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8668B1 - 호신용 액체 분사기 - Google Patents

호신용 액체 분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8668B1
KR101908668B1 KR1020170005268A KR20170005268A KR101908668B1 KR 101908668 B1 KR101908668 B1 KR 101908668B1 KR 1020170005268 A KR1020170005268 A KR 1020170005268A KR 20170005268 A KR20170005268 A KR 20170005268A KR 101908668 B1 KR101908668 B1 KR 1019086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solution
cartridge set
leakage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5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3139A (ko
Inventor
신양주
Original Assignee
(주)프로에스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프로에스콤 filed Critical (주)프로에스콤
Priority to KR1020170005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8668B1/ko
Publication of KR20180083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31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8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86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9/00Liquid ejecting guns, e.g. water pistols, devices ejecting electrically charged liquid jets, devices ejecting liquid jets by explosive pressure
    • F41B9/0087Liquid ejecting guns, e.g. water pistols, devices ejecting electrically charged liquid jets, devices ejecting liquid jets by explosive pressur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e.g. for self-defence, law-enforcement, industrial use, military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4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shaped as balls
    • F16K15/044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shaped as balls spring-loa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9/00Liquid ejecting guns, e.g. water pistols, devices ejecting electrically charged liquid jets, devices ejecting liquid jets by explosive pressure
    • F41B9/0003Liquid ejecting guns, e.g. water pistols, devices ejecting electrically charged liquid jets, devices ejecting liquid jets by explosive pressure characterised by the pressurisation of the liquid
    • F41B9/0031Liquid ejecting guns, e.g. water pistols, devices ejecting electrically charged liquid jets, devices ejecting liquid jets by explosive pressure characterised by the pressurisation of the liquid the liquid being pressurised at the moment of ejection
    • F41B9/0037Pressurisation by a piston
    • F41B9/004Pressurisation by a piston the piston movement being mechanically coupled to the trigger movement, e.g. the piston being part of the trig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9/00Liquid ejecting guns, e.g. water pistols, devices ejecting electrically charged liquid jets, devices ejecting liquid jets by explosive pressure
    • F41B9/0071Liquid ejecting guns, e.g. water pistols, devices ejecting electrically charged liquid jets, devices ejecting liquid jets by explosive pressure characterised by special valve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chnology Law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변의 안전을 위해서 최루액을 분사하는 호신용 액체 분사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펌핑작용시에 최루액 유로와 공급홀을 각각 개폐하는 제1체크밸브와 제2체크밸브를 구비하여 최루액의 누수를 최소화하고, 카트리지세트를 간이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고, 카트리지세트를 교체하는 과정과 교체한 후에 최초로 사용하기 이전에 최루액의 누수 위험을 원천적으로 차단한 호신용 액체 분사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호신용 액체 분사기는 내부에 최루액이 충진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서 전후진하는 펌핑작용으로 충진된 최루액을 토출시키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펌핑유닛; 상기 피스톤의 전방에 구비되어 토출되는 최루액을 분사시키는 분사노즐; 상기 실린더의 후방에 구비되어 최루액을 공급하는 카트리지세트; 상기 펌핑유닛을 내장하고, 펌핑작용을 위한 외력을 제공하는 방아쇠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펌핑유닛의 펌핑작용에 따라 최루액의 토출유로를 개폐하는 제1체크밸브; 상기 펌핑유닛의 펌핑작용에 따라 상기 카드리지세트의 최루액 공급홀을 개폐하는 2차체크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호신용 액체 분사기{Spray gun for self-defense}
본 발명은 신변의 안전을 위해서 최루액을 분사하는 호신용 액체 분사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펌핑작용시에 최루액 유로와 공급홀을 각각 개폐하는 제1체크밸브와 제2체크밸브를 구비하여 최루액의 누수를 최소화하고, 카트리지세트를 간이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고, 카트리지세트를 교체하는 과정과 교체한 후에 최초로 사용하기 이전에 최루액의 누수 위험을 원천적으로 차단한 호신용 액체 분사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납치 및 강도 등의 각종 범죄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어 이로 인해 남녀노소 누구나 할 것 없이 안전에 대한 우려가 많다. 특히, 아동과 여성들이 더욱 쉽게 범죄에 노출되고 있어 사회적으로 많은 이슈가 되고 있다.
신변위험의 발생시에 자신을 보호하기 위하여 휴대가 용이하면서 호신용으로 사용되는 신변용품들이 많이 제공되어 있으며 그중에서도 소형으로 되어 휴대성이 용이하고 간단한 작동에 의해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호신용 액체(또는 가스) 분사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호신용 분사기는 등록실용 제 0133360호와 등록실용 제 0432282호와 같이 본체가 총형상으로 되어 방아쇠를 조작하면 내부에 저장된 가스 또는 최루액이 분사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호신용 분사기는 방아쇠를 당기면 유로가 개방되어 가스 또는 최루액이 발사되고, 방아쇠를 놓으면 유로가 폐쇄되어 가스 또는 최루액의 누출을 차단하게 되는데, 종래기술에 따른 호신용 분사기는 누출차단 효과가 강력하지 못하여 조금씩 누출이 발생된다. 누출된 가스는 공기중으로 소멸하여 피해가 적지만, 누출된 최루액은 옷이나 가방 등에 묻어 피해가 적지 않다.
호신용 분사기는 가스 또는 최루액을 분사시켜 소모하게 되므로 한번 사용 한 후에는 재사용을 위하여 가스 또는 최루액을 재충전한다.
가스 또는 최루액을 재충전시키는 장치는 구조는 복잡하고 고가이다. 그래서 등록실용 제0432282호에서 보듯이 일부의 분사기는 재충전 방식을 버리고, 가스 또는 최루액이 들어 있는 카트리지를 교체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카트리지를 교체하는 방식의 경우 카트리지의 마개를 열고서 호신용 분사기 본체에 결합시키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교체 과정에서 카트리지의 가스 또는 최루액이 누출되기 쉽고, 교체한 후에도 누출차단 효과가 약해 누출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처럼 종래기술에 따른 호신용 분사기의 누출차단 기능이 취약하여 최루액이 누출되는 문제, 누출액을 저장하고 있는 카트리지를 교체하는 과정에서 최루액이 누출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으로서,
전방에서 최루액 토출유로를 개폐하는 제1체크밸블와 후방에서 카트리지세트의 최루액 공급홀을 개폐하는 제2체크밸브를 구비하여 최루액의 누출차단 기능을 강화하고, 카트리지세트의 전단 출구에는 밀봉필름이 부착되어서 처음으로 사용하기 전에는 최루액의 누출이 원천적으로 차단된 호신용 액체 분사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호신용 액체 분사기는
내부에 최루액이 충진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서 전후진하는 펌핑작용으로 충진된 최루액을 토출시키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펌핑유닛;
상기 피스톤의 전방에 구비되어 토출되는 최루액을 분사시키는 분사노즐;
상기 실린더의 후방에 구비되어 최루액을 공급하는 카트리지세트;
상기 펌핑유닛을 내장하고, 펌핑작용을 위한 외력을 제공하는 방아쇠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펌핑유닛의 펌핑작용에 따라 최루액의 토출유로를 개폐하는 제1체크밸브;
상기 펌핑유닛의 펌핑작용에 따라 상기 카드리지세트의 최루액 공급홀을 개폐하는 2차체크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카트리지세트는 상기 실린더의 후방에 교체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카트리지세트의 전단 출구에는 밀봉필름이 부착되고,
상기 피스톤의 후단에는 상기 실린더와 함께 전진하는 상기 카트리지세트의 밀봉필름을 컷팅하여 출구를 개봉하는 컷팅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카트리지세트는 최루액을 내장하는 튜브와, 전방은 상기 실린더의 후방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후방에는 상기 튜브가 겹합되는 착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착탈부재의 내부에는 상기 최루액 공급홀을 갖는 격벽이 구비되고, 상기 격벽의 후방에는 결합을 위해 삽입되는 상기 튜브의 밀봉시트를 자르는 칼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호신용 액체 분사기는 전방과 후방에 제1,2체크밸브가 펌핑작용에 따라 최루액의 토출유로와 공급홀을 각각 개폐하여 최루액의 누출을 최소화함으로써 최루액의 낭비와 누출된 최루액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하고, 카트리지세트는 간편하고 신속하게 교체 가능하고, 교체과정과 교체 후 처음으로 사용하기 전에는 밀봉필름에 의해 최루액의 누출이 원천적으로 차단되고, 전체적인 구조가 단순하여 경제성이 탁월한 제품으로서 산업발전에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호신용 액체 분사기의 사시도.
도 2 는 도1에서 본체의 일부를 제거하여 내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 은 펌핑유닛과 카트리지세트를 요부로 하는 사시도.
도 4 는 도3의 분해 사시도.
도 5 는 도3의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호신용 액체 분사기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호신용 액체 분사기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호신용 액체 분사기는 본체(10), 펌핑유닛(20), 분사노즐(30), 카트리지세트(40), 제1체크밸브(50), 제2체크밸브(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는 총의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총열부(11), 손잡이부(13), 방아쇠(15) 등을 구비한다.
상기 본체(10)의 총열부(11)에는 상기 펌핑유닛(20)이 내장되고, 상기 방아쇠(15)를 당기면 상기 펌핑유닛(20)의 실린더(21)를 전진시켜서 펌핑작용으로 최루액의 전방으로 토출된다.
상기 본체(10)의 전방 하부측에는 사용자에게 조준하는 타겟을 보여주기 적외선을 조사하는 적외선LED(16)가 구비된다.
상기 적외선LED(16)가 적외선을 조사하기 위해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8)와, 온오프 조작을 위한 조작스위치(19)가 실장된 PCB(17)가 상기 본체(10)에 내장된다.
상기 조작스위치(19)는 상기 본체(10)의 외부로 노출되어서 사용자가 직접 손가락으로 눌러 조작할 수도 있고, 방아쇠(15)의 당김이 2단으로 행해지도록 하여 먼저 1단으로 방아쇠(15)를 당기면 방아쇠에 연결되는 회동부(14)에 의해 조작스위치(19)가 눌려 적외선이 조사되고, 이 상태에서 방아쇠(15)를 2단으로 한 번 더 당기면 펌핑유닛(20)의 실린더(21)가 전진되어 최루액이 토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펌핑유닛(20)은 최루액이 충진되는 실린더(21)와, 상기 실린더(21) 내부에서 전후진하는 펌핑작용으로 충진된 최루액을 토출시키는 피스톤(26)을 포함한다.
상기 실린더(21)는 조립되어 결합되는 제1원통(211)과 제2원통(216)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원통(211)의 후방에는 상기 카트리지세트(4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원통(216)의 전방으로는 상기 피스톤(26)이 전후진 가능하게 삽입 관통된다.
상기 제2원통(216)의 전방에는 전후진하는 피스톤(26)이 전방으로 분리이탈되지 않도록 단턱(217)이 형성되고, 상기 제1원통(211)의 내경은 상기 제2원통(216)의 내경 보다 짧아서 제2원통(216)의 후방에는 피스톤(26)의 후진범위(즉, 실린더(21)의 전진범위)를 제한하는 단턱(212)이 제1원통(211)의 전단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피스톤(26)은 조립되어 결합되는 제1로드(261)와 제2로드(266)로 구성된다.
상기 제1로드(261)와 제2로드(266)의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토출유로(h)가 형성된다.
상기 제1로드(261)의 중간부위의 외주연에는 전후진에 따라 상기 제2원통(216)의 내부 전방 단턱(217)과 후방 단턱(212)에 걸려 전후진 범위를 제한하는 돌기(262)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후방의 외주연에는 상기 제1원통(211)의 내면에 밀착되어서 최루액의 누출을 차단하는 오링(263)이 구비된다.
상기 제2로드(266)는 상기 제1로드(261)의 전방측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제1로드(261)와 제2로드(266) 사이에는 틈새를 밀폐하여 최루액의 누출을 차단하는 패킹(265)이 구비된다.
상기 제2로드(266)의 외주연에는 스프링(269)이 삽입된다. 상기 스프링(269)은 제2로드(266)의 전방측 외주연에 돌출형성된 돌출부(267)와 상기 제2원통(216)의 전단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방아쇠(15)를 당겨 상기 실린더(21)가 전진한 경우에 수축되고, 방아쇠(15)를 놓으면 복원력으로 제2원통(216)을 후방으로 밀어 실린더(21)를 후진시킨다.
상기 분사노즐(30)은 상기 펌핑유닛(20)의 전방, 즉, 상기 제2로드(266)의 전방에 결합되고, 펌핑유닛(20)의 펌핑작용으로 전송되는 최루액을 전방의 외부로 토출시킨다.
상기 분사노즐(30)의 전방에는 토출되는 최루액을 여러 방향(예; 3방향)의 줄기로 분기시켜 토출시키는 분기구(31)가 내장된다. 상기 분기구(31)에 형성되어 최루액을 분기시키는 분기홈(32)은 나선형으로 형성되어서 최루액이 넓은 범위로 분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분사노즐(30)의 후방에는 상기 제2로드(266)와 연결되는 토출유로(h)를 개폐하는 제1체크밸브(50)가 내장된다.
상기 제1체크밸브(50)는 개폐볼(50)을 사용하고, 상기 분사노즐(30)의 후방에는 상기 개폐볼이 수용되는 수용홈(35)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45)에는 스프링(51)이 내장되어 상기 개폐볼(50)을 후방으로 탄성지지하고, 상기 제2로드(266)의 전단에는 원뿔구조의 확장홈(268)이 형성된다.
그래서 평상시에는 스프링(51)으로 탄성지지되는 상기 개폐볼(50)이 후방으로 밀려 상기 제2로드(266)의 확장홈(268) 내면에 밀착되어서 제2로드(266)의 토출유로(h)를 폐쇄하고, 방아쇠(15)를 당겨 실린더(21) 내부의 최루액이 펌핑력으로 전방으로 토출되면 개폐볼(50)은 전방으로 밀려 토출유로(h)를 개방하여 최루액이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체크밸브(50)로서 상기 개폐볼(50)이 밀착되는 상기 제2로드(266)의 확장홈(268) 내면을 탄성을 갖는 실리콘이나 고무재질 등으로 제작하면, 토출유로(h)의 폐쇄는 보다 긴밀해져서 미사용 중에 최루액의 누출을 보다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세트(40)는 상기 펌핑유닛(20)의 실린더(21)로 최루액을 공급한다.
상기 카트리지세트(40)는 상기 실린더(21)의 제1원통(211) 후방에 탈착 가능하게, 즉, 교체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카트리지세트(40)는 착탈부재(41), 튜브(43), 홀더(45), 캡(4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착탈부재(41)는 전방이 상기 펌핑유닛(20)의 제1원통(211) 후방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후방에는 상기 홀더(45)가 결합되고, 후방의 내측으로는 상기 튜브(43)가 착탈 가능하게 스크류결합된다.
상기 착탈부재(41)의 외주연에는 본체(10)의 방아쇠(15)에 연결되는 회동부(14)가 걸리는 걸림돌기(411)가 돌출형성된다.
본체(10)의 방아쇠(15)를 후방측으로 당기면 회동부(14)가 회동하여 전방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걸림돌기(411)를 전방으로 밀고, 그에 따라 착탈부재(41) 및 실린더(21)를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착탈부재(41)의 전단 출구에는 밀봉필름(412)이 부착되어서, 교체한 카트리지세트(40)를 처음으로 사용하기 전에는 최루액이 카트리지세트(40)에서 실린더(21)로 공급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한다. 즉, 카트리지세트(40)를 교체한 후에 방아쇠(15)를 처음으로 당겨서 전진하는 착탈부재(41)의 밀봉필름(412)이 상기 피스톤(26)의 후단에 형성되는 컷팅날(264)에 컷팅되기 전까지는 착탈부재(41)의 출구를 밀봉필름(412)이 밀봉하여 최루액이 실린더(21)로 공급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착탈부재(41)의 내부에는 격벽(413)이 형성되어서 내부 공간을 전후방으로 구분한다. 상기 격벽(413)에는 튜브(43)의 최루액이 통과하는 공급홀(414)이 형성된다.
상기 격벽(413)의 전방측에는 상기 공급홀(414)을 개폐하는 제2체크밸브(60)가 내장되고, 고정블럭(69)이 상기 제2체크밸브(60)를 상기 격벽(413)측으로 밀어 고정시킨다.
상기 제2체크밸브(60)는 고정링(61)과, 상기 고정링(61)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격벽(413)에 형성된 공급홀(414)을 개폐하는 개폐판(63)과, 상기 고정링(61)과 개폐판(63)을 연결하고 개폐판(63)의 전후진이 가능하도록 호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탄성편(6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격벽(413)의 전면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고정링(61)이 안착되는 안착홈(415)이 형성되고, 안착홈(415)에 대응하여 격벽(413)의 전면 중앙부에는 밀착돌출부(416)가 돌출형성되어서 상기 개폐판(63)이 상기 밀착돌출부(416)에 보다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한다.
상기 고정블럭(69)은 상기 제2체크밸브(60)의 고정링(61)을 상기 격벽(413)측으로 가압하여 고정시키고, 내측에는 상기 개폐판(63)이 전후진 가능하게 홀이 형성된다.
상기 제2체크밸브(60)는 평상시에는 개폐판(63)이 상기 격벽(413)의 공급홀(414)을 폐쇄하여 튜브(43) 내의 최루액의 누출되지 않도록 하고, 방아쇠(15)를 당겨 실린더(21) 및 카트리지세트(40)가 전진하는 경우에는 개폐판(63)이 후방으로 밀려 격벽(413)에 보다 강력하게 밀착되어서 공급홀(414)을 폐쇄함으로써 실린더(21) 내에 충진된 최루액이 피스톤(26)을 통해 토출되도록 하고, 잡아당겼던 방아쇠(15)를 놓아 실린더(21) 및 카트리지세트(40)가 후진하여 실린더(21) 내의 공간이 팽창되는 때에는 개폐판(63)이 전방으로 밀려 격벽(413)의 공급홀(414)을 개방시켜 튜브(43)의 최루액이 실린더(21)로 공급되도록 하고, 실린더(21) 및 카트리지세트(40)의 후진이 완료되고 격벽(413)의 양측인 실린더(21)측과 튜브(43)측의 압력이 같아지면 개폐판(63)은 공급홀(414)을 폐쇄하여 평상시 상태가 된다.
상기 격벽(413)의 후방측에는 상기 튜브(43)의 출구를 밀봉하여 막고 있는 밀봉시트(431)를 자르는 칼날(417)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최루액이 담기는 튜브(43)만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홀더(45)의 후방에 결합되는 캡(47)에는 동전 등으로 끼워넣어서 캡을 회전시켜 홀더(45)에서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는 동전홈(471)이 형성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호신용 액체 분사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본체 15 : 방아쇠
20 : 펌핑유닛 21 : 실린더
26 : 피스톤 30 : 분사노즐
40 : 카트리지세트 41 : 착탈부재
43 : 튜브 45 : 홀더
50 : 제1체크밸브 60 : 제2체크밸브

Claims (4)

  1. 내부에 최루액이 충진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서 전후진하는 펌핑작용으로 충진된 최루액을 토출시키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펌핑유닛;
    상기 피스톤의 전방에 구비되어 토출되는 최루액을 분사시키는 분사노즐;
    상기 실린더의 후방에 구비되어 최루액을 공급하는 카트리지세트;
    상기 펌핑유닛을 내장하고, 펌핑작용을 위한 외력을 제공하는 방아쇠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펌핑유닛의 펌핑작용에 따라 최루액의 토출유로를 개폐하는 제1체크밸브;
    상기 펌핑유닛의 펌핑작용에 따라 상기 카트리지세트의 최루액 공급홀을 개폐하는 제2체크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호신용 액체 분사기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의 전방에는 토출되는 최루액을 여러방향의 줄기로 분기시켜 토출시키는 분기구가 내장되고, 상기 분기구에는 나선형으로 형성되어서 최루액이 넓은 범위로 분사되도록 하는 분기홈이 구비되고,

    상기 카트리지세트는 최루액을 내장하는 튜브와, 전방은 상기 실린더의 후방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후방에는 상기 튜브가 겹합되는 착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착탈부재의 내부에는 상기 최루액 공급홀을 갖는 격벽이 구비되고, 상기 격벽의 후방에는 결합을 위해 삽입되는 상기 튜브의 밀봉시트를 자르는 칼날이 형성되고,

    상기 격벽의 전방측에는 상기 제2체크밸브를 상기 격벽측으로 밀어 고정시키는 고정블럭이 구비되고,
    상기 제2체크밸브는 고정링과, 상기 고정링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격벽에 형성된 공급홀을 개폐하는 개폐판과, 상기 고정링과 개폐판을 연결하고 개폐판의 전후진이 가능하도록 호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탄성편을 포함하고,
    상기 격벽의 전면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고정링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에 대응하여 격벽의 전면 중앙부에는 밀착돌출부가 돌출형성되어서 상기 개폐판이 상기 밀착돌출부에 긴밀하게 밀착되도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신용 액체 분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세트는 상기 실린더의 후방에 교체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신용 액체 분사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세트의 전단 출구에는 밀봉필름이 부착되고,
    상기 피스톤의 후단에는 상기 실린더와 함께 전진하는 상기 카트리지세트의 밀봉필름을 컷팅하여 출구를 개봉하는 컷팅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신용 액체 분사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전방 하부측에는 사용자에게 조준하는 타겟을 보여주는 적외선을 조사하는 적외선LED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의 방아쇠는 당김이 2단으로 행해져서, 1단으로 방아쇠를 당기면 상기 적외선LED에서 적외선이 조사되고, 이 상태에서 방아쇠를 2단으로 한 번 더 당기면 상기 펌핑유닛의 실린더가 전진되어 최루액이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신용 액체 분사기.
KR1020170005268A 2017-01-12 2017-01-12 호신용 액체 분사기 KR1019086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5268A KR101908668B1 (ko) 2017-01-12 2017-01-12 호신용 액체 분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5268A KR101908668B1 (ko) 2017-01-12 2017-01-12 호신용 액체 분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3139A KR20180083139A (ko) 2018-07-20
KR101908668B1 true KR101908668B1 (ko) 2018-12-19

Family

ID=63103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5268A KR101908668B1 (ko) 2017-01-12 2017-01-12 호신용 액체 분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866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2681B1 (ko) * 2013-07-23 2014-12-15 황인철 강한 압력발생으로 최루액을 분무형태로 분사하는 분사장치
KR101563114B1 (ko) * 2015-07-03 2015-10-23 이동석 최루액 분사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2718B1 (ko) * 1989-01-28 1991-05-03 이석근 안전 분사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2681B1 (ko) * 2013-07-23 2014-12-15 황인철 강한 압력발생으로 최루액을 분무형태로 분사하는 분사장치
KR101563114B1 (ko) * 2015-07-03 2015-10-23 이동석 최루액 분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3139A (ko) 2018-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78683C (en) Atomising devices and methods
CA2874167C (en) Valved container assembly
JPWO2005035034A1 (ja) 鼻腔用粉状薬剤施薬装置
WO2003103752A1 (en) Needle-free injection system
EA024981B1 (ru) Распылитель
CA2847170C (en) Needleless injector wand assembly
KR200448964Y1 (ko) 압축공기를 이용한 분무기
KR101908668B1 (ko) 호신용 액체 분사기
EP3501582A1 (en) Nebulizer and cartridge
KR102249477B1 (ko) 잔존물이 남지 않는 앰플 장착형 미스트 분무 장치
US20120318827A1 (en) Canister
KR101563114B1 (ko) 최루액 분사기
EP3856302B1 (en) Tensioning arrangement for aerosol dispenser and aerosol dispenser
KR101707120B1 (ko) 사이드버튼이 구비된 펌핑식 화장품 용기
JP2004213602A (ja) 防犯用液体噴射装置
KR101472681B1 (ko) 강한 압력발생으로 최루액을 분무형태로 분사하는 분사장치
KR200445484Y1 (ko) 약제액통이 구비된 분사기
CN112218527A (zh) 接头组件、压力式喷洒系统及可移动平台
GB2514853A (en) Sealant injection gun
KR200292837Y1 (ko) 소화장치용 밸브
KR20140003256U (ko) 조립이 용이한 물총완구
KR200316513Y1 (ko) 수동타입 중화거품 분무장치
WO2016066677A2 (en) A gas fed atomiser
KR101717364B1 (ko) 최루액 분사기
KR20230074173A (ko) 의료 장치용 압력 해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