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9792B1 - Thermoelectric generator and thermoelectric generator system including harvesting module array for thermal energy harvesting and reconfiguration method for harvesting module array - Google Patents

Thermoelectric generator and thermoelectric generator system including harvesting module array for thermal energy harvesting and reconfiguration method for harvesting module arra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9792B1
KR101909792B1 KR1020160180080A KR20160180080A KR101909792B1 KR 101909792 B1 KR101909792 B1 KR 101909792B1 KR 1020160180080 A KR1020160180080 A KR 1020160180080A KR 20160180080 A KR20160180080 A KR 20160180080A KR 101909792 B1 KR101909792 B1 KR 1019097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vesting
harvesting module
modules
radiator
module ar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00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76025A (en
Inventor
장래혁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60180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9792B1/en
Publication of KR20180076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602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9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979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11/00Generators or motors not provided for elsewhere; Alleged perpetua mobilia obtained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H02N11/002Gen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3/00Liquid cooling
    • F01P3/18Arrangements or mounting of liquid-to-air heat-exchange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66Regulating electric power
    • G05F1/67Regulating electric power to the maximum power available from a generator, e.g. from solar cell
    • H01L35/32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1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 H10N10/17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configuration of the cell or thermocouple forming the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차량의 라디에이터에 부착되어 라디에이터의 열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복수의 수확 모듈들을 포함하는 수확 모듈 어레이 및 복수의 수확 모듈들의 온도 분포에 기초하여, 복수의 수확 모듈들 각각에 연결된 스위치들의 전기적 연결을 재구성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열전 발전기 및 열전 발전기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A harvesting module array attached to a radiator of the vehicle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harvesting modules for converting thermal energy of the radiator into electric energy, and an electrical connection of switches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harvesting modules, And a switch unit for reconfiguring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and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system.

Description

열 에너지 수확을 위한 수확 모듈 어레이를 포함하는 열전 발전기, 열전 발전기 시스템 및 수확 모듈 어레이를 재구성하는 방법{THERMOELECTRIC GENERATOR AND THERMOELECTRIC GENERATOR SYSTEM INCLUDING HARVESTING MODULE ARRAY FOR THERMAL ENERGY HARVESTING AND RECONFIGURATION METHOD FOR HARVESTING MODULE ARRAY}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ermoelectric generator including a harvesting module array for thermal energy harvesting, a thermoelectric generator system, and a method for reconstructing a harvesting module array.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아래의 실시예들은 열 에너지 수확을 위한 수확 모듈 어레이를 포함하는 열전 발전기, 열전 발전기 시스템 및 수확 모듈 어레이를 재구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directed to a thermoelectric generator, a thermoelectric generator system, and a method of reconstructing a harvesting module array, including a harvesting module array for thermal energy harvesting.

전기 자동차로서 재생 제동(regenerative braking) 특징을 갖지 않는 일반적인 내연 기관 차량(internal combustion engine vehicles; ICEV)은 30 % 이하의 에너지 변환 효율을 가질 수 있다. 에너지 변환 시에 낭비되는 에너지는 대부분 열의 형태로 소실될 수 있다. 과도한 열 발생을 해소하기 위해 고용량의 라디에이터 및 냉각수 펌프와 관련된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었으나, 열 에너지의 재활용은 차량 설계의 주요 관점이 아니었다. 배기 시스템으로부터의 열 에너지 소거(scavenging)는 이전에 연구되어 왔으나, 배기 시스템의 열역학을 변경시키는 것은 차량 성능 저하 및 배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배기 시스템의 열역학을 변경시키지 않는 열 에너지의 재활용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As an electric vehicle, internal combustion engine vehicles (ICEV) that do not have regenerative braking characteristics can have an energy conversion efficiency of 30% or less. The energy that is wasted in energy conversion can be mostly lost in the form of heat. Various techniques related to high-capacity radiators and coolant pumps have been developed to overcome excessive heat generation, but the recycling of heat energy has not been a major aspect of vehicle design. Thermal energy scavenging from the exhaust system has been studied previously, but altering the thermodynamics of the exhaust system can cause vehicle performance degradation and emissions problems. Thus,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of recycling thermal energy that does not alter the thermodynamics of the exhaust system.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동적으로 변화하는 방열부(hot-side)의 온도, 냉각제의 온도 및 냉각제의 유속 하에서 모든 수확 모듈들이 그들의 최대 전력점(Maximum Power Point; MPP)에서 또는 최대 전력점에 가깝게 동작하도록 수확 모듈 어레이를 재구성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ll of the harvesting modules are placed at their maximum power point (MPP) or near the maximum power point under the temperature of the dynamically changing hot-side, the temperature of the coolant and the flow rate of the coolant The harvesting module array can be reconfigured to operat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성능 및 배기 시스템의 열역학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도 출력을 최대화할 수 있는 열전 발전기 및 열전 발전기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thermoelectric generator and a thermoelectric generator system that can maximize the output without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the vehicle and the thermodynamics of the exhaust system.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구동 조건에 따라 동적으로 변화하는 온도 분포에 무관하게 최적의 효율을 나타내는 열전 발전기 및 열전 발전기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thermoelectric generator and a thermoelectric generator system that exhibit optimum efficiency irrespective of a temperature distribution that varies dynamically according to driving conditions of a vehicle.

일 측에 따르면, 열전 발전기는 차량의 라디에이터에 부착되어 상기 라디에이터의 열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복수의 수확 모듈들(harvesting modules)을 포함하는 수확 모듈 어레이; 및 상기 복수의 수확 모듈들의 온도 분포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수확 모듈들 각각에 연결된 스위치들의 전기적 연결을 재구성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one aspect, a thermoelectric generator includes a harvesting module array including a plurality of harvesting modules attached to a radiator of a vehicle to convert thermal energy of the radiator into electrical energy; And a switch portion for reconfiguring an electrical connection of switches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harvesting modules based on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of the plurality of harvesting modules.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복수의 수확 모듈들 각각이 온도에 따른 최대 전력점에서 동작하도록 상기 스위치들의 전기적 연결을 재구성할 수 있다. The switch portion may reconfigure the electrical connection of the switches such that each of the plurality of harvest modules operates at a maximum power point with respect to temperature.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수확 모듈들을 병렬로 연결하여 수확 모듈 그룹들을 형성하는 병렬 스위치; 및 상기 수확 모듈 그룹들을 직렬로 연결하여 상기 수확 모듈 어레이를 구성하는 직렬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Wherein the switch unit comprises: a parallel switch for connecting the harvesting modules in parallel to form harvesting module groups; And a serial switch for connecting the harvesting module groups in series to constitute the harvesting module array.

상기 수확 모듈들 각각은 상기 라디에이터의 방열판(heat sink)에 부착되는 상부 세라믹; 및 상기 라디에이터의 라디에이터 핀(radiator fins)에 부착되는 하부 세라믹을 포함할 수 있다. Each of the harvesting modules includes an upper ceramic attached to a heat sink of the radiator; And a lower ceramic attached to the radiator fins of the radiator.

상기 수확 모듈들 각각은 상기 상부 세라믹과 상기 하부 세라믹 사이의 온도 차이를 상기 전기 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다. Each of the harvesting modules may convert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ceramic and the lower ceramic into the electrical energy.

일 측에 따르면, 열전 발전기 시스템은 차량의 라디에이터의 열 에너지를 수확하는 복수의 수확 모듈들을 포함하는 수확 모듈 어레이 및 상기 수확 모듈 어레이의 전기적 연결을 재구성하는 스위치들을 포함하는 열전 발전기; 상기 차량 라디에이터의 공간적 온도 변화(spatial temperature variation)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수확 모듈들이 최대 전력을 출력하는 최적의 수확 모듈 어레이의 구성을 얻기 위해 상기 스위치들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수확 모듈 어레이가 최대 출력 전력을 달성하도록 상기 수확 모듈 어레이의 동작점을 설정하는 충전기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one aspect, a thermoelectric generator system includes a thermoelectric generator including a harvesting module array including a plurality of harvesting modules for harvesting the thermal energy of a radiator of a vehicle and switches for reconfigur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of the harvesting module array;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switches based on a spatial temperature variation of the vehicle radiator to obtain an optimum harvesting module array configuration in which the plurality of harvesting modules output maximum power; And a charger for setting the operating point of the harvesting module array such that the harvesting module array achieves maximum output power.

상기 열전 발전기는 상기 차량의 라디에이터에 부착되어 상기 라디에이터의 열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상기 복수의 수확 모듈들을 포함하는 상기 수확 모듈 어레이; 및 상기 복수의 수확 모듈들 각각에 연결된 상기 스위치들의 전기적 연결을 재구성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Wherein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includes the plurality of harvesting modules attached to a radiator of the vehicle and converting the thermal energy of the radiator into electrical energy; And a switch portion for reconfiguring an electrical connection of the switches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harvesting modules.

상기 수확 모듈들 각각은 상기 라디에이터의 방열판에 부착되는 상부 세라믹; 및 상기 라디에이터의 라디에이터 핀에 부착되는 하부 세라믹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세라믹과 상기 하부 세라믹 사이의 온도 차이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다. Each of the harvesting modules includes an upper ceramic attached to a heat sink of the radiator; And a lower ceramic attached to a radiator pin of the radiator, wherein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ceramic and the lower ceramic can be converted into electric energy.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수확 모듈들 각각이 온도에 따른 최대 전력점에서 동작하도록 상기 스위치들의 전기적 연결을 재구성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may reconfigure the electrical connection of the switches such that each of the plurality of harvesting modules operates at a maximum power point according to temperature.

상기 스위치들은 상기 수확 모듈들을 병렬로 연결하여 수확 모듈 그룹들을 형성하는 병렬 스위치; 및 상기 수확 모듈 그룹들을 직렬로 연결하여 상기 수확 모듈 어레이를 구성하는 직렬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witches including a parallel switch connecting the harvesting modules in parallel to form harvesting module groups; And a serial switch for connecting the harvesting module groups in series to constitute the harvesting module array.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간적 온도 변화에 따른 최적의 수확 모듈 어레이의 구성 및 상기 최적의 수확 모듈 어레이의 구성에 따른 동작점을 산출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may calculate an optimal harvesting module array according to the spatial temperature change and an operating point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optimal harvesting module array.

상기 열전 발전기 시스템은 배터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최적의 수확 모듈 어레이의 구성에 따른 상기 동작점에 따라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전류를 결정할 수 있다.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battery and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the charge current of the battery according to the operating point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optimal harvesting module array.

상기 열전 발전기 시스템은 상기 공간적 온도 변화에 따른 온도 분포를 나타내는 온도 프로파일을 수신하는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프로파일에 따른 상기 수확 모듈 어레이 내의 각 수확 모듈의 최대 전력점 전압 및 최대 전력점 전류를 기초로 상기 수확 모듈 어레이의 최대 출력 전력을 추정할 수 있다. Wherein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system further comprises a receiver for receiving a temperature profile indicative of a temperature distribution in accordance with the spatial temperature change and wherein the controller is operable to determine a maximum power point voltage and a maximum power point of each harvesting module in the harvesting module array, The maximum output power of the harvesting module array can be estimated based on the point current.

상기 제어부는 상기 최적의 수확 모듈 어레이의 구성을 주기적으로 갱신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may periodically update the configuration of the optimal harvesting module array.

일 측에 따르면, 수확 모듈 어레이를 재구성하는 방법은 차량의 라디에이터의 공간적 온도 변화에 따른 온도 프로파일들-상기 온도 프로파일들의 수는 수확 모듈 어레이에 포함된 수확 모듈들의 개수에 대응함-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온도 프로파일들을 기초로, 상기 수확 모듈 어레이의 기준 수확 모듈 그룹에 포함되는 수확 모듈의 개수에 따른 최대 전력점 전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수확 모듈 어레이의 수확 모듈 그룹들의 최대 전력점 전류들이 상기 기준 수확 모듈 그룹의 최대 전력점 전류에 대응하도록, 해당 수확 모듈 그룹에 포함되는 수확 모듈의 개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기준 수확 모듈 그룹의 최대 전력점 전류, 상기 해당 수확 모듈 그룹들의 최대 전력점 전류들, 및 상기 기준 수확 모듈 그룹과 상기 해당 수확 모듈 그룹들에 포함되지 않는 나머지 수확 모듈들의 최대 전력점 전류들에 기초하여, 상기 수확 모듈 어레이를 재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one aspect, a method for reconstructing a harvesting module array includes receiving temperature profiles along a spatial temperature change of a radiator of a vehicle, wherein the number of temperature profiles corresponds to a number of harvesting modules included in the harvesting module array; Computing a maximum power point current according to the number of harvesting modules included in the reference harvesting module group of the harvesting module array based on the temperature profiles; Determining the number of harvesting modules included in the harvesting module group such that the maximum power point currents of the harvesting module groups of the harvesting module array correspond to the maximum power point current of the reference harvesting module group; And maximum power point currents of the reference harvesting module group and remaining harvesting modules not included in the reference harvesting module group and the corresponding harvesting module groups, And reconstructing the harvesting module array.

상기 라디에이터의 주입구(inlet)에 위치하는 수확 모듈들의 온도는 상기 라디에이터의 배출구(outlet)에 위치하는 수확 모듈들의 온도보다 높을 수 있다. The temperature of the harvesting modules located at the inlet of the radiator may be higher than the temperature of the harvesting modules located at the outlet of the radiator.

상기 기준 수확 모듈 그룹은 상기 라디에이터의 주입구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확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해당 수확 모듈 그룹들은 상기 기준 수확 모듈 그룹과 인접한 순서로 결정될 수 있다. The reference harvesting module group includes at least one harvesting module located at an inlet of the radiator, and the corresponding harvesting module groups may be determined in the order of adjacent to the reference harvesting module group.

상기 해당 수확 모듈 그룹에 포함되는 수확 모듈의 개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해당 수확 모듈 그룹의 최대 전력점 전류가 상기 기준 수확 모듈 그룹의 최대 전력점 전류보다 크거나 같도록 하는, 수확 모듈의 최소 개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number of harvesting modules included in the harvesting module group includes calculating a minimum number of harvesting modules in the harvesting module group such that a maximum power point current of the harvesting module group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maximum power point current of the reference harvesting module group Based on the result of the determination.

상기 수확 모듈 어레이를 재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나머지 수확 모듈들로 구성된 새로운 수확 모듈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나머지 수확 모듈들을 상기 수확 모듈 그룹들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시키는 단계; 및 상기 나머지 수확 모듈들을 바이패스 시키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reconfiguring the harvesting module array comprises: creating a new harvesting module group consisting of the remaining harvesting modules; Including the remaining harvesting modules in at least one of the harvesting module groups; And bypassing the remaining harvesting modules.

일 측에 따르면, 동적으로 변화하는 방열부의 온도, 냉각제의 온도 및 냉각제의 유속 하에서 모든 수확 모듈들이 그들의 최대 전력점(MPP)에서 또는 최대 전력점에 가깝게 동작하도록 수확 모듈 어레이를 재구성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the harvesting module array can be reconfigured such that all of the harvesting modules operate at their maximum power point (MPP) or near the maximum power point under the temperature of the dynamically changing heat sink, the temperature of the coolant, and the flow rate of the coolant.

일 측에 따르면, 차량의 성능 및 배기 시스템의 열역학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도 출력을 최대화할 수 있는 열전 발전기 및 열전 발전기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thermoelectric generator and a thermoelectric generator system that can maximize the output without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the vehicle and the thermodynamics of the exhaust system.

일 측에 따르면, 차량의 구동 조건에 따라 동적으로 변화하는 온도 분포에 무관하게 최적의 효율을 나타내는 열전 발전기 및 열전 발전기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thermoelectric generator and a thermoelectric generator system that exhibit optimum efficiency irrespective of a temperature distribution that varies dynamically according to driving conditions of a vehicle.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수확 모듈 어레이가 부착된 차량의 라디에이터 및 수확 모듈의 동작 개략도.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 발전기 모듈의 전압-전류(V-I) 및 전압-전력(V-P)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S 자 형태의 라디에이터 핀에 부착되는 수확 모듈 어레이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라디에이터에 부착되는 고정된 전기적 연결을 가지는 수확 모듈 어레이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라 라디에이터 방열부의 온도 변화로 인하여 수확 모듈들의 출력 전력에 손실이 발생하는 이유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재구성 가능한 수확 모듈 어레이를 포함하는 열전 발전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 개의 수확 모듈들을 포함하는 재구성 가능한 수확 모듈 어레이의 다양한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 발전기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수확 모듈 어레이를 재구성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알고리즘의 수도 코드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수확 모듈들이 최대 전력점에서 동작하기 위해 재구성된 수확 모듈 어레이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일 실시에 따라 수확 모듈 어레이를 재구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1 is an operational schematic diagram of a radiator and harvest module of a vehicle with an array of harvesting modu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graph illustrating voltage-current (VI) and voltage-power (VP) characteristics of a thermoelectric generator modu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3 shows a harvesting module array attached to an S-shaped radiator fi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4 shows a harvesting module array with a fixed electrical connection attached to a radiator.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reason why a loss occurs in the output power of the harvesting modules due to the temperature change of the radiator heat radia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thermoelectric generator including a reconfigurable harvesting module arra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7 illustrates various configurations of a reconfigurable harvesting module array including a plurality of harvesting modules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8 illustrates a structure of a thermoelectric generato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9 illustrates a numeric code of an algorithm that illustrates a method for reconstructing a harvesting module array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10 illustrates a structure of a reconstructed harvesting module array for a plurality of harvesting modules to operate at a maximum power point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11 is a flow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reconstructing a harvesting module array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In the following,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symbo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but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to them.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examples are used only to illustrat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refer to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embodiment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explana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arts will be omitt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embodiments may be unnecessarily blurred.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수확 모듈 어레이가 부착된 차량의 라디에이터 및 수확 모듈의 동작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수확 모듈 어레이(120)가 부착된 라디에이터(110)의 라디에이터 핀을 통과하는 공기 흐름(air flow)이 냉각제(coolant)로부터의 열을 방산(dissipates) 하는 동작이 도시된다. 1 is an operational schematic diagram of a radiator and harvesting module of a vehicle with an array of harvesting module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Referring to FIG. 1, an operation is shown in which an air flow through a radiator pin of a radiator 110 with a harvesting module array 120 dissipates heat from a coolant.

내연 기관 차량 (ICEV)용 냉각 시스템은 원하는 엔진 온도를 유지하는 필수적인 차량 부품 중 하나이다. 카르노 한계(Carnot Limit)는 내연 기관의 이론적 한계를 설명하지만, 일반적으로 연로 소비의 약 1/3이 열의 형태로 낭비된다. 내연 기관에 의해 생성된 열의 절반은 엔진 냉각 시스템을 통과해야 하는데, 이는 열을 방출하기 위한 추가 에너지 소비로 이어질 수 있다. A cooling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vehicle (ICEV) is one of the essential vehicle components to maintain the desired engine temperature. The Carnot Limit describes the theoretical limitations of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but generally about one-third of its annual consumption is wasted in the form of heat. Half of the heat generated by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must pass through the engine cooling system, which can lead to additional energy consumption to release heat.

라디에이터(110)는 열 교환을 위한 냉각 시스템의 주요 구성 요소이다. 냉각수는 내부 엔진 블록을 통과하여 열을 내부 탱크로 전달하며, 이 열은 라디에이터 팬을 통해 주변 공기로 분산된다. 라디에이터 핀(radiator fins)을 통과하고, 라디에이터 팬에 의해 제공된 공기 흐름은 냉각제로부터의 열을 도 1(a)와 같이 방산할 수 있다. 이때, 수확 모듈 어레이(120)는 차량의 라디에이터(110)에 부착되고, 라디에이터의 열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복수의 수확 모듈들(harvesting modules)(도 1(b)의 수확 모듈(130)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The radiator 110 is a major component of a cooling system for heat exchange. The cooling water passes through the inner engine block to transfer the heat to the inner tank, which is dispersed to the surrounding air through the radiator fan. The airflow passing through the radiator fins and provided by the radiator fan can dissipate the heat from the coolant as shown in Figure 1 (a). The harvesting module array 120 is attached to the radiator 110 of the vehicle and includes a plurality of harvesting modules (the harvesting module 130 of FIG. 1 (b)) for converting the heat energy of the radiator into electric energy, ). ≪ / RTI >

자동차 라디에이터의 주요 기능은 엔진이 최적의 온도에서 작동하도록 보장하기 위해 내부 엔진 블록에서의 여분의 열을 대기로 방출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는 튜브 내의 냉각수, 교차 흐름의 공기를 갖는 핀튜브(finned-tube) 열 교환기를 라디에이터(110)로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따른 라디에이터(110)는 예를 들어, i) 소실된 열은 라디에이터를 통해서만 전달되고, ii) 냉각제 튜브 내의 냉각제 유속이 라디에이터를 통해 균일하게 분배되고, 냉각제가 튜브 내에서 완전히 유동하는 상태에 있으며, iii) 두 유체(예를 들어, 냉각수 및 주변 공기)는 비압축성 흐름(incompressible flow)으로 간주되고, 경로들 간의 어느 교차점에서도 혼합되지 않는다는 가정들에 기반하여 동작할 수 있다. The main function of automotive radiators is to release extra heat from the internal engine block into the atmosphere to ensure that the engine operates at the optimum temperature. In one embodiment, the cooling water in the tube, a finned-tube heat exchanger having cross-flow air, can be used as the radiator 110. The radiator 1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can be used, for example, to: i) dissipate heat only through the radiator, ii) coolant flow in the coolant tube is distributed evenly through the radiator, and coolant flows completely through the tube And iii) both fluids (e.g., cooling water and ambient air) are considered incompressible flows and are not mixed at any intersection between paths.

일 실시예에서는 열 교환기로서의 라디에이터(110)의 효율성을 결정하기 위해 열 전달 단위수 (number of heat transfer units; NTU)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열 전달 단위수 방법은 열 전달 단위수(NTU), 열교환 효율성(?) 및 열용량 비(heat capacity ratio)(Cr)를 포함하여 계산되는 3개의 무차원 파라미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number of heat transfer units (NTU) may be used to determine the efficiency of the radiator 110 as a heat exchanger. The heat transfer unit number method may include three non-dimensional parameters calculated including the number of heat transfer units (NTU),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 And the heat capacity ratio (C r ).

라디에이터(110)의 열용량 비(heat capacity ratio)(Cr)는 아래의 [수학식 1]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The heat capacity ratio C r of the radiator 110 can be defined as shown in Equation (1) below.

Figure 112016128008011-pat00001
Figure 112016128008011-pat00001

여기서, Cmin 은 Ca 와 Cc 사이의 최소값과 같고, Cmax 는 Ca 와 Cc 사이의 최대값과 같다. Ca 와 Cc 는 주변 대기 및 냉각수 각각의 열용량률(heat capacity rate)을 나타내며, 아래의 [수학식 2] 및 [수학식 3]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Where C min equals the minimum value between C a and C c and C max equals the maximum value between C a and C c . C a and C c represent the heat capacity rates of the ambient atmosphere and the cooling water, respectively, and can be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s (2) and (3).

Figure 112016128008011-pat00002
Figure 112016128008011-pat00002

Figure 112016128008011-pat00003
Figure 112016128008011-pat00003

도 1에 나타난 것과 같이, ma 는 주변 공기의 유량(Airflow rate)을, mc 는 냉각제의 유량(Coolant flow rate)을 나타낸다. cp,a 는 주변 공기의 특정 비열 용량(specific heat capacity)을 나타내고, cp,c 는 냉각제의 특정 비열 용량을 나타낸다. As shown in FIG. 1, m a represents the air flow rate of ambient air, and m c represents the coolant flow rate. c p, a is the specific heat capacity of the ambient air, and c p, c is the specific heat capacity of the coolant.

열 전달 단위수는 열 교환기, 다시 말해 라디에이터(110)의 분석에 사용될 수 있으며, 아래의 [수학식 4]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The number of heat transfer units can be used to analyze the heat exchanger, i. E., The radiator 110, and can be defined as: " (4) "

Figure 112016128008011-pat00004
Figure 112016128008011-pat00004

여기서, U는 열 전달 계수(heat transfer coefficient)를 나타내고, A는 라디에이터(110)의 표면적(surface area)을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열 교환기의 유량 배열 유형으로는 혼합되지 않은 양자 교차형이 이용될 수 있다. Here, U represents a heat transfer coefficient, and A represents a surface area of the radiator 110. An unmixed quantum intersection type may be used as the flow arrangement type of the heat exchang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라디에이터(110)의 열교환 효용성(heat exchanger effectiveness)(?)은 아래의 [수학식 5]에 의해 구할 수 있다. The heat exchanger effectiveness (?) Of the radiator 110 can be obtained by the following equation (5).

Figure 112016128008011-pat00005
Figure 112016128008011-pat00005

라디에이터(110)에 대한 최대 가능 열 전달율(Qmax)는 아래의 [수학식 6]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The maximum possible heat transfer rate (Q max ) for the radiator 110 can be defined as: " (6) "

Figure 112016128008011-pat00006
Figure 112016128008011-pat00006

여기서, Tc,in 및 Ta,in 는 냉각제의 주입구(inlet) 온도 및 주변 대기의 주입구 온도를 나타낸다. Here, T c, in and T a, in Represents the inlet temperature of the coolant and the inlet temperature of the ambient atmosphere.

라디에이터(110)의 실제 열 전달율(Q)은 아래의 [수학식 7]과 같이 라디에이터(110)의 열교환 계수(ε) 및 최대 가능 열 전달율(Qmax)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The actual heat transfer rate Q of the radiator 110 can be determined by the heat exchange coefficient? Of the radiator 110 and the maximum possible heat transfer rate Q max as shown in Equation (7) below.

Figure 112016128008011-pat00007
Figure 112016128008011-pat00007

냉각제의 배출구(outlet) 온도(Tc, out)는 [수학식 8]과 같이 구할 수 있다.The outlet temperature (T c, out ) of the coolant can be obtained as shown in Equation (8).

Figure 112016128008011-pat00008
Figure 112016128008011-pat00008

주변 대기의 배출구 온도(Ta, out)는 [수학식 9]와 같이 구할 수 있다. The outlet temperature (Ta , out ) of the ambient atmosphere can be calculated as shown in Equation (9).

Figure 112016128008011-pat00009
Figure 112016128008011-pat00009

라디에이터(110)의 라디에이터 핀들에 따른 온도 프로파일(Tpf)은 아래의 [수학식 10]에 의해 구할 수 있다. The temperature profile (T pf ) along the radiator fins of the radiator 110 can be obtained by the following equation (10).

Figure 112016128008011-pat00010
Figure 112016128008011-pat00010

여기서, Avar 는 라디에이터(110)의 평균 표면적으로서, 부분 온도 유도를 위한 영역 벡터(area vector)일 수 있다. 온도 프로파일(Tpf)은 라디에이터(110)의 평균 표면적(Avar)과 동일한 차원을 갖는 벡터일 수 있다. Where A var is the average surface area of the radiator 110 and may be an area vector for partial temperature derivation. The temperature profile T pf may be a vector having the same dimensions as the average surface area A var of the radiator 110.

수확 모듈 어레이(120)는 복수의 수확 모듈(130)들을 포함할 수 있다. 수확 모듈(130)은 라디에이터의 열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직접 변환하는 장치이다. 수확 모듈(130)은 '열전 발전기(Thermoelectric Generator; TEG) 모듈'이라고도 부를 수 있다. 복수 개의 수확 모듈(130)들은 수확 모듈 어레이(120)의 형태로 차량 라디에이터에 결합될 수 있다. The harvesting module array 1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harvesting modules 130. The harvesting module 130 is a device that directly converts the thermal energy of the radiator into electric energy. The harvesting module 130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 thermoelectric generator (TEG) module ". A plurality of harvesting modules 130 may be coupled to the vehicle radiator in the form of a harvesting module array 120.

라디에이터의 열 에너지를 수확함에 있어 중요한 것은 라디에이터에 결합된 수확 모듈 어레이에 포함된 모든 수확 모듈(130)들이 최대 전력점에서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What is important in harvesting the heat energy of the radiator is that all of the harvesting modules 130 included in the harvesting module array coupled to the radiator can operate at the maximum power point.

일반적으로, 라디에이터의 표면 온도는 주입구에서 배출구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크게 감소할 수 있다. 또한, 라디에이터의 주입구와 배출구 간의 온도 차는 여름에 60도에까지 이를 수 있다. 라디에이터의 온도 분포는 차량의 구동 조건에 의해 동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In general,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radiator may gradually decrease progressively from the inlet to the outlet. Also,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let and outlet of the radiator can reach 60 degrees in the summer.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of the radiator can change dynamically depending on the driving conditions of the vehicle.

이와 같이 동적으로 변화하는 온도 분포로 인해 라디에이터에 부착된 수확 모듈(130) 각각은 모두 동일한 방열부(hot-side) 온도를 가지기 어렵다. 또한, 서로 다른 방열부 온도를 갖는 수확 모듈(130)들이 고정된 연결 구조를 가지는 경우, 수확 모듈(130)들 각각이 최대 전력점(Maximum Power Point; MPP)에서 동작하기 어렵다. 여기서, 최대 전력점은 출력 전력의 최대치로 이해될 수 있다. Due to the dynamically changing temperature distribution, each of the harvesting modules 130 attached to the radiator is hard to have the same hot-side temperature. Further, when the harvesting modules 130 having different heat sink temperatures have a fixed connection structure, each of the harvesting modules 130 is difficult to operate at the maximum power point (MPP). Here, the maximum power point can be understood as the maximum value of the output power.

일 실시예에서는 동적으로 변화하는 냉각제의 온도 및 냉각제의 유속 하에서 수확 모듈(130)들의 재구성을 통해 수확 모듈(130)들 각각이 최대 전력점에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일 실시예에서는 주어진 냉각수 유량(coolant flow rate), 주입구 온도, 공기 흐름 (차량 속도) 및 주변 온도 등에 대한 최상의 다항 시간 복잡도(polynomial time complexity)를 갖는 재구성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재구성 알고리즘에 대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In one embodiment, each of the harvesting modules 130 may be operated at a maximum power point through reconstruction of the harvesting modules 130 under the temperature of the dynamically varying coolant and the flow rate of the coolant. To this end, in one embodiment, a reconfiguration algorithm with the best polynomial time complexity for a given coolant flow rate, inlet temperature, air flow (vehicle speed) and ambient temperature may be used. The reconstruction algorithm will be described later.

수확 모듈(130)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The structure of the harvesting module 130 is as follows.

수확 모듈(130)들은 라디에이터의 주입구에서 배출구 방향으로 라디에이터 핀에 부착될 수 있다. 수확 모듈(130)은 상부 세라믹(131) 및 하부 세라믹(1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세라믹(131) 및 하부 세라믹(133)은 열전 재료들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수확 모듈(130)은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내부 펠릿들(internal pellets) 및 주변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내부 펠릿들 및 주변 회로를 활용하여 양 세라믹의 온도 차이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만들 수 있다. The harvesting modules 130 may be attached to the radiator fins in the direction of the outlet from the inlet of the radiator. The harvesting module 130 may include an upper ceramic 131 and a lower ceramic 133. The upper ceramic 131 and the lower ceramic 133 may correspond to thermoelectric materials. In addition, the harvesting module 130 may further include internal pellets and peripheral circuits, not shown. Internal pellets and peripheral circuits can be utilized to create electrical energy from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both ceramics.

상부 세라믹(131)은 라디에이터의 방열판(heat sink)(150)(의 일단)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라디에이터의 방열판(150)의 타단은 대기 중에 노출될 수 있다. 라디에이터의 방열판(150)은 수확 모듈(130)의 상부 세라믹에 부착되며 차량 주행 실험에서 예를 들어, 약 10 ° C의 대기에 노출될 수 있다. The upper ceramic 131 may be attached to (one end of) a heat sink 150 of the radiator. At this time, the other end of the radiating plate 150 of the radiator can be exposed to the atmosphere. The heat sink 150 of the radiator is attached to the upper ceramic of the harvesting module 130 and may be exposed to an atmosphere of, for example, about 10 [deg.] C in a vehicle running test.

하부 세라믹(133)은 라디에이터의 라디에이터 핀들(170)에 부착될 수 있다. 하부 세라믹(133)은 라디에이터 핀들(170)의 할당된 위치에 부착되고, 해당 위치의 온도 조건에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수확 모듈(130)의 방열부(hot side)는 라디에이터의 냉각제와 접촉하고, 수확 모듈(130)의 냉각부(cool sides)는 주변 공기와 접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라디에이터에 부착된 수확 모듈(130)들에 의해 수확된 열 에너지의 양을 최대화할 수 있다. The lower ceramic 133 may be attached to the radiator fins 170 of the radiator. The lower ceramic 133 is attached to the assigned location of the radiator fins 170 and can operate at the temperature condition of that location. Also, the hot side of the harvesting module 130 may be in contact with the coolant of the radiator, and the cool sides of the harvesting module 130 may be in contact with ambient ai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amount of thermal energy harvested by the harvesting modules 130 attached to the vehicle radiator can be maximized.

일 실시예에 따른 수확 모듈(130)은 상부 세라믹(131)과 하부 세라믹(133) 사이의 온도 차이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다. The harvesting module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convert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ceramic 131 and the lower ceramic 133 into electrical energy.

일 실시예에서 라디에이터의 방열판(150)과 주변 공기가 동일한 온도를 갖거나, 또는 (차량 라디에이터의 일반적인 작동 상태에 해당하는) 주변 공기 흐름이 충분히 빠른 상태라고 가정하는 경우, 수확 모듈(130)의 출력 에너지(Eteg)는 다음의 [수학식 11]에 의해 추정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if the heat sink 150 of the radiator and the ambient air have the same temperature, or if the ambient air flow (corresponding to the normal operating state of the vehicle radiator) is fast enough, The output energy E teg can be estim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11).

Figure 112016128008011-pat00011
Figure 112016128008011-pat00011

여기서, α는 제베크 계수(Seebeck coefficient)이고,

Figure 112016128008011-pat00012
는 수확 모듈(130)이 부착된 영역(부분)에 대응하는 라디에이터 핀의 온도를, Tamb 는 대기 온도를 나타낸다. Ncpl 는 수확 모듈들의 개수를 나타낸다.Here,? Is a Seebeck coefficient,
Figure 112016128008011-pat00012
Represents the temperature of the radiator fin corresponding to the area (portion) to which the harvesting module 130 is attached, and T amb represents the atmospheric temperature. N cpl represents the number of harvesting modules.

또한, 수확 모듈(130)이 출력 에너지(Eteg)를 가질 때의 전류(Iteg) 및 전력(Pteg)은 각각 아래의 [수학식 12] 및 [수학식 13]을 통해 구할 수 있다. The current I teg and the power P teg when the harvesting module 130 has the output energy E teg can be obtained through the following equations (12) and (13), respectively.

Figure 112016128008011-pat00013
Figure 112016128008011-pat00013

여기서, Rteg는 수확 모듈(130)의 저항을 나타낸다. Here, R teg represents the resistance of the harvesting module 130.

Figure 112016128008011-pat00014
Figure 112016128008011-pat00014

여기서, Rload 는 수확 모듈(130)의 부하 저항을 나타낸다. Here, R load represents the load resistance of the harvesting module 130.

일 실시예에 따르면, 라디에이터의 열 에너지 수확이 훨씬 낮은 룸 온도(room temperature)를 가진 수확 모듈(130)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하나의 수확 모듈(130)은 충분한 전압과 전류를 생성하기 어렵다. 때문에 복수의 수확 모듈(130)들이 예를 들어, 수확 모듈 어레이(120)와 같이 직렬 및 병렬의 어레이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직렬 및 병렬로 연결된 수확 모듈(130)들의 양 끝 단에는 단일의 전원 변환기(power converter)가 연결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rmal energy harvesting of the radiator may be accomplished by a harvesting module 130 having a much lower room temperature. One harvesting module 130 is difficult to generate sufficient voltage and current. A plurality of harvesting modules 130 may be connected in a serial and parallel array configuration, such as, for example, the harvesting module array 120. A single power converter may b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harvesting modules 130 connected in series and in parallel.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수확 모듈의 전압-전류(V-I) 및 전압-전력(V-P) 출력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수확 모듈이 부착된 영역(부분)에 대응하는 라디에이터 핀의 온도(

Figure 112016128008011-pat00015
)와 대기 온도(Tamb) 간의 온도 차(
Figure 112016128008011-pat00016
) 하에서 수확 모듈의 전압(V) 대 전류(I) 간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a) 및 수확 모듈의 전압(V) 대 전력(P) 간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b)가 도시된다. 2 is a graph illustrating voltage-current (VI) and voltage-power (VP) output characteristics of a harvesting modu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2, the temperature of the radiator fin corresponding to the area (portion) to which the harvesting modu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s attached
Figure 112016128008011-pat00015
) And the ambient temperature (T amb ) (
Figure 112016128008011-pat00016
(B)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oltage (V) and the current (I) of the harvesting module under the condition of the harvesting module (a) and the voltage (V)

그래프 (a)에서 검정색 점(●)은 각 온도 차에서의 수확 모듈의 최대 전력점(MPP)들을 나타낸다. 그래프 (a)에서 수확 모듈의 최대 전력점(MPP)들은 온도 차가 커질수록 그 값이 커지는 것을 볼 수 있다. The black dots (●) in the graph (a) represent the maximum power points (MPP) of the harvesting module at each temperature difference. In graph (a), the maximum power points (MPP) of the harvesting module are found to increase as the temperature difference increases.

그래프 (b)에서 검은색 점은 각 온도 차에 따라 수확 모듈이 달성하는 최대 출력 전력을 나타내며, 그래프 (a)에 도시된 검정색 점에 대응된다. 그래프 (b)에서 온도 차가 커질수록 최대 출력 전력 또한 커지는 것을 볼 수 있다. The black dot in the graph (b) represents the maximum output power achieved by the harvesting module according to each temperature difference, and corresponds to the black dot shown in the graph (a). In graph (b), the larger the temperature difference, the larger the maximum output power.

일 실시예에서는 수확 모듈들이 모두 수확 모듈들 각각의 온도 차, 다시 말해 수확 모듈들 각각이 부착된 부분에 대응하는 라디에이터 핀의 온도(

Figure 112016128008011-pat00017
)와 대기 온도(Tamb) 간의 온도 차에 따른 최대 전력점 또는 최대 전력점 부근에서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수확 모듈 어레이의 출력 전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harvesting modules all have a temperature difference of each of the harvesting modules, i. E. The temperature of the radiator fin corresponding to the portion to which each harvesting module is attached
Figure 112016128008011-pat00017
) And the ambient temperature (T amb ), the output power of the harvesting module array can be improved by operating at the maximum power point or near the maximum power point.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S 자 형태의 라디에이터 핀에 부착되는 수확 모듈 어레이(300)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서는 S 자 모양의 라디에이터 핀 모델을 갖는 차량 라디에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수확 모듈 어레이(300)를 구성하는 복수 개(예를 들어, N 개)의 수확 모듈들(310)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S 자 모양의 라디에이터 핀들에 부착될 수 있다. FIG. 3 illustrates a harvest module array 300 attached to an S-shaped radiator fin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In one embodiment, a vehicle radiator having an S-shaped radiator pin model may be used. At this time, a plurality of (for example, N) harvesting modules 310 constituting the harvesting module array 300 may be attached to S-shaped radiator pins as shown in FIG.

이때, 전체 N 개의 수확 모듈들(310) 중 i 번째 위치(

Figure 112016128008011-pat00018
)의 수확 모듈에서의 라디에이터 핀의 온도는
Figure 112016128008011-pat00019
이고, 전술한 [수학식 10]을 통해 구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i-th position (
Figure 112016128008011-pat00018
) The temperature of the radiator pin in the harvesting module is
Figure 112016128008011-pat00019
, And can be obtain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expression (10).

따라서, i 번째 위치의 수확 모듈인 TEGi 의 하부 세라믹 및 상부 세라믹 사이의 온도 차이는

Figure 112016128008011-pat00020
일 수 있다. Thus,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bottom ceramic and the top ceramic of the TEGi harvesting module at the i-th position
Figure 112016128008011-pat00020
Lt; / RTI >

라디에이터 핀을 따라, 냉각수 주입구에서 배출구까지의 라디에이터 핀의 온도

Figure 112016128008011-pat00021
및 온도 차이
Figure 112016128008011-pat00022
는 점차 감소할 수 있다. The temperature of the radiator pin along the radiator pin, from the cooling water inlet to the outlet
Figure 112016128008011-pat00021
And temperature difference
Figure 112016128008011-pat00022
Can be gradually decreased.

도 4는 라디에이터에 부착되는 고정된 전기적 연결을 가지는 수확 모듈 어레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수확 모듈 어레이(410)는 복수의 수확 모듈(415)들 간의 고정된 전기적 연결을 가질 수 있다. 수확 모듈 어레이(410)에서 동일한 행(row)에 있는 수확 모듈들은 병렬로 연결되고, 수확 모듈들의 행(column)은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Figure 4 shows a harvesting module array having a fixed electrical connection attached to a radiator. Referring to FIG. 4, the harvesting module array 410 may have a fixed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a plurality of harvesting modules 415. The harvesting modules in the same row in the harvesting module array 410 may be connected in parallel, and the columns of the harvesting modules may be connected in series.

이상적으로, 수확 모듈 어레이(410)에 포함된 수확 모듈(415)들이 모두 최대 전력점에서 동시에 작동하는 경우, 수확 모듈 어레이(410)는 수확 모듈(415)들 각각의 최대 전력점의 전력의 합에 해당하는 최대 출력 전력을 달성할 수 있다. Ideally, if all of the harvesting modules 415 included in the harvesting module array 410 are simultaneously operating at the maximum power point, then the harvesting module array 410 may calculate the sum of the powers of the maximum power points of each of the harvesting modules 415 The maximum output power can be achieved.

하지만, 수확 모듈(415)들이 위치하는 라디에이터 핀들의 온도 변화로 인해, 이러한 수확 모듈(415)들의 최대 전력점을 서로 다를 수 있다. 도 4와 같이 고정된 전기적 연결을 가진 수확 모듈 어레이(410)의 수확 모듈(415)들은 그들의 최대 전력점으로부터 벗어나서 동작하게 된다. 따라서, 수확 모듈 어레이(410)는 심각한 출력 전력 손실을 겪을 수 있다. However, due to temperature changes of the radiator fins in which the harvesting modules 415 are located, the maximum power points of these harvesting modules 415 may be different. The harvesting modules 415 of the harvesting module array 410 having the fixed electrical connections as shown in Fig. 4 will operate out of their maximum power point. Thus, the harvesting module array 410 may experience severe output power loss.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라 라디에이터 방열부의 온도 변화로 인하여 수확 모듈들의 출력 전력에 손실이 발생하는 이유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reason why a loss occurs in the output power of the harvesting modules due to the temperature change of the radiator heat radiating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5(a)를 참조하면, 라디에이터의 주입구와 배출구 간의 온도차를 시간 별로 나타낸 그래프가 도시된다. 라디에이터의 주입구와 배출구 사이의 냉각수 흐름이 (예를 들어, 약 30 초 정도) 지연되어 라디에이터의 주입구와 배출구 간에 온도차가 발생할 수 있다. 냉각수의 유속은 예를 들어, 차량의 엔진 RPM(Revolution Per Minute), 차량 속도 및 엔진 온도 등과 상관 관계를 가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a), there is shown a graph showing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let and the outlet of the radiator by time. The cooling water flow between the inlet and outlet of the radiator may be delayed (e.g., by about 30 seconds), resulting in a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let and outlet of the radiator. The flow rate of the cooling water may have a correlation with, for example, the engine RPM (Revolution Per Minute) of the vehicle, the vehicle speed and the engine temperature.

냉각수는 라디에이터를 거치면서 점차 냉각이 되므로, 라디에이터의 주입구와 배출구 사이에서 점차 온도가 낮아지는 분포가 나타날 수 있다. 라디에이터의 주입구에 위치하는 수확 모듈들의 온도는 라디에이터의 배출구에 위치하는 수확 모듈들의 온도보다 높을 수 있다. 라디에이터의 주입구와 배출구 사이의 온도차는 예를 들어, 최대 65 °C 일 수 있다.Since the cooling water is gradually cooled through the radiator, a distribution in which the temperature is gradually lowered between the inlet and the outlet of the radiator may appear. The temperature of the harvesting modules located at the inlet of the radiator may be higher than the temperature of the harvesting modules located at the outlet of the radiator.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let and outlet of the radiator can be, for example, up to 65 ° C.

도 5(b) 및 도 5(c)를 참조하면, 라디에이터 핀의 서로 다른 위치에 부착된 수확 모듈들(A, B, C, D 및 E)이 서로 병렬로 연결된 경우 및 직렬로 연결된 경우에 라디에이터 핀의 온도 변화에 따른 전압-전류 출력 특성이 도시된다. 5 (b) and 5 (c), when the harvesting modules A, B, C, D and E attached to different positions of the radiator pin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parallel and in series The voltage-current output characteristic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change of the radiator pin is shown.

도 5(b) 및 도 5(c)를 참조하면, 수확 모듈들(A, B, C, D 및 E)의 각 위치에서의 라디에이터 핀 온도가 수확 모듈 A로부터 수확 모듈 E로 갈수록 점차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때, 수확 모듈들(A, B, C, D 및 E)의 최대 전력점은 라인(510) 또는 라인(520) 상에 놓여질 수 있다. 5 (b) and 5 (c), the radiator pin temperature at each position of the harvesting modules A, B, C, D, and E gradually decreases from harvesting module A to harvesting module E. Can be seen. At this point, the maximum power point of the harvesting modules A, B, C, D, and E may be placed on line 510 or line 520.

도 5(b)와 같이 수확 모듈들(A, B, C, D 및 E)이 병렬로 연결되고, 충전기(530)가 출력 전압을 Vo로 설정한다고 가정하면, 수확 모듈들(A, B, C, D 및 E)의 실제 동작점은 점선(515)으로 표시될 수 있다. 수확 모듈들(A, B, C, D 및 E)이 서로 병렬로 연결되는 경우, 수확 모듈들(A, B, C, D 및 E)의 전류는 수확 모듈들(A, B, C, D 및 E) 각각의 전류를 더한 값으로 정해지고, 수확 모듈들(A, B, C, D 및 E)의 전압은 동일한 값으로 정해질 수 있다. Assuming that the harvesting modules A, B, C, D and E are connected in parallel and the charger 530 sets the output voltage to Vo as shown in Figure 5 (b), the harvesting modules A, B , C, D, and E) may be indicated by dashed line 515. [ The currents of the harvesting modules A, B, C, D, and E, when connected to the harvesting modules A, B, C, D and E in parallel, And E), and the voltages of the harvesting modules A, B, C, D, and E may be set to the same value.

도 5(b)에서 수확 모듈 B의 동작점이 라인(510) 상에 위치하므로 수확 모듈 B가 최대 전력점에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충전기(530)의 출력 전압 Vo 하에서 수확 모듈 E의 개방 회로 전압은 충전기(530)의 출력 전압 Vo 보다 낮다. 때문에, 수확 모듈 E는 전력을 생산하는 대신에, 전력을 소비하게 된다. 도 5(b)에서 수확 모듈 E의 개방 회로 전압이 충전기(530)의 출력 전압 Vo 보다 낮은 경우, 수확 모듈들(A, B, C, D 및 E)의 전압은 수확 모듈 E에 의한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In Figure 5 (b), the operating point of harvest module B is located on line 510, so that harvest module B can operate at the maximum power point. Also, the output voltage V o of the charger 530 The open circuit voltage of the harvesting module E is equal to the output voltage V o of the charger 530 . Therefore, the harvesting module E consumes power instead of producing electricity. 5 (b), the open circuit voltage of the harvesting module E is equal to the output voltage V o of the charger 530 The voltages of the harvesting modules A, B, C, D, and E may be lost by the harvesting module E.

이와 유사하게, 도 5(c)와 같이 수확 모듈들(A, B, C, D 및 E)이 직렬로 연결되고, 충전기(530)가 출력 전류를 Io 로 설정한다고 가정하면, 수확 모듈들(A, B, C, D 및 E)의 실제 동작점은 점선(525)으로 표시될 수 있다. 수확 모듈들(A, B, C, D 및 E)이 직렬로 연결되는 경우, 수확 모듈들의 전류는 동일한 값을 가지고, 수확 모듈들의 전압은 수확 모듈들 각각의 전압을 더한 값으로 정해질 수 있다. Similarly, the harvesting module as shown in Fig. 5 (c) and (A, B, C, D and E) are connected in series, assuming that the charger 530 is set the output current I o, the harvesting module (A, B, C, D, and E) may be represented by the dashed line 525. [ When the harvesting modules A, B, C, D and E are connected in series, the currents of the harvesting modules have the same value, and the voltage of the harvesting modules can be set to the sum of the voltages of the harvesting modules .

도 5(c)에서 수확 모듈 C의 동작점이 라인(525) 상에 위치하므로 수확 모듈 C가 최대 전력점에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충전기(530)의 출력 전류 Io 하에서 수확 모듈 E의 개방 회로 전류가 충전기(530)의 출력 전류 Io 보다 낮다. 때문에, 수확 모듈 E는 전력을 생산하는 대신에, 전력을 소비하게 된다. 도 5(c)에서 수확 모듈 E의 개방 회로 전류가 충전기(530)의 출력 전류 Io 보다 낮은 경우, 수확 모듈들의 전류는 수확 모듈 E에 의한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In Figure 5 (c), the operating point of the harvesting module C is located on line 525, so that the harvesting module C can operate at the maximum power point. Under the output current I o of the charger 530, the open circuit current of the harvesting module E is lower than the output current I o of the charger 530. Therefore, the harvesting module E consumes power instead of producing electricity. In Figure 5 (c), the open circuit current of the harvesting module E is equal to the output current I o of the charger 530 The current of the harvesting modules may be lost by the harvesting module E.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재구성 가능한 수확 모듈 어레이를 포함하는 열전 발전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 발전기(600)의 재구성 가능한 수확 모듈 어레이의 구조 및 수확 모듈들의 전기적 연결이 도시된다.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thermoelectric generator including a reconfigurable harvesting module arr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Referring to FIG. 6, the structure of a reconfigurable harvesting module array of a thermoelectric generator 6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nd the electrical connections of harvesting modules are shown.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 발전기(600)는 라디에이터에서의 공간적 온도 변화로 인한 수확 모듈 어레이(630)의 출력 전력 손실을 극복하기 위해, 수확 모듈들(631, 633, 635) 각각에 연결된 스위치들(651, 653, 655)의 전기적 연결을 재구성할 수 있다.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6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include switches (not shown) connected to each of the harvesting modules 631, 633, 635 to overcome the output power loss of the harvesting module array 630 due to spatial temperature changes in the radiator 651, 653, 655 can be reconfigured.

열전 발전기(600)는 수확 모듈 어레이(630) 및 스위치부(650)를 포함한다.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600 includes a harvesting module array 630 and a switch portion 650.

수확 모듈 어레이(630)는 차량의 라디에이터(610)에 부착되어 라디에이터의 열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복수의 수확 모듈들(harvesting modules)(631, 633, 635)을 포함한다. The harvesting module array 630 includes a plurality of harvesting modules 631, 633, 635 attached to a radiator 610 of the vehicle to convert the thermal energy of the radiator into electrical energy.

스위치부(650)는 복수의 수확 모듈들(631, 633, 635)의 온도 분포에 기초하여, 복수의 수확 모듈들(631, 633, 635) 각각에 연결된 스위치들(651, 653, 655)의 전기적 연결을 재구성한다. 스위치부(650)는 동적으로 변화하는 수확 모듈들(631, 633, 635)의 방열부의 온도 분포에 기초하여 스위치들(651, 653, 655)의 전기적 연결을 재구성할 수 있다. 스위치부(650)는 수확 모듈들이 냉각제의 유량, 냉각제의 온도, 차량의 속도(공기 흐름) 및 주변 온도에 무관하게 최대 전력점에서 동작하도록 제어부(도 8의 도면 번호 850 참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수확 모듈들(631, 633, 635) 각각에 연결된 스위치들(651, 653, 655)의 전기적 연결을 재구성할 수 있다. The switch unit 650 is connected to the switches 651, 653 and 655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harvesting modules 631, 633 and 635, respectively, based on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of the plurality of harvesting modules 631, 633 and 635 Reconfigure electrical connections. The switch unit 650 can reconfigure the electrical connection of the switches 651, 653, and 655 based on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of the heat dissipation units of the dynamically changing harvesting modules 631, 633, and 635. The switch unit 650 is connected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refer to reference numeral 850 in Fig. 8) so that the harvesting modules operate at the maximum power point regardless of the coolant flow rate, the coolant temperature, the vehicle speed (air flow) The electrical connections of the switches 651, 653 and 655 connected to the respective harvesting modules 631, 633 and 635 can be reconfigured.

스위치부(650)는 복수의 수확 모듈들(631, 633, 635) 각각이 온도에 따른 최대 전력점에서 동작하도록 스위치들의 전기적 연결을 재구성할 수 있다. The switch unit 650 can reconfigure the electrical connections of the switches such that each of the plurality of harvest modules 631, 633, 635 operate at the maximum power point according to temperature.

스위치부(650)는 상부 병렬 스위치(SPT,i)(651), 하부 병렬 스위치(SPB,i)(653) 및 직렬 스위치(SS,i)(655)의 3개의 반도체 스위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witch unit 650 includes three semiconductor switches of an upper parallel switch (S PT, i ) 651, a lower parallel switch (S PB, i ) 653 and a serial switch (S S, can do.

병렬 스위치(651, 653)는 수확 모듈들을 병렬로 연결하여 수확 모듈 그룹들을 형성할 수 있다. 상부 병렬 스위치(651)는 라디에이터 핀의 상부에 위치하여 수확 모듈을 병렬로 연결할 수 있다. 하부 병렬 스위치(653)는 라디에이터 핀의 하부에 위치하여 수확 모듈을 병렬로 연결할 수 있다. The parallel switches 651 and 653 may connect the harvesting modules in parallel to form harvesting module groups. The upper parallel switch 651 is located on top of the radiator pin so that the harvesting modules can be connected in parallel. The lower parallel switch 653 is located under the radiator pin and can connect the harvesting modules in parallel.

직렬 스위치(655)는 수확 모듈 그룹들을 직렬로 연결하여 수확 모듈 어레이(630)를 구성할 수 있다. The serial switch 655 can configure the harvesting module array 630 by connecting the harvesting module groups in series.

예를 들어, 수확 모듈 어레이(630)가 N 개의 수확 모듈들을 포함하는 경우, N 번째를 제외한 수확 모듈들 각각은 상부 병렬 스위치(SPT,i), 하부 병렬 스위치 (SPB,i), 및 직렬 스위치(SS,i)의 3개의 반도체 스위치와 결합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harvesting module array 630 includes N harvesting modules, each of the harvesting modules except for the Nth harvesting module may include a top parallel switch (S PT, i ), a bottom parallel switch (S PB, i ) Can be combined with the three semiconductor switches of the serial switch (S S, i ).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 발전기 시스템의 제어부(도 8의 도면 번호 850 참조)는 수확 모듈들 각각에 결합된 스위치들의 온/오프(ON/OFF) 상태를 제어함으로써, 수확 모듈들의 물리적 위치가 고정됨에도 불구하고, 수확 모듈들의 전기적 연결을 변경, 다시 말해 재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확 모듈들의 전기적 연결을 재구성할 수 있는 구조의 수확 모듈 어레이를 '재구성 가능한 수확 모듈 어레이'라고 부를 수 있다. The control of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see reference numeral 850 in FIG. 8) controls the ON / OFF state of the switches coupled to each of the harvesting modules, so that even though the physical location of the harvesting modules is fixed Nevertheless, the electrical connections of the harvesting modules can be changed, that is, reconstructed. The harvesting module array having the structure capable of reconfigur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of the harvesting modules in this way can be referred to as a 'reconfigurable harvesting module array'.

예를 들어, N 개의 수확 모듈들을 가진 재구성 가능한 수확 모듈 어레이가 있다고 하자. 재구성 가능한 수확 모듈 어레이는 임의의 개수(예를 들어, g (≤ N))의 수확 모듈 그룹들을 포함할 수 있다. j 번째 수확 모듈 그룹에는 아래의 [수학식 14]를 만족하는 r j 개의 병렬 연결된 수확 모듈들이 있을 수 있다. For example, suppose there is a reconfigurable harvesting module array with N harvesting modules. The reconfigurable harvesting module array may include harvesting module groups of any number (e.g., g (N)). j-th module group harvest there may be r j-parallel connected harvest modules satisfying the formula (14) below.

Figure 112016128008011-pat00023
Figure 112016128008011-pat00023

수확 모듈 어레이의 구성은

Figure 112016128008011-pat00024
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The configuration of the harvesting module array
Figure 112016128008011-pat00024
Lt; / RTI >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 개의 수확 모듈들을 포함하는 재구성 가능한 수확 모듈 어레이의 다양한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12개의 수확 모듈들에 의해 구성될 수 있는 수확 모듈 어레이의 구성이 도시된다. 7 is a diagram illustrating various configurations of a reconfigurable harvesting module array including a plurality of harvesting modules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Referring to Figures 7A and 7B, there is shown a configuration of a harvesting module array that may be constructed by twelve harvesting modules.

도 7a를 참조하면, 12개의 수확 모듈들을 제1 그룹(TEG group 1), 제2 그룹(TEG group 2) 및 제3 그룹(TEG group 3)의 총 3개의 그룹들로 구성하고, 각 그룹에 속한 수확 모듈들의 개수가 각각 3개, 4개, 5개인 수확 모듈 어레이의 구성이 도시된다. 도 7a과 같은 수확 모듈 어레이의 구성은 C(3; 3, 4, 5)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A, twelve harvesting modules are formed of a total of three groups of a first group (TEG group 1), a second group (TEG group 2), and a third group (TEG group 3) The configuration of the harvesting module array having three, four, five, respectively, of the number of the harvesting modules belonging thereto is shown. The configuration of the harvesting module array as shown in Fig. 7A can be expressed as C (3; 3, 4, 5).

도 7a의 수확 모듈 어레이에서 제1 그룹(TEG group 1)의 마지막 수확 모듈이 바이패스되고, 제2 그룹(TEG group 2)의 마지막 수확 모듈이 바이패스되어 각 그룹에 속한 수확 모듈들의 개수가 각각 3개, 4개, 5개가 되는 것을 볼 수 있다. In the harvesting module array of FIG. 7A, the last harvesting module of the first group (TEG group 1) is bypassed, the last harvesting module of the second group (TEG group 2) is bypassed, and the number of harvesting modules belonging to each group is Three, four, five.

또한, 도 7b를 참조하면, 12개의 수확 모듈들을 제1 그룹(TEG group 1), 제2 그룹(TEG group 2) 및 제3 그룹(TEG group 3)의 총 3개의 그룹들로 구성하고, 각 그룹에 속한 수확 모듈들의 개수가 각각 3개, 4개, 4개인 수확 모듈 어레이의 구성이 도시된다. 도 7b과 같은 수확 모듈 어레이의 구성은 C(3; 3, 4, 4)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B, the 12 harvesting modules are constituted of a total of three groups of a first group (TEG group 1), a second group (TEG group 2), and a third group (TEG group 3) The configuration of the harvesting module array having three, four, and four harvesting modules belonging to the group is shown. The configuration of the harvesting module array as shown in FIG. 7B can be expressed as C (3; 3, 4, 4).

도 7b의 수확 모듈 어레이에서 제1 그룹(TEG group 1)의 마지막 수확 모듈이 바이패스되고, 제2 그룹(TEG group 2)의 마지막 수확 모듈이 바이패스되며, 제3 그룹(TEG group 3)의 마지막 수확 모듈 또한 바이패스되어 총 11개의 수확 모듈들이 어레이에 연결된 것을 볼 수 있다. In the harvesting module array of FIG. 7B, the last harvesting module of the first group (TEG group 1) is bypassed, the last harvesting module of the second group (TEG group 2) is bypassed, The last harvest module is also bypassed and a total of 11 harvest modules can be seen connected to the array.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확 모듈 어레이에 포함된 복수의 수확 모듈들에 결합된 스위치들의 연결을 제어함으로써, 차량 라디에이터의 공간적 온도 변화에 기초하여 복수의 수확 모듈들이 최대 전력을 출력할 수 있는 최적의 수확 모듈 어레이의 구성을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by controlling the connection of the switches coupled to the plurality of harvesting modules included in the harvesting module array, it is possible to optimize the plurality of harvesting modules to output the maximum power based on the spatial temperature change of the vehicle radiator The configuration of the harvesting module array can be obtained.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 발전기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 발전기 시스템(800)은 재구성 가능한 수확 모듈 어레이를 포함하는 열전 발전기(810), 충전기(830) 및 제어부(850)를 포함한다. 열전 발전기 시스템(800)은 배터리(870) 및 수신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thermoelectric generato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Referring to FIG. 8, a thermoelectric generator system 8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cludes a thermoelectric generator 810, a charger 830, and a controller 850, including a reconfigurable harvesting module array.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system 800 may further include a battery 870 and a receiver (not shown).

열전 발전기(810)는 수확 모듈 어레이 및 스위치들을 포함한다. 수확 모듈 어레이는 차량의 라디에이터에 부착되어 라디에이터의 열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복수의 수확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수확 모듈들 각각은 라디에이터의 방열판에 부착되는 상부 세라믹 및 라디에이터 핀에 부착되는 하부 세라믹을 포함할 수 있다. 수확 모듈들 각각은 상부 세라믹과 하부 세라믹 사이의 온도 차이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열전 발전기(810)는 도 6을 통해 전술한 열전 발전기(600)와 동일하므로 그 밖에 구체적인 설명은 전술한 내용을 참고하기로 한다. Thermoelectric generator 810 includes a harvesting module array and switches. The harvesting module array may include a plurality of harvesting modules attached to a radiator of the vehicle to convert the thermal energy of the radiator into electrical energy. Each of the harvesting modules may include an upper ceramic attached to the heat sink of the radiator and a lower ceramic attached to the radiator fin. Each of the harvesting modules can convert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ceramic and the lower ceramic into electrical energy.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810 shown in FIG. 8 is the same as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600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6, and therefore,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referred to above.

스위치들은 수확 모듈 어레이의 전기적 연결을 재구성할 수 있다. 열전 발전기(810)는 복수의 수확 모듈들 각각에 연결된 스위치들의 전기적 연결을 재구성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들은 스위치부에 포함될 수 있다. The switches can reconfigure the electrical connection of the harvesting module array.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810 may include a switch portion for reconfigur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of the switches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harvesting modules. The switches may be included in the switch portion.

충전기(830)는 수확 모듈 어레이가 최대 출력 전력을 달성하도록 수확 모듈 어레이의 동작점을 설정한다. 충전기(830)는 출력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수확 모듈 어레이가 주어진 수확 모듈 어레이 구성 하에서 최대 출력 전력을 달성하도록 수확 모듈 어레이의 동작점을 설정할 수 있다. 충전기(830)의 입력 포트는 수확 모듈 어레이에 연결되고, 충전기(830)의 출력 포트는 배터리(870)에 연결될 수 있다.Charger 830 sets the operating point of the harvesting module array so that the harvesting module array achieves maximum output power. Charger 830 may control the output current to set the operating point of the harvesting module array such that the harvesting module array achieves maximum output power under a given harvesting module array configuration. The input port of the charger 830 is connected to the harvesting module array and the output port of the charger 830 can be connected to the battery 870.

제어부(850)는 차량 라디에이터의 공간적 온도 변화에 기초하여, 복수의 수확 모듈들이 최대 전력을 출력하는 최적의 수확 모듈 어레이의 구성을 얻기 위해 스위치들을 제어한다. 제어부(850)는 차량의 라디에이터 핀의 순간적인 공간적 온도 변화에 따른 최적의 수확 모듈 어레이의 구성을 계산하고, 현재 최적의 수확 모듈 어레이의 구성을 얻기 위해 재구성 가능한 수확 모듈 어레이 내의 스위치들의 온/오프(ON / OFF)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850)는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850 controls the switches based on the spatial temperature change of the vehicle radiator to obtain the configuration of the optimum harvesting module array in which the plurality of harvesting modules output the maximum power. The control unit 850 calculates the optimal configuration of the harvesting module array according to the instantaneous spatial temperature changes of the radiator pins of the vehicle and sets the on / off states of the switches in the reconfigurable harvesting module array to obtain the configuration of the current optimal harvesting module array (ON / OFF) state can be controlled. The control unit 850 may be implemented by a processor.

제어부(850)는 복수의 수확 모듈들 각각이 온도에 따른 최대 전력점에서 동작하도록 상기 스위치들의 전기적 연결을 재구성할 수 있다. 제어부(850)는 공간적 온도 변화에 따른 최적의 수확 모듈 어레이의 구성 및 최적의 수확 모듈 어레이의 구성에 따른 동작점을 산출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850 may reconfigure the electrical connections of the switches such that each of the plurality of harvesting modules operates at a maximum power point according to temperature. The controller 850 can calculate an optimal harvesting module array according to the spatial temperature change and an operating point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optimal harvesting module array.

배터리(870)는 충전 전압이 내연 기관 차량을 위한 전압인 13.8V 를 갖는 배터리일 수 있다. 이때, 제어부(850)는 최적의 수확 모듈 어레이의 구성에 따른 동작점에 따라 배터리(870)의 충전 전류를 결정할 수 있다. The battery 870 may be a battery having a charge voltage of 13.8 V, which is the voltage for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vehicle. At this time, the controller 850 can determine the charging current of the battery 870 according to the operating point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optimal harvesting module array.

수신부(미도시)는 공간적 온도 변화에 따른 온도 분포를 나타내는 온도 프로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850)는 온도 프로파일에 따른 수확 모듈 어레이 내의 각 수확 모듈의 최대 전력점 전압 및 최대 전력점 전류를 기초로 수확 모듈 어레이의 최대 출력 전력을 추정할 수 있다. The receiving unit (not shown) may receive a temperature profile indicating a temperature distribution according to a spatial temperature change. At this time, the controller 850 can estimate the maximum output power of the harvesting module array based on the maximum power point voltage and the maximum power point voltage of each harvesting module in the harvesting module array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profile.

또한, 제어부(850)는 최적의 수확 모듈 어레이의 구성을 주기적으로 갱신할 수 있다. 제어부(850)는 최적의 수확 모듈 어레이의 구성을 업데이트 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이하에서 설명하는 수확 모듈 어레이의 제구성 알고리즘을 주기적으로 실행하여 수확 모듈 어레이의 구성을 갱신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850 may periodically update the configuration of the optimal harvesting module array. The control unit 850 may update the configuration of the harvesting module array by periodically executing the configuration algorithm of the harvesting module array described below in order to keep the configuration of the optimal harvesting module array updat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확 모듈 어레이 재구성 알고리즘을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harvest module array reconstruction algorithm may be expressed as: < RTI ID = 0.0 >

전체 N 개의 수확 모듈들 중 i 번째 위치(

Figure 112016128008011-pat00025
)의 수확 모듈에 대한 순간적인 공간적 온도 변화와 함께 라디에이터 핀을 따라 수확 모듈 배열이 주어지면,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 발전기 시스템(800)은 1) 최적의 수확 모듈 구성 Copt 및 최적의 열전 발전기 어레이의 동작점(Varray, Iarray)를 찾고, 2) 배터리 충전 전류 Ibatt.를 최대화할 수 있다.Of the N total harvesting modules, the i < th >
Figure 112016128008011-pat00025
),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system 8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be configured to: 1) provide an optimal harvesting module configuration C opt and an optimal thermoelectric generator < RTI ID = 0.0 > Find the array's operating point (V array , I array ), and 2) maximize the battery charge current, I batt .

수확 모듈 어레이를 재구성하는 궁극적인 목적은 수확 모듈 어레이에 포함된 수확 모듈들 각각이 최대 전력점에서 작동하거나, 또는 최대 전력점에 근접하게 작동 할 수 있는 수확 모듈 어레이의 구성 C(g; r1, r2, .. , rg)를 찾는 것이다. The ultimate purpose of reconfiguring the harvesting module array configuration of the harvesting modules harvesting module array in which each number is to operate at the maximum power point, or operating proximate to the maximum power point included in the harvesting module array C (g; r 1 , r 2 , ..., r g ).

라디에이터 핀 상의 수확 모듈 어레이 및 수확 모듈 어레이의 구성에 따른 온도 분포가 주어지면, 열전 발전기 시스템(800)은 수확 모듈 어레이 내의 각 수확 모듈의 최대 전력점 전압(MPP voltage) 및 최대 전력점 전류(MPP current)에 기초하여 수확 모듈 어레이의 최대 출력 전력(즉, 최대 전력점 전력(MPP power))을 다음과 같이 추정할 수 있다. Given a temperature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harvesting module array and the harvesting module array on the radiator pins,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system 800 calculates the maximum power point voltage (MPP voltage) and the maximum power point current (MPP) of each harvesting module in the harvesting module array the maximum output power of the harvesting module array (that is, the maximum power point power (MPP power)) can be estimated as follows.

앞서 도 5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수확 모듈들이 한 행(병렬)으로 연결되면, 해당 행의 출력 전압은 가장 작은 최대 전력점 전압을 갖는 수확 모듈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수확 모듈들이 한 열(직렬)로 연결되면, 해당 열의 출력 전류는 가장 작은 최대 전력점 전류를 갖는 수확 모듈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5, when the harvesting modules are connected in a row (in parallel), the output voltage of the corresponding row may be limited by the harvesting module having the smallest maximum power point voltage. Likewise, if the harvesting modules are connected in a row (in series), the output current of that row may be limited by the harvesting module with the smallest maximum power point current.

수확 모듈 어레이의 구성 C(g; r1, r2, .. , rg)이 주어지면, 수확 모듈 어레이의 최대 전력점 전압은 각 수확 모듈 그룹에서 가장 작은 최대 전력점 전압의 합에 의해 추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 발전기 시스템(800)은 수확 모듈 그룹 각각에서의 최대 전력점 전류의 합이 잘 균형 잡힐 수 있는 구성, 다시 말해, 최대 전력점 전류가 가능한 서로 유사한 값을 가질 수 있는 구성을 찾을 수 있다. 수확 모듈 어레이의 출력 전력이 너무 낮으면, 수확 모듈 어레이의 끝 단에 연결되는 전력 변환기의 효율이 낮아진다. 때문에, 최대 출력 전류를 얻기 위해 모든 수확 모듈들을 병렬로 연결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Given a configuration C (g; r 1 , r 2 , .., r g ) of the harvesting module array, the maximum power point voltage of the harvesting module array is estimated by the sum of the smallest maximum power point voltages in each harvesting module group .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system 8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s configured to provide a configuration that allows the sum of the maximum power point currents in each of the harvesting module groups to be well balanced, in other words, Can be found. If the output power of the harvesting module array is too low, the efficiency of the power converter connected to the end of the harvesting module array is reduced. Therefore, it is not appropriate to connect all harvesting modules in parallel to obtain maximum output current.

수확 모듈 어레이가 최대 전력점에서 동작하도록 재구성하는 방법은 아래의 도 9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A method for reconfiguring the harvesting module array to operate at the maximum power poi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9 below.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수확 모듈 어레이를 재구성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재구성 알고리즘의 수도 코드(pseudo code)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재구성 알고리즘은 차량의 라디에이터의 공간적 온도 변화에 따른 온도 프로파일들을 입력으로 받아, 최적의 수확 모듈 어레이의 구성(예를 들어,

Figure 112016128008011-pat00026
)을 출력할 수 있다. 9 is a diagram illustrating pseudo code of a reconstruction algorithm illustrating a method of reconstructing a harvesting module arr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Referring to FIG. 9, a reconfiguration algorith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receives temperature profiles according to a spatial temperature change of a radiator of a vehicle as input, and compares the configuration of an optimal harvesting module array (for example,
Figure 112016128008011-pat00026
Can be output.

재구성 알고리즘은 i) 어레이의 제 1 수확 모듈 그룹 내의 수확 모듈의 개수(예를 들어, r1)를 스윕(sweep)하는 외부 루프(outer loop)와 ii) 주어진 r1 값, 다시 말해 제 1 수확 모듈 그룹 내에 포함되는 수확 모듈들의 개수(예를 들어, C(r1))에 따라 수확 모듈 어레이 구성을 고정시키는 커널 절차(kernel procedure)를 포함한다. The reconstruction algorithm includes i) an outer loop that sweeps the number of harvesting modules (e.g., r 1 ) in the first harvesting module group of the array and ii) an outer loop that sweeps the given r 1 value, And a kernel procedure that fixes the harvest module array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harvest modules (e.g., C (r 1 )) contained within the module group.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 발전기 시스템은 입력 받은 온도 프로파일들을 기초로, 수확 모듈 어레이의 제1 수확 모듈 그룹에 포함되는 수확 모듈의 개수에 따른 최대 전력점 전류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입력받은 온도 프로파일들의 수는 수확 모듈 어레이에 포함된 수확 모듈들의 개수에 대응할 수 있다.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can calculate the maximum power point current according to the number of harvesting modules included in the first harvesting module group of the harvesting module array based on input temperature profiles. At this time, the number of input temperature profiles may correspond to the number of the harvesting modules included in the harvesting module array.

제1 수확 모듈 그룹에서 최대 전력점 전력을 얻을 수 있는 최적의 수확 모듈 어레이의 구성

Figure 112016128008011-pat00027
이 결정되면, 현재 수확 모듈 어레이의 공간적 온도 분포 하에서 최적의 수확 모듈 어레이의 구성이 결정될 수 있다. Configuration of an optimal harvesting module array to obtain the maximum power point power in the first harvesting module group
Figure 112016128008011-pat00027
The configuration of the optimal harvesting module array can be determined under the spatial temperature distribution of the current harvesting module array.

커널 절차에서, 열전 발전기 시스템은 외부 루프로부터 공급된 제1 수확 모듈 그룹에서의 수확 모듈들의 개수(r1)를 기초로, 제2 수확 모듈 그룹에 포함된 수확 모듈들의 최대 전력점 전류의 합이 제 1 수확 모듈 그룹의 최대 전력점 전류의 합에 근접하도록 제2 수확 모듈 그룹에서의 수확 모듈들의 개수(r2)를 결정할 수 있다. In the kernel procedure,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system calculates the sum of the maximum power point currents of the harvesting modules included in the second harvesting module group based on the number (r 1 ) of harvesting modules in the first harvesting module group supplied from the outer loop The number of harvesting modules (r 2 ) in the second harvesting module group can be determined to be close to the sum of the maximum power point currents of the first harvesting module group.

즉, 열전 발전기 시스템은 아래의 [수학식 15]를 만족하는 제2 수확 모듈 그룹을 찾을 수 있다. That is,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system can find a second harvesting module group satisfying the following equation (15).

Figure 112016128008011-pat00028
Figure 112016128008011-pat00028

여기서,

Figure 112016128008011-pat00029
는 i 번째 수확 모듈의 최대 전력점 전류를 나타낸다. here,
Figure 112016128008011-pat00029
Represents the maximum power point current of the ith harvesting module.

열전 발전기 시스템은 상기와 유사하게 제3 수확 모듈 그룹 및 제4 수확 모듈 그룹 각각에 포함되는 수확 모듈들의 개수(r3, r4)를 결정할 수 있다.The thermoelectric generator system may determine the number (r 3, r 4 ) of harvesting modules included in each of the third harvesting module group and the fourth harvesting module group similarly to the above.

열전 발전기 시스템은 수확 모듈 어레이의 수확 모듈 그룹들의 최대 전력점 전류들이 제1 수확 모듈 그룹의 최대 전력점 전류에 대응하도록, 제1 수확 모듈 그룹을 제외한 다른 수확 모듈 그룹들(제2 수확 모듈 그룹, 제3 수확 모듈 그룹 및 제4 수확 모듈 그룹 등)에 포함되는 수확 모듈들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system is configured such that the maximum power point currents of the harvesting module groups of the harvesting module array correspond to the maximum power point currents of the first harvesting module group and the other harvesting module groups except the first harvesting module group The third harvesting module group and the fourth harvesting module group, etc.).

상술한 과정을 통해 각 수확 모듈 그룹에서의 수확 모듈들의 개수가 결정되면, 열전 발전기 시스템은 제1 수확 모듈 그룹의 최대 전력점 전류, 제1 수확 모듈 그룹을 제외한 다른 수확 모듈 그룹들의 최대 전력점 전류들 및 제1 수확 모듈 그룹과 다른 수확 모듈 그룹들에 포함되지 않는 나머지 수확 모듈들의 최대 전력점 전류들에 기초하여, 수확 모듈 어레이를 재구성할 수 있다. When the number of harvesting modules in each harvesting module group is determin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system determines the maximum power point current of the first harvesting module group, the maximum power point current of the harvesting module groups other than the first harvesting module group And the maximum power point currents of the remaining harvesting modules not included in the first harvesting module group and other harvesting module groups, the harvesting module array can be reconfigured.

열전 발전기 시스템은 아래 [수학식 16]을 통해 각 수확 모듈 그룹에 포함되지 않은 나머지 수확 모듈들의 최대 전력점 전류의 합이 제1 수확 모듈 그룹에 포함된 수확 모듈들의 최대 전력점 전류의 합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system calculates the sum of the maximum power point currents of the remaining harvesting modules not included in each harvesting module group by the following equation (16) to be smaller than the sum of the maximum power point currents of the harvesting modules included in the first harvesting module group Or not.

Figure 112016128008011-pat00030
Figure 112016128008011-pat00030

열전 발전기 시스템은 [수학식 16]의 판단 결과를 기초로, 나머지 수확 모듈들에 대하여 다음의 세 가지 옵션들을 적용하여 수확 모듈 어레이를 재구성할 수 있다.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system can reconstruct the harvesting module array by applying the following three options to the remaining harvesting modules,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of Equation (16).

열전 발전기 시스템에 i) 나머지 수확 모듈들로 구성된 새로운 수확 모듈 그룹(예를 들어, j + 1 번째 그룹)을 생성하거나, ii) 나머지 수확 모듈들 중 적어도 하나(예를 들어, j 번째 그룹)에 포함(추가)시키거나, 또는 iii) 나머지 수확 모듈들을 수확 모듈 그룹들과 바이패스(bypass), 다시 말해 나머지 수확 모듈들을 수확 모듈 그룹들에 연결하지 않을 수 있다.(E.g., a j + 1 th group) consisting of the remaining harvest modules, or ii) generating at least one of the remaining harvest modules (e.g., the j th group) Or iii) the remaining harvest modules may not be connected to the harvesting module groups and bypass, i. E., The remainder harvesting modules, to the harvesting module groups.

상술한 세 가지 옵션들에 따른 수확 모듈 어레이의 구성은

Figure 112016128008011-pat00031
,
Figure 112016128008011-pat00032
또는
Figure 112016128008011-pat00033
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The configuration of the harvesting module array according to the above three options
Figure 112016128008011-pat00031
,
Figure 112016128008011-pat00032
or
Figure 112016128008011-pat00033
Can be expressed as

열전 발전기 시스템은 세 가지 옵션들에 따른 수확 모듈 어레이의 구성에 따른 최대 전력점 전력을 비교하여 가장 높은 최대 전력점 전력을 갖는 수확 모듈 어레이의 구성을 C(r1), 즉, 커널 절차의 반환된 결과로서 선택할 수 있다.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system compares the maximum power point power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harvesting module array according to the three options to obtain the configuration of the harvesting module array with the highest maximum power point power as C (r 1 ) Can be selected as a result.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수확 모듈들이 최대 전력점에서 동작하기 위해 재구성된 수확 모듈 어레이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reconstructed harvesting module array for a plurality of harvesting modules to operate at a maximum power point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수확 모듈 어레이를 이용할 디바이스가 결정되면, 해당 디바이스의 고유 특성에 따라서 방열부의 온도와 냉각부의 온도 차이에 따른 최대 전력점 전류가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 수확 모듈의 전류가 최대 전력점 전류와 최대한 가깝게 되도록 도 10과 같이 불균형적인(Imbalanced) 수확 모듈 어레이의 구성을 결정할 수 있다. When a device using the harvesting module array is determined, the maximum power point current corresponding to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heat dissipating unit and the cooling unit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intrinsic characteristics of the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nfiguration of the imbalanced harvesting module array can be determined as shown in FIG. 10 such that the current of each harvesting module is as close as possible to the maximum power point current.

도 11은 일 실시에 따라 수확 모듈 어레이를 재구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 발전기 시스템은 차량의 라디에이터의 공간적 온도 변화에 따른 온도 프로파일들을 수신한다(1110). 온도 프로파일들의 수는 수확 모듈 어레이에 포함된 수확 모듈들의 개수에 대응할 수 있다. 이때, 라디에이터의 주입구에 위치하는 수확 모듈들의 온도는 라디에이터의 배출구에 위치하는 수확 모듈들의 온도보다 높을 수 있다. 11 is a flow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reconstructing a harvesting module array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Referring to FIG. 11, a thermoelectric generato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receives temperature profiles according to a spatial temperature change of a radiator of a vehicle (1110). The number of temperature profiles may correspond to the number of harvesting modules included in the harvesting module array. At this time, the temperature of the harvesting modules located at the inlet of the radiator may be higher than the temperature of the harvesting modules located at the outlet of the radiator.

열전 발전기 시스템은 단계(1110)에서 수신한 온도 프로파일들을 기초로, 수확 모듈 어레이의 기준 수확 모듈 그룹에 포함되는 수확 모듈의 개수에 따른 최대 전력점 전류를 산출할 수 있다(1120). 기준 수확 모듈 그룹은 라디에이터의 주입구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확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기준 수확 모듈 그룹은 예를 들어, 수확 모듈들의 제1 그룹에 해당할 수 있다.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system may calculate 1120 the maximum power point current according to the number of harvesting modules included in the reference harvesting module group of the harvesting module array, based on the temperature profiles received in step 1110. The reference harvesting module group may comprise at least one harvesting module located at the inlet of the radiator. The reference harvesting module group may correspond to a first group of harvesting modules, for example.

열전 발전기 시스템은 수확 모듈 어레이의 수확 모듈 그룹들의 최대 전력점 전류들이 기준 수확 모듈 그룹의 최대 전력점 전류에 대응하도록, 해당 수확 모듈 그룹에 포함되는 수확 모듈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1130). 해당 수확 모듈 그룹들은 기준 수확 모듈 그룹과 인접한 순서로 결정될 수 있다. 해당 수확 모듈 그룹들은 수확 모듈 어레이에서 기준 수확 모듈 그룹을 제외한 나머지 수확 모듈 그룹들일 수 있다. 열전 발전기 시스템은 해당 수확 모듈 그룹의 최대 전력점 전류가 기준 수확 모듈 그룹의 최대 전력점 전류보다 크거나 같도록 하는, 수확 모듈의 최소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system may determine the number of harvesting modules included in the harvesting module group so that the maximum power point currents of the harvesting module groups of the harvesting module array correspond to the maximum power point current of the reference harvesting module group (1130). The groups of harvesting modules may be determined in the order of proximity to the reference harvesting module group. The corresponding harvesting module groups may be the remaining harvesting module groups except the reference harvesting module group in the harvesting module array.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system can determine the minimum number of harvesting modules so that the maximum power point current of the harvesting module group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maximum power point current of the reference harvesting module group.

열전 발전기 시스템은 기준 수확 모듈 그룹의 최대 전력점 전류, 수확 모듈 그룹들의 최대 전력점 전류들, 및 기준 수확 모듈 그룹과 해당 수확 모듈 그룹들에 포함되지 않는 나머지 수확 모듈들의 최대 전력점 전류들에 기초하여, 수확 모듈 어레이를 재구성할 수 있다(1140). 단계(1140)에서, 열전 발전기 시스템은 나머지 수확 모듈들로 구성된 새로운 수확 모듈 그룹을 생성하거나, 나머지 수확 모듈들을 수확 모듈 그룹들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시키거나, 또는 나머지 수확 모듈들을 바이패스(bypass) 시킬 수 있다.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system is based on the maximum power point currents of the reference harvesting module group, the maximum power point currents of the harvesting module groups, and the maximum power point currents of the remaining harvesting modules not included in the reference harvesting module group and the corresponding harvesting module groups. , The harvesting module array may be reconfigured (1140). At step 1140,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system may either create a new harvest module group comprised of the remaining harvest modules, include the remaining harvest modules in at least one of the harvest module groups, or bypass the remaining harvest modules.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ogram command which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magnetic media such as floppy disk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This is possible.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ut should be determined by equivalents to the appended claims, as well as the appended claims.

800: 열전 발전기 시스템
810: 열전 발전기
830: 충전기
850: 제어부
870: 배터리
800: Thermoelectric generator system
810: Thermoelectric generator
830: Charger
850:
870: Battery

Claims (20)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차량의 라디에이터의 열 에너지를 수확하는 복수의 수확 모듈들을 포함하는 수확 모듈 어레이 및 상기 수확 모듈 어레이의 전기적 연결을 재구성하는 스위치들을 포함하는 열전 발전기;
상기 차량 라디에이터의 공간적 온도 변화(spatial temperature variation)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수확 모듈들이 최대 전력을 출력하는 최적의 수확 모듈 어레이의 구성을 얻기 위해 상기 스위치들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수확 모듈 어레이가 최대 출력 전력을 달성하도록 상기 수확 모듈 어레이의 동작점을 설정하는 충전기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온도 프로파일들을 기초로, 상기 수확 모듈 어레이의 기준 수확 모듈 그룹에 포함되는 수확 모듈의 개수에 따른 최대 전력점 전류를 산출하고, 상기 수확 모듈 어레이의 수확 모듈 그룹들의 최대 전력점 전류들이 상기 기준 수확 모듈 그룹의 최대 전력점 전류에 대응하도록, 해당 수확 모듈 그룹에 포함되는 수확 모듈의 개수를 결정하며, 상기 기준 수확 모듈 그룹의 최대 전력점 전류, 상기 해당 수확 모듈 그룹들의 최대 전력점 전류들, 및 상기 기준 수확 모듈 그룹과 상기 해당 수확 모듈 그룹들에 포함되지 않는 나머지 수확 모듈들의 최대 전력점 전류들에 기초하여, 상기 수확 모듈 어레이를 재구성하는, 열전 발전기 시스템.
A thermoelectric generator including a harvesting module array including a plurality of harvesting modules for harvesting thermal energy of a radiator of a vehicle and switches for reconfiguring an electrical connection of the harvesting module array;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switches based on a spatial temperature variation of the vehicle radiator to obtain an optimum harvesting module array configuration in which the plurality of harvesting modules output maximum power; And
A charger module for setting an operating point of the harvesting module array such that the harvesting module array achieves a maximum output power;
Lt; / RTI >
The control unit
Calculating a maximum power point current according to the number of harvesting modules included in the reference harvesting module group of the harvesting module array based on the temperature profiles of the harvesting module arrays, Determining a number of harvesting modules included in the harvesting module group so as to correspond to a maximum power point current of the group, calculating a maximum power point current of the reference harvesting module group, a maximum power point currents of the harvesting module groups, And reconstructs the harvesting module array based on the reference harvesting module group and the maximum power point currents of the remaining harvesting modules not included in the harvesting module group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 발전기는
상기 차량의 라디에이터에 부착되어 상기 라디에이터의 열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상기 복수의 수확 모듈들을 포함하는 상기 수확 모듈 어레이; 및
상기 복수의 수확 모듈들 각각에 연결된 상기 스위치들의 전기적 연결을 재구성하는 스위치부
를 포함하는, 열전 발전기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The harvesting module array comprising: a plurality of harvesting modules attached to a radiator of the vehicle to convert thermal energy of the radiator into electrical energy; And
A switch unit for reconfiguring an electrical connection of the switches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harvesting modules,
/ RTI > thermoelectric generator system.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확 모듈들 각각은
상기 라디에이터의 방열판(heat sink)에 부착되는 상부 세라믹; 및
상기 라디에이터의 라디에이터 핀에 부착되는 하부 세라믹
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세라믹과 상기 하부 세라믹 사이의 온도 차이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열전 발전기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Each of the harvesting modules
An upper ceramic attached to a heat sink of the radiator; And
A lower ceramic attached to the radiator pin of the radiator
/ RTI >
And converts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ceramic and the lower ceramic into electrical energy.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수확 모듈들 각각이 온도에 따른 최대 전력점에서 동작하도록 상기 스위치들의 전기적 연결을 재구성하는, 열전 발전기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control unit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harvest modules reconfigures an electrical connection of the switches to operate at a maximum power point according to temperatur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들은
상기 수확 모듈들을 병렬로 연결하여 수확 모듈 그룹들을 형성하는 병렬 스위치; 및
상기 수확 모듈 그룹들을 직렬로 연결하여 상기 수확 모듈 어레이를 구성하는 직렬 스위치
를 포함하는, 열전 발전기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switches
A parallel switch for connecting the harvesting modules in parallel to form harvesting module groups; And
A serial switch for connecting the harvesting module groups in series and constituting the harvesting module array;
/ RTI > thermoelectric generator system.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간적 온도 변화에 따른 최적의 수확 모듈 어레이의 구성 및 상기 최적의 수확 모듈 어레이의 구성에 따른 동작점을 산출하는, 열전 발전기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control unit
A thermoelectric generator system for calculating an optimal harvesting module array according to the spatial temperature change and an operating point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optimal harvesting module array,
제11항에 있어서,
배터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최적의 수확 모듈 어레이의 구성에 따른 상기 동작점에 따라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전류를 결정하는, 열전 발전기 시스템.
12. The method of claim 11,
Further comprising a battery,
The control unit
And determines the charge current of the battery according to the operating point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optimal harvesting module array.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적 온도 변화에 따른 온도 분포를 나타내는 상기 온도 프로파일을 수신하는 수신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프로파일에 따른 상기 수확 모듈 어레이 내의 각 수확 모듈의 최대 전력점 전압 및 최대 전력점 전류를 기초로 상기 수확 모듈 어레이의 최대 출력 전력을 추정하는, 열전 발전기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 receiver for receiving the temperature profile indicating a temperature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spatial temperature change;
Further comprising:
The control unit
And estimates the maximum output power of the harvesting module array based on a maximum power point voltage and a maximum power point current of each harvesting module in the harvesting module array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profil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최적의 수확 모듈 어레이의 구성을 주기적으로 갱신하는, 열전 발전기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control unit
And periodically updates the configuration of the optimal harvesting module array.
차량의 라디에이터의 공간적 온도 변화(spatial temperature variation)에 따른 온도 프로파일들-상기 온도 프로파일들의 수는 수확 모듈 어레이에 포함된 수확 모듈들의 개수에 대응함-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온도 프로파일들을 기초로, 상기 수확 모듈 어레이의 기준 수확 모듈 그룹에 포함되는 수확 모듈의 개수에 따른 최대 전력점 전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수확 모듈 어레이의 수확 모듈 그룹들의 최대 전력점 전류들이 상기 기준 수확 모듈 그룹의 최대 전력점 전류에 대응하도록, 해당 수확 모듈 그룹에 포함되는 수확 모듈의 개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기준 수확 모듈 그룹의 최대 전력점 전류, 상기 해당 수확 모듈 그룹들의 최대 전력점 전류들, 및 상기 기준 수확 모듈 그룹과 상기 해당 수확 모듈 그룹들에 포함되지 않는 나머지 수확 모듈들의 최대 전력점 전류들에 기초하여, 상기 수확 모듈 어레이를 재구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수확 모듈 어레이를 재구성하는 방법.
Receiving temperature profiles according to a spatial temperature variation of the radiator of the vehicle, the number of temperature profile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harvesting modules included in the harvesting module array;
Computing a maximum power point current according to the number of harvesting modules included in the reference harvesting module group of the harvesting module array based on the temperature profiles;
Determining the number of harvesting modules included in the harvesting module group such that the maximum power point currents of the harvesting module groups of the harvesting module array correspond to the maximum power point current of the reference harvesting module group; And
The maximum power point currents of the reference harvesting module group, the maximum power point currents of the corresponding harvesting module groups, and the maximum power point currents of the remaining harvesting modules not included in the reference harvesting module group and the corresponding harvesting module groups , ≪ / RTI > reconstructing the harvesting module array
Wherein the harvesting module array comprises a plurality of harvesting modules.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라디에이터의 주입구(inlet)에 위치하는 수확 모듈들의 온도는
상기 라디에이터의 배출구(outlet)에 위치하는 수확 모듈들의 온도보다 높은, 수확 모듈 어레이를 재구성하는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temperature of the harvesting modules located at the inlet of the radiator is
Wherein the temperature of the harvesting modules located at the outlet of the radiator is higher than the temperature of the harvesting modules located at the outlet of the radiator.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수확 모듈 그룹은 상기 라디에이터의 주입구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확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해당 수확 모듈 그룹들은 상기 기준 수확 모듈 그룹과 인접한 순서로 결정되는, 수확 모듈 어레이를 재구성하는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reference harvesting module group comprises at least one harvesting module located at an inlet of the radiator,
Wherein the corresponding harvesting module groups are determined in order of proximity to the reference harvesting module group.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수확 모듈 그룹에 포함되는 수확 모듈의 개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해당 수확 모듈 그룹의 최대 전력점 전류가 상기 기준 수확 모듈 그룹의 최대 전력점 전류보다 크거나 같도록 하는, 수확 모듈의 최소 개수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수확 모듈 어레이를 재구성하는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step of determining the number of harvesting modules included in the corresponding harvesting module group
Determining a minimum number of harvesting modules such that a maximum power point current of the harvesting module group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maximum power point current of the reference harvesting module group
≪ / RTI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수확 모듈 어레이를 재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나머지 수확 모듈들로 구성된 새로운 수확 모듈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나머지 수확 모듈들을 상기 수확 모듈 그룹들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시키는 단계; 및
상기 나머지 수확 모듈들을 바이패스 시키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수확 모듈 어레이를 재구성하는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step of reconstructing the harvesting module array
Generating a new harvesting module group composed of the remaining harvesting modules;
Including the remaining harvesting modules in at least one of the harvesting module groups; And
Bypassing the remaining harvest modules
, ≪ / RTI >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15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19. A computer program stored on a medium for executing a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5 to 19 in combination with hardware.
KR1020160180080A 2016-12-27 2016-12-27 Thermoelectric generator and thermoelectric generator system including harvesting module array for thermal energy harvesting and reconfiguration method for harvesting module array KR10190979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0080A KR101909792B1 (en) 2016-12-27 2016-12-27 Thermoelectric generator and thermoelectric generator system including harvesting module array for thermal energy harvesting and reconfiguration method for harvesting module arr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0080A KR101909792B1 (en) 2016-12-27 2016-12-27 Thermoelectric generator and thermoelectric generator system including harvesting module array for thermal energy harvesting and reconfiguration method for harvesting module arra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6025A KR20180076025A (en) 2018-07-05
KR101909792B1 true KR101909792B1 (en) 2018-10-18

Family

ID=62920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0080A KR101909792B1 (en) 2016-12-27 2016-12-27 Thermoelectric generator and thermoelectric generator system including harvesting module array for thermal energy harvesting and reconfiguration method for harvesting module arra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979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0856A (en) * 2020-11-23 2022-05-31 주식회사 리빙케어 High Efficiency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Modu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69713A (en) * 2004-03-16 2005-09-29 Toyota Motor Corp Thermal power generator
JP2015060935A (en) * 2013-09-18 2015-03-30 株式会社東芝 Thermoelectric genera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69713A (en) * 2004-03-16 2005-09-29 Toyota Motor Corp Thermal power generator
JP2015060935A (en) * 2013-09-18 2015-03-30 株式会社東芝 Thermoelectric gen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6025A (en) 2018-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2970B1 (en) Battery thermal management system
CN110931824B (en) Fuel cell cooling liquid flow distribu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3453688B (en) A kind of thermoelectric refrigerating/heatinsystem system
JP2011121542A (en) Vehicle control device and vehicle control method
Kim et al. Dynamic reconfiguration of thermoelectric generators for vehicle radiators energy harvesting under location-dependent temperature variations
KR101909792B1 (en) Thermoelectric generator and thermoelectric generator system including harvesting module array for thermal energy harvesting and reconfiguration method for harvesting module array
US11616181B2 (en) Thermoelectric generator
JP2021082528A (en) Battery thermal management device
Baek et al. Reconfigurable thermoelectric generators for vehicle radiators energy harvesting
EP2099079A1 (en) Hybrid energy scavenger comprising thermopile unit and photovoltaic cells
JP5966699B2 (en) Solar power system
KR20170080029A (en) Integrated system of Exhaust Heat Recovery System and Thermo-Electric Generation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1644176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heat dissipation of LED lamp for vehicle
CN111746350B (en) Battery box SOC balance management system and control method
JPH0638560A (en) Generator by exhaust gas
JP3950954B2 (en) Solar cell partial cooling system
CN113224348A (en) Fuel cell water temperature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20085886A (en) Thermal management system for fuel cell electric vehicle
Yahya et al. A Thermoelectric Energy Harvesting System
KR20200093959A (en) An Thermoelectric Gener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mr et al. Enhancement of photovoltaic system performance via passive cooling
CN220172204U (en) Heat exchange plate, power battery thermal management system, power battery and vehicle
Cheng et al. Development of an 1.2 kW thermoelectric generation system for industrial waste heat recovery
Lineykin et al. Estimation of the power of a thermoelectric harvester for low and ultra-low temperature gradients using a dimensional analysis method
CN215418245U (en) Water temperature control system of fuel ce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