해양으로 배출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는, 제2 밸브(V2)를 닫는 대신에 제7 밸브(V7)를 연다.
이 경우에도,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회수되는 선박 평형수의 상태에 따라 필터 유닛(130)을 통과시키거나 우회시킬 수 있다. 또한, 살균 처리 장치(140a)를 통해 살균 처리한 후 배출하거나 살균처리 없이 곧바로 배출할 수 있다. 선박평형수가 살균처리가 필요한 상태라면, 살균처리장치(140a)의 전해수 주입라인(152)을 통해 전해수를 메인 유입라인(110)에 주입한다. 이렇게 살균 처리하면, 해양으로 배출하기 전에 다시 잔존 차아염소산을 중화시켜 배출하여야 한다. 따라서, 중화제 공급유닛(160)으로부터 중화제 투입라인(162)을 통해 드레인 라인(72)에 중화제를 주입하여 총 잔류산화제(TRO) 농도를 허용농도 이하로 낮춘다.
<저장된 서비스용 평형수 배출>
평형수 저장조(10)에 저장되어 있는 서비스용 평형수를 해양으로 배출하여야 하는 경우, 필터 유닛(130)을 통과시킬 필요가 있다면 제1, 2, 6 밸브(V1, V2, V6), 서비스 라인 개폐밸브(302) 및 회수라인 개폐밸브(312)는 닫고, 제3, 4, 5, 7 밸브(V3, V4, V5, V7)를 연다. 이에 비해 필터 유닛(130)을 우회시킬 필요가 있다면 제1, 2, 4, 5 밸브(V1, V2, V4, V5), 서비스 라인 개폐밸브(302) 및 회수라인 개폐밸브(312)는 닫고, 제3, 6, 7 밸브(V3, V6, V7)를 연다.
메인 펌프(120)의 펌프 작용에 의해 평형수 저장조(10)로부터 흡입된 서비스용 평형수는, 평형수 주입라인(200) 및 메인 유입라인(110)을 거꾸로 흘러 서비스용 평형수 흡입라인(111)을 통해 메인 펌프(120) 입구측의 메인 유입라인(110)으로 들어간다.
이어서, 메인 펌프(120)를 나와 필터 유닛(130)을 통과하거나 평형수 우회 라인(112)을 통과한 후 드레인 라인(72)을 통해 해양(70)으로 배출되어 버려진다.
서비스용 평형수를 해양으로 배출할 때에는, 서비스용 평형수에서 검출되는 총 잔류산화제(TRO) 농도에 대응하여 중화제 공급유닛(160)으로부터 중화제를 투입하여 허용농도 이하가 되도록 한다.
(실시예 2)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평형수 서비스 전용 육상 설비의 평형수 처리 계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3를 통해 설명한 제1 실시예에 비해, 평형수 저장조(10)에 저장되어 있는 서비스용 평형수를 흡입하여 서비스 수요 선박에 공급하거나 해양으로 하기 위한 경로의 구성만이 다르고, 나머지의 구성은 동일하다.
즉, 제1 실시예에서는, 메인 유입라인(110)의 제2 밸브(V2)와 평형수 주입라인(200) 사이의 한 지점과 제1 밸브(V1)와 메인 펌프(120)의 입구 사이의 한 지점을 우회 연결하는 서비스용 평형수 흡입라인(111)을 설치한 것으로, 평형수 주입라인(200)과 메인 유입라인(110)을 저장과 배출 시에 모두 사용하는 공통의 관로로 이용하였다.
이에 비해, 제2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평형수 저장조(10)마다 별도의 제1 평형수 배출라인(320)을 설치하고, 각각의 평형수 배출 라인(320)마다 통로를 개폐하는 제1 배출라인 개폐밸브(322)를 설치한다.
그리고 복수의 제1 평형수 배출라인(320)으로부터 제2 평형수 배출라인(330)을 연장한 다음, 제2 평형수 배출라인(330)을 제1 밸브(V1)와 메인 펌프(120) 사이의 메인 유입라인(110)에 연결하며, 제2 평형수 배출라인(330)에 제2 배출라인 개폐밸브(331)를 설치한 구성이다.
따라서, 평형수 저장조(10)에 저장된 서비스용 평형수를 서비스 수요 선박에 공급하거나 해양으로 배출할 때에는 제1 평형수 배출라인(320)과 제2 평형수 배출라인(330)으로 흡입하게 된다.
즉, 서비스 수요 선박으로부터 평형수 공급에 대한 서비스 요청이 있으면, 서비스 헤드(400)를 서비스 수요 선박(50)의 서비스 접속단(52)을 향해 움직인다.
이어서, 서비스 헤드(400)의 커넥터(402)를 서비스 수요 선박(50)의 서비스 접속단(52)에 연결한다.
이때, 제1, 2, 4, 6 밸브(V1, V2, V4, V6) 및 회수라인 개폐밸브(312)는 닫고, 제1 배출라인 개폐밸브(322) 및 제2 배출라인 개폐밸브(331)를 연다.
메인 펌프(120)의 펌프 작용에 따라 평형수 저장조(10)에 저장되어 있던 서비스용 평형수는 제1 평형수 배출라인(320)과 제2 평형수 배출라인(330)으로 흡입된 후 메인 펌프(120) 입구측의 메인 유입라인(110)으로 들어간다.
이어서, 메인 펌프(120)를 통해 평형수 서비스 라인(300)으로 보내진다.
작업자는 서비스 헤드(400)에 구비된 서비스 밸브(404)를 개폐 또는 유량조절을 위해 조작해 가면서 서비스용 평형수를 서비스 수요 선박(50)에 공급한다.
또한, 평형수 저장조(10)에 저장된 서비스용 평형수를 해양으로 배출할 때에는, 제1, 2, 3 밸브(V1, V2, V3), 서비스 라인 개폐밸브(302) 및 회수라인 개폐밸브(312)는 닫고, 제4 밸브(V4) 또는 제6 밸브(V6) 중 하나를 열고, 이와 함께 제5, 7 밸브(V5, V7) 및 제1, 2 배출라인 개폐밸브(322, 331)를 연다.
메인 펌프(120)의 펌프 작용에 의해 평형수 저장조(10)에 저장되어 있던 서비스용 평형수는 제1 평형수 배출라인(320)과 제2 평형수 배출라인(330)으로 흡입된 후 메인 펌프(120) 입구측의 메인 유입라인(110)으로 들어간다.
이어서, 메인 펌프(120)를 나와 필터 유닛(130)을 통과하거나 평형수 우회 라인(112)을 통과한 후 드레인 라인(72)을 통해 해양(70)으로 배출되어 버려진다.
서비스용 평형수를 해양으로 배출할 때에는, 서비스용 평형수에서 검출되는 총 잔류산화제(TRO) 농도에 대응하여 중화제 공급유닛(160)으로부터 중화제를 투입하여 허용농도 이하가 되도록 한다.
서비스용 평형수 제조 및 저장 과정과 서비스 수요 선박으로부터의 평형수 회수 저장, 배출 과정은, 제1 실시예에서의 제3 밸브(V3)의 개폐를, 제1, 2 배출라인 개폐밸브(322, 331)의 개폐로 변경하기만 하면 동일하다. 따라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3)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평형수 서비스 전용 육상 설비의 평형수 처리 계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4을 통해 설명한 제2 실시예에 비해, 평형수 저장조(10)에 저장되어 있는 서비스용 평형수를 서비스 수요 선박에 공급하거나 해양으로 배출하기 위한 경로 및 서비스 수요 선박으로부터 선박평형수를 회수하는 라인의 구성이 다르다.
즉, 메인 펌프(120) 입구측의 메인 유입라인(110) 및 상기 평형수 주입라인(200)의 직상류의 메인 유입라인(110)에 각각 제1 밸브(V1) 및 제2 밸브(V2)가 설치된다.
또한, 메인 유입라인(110)의 말단 하류에서 복수의 평형수 주입라인(200)을 연장하여 각각의 평형수 저장조(10)로 연결하고, 복수의 평형수 주입라인(200)마다 통로를 개폐하는 주입통로 개폐밸브(202)를 설치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제2 밸브(V2)의 상류이면서 필터 유닛(130)의 하류측의 메인 유입라인(110)에 제5 밸브(V5)를 설치하고, 메인 유입라인(110)의 회수용 연장라인(350) 접속지점과 제4 밸브(V4) 사이의 한 지점과 상기 제5 밸브(V5)와 제2 밸브(V2) 사이의 한 지점을 우회 연결하는 평형수 우회 라인(112)을 설치하고, 평형수 우회 라인(112)에 제6 밸브(V6)를 설치한다.
위와 같은 구성은 제2 실시예와 동일하지만,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서비스용 평형수의 공급 및 서비스 수요 선박으로부터 선박평형수를 회수할 때에 별도의 펌프, 즉 서비스용 펌프(122)를 활용하도록 한 구성이 다르다. 서비스용 펌프(122)의 도입에 의해 서비스용 평형수의 제조와 공급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복수의 평형수 저장조(10)에 저장된 서비스용 평형수를 배출하기 위하여, 복수의 평형수 저장조(10)마다 제1 평형수 배출라인(320)이 설치되고, 복수의 평형수 배출라인(320)마다 통로를 개폐하는 제1 배출라인 개폐밸브(322)가 설치된다.
또한, 복수의 제1 평형수 배출라인(320)으로부터 제2 평형수 배출라인(332)이 연장되고, 제2 평형수 배출라인(332)에 제2 배출라인 개폐밸브(333) 및 서비스용 펌프(122)가 차례로 설치된다.
평형수 서비스 라인(300)은, 서비스용 펌프(122)의 출구로부터 연장하여 선체(1) 외부를 향하도록 설치하고, 평형수 서비스 라인(300)에는 서비스 라인 개폐밸브(302)가 설치된다.
또한, 선박평형수 회수라인(340)은, 평형수 서비스 라인(300)의 서비스 라인 개폐밸브(302)와 서비스 헤드(400) 사이의 한 지점과 제2 평형수 배출라인(332)의 제2 배출라인 개폐밸브(333)와 서비스 펌프(122) 입구 사이의 한 지점을 우회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선박평형수 회수라인(340)에는 회수라인 개폐밸브(342)가 설치된다.
또한, 회수용 연장라인(350)이 평형수 서비스 라인(300)의 서비스 라인 개폐밸브(302)와 서비스 펌프(122)의 출구 사이의 한 지점으로부터 연장되며, 그것의 연장 단부는 메인 유입라인(110)의 메인 펌프(120)의 출구와 제4 밸브(V4) 사이의 한 지점에 접속된다. 회수용 연장라인(350)에는 연장라인 개폐밸브(352)가 설치된다.
<서비스용 평형수 제조 및 저장>
서비스용 평형수를 제조하여 평형수 저장조(10)에 저장하기 위하여, 다른 밸브들은 모두 닫고 제1, 2, 4, 5 밸브(V1, V2, V4, V5)만 연다. 주입통로 개폐밸브(202)는 필요한 것만 열거나 모두 열 수 있다.
메인 펌프(120)의 펌프 작용에 따라 해수 저장조(5)에 저장된 해수가 메인 유입라인(110)을 통해 유입되어 필터 유닛(130)으로 보내진다. 해수는 필터 유닛(130)을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여과된다.
필터 유닛(130)을 통과한 해수는 전해조 유닛(150)에서 제조된 전해수가 전해수 주입라인(152)을 통해 메인 유입라인(110)에 주입되는 것에 의해 살균되어 해수 중의 미생물이나 병원균이 살균된 후 평형수 주입라인(200)을 통해 평형수 저장조(10)로 들어가 저장된다. 이렇게 하여 서비스용 평형수가 제조 및 저장된다.
<서비스 수요 선박에 서비스용 평형수 공급>
서비스 수요 선박으로부터 평형수 공급에 대한 서비스 요청이 있으면, 서비스 헤드(400)를 서비스 수요 선박(50)의 서비스 접속단(52)을 향해 움직인다.
이어서, 서비스 헤드(400)의 커넥터(402)를 서비스 수요 선박(50)의 서비스 접속단(52)에 연결한다.
이때, 도 5에서, 제1 평형수 배출라인(320)의 제1 배출라인 개폐밸브(322), 제2 평형수 배출라인(332)의 제2 배출라인 개폐밸브(333) 및 서비스 라인 개폐밸브(302)만 열고 나머지의 밸브들은 모두 닫는다.
이어서, 서비스용 펌프(122)를 가동하면, 평형수 저장조(10)에 저장되어 있던 서비스용 평형수가 제1 평형수 배출라인(320) 및 제2 평형수 배출라인(332)으로 흡입되어 평형수 서비스 라인(300)으로 흘러 서비스 헤드(400)로 공급된다.
작업자는 서비스 헤드(400)에 구비된 서비스 밸브(404)를 개폐 또는 유량조절을 위해 조작해 가면서 서비스용 평형수를 서비스 수요 선박(50)에 공급한다.
이 경우, 서비스용 평형수의 공급과 함께, 서비스용 평형수의 제조 및 저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제6, 7 밸브(V6, V7)는 닫힌 그대로 유지하는 반면에, 제1, 2, 4, 5 밸브(V1, V2, V4, V5) 및 주입라인 개폐밸브(202)를 추가로 열어, 메인 펌프(120)에 의해 해수를 취수하여 메인 유입라인(110)으로 보내면서 제조한 후 평형수 주입라인(200)을 통해 평형수 저장조(10)에 저장한다.
<서비스 수요 선박으로부터 선박평형수 회수, 회수후 저장 또는 해양 배출>
서비스 수요 선박의 밸러스트 탱크에 채워져 있는 선박평형수의 회수에 대한 서비스 요청이 있는 경우에는, 회수라인 개폐밸브(342), 연장라인 개폐밸브(352), 제2 밸브(V2), 주입라인 개폐밸브(202)를 열고, 제6 밸브(V6)나 제4, 5 밸브(V4, V5) 중 한쪽을 선택하여 열며, 나머지의 밸브들은 모두 닫는다. 메인 펌프(120)도 당연히 가동을 멈춘다.
이어서, 서비스용 펌프(122)를 가동하고, 서비스 헤드(400)에 구비된 서비스 밸브(404)를 열면, 서비스 수요 선박(50)의 밸러스트 탱크에 저장되어 있던 선박평형수가 흡입되어 서비스 헤드(400)와 평형수 서비스 라인(300)을 통해 거꾸로 흡입된다.
그 후, 선박평형수는 회수라인(340)으로 우회한 후, 서비스용 펌프(122)를 통해 회수용 연장라인(350)을 흘러 메인 유입라인(110)으로 들어간다. 이어서 필터 유닛(130)을 통과하거나 평형수 우회 라인(112)을 통과한 후 평형수 주입라인(200)을 통해 평형수 저장조(10)에 저장된다. 이 경우, 저장조(10)로 들어가는 선박평형수에 전해수 공급라인(152)으로부터 전해수를 주입하여 살균할 수 있다. 회수되는 선박평형수가 살균처리가 필요한 상태라면, 살균처리장치(140a)의 전해수 주입라인(152)을 통해 전해수를 메인 유입라인(110)에 주입한다.
서비스 수요 선박으로부터 회수한 선박평형수를 저장하지 않고 곧바로 해양으로 배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2 밸브(V2)와 제7 밸브(V7)의 개폐를 바꾸면 된다. 즉, 제2 밸브(V2)는 닫는 대신에 제7 밸브(V7)를 연다.
그러면, 서비스 펌프(122)의 펌프 작용에 의해 서비스 수요 선박(50)으로부터 회수된 선박평형수는 드레인 라인(72)을 통해 해양(70)으로 배출된다.
이 경우에도,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회수되는 선박 평형수의 상태에 따라 살균 처리 장치(140a)를 통해 살균 처리한 후 배출하거나 살균처리 없이 곧바로 배출할 수 있다. 회수되는 선박평형수가 살균처리가 필요한 상태라면, 살균처리장치(140a)의 전해수 주입라인(152)을 통해 전해수를 메인 유입라인(110)에 주입한다. 이렇게 살균 처리하면, 해양으로 배출하기 전에 다시 잔존 차아염소산을 중화시켜 배출하여야 한다. 따라서, 중화제 공급유닛(160)으로부터 중화제 투입라인(162)을 통해 드레인 라인(72)에 중화제를 주입하여 총 잔류산화제(TRO) 농도를 허용농도 이하로 낮춘다.
<저장된 서비스용 평형수 배출>
평형수 저장조(10)에 저장되어 있는 서비스용 평형수를 해양으로 배출하여야 하는 경우, 필터 유닛(130)을 통과시킬 것인지의 여부에 따라 제6 밸브(V6)와 제4, 5 밸브(V4, V5)를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이와 함께, 제1 평형수 배출라인(320)의 제1 배출라인 개폐밸브(322), 제2 평형수 배출라인(332)의 제2 배출라인 개폐밸브(333), 회수용 연장라인(350)의 연장라인 개폐밸브(352) 및 제7 밸브(V7)를 열고 나머지의 밸브들은 모두 닫는다. 메인 펌프(120)도 당연히 가동을 멈춘다.
이어서, 서비스용 펌프(122)를 가동하면, 평형수 저장조(10)에 저장되어 있던 서비스용 평형수가 제1 평형수 배출라인(320) 및 제2 평형수 배출라인(332)으로 흡입되어 회수용 연장라인(350)을 통해 메인 유입라인(110)으로 들어가 드레인 라인(72)을 통해 해양(70)으로 배출된다.
서비스용 평형수를 해양으로 배출할 때에는, 서비스용 평형수에서 검출되는 총 잔류산화제(TRO) 농도에 대응하여 중화제 공급유닛(160)으로부터 중화제를 투입하여 허용농도 이하가 되도록 한다.
(실시예 4)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평형수 서비스 전용 육상 설비의 평형수 처리 계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서는 다양한 평형수 처리 방식 중 자외선 살균 방식의 자외선 살균처리장치(140b)를 구비하는 평형수 처리 시스템을 일례로 하여 구성한 것이다.
자외선 살균 방식은 자외선 살균처리장치(140b), 즉, 자외선 리액터에 자외선 램프를 설치하여, 자외선 리액터를 통과하는 해수가 자외선 램프를 지나쳐 흐르는 과정에서 살균되도록 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도 3에서 설명한 전기분해방식의 살균처리장치(140a)의 전해조 유닛(150) 대신에 자외선 살균처리장치(140b)를 구비하는 것이 다르고, 그와 함께 중화제 유닛(160)이 필요치 않다는 점만이 다르다.
자외선 살균처리장치(140b)는 서비스용 평형수 흡입라인(111)과 평형수 주입라인(200) 사이의 메인 유입라인(110)에 배치되어, 평형수 저장조(10)를 출입하는 서비스용 평형수를 살균하게 된다.
이와 함께, 드레인 라인(72)에도 별도의 자외선 살균처리장치(140c)를 구비하여, 서비스 수요 선박으로부터 회수하여 곧바로 해양으로 배출하는 선박평형수를 살균처리한 후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드레인 라인(72)에는 별도의 우회라인(74)을 구성하고, 우회라인(74) 상에 자외선 살균처리장치(140c)를 설치하며, 자외선 살균처리장치(140c)의 입구 측에 개폐용 제8 밸브(V8)를 설치하여, 서비스 수요 선박으로부터 회수하여 곧바로 해양으로 배출하는 선박평형수의 살균처리 필요 여부에 따라 제7 밸브(V7)나 제8 밸브(V8)를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이와 같이, 도 6에 도시된 제4 실시예는 도 3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 비해, 전기분해방식의 살균처리장치(140a)와 중화제 유닛(160)이 배제되고, 자외선 살균처리장치(자외선 리액터)(140b)를 서비스용 평형수 흡입라인(111)과 평형수 주입라인(200) 사이의 메인 유입라인(110)에 배치하는 것과, 드레인 라인(72)에 별도의 우회라인(74)을 구성하고, 우회라인(74) 상에 자외선 살균처리장치(140c)를 설치한 것만이 다르고 나머지의 구성은 동일하다.
또한, 운용 과정도, 서비스용 평형수가 평형수 저장조(10)를 출입할 때 자외선 살균처리장치(자외선 리액터)(140b)를 통과한다는 것만이 다르고 나머지는 동일하다. 따라서 그것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5)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평형수 서비스 전용 육상 설비의 평형수 처리 계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4에서 설명한 제2 실시예에서 전기분해방식의 살균처리장치(140a) 대신에 자외선 살균처리장치(140b)를 적용한 것만이 다르고 나머지의 구성은 동일하다.
즉, 도 4에서 설명한 전기분해방식의 살균처리장치(140a)의 전해조 유닛(150) 대신에 자외선 살균처리장치(140b)를 구비하고 있으며, 그와 함께 중화제 유닛(160)이 배제된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자외선 살균처리장치(140b)는 서비스용 평형수 흡입라인(111)의 접속지점과 평형수 주입라인(200) 사이의 메인 유입라인(110)에 배치되어, 평형수 저장조(10)를 출입하는 서비스용 평형수를 살균하게 된다.
이와 함께, 드레인 라인(72)에도 별도의 자외선 살균처리장치(140c)를 구비하여, 서비스 수요 선박으로부터 회수하여 곧바로 해양으로 배출하는 선박평형수를 살균처리한 후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드레인 라인(72)에는 별도의 우회라인(74)을 구성하고, 우회라인(74) 상에 자외선 살균처리장치(140c)를 설치하며, 자외선 살균처리장치(140c)의 입구 측에 개폐용 제8 밸브(V8)를 설치하여, 서비스 수요 선박으로부터 회수하여 곧바로 해양으로 배출하는 선박평형수의 살균처리 필요 여부에 따라 제7 밸브(V7)나 제8 밸브(V8)를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이와 같이, 도 7에 도시된 제5 실시예는, 도 4에 도시하고 설명한 제2 실시예에 비해, 전기분해방식의 살균처리장치(140a)와 중화제 유닛(160)이 배제되고, 자외선 살균처리장치(자외선 리액터)(140b)를 서비스용 평형수 흡입라인(111)과 평형수 주입라인(200) 사이의 메인 유입라인(110)에 배치하는 것과, 드레인 라인(72)에 별도의 우회라인(74)을 구성하고, 우회라인(74) 상에 자외선 살균처리장치(140c)를 설치한 것만이 다르고 나머지의 구성은 동일하다.
또한, 운용 과정도, 서비스용 평형수가 평형수 저장조(10)를 출입할 때 자외선 살균처리장치(자외선 리액터)(140b)를 통과한다는 것만이 다르고 나머지는 제2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그것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6)
도 8에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평형수 서비스 전용 육상 설비의 평형수 처리 계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5에 도시하고 설명한 제3 실시예에서 전기분해방식의 살균처리장치(140a) 대신에 자외선 살균처리장치(140b)를 적용한 것만이 다르고 나머지의 구성은 동일하다.
즉, 도 5에서 설명한 전기분해방식의 살균처리장치(140a)의 전해조 유닛(150) 대신에 자외선 살균처리장치(140b)를 구비하고 있으며, 그와 함께 중화제 유닛(160)이 배제된다.
자외선 살균처리장치(140b)는 서비스용 평형수 흡입라인(111)의 접속지점과 평형수 주입라인(200) 사이의 메인 유입라인(110)에 배치되어, 평형수 저장조(10)를 출입하는 서비스용 평형수를 살균하게 된다.
이와 함께, 드레인 라인(72)에도 별도의 자외선 살균처리장치(140c)를 구비하여, 서비스 수요 선박으로부터 회수하여 곧바로 해양으로 배출하는 선박평형수를 살균처리한 후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드레인 라인(72)에는 별도의 우회라인(74)을 구성하고, 우회라인(74) 상에 자외선 살균처리장치(140c)를 설치하며, 자외선 살균처리장치(140c)의 입구 측에 개폐용 제8 밸브(V8)를 설치하여, 서비스 수요 선박으로부터 회수하여 곧바로 해양으로 배출하는 선박평형수의 살균처리 필요 여부에 따라 제7 밸브(V7)나 제8 밸브(V8)를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이와 같이, 도 8에 도시된 제6 실시예는, 도 5에 도시하고 설명한 제3 실시예에 비해, 전기분해방식의 살균처리장치(140a)와 중화제 유닛(160)이 배제되고, 자외선 살균처리장치(자외선 리액터)(140b)를 서비스용 평형수 흡입라인(111)과 평형수 주입라인(200) 사이의 메인 유입라인(110)에 배치하는 것과, 드레인 라인(72)에 별도의 우회라인(74)을 구성하고, 우회라인(74) 상에 자외선 살균처리장치(140c)를 설치한 것만이 다르고 나머지의 구성은 동일하다.
또한, 운용 과정도, 서비스용 평형수가 평형수 저장조(10)를 출입할 때 자외선 살균처리장치(자외선 리액터)(140b)를 통과한다는 것만이 다르고 나머지는 제3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그것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1 : 육산 평형수 서비스 전용 설비
2 : 안벽
5 : 해수 저장조
6 : 취수라인
6a : 취수구
6b : 취수펌프
6c : 취수밸브
7 : 유입관
7a : 유입밸브
8 : 출수관
8a : 출수밸브
10 : 평형수 저장조
50 : 서비스 수요 선박
52 : 서비스 접속단
70 : 해양
72 : 드레인 라인
100 : 평형수 처리 시스템
110 : 메인 유입라인
111 : 서비스용 평형수 흡입라인
112 : 평형수 우회 라인
120 : 메인 펌프
122 : 서비스용 펌프
130 : 필터 유닛
140a, 140b, 140c : 살균처리장치
140 ; 전해용 해수 공급 유닛
150 : 전해조 유닛
152 : 전해수 주입라인
160 : 중화제 공급유닛
162 : 중화제 투입라인
200 : 평형수 주입라인
202 : 주입통로 개폐밸브
300 : 평형수 서비스 라인
302 : 서비스 라인 개폐밸브
310, 340 : 선박평형수 회수라인
312, 342 : 회수라인 개폐밸브
320 : 평형수 배출 라인
322 : 제1 배출라인 개폐밸브
330, 332 : 제2 평형수 배출라인
331, 333 : 제2 배출라인 개폐밸브
350 : 회수용 연장라인
352 : 연장라인 개폐밸브
400 : 서비스 헤드

Claims (15)

  1. 서비스용 평형수의 평형수의 공급이나 선박평형수의 회수 서비스가 필요한 평형수 서비스 수요 선박(50)의 요구에 따라 평형수를 공급, 회수 및 해양 배출 서비스를 제공하는 평형수 서비스 전용 육상 설비로서,
    해수를 취수하여 저장하는 복수의 해수 저장조(5) 및 취수펌프(6b)와, 서비스용 평형수나 선박평형수를 저장하는 복수의 평형수 저장조(10)와, 해수 저장조(5)와 평형수 저장조(10)를 연결하는 메인 유입라인(110) 및 메인 펌프(120)와, 해수 살균처리장치를 포함하는 평형수 처리 시스템(100)을 포함하며;
    서비스용 평형수를 서비스 수요 선박(50)에 제공하기 위한 공급 라인을, 평형수 저장조(10) 입구 측과 메인 펌프(120) 입구 측의 메인 유입라인(110)을 우회 연결하는 서비스용 평형수 흡입라인(111)을 설치하고, 메인 펌프(120)의 출구 측의 메인 유입라인(110)으로부터 평형수 서비스 라인(300)을 연장하여 구성하고;
    선박평형수 회수 라인을, 평형수 서비스 라인(300)으로부터 메인 펌프(120) 입구 측의 메인 유입라인(110)을 우회 연결하는 선박평형수 회수라인(310)을 설치하여 구성하며;
    해수를 취수하는 취수라인(6)으로부터 복수의 해수 저장조(5)마다 각각의 유입관(7)이 분기되어 연결되고, 각 유입관(7)마다 유입밸브(7a)가 설치되어, 상기 유입밸브(7a)의 선택적 개폐에 의해 해수를 저장할 해수 저장조(5)를 선택 가능하게 구성하고,
    각각의 해수 저장조(5)의 출구에는 출수관(8)이 연장되고, 상기 출수관(8)은 메인 유입라인(110)에 연결되며, 각각의 출수관(8)마다 출수밸브(8a)가 설치되어, 상기 출수밸브(8a)의 선택적 개폐에 의해 상기 메인 펌프(120)에서 흡입할 해수 저장조(5)를 선택 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수 서비스 전용 육상 설비.
  2. 서비스용 평형수의 평형수의 공급이나 선박평형수의 회수 서비스가 필요한 평형수 서비스 수요 선박(50)의 요구에 따라 평형수를 공급, 회수 및 해양 배출 서비스를 제공하는 평형수 서비스 전용 육상 설비로서,
    해수를 취수하여 저장하는 복수의 해수 저장조(5) 및 취수펌프(6b)와, 서비스용 평형수나 선박평형수를 저장하는 복수의 평형수 저장조(10)와, 해수 저장조(5)와 평형수 저장조(10)를 연결하는 메인 유입라인(110) 및 메인 펌프(120)와, 해수 살균처리장치를 포함하는 평형수 처리 시스템(100)을 포함하며;
    평형수 저장 라인을, 메인 유입라인(110)으로부터 복수의 평형수 저장조(10) 각각에 독립적으로 연결되는 평형수 주입라인(200)을 분기하여 각각에 주입통로 개폐밸브(202)를 설치하여 구성하고;
    서비스용 평형수를 서비스 수요 선박(50)에 제공하기 위한 공급 라인을, 복수의 평형수 저장조(10)로부터 메인 펌프(120) 입구측의 메인 유입라인(110)을 연결하는 제2 평형수 배출라인(330) 및 제2 배출라인 개폐밸브(331)를 설치하고, 메인 펌프(120) 출구측의 메인 유입라인(110)으로부터 평형수 서비스 라인(300)을 연장하여 구성하고;
    선박평형수 회수 라인을, 평형수 서비스 라인(300)으로부터 메인 펌프(120) 입구측의 메인 유입라인(110)을 우회 연결하는 선박평형수 회수라인(310)을 설치하여 구성하며;
    해수를 취수하는 취수라인(6)으로부터 복수의 해수 저장조(5)마다 각각의 유입관(7)이 분기되어 연결되고, 각 유입관(7)마다 유입밸브(7a)가 설치되어, 상기 유입밸브(7a)의 선택적 개폐에 의해 해수를 저장할 해수 저장조(5)를 선택 가능하게 구성하고,
    각각의 해수 저장조(5)의 출구에는 출수관(8)이 연장되고, 상기 출수관(8)은 메인 유입라인(110)에 연결되며, 각각의 출수관(8)마다 출수밸브(8a)가 설치되어, 상기 출수밸브(8a)의 선택적 개폐에 의해 상기 메인 펌프(120)에서 흡입할 해수 저장조(5)를 선택 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수 서비스 전용 육상 설비.
  3. 서비스용 평형수의 평형수의 공급이나 선박평형수의 회수 서비스가 필요한 평형수 서비스 수요 선박(50)의 요구에 따라 평형수를 공급, 회수 및 해양 배출 서비스를 제공하는 평형수 서비스 전용 육상 설비로서,
    해수를 취수하여 저장하는 복수의 해수 저장조(5) 및 취수펌프(6b)와, 서비스용 평형수나 선박평형수를 저장하는 복수의 평형수 저장조(10)와, 해수 저장조(5)와 평형수 저장조(10)를 연결하는 메인 유입라인(110) 및 메인 펌프(120)와, 해수 살균처리장치를 포함하는 평형수 처리 시스템(100)을 포함하며;
    평형수 저장 라인을, 메인 유입라인(110)으로부터 복수의 평형수 저장조(10) 각각에 독립적으로 연결되는 평형수 주입라인(200)을 분기하여 각각에 주입통로 개폐밸브(202)를 설치하여 구성하고;
    서비스용 평형수를 서비스 수요 선박(50)에 제공하기 위한 공급 라인을, 복수의 평형수 저장조(10)로부터 제2 평형수 배출라인(332)을 연장하여 제2 배출라인 개폐밸브(333) 및 서비스용 펌프(122)를 차례로 설치하고, 서비스용 펌프(122)의 출구로부터 평형수 서비스 라인(300)을 연장하여 구성하고;
    선박평형수 회수 라인을, 서비스 펌프(122)의 입구측과 출구측을 우회 연결하는 선박평형수 회수라인(340) 및 회수라인 개폐밸브(342)를 설치하고, 서비스 펌프(122)의 출구측의 평형수 서비스 라인(300)으로부터 메인 펌프(120) 출구측의 메인 유입라인(110)을 연결하는 회수용 연장라인(350) 및 연장라인 개폐밸브(352)를 설치하여 구성하며;
    해수를 취수하는 취수라인(6)으로부터 복수의 해수 저장조(5)마다 각각의 유입관(7)이 분기되어 연결되고, 각 유입관(7)마다 유입밸브(7a)가 설치되어, 상기 유입밸브(7a)의 선택적 개폐에 의해 해수를 저장할 해수 저장조(5)를 선택 가능하게 구성하고,
    각각의 해수 저장조(5)의 출구에는 출수관(8)이 연장되고, 상기 출수관(8)은 메인 유입라인(110)에 연결되며, 각각의 출수관(8)마다 출수밸브(8a)가 설치되어, 상기 출수밸브(8a)의 선택적 개폐에 의해 상기 메인 펌프(120)에서 흡입할 해수 저장조(5)를 선택 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수 서비스 전용 육상 설비.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복수의 평형수 저장조(10)마다 제1 평형수 배출라인(320)을 연장하고, 복수의 제1 평형수 배출 라인(320)마다 통로를 개폐하는 제1 배출라인 개폐밸브(322)를 설치하며, 복수의 제1 평형수 배출라인(320)에 상기 제2 평형수 배출라인(330,332)을 연결하여, 상기 제1 배출라인 개폐밸브(322)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것에 의해, 서비스용 평형수를 제공할 평형수 저장조(10)를 선택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수 서비스 전용 육상 설비.
  5. 제1항에 있어서,
    서비스용 평형수 저장조(10)에 서비스용 평형수 또는 선박 평형수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라인을, 상기 메인 유입라인(110)의 말단 하류에서 복수의 평형수 주입라인(200)을 분기하여 상기 복수의 평형수 저장조(10) 각각에 독립적으로 연결하고, 각각의 평형수 주입라인(200)마다 주입통로 개폐밸브(202)를 설치하며, 상기 주입통로 개폐밸브(202)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것에 의해, 서비스용 평형수 또는 선박 평형수를 저장할 평형수 저장조(10)를 선택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수 서비스 전용 육상 설비.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평형수 서비스 라인(300)의 말단에는 서비스 헤드(400)가 연장되며, 상기 서비스 헤드(400)의 말단에는 서비스 수요 선박(50)의 서비스 접속단(52)에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40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수 서비스 전용 육상 설비.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메인 펌프(120) 하류측의 메인 유입라인(110)에 여과용 필터 유닛(130)을 설치하여, 해수 및 서비스 수요 선박(50)으로부터 회수된 선박평형수를 여과 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수 서비스 전용 육상 설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유닛(130)의 입, 출구 측의 메인 유입라인(110)에 제4, 5 밸브(V4, V5)를 설치하고;
    상기 메인 유입라인(110)의 평형수 서비스 라인(300) 접속지점과 제4 밸브(V4) 사이의 한 지점으로부터 제5 밸브(V5)와 제2 밸브(V2) 사이의 한 지점을 우회 연결하는 평형수 우회 라인(112)을 설치하고, 평형수 우회 라인(112)에 제6 밸브(V6)를 설치하며;
    상기 제4, 5 밸브(V4, V5)와 상기 제6 밸브(V6)의 선택적 개폐에 따라 서비스 수요 선박(50)으로부터 회수한 선박평형수와 평형수 저장조(10)로부터 흡입한 서비스용 평형수의 흐름 경로를 상기 필터 유닛(130)을 경유하는 경로나 상기 평형수 우회 라인(112)을 경유하는 경로 중에서 선택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수 서비스 전용 육상 설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밸브(V5)와 제2 밸브(V2) 사이의 메인 유입라인(110)의 한 지점으로부터 드레인 라인(72)을 분기하고, 분기한 드레인 라인(72)에 제7 밸브(V7)를 설치하여, 제2 밸브(V2)와 제7 밸브(V7)의 선택적 개폐에 따라 서비스 수요 선박(50)으로부터 회수한 선박평형수를 서비스용 평형수 저장조(10)로 보내 저장하거나 드레인 라인(72)을 통해 해양으로 배출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수 서비스 전용 육상 설비.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살균처리장치는, 전해조 유닛(150)에서 제조된 전해수를 전해수 주입라인(152)을 통해 메인 유입라인(110)에 주입하는 전기분해 방식의 살균처리장치(140a)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해수 주입라인(152)은, 상기 평형수 저장조(10) 상류 측이면서 메인 유입라인(110)으로부터 분기한 드레인 라인(72)의 상류 측의 메인 유입라인(110)에 접속되어, 메인 유입라인(110)을 통해 평형수 저장조(10)로 들어가거나 상기 드레인 라인(72)을 통해 해양으로 버려지는 서비스용 평형수와 선박평형수를 모두 살균처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수 서비스 전용 육상 설비.
  11. 제10항에 있어서,
    살균처리장치는, 평형수를 중화시켜 배출하기 위한 중화제 공급유닛(160)을 더 구비하고,
    상기 중화제 공급유닛(160)의 중화제 투입라인(162)은 상기 드레인 라인(72)에 접속하여, 드레인 라인(72)을 통해 해양으로 버려지는 서비스용 평형수와 선박평형수를 모두 중화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수 서비스 전용 육상 설비.
  1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살균처리장치는, 자외선을 조사하여 살균하는 자외선 살균처리장치(140b)로 이루어지고,
    상기 자외선 살균처리장치(140b)는 평형수 조장조(10) 입구 측의 메인 유입라인(110) 상에 배치되어, 평형수 저장조(10)를 출입하는 서비스용 평형수와 선박평형수를 모두 살균처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수 서비스 전용 육상 설비.
  13. 제12항에 있어서,
    메인 유입라인(110)으로부터 드레인 라인(72)을 분기하고, 분기한 드레인 라인(72)에 별도의 자외선 살균처리장치(140c)가 설치되어, 해양으로 배출하는 선박평형수와 서비스용 평형수를 모두 살균처리한 후 배출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수 서비스 전용 육상 설비.
  14. 제12항에 있어서,
    메인 유입라인(110)으로부터 드레인 라인(72)을 분기하고, 분기한 드레인 라인(72)으로부터 별도의 우회라인(74)을 분기하여 해양(70)으로 연결하며, 상기 우회라인(74)의 분기 지점의 하류측의 드레인 라인(72)에 제7 밸브(V7)를 배치하며,
    상기 우회라인(74) 상에는 자외선 살균처리장치(140c)를 설치하고, 상기 우회라인(74)이 분기 지점과 자외선 살균처리장치(140c) 사이에 제8 밸브(V8)를 설치하여,
    상기 제7 밸브(V7)와 상기 제8 밸브(V8)의 선택적 개폐에 의해, 서비스 수요 선박(50)으로부터 회수하여 해양으로 배출하는 선박평형수나 평형수 저장조(10)로부터 흡입하여 해양으로 배출하는 서비스용 평형수의 상태에 따라 자외선 살균처리장치(104c)를 경유하거나 경유하지 않는 배출 경로를 선택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수 서비스 전용 육상 설비.
  15. 삭제
KR1020140190573A 2014-12-26 2014-12-26 평형수 서비스 전용 육상 설비 KR101910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0573A KR101910691B1 (ko) 2014-12-26 2014-12-26 평형수 서비스 전용 육상 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0573A KR101910691B1 (ko) 2014-12-26 2014-12-26 평형수 서비스 전용 육상 설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9340A KR20160079340A (ko) 2016-07-06
KR101910691B1 true KR101910691B1 (ko) 2018-12-28

Family

ID=56502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0573A KR101910691B1 (ko) 2014-12-26 2014-12-26 평형수 서비스 전용 육상 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06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29970B (zh) * 2021-12-09 2023-11-28 交通运输部天津水运工程科学研究所 船舶压载水上岸接收、处理及回用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3946B1 (ko) * 2005-02-09 2007-07-30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밸러스트수 정화 장치 및 상기 장치를 탑재한 선박
KR100896337B1 (ko) * 2008-07-31 2009-05-07 주식회사 엔케이 선박용 다목적 오존처리방법 및 장치
KR101183611B1 (ko) * 2012-01-10 2012-09-18 주식회사 리폼테크 밸러스트 수 처리장치를 구비한 해양구조물을 이용한 수처리 시스템
KR101313625B1 (ko) * 2011-09-28 2013-10-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평형수 순환 시스템 및 이를 갖춘 선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5694B1 (ko) 2005-10-20 2011-06-3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발라스트 수 처리장치
KR20100060839A (ko) * 2008-11-28 2010-06-07 주식회사 파나시아 밸러스트수 처리 시스템
KR101066674B1 (ko) 2010-12-06 2011-09-2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전기분해 유닛과 이러한 전기분해 유닛을 이용한 선박의 발라스트 수 처리장치
KR101280518B1 (ko) * 2011-04-22 2013-07-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전기분해식 밸러스트수 처리 시스템
ITMI20111127A1 (it) * 2011-06-21 2012-12-22 Artes Ingegneria S P A Metodo e sistema modulare per la sterilizzazione di acque di zavorra
KR101358323B1 (ko) * 2012-03-07 2014-02-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밸러스트 수 처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3946B1 (ko) * 2005-02-09 2007-07-30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밸러스트수 정화 장치 및 상기 장치를 탑재한 선박
KR100896337B1 (ko) * 2008-07-31 2009-05-07 주식회사 엔케이 선박용 다목적 오존처리방법 및 장치
KR101313625B1 (ko) * 2011-09-28 2013-10-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평형수 순환 시스템 및 이를 갖춘 선박
KR101183611B1 (ko) * 2012-01-10 2012-09-18 주식회사 리폼테크 밸러스트 수 처리장치를 구비한 해양구조물을 이용한 수처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9340A (ko) 2016-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6674B1 (ko) 전기분해 유닛과 이러한 전기분해 유닛을 이용한 선박의 발라스트 수 처리장치
KR100814658B1 (ko) 액체의 무해화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20170016867A (ko) 수류를 정화 및 살균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N102233943B (zh) 压载水处理系统
KR101334330B1 (ko) 발라스트 수 처리 시스템 및 발라스트 수 처리 방법
KR101358323B1 (ko) 밸러스트 수 처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
KR20160147704A (ko) 밸러스트 워터의 처리방법 및 적어도 두개의 밸러스트 탱크를 포함하는 선박에서의 밸러스트 워터의 처리를 위한 시스템
KR101906640B1 (ko) 평형수 서비스 전용 육상 설비
KR20160079343A (ko) 평형수 서비스 전용 선박
KR20070043110A (ko) 선박의 발라스트 수 처리장치
KR101910691B1 (ko) 평형수 서비스 전용 육상 설비
KR20160080004A (ko) 평형수 서비스 전용 선박
KR101901476B1 (ko) 평형수 서비스 전용 육상 설비
KR101987508B1 (ko) 평형수 서비스 전용 선박
KR20160101597A (ko) 평형수 처리 시스템
KR20100008369A (ko) 밸러스트수의 이용 시스템
KR20140061725A (ko) 밸러스트 장치
KR20140020817A (ko) 선박 및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KR101148753B1 (ko) 선박용 밸러스트 수의 막처리 방법
KR20160079330A (ko) 평형수 서비스 전용 선박
KR101614585B1 (ko) 선박 평형수 처리 시스템의 전해조 해수 공급장치
KR102260200B1 (ko) 선박의 평형수 필터 우회 제어 방법
KR102263655B1 (ko) 밸러스트수 처리 시스템
KR102110633B1 (ko) 평형수 필터의 부식 방지를 위한 세정 시스템
KR101647393B1 (ko) 유량 제어 청수 공급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