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0598B1 - Skin panel for touch switch of automotive doors and touch switch assembly using same - Google Patents

Skin panel for touch switch of automotive doors and touch switch assembly using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0598B1
KR101910598B1 KR1020170157156A KR20170157156A KR101910598B1 KR 101910598 B1 KR101910598 B1 KR 101910598B1 KR 1020170157156 A KR1020170157156 A KR 1020170157156A KR 20170157156 A KR20170157156 A KR 20170157156A KR 101910598 B1 KR101910598 B1 KR 1019105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button
pair
pane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71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세훈
김승호
이재용
Original Assignee
덕양산업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덕양산업 (주) filed Critical 덕양산업 (주)
Priority to KR1020170157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059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0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059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86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the casing, e.g. sealed casings or casings reducible in siz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3/00Casings
    • H01H2223/002Casings seal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skin panel for a touch switch of a vehicle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kin panel for a touch switch of a vehicle door includes a touch button part, which selects and controls various kinds of convenience functions, formed on one region to be mounted on a door trim of a vehicle. The button part comprises: a button set including a plurality of function buttons and forming a pair among the functions buttons to be disposed in a left/right or front/rear direction so as to perform functions close to each other; and an identification protrusion upwardly protruding from one region of the button set to enable a user to distinguish each of the paired function buttons forming the button set with tactile sensation. The touch button part is integrally injection-molded with the skin panel to prevent liquid or the like from flowing into an electric device, the identification protrusion to intuitively distinguish the function of the button part through the tactile sensation is formed in the button part, and the touch panel capable of freely selecting and operating the convenience function with a soft touch on the button part without excessive force is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skin panel. Accordingly, malfunction or failure of the electric device related to a switch is fundamentally prevented, thereby providing effects of safely using the vehicle and promoting a high grade of an inner space of the vehicle as well as user convenience.

Description

자동차도어의 터치스위치용 스킨패널 및 이를 이용한 조립체{SKIN PANEL FOR TOUCH SWITCH OF AUTOMOTIVE DOORS AND TOUCH SWITCH ASSEMBLY USING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kin panel for a touch switch of an automobile door, and an assembly using the panel,

본 발명은 자동차도어의 터치스위치용 스킨패널 및 이를 이용한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도어용 스위치 또는 버튼의 틈새로 액체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촉각을 통해 터치스위치의 기능을 직관적으로 구별할 수 있고, 고품질의 깔끔한 외관구현을 통해 자동차의 고급화를 이룰 수 있는 자동차도어의 터치스위치용 스킨패널 및 이를 이용한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kin panel for a touch switch of an automobile door and an assembly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And more particularly, to a skin panel for a touch switch of an automobile door which can distinguish the functions of a touch switch intuitively by a tactile sense and achieve a high quality automobile by realizing a high-quality and neat appearance, and an assembly using the same.

자동차용 윈도글라스를 전동으로 개폐하는 등의 각종 편의 기능을 적절히 조작하기 위해 사용되는 종래 자동차용 스위치 내지 버튼은, 누름에 따라 온/오프를 반복하는 노크형 스위치나 정역방향으로 회동하며 반대작동을 수행하는 시소형 스위치 등과 같은 기계적 스위치가 주로 사용되었다.BACKGROUND ART A conventional automotive switch or button used for appropriately operating various convenience functions such as opening and closing a window glass for an automobile is a knock type switch that repeats on / Mechanical switches such as a seesaw type switch to be used are mainly used.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 자동차도어용 스위치(20)와,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486914호에서 개시한 차량용 도어의 스위치 모듈 조립구조(공고일: 2015.01.29)에 따른 스위치는, 모두 도어트림(5)의 일부를 이루는 장착부위(베젤(10) 또는 패널)를 관통하여 외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된다.That is, the switch 20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automotive door as shown in Fig. 6 and the switch according to the assembly structure of the switch module of the automotive door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1486914 (public announcement: 2015.01.29) (Bezel 10 or panel) constituting a part of the door trim 5 so as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이때, 자동차도어용 스위치(20)는 소정범위에서의 원활한 작동을 위해 구조적으로 장착부위(베젤(10) 또는 패널)에 대하여 일정한 유격이나 틈새를 두고 설치될 수밖에 없어서 해당 유격을 통한 액체 등과 같은 이물질의 내부 유입에 아주 취약한 문제가 있었다.At this time, the automotive door switch 20 must be structurally installed with a clearance or a clearance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portion (bezel 10 or panel) for smooth operation in a predetermined range, and foreign matter such as liquid through the clearance There was a problem that it was very vulnerable to the internal influx of the water.

이러한 액체 등과 같은 이물질의 내부 유입은, 스위치와 관련된 전기적 장치의 오작동이나 고장을 필연적으로 초래하게 되고, 이는 자동차의 안전을 심각하게 저해한다는 점에서 이를 해소할 수 있는 구조적인 개선이나 개량이 필요한 실정이다.Such internal inflow of foreign matter such as liquid or the like inevitably causes malfunction or failure of the electric device related to the switch, which seriously hinders the safety of the vehicle.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structural improvement or improvement to be.

또한, 작업자가 각종 편의 기능에 대응한 다수의 스위치를 수작업으로 일일이 조립한 후 전선 등을 배선해야 한다는 점에서 작업공수가 과다하여 자동차 생산성 향상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operator must manually assemble a plurality of switches corresponding to various convenience functions and then wire the wires or the lik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ork flow is excessive and the productivity of the automobile is adversely affected.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486914호(공고일: 2015.01.29)Korean Patent No. 10-1486914 (public announcement date: 2015.01.29)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도어용 스위치나 버튼의 틈새로 액체 등이 유입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촉각을 통해 터치스위치의 기능을 직관적으로 구별할 수 있는 한편, 자동차 조립공정의 편의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와 아울러 자동차 내부공간에 대한 고품질의 깔끔한 외관구현을 통해 자동차의 고급화에 기여할 수 있는 자동차도어의 터치스위치용 스킨패널 및 이를 이용한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fundamentally prevent the inflow of liquid or the like into a clearance of a switch or a button for an automobile door and to intuitively distinguish the function of the touch switch through a tactile sense, And to provide a skin panel for a touch switch of an automobile door and an assembly using the panel, which can contribute to the enhancement of automobiles by realizing high quality and clean appearance of the interior space of a car.

상기 목적은, 각종 편의기능을 선택조작하는 터치식 버튼부가 일영역에 구비되어 자동차의 도어트림에 장착되는 스킨패널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다수의 기능버튼으로 구성되되, 상기 기능버튼 중 한 쌍을 이루며 좌우 또는 전후로 배치되어 서로 인접한 기능을 수행하는 버튼세트; 및 상기 버튼세트를 이루는 한 쌍의 상기 기능버튼을 사용자의 촉각을 통해 각각 구별할 수 있도록, 상기 버튼세트의 일영역에서 상방으로 돌출형성된 식별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도어의 터치스위치용 스킨패널에 의해 달성된다.The above-described object is achieved by a skin panel mounted on a door trim of a vehicle, the touch panel being provided in one area for selectively operating various convenience functions, wherein the button unit comprises a plurality of function buttons, A button set disposed laterally or rearwardly and rearwardly to perform functions adjacent to each other; And an identification protrusion protruded upward in one area of the button set so as to distinguish the pair of function buttons constituting the button set through a tactile sense of the user. Skin panel.

상기 버튼세트를 이루는 한 쌍의 상기 기능버튼은, 각각 아래쪽으로 오목한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해당 기능을 각각 형상화한 문양이 음각형성되며, 상기 식별돌기는, 상기 버튼세트를 이루는 한 쌍의 상기 기능버튼이 서로 마주보는 가장자리 일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상방으로 돌출형성된 원호형식별돌기로 이루어지고, 고품질의 외관 표면이 구현되도록, 상기 버튼부 및 상기 원호형식별돌기는, 필름인서트 또는 인몰드코팅 성형법에 의해 일체로 사출성형될 수 있다.Wherein the pair of function buttons constituting the button set are each formed as a concave downwardly concave circular shape and a pattern formed by embossing the respective functions is engraved and the identification projection has a pair of function buttons Wherein the protrusion of the button portion and the arcuate pattern is formed by a film insert or an in-mold coating molding method, so that a high quality outer surface is realized, And can be integrally injection-molded by the injection molding machine.

상기 버튼세트를 이루는 한 쌍의 상기 기능버튼은, 아래쪽으로 오목한 하나의 타원형으로 이루어지고, 해당 기능을 각각 형상화한 문양이 음각형성되며, 상기 식별돌기는, 상기 버튼세트를 이루는 한 쌍의 상기 기능버튼을 가로지르며 분할하도록 상방으로 돌출형성된 직선형식별돌기로 이루어지고, 고품질의 외관 표면이 구현되도록, 상기 버튼부 및 상기 직선형식별돌기는, 필름인서트 또는 인몰드코팅 성형법에 의해 일체로 사출성형될 수 있다.Wherein a pair of the function buttons constituting the button set is formed into an elliptical shape having a downward concave shape and a pattern formed by embossing the respective functions is engraved and the identification protrusion is formed by a pair of the functions The button portion and the linear identification protrusion can be integrally injection-molded by a film insert or an in-mold coating molding process so that a high-quality outer appearance surface is realized have.

상기의 목적은, 스킨패널을 이용한 터치스위치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스킨패널; 상기 버튼부의 하부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버튼부의 터치를 인식하여 입력신호를 발생시키는 터치패널; 상기 터치패널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터치패널을 지지하는 서포트부; 및 상기 터치패널에 대한 제어를 위한 회로기판이 내부공간에 실장되고, 상기 서포트부를 지지고정한 상태로 상기 스킨패널의 하부에 결합되는 커버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도어용 터치스위치 조립체에 의해 달성된다.The above object is achieved by a touch panel assembly using a skin panel, comprising: the skin panel; A touch panel for recognizing a touch of the button unit and generating an input signal while being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button unit; A support unit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touch panel to support the touch panel; And a cover housing mounted on the inner space of the circuit board for controlling the touch panel and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kin panel in a state of supporting and supporting the support unit. .

상기 터치패널은, 상기 버튼부의 터치에 대응하여 입력신호를 발생시키는 정전용량형 제1 터치부와, 상기 버튼부의 터치로 인한 입력신호의 발생과 함께 사용자에게 소정의 촉감을 제공하는 햅틱형 제2 터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touch panel includes a capacitive first touch unit for generating an input signal in response to a touch of the button unit, and a haptic type second touch unit for providing a predetermined touch to the user along with generation of an input signal due to the touch of the button unit. And a touch portion.

상기 제2 터치부는, 각각의 상기 기능버튼에 대응한 크기와 형상으로 배치되어 상하로 작동하며 소정의 촉감을 제공하는 판상의 피에조모듈이 구비된 진동플레이트와, 상기 진동플레이트의 양면에 각각 부착되는 한 쌍의 전기전도성막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touch unit includes a vibration plate having a plate-like piezo module arranged in a size and shap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unction buttons and operating up and down and providing a predetermined touch, And may comprise a pair of electrically conductive films.

상기 서포트부는, 상기 피에조모듈의 상하방향 원활한 작동을 위해 상기 피에조모듈의 작동 하부에 구비되는 함몰부와, 상기 함몰부 주변에서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2 터치부를 지지하는 돌출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part may include a depression provided in a lower portion of the operation of the piezoelectric module for smooth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of the piezoelectric module and a protrusion supporting part protruding from the periphery of the depression to support the second touch part.

상기 커버하우징은, 금형 내 장치인서트 성형법에 의해 상기 회로기판과 일체로 사출성형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스킨패널, 서포트부 및 상기 커버하우징 간의 결합은, 상호 간의 조립이 정위치에서 이루어지도록 유도하기 위해 상기 스킨패널에서 대칭으로 배치되며 결합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적어도 한 쌍 이상의 보스와, 상기 보스에 의해 관통되며 고정되도록 상기 서포트부에 형성된 관통결합부과, 상기 관통결합부과 접하는 면에서 서로 제1 끼움결합되고 상기 보스의 단부와 제2 끼움결합되도록 상기 커버하우징에 형성된 이중결합부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ver housing is injection-molded integrally with the circuit board by an in-mold insert molding method. The coupling between the skin panel, the support, and the cover housing is carried out in order to induce assembly At least a pair of bosses symmetrically disposed on the skin panel and protruding in a coupling direction, a through-hole coupling portion formed in the support portion to be penetrated and fixed by the boss, And a double engaging portion formed on the cover housing to be secondly engaged with the end of the boss.

본 발명에 의하면, 액체 등이 전기적 장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터치식 버튼부가 스킨패널과 함께 일체로 사출성형되고, 이와 함께 촉각을 통해 버튼부의 기능을 직관적으로 구별할 수 있도록 하는 식별돌기가 버튼부에 형성되며, 과도한 힘을 가하지 않고도 가벼운 버튼부의 터치로 편의기능을 자유롭게 선택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터치패널이 스킨패널 하부에 결합됨에 따라 스위치와 관련된 전기적 장치의 오작동이나 고장이 근본적으로 방지될 수 있어 자동차의 이용이 보다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사용자의 편의성은 물론 자동차 내부공간에 대한 고급화가 도모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protruding button is integrally injection-molded together with the skin panel so that the liquid or the like is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inside of the electronic apparatus, and the identification protrusion for intuitively distinguishing the function of the button unit through the tactile sense, And a touch panel for allowing a user to freely select and operate a convenience function with a touch of a light button without applying excessive force is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kin panel so that malfunction or failure of the electric device related to the switch can be fundamentally prevented The use of the automobile can be made safer, and the user's convenience as well as the interior space of the automobile can be enhanced.

또한, 본 발명을 이루는 스킨패널, 터치패널, 서포트패널 및 커버하우징 각각이 손쉽게 조립 및 결합될 수 있는 구조로 모듈화되어 개별 제작됨에 따라 자동차 조립공정의 편의성과 생산성 향상이 도모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kin panel, the touch panel, the support panel, and the cover housing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assembled and assembled, they are modularized and individually manufactured, so that convenience and productivity of the automobile assembly process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도어의 터치스위치용 스킨패널의 사시도 및 부분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자동차도어의 터치스위치용 스킨패널의 사시도 및 부분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도어용 터치스위치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분해사시도 및 부분확대도이다.
도 5a는 도 3의 평면도와 스킨패널의 하부에 순차로 결합되는 터치패널과 서포트부의 배치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 5b는 도 5a에 표시된 길이방향 A-A 및 B-B 절단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c는 도 5a에 표시된 C-C, D-D 및 E-E 절단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종래 자동차도어용 스위치의 조립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and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skin panel for a touch switch of an automotive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and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skin panel for a touch switch of an automotive door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uch switch assembly for an automotive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Fig.
FIG. 5A is a plan view of FIG. 3, and FIG. 5B is a view illustrating an arrangement of a touch panel and a support unit sequentiall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kin panel.
Fig. 5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ongitudinal AA and BB cutting lines shown in Fig. 5A.
5C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CC, DD, and EE cutting lines shown in FIG. 5A.
6 is a view showing an assembling relationship of a switch for a conventional automotive doo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order to simpl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도어의 터치스위치용 스킨패널의 사시도 및 부분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자동차도어의 터치스위치용 스킨패널의 사시도 및 부분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도어용 터치스위치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분해사시도 및 부분확대도이고, 도 5a는 도 3의 평면도와 스킨패널의 하부에 순차로 결합되는 터치패널과 서포트부의 배치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고, 도 5b는 도 5a에 표시된 길이방향 A-A 및 B-B 절단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c는 도 5a에 표시된 C-C, D-D 및 E-E 절단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종래 자동차도어용 스위치의 조립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and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skin panel for a touch switch of an automobile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and a partial sectional view of a skin panel for a touch switch of an automotive door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FIG. 3, FIG. 5 is a plan view of FIG. 3,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uch switch assembly for a car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B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AA and a BB cutting line shown in FIG. 5A, and FIG. 5C is a sectional view along a CC, DD, and EE cutting line shown in FIG. 5A And FIG. 6 is a view showing an assembling relationship of a conventional automotive door switch.

도면에 나타난 X, Y, Z 축은 권리의 한정의 용도가 아닌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임의로 정한 것으로, X축이 전(화살표 쪽, 자동차의 전방), 후(뒤)방향을 지시하고, Y축은 좌(화살표 쪽, 자동차의 실내측), 우방향(자동차의 외측)을 지시하며, Z축은 상(위, 화살표 쪽), 하(아래)방향을 지시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The X, Y, and Z axes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set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not for the purpose of limitation of rights. The X axis indicates the front (the arrow side, the front side of the automobile) (The arrow side, the interior side of the car) and the right side (the outside of the car), and the Z axis indicates the upward (up, down arrow) and downward (downward) directions.

그리고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 등에서 방향을 지칭하는 상(위쪽), 하(아래쪽), 좌우(옆쪽 또는 측방), 전(정,앞쪽), 후(배,뒤쪽) 등은 권리의 한정의 용도가 아닌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도면 및 구성 간의 상대적 위치를 기준으로 정한 것으로,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 방향은 이와 다르게 특별히 한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이에 기초한 것이다.(Upper, lower), left and right (sideways or side), front (front, front), rear (rear, rear) and the lik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relative position between the drawings and the configuration is set as a reference, and each direction described below is based on this, unless otherwise specifically limited.

(( 자동차도어의Car door 터치스위치용For touch switches 스킨패널Skin panel ))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도어의 터치스위치용 스킨패널(110)은, 자동차의 내장재로서 설치되는 도어트림에 장착되어 그 일부를 이루게 되는 판상의 구성요소로서(도 6 참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 편의기능을 선택 조작하는 터치식 버튼부(112)가 일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The skin panel 110 for a touch switch of an automobile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ate-like component that is mounted on a door trim installed as an automobile interior material and forms a part of the door trim (refer to Fig. 6) As shown in the figure, a touch-type button unit 112 for selecting various convenience functions may be provided in one area.

터치식 버튼부(112)는, 종래의 기계식 스위치(20, 도 6 참조)에 대응하는 구성으로, 종래의 기계식 스위치(20)처럼 별도로 제작된 후 베젤(10)에 결합되면서 외부로 돌출되는 것이 아니라 베젤(10)에 대응하는 스킨패널(110)의 일표면을 이루며 일체로 사출성형된다는 점에서 크게 구별된다.The touch-type button unit 112 corresponds to the conventional mechanical switch 20 (see FIG. 6). The touch-type button unit 112 is manufactured separately as in the conventional mechanical switch 20 and is then coupled to the bezel 10, But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kin panel 110 corresponding to the bezel 10 and is injection molded integrally.

이러한 터치식 버튼부(112)는, 다수의 기능버튼(114)들로 구성되고, 이러한 기능버튼(114)들은 다시 한 쌍을 이루며 좌우 또는 전후로 배치되어 서로 인접한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버튼세트(115)로 구성될 수 있다. The touch-type button unit 112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function buttons 114. The function buttons 114 are again provided as a pair, and are disposed laterally or backwardly, ).

여기서 기능버튼(114)이란, 일례로서 도 1 및 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킨패널(110)이 자동차도어용인 경우, 사이드미러의 조정과 관련된 버튼(스킨패널(110)의 상단부), 도어 및 윈도글라스의 잠금과 해제 버튼(중단부), 4개의 윈도글래스 개폐조정 버튼(하단부) 등일 수 있다.Here, the function button 114 is a button (an upper portion of the skin panel 110) related to the adjustment of the side mirror, a door and a window (not shown) associated with adjustment of the side mirror when the skin panel 110 is an automobile door, A glass lock and unlock button (stop), four window glass opening / closing buttons (lower end), and the like.

그리고 버튼세트(115)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및 윈도글라스의 잠금과 해제를 담당하도록 특정 위치에 그룹핑되어 배치된 한 쌍의 기능버튼(114) 또는 어느 한쪽의 윈도글라스를 개방 또는 폐하도록 특정 위치에 그룹핑되어 배치된 한 쌍의 기능버튼(114) 등과 같이 서로 인접한 기능 즉, 연관된 기능을 수행하는 버튼의 집합을 말한다.1 and 2, the button set 115 includes a pair of function buttons 114 grouped in a specific position so as to take charge of locking and unlocking of the door and the window glass, A pair of function buttons 114 grouped in a specific position so as to open or close the glass, and the like.

이러한 버튼세트(115)를 이루는 한 쌍의 기능버튼(114)들은, 상술한 바와 같이 외부로 돌출되지 않고 스킨패널(110)의 일표면을 이루며 좌우 또는 전후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관계상, 이들을 구별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 사용자의 편의성 증진을 위해 필요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air of function buttons 114 constituting the button set 115 constitute one surface of the skin panel 110 without being projected to the outside. A configuration for enabling the user to use the apparatus is required for the convenience of the user.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버튼부(112)는, 사용자의 주의력을 분산시키지 않고 사용자가 촉각을 통해 즉각적으로 버튼세트(115)를 이루는 한 쌍의 기능버튼(114) 각각을 구별할 수 있도록, 버튼세트(115)의 일영역에서 상방으로 돌출형성된 식별돌기(116)를 더 포함하게 된다.Therefore, the button unit 11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o as to distinguish each of the pair of function buttons 114 that immediately make the button set 115 through the tactile sense without dispersing the user's attention, And an identification protrusion 116 protruding upward in one region of the first housing 115.

이때, 식별돌기(116)는 버튼세트(115)를 이루는 한 쌍의 기능버튼(114) 각각을 구분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가락 끝 촉감을 통해 분명하고 즉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정도의 돌출 높이와 폭을 갖는 것이라면, 그 형상이나 재질 등은 특별하게 제한되지 않는다.At this time, the identification protrusion 116 is formed at a position where each of the pair of function buttons 114 constituting the button set 115 can be distinguished, so that the protrusion 116 can be clearly and instantly recognizable The shape and material thereof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y have a height and a width.

다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킨패널(110)에 의하면, 버튼세트(115)를 이루는 한 쌍의 기능버튼(114)은, 각각 아래쪽으로 오목한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해당 기능을 각각 형상화한 문양이 음각형성되어 이루어지게 된다.1, according to the skin panel 1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ir of function buttons 114 constituting the button set 115 are respectively formed into a concave downward circular shape, And a pattern formed by embossing the respective functions is formed in an engraved shape.

그리고 식별돌기(116)는, 버튼세트(115)를 이루는 한 쌍의 기능버튼(114)이 서로 마주보는 가장자리 일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상방으로 돌출형성된 원호형식별돌기(116a)로 이루어지게 된다. The identification protrusion 116 is formed of a protrusion 116a of an arc type protruding upward from at least one of the regions of the opposite sides of the pair of function buttons 114 constituting the button set 115 .

이때, 원호형식별돌기(116a)의 돌출높이와 폭은, 0.5T 내지 1.2T가 되도록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버튼세트(115)를 이루는 어느 한쪽의 기능버튼(114)에서 다른 한쪽의 기능버튼(114)으로의 이동을 저해하지 않고, 사용자의 손가락 끝 촉감을 통해 양측 기능버튼(114)에 대한 분명하고 즉각적인 구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projection height and the width of the protrusion 116a according to the arc type are 0.5T to 1.2T. This is because the function button 114 constituting the button set 115 functions as the other function So that clear and immediate distinction can be made to the two function buttons 114 through the touch of the user's fingertip without obstructing the movement to the button 114. [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스킨패널(110)에 의하면, 버튼세트(115)를 이루는 한 쌍의 기능버튼(114)은, 아래쪽으로 오목한 하나의 타원형으로 이루어지고, 해당 기능을 각각 형상화한 문양이 음각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2, the skin panel 110 according to the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function buttons 114 constituting the button set 115, each of which has one downward concave oval shape , And a pattern in which the corresponding function is respectively shaped can be formed by embossing.

이때의 식별돌기(116)는 버튼세트(115)를 이루는 한 쌍의 기능버튼(114)을 가로지르며 분할하도록 상방으로 돌출형성된 직선형식별돌기(116b)로 이루어지게 된다.The identification protrusion 116 at this time is made up of a straight identification protrusion 116b formed upwardly so as to divide and cut across a pair of function buttons 114 constituting the button set 115. [

이때, 직선형식별돌기(116b)의 돌출높이와 폭 또한, 0.5T 내지 1.2T가 되도록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버튼세트(115)를 이루는 어느 한쪽의 기능버튼(114)에서 다른 한쪽의 기능버튼(114)으로의 이동을 저해하지 않고, 사용자의 손가락 끝 촉감을 통해 양측 기능버튼(114)에 대한 분명하고 즉각적인 구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protruding height and width of the straight type identification protrusion 116b is also 0.5T to 1.2T.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one of the function buttons 114 constituting the button set 115, So that a clear and immediate distinction can be made to the two function buttons 114 through the touch of the user's fingertip without hindering the movement of the function buttons 114 to the user.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변형예에 따른 스킨패널(110)은, 고광택과 같은 고품질의 외관 표면의 구현과 생산성 향상이 이뤄지도록, 탄소섬유강화 플라스틱, 열가소성 플라스틱(PP 또는 열경화성 플라스틱) 등을 소재로 하여 필름인서트 또는 인몰드코팅 성형법에 의해 버튼부(112)(원호형식별돌기(116a) 및 직선형식별돌기(116b))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The skin panel 1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d the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de of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thermoplastic plastic (PP or thermosetting plastic) or the like in order to realize high quality appearance surface and high productivity And can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button portion 112 (the projection 116a and the linear identification projection 116b by the arc type) by a film insert or an in-mold coating molding method.

이때, 필름인서트 성형법이란, 다양한 문양 등이 인쇄된 필름(110a)과 3차원 곡면형상을 갖는 사출물(110b)을 일체화시켜 제품의 장식성(광택)과 기능성을 보다 증대하는 성형법으로, ①필름 표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버튼부(112)에 대응하는 다양한 색상의 도형, 문자, 패턴 등을 인쇄하고, ② 필름에 열 또는 진공 흡착을 가하여 3차원 곡면으로 변형한 다음 불필요한 부분을 잘라내고, ③ 가공된 3차원 형상의 필름을 금형에 인서트한 후 위와 같은 소재의 용융수지를 사출하여 필름(110a)과 사출물(110b)을 일체화시켜 스킨패널(110)을 성형하는 방법이다.At this time, the film insert molding method is a molding method in which a film 110a printed with various patterns or the like is integrated with an injection molded product 110b having a three-dimensional curved surface shape to further enhance the decorative property (gloss) and functionality of the product. Characters, patterns, and the like corresponding to the button unit 112 as shown in the drawing, (2) deforming the film into a three-dimensional curved surface by applying heat or vacuum to the film, cutting out unnecessary portions, (3) A method of molding a skin panel 110 by inserting a film of a three-dimensional shape into a mold, injecting a molten resin of the above material, and integrating the film 110a and the injection product 110b.

그리고 인몰드코팅 성형법이란, 사출성형 기술을 베이스로 하는 복합성형 기술로서, 금형 내 코팅으로도 불리는데, 사출물을 취출한 후 별도의 도장을 하는 종래 기술과 달리 사출성형 후 금형 내로 코팅제를 주입하여 외관 표면에 코팅제(110a)가 경화되도록 함으로써 고품질, 고광택의 기능적인 사출물(110b)을 만드는 방식을 말한다.The in-mold coating molding method is a complex molding technique based on an injection molding technique, which is also referred to as in-mold coating. Unlike the prior art in which an injection molding is taken out and then painted separately, a coating agent is injected into the mold after injection molding, And the coating agent 110a is cured on the surface, thereby forming a functional injection product 110b of high quality and high gloss.

위와 같은 방식에 의해 다양한 색상, 형상 및 모양으로 이루어진 터치식 버튼부(112)(각각의 기능버튼(114))는 사용자의 손가락 등의 가벼운 접촉만으로 원활한 입력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스킨패널(110)의 다른 부분보다 얇은 두께인 0.5T 내지 1.0T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터치식 입력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후술할 터치패널(120)로부터 진동(햅틱 피드백)이 사용자(손가락)에게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게 된다.The touch panel unit 112 (each function button 114) having various colors, shapes, and shapes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method is provided with a skin panel 110 ), Which is thinner than the other portions of the substrate. Accordingly, the touch type input can be smoothly performed, and vibration (haptic feedback) can be easily transmitted from the touch panel 120 to be described later to the user (finger).

이상에서 살펴본 스킨패널(110)에 따르면, 자동차도어용 스위치 또는 버튼의 틈새를 통해 액체의 유입이 근본적으로 방지될 수 있음은 물론, 촉각을 통해 버튼부(112)의 기능을 직관적으로 구별할 수 있게 되며, 자동차 내부공간에 대한 고품질의 깔끔한 외관구현 및 고급화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skin panel 110 described above, the inflow of liquid can be fundamentally prevented through the clearance of the switch or the button of the car door, and the function of the button part 112 can be intuitively distinguished And a high-quality clean appearance and a high quality of the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can be achieved.

(( 스킨패널을The skin panel 이용한  Used 자동차도어용For automotive applications 터치스위치Touch switch 조립체) Assembly)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도어용 터치스위치 조립체(100)는, 종래 자동차도어용으로 주로 사용되던 기계식 스위치인 노크형 스위치나 시소형 스위치(10) 등과 같이 별물로 제작되어 장착부위(베젤(20) 또는 패널)에 대하여 소정의 유격이나 틈새를 두고 관통한 상태로 설치되던 스위치 조립체를 근본적으로 개선 또는 개량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이다.The touch switch assembly 100 for an automotive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as a separate member such as a knock type switch or a seesaw type switch 10 which is a mechanical switch which is conventionally used for automotive doors, Panel) having a predetermined clearance or a clearance with respect to the switch assembly.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도어용 터치스위치 조립체(100)로 인해, 자동차 편의기능의 조작이 쉬워져 사용자 편의성이 증진됨은 물론, 스위치 내부로 액체 등의 유입의 전면적으로 방지될 수 있어 자동차 사용상에 안전성 또한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가 손쉽게 조립 및 결합될 수 있는 구조로 모듈화되어 개별 제작됨에 따라 자동차 조립공정의 편의성과 생산성 향상이 도모될 수 있게 된다.Since the touch switch assembly 100 for an automotive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acilitates the operation of the automobile convenience function, not only the user convenience is improved but also the inflow of liquid or the like into the switch can be totally prevented, And can be improved. In addition, since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is modularized and individually manufactured in a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assembled and assembled, convenience and productivity of the automobile assembly process can be improved.

상술한 기능 내지 작용이 원활히 구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도어용 터치스위치 조립체(100)는, 스킨패널(110), 터치패널(120), 서포트부(130) 및 커버하우징(14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3 and 4, the touch switch assembly 100 for an automotive do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kin panel 110, a touch panel 110, A panel 120, a support part 130, a cover housing 140, and the like.

이하에서는 상술한 각 구성들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ach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도어용 터치스위치 조립체(100)의 일구성을 이루는 스킨패널(110)은, 앞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skin panel 110, which constitutes one embodiment of the touch switch assembly 100 for an automotive do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터치패널(120)은, 상술한 버튼부(112)의 하부에 결합된 상태로 버튼부(112)의 터치를 인식하여 입력신호를 발생시키는 구성요소로서, 판상으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터치를 다양하게 인식할 수 있는 모듈화된 상용 장치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다.The touch panel 120 is a component for recognizing the touch of the button unit 112 and generating an input signal while being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button unit 112. The touch panel 120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y modular commercial device that can do this is acceptable.

여기서 입력신호란, 각각의 기능버튼에 대응하여 생성되는 전기적 신호로서, 이 신호는 후술할 회로기판(142)을 통해 자동차의 장치 전반을 컨트롤하는 제어유닛(미도시)에 송출되어 해당 기능(사이드미러의 조정 또는 윈도글라스의 개폐)에 대응한 작동이 이루어지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Here, the input signal is an electrical signal generated corresponding to each function button. The signal is sent to a control unit (not shown) that controls the entire apparatus of the vehicle through the circuit board 142 to be described later, The adjustment of the mirror or the opening / closing of the window glas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120)은, 단순히 소정의 장치가 해당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것은 물론, 버튼부(112)의 터치시 사용자에게 진동 등의 햅틱 피드백(물리적 촉감)이 제공될 수 있도록 제1 터치부(122) 및 제2 터치부(124)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touch panel 1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generates an input signal for allowing a predetermined device to perform a corresponding function, but also generates a haptic feedback (physical The first touch part 122, the second touch part 124, and the like so that a touch can be provided.

여기서 제1 터치부(122)는, 버튼부(112)의 터치에 대응하여 단순히 입력신호를 발생시키는 구성요소로서, 반응성이 우수한 정전용량형 터치센서를 모듈화한 판상의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감압식 터치센서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first touch unit 122 is a component that generates an input signal simply in response to a touch of the button unit 112. The first touch unit 122 can be realized as a plate-shaped product in which a capacitive touch sensor having excellent reactivity is modularized,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lized by a pressure sensitive touch sensor.

제2 터치부(124)는, 버튼부(112)의 터치로 인한 입력신호의 발생과 함께 사용자에게 소정의 촉감이 제공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구성요소로서, 이를 통해 버튼부(112) 터치에 대한 현실감과 정확성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한편, 오작동 비율이 감소되고, 버튼부(112) 터치에 대한 동작 효율도 증진될 수 있게 된다.The second touch unit 124 is a component provided to provide a predetermined touch to the user along with the generation of an input signal due to the touch of the button unit 112, And the accuracy is provided to the user, the malfunction ratio is reduced, and the operation efficiency for the touch of the button portion 112 can also be enhanced.

이러한 제2 터치부(124)는, 전기 또는 자기유변유체 또는 모터 등과 같은 액추에이터를 이용하여 모듈화한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지만, 얇은 두께의 판상으로 제작이 용이하고, 다른 부가 장치와 기계적 통합이 용이하며, 다양한 방식의 작동제어를 통해 힘인터페이스와 질감인터페이스 모두에 대한 구현이 가능한 피에조소자(압전소자)를 활용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touch part 124 can be realized as a product modularized by using an actuator such as an electric or magnetorheological fluid or a motor, but it is easy to manufacture with a thin plate and easy to mechanically integrate with other additional parts And it is desirable to make use of a piezoelectric element (piezoelectric element) capable of realizing both a force interface and a texture interface through various types of operation control.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터치부(124)는, 도 4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플레이트(124a) 및 한 쌍의 전기전도성막(124b)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the enlarged view of FIG. 4, the second touch portion 124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ibration plate 124a, a pair of electroconductive films 124b, and the like .

여기서 진동플레이트(124a)는 각각의 기능버튼에 대응한 크기와 형상으로 배치되어 상하로 휨 작동하며 소정의 촉감을 제공하는 판상의 피에조모듈(124a1)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배치된 각각의 피에조모듈(124a1)은 사용자의 버튼부(112) 터치에 의해 가압변형되며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The vibrating plate 124a has a structure including a plate-shaped piezo module 124a1 arranged in a size and shape corresponding to each function button and bending up and down to provide a predetermined touch. Each of the piezo modules 124a1 arranged in this way is pressurized and deformed by the touch of the button portion 112 of the user, and generates an electrical signal.

그리고 전기전도성막(124b)은, 막형상의 전기 전도성 물질로 제작되어 진동플레이트(124a)의 양면에 각각 부착되는 구성요소이다.The electrically conductive film 124b is a component made of a film-like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 and attached to both surfaces of the vibration plate 124a.

이러한 전기전도성막(124b)이 구비됨으로 인해, 가압변형된 피에조모듈(124a1)로부터 발생된 전기적 신호는 후술할 회로기판(142, 구체적으로는 드라이버모듈(143))을 통해 제어유닛(미도시)으로 송출되어 해당 버튼부(112) 터치에 대응한 작동(사이드미러의 조정, 윈도글라스의 개폐 등)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Due to the provision of the electroconductive film 124b, the electrical signal generated from the pressure-deformed piezo module 124a1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not shown) through the circuit board 142 (specifically, the driver module 143) (Adjustment of the side mirrors, opening and closing of the window glass, etc.) corresponding to the touch of the button unit 112 can be performed.

또한, 제어유닛으로부터 송출된 특정 제어명령에 대응한 제어전원이 회로기판(142, 및 드라이버모듈(143))을 통해 피에조모듈(124a1)에 인가될 수 있게 된다.Further, the control power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control command sent out from the control unit can be applied to the piezo module 124a1 through the circuit board 142 and the driver module 143).

피에조모듈(124a1)이나 전기전도성막(124b) 자체의 구조 또는 제작 소재, 작동원리 등은 이미 상용화되어 널리 알려진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structure of the piezo module 124a1 or the electroconductive film 124b itself, the material to be manufactured, the operation principle, etc. are already well known and well-known technologies,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서포트부(130)는, 사용자의 버튼부(112) 터치에 의한 입력신호 발생과 햅틱 피드백의 정확한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터치패널(120)의 하부에서 터치패널(120)을 견고하게 지지하는 구성요소로서, 터치패널(120)의 하부면에 대하여 견고한 접촉지지가 가능한 형상 내지 구조로 되되, 탄성변형율이 적은 소재로 제작된 판재이면 충분하다.The support unit 130 includes a component supporting the touch panel 120 firmly at the lower portion of the touch panel 120 so that input signals can be generated by the touch of the user's button unit 112 and accurate transmission of the haptic feedback can be performed. A plate member made of a material having a low elastic deformation rate may be used as long as it has a shape or structure capable of firmly supporting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touch panel 120.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포트부(130)는, 도 4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몰부(132) 및 돌출지지부(134)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추가적으로 탄성부재(1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4 to 5C, the support part 13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pression 132 and a protrusion support part 134, and further includes an elastic member 136, As shown in FIG.

함몰부(132)는, 피에조모듈(124a1)의 상하방향 원활한 작동을 위해 피에조모듈(124a1)의 작동 하부에 함몰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요소로서, 이러한 오목한 구조로 인해 피에조모듈(124a1)은 아래쪽으로 더욱 큰 변형이 가능해져 강한 햅틱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The depressed portion 132 is a component formed by being recessed in a lower portion of the operation of the piezoelectric module 124a1 for smooth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of the piezoelectric module 124a1. Such a concave structure allows the piezoelectric module 124a1 to move downward It becomes possible to provide a strong deformation and strong haptic feedback to the user.

돌출지지부(134)는, 서포트부(130)의 자체의 강성을 보강하는 구조이자 제2 터치부(124)는 물론, 제1 터치부(122)를 직접 지지하기 위해 마련된 구성요소로서, 제2 터치부(124)의 지지를 위해 마치 피에조모듈(124a1)의 주변을 둘러싸는 형상으로 함몰부(132) 주변에서 돌출형성되어 이루어지게 되며(도 5a 확대도 참조), 제1 터치부(122)의 지지를 위해 서포트부(130)에서 상방으로 십자, 격자 또는 직선형태로 돌출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The protruding support portion 134 has a structure for reinforcing the rigidity of the support portion 130 itself and is a component provided to directly support the first touch portion 122 as well as the second touch portion 124, The first touch part 122 is protruded from the periphery of the depressed part 132 so as to surround the periphery of the piezoelectric module 124a1 to support the touch part 124 Grid, or straight shape upwardly from the support part 130 for supporting the support part 130. [

제2 터치부(124)와 상기 돌출지지부(134) 사이에는, 제2 터치부(124)와 제1 터치부(122)에 가해지는 충격을 저감할 수 있도록 고무나 실리콘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탄성부재(136)가 더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touch part 124 and the first touch part 122 may be formed of a rubber or silicone material so as to reduce an impact applied to the second touch part 124 and the first touch part 122, Member 136 may be further provided.

이러한 함몰부(132), 돌출지지부(134) 및 탄성부재(136)로 이루어진 서포트부(130)로 인해, 터치패널(120)에 대한 견고한 지지는 물론, 제2 터치부(124)의 강한 햅틱 피드백이 가능해지고, 뜻하지 않게 가해진 외부 충격에도 터치패널(120)의 파손이나 고장 등이 저감될 수 있게 된다.Due to the support portion 130 including the depression 132, the protruding support portion 134 and the elastic member 136, not only the rigid support to the touch panel 120 but also the strong haptic effect of the second touch portion 124, Feedback can be performed, and breakage or failure of the touch panel 120 can be reduced even if an external impact is applied unintentionally.

커버하우징(140)은, 액체 등과 같은 이물질과 접촉시 오작동이나 고장의 염려가 있는 상술한 터치패널(120)과 이를 지지하는 서포트부(130) 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터치패널(120)에 대한 전원제어 및 작동제어를 위한 회로기판(142)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내부공간을 갖는 함체형상의 구성요소로서, 서포트부(130)를 지지 고정한 상태로 스킨패널(110)의 하부와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게 된다.The cover housing 140 prevents the touch panel 120 and the support unit 130 supporting the touch panel 120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re is a risk of malfunction or failure when the touch panel 120 contacts foreign substances such as liquid, The support part 130 is supported and fixed to the lower part of the skin panel 110 in a state of supporting and fixing the circuit board 142 for the power control and operation control of the skin panel 110, As shown in FIG.

이러한 커버하우징(140)은, 회로기판(142)을 내부공간에 실장 내지 수용할 수 있고, 스킨패널(110)에 의해 상단 개구부가 덮여질 수 있는 것이라면, 그 형상 등은 자유롭게 변형될 수 있다.The cover housing 140 can be freely deformed so long as the circuit board 142 can be mounted or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and the top opening can be covered by the skin panel 110.

여기서 회로기판(142)은, 사용자의 버튼부(112) 터치시 다양한 힘인터페이스와 질감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제어유닛(미도시)과 함께 피에조모듈(124a1)의 진동 내지 작동을 제어하는 구성요소로서, 기판에 탑재된 전원장치소자들과, 하드웨어인 피에조모듈(124a1)과의 상호통신을 통해 그 작동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드라이버모듈(14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Here, the circuit board 142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vibration or operation of the piezo module 124a1 together with a control unit (not shown) to provide a user with various force interfaces and a textured interface when the user touches the button portion 112 And a driver module 143 that allows operation control to be performed through intercommunication between the power supply devices mounted on the substrate and the piezo module 124a1 as hardware.

이때, 기판에 탑재된 전원장치소자들과 드라이버모듈(143)은, 도 4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분리된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회로기판(142)에 모두 통합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At this time, the power supply devices and the driver module 143 mounted on the substrate may be formed in a form separated from each other as shown in FIGS. 4 to 5C, or may be integrated into the circuit board 142 .

드라이버모듈(143)을 통한 피에조모듈(124a1)의 구체적인 작동제어는 회로기판(142)의 전원장치소자들을 통해 제어된 전원을 피에조모듈(124a1)에 실시간으로 인가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The specific operation control of the piezo module 124a1 through the driver module 143 is performed by applying the power controlled through the power device elements of the circuit board 142 to the piezo module 124a1 in real time.

한편, 버튼부(112) 터치 후 시간 축에 대하여 피에조모듈(124a1)의 진동 내지 작동을 구체적으로 제어하여 다양한 종류의 햅틱 피드백을 형성하는 방법 등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는 것으로, 당업자 수준에서 필요에 따라 다양한 방식 및 형태로 손쉽게 구현될 수 있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 method of forming various types of haptic feedback by specifically controlling the vibration or operation of the piezo module 124a1 with respect to the time axis after touching the button portion 112 is beyo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 be easily implemented in various manners and forms as needed,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하우징(140)은, 금형 내 장치인서트 성형법에 의해 회로기판(142)과 일체로 사출성형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The cover housing 14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jection-molded integrally with the circuit board 142 by an in-mold apparatus insert molding method.

여기서 금형 내 장치인서트 성형법이란, 구체적으로 회로기판(142)을 미리 완성형태로 제작한 다음, 이를 금형 내에 인서트 한 후 용융수지를 사출하여 회로기판(142)과 사출물로 이루어지게 되는 커버하우징(140)을 일체화시키는 성형법을 말하는데, 이를 통해 자동차 조립공수의 저감과 생산성 향상이 도모될 수 있다.Here, the in-mold apparatus insert molding method is a method in which a circuit board 142 is formed in a completed form in advance, then inserted into a mold, and then injected with a molten resin to form a circuit board 142 and a cover housing 140 ), Which can reduce the number of automobile assembling processes and improve the productivit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킨패널(110), 서포트부(130) 및 커버하우징(140) 간의 결합은, 도 3의 확대도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킨패널(110)에 형성된 보스(152), 서포트부(130)에 형성된 관통결합부(154) 및 커버하우징(140)에 형성된 이중결합부(156)로 구성되는 결합수단(150)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between the skin panel 110, the support part 130, and the cover housing 140 may be performed by a boss (not shown) formed on the skin panel 110, And a coupling unit 150 formed of a coupling unit 154 formed in the support unit 130 and a double coupling unit 156 formed in the cover housing 140.

이때, 보스(152)는 스킨패널(110), 서포트부(130) 및 커버하우징(140) 상호 간의 조립이 정위치에서 이루어지도록 유도하기 위해 스킨패널(110)에서 대칭으로 배치되며 결합방향으로 돌출형성된 막대형상의 구성요소로서, 견고한 결합력의 형성을 위해 적어도 한 쌍 이상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boss 152 is symmetrically disposed on the skin panel 110 to guide the assembly of the skin panel 110, the support part 130 and the cover housing 140 to a predetermined position, As the bar-shaped constituent elements formed, at least one pair or more is preferably provided to form a firm bonding force.

관통결합부(154)는, 상술한 보스(152)에 의해 관통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서포트부(130)에 형성된 링형상의 구성요소로서, 이를 통해 서포트부(130)는 스킨패널(110)과 정위치에서 신속하게 조립결합됨과 동시에 터치패널(120)의 하면을 견고하게 지지 고정할 수 있게 된다.The support portion 130 is a ring-shaped component formed in the support portion 130 to be fixed in a state of being penetrated by the boss 152. The support portion 130 supports the skin panel 110, The lower surface of the touch panel 120 can be firmly supported and fixed at the same time that the touch panel 120 is quickly assembled and assembled in a fixed position.

이중결합부(156)는, 관통결합부(154)와 접하는 면에서 서로 제1 끼움결합(156a)을 이루는 한편, 보스(152)의 단부와 제2 끼움결합(156b)을 이룰 수 있도록 커버하우징(140)에 형성되는 링형상의 구성요소로서, 이를 통해 커버하우징(140)과 서포트부(130) 간의 결합은 물론, 스킨패널(110)과 커버하우징(140) 간의 결합이 중첩적으로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The double engaging portion 156 is formed to have a first fitting engagement 156a on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penetrating engagement portion 154 and a second fitting engagement 156b on the surface of the cover housing 156, Shaped component formed in the cover 140 so that the coupling between the skin panel 110 and the cover housing 140 as well as the coupling between the cover housing 140 and the support part 130 are superimposed tightly .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is obvious to those who have. Accordingly,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and viewp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odified embodiments should be includ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5: 도어트림 10: 베젤
20: 종래 자동차도어용 스위치
100: 터치스위치 조립체 110: 스킨패널
110a: 필름(코팅제) 110b: 사출물
112: 버튼부 114: 기능버튼
115: 버튼세트 116: 식별돌기
116a: 원호형식별돌기 116b: 직선형식별돌기
120: 터치패널 122: 제1 터치부
124: 제2 터치부 124a: 진동플레이트
124a1: 피에조모듈 124b: 전기전도성막
130: 서포트부 132: 함몰부
134: 돌출지지부 136: 탄성부재
140: 커버하우징 142: 회로기판
143: 드라이버모듈 150: 결합수단
152: 보스 154: 관통결합부
156: 이중결합부 156a: 제1 끼움결합
156b: 제2 끼움결합
5: Door trim 10: Bezel
20: Conventional motor door switch
100: touch switch assembly 110: skin panel
110a: Film (coating agent) 110b: Injection
112: Button part 114: Function button
115: Button set 116: Identification projection
116a: projection by arc type 116b: linear identification projection
120: touch panel 122: first touch part
124: second touch part 124a: vibration plate
124a1: Piezo module 124b: Electroconductive film
130: Support part 132:
134: projecting support portion 136: elastic member
140: cover housing 142: circuit board
143: Driver module 150: Coupling means
152: boss 154: through-
156: Double coupling part 156a: First fitting
156b: Combination of second fitting

Claims (8)

다수의 기능버튼으로 구성되되 상기 기능버튼 중 한 쌍을 이루며 좌우 또는 전후로 배치되어 서로 인접한 기능을 수행하는 버튼세트와, 상기 버튼세트를 이루는 한 쌍의 상기 기능버튼을 사용자의 촉각을 통해 각각 구별할 수 있도록 상기 버튼세트의 일영역에서 상방으로 돌출형성된 식별돌기를 포함하여 각종 편의기능을 선택조작하는 터치식 버튼부가 일영역에 구비된 자동차도어의 스킨패널; 상기 터치식 버튼부의 하부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터치식 버튼부의 터치를 인식하여 입력신호를 발생시키는 터치패널; 상기 터치패널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터치패널을 지지하는 서포트부; 및 상기 터치패널에 대한 제어를 위한 회로기판이 내부공간에 실장되고 상기 서포트부를 지지고정한 상태로 상기 스킨패널의 하부에 결합되는 커버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버튼세트를 이루는 한 쌍의 상기 기능버튼은, 각각 아래쪽으로 오목한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해당 기능을 각각 형상화한 문양이 음각형성되며,
상기 식별돌기는, 상기 버튼세트를 이루는 한 쌍의 상기 기능버튼이 서로 마주보는 가장자리 일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상방으로 돌출형성된 원호형식별돌기로 이루어지고,
고품질의 외관 표면이 구현되도록, 상기 터치식 버튼부 및 상기 원호형식별돌기는 필름인서트 또는 인몰드코팅 성형법에 의해 일체로 사출성형되고,
상기 터치패널은, 상기 터치식 버튼부의 터치에 대응하여 입력신호를 발생시키는 정전용량형 제1 터치부와, 상기 터치식 버튼부의 터치로 인한 입력신호의 발생과 함께 사용자에게 소정의 촉감을 제공하는 햅틱형 제2 터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햅틱형 제2 터치부는, 각각의 상기 기능버튼에 대응한 크기와 형상으로 배치되어 상하로 작동하며 소정의 촉감을 제공하는 판상의 피에조모듈이 구비된 진동플레이트와, 상기 진동플레이트의 양면에 각각 부착되는 한 쌍의 전기전도성막을 포함하고,
상기 서포트부는, 상기 피에조모듈의 상하방향 원활한 작동을 위해 상기 피에조모듈의 작동 하부에 구비되는 함몰부와, 상기 함몰부 주변에서 돌출형성되어 상기 햅틱형 제2 터치부를 지지하는 돌출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도어용 터치스위치 조립체.
A button set which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function buttons and is arranged in a left / right or front / rear direction and forms a pair of the function buttons, performs a function adjacent to each other, and a pair of function buttons constituting the button set, Wherein the touch panel includes a plurality of buttons and a plurality of buttons, the buttons being provided on the button panel. A touch panel for recognizing a touch of the touch-type button unit and generating an input signal while being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touch-type button unit; A support unit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touch panel to support the touch panel; And a cover housing mounted on an inner space of the circuit board for controlling the touch panel and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kin panel while supporting and supporting the support unit,
Wherein a pair of the function buttons constituting the button set are each formed in a circular shape having a downward concave shape,
Wherein the identification protrusions are formed by protrusions of an arcuate shape protruding upward from at least one of edge regions of the pair of function buttons constituting the button set facing each other,
The touch-type button portion and the projection according to the arc type are integrally injection-molded by a film insert or an in-mold coating forming method so that a high-quality outer surface is realized,
The touch panel includes: a capacitive first touch unit for generating an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a touch of the touch-type button unit; and a touch-type button unit for providing a predetermined touch to the user, And a haptic type second touch unit,
The haptic second touch unit includes a vibrating plate having a plate-like piezo module arranged in a size and shap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unction buttons and operating up and down and providing a predetermined touch, A pair of electrically conductive films to be attached,
The supporting part may include a depression provided in a lower portion of the operation of the piezoelectric module for smooth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of the piezoelectric module and a protrusion supporting part protruding from the periphery of the depression for supporting the haptic type second touch part A touch switch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door characterized by:
삭제delete 다수의 기능버튼으로 구성되되 상기 기능버튼 중 한 쌍을 이루며 좌우 또는 전후로 배치되어 서로 인접한 기능을 수행하는 버튼세트와, 상기 버튼세트를 이루는 한 쌍의 상기 기능버튼을 사용자의 촉각을 통해 각각 구별할 수 있도록 상기 버튼세트의 일영역에서 상방으로 돌출형성된 식별돌기를 포함하여 각종 편의기능을 선택조작하는 터치식 버튼부가 일영역에 구비된 자동차도어의 스킨패널; 상기 터치식 버튼부의 하부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터치식 버튼부의 터치를 인식하여 입력신호를 발생시키는 터치패널; 상기 터치패널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터치패널을 지지하는 서포트부; 및 상기 터치패널에 대한 제어를 위한 회로기판이 내부공간에 실장되고 상기 서포트부를 지지고정한 상태로 상기 스킨패널의 하부에 결합되는 커버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버튼세트를 이루는 한 쌍의 상기 기능버튼은, 아래쪽으로 오목한 하나의 타원형으로 이루어지고, 해당 기능을 각각 형상화한 문양이 음각형성되며,
상기 식별돌기는, 상기 버튼세트를 이루는 한 쌍의 상기 기능버튼을 가로지르며 분할하도록 상방으로 돌출형성된 직선형식별돌기로 이루어지고,
고품질의 외관 표면이 구현되도록, 상기 터치식 버튼부 및 상기 직선형식별돌기는 필름인서트 또는 인몰드코팅 성형법에 의해 일체로 사출성형되고,
상기 터치패널은, 상기 터치식 버튼부의 터치에 대응하여 입력신호를 발생시키는 정전용량형 제1 터치부와, 상기 터치식 버튼부의 터치로 인한 입력신호의 발생과 함께 사용자에게 소정의 촉감을 제공하는 햅틱형 제2 터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햅틱형 제2 터치부는, 각각의 상기 기능버튼에 대응한 크기와 형상으로 배치되어 상하로 작동하며 소정의 촉감을 제공하는 판상의 피에조모듈이 구비된 진동플레이트와, 상기 진동플레이트의 양면에 각각 부착되는 한 쌍의 전기전도성막을 포함하고,
상기 서포트부는, 상기 피에조모듈의 상하방향 원활한 작동을 위해 상기 피에조모듈의 작동 하부에 구비되는 함몰부와, 상기 함몰부 주변에서 돌출형성되어 상기 햅틱형 제2 터치부를 지지하는 돌출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도어용 터치스위치 조립체.
A button set which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function buttons and is arranged in a left / right or front / rear direction and forms a pair of the function buttons, performs a function adjacent to each other, and a pair of function buttons constituting the button set, Wherein the touch panel includes a plurality of buttons and a plurality of buttons, the buttons being provided on the button panel. A touch panel for recognizing a touch of the touch-type button unit and generating an input signal while being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touch-type button unit; A support unit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touch panel to support the touch panel; And a cover housing mounted on an inner space of the circuit board for controlling the touch panel and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kin panel while supporting and supporting the support unit,
Wherein a pair of the function buttons constituting the button set is formed by one ellipse having a downward concave shape,
Wherein the identification protrusion comprises a straight identification protrusion formed upwardly so as to divide and break across a pair of the function buttons constituting the button set,
The touch-type button portion and the linear identification projection are integrally injection-molded by a film insert or an in-mold coating molding method so that a high-quality outer surface is realized,
The touch panel includes: a capacitive first touch unit for generating an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a touch of the touch-type button unit; and a touch-type button unit for providing a predetermined touch to the user, And a haptic type second touch unit,
The haptic second touch unit includes a vibrating plate having a plate-like piezo module arranged in a size and shap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unction buttons and operating up and down and providing a predetermined touch, A pair of electrically conductive films to be attached,
The supporting part may include a depression provided in a lower portion of the operation of the piezoelectric module for smooth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of the piezoelectric module and a protrusion supporting part protruding from the periphery of the depression for supporting the haptic type second touch part A touch switch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door characterized by: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하우징은, 금형 내 장치인서트 성형법에 의해 상기 회로기판과 일체로 사출성형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스킨패널, 서포트부 및 상기 커버하우징 간의 결합은,
상호 간의 조립이 정위치에서 이루어지도록 유도하기 위해 상기 스킨패널에서 대칭으로 배치되며 결합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적어도 한 쌍 이상의 보스와, 상기 적어도 한 쌍 이상의 보스에 의해 관통되며 고정되도록 상기 서포트부에 형성된 관통결합부과, 상기 관통결합부과 접하는 면에서 서로 제1 끼움결합되고 상기 적어도 한 쌍 이상의 보스의 단부와 제2 끼움결합되도록 상기 커버하우징에 형성된 이중결합부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도어용 터치스위치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Wherein the cover housing is injection-molded integrally with the circuit board by an in-mold apparatus insert molding method,
The coupling between the skin panel, the support portion and the cover housing,
At least one pair of bosses symmetrically disposed on the skin panel and protruding in a coupling direction to induce mutual assembly to be performed in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at least one pair of bosses And a double engaging portion formed on the cover housing to be fitted into the first engaging portion and the second engaging engaging portion with the end portions of the at least one pair of bosses, Assembly.
KR1020170157156A 2017-11-23 2017-11-23 Skin panel for touch switch of automotive doors and touch switch assembly using same KR10191059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7156A KR101910598B1 (en) 2017-11-23 2017-11-23 Skin panel for touch switch of automotive doors and touch switch assembly u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7156A KR101910598B1 (en) 2017-11-23 2017-11-23 Skin panel for touch switch of automotive doors and touch switch assembly using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0598B1 true KR101910598B1 (en) 2018-10-23

Family

ID=64101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7156A KR101910598B1 (en) 2017-11-23 2017-11-23 Skin panel for touch switch of automotive doors and touch switch assembly using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0598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49667A (en) * 2018-12-28 2019-06-07 天津盛相电子有限公司 Automobile switch panel
KR102011880B1 (en) * 2018-12-18 2019-08-21 덕양산업 주식회사 Switch assembly for operat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vehicle windows
CN111516617A (en) * 2019-02-01 2020-08-11 佛吉亚(中国)投资有限公司 Touch module for vehicle interior, interior and vehicle comprising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48815A (en) * 2010-05-10 2011-03-10 Kyocera Corp Input device
KR101486914B1 (en) * 2013-11-20 2015-01-29 한일이화 주식회사 Switch module assembly structure for door of vehic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48815A (en) * 2010-05-10 2011-03-10 Kyocera Corp Input device
KR101486914B1 (en) * 2013-11-20 2015-01-29 한일이화 주식회사 Switch module assembly structure for door of vehicl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1880B1 (en) * 2018-12-18 2019-08-21 덕양산업 주식회사 Switch assembly for operat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vehicle windows
CN109849667A (en) * 2018-12-28 2019-06-07 天津盛相电子有限公司 Automobile switch panel
CN111516617A (en) * 2019-02-01 2020-08-11 佛吉亚(中国)投资有限公司 Touch module for vehicle interior, interior and vehicle comprising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0598B1 (en) Skin panel for touch switch of automotive doors and touch switch assembly using same
KR101912317B1 (en) Touch switch assembly for automotive doors
US9174536B2 (en) Functional unit with button functions
CN105589595B (en) Haptic touch panel assembly for vehicle
US20150016144A1 (en) Functional Support with Button Functions
US11661025B2 (en) Component for a vehicle interior
CN101444035A (en) Key fob device and method
EP2329484A1 (en) Three dimensional graphics with changing appearances
WO2009089092A1 (en) Touch sensitive switches integrated with a vehicle interior part
US10024744B2 (en) Control panel with flexible piezoelectric sensor for a vehicle
JP5615774B2 (en) Packing for switch and electronic key using the same
CN116547168A (en) Vehicle interior component
KR102011880B1 (en) Switch assembly for operat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vehicle windows
CN107438888B (en) Switch operating device
WO2022018998A1 (en) Decorative panel
JP6535245B2 (en) Switch device
KR20180019944A (en) Slim smart key for vehicle
KR101866849B1 (en) soft door upper trim of vehicle for switch assembly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oft door trim
CN114630493A (en) IME structure using electronic circuit plating process and method of making same
CN219832475U (en) Push switch unit for vehicle
JP4498334B2 (en) Operating device
KR20100091479A (en) Keypad assembly for mobile phone
JP2015166177A (en) Metal mold for molding, and method for producing electrostatic capacitance type input switch by using the mold
CN217933516U (en) Five-way key structure of steering wheel switch
US20230073675A1 (en) Vehicle push switch uni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