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0059B1 - 안전 삼각대 - Google Patents

안전 삼각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0059B1
KR101910059B1 KR1020180041014A KR20180041014A KR101910059B1 KR 101910059 B1 KR101910059 B1 KR 101910059B1 KR 1020180041014 A KR1020180041014 A KR 1020180041014A KR 20180041014 A KR20180041014 A KR 20180041014A KR 101910059 B1 KR101910059 B1 KR 101910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guide rod
folding
foldable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1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기호
Original Assignee
전기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기호 filed Critical 전기호
Priority to KR1020180041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00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0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0059B1/ko
Priority to PCT/KR2019/004170 priority patent/WO201919900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7/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ortable emergency signal devices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1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mounted on the vehicle body, e.g. with mag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96Mounting of devices using L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emergenc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 B60Q2300/43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following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안전 삼각대 및 섬광신호기가 일체로 형성되어 하나의 물품을 구비하는 것으로 안전 삼각대 및 섬광신호기의 역할을 겸비하며, 컴팩트한 형상으로 구비되어 차량의 실내에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는 안전 삼각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본 발명은 차체 또는 지면에 접하도록 마련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일측에서 연장형성되는 가이드로드; 복수 개의 발광체를 포함하며, 일단이 상기 가이드로드의 단부에 고정되는 복수의 접철식발광부; 및 상기 접철식 발광부의 타단에 체결되며 상기 가이드로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체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접철식발광부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 접철식발광부가 접철되는 접철부 마련된다.

Description

안전 삼각대 {Warning Triangle}
본 발명은 도로에서 차량 사고 발생시, 2차 사고로 인한 대형 사고를 막기 위해 고장차량의 표지로 사용하는 안전 삼각대에 관한 것이다.
도로에서 교통사고 또는 차체 결함으로 인해 차량 운행이 불가한 경우, 차량을 수리하거나 견인하기 위하여 고장차량을 도로에 정차시켜야만 하는 불가피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 때, 고장으로 정차한 차량이나 그 차량의 운전자가, 후속하는 자동차 등과 충돌하는 2차사고가 빈번히 발생한다. 그런데 2차사고는 운전자가 차량에서 빠져나온 상태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 일반사고보다 치사율이 6배가 높다는 통계가 있으며, 이예 최근에는 2차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방안들이 활발하게 제고되고 있다.
이에 도로교통법은, 자동차의 운전자는 고장이나 그 밖의 사유로 고속도로 또는 자동차 전용도로에서 자동차를 운행할 수 없게 되었을 때에, 안전 삼각대 및 사방 500미터 지점에서 식별할 수 있는 적색의 섬광신호기, 전기제등 또는 불꽃신호를 설치하여야 하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안전 삼각대나 섬광신호기 등은 부피가 크고 별도로 구비하여야 하는 관계로 트렁크에 보관하여 주행하다가 사고가 나면 트렁크에서 꺼내어 설치하는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고장차량의 운전자가 상기 안전 삼각대 또는 섬광신호기 등을 설치하는 중에도 2차사고가 발생하는 사례가 늘면서 안전 삼각대 등을 안전하게 설치하기 위한 방안이 촉구되고 있다.
일 대안으로써 일본에서는 안전 삼각대나 섬광신호기를 트렁크에 구비하지 않고 운전석의 인접한 위치에 섬광신호기 등을 상시 구비하다가, 사고 발생시 운전자가 섬광신호기를 작동시킨 상태에서 소지하고 차량에서 하차하도록 법으로 규정하고 있다.
그런데, 안전 삼각대 및 섬광신호기 등을 별도로 보관하는 것은 매우 번거로우며, 각 표지의 부피가 커서 차량의 제한된 실내공간에 보관하는 것은, 보관이 불편할 뿐더러 공간 활용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안전 삼각대 및 섬광신호기가 일체로 형성되어 하나의 물품을 구비하는 것으로 안전 삼각대 및 섬광신호기의 역할을 겸비하는 안전 삼각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컴팩트한 형상으로 구비되어 차량의 실내에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고, 설치가 간단하며, 사방에서 식별이 가능한 안전 삼각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차체 또는 지면에 접하도록 마련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일측에서 연장형성되는 가이드로드; 복수 개의 발광체를 포함하며, 일단이 상기 가이드로드의 단부에 고정되는 복수의 접철식발광부; 및 상기 접철식 발광부의 타단에 체결되며 상기 가이드로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체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접철식발광부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 접철식발광부가 접철되는 접철부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는, 상기 베이스 내부에 수용되는 자석을 더 포함하여 차체의 상면은 물론 측면에 안정적으로 안전 삼각대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철식발광부는, 일단이 상기 가이드로드의 단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체결부에 연결되는 접철프레임; 및 상기 접철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일면이 상기 접철프레임에 고정되는 LED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을 포함하고, 상기 접철프레임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 접철되는 접철부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접철프레임은, 일단이 상기 가이드로드의 단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체결부에 고정되며, 연질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져 상기 접철부에서 접철되는 접철판을 포함하며, 상기 접철판의 일면에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고정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LED가 설치된 면을 덮되, LED가 설치된 부분이 LED가 설치되지 않은 부분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렌즈부를 더 포함하여 LED에서 방출된 빛이 퍼져 나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철프레임은, 상기 가이드로드의 단부와 접철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1발광캡; 및 상기 접철부와 체결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2발광캡; 을 포함하며, 상기 제1발광캡 및 제2발광캡은 상기 접철판의 일면에 고정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타면을 커버하도록 상기 접철판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상하방향으로 발광캡이 연장되고, 양 측부는 접철판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발광캡 및 제2발광캡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향하는 면에 빛을 산란시키는 산란돌기가 형성되어 빛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킴으로써 발광캡 전체에서 균일하게 발광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가이드로드의 연장형성된 방향과 수직한 단면은, 상기 단면의 중앙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된 복수 개의 오목부와 인접한 오목부를 연결하는 모서리부를 포함하는 방사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접철식 발광부가 내측으로 접철될 수 있도록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가이드로드는 연장형성된 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서 연장형성된 제1로드; 및 상기 제1로드의 내주에 삽입되거나 외주에 끼워져 제1로드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로드;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체결부는, 상기 가이드로드의 외주에 끼워지는 슬라이드링을 포함하며, 상기 접철식발광부의 타단이 상기 슬라이드링에 체결되어 상기 가이드로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접철식발광부를 포함하여, 안전 삼각대로 사용함은 물론 섬광신호기로도 사용할 수 있고, 접철식발광부를 편 상태에서 경광봉으로도 사용할 수 있어 효용성이 높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에 자석을 포함하므로, 차량 또는 가드레일의 측면에 설치할 수 있으며, 접철식발광부가 화살표의 형상으로 발광하므로 후행 차량의 진행방향을 안내하도록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LED에서 방출되는 집중된 빛을 확산시키는 렌즈부 및 발광캡의 산란돌기를 구비함에 따라 접철식발광부 전체가 발광하도록 하여 가시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접철판과 발광캡은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므로, 발광캡을 분리하여 일반 램프로 사용할 수도 있고, 발광캡을 교체할 수도 있어 매우 실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연질의 접철판을 이용하여 접철식발광부가 접철되므로, 일반적으로 힌지를 구성하기 위해 두 프레임을 하나의 회전축으로 연결하는 제조 공정이 필요하지 않은 장점이 있다. 따라서 원가가 절감되고 제조 공정도 간단하여 생산성이 높다.
또한 본 발명은 받침대 형태의 베이스, 방사형상의 단면을 갖는 가이드로드, 접철식발광부를 구비함에 따라, 컴팩트하게 제작될 수 있어 차량의 좁은 공간에도 용이하게 비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이드로드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마련되므로, 본 발명이 컴팩트하게 제작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전 삼각대의 높이를 달리 설치하여 가시성을 조절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 제1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접철식발광부를 완전히 편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회로도이다.
도 4a는 도 1의 길이조절 전 상태, 도 4b는 길이를 신장시킨 후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서 Ⅴ-Ⅴ'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체결부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체결부가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 제2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접철식발광부를 완전히 접철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서 Ⅹ-Ⅹ'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 제3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제1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접철식발광부를 완전히 편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제1실시예의 회로도, 도 4a는 제1실시예의 길이조절 전 상태, 도 4b는 길이를 신장시킨 후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제1실시예 중 접철식발광부의 단면도, 도 6은 제1실시예 중 체결부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6의 체결부가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차체 또는 지면에 접하도록 마련되는 베이스(10), 상기 베이스(10) 일측에서 연장형성되는 가이드로드(20), 복수 개의 발광체를 포함하며 일단이 상기 가이드로드(20)의 단부에 고정되는 복수의 접철식발광부(30), 및 상기 접철식 발광부의 타단에 체결되며 상기 가이드로드(20)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체결부(40)를 포함하고, 상기 접철식발광부(30)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 접철식발광부(30)가 접철되는 접철부(30a) 마련된다. 즉, 접철식 발광부의 타단이 가이드로드(20)를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접철부(30a)에서 접철되는 안전 삼각대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도 1과 같이 체결부(40)가 베이스(10)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접철식발광부(30)는 접철되어 가이드로드(20)와 함께 삼각화살표와 같은 형상이 되어 삼각대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도 2와 같이 체결부(40)가 베이스(10)쪽으로 이동하면 접철식발광부(30)의 접철부(30a)가 펴지면서 일(一)자 형태로 되어 경광봉과 같이 사용할 수 있다.
차체 또는 지면에 접하도록 마련되는 베이스(10)는, 손으로 그립할 수 있도록 일정 높이를 갖는 원통 형상의 손잡이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원통의 형상은 가운데 부분의 지름이 작고, 양 단부의 지름이 크도록 형상되어 그립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베이스(10)의 하측에는 그립감을 향상시키고 차체나 지면과의 마찰력을 늘려 본 발명이 차체나 지면 등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미끄럼방지부재(12)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미끄럼방지부재(12)는 통상 사용하는 것과 같이 고무나 연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베이스(1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철식발광부(3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3) 및 전원을 온/오프 할 수 있도록 스위치(11)가 설치될 수 있다. 베이스(10)에 내장된 배터리(13)와 스위치(11)는 접철식발광부(30)에 연결되는데, 가이드로드(20)를 관통하여 가이드로드(20)의 상부에서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베이스(10)는 자석(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석(미도시)은 베이스(10)의 하측, 즉 지면이나 차체에 접하는 면에 인접한 곳에 내장되거나, 지면에 접하는 면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는, 본 발명을 차체의 상면에 안정적으로 설치하거나, 차체나 가드레일의 측면에도 설치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을 삼각대의 모양으로 접철식발광부(30)를 접철하여 차체나 가드레일의 측면에 설치하는 경우, 고장차량보다 후행하는 차량의 주행 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
가이드로드(20)는 베이스(10)의 상측으로 연장형성된다. 파이프와 같이 속이 빈 통 구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배터리(13)와 접철식발광부(30)를 연결하는 전선 등이 통과할 수 있다.
가이드로드(20)의 일단은 베이스(10)부에 연결되며, 가이드로드(20)의 타단에는 캡부재(23)가 결합되어 가이드로드(20)의 단부를 폐쇄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접철식발광부(30)는 캡부재(23)에 형성된 홈이나 홀을 통해 가이드로드(20)의 내부 공간에 연결될 수 있다.
도 4에는 가이드로드(20)가 연장형성된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마련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가이드로드(20)는 베이스(10)의 일측에서 연장형성된 제1로드(21) 및 제1로드(21)의 내주에 삽입되거나 외주에 끼워져 제1로드(21)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로드(2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도 4의 (a)와 같이 제2로드(22)를 제1로드(21)와 겹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가이드로드(20)의 전체 길이가 짧아지고, 도 4의 (b)와 같이 제2로드(22)를 제1로드(21)로부터 이탈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가이드로드(20)의 전체 길이가 길어져 가이드로드(20)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접철식발광부(30)는, 일단이 상기 가이드로드(20)의 단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체결부(40)에 연결되는 접철프레임(34) 및 상기 접철프레임(34)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일면이 상기 접철프레임(34)에 고정되는 LED(32)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31)을 포함한다.
도 5는 도 1에서 접철식발광부(30)의 Ⅴ-Ⅴ'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5를 참조하면, 인쇄회로기판(31)은 리본과 같이 긴 띠 형태로 마련되는 플렉시블 회로기판이며, 길이방향을 따라 LED(32)가 복수 개 설치된다.
더불어 상기 인쇄회로기판(31)에 LED(32)가 설치된 면을 덮되, LED(32)가 설치된 부분이 LED(32)가 설치되지 않은 부분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렌즈부(33)를 더 포함한다. 즉 렌즈부(33)는 볼록렌즈와 같은 형상이며, 따라서 LED(32)에서 일방향으로 방출된 빛이 렌즈부(33)를 거치면서 굴절되어 퍼져 나가도록 하여 접철프레임(34) 전체를 비추도록 한다. 렌즈부(33)는 LED(32)를 덮도록 단속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인쇄회로기판(31)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빛이 투과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에폭시 또는 플라스틱이나 유리로 형성된 렌즈를 예로 들 수 있다.
접철프레임(34)은, 상기 가이드로드(20)의 단부 및 체결부(40) 사이에 배치되어 양 단이 고정되며 연질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접철판(35)을 포함한다. 접철판(35)은 투명한 색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PC(Polycarbonat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E(Polyethylen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접철프레임(34)은, 접철판(35)에 결합되되, 상기 가이드로드(20)의 단부와 접철부(30a) 사이에 배치되는 제1발광캡(36a) 및 상기 접철부(30a)와 체결부(40) 사이에 배치되는 제2발광캡(36b)을 포함한다. 발광캡(36)은 접철판(35)보다 경질의 재료로 형성되고, 붉은 색을 띄되 빛이 관통할 수 있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인쇄회로기판(31)의 일면은 접철판(35)의 일면에 고정되며, 각 발광캡(36)은 인쇄회로기판(31)의 타면을 커버하는 방향에서 상기 접철판(35)에 결합될 수 있다. 하나의 접철판(35)의 길이방향으로 제1발광캡(36a) 및 제2발광캡(36b)이 접철판(35)에 연속하여 결합된다. 이 때, 제1발광캡(36a)의 길이(L1)가 제2발광캡(36b)의 길이(L2)보다 길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제1발광캡(36a)은 삼각형에서 빗변, 제2발광캡(36b)은 밑변이 되기 때문이다.
발광캡(36)의 단면은 반원과 같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원의 중심부측 면이 인쇄회로기판(31)을 향하는 내측면이 된다. 도 5를 기준으로 발광캡(36)의 양 단부의 내측에는 접철판(35)이 고정되는 고정홈(38)을 형성하도록 고정돌기(39)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접철판(35)이 고정홈(38)에 삽입되면서 발광캡(36)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1발광캡(36a) 및 제2발광캡(36b)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인쇄회로기판(31)을 향하는 면에 빛을 산란시키는 산란돌기(37)가 형성되어 빛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킴으로써 발광캡(36) 전체에서 균일하게 발광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산란돌기(37)는 발광캡(36)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됨이 바람직하며, 간격을 두고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접철판(35)은 연질의 재료로 형성되며, 발광캡(36)은 상대적으로 경질의 재료로 형성되므로, 제1발광캡(36a)과 제2발광캡(36b) 사이에서 접철판(35)과 접철판(35)에 부착된 플렉서블한 인쇄회로기판(31)이 접철되면서 접철식발광부(30)가 접철될 수 있다.
즉, 접철판(35)의 양 단부가 가이드로드(20)의 상단 및 체결부(40)에 각각 결합하고, 접철판(35)의 길이방향으로 제1발광캡(36a)과 제2발광캡(36b)이 순서대로 결합한다. 이때 접철판(35)은 연질로 형성되므로, 가이드로드(20)과 제1발광캡(36a)의 사이, 제1발광캡(36a)과 제2발광캡(36b)의 사이, 제2발광캡(36b)과 체결부(40) 사이에서 휘어질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여 접철식발광부(30)가 접철되도록 한다.
도 6 및 도 7은 체결부(40)의 분해사시도 및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체결부(40)는, 접철판(35)의 하단부에 연결된 것으로, 체결부(40)가 가이드로드(20)를 따라 슬라이딩하여 이동함으로써 접철식발광부(30)가 접철되거나 펴질 수 있다.
체결부(40)는, 상기 가이드로드(20)의 외주에 끼워지는 슬라이드링(41)을 포함하며, 슬라이드링(41) 외주에 끼워지는 체결링(43)을 포함한다. 슬라이드링(41)의 외주, 또는 체결링(43)의 내주에는 체결돌기(42)가 형성되어 연질의 접철판(35) 단부를 슬라이드링(41)과 체결링(43) 사이에 끼우면 돌기에 의해 밀착, 압착되어 접철판(35)이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력을 높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접철판(35) 단부에 상기 체결돌기(42)가 삽입될 수 있는 체결홈(44) 또는 홀이 형성되고, 이 체결홈(44) 또는 홀에 상기 체결돌기(42)가 삽입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접철식발광부(30)에 LED(32)가 구비되어 섬광신호기의 역할을 하며, 접철식발광부(30)의 하단이 상기 슬라이드링(41)에 체결되어 상기 가이드로드(20)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므로, 도 2와 같이 체결부(40)가 가이드로드(20)의 하단에 위치하는 경우 접철식 발광부가 펴진 상태가 되어 경광봉으로 이용할 수 있고, 도 1과 같이 체결부(40)가 가이드로드(20)의 중간부에 위치하는 경우 삼각대 또는 안내표지로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각 구성을 설명한다.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베이스 및 가이드로드에 차이가 있으며,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 제2실시예의 사시도, 도 9는 도 8에서 접철식발광부를 완전히 접철한 상태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에서 Ⅹ-Ⅹ'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체결부(40)가 베이스(100)로부터 근접하게 위치하며, 접철식발광부(30)는 가이드로드(20)와 함께 삼각형 형상을 이루도록 접철되어 있어, 가이드로드(20)와 함께 삼각화살표와 같은 형상이 되어 삼각대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도 9를 참조하면, 체결부(40)가 가이드로드(20)를 따라 베이스(10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접철식발광부(30)가 완전히 접철되면서 일(一)자 형태로 되어 경광봉과 같이 사용할 수 있다.
차체 또는 지면에 접하도록 마련되는 베이스(100)는 납작한 받침대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100)의 하면에는 미끄럼방지부재(120)가 부착됨이 바람직하며, 베이스(100) 내부에는 접철식발광부(3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3) 및 자석(미도시)이 내장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100)에는 전원을 동작시키는 스위치(11)가 설치될 수 있다. 베이스(10)에 내장된 배터리(13)와 스위치(11)는 가이드로드(200)를 관통하여 가이드로드(200)의 상부에서 접철식발광부(30)와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도 10을 참고하면, 제2실시예의 가이드로드(200)의 연장형성된 방향과 수직한 단면은, 상기 단면의 중앙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된 복수 개의 오목부(200a)와 인접한 오목부(200a)를 연결하는 모서리부(200b)를 포함하는 방사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접철식발광부(30)가 내측으로 접철될 수 있도록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제2실시예는 접철부(30a)(30a)의 하부의 제2발광캡(36b)이 상부의 제1발광캡(36b) 내측으로 완전히 접철되면서 컴팩트하게 수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설명한다. 제3실시예는 제2실시예와 배터리 및 스위치의 배치에 차이가 있으며,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은 본 발명 제3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가이드로드(200)는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단면이 방사형상으로 형성되고, 체결부(40)의 상부 및 가이드로드(200)의 오목부(200a)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배터리(130)가 구비된다.
이는, 접철식발광부(30)가 완전히 접철된 상태에서 내측에 위치한 제2발광캡(36b)이 제1발광캡(36a)보다 짧게 형성되어 체결부(40)와 가이드로드(20)의 캡부재(23)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므로, 그 공간에 배터리(130)를 설치한 것이다. 이 경우 제2실시예에서 스위치(11)가 베이스(10)에 설치된 것과 달리, 배터리(130)와 스위치(11)가 체결부(40)에 설치되고, 체결부(40)에서 인쇄회로기판(31)에 연결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는 각 실시예를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각 실시예를 조합하여 도출될 수 있는 실시예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100 : 베이스 11 : 스위치
12, 120 : 미끄럼방지부재 13, 130 : 배터리
20, 200 : 가이드로드
200a : 오목부 200b : 모서리부
21 : 제1로드 22 : 제2로드
23 : 캡부재 30 : 접철식발광부
30a : 접철부 31 : 인쇄회로기판
32 : LED 33 : 렌즈부
34 : 접철프레임 35 : 접철판
36 : 발광캡 36a : 제1발광캡
36b : 제2발광캡 37 : 산란돌기
38 : 접철판고정홈 39 : 고정돌기
40 : 체결부 41 : 슬라이드링
42 : 체결돌기 43 : 체결링

Claims (11)

  1. 차체 또는 지면에 접하도록 마련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일측에서 연장형성되는 가이드로드;
    복수 개의 발광체를 포함하며, 일단이 상기 가이드로드의 단부에 고정되는 복수의 접철식발광부; 및
    상기 접철식 발광부의 타단에 체결되며 상기 가이드로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체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접철식발광부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 접철식발광부가 접철되는 접철부 마련되며,
    상기 접철식발광부는,
    일단이 상기 가이드로드의 단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체결부에 연결되는 접철프레임; 및
    상기 접철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일면이 상기 접철프레임에 고정되고, 타면에 복수 개의 LED가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인쇄회로기판;
    을 포함하고,
    상기 접철부는 상기 접철프레임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접철프레임은,
    일단이 상기 가이드로드의 단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체결부에 고정되며, 연질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져 상기 접철부에서 접철되는 접철판을 포함하며,
    상기 접철판의 일면에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삼각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베이스 내부에 수용되는 자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삼각대.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LED가 설치된 면을 덮되, LED가 설치된 부분이 LED가 설치되지 않은 부분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렌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삼각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프레임은,
    상기 가이드로드의 단부와 접철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1발광캡; 및
    상기 접철부와 체결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2발광캡;
    을 포함하며, 상기 제1발광캡 및 제2발광캡은 상기 접철판의 일면에 고정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타면을 커버하도록 상기 접철판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삼각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발광캡 및 제2발광캡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향하는 면에 빛을 산란시키는 산란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삼각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로드의 연장형성된 방향과 수직한 단면은,
    상기 단면의 중앙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된 복수 개의 오목부와 인접한 오목부를 연결하는 모서리부를 포함하는 방사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삼각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로드는 연장형성된 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삼각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로드는,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서 연장형성된 제1로드; 및
    상기 제1로드의 내주에 삽입되거나 외주에 끼워져 제1로드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로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삼각대.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가이드로드의 외주에 끼워지는 슬라이드링을 포함하며,
    상기 접철식발광부의 타단이 상기 슬라이드링에 체결되어 상기 가이드로드를 따라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삼각대.
KR1020180041014A 2018-04-09 2018-04-09 안전 삼각대 KR101910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014A KR101910059B1 (ko) 2018-04-09 2018-04-09 안전 삼각대
PCT/KR2019/004170 WO2019199004A1 (ko) 2018-04-09 2019-04-08 안전 삼각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014A KR101910059B1 (ko) 2018-04-09 2018-04-09 안전 삼각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0059B1 true KR101910059B1 (ko) 2018-12-19

Family

ID=65008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1014A KR101910059B1 (ko) 2018-04-09 2018-04-09 안전 삼각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10059B1 (ko)
WO (1) WO2019199004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24997A1 (en) * 2002-12-31 2004-07-01 Wu-Lung Chu Luminous alarm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4968A (ko) * 2010-11-01 2011-02-14 이광현 접이식 안전삼각대
KR101282241B1 (ko) * 2011-05-02 2013-07-10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교통안전표시기
KR20130011094A (ko) * 2011-07-20 2013-01-3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명 장치
KR101434871B1 (ko) * 2012-02-14 2014-11-03 박동철 다기능 차량용 브레이크등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24997A1 (en) * 2002-12-31 2004-07-01 Wu-Lung Chu Luminous alarm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99004A1 (ko) 2019-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65969B1 (en) Telescoping warning device for motor vehicle
US10539285B1 (en) Vehicle lighting assembly
US20070081350A1 (en) Rearview mirror and signal light arrangement
KR102151551B1 (ko) 엘이디 조명기구
US8926149B2 (en) Side-view mirror assembly with selectively illuminating portion
KR101668811B1 (ko) 안전 표시장치
WO2018135760A1 (ko) 휴대용 차량 비상 안전표시등
KR101910059B1 (ko) 안전 삼각대
KR101685308B1 (ko) 차량용 발광 깃대 장치
KR20110051303A (ko) 횡단보도 발광표시장치
KR101195178B1 (ko) 차량용 실내등 엘이디 램프
US8931941B2 (en) Vehicular light-emitting diode light providing uniform wider illumination
US11158217B2 (en) Portable, self-illuminating traffic sign
US20080019128A1 (en) LED lamp
KR20130051318A (ko) 다용도 교통안전 표지판
KR101730526B1 (ko) 휴대용 경광봉
KR102597716B1 (ko) 활주로형 도로 표지병
KR200329162Y1 (ko) 자동차 차선 변경 경고등
AU2017245456A1 (en) Illuminated Sign
WO2019208882A1 (ko) 경광봉
KR20200124922A (ko) 사고방지용 교통안내 표지판
KR200484189Y1 (ko) Led 발광장치가 결합된 트래픽콘
US11508269B2 (en) Portable, self-illuminating traffic sign
KR200488934Y1 (ko) 차량용 안전 조명등
KR20140029572A (ko) 엘이디 델리니에이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