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0026B1 - 투명 전광판을 이용한 컨테이너형 이동식 유닛 모듈 - Google Patents

투명 전광판을 이용한 컨테이너형 이동식 유닛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0026B1
KR101910026B1 KR1020180006126A KR20180006126A KR101910026B1 KR 101910026 B1 KR101910026 B1 KR 101910026B1 KR 1020180006126 A KR1020180006126 A KR 1020180006126A KR 20180006126 A KR20180006126 A KR 20180006126A KR 101910026 B1 KR101910026 B1 KR 1019100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panel
frame
plat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6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8855A (ko
Inventor
하태민
Original Assignee
지스마트 주식회사
지스마트글로벌 주식회사
주식회사 코리아네트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스마트 주식회사, 지스마트글로벌 주식회사, 주식회사 코리아네트웍스 filed Critical 지스마트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80008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88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0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00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04B1/34869Elements for special technical purposes, e.g. with a sanitary equip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36Structures movable as a whole, e.g. mobile hom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02Dwelling houses; Buildings for temporary habitation, e.g. summer hou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3Segmented electronic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명 전광판을 이용한 컨테이너형 이동식 유닛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투명 전광판의 미디어 기능과, 조립과 설치가 용이한 컨테이너의 장점을 갖춘 투명 전광판을 이용한 컨테이너형 이동식 유닛모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투명 전광판을 이용한 컨테이너형 이동식 유닛 모듈{A MOVABLE UNIT MODULE OF CONTAINER TYPE USING TRANSPARENT DISPLAY BOARD}
본 발명은 투명 전광판을 이용한 컨테이너형 이동식 유닛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투명 전광판의 미디어 기능과, 조립과 설치가 용이한 컨테이너의 장점을 갖춘 투명 전광판을 이용한 컨테이너형 이동식 유닛모듈에 관한 것이다.
유닛 모듈 공법은 홍수나 대형 화재에서 집을 잃은 이재민 가족들에게 신속하게 일반 집과 같은 주거환경을 제공해 줄 수 있다는 점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최근에는 위와 같은 유닛 모듈 공법을 더욱 확장하여 임시주택 뿐만 아니라다 수개의 모듈을 결합하여 전원주택이나 도심속의 사무형 건물 및 주거형 건물의 시공에 적용된다. 이를 위하여 종래의 유닛 모듈 공법은 선박용 컨테이너를 주로 활용하였다.
그러나, 선박용 컨테이너는 차량에 의한 이동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행사장이나 전시장과 같이 다수의 사람들의 방문이 필요한 장소에 설치될 경우에 투박한 외형으로 인하여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36571호(2015.04.07)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85811호(2012.08.01)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컨테이너형 유닛 모듈에 미디어 기능을 부가할 수 있어 보다 다양한 장소와 환경에서 사용 가능한 투명 전광판을 이용한 컨테이너형 이동식 유닛 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의 실시예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상호 조립가능한 복 수개의 기둥과, 상부 판넬, 바닥 판넬 및 벽 판넬을 구비하여 컨테이너형 이동식 유닛모듈을 구성하는 판넬 부재와, 상기 컨테이너형 이동식 유닛모듈에서 적어도 하나의 벽면을 이루는 복 수개의 투명 전광판 및 상기 상부 판넬과 바닥 판넬 및 벽 판넬중 적어도 하나에 고정되어 상기 투명 전광판을 체결 및 지지하는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부재는 상기 투명 전광판의 단부와 상단 또는 하단중 적어도 하나가 끼움식으로 체결되도록 직립된 기둥과 상부 판넬 및 바닥 판넬중 적어도 하나에 고정되는 일방향 프레임 및 상기 투명 전광판과 투명 전광판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양측의 투명 전광판 단부를 각각 지지하는 양방향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컨테이너의 이동이 간편한 장점과 투명 전광판의 미디어 기능을 추가할 수 있어 전시장 및 행사장에서의 이동식 부스와, 다 수개가 적층되어 사무용 및/또는 주거용 건물로서 보다 다양한 장소와 용도로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투명 전광판을 이용한 컨테이너형 이동식 유닛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투명 전광판을 이용한 컨테이너형 이동식 유닛 모듈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투명 전광판을 이용한 컨테이너형 이동식 유닛 모듈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투명 전광판을 이용한 컨테이너형 이동식 유닛 모듈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내부 평면도이다.
도 6a와 도 6b는 판넬 부재의 바닥 판넬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와 도 7b는 프레임부재의 완충프레임 및 일방향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와 도 8b는 프레임부재의 양방향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서 전원 및 제어부재의 블럭도이다.
도 10은 투명 전광판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투명 전광판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지만, 특정된 실시예를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 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투명 전광판을 이용한 컨테이너형 이동식 유닛 모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투명 전광판을 이용한 컨테이너형 이동식 유닛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측면도, 도 3은 정면도, 도 4는 배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천정을 이루는 상부 판넬(110)과, 바닥면을 이루는 바닥 판넬(120) 및 벽면을 이루는 벽 판넬(140)로 이루어진 판넬 부재(100)와, 복 수개의 투명 전광판(200)과, 투명 전광판(200)을 지지하는 프레임 부재(600, 700, 800)(도 7 및 도 8참조)와, 투명 전광판(200)을 제어하는 제어 단말(300) 및 분전함(400)을 구비하는 전원 및 제어부재를 포함한다.
프레임 부재(600, 700, 800)는 기둥(130)과 상부 판넬(110) 및 바닥 판넬(120)에 각각 고정되는 완충 프레임(600)(도 7a 참조)과, 완충 프레임(600)에 고정되어 일측 투명 전광판(200)의 단부와 상단 및 하단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지지하는 일방향 프레임(700)과, 투명 전광판(200)들 사이에서 각각의 단부를 지지하는 양방향 프레임(8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일방향 프레임(700)은 투명 전광판(200)의 단부와 상단 및 하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기둥(130)의 일면과, 상부 판넬(110)의 하측과, 바닥 판넬(120)의 상면에 각각 고정 완충 프레임(600)을 따라 설치된다.
완충 프레임(600)은 기둥(130)과 바닥 판넬(120) 및 상부 판넬(110)중 적어도 하나에 각각 고정되어 일방향 프레임(700)의 조립과정에서 발생되는 압력이나 충격을 완충시켜 기둥(130)과 바닥 판넬(120) 및 상부 판넬(110)의 손상이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로는 완충 프레임(600)의 전면과 투명 전광판(200)의 전면이 단차 형성되도록 완충 프레임의 전면이 전방으로 돌출되어 빗물등의 배수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부 판넬(110)로부터 흘러내리는 빗물이 투명 전광판(200)과 일방향 프레임(700)간의 연결부위로 낙하하지 않고, 바로 바닥면으로 배수되거나 투명 전광판(200)의 전면 중간 부분으로 낙하되기에 빗물의 침투가 취약한 연결부분으로의 수분 침투를 방지할 수 있다.
투명 전광판(200)은 상기와 같은 상부 판넬(110)과 바닥 판넬(120)과 기둥(130) 및 벽 판넬(140)에 의해 조립된 컨테이너형 이동식 유닛모듈에서 벽면을 이루도록 설치된다.
판넬 부재(100)는 컨테이너의 천정면을 이루는 상부 판넬(110)과, 바닥면을 이루는 바닥 판넬(120)과, 직립된 벽면을 이루는 벽 판넬(140)과, 바닥 판넬(120)과 체결되어 양측의 벽 판넬(140) 및 투명 전광판(200)을 지지하는 복 수개의 기둥(130)을 포함한다.
상부 판넬(110)은 다 수개의 홈이 형성된 상면을 이루는 판형으로서 각 모서리 또는 테두리에서 직립된 기둥(130)과 체결되어 지지된다.
벽 판넬(140)은 바닥 판넬(120)에서 적어도 하나가 직립되어 벽면을 이룬다. 예를 들면, 벽 판넬(14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에서 벽면을 이룬다.
기둥(130)은 바닥 판넬(120)의 단부에 고정되어 복 수개가 직립된다. 이때, 기둥(130)은 상측에서 상부 판넬(110)과 체결되고, 측방향에서 직립된 투명 전광판(200) 및/또는 벽 판넬(140)을 지지한다.
판넬 부재(100)는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내부 평면도로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부 판넬(110)을 생략하였다.
도 5를 참조하면, 기둥(130)은 바닥 판넬(120)의 각 모서리 지점에서 직립되어 벽 판넬(140) 및 투명 전광판(200)을 지지한다. 이때, 도시된 바를 예로 들면, 벽 판넬(140)은 전체 4 면중 배면과 우측면에 직립되도록 고정되고, 나머지 2면은 투명 전광판(200)이 설치되어 벽면을 이룬다.
벽 판넬(140)중 어느 하나는 일부가 개구되어 창구(예를 들면, 접수창구)를 형성함도 가능하며, 이는 다양한 실시예중 어느 하나에 해당된다.
또한, 투명 전광판(200)은 복 수개가 프레임 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컨테이너의 벽면을 이루도록 지지된다. 프레임 부재(600, ,700, 800)는 도 7a 내지 도 8b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바닥 판넬(120)은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a는 바닥 판넬을 도시한 평면도, 도 6b는 바닥 판넬(120)의 내부구조를 구체화한 평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바닥 판넬(120)은 각 모서리에서 내향되어 기둥(130)이 체결되는 체결홈(124)과, 내측에서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교차 연장되는 복 수개의 가로 격벽(126)과 세로 격벽(125), 제어 단말(300) 및 분전함(400)을 수용하는 수용부(123)와, 일측면에서 전선이 인입되는 전선 인입공(121)과, 전선이 인출되는 전선 인출공(122)을 포함한다.
수용부(123)는 바닥 판넬(120)의 내측에서 분전함(400) 및 제어 단말(300)과 같이 투명 전광판(200)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 및 제어장치가 수용되는 공간으로 가로 격벽(126)과 세로 격벽(125)의 조합에 의해 구획된다. 또한, 수용부(123)는 상부를 밀폐시키기 위한 커버판(도시되지 않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로 격벽(125)과 세로 격벽(126)은 복 수개가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교차되도록 연장되어 바닥 판넬(120)의 상면을 이루는 상판(도면번호 부여되지 않음) 및/또는 지면에 밀착되는 하판(도면번호 부여되지 않음)을 지지한다. 또한 가로 격벽(125)과 세로 격벽(126)은 분전함(400) 및 제어 단말(300)에서 연장되는 전선과, 전선 인입공(121)과 전선 인출공(122)으로 연장되는 전선을 안내할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바닥 판넬(120)은 분전함(400)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출력할 수 있도록 복 수개의 콘센트(411)가 내부 및/또는 외부에서 설치될 수 있다.
체결홈(124)은 바닥 판넬(120)의 모서리에서 내향된 홈으로 형성되어 단면에서 기둥(130)의 일면이 밀착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기둥(130)의 바닥면은 지면에 밀착된다. 이와 같이 기둥(130)과 바닥 판넬(120)의 결합구조는 하면이 모두 지면에 밀착됨에 따라 내진에 강한 구조를 이룬다.
여기서, 상부 판넬(110)과, 바닥 판넬(120)과 벽 판넬(140) 및 기둥(130)은 각각 조립형으로서 작업자가 현장에서 해체 및 조립 가능하도록 상호 체결가능한 결합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판넬간의 조립 및 해체를 위한 결합구조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구성임에 따라 그 설명을 생략한다.
프레임 부재(600, 700, 800)는 도 7a 내지 도 8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a는 일방향 프레임을 도시한 평면도, 도 7b는 일방향 프레임의 분해도, 도 8a와 도 8b는 양방향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8b를 참조하면, 프레임 부재(600, 700, 800)는 마모나 충격으로부터 판넬 부재(100)를 보호하는 완충 프레임(600)과, 완충 프레임(600)에 체결되어 일방향의 투명 전광판(200)을 지지하는 일방향 프레임(700)과, 투명 전광판(200)과 투명 전광판(200) 사이를 지지하는 양방향 프레임(800)과, 완충 프레임(600)과 일방향 프레임(700)을 고정시키는 일방향 프레임 고정수단(500)을 포함한다.
도 7a를 참조하면, 완충 프레임(600)은 투명 전광판(200)이 정렬되는 방향으로 지향된 기둥(130)의 일면과, 상부 판넬(110)과 바닥 판넬(120)에서 접착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이중에서 완충 프레임(600)에 대한 설명은 기둥의 일면에 설치된 예로서 설명한다.
완충 프레임(600)은 'ㄴ'자형으로서 일측이 절곡 형성된 단차부(610)와 단차부(610)의 하측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부(620)와, 수평부(620)에서 일방향 프레임(700)과의 마찰에 의한 마모 및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탄성판(630)을 포함한다.
단차부(610) 및 수평부(620)는 각각 내측에 빈공간을 이루며, 기둥(130) 면과 이격된 공간을 갖도록 내측에 빈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단차부(610)는 일방향 프레임(700)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투명 전광판의 전면과 단차 형성되도록 일방향에서 절곡 형성된다.
수평부(620)는 단차부의 시작점에서 수평으로 연장되어 일방향 프레임(700)이 밀착되는 벽면을 형성한다. 이때, 수평부(620)는 프레임 고정수단(500)이 일방향 프레임(700)을 연통하여 삽입될 수 있도록 고정구(도면번호 부여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판(630)은 수평부의 단면에 접착 고정된 것으로서, 고무나 직물, 플라스틱 재질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서 일방향 프레임(700)과 완충 프레임(600)간에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한다.
따라서, 완충 프레임(600)은 일방향 프레임(700)과 기둥(130) 사이에 이격된 완충 공간을 형성함에 따라 기둥(130)과 일방향 프레임(700)간의 직접적인 결합을 차단할 수 있어 프레임 고정수단(500)의 체결시에 발생되는 기둥(130)의 마모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일방향 프레임(700)은 완충 프레임(600)에 직립되도록 고정되어 일측에 위치된 투명 전광판(200)의 단부를 지지한다. 구체적인 구조는 도 7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b는 일방향 프레임의 평면 분해도이다.
도 7b를 참조하면, 일방향 프레임(700)은 투명 전광판(200)의 드라이버 기판이 수용되는 제1함체(720)와, 제1함체(720)를 밀폐시키는 제1커버(710)와, 투명 전광판(200)의 단부가 끼움되는 제1단부지지수단(730)과, 제1단부지지수단(730)에서 투명 전광판(200)의 단부를 탄성지지하는 제1패킹수단(740)을 포함한다.
제1커버(710)는 제1함체(720)의 개방된 일면에 착탈될 수 있도록 상호 이격된 한 쌍의 탄성돌기(711)를 포함한다.
제1함체(720)는 개방된 일면에서 제1커버(710)의 탄성돌기(711)를 걸림시키는 걸림돌기(721)와, 완충 프레임(600)에 밀착되도록 연장되는 제1함체판(722)과, 드라이버 기판(280)을 지지하도록 돌출된 지지홈(724)과, 지지홈(724)에 적층되는 드라이버 지지판(723)과, 드라이버 기판(280) 및 드라이버 지지판(723)을 연통고정시키는 제1고정나사(726)와, 벽면에서 관통되어 드라이버 기판(280)에서 연장되는 전원전달수단(예를 들면, FPCB)(270)(도 10 참조)을 안내하는 안내홀(727)과, 제1함체판(722)의 끝단에서 내향된 결합홈(725)과, 제1단부지지수단(730)을 연통하는 제2고정나사(726)가 삽입되는 나사홀(728)과, 프레임 고정수단(500)이 연통되는 고정홀(729)을 포함한다.
걸림돌기(721)는 제1커버(710)가 체결되는 개방된 일면에서 양측에 각각 경사지도록 돌출된다. 따라서, 걸림돌기(721)는 제1커버(710)의 탄성돌기(711)에 체결(예를 들면, 맞물림)되어 제1커버(710)를 고정시킨다.
지지홈(724)은 드라이버 기판의 일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되어 드라이버 기판(280)을 지지한다. 여기서, 지지홈(724)은 드라이버 지지판(723)이 끼움될 수 있도록 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드라이버 지지판(723)은 일면에서 상호 이격된 한 쌍의 지지돌기(723a)가 형성되어 지지홈(724)의 개구 사이로 끼움된다. 즉, 드라이버 지지판(723)은 탄성력을 갖는 한 쌍의 지지돌기(723a)에 의해 지지홈(724)에 결합된다.
제1고정나사(726)는 드라이버 지지판(723)에 드라이버 기판(280)이 설치된 후, 이를 연통하여 드라이버 지지판(723)과 드라이버 기판(280)을 고정시킨다. 여기서, 드라이버 지지판(723)은 상술한 지지돌기(723a)에 의해 지지홈(724)의 개구에 끼움된 상태이다.
나사홀(728)은 제1단부지지수단(730)의 나사홀(728)을 연통하는 제2고정나사(726)가 삽입된다.
고정홀(729)은 제1함체판(722)에 형성되어 프레임 고정수단(500)이 삽입된다. 여기서, 프레임 고정수단(500)은 고정홀(729을 연통하여 완충 프레임(600)의 고정구(도면번호 부여되지 않음)에 체결된다.
안내홀(727)은 제1함체판(722)의 양측에서 직립된 벽면중 투명 전광판(200) 측에 형성된 벽면에서 관통되어 드라이버 기판(280)에서 연장된 전원전달수단(270)을 투명 전광판(200)의 단부측으로 안내한다.
제1단부지지수단(730)은 완충 프레임(600)에 밀착되도록 연장되는 제1단부판(732)과, 제2고정나사(734)가 연통되는 나사홀(733)과, 제1단부판(732)의 끝단에서 직립된 벽면의 내측에서 제1패킹수단(740)이 체결되는 패킹홈(731)을 포함한다.
제1단부판(732)은 끝단에서 돌출 연장되어 결합홈(725)에 삽입되는 결합돌기(732a)를 포함하고, 제2고정나사(734)가 연통되는 나사홀(733)이 형성된다. 여기서 나사홀(733)은 제2고정나사(734)의 헤드와 일치되는 형상으로서 선단이 음각 형성되어 제2고정나사(734)의 헤드가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즉, 제2고정나사(734)의 헤드는 나사홀(733)에 완전히 압입된 상태로 체결된다.
패킹홈(731)은 벽면과 이격된 간격을 갖고 돌출 및 연장되는 홈으로 형성되어 제1패킹수단(740)이 삽입되도록 개구 형성된다.
제1패킹수단(740)은 패킹홈(731)의 개구를 통하여 삽입되는 삽입돌기(741)와, 투명 전광판(200)의 단부를 가압하여 그 사이에 이격된 틈새를 방지하는 패킹몸체(742)로 형성되어 제1단부지지수단(730)의 패킹홈(731)을 따라 하향 연장형성된다. 여기서, 삽입돌기(741) 및 패킹몸체(742)는 탄성력을 갖는 고무재질로 형성된다,
도면에서 도시된 제1함체(720)와 제1단부지지수단(730)과, 제1패킹수단(740)은 평면으로 도시된 것이나, 이는 전면측에서 봤을 때 완충 프레임(600)의 수평부(620)을 따라 하향 연장된 것이다.
즉, 상술한 일방향 프레임(700)은 기둥(130)에 고정된 완충 프레임(600)과 투명 전광판(200) 단부 사이를 연결 및 지지한다. 또한, 후술되는 양방향 프레임(800)은 투명 전광판(200)과 투명 전광판(200) 사이에서 양측 투명 전광판(200)의 단부를 지지한다. 이하에서는 양방향 프레임(800)의 세부 구성을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a는 양방향 프레임(800)을 도시한 평면도, 도 8b는 양방향 프레임(800)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양방향 프레임(800)은 일측 투명 전광판(200)을 지지하는 일측 프레임(810, 820, 830, 840)과, 타측 투명 전광판(200)을 지지하는 타측 프레임(810', 820', 830', 840')과, 일측 프레임(810, 820, 830, 840)과 타측 프레임(810', 820', 830', 840')의 노출된 전면을 밀폐 및 방수시키는 단부커버(850)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서 양방향 프레임(800)은 두 개의 일방향 프레임(700)이 상호 결합되어 일측과 타측중 어느 하나의 투명 전광판(200, 200')의 단부를 지지하고, 투명 전광판(200)들 사이로 노출된 단부지지수단(730, 830, 830')을 단부커버(850)로 밀폐시키는 구성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일측 프레임은 일측 투명 전광판(200)의 드라이버 기판을 수용하는 일측 함체(820)와, 일측 함체(820)의 개구된 일면을 밀폐시키는 제2커버(810)와, 일측 함체(820)에 착탈되어 일측 투명 전광판(200)의 단부를 지지하는 일측 단부지지수단(830)과, 일측 단부지지수단(830)에서 일측 투명 전광판(200)의 단부를 가압 및 탄성 지지하는 일측 패킹수단(840)을 포함한다.
타측 프레임은 타측 투명 전광판(200')의 드라이버 기판(280')을 수용하는 타측 함체(820')와, 타측 함체(820')의 개구된 일면을 밀폐시키는 제3커버(810')와, 타측 함체(820')에 착탈되어 타측 투명 전광판(200')의 단부를 지지하는 타측 단부지지수단(830')과, 타측 단부지지수단(830')에서 타측 투명 전광판(200')의 단부를 가압 및 탄성지지하는 타측 패킹수단(840')을 포함한다.
여기서, 일측 프레임과 타측 프레임은 그 구성이 동일함에 따라 이중에서 일측 프레임의 세부구성을 일예로서 설명한다.
제2커버(810)는 일측 함체(820)의 개구된 일면에 착탈되도록 양측에서 각각 돌출된 일측 제2탄성돌기(811)를 구비하여 일측 함체(820)의 개방된 일면을 밀폐시킨다.
일측 함체(820)는 일측 함체판(822)의 양측에서 돌출되는 벽면에서 제2탄성돌기(811)를 걸림시키는 제2걸림돌기(821)와, 일측 함체판(822)과 이격되도록 돌출되고 일부가 개구된 제2지지홈(824)과, 제2지지홈(824)의 개구에 착탈되어 일측 드라이버 기판(280)을 지지하는 제2드라이버 지지판(823)과, 제2드라이버 지지판(823)과 드라이버 기판(280)을 고정시키는 제3고정나사(826)와, 벽면에서 관통되어 드라이버 기판(280)에서 연장되는 전원전달수단(270)(예를 들면, FPCB)를 안내하는 제2안내홀(827)과, 일측 함체판(822)에서 내향된 제2결합홈(825)과, 일측 단부지지수단(830)을 연통하는 제4고정나사(834)가 삽입되는 나사홀(838)과, 양방향 프레임 고정수단(500')이 연통되는 제2고정홀(829)을 포함한다.
제2걸림돌기(821)는 일측 함체판(822)에서 돌출된 벽면의 끝단에서 경사지도록 돌출되어 제2커버(810)의 제2탄성돌기(811)가 걸림되도록 형성된다.
제2걸림돌기(821)에서 연장된 일측 벽면(821a)은 일측 단부지지수단(820)과 이격된 공간을 이룬다.
제2지지홈(824)은 일측 함체판(822)에서 돌출되어 제2드라이버 지지판(823)을 지지한다. 이때, 제2지지홈(824)은 제2드라이버 지지판(823)을 지지하는 단면에서 개구가 형성된다.
제2드라이버 지지판(823)은 일면에서 상호 이격되는 한 쌍의 제2지지돌기(823a)를 구비한다. 제2지지돌기(823a)는 제2지지홈(824)의 개구에 끼움식으로 체결된다. 즉, 제2지지홈(824)은 제2드라이버 지지판(823)과 끼움식으로 체결된다.
드라이버 기판(280)은 제2드라이버 지지판(823)에 설치되어 제3고정나사(826)에 의해 고정된다.
제2안내홀(827)은 일측 함체판(822)중 타측(일측 단부지지수단(830)측)으로 연장되는 타측 일측 함체판(822a)에서 직교된 일측 벽면(821a)에 관통되어 드라이버 기판(280)에서 연장되는 전원전달수단(예를 들면, FPCB)(270)안내한다.
제2결합홈(825)은 일측 함체판(822)에서 내향되어 일측 단부지지수단(830)의 제2단부판(832) 끝단에서 돌출된 제2결합돌기(832a)가 삽입된다.
나사홀(838)은 타측 일측 함체판(822a)에서 관통형성되어 제2단부판(832)을 연통한 제4고정나사(834)가 삽입된다.
여기서, 일측 함체(820)의 일측 함체판(822)은 일측에서 타측 함체(820')의 타측 함체판(822')과 상호 밀착된 상태에서 양방향 프레임 고정수단(500')에 의해 상호 체결된다. 즉, 일측 함체(820)와 타측 함체(820')는 양방향 프레임 고정수단(500')에 의해 고정되며, 이때, 제2커버(810)와 제3커버(810')는 상호 반대측에 위치된다.
또한, 일측 함체(820)와 타측 함체(820')는 타측에서 연장되는 타측 일측 함체판(822a)과 타측 타측 함체판(822a')이 각각 일측 단부지지수단(830)과 타측 단부지지수단(830')과 밀착되어 제4고정나사(834, 834')에 의해 체결된다.
일측 단부지지수단(830)은 제2단부판(832)의 끝단에서 돌출되어 일측 함체(820)의 타측 함체판(822a)에 형성된 제2결합홈(825)에 체결되는 제2결합돌기(832a)와, 제4고정나사(834)가 연통삽입되는 제2나사홀(838)과, 일측 패킹수단(840)이 체결되도록 벽면과 이격된 공간을 갖고 개구 형성된 제2패킹홈(831)을 포함한다.
타측 단부지지수단(830')은 타측 함체(820')의 일측 벽면(821a')과 이격된 공간을 이루어 그 사이에 타측 투명 전광판(200')의 단부가 끼움되는 공간을 이룬다. 즉, 타측 단부지지수단(830')은 일측 단부지지수단(830)과 동일한 구성(예를 들면, 제3안내홀(827'), 제3단부판(832'), 제2결합돌기(832a'), 제3나사홀(838'), 제3패킹홈(831'))을 포함하기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즉, 타측 단부지지수단(830')는 타측 함체(820')의 제3결합돌기(821')에서 연장되는 일측 벽면(821a')과 이격된 공간을 이루어 투명 전광판의 단부(200')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다만, 일측 단부지지수단(830)과 타측 단부지지수단(830')은 제2단부판(832)과 제3단부판(832')의 외면이 상호 밀착된 상태에서 일측 함체(820)와 타측 함체(820')의 제2결합홈(825)과 제3결합홈(825')에 각각의 결합돌기(831a, 831a')가 체결된다.
이때, 일측 단부지지수단(830)과 타측 단부지지수단(830')의 나사홀(838, 838')들의 선단(838a, 838a')은 제4고정나사(834, 834')의 헤드와 일치된 형상으로 음각됨에 따라 제4고정나사(834)의 헤드가 매몰된 상태로 체결된다. 따라서, 일측 단부지지수단(830)과 타측 단부지지수단(830')은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상호 밀착될 수 있다.
일측 패킹수단(840)은 투명 전광판(200)의 단부에 밀착되어 가압하는 패킹몸체(842)에서 연장되어 일측 단부지지수단(830)의 벽면에 형성되는 제2패킹홈(831)에 삽입되는 제2삽입돌기(841)를 포함한다.
타측 패킹수단(840')은 일측 패킹수단(840)과 동일한 구성을 포함하여, 타측 단부지지수단(830')에서 타측 투명 전광판(200')의 단부를 가압 및 탄성 지지한다.
일측 단부지지수단(830)과 타측 단부지지수단(830')은 일측 투명 전광판(200)과 타측 투명 전광판(200')의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어 일측 함체(820)와 타측 함체(820')에 각각 체결된다. 따라서, 일측 단부지지수단(830)의 선단과 타측 단부지지수단(830')의 선단은 투명 전광판(200, 200')들 사이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양방향 프레임(800)은 노출된 일측 단부지지수단(830)과 타측 단부지지수단(830')의 선단을 밀폐시키기 위하여 단부커버(850)를 더 포함한다.
단부커버(850)는 상호 밀착된 일측 단부지지수단(830)의 선단과 타측 단부지지수단(830')의 선단을 모두 수용할 수 있는 폭과 길이를 갖고 형성되어 체결된다. 아울러, 단부커버(850)는 투명 전광판(200, 200')의 전면에서 체결됨에 따라 후면에 체결되는 일측 함체(820)와 타측 함체(820')의 상호 작용으로 양측 투명 전광판(200)들의 기울림 및 휘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술한 단부커버(850)를 사용하지 않고, 에폭시등의 마감재를 이용하여 양측 투명 전광판(200) 사이를 마감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는 도 8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c를 참조하면, 일측 단부지지수단(830)은 일측 함체(820)에 삽입되는 제2결합돌기(831a)가 형성되는 제2단부판(832)을 포함하고, 타측 단부지지수단(830')은 타측 함체(820')에 삽입되는 제3결합돌기(831a')가 형성되는 제3단부판(832')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2단부판(832)과 제3단부판(832')은 양방향 프레임 고정수단(500')에 의해 상호 결합된 상태로서, 투명 전광판(200)과 투명 전광판(200') 사이에 위치된다. 이때, 투명 전광판(200)과 투명 전광판(200') 사이에 노출되는 제2단부판(832)과 제3단부판(832')의 선단은 에폭시나 기타 마감재(860)에 의해 밀폐된다.
이와 같은 실시예의 구조는 투명 전광판(200, 200')들 사이에 단부커버(850)가 체결되는 공간을 생략함에 따라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양측 투명 전광판(200, 200')들 사이에서 발광되는 문자나 기호 및 동영상들간의 연속성을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효과적이다.
투명 전광판(200)은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에서 투명 전광판(200)의 전원 및 제어장치를 도시한 블럭도, 도 10은 투명 전광판(200)을 도시한 정면도, 도 11은 투명 전광판(200)의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바닥 판넬(120) 및/또는 벽 판넬(140)에 설치되는 복 수개의 콘센트(411)에 전원을 공급하는 분전함(400)과, 분전함(400)에서 공급된 전원으로 투명 전광판(200)을 제어하는 제어 단말(300)을 포함한다.
분전함(400)과 제어 단말(300)은 바닥 판넬(120)의 내측에 형성되는 수용부(123)에 선택적으로 수용되고, 콘센트(411)는 바닥 판넬(120) 및/또는 벽 판넬(140)의 내외측에 복 수개가 형성된다.
또한, 복 수개의 투명 전광판(200)은 드라이버 기판(280)에 실장된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하여 발광되는 복 수개의 발광소자(230)를 구비한다. 드라이버 기판(280)과 투명 전광판(200)은 각각 전원전달수단(270)(FPCB)를 통하여 연결된다. 컨트롤러(280)는 제어 단말(300)의 제어에 의하여 투명 전광판(200)에 각각 실장된 복 수개의 발광소자(230)들을 구동시킨다.
여기서 투명 전광판(20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소자(230)가 실장되는 제1투명판(210)과, 제1투명판(210)에서 이격된 제2투명판(220)과, 제1투명판(210)과 제2투명판(220) 사이로 충진된 투명레진에 의해 형성된 보호층(250)을 포함한다.
제1투명판(210)은 전원전달전극(240)이 형성된다. 여기서 전원전달전극(240)은 ITO와 같은 투명전극이 도포되고, 투명전극에 의해 패턴이 형성되어 발광소자(230)에 전원을 통전시키는 제1실시예와, 투명전극 대신 전도성 잉크에 의해 패턴이 인쇄된 전도성 필름에 의해 형성된 패턴에 발광소자(230)가 실장되는 제2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보호층(250)은 투명전극 또는 전도성 필름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투명판(210)과 제2투명판(220)은 그 사이에 길이방향의 스페이스바(도시되지 않음)가 접착되어 상호 이격된 간격으로 형성되며, 그사이에 투명레진 또는 진공/가스가 충진되는 구조도 가능하다.
아울러, 투명 전광판(200)은 상술한 제1투명판(210)과 제2투명판(220)의 적층구조외에 제2투명판(220)의 외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투명판이 추가로 적층되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며,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달성될 수 있는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는 분해되어 이송된 상부 판넬(110)과, 벽 판넬(140)과, 바닥 판넬(120) 및 복 수개의 투명 전광판(200)과, 프레임 부재(500, 600, 700, 800)를 설정된 위치로 이송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바닥 판넬(120)의 체결홈(124)에 각각 기둥(130)을 직립시킨 뒤에 상부 판넬(110)과 벽 판넬(140)을 순차적으로 고정시킨다.
이후, 작업자는 기둥(130)의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함 뒤에 완충 프레임(600)을 고정시킨다. 완충 프레임(600)은 기둥(130)에 접착된 상태로 이송됨도 가능하다. 여기서, 완충 프레임(600)은 기둥(130)측에서 투명 전광판(200)이 정렬되는 위치의 일면에 각각 적층되며, 일측에서 돌출되는 단차부(610)가 투명 전광판(200)의 전면과 단차를 이루어 고정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완충 프레임(600)의 조립이 완료되면, 일방향 프레임(700)의 제1단부지지수단(730)과 제1함체(720)를 조립하여 완충 프레임(600)에 고정시킨다.
즉, 작업자는 제1단부지지수단(730)의 제1패킹홈(731)에 제1패킹수단(740)을 체결한 뒤, 제1함체(720)의 결합홈(725)에 제1단부지지수단(730)의 결합돌기(732a)를 삽입시키고 나사홀(728)을 연통하도록 제2고정나사(734)를 삽입한다. 따라서, 제1함체(720)와 제1단부지지수단(730)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후, 작업자는 드라이버 지지판(723)의 지지돌기(723a)를 지지홈(724)의 개구에 끼워서 체결하고, 드라이버 기판(280)을 드라이버 지지판(723)에 적층시킨 뒤에 제1고정나사(726)를 삽입하여 드라이버 기판 및 드라이버 지지판(723)을 체결한다. 이후 작업자는 드라이버 기판(280)에서 연장된 전원전달수단(270)을 안내홀(727)로 인출시킨다.
위와 같은 작업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완충 프레임(600)의 수평부(620)에 탄성판(630)를 접착시킨 뒤에 제1함체판(722)에 형성된 고정홀(729)에 일방향 프레임 고정수단(500)을 삽입하여 일방향 프레임(700)을 고정시킨다.
여기서, 상술한 일방향 프레임(700)은 기둥(130) 뿐 아니라 상부 판넬(110)의 하면과 바닥 판넬(120)의 하면에 각각 고정되어 투명 전광판(200)의 상단과 하단 및 단부를 지지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기둥(130)에서 일방향 프레임(700)의 설치가 완료되면, 일방향 프레임(700)에 의해 체결된 투명 전광판(200)의 반대쪽 단부를 지지하기 위하여 양방향 프레임(800)을 설치한다.
양방향 프레임(800)은 일측의 투명 전광판(200) 단부가 끼움될 수 있도록 일측 함체(820)와 일측 단부지지수단(830)을 조립하고, 타측 투명 전광판(200') 단부가 끼움될 수 있도록 타측 함체(820')와 타측 단부지지수단(830')을 조립한다.
이때, 일측 함체(820)의 일측 함체판(822)과 타측 함체(820')의 타측 함체판(822')은 상호 밀착되어 양방향 프레임 고정수단(500')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일측 단부지지수단(830)의 제2단부판(832)과 타측 단부지지수단(830')의 제3단부판(832')은 상호 밀착되도록 조립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기둥(130)에 고정된 일방향 프레임(700)에 의해 일측 단부가 고정된 일측 투명 전광판(200)의 반대쪽 단부를 일측 함체(820)에 체결된 일측 단부지지수단(830)의 일측 패킹수단(840) 사이로 끼움시키고, 타측 투명 전광판(200')의 단부를 타측 단부지지수단(830')의 타측 패킹수단(840') 사이로 끼움시켜 양측 투명 전광판(200, 200')의 단부를 각각 고정시킨다.
아울러, 양방향 프레임(800)은 상술한 일방향 프레임(700)에서 선행된 바와 같이 각각의 드라이버 기판(280)을 고정시키는 작업을 선행하였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양측 투명 전광판(200, 200')의 단부가 각각 고정되면, 작업자는 각각의 드라이버 기판에서 연장되는 전원전달수단(270)을 투명 전광판(200, 200')에 연결시키는 작업을 진행한 뒤에 마감재를 도포하여 틈새를 방지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전선 인입공(121) 및 전선 인출공(122)을 통하여 외부 계통 전원에 연결되는 전원선을 인입시켜 분전함(400)에 연결하거나, 외부의 전기장치에 분전함에서 연결된 전선을 인출시켜 연결할 수 있다.
그러므로 분전함(400)은 바닥 판넬(120) 및/또는 벽 판넬(140)에 각각 설치된 콘센트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한다.
작업자는 수용부(123)에 설치된 제어 단말 또는 수용부의 설정된 위치에 제어 단말(300)을 설치한 뒤에 설치한 뒤에 각 투명 전광판(200, 200')의 컨트롤러를 구동시켜 투명 전광판(200)을 구동시킨다.
이와 같은 컨테이너형 이동식 유닛모듈은 조립형으로 이동 및 설치가 용이하기에 각종 전시회나 행사장의 안내부스로 활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투명 전광판(200)을 이용하여 다양한 영상을 출력함에 따라 광고 및 전시효과를 높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공지된 바와 같이, 다 수개가 적층가능한 컨테이너형 이동식 유닛모듈로서 다 수개가 적층되어 하나의 조립식 건축물로서 시공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한 투명 전광판(200)을 이용한 컨테이너형 이동식 유닛모듈은 전시장이나 행사장 부스외에 주거용 및/또는 사무용 건축물로 적용이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판넬 부재 110 : 상부 판넬
120 : 바닥 판넬 121 : 전선 인입공
122 : 전선 인출공 123 : 수용부
124 : 체결홈 125 : 세로 격벽
126 : 가로 격벽 130 : 기둥
140 : 벽 판넬 200 : 투명 전광판
210 : 제1투명판 220 : 제2투명판
230 : 발광소자 300 : 제어 단말
400 : 분전함 500 : 프레임 고정수단
600 : 완충 프레임 610 : 단차부
620 : 수평부 630 : 탄성판
700 : 일방향 프레임 710, 810, 810' : 커버
711, 811 : 탄성돌기 720, 820, 820' : 함체
721, 821 : 걸림돌기 722, 822, 822' : 함체판
723, 823, 823' : 드라이버 지지판 723a, 823a : 지지돌기
724, 824 : 지지홈 725, 825 : 결합홈
726, 826 : 고정나사 727, 827 : 안내홀
728, 733, 838 : 나사홀 729, 829 : 고정홀
730, 830, 830' : 단부지지수단 731, 831, 831' : 패킹홈
732, 832, 832' : 단부판 732a, 832a : 결합돌기
740, 840, 840' : 패킹수단 741, 841 : 삽입돌기
742, 842 : 패킹몸체 800 : 양방향 프레임
850 : 단부커버

Claims (4)

  1. 상호 조립가능한 복 수개의 기둥과, 상부 판넬(110), 바닥 판넬(120) 및 벽 판넬(140)을 구비하여 컨테이너형 이동식 유닛모듈을 구성하는 판넬 부재(100);
    상기 컨테이너형 이동식 유닛모듈에서 적어도 하나의 벽면을 이루는 복 수개의 투명 전광판(200); 및
    상기 상부 판넬(110)과 바닥 판넬(120) 및 벽 판넬(140)중 적어도 하나에 고정되어 상기 투명 전광판(200)을 체결 및 지지하는 프레임 부재(700, 800);를 포함하고,
    상기 판넬부재에서 바닥판넬은
    상기 투명전광판에 전원을 공급하는 분전함(400)과, 복 수개의 콘센트 및 상기 투명전광판을 제어하는 제어 단말(300)중 적어도 하나를 일체로 구비하도록 내측에서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 격벽(126)과 세로 격벽(125)으로 분할되어 상기 제어 단말(300)과 분전함(400)을 수용하는 수용부(123)와, 분전함(400)에서 연장되는 전선이 인입 및 인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선 인출공과(122) 전선 인입공(121)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 부재(700, 800)는
    상기 투명 전광판(200)의 단부와 상단 또는 하단중 적어도 하나가 끼움식으로 체결되도록 직립된 기둥(130)과 상부 판넬(110) 및 바닥 판넬(120)중 적어도 하나에 고정되는 일방향 프레임(700); 및
    상기 투명 전광판(200)과 투명 전광판(200)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양측의 투명 전광판(200) 단부를 각각 지지하는 양방향 프레임(800);을 포함하고,
    상기 양방향 프레임(800)은
    일측 투명 전광판(200)의 드라이버 기판이 수용되는 내측 공간을 형성하고, 제2커버에 의해 밀폐되는 일측 함체(820)와, 상기 일측 함체(820)의 일측 벽면(821a)과 이격된 벽면을 이루고, 그사이에 상기 일측 투명 전광판(200)의 단부가 끼움되는 공간을 이루는 일측 단부지지수단(830)과, 상기 일측 단부지지수단(830)의 내측에 고정되어 상기 투명 전광판(200)의 단부를 가압 및 탄성 지지하는 일측 패킹수단(840)을 포함하는 일측 프레임(810); 및
    타측 투명 전광판(200')의 드라이버 기판이 수용되는 내측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일측 함체(820)와 밀착되는 타측 함체(820')와, 상기 타측 함체(820')의 일측 벽면(821a')과 이격된 벽면을 이루고 그사이에 상기 타측 투명 전광판(200')의 단부가 끼움되는 공간을 이루는 타측 단부지지수단(830')을 포함하는 타측 프레임(810');
    상기 일측 함체(820)와 타측 함체(820')를 연통하여 고정시키는 양방향 프레임 고정수단(500'); 및
    일측 투명 전광판(200)과 타측 투명 전광판(200') 사이로 노출되는 상기 일측 단부지지수단(830)과 타측 단부지지수단(830')의 선단을 밀폐시키는 단부커버(850);를 포함하는 투명 전광판을 이용한 컨테이너형 이동식 유닛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부재는
    상기 판넬 부재에서 상기 상부 판넬(110)과 바닥 판넬(120) 및 기둥(130)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일방향 프레임의 체결시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마모로부터 판넬 부재를 보호하는 완충프레임(600); 및
    상기 일방향 프레임(700)과 완충 프레임(600)을 고정시키는 일방향 프레임 고정수단(5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완충프레임(600)은
    상기 상부 판넬(110)과 바닥 판넬(120) 및 기둥(130)중 적어도 하나에서 내측에 빈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투명 전광판(200)의 전면과 단차를 이루도록 돌출되는 단차부(610); 및
    상기 단차부(610)에서 수평 연장되어 상기 일방향 프레임(700)이 밀착되는 수평부(620); 를 포함하는 투명 전광판을 이용한 컨테이너형 이동식 유닛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전광판(200)은
    전원의 통전이 가능하도록 패턴이 형성된 일면에 발광소자가 실장된 제1투명판(210); 및
    상기 제1투명판(210)과 이격된 제2투명판(220); 을 포함하고,
    상기 제1투명판(210)은 전도성 잉크로 패턴이 인쇄된 전도성 필름과 투명 전극중 어느 하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전광판을 이용한 컨테이너형 이동식 유닛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단부지지수단(830)은
    상기 일측 함체(820)의 일측 벽면(821a)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타측 일측 함체판(822a)의 일면에 밀착되는 제2단부판(832)과,
    제2단부판(832)에 관통형성된 제2나사홀(838)을 포함하고,
    상기 타측 단부지지수단(830')은
    타측 함체(820')의 일측 벽면(821a')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타측 타측 함체판(822a')의 반대면에 밀착되는 제3단부판(832')과,
    제3단부판(832')에 관통형성된 제3나사홀(838')를 포함하고,
    제2나사홀(838)과 제3나사홀(838')은 각각 삽입되는 제4고정나사(834, 834')의 헤드가 매립되도록 선단(838a, 838a')이 음각되고,
    제2단부판(832)과 제3단부판(832')은 제2나사홀(838)과 제3나사홀(838')의 음각된 선단(838a, 838a')이 형성된 일면이 상호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전광판을 이용한 컨테이너형 이동식 유닛모듈.
KR1020180006126A 2016-03-04 2018-01-17 투명 전광판을 이용한 컨테이너형 이동식 유닛 모듈 KR1019100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6147 2016-03-04
KR20160026147 2016-03-04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4600A Division KR20170103632A (ko) 2016-03-04 2017-02-01 투명전광판을 이용한 컨테이너형 이동식 유닛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8855A KR20180008855A (ko) 2018-01-24
KR101910026B1 true KR101910026B1 (ko) 2018-10-22

Family

ID=5996786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4600A KR20170103632A (ko) 2016-03-04 2017-02-01 투명전광판을 이용한 컨테이너형 이동식 유닛 모듈
KR1020180006126A KR101910026B1 (ko) 2016-03-04 2018-01-17 투명 전광판을 이용한 컨테이너형 이동식 유닛 모듈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4600A KR20170103632A (ko) 2016-03-04 2017-02-01 투명전광판을 이용한 컨테이너형 이동식 유닛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7010363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9147B1 (ko) * 2018-01-02 2019-07-11 주식회사 네버시티 내진모듈이 구비된 모듈형 컨테이너를 이용한 IoT 기반의 종합정보 제공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9733Y1 (ko) 2003-01-14 2003-04-18 이명철 풀 컬러 싸인 보드
KR101169020B1 (ko) 2011-04-01 2012-07-31 배가은 엘이디 전광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9733Y1 (ko) 2003-01-14 2003-04-18 이명철 풀 컬러 싸인 보드
KR101169020B1 (ko) 2011-04-01 2012-07-31 배가은 엘이디 전광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3632A (ko) 2017-09-13
KR20180008855A (ko) 2018-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32342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建築物の外周壁に大画面led表示装置を組み込む方法、大画面led表示装置を外周壁に組み込んだカーテンウォール建築物、カーテンウォール建築物に組み込むledパネルモジュール
US20140208626A1 (en) Frame assembly for display panel
CN101956938B (zh) 背光模组以及液晶显示器
KR101459310B1 (ko) 투명전광판의 고정장치
JP6758483B2 (ja) 映像表示装置
KR101910026B1 (ko) 투명 전광판을 이용한 컨테이너형 이동식 유닛 모듈
KR20160001575U (ko) 안내용 사인구조
KR20100095793A (ko) 전광판 및 디스플레이 모듈
KR200457486Y1 (ko) 광고 패널이 탈부착 가능한 이동식 광고 차량
CN202733401U (zh) 一种用于led三面翻转屏的三角管
CN108039130B (zh) 一种带攀爬架的led显示屏模组承载结构
KR101659408B1 (ko) 투명전광판을 이용한 커튼 월 시스템
CN212365420U (zh) 一种显示屏单元及双面显示屏
KR20180090173A (ko)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WO2017150882A1 (ko) 투명전광판을 이용한 컨테이너형 이동식 유닛 모듈
CN216084141U (zh) 显示装置
JP6629631B2 (ja) 面発光装置と建具
CN212002492U (zh) 一种便于安装的迪斯普罗斯模组
KR100597081B1 (ko)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 표시 소자들을 라인 단위로모듈화한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들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장치
KR200355064Y1 (ko)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 표시 소자들을 라인 단위로모듈화한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들을 구비하는디스플레이 장치
KR102241555B1 (ko) 투명전광판 설치용 프레임, 이를 이용한 프레임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설치구조체
JP2014081507A (ja) 両面表示装置
US20230400170A1 (en) Light weight led lighting panel
CN210606423U (zh) 显示屏模块单元及具有其的led显示屏
CN214624282U (zh) 一种防水箱体式地砖屏及应用其的显示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