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0272B1 - 세포 캡슐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세포 캡슐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0272B1
KR101910272B1 KR1020170040925A KR20170040925A KR101910272B1 KR 101910272 B1 KR101910272 B1 KR 101910272B1 KR 1020170040925 A KR1020170040925 A KR 1020170040925A KR 20170040925 A KR20170040925 A KR 20170040925A KR 101910272 B1 KR101910272 B1 KR 1019102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cells
hydrogel
capsule
cell caps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0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0927A (ko
Inventor
민준홍
정성희
Original Assignee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40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0272B1/ko
Publication of KR20180110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09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0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02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1/00Carrier-bound or immobilised enzymes; Carrier-bound or immobilised microbial cells; Preparation thereof
    • C12N11/02Enzymes or microbial cells immobilised on or in an organic carrier
    • C12N11/04Enzymes or microbial cells immobilised on or in an organic carrier entrapped within the carrier, e.g. gel or hollow 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1/00Carrier-bound or immobilised enzymes; Carrier-bound or immobilised microbial cells; Preparation thereof
    • C12N11/02Enzymes or microbial cells immobilised on or in an organic carrier
    • C12N11/08Enzymes or microbial cells immobilised on or in an organic carrier the carrier being a synthetic polyme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1/00Carrier-bound or immobilised enzymes; Carrier-bound or immobilised microbial cells; Preparation thereof
    • C12N11/02Enzymes or microbial cells immobilised on or in an organic carrier
    • C12N11/08Enzymes or microbial cells immobilised on or in an organic carrier the carrier being a synthetic polymer
    • C12N11/089Enzymes or microbial cells immobilised on or in an organic carrier the carrier being a synthetic polymer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1/00Carrier-bound or immobilised enzymes; Carrier-bound or immobilised microbial cells; Preparation thereof
    • C12N11/02Enzymes or microbial cells immobilised on or in an organic carrier
    • C12N11/10Enzymes or microbial cells immobilised on or in an organic carrier the carrier being a carbohydrat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Zo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Immobilizing And Processing Of Enzymes And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포 캡슐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조직 모사를 위한 3차원적 세포 캡슐을 특별한 장비 없이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 구체예에 따른 세포 캡슐 제조 방법에 따르면, 대면적으로 세포가 분산되도록 하여 배지의 공급이 원활하고 조직모사에 중요한 세포의 환경을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단일 종류뿐 아니라 2종 이상의 공배양 세포 캡슐을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세포 캡슐 제조 방법{Method for Preparing Cell Capsule}
본 발명은 세포 캡슐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조직 모사를 위한 3차원적 세포 캡슐을 특별한 장비 없이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조직 모사에서 중요한 부분은 실제 조직과의 구조와 기능을 얼마나 비슷하게 모사할 수 있는지 여부에 달려 있다. 조직내부의 세포는 세포외 기질(ECM)에 둘러싸여 3차원으로 배열되어 있으므로, 기존의 2차원으로 세포를 배양하는 방법은 조직모사에서는 큰 의미가 없어 3차원으로 세포를 배양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개발되어 왔다.
3차원 세포 배양법 중 세포 캡슐화는 약물전달 시스템에서의 목표하는 세포 내부의 미세환경에서 세포의 손상없이 영역 안까지 안전하게 전달해주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단일세포 또는 세포 중합체(aggregate)를 직접 목표 조직 또는 장기에 주입 시 물리적으로나 화학적 신호, 그리고 세포외 기질(과 같은 지지체가 없다면 세포의 기능장애를 가져올 수 있다.
세포 캡슐화에 있어서 하이드로겔(hydrogel)은 3차원 입체 구조화가 가능하며, 친수성 가교 결합물질로서 수분 함량이 높고, 다수의 기공을 포함하며, 살아있는 조직과 같은 비슷한 특성을 가지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세포 캡슐 제작 시 세포를 일정모양으로 장기간 보존해 줄 수 있는 유용한 재료로 사용될 수 있다. 알기네이트(alginate)는 하이드로겔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물질의 하나로서, 갈조류로부터 다당류로 생합성된 재료이며, pH6 이하에서 2가 양이온의 이온성 젤라틴 하이드로겔 상태로 존재한다. 콜라겐(collagen)은 세포외 기질의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콜라겐 섬유는 일부 조직의 기계적 저항성을 보조해주는 기능을 한다. 이는 콜라겐 섬유의 세포 네트워크 보조에 의하여 상호 작용을 막아 콜라겐 비드의 안정성을 높여준다.
기존의 세포 캡슐 제작 방법으로는 미세 유체칩을 이용한 세포 캡슐화 방법이 있다. 이는 수 마이크로 단위 면적의 미세 유체 이동 속도 조절에 의한 세포 캡슐화 제작 기술로, 수십 마이크로 단위의 세포 캡슐 제작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는 정교한 미세유체 칩이 필요하며 칩 내부에서 제작되는 것이므로 다량의 세포캡슐 제작에 무리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전기방사를 이용한 세포 캡슐화 방법은 수십 마이크로 사이즈의 노즐을 통하여 전하를 부가하여 전압차에 의한 마이크로 사이즈의 방사형 세포 캡슐을 제작한다. 이 방법은 한번에 많은 양의 세포 캡슐을 제작할 수 있으나, 물질의 방사에 의한 세포 캡슐 제작으로 내부세포가 일정하게 분포되기 어려우며, 전하 부가를 위한 대형 장비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노즐을 이용한 세포 캡슐화 방법은 작은 볼륨의 주사기 형태에서 밀어내는 압력을 이용하여 세포 캡슐을 제작하는 방법으로 전기적 장치없이 간편하게 사용 가능하지만, 세포 혼합 형태의 세포 캡슐 제작만 가능하며, 크기 조절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특별한 장비 없이 3차원적 세포 캡슐을 제조하는 방법을 연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Biotechnol. J. 2014, 9, 1233-1240
본 발명의 일 양상은 하이드로겔을 사용하여 액적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형성된 하이드로겔 액적에 1 이상의 세포 혼합물을 주입하는 단계; 상기 결과물에 하이드로겔을 주입하는 단계; 및 상기의 결과물을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포 캡슐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은
a) 하이드로겔을 사용하여 액적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형성된 하이드로겔 액적에 1 이상의 세포 혼합물을 주입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의 결과물에 하이드로겔을 주입하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의 결과물을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포 캡슐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세포 캡슐 제조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세포 캡슐 제조 방법은 하이드로겔을 사용하여 액적을 형성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하이드로겔(hydrogel)"은 수용성 고분자가 물리적 결합(예를 들어, 수소결합, 반데르 발스 힘, 소수성 상호작용 등) 또는 화학적 결합(예를 들어, 공유결합)에 의해 3차원의 가교를 형성하고 있는 망상 구조로서, 수상 환경에서 용해되지 않고 상당한 양의 물을 함유할 수 있는 물질을 의미한다.
이러한 하이드로겔은 다양한 수용성 고분자로부터 만들어질 수 있기 때문에 여러 가지 화학적 조성과 물성을 가지며, 가공이 용이하여, 응용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높은 함수율(water content)과 세포외 기질(extracellular matrix)과의 물리화학적 유사성으로 인하여 높은 생체 적합성을 갖는다. 하이드로겔의 이러한 성질은 본 발명에 따른 세포 캡슐의 형태를 유지시키고 세포 캡슐 내부의 세포들의 활성 및 생장률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하이드로겔은 소듐 알기네이트, 아가로즈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Polyethylene glycol diacrylate, PEGD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단계에서 액적의 형성은 세포 캡슐 제조용 플레이트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세포 캡슐 제조용 플레이트는 0.1 mm 내지 10 mm 사이의 일정한 직경의 포어가 2개 이상 존재하는 것으로, 상기 포어의 하부에는 1 mm 내지 5 mm 길이의 채널이 연결되어 있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하이드로겔의 액적은 상기 포어에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마이크로 피펫을 사용하여 주입함으로써 생성시킬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로겔 액적은 하이드로겔을 주입하는 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액적은 0.5 mm 내지 5 mm의 직경을 갖는 구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본 발명의 세포 캡슐 제조 방법은 상기 형성된 하이드로겔 액적에 1종 이상의 세포 혼합물을 주입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세포 혼합물은 세포외 기질 및 세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세포 혼합물"은 세포 캡슐에 배양하고자 하는 세포 및 상기 세포가 적절하게 배양되어 생존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세포외 기질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인간 배아 신장 세포를 사용하여 세포 캡슐을 제조하는 경우 상기 세포 혼합물은 인간 배아 신장 세포 및 세포외 기질로 콜라겐, 피브로넥틴, MatrigelT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형성된 하이드로겔 액적에는 단일 종류의 세포 혼합물이 주입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종 이상의 세포 혼합물을 적층하여 주입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세포 캡슐 제조 방법을 통해 제조된 세포 캡슐을 세포 캡슐 내에 다양한 종류의 세포가 적층되어 2종 이상의 세포간의 상호 관계를 관찰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세포 캡슐 제조 방법은 상기 단계의 결과물에 하이드로겔을 주입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본 단계에서 다시 한번 하이드로겔을 주입함으로써, 이전 단계에서 주입된 세포의 분산을 막아 일정한 형태, 예를 들어, 구형의 세포 캡슐을 형성하도록 한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본 단계에서 주입하는 하이드로겔은 상기 액적을 형성하는 단계와 동일한 양을 주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본 단계에서의 하이드로겔은 상기 액적을 형성하는 단계와 동일한 종류의 하이드로겔을 주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소듐 알기네이트, 아가로즈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세포 캡슐 제조 방법은 상기 단계의 결과물을 경화시키는 단계를 수행한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의 결과물을 경화시키는 방법은 상기 사용된 하이드로겔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칼슘 클로라이드와 같은 2가 이온 경화제를 사용하는 방법, 상기 결과물을 냉각시키는 방법, 자외선을 이용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하이드로겔로 아가로즈를 사용하는 경우, 액적 형성 후 37℃에서 냉각시켜 15분 정도 방치하여 경화시킬 수 있다. 하이드로겔로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는 경우, 365nm 파장의 자외선을 4.5 mW/cm2의 세기로 5분간 조사하여 경화시킬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른 세포 캡슐 제조 방법에 따르면, 대면적으로 세포가 분산되도록 하여 배지의 공급이 원활하고 조직모사에 중요한 세포의 환경을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단일 종류뿐 아니라 2종 이상의 공배양 세포 캡슐을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세포 캡슐 제조용 플레이트의 측면도(a), 평면도(b)를 나타내며,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세포 캡슐을 제조하기 위해 액적을 형성하는 과정을 측면(c)과 윗면(d)에서 촬영한 사진을 나타낸다.
도 2는 (a)는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세포 캡슐 제조 과정의 모식도를 나타내며, (b)는 세포 캡슐 제조 과정을 촬영한 사진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라 제작된 인간 배아 세포 신장 세포가 포함된 세포 캡슐 크기 분포도(a) 및 제작된 세포 캡슐의 이미지(b)를 나타낸다. (b)에서 이미지 하단의 스케일 바(scale bar)는 1000μm이다.
도 4의 (a)는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라 제작된 인간 배아 신장 세포가 포함된 세포 캡슐 내 세포 생장 곡선 및 live(녹색)/dead(적색) 염색 결과이며, (b)는 14일째의 세포 캡슐 단면, (c)는 (b)를 10배 확대하여 나타낸 이미지이다. (a), (b), (c)에서 스케일 바는 각각 500μm, 100μm, 100μm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라 제작된 HMEC, MDA-MB231 세포의 공배양 세포 캡슐 제조 결과를 나타내는 형광 이미지이다.
도 6은 2종의 유방세포 (a) MDA-MB231와 (b) HMEC를 이용한 단일 배양 및 (c) 공배양 세포 캡슐을 제작하여 다양한 농도의 커큐민 처리에 따른 세포 생장을 확인한 형광 이미지 및 그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d)이다. (a), (b), (c)에서 스케일 바는 모두 500μm이다.
도 7은 3종의 MDA-MB231(녹색), HEK293(적색), HMEC(녹색)세포를 각각 형광염색하여 공배양 세포 캡슐을 제작하여 다중층 세포 캡슐을 형광색을 통해 확인한 형광 이미지이며, 스케일 바는 500μm이다.
이하 하나 이상의 구체예를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구체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세포 캡슐 제조를 위한 플레이트 제작
본 실시예에서는 세포 캡슐을 제조하기 위한 플레이트를 제작하였다. 세포 캡슐 제조를 위한 플레이트는 약 1 내지 10 ㎕ 부피의 마이크로 파이펫 팁 말단의 크기에 맞는 포어가 존재하며, 플레이트의 하부에는 세포 캡슐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하이드로겔 액적이 매달려 있을 수 있는 채널이 존재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세포 캡슐을 제조하기 위한 플레이트의 모식도와 세포 캡슐의 제조에 사용한 플레이트의 사진을 나타낸다.
실시예 2: 세포 캡슐 제조 방법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세포 캡슐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를 나타낸다. 먼저, 3 ㎕ 내지 5 ㎕의 하이드로겔(예를 들어, 소듐 알기네이트, sodium alginate) 용액을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플레이트의 포어를 통해 주입을 하면, 채널 말단에 하이드로겔 용액이 구형의 액적을 형성하게 된다. 이후, 상기 형성된 액적에 제조하고자 하는 세포 캡슐의 종류에 따라 각각의 세포에 알맞은 세포외 기질(콜라젠, 피브로넥틴 등)과 해당 세포(이하, 세포 혼합물로 명명함)를 혼합하여 주입한다. 그 다음, 동량의 하이드로겔 용액을 상기 액적에 다시 주입하여 상기 포함된 세포외 기질 및 해당 세포가 분산되는 것을 막고, 마지막으로 경화제(CaCl2 등)에 상기 액적을 떨어뜨려 접촉시켜 세포 캡슐을 완성시킨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세포 캡슐은 상기 주입하는 하이드로겔 및 세포외 기질을 포함하는 세포의 부피에 따라 그 크기의 조절이 가능하며, 이러한 크기 조절은 하이드로겔의 점도, 세포를 포함하는 세포외 기질의 농도에 따라 달라진다.
실시예 3: 인간 배아 신장 세포를 포함하는 세포 캡슐 제조
본 실시예에서는 인간 배아 신장 세포(HEK293)을 포함하는 세포 캡슐을 제조하여 세포의 생장률을 확인하였다. HEK293 세포를 포함하는 세포 캡슐은 실시예 2의 방법에 따라 제조되었으며, 하이드로겔은 2% 소듐 알기네이트 용액을 멸균된 증류수에 질량%로 2%가 되도록 혼합하여 60℃에서 12시간 이상 녹인 후 사용하였다. 이때 사용된 소듐 알기네이트는 중간점도 즉, 20℃ 2% 농도에서 2000cP 이상의 점도를 가지는 것을 이용하였다. 세포 혼합물은 콜라겐 5 mg과 1.0 × 105개의 HEK293 세포가 포함되도록 하였으며, 4 ㎕의 상기 소듐 알기네이트 용액 액적에 세포 혼합물 3 ㎕, 소듐 알기네이트 용액 4 ㎕를 순서대로 주입하여 세포 캡슐을 제작하였다. 도 3은 상기 과정을 통해 제작된 세포 캡슐의 제작 크기 분포도(a) 및 제작된 세포 캡슐의 이미지(b)를 보여주는 것이다. 상기 제작된 세포 캡슐은 2.3 mm 내지 3 mm의 직경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세포 혼합물이 하이드로겔 내에 균일하게 분포되어 HEK293 세포 및 세포외 기질을 포함하는 세포 캡슐이 제조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광학 현미경으로 확인하였으며, 니콘 NI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길이 관측을 하였다.
실시예 4: 세포 캡슐 내 HEK293의 생장 확인
실시예 3에서 제조한 세포 캡슐 내에서 세포주가 안정적으로 성장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도 4의 (a)는 세포 활성 측정 키트(CCK-8, Dojindo)를 사용하여 날짜별로 세포 활성을 측정한 것으로, 9일까지 세포 활성 증가를 보임으로서 세포가 계속 성장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14일까지 유지가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9일 이후로부터 세포끼리의 군집을 형성하며 세포 캡슐 내부에서 조직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4의 (b) 및 (c)는 14일 동안 배양된 세포 캡슐을 고정화하여 단면을 절단하여 이미지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단일 세포로 분산되어 있던 세포끼리 성장하며 이동하여 세포 군집(도 4의 (c) 검정 덩어리 형성)을 형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기존의 3차원 스페로이드 세포 구조체의 경우 세포주의 생장률이 보통 7일 정도로 낮은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세포 캡슐 제조 방법을 통해 제조된 세포 캡슐은 14일까지 안정적 성장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세포에 알맞은 세포외 기질을 안정적으로 제공함과 동시에 원활한 배지를 공급할 수 있는 구조체로 형성되기에 가능하다.
실시예 5: 유방 세포 및 유방암 세포를 동시에 포함하는 세포 캡슐 제조
본 실시예에서는 인간 유방 세포(HMEC) 및 유방암 세포(MDA-MB231)을 포함하는 세포 캡슐을 제조하여 세포 캡슐 내에서 2종 이상의 세포의 공배양 가능 여부를 확인하였다. HMEC 세포 및 MDA-MB231을 포함하는 세포 캡슐은 실시예 2의 방법에 따라 제조되었으며, 하이드로겔은 2% 소듐 알기네이트 용액을 세포 혼합물은 ECM(5 mg의 콜라젠)과 1.0 × 105개의 HMEC 세포, ECM(5 mg의 콜라젠)과 1.0 × 105개의 MDA-MB231 세포가 포함되도록 하였으며, 4 ㎕의 상기 소듐 알기네이트 용액 액적에 HMEC 세포가 포함된 세포 혼합물 3 ㎕, MDA-MB231 세포가 포함된 세포 혼합물 3 ㎕, 소듐 알기네이트 용액 4 ㎕를 순서대로 주입하여 세포 캡슐을 제작하였다.
상기 제조한 세포 캡슐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종류의 세포(적색과 녹색 형광 염색 세포)가 적층으로 삽입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세포는 두 세포를 각각 분리하여 보여주기 위하여 cell tracker(Invitrogen)-녹색과 적색을 이용하여 세포 캡슐화 제작 전 미리 염색을 한 후 사용하였다.
실시예 6: 공배양 세포 캡슐 내 HMEC 세포 및 MDA-MB231 세포의 생장 확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시예 5에서 제조한 공배양 세포 캡슐에 다양한 농도의 약물을 처리하여 세포의 활성 변화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2의 방법에 따라 제조한 유방암 세포 MDA-MB231 세포 캡슐, 정상 세포 HMEC의 세포 캡슐, 그리고 실시예 5에서 제조한 공배양 세포 캡슐의 3 종류의 세포 캡슐에 커큐민(curcumin)을 다양한 농도(10, 30, 50, 70 uM)로 처리하여 세포의 생장을 live/dead 키트(Invitrogen) 및 생장 측정 키트(CCK-8)(Dojindo)를 통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6의 (a) 내지 (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정상 세포에 비하여 암세포가 커큐민의 적은 농도에도 사멸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공배양 세포의 경우(내부 정상 세포, 외부 암세포) 암세포가 단독으로 존재할 때와 비교하여 세포의 사멸 정도가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도 6의 (d) 그래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세포 생장 측정 데이터와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동일한 세포라고 하더라도 단일 배양의 경우와 공배양 되었을 때, 세포간의 유기적 소통에 따라 서로 다른 결과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7: MDA -MB231 세포, HEK293 세포 및 HMEC 세포를 동시에 포함하는 세포 캡슐 제조
본 실시예에서는 MDA-MB231 세포, HEK293 세포 및 HMEC 세포를 포함하는 세포 캡슐을 제조하여 세포 캡슐 내에서 3종 세포의 공배양이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MDA-MB231 세포, HEK293 세포 및 HMEC 세포를 포함하는 세포 캡슐은 실시예 2의 방법에 따라 제조되었으며, 하이드로겔은 2% 소듐 알기네이트 용액을 세포 혼합물은 ECM(5 mg의 콜라젠)과 1.0 × 105개의 MDA-MB231 세포, ECM(5 mg의 콜라젠)과 1.0 × 105개의 HEK293 세포, ECM(5 mg의 콜라젠)과 1.0 ×105개의 HMEC 세포가 포함되도록 하였으며, 4 ㎕의 상기 소듐 알기네이트 용액 액적에 MDA-MB231 세포 포함된 세포 혼합물 1.5 ㎕, HEK293 세포가 포함된 세포 혼합물 1.5 ㎕, HMEC 세포가 포함된 세포 혼합물 1.5 ㎕, 소듐 알기네이트 용액 4 ㎕를 순서대로 주입하여 세포 캡슐을 제작하였다.
상기 제조한 세포 캡슐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종류의 세포가 적층으로 삽입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세포는 3종의 세포를 각각 분리하여 보여주기 위하여 cell tracker(Invitrogen)를 이용하여 세포 캡슐화 제작 전 각각의 세포에 미리 염색을 한 후 사용하였다. 기존의 기술로는 3차원으로 패턴화하여 세포의 공배양이 어려웠으나, 본 발명의 방법을 사용하면 특별한 장비 없이 패턴화된 다종세포 공배양 세포 캡슐을 제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작된 공배양 세포 캡슐은 다종 세포의 3차원 장기 배양뿐만 아니라 장기모사 분야에서 다양한 약물 및 독성 평가에 적용이 가능하므로 넓은 영역에서 쉽게 활용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a) 포어 및 포어의 하부에 연결되는 채널을 갖는 플레이트의 포어에 하이드로겔을 주입하여 액적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형성된 하이드로겔 액적에 1 이상의 세포 혼합물을 주입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의 결과물에 하이드로겔을 주입하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의 결과물을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포 캡슐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하이드로겔은 소듐 알기네이트, 아가로즈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세포 캡슐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액적은 0.5 mm 내지 5 mm의 직경을 갖는 구형인 것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형성된 하이드로겔 액적에 2 이상의 세포 혼합물을 주입하는 것인 세포 캡슐 제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 혼합물은 세포외 기질 및 세포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하이드로겔은 상기 a) 단계의 하이드로겔과 동일한 양을 주입하는 것인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하이드로겔은 소듐 알기네이트, 아가로즈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세포 캡슐 제조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경화제를 사용하는 방법, 냉각하는 방법 및 자외선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으로 수행되는 것인 세포 캡슐 제조 방법.
KR1020170040925A 2017-03-30 2017-03-30 세포 캡슐 제조 방법 KR1019102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0925A KR101910272B1 (ko) 2017-03-30 2017-03-30 세포 캡슐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0925A KR101910272B1 (ko) 2017-03-30 2017-03-30 세포 캡슐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0927A KR20180110927A (ko) 2018-10-11
KR101910272B1 true KR101910272B1 (ko) 2018-10-19

Family

ID=63865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0925A KR101910272B1 (ko) 2017-03-30 2017-03-30 세포 캡슐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02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9191A (ko) * 2020-05-13 2021-11-22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골 조직 모사체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0771B1 (ko) * 2018-11-28 2021-06-03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정상 및 암 오가노이드 미세환경 구현을 위한 코어-쉘 구조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160587B1 (ko) * 2019-12-24 2020-09-28 주식회사 팡세 하이드로겔 액적 디핑용 액체 배스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Grist et al., Biomicrofluidics, Vol.9. 024118 (2015)*
Ruiz-Ojeda et al., Int. J. Mol. Sci., Vol.17., 1040, p.1-26*
정재훈 등, Korean Chem, Eng, Res., Vol.48., No.5., pp.545-555. (2010.10)*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9191A (ko) * 2020-05-13 2021-11-22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골 조직 모사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48746B1 (ko) * 2020-05-13 2024-03-18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골 조직 모사체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0927A (ko) 2018-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ou et al. Amino acids and peptide‐based supramolecular hydrogels for three‐dimensional cell culture
Stanton et al. Bioprinting of 3D hydrogels
Puertas-Bartolomé et al. Emerging biofabrication techniques: a review on natural polymers for biomedical applications
Onoe et al. Cell-laden microfibers for bottom-up tissue engineering
Zhang et al. Bioink design for extrusion-based bioprinting
Liu et al. Modularly assembled porous cell-laden hydrogels
KR101910272B1 (ko) 세포 캡슐 제조 방법
JP2022536506A (ja) 3dバイオプリントされた皮膚組織モデル
Zhang et al. “All-in-one” zwitterionic granular hydrogel bioink for stem cell spheroids production and 3D bioprinting
CN107849530A (zh) 血管化组织、皮肤或黏膜等效物
Lee et al. Integration of microfluidic chip with biomimetic hydrogel for 3D controlling and monitoring of cell alignment and migration
Lin et al. Marine‐Derived Hydrogels for Biomedical Applications
Bakht et al. 3D bioprinting of miniaturized tissues embedded in self‐assembled nanoparticle‐based fibrillar platforms
US20220145259A1 (en) Liver Tissue Model Constructs and Methods for Providing the Same
Ma et al. Design and fabrication of polymeric hydrogel carrier for nerve repair
Wulf et al. Porous alginate scaffolds designed by calcium carbonate leaching technique
Firouzi et al. Enzymatically gellable gelatin improves nano‐hydroxyapatite‐alginate microcapsule characteristics for modular bone tissue formation
Akasov et al. 3D in vitro co-culture models based on normal cells and tumor spheroids formed by cyclic RGD-peptide induced cell self-assembly
Wisdom et al. 3D cell culture in interpenetrating networks of alginate and rBM matrix
JPWO2018135252A1 (ja) 半透膜及びその使用
Biju et al. Role of three-dimensional cell culture in therapeutics and diagnostics: an updated review
CN112522199A (zh) 一种用于细胞诱导自组织成多细胞球的3d凝胶载体及多细胞球培养方法
Fu et al. One-step dip-coating-fabricated core–shell silk fibroin rice paper fibrous scaffolds for 3D tumor spheroid formation
KR101660877B1 (ko) 화학적으로 가교된 히알루론산 하이드로젤 미립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스페로이드 형성방법
Xiong et al. Enhanced proliferation and angiogenic phenotype of endothelial cells via negatively-charged alginate and chondroitin sulfate microsphere hydroge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