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2241B1 - 휴대용 교통안전표시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교통안전표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2241B1
KR101282241B1 KR1020110041322A KR20110041322A KR101282241B1 KR 101282241 B1 KR101282241 B1 KR 101282241B1 KR 1020110041322 A KR1020110041322 A KR 1020110041322A KR 20110041322 A KR20110041322 A KR 20110041322A KR 101282241 B1 KR101282241 B1 KR 1012822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traffic safety
knob
light
portable traff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1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3779A (ko
Inventor
김동하
이인호
Original Assignee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41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2241B1/ko
Priority to PCT/KR2011/010381 priority patent/WO2012150754A2/ko
Publication of KR20120123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37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2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22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7/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ortable emergency signal devices on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Audible And Visible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교통안전표시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안전삼각대의 기본적인 기능과 함께 손전등 및 경광봉 기능을 겸비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교통안전표시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부에 전등이 구비되고 하부 내측에는 필요에 따라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가 구비되며 측면에 안착면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접철 가능하게 구비하며, 표면에는 발광부가 구비되고 이면에는 상기 안착면과 대응하는 제1밀착면이 형성된 지지체를 포함하는 휴대용 교통안전표시기가 개시된다.

Description

휴대용 교통안전표시기{Traffic safety signboard for portable}
본 발명은 휴대용 교통안전표시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안전삼각대의 기본적인 기능과 함께 손전등 및 경광봉 기능을 겸비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고, 세 가지 물품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휴대 및 보관이 편리하고 수납공간의 효율성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휴대용 교통안전표시기에 대한 것이다.
교통안전표시기의 일종인 안전삼각대는 차량의 주행 중 고장으로 인해 비상상황이 발생하거나 교통사고로 인한 사고처리 등을 위해 차량을 도로에 주정차할 경우 차량에서 일정 거리만큼 떨어진 후방에 설치함으로써, 다른 차량 운전자의 주의를 환기시키고 안전운전을 유도하여 추돌 등의 2차 사고를 막는 기능을 한다.
통상적인 안전삼각대는 차량의 전조등이 반사되는 소재를 표면에 부착한 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복잡한 구조를 갖는 절첩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부피가 커서 휴대 및 보관에 제약이 많고 불편함은 물론 그 용도가 안전삼각대로만 제한되는 결점이 있다.
즉, 차량사고 등의 비상 시에는 안전삼각대 뿐만 아니라 경광봉, 손전등 따위의 다양한 안전용품이나 비상용품이 비치되어 있으면 사고장소의 지형이나 주변 상황 및 주야의 조건에 따라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여 2차 사고를 더욱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안전삼각대와 경광봉 및 손전등을 각각 개별적으로 구입하여 휴대 및 보관할 경우 그 구매 비용의 부담이 가중되고, 휴대 및 보관에도 상당한 불편함이 따를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안전삼각대와 경광봉 및 손전등 기능을 일부 부가한 복합적 구조의 교통안전표시기가 제안된 바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1989-0008764호에 자동차용 다목적 안전삼각대가 개시되어 있다. 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날개부(7)와 받침대(9)가 몸체(2)에 대해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힌지 결합되어 있어 휴대 및 보관 시에 그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음은 물론 양날개부(7)의 표면에 부착된 유색투명판(10)이 빛을 반사함으로써 야간에 사용 시 시인성과 식별력을 향상시키고, 또 몸체(2)의 선단부에 램프(3/4)가 구비되어 있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손전등이나 야간신호등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의 받침대(9)는 안정적인 설치를 위해 지면에 대하여 수평하게 형성될 수밖에 없는 관계상 안전삼각대를 손전등이나 야간신호등으로 사용 시에는 인간공학적인 측면에서 볼 때 파지가 상당히 불편할 뿐만 아니라, 양날개부(7)가 단순히 몸체(2)와 힌지 조인트 방식으로 결합되어 있는 구조적 특성상 양날개부(7)를 펼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도 없다.
또한, 상기의 양날개부(7) 중 어느 하나는 유색투명판(10)이 몸체(2)와 대향하는 내측으로 형성되어 있는 데다 발광체가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경광봉의 기능은 얻을 수 없으며, 아울러 유색투명판(10)이 전방과 수직으로만 주의신호를 보낼 수 있어 가시각이 극히 좁은 사용상의 한계가 있다.
종래의 기술 중 다른 일례로써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20424호에 도로위험표시용 경고등이 개시되어 있다. 이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의 상부에 결합된 보호캡(12) 내에 램프가 마련되고, 그 내부에 제1점멸다이오드가 구비되고, 몸체(10) 외주연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점멸다이오드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램프, 제1점멸다이오드, 제2점멸다이오드는 몸체(10)의 외측에 슬라이딩 타입으로 설치된 조절스위치(13)의 선택위치에 따라 온/오프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몸체(10)의 외측 둘레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한 삼각대(22)가 지지대(23)와 함께 몸체(10)로부터 세방향으로 벌어지거나 절첩되는 타입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몸체(10)의 하부에는 삼각대(22)의 절첩 시(바닥에 거치시키지 않는 경우)에는 지지대(23)를 포함하여 홀딩상태로 유지시키는 링형상의 고정구(24)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도로위험표시용 경고등은 램프와 점멸다이오드가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있으므로 손전등으로 사용하거나 조절스위치(13)에 의한 제1점멸다이오드의 작동으로 보호캡(17)을 통해 확산되는 빛의 점멸작용과 함께 제2점멸다이오드의 교호적인 점멸작용을 이용해 주의환기 및 위험을 표시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손전등 기능과 점멸 기능이 모두 몸체(10)에 일체화되어 있어 각각의 기능을 구분하여 사용할 수는 있지만, 상기의 삼각대(22)가 몸체(10)에 대하여 방사상의 방향으로 펼쳐지는 구조적 특성 때문에 시야각이 너무 넓어져 삼각대(22) 표면의 시인성이 현저히 떨어지므로 후방 차량의 전조등 불빛을 효과적으로 반사시킬 수 없어 안전삼각대로는 사용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그 복잡한 구조로 인해 부피와 무게가 상당하여 손전등이나 경광봉으로 사용하기에도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의 삼각대(22)와 지지대(23)가 지나치게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구(24)가 몸체(10)에서 슬라이딩되면서 삼각대(22)와 지지대(23)의 일단을 잡아주기 때문에 삼각대(22)를 펼치거나 접을 때 일일이 해체해야 하는 불편함도 따랐다.
종래의 기술 중 또 다른 일례로써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588594호에 손전등 기능을 갖는 교통안전삼각대가 개시되어 있다. 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에 다수의 제1힌지부(112)가 형성된 케이스(110)와, 케이스(110)의 상부에서 삽입 결합되며 상단에 전구(124)가 장착된 본체(120)와, 본체(120)의 외측면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면서 제1힌지부(112)와 동일선상의 측면에 제2힌지부(146)가 형성된 작동판(140)과, 제1힌지부(112) 및 제2힌지부(146)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어 작동판(140)의 상하 이동에 따라 삼각형상으로 접철되며 표면에 다수의 발광다이오드(170)가 장착된 링크절(150)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는 안전삼각대로 사용 시 상기의 본체(120)에서 링크절(150)을 펼친 후 본체(120)의 저면을 바닥에 밀착시켜 세우기 때문에 설치가 상당히 까다롭고 어려우며, 본체(120)가 케이스(110) 내에서 승강하는 데다 링크절(150)이 접혀지더라도 케이스(110)의 형태적 특성 및 링크절(150)을 펼칠 때 파지가 용이해야 하는 구조적 특성상 그 각각의 힌지부 내로 완전히 삽입되지 못하고 돌출될 수밖에 없어 손전등으로 사용하기에도 부적합할 뿐만 아니라 경광봉의 기능은 전혀 기대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종래의 기술 중 또 다른 일례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20362호에 접이식 경고용 삼각대가 개시되어 있다. 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 결합관체(10)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중앙 지지대(20)와, 지지대 결합관체(10)에 전개 가능하게 일단(31)이 힌지 결합되는 복수 개의 측면 지지대(30)와, 중앙 지지대(20)의 하단(21)에 전개 가능하게 일단(41)이 힌지 결합되고, 측면 지지대(30)의 타단(32)에 타단(42)이 힌지 결합되는 복수 개의 지면 지지대(40)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중앙 지지대(20)가 지지대 결합관체(10)의 중공부를 상하로 이동할 때 이에 연결된 지면 지지대(40)가 펼침 상태가 되면 측면 지지대(30)가 피라미드 형태로 펼쳐지고, 지면 지지대(40)가 접힘 상태가 되면 중앙 지지대(20)에 측면 지지대(30)가 외접하여 접힘 상태를 이루게 된다.
그러나 이는 상기의 중앙 지지대(20)와 측면 지지대(30)가 지지대 결합관체(10)에 대하여 방사상의 약 120도 간격으로 펼쳐지는 구조적 특징 때문에 시야각이 지나치게 넓어져 표면의 시인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고, 그 구조도 매우 복잡하여 설치가 상당히 까다롭고 어려운 데다 손전등이나 경광봉의 기능은 전혀 발휘할 수 없는 사용상의 한계가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 및 문제점 해결에 역점을 두어 안전삼각대로 사용 시 설치가 간편하고 용이하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손전등과 경광봉의 용도로 손쉽게 기능을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면서 휴대 및 보관이 편리한 다기능 일체형 교통안전표시기를 개발하고자 노력의 기울이던 중 본 발명을 창안하여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전삼각대 본연의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하면서 다양한 편의성을 얻는 손전등 및 경광봉으로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교통안전표시기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설치 및 용도 변경을 위한 형태 변환이 간편하고 용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교통안전표시기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설치에 따른 펼침 각도의 조절이 용이하면서 그 설정각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교통안전표시기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파지가 용이하고 휴대 및 보관 시 수납공간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교통안전표시기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양태는, 상부에 전등이 구비되고 하부 내측에는 스위칭에 따라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가 구비되며 측면에 평평하게 안착면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에 접철 가능하게 장착되며, 표면에는 발광부가 구비되고 이면에는 상기 안착면과 대응하는 제1밀착면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지지체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와 지지체들을 방사상으로 펼쳐서 세울 경우 도로면이나 지면과 밀착되도록 그 각각의 하면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체들의 서로 대향하는 면에 상기 몸체의 외형과 대칭적으로 접힘되도록 제2밀착면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교통안전표시기를 제공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몸체와 지지체를 접은 상태에서는 파지가 용이하여 손전등이나 경광봉으로 사용할 수 있고, 안전삼각대로 사용할 경우에는 지지체를 펼치는 간단한 동작만으로도 그 외형이 삼발이 형태로 변환되어 지면에 안정적이면서 간편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매우 유리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양태는, 상부에 전등이 구비된 헤드와, 상기 헤드의 하부와 상부가 힌지 이음으로 연결되고 측면에 평평하게 안착면이 형성된 노브와, 상기 노브의 내부에 설치되어 스위칭에 따라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로 이루어진 몸체와, 상기 헤드의 하부와 힌지 이음으로 연결되어 상기 노브에 대하여 접철 가능하게 장착되며, 표면에는 발광부가 구비되고 이면에는 상기 안착면과 대응하는 제1밀착면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지지체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와 지지체들을 방사상으로 펼쳐서 세울 경우 도로면이나 지면과 밀착되도록 그 각각의 하면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체들의 서로 대향하는 면에 상기 몸체의 외형과 대칭적으로 접힘되도록 제2밀착면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교통안전표시기를 제공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안전삼각대로 사용 시 지면에 대한 설치각도를 더욱 용이하게 조절 가능하므로 발광부의 빛이 비추는 방향을 임의로 가변하여 설치장소에 가장 적합하게 설정할 수 있는 각별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지지체의 표면에는 상기 발광부의 빛이 발산 및 통과되도록 통기공을 다수 형성한 반사체가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지지체의 표면에는 상기 발광부의 빛을 발산하는 광투과성 커버가 부착될 수 있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경사면에는 도로면이나 지면에 대해 상기 몸체 및 지지체가 밀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밀림방지패드가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에는 상기 발광부의 점멸과 점등 및 소등을 제어하는 모드 스위치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에는 상기 전등의 빛 방사량을 조절하는 광조절 스위치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의 상부에는 상기 전등에서 발생하는 빛을 다양한 각도로 확대 방출시키는 볼록렌즈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체의 발광부는 회로기판의 표면에 다수의 LED를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한 LED 전등일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제1밀착면과 제2밀착면은 서로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의 안착면과 상기 지지체의 제1밀착면의 하부 대향면에는 상기 몸체와 지지체의 접힘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결속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속부재는 암수가 서로 대응결합되는 밸크로 패스너, 영구자석, 스냅버튼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몸체와 상기 지지체 사이 또는 상기 헤드와 상기 노브 사이의 힌지축에 삽입 장착되어 몸체에 대한 각기 지지체의 회전 시 마찰력에 의한 토크를 발생시키는 다수의 마찰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의 힌지 축구멍 테두리 및 이와 대향하는 상기 노브의 힌지축 주위, 상기 지지체들의 힌지축 주위에 상기 헤드에 대한 상기 노브 및 지지체들의 회전 시 마찰력에 의한 토크를 발생시키는 요철부가 각각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체 또는 노브의 힌지 축구멍 테두리에는 정지홈이 일정간격으로 다수 형성되고, 상기 몸체 또는 헤드의 힌지 축구멍 테두리에는 상기 정지홈에 스프링 탄성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걸림되면서 몸체에 대한 각기 지지체의 회전각도를 일정 범위로 조절하는 스톱볼이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지지체 또는 노브의 회전각도를 특정하게 조절하여 해당 각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회진 시 일정각도에 따라 클릭감을 느낄 수 있는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하게 된다. 즉, 지지체 또는 노브는 정지홈과 스톱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정해진 일정각도만큼 순차적으로 회전 및 정지되도록 하여 그 회전각도가 감지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의 회전 및 설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삭제
또한, 상기 몸체의 외측 둘레면에는 파지 시 미끄럼을 방지하는 미끄럼방지패드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 수단 및 구성을 갖춘 본 발명은 손전등 기능을 갖는 몸체에 대해 경광봉 기능을 갖는 지지체가 접철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으므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몸체와 지지체를 접은 상태에서는 파지가 용이하여 손전등이나 경광봉으로 사용할 수 있고, 안전삼각대로 사용할 경우에는 지지체를 펼치는 간단한 동작만으로도 형태가 변환되어 지면에 안정적이면서 간편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안전삼각대 본연의 기능은 물론 다양한 편의성을 얻는 손전등 및 경광봉으로도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고, 세 가지 기능의 물품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휴대 및 보관이 편리하여 사용상의 편의성도 증대되고, 그에 따른 수납공간의 효율성을 확보하여 운반 및 적재의 편의성도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즉, 하나의 물품으로 세 가지 물품 기능을 동시에 소화할 수 있도록 하여 물품의 호환성은 물론 기능성 및 활용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안전삼각대로 사용 시 지지체가 몸체에 대하여 45도 각도로 펼쳐짐에 따라 넓은 시야각을 확보할 수 있고, 발광부의 점멸이 일어나므로 선명한 주의표시를 기대할 수 있어 야간 등에 후방차량의 운전자가 원거리에서도 훨씬 용이하게 주의 및 위험신호를 식별할 수 있다.
게다가 지지체가 힌지 이음에 의해 다단으로 회전 가능한 관절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임의로 도로나 지면 등 설치 바닥면에 대하여 설치각도 및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아울러 지지체 각각의 회전 시 지지체와 마찰링의 마찰력에 의한 토크가 발생됨으로 인해 사용자가 원하는 설치각도 및 높낮이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체와 몸체를 연결하는 힌지축의 주위에 회전간섭 및 마찰력을 일으키는 래칫수단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각기 지지체를 부드럽고 안정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교통안전표시기의 일례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교통안전표시기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교통안전표시기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교통안전표시기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교통안전표시기의 접은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 6은 도 5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상태의 구성도,
도 7은 도 5의 펼친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 8은 도 5의 펼친 상태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교통안전표시기의 접은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교통안전표시기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상태의 구성도,
도 11은 도 9의 펼친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 12는 도 9의 펼친 상태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구성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교통안전표시기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교통안전표시기 중 몸체와 지지체의 국부를 나타낸 구성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교통안전표시기 중 몸체와 지지체의 국부를 나타낸 구성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을 손전등으로 사용 시 그 빛이 발산되는 방향을 교통안전표시기의 상부로, 그 상부의 반대쪽으로 안전삼각대로 사용 시 지면에 닿는 부분을 하부로 정의한다.
<제1실시 예>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교통안전표시기의 접은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교통안전표시기의 펼친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교통안전표시기(1)는 크게 몸체(100)와, 이에 접이식으로 결합된 한 쌍의 지지체(200)(200')들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몸체(100)는 손전등의 기능과 전원을 공급 및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기기의 전반적인 작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상부에 전등(111)이 내장되어 있고, 하부의 내측에는 사용자의 필요에 의한 스위칭에 따라 전등(111) 및 후술하는 지지체의 발광부(21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미도시)가 구비되어 있으며, 한쪽 측면에는 평평하게 안착면(123)이 형성되어 있다.
즉, 몸체(100)의 상부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전등(111)이 내장되어 있고, 하부는 대략 반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전원공급부가 내장되어 있다.
그리고 전등(111)의 상부에는 전등에서 발생하는 빛을 다양한 각도로 확대 방출 및 굴절시키는 볼록렌즈(113)가 장착되어 있고, 전등(111)을 커버하는 몸체(100)의 외측 둘레면에는 전등(111) 및 후술하는 지지체(200)에 구비된 발광부(210)의 점멸과 점등 및 소등 작동을 제어하는 모드 스위치(112)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모드 스위치(112)는 몸체(100)를 축으로 하는 회전조작에 따라 전등(111)을 점등 및 소등 작동을 제어하여 온/오프하고, 그 회전각의 크기에 따라 전등(111)의 빛 방사량을 자유로이 조절하는 광조절 스위치로 겸용할 수 있으며, 더불어 모드 스위치(112)를 소정의 회전각이나 횟수 이상으로 회전시킬 경우 몸체(100)의 상부가 개방되고, 이를 통해 기기에 전반적인 작동을 전류를 공급하는 배터리를 전원공급부로 쉽게 넣거나 그로부터 빼낼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모드 스위치(112)의 일정각도 이상의 회전조작에 따라 발광부(210)에 전원공급부의 전원이 공급 및 차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모드 스위치(122)의 선택 위치에 따라 발광부(210)의 전원이 온/오프되고, 또 점멸 모드로 전환하여 점멸 기능이 작동될 수 있다.
그리고 몸체(100)의 하부 외측면에는 교통안전표시기(1)를 손전등이나 경광봉으로 사용 시 몸체(100)의 하부가 손잡이 구실을 하므로, 사용자가 파지할 때 몸체(100)가 한결 자연스럽고 안정적으로 밀착되도록 하고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탄성 및 고무재질의 미끄럼방지패드(122)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몸체(100)의 하면에는 그 길이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경사져 몸체에 대해 지지체(200)를 방사상으로 펼쳐서 세울 때 도로면이나 지면과 안정적으로 밀착되도록 하는 경사면(127)이 형성되어 있다.
즉, 몸체의 경사면(127)은 교통안전표시기(1)를 안전삼각대로 사용할 경우 몸체(100)가 도로면이나 지면에 대해 수직이지 않고 약간 비스듬하게 기울어진 상태로 세워지는 관계상 이에 따른 접촉면적을 더욱 넓고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형성된다.
또한, 몸체의 경사면(127)에는 교통안전표시기(1)를 안전삼각대로 사용 시 도로면이나 지면에 대해 몸체(100)가 세워진 상태에서 바람이나 작은 충격 등의 외력에 의해 쉽게 밀려 그 설치위치가 변경되거나 넘어지는 현상 등을 방지하기 위해 밀림방지패드(128)가 부착되어 있다.
여기서, 밀림방지패드(128)는 통상의 부직포나 미끄럼방지용 테이프, 시트, 스티커, 요철패드 등의 일정 폭을 가지면 두께가 얇은 소재로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몸체(100)의 전원공급부는 전등(111)과 지지체의 발광부(210)에 독립적 또는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으며, 통상적인 건전지 형태의 배터리 외에 충전지 및 충전회로가 내장된 형태로 마련하여 별도의 충전용 잭을 통해 상용 전원이나 차량의 배터리 전원을 인가받아 사용할 수도 있다.
지지체(200)(200')들은 몸체(100)와 함께 지면에 대하여 세워져 몸체(100)를 지탱하고 주의를 환기시키기 위한 점멸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몸체(100)에 대하여 각각 접철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고, 그 표면에는 몸체(100)의 전원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모드 스위치(112)의 스위칭에 따라 몸체(100) 전원공급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발광하는 발광부(210)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면에는 몸체의 안착면(123)과 대응하는 제1밀착면(22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체(200)(200')들의 표면에는 발광부(210)의 빛이 발산 및 통과되도록 통기공(231)을 다수 형성한 반사체(230)가 각각 부착되어 있고, 하면에는 몸체(100)와 마찬가지로 그 길이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경사져 몸체(100)의 상부에 대해 지지체(200)를 방사상으로 펼쳐서 세울 때 도로면이나 지면과 안정적으로 밀착되도록 하는 경사면(227)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지지체의 경사면(227)에는 교통안전표시기(1)를 안전삼각대로 사용 시 도로면이나 지면에 대해 몸체(100)가 세워진 상태에서 바람이나 작은 충격 등의 외력에 의해 쉽게 밀려 그 설치위치가 변경되거나 넘어지는 현상 등을 방지하기 위한 밀림방지용 패드(미도시)가 부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지지체(200)가 몸체(100)에 대하여 복수 개가 접철 가능하게 형성될 경우 하나의 지지체(200)와 인접하는 다른 지지체(200') 각각의 대향면에는 몸체(100)의 외형과 대응하여 서로 밀착 접힘되도록 제2밀착면(222)이 형성되어 있다.
즉, 하나의 지지체(200)와 인접하는 다른 지지체(200')는 몸체(100)에 대하여 양분되어 몸체(100)와 상응하는 형태를 이루게 된다. 다시 말해 하나의 지지체(200)와 인접하는 다른 지지체(200')가 몸체(100)에 대하여 접힌 상태에서는 그 각각의 제1밀착면(221)이 몸체의 안착면(123)과 수평하게 밀착되고, 제2밀착면(222)은 제1밀착면(221)과 서로 수직하게 배치 형성되어 있어 인접하는 다른 지지체(200')의 제2밀착면(222')과 서로 긴밀하게 면접촉 형태로 밀착되므로 몸체(100)의 외형과 대칭을 이루어 상응하게 된다.
또한, 제1 및 제2밀착면(221/222)에 의해 교통안전표시기(1)를 안전삼각대로 사용 시 지지체(200)가 몸체(100)에 대하여 서로 90도 각도를 이루면서 펼쳐짐에 따라 넓은 시야각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발광부(210)는 회로기판의 표면에 다수의 LED를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한 LED 전등으로 구비할 수 있고, 또 점멸 기능이 부가된 것을 적용하여 시인성과 식별력을 높일 수 있다.
즉, 발광부(210)의 LED는 전력 소모가 적고 고휘도로 시인성이 높은 소자 예를 들어, InGaA1P LED 등을 사용할 수 있고, 특히 야간 등에 사용 시 유리하도록 형광물질이 함유된 타입을 적용할 수도 있으며, 사용 중 색상의 전환이 일어나도록 일렬이 아닌 복수 열로 배치할 수도 있다.
한편, 몸체(100)와 지지체(200)(200')들을 접을 경우 서로 안정적으로 접힘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여 사용과정에서 몸체(100)와 지지체(200)(200')들이 저절로 펼쳐지면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몸체의 안착면(123)과 지지체들의 제1밀착면(221)의 하부 대향면에는 결속부재(17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결속부재(170)로는 암수가 서로 대응결합되는 밸크로 패스너, 영구자석, 스냅버튼 중 어느 하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몸체의 안착면(123)이나 지지체의 제1밀착면(221) 중 어느 하나에 후크 형태로 이루어져 외력에 탄력적으로 변형되는 걸림돌기(미도시)를 형성하고, 이 걸림돌기와 대응하는 몸체의 안착면(123)이나 지지체의 제1밀착면(221) 중 어느 하나에 걸림돌기가 탄력적으로 걸림될 수 있도록 걸림홈(미도시)을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결속부재(170)는 몸체의 안착면(123)과 지지체의 제1밀착면(221)에 대하여 몸체(100)와 지지체(200)의 접힘 시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최소한으로 돌출된 형태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몸체(100)와 지지체(200)(200')들이 저절로 펼쳐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다른 방법으로는 몸체(100)와 지지체(200)(200')들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축의 마찰계수를 높여서 몸체(100)와 지지체(200)(200')들이 그 힌지축을 중심으로 접철 시 뻑뻑한 상태로 회전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지지체(200)(200')들의 상부에 힌지돌기를 형성하고, 이와 대응하는 몸체(100)의 하부에 힌지홈을 형성하여 이들을 힌지축을 이용한 힌지 이음(hinged joint) 방식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교통안전표시기(1)는 지지체(200)(200')들이 몸체(100)를 중심으로 하여 각각 접이식으로 구비되어 있어 몸체(100)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펼친 상태에서는 지면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는 안전삼각대로 사용할 수 있고, 몸체(100)와 지지체(200)(200')들 모두를 접은 상태에서는 원기둥형을 이루게 되므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경광봉 또는 손전등으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각각 개별적 및 독립적으로 구비 및 운용하는 안전삼각대, 경광봉, 손전등을 일체화하여 하나의 물품으로 다양한 기능을 겸비 및 병행함으로써, 기능 대비 가격이 저렴할 수 있음은 물론 휴대 및 보관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안전삼각대를 야간에 설치해야 하는 경우 손전등 기능을 활용함으로써 안전삼각대의 설치 장소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어 안전삼각대를 훨씬 신속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몸체(100)와 지지체(200)(200')들 모두가 접힌 상태에서의 외형은 원기둥형에 국한하지 않고 다각형 등 인체공학적인 설계에 따라 파지 시 불편함이 없을 정도의 다양한 형태로 변경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2실시 예>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교통안전표시기의 접은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교통안전표시기의 펼친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교통안전표시기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9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교통안전표시기(2)는 크게 몸체(100)와 이에 접이식으로 결합된 한 쌍의 지지체(200)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교통안전표시기(2)의 구성요소 중 상술한 제1실시 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작용효과를 갖는 것은 제1실시 예와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며, 그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몸체(100)는 손전등의 기능과 전원을 공급 및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기기의 전반적인 작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상부에 전등(111)이 내장된 헤드(110)와, 이 헤드(110)의 하부와 상부가 힌지 이음되고 한쪽 측면에는 평평하게 안착면(123)이 형성된 노브(120)로 분할 형성되어 노브(120)가 헤드(11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이루어져 있고, 노브(120)의 내측에는 사용자의 필요에 의한 스위칭에 따라 전등(111) 및 발광부(21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미도시)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헤드(110)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전등(111)의 상부에는 전등에서 발생하는 빛을 다양한 각도로 확대 방출 및 굴절시키는 볼록렌즈(113)가 장착되어 있으며, 전등(111)을 커버하는 헤드(110)의 외측 둘레면에는 전등(111) 및 후술하는 지지체(200)에 구비된 발광부(210)의 점멸과 점등 및 소등 작동을 제어하는 모드 스위치(112)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노브(120)는 대략 반원통형으로 형성되어 헤드(110)에 대하여 펼친 상태에서는 지지체(200)에 상응하는 지지대의 구실을 하고, 헤드(110)에 대하여 접은 상태에서는 손전등 및 경광봉의 손잡이 구실을 하게 된다.
여기서, 모드 스위치(112)는 헤드(110)를 축으로 하는 회전조작에 따라 전등(111)을 점등 및 소등 작동을 제어하여 온/오프하고, 회전각의 크기에 따라 전등(111)의 빛 방사량을 자유로이 조절하기 위한 광조절 스위치로 겸용할 수 있으며, 더불어 모드 스위치(112)를 소정의 회전각이나 횟수 이상으로 회전시킬 경우 헤드(100)의 상부가 개방될 수 있다.
또한, 모드 스위치(112)의 일정각도 이상의 회전조작에 따라 발광부(210)에 전원공급부의 전원이 공급 및 차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모드 스위치(122)의 선택 위치에 따라 발광부(210)의 전원이 온/오프되고, 또 점멸 모드로 전환하여 점멸 기능이 작동될 수 있다.
그리고 노브(110)의 외측면에는 손전등이나 경광봉으로 사용 시 몸체가 한결 자연스럽고 안정적으로 밀착되도록 하고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재질의 미끄럼방지패드(122)가 부착되어 있고, 노브(120)의 다른 측면이나 하면에는 기기에 전반적인 작동을 전류를 공급하는 배터리를 쉽게 넣거나 빼낼 수 있도록 하는 덮개(미도시)가 탈장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노브(110)의 하면에는 그 길이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경사져 몸체에 대해 지지체(200)를 방사상으로 펼쳐서 세울 때 도로면이나 지면과 안정적으로 밀착되도록 하는 경사면(127)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체(200)(200')들은 몸체(100)와 함께 지면에 대하여 세워져 몸체(100)를 지탱하고 주의를 환기시키기 위한 점멸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몸체의 헤드(1100)에 대하여 각각 접철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고, 그 표면에는 노브(120)의 전원공급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발광하는 발광부(210)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면에는 몸체의 안착면(123)과 대응하는 제1밀착면(22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체(200)(200')들의 표면에는 발광부(210)의 빛을 외부로 발산시키는 광투광성 커버(240)가 부착되어 있고, 하면에는 몸체(100)와 마찬가지로 그 길이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경사져 몸체(100)에 대해 지지체(200)(200')들을 방사상으로 펼쳐서 세울 때 도로면이나 지면과 안정적으로 밀착되도록 하는 경사면(227)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체(200)(200')들이 몸체의 헤드(110)에 대하여 접철 가능하게 형성될 경우 하나의 지지체(200)와 인접하는 다른 지지체(200') 각각의 대향면에는 몸체(100)의 외형과 대응하여 서로 밀착 접힘되도록 제2밀착면(222)이 형성되어 있다.
즉, 하나의 지지체(200)와 인접하는 다른 지지체(200')는 몸체의 노브(120)에 대하여 양분되어 노브(120)와 상응하는 형태를 이루게 된다. 다시 말해 하나의 지지체(200)와 인접하는 다른 지지체(200')가 몸체의 노브(120)에 대하여 접힌 상태에서는 그 각각의 제1밀착면(221)은 노브의 안착면(123)을 양분하여 밀착되고, 제2밀착면(222)은 제1밀착면(221)과 수직하게 배치 형성되어 있어 인접하는 다른 지지체(200')의 제2밀착면(222')과 서로 긴밀하게 밀착되므로 노브(120)의 외형과 대칭을 이루어 상응하게 된다.
또한, 제1 및 제2밀착면(221/222)에 의해 교통안전표시기(2)를 안전삼각대로 사용 시 지지체(200)가 노브(120)에 대하여 서로 90도 각도를 이루면서 펼쳐짐에 따라 넓은 시야각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발광부(210)는 회로기판의 표면에 다수의 LED를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한 LED 전등으로 구비할 수 있고, 또 점멸 기능이 부가된 것을 적용하여 시인성과 식별력을 높일 수 있다.
즉, 발광부(210)의 LED는 전력 소모가 적고 고휘도로 시인성이 높은 소자 예를 들어, InGaA1P LED 등을 사용할 수 있고, 특히 야간 등에 사용 시 유리하도록 형광물질이 함유된 타입을 적용할 수도 있으며, 사용 중 색상의 전환이 일어나도록 일렬이 아닌 복수 열로 배치할 수도 있다.
한편, 몸체의 노브(120)와 지지체(200)(200')들을 접을 경우 서로 안정적으로 접힘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여 사용과정에서 노브(120)와 지지체(200)(200')들이 저절로 펼쳐지면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노브의 안착면(123)과 지지체의 제1밀착면(221)의 하부 대향면에는 결속부재(17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결속부재(170)로는 암수가 서로 대응결합되는 밸크로 패스너, 영구자석, 스냅버튼 중 어느 하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몸체의 안착면(123)이나 지지체의 제1밀착면(221) 중 어느 하나에 후크 형태로 이루어져 외력에 탄력적으로 변형되는 걸림돌기(미도시)를 형성하고, 이 걸림돌기와 대응하는 몸체의 안착면(123)이나 지지체의 제1밀착면(221) 중 어느 하나에 걸림돌기가 탄력적으로 걸림될 수 있도록 걸림홈(미도시)을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결속부재(170)는 몸체의 안착면(123)과 지지체의 제1밀착면(221)에 대하여 몸체(100)와 지지체(200)의 접힘 시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최소한으로 돌출된 형태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노브(120)와 지지체(200)가 헤드(110)에 대하여 저절로 펼쳐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다른 방법으로는 헤드(110)와 노브(120) 및 지지체(200)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축(180/280)의 마찰계수를 높여서 노브(120)와 지지체(200)가 그 힌지축을 중심으로 접철 시 뻑뻑한 상태로 회전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200) 및 노브(120)의 상부에 힌지돌기(225/125)를 각각형성하고, 이와 대응하는 몸체의 하부에 힌지홈(115)을 형성하여 이들을 힌지축(280/180)을 이용한 힌지 이음(hinged joint) 방식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때, 헤드(110)와 지지체(200)(200')들 및 헤드(110)와 노브(120) 사이의 힌지축(280/180)에는 헤드(110)에 대한 지지체(200)(200')들과 노브(120) 각각의 회전 시 마찰력에 의한 토크를 발생시키는 다수의 마찰링(140)을 삽입 장착할 수 있다.
더불어, 몸체(100)의 힌지 축구멍(116) 테두리 및 이와 대향하는 지지체(200)(200')들의 힌지축(280) 주위에 몸체(100)에 대한 지지체(200)(200')들의 회전 시 또는 헤드(110) 힌지홈의 축구멍 테두리 및 이와 대향하는 노브(120) 힌지돌기의 힌지축 주위에 헤드(110)에 대한 노브(120)의 회전 시 마찰력에 의한 토크를 발생시키는 요철부(150)를 서로 대응되게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지지체(200)(200')들 및 노브(120)는 볼트의 조임력에 의한 마찰력으로 요철부(150) 및 마찰링(140)에 비틀림모멘트를 발생시키고, 이를 통해 그 각각에 대응하는 지지체(200)(200')의 틸팅각도를 조정하거나 노브(120)의 틸팅각도를 조정하여 지지체(200)(200')들 및 노브(120)가 자중에 의해 자유로이 회동되거나 일정각도 이상으로 과도하게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몸체(100)에 대해 지지체(200)(200')들을 혹은 헤드(110)에 대해 노브(120)를 그 전후방향으로 일정치 이상(지지체와 힌지축 사이에 형성되는 마찰저항을 초과하는 정도)의 작동력(토크)을 가할 경우에만 지지체(200)(200')들 또는 노브(120)가 회동되고, 외력이 없는 경우에는 마찰링(140)과 요철부(150)의 제동력에 의해 회동되지 않고 특정 각도로 조절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많은 주의를 기울여 조작하는 불편함과 번거로움 없이도 지지체(200)(200')들 또는 노브(120)를 원하는 각도만큼 회동시켜 설정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그 세워지는 높낮이도 한층 수월하게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200)(200')들에 형성된 힌지돌기(225)의 힌지축(280) 주위에는 그 힌지축(280)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정지홈(260)이 다수 형성되고, 이와 대향하는 몸체(100)의 힌지홈(115)에는 정지홈(260)에 스프링 탄성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걸림 작동되면서 몸체(100)에 대한 지지체(200)(200')들의 회전각도를 일정 범위로 조절하는 스톱볼(160)이 구비될 수 있으며, 아울러 노브(120) 힌지돌기의 힌지축 주위에는 정지홈(260)이 일정간격으로 다수 형성되고, 이와 대향하는 헤드(110) 힌지홈의 축구멍 테두리에는 정지홈(260)에 스프링 탄성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걸림 작동되면서 헤드(110)에 대한 노브(120)의 회전각도를 일정 범위로 조절하는 스톱볼(16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정지홈(260)과 스톱볼(160)로 이루어진 래칫수단을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몸체(100)와 지지체(200)(200')들을 연결하는 힌지 이음부에 회전에 따른 간섭 및 마찰력이 일어나므로 한층 부드럽고 안정적인 회전감을 얻을 수 있음은 물론 지지체(200)(200')들 또는 노브(120)가 자중에 의해 자유로이 회동되거나 일정각도 이상으로 과도하게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외력이 없는 경우에는 정지홈(260)과 스톱볼(160)의 제동력에 의해 회동되지 않고 특정 각도로 조절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많은 주의를 기울여 조작하는 불편함과 번거로움 없이도 지지체(200)(200')들 또는 노브(120)를 원하는 각도만큼 회동시켜 설정할 수 있다.
즉, 지지체(200)(200')들 및 노브(120)의 회전각도를 특정하게 조절하여 해당 각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회진 시 일정각도에 따라 클릭감을 느낄 수 있는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교통안전표시기(2)는 헤드(110)를 중심으로 하여 노브(120)와 한 쌍의 지지체(200)(200')들이 방사상으로 접철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안전삼각대로 사용할 경우 지면에 대한 설치각도를 더욱 신속하고 용이하게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어 발광부(210)의 빛이 비추는 방향을 임의로 가변하여 설치장소에 가장 적합하게 설정할 수 있으며, 그 설치상태도 한층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 몸체 110: 헤드
111: 전등 112: 모드 스위치
113: 볼록렌즈 115: 힌지홈
116: 축구멍 120: 노브
122: 미끄럼방지패드 123: 안착면
125: 힌지돌기 127: 경사면
128: 밀림방지패드
140: 마찰링 150: 요철부
160: 스톱볼 170: 결속부재
180: 힌지축 200: 지지체
210: 발광부 221: 제1밀착면
222: 제2밀착면 225: 힌지돌기
227: 경사면 230: 반사체
231: 통기공 240: 광투과성 커버
250: 요철부 260: 정지홈
270: 결속부재 280: 힌지축

Claims (15)

  1. 상부에 전등(111)이 구비되고 하부 내측에는 스위칭에 따라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가 구비되며 측면에 평평하게 안착면(123)이 형성된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에 접철 가능하게 장착되며, 표면에는 발광부(210)가 구비되고 이면에는 상기 안착면(123)과 대응하는 제1밀착면(221)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지지체(200)(200')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100)와 지지체(200)(200')들을 방사상으로 펼쳐서 세울 경우 도로면이나 지면과 밀착되도록 그 각각의 하면에 경사면(127)(227)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체(200)(200')들의 서로 대향하는 면에 상기 몸체(100)의 외형과 대칭적으로 접힘되도록 제2밀착면(222)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교통안전표시기.
  2. 상부에 전등(111)이 구비된 헤드(110)와, 상기 헤드(110)의 하부와 상부가 힌지 이음으로 연결되고 측면에 평평하게 안착면(123)이 형성된 노브(120)와, 상기 노브(120)의 내부에 설치되어 스위칭에 따라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로 이루어진 몸체(100)와;
    상기 헤드(110)의 하부와 힌지 이음으로 연결되어 상기 노브(120)에 대하여 접철 가능하게 장착되며, 표면에는 발광부(210)가 구비되고 이면에는 상기 안착면(123)과 대응하는 제1밀착면(221)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지지체(200)(200')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100)와 지지체(200)(200')들을 방사상으로 펼쳐서 세울 경우 도로면이나 지면과 밀착되도록 그 각각의 하면에 경사면(127)(227)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체(200)(200')들의 서로 대향하는 면에 상기 몸체(100)의 외형과 대칭적으로 접힘되도록 제2밀착면(222)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교통안전표시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110)와 상기 노브(120) 사이의 힌지축(180), 상기 헤드(110)와 상기 지지체(200)(200')들 사이의 힌지축(280)에 각각 삽입 장착되어 상기 헤드(110)에 대한 상기 노브(120) 및 지지체(200)(200')들의 회전 시 마찰력에 의한 토크를 발생시키는 다수 개의 마찰링(1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교통안전표시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110)의 힌지 축구멍(116) 테두리 및 이와 대향하는 상기 노브(120)의 힌지축(180) 주위, 상기 지지체(200)(200')들의 힌지축(280) 주위에 상기 헤드(110)에 대한 상기 노브(120) 및 지지체(200)(200')들의 회전 시 마찰력에 의한 토크를 발생시키는 요철부(150)가 각각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교통안전표시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120)의 힌지축(180) 주위, 상기 지지체(200)(200')들의 힌지축(280) 주위에 정지홈(260)이 일정간격으로 다수 형성되고, 이와 각각 대향하는 상기 헤드(110)의 힌지 축구멍(116) 테두리에는 상기 정지홈(260)에 스프링 탄성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걸림되면서 상기 헤드(110)에 대한 상기 노브(120) 및 지지체(200)(200')들의 회전각도를 일정 범위로 조절하는 스톱볼(16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교통안전표시기.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200)(200')들의 표면에 상기 발광부(210)의 빛이 발산 및 통과되도록 통기공(231)을 다수 형성한 반사체(230)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교통안전표시기.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200)(200')들의 표면에 상기 발광부(210)의 빛을 발산하는 광투과성 커버(240)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교통안전표시기.
  8. 삭제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127)에 도로면이나 지면에 대해 상기 몸체(100) 및 지지체(200)(200')들이 밀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밀림방지패드(128)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교통안전표시기.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에 상기 전등(111)과 발광부(210)의 점멸과 점등 및 소등을 제어하는 모드 스위치(11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교통안전표시기.
  11. 삭제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의 안착면(123)과 상기 지지체(200)(200')들의 제1밀착면(221) 하부 대향면에 상기 몸체(100)와 지지체(200)(200')들의 접힘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결속부재(170)(27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교통안전표시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재(170)(270)는 암수가 서로 대응하여 결합되는 밸크로 패스너, 영구자석, 스냅버튼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교통안전표시기.
  1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의 외측 둘레면에 파지 시 미끄럼을 방지하는 미끄럼방지패드(122)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교통안전표시기.
  1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의 상부에 상기 전등(111)에서 발생하는 빛을 다양한 각도로 확대 방출시키는 볼록렌즈(113)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교통안전표시기.
KR1020110041322A 2011-05-02 2011-05-02 휴대용 교통안전표시기 KR1012822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1322A KR101282241B1 (ko) 2011-05-02 2011-05-02 휴대용 교통안전표시기
PCT/KR2011/010381 WO2012150754A2 (ko) 2011-05-02 2011-12-30 휴대용 교통안전표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1322A KR101282241B1 (ko) 2011-05-02 2011-05-02 휴대용 교통안전표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3779A KR20120123779A (ko) 2012-11-12
KR101282241B1 true KR101282241B1 (ko) 2013-07-10

Family

ID=47108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1322A KR101282241B1 (ko) 2011-05-02 2011-05-02 휴대용 교통안전표시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82241B1 (ko)
WO (1) WO2012150754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7897A (ko) 2018-11-16 2020-05-27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Led 경광봉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43887B (zh) * 2013-06-07 2015-11-25 东莞金唐五金电器制造有限公司 警示灯及具有该警示灯的手电筒用预警系统
CN105667388A (zh) * 2016-03-31 2016-06-15 深圳市威米通讯有限公司 一种车载户外应急照明装置及其汽车应急三角架
KR101660939B1 (ko) * 2016-07-18 2016-09-28 이명욱 경광등 겸용 우산형 안전삼각대
KR101779042B1 (ko) * 2017-01-23 2017-09-15 주식회사 아이디어온 휴대용 차량 비상 안전표시등
KR101963662B1 (ko) * 2017-08-23 2019-03-29 이대현 접이식 엘이디 조명기구
KR101910059B1 (ko) * 2018-04-09 2018-12-19 전기호 안전 삼각대
CN108877566A (zh) * 2018-07-09 2018-11-23 王乔 一种安全节能便携式道路施工警示牌
KR102431628B1 (ko) * 2020-10-27 2022-08-12 주식회사 서연이화 암레스트의 안전삼각대 및 리플렉터 조립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4274Y1 (ko) * 2003-05-03 2003-08-21 문성인 안전 표지판
US7296909B2 (en) * 2004-10-20 2007-11-20 The Stanley Works Flashlight
KR20090014451A (ko) * 2007-08-06 2009-02-11 충무정밀 주식회사 삼각대
KR20110020362A (ko) * 2009-08-24 2011-03-03 주식회사 우전그린 접이식 경고용 삼각대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39457A (en) * 1986-08-11 1988-04-19 Orr Allie E Illuminating device support
US5684452A (en) * 1995-06-12 1997-11-04 Wang; Shiunn-Terny Multi-purposes warning device
KR200232776Y1 (ko) * 2001-02-21 2001-09-28 김남용 마그네틱 스위치 플래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4274Y1 (ko) * 2003-05-03 2003-08-21 문성인 안전 표지판
US7296909B2 (en) * 2004-10-20 2007-11-20 The Stanley Works Flashlight
KR20090014451A (ko) * 2007-08-06 2009-02-11 충무정밀 주식회사 삼각대
KR20110020362A (ko) * 2009-08-24 2011-03-03 주식회사 우전그린 접이식 경고용 삼각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7897A (ko) 2018-11-16 2020-05-27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Led 경광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50754A3 (ko) 2013-01-03
WO2012150754A2 (ko) 2012-11-08
KR20120123779A (ko) 2012-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2241B1 (ko) 휴대용 교통안전표시기
US7782223B2 (en) Flashing flare warning device
US8201964B2 (en) Handheld flashlight with retractable leash
US8282235B2 (en) Lighted bag and backpack
US9242600B2 (en) Safety apparatus
KR200497637Y1 (ko) 신축형 스툴
CA2296859A1 (en) Warning device for motor vehicle
CN112292311B (zh) 自行车一体式多功能照明装置
KR20080002463U (ko) 도로위험표시용 경고등
KR101982496B1 (ko) 우산형 안전표시기구
KR20200044449A (ko) 차량용 안전표지 케이스
CN213605384U (zh) 一种便携伸缩凳
US11454358B2 (en) Work light
TW201609463A (zh) 多功能車用故障警示裝置
KR101383344B1 (ko) 자동 펼침식 led 안전 피라미드
KR200273994Y1 (ko) 전계발광을 이용한 경고 표시용 접이식 삼각형 리플렉터
KR101034314B1 (ko) 다기능 후레쉬
CN211203697U (zh) 警示灯
JPH11158824A (ja) 発光標識体、発光標識体保持装置、携帯用信号表示灯
NL2027472B1 (nl) Verlichtingsinrichting
KR20030095660A (ko) 안전신호 표시기
US20230410698A1 (en) Illuminated Roll Up Sign
JP3217335U (ja) 誘導灯収納具
KR200437578Y1 (ko) 비상삼각대
JPH052661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